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716A - 자동 분유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분유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716A
KR20110042716A KR1020090099514A KR20090099514A KR20110042716A KR 20110042716 A KR20110042716 A KR 20110042716A KR 1020090099514 A KR1020090099514 A KR 1020090099514A KR 20090099514 A KR20090099514 A KR 20090099514A KR 20110042716 A KR20110042716 A KR 20110042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powdered milk
hot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869B1 (ko
Inventor
도형진
강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담테크
Priority to KR102009009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869B1/ko
Priority to EP10825125.7A priority patent/EP2491914A4/en
Priority to CN201080047592.2A priority patent/CN102573758B/zh
Priority to PCT/KR2010/006655 priority patent/WO2011049300A2/ko
Publication of KR2011004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분유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젖병 내에 분유와 물을 투입하는 분유혼합장치에 있어서, 분유통 내에 일정량의 분유가 수용되는 이송팁과 이송팁을 분유통 내외로 왕복시키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분유통 외부로 이송팁이 돌출될 때 수용된 분유가 낙하하여 젖병에 투입되게 하는 분유토출부; 물을 저장하는 물통과 물통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여, 젖병 내로 설정된 양과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수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 상기 물통과 온수탱크 상호간에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 설정된 분유량, 물온도, 물양에 따라 상기 이송팁의 돌출횟수를 제어하고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며 설정된 양의 물이 상기 물통에서 온수탱크로 펌핑시켜 젖병에 공급되게 한 후 일정량의 물을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물통으로 역펌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별도의 온수탱크만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체류하는 물을 회수하여 잔여물의 낙하를 방지한다.
분유, 혼합, 공급, 이송, 수용, 젖병, 온도, 유량, 펌프, 가열

Description

자동 분유혼합장치{Automatic powdered milk and water mixing device}
본 발명은 분유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유와 물을 설정한 양 및 온도로 공급하여 자동으로 분유와 물을 혼합하도록 하는 분유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유가 부족하거나 직업으로 인한 수유시간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모유 수유가 곤란한 경우 유아에게 분유를 먹이게 된다. 상기 분유는 물의 양과 분유의 양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야 하며 물의 온도도 유아에게 너무 뜨겁지도 차지도 않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유를 혼합하는 것은 물의 온도와 양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우며 유아를 계속 감시하면서 분유를 혼합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유 공급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유 공급 장치들은 일반적인 커피 자동판매기의 구조와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일측에서는 분유가 계량되어 공급되고 타측에서는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하측의 젖병에 상기 분유와 온수가 모이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분유 공급 장치의 경우 분유을 공급하는 관로와 온수가 공급하는 관로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어 분유를 공급한 후 분유 공급 관로에 분유가 묻어있는 상태에서 하측으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상기 분유 공급 관로에 젖병속이나 온수 공급관로로부터 하측으로 공급되는 온수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가 상기 분유 공급 관로에 접촉하게 되어 분유에 수분이 공급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이전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1432호(2009.5.22 공개) "분유공급장치"를 출원하고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유공급장치의 경우 분유량은 어느 정도 정확하게 공급되기는 하나 정확한 양의 물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우며 젖병에 물공급이 완료된 후에 젖병을 제거한 이후에도 물공급배관 내에 체류하는 잔여 물이 간헐적으로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물이 저장된 물통 전체를 가열수단이 가열하므로 많은 에너지의 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물통과 별개로 온수통을 구비하여 온수통만 가열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물공급이 완료된 후 체류하는 물을 회수하여 잔여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분유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양과 온도에 따라 젖병 내에 분유와 물을 투입하는 분유혼합장치에 있어서, 분유가 수납된 분유통 내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일정량의 분유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형성된 이송팁과 상기 이송팁을 상기 분유통 내외로 왕복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분유통 외부로 이송팁이 돌출될 때 상기 수용홀 내에 수용된 분유가 낙하하여 하측에 위치한 젖병에 투입되게 하는 분유토출부; 상기 분유토출부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과 연통되고 상기 물통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고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여, 상기 온수탱크의 말단이 젖병의 상측에 위치하여 젖병 내로 설정된 양과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수탱크의 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 상기 물통과 온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과 온수탱크 상호간에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 설정된 분유량에 따라 상기 이송팁의 돌출횟수를 제어하여 상기 이송팁을 분유통 내부로 수납시키고, 설정된 물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며, 설정된 물양에 따라 상기 펌프부를 구동하여 설정된 양의 물이 상기 물통에서 온수탱크로 펌핑시켜 젖병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젖병에 물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펌프부를 역구동하여 일정량의 물을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물통으로 역펌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에는 상기 이송팁의 상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송팁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코일형태로 설치된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부는 상기 물통으로부터 온수탱크로 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물통으로 물을 펌핑하는 회수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상기 분유토출부와 물공급부 및 그 하측의 젖병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양과 온도에 따라 젖병 내에 분유와 물을 투입하는 분유혼합장치에 있어서, 분유가 수납된 분유통과, 상기 분유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분유를 일측으로 이송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젖병에 분유를 토출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기로 이루어지는 분유토출부; 상기 분유토출부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과 연통되고 상기 물통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고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여, 상기 온수탱크 의 말단이 젖병의 상측에 위치하여 젖병 내로 설정된 양과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수탱크의 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 상기 물통과 온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과 온수탱크 상호간에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 및 설정된 분유량에 따라 상기 스크류(180)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이송팁을 분유통 내부로 수납시키고, 설정된 물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며, 설정된 물양에 따라 상기 펌프부를 구동하여 설정된 양의 물이 상기 물통에서 온수탱크로 펌핑시켜 젖병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젖병에 물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펌프부를 역구동하여 일정량의 물을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물통으로 역펌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분유혼합장치는 온수탱크가 별도로 구비되어 가열수단에 의해 온수탱크만을 가열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물공급이 완료된 후 펌프부에 의해 체류하는 물을 회수하여 잔여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 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크게 분유를 공급하는 분유토출부(100),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00), 물의 양 및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300),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400), 분유토출부(100)와 물공급부(200) 및 펌프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분유혼합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유토출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먼저, 분유토출부(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유토출부(100)는 사용자가 지정한 양의 분유를 계량하여 젖병(b) 내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분유토출부(100)는 분유의 계량을 위해 분유가 수납되는 분유통(120), 상기 분유통(1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분유통(120) 내외를 직선 왕복이동하는 이송팁(140) 및 상기 이송팁(140)을 구동하여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수단(160)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유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공급하기 위해 특허 출원 10-2001-0024734호에 기재된 분유토출부(10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분유토출부(100)는 상기 이송팁(140)에 수용된 분유의 양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해 이송팁(140) 상측으로 나온 분유는 제거하여 수용홀(142) 내부의 분유만을 외부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팁(14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말단에 상하로 관통된 수용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팁(140)이 분유통(120) 내로 들어가면 상기 수용홀(142)내에 분유가 수용되며 상기 이송팁(140)이 외부로 돌출되면 분유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하측에 위치한 젖병(b)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홀(142)의 내부에 수용되는 분유의 양은 매번 일정하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송팁(140)이 적절한 횟수로 왕복하여야 한다.
상기 이송수단(16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팁(140)이 두개의 링크(162)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미도시)로 구동되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더 참조하여 물공급부(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물양 및 물온도를 제어하는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3에서 점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실선은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상기 물공급부(2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물을 젖병(b)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물통(220)과 가열수단(260)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탱크(2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물통(220)은 상기 분유토출부(100) 일측에 설치되고 수용된 물은 후술하는 펌프부(400)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240)로 공급되어 가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열수단(260)이 상기 온수탱크(24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데, 상기 가열수단(260)은 도 3에서와 같이 열선 형태가 일반적이며 상기 온수탱크(240) 내부에 코일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온수탱크(240)의 외부를 열선이 감싸도록 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가열수단(260)은 후술하는 온도센서(320) 및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물 온도가 계속 유지되도록 하거나 필요시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로 즉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240)의 말단은 관(2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유통(120)에서 약각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관(242)의 말단위치는 상기 이송팁(140)이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간섭하지 않으면서 하측에 위치하는 젖병(b) 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242)의 말단위치를 상기 이송팁(140)이 외부로 최대한 돌출된 상태일 때 그 직상측에 위치하여 이송팁(140)이 내부로 수납된 후 물이 젖병(b) 내로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200)는 물통(220)과 온수탱크(240)를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온수탱크(240)를 상기 가열수단(260)에 의해 항상 가열하여 대기할 필요없이 바로 온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물통(220) 전체를 다 가열하지 않고 필요한 양 만큼만 가열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온수탱크(240)의 말단 일측에는 자외선 램프(600)를 부설하여 상기 물공급부(200)와 분유토출부(100)를 살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600)는 하측으로 물과 분유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하측에 위치한 젖병(b)에도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200)와 분유토출부(100)의 일측에 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공간 내에 사용전의 젖병(b)이나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내에 상기 자외선 램프(600)의 자외선이 도달하도록 하여 수납공간내의 물품도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200)의 상측에 자외선 램프(600)를 부설하여 분유토출부(100)와 물공급부(200) 그리고 하측의 젖병(b)을 모두 살균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자외선 램프(600)의 경우 투과성 떨어지므로 빛이 직접 닿는 부분만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살균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물공급부(200)와 분유토출부(100)를 항균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균소재로 대한민국특허 536551호에 기재된 구조 내에 중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항균성 단량체를 투입한 합성수지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항균성 단량체는 상기 특허의 출원인인 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에서 바이오크린액트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바이오크린액트를 PP 에 혼합하고 사출하여 분유통(120)이나 물통(220)등을 제작하게 되면 상기 분유통(120)이나 물통(220)의 표면에서 일정거리 (약 1cm가량) 떨어진 위치에서도 살균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내부에 포함된 분유나 물을 살균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다음으로 센서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온도센서(320) 및 유량센서(340)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위치감지센서(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320)는 상기 온수탱크(240)에 설치되어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320)에서 감지된 온도 측정값은 후술하는 제어부(500)에 보내어져 상기 가열수단(260)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기준이 된다. 즉 상기 온수탱크(24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보다 내려가면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가열수단(260)을 작동시켜 물을 가열하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상기 유량센서(340)는 상기 온수탱크(24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 다시 말해, 젖병에 투입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이며 상기 온수탱크(240)의 관(242)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관(242)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유량센서(340)에서 측정된 값도 후술하는 제어부(500)에 보내어져 후술하는 펌프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기준이 된다.
그리고 상기 분유토출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팁(140)이 분유통(120) 내로 완전히 들어갔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360)를 구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이송팁(140)이 분유통(120) 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위치감지센서(360)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적외선 센서이며 상기 이송팁(140)의 바로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펌프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펌프부(400)는 상기 물통(220)과 온수탱크(240)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간에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데, 하나의 펌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펌핑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통(220)에서 온수탱크(24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420)와, 상기 온수탱크(240)에서 물통(220)으로 다시 물을 회수하는 회수펌프(44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펌프(420)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240)에 물이 가득차도록 공급되며 가득찬 물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관(242)을 통해 젖병에 물이 공급될 때도 상기 공급펌프(420)가 작동하여 상기 물통(220)에서 온수탱크(240)로 계속 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240)에서 물이 배출될 때도 상기 온수탱크(240)는 물이 가득찬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젖병(b)에 물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펌프(420)는 정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관(242) 내부에는 물이 체류한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며 잔여 물이 계속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수펌프(440)가 작동하여 상기 온수탱크(240)에서 물통(220)으로 물을 일정량 회수하면 상기 관(242)에 체류하던 물이 다시 상기 온수탱크(240)로 유입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분유의 양, 분유와 물의 비율, 온도 에 따라 상기 분유토출부(100)와 물공급부(200) 및 펌프부(4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먼저 분유의 양을 상기 이송팁(140)을 통해 한번에 공급할 수 있는 분유의 양으로 나눠 이송팁(140)의 돌출왕복횟수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송팁(140)의 왕복횟수가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500)가 분유토출부(100)의 하측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회전축이 1회전하면 이송팁(140)이 1회 왕복하므로 계산된 이송팁(140)의 왕복횟수 만큼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이송팁(140)의 위치를 파악하는 상기 위치감지센서(36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정해진 수만큼 왕복한 상기 이송팁(140)이 완전히 분유통(120) 내로 들어가도록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센서(320)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260)을 제어하여 상기 온수탱크(240)에 저장된 물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이송팁(140)이 완전히 상기 분유통(120) 내에 들어가게 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펌프부(40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급펌프(420)를 작동시켜 상기 물통(220)에서 물이 가득찬 상태의 온수탱크(240)로 물이 공급시키면 상기 온수탱크(240)에서 온수가 상기 관(242)을 통해 젖병(b)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량센서(340)에서 물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보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급펌프(420)를 정지시켜 정확한 양의 물이 젖 병(b)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동시에 상기 회수펌프(440)를 작동시켜 상기 온수탱크(240)로부터 물을 일정량 회수하여 상기 관에 체류하는 잔여 물을 상기 온수탱크(240)로 흡입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분유혼합장치의 분유토출부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분유토출부(100), 물공급부(200), 센서부(300), 펌프부(400), 제어부(50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물공급부(200), 센서부(300), 펌프부(40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나는 분유토출부(100) 및 제어부(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유토출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유통(120), 스크류(180), 구동기(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유통(120)은 분유가 수납되는 용기에 해당하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80)는 나선형의 날개가 형성된 회전축으로서 상기 분유통(120) 하부에 배치되어 낙하하는 분유를 일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구동기(190)는 모터와 같은 것으로서 상기 스크류(180)를 회전구동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속도 및 회전수가 제어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입력된 분유량에 의해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스크류(180)의 회전수를 제어하면 원하는 양의 분유가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의 상측에는 분유의 양과 비율 온도 등을 설정하는 설정버튼(740)와 설정된 값을 확인할 수 있는 액정화면(730)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그 하측은 오목하게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젖병(b)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7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700)에 돌출된 스위치(720)를 부설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720)는 젖병(b)이 수용부(700)에 수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젖병(b)이 수용부(700)에 수용되어 상기 스위치(720)를 누른 경우에만 분유와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는 분유와 물의 낭비를 막고 하측에 물과 분유가 고여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700)의 하측에는 착탈 가능한 고정부재(71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710)는 수용된 젖병(b)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위치(720)를 계속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는 빈 젖병(b)의 무게가 가벼워 상기 스위치(720)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젖병(b)이 밀려 스위치(720)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710)는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젖병(b)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710)의 높이와 내측의 홈의 규격이 다른 고정부재(7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케이스의 상부의 덮개를 열고 분유통(120)을 분리한 후 내부에 분유를 넣고 마개를 완전히 닫은 후 다시 케이스 내부의 정위치에 결합한다. 또한 일측에 설치된 상기 물통(220)도 분리하여 물을 넣고 다시 삽입하고 덮개를 덮는다. 그리고 사용중인 젖병(b)에 적합한 고정부재(710)를 수용부(700) 하부에 결합하고 16g의 분유와 40도씨의 150ml의 물을 혼합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젖병(b)을 상기 고정부재(710)의 상측에 고정하게 되면 상기 젖병이 상기 스위치(720)를 눌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측의 설정버튼(740)를 누르게 되면 먼저 16g의 분유를 공급하기 위한 이송팁(140)의 왕복횟수를 계산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팁(140)의 수용홀(142)에 1g의 분유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16회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왕복횟수를 계산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분유토출부(100)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를 16회전 하도록 한다. 이때 모터의 회전이 너무 빠른 경우 분유가 완전히 낙하하기 전에 분유통(120)으로 수납되어 정확한 양의 분유가 공급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모터의 회전축에 감속기를 설치하게 된다.
16회전 후 상기 위치감지센서(360)가 상기 이송팁(140)이 완전히 분유통(120) 내로 수납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공급펌프(420)를 작동시켜 40도씨의 물 150ml를 젖병(b) 내로 바로 공 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젖병(b)내로 분유와 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회수펌프(440)를 작동시켜 상기 관(242)에 체류하는 잔여 물을 회수한다.
마지막으로 젖병(b)을 수용부(700)에서 꺼낸 후 마개를 덮고 흔들어 분유를 물에 녹인 후 수유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분유혼합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유토출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물양 및 물온도를 제어하는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분유혼합장치의 분유토출부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분유토출부 120 : 분유통
140 : 이송팁 142 : 수용홀
160 : 이송수단 162 : 링크
180 : 스크류 190 : 구동기
200 : 물공급부 220 : 물통
240 : 온수탱크 242 : 관
260 : 가열수단
300 : 센서부 320 : 온도센서
340 : 유량센서 360 : 위치감지센서
400 : 펌프부 420 : 공급펌프
440 : 회수펌프
500 : 제어부 600 ; 자외선 램프
700 : 수용부 710 : 고정부재
720 : 스위치 730 : 액정화면
740 : 설정버튼
b : 젖병

Claims (6)

  1. 사용자가 설정한 양과 온도에 따라 젖병 내에 분유와 물을 투입하는 분유혼합장치에 있어서,
    분유가 수납된 분유통(120) 내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일정량의 분유가 수용되는 수용홀(142)이 형성된 이송팁(140)과 상기 이송팁(140)을 상기 분유통(120) 내외로 왕복시키는 이송수단(160)을 구비하여, 상기 분유통(120) 외부로 이송팁(140)이 돌출될 때 상기 수용홀(142) 내에 수용된 분유가 낙하하여 하측에 위치한 젖병(b)에 투입되게 하는 분유토출부(100);
    상기 분유토출부(100)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220)과 상기 물통(220)과 연통되고 상기 물통(220)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고 가열수단(260)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탱크(240)를 구비하여, 상기 온수탱크(240)의 말단이 젖병(b)의 상측에 위치하여 젖병(b) 내로 설정된 양과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00);
    상기 온수탱크(24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20)와 상기 온수탱크(240)의 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센서(340)로 이루어지는 센서부(300);
    상기 물통(220)과 온수탱크(2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220)과 온수탱크(240) 상호간에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400); 및
    설정된 분유량에 따라 상기 이송팁(140)의 돌출횟수를 제어하여 상기 이송팁(140)을 분유통(120) 내부로 수납시키고, 설정된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수 단(260)을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양에 따라 상기 펌프부(400)를 구동하여 설정된 양의 물이 상기 물통(220)에서 온수탱크(240)로 펌핑시켜 젖병(b)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젖병(b)에 물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펌프부(400)를 역구동하여 일정량의 물을 상기 온수탱크(240)로부터 물통(220)으로 역펌핑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혼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에는,
    상기 이송팁(140)의 상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송팁(14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3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량 및 물량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분유혼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260)은 상기 온수탱크(240) 내부에 코일형태로 설치된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혼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400)는,
    상기 물통(220)으로부터 온수탱크(240)로 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420)와, 상기 온수탱크(240)로부터 물통(220)으로 물을 펌핑하는 회수펌프(440)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혼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600)가 설치되어 상기 분유토출부(100)와 물공급부(200) 및 그 하측의 젖병(b)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혼합장치.
  6. 사용자가 설정한 양과 온도에 따라 젖병 내에 분유와 물을 투입하는 분유혼합장치에 있어서,
    분유가 수납된 분유통(120)과, 상기 분유통(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분유를 일측으로 이송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젖병(b)에 분유를 토출시키는 스크류(180)와, 상기 스크류(180)를 구동시키는 구동기(190)로 이루어지는 분유토출부(100);
    상기 분유토출부(100)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220)과 상기 물통(220)과 연통되고 상기 물통(220)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고 가열수단(260)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탱크(240)를 구비하여, 상기 온수탱크(240)의 말단이 젖병(b)의 상측에 위치하여 젖병(b) 내로 설정된 양과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00);
    상기 온수탱크(24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20)와 상기 온수탱크(240)의 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센서(340)로 이루어지는 센서부(300);
    상기 물통(220)과 온수탱크(2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220)과 온수탱 크(240) 상호간에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400); 및
    설정된 분유량에 따라 상기 스크류(180)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설정된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260)을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양에 따라 상기 펌프부(400)를 구동하여 설정된 양의 물이 상기 물통(220)에서 온수탱크(240)로 펌핑시켜 젖병(b)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젖병(b)에 물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펌프부(400)를 역구동하여 일정량의 물을 상기 온수탱크(240)로부터 물통(220)으로 역펌핑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유혼합장치.
KR1020090099514A 2009-10-20 2009-10-20 자동 분유혼합장치 KR101086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14A KR101086869B1 (ko) 2009-10-20 2009-10-20 자동 분유혼합장치
EP10825125.7A EP2491914A4 (en) 2009-10-20 2010-09-30 AUTOMATIC MIXING APPARATUS FOR BABY FORMULA
CN201080047592.2A CN102573758B (zh) 2009-10-20 2010-09-30 自动奶粉混合装置
PCT/KR2010/006655 WO2011049300A2 (ko) 2009-10-20 2010-09-30 자동 분유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14A KR101086869B1 (ko) 2009-10-20 2009-10-20 자동 분유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16A true KR20110042716A (ko) 2011-04-27
KR101086869B1 KR101086869B1 (ko) 2011-11-24

Family

ID=4390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14A KR101086869B1 (ko) 2009-10-20 2009-10-20 자동 분유혼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91914A4 (ko)
KR (1) KR101086869B1 (ko)
CN (1) CN102573758B (ko)
WO (1) WO201104930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5393A (zh) * 2011-01-10 2011-07-20 雷和清 一种奶粉自动冲调器
KR101421270B1 (ko) * 2012-12-27 2014-08-13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자동 분유 혼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403B (zh) * 2012-05-17 2014-12-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面包机及其制作面包的方法
US9289356B2 (en) 2013-03-15 2016-03-22 Bouche Baby Inc. Storage and mixing container
CN104026984A (zh) * 2014-05-27 2014-09-10 葛艳 自动奶粉冲泡机
WO2016110265A1 (zh) * 2015-01-09 2016-07-14 广东顺德雷蒙电器科技有限公司 家用自动冲奶机及其控制方法
DE102016000406B4 (de) * 2016-01-14 2023-06-01 Smiics Gmbh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Babynahrung
CN106309132B (zh) * 2016-08-19 2019-03-26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葡萄糖水自动调配仪
CN106333607A (zh) * 2016-11-11 2017-01-18 苏州市慧通塑胶有限公司 家用调奶机
CN107595641A (zh) * 2017-10-21 2018-01-19 陈夏风 一种奶瓶
CN107874620A (zh) * 2017-11-17 2018-04-0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奶粉配置机
CN215874291U (zh) * 2021-08-10 2022-02-22 幼研有限公司 一种新型冲奶机
KR102560411B1 (ko) 2021-10-07 2023-07-27 이재완 스마트 분유물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1325A (en) * 1992-11-25 1997-09-23 Roberson; Danny J. Apparatus for preparing infant formula from powder
JPH08112204A (ja) * 1994-10-13 1996-05-07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飲料抽出装置
US5923214A (en) 1997-12-17 1999-07-13 Motorola, Inc. Feedforward amplifier network with swept pilot tone for reducing distortion generated by a power amplifier
DE69925364D1 (de) * 1999-08-04 2005-06-23 Gruppo Cimbali Spa Espressokaffeemaschine
CN2467408Y (zh) * 2000-12-15 2001-12-26 沈贵宝 聚丙烯输液袋灌装机
KR100536551B1 (ko) 2002-01-31 2005-12-14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항균성 단량체, 이를 이용한 항균성 고분자 화합물 및이들의 제조방법
CA2495063C (en) * 2002-08-08 2011-03-22 Concept & Design Ltd. A portable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system
DE50310897D1 (de) * 2003-05-02 2009-01-22 Schaerer Ag M Einrichtung zur Ausgabe von Milch und/oder Milchschaum
GB2402324A (en) * 2003-06-06 2004-12-08 Cafebabe Ltd Preparing food or beverage utilising boiled water
CN100342840C (zh) * 2005-01-28 2007-10-17 云南昆船设计研究院 中药药液真空浓缩工艺和设备
US20090139978A1 (en) * 2005-08-12 2009-06-04 Chong-Kyu Ha Water/powdered milk mixing device for nursing
KR200426780Y1 (ko) 2006-07-04 2006-09-20 하정규 분유혼합장치
KR200401459Y1 (ko) * 2005-08-12 2005-11-17 하정규 분유혼합장치
DE102006047538A1 (de) * 2006-10-07 2008-04-1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kamentendosiersystem mittels Mikropumpe
RU2471399C2 (ru) * 2007-04-16 2013-01-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апитка
KR100972028B1 (ko) * 2007-11-19 2010-07-22 주식회사 이담테크 분유 공급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5393A (zh) * 2011-01-10 2011-07-20 雷和清 一种奶粉自动冲调器
CN102125393B (zh) * 2011-01-10 2013-08-28 雷和清 一种奶粉自动冲调器
KR101421270B1 (ko) * 2012-12-27 2014-08-13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자동 분유 혼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9300A2 (ko) 2011-04-28
KR101086869B1 (ko) 2011-11-24
CN102573758A (zh) 2012-07-11
EP2491914A4 (en) 2016-12-21
EP2491914A2 (en) 2012-08-29
CN102573758B (zh) 2015-09-23
WO2011049300A3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869B1 (ko) 자동 분유혼합장치
US20240041244A1 (en) Infant formula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503715B2 (ja) 飲料生成機のドレン
US20060157463A1 (en) Food preparation device
EP2083660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baby milk from instant formula
US8584901B2 (en) Powder dispensing apparatus
EP2645912B1 (en) Simple user-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KR20120046178A (ko) 유아용 제조유 장치
US20050230343A1 (en)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KR100404601B1 (ko) 자동 급유장치
CA2527027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ood preparation
EP2123201A1 (en) Automatic beverages dispenser with improved delivery device
CN106037486B (zh) 用于制备热饮料的机器
KR20210105371A (ko) 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해당 시스템
WO2012116192A1 (en) Baby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201601576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handling of feeding formula bottles for babies
KR100972028B1 (ko) 분유 공급 장치
WO2023111762A1 (en) Food preparation device
PT106338A (pt) Dispositivo automático de esterilização de recipientes e execução de mistu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