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674B1 - 전기온수기 - Google Patents

전기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674B1
KR100988674B1 KR1020047005774A KR20047005774A KR100988674B1 KR 100988674 B1 KR100988674 B1 KR 100988674B1 KR 1020047005774 A KR1020047005774 A KR 1020047005774A KR 20047005774 A KR20047005774 A KR 20047005774A KR 100988674 B1 KR100988674 B1 KR 100988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water supply
liqui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688A (ko
Inventor
야스시 모리모토
다다시 단노
도요아키 다케시타
마사노부 야마다
마사시 간바라
마사하루 오하시
후미타카 오가사와라
히사시 와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268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003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3420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24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34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253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8721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25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7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33599A/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10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당장 필요한 양의 물을 끓이는 것과 보온을 하여, 여분의 물을 보온하지 않고 전력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 저수 용기를 가진 본체와 주전자용기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하여, 한번에 행하는 물 끓이기와 보온하는 수량(水量)을 줄여 작게 나눔으로써, 보온시의 소비전력을 억제한다. 또한 독립된 저수 용기를 설치함으로써 주전자용기의 상태에 관계없이, 손쉽게 급수가 이루어진다. 물의 주전자용기에의 공급에 관해서도 수량센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행하므로, 이용자의 수고를 덜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온수기{ELECTRIC WATER HEATER}
본 발명은, 저수 탱크로부터 온수 탱크에 물 등의 액체를 공급하고, 온수 탱크에서 가열, 보온한 액체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전기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 종래의 전기온수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전기온수기의 본체(531)는, 바닥부에 가열장치인 히터(533)를 구비한 대략 원통형의 용기 (53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532)의 아래쪽에는, 일끝단이 용기(532)의 바닥부의 유출구(535)에 연이어 통하며, 다른 끝단이 이송관(536)에 연이어 통하는 송수장치인 원심펌프(534)가 설치된다. 용기(532)의 바닥면에는 용기(532)내의 끓인 물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소자(537)가 설치된다. 본체(531)의 윗면에는 조작버튼과 표시부를 구비한 조작부(538)가 있다. 제어회로(539)는 히터(533)와 원심펌프 (534)를 조작부(53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종래의 전기온수기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용기(532)내에 소정량의 물을 급수한다. 전원을 연결하면 제어회로(539)가 히터 (533)에 전력공급을 시작한다. 온도검지소자(537)가 물의 비등(沸騰)을 검지하면, 제어회로(539)는 히터(533)로의 전력공급을 일단 정지하고 보온동작에 들어가고, 온도검지소자(537)로부터의 신호로 히터(533)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면서 용기 (532)내의 끓인 물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한다.
끓인 물을 원하는 사용자가 조작부(538)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면, 제어회로 (539)의 제어에 의해 원심펌프(534)가 구동되어, 용기(532)내의 온수가 이송관 (536)을 거쳐 끓인 물이 공급된다. 원하는 양의 끓인 물이 공급된 후, 조작버튼의 조작을 멈추면 끓인 물의 공급은 정지한다.
용기(532)내의 수위를 알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이송관(536)을 투명한 유리관으로 구성하여, 이송관(536)이 바깥쪽에서 보이도록 하여 끓인 물의 양을 확인하고 있다. 끓인 물이 적어지면 용기(532)내로 사용자가 급수한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온수 용기를 저수 용기로서도 기능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통상 1회에 사용하는 끓인 물의 필요량(100cc에서 500cc 정도)의 수배의, 다량의 끓인 물을 저장해 둘 필요가 있다. 끓인 물의 필요량이 소량인 경우에도, 다량의 저장된 끓인 물을 항상 가열·보온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부의 덮개(545)를 열어 물을 보충할 때에는, 고온이 된 끓인 물의 비산(Scattering)이나 증기 등에 주의를 요한다고 하는 문제도 안고 있다.
상기의 각 문제를 해결하는 전기온수기로서, 저수 탱크와 온수 탱크의 2개의 탱크를 가진 전기온수기가 있다. 온수 탱크의 끓인 물이 줄면, 자동적으로 저수 탱크에서 물이 공급된다. 이 전기온수기는, 1회의 사용에 필요한 양의 물만을 온수 탱크에서 가열, 보온한다. 그 때문에, 소비전력의 저감이 도모된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저수 탱크에 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저수 탱크에서 온수 탱크에 급수하는 펌프를 동작시켜, 펌프의 부하에 의해서 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저수 탱크에 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펌프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정기적으로 펌프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펌프동작시에 소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펌프의 수명이 줄어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온수 탱크와 급수 탱크의 복수의 용기를 구비한 전기온수기에서는,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이 줄어든 경우에 급수용기로부터 물을 급수한다. 끓인 물의 부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소량의 끓인 물을 사용할 때마다 소량의 급수를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양을 수량검지부에 의해 검지하여, 온수 용기내의 잔존하는 끓인 물의 양이 소정의 끓인 물의 양보다 적어진 경우에, 급수를 시작하도록 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잔존하는 끓인 물의 양이 소정치를 밑돌면, 바로 급수를 시작한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연속하여 끓인 물을 방출하는 사이에 잔존한 끓인 물의 양이 소정치보다 적어지면, 바로 급수가 시작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저온의 끓인 물이 방출된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난다.
끓인 물을 방출하는 동안에는 급수를 중단하여 끓인 물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붓는 경우와 같이, 단시간의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끓인 물을 방출하는 것과 같은 사용상태일 때, 전번의 끓인 물의 방출과 다음 번의 끓인 물의 방출의 사이에 급수가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온도가 저하한 끓인 물이 방출된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난다.
소비하는 끓인 물의 양이 많은 경우라도 끓인 물 공급이 중단되기 어렵도록, 온수 용기와, 이 온수 용기에 자동급수하기 위한 물을 넣은 급수용기를 구비한 상기의 전기온수기에서는,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이 줄어 끓인 물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온수를 사용할 때마다 온수 용기가 만수(滿水)가 될 때까지 급수용기로부터 급수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끓인 물을 사용하자마자 만수까지 급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제 필요량이 만수의 수량보다 많은 경우는 물론, 만수의 수량보다 매우 적어도 되는 경우에도 만수의 물 전체가 끓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져 사용에 편리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만수에서는 5개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부을 만큼의 용량이 있는 전기온수기에 있어서, 6개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붓고 싶은 경우, 먼저 5개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붓는다. 그 후, 자동급수에 의해 만수가 된 후, 물이 끓는 것을 기다려 나머지 1개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붓도록 해야만 한다. 이 경우 컵라면 4개분의 끓인 물을 여분으로 끓이게 되어, 급수를 위한 시간을 포함해서 최초의 5개의 컵라면에 물을 붓는 것과, 나중의 1개의 컵라면에 물을 붓는 것에는 상당한 시간차가 생겨 버린다. 그 때문에, 1명만 먹기 시작하는 시간이 매우 늦어져 버린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밤에는 끓인 물을 뽑아내어 전원을 끄고, 다음날 아침에 물을 넣어 컵 1잔의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 물을 끓이는 경우, 상기 종래의 전기온수기에서는 만수까지 자동적으로 급수된 후, 가열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끓어오를 때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것은 컵 1잔의 커피를 마시고 싶은 데도 다량의 물을 끓여야만 하기 때문이고,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저수 용기와 온수 용기를 분할하여, 총 온수량은 종래와 동등한 양을 확보하면서, 한번에 끓이는 물의 양과 보온하는 끓인 물의 양을 줄여, 보온시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는 동시에, 독립된 저수 용기를 설치함으로써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상태에 관계없이, 손쉽고 안전하게 급수할 수 있는 전기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를 설치한 본체, 액체를 저수하는 저수 용기, 상기 온수 용기내의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온수 용기의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로, 상기 방출로에 설치한 방출부, 상기 저수 용기의 액체를 상기 온수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 및 상기 공급로에 설치한 송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급로의 중간에 접속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속부에서 분리 및 접속함으로써 상기 저수 용기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총 온수량은 종래와 동등한 양을 확보하면서, 한번에 끓이는 물의 양(이하, 온수량이라고 한다)이나 보온하는 물의 양(이하, 보온량이라고 한다)을 적게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급수와 물 끓이기를 하는 것에 의해, 온수량을 작게 나누어, 보온시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한 저수 용기를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상태에 관계없이, 손쉽게 급수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를 설치한 본체, 액체를 저수하는 저수 용기, 상기 온수 용기내의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온수 용기의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로, 상기 방출로에 설치한 방출부, 상기 저수 용기의 액체를 상기 온수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 및 상기 공급로에 설치한 송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급로의 중간에 접속부를 설치하여, 상기 접속부에서 분리 및 접속함으로써 상기 저수 용기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하고 있다.
온수 용기와 저수 용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총 온수량 혹은 총 보온량을 소정량 확보하면서, 한번에 행하는 온수량이나 보온량을 줄여 작게 나누는 것으로 보온시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독립된 저수 용기를 설치함으로써,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상태에 관계없이 손쉽게 급수할 수 있다. 공급로의 중간에 접속부를 설치하여 접속부에서 분리 및 접속함으로써, 저수 용기가 상기 온수 용기에 대하여 착탈가능해져, 저수 용기로의 급수 혹은 용기의 세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공급로의 중간에 저수 용기로부터 온수 용기로의 한 방향으로만 액체를 통과시키는 역지 밸브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체가 온수 용기로부터 저수 용기로 역류할 우려가 없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내의 액체의 양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와, 수량 센서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송수장치의 송수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온수기의 수량(水量)에 따라, 자동적으로 저수 용기로 부터 온수 용기로 급수를 할 수 있고, 온수 용기로의 급수타이밍 및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끓인 물의 온도를 크게 내리지 않고 급수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된 끓인 물의 양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에 이어지는 공급로의 액체유입구를 온수 용기와 저수 용기의 만수면보다 위쪽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와 저수 용기의 액면의 헤드차가 원인으로 물이 계속 급수되는 사이펀 현상(Siphon Phenomenon)에 의해, 온수 용기측의 물이 만수선을 넘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온수 용기에 직접 물을 붓는 경우나 끓는 물이 비등할 때, 온수 용기내의 수면이 액체유입구 부근까지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해도, 온수 용기로부터 저수 용기에의 끓인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유체유입구로부터 자유낙하 또는 내림경사를 이용하여 온수 용기내에 급수하도록 공급로를 설치하고 있다. 물을 최종적으로 자유낙하로 급수함으로써 부드럽게 온수 용기내로 유도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액체유입구 근방에 액체유도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액체유도부는 온수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물을 유도하여 물을 붓는다. 이에 따라, 공급로를 통과해 온 물은, 온수 용기의 내벽면으로 유도되어, 그대로 내벽면을 타고 내부의 수면으로 물을 붓는다. 액체유입구로부터 직접 포물선을 그리며 물을 부은 경우와 비교하여, 물의 튀김이나 물을 부을 때의 소리가 감소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액체유입구 근방에, 온수 용기의 내 벽면을 따라 물을 붓는 액체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유도부 및 방출로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액체의 질을 개선하는 액체개질부를 설치하여 여러 가지 물질을 제거, 첨가한다.
본 발명은, 더욱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때의 급수부의 소음을 없애는 동시에 그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전기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저수 탱크의 액체를 온수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부의 구동제어를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한다. 이에 따라,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때의 급수부의 소음을 없애는 동시에 급수부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탱크, 액체를 수용하는 저수 탱크, 상기 저수 탱크의 액체를 상기 온수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부 및 상기 저수 탱크의 수용액체의 상황을 검지함으로써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검지부에 의한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판단에 따라 상기 급수부를 구동제어한다. 급수부란 별도의 검지부에 의해 저수 탱크의 수용액체의 상황을 검지하여 저수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판단하여 저수 탱크로부터 온수 탱크에 급수한다. 그 때문에, 급수부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급수부의 소음방지와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저수 탱크의 덮개의 개폐를 했을 때에 검지부가 저수 탱크의 수용액체의 상황을 검지하여,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저수 탱크의 덮개의 개폐를 검지한 후, 급수부를 구동제어함으로써, 급수부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급수부의 소음방지와 내구성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검지부가 저수 탱크 자체의 착탈을 하였을 때, 저수 탱크의 수용액체의 상황을 검지하여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판단한다. 저수 탱크 자체의 착탈을 검지한 후, 급수부를 구동제어함으로써, 급수부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급수부의 소음방지와 내구성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저수 탱크 자체의 착탈 또는 저수 탱크덮개의 개폐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일 때에, 급수부를 구동제어한다. 잘못하여, 저수 탱크자체의 착탈이나 저수 탱크 덮개를 개폐하였을 때 등에는, 급수부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급수부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급수부의 소음방지와 내구성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탱크, 액체를 수용하는 저수 탱크, 상기 저수 탱크의 액체를 상기 온수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부 및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성을 검지한 후, 그 조작에 의해 급수펌프를 구동제어하는 급수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급수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저수 탱크로부터 온수 탱크에 급수되기 때문에, 급수부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급수부의 소음방지와 내구성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은, 더욱, 필요량의 액체만을 가열·보온하고, 그 이외에는 별도의 용기에 저장하는 것으로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물을 부을 때의 열기나 증기에 대한 주의가 불필요하며, 아울러 과잉급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와는 별도로 온수 용기에 공급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수 탱크를 구비한다. 저수 탱크로부터 온수 용기에 급수하는 급수구는 온수 용기의 상단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하고, 이 급수구에서 저수 탱크의 액체를 온수 용기에 붓도록 하고 있다.
온수 용기에서 필요량의 액체만을 가열·보온하고, 그 이외의 액체는 저수 탱크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저감함과 동시에 물을 부을 때의 열기나 증기에 대한 주의가 불필요하며, 아울러 과잉급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 온수 용기의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온수 용기에 공급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수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저수 탱크에서 온수 용기에 급수하는 급수구는 온수 용기의 상단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하고, 이 급수구로부터 저수 탱크의 액체를 온수 용기에 붓는다. 온수 용기에서 필요량의 액체만을 가열·보온하고, 그 이외의 액체는 저수 탱크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저감함과 동시에 물을 부을 때의 열기나 증기에 대한 주의가 불필요하며, 아울러 과잉급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급수구를 온수 용기의 실질적인 만수위치보다 위쪽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에 원활하게 급수를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수 용기로부터 급수구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온수 용기를 장착구비한 용기본체의 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에 급수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수구 주위를 저수 탱크로 덮을 수 있다. 과잉공급시에는 급수구로부터 흘러 넘친 액체를 다시 저수 탱크에 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외부로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급수구에 저수 탱크의 접속부와 접촉하는 패킹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수구와 저수 탱크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액체를 온수 용기에 확실하게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급수구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급수구에 이어지는 저수 탱크의 접속부에 패킹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수구와 저수 탱크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액체를 온수 용기에 확실하게 급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급수구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저수탱크로부터 온수 용기로의 급수를, 급수펌프에 의해 행한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에 원활하게 급수할 수 있는 동시에, 급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급수의 수량 및 타이밍 등을 제어할 수가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저수 탱크로부터 온수 용기의 급수구에 이르는 송수로의 가장 높은 부분을 급수구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펀현상에 의해 저수 탱크중의 액체가 급수로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급수구를 저수 탱크의 만수시의 수위보다 위쪽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펀현상에 의해 저수 탱크중의 액체가 급수로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동시에, 온수 용기에 소정량 이상의 물이 급수된 경우에, 여분의 물을 부드럽게 저수 탱크측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돌기부에 저수 탱크와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수 탱크가 용기본체에 확실하게 부착되고, 급수구와 저수 탱크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급수구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급수구로부터 급수로를 거쳐 그 배수구를 온수 용기에 접속하고 있다. 급수로의 일부분에 배수구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낮은 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수로의 일부분에 급수된 액체가 체류하여 급수로를 완전히 폐쇄상태로 한다. 또한, 온수 용기중의 액체가 비등하여 증기가 발생한 경우에, 증기가 급수구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저수 탱크에서 온수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로에, 넘어졌을 때의 액체유출을 방지하는 지수밸브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가 넘어졌을 때에 내부의 액체가 유출하는 것을 방 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단시간에 단속적으로 끓인 물을 방출하는 경우에도 급수의 끓인 물의 온도가 저하하지 않도록 한 전기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내에서 보온중인 끓인 물의 양이 급수를 개시해야 하는 수량보다 적은 것이 수량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이내에는, 급수부에 의한 급수를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시간에 단속적으로 끓인 물을 방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번의 끓인 물 방출 결과, 끓인 물의 양이 급수를 개시해야 할 수량보다 적은 것이 검지되더라도 바로 급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보온온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이후의 끓인 물의 방출이 소정시간내이면 전번의 끓인 물 방출시와 동등한 온도의 끓인 물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물을 끓여 보온하는 온수 용기, 상기 온수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온수 용기내의 수량을 검지하는 수량검지부, 상기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을 방출하는 방출부, 물을 수용하는 급수용기 및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온수 용기에 급수하는 급수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온수 용기내에서 보온중인 끓인 물의 양이 급수를 시작하는 수량보다 적은 것이 상기 수량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은, 상기 급수부에 의한 급수를 금지한다. 이에 따라, 단시간에 단속적으로 끓인 물을 방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번의 끓인 물의 방출 결과 끓인 물의 양이 급수를 시작하는 수량보다 적은 것이 검지되더라도 바로 급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온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이후의 끓인 물의 방출이 소정시간내이면 끓인 물 방출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전번의 끓인 물의 방출시와 동등한 온도의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상기 소정시간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의 형편에 따라 끓인 물의 사용상황이 다르더라도, 사용직전에 급수되어 물 끓임이 시작된다고 하는 문제가 해소된다.
청구항 26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상기 소정시간내에 사용자가 방출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로크의 해제조작 및 방출조작을 한 경우, 상기 소정시간이 연장된다. 이에 따라, 단시간 동안 단속적으로 끓인 물의 방출을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방출을 할 때마다 급수금지시간이 연장된다. 이후 단속적으로 끓인 물의 방출을 반복하더라도 급수되지 않기 때문에 최초의 끓인 물 방출시와 동등한 온도의 끓인 물을 얻을 수 있다. 즉 계속해서 끓인 물 방출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의 끓인 물의 양이 가열부에 의한 가열을 정지해야 할 수량보다 적은 것이 수량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시간의 연장을 중지하고, 급수부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이 없어져, 물의 보급이 필요한 것이 검지되면, 상기 소정시간 연장중이더라도 즉시 급수를 시작한다. 따라서 끓인 물의 잔여량이 없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대기시키지 않고, 급수와 물 끓임이 즉시 행하여진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더욱 상기 소정시간 중에 급수개시에 아주 가깝다는 취지의 표시를 하는 급수예고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수가 시작되는 것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돌연한 자동급수 개시에 허둥되는 일이 없고, 급수에 의해 끓인 물 온도가 저하하기 전에 끓인 물을 다 써버리거나, 자동급수에 대비하여 상기 급수용기에 물을 보충하는 등, 사전 준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은 더욱 당장 필요한 양의 물을 급수용기에 급수하여 끓이는 것에 의해, 온수가 끓기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는 전기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용기의 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당장 필요한 만큼의 양의 물을 끓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온수가 끓기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당장 필요한 만큼 급수하여, 끓여 보온해 두면 되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여분의 물을 가열하여, 보온하기 위해서 여분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청구항 29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물을 끓여 보온하는 온수 용기, 물을 수용하는 급수용기 및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온수 용기에 급수하는 급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온수 용기의 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장 필요한 만큼의 양의 물을 끓일 수 있기 때문에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30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물을 끓여 보온하는 온수 용기, 상기 온수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온수 용기내의 수량을 검지하는 수량검지부, 물을 수용하는 급수용기 및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온수 용기에 급수하는 급수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량검지부의 검지수량에 의거한 자동급수제어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급수스위치에 의거한 수동급수제어의 어느 하나로 급수제어를 할 수 있다.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시간이 걸리는 급수를 자동으로 하여 만수로 한다. 소량의 물을 빠르게 끓일 필요가 있을 때는, 수동으로 필요량만큼 급수하여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함이 향상한다.
청구항 31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청구항 30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급수스위치로 급수부의 자동급수제어의 정지 및 개시를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급수의 수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32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청구항 3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수량검지부의 검지수량이 가열부를 정지할 필요가 있는 수량에 도달하였을 때는, 급수스위치에 의해서 급수부의 자동급수제어를 정지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을 정지해야 할 수량일 때에 급수를 정지하면, 온수기의 동작이 모두 정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청구항 33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청구항 31 또는 3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자동급수제어의 정지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정지영역에서 온수기의 동작이 모두 정지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제 어하여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34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청구항 30 내지 3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검지수량에 의거한 자동급수제어를 급수스위치에 의해 정지 또는 개시할 수 없을 때는, 무효수락 알림을 하여 급수스위치의 조작을 수락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 및 조작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35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청구항 30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급수부를 자동급수제어와 수동급수제어로 전환하는 제어전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전환부가 상기 수동급수제어를 선택했을 때에 급수스위치의 조작을 유효로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어느 쪽으로 급수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는지가 명확해져서, 조작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36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상기의 급수스위치를 계속하여 조작하지 않더라도, 급수부를 계속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급수스위치를 장시간 계속 조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아진다.
청구항 37에 기재된 발명의 전기온수기는 급수부의 자동급수제어시와 수동급수제어시의 각각의 동작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인성, 편리성이 좋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공통인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액체유도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액체유도부 및 개질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6에 공통인 전기온수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 내지 12 및 14 내지 16에 공통인 전기온수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급수구 근방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 18, 19에 공통의 전기온수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0 내지 23에 공통인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2 및 23에 공통의 전기온수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급수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4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급수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5의 다른 예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 1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의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저수 용기(1)에 수용되어 있는 물(2)은, 저수 용기(1)의 바닥부에 설치된 액체유출구(3)로부터 송수부인 펌프(4)로 유도된다. 물(2)은 펌프 (4)에 의해 공급로(5)를 통과하여 보내지고, 온수 용기(6)의 측면에 설치된 액체유입구(7)로부터 온수 용기(6)내에 급수된다. 액체유입구(7)는 온수 용기(6) 및 저수 용기(1)의 만수선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온수 용기(6)의 상부를 덮고 있는 덮개에 설치하여도 좋다. 온수 용기(6)내의 수면이 액체유입구 (7)의 부근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온수 용기(6)로부터 저수 용기(1)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공급로(5)에 역지수단인 역지 밸브(12)가 설치된다.
온수 용기(6)내에 급수된 물(2)은 온수 용기(6)의 바닥부에 설치된 가열부인 히터(8)에 의해서,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된다. 사용자가 끓인 물 방출스위치(17)를 누르면, 방출부인 펌프(10)가 동작하여, 끓인 물이 방출로(11)를 통하여 도출구 (30)로부터 본체(20)의 외부로 도출된다. 방출로(11)내에는 온수 용기(6)가 넘어졌을 때 등에 유로를 확실하게 폐쇄하는 넘어짐유출방지밸브(18)가 설치된다. 이 넘어짐유출방지밸브(18)는 끓인 물 방출스위치(17)와 연이어 동작하며 밸브가 열려, 온수 용기(6)로부터의 끓인 물의 방출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확실하게 끓인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본체(20)의 외부로 끓인 물을 도출하여 온수 용기(6)내의 끓인 물이 소정량 이하로 감소하면, 아래쪽의 수량 센서(14b)가 이것을 감지한다. 그 결과 제어회로(21)는 펌프(4)를 동작시켜, 저수 용기(1)내의 물(2)을 온수 용기(6)내에 공급한다. 온수 용기(6)내의 수면이 만수선까지 오른 것을 위쪽의 수량 센서(14a)가 감지하면, 제어회로(21)는 펌프(4)의 동작을 정지시켜 급수를 정지한다.
저수 용기(1)와 온수 용기(6)의 사이에는, 공급로(5)와 액체유입구(7)의 경계부분, 또는 공급로(5)내에 접속부(16)가 설치된다. 이 접속부(16)에 의해, 공급로(5)와 온수 용기(6)를, 혹은 공급로(5) 서로를 분리 또는 접속할 수가 있다. 접속부(16)는 공급로(5)와 저수 용기(1)의 경계부에 있는 액체유출구(3) 근방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온수 용기(6)내와 저수 용기(1)내의 물의 총량인 총 온수량은 종래와 같은 양을 확보하면서도, 한번에 끓이는 물의 양(이하, 온수량이라고 한다)이나 보온하는 끓인 물의 양(이하, 보온량이라고 한다)을 적게 하여, 끓인 물의 양을 작게 나누게 되어, 보온시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독립된 저수 용기(1)를 설치함으로써 온수 용기(6)의 상태(물을 끓이는 중, 보온 중)에 관계없이 손쉽게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저수 용기(1)와 온수 용기(6)의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로(5)내에 지수(止水)밸브(19)를 설치함으로써, 저수 용기(1)를 떼어내더라도 온수 용기(6)로부터의 끓인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0)내에 온수 용기(6)와 저수 용기(1)를 병설하고 있지만, 저수 용기(1)를 본체(20)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본체(20)의 외부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저수 용기(1)와 본체(20)내에 각각 공급로(5)를 설치한다. 저수 용기(1)는 액체유출구(3)의 부근에서 본체(20)에 설치한 공급로(5)와 접속하여도 좋다.
또 저수 용기(1)를 떼어내는 다른 방법으로서, 액체유출구(3)에 공급로(5)와 슬라이드하는 수밀(水密)인 끼워맞춤부분을 설치하여, 저수 용기(1)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 액체유출구(3)의 물의 통로가 폐쇄되는 밸브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공급로(5)측에도 물의 통로가 폐쇄되는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저수 용기(1)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공급로(5)의 접속부(16)에 공급로의 단면개구부의 주위에 설치한 탄력성이 있는 재료를 개재시켜, 한쪽의 공급로의 단면을 다른쪽의 단면에 눌러 붙여 물이 새지 않도록 접속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온수 용기(6)가 물을 끓이는 중 또는 보온중인 상태이더라도, 저수 용기(1)를 떼어내어 급수를 하거나, 저수 용기(1)를 세정하거 나 할 수 있다. 온수 용기(6)는 단독으로도 온수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송수장치인 펌프(4)에 의해 공급로(5)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2)은 저수 용기 (1)의 만수선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 온수 용기(6)의 액체유입구(7)로부터 온수 용기(6)내로 급수된다. 액체유입구(7)를 저수 용기(1)의 만수선보다도 위쪽에 설치함으로써, 저수 용기(1)와 온수 용기(6)의 각각의 액면의 헤드(Head)차가 원인으로 물이 계속 급수되는 사이펀현상(Siphon phenomeon)이 일어나, 온수 용기(6)내의 물이 만수선을 넘어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펌프(4)에 의해 온수 용기(6)의 만수선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진 물(2)은 액체유입구(7)에서 자유낙하를 이용하여 온수 용기(6)내에 급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온수 용기(6)에 직접 물을 붓는 경우나, 끓인 물의 비등시에 온수 용기(6)내의 수면이 유체유입구(7)부근까지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해도, 온수 용기(6)로부터 저수 용기(1)로 끓인 물이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물(2)을 최종적으로 자유낙하로 급수함으로써 부드럽게 온수 용기(6)내로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전기온수기에 있어서의 액체유도부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공급로(5)를 통과해 온 화살표로 나타낸 액체 (2)는 액체유입구(7) 근방의 온수 용기(6)의 내벽면측에 설치된 액체유도부(9)에 의해, 온수 용기(6)의 내벽면으로 유도되어, 그대로 내벽면을 타고 물이 부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액체유입구(7)로부터 직접 방수하여 물이 포물선을 그리며 물이 부어진 경우와 비교해서, 물(2)의 튀김이나 물을 부을 때의 소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액체유도부(9)는 온수 용기(6)를 부분적으로 가공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전기온수기에 있어서의 액체유도부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액체유입구(7)에는 개질부(15)가 설치된다. 저수 용기(1)내에서 급수된 물(2)이 개질부(15)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개질재인 미네랄 볼(21)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물(2)에 미네랄분이 첨가된다.
개질부(15)로서는, 물(2)이 미네랄 볼(21)을 통과할 때에 불필요한 염소분이 제거되는 활성탄을 내부에 설치한 구성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개질부(15)에 다공질의 메쉬 필터(Mesh filter)를 설치하여, 물(2)내의 큰 입자상태의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개질부(15)에 의해 여러 가지 물질을 제거, 첨가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질부(15)의 케이스의 일부에 액체유도부(49)를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하면, 온수 용기와는 별도로 저수 용기를 온수 용기에 대하여 착탈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로 한번에 행하는 온수량이나 보온수량을 삭감하여, 보온시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는 동시에 손쉽게 급수를 할 수 있는 온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온수 탱크(101)는 필요량의 액체(103)만을 수용하여, 가열부 (104)에 의해 가열하고, 물끓이기 및 보온을 한다. 가열·보온된 액체(103)는 도출부인 도출펌프(105)에 의해서, 도출로(106)를 통과하여 도출구(107)로부터 외부로 도출된다.
저수탱크(102)는 온수 탱크(101)에 급수하는 액체(103)를 저수하고, 온수 탱크(101)와 급수로(108a, 108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급수로(108a, 108b)가 중간에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 탱크(102)는 온수 탱크(101)에 착탈가능하다. 저수 탱크(102)는 개폐가능한 저수 탱크덮개(112)를 가지고 있다.
온수 탱크(101)의 액량은 온수 탱크(101) 또는 도출로(106)에 설치된 수위 센서(109)에 의해서 검지하고 있다. 온수 탱크(101)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이것을 수위 센서(109)가 검지한다. 수위센서(109)의 검출출력에 의해 제어부(110)는 급수로(108b)내에 설치되는 급수부인 급수펌프(111)를 동작시켜, 저수 탱크(102)로부터 온수 탱크(101)로 급수한다. 급수펌프(111)는 예컨대, 자기결합방식에 의해 분리된 구동부와 임펠러부로 구성되어 있다.
저수 탱크(102)로부터 온수 탱크(101)로의 급수 중에 저수 탱크(102)의 물이 없어지면, 구동하고 있던 급수펌프(111)의 부하가 가벼워진다. 부하가 가벼워졌기 때문에 물이 없어진 것이 검지되어, 급수를 정지한다. 물이 없어진 것을 검지한 후, 나중에 설명하는 별도의 검지부에 의해 저수 탱크(102)의 수용액체의 상황을 검지하여, 저수 탱크(102)로의 급수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검지부에 의한 급수의 판단에 따라 제어부(110)는 급수펌프(111)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 탱크 덮개(112)의 개폐조작을 검지하여, 개폐조작이 검지되었을 때는 저수 탱크(102)로 급수되었다고 판단하여, 다시 급수펌프(111)를 동작시키고, 저수 탱크(102)로부터 온수 탱크(101)로 급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 상기의 저수 탱크 덮개(112)의 개폐조작의 검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 탱크(101)를 가진 본체측에 리드 스위치(113a)를 설치하고, 저수 탱크덮개(112)에는 자석(114a)을 장착하고 있다. 저수 탱크 덮개 (112)의 개폐는 리드 스위치(113a)의 온 또는 오프로 검지된다. 저수 탱크 (102)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로서는, 저수 탱크덮개(112)의 개폐의 검지 이외에, 저수 탱크(102)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 저수 탱크(102)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센서, 수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 등을 사용하여 검지하여도 좋다.
저수 탱크 덮개(112)의 개폐뿐만 아니라, 저수 탱크(102)자체의 착탈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리드 스위치(113a)가 작용하여, 저수 탱크(102)로 급수를 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저수 탱크덮개(112)의 개폐를 검지한 후, 제어부(110)는 급수부인 급수펌프(111)를 구동제어한다. 이에 따라 급수펌프(111)의 공전(空轉)이 방지되어 그 동작은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소음의 방지와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 5에서는 저수 탱크덮개(112)를 열고 있는 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예를 들면, 5초 이상) 계속되었을 때에만, 급수펌프(111)를 동작시켜, 저수 탱크 (102)로부터 온수 탱크(101)로 급수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잘못하여 일시적으로 (5초보다 짧은 시간) 저수 탱크 덮개(112)를 개폐하거나 떼어냈을 때 등에는, 급수펌프(111)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검지부로서, 저수 탱크(102)자체의 착탈을 검출하는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잘못하여, 저수 탱크덮개를 일시적으로 개폐하였을 때나 저수 탱크자체를 착탈하였을 때 등에는 급수부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급수펌프(111)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급수펌프(111)에 있어서의 소음의 방지와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실시예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 6에서는, 리드 스위치(113a)에 의해 저수 탱크덮개(112)의 개폐, 또는 저수 탱크(102)자체의 착탈을 검지한 후, 급수부인 급수펌프(111)를 동작시켜, 급수펌프(111)의 부하의 크기에 의해 저수 탱크(102)에 확실히 물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저수 탱크덮개(112)의 개폐나 저수 탱크(102)자체의 착탈을 검지한 후, 급수펌프(111)가 동작하기 때문에, 급수펌프(111)의 동작 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그 소음의 방지와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실시예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5의 주요부단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 7에서는 저수 탱크(102)가 빈 것을 급수펌프(111)의 부하의 크기에 의해 검지한 후, 검지부의 리드 스위치(113b)에 의해 저수 탱크(102)의 착탈을 검지한 경우에, 저수 탱크(102)로의 급수가 행하여진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다시 급수펌프(111)를 구동시켜, 저수 탱크(102)로부터 온수 탱크(101)로 급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지부인 리드 스위치(113b)를 온수 탱크(101)를 가진 본체의 하부에 설치하고 있다. 리드 스위치(113b)의 구성, 작용은 상기 제 6 실시예와 같다. 저수 탱크(102)의 하부에 리드 스위치(113b)에 대향하는 자석(114b)을 장착하고, 저수 탱크(102)의 착탈을 이 리드 스위치(113b)의 온 또는 오프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급수펌프(111)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소음의 방지와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실시예 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6의 주요부 단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는 온수 탱크(101)와, 온수 탱크(10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또한 액체를 수용하는 저수 탱크(102)와, 상기 저수 탱크(102)의 액체를 상기 온수 탱크(101)로 급수하는 급수부인 급수펌프(111)를 구비하고 있다. 저수 탱크(102)로의 급수가 필요한 것이 검지된 후, 급수스위치(115)의 조작에 의해 급수펌프(111)를 구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 탱크(102)가 빈 것을 급수펌프(111)의 부하의 변화에 의해 검지한 후, 급수스위치(115)를 누르는 것에 의해 비로소 저수 탱크(102)로부터 온수 탱크(101)로 급수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저수 탱크(102)로의 급수가 필요한지 아닌지 하는 검지는 급수펌프(111)의 부하의 변화에 의한 빈 상태의 검지 이외에, 상기의 각 실시예 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각의 검지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8에 의하면, 사용자가 급수스위치(115)를 조작하지 않는 한 급수펌프(111)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급수펌프(111)의 동작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급수펌프(111)의 소음방지와 내구성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전기온수기에 의하면, 저수 탱크의 액체를 온수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부의 구동제어를 최소필요한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때에 있어서의 급수부의 소음을 없애는 동시에 급수부의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용기(201)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202)는 가열부인 발열체(203)에 의해 소정온도까지 가열된다. 소정온도까지 가열된 액체 (202)는 도출부인 펌프(210)에 의해서 도출로(211)를 통하여 도출구(212)로부터 본체(206)의 외부로 도출된다. 온수 용기(201)의 상부개구부는 덮개부(205)로 덮여 져 있다. 덮개부(205)에는 온수 용기(201)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본체(206)의 외부로 유도하는 증기구(205a)가 설치된다.
온수 용기(201)로 공급하는 액체(202)를 저장하는 저수 탱크(220)가 온수 용기(201)와는 별도로 설치된다. 저수 탱크(220)는 본체(206)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온수 용기(201)의 액체(202)를 외부로 도출한 결과, 액체량이 일정량까지 저하하면, 저수 탱크(220)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202)가 급수로(221)를 통하여 배수구(222)로부터 온수 용기(201)에 들어가 일정량 추가된다. 추가되는 액체(202)는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소정량까지 주입된다. 송수로(224)는 저수 탱크(220)의 일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며, 급수펌프(223)에 의해 보내진 액체(202)는 송수로(224)를 통과하여 급수구(226)에 대향하고 있는 토수구(220b)의 상부에 부어진다. 급수구(226)는 본체(206)의 측면의 돌기부(206a)에 있고, 또한 온수 용기(201)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설치된다. 더욱, 급수구(226)는 도출로(211)의 가장 높은 위치인 도출로 최고점(211a) 및 증기구(205a)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급수구(226)는 덮개부(205)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이면 어디나 좋고 특별히 배치위치에는 구애되지 않는다.
급수펌프(223)는 임펠러(223a, Impeller)와 이것을 자기결합에 의해 구동하는 급수모터(223b)로 구성되어 있다. 급수펌프(223)의 구동은 제어부(204)로 제어된다. 제어부(204)는 온수 용기(201) 또는 도출로(211)에 설치된 수위 센서(213)에 의해서 검지된 액량에 따라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펌프(223)를 구동시킨다. 제어부(204)는 액량에 따라서 일정시간, 급수펌프(223)를 구동시켜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당장 필요한 양의 액체(202)를 온수 용기(201)로 끓여 보온을 한다. 예비 탱크인 저수 탱크(220)에 금후의 사용을 위해 끓일 액체를 저장한다. 당장 필요량을 넘는 양의 액체를 끓여 보온하지 않는 것에 의해 소비전력이 저감된다. 물을 붓는 것은 끓이고 있지 않은 액체가 들어간 저수 탱크(220)에 행하기 때문에 열기나 증기에 대한 주의가 불필요하다. 또한 저수 탱크(220)의 부착시에 급수구(226)가 저수 탱크(220)에 의해서 덮여져, 은폐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구(226)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상 아무런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어떠한 이유로 급수펌프(223)를 연속 운전한 경우, 온수 용기(201)의 수면이 급수구(226)의 높이가 될 때까지는 급수된다. 그러나, 급수구(226)가 상기의 위치이면, 헤드차의 관계로 그 이상의 액체(202)는 온수 용기(201)에 급수되지 않는다. 이 경우, 급수구(226)가 물이 흘러넘치는(Overflow) 상태가 되기 때문에, 토수구(220b)의 상부에 부어진 액체(202)는 온수 용기(201)로 부어지지 않고, 저수 탱크(220)의 아래쪽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과잉급수가 방지된다. 더욱이, 급수펌프(223)가 이상(異常)에 의해 연속운전을 한 경우에도, 외부로의 액체(202)의 유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구(226)는 온수 용기(201)의 실질적인 만수위치(201a)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배수구(222) 및 급수로(221)도 온수 용 기(201)의 실질적인 만수위치(201a)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온수 용기(201)에 원활하게 급수를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수 용기(201)로부터 급수구(226)에의 역류가 방지된다. 더욱이 급수구(226)는 온수 용기(201)의 상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과잉급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06)의 측면에 세로방향에 돌기부(206a)를 형성하여, 이 돌기부(206a)의 상단부에 급수구(226)를 설치하고 있다. 돌기부(206a)는 용기본체(206)의 측면이면 어떠한 위치라도 좋다. 돌기부(206a)는 용기본체(206)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저수 탱크(220)는 돌기부(206a)를 둘러싸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어떠한 이유로 급수펌프(223)가 연속운전을 한 경우, 온수 용기(201)내의 수면이 급수구(226)의 높이가 될 때까지는 급수한다. 그러나, 그 이상은 헤드차의 관계에 의해 액체는 온수 용기(201)에 들어가지 않고 급수구(226)로부터 넘쳐, 저수 탱크(220)의 아래쪽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과잉급수가 방지된다. 급수펌프(223)가 이상(異常)에 의해 연속운전을 한 경우에도, 외부에의 액체의 유출이 방지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구(226)의 주위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 등의 패킹(227)을 설치하고 있다. 이 패킹(227)에 의해, 저수 탱크(220)를 본체(206)에 설치하였을 때에, 급수구(226)와 토구수(220b)가 밀착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급수구(226)와 저수 탱크(220)의 토수구(220b)와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액체를 온수 용기(201)에 확실하게 급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적인 급수시 및 과잉공급시에 있어 급수구(226)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본체(206)와 저수 탱크(220)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급수구(226)주변의 누수성을 향상시키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본구성은 전기의 실시예 9와 같기 때문에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용기(201)의 급수구(226)에 대향하는 저수 탱크(220)의 접속부인 토수구(220b)에는, 누수방지를 목적으로 한 고무 등의 대형의 패킹(227a)을 설치하고 있다. 저수 탱크(220)를 본체(206)에 설치하였을 때에, 패킹(227a)이 급수구(226)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온수 용기(201)와 저수 탱크(220)의 밀착성이 향상하고, 저수 탱크(220)의 액체를 온수 용기(201)에 확실하게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급수시 및 과잉공급시에도 급수구(226)로부터의 누수를 방지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06)의 하부측면의 돌출부(206b)에 급수펌프(223)의 급수모터(223b)를 설치하고 있다. 급수모터(223b)에 대향하는 임펠러(223a)를 저수 탱크(220)의 하부에 설치하고 있다. 임펠러(223a)는 급수모터(223b)와 자기결합하여 회전한다. 임펠러(223a)의 회전에 의해, 저수 탱크(220)의 액체(202)는 송수로(224)를 통하여 양수(揚水)되어, 급수구(226)에 부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온수 용기(201)에 원활하게 급수를 할 수 있는 동시에, 급수모터(223b)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급수의 수량 및 타이밍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6)의 측면의 돌출부(206b)를 저수탱크(220) 하부에 설치하여, 그 상부의 위치에 임펠러(223a)를 배치하는 것으로, 급수모터(223b)와 임펠러 (223a)의 축맞춤의 조정이, 주변의 구성요소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 탱크(220)의 액체(202)는 급수펌프(223)의 동작에 의해 송수로(224)를 통과하여 토수구(220b) 상부에서 송수로(224)의 선단으로부터 방출된다. 방출된 액체(202)는 토수구(220b) 및 급수구(226)를 통하여 온수 용기 (201)에 부어진다. 송수로(224)의 위치의 가장 높은 부분(최고점, 224a)은 급수구 (226) 또는 토수구(220b)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이펀현상에 의해서 저수 탱크(220)중의 액체(202)가 급수구(226)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 용기(201)의 급수구(226)의 위치는 저수 탱크(220)의 만수위치(220a)보다 위쪽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이펀현상에 의해, 저수 탱크(220)내의 액체(202)가 급수구(226)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온수 용기(201)에 소정량 이상의 액체(202)가 급수된 경우에 여분의 액체를 부드럽게 저수탱크(220)측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의 기본구성은 실시예 9와 같기 때문에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본체(206)의 측면에 설치한 돌기부(206a)에는, 저수 탱크(220)와의 걸어맞춤부(206c)를 세로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206c)를 이용하여 저수 탱크(220)를 상하로만 슬라이드시켜 착탈할 수 있도록 규제하고 있다. 저수 탱크 (220)를 본체(206)에 부착할 때, 저수 탱크(220)는 걸어맞춤부(206c)에 안내되어 본체(206)에 확실하게 부착된다. 이에 따라, 급수구(226)와 저수 탱크(220)의 토 수구(220b)와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급수구(226)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220)가 부주의로 인해 본체(20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실시예 18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9와 같기 때문에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 용기(201)의 급수구(226)는 급수로(221) 및 배수구 (222)를 거쳐 온수 용기(201)에 연결된다. 급수로(221)에는 그 일부분에 배수구 (222)의 하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낮은 통로(228)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급수로(221)의 낮은 통로(228)에서는 급수된 액체(202)가 체류하여, 급수로(221)가 액체(202)로 폐쇄된 상태가 된다. 낮은 통로(228)를 설치함으로써, 온수 용기(201)의 액체가 비등하여 증기가 발생한 경우에 증기가 급수구(226)로부터 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실시예 19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 19의 기본구성은 상기의 실시예 9와 같기 때문에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 탱크(220)로부터 온수 용기(201)로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로(221)에, 전기온수기가 넘어졌을 때에 액체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수밸브(229)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206)가 넘어졌을 때에 온수 용기(201)내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각 실시예 9 내지 실시에 19에 대하여 개개로 설명하였으나, 이들 각 실시예는 2개 또는 그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각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9의 전기온수기에 의하면, 온수 용기로 당장 필요한 양의 액체만을 가열 ·보온하고, 그 이외는 저수 탱크에 저장해 둠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가 있다. 물을 보충할 때에는 저수 탱크에 급수하기 때문에, 온수 탱크에 접촉할 필요가 없어, 고온의 끓는 물이나 증기에 대하여 조심할 필요는 없다.
또한 펌프의 이상 등에 의해 온수 용기(201)에 과잉의 물이 공급된 경우에는, 여분의 물은 외부로 넘쳐흐르지 않고, 저수 탱크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과잉급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2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0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물을 끓여 보온하는 온수 용기(301)에는, 온수 용기(301)를 가열하기 위한 925W의 주 히터와 75W의 보온 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열부(302)가 설치된다. 방출부(303)는 수관(304)을 통하여 방출구(305)로부터 온수 용기(301)의 끓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이다. 수관(304)에는 온수 용기(301)내의 수량을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검지부(306a, 306b, 306c)로 이루어지는 수량검지부(306)가 설 치된다. 검지부(306a) 내지 (306c)는 수관(304)에 대향하여 부착된 복수의 적외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온수 용기(301)의 액면과 수관(304)의 액면의 레벨이 같아지기 때문에, 수관(304)의 액면 레벨을 검지함으로써, 온수 용기 (301)내의 수위를 검지할 수 있다. 검지부(306a)는 만수위치에 설치한 만수검지부이고, 이후 만수검지부(306a)라고 한다. 검지부(306c)는 온수 용기(301)의 드라이 보일링(dry-boil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부(302)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는 수위의 위치에 설치한 검지부이며, 이하 급수검지부(306c)라고 한다. 검지부(306b)는 만수검지부(306a)와 급수검지부(306c)의 중간위치에 설치한 검지부이고, 이하 중간검지부(306b)라고 한다. 만수검지부(306a), 중간검지부(306b) 및 급수검지부 (306c)에 의해, 3개의 수위를 검지할 수가 있다.
온수 용기(301)에 급수하기 위한 물을 넣은 급수용기(307)는 펌프인 급수부 (308)를 가진 급수관(309)을 거쳐 급수용기(307)의 물을 온수 용기(301)에 급수한다. 온도검지부(310)는 온수 용기(301)내의 끓인 물 온도를 검지한다. 끓인 물 방출스위치(311)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끓인 물의 방출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로크해제스위치(312)는 끓인 물 방출스위치(311)의 수락을 허가하기 위한 로크해제스위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온수 용기(301)내의 수위가 급수검지부(306c)의 위치보다 낮을 때, 드라이 보일링(dry-boiling)을 방지하기 위한 가열부(302)의 가열은 정지하고 있다. 급수부(308)는 온수 용기(301)의 수위가 만수검지부(306a)의 위치보다 낮을 때에 자동적으로 급수 를 시작하여, 수위가 만수검지부(306a)의 위치이상이 되면 급수를 정지한다. 가열부(302)는 수위가 급수검지부(306c)의 위치를 넘은 시점에서 가열을 시작하고, 이후, 온도검지부(310)가 비등을 검지할 때까지를 주 히터에 의한 가열을 한다. 비등이 검지된 후에는 보온 히터에 의한 보온을 한다.
방출부(303)를 동작시키면, 수관(304) 및 방출구(305)내를 끓인 물이 통과하기 때문에, 수량검지부(306)는 만수검지부(306a)까지 수위가 있다고 하는 잘못된 검지를 해 버린다. 이 잘못된 검지를 방지하기 위해, 끓인 물의 방출중에는 온수 용기(301)의 끓인 물의 양을 검지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보온 중에, 끓인 물의 방출을 반복하면 온수 용기(301)내의 끓인 물의 양은 줄어가지만, 끓인 물의 수위가 중간검지부(306b)의 위치이상이면 급수부(308)에 의한 급수는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끓인 물의 수위가 중간검지부(306b)의 위치보다 낮은 것이 검지되면, 검지한 시점에서 5분 경과한 후, 급수부(308)에 의한 급수동작을 시작한다. 그리고, 만수검지부(306a)가 만수를 검지하면 급수부(308)는 정지한다.
온수 용기(301)에 물을 급수하면 끓인 물의 온도가 내려간다. 온도검지부 (310)가 약 3℃ 이상의 온도저하를 검지하면 가열부(302)에 의해 가열을 시작한다. 여기서, 보온 중에 사용자가 끓인 물을 방출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본다. 먼저, 끓인 물의 양이 중간검지부(306b)의 수위이상인 상태로 보온되어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컵라면에 끓는 물을 부었다고 한다. 끓인 물을 붓는 것에 의해 끓인 물의 양은 줄지만, 아직 중간검지부(306b)의 수위 이상의 끓인 물의 양이 있는 것이다. 다음에, 2번째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부었다고 한다. 이 때, 끓는 물이 줄어 중간 검지부(306b)의 수위보다 낮아졌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수량검지부(306)는 수위가 중간검지부(306b)보다 낮은 것을 검지하여 즉시 급수를 시작한다. 그 때문에 온수 용기(301)내의 끓인 물의 온도가 저하한다.
만약에, 3번째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붓고자 하면, 이미 급수용기(307)로부터 급수가 시작되고 있기 때문에 끓인 물의 온도가 저하한 물이 나오게 되어, 3번째 컵라면을 적절히 조리할 수가 없다. 3번째 컵라면에 뜨거운 끓는 물을 붓기 위해서는 물이 끓어오를 때까지 수분간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상황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개시의 기준점으로 하고 있는 중간검지부(306b)의 수위보다 끓는 물이 적어지더라도, 소정의 시간내에는(이후, 금지시간이라고 한다) 급수를 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단시간 동안 단속적으로 끓인 물을 방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번의 끓인 물 방출에 의해 급수를 시작해야 할 수위까지 저하한 것이 검지되더라도 즉시 급수를 시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내의 끓는 물의 온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의 끓인 물 방출이 금지시간이내이면 전번의 끓인 물 방출시와 동등한 온도의 끓인 물이 나오게 된다. 상기 금지시간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급수가 시작되어 만수가 되어 물을 끓인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수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만수가 되어 물이 끓여지고, 보온되게 된다.
급수를 금지하는 금지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금지시간을 변경할 수 있으면, 각 사용자는 1회당의 끓는 물의 방출량 및 끓는 물의 방출회수에 맞추어 금지시간을 설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커피를 1잔 넣는 것에 밖에 끓인 물을 사용하지 않을 사용자의 경우는, 금지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없다. 가족이 많고 조금 큰 컵라면을 여러 개 조리할 사용자의 경우는 금지시간을 길게 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끓인 물 방출 스위치(311)의 근방에 전용의 업다운스위치(도시생략)를 설치하고, 1분에서 10분까지의 금지시간을 1분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0분에서 30분까지의 금지시간을 5분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사용자의 사용상황에 따라서 다른, 끓인 물의 사용량에 맞추어 금지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사용 중에 급수가 행하여져 끓인 물의 온도가 내려간다고 하는 불편이 해소된다.
<실시예 2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의 특징은,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급수의 금지시간내에 사용자가 로크해제스위치(312) 또는 끓인 물 방출스위치(311)를 조작한 경우, 그 조작을 한 시점에서 더욱 소정시간 동안, 급수금지시간이 연장되는 점이다.
이하에 그 동작을 도 11의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스텝 S1에서 보온을 시작한다. 스텝 S2에서 온수 용기(301)의 끓인 물의 양이 중간검지부 (306b)의 수위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중간검지부(306b)의 수위 이상의 경우는 스텝 S1로 되돌아가, 보온을 계속한다. 스텝 S2에서 중간검지부(306b)보다 적다고 판정하였을 때는 스텝 S3에서 급수금지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스텝 S4에서 시간을 판정하여, 소정시간 경과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 S5에서 로크해제스위치 (312) 및 끓인 물 방출 스위치(311)가 눌러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4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 S5에서 로크해제스위치(312) 및 끓인 물 방출스위치(311)가 눌러졌다고 판단되면, 스텝 S6로 진행하여, 급수금지 타이머를 리셋하고, 다시 스텝 S3에서 급수금지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스텝 S4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고 있으면, 스텝 S7에서 급수금지 타이머를 리셋하고 스텝 S8에서 급수를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급수를 시작시키는 수위의 기준인 중간검지부(306b)의 위치보다 수위가 내려가더라도, 소정시간내에는 급수를 금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시간의 간격을 두고 복수회의 끓인 물을 방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회의 끓인 물 방출에 의해 수위가, 급수를 시작해야 할 수위 이하로 내려간 것이 검지되더라도 즉시 급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온수 용기(301)내의 끓인 물의 온도는 저하하지 않는다. 다음 번의 끓인 물의 방출이 소정시간 이내이면 전번의 끓인 물 방출시와 같은 온도의 끓인 물이 나온다. 또한 소정시간내에 로크해제스위치(312) 및 끓인 물 방출스위치(311)를 조작하면, 조작시점에서 새롭게 소정시간의 시간측정이 시작되어, 그 사이 급수를 금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속적으로 끓인 물의 방출이 몇 번 반복되더라도, 끓인 물 방출 직전에 급수되어서 물이 끓기 시작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2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2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은, 도 11의 플로우챠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9를 추가한 점이다. 스텝 S9에서, 온수 용기(301)의 수위가 급수검지부(306c)의 수위이상이면(급수검지미만이 아니면) 스텝 S4로 이행하여, 소정시간의 경과를 판단한다. 스텝 S9에서, 수위가 급수검지부(306c)의 수위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스텝 S4에 있어서의 소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서 바로 스텝 S7로 이행하여, 급수금지 타이머를 리셋하여, 스텝 S8에서 급수를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 용기(301)의 끓인 물의 양이, 가열부(302)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기 위한 끓인 물의 양보다 적은 것이 수량검지부(306)에 의해 검지된 경우, 소정시간의 연장을 중지하고, 급수부(308)를 동작시켜 급수한다. 즉 온수 용기(301)에의 물의 보급이 필요한 것이 검지되면 소정시간 연장중이더라도 즉시 급수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끓인 물의 잔여량이 없는 상태에서 소정시간 대기를 하지 않고, 급수와 물 끓이기를 즉시 할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실시예 23의 전기온수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면의 끓인 물 방출스위치(311)의 근방에, 발광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예고표시부(313)를 설치하고 있다. 도 11의 스텝 S3의 급수금지 타이머 스타트의 처리시작과 동시에, 급수예고표시부(313)인 발광 LED를 점등시키고, 스텝 S7의 급수금지 타이머 리세트처리와 동시에 발광 LED를 소등시킨다.
급수를 금지하고 있는 소정시간내에는 발광 LED가 점등하고 있기 때문에, 사 용자는 급수가 금지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급수개시의 타이밍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돌연한 자동급수개시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또한 끓는 물의 온도가 저하하기 전에 끓인 물을 다 써버리거나, 자동급수에 대비하여 급수용기(307)에 물을 보충하는 등, 사전 준비가 용이하게 되어 사용에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0 내지 23의 전기온수기는, 끓인 물의 잔여량이 급수개시의 기준의 끓인 물의 양을 밑도는 경우라도, 소정시간내에는 급수를 금지한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온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다음번의 끓인 물의 방출이 소정시간내이면 전번의 끓인 물 방출시와 동등한 온도의 끓인 물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급수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회로도, 도 14는 동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14에 있어서, 물을 끓여 보온하는 온수 용기(401)의 하부에, 온수 용기(401)를 가열하기 위한 주 히터와 보온하기 위한 보온 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열부(402)가 설치된다. 방출부(403)는 온수 용기(401)의 끓인 물을 수관(404)을 거쳐 방출구(405)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펌프이다. 수량검지부(406)는 수관(404)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부착된 적외선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조(組)로 이루어지는 수위검지기(406a, 406b)로 구성되어 있다. 수위검지기(406a, 406b)는 온수 용기 (401)의 액면과 같은 수관(404)의 액면의 레벨을 검지함으로써, 온수 용기(401)내 의 수위를 검지한다. 수위검지기(406a)는 만수의 수위위치에 설치한 만수의 검지용이고, 수위검지기(406b)는 온수 용기(401)의 드라이 보일링(dry-boil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부를 정지하는 수위위치에 설치한 급수검지용이다. 급수용기 (407)는 온수 용기(401)에 급수하기 위한 물을 수용한다. 급수부(408)는 급수용기 (407)의 물을 급수관(409)을 거쳐 온수 용기(401)에 급수한다. 급수부(408)는 급수모터(408a)와, 급수모터(408a)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스위치(408b)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검지부(410)는 온수 용기(401)내의 끓인 물의 온도를 검지한다. 끓인 물 방출스위치(411)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끓인 물의 방출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끓인 물 방출스위치(411)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해제스위치도 겸하고 있다. 끓인 물 방출스위치(411)의 근방에는 본 실시예의 특징인 급수스위치(4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온수 용기(401)의 수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413)는 가열부(402)나 급수부(408) 등을 제어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에 있어서, 급수용기(407)로부터 온수 용기(401)에 급수하는 자동급수제어를 하는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급수펌프를 구동하는 급수모터(408a)를 가진 급수부(408)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진 제어부 (413)에 의해 제어된다. 통상, 운전에 있어서의 자동급수제어에서는, 수량검지부 (406)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부(413)는 급수부(408)의 급수모터(408a)의 스위치(408b)를 온(on), 오프(off)하여 급수를 제어한다.
자동급수제어로 급수중에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여 온으로 하면, 자동급수제어는 무효가 되어 수동급수제어가 된다. 즉, 급수스위치(412)를 온으로 하면 스위치(408b)는 오프가 되고, 급수모터(408a)는 정지하여 급수를 중단한다. 다시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면 자동급수제어로 복귀한다. 이렇게,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할 때마다 자동급수제어의 정지 및 개시가 교대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동급수제어란 자동급수제어 중에 원하는 수위가 되었을 때 수동조작으로 자동급수제어를 중단하거나, 시작하거나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온수기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자동급수제어로 비어 있는 상태의 온수 용기(401)에 급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온수기에 전원을 투입하면, 제어부(413)는 수량검지부(406)의 검지수량이 급수검지기(406b) 이하라고 하는 신호를 받기 때문에, 급수부(408)의 스위치(408b)를 온(on)으로 하여 급수모터(408a)를 작동시켜 급수를 시작한다.
수위가 드라이 보일링(dry-boiling) 방지수위인 급수검지기(406b)의 위치이상이 되면, 가열부(402)를 온으로 하고 가열을 시작한다. 더욱 급수를 계속하여 수위가 상승하여, 만수검지기(406a)의 위치에 도달하면, 급수부(408)의 스위치 (408b)를 오프로 하여 급수모터(408a)를 정지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온수 용기 (401)에 급수된 물은 온도검지부(410)가 비등을 검지할 때까지 주 히터만 또는 주 히터 및 보온 히터의 양쪽으로 가열된다. 비등의 검지이후에는 보온 히터로 보온을 한다. 이 상태 이후, 온수 용기(401)의 끓인 물은 방출되어 적절히 사용되기 때문에, 그 수위는 저하해 나간다. 수위가 급수검지기(406b)의 위치의 아래이면, 끓인 물의 방출 종료 후에 자동급수를 시작한다. 이렇게 해서 자동급수와 끓인 물의 방출을 반복하여 전기온수기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구성으로서는, 자동급수제어 및 수동급수제어의 어느 경우라도, 온수 용기(401)의 수위가 급수검지기(406b)의 위치보다 낮을 때는, 가열부 (402)의 가열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 보일링(dry-boiling)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원하는 양만큼의 끓인 물을 빨리 가열비등시키고 싶은 경우는, 자동급수제어로부터 수동급수제어로 전환한다. 자동급수제어로 급수중에 수관(404)에 의해 원하는 수위에 도달한 것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했을 때, 급수스위치(412)를 누르는 등의 조작을 한다. 그렇게 하면 급수부(408)가 정지하여 급수가 정지한다. 이 때, 가열부(402)는 온(on)의 상태이기 때문에, 온수 용기(401)내의 원하는 양의 물을 가열 비등할 수 있다. 그리고, 끓는 물을 다 써버린 후,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여 다시 자동급수제어로 복귀시키면 급수가 시작된다. 이렇게 해서, 필요한 만큼의 끓인 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끓어오르기까지의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온수 용기(401)의 저수용량이 컵라면 5개분이라고 하자. 5개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부은 후, 6개째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붓는 경우를 설명한다. 자동급수제어로는, 5개의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부어 끓는 물을 다 써버리면 바로, 자동급수제어에 의해 온수 용기(401)에 저수 용기(407)로부터 급수가 시작된다. 급수도중 컵라면 1개분의 수위에 도달 하였을 때 사용자가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여 자동급수제어를 중단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그리고, 컵라면 1개분의 끓인 물이 비등했을 때에 바로 컵라면에 붓는다. 사용자가 이렇게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함으로써 당장 필요한 컵라면 1개분의 수량의 물을 끓이기 때문에, 단시간에 끓일 수 있다. 컵라면 4개분의 여분의 물을 끓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어, 6명 전원이 컵라면을 먹기 시작하는 시간의 차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전날 밤 온수 용기(401)를 비워두고, 전원을 오프로 하여 둔 경우에, 다음날 아침 컵 1잔의 커피를 마시고 싶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온수기의 전원을 온으로 하면, 통상적으로는, 자동급수제어에 의해 온수 용기(401)에 물을 만수로 하여 가열을 시작한다. 그 때문에, 비등시킬 때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컵 1잔분의 물이 온수 용기(401)에 급수된 것을 가늠하여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면, 급수가 중단된다. 컵 1잔분의 물은 단시간에 비등하기 때문에 커피를 빨리 마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인 사용상태에서는, 번거로운 급수를 자동적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수동으로 원하는 양만큼 급수하여 가열하면 된다. 그 때문에 편리한 전기온수기를 실현할 수가 있다. 당장 필요한 양만큼 급수하여, 끓여 보온해 두면 되기 때문에, 당장 필요가 없는 여분의 물을 가열하여 보온하기 위한 여분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자동급수제어의 정지 및 개시는 누름버튼스위치 등의 급수스위치(412)를 누르는 것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은 전기온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였을 때, 즉 수동급수제어시에는 급수부(408)에 의한 자동급수제어를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수량검지부(406)의 검지수량이 가열부를 정지할 필요가 있는 수량, 즉 급수검지기(406b)의 수위미만일 때에는,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여도 급수부의 자동급수제어를 정지할 수 없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가열정지수량일 때에 급수를 정지시키면 온수기의 동작이 모두 정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급수스위치(412)의 조작에 의해 급수부의 자동급수제어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수량검지부(406)의 검지수량이, 가열부를 정지해야 하는 수량, 즉 급수검지기 (406b)의 수위보다 낮아진 경우는, 자동급수제어의 정지를 자동적으로 해제하여 자동급수제어를 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따라, 가열정지수량에서 급수를 정지하면 온수기의 동작이 전부 정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다음에, 급수스위치(412)에 의해 급수부(408)의 자동급수제어를 정지 또는 개시할 수 없을 때에 대하여 설명한다. 온수 용기(401)의 수위가 드라이 보일링 (dry-boiling) 방지영역에 있을 때나, 만수상태에 있을 때는 안전을 위해 수동급수제어를 할 수 없다. 즉, 자동급수제어를 정지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더라도, 그 동작을 수락하지 않는 것을 알리도록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온수 용기(401)의 상태를 알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과,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5>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 있어서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 도 16은 동 전기온수기의 급수제어를 하는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예 24와 같기 때문에, 다른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 14의 요소와 동일한 기능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가 실시예 24와 다른 점은 자동급수제어와 수동급수제어를 전환하는 전환부로서의 선택스위치(415)를 설치한 점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스위치(415)를 급수스위치(412)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선택스위치(415)를 온으로 하면 자동급수제어가 선택되어, 실시예 24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자동급수제어가 행하여진다.
선택스위치(415)를 오프로 하면 수동급수제어가 선택된다. 수동급수제어를 선택한 상태에서는 아직 급수되지 않는다. 다음에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면 급수가 시작된다. 온수 용기(401)에 원하는 양의 물이 들어 간 시점에서 급수스위치 (412)를 조작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급수스위치(412)는 예컨대 누름식으로 하여, 누르고 있을 동안에만 급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누름식은 급수량이 많은 경우는 오랫동안 계속 누르고 있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작상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이렇게 해서 급수된 필요량의 물을 끓인 끓는 물을 사용한 후, 선택스위치(415)를 온으로 하면 자동급수제어로 전환하여 급수가 시작된다.
급수스위치(412)와 선택스위치(415)는, 양자를 일체로 구성한 스위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누름회전식의 스위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누름회전식의 스위치는, 로크된 손잡이를 가지며, 이 손잡이를 누르면 로크가 해제되어 손잡이가 튀어나온다. 이 조작에 의해 자동급수제어로부터 수동급수제어로 전환된다. 또, 튀어나온 손잡이를 돌리면 급수가 시작된다. 소망량의 수위에 달하였을 때 손잡이를 돌려 본래대로 되돌리면 급수는 정지한다. 이렇게 물이 끓여진 끓는 물을 사용한 후, 손잡이를 누르면, 손잡이는 다시 로크되어 수동급수제어로부터 자동급수제어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급수제어와 수동급수제어의 어느 쪽의 급수제어를 선택하였는지는 사용자에게 명확해진다. 또한 급수시에 급수스위치(412)를 계속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아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5의 다른 예의 전기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전기온수기와 다른 점은, 수량검지부(406)에 있어서, 만수검지기(406a)와 급수검지기(406b)의 중간에 새롭게 중간검지기(406c)를 설치한 점이다. 온수 용기(401)내의 수위가 중간검지기(406c)의 위치 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급수가 시작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 에 의하면, 항상 중간검지기(406c)의 수위 이상의 끓인 물이 보온되게 되지만, 반대로, 중간검지기(406c)의 수위 이하의 원하는 양의 물을 끓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스위치(415)를 오프로 하여 수동급수제어를 선택하고 나서, 급수스위치(412)를 조작하면, 중간검지기(406c)의 수위이하의 급수도 할 수 있다. 즉, 중간검지기(406c)를 설치한 경우에도 임의의 양의 물을 끓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 상기의 실시예 24 및 25에 있어서, 현재의 급수상태가, 자동급수제어와 수동급수제어중의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LED 등의 표시부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4 및 25의 전기온수기에 의하면, 당장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급수용기에 급수하여 끓이는 것에 의해,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용기와는 별도로 저수 용기를 온수 용기에 대하여 착탈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로 한번에 행하는 온수량이나 보온수량을 삭감하여, 보온시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는 동시에 손쉽게 급수할 수 있는 주전자 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저수 탱크의 액체를 온수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부의 구동제어를 최소필요한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 탱크로의 급수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때에 있어서의 급수부의 소음을 없애는 동시에 급수부의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온수 용기로 당장 필요한 양의 액체만을 가열·보온하고, 그 이외에는 저수 탱크에 저장해 두는 것으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물의 보충시에는 저수 탱크에 급수하기 때문에, 온수 탱크에 접촉할 필요가 없어, 고온의 끓는 물이나 증기에 대하여 조심할 필요는 없다. 또한 펌프의 이상 등에 의해 온수 용기 (201)에 과잉의 물이 공급된 경우에는, 여분의 물은 외부로 넘쳐흐르지 않고, 저수 탱크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과잉급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끓인 물의 잔여량이 급수개시의 기준의 끓인 물의 양을 밑도는 경우라도, 소정시간내에는 급수를 금지한다. 이에 따라, 온수 용기내의 끓인 물의 온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다음번의 끓인 물 방출이 소정시간내이면 전번의 끓인 물 방출시와 동등한 온도의 온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당장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급수용기에 급수하여 끓이는 것에 의해,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7)

  1. 온수 용기를 설치한 본체, 상기 온수 용기에 공급하는 액체를 저수하는 저수 용기, 상기 온수 용기내의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온수 용기의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로, 상기 방출로에 설치한 방출부 및 상기 저수 용기의 액체를 상기 온수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 상기 공급로에 설치한 송수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로의 중간에 상기 공급로를 분리 또는 접속하는 접속부인 상기 저수 용기에 설치된 토수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된 급수구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에 있어 분리 또는 접속에 의해 상기 저수 용기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구를 상기 온수 용기의 상단보다도 아래쪽에 설치하여, 양수(揚水)된 상기 토수구의 상부에 부어진 상기 저수 탱크의 액체가 상기 급수구에서 물이 흘러넘치는 상태가 되면, 상기 저수 탱크의 아래쪽으로 되돌리도록 한 전기온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에 저수 용기로부터 온수 용기의 방향으로만 액체를 통과시키는 역지 밸브를 설치한 전기온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용기내의 액체의 액량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와, 상기 수량 센서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송수장치의 송수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전기온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의 상기 온수 용기에 이어지는 부분인 액체유입구를 상기 온수 용기와 상기 저수 용기의 만수면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한 전기온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입구로부터 자유낙하 또는 내림 경사를 이용하여 상기 온수 용기내에 급수하는 공급로를 설치한 전기온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입구 근방에는 액체유도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체유도부가 상기 온수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물을 붓는 전기온수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입구 근방에 설치된, 상기 온수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물을 붓는 액체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유도부 및 상기 방출로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액체의 질을 개선하는 액체개질부를 설치한 전기온수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온수 용기의 실질적인 만수위치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한 전기온수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용기를 장착구비한 용기 본체의 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에 급수구를 설치한 전기온수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에 상기 저수 탱크의 접속부와 접촉하는 패킹을 설치한 전기온수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에 대향하는 상기 저수 탱크의 접속부에 패킹을 설치한 전기온수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로부터 상기 온수 용기에 급수하는 급수펌프를 가진 전기온수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로부터 상기 온수 용기의 급수구에 이르는 송수로의 가장 높은 위치를 상기 급수구보다 위쪽의 위치로 한 전기온수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저수 탱크의 만수위치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한 전기온수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 상기 저수 탱크와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한 전기온수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급수로를 거쳐 그 배수구를 상기 온수 용기와 접속함과 동시에, 급수로는 그 일부에 배수구보다 아래쪽이 되는 낮은 통로를 가진 전기온수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로부터 상기 온수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로에, 넘어졌을 때의 액체유출을 방지하는 지수밸브를 설치한 전기온수기.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047005774A 2002-04-26 2003-04-28 전기온수기 KR100988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26825A JP2004000315A (ja) 2002-04-26 2002-04-26 電気湯沸かし器
JPJP-P-2002-00126825 2002-04-26
JPJP-P-2002-00134199 2002-05-09
JP2002134200A JP3812492B2 (ja) 2002-05-09 2002-05-09 電気湯沸かし器
JPJP-P-2002-00134200 2002-05-09
JP2002134199A JP2003325350A (ja) 2002-05-09 2002-05-09 電気湯沸かし器
JPJP-P-2002-00187218 2002-06-27
JP2002187218A JP3812502B2 (ja) 2002-06-27 2002-06-27 電気湯沸かし器
JPJP-P-2002-00197046 2002-07-05
JP2002197046A JP2004033599A (ja) 2002-07-05 2002-07-05 電気湯沸かし器
PCT/JP2003/005478 WO2003090591A1 (fr) 2002-04-26 2003-04-28 Chauffe-eau e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88A KR20040105688A (ko) 2004-12-16
KR100988674B1 true KR100988674B1 (ko) 2010-10-18

Family

ID=2927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774A KR100988674B1 (ko) 2002-04-26 2003-04-28 전기온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43149B2 (ko)
KR (1) KR100988674B1 (ko)
CN (1) CN100475104C (ko)
WO (1) WO2003090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4329B (en) * 2006-12-02 2011-11-30 Gary John Banks An energy saving kettle system
GB0709164D0 (en) * 2007-05-11 2007-06-20 Otter Controls Ltd Liquid heating vessels
US7974527B1 (en) * 2008-06-03 2011-07-05 Adler Eitan I Hot liquid dispenser
US8204633B2 (en) * 2008-07-01 2012-06-19 Carina Technology, Inc. Water heater demand side management system
US8151694B2 (en) * 2008-08-01 2012-04-10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orming apparatus with centrifugal pump
GB0902726D0 (en) * 2009-02-18 2009-04-01 Otter Controls Ltd Liquid heating appliances
CN102102899B (zh) * 2009-12-16 2016-06-15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有独立加热水箱的电热水器
DE102010034008A1 (de) 2010-08-11 2012-02-16 Sebastian Ossadnik Verfahren zur effizienten Nutzung von solar erhitztem Brauchwasser
CN102519130B (zh) * 2011-12-29 2014-10-08 罗伟林 一种带分离水箱的饮用水加热装置
IE86517B1 (en) * 2012-11-02 2015-03-25 Sean Martin Moran A device for use in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for managing the draw-off of water from a source of hot water
WO2014101961A1 (en) * 2012-12-28 2014-07-03 Arcelik Anonim Sirketi A fluid outlet device for a water heater receptacle
US9405304B2 (en) 2013-03-15 2016-08-02 A. O. Smith Corporation Water heater and method of operating a water heater
CN104207639A (zh) * 2013-06-03 2014-12-17 张云山 瞬间加热型给水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5189148A1 (en) * 2014-06-11 2015-12-17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eventing unintended spill of liquid from a vessel
RU170579U1 (ru) * 2016-08-11 2017-04-28 Волкаст Лимитед Накопительный, аккумуляцион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CN106691183A (zh) * 2017-02-08 2017-05-24 苏州市海神达机械科技有限公司 多功能电热水壶
CN107374352B (zh) * 2017-08-07 2019-10-11 利辛县宝贵食品有限公司 一种高温热水的自动定量注水方法
RU181519U1 (ru) * 2017-11-23 2018-07-17 Арима Холдинг Корп. Плоский нак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напорного типа
CN108759104A (zh) * 2018-05-23 2018-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水量提示方法、装置及热水器
CN109744875B (zh) * 2019-03-25 2024-02-23 庄玉宙 数显控温防漏型低粘性液体喷泉机及其电控系统
CN112932254B (zh) * 2021-01-28 2022-05-1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水箱水量检测结构及检测方法和电蒸箱
WO2023220989A1 (zh) * 2022-05-18 2023-11-23 深圳市虎一科技有限公司 外接容器对接结构、烹饪主机、烹饪设备及外接液体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046A (ja) * 1992-04-22 1993-11-09 Toshiba Home Technol Corp ポット装置
JPH11342075A (ja) * 1998-06-03 1999-12-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給湯器
JP2000186859A (ja) 1998-12-21 2000-07-0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給湯機
JP2001263818A (ja) 2000-03-16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2921A (ja) 1987-05-25 1988-1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ジャ−ポットの制御装置
JP2000135168A (ja) 1998-10-30 2000-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湯沸かし器
JP3593913B2 (ja) 1999-03-08 2004-11-2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給湯機
JP2000342457A (ja) 1999-06-08 2000-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給水ジャーポット
JP3175736B2 (ja) 1999-09-07 2001-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JP2001263817A (ja) 2000-03-16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JP3617408B2 (ja) 2000-04-14 2005-0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046A (ja) * 1992-04-22 1993-11-09 Toshiba Home Technol Corp ポット装置
JPH11342075A (ja) * 1998-06-03 1999-12-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給湯器
JP2000186859A (ja) 1998-12-21 2000-07-0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給湯機
JP2001263818A (ja) 2000-03-16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90591A1 (fr) 2003-11-06
US20050053370A1 (en) 2005-03-10
CN100475104C (zh) 2009-04-08
KR20040105688A (ko) 2004-12-16
WO2003090591B1 (fr) 2004-10-07
CN1610514A (zh) 2005-04-27
US7043149B2 (en)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674B1 (ko) 전기온수기
US4602145A (en) Tap-off hot water system for electric beverage making device
CA1217948A (en) Beverage making machine with hot water faucet
US4603621A (en) Beverage-making device
US4641012A (en) Thermostat sensing tube and mounting system for electric beverage making device
US20150157168A1 (en) Coffee brewer apparatuses and methods for brewing beverages
EP2398362A2 (en) Liquid heating appliances
FI76920C (fi) Kaffekokare.
JP4922827B2 (ja) 液体容器
US4650158A (en) Beverage making device
KR100933589B1 (ko) 추출 장치
JP2004000315A (ja) 電気湯沸かし器
JPH067248A (ja) 定量注出貯湯容器
JP4084146B2 (ja) 高温浄水供給装置
JP3876859B2 (ja) 電気貯湯容器
JPH0422310A (ja) 電気湯沸かし器
JP2755190B2 (ja) 電気貯湯容器のカルキ除去制御装置
JP2004242900A (ja) 卓上用給湯器
JP3633583B2 (ja) 電気湯沸かし器
JPH0740339Y2 (ja) 電気貯湯容器
JP3120746B2 (ja) コーヒー抽出器
CA1254052A (en) Beverage making device
JP3757832B2 (ja) 給湯装置
JP2591618Y2 (ja) コーヒー沸し器
JPH04364820A (ja) 定量出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