KR100886307B1 -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 - Google Patents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307B1
KR100886307B1 KR1020067010274A KR20067010274A KR100886307B1 KR 100886307 B1 KR100886307 B1 KR 100886307B1 KR 1020067010274 A KR1020067010274 A KR 1020067010274A KR 20067010274 A KR20067010274 A KR 20067010274A KR 100886307 B1 KR100886307 B1 KR 10088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st signal
cutting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831A (ko
Inventor
히데오 오오니시
요시까즈 다니구찌
슈우지 야마오까
아끼라 누리오까
미시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오에이치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오에이치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넥터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절압 전선에 비접촉으로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절압 전선 가대를 제공한다. 절압 전선 가대(500)를 작업대(600) 근방에 설치하고, 다수의 절압 전선을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에 걸친다. 걸친 절압 전선 중 커넥터에 장착하는 절압 전선(작업용의 절압 전선)(300)을 선단부의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560)로 이동시켜, 급전부(570) 배치 부위에서 걸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검사 신호의 급전을 행하면, 급전부(570)에 걸쳐진 작업용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가 인가되어, 절압 전선에 직접 전기적으로 비접촉에 의해, 양끝인 양단부에서 검사 신호를 검출시킬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시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서 특별한 검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조립 불량을 미연에 검출할 수 있다.
커넥터, 검사 제어부, 급전부, 절압 전선 가대, 작업대,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

Description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INSPECTION SIGNAL SUPPLY DEVICE AND INSPECTION SIGNAL APPL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절압(切壓)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검사 신호 인가 방법, 및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검사 신호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에 있어서, 커넥터에 삽입해야 할 단자가 고착된 절압 전선은, 종류별로 나누어져 전선 가대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하여, 커넥터에 장착해야 할 단자의 장착된 절압 전선을 전선 가대로부터 취출하여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하고 있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전선의 양단부에 조립 부착하는 한 쌍 이상의 커넥터를 작업대 상에 계지하는 계지부와, 커넥터 내에 장착하는 단자의 고착된 절압 전선을 필요 수 보유 지지하는 열 형상으로 늘어 세워진 홈통형의 전선 가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전선 가대 중 점멸하고 있는 전선 가대로부터 전선을 취출하여, 그 일단부를 안내되고 있는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삽입하도록 하여, 잘못된 배선의 발생을 막고 있었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커넥터에의 장착 후에 터치판을 터치 하여 장착 종료를 지시하고, 다음 와이어의 삽입 안내를 행하고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장치는 절압 전선이 전선 가대 단부에 마련된 게이트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절압 전선이 바르게 취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3950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5-297046호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장치는, 와이어의 삽입 위치를 안내만하는 것으로, 실제로 제작되는 작업 공정에서 절압 전선의 상태를 검출할 수는 없어, 잘못된 배선을 방지하는 데에는 불완전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장치도 단순히 바른 절압 전선이 전선 가대로부터 틀림없이 정확하게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을 뿐이었다.
즉, 종래는 바르게 커넥터에 장착하는지 여부의 검사는, 예를 들어 전선 가대로부터 절압 전선이 바르게 취출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행해지고 있을 뿐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는 절압 전선의 단자가 확실하게 커넥터의 원하는 위치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제조 도중에 검사할 수는 없었다.
이것은,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종래는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단자부와 검사 신호 공급원을 프로브 등을 거쳐서 직접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해야만 하였으므로, 작업 중인 절압 전선에서는 위치도 정확하지 않아 검사 신호는 작업 종료 후에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단자에 프로브 등을 거쳐서 직 접 접촉시켜 행하고 있었다.
이 결과, 구체적인 도통 검사는, 필요해지는 절압 전선 단자의 커넥터에의 장착이 하네스 양단부에서 전부 종료된 후이며, 와이어 하네스 양단부의 절압 전선 단자가 장착된 커넥터에 도통 검사 장치 측의 지그를 장착하고, 예컨대 커넥터의 콘택트(또는 전선의 선번)마다 검사 신호를 공급하여, 다른 쪽의 커넥터 측에서 검사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도통을 검사하여 잘못된 배선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도중에서, 검사 대상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고, 검사 대상인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면서 절압 전선 단자를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으면, 커넥터에의 단자 장착 상태의 검사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검사 신호 공급원과 절압 전선이 비접촉으로, 검사 대상 절압 전선에 와이어로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면 잘못된 배선의 검사가 가능해져, 양단부에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절압 전선에도 확실하게 검사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의 실현이 기대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검사 신호 공급원과 절압 전선이 비접촉이면서 검사 대상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 가능하게 하여, 절압 전선을 커넥터에 장착할 때의 배선의 검사가 가능한 절압 전선에의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예컨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단자가 고착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검사 신호 인가 방법이며, 교류 신호를 검사 신호로 하는 동시에, 작업 대상이 되는 절압 전선의 피복재에 접촉 혹은 근접하도록 도전재로 형성된 급전부를 위치 결정하여, 상기 위치 결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급전부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절압 전선에 상기 절압 전선의 단자 및 내부 도체에 비접촉으로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검사 신호 인가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단자가 고착된 절압 전선에 교류 검사 신호를 인가 가능한 검사 신호 공급 장치이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교류 검사 신호가 공급 가능한 도전재로 형성되는 급전 수단과, 상기 도전재의 적어도 일부를 절압 전선의 피복재에 접촉 혹은 근접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도전재에 상기 교류 검사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절압 전선에 상기 절압 전선의 단자 및 내부 도체에 비접촉으로 검사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단부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예컨대,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 가능한 걸침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침 보유 지지부의 적어도 절압 전선 걸침 보유 지지면 근방에 상기 급전 수단의 도전재를 배치하고, 상기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고, 검사 신호를 인가한 상태로 유지하여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예컨대, 상기 걸침 보유 지지부는 복수의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 가능한 단면 대략 형광등 갓(broff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에 연속하는 선단부 근방에, 상부에 상기 도전재가 배치된 급전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예컨대, 상기 급전 수단은 골무(finger stall)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전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작업자가 작업 시에 장착 가능한 장갑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압 전선을 파지하는 손가락부 선단부에 절연층을 거쳐서 상기 급전 수단을 보유 지지 가능하고, 적어도 상기 손가락부 선단부 절연층과 작업자 접촉면 사이에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접지 레벨로 유지 가능한 실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를 이용한 커넥터에의 하네스 단자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단자의 장착 상태 확인 장치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예의 검사 제어부의 검사 신호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예의 검사 제어부에서의 검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예의 커넥터 보유 지지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실시 형태예 장치의 절압 전선 가대를 이용한 커넥터에의 절압 전 선 단자 장착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예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예]
우선, 본 발명의 절압 전선에의 검사 신호 공급 장치의 예로서,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 가능한 절압 전선 가대에 적용한 제1 실시 형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의 구성예를 도1에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검사 신호가 인가된 절압 전선 단자의 커넥터에의 장착 상태 검사 장치의 구성은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1에 있어서, 부호 500은 본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 600은 와이어 하네스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대, 710은 작업대(600) 상에 배치된 와이어 하네스의 한쪽 단부를 구성하는 A 커넥터, 720은 작업대(600) 상에 배치된 와이어 하네스의 다른 쪽 단부를 구성하는 B 커넥터이다.
절압 전선 가대(500)에 있어서, 부호 510은 토대부, 520은 토대부(510)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직립 아암부로 토대부(510)와 아암부(520)로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를 계지하는 계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 550은 절압 전선을 거의 접촉시킨 상태로 걸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걸침 보유 지지부), 560은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에 연속된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선단부 근방에 검사 신호가 급전되는 신호 도전부를 구성하는 급전부(570)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접촉부)이다.
부호 570은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 중 적어도 상면에 형성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급전부, 부호 551, 552, 561은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판이며,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에 걸쳐진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실제로 와이어 하네스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절압 전선 가대(500)를 작업대(600) 근방에 설치한다. 작업대(600)에서는 커넥터를 각각 별도의 장소에 두 군데 혹은 그 이상 세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커넥터 근방에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장착 상태 확인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커넥터에 대한 절압 전선 단자의 장착 상태가 확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도1에는 절압 전선 가대(500)만이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절압 전선 가대(500) 외에,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각종 복수의 절압 전선을 보유 지지하는 절압 전선 가대가 절압 전선 종류 수만큼 작업대(600)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커넥터에 장착하는 절압 전선 종류에 따라서 다음에 작업해야 할 절압 전선이 보유 지지되어 있는 절압 전선 가대를 차례로 선택하여, 선택한 절압 전선 가대로부터 절압 전선을 취출하고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절압 전선 가대(500)를 이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수의 절압 전선을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에 걸친다.
그리고 이 걸친 절압 전선 중 커넥터에 장착하는 절압 전선(작업용 절압 전선)(300)을 선단부의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560)로 이동시켜, 급전부(570) 배치 부위에서 걸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검사 신호의 급전을 하면, 급전부(570)에 걸쳐진 작업용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가 인가되고, 절압 전선에 직접 전기적으로 비접촉에 의해, 검사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절압 전선의 양단부에서 검사 신호를 검출시킬 수 있어, 예컨대 후술하는 검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시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서 특별한 검사 공정을 거치는 일 없이 조립 불량을 미연에 검출할 수 있다.
또, 커넥터(710, 720)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커넥터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1의 예에서는 커넥터는 2개 설치되어 있지만, 하네스의 사양에 따라서 1개 혹은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절압 전선 가대(500)는 절압 전선을 걸치는 걸침 보유 지지부(550)를 구비하고, 걸침 보유 지지부(550)의 일부 혹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침 보유 지지부(550) 선단부 근방에 급전부(570)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절압 전선이 걸쳐진 부분에 급전부(570)를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절압 전선의 양단부에 단자가 마련된 절압 전선(300)이라도, 도중에 걸려 취출할 수 없는 일이 없다.
또한, 절압 전선 중간부에 급전부(570)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절압 전선의 양단부에 단자가 장착되어 있어도, 검사 신호를 절압 전선의 내부 도체에 비접촉으로 공급할 수 있어, 절압 전선의 양단부 각각의 단자를 각각 소정의 커넥터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양단부 단자 각각의 커넥터에의 장착 여부를 검사 가능해진다.
이상의 절압 전선 가대(500)를 이용한 와이어 하네스 제조 현장에 있어서, 절압 전선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단자의 커넥터 하우징에의 장착 상태를 확인하는 장착 상태 확인 장치의 구성예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를 이용한 커넥터에의 하네스를 구성하는 절압 전선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단자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단자의 장착 상태 확인 장치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를 이용한 커넥터 하우징에의 절압 전선 단자 장착 상태 확인 장치는, 절압 전선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바른 위치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커넥터 하우징 및 단자에 비접촉으로 판정할 수 있는 장치이며, 이 단자의 장착 상태 확인 장치를 이용하면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서 절압 전선 단자를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바르게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어, 다음 공정에서 커넥터에의 장착 상태의 체크가 불필요해진다.
도2에 있어서, 부호 10은 검사 대상인 와이어 하네스의 단부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이하「커넥터」라 칭함)이며, 커넥터(10) 내의 소정 위치에는 미리 예 정되어 있는 사양의 절압 전선(300)의 한쪽 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단자가 소정 깊이까지 삽입된다.
이 커넥터에 장착되는 작업용의 절압 전선(300)은, 미리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단부에는 커넥터(10) 내에 장착되어야 할 소정 사양의 단자가 예를 들면 압착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부호 20a, 20b는 커넥터(10)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 예컨대 커넥터(10)가 상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면 긴변 양측 면의 외벽 근방에 배치되는 Y축 센서판, 30a, 30b는 커넥터(10)의 대향하는 다른 쪽 측면, 예컨대 커넥터(10)가 상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면 짧은 변 양측 면의 외벽 근방에 배치되는 X축 센서판이다.
부호 40a, 40b는 커넥터(10)의 대응하는 커넥터와의 결합면(도1에서는 바닥부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2매의 도전판을 일정 거리 반전하여 대략 병행이 되도록 위치 결정한 Z축 센서판이며, 예컨대 도1의 예에서는 절연 시트의 양면에 센서판을 형성하여 일정 거리 반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호 500은 도1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이며, 커넥터(10) 내에 장착되는 단자가 고착된 복수의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한다.
도2의 예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1개의 절압 전선 가대만 예시되어 있지만, 실제 작업 현장에서는, 적어도 커넥터(10)에 장착되는 절압 전선의 개수만큼 각각의 절압 전선 보유 지지에 적합한 절압 전선 가대가 구비되어 있다.
절압 전선 가대(500)의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560)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선단부 근방)에는, 교류 신호를 송신하고, 수납 상태의 절압 전선에 교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급전부(570)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용 절압 전선(300)과 예컨대 정전 결합 가능한 상태로 걸쳐서 보유 지지된다.
이 결과, 절압 전선의 단부 단자를 커넥터(10)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과정의 모든 상태 시에, 적어도 절압 전선의 일부는 급전부 위치에 있으며, 급전부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커넥터에 장착되는 절압 전선에는 교류 신호가 인가된 상태로 유지된다.
커넥터(10)의 각 측면 근방에는 센서판(20a, 20b, 30a, 30b)이, 바닥부면(상대방 커넥터와의 접합면) 근방에는, 센서판(40a, 40b)이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500)에 의해 교류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절압 전선 단자가 커넥터(1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단자에서의 신호가 각각의 센서판(20a, 20b, 30a, 30b, 40a, 40b)에서 검지되어,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다른 검출 신호가 검출된다.
부호 100은 검사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검사 제어부, 170은 절압 전선 가대(500)의 급전부(570)에 대한 교류 검사 신호의 급전 제어를 담당하는 급전 제어부이며, 검사 제어부(100)의 제어로 다음에 커넥터 내에 장착해야 할 절압 전선을 보유 지지하는 절압 전선 가대에만 급전을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검사 제어부(100)는 급전을 하지 않는 다른 절압 전선 가대의 급전부를 접지 또는 접지 레벨에 가까운 상태로 단락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예의 검사 제어부(100)에서는, 센서판(20a, 20b, 30a, 30b, 40a, 40b) 중 대향하는 한 쌍의 센서판으로 검출되는 검출 신호의 값을 바탕으로, 센서판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 센서판과 단자와의 상대 거리를 검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절압 전선 가대(500)의 급전부에서 절압 전선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레벨차(인가 신호 강도의 격차)의 영향을 줄이고 있다.
Y축 센서판(20a, 20b)에 의해 커넥터(10) 내의 Y축 방향(짧은 변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고, X축 센서판(30a, 30b)에 의해 커넥터(10) 내의 X축 방향(긴변 방향)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교류 검사 신호가 인가된 단자의 커넥터(10) 내의 삽입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바른 위치에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의 바닥부 근방에 2매의 Z축 센서판(40a, 40b)을 배치함으로써, Z축 센서판(40a, 40b)의 검출 결과로부터 단자가 각 Z축 센서로부터 어느 거리까지 삽입되었는지, 즉 커넥터(10) 내의 어떤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확하게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혹은 삽입이 불충분한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센서판의 검출 전압은 절압 전선 단자에 대한 대향 면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예컨대 일부에 구멍이 배치되어 있어도, 일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검출 결과에 주는 영향은 매우 근소해, 대부분 무시할 수 있다.
도2에 나타내는 검사 제어부(100)의 검사 신호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예의 검사 제어부의 신호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에 있어서, 부호 111 내지 116은 센서판(20a, 20b, 30a, 30b, 40a, 40b) 에서의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A 내지 F, 121 내지 126은 센서판(20a, 20b, 30a, 30b, 40a, 40b)에서의 검출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기 위한 피크 검출 회로 A 내지 F이다.
부호 131은 X축 센서판(30a, 30b)에서의 피크 검출 신호 Vx1, Vx2를 입력하고, 그 검출치를 (Vx1 + Vx2)하여 가산하는 X축 가산 회로, 132는 Y축 센서판(20a, 20b)에서의 피크 검출 신호 Vy1, Vy2를 입력하고, 그 검출치를 (Vy1 + Vy2)하여 가산하는 Y축 가산 회로, 133은 Z축 센서판(40a, 40b)에서의 피크 검출 신호 Vz1, Vz2를 입력하여 그 차이분 (Vz1 - Vz2)을 출력하는 Z축 감산 회로이다.
부호 141은 X축 가산 회로(131)의 출력과, 한쪽 X축 센서판(예컨대 부호 30b)에서의 피크 검출 신호치를 입력하고, X축 가산 회로(131)에서의 X축 가산 신호(Vx1 + Vx2)를 분모로 하고, 한쪽 X축 센서판(예컨대 부호 30b)에서의 피크 검출 신호 (Vx2)를 분자로 하는 {Vx2/(Vx1 + Vx2)}를 구하는 X축 나눗셈 회로이다.
X축 나눗셈 회로(141)의 출력은 X축 센서판(30a, 30b)의 검출 신호의 상대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급전부로부터 절압 전선에 인가되는(급전됨) 교류 신호의 강도 변화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이 결과, X축 나눗셈 회로(141)의 출력은 커넥터(10) 내의 X축 방향의 위치에 직접 대응한 신호 레벨이 되므로, X축 나눗셈 회로(141)의 출력으로부터 커넥터(10) 내에 장착되는 절압 전선 단자의 X축 방향 위치를 비접촉으로 검지할 수 있다.
부호 142는 Y축 가산 회로(132)에서의 출력과, 한쪽 Y축 센서판(예컨대 부호 20b)에서의 피크 검출 신호치를 입력하고, Y축 가산 회로(132)에서의 Y축 가산 신 호 (Vy1 + Vy2)를 분모로 하고, 한쪽 Y축 센서판(예컨대 부호 20b)에서의 피크 검출 신호 (Vy2)를 분자로 하는 Vy2/(Vy1 + Vy2)를 구하는 Y축 나눗셈 회로이다.
Y축 나눗셈 회로(142)의 출력은 Y축 센서판(20a, 20b)의 검출 신호의 상대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급전부에서 절압 전선에 인가되는(급전됨) 교류 신호의 강도 변화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이 결과, Y축 나눗셈 회로(142)의 출력은 커넥터(10) 내의 Y축 방향의 위치에 직접 대응한 신호 레벨이 되므로, Y축 나눗셈 회로(142)의 출력으로부터 커넥터(10) 내에 장착되는 절압 전선 단자의 Y축 방향 위치를 비접촉으로 검지할 수 있다.
X축 나눗셈 회로(141)의 출력과 Y축 나눗셈 회로(142)의 출력으로부터 커넥터(10) 내에의 절압 전선 단자의 X - Y 방향의 장착 위치(2차원 위치)를 비접촉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부호 143은 Z축 감산 회로(133)에서의 Z축 차이분 신호 (Vz1 - Vz2)를 분모로 하고, Z축 센서판(40b)에서의 검출 신호 (Vz2)를 분자로 하는 {Vz2/(Vz1 - Vz2)}를 구하는 Z축 나눗셈 회로이다.
Z축 나눗셈 회로(143)의 출력은 Z축 센서판(40a, 40b)의 검출 신호의 상대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급전부에서 절압 전선에 인가되는(급전됨) 신호의 강도 변화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이 결과, Z축 나눗셈 회로(143)의 출력은 절압 전선 단자의 각각의 Z축 센서판(40a, 40b)에서의 거리에 비례한 신호 레벨이 되므로, Z축 나눗셈 회로(143)의 출력으로부터 절압 전선 단자가 커넥터(10) 내에 어느 정도 삽입되었는지 검지할 수 있어, 바른 장착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비접 촉으로 검지할 수 있다.
이상의 회로 구성으로 한 것은, X축 센서판, Y축 센서판에서는 X 또는 Y를 n이라 하면,
[1/{(1/Vn2) + (1/Vn1)}]/Vn1
= {(Vn1 × Vn2)/(Vn1 + Vn2)}/Vn1
= (Vn2)/(Vn1 + Vn2)
이 성립하고, Z축 센서판에서는
[1/{(1/Vz2) - (1/Vz1)}]/Vz1
= {(Vz1 × Vz2)/(Vz1 - Vz2)}/Vz1
= (Vz2)/(Vz1 - Vz2)
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Z축 센서(40b)는 말하자면 커넥터 측으로부터 보아 Z축 센서(40a)의 이면측에 위치하지만, 커넥터(10)는 비도전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또한 Z축 센서판(40a, 40b)는 모두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Z축 센서(40b)에서의 단자로부터의 교류 신호의 검출치는 다소 Z축 센서(40a)의 영향을 받더라도, 단자에서의 교류 신호의 영향이 Z축 센서판(40a)에 의해 차단되어 버리는 일은 없어, 확실하게 일정 레벨의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결과, Z축 센서(40a)와 Z축 센서(40b)의 검출치의 상대적인 관계는 단자의 삽입 위치만으로 결정되어, 거의 정확하게 커넥터(10) 내에의 단자의 삽입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Z축 센서(40a)의 존재에 의해 Z축 센서(40b)로부터 교류 신호를 검출할 수 없는 등의 일은 없으며, Z축 센서(40a)의 존재에 의해 Z축 센서(40b)의 검출 레벨이 약간 내려가는 일은 있어도, 확실하게 일정 레벨의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은, 커넥터(10)에 삽입되는 단자가 최초의 단자가 아닌 경우라도 동일하며, 이미 몇 개의 단자가 커넥터(10)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되어 있는 단자의 위치 및 수에 의해 센서판에서의 검출 레벨에 변동이 있어도, 각각의 경우의 단자 삽입 위치가 바른지의 여부는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검사 제어부에서의 검사 결과의 예를 도4에 나타낸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예의 검사 제어부에서의 검출 결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의 예는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보유 지지부(캐비티)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의 캐비티를 가진 구성으로 하여, 단자를 캐비티 위치(1, 2)로부터 차례로 이동하여 삽입한 경우의 하드웨어 연산 회로로 처리한 예(단위는 "V"임)이다.
절압 전선에 교류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데 정전 결합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검사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할 수 없어, 크게 변동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로 인해, 절압 전선에 20 Vp-p의 검사 신호를 부여한 경우와, 10 Vp-p의 검사 신호를 부여한 경우에 있어서, 각각 커넥터 하우징의 각 캐비티 내에 단자를 삽입한 경우의 검출 결과를 비교하고 있다.
도4의 예에서는 상단이 20 Vp-p의 검사 신호를 부여한 경우의 검사 신호 검지 결과와 연산 후의 나눗셈 회로 출력 예, 하단이 10 Vp-p의 검사 신호를 부여한 경우의 검사 신호 검지 결과와 연산 후의 나눗셈 회로 출력 예이며, 이와 같이 절압 전선에 부여하는 검사 신호 레벨이 크게 변동된 경우라도, 나눗셈 회로 출력 전 압 X1의 변동은 4 % 미만이며, 캐비티 위치에 고유의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검출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에 있어서, 종축은 X 전압 연산치, 횡축은 캐비티의 단자 삽입 열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제1 열에서 제6 열의 각각에서의 단자 삽입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4의 하단에 나타내는 좌단부가 제1 열로, 우단부가 제6 열로 되어 있다.
Figure 112006036956391-pct00001
표1에서의 나눗셈기의 연산치 X와 캐비티 위치의 관계를 표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36956391-pct00002
도4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산 결과와 캐비티 위치의 관계는 상기 그래프와 같다.
커넥터 하우징은 약 2.5 ㎜ 피치로 등간격으로 캐비티를 갖고 있으므로, X의 연산치와 캐비티 위치에는 비례 관계가 있으며, 또한 표2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단, 공급 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아 거의 동일한 값이므로, X의 연산치에 의해 단자가 삽입된 캐비티의 특정이 가능하다.
이것은 Y축 센서판(20a, 20b), Z축 센서판(40a, 40b)이라도 완전히 같으며, 절압 전선에 공급되는 검사 신호에 변동이 있더라도, 안정된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착 상태 확인 장치로 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X축 센서판(30a, 30b)에 의해 열 방향의 각 캐비티에의 삽입 위치를 특정하고, Y축 센서판(20a, 20b)에 의해 행 방향의 캐비티에의 삽입 위치를 특정하고, Z축 센서판(40a, 40b)에 의해 삽입 깊이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는, 절압 전선을 장착하는 제조 현장에 있어서, 도5에 나타내는 커넥터 보유 지지부 내에 커넥터를 수납한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예의 커넥터 보유 지지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넥터(10)를 커넥터 보유 지지부(60)의 커넥터 수납부(61) 내에 위치 결정 수납하고, 각 센서판을 커넥터의 측면 근방 혹은 저면 근방에 위치 결정해야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커넥터를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센서판을 위치 결정하기 위해 커넥터 보유 지지부를 이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예의 커넥터 보유 지지부(60)에 있어서는, 커넥터 보유 지지부(60)의 측벽 부분에 각 센서판을 배치하고, 커넥터의 크기가 커넥터 수납부(61)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경우에는 그대로 안에 수납함으로써 양호한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보유 지지부(60)의 측면에는 X축 센서판(30a, 30b)과 Y축 센서판(20a, 20b)이 각각 고착되어 있으며, 커넥터 수납부(60)에 수납 보유 지지된 커넥터 측면과 거의 일정 거리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압 전선 장착 시에 커넥터 보유 지지부(60)의 커넥터 수납부(61)에 단순히 커넥터(10)를 수납하여 보유 지지시키는 것만으로 절압 전선의 장착 검사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예 장치의 절압 전선 가대를 이용한 커넥터(10)에의 절압 전선 단자 장착 제어를, 도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6은 본 실시 형태예 장치의 절압 전선 가대를 이용한 커넥터(10)에의 절압 전선 단자 장착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1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커넥터(10)에 장착해야 할 절압 전선을 적어도 필요한 수만큼 절압 전선 가대(500)에 걸치거나, 다른 절압 전선 가대에 수납하거나 한다. 이 절압 전선의 양단부에는, 커넥터(10)에 장착하는 단자가 압착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계속해서 단계 S2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의 단부를 구성하는 커넥터(10)를, 커넥터 보유 지지부의 소정의 커넥터 수납부 내에 수납한다.
이것은, 수동으로 위치 결정해도, 혹은 작업 로봇으로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시킨 것이라도 좋다. 이 커넥터(10)의 수납이 정확하게 행해진 경우에는 이것을 검출하여 단계 S3 이하의 처리로 이행하면 좋다.
커넥터의 수납이 행해지면, 단계 S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 제어부(170)에 지시하여 절압 전선 가대(500)의 급전부(570)에 소정 주파수의 교류 신호인 검사 신호를 공급하여, 작업 위치에 걸쳐져 있는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한다. 작업자는 걸쳐져 있는 절압 전선 중 적어도 1개를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560)로 끌어낸다.
이에 의해, 다음에 커넥터에 장착되어야 할 절압 전선에 교류 신호가 발신되어,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560) 위치에 있는 절압 전선(300)은 급전부에서의 교류 신호가 인가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검사 신호로서는 수십 V 이하의 전압 레벨의 교류 신호, 예컨대 1 KHz 정도의 신호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절압 전선(300)에 인가되는 검사 신호는 큰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절압 전선뿐만 아니라 절압 전선 단부의 단자에 직접 닿더라도 작업자가 감전될 우려가 없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절압 전선 가대에 인디케이터를 부가하여, 다음에 커넥터에 장착해야 할 절압 전선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절압 전선 가대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급전부에 교류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절압 전선 가대의 인디케이터를 발광시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광 제어함으로써, 작업자는 절압 전선 가대의 인디케이터를 확인함으로써 틀림없이 다음에 커넥터(10)에 장착해야 할 절압 전선을 보유 지지하는 절압 전선 가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4에 있어서, 검사 제어부(100)를 구동하여, 단자 삽입 위치(장착 상태)의 검출을 시작한다.
그리고 단계 S5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한 절압 전선 단자의 장착 작업이 행해지게 된다. 동시에, 단계 S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 제어부(100)에 의한 단자 삽입 위치(장착 상태)의 검출이 행해진다. 검사 제어부(100)에서는 상술한 동작에 의해, 피크 검출 회로 A 내지 F(121 내지 126)가 각 센서판에서의 검출 신호의 피크 검출을 하고, 각 센서판의 검출한 피크치로부터 단자의 커넥터에의 삽입 위치, 삽입 깊이를 검출한다.
그리고 절압 전선 단자의 커넥터에의 장착이 행해져, 장착 위치의 검출이 종료되면 단계 S7로 진행하여, 검사 제어부(100)가 교류 신호가 인가된 절압 전선 단자의 미리 정해진 커넥터 위치에의 삽입이 이루어져, 삽입의 깊이도 적절한 위치까지 행해진 것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절압 전선 단자의 커넥터(10)에의 장착의 종료 검출은, 예컨대 Z축 센서판(40a)의 피크 검출 전압 Vz1이 소정의 값을 넘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절압 전선 단자의 소망 위치, 깊이에의 장착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장착 종료로 해도 좋다. 또한, 절압 전선 단자가 커넥터(10) 내에 장착되어, 단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변화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장착 완료로 해도 좋다.
즉, 각 센서판(20a, 20b, 30a, 30b, 40a, 40b)에서의 검출 신호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또한 일정 시간 변화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절압 전선 단자의 삽입 완료라 판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각 방법의 몇 가지를 조합하여 장착 종료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정상 위치에의 장착이 아닌 경우, 혹은 삽입 깊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단자가 변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센서판(20a, 20b, 30a, 30b, 40a, 40b)에서의 검출 신호가 정상적인 경우와 다르다.
이로 인해, 미리 정상 위치에 정상적인 단자를 삽입했을 때의 검출 신호치를 측정해 두고, 정상적인 단자를 잘못된 위치, 예컨대 인접한 위치에 삽입했을 때의 검출 신호치를 비교, 혹은 변형하고 있는 단자를 정상적인 위치에 삽입한 경우의 검출 신호치를 비교하여, 이들의 측정 검출 신호치로부터 정상적인 위치에 정상적인 단자를 삽입하였다고 판별하기 위한 임계치를 구하여, 검출 신호치가 상기 임계치의 범위 내인지, 혹은 범위 밖인지 여부의 판정을 할 수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예컨대 삽입 위치의 판단은, 미리 정확한 위치에 절압 전선 단자를 바르게 삽입했을 때의 검출 결과와, 작업자에 의한 절압 전선 단자의 장착 시의 검출 결과를 비교하여 행하고, 오차가 소정의 범위 내로 억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장착이라 판단한다.
단계 S7에 있어서, 교류 신호가 인가된 절압 전선 단자의 미리 정해진 커넥터 위치에의 삽입이 이루어져, 삽입의 깊이도 적절한 위치까지 행해진 것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불량 원인을 특정한다.
예컨대, 대부분 단자의 삽입을 검지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절압 전선 단자를 취출하는 절압 전선 가대를 실수로 장착할 수 없는 절압 전선 단자를 장착하였다고 판단하고, X - Y 검출치의 상위는 커넥터에의 삽입 위치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여, 잘못 삽입된 커넥터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Z축 센서판(40a, 40b)의 검출치의 부족은 단자 삽입의 불량이라 판단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9에서 작업자에게 불량 발생 및 그 원인을 통지한다. 불량 발생은 경보음으로의 통지 및 오류 부위의 점멸 표시 외에,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표시 패널에서의 원인 표시를 하고, 불량 부위 및 바른 삽입 위치의 표시 등을 한다.
작업자는 이 에러 통지를 받아 그 후 필요한 에러 처리를 한다. 예컨대, 삽입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충분히 안까지 삽입하고, 삽입 위치가 틀린 경우에는 삽입한 절압 전선 단자를 제거하여, 새로운 다른 절압 전선 단자를 커넥터(10)에 삽입하게 된다.
한편, 단계 S7에서 검사 제어부(100)가, 교류 신호가 인가된 절압 전선 단자의 미리 정해진 커넥터 위치에의 삽입이 이루어져, 삽입의 깊이도 적절한 위치까지 행해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커넥터(10)에의 절압 전선 단자의 장착이 전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커넥터(10)에의 절압 전선 단자의 장착이 전부 종료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예컨대 종료음으로 통지하고, 상기 커넥터에의 단자 장착을 종료한다.
단계 S10에 있어서, 커넥터(10)에의 절압 전선 단자의 장착이 전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5로 진행하여, 다음에 장착해야 할 절압 전선 단자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절압 전선 가대와 커넥터(10) 내에 수납하는 위치를 특정하여,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르면, 커넥터에 장착하는 절압 전선을 보유 지지하는 절압 전선 가대(500)의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의 일부에 도전 영역(급전부)을 마련하여, 상기 도전 영역에 저전압의 교류 신호를 검사 신호로서 공급하는 것만으로,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절압 전선의 도전재에 다른 도전재 등을 접촉시키는 일 없이, 절압 전선의 단자 간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완전 비접촉으로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어, 검사 신호가 인가된 절압 전선 단자가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센서판으로 단자의 삽입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압 전선에 비접촉으로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므로, 절압 전선의 양단부에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중간부의 피복을 거쳐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동시에 양단부 단자의 커넥터에의 장착 상태를 검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과정에서 절압 전선의 정확함과 틀림, 삽입 위치의 정확함과 틀림 등을 검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와이어 하네스 제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에 장착하는 하네스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다른 하네스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완전히 마찬가지로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검사 제어부(100)에 있어서 각 쌍이 되는 센서판의 검출 신호의 상대치, 예컨대 차이분 값을 이용함으로써, 절압 전선에 인가되는 검사 신호(교류 신호)의 변동이나 변동의 영향이 생기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검사 신호의 공급 효율의 변동 등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한,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컨대 절압 전선에 직접 검사 신호 공급을 위한 프로브 등을 접촉시키는 일없이, 양호한 검사 신호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560)에 가설된 절압 전선(300)의 중간부가 급전부(570)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양호한 검사 신호의 인가가 실현된다.
또, 절압 전선 가대의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550), 작업 전선 보유 지지부(560)의 형상은 도1에 나타내는 표면이 형광등 갓형(아치형)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유선형이나, 원주형이라도 좋으며, 각이진 형상이라도 좋다. 절압 전선을 걸칠 수 있는 것이면 다이면(臺面) 직사각 형상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 가대는, 양단부에 절압 전선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절압 전선이 도중에서 분기되어 커넥터 장착 시에 절압 전선이 도중에서 걸릴 우려가 있는 절압 전선이라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면서 커넥터에의 장착 및 제거를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급전부의 표면 구조에 대해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급전부는 도전 재료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혹은 절연 재료로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은, 검사 신호를 절압 전선에 인가하는 것을 비접촉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전자파가 전달되는 형태이면 임의의 형상,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령 급전부 표면의 열화가 있어도, 급전부로서의 성능에 거의 영향이 없어, 안정된 급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예]
이상의 설명은, 형광등 갓형의 절압 전선 가대에 의해 절압 전선 중간부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상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절압 전선의 단부를 파지하여 단자를 커넥터에 장착하는 작업자의 손끝(손가락 부분)을 거쳐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압 전선 가대 등의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에 특별한 구성을 구비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절압 전선의 단부를 파지하여 단자를 커넥터에 장착하는 작업자의 손끝(손가락 부분)을 거쳐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예를 도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예의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실시 형태예도 검사 신호를 절압 전선에 인가하는 구성 이외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예와 다른 구성만 설명을 하고, 공통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7에 있어서, 부호 750이 작업자의 손에 끼워 쓰는 장갑이며, 장갑을 구성하고 있는 봉제 재료의 표면 혹은 봉제 재료를 다중 구조로서 그 중간부에 도전 시트를 배치한다.
도7의 예에서는 부호 761 762, 763의 3층 구조의 봉제 재료를 이용하여 장갑 형상으로 성형하고 있으며, 중간부는 도전 시트(762)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전 시트(762)는 모든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되도록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 시트(762)의 일부(762a)는 접속부로서 외부로 끌어내어져 있고, 접지 레벨로 유지된 클립(770)을 접속함으로써 장갑(750)이 작업자의 손에서 실드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와이어 하네스 제작 시에는, 예컨대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부분에 도전 재료로 구성된 검사 신호의 급전부를 구성하는 골무(781, 782)로 피복한다. 골무는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검사 신호 공급부에 접속되어, 검사 신호 공급부에서의 검사 신호가 공급되면, 작업 중인 골무(781, 782)를 거쳐서 파지하고 있는 절압 전선에 교류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 종래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골무는 주로 정전기에 의한 생산 장해를 막기 위해 이용되고 있었지만, 본 발명자는 도전성 골무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여 적극적으로 근접하는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한다고 하는 정반대의 사용 방법을 찾아내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이 골무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테이프를 손가락에 감아 손가락 끝 부분을 덮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손끝 부분이 제외된 골무라도 좋다. 이 골무를 장갑(750)에 장착한 경우에는, 손끝 부분이 보다 자유로워지므로, 작업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즉, 이 장갑(750)을 장착하여 도전 시트(762)를 접지 레벨에 접속하는 동시에, 골무(781, 782)를 장착하여 골무(781, 782)와 검사 신호 공급부를 접속한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해야 할 절압 전선을 이 장갑(750)을 낀 작업자가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해야 할 절압 전선의 단자 근방을 잡고, 커넥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잡고 있는 단자를 삽입한다.
이때, 절압 전선과 골무(781, 782)는 접촉된 상태이지만, 골무(781, 782)에 검사 신호가 공급되어 있으면, 검사 신호는 절압 전선에 인가된다. 이로 인해, 단자부에 검사 신호가 인가된 상태가 되어, 커넥터 하우징 내의 바른 위치에 단자가 삽입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때 단자의 근본 부분을 직접 잡아도 검사 신호의 공급 효율이 변화될 뿐이며 아무런 문제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예에 따르면,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특별히 복잡한 지그를 구비하는 일 없이, 작업자가 작업에 의해 손이 거칠어지는 것을 막는 장갑을 이용하여 절압 전선의 도체에 검사 프로브를 접촉시키는 일 없이 확실하게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특히 통상대로 와이어 하네스 제조 작업을 하면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어, 검사 신호의 검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확실하게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절압 전선의 잘못된 삽입을 검사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장갑을 3층 구조로 하여 중간층에 도전 시트를 배치했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장갑 전체를 도전 재료(도전 고무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쉽게 장갑을 접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손끝 부분에 장착되는 검사 신호가 공급되는 급전부인 예컨대 골무 등은, 장갑과의 접촉면에는 절연층이 마련되어, 장갑 부분과 전기적으로 비접촉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절연층은, 예컨대 손가락 전체를 덮는 얇은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골무로 하고, 골무 위에 도전성 소형 골무를 장착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시판되고 있는 도전성 장갑의 일부를 접지 레벨의 접지선과 단부 클립 등을 거쳐서 접속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절압 전선에 비접촉으로 예컨대 절압 전선의 중간부라도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어, 예컨대 절압 전선의 양단부에 단자를 장착하고, 양단부의 단자가 각각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있는 경우라도, 단자에 비접촉으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어, 각각 양단부의 커넥터에의 장착 위치도 검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단자에 직접 접촉시켜 검사 신호를 공급할 필요가 없고, 단자 선단부의 콘택트를 손상시키는 일도 없어, 신뢰성이 높은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이 가 능해진다.

Claims (5)

  1.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단자가 고착된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검사 신호 인가 방법이며,
    교류 신호를 검사 신호로 하는 동시에, 작업 대상이 되는 절압 전선의 피복재에 접촉 혹은 근접하도록 도전재로 형성된 급전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위치 결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급전부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절압 전선에 상기 절압 전선의 단자 및 내부 도체에 비접촉으로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신호 인가 방법.
  2.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단자가 고착된 절압 전선에 교류 검사 신호를 인가 가능한 검사 신호 인가 장치이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교류 검사 신호가 공급 가능한 도전재로 형성되는 급전 수단과,
    상기 도전재의 적어도 일부를 절압 전선의 피복재에 접촉 혹은 근접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도전재에 상기 교류 검사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절압 전선에 상기 절압 전선의 단자 및 내부 도체에 비접촉으로 검사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단부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신호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 가능 한 걸침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침 보유 지지부 중 적어도 절압 전선 걸침 보유 지지면 근방에 상기 급전 수단의 도전재를 배치하고,
    상기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압 전선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고, 검사 신호를 인가한 상태로 유지하여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신호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 보유 지지부는 복수의 절압 전선을 걸쳐서 보유 지지 가능한 단면 대략 형광등 갓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절압 전선 보유 지지부에 연속하는 선단부 근방에, 상부에 상기 도전재가 배치된 급전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신호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수단은 골무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전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작업자가 작업 시에 장착 가능한 장갑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압 전선을 파지하는 손가락부 선단부에 절연층을 거쳐서 상기 급전 수단을 보유 지지 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손가락부 선단부 절연층과 작업자 접촉면 사이에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접지 레벨로 유지 가능한 실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신호 공급 장치.
KR1020067010274A 2003-11-28 2004-11-26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 KR100886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0162A JP4351032B2 (ja) 2003-11-28 2003-11-28 検査信号供給装置及び検査信号印加方法
JPJP-P-2003-00400162 2003-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831A KR20060132831A (ko) 2006-12-22
KR100886307B1 true KR100886307B1 (ko) 2009-03-04

Family

ID=3463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274A KR100886307B1 (ko) 2003-11-28 2004-11-26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51032B2 (ko)
KR (1) KR100886307B1 (ko)
CN (1) CN100476445C (ko)
WO (1) WO2005052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9748A (ja) * 2006-08-10 2008-02-21 Hitachi Ltd 電線加工導通検査装置
CN101980034B (zh) * 2010-10-20 2012-07-25 天津豪风机电设备有限公司 汽车线束导通的检测方法
JP6284344B2 (ja) * 2013-11-13 2018-02-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挿入作業補助装置及び挿入作業補助方法
DE102017118980B4 (de) * 2017-04-23 2018-11-08 Franka Emik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lektrischen Prüfung eines elektrischen Bauteils
JP7392034B2 (ja) 2022-05-11 2023-12-05 エクシオグループ株式会社 電気工事用絶縁手袋および電気工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8900A (ja) * 1994-09-08 1996-03-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取出検出装置と、これを含むワイヤーハーネスの組立装置
JPH09211059A (ja) * 1996-02-07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方法および導通検査器
KR20020058005A (ko) * 2000-09-11 2002-07-12 이시오까 쇼오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03090858A (ja) * 2001-09-20 2003-03-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末端電子機器の検査用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8900A (ja) * 1994-09-08 1996-03-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取出検出装置と、これを含むワイヤーハーネスの組立装置
JPH09211059A (ja) * 1996-02-07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方法および導通検査器
KR20020058005A (ko) * 2000-09-11 2002-07-12 이시오까 쇼오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03090858A (ja) * 2001-09-20 2003-03-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末端電子機器の検査用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2609A1 (ja) 2005-06-09
JP2005164280A (ja) 2005-06-23
JP4351032B2 (ja) 2009-10-28
CN100476445C (zh) 2009-04-08
KR20060132831A (ko) 2006-12-22
CN1882844A (zh)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306B1 (ko) 하네스 체커 및 하네스 체크 방법
TWI740993B (zh) 檢查輔助具、具備該輔助具之基板檢查裝置及檢查輔助具的製造方法
CN111781493A (zh) 一种电路板电参数测量系统
KR100886307B1 (ko) 검사 신호 공급 장치 및 검사 신호 인가 방법
KR101890230B1 (ko) 커넥터의 단자 검사장치
KR101372559B1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길이 및 개수 검사장치
US20060076968A1 (en) Probe,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 device and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 method
CN209117732U (zh) 一种在线检测电控工装
CN213122204U (zh) 一种继电器板故障检测工装
KR20060086933A (ko) 단자의 삽입량 검사 장치
CN209745247U (zh) 一种线束测试设备
CN214278369U (zh) 一种电机组件功能测试台
CN109283369A (zh) 一种在线检测电控工装及其制作方法和工作方法
KR100784571B1 (ko) 장착 검사용 지그
KR101965984B1 (ko) 멀티 테스터기
CN111947557A (zh) 一种触控屏贴膜偏位的检测压头、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213750750U (zh) 一种电扳手电机控制板的检测装置及系统
CN220085032U (zh) 一种线束快速测试工装板
JP2017033714A (ja) 電圧計測用治具
CN220019674U (zh) 一种线束型集成母排的测试装置
CN220933131U (zh) 检测设备
CN220568868U (zh) 一种排气校零测试工装
CN212031707U (zh) 电表装夹工具
CN218122226U (zh) 一种针座类治具校验装置
CN220709230U (zh) 一种电子元器件测试转接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