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589B1 -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589B1
KR100933589B1 KR1020030022497A KR20030022497A KR100933589B1 KR 100933589 B1 KR100933589 B1 KR 100933589B1 KR 1020030022497 A KR1020030022497 A KR 1020030022497A KR 20030022497 A KR20030022497 A KR 20030022497A KR 100933589 B1 KR100933589 B1 KR 100933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ion
hot water
tank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125A (ko
Inventor
시오노슈운지
이따꾸라고오지
이마이즈미야스노리
후꾸다다쯔히사
시바야마후미오
마쯔오기요시
Original Assignee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산요덴키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산요덴키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47J31/545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설정 스위치(SW)가 온이 되어 있는(추출 장치가 저수 탱크에 수동으로 급수되는 설정이라 되어 있음) 경우(S1에서 아니오), S2에서 급수용 전자 밸브가 개방되어 S3에서 수위 검출 SW가 온이 되어 있으면(S3에서 예), 수위 검출 SW의 온으로부터 15초 후에 급수용 전자 밸브가 폐쇄되고(S5 내지 S6), S7 이후의 저탕 탱크 내의 탕의 가열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설정 SW가 오프되어 있는(저수 탱크에 자동으로 급수되는 설정이라 되어 있음) 경우, 수위 검출 SW가 온이 되면(S3 및 S4에서 예), 그 상태에서 S7 이후의 저탕 탱크 내의 탕의 가열 동작이 행해진다.
추출 장치, 저수 탱크, 기어 펌프, 3방 전자 밸브, 추출용 컵, 온도 센서

Description

추출 장치{EXTRACTO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추출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추출 장치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추출 장치의 우측면도.
도4는 도1의 추출 장치의 부분적인 사시도.
도5는 도1의 추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도1의 추출 장치의 외장부 전방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7은 도1의 추출 장치의 외장부 상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8은 도1의 추출 장치의 외장부 우측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우측면도.
도9는 도1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서랍이 인출된 상태에서의 서랍 부근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1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기어의 회전에 따른 고정 부재의 높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도1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기어의 회전에 따른 고정 부재의 높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도1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 서랍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도1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구획판, 펌프용 케이스 및 회로 기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14는 도13의 펌프용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도6의 저탕 탱크의 바닥부 부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은 도15의 너트의 평면도.
도17은 도1의 추출 장치의 증기관과 저수 탱크와의 접속 부분의 확대도.
도18은 도1의 추출 장치의 저탕 탱크 상부에 구비된 유출로 부근의 확대도.
도19는 도1의 추출 장치가 구비하는 CPU가 실행하는 일반적인 동작의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20은 도1의 추출 장치가 구비하는 CPU가 실행하는 일반적인 동작의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21은 도20의 추출 동작 처리의 서브루틴의 흐름도.
도22는 도1의 추출 장치의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기어 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부분의 회로도.
도23은 도1의 추출 장치의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탕의 도입량을 설정하는 부분의 회로도.
도24는 도1의 추출 장치의 추출 동작 처리에 있어서의 시간도.
도25는 도1의 추출 장치의 추출 동작 처리에 있어서의 시간도.
도26은 종래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의 급탕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추출 장치
2 : 외장부
3 : 저수 탱크
5 : 저탕 탱크
6 : 기어 펌프
11 내지 17 : 저항
20 : 조작 패널
21, 22 : 스타트 버튼
23 : 창
29 : 서랍
30 : 수위 센서
31 : 컵 홀더
32 : 컵 받침
50 : 히터
51, 53, 62, 63 : 관
52 : 유출로
52A : 정류 부재
58 : 너트
59 : 증기관
60 : 3방 전자 밸브
64 : 고정 부재
64A : 핀
65 : 도입침
66 : 회로 기판
70 : 추출실
73 : 기어 모터
74 : 기어
75 : 치형판
76 : 볼록부
77, 78, 91 내지 97, 171, 172 : 스위치
81 : 모터
100 : 추출용 컵
177, 178 : 방전용 저항
본 발명은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에 탕(湯)을 공급함으로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커피 음료의 자동 판매기 등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600)에 자동적으로 탕을 공급하여 추출액을 얻는 장치가 있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급탕 기구를 도26에 도시한다.
도26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저수 탱크(503)에 공급된 물이 저탕 탱크(505)로 이송되고, 상기 저탕 탱크(505)에서 히터(550)에 의해 가열되어 탕이 되어 용량이 미리 정해진 계량컵(507)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계량컵(507) 내의 탕은 온도 센서(554)에 의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펌프(506)로부터 이송되는 공기에 의해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60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600)로부터 얻을 수 있는 추출액이 컵(400)에 공급된다.
또한, 저탕 탱크(505)의 증기는 증기관(559)을 거쳐서 저수 탱크(503)로 보내지고 있었다. 또한, 저수 탱크(503) 내의 비교적 하방에 부착된 수위 센서(530)에 의해 물의 고갈이 검지되면, 추출 장치는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운전을 정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통지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저수 탱크(503)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수위 센서(530)에 의해 물의 고갈 검지가 해제되어 추출 장치는 운전을 재개하고 있었다.
도26에 도시된 장치를, 저수 탱크(503)로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하고자 하면, 설계 변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저수 탱크(503)로의 물의 공급이 수동 혹은 자동에 의해 상기 장치에 있어서의 수위 센서(530)가 검지하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물이 수동으로 공급되는 경우, 수위 센서(530)는 공가열을 방 지하는 레벨로, 저수 탱크(503)에 있어서 수위가 비교적 소량이 되었을 때에 물 고갈의 검지가 행해지도록 추출 장치는 설계되어 있었다.
한편,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경우, 수위 센서는 저수 탱크(503)로의 급수를 멈추기 위해, 즉 저수 탱크(503)가 만수에 가까운 상태에서 물 고갈 검지를 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또한, 물을 수동으로 공급하는 데 적절하도록 설계된 장치가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상황에서 이용된 경우, 저수 탱크(503)의 물은 항상 수위 센서(530)의 물 고갈 검지가 행해지는 양으로,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저수 탱크(503) 내에 있어서, 항상 물에 여유가 없는 상태이므로 위험하고, 또한 물이 사용되면 바로 급수되게 되어, 또한 급수의 온/오프(ON/OFF)를 절환하는 밸브의 개폐 횟수가 많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데 적절하도록 설계된 장치가 물을 수동으로 공급하는 상황에서 이용된 경우, 수위 센서(530)는 저수 탱크(503)에 물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도 물 고갈을 검지하므로, 이용자는 부지런히 물을 공급하는 것이 요구되어 불쾌하게 생각하는 사태가 고려된다. 즉,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데 적절하도록 설계된 장치는 물을 수동으로 공급하는 상황에서 이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추출 장치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데 적절하도록 설계된 것과, 수동으로 공급하는 데 적절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호환성이 없어 사용 편의성이 양호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또한, 도26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증기관(559)에 저탕 탱크(505) 내의 탕이 들어간 경우, 상기 탕이 들어가는 양이 많아지거나, 또는 저수 탱크(503)에 있어서 증기관(559)의 접속 부분의 부근까지 물이 들어가게 되면, 저수 탱크(503)와 저탕 탱크(505) 사이에서 물의 순환이 발생하는 사태가 고려된다. 이와 같은 순환이 생긴 경우, 히터(550)는 저탕 탱크(505) 및 계량컵(507) 내의 물에다가 저수 탱크(503) 내의 물도 가열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히터(550)에 불필요한 가열을 행하게 하여 운전 비용을 증대시키고, 나아가서는 저수 탱크(503)에 물이 공급된 후 계량컵(507) 내의 탕이 상기한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불필요하게 오래 걸리게 하고 있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좋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에 비추어 고안해 낸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좋은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떤 국면에 따른 추출 장치는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인 추출용 용기의 내부에 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추출용 용기 밖으로 상기 필터를 거쳐서 추출액을 얻기 위한 추출 장치이며, 상기 탕을 저류하기 위한 탕비 탱크와, 상기 탕비 탱크 내에 구비된 히터와, 상기 탕비 탱크에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 내에 물이 특정량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와, 상기 저수 탱크로 물을 도입하기 위한 신호인 물도입 신호를 출력하는 도입용 신호 출력부와, 상기 도입용 신호 출력부에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키는지 의 여부를 설정하는 물도입 설정부와,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도입 설정부에 있어서 상기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키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입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물이 상기 특정량에 도달하였다고 검지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물도입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물도입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히터 제어부는 상기 물도입 신호의 출력이 정지된 후, 상기 히터로 가열을 개시시키고, 상기 물도입 설정부에 있어서 상기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물이 상기 특정량에 도달하였다고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히터로 가열을 개시시킨다.
본 발명의 어떤 국면에 따르면, 추출 장치는 물도입 설정부에 있어서의 설정에 따라서, 센서에 있어서의 물 고갈 검지가 해제된 후 소정 시간 자동적으로 물을 공급시킨 후 히터에 의한 가열을 개시시키거나, 센서에 있어서의 물 고갈 검지가 해제된 것에 따라서 히터에 의한 가열을 개시시키든지, 이 두 가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추출 장치는 센서가 검지하는 상기 특정량이 비교적 소량인 경우, 즉 추출 장치가 수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데 적절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 저수 탱크에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 사용되어도,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센서가 물 고갈을 검지하는 양보다도 많은 양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추출 장치는 설계 변경되는 일 없이 저수 탱크에 물을 자동 혹은 수동으로 공급해도, 안전하고 또한 쾌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장치에서는, 상기 히터의 발열부는 나선 형상을 갖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탕비 탱크에 있어서의 탕의 가열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추출 장치는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인 추출용 용기의 내부에 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추출용 용기 밖으로 상기 필터를 거쳐서 추출액을 얻기 위한 추출 장치이며, 상기 탕을 저류하기 위한 탕비 탱크와, 상기 탕비 탱크에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탕비 탱크로부터 상기 저수 탱크에 접속되는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탕비 탱크 내의 증기를 상기 저수 탱크로 도입하기 위한 증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관은 부분적으로 상기 탕비 탱크측보다도 상기 저수 탱크측 쪽이 내경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상기 증기관에 탕비 탱크의 탕이 들어간 경우라도, 상기 탕은 탕비 탱크측보다도 저수 탱크측 쪽이 내경이 작게 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저수 탱크로 들어가는 것을 저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증기관 내부가 탕에 의해 채워지게 됨으로써 탕비 탱크와 저수 탱크 사이에서 물의 순환이 일어나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저수 탱크의 물까지 가열되는 비효율적인 가열이 행해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 장치는 가열 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장치에서는, 상기 증기관은 상기 저수 탱크로의 접속 부분에서 상기 탕비 탱크측보다도 상기 저수 탱크측 쪽이 내경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증기관 내에서 증기 내의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면서 저수 탱크로 탕비 탱크의 탕이 들어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장치에서는, 상기 저수 탱크는 그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출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저수 탱크 내의 수량이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다른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저수 탱크 내의 수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추출 장치는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인 추출용 용기의 내부에 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추출용 용기 밖으로 상기 필터를 거쳐서 추출액을 얻기 위한 추출 장치이며, 상기 탕을 저류하기 위한 탕비 탱크와, 상기 탕비 탱크 내에 구비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의 발열부는 나선 형상을 갖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형의 히터가 구비되는 경우보다도 탕비 탱크 내의 탕을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탕비 탱크 내의 탕의 가열이 개시된 후 빠르게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추출 장치가 이용자에게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장치에서는, 상기 탕비 탱크는 상기 추출용 용기로의 탕을 공급하기 위해 저류하는 탕을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 의 발열부는 상기 탕비 탱크의 상기 유출구 부근에 상기 나선 형상을 갖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탕비 탱크 내의 탕 중에서도 추출에 이용되는 위치에 있는 탕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탕비 탱크 내의 탕의 가열이 개시된 후 더욱 빠르게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추출 장치는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인 추출용 용기의 내부에 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추출용 용기 밖으로 상기 필터를 거쳐서 추출액을 얻기 위한 추출 장치이며, 상기 탕을 저류하기 위한 탕비 탱크와, 상기 탕비 탱크 내에 구비된 히터와, 상기 탕비 탱크 내의 탕을 흡입하여 상기 추출용 용기로 보내는 펌프와, 상기 탕비 탱크로부터 상기 펌프로 탕을 흐르게 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상기 탕비 탱크측 개구에 수직 방향에 대향하는 부재인 정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탕비 탱크 내에서 물이 히터로 가열됨으로써 생기는 기포는 정류 부재에 의해 블럭되어 흡입관 내로 침입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해, 펌프로 흡입하는 탕에 기포가 혼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추출용 용기에 공급되는 탕의 양의 변화가 억제되므로, 추출액의 농도가 일정하여 추출 장치가 이용자에게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장치는 상기 탕비 탱크에 접속되어 상기 탕비 탱크 내의 탕을 배출하는지의 여부를 절환하기 위해 상기 탕비 탱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탕비 탱크는 상기 개폐부에 접속하는 부분에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폐부와 접속하기 위한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탕비 탱크 내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배출 구멍에 접속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탕비 탱크 내의 탕이 배출될 때, 너트 부근의 탕이 절결부에 따라서 너트 외주부로부터 배출 구멍으로 흐르기 때문에, 너트 부근에 잔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추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추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상기 추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3은 상기 추출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상기 추출 장치의 하부의 사시도이다.
추출 장치(1)는 그 외곽을 외장부(2)로 씌우게 되고, 그 전방면의 좌측 상부에 조작 패널(20)을 구비하고, 전방면의 우측 상부에 서랍(29)을 구비하고, 전방면의 하부에 트레이(4)를 부착하고 있다. 추출 장치(1)는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인 추출용 용기[후술하는 추출용 컵(100)]가 서랍(29) 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추출용 용기에 탕을 공급하여 상기 추출용 용기 내의 분말 원료의 추출액을 공급한다. 도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트레이(4) 상에 다시 컵 받침대(40)가 부착되어 상기 컵 받침대(40) 상에 컵(400)이 적재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컵(400)은 서랍(29)의 하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추출 장치(1)는 컵(400)에 상기한 추출액을 공급할 수 있다.
조작 패널(20)에는 스타트 버튼(21, 22)과, 창(23)과, 램프(24 내지 27)가 설치되어 있다. 스타트 버튼(21)은 사용자가 추출액을 뜨거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해, 상기 분말 원료의 추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이하, 뜨거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한 추출액을「핫용 추출액」이라 한다. 스타트 버튼(22)은 사용자가 추출액에 얼음을 첨가할 수 있는 등하여 차가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해 상기한 분말 원료의 추출 동작(이하, 단순히 추출 동작이라 함)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이하, 차가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한 추출액을「아이스용 추출액」이라 한다. 또한, 1회의 추출 동작에 의한 아이스용 추출액은 핫용 추출액보다도 양이 적다. 얼음과 섞이게 됨으로써 핫용 추출액과 동일한 양이 되는 것을 의도하기 위해서이다.
추출 장치(1)는 외장부(2)의 내부에 탱크[후술하는 저수 탱크(3)]를 수용하고 있다. 저수 탱크(3)는 탱크 덮개(41)에 의해 덮이고, 그 일부가 창(23)을 거쳐서 추출 장치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탱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창(23)을 거쳐서 탱크 내의 물의 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3)는 탱크 덮개(41)가 개방됨으로써, 외장부(2)로부터 취출되는 일 없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추출 장치(1)의 전방면 하부에는 더스트 커버(28)가 부착되어 있다. 외장부(2)의 내측이며, 더스트 커버(28) 속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42)가 수용되어 있다. 추출용 컵(100)은 1회의 추출 동작마다 교환되는 것이고, 더스트 박스(42)는 추출 동작에 사용된 후의 추출용 컵(100)을 수용하기 위해 외장부(2) 내에 구비된다. 더스트 커버(28)는 그 상단부가 외장부(2)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더스트 커버(28)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42)를 외장부(2) 밖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램프(24)는 추출 장치(1)가 추출 동작을 하기 위한 준비 상태에 있을 때에 점등된다. 램프(25)는 추출 장치(1)가 추출 동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에 점등된다. 램프(26)는 저수 탱크(3)에 대해 물의 공급이 필요해졌을 때[후술하는 수위 센서(30)에 의해 물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에 점등된다. 램프(27)는 소정의 센서에 의해 더스트 박스(42)가 가득차게 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 점등된다.
도5에 추출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추출 장치(1)에서는 저수 탱크(3)에 공급된 물이 관(51)을 거쳐서 저탕 탱크(5)로 도입된다. 저탕 탱크(5)로 도입된 물은 히터(50)에 의해 가열된다. 저탕 탱크(5)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탕의 온도는 온도 센서(54)에 의해 검지된다. 그리고, 온도 센서(54)의 검지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고, 또한 스타트 버튼(21 또는 22)이 압박되면, 기어 펌프(6)가 구동됨으로써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유출로(52), 관(53) 및 3방 전자 밸브(60)를 거쳐서 기어 펌프(6)로 유도되고, 또한 관(63) 및 도입침(65)을 거쳐서 추출용 컵(100)에 공급된다. 또한, 저탕 탱크(5) 내의 증기는 증기관(59)을 거쳐서 저수 탱크(3)로 보내진다.
도입침(65)은 속이 빈 침이다. 추출용 컵(100)은 컵 홀더(31) 내의 컵 받침(32)에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된다. 컵 홀더(31)는 서랍(29)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입침(65)에는 고정 부재(64)가 부착되어 있다. 컵 홀더(31)는 좌우 양단부에 핀(31A, 31B)이 형성되어 있고, 서랍(29)에 적절하게 마련된 구멍에 핀(31A, 31B)을 걸거나 끼워 넣음으로써, 서랍(29)에 대해 핀(31A, 31B)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컵 홀더(31)가 서랍(29)에 대해 이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추출용 컵(100)은 더스트 박스(42)에 투입된다.
상기한, 추출용 컵(100)으로의 탕의 공급은 도입침(65) 및 고정용 부재(64)가 소정의 기구에 의해 컵 홀더(31)에 고정된 추출용 컵(100)에 근접하게 되고, 그리고 도입침(65)이 추출용 컵(1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추출 동작이 행해진다.
3방 전자 밸브(60)는 관(62)과, 관(53) 또는 흡기 구멍(61)을 접속시킨다. 관(62)이 관(53)과 접속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관(62)으로부터 관(53)으로 저탕 탱크(5)의 탕을 흐르게 할 수 있다. 한편, 관(62)이 흡기 구멍(61)과 접속되면, 기어 펌프(6), 관(63) 및 도입침(65)을 거쳐서 추출용 컵(100)으로 공기가 흡입된다. 3방 전자 밸브(60)가 기어 펌프(6)보다도 추출용 컵(100)으로 탕 또는 공기가 보내지는 흐름에 대해 상류측에 위치함으로써, 탕 및 공기 모두가 기어 펌프(6)로부터 추출용 컵(100)으로 들여 보낼 수 있다.
저탕 탱크(5)의 바닥부에는 드레인 콕(57) 및 배수관(56)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콕(57)은 너트(58)에 의해 저탕 탱크(5)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다. 드레인 콕(57)은 밸브의 기능을 갖고, 상기 밸브는 조작 레버(55)에 의해 개폐 절환이 이루어진다. 즉, 조작 레버(55)가 조작됨으로써 드레인 콕(57)이 개방되고, 저탕 탱크(5) 내의 탕(또는 물)이 드레인 콕(57)을 거쳐서 배수관(56)을 통해 배출된다.
이하, 추출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추출 장치(1)의 외장부(2)부 전방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7은 추출 장치(1)의 외장부(2)의 상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8은 추출 장치(1)의 외장부(2)의 우측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6에서는 상기 저탕 탱크(5)보다도 전방에 있는 부재를 일부 파단시키고, 또한 저탕 탱크(5)의 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그 종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8에서는 추출실(7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기 추출실(70)을 일부 파단시켜 도시하고, 또한 서랍(29)에 대해서도 일부 파단시켜 도시하고 있다.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추출 장치(1)의 내부에서는 상부 좌측에 저수 탱크(3)가 배치되고, 상부 우측의 전방에 추출실(7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더스트 박스(42)와 추출실(70) 사이에는 구획판(8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추출 장치(1) 내의 후방 하부에는 저탕 탱크(5)가 설치되고, 저수 탱크(3)의 후단부에 저탕 탱크(5)로부터 신장하는 증기관(59)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수 탱크(3)의 후방에는 3방 전자 밸브(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수 탱크(3)의 상부에는 탱크 덮개(41)에 의해 덮이게 되는 필터(43)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탱크 덮개(41)를 개방하여 필터(43)를 거쳐서 저수 탱크(3) 내에 물을 보충한다.
추출실(70)은 상면, 후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하우징이다. 추출실(70) 내부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슬라이드 레일(71, 72)이 부착되어 있다. 서랍(29)에는 좌우 각각에 아암(29A, 29B)이 부착되고, 아암(29A, 29B)은 각각 슬라이드 레일(71, 72)에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71, 72)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고, 서랍(29)이 전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71, 72)이 신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서랍(29)은 추출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서랍(29)이 인출 된 상태를 도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9는 추출 장치(1)에 있어서, 서랍(29)이 인출된 상태에서의 서랍(29) 부근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암(29A, 29B)에는 상기한 컵 홀더(31)의 핀(31A, 31B)이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아암(29A)과 아암(29B) 사이에 컵 홀더(3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71, 72)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9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아암(29A, 29B)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신장하고, 도7 등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추출실(70)의 하부에는 구획판(85)을 관통하도록 깔때기(33)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71, 72)이 축소되고, 컵 홀더(31)가 외장부(2) 내에 수용되어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깔때기(33)는 컵 홀더(31)에 셋트된 추출용 컵의 하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추출용 컵(100) 내에 탕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추출용 컵(100)으로부터 흐르는 추출액은 깔때기(33)를 거쳐서 컵(400) 등의 용기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깔때기(33)는 하방에 추출구(33A)를 구비하고, 추출액은 상기 추출구(33A)를 거쳐서 컵(400) 등의 용기에 제공된다.
추출실(70) 내의 천정면의 중앙 부분에는 전후 방향으로 달리도록 레일(69)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치형판(75)은 상면에 새김 눈이 형성되고, 하부 측면이 레일(69)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치형판(75) 중에서 새김 눈이 있는 상면은 추출실(70)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레일(69)에 끼워 넣어지는 하부 측면은 추출실(70) 내에 위치한다. 추출실(70)의 내부이며 치형판(75)의 후단부에는 아암(79)의 일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아암(79)의 타단부는 고정 부재(64)에 부착 되어 있다.
추출실(70) 내부의 좌우 측면에는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레일(68, 6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64)의 좌우 측면에 적절하게 부착된 부재가 레일(68, 67)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고정 부재(64)는 레일(68, 67)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추출실(70)의 상부에는 기어 모터(73) 및 상기 기어 모터(73)에 접속된 기어(74)가 부착되어 있다. 기어 모터(73)가 구동됨으로써 기어(74)가 회전한다. 기어(74)는 치형판(75)의 상면 새김 눈과 맞물려 있다. 그리고, 기어(74)가 회전함으로써, 치형판(75)은 기어(74)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기어(74)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치형판(75)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79)이 신장하는 각도가 변화한다. 아암(79)이 신장하는 각도가 변화함으로써 고정 부재(64)의 높이가 변화한다.
여기서, 도10 및 도11을 참조함으로써, 기어(74)의 회전에 따른 고정 부재(64)의 높이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10은 고정 부재(64)가 추출 장치(1)에 있어서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11은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시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 부재(64)에는 아암(79)의 타단부가 부착되고, 또한 관(63)의 일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관(63)의 일단부에는 도입침(65)이 부착되어 있다. 컵 홀더(31)의 컵 받침(32)에 추출용 컵(100)이 셋트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치형판(75)의 전단부가 기어(74)와 끼워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기어 모터(73)가 일정 방향[기어(74)를 도10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치형판(75)이 도10의 우측 방향[추출 장치(1)에 있어서는 전방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치형판(75)이 도10의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에 수반하여 아암(79)의 일단부[치형판(75)에 부착되어 있는 단부]도 도10의 우측 방향으로 그 높이를 바꾸는 일 없이 진행하고, 이에 의해 아암(79)의 타단부가 고정 부재(64)를 레일(68, 67)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기어(74)의 회전이 치형판(75)의 후단부(도10에서는 좌측 단부)가 기어(74)와 끼워 맞추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지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64)가 추출용 컵(100)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추출용 컵(100)을 하방으로 압박한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입침(65)이 추출용 컵(100)의 상면으로부터 내부에 삽입된다.
컵 홀더(31)의 바닥부에는 속이 빈 추출용 침(31C) 및 추출용 침(31)에 접속된 추출용 경로(31D)가 구비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추출용 컵(100)은 추출용 침(31C)으로부터는 뜬 상태에서 셋트되어 있다. 그리고, 도1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추출용 컵(100)은 하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컵 받침(32)과 함께 컵 홀더(31)에 압박된다. 이에 의해, 추출용 침(31)이 추출용 컵(100)의 바닥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11에 도시한 상태에서 관(63)으로부터 도입침(65)을 거쳐서 추출용 컵(100) 내로 탕이 도입되면, 추출용 컵(100)에 생기는 추출액이 추출용 침(31C) 및 추출용 경로(31D)를 거쳐서 깔때기(33)로 흐르고, 추출구(33A)를 거쳐서 컵(400) 등의 용기에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기어 모터(73)가 회전함으로써, 고정 부재(64)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입침(65)이 추출용 컵(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추출용 침(31C)이 추출용 컵(100) 바닥에 삽입된다. 또한, 추출 동작이 종료되면, 기어 모터(73)가 상기한 일정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11 내지 도10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도입침(65) 및 추출용 침(31C)은 추출용 컵(100)으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고정 부재(64)에는 스위치(86)가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86)는 레버(86A)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86A)가 상부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회로의 개폐가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레버(86A)는 압박되어 있지 않지만, 도1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레버(86A)는 추출용 컵(10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압박되어 스위치(86)의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추출용 컵(100)이 컵 받침(32) 내에 셋트되어 있으면, 고정 부재(64)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추출용 컵(100)이 스위치(86)에 회로의 개폐를 절환하게 된다.
또한, 도10 및 도1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고정 부재(64)에는 서랍(29)의 아암(29A)과 접촉하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도12는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에 고정 부재(64)와 서랍(29)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10 및 도11은 추출실(70)의 내부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추출용 컵(100)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아암(29A)을 생략한 도면이었으나, 도12는 추출실(70)의 내부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아암(29A)보다 더욱 좌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64)는 도11에서 도시한 상태와 마찬가지로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의 위치, 즉 가장 하방까지 이동한 위치에 있다.
고정 부재(64)는 그 좌단부에 하방으로 신장되는 핀(64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랍(29)은 아암(29A)의 좌측면에 볼록부(29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서랍(29)이 추출실(70) 내에 수용되고, 추출용 컵(100)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가 되는 상태가 되는 경우, 볼록부(290)는 핀(64A)보다도 후방(도12에서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서랍(29)을 전방(도12에서는 우측)으로 인출하고자 해도 볼록부(290)가 핀(64A)에 걸림으로써 인출이 저지된다. 즉, 추출 장치(1)에서는 추출 동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는 서랍(29)을 인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도입침(65)으로부터 도입되는 열탕이 비산되거나 하는 일이 회피된다.
또한, 도10 내지 도12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추출 장치(1)에서는 서랍(29)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후술하는 도어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의 검지 출력에 의해, 서랍(29)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컵 받침(32)에 셋트된 추출용 컵(100)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침(65) 및 추출용 침(31C)이 삽입되는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외장부(2)의 내부이며, 더스트 박스(42) 및 구획판(85)의 후방에는 플라스틱 등의 발수성 부재인 구획판(82)이 구비되어 있고, 구획판(82)의 상방에는 펌프용 케이스(80)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용 케이스(80)에는 기어 펌프(6)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구획판(82)의 하면에는 회로 기판(66)이 부착되어 있다. 구획판(82), 펌프용 케이스(80) 및 회로 기판(66)의 위치 관계를 도13에 나타낸다.
도13을 다시 참조하여 회로 기판(66)과 저탕 탱크(5) 사이에는 구획판(83)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저탕 탱크(5)의 전방에는 구획판(84)이 제공되어 있다. 회로 기판(66)에는 추출 장치(1) 내의 기어 펌프(6)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등 다양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추출 장치(1)의 외장부(2)의 내부에서는 상부에 관(62, 63) 등의 탕이 통과하는 관이 배치되고, 그 하방에 회로 기판(66)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62, 63)으로부터 열기가 샌 경우라도 상기 열기가 회로 기판(66)에 전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66)의 상방은 구획판(82)에 의해 씌워져 있다. 이에 의해, 관(62, 63)의 외표면에 결로한 경우나, 만에 하나 관(62, 63)에 균열이 생긴 경우라도 그에 의거한 물방울이 회로 기판(66)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83, 84)이 구비됨으로써, 저탕 탱크(5) 부근에 생기는 증기가 외장부(2) 내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펌프용 케이스(80)에는 기어 펌프(6)가 수용되고, 기어 펌프(6)를 구동하는 모터(81)는 기어 펌프(6)에 부착되어 있지만, 그 대부분이 케이스(80)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14에, 도13에 도시한 펌프용 케이스(8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또한, 도14는 펌프용 케이스(80)의 횡단면을 상부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14를 다시 참조하여 관(62, 63)은 펌프용 케이스(80) 내의 기어 펌프(6)에 접속하기 위해 펌프용 케이스(80)를 관통하고 있다. 펌프용 케이스(80)의 내벽에는 기어 펌프(6)가 탕을 보낼 때에 생기는 소리를 흡수하기 위한 흡음 부재(80A)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추출 장치(1)에 있어서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의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모터(81) 중 적어도 일부가 펌프용 케이스(80) 밖으로 드러나게 됨으로써, 모터(81)가 구동한 경우라도 모터(81)의 방열이 충분히 행해진다.
다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저탕 탱크(5) 내에는 히터(50)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50)는 그 일부분이 나선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히터(50)가 나선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직선 구조만으로 히터가 구성되는 것보다도 강력하고 또한 빠르게 저탕 탱크(5) 내의 탕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추출을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나선 구조는 저탕 탱크(5) 내의 상부, 예를 들어 저탕 탱크(5)의 상측 절반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선 부분을 유출로(52)에 근접시킴으로써, 추출용 컵(100)에 온도가 높은 탕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저탕 탱크(5)의 바닥부 부근의 구조를 도15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5에는 저탕 탱크(5) 및 저탕 탱크(5)의 바닥부에 부착된 너트(58)의 종단면 및 드레인 콕(57) 및 조작 레버(55)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드레인 콕(57)은 접속통(57A)에 배수관(56)이 접속된다.
너트(58)는 수평면(58A)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통부(58B)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면(58A)은 원반이 그 외주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부분적으로 절결부(58X) 가 형성된 형상을 갖고 있다. 도16에, 너트(5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수평면(58A)에 통부(58B) 내의 공동부와 접속되는 절결부(58X)가 형성됨으로써, 너트(58)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갖고 있다. 또한, 저탕 탱크(5)의 하부는 그 벽면이 경사를 갖고 있다. 조작 레버(55)가 개방되어 저탕 탱크(5)로부터 드레인 콕(57)을 거쳐서 배수관(56)에 탕이 배출될 때, 하부 벽면의 경사에 의해 저탕 탱크(5)의 바닥부 중앙에 탕이 모이게 된다. 그리고, 바닥부 중앙이며 너트(58) 부근에 모인 탕은 절결부(58X)로부터 통부(58B) 내의 공동으로부터 드레인 콕(57)으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5)가 개방되면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남김 없이 드레인 콕(57)을 거쳐서 배수관(56)으로 유도되게 된다.
도17에, 증기관(59)과 저수 탱크(3)와의 접속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증기관(59)은 저수 탱크(3)와 접속하는 부분(59A)의 내경을 저수 탱크(3)측 쪽이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증기관(59)에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침입한 경우라도 상기 탕이 저수 탱크(3) 내로 흐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일시적이라도 증기관(5) 내로 많은 탕이 혼입한 경우에 증기관(5)이 탕의 순환 경로가 되거나, 또는 저수 탱크(3)에 있어서 증기관(5)과의 접속 부분 근방까지 물이 들어가게 된 경우라도 저수 탱크(3)와 저탕 탱크(5) 사이에서 탕(또는 물)이 순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수 탱크(3)와 저탕 탱크(5) 사이에서 물이 순환하고, 저탕 탱크(5)의 히터(50)가 저수 탱크(3) 내의 물까지도 저탕 탱크(5) 내의 탕과 동일한 온도까지 가열하지 않으면 추출이 개시되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증기관(59) 내의 증기를 많이 저수 탱크(3)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증기관(59)에 있어서 부분(59A)과 같이 내경이 변화하는 부분은 저수 탱크(3)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고, 저수 탱크(3)와 증기관(59)이 접속하는 위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18에, 저탕 탱크(5)의 상부에 구비된 유출로(52) 부근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유출로(52)는 관(53)과 접속되어 있다. 유출로(52)의 근방에는 온도 센서(54)가 셋트되는 센서용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8에서는 온도 센서(54)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유출로(52)가 관(53)과 접속됨으로써, 상기 유출로(52)의 하단부는 기어 펌프(6)로 탕을 흐르게 하는 관의 저탕 탱크(5)측의 개구가 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로(52)의 하부에는 상기 유출로(52)의 하단부 개구에 상기 개구와 거리를 두고 수직 방향에 대향하도록 정류 부재(52A)가 부착되어 있다. 정류 부재(52A)가 부착됨으로써, 유출로(52)의 하단부로부터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흡입될 때, 수직 방향(도18 중 화살표 P 방향)으로부터는 유출로(52)로 탕이 도입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류 부재(52A)의 내벽에 따른 방향(도18 중 화살표 Q 방향)으로부터 유출로(52)로 주로 탕이 도입된다. 이에 의해, 저탕 탱크(5) 내에 탕이 가열될 때에 기포가 발생한 경우라도 상기 기포가 유출로(52), 관(53)을 거쳐서 기어 펌프(6)에 흡입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추출 장치(1)에서는 기어 펌프(6)를 이용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을 추출용 컵(100)으로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그리고, 추출 장치(1)는 정류 부재(52A)가 구비됨으로써 기어 펌프(6)로 공기가 보내지는 것이 회피되고, 이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을 정확하게 추출용 컵(100) 으로 도입할 수 있다.
다음에, 추출 장치(1)에 있어서 행해지는 전체적인 동작의 제어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19 및 도20에, 추출 장치(1)가 구비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행하는 일반적인 동작의 제어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CPU는 추출 장치(1)에 있어서의 모든 부재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제어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설정 SW)는 추출 장치(1)에 있어서 저수 탱크(3)로의 급수를 사용자에 의한 수동식으로 대응시킬지, 소정의 급수 장치를 접속시키는 자동식으로 대응시킬지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회로 기판(66) 상에 설치되는 스위치이다.
또한, 수위 검지 스위치(수위 검지 SW)는 수위 센서(30)가 물을 검지하고 있을 때에 온이 되는 스위치이며, 그 검지 출력이 회로 기판(66) 상의 소정의 회로에 출력되는 스위치이다. 수위 검지 스위치의 검지 출력에 의해, 저수 탱크(3) 내의 수위가 수위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까지인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3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수 탱크(3) 내의 비교적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 스위치(도어 SW)는 전술한 서랍(29)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이고, 서랍(29)이 추출실(70) 내에 수용되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으면 온이 되고, 서랍(29)이 상기 적합한 위치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오프된다.
또한, 전방 스위치(전방 SW)는 스위치(78)이고, 후방 스위치(후방 SW)는 스 위치(77)이다. 여기서, 스위치(77, 78)의 동작에 대해 도7을 다시 참조하여 치형판(75)의 이동 태양과 관련지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위치(78)는 판부재(78A)가 화살표 RB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온-오프가 절환된다. 스위치(77)는 판부재(77A)가 화살표 RA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온-오프가 절환된다. 치형판(75)에는 스위치(77, 78)측의 측면에 볼록부(7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스타트 SW)는 스타트 버튼(21) 또는 스타트 버튼(22)이 압박됨으로써 온하는 스위치이다.
기어 모터(73)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치형판(75)이 화살표 RB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볼록부(76)의 전단부가 판부재(78A)를 화살표 RB 방향으로 압박하면, 스위치(78)가 온이 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치형판(75)이 화살표 RA 방향으로 이동하여 볼록부(76)에 의해 판부재(78A)의 압박이 해제되면, 스위치(78)는 오프가 된다.
한편, 기어 모터(73)가 상기 일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치형판(75)이 화살표 RA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볼록부(76)의 후단부가 판부재(77A)를 화살표 RA 방향으로 압박하면(도7에 도시한 상태), 스위치(77)가 온이 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치형판(75)이 화살표 RB 방향으로 이동하고, 볼록부(76)에 의해 판부재(77A)의 압박이 해제되면, 스위치(77)는 오프가 된다.
즉, 기어 모터(73)가 회전함으로써 치형판(75)이 이동함으로써, 스위치(77, 78)의 온-오프가 절환된다. 또한, 치형판(75)은 볼록부(76)가 판부재(77A)를 압박 하는 위치로부터 판부재(78A)를 압박하는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컵 검출 스위치(컵 검출 SW)는 레버(86A)가 스위치(86)의 본체 내에 수용됨으로써 온이 되는 스위치이다. 즉, 추출용 컵(100)의 유무 및 추출용 컵(100)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시 도19를 참조하여, 추출 장치(1)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투입되면, CPU는 우선 스텝 S1(이하, 스텝을 생략함)에서 설정 SW의 온/오프를 검출한다. 또한, 추출 장치(1)에 대한 외부로부터 전력을 투입하는지의 여부는 추출 장치(1)의 후방부에 부착된 전원 스위치(99)(도3 등 참조)가 조작됨으로써 절환된다. 그리고, 설정 SW가 온이 되어 있는[추출 장치(1)가 저수 탱크(3)에 수동으로 급수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S3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설정 SW가 오프로 되어 있는[추출 장치(1)가 저수 탱크(3)에 자동으로 급수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로 진행시킨다.
스텝 S2에서는, CPU는 급수용 전자 밸브를 개방하도록 신호를 출력하여 스텝 S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급수용 전자 밸브라 함은, 저수 탱크(3)에 접속된 밸브이며, 개방됨으로써 저수 탱크(3)로 물이 도입되고 폐쇄됨으로써 저수 탱크(3)로의 물의 도입이 정지된다.
스텝 S3에서는, CPU는 수위 검출 SW의 검지 출력이 온이 될 때까지, 즉 수위 센서(30)의 위치에 물이 존재하는 것이 검지될 때까지 스텝 S4에서 물보충 LED[램프(26)]를 점등시켜 처리를 스텝 S5로 진행시킨다.
스텝 S5에서는, 스텝 S1과 마찬가지로 설정 SW의 온/오프를 검출하고, 온인 경우에는 스텝 S8로, 오프인 경우에는 S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도19에서는 설정 SW가 온인 경우를, CPU가 예라고 판단한 경우라 기술하고 있다.
스텝 S6에서는, 소정의 타이머를 참조함으로써, 스텝 S5의 처리 후 15초가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15초가 경과하면, 스텝 S7에서 상기한 급수용 전자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스텝 S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8에서는, CPU는 온도 센서(54)가 검지하는 수온이 97 ℃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온이 97 ℃ 이하이면, 스텝 S9에서 히터(50)를 온하여 가열을 개시하고 스텝 S10에서 준비중 LED[램프(24)]를 점등시킨다. 스텝 S9에서의 가열은 스텝 S11에서 수온이 97 ℃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스텝 S11에서 수온이 97 ℃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CPU는 스텝 S12에서 히터(50)를 오프하고, 스텝 S1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추출 장치(1)에 있어서, S1 내지 S12의 처리에서는 설정 SW에 있어서의 저수 탱크(3)로의 급수 태양의 설정 내용에 따라서, 제어 내용이 변화한다. 즉, 설정 SW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위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물이 있다고 검지된 것에 따라서 가열이 개시된다. 한편, 설정 SW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위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물이 있다고 검지된 후 15초간 급수용 전자 밸브가 개방 상태가 되어 급수가 행해진 후, 상기 급수용 전자 밸브가 폐쇄 상태가 되어 가열이 개시된다. 이것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에 의해 도입 신호 출력부가 구성되고, 설정 SW에 의해 물도입 설정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정 SW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물도입 설정 부에 있어서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킨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그리고, 스텝 S13에서 CPU는 램프(25)를 점등시키고, 스텝 S14에서 도어 SW가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오프되어 있으면 S15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전회의 추출 동작으로부터 아직 한 번도 오프된 것이 검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8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스텝 S15에서는, CPU는 도어 SW가 온이 되는 것을 기다려 스텝 S1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6에서, CPU는 램프(25)를 점멸시켜 처리를 스텝 S17로 진행시킨다. 스텝 S17에서는, CPU는 스타트 SW가 온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CPU는 스타트 SW가 온이 되는 것을 검지할 때까지 스텝 S16 내지 스텝 S17의 처리를 반복하고, 스타트 SW가 온이 된 것을 검지하면 처리를 스텝 S18로 진행시킨다.
스텝 S18에서는, 기어 모터(73)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정회전이라 함은 치형판(75)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치형판(75)은 도1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11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한다.
그리고, CPU는 스텝 S19에서 전방 SW가 온이 된 것을 검지하면, 스텝 S20에서 기어 모터(73)의 회전을 정지시켜 처리를 스텝 S21로 진행시킨다.
스텝 S21에서는, CPU는 컵 검출 SW가 온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온이 되어 있으면 스텝 S22에서 추출 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 S2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22의 추출 동작의 처리 내용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21을 참조하여 후 술한다. 한편, 컵 검출 SW가 온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스텝 S23에서 부저 등에 의해 에러 통지를 행하여 처리를 스텝 S24로 진행시킨다.
스텝 S24에서는, CPU는 후방 SW가 온이 될 때까지(스텝 S25에서 예 판단시) 기어 모터(73)를 반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스텝 S26에서 기어 모터(73)의 회전을 정지시켜 스텝 S2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27에서는, 수위 검출 SW가 온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온이 되어 있으면 스텝 S8로, 온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로 각각 처리를 진행시킨다.
이상 설명한 처리에서는, 기어 모터(73)의 구동은 전방 SW 또는 후방 SW가 온이 됨으로써 정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정지는 2단계에서 행해지고 있다. 기어 모터(73)의 구동 정지에 대해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2는 회로 기판(66)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기어 모터(73)의 구동에 관련된 부분의 회로도이다.
도22에 도시한 회로도에서는 기어 모터(73), 스위치(77, 78), 방전용 저항(177, 178), 릴레이(170) 및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 IC)(175)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77, 78)는 각각 판부재(77A, 78A)가 볼록부(76)에 압박됨으로써 회로를 폐쇄하고, 상기 압박이 해제됨으로써 회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170)에는 기어 모터(73)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는 스위치(171, 172)가 포함된다. 스위치(171, 172)는 각각 3개의 접점(171A 내지 171C, 172A 내지 172C)을 구비하고 있다. IC(175)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도 시하지 않은 회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스위치(171, 172)에 의한 회로의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기어 모터(73)의 회전 방향이 제어된다.
기어 모터(73)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스위치(171)에서는 접점(171A)과 접점(171B)이 접속되고, 스위치(172)에서는 접점(172A)과 접점(172B)이 접속된다. 한편, 기어 모터(73)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스위치(171)에서는 접점(171B)과 접점(171C)이 접속되고, 스위치(172)에서는 접점(172B)과 접점(172C)이 접속된다. 도22에 도시한 회로 내의 접점(P1 및 P2)은 직류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기어 모터(73)에 흐르게 하는 전류의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기어 모터(73)의 구동 방향을 반전시키고 있다.
그리고, 기어 모터(73)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는 IC(175)로부터의 출력이 오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에 더해 스위치(77, 78)에 의한 회로의 개폐도 절환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어 모터(73)의 정회전 방향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는 볼록부(76)가 판부재(78A)를 압박함으로써 스위치(78)가 회로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는 IC(175)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는 데다가 그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방전용 저항(178)에 의해 소비된다. 또한, 도22에 도시한 회로에서는 기어 모터(73)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될 때, 기어 모터(73)에는 도면 중 화살표 L2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로 인해, 스위치(78)가 회로를 폐쇄하였을 때, 다이오드(178A)에 의해 기어 모터(73)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효율적으로 방전용 저항(178)에 의해 소비되어 기어 모터(73)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기어 모터(73)의 역회전 방향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는, 볼록부(76)가 판부재(77A)를 압박함으로써 스위치(77)가 회로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는 IC(175)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는 데다가 그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방전용 저항(177)에 의해 소비된다. 또한, 도22에 도시한 회로에서는 기어 모터(73)가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될 때, 기어 모터(73)에는 도면 중 화살표 L1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로 인해, 스위치(77)가 회로를 폐쇄하였을 때, 다이오드(177A)에 의해 기어 모터(73)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효율적으로 방전용 저항(177)에 의해 소비되어 기어 모터(73)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정지가 IC(175)를 이용한 것과, 스위치(77, 78)를 이용한 것과의 2단계로 행해지고 있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를 정지해야 할 때에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 부재(64)가 도10 또는 도11에 도시한 대기 위치 또는 추출 동작시의 위치에 확실하게 정지된다.
도21은 스텝 S22의 추출 동작 처리의 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이하, 추출 동작 처리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추출 동작 처리에서는, CPU는 스텝 S221에서 스타트 SW가 온이 된 것은 핫에 대응하는 스타트 버튼(21)이 압박된 것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렇다면 스텝 S22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24로 진행시킨다.
스텝 S222에서, CPU는 추출용 컵(100) 내에 기어 펌프(6)로 탕을 보냄으로써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을 20초간에 걸쳐서 도입시킨 후, 스텝 S223에서 3방 전자 밸브(60)의 밸브를 절환함으로써 도입침(65)과 흡기 구멍(61)을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에 추출용 컵(100)으로 10초간 공기를 보내어 복귀한다.
한편, 스텝 S224에서 CPU는 스타트 SW가 온이 된 것은 아이스에 대응하는 스타트 버튼(22)이 압박된 것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렇다면 스텝 S22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224에서 스타트 버튼(22)의 압박에 의한 것이라 판단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CPU는 다시 처리를 스텝 S221로 복귀시킨다.
스텝 S225에서는, 추출용 컵(100) 내에 기어 펌프(6)로 탕을 보냄으로써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의 일부를 6초간에 걸쳐서 도입시킨 후, 스텝 S226에서 2초간 대기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의 나머지를 12초간에 걸쳐서 추출용 컵(100) 내로 도입시킨 후, 3방 전자 밸브(60)의 밸브를 절환함으로써 도입침(65)과 흡기 구멍(61)을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에 추출용 컵(100)으로 10초간 공기를 보내어 복귀한다.
추출 장치(1)에서는 핫, 아이스의 각각에 대해 다른 양의 탕을 추출용 컵(100) 내로 도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추출 장치(1)에 있어서, 회로 기판(66)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탕의 도입량을 설정하는 부분의 회로도를 도23에 도시한다.
도23에 도시한 회로에는 기어 펌프(6)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81), IC(10), 트랜지스터(90, 98), 스위치(91 내지 97), 저항(11 내지 17) 및 저항(18, 19)이 포함되어 있다. 트랜지스터(90, 98)는 각각 아이스용 추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ICE 제어 회로), 핫용 추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HOT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IC(10)는 추출 동작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추출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90)에는 스위치(91 내지 93) 및 저항(11 내지 13)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98)에는 스위치(94 내지 97) 및 저항(14 내지 17)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11 내지 17)은 저항(18)에 대해 병렬로, 저항(19)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추출 장치(1)에서는 아이스용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트랜지스터(90)가 온이 된다. 또한, 이 때 모터(81)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항(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와 저항(18)과의 합성 저항과, 상기 저항(19)에 의해 분압됨으로써 결정된다. 모터(81)에 공급되는 전압치는 기어 모터(6)를 구동하는 전압치이므로, 추출용 컵(100)으로 도입되는 탕의 양에 대응한다. 즉, 아이스용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스위치(91 내지 93) 중 어느 하나로 회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 있어서의 추출량이 설정된다. 또한, 추출 장치(1)에서는 핫용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트랜지스터(98)가 온이 된다. 그리고, 아이스용 추출 동작과 마찬가지로 스위치(94 내지 97) 중 어느 하나로 회로를 폐쇄시킴으로써, 핫용 추출 동작에 있어서의 추출량이 설정된다. 또한, 각 경우의 추출량은 저항(11 내지 17)의 저항치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즉, 스위치(91 내지 97)에 의해 기어 펌프(6)에 1회의 급탕 동작으로 보내는 탕의 양을 지정하는 탕량 지정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91 내지 97) 중 어느 하나로 회로를 폐쇄시킬지의 여부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1에 도시한 추출 동작 처리에 있어서의 타이밍 차트를 도24 및 도25에 도시한다. 또한, 도24는 핫용 추출 동작에 대응하고, 도25는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 대응한다. 또한, 도24, 도25에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태양, 3방 전자 밸브(60)의 구동 태양, 기어 펌프(6)의 구동 전압이 도시되어 있다.
도24를 참조하여 핫용 추출 동작 처리가 개시되면, 기어 모터(73)가 정회전 방향으로 약 1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 후, 3방 전자 밸브(60)가 관(63)을 관(53)과 접속시켜 기어 펌프(6)가 18 V의 구동 전압으로 20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0초간의 추출용 컵(100)으로의 탕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 후, 3방 전자 밸브(60)가 관(63)을 흡기 구멍(61)과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가 22 V의 구동 전압으로 10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용 컵(100) 내로 10초간 공기가 보내진다. 그 후, 기어 모터(73)가 약 1초간 반전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고정 부재(64)가 대기 위치로 상승된다.
도25를 참조하여, 아이스용 추출 동작 처리가 개시되면, 기어 모터(73)가 정회전 방향으로 약 1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에 적합 한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 후, 3방 전자 밸브(60)가 관(63)을 관(53)과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가 12 V의 구동 전압으로 6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6초간 추출용 컵(100)으로의 탕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 후, 스텝 S226의 처리에 대응하도록 2초간 기어 펌프(6)의 구동이 정지되고, 스텝 S227의 처리에 대응하도록 다시 12초간 12 V의 구동 전압으로 구동된다.
그 후, 3방 전자 밸브(60)가 관(63)을 흡기 구멍(61)과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가 22 V의 구동 전압으로 10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용 컵(100) 내로 10초간 공기가 보내진다. 그 후, 기어 모터(73)가 약 1초간 반전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고정 부재(64)가 대기 위치로 상승된다.
이상 설명한 핫용 또는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서는 모두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로 하강된 후 30초간 추출 동작이 행해지고, 그 중 마지막 10초간은 추출용 컵(100)으로 공기가 보내진다. 또한, 마지막 10초간에 있어서 추출용 컵(100)으로 공기를 보낼 때의 기어 펌프(6)의 구동 전압은 탕을 보낼 때의 구동 전압보다도 높다. 이에 의해, 추출용 컵(100)에는 공기가 강력하게 이송된다. 따라서, 추출용 컵(100) 내에 남은 추출액을 보다 많이 컵(400) 등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핫용 및 아이스용에 있어서 추출량은 동일한 시간 내에 탕을 공급할 때의 기어 펌프(6)를 구동하는 전압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하게 된다. 또한, 기어 펌프(6)의 구동 전압은 도2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화된다. 이와 같 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핫용 혹은 아이스용이라도, 또한 추출량이 변화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시간 내에 추출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도25에 도시한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서는 추출 동작의 도중에서 2초간 기어 펌프(6)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탕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커피의 추출액을 얻는 경우라면 이 2초 동안에 추출용 컵(100) 내의 커피 원두를 증류할 수 있어 얻게 되는 추출액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출용 컵(100)으로 탕을 보내는 펌프로서 기어 펌프를 이용하였지만, 지정된 양의 탕을 보내는 펌프라면 다른 타입의 펌프라도 좋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개시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좋은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인 추출용 용기의 내부에 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추출용 용기 밖으로 상기 필터를 거쳐서 추출액을 얻기 위한 추출 장치이며,
    상기 탕을 저류하기 위한 탕비 탱크와,
    상기 탕비 탱크 내에 구비된 히터와,
    상기 탕비 탱크에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 내에 물이 센서의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와,
    상기 저수 탱크로 물을 도입하기 위한 신호인 물도입 신호를 출력하는 도입용 신호 출력부와,
    상기 도입용 신호 출력부에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킬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물도입 설정부와,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터 제어부와,
    도입용 신호 출력부로부터 물도입 신호를 입력받아서 저수 탱크 내로 물을 도입시키는 급수용 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도입 설정부에 있어서 상기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키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입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물이 상기 센서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검지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급수용 전자 밸브에 상기 물도입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물도입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히터 제어부는 상기 물도입 신호의 출력이 정지된 후 상기 히터로 가열을 개시시키고,
    상기 물도입 설정부에 있어서 상기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물이 상기 센서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히터로 가열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발열부는 나선 형상을 갖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탕비 탱크로부터 상기 저수 탱크에 접속되는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탕비 탱크 내의 증기를 상기 저수 탱크로 도입하기 위한 증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기관은 부분적으로 상기 탕비 탱크측보다도 상기 저수 탱크측 쪽이 내경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관은 상기 저수 탱크로의 접속 부분에서 상기 탕비 탱크측보다도 상기 저수 탱크측 쪽이 내경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추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는 그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출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저수 탱크 내의 수량이 확인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탕비 탱크는 상기 추출용 용기로의 탕을 공급하기 위해 저류하는 탕을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의 발열부는 상기 탕비 탱크의 상기 유출구 부근에 상기 나선 형상을 갖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탕비 탱크 내의 탕을 흡입하여 상기 추출용 용기로 보내는 펌프와,
    상기 탕비 탱크로부터 상기 펌프로 탕을 흐르게 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상기 탕비 탱크측 개구에 수직 방향에 대향하는 부재인 정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탕비 탱크에 접속되어 상기 탕비 탱크 내의 탕을 배출하는지의 여부를 절환하기 위해 상기 탕비 탱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탕비 탱크는 상기 개폐부에 접속하는 부분에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폐부와 접속하기 위한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탕비 탱크 내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배출 구멍에 접속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KR1020030022497A 2002-04-11 2003-04-10 추출 장치 KR100933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9048 2002-04-11
JP2002109048A JP3766344B2 (ja) 2002-04-11 2002-04-11 抽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125A KR20030081125A (ko) 2003-10-17
KR100933589B1 true KR100933589B1 (ko) 2009-12-23

Family

ID=2878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497A KR100933589B1 (ko) 2002-04-11 2003-04-10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66344B2 (ko)
KR (1) KR100933589B1 (ko)
CN (1) CN100356881C (ko)
HK (1) HK1059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56273T3 (es) 2006-06-16 2014-04-21 Nestec S.A. Composiciones de revestimiento
US8915177B2 (en) 2008-08-08 2014-12-23 Nestec S.A. Beverage machine with carrying handle and configurable appearance and side functions
PT2462850E (pt) * 2010-12-13 2013-10-28 Nestec Sa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EP2606784A1 (en) * 2011-12-22 2013-06-26 Nestec S.A. A heating unit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DE202018101006U1 (de) * 2018-02-23 2018-03-02 Jura Elektroapparate Ag Getränkebereitungsmaschine für Brühgeräte mit einer Abdeckblende zum Abdecken einer in einer Gehäusewand ausgebildeten Öffnung
CN110244681B (zh) * 2018-03-07 2021-06-0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电控板自检控制方法和控制装置以及饮水机及其电控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717A (ja) 1997-12-11 1999-07-06 Master Foods Ltd 飲料供給装置
KR19990054033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커피제조기의 급수량 경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406A (ja) * 1994-09-28 1996-04-09 Sanyo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717A (ja) 1997-12-11 1999-07-06 Master Foods Ltd 飲料供給装置
KR19990054033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커피제조기의 급수량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6881C (zh) 2007-12-26
HK1059868A1 (en) 2004-07-23
JP3766344B2 (ja) 2006-04-12
JP2003299573A (ja) 2003-10-21
CN1449711A (zh) 2003-10-22
KR20030081125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588B1 (ko) 추출 장치
JP5203947B2 (ja) 飲料生成機のドレン
ES2279924T3 (es) Dispensador de bebidas basadas en productos lacteos, procedimiento para dispensar bebidas calientes basadas en productos lacteos y envase desechable para liquidos basados en productos lacteos.
JP4922655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US8337635B2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ith in-line scale removal system and descaling method using such system
KR100988674B1 (ko) 전기온수기
US20080060689A1 (en) Was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shaver
RU274673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KR100933589B1 (ko) 추출 장치
CN112789236B (zh) 用于分配水和风味饮料的液体分配器
JP2004298418A (ja) 抽出装置
KR200415434Y1 (ko) 음료추출장치
JP2005230218A (ja) 家庭用ティー&コーヒーメーカー
JP2005058381A (ja) 強制排水付き全身浴装置
KR101421270B1 (ko) 자동 분유 혼합 장치
CN113518569B (zh) 饮料冲泡机
KR200188071Y1 (ko) 커피 배출기
JP6742185B2 (ja) 氷ディスペンサ
JP2006263216A (ja) 飲料抽出方法および飲料抽出器
KR20060015789A (ko) 냉온수기
JP2005230048A (ja) 家庭用ティーメーカー
JPH02274209A (ja) 給茶装置
JP2018017452A (ja) 氷ディスペンサ
JP2000342505A (ja) 食器洗浄機
JPH11313766A (ja) 電動液体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