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70B1 - 자동 분유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분유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70B1
KR101421270B1 KR1020120154336A KR20120154336A KR101421270B1 KR 101421270 B1 KR101421270 B1 KR 101421270B1 KR 1020120154336 A KR1020120154336 A KR 1020120154336A KR 20120154336 A KR20120154336 A KR 20120154336A KR 101421270 B1 KR101421270 B1 KR 101421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ilk powder
milk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657A (ko
Inventor
박용돌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박용돌
주식회사 윈덤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박용돌, 주식회사 윈덤, 김영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5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2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7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using microwave energy for heating th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는,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를 자동으로 공급 및 혼합하여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가 수유 용기에 분유를 직접 투입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Lever)와,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하여, 적정 용량의 분유를 수유 용기로 토출하는 토출 휠(Wheel) 등을 설치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간소화와, 전원 소비의 최소화, 그리고 청결 상태 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분유 혼합 장치 {Automatic powered milk and water mix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를 수유 용기에 자동으로 공급하여 혼합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유를 먹는 신생아들을 위해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를 수유 용기에 자동으로 공급하여 혼합하는 다양한 유형의 자동 분유 혼합 장치들이 개발 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자동 분유 혼합 장치와 관련된 특허 출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데,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781324호에 기재된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개념적 블록도로서, 상기 분유 혼합 장치에는, 하나의 케이스 본체(10) 내에 급수 용기(18)와 분유 저장 용기(20), 그리고 가열 장치(12)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 본체(10)에 가열 장치(12)와 온도 센서(14) 및 단열층(16)을 포함하여 수유 온도로 가열시켜 저장시키는 급수 용기(18)가 설치되고, 상기 분유 저장 용기(20)에는, 연속적으로 분유를 공급하는 연속 분유 토출구(2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급수 용기(18)와 연결된 급수 라인과, 상기 분유 저장 용기(20)와 연결된 분유 공급 라인의 최종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외부에서 서로 근접된 위치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급수 라인에는, 최종 토출구에 이웃된 위치에서 급수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 램프(24)가 설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분유의 토출 량을 결정하도록, 항시 단락 스위치로서 혼합 스위치(26)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펌프(28)와 연속 분유 토출구로의 전원 공급 라인과 살균 램프(24)의 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속 분유 토출구(22)는, 급수량 대비 분유 투입량에 의해 분유 농도가 조절되도록 컨트롤 하는 컨트롤 유니트(30)를 통해, 상기 연속 분유 토출구(22)의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선택하는 농도 조절 모드 스위치(32)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급수 및 분유 토출 부위와 수유 용기(34)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야간에도 수유 용기(34)로의 분유 투입을 식별할 수 있도록 조명 램프(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라인과 분유 공급 라인의 토출구는, 근접된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데, 이는 동시에 투입되는 분유와 물이,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서 혼합되면서 낙하하는 교반부(38)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유 혼합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아기가 원하는 시점에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물을 혼합하여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살균 램프에 의해 순간적으로 살균된 물을 사용하여 위생적으로 분유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분유 혼합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부(38)에서 더운 물과 분유가 동시에 낙하하면서 혼합되기 때문에, 상기 더운 물의 수증기가 분유와 접촉하여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연속 분유 토출구(22)의 입구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유 혼합 장치는, 상기 분유 저장 용기(20)에 저장된 분유를 토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동 모터(Motor)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 모터에 분유가 끼여서 분유 토출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유 혼합 장치는, 상기 급수 용기(18)의 내부에 가열 장치(12)가 설치되기 때문에, 급수 용기 내에 저장된 많은 양의 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전원 소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용기(18)에 저장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급수 펌프(28)의 사용으로 인해, 제조 원가의 상승은 물론 전원 소비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교반부(38)에서 분유와 물이 혼합 및 낙하는 것만으로 아기가 분유를 즉시 먹을 수 있는 혼합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유 용기를 다시 흔들어서 수유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혼합함은 물론, 장치의 간소화와, 전원 소비의 최소화, 그리고 청결 상태 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분유 혼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분유를 저장하기 위한 분유 용기와, 물을 저장하기 위한 급수 용기가 설치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수유 용기를 삽입 또는 추출하기 위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에 삽입된 수유 용기에 분유를 투입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하여, 일정 용량의 분유를, 상기 수유 용기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휠이 설치되되, 상기 토출 휠은, 원형 바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토출 휠의 상측에는, 상기 분유 용기에서 흘러내리는 분유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토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토출 휠은,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180도 회전하고, 상기 토출 홈에 임시 저장된 분유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에서 아래로 흘러내려, 상기 수유 용기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도출 휠의 전면에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가 고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보스와 스위치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180도 회전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토출 휠에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컨트롤러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180도 회전 상태가 검출되면, 순간 가열 및 급수 동작을, 사전에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분유 용기의 측면은, 소정 기울기의 경사각을 갖고 제작되어,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분유가, 상기 토출 홈에 집중적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급수 용기의 바닥면은, 수유 용기의 입구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 용기의 배수로에는, 순간 가열을 위한 히터와,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출입구에는, 수유 용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대와 홀더가 설치되되, 상기 받침대에는, 분유와 물을 혼합시키기 위한 진동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는, 수유 용기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물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는,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를 자동으로 공급 및 혼합하여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가 수유 용기에 분유를 직접 투입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Lever)와,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하여, 적정 용량의 분유를 수유 용기로 토출하는 토출 휠(Wheel) 등을 설치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간소화와, 전원 소비의 최소화, 그리고 청결 상태 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의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개념적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와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내부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의 분유 토출 휠이 회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의 받침대와 홀더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개념적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는,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여 혼합함은 물론, 장치의 간소화와, 전력 소모의 최소화, 그리고 청결 상태 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와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자동 분유 혼합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가 간편한 박스 형태의 케이스(60)와 상부 커버(6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60)의 전면(Front)에는, 사용자가 젖병과 같은 수유 용기(67)를 삽입하거나 추출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입구의 내부에는, 상기 수유 용기(67)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대(65)와 홀더(66)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유 용기(67)의 입구 상측 부위에는, 적정 온도의 온수를 급수하기 위한 수도꼭지 형상의 급수 파이프(64)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60)의 전면에는, 전원 온/오프 상태, 분유 저장 상태, 급수 가열 상태 등을 나타내기 위한 다수의 엘이디(LED)(62)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엘이디(62)들은, 예를 들어,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동작 상태를 보다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는 엘씨디(LCD)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60)의 전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 레버(6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레버(63)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정 용량의 분유를 토출하기 위해 원형 바퀴(Wheel) 형상으로 제작된 토출 휠(70)을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토출 휠(70)의 상측에는, 분유를 저장하고 있는 분유 용기(68)가 설치되는 데, 상기 분유 용기(68)의 전면과 측면은, 소정 기울기의 경사각, 예를 들어, 15도 이상의 경사각을 갖고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유 용기(68)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토출 휠(70)의 상측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 크기의 토출 홈(미도시) 내에 집중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휠(70)의 특정 부위에는, 원형 돌기의 보스(Boss)(70a)가 형성되어 있는 데,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스(70a)는, 토출 휠(70)의 전면 우측 상부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회전 레버(6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 레버(63)와 연동하여 토출 휠(70)이 시계 방향으로 같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토출 휠(70)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70a)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소정 각도, 예를 들어, 180도 회전하게 되면, 케이스(60)의 내측 부위에 고정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3a)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63a)가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63a)에서는, 상기 보스(70a)와의 접촉시, 그에 상응하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상기 토출 휠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70a)와, 상기 케이스(60)의 내측 부위에 고정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3a)는, 상기 토출 휠(7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 휠(70)이 180도를 초과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종의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내부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60)의 내부에는, 상기 분유 용기(68)와 나란하게 급수 용기(69)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용기(69)의 바닥면 위치는, 상기 수유 용기(67)의 입구 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별도의 급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급수 용기(69)에 저장된 물을 수유 용기(67)로 자유 낙하시켜, 상기 수유 용기로 급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 용기(69)와 급수 파이프(64) 사이의 배수로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72)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72)와 급수 파이프(64) 사이에는, 배수로를 전자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72a)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72)와 밸브(72a)는, 상기 토출 휠(70)이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기 수유 용기(67) 내에 적정 용량의 분유가 투입된 후,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의 분유 토출 휠이 회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토출 휠(70)의 상측에는, 아기에게 1 회 수유할 수 있는 적정 용량의 분유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토출 홈(7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휠(70)의 내측에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70c)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토출 휠(70)은, 상기 회전 레버(63)와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후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회전 레버(63)의 후면에도, 코일 형상의 스프링(63b)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회전 레버를 180도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63a)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데, 상기 코일 형상의 스프링(63b,70c)은, 예를 들어, 핀(Pin) 형상의 스프링 또는 판(Plate) 형상의 스프링 등으로 대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 휠(70)의 전면 상부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70a)가,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60)의 내측에 고정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3a)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63a)는, 상기 보스(70a)와 접촉에 의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며, 그에 상응하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스(70a)와 스위치(63a)는, 상기 토출 휠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 홈(70b)이, 수요 용기의 입구를 지나치지 않도록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의 받침대와 홀더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수유 용기(67)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대(65)의 바닥면에는, 예를 들어, 수유 용기 내에 투입된 분유와 물을 신속하게 혼합시키기 위한 진동 소자로서 바이브레이터(Vibrator)(65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66)에는, 수유 용기 내에 투입된 물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소자로서 쿨러(Cooler)(66a)가 설치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66)는, 수유 용기의 삽입 또는 추출이 용이하도록, 반 원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유 용기(67)와 면 접촉하는 홀더(66)의 내측에는, 상기 쿨러(66a)가 설치되며, 상기 홀더(66)에 수유 용기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66b)가, 상기 홀더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대한 개념적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60) 내의 하측 여유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PCB)(7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71)에는, 전자적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73)와 타이머(7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유 용기(67)를 홀더(66)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면, 상기 홀더의 내측에 설치된 센서(66b)가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전환되고, 그에 상응하는 검출 신호가 컨트롤러(73)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케이스(60)의 전면에 설치된 엘이디(62)를 발광시켜 대기 상태임을 표시하게 되는 데, 상기 엘이디(62)는, AC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항시 발광하거나, 상기와 같이 수유 용기가 홀더 내에 안착되었을 때만 발광되도록 하여, 전원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회전 레버(63)를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토출 홈(70b)에 저장되어 있던 적정 용량의 분유를, 수유 용기(67) 내로 토출하게 되면, 상기 토출 휠(70)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70a)가 케이스(60)의 내측에 고정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3a)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63a)가,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전환되고, 그에 상응하는 검출 신호가 컨트롤러(73)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급수 용기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72)를 동작시켜, 물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가열시킴과 아울러, 밸브(72a)를 열어 가열된 적정 온도의 온수가, 급수 파이프(64)를 통해 수유 용기로 토출되도록 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밸브는, 전자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Solenoid)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 타이머(74)를 동작 제어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밸브(72a)를 닫음과 동시에, 상기 히터(72)를 오프(Off)시키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4)에 의해 카운트되는 제1 소정 시간은, 적정 용량의 물이 급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실험 결과를 통해 얻어진 제1 실험 결과 값으로 사전에 설정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수유 용기 내에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가 공급되고 나면, 받침대(65)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터(65a)를 온(On)시켜, 분유와 물을 신속하게 혼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 타이머(74)를 동작 제어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바이브레이터(65a)를 오프(Off)시키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4)에 의해 카운트되는 제2 소정 시간은, 분유와 물이 잘 혼합되도록 다수의 실험 결과를 통해 얻어진 제2 실험 결과 값으로 사전에 설정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 바이브레이터(65a)가 동작하는 동안 또는 동작 완료된 이후, 상기 쿨러(66a)를 동작시켜, 수유 용기의 물 온도가 적정 온도가 되도록 하는 데, 예를 들어, 수유 용기 내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수유하기에 적정한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쿨러(66a)를 작동시키고, 높지 않으면, 상기 쿨러(66a)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모두 완료되면, 예를 들어, 엘이디(62)를 소정 회수(예: 10회)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동작 완료 상태임을 알리게 되며, 이후, 사용자에 의해 수유 용기가 홀더에서 추출되면, 상기 센서(66b)가 오프 상태가 되므로, 상기 컨트롤러(73)에서는, 상기 엘이디(62)를 오프(Off)시켜 전원 소비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 분유 혼합 장치는, 적정 용량의 분유와 적정 온도의 온수를 자동으로 공급 및 혼합하여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치의 간소화와, 전원 소비의 최소화, 그리고 청결 상태 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60 : 케이스 61 : 상부 커버
62 : 엘이디 63 : 회전 레버
63a : 스위치 63b : 스프링
64 : 급수 파이프 65 : 받침대
65 : 바이브레이터 66 : 홀더
66a : 쿨러 66b : 센서
67 : 수유 용기 68 : 분유 용기
69 : 급수 용기 70 : 토출 휠
70a : 보스 70b : 토출 홈
70c : 스프링 71 : 인쇄회로기판
72 : 히터 72a : 밸브
73 : 컨트롤러 74 : 타이머

Claims (9)

  1. 하나의 케이스 내에 분유를 저장하기 위한 분유 용기와 물을 저장하기 위한 급수 용기가 설치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수유 용기를 삽입 또는 추출하기 위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에 삽입된 수유 용기에 분유를 투입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하여 일정 용량의 분유를 상기 수유 용기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휠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 휠은 원형으로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180도 회전하고, 상기 토출 휠의 상측에는 상기 분유 용기에서 흘러내리는 분유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토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 홈에 임시 저장되는 분유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에서 아래로 흘러내려 상기 수유 용기로 토출되고,
    상기 토출 휠의 전면에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가 고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와 스위치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180도 회전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휠에는 상기 180도 회전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컨트롤러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180도 회전 상태가 검출되면 순간 가열 및 급수 동작을 사전에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용기의 측면은, 소정 기울기의 경사각을 갖고 제작되어,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분유가, 상기 토출 홈에 집중적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용기의 바닥면은, 수유 용기의 입구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 용기의 배수로에는, 순간 가열을 위한 히터와,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는, 수유 용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대와 홀더가 설치되되,
    상기 받침대에는, 분유와 물을 혼합시키기 위한 진동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는, 수유 용기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물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 혼합 장치.
KR1020120154336A 2012-12-27 2012-12-27 자동 분유 혼합 장치 KR101421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36A KR101421270B1 (ko) 2012-12-27 2012-12-27 자동 분유 혼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36A KR101421270B1 (ko) 2012-12-27 2012-12-27 자동 분유 혼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57A KR20140084657A (ko) 2014-07-07
KR101421270B1 true KR101421270B1 (ko) 2014-08-13

Family

ID=5173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336A KR101421270B1 (ko) 2012-12-27 2012-12-27 자동 분유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59B1 (ko) * 2019-12-13 2021-10-01 송준수 살균과 교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분유혼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010A (ko) * 2004-02-12 2005-08-18 신권 자동분유혼합기
KR20110042716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이담테크 자동 분유혼합장치
KR101168802B1 (ko) 2010-04-15 2012-07-31 김광현 분유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010A (ko) * 2004-02-12 2005-08-18 신권 자동분유혼합기
KR20110042716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이담테크 자동 분유혼합장치
KR101168802B1 (ko) 2010-04-15 2012-07-31 김광현 분유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57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4345B2 (en) Baby formula preparation with warming system and customized pods
ES2884349T3 (es) Conjunto y método para espumar fluidos
CN104602577B (zh) 多功能壶和使用该壶的饮料制作机
US8863987B2 (en) Beverage apparatus waste bin level detection
US20090139978A1 (en) Water/powdered milk mixing device for nursing
KR101086869B1 (ko) 자동 분유혼합장치
CA2931062C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US8742297B2 (en) Bottle warming device
WO2022148481A1 (zh) 独立式冰块或饮料分配电器
US8453562B2 (en) Apparatus for infant formula and beverage preparation
WO2002091903A2 (en) Automatic suckling apparatus
US20160174751A1 (en) Automated infant formula preparation devices
AU765398B2 (en) A movable ice gate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er system
CN108603366A (zh) 洗手装置
KR101421270B1 (ko) 자동 분유 혼합 장치
JP2009029603A (ja) 具材供給装置
JP2009211184A (ja) 飲料調理装置
KR100336019B1 (ko) 자동분유혼합 및 소독기
KR100933589B1 (ko) 추출 장치
JP2004298418A (ja) 抽出装置
WO2018021052A1 (ja) 氷ディスペンサ
KR101258070B1 (ko) 분유 공급장치
JP6975629B2 (ja) みそ汁またはだし汁の定量供給装置
KR100827037B1 (ko)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JP5983060B2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