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434Y1 - 음료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434Y1
KR200415434Y1 KR2020060003819U KR20060003819U KR200415434Y1 KR 200415434 Y1 KR200415434 Y1 KR 200415434Y1 KR 2020060003819 U KR2020060003819 U KR 2020060003819U KR 20060003819 U KR20060003819 U KR 20060003819U KR 200415434 Y1 KR200415434 Y1 KR 200415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power
beverage
wat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코 미나미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커피컴퍼니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커피컴퍼니코리아(주) filed Critical 우에시마커피컴퍼니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60003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4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 원료와 필터가 담긴 용기를 구비된 서랍에 넣고 상기 용기에 고온의 물을 저수탱크로부터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수탱크에 채워진 물의 보온을 위한 보온용 덮개, DC전원을 발생하는 DC전원부, 및 장치 내의 전기적 수단들에 대해 DC 전원을 각 해당 부분에 적절히 배분하여 공급하는 DC전원분배부,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전환하는 DC 전환부,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DC전원분배부 및 상기 DC 전환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절환스위치, 상기 DC 전환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검출하는 전원공급검출부를 포함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전원공급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절환스위치를 상기 DC전환부측으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른 음료추출장치는 DC전원만으로도 장치의 이용이 가능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 환경에서도 여과된 뜨거운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장치의 이용 기회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음료, 추출, 여과, 필터, 저수탱크, 추출용 컵, DC전원

Description

음료추출장치{Beverage Extracting Device}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인 음료추출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우측면도.
도4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부분적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인 음료추출장치의 전원공급계통 블록도.
도6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외장부 전방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8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외장부 상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9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외장부 우측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우측면도.
도10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서랍이 인출된 상태에서의 서랍 부근을 도시한 도면.
도1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기어의 회전에 따른 고정 부재의 높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기어의 회전에 따른 고정 부재의 높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 서랍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구획판, 펌프용 케이스 및 회로 기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15는 도14의 펌프용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도7의 저탕 탱크의 바닥부 부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7은 도16의 너트의 평면도.
도18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증기관과 저수 탱크와의 접속 부분의 확대도.
도19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저탕 탱크 상부에 구비된 유출로 부근의 확대도.
도20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가 구비하는 CPU가 실행하는 일반적인 동작의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21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가 구비하는 CPU가 실행하는 일반적인 동작의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22는 도21의 추출 동작 처리의 서브루틴의 흐름도.
도23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기어 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부분의 회로도.
도24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탕의 도입량을 설정하는 부분의 회로도.
도25는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추출 동작 처리에 있어서의 시간도.
도26은 도1의 음료추출장치의 추출 동작 처리에 있어서의 시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추출장치 2 : 외장부
3 : 저수 탱크 5 : 저탕 탱크
6 : 기어 펌프 11 내지 17 : 저항
20 : 조작 패널 21, 22 : 스타트 버튼
23 : 창 29 : 서랍
30 : 수위 센서 31 : 컵 홀더
32 : 컵 받침 50 : 히터
51, 53, 62, 63 : 관 52 : 유출로
52A : 정류 부재 58 : 너트
59 : 증기관 60 : 3방 전자 밸브
64 : 고정 부재 64A : 핀
65 : 도입침 510: 플러그
520: DC전환부 530: DC전원부
540: 절환스위치 550: DC전원분배부
560: 전원공급검출부 5701: 부하
본 고안은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말 원료와 필터가 담긴 용기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와 같은 음료추출장치로서 일반적인 자동판매기는 분말 형태의 원료가 적재된 적재함과,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된 원료가 담기는 종이컵으로 호스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물통, 및 물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데우기 위한 히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음료 자동판매기는 이용자가 음료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료의 원료가 종이컵에 배출되며, 물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히터를 통해 데워져 호스를 통해 종이컵에 공급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물을 데우기 위해 이용되는 히터에는 고온의 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고전압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자동판매기에는 일반적으로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커피와 같은 음료의 경우에는 마시는 사람의 취향이 다양한 관계로 분말 형태의 원료에 물을 붓고 여과지를 통해 추출하여 마시기를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이와 같은 사람들을 위해 분말 원료와 필터가 담긴 용기를 제공하는 한편 그 용기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장치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3-22497 에 개시되고 있다.
위 특허출원번호 10-2003-22497에 개시된 종래 음료추출장치는 원료 및 필터가 담긴 용기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를 가지며, 또한 장치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들 및 센서들, 마이크로프로세서, 물의 공급 및 물통 내의 공기 조절을 위한 밸브들, 동작 표시등, 내부 기구의 이동을 위한 각종 모터, 그리고 물을 데우기 위한 히터 등의 전기적인 수단들이 구비되어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치는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수단들에 전원을 제공하게 되며, 장치 내부의 각 전기적 수단들에는 필요에 따라 상용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적절히 분배하거나 히터의 구동을 위해서 상용전원을 변압하는 트랜스포머를 이용한다.
위와 같이 종래 음료추출장치는 전기적 수단들 및 기계적 수단들이 적절하게 설계 배치되어 이용자가 취향에 따른 음료를 손쉽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추출장치는 전기적인 구동 수단들이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밖에 없어 원활하게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장소에 한정적으로 이용될 수밖에 없다는 장소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을 데우기 위한 히터가 설치된 관계로 전원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장소에 추출장치를 위치시켜야 하는 제약이 따랐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용전원의 공급 없이도 장소적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원료 및 필터가 담긴 용기를 통한 여과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료추출장치는 분말 원료와 필터가 담긴 용기를 구비된 서랍에 넣고 상기 용기에 고온의 물을 저수탱크로부터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에 채워진 물의 보온을 위한 보온용 덮개, DC전원을 발생하는 DC전원부, 및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상기 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 및 상기 저수 탱크 내의 공기 조절을 위한 밸브의 조작,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 및 구비된 센서의 검지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 및 내부 기구의 이동을 위한 각종 모터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DC전원부에서 발생한 DC 전원을 각 해당 부분에 적절히 배분하여 공급하는 DC전원분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음료추출장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전환하는 DC 전환부, 및 상기 각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DC전원분배부 및 상기 DC 전환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절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료추출장치는 상기 DC 전환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검출하는 전원공급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전원공급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절환스위치를 상기 DC전환부측으로 절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환스위치는 케이스 외측에 스위치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음료추출장치는 탱크에 채워넣은 뜨거운 물이 보온 덮개에 의해 상당시간 보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치 내부의 각 부품들에 대해 DC 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여과된 음료를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서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물의 자동 공급 및 히터를 통해 끓여진 물을 통해 여과된 음료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인 음료추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보인 상기 음료추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3은 도 1에 보인 상기 음료추출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도 1에 보인 상기 음료추출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음료추출장치(1)는 그 외곽을 외장부(2)로 씌우게 되고, 그 전방면의 좌측 상부에 조작 패널(20)을 구비하고, 전방면의 우측 상부에 서랍(29)을 구비하고, 전방면의 하부에 트레이(4)를 부착하고 있다. 음료추출장치(1)는 분말 원료와 필터를 포함하는 용기인 추출용 용기[후술하는 추출용 컵(100)]가 서랍(29) 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추출용 용기에 탕을 공급하여 상기 추출용 용기 내의 분말 원료의 추출액을 공급한다. 도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트레이(4) 상에 다시 컵 받침대(40)가 부착되어 상기 컵 받침대(40) 상에 컵(400)이 적재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컵(400)은 서랍(29)의 하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음료추출장치(1)는 컵(400)에 상기한 추출액을 공급할 수 있다.
조작 패널(20)에는 스타트 버튼(21, 22)과, 창(23)과, 램프(24 내지 27)가 설치되어 있다. 스타트 버튼(21)은 사용자가 추출액을 뜨거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해, 상기 분말 원료의 추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이하, 뜨거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한 추출액을「핫용 추출액」이라 한다. 스타트 버튼(22)은 사용자가 추출액에 얼음을 첨가할 수 있도록 하여 차가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해 상기한 분말 원료의 추출 동작(이하, 단순히 추출 동작이라 함)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이하, 차가운 상태에서 마시기 위한 추출액을「아이스용 추출액」이라 한다. 또한, 1회의 추출 동작에 의한 아이스용 추출액은 핫용 추출액보다도 양이 적다. 얼음과 섞이게 됨으로써 핫용 추출액과 동일한 양이 되는 것을 의도하기 위해서이다.
음료추출장치(1)는 외장부(2)의 내부에 탱크를 수용하고 있다. 저수 탱크(3)는 탱크 덮개(41)에 의해 덮이고, 그 일부가 창(23)을 거쳐서 음료추출장치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탱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창(23)을 거쳐서 탱크 내의 물의 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3)는 탱크 덮개(41)가 개방됨으로써, 외장부(2)로부터 취출되는 일 없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음료추출장치(1)의 전방면 하부에는 더스트 커버(28)가 부착되어 있다. 외장부(2)의 내측이며, 더스트 커버(28) 속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42)가 수용되어 있다. 추출용 컵(100)은 1회의 추출 동작마다 교환되는 것이고, 더스트 박스(42)는 추출 동작에 사용된 후의 추출용 컵(100)을 수용하기 위해 외장부(2) 내에 구비된다. 더스트 커버(28)는 그 상단부가 외장부(2)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더스트 커버(28)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42)를 외장부(2) 밖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램프(24)는 음료추출장치(1)가 추출 동작을 하기 위한 준비 상태에 있을 때에 점등된다. 램프(25)는 음료추출장치(1)가 추출 동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에 점등된다. 램프(26)는 저수 탱크(3)에 대해 물의 공급이 필요해졌을 때[후술하는 수위 센서(30)에 의해 물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에 점등된다. 램프(27)는 소정의 센서에 의해 더스트 박스(42)가 가득차게 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 점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전원공급계통에 대한 블록도이다. 장치(1)는 전원플러그(510), DC전환부(520), DC전원부(530), 절환스위치(540), DC전원분배부(550), 전원공급검출부(560), 그리고 부하부(570)를 포함한다.
DC전환부(5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의 정류기 및 평활회로 등을 포함하며, 전원플러그(510)를 통해 AC 상태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한다. DC전원부(530)는 DC전원을 발생한다. 절환스위치(540)는 제어신호에 의해 DC전환부(520)측과 DC전원부(530)측에 선택적으로 절환된다. DC전원분배부(550)는 각 부하에 적절히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DC 전원을 배분한다. 전원공급검출부(560)는 DC전환부(520)의 동작을 감시하여 상용전원의 공급 여부를 검출한다. 부하부(570)는 CPU, 모터구동부, 전자 밸브, 및 장치 내에서의 음료 추출 및 동작 표시를 위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여타의 수단들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전원공급계통을 가진 음료추출장치는 절환스위치(540)가 초기에 DC전원부(530)에 연결되도록 설정되며, DC전원부(530)에서 발생된 전원이 전원분배부(550)를 통해 각 부하(570)에 공급된다. 한편 장치의 전원플러그(210)가 상용전원 콘센트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검출부(560)를 통해 CPU에서 이를 감지하여 절환스위치(540)의 접점을 DC전환부(520)측 접점으로 자동 절환하게 되며, 이후, 전원플러그(51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상용전원을 DC전환부(520)에서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분배부(550)를 통해 각 부하에 공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음료추출장치의 이용 상황에 따라 상용전원 및 DC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장치의 이동 환경 등에서는 사전에 저수탱크 내에 뜨거운 물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DC전원부에서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물의 자동 공급 및 히터를 통한 가열을 통해 뜨거운 음료를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가운 음료 등도 제공할 수 있다.
도6에 음료추출장치(1)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음료추출장치(1)에서는 저수 탱크(3)에 공급된 물이 관(51)을 거쳐서 저탕 탱크(5)로 도입된다. 저탕 탱크(5)로 도입된 물은 상용전원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히터(5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저탕 탱크(5)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탕의 온도는 온도 센서(54)에 의해 검지된다. 그리고, 온도 센서(54)의 검지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고, 또한 스타트 버튼(21 또는 22)이 압박되면, 기어 펌프(6)가 구동됨으로써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유출로(52), 관(53) 및 3방 전자 밸브(60)를 거쳐서 기어 펌프(6)로 유 도되고, 또한 관(63) 및 도입침(65)을 거쳐서 추출용 컵(100)에 공급된다. 또한, 저탕 탱크(5) 내의 증기는 증기관(59)을 거쳐서 저수 탱크(3)로 보내진다. 도입침(65)은 속이 빈 침이다. 추출용 컵(100)은 컵 홀더(31) 내의 컵 받침(32)에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된다. 컵 홀더(31)는 서랍(29)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입침(65)에는 고정 부재(64)가 부착되어 있다. 컵 홀더(31)는 좌우 양단부에 핀(31A, 31B)이 형성되어 있고, 서랍(29)에 적절하게 마련된 구멍에 핀(31A, 31B)을 걸거나 끼워 넣음으로써, 서랍(29)에 대해 핀(31A, 31B)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컵 홀더(31)가 서랍(29)에 대해 이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추출용 컵(100)은 더스트 박스(42)에 투입된다. 상기한, 추출용 컵(100)으로의 탕의 공급은 도입침(65) 및 고정용 부재(64)가 소정의 기구에 의해 컵 홀더(31)에 고정된 추출용 컵(100)에 근접하게 되고, 그리고 도입침(65)이 추출용 컵(1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추출 동작이 행해진다. 3방 전자 밸브(60)는 관(62)과, 관(53) 또는 흡기 구멍(61)을 접속시킨다. 관(62)이 관(53)과 접속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관(62)으로부터 관(53)으로 저탕 탱크(5)의 탕을 흐르게 할 수 있다. 한편, 관(62)이 흡기 구멍(61)과 접속되면, 기어 펌프(6), 관(63) 및 도입침(65)을 거쳐서 추출용 컵(100)으로 공기가 흡입된다. 3방 전자 밸브(60)가 기어 펌프(6)보다도 추출용 컵(100)으로 탕 또는 공기가 보내지는 흐름에 대해 상류측에 위치함으로써, 탕 및 공기 모두가 기어 펌프(6)로부터 추출용 컵(100)으로 들여 보낼 수 있다. 저탕 탱크(5)의 바닥부에는 드레인 콕(57) 및 배수관(56)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콕(57)은 너트(58)에 의해 저탕 탱크(5)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다. 드레인 콕(57)은 밸브의 기능을 갖고, 상 기 밸브는 조작 레버(55)에 의해 개폐 절환이 이루어진다. 즉, 조작 레버(55)가 조작됨으로써 드레인 콕(57)이 개방되고, 저탕 탱크(5) 내의 탕(또는 물)이 드레인 콕(57)을 거쳐서 배수관(56)을 통해 배출된다.
이하, 음료추출장치(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음료추출장치(1)의 외장부(2)부 전방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8은 음료추출장치(1)의 외장부(2)의 상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9는 음료추출장치(1)의 외장부(2)의 우측면 부분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7에서는 상기 저탕 탱크(5)보다도 전방에 있는 부재를 일부 파단시키고, 또한 저탕 탱크(5)의 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그 종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8에서는 추출실(7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기 추출실(70)을 일부 파단시켜 도시하고, 또한 서랍(29)에 대해서도 일부 파단시켜 도시하고 있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음료추출장치(1)의 내부에서는 상부 좌측에 저수 탱크(3)가 배치되고, 상부 우측의 전방에 추출실(7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더스트 박스(42)와 추출실(70) 사이에는 구획판(8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음료추출장치(1) 내의 후방 하부에는 저탕 탱크(5)가 설치되고, 저수 탱크(3)의 후단부에 저탕 탱크(5)로부터 신장하는 증기관(59)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수 탱크(3)의 후방에는 3방 전자 밸브(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수 탱크(3)의 상부에는 탱크 덮개(41)에 의해 덮이게 되는 필터(43)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탱크 덮개(41)를 개방하여 필터(43)를 거쳐서 저수 탱크(3) 내에 물을 보충한다. 추출실(70) 은 상면, 후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하우징이다. 추출실(70) 내부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슬라이드 레일(71, 72)이 부착되어 있다. 서랍(29)에는 좌우 각각에 아암(29A, 29B)이 부착되고, 아암(29A, 29B)은 각각 슬라이드 레일(71, 72)에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71, 72)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고, 서랍(29)이 전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71, 72)이 신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서랍(29)은 음료추출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서랍(29)이 인출된 상태를 도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0은 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 서랍(29)이 인출된 상태에서의 서랍(29) 부근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암(29A, 29B)에는 상기한 컵 홀더(31)의 핀(31A, 31B)이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아암(29A)과 아암(29B) 사이에 컵 홀더(3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71, 72)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10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아암(29A, 29B)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신장하고, 도8 등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추출실(70)의 하부에는 구획판(85)을 관통하도록 깔때기(33)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71, 72)이 축소되고, 컵 홀더(31)가 외장부(2) 내에 수용되어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깔때기(33)는 컵 홀더(31)에 셋트된 추출용 컵의 하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추출용 컵(100) 내에 탕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추출용 컵(100)으로부터 흐르는 추출액은 깔때기(33)를 거쳐서 컵(400) 등의 용기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깔때기(33)는 하방에 추출구(33A)를 구비하고, 추출액은 상기 추출구(33A)를 거쳐서 컵(400) 등의 용기에 제공된다. 추출실(70) 내의 천정면의 중앙 부분에는 전후 방향으로 달리도록 레일(69)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치형판(75)은 상면에 새김 눈이 형성되고, 하부 측면이 레일(69)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치형판(75) 중에서 새김 눈이 있는 상면은 추출실(70)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레일(69)에 끼워 넣어지는 하부 측면은 추출실(70) 내에 위치한다. 추출실(70)의 내부이며 치형판(75)의 후단부에는 아암(79)의 일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아암(79)의 타단부는 고정 부재(64)에 부착되어 있다. 추출실(70) 내부의 좌우 측면에는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레일(68, 6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64)의 좌우측면에 적절하게 부착된 부재가 레일(68, 67)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고정 부재(64)는 레일(68, 67)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추출실(70)의 상부에는 기어 모터(73) 및 상기 기어 모터(73)에 접속된 기어(74)가 부착되어 있다. 기어 모터(73)가 구동됨으로써 기어(74)가 회전한다. 기어(74)는 치형판(75)의 상면 새김 눈과 맞물려 있다. 그리고, 기어(74)가 회전함으로써, 치형판(75)은 기어(74)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기어(74)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치형판(75)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79)이 신장하는 각도가 변화한다. 아암(79)이 신장하는 각도가 변화함으로써 고정 부재(64)의 높이가 변화한다. 여기서, 도11 및 도12를 참조함으로써, 기어(74)의 회전에 따른 고정 부재(64)의 높이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11은 고정 부재(64)가 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12는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시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 부재(64)에는 아암(79)의 타단부가 부착되고, 또한 관(63)의 일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관(63)의 일단부에는 도입침(65)이 부착되어 있다. 컵 홀더(31)의 컵 받침(32)에 추 출용 컵(100)이 셋트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치형판(75)의 전단부가 기어(74)와 끼워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기어 모터(73)가 일정 방향[기어(74)를 도1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치형판(75)이 도11의 우측 방향[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는 전방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치형판(75)이 도11의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에 수반하여 아암(79)의 일단부[치형판(75)에 부착되어 있는 단부]도 도11의 우측 방향으로 그 높이를 바꾸는 일 없이 진행하고, 이에 의해 아암(79)의 타단부가 고정 부재(64)를 레일(68, 67)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기어(74)의 회전이 치형판(75)의 후단부(도11에서는 좌측 단부)가 기어(74)와 끼워 맞추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지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64)가 추출용 컵(100)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추출용 컵(100)을 하방으로 압박한다. 또한, 도1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입침(65)이 추출용 컵(100)의 상면으로부터 내부에 삽입된다. 컵 홀더(31)의 바닥부에는 속이 빈 추출용 침(31C) 및 추출용 침(31)에 접속된 추출용 경로(31D)가 구비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추출용 컵(100)은 추출용 침(31C)으로부터는 뜬 상태에서 셋트되어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추출용 컵(100)은 하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컵 받침(32)과 함께 컵 홀더(31)에 압박된다. 이에의해, 추출용 침(31)이 추출용 컵(100)의 바닥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12에 도시한 상태에서 관(63)으로부터 도입침(65)을 거쳐서 추출용 컵(100) 내로 탕이 도입되면, 추출용 컵(100)에 생기는 추출액이 추출용 침(31C) 및 추출용 경로(31D)를 거쳐서 깔때기(33)로 흐르고, 추출구(33A)를 거쳐서 컵(400) 등의 용기에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기어 모터(73)가 회전함으로써, 고정 부재(64)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입침(65)이 추출용 컵(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추출용 침(31C)이 추출용 컵(100) 바닥에 삽입된다. 또한, 추출 동작이 종료되면, 기어 모터(73)가 상기한 일정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12 내지 도11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도입침(65) 및 추출용 침(31C)은 추출용 컵(100)으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고정 부재(64)에는 스위치(86)가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86)는 레버(86A)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86A)가 상부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회로의 개폐가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레버(86A)는 압박되어 있지 않지만, 도1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레버(86A)는 추출용 컵(10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압박되어 스위치(86)의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추출용 컵(100)이 컵 받침(32) 내에 셋트되어 있으면, 고정 부재(64)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추출용 컵(100)이 스위치(86)에 회로의 개폐를 절환하게 된다. 또한, 도11 및 도1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고정 부재(64)에는 서랍(29)의 아암(29A)과 접촉하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도13은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에 고정 부재(64)와 서랍(29)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11 및 도12는 추출실(70)의 내부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추출용 컵(100)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아암(29A)을 생략한 도면이었으나, 도13은 추출실(70)의 내부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아암(29A)보다 더욱 좌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64)는 도12에서 도시한 상태와 마찬가지로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의 위치, 즉 가장 하방까지 이동한 위치에 있다. 고정 부재(64)는 그 좌단부에 하방으로 신장되는 핀(64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랍(29)은 아암(29A)의 좌측면에 볼록부(29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서랍(29)이 추출실(70) 내에 수용되고, 추출용 컵(100)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가 되는 상태가 되는 경우, 볼록부(290)는 핀(64A)보다도 후방(도12에서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서랍(29)을 전방(도12에서는 우측)으로 인출하고자 해도 볼록부(290)가 핀(64A)에 걸림으로써 인출이 저지된다. 즉, 음료추출장치(1)에서는 추출 동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는 서랍(29)을 인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도입침(65)으로부터 도입되는 열탕이 비산되거나 하는 일이 회피된다. 또한, 도11 내지 도13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음료추출장치(1)에서는 서랍(29)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후술하는 도어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의 검지 출력에 의해, 서랍(29)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컵 받침(32)에 셋트된 추출용 컵(100)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침(65) 및 추출용 침(31C)이 삽입되는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외장부(2)의 내부이며, 더스트 박스(42) 및 구획판(85)의 후방에는 플라스틱 등의 발수성 부재인 구획판(82)이 구비되어 있고, 구획판(82)의 상방에는 펌프용 케이스(80)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용 케이스(80)에는 기어 펌프(6)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구획판(82)의 하면에는 회로 기판(66)이 부착되어 있다. 구획판(82), 펌프용 케이스(80) 및 회로 기판(66)의 위치 관계를 도14에 나타낸다. 도14를 다시 참조하여 회로 기판(66)과 저탕 탱크(5) 사이에는 구획판(83)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저탕 탱크(5)의 전방에는 구획판(84)이 제공되어 있다. 회로 기판(66)에는 음료추출장치(1) 내의 기어 펌프(6)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등 다양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음료추출장치(1)의 외장부(2)의 내부에서는 상부에 관(62, 63) 등의 탕이 통과하는 관이 배치되고, 그 하방에 회로 기판(66)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62, 63)으로부터 열기가 샌 경우라도 상기 열기가 회로 기판(66)에 전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66)의 상방은 구획판(82)에 의해 씌워져 있다. 이에 의해, 관(62, 63)의 외표면에 결로한 경우나, 만에 하나 관(62, 63)에 균열이 생긴 경우라도 그에 의거한 물방울이 회로 기판(66)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83, 84)이 구비됨으로써, 저탕 탱크(5) 부근에 생기는 증기가 외장부(2) 내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펌프용 케이스(80)에는 기어 펌프(6)가 수용되고, 기어 펌프(6)를 구동하는 모터(81)는 기어 펌프(6)에 부착되어 있지만, 그 대부분이 케이스(80)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15는 도14에 도시한 펌프용 케이스(8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또한, 도15는 펌프용 케이스(80)의 횡단면을 상부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15를 다시 참조하여 관(62, 63)은 펌프용 케이스(80) 내의 기어 펌프(6)에 접속하기 위해 펌프용 케이스(80)를 관통하고 있다. 펌프용 케이스(80)의 내벽에는 기어 펌프(6)가 탕을 보낼 때에 생기는 소리를 흡수하기 위한 흡음 부재(80A)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의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모터(81)중 적어도 일부가 펌프용 케이스(80) 밖으로 드러나게 됨으로써, 모터 (81)가 구동한 경우라도 모터(81)의 방열이 충분히 행해진다.
다시,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저탕 탱크(5) 내에는 히터(50)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50)는 그 일부분이 나선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히터(50)가 나선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직선 구조만으로 히터가 구성되는 것보다도 강력하고 또한 빠르게 저탕 탱크(5) 내의 탕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추출을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나선 구조는 저탕 탱크(5) 내의 상부, 예를 들어 저탕 탱크(5)의 상측 절반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선 부분을 유출로(52)에 근접시킴으로써, 추출용 컵(100)에 온도가 높은 탕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저탕 탱크(5)의 바닥부 부근의 구조를 도16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에는 저탕 탱크(5) 및 저탕 탱크(5)의 바닥부에 부착된 너트(58)의 종단면 및 드레인 콕(57) 및 조작 레버(55)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드레인 콕(57)은 접속통(57A)에 배수관(56)이 접속된다. 너트(58)는 수평면(58A)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통부(58B)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면(58A)은 원반이 그 외주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부분적으로 절결부(58X) 가 형성된 형상을 갖고 있다.
도17에, 너트(5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수평면(58A)에 통부(58B) 내의 공동부와 접속되는 절결부(58X)가 형성됨으로써, 너트(58)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갖고 있다. 또한, 저탕 탱크(5)의 하부는 그 벽면이 경사를 갖고 있다. 조작 레버(55)가 개방되어 저탕 탱크(5)로부터 드레인 콕(57)을 거쳐서 배수관(56)에 탕이 배출될 때, 하부 벽면의 경사에 의해 저탕 탱크(5)의 바닥부 중앙에 탕이 모이게 된다. 그리고, 바닥부 중앙이며 너트(58) 부근에 모인 탕은 절결부(58X)로부터 통부(58B) 내의 공동으로부터 드레인 콕(57)으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5)가 개방되면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남김 없이 드레인 콕(57)을 거쳐서 배수관(56)으로 유도되게 된다.
도18에, 증기관(59)과 저수 탱크(3)와의 접속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증기관(59)은 저수 탱크(3)와 접속하는 부분(59A)의 내경을 저수 탱크(3)측 쪽이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증기관(59)에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침입한 경우라도 상기 탕이 저수 탱크(3) 내로 흐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일시적이라도 증기관(5) 내로 많은 탕이 혼입한 경우에 증기관(5)이 탕의 순환 경로가 되거나, 또는 저수 탱크(3)에 있어서 증기관(5)과의 접속 부분 근방까지 물이 들어가게 된 경우라도 저수 탱크(3)와 저탕 탱크(5) 사이에서 탕(또는 물)이 순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수 탱크(3)와 저탕 탱크(5) 사이에서 물이 순환하고, 저탕 탱크(5)의 히터(50)가 저수 탱크(3) 내의 물까지도 저탕 탱크(5) 내의 탕과 동일한 온도까지 가열하지 않으면 추출이 개시되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증기관(59) 내의 증기를 많이 저수 탱크(3)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증기관(59)에 있어서 부분(59A)과 같이 내경이 변화하는 부분은 저수 탱크(3)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고, 저수 탱크(3)와 증기관(59)이 접속하는 위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19에, 저탕 탱크(5)의 상부에 구비된 유출로(52) 부근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유출로(52)는 관(53)과 접속되어 있다. 유출로(52)의 근방에는 온도 센서(54)가 셋트되는 센서용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9에서는 온도 센서(54) 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유출로(52)가 관(53)과 접속됨으로써, 상기 유출로(52)의 하단부는 기어 펌프(6)로 탕을 흐르게 하는 관의 저탕 탱크(5)측의 개구가 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로(52)의 하부에는 상기 유출로(52)의 하단부 개구에 상기 개구와 거리를 두고 수직 방향에 대향하도록 정류 부재(52A)가 부착되어 있다. 정류 부재(52A)가 부착됨으로써, 유출로(52)의 하단부로부터 저탕 탱크(5) 내의 탕이 흡입될 때, 수직 방향(도19 중 화살표 P 방향)으로부터는 유출로(52)로 탕이 도입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류 부재(52A)의 내벽에 따른 방향(도19 중 화살표 Q 방향)으로부터 유출로(52)로 주로 탕이 도입된다. 이에 의해, 저탕 탱크(5) 내에 탕이 가열될 때에 기포가 발생한 경우라도 상기 기포가 유출로(52), 관(53)을 거쳐서 기어 펌프(6)에 흡입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음료추출장치(1)에서는 기어 펌프(6)를 이용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을 추출용 컵(100)으로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그리고, 음료추출장치(1)는 정류 부재(52A)가 구비됨으로써 기어 펌프(6)로 공기가 보내지는 것이 회피되고, 이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을 정확하게 추출용 컵(100) 으로 도입할 수 있다.
다음에, 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 행해지는 전체적인 동작의 제어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20 및 도21에, 음료추출장치(1)가 구비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행하는 일반적인 동작의 제어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CPU는 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의 모든 부재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제어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설정 SW)는 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 저수 탱크(3)로의 급수를 사용자에 의한 수동식으로 대응시킬지, 소정의 급수 장치를 접속시키는 자동식으로 대응시킬지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회로 기판(66) 상에 설치되는 스위치이다. 또한, 수위 검지 스위치(수위 검지 SW)는 수위 센서(30)가 물을 검지하고 있을 때에 온이 되는 스위치이며, 그 검지 출력이 회로 기판(66) 상의 소정의 회로에 출력되는 스위치이다. 수위 검지 스위치의 검지 출력에 의해, 저수 탱크(3) 내의 수위가 수위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까지인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3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수 탱크(3) 내의 비교적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 스위치(도어 SW)는 전술한 서랍(29)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이고, 서랍(29)이 추출실(70) 내에 수용되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으면 온이 되고, 서랍(29)이 상기 적합한 위치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오프된다. 또한, 전방 스위치(전방 SW)는 스위치(78)이고, 후방 스위치(후방 SW)는 스위치(77)이다.
여기서, 스위치(77, 78)의 동작에 대해 도8을 다시 참조하여 치형판(75)의 이동 태양과 관련지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위치(78)는 판부재(78A)가 화살표 RB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온-오프가 절환된다. 스위치(77)는 판부재(77A)가 화살표 RA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온-오프가 절환된다. 치형판(75)에는 스위치(77, 78)측의 측면에 볼록부(7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스타트 SW)는 스타트 버튼(21) 또는 스타트 버튼(22)이 압박됨으로써 온하는 스위치이다. 기어 모터(73)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치형판(75)이 화살표 RB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볼록부(76)의 전단부가 판부재(78A)를 화살표 RB 방향으로 압박하면, 스위치(78)가 온이 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치 형판(75)이 화살표 RA 방향으로 이동하여 볼록부(76)에 의해 판부재(78A)의 압박이 해제되면, 스위치(78)는 오프가 된다. 한편, 기어 모터(73)가 상기 일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치형판(75)이 화살표 RA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볼록부(76)의 후단부가 판부재(77A)를 화살표 RA 방향으로 압박하면(도8에 도시한 상태), 스위치(77)가 온이 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치형판(75)이 화살표 RB 방향으로 이동하고 , 볼록부(76)에 의해 판부재(77A)의 압박이 해제되면, 스위치(77)는 오프가 된다. 즉, 기어 모터(73)가 회전함으로써 치형판(75)이 이동함으로써, 스위치(77, 78)의 온-오프가 절환된다. 또한, 치형판(75)은 볼록부(76)가 판부재(77A)를 압박 하는 위치로부터 판부재(78A)를 압박하는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컵 검출 스위치(컵 검출 SW)는 레버(86A)가 스위치(86)의 본체 내에 수용됨으로써 온이 되는 스위치이다. 즉, 추출용 컵(100)의 유무 및 추출용 컵(100)이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시 도20을 참조하여, 음료추출장치(1)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투입되면, CPU는 우선 스텝 S1(이하, 스텝을 생략함)에서 설정 SW의 온/오프를 검출한다. 또한, 음료추출장치(1)에 대한 외부로부터 전력을 투입하는지의 여부는 필요에 따라 음료추출장치(1)의 후방부에 부착된 전원 스위치(99)(도3 등 참조)가 수동 조작됨으로써 절환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CPU에서 전원공급검출부를 통한 신호 검출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해 절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설정 SW가 온이 되어 있는[추출장치(1)가 저수 탱크(3)에 수동으로 급수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S3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설정 SW가 오프로 되어 있는[음료추출장치(1)가 저수 탱크(3)에 자동으로 급수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로 진행시킨다. 스텝 S2에서는, CPU는 급수용 전자 밸브를 개방하도록 신호를 출력하여 스텝 S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급수용 전자 밸브라 함은, 저수 탱크(3)에 접속된 밸브이며, 개방됨으로써 저수 탱크(3)로 물이 도입되고 폐쇄됨으로써 저수 탱크(3)로의 물의 도입이 정지된다. 스텝 S3에서는, CPU는 수위 검출 SW의 검지 출력이 온이 될 때까지, 즉 수위 센서(30)의 위치에 물이 존재하는 것이 검지될 때까지 스텝 S4에서 물보충 LED[램프(26)]를 점등시켜 처리를 스텝 S5로 진행시킨다. 스텝 S5에서는, 스텝 S1과 마찬가지로 설정 SW의 온/오프를 검출하고, 온인 경우에는 스텝 S8로, 오프인 경우에는 S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도20에서는 설정 SW가 온인 경우를, CPU가 예라고 판단한 경우라 기술하고 있다. 스텝 S6에서는, 소정의 타이머를 참조함으로써, 스텝 S5의 처리 후 15초가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15초가 경과하면, 스텝 S7에서 상기한 급수용 전자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스텝 S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8에서는, CPU는 온도 센서(54)가 검지하는 수온이 97 ℃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온이 97 ℃ 이하이면, 스텝 S9에서 히터(50)를 온하여 가열을 개시하고 스텝 S10에서 준비중 LED[램프(24)]를 점등시킨다. 스텝 S9에서의 가열은 스텝 S11에서 수온이 97 ℃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스텝 S11에서 수온이 97 ℃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CPU는 스텝 S12에서 히터(50)를 오프하고, 스텝 S1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음료추출장치(1)에 있어서, S1 내지 S12의 처리에서는 설정 SW에 있어서의 저수 탱크(3)로의 급수 태양의 설정 내용에 따라서, 제어 내용이 변화한다. 즉, 설정 SW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위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물이 있다고 검지된 것에 따라서 가열이 개시된다. 한편, 상용전원이 이용되며 설정 SW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위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물이 있다고 검지된 후 15초간 급수용 전자 밸브가 개방 상태가 되어 급수가 행해진 후, 상기 급수용 전자 밸브가 폐쇄 상태가 되어 가열이 개시된다. 이것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에 의해 도입 신호 출력부가 구성되고, 설정 SW에 의해 물도입 설정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정 SW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물도입 설정부에 있어서 물도입 신호를 출력시킨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그리고, 스텝 S13에서 CPU는 램프(25)를 점등시키고, 스텝 S14에서 도어 SW가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오프되어 있으면 S15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전회의 추출 동작으로부터 아직 한 번도 오프된 것이 검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8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스텝 S15에서는, CPU는 도어 SW가 온이 되는 것을 기다려 스텝 S1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6에서, CPU는 램프(25)를 점멸시켜 처리를 스텝 S17로 진행시킨다. 스텝 S17에서는, CPU는 스타트 SW가 온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CPU는 스타트 SW가 온이 되는 것을 검지할 때까지 스텝 S16 내지 스텝 S17의 처리를 반복하고, 스타트 SW가 온이 된 것을 검지하면 처리를 스텝 S18로 진행시킨다. 스텝 S18에서는, 기어 모터(73)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정회전이라 함은 치형판(75)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 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치형판(75)은 도1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12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한다. 그리고, CPU는 스텝 S19에서 전방 SW가 온이 된 것을 검지하면, 스텝 S20에서 기어 모터(73)의 회전을 정지시켜 처리를 스텝 S21로 진행시킨다. 스텝 S21에서는, CPU는 컵 검출 SW가 온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온이 되어 있으면 스텝 S22에서 추출 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 S2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22의 추출 동작의 처리 내용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컵 검출 SW가 온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는 스텝 S23에서 부저 등에 의해 에러 통지를 행하여 처리를 스텝 S24로 진행시킨다. 스텝 S24에서는, CPU는 후방 SW가 온이 될 때까지(스텝 S25에서 예 판단시) 기어 모터(73)를 반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스텝 S26에서 기어 모터(73)의 회전을 정지시켜 스텝 S2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27에서는, 수위 검출 SW가 온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온이 되어 있으면 스텝 S8로, 온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로 각각 처리를 진행시킨다.
이상 설명한 처리에서는, 기어 모터(73)의 구동은 전방 SW 또는 후방 SW가 온이 됨으로써 정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정지는 2단계에서 행해지고 있다. 기어 모터(73)의 구동 정지에 대해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3은 회로 기판(66)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기어 모터(73)의 구동에 관련된 부분의 회로도이다. 도22에 도시한 회로도에서는 기어 모터(73), 스위치(77, 78), 방전용 저항(177, 178), 릴레이(170) 및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 IC)(175)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77, 78)는 각각 판부재(77A, 78A)가 볼록부 (76)에 압박됨으로써 회로를 폐쇄하고, 상기 압박이 해제됨으로써 회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170)에는 기어 모터(73)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는 스위치(171, 172)가 포함된다. 스위치(171, 172)는 각각 3개의 접점(171A 내지 171C, 172A 내지 172C)을 구비하고 있다. IC(175)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회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스위치(171, 172)에 의한 회로의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기어 모터(73)의 회전 방향이 제어된다. 기어 모터(73)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스위치(171)에서는 접점(171A)과 접점(171B)이 접속되고, 스위치(172)에서는 접점(172A)과 접점(172B)이 접속된다. 한편, 기어 모터(73)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스위치(171)에서는 접점(171B)과 접점(171C)이 접속되고, 스위치(172)에서는 접점(172B)과 접점(172C)이 접속된다.
도23에 도시한 회로 내의 접점(P1 및 P2)은 직류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기어 모터(73)에 흐르게 하는 전류의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기어 모터(73)의 구동 방향을 반전시키고 있다. 그리고, 기어 모터(73)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는 IC(175)로부터의 출력이 오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에 더해 스위치(77, 78)에 의한 회로의 개폐도 절환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어 모터(73)의 정회전 방향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는 볼록부(76)가 판부재(78A)를 압박함으로써 스위치(78)가 회로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는 IC(175)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는 데다가 그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방전용 저항(178)에 의해 소비된다. 또한, 도23에 도시한 회로에서는 기어 모터(73)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될 때, 기어 모터(73)에는 도면 중 화살표 L2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로 인해, 스위치(78)가 회로를 폐쇄하였을 때, 다이오드(178A)에 의해 기어 모터(73)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효율적으로 방전용 저항(178)에 의해 소비되어 기어 모터(73)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기어 모터(73)의 역회전 방향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는, 볼록부(76)가 판부재(77A)를 압박함으로써 스위치(77)가 회로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는 IC(175)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는 데다가 그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방전용 저항(177)에 의해 소비된다. 또한, 도22에 도시한 회로에서는 기어 모터(73)가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될 때, 기어 모터(73)에는 도면 중 화살표 L1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로 인해, 스위치(77)가 회로를 폐쇄하였을 때, 다이오드(177A)에 의해 기어 모터(73) 주변에 잔류하는 전류가 효율적으로 방전용 저항(177)에 의해 소비되어 기어 모터(73)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정지가 IC(175)를 이용한 것과, 스위치(77, 78)를 이용한 것과의 2단계로 행해지고 있다. 이에 의해, 기어 모터(73)를 정지해야 할 때에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 부재(64)가 도11 또는 도12에 도시한 대기 위치 또는 추출 동작시의 위치에 확실하게 정지된다.
도22는 스텝 S22의 추출 동작 처리의 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이하, 추출 동작 처리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추출 동작 처리에서는, CPU는 스텝 S221에서 스타트 SW가 온이 된 것은 핫에 대응하는 스타트 버튼(21)이 압박된 것에 의한 것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렇다면 스텝 S22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24로 진행시킨다. 스텝 S222에서, CPU는 추출용 컵(100) 내에 기어 펌프(6)로 탕을 보냄으로써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을 20초간에 걸쳐서 도입시킨 후, 스텝 S223에서 3방 전자 밸브(60)의 밸브를 절환함으로써 도입침(65)과 흡기 구멍(61)을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에 추출용 컵(100)으로 10초간 공기를 보내어 복귀한다. 한편, 스텝 S224에서 CPU는 스타트 SW가 온이 된 것은 아이스에 대응하는 스타트 버튼(22)이 압박된 것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렇다면 스텝 S22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224에서 스타트 버튼(22)의압박에 의한 것이라 판단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CPU는 다시 처리를 스텝 S221로 복귀시킨다. 스텝 S225에서는, 추출용 컵(100) 내에 기어 펌프(6)로 탕을 보냄으로써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의 일부를 6초간에 걸쳐서 도입시킨 후, 스텝 S226에서 2초간 대기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양의 탕의 나머지를 12초간에 걸쳐서 추출용 컵(100) 내로 도입시킨 후, 3방 전자 밸브(60)의 밸브를 절환함으로써 도입침(65)과 흡기 구멍(61)을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에 추출용 컵(100)으로 10초간 공기를 보내어 복귀한다. 음료추출장치(1)에서는 핫, 아이스의 각각에 대해 다른 양의 탕을 추출용 컵(100) 내로 도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추출장치(1)에 있어서, 회로 기판(66) 상에 구비되어 있는 회로 중, 탕의 도입량을 설정하는 부분의 회로도를 도24에 도시한다. 도24에 도시한 회로에는 기어 펌프(6)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81), IC(10), 트랜지스터(90, 98), 스위치(91 내지 97), 저항(11 내지 17) 및 저항(18, 19)이 포함되어 있다. 트랜지스터(90, 98)는 각각 아이스용 추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ICE 제어 회로), 핫용 추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HOT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IC(10)는 추출 동작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추출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90)에는 스위치(91 내지 93) 및 저항(11 내지 13)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98)에는 스위치(94 내지 97) 및 저항(14 내지 17)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11 내지 17)은 저항(18)에 대해 병렬로, 저항(19)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음료추출장치(1)에서는 아이스용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트랜지스터(90)가 온이 된다. 또한, 이 때 모터(81)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항(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와 저항(18)과의 합성 저항과, 상기 저항(19)에 의해 분압됨으로써 결정된다. 모터(81)에 공급되는 전압치는 기어 모터(6)를 구동하는 전압치이므로, 추출용 컵(100)으로 도입되는 탕의 양에 대응한다. 즉, 아이스용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스위치(91 내지 93) 중 어느 하나로 회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 있어서의 추출량이 설정된다. 또한, 음료추출장치(1)에서는 핫용 추출 동작이 행해질 때, 트랜지스터(98)가 온이 된다. 그리고, 아이스용 추출 동작과 마찬가지로 스위치(94 내지 97) 중 어느 하나로 회로를 폐쇄시킴으로써, 핫용 추출 동작에 있어서의 추출량이 설정된다. 또한, 각 경우의 추출량은 저항(11 내지 17)의 저항치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즉, 스위치(91 내지 97)에 의해 기어 펌프(6)에 1회의 급탕 동작으로 보내는 탕의 양을 지정하는 탕량 지정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91 내지 97) 중 어느 하나로 회로를 폐쇄시킬지의 여부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2에 도시한 추출 동작 처리에 있어서의 타이밍 차트를 도25 및 도26에 도시한다. 또한, 도25는 핫용 추출동작에 대응하고, 도26은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 대응한다. 또한, 도25, 도26에는 기어 모터(73)의 구동 태양, 3방 전자 밸브(60)의 구동 태양, 기어 펌프(6)의 구동 전압이 도시되어 있다.
도25를 참조하여 핫용 추출 동작 처리가 개시되면, 기어 모터(73)가 정회전 방향으로 약 1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 후, 3방 전자 밸브(60)가 관(63)을 관(53)과 접속시켜 기어 펌프(6)가 18V의 구동 전압으로 20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0초간의 추출용 컵(100)으로의 탕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 후, 3방 전자 밸브(60)가 관(63)을 흡기 구멍(61)과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가 22V의 구동 전압으로 10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용 컵(100) 내로 10초간 공기가 보내진다. 그 후, 기어 모터(73)가 약 1초간 반전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고정 부재(64)가 대기 위치로 상승된다.
도26을 참조하여, 아이스용 추출 동작 처리가 개시되면, 기어 모터(73)가 정회전 방향으로 약 1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에 적합 한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 후, 3방 전자 밸브(60)가 관(63)을 관(53)과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가 12V의 구동 전압으로 6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6초간 추출용 컵(100)으로의 탕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 후, 스텝 S226의 처리에 대응하도록 2초간 기어 펌프(6)의 구동이 정지되고, 스텝 S227의 처리에 대응하도록 다시 12초간 12V의 구동 전압으로 구동된다. 그 후, 3방 전 자 밸브(60)가 관(63)을 흡기 구멍(61)과 접속시키고, 기어 펌프(6)가 22V의 구동 전압으로 10초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텝 S2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용 컵(100) 내로 10초간 공기가 보내진다. 그 후, 기어 모터(73)가 약 1초간 반전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고정 부재(64)가 대기 위치로 상승된다.
이상 설명한 핫용 또는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서는 모두 고정 부재(64)가 추출 동작에 적합한 위치로 하강된 후 30초간 추출 동작이 행해지고, 그 중 마지막 10초간은 추출용 컵(100)으로 공기가 보내진다. 또한, 마지막 10초간에 있어서 추출용 컵(100)으로 공기를 보낼 때의 기어 펌프(6)의 구동 전압은 탕을 보낼 때의 구동 전압보다도 높다. 이에 의해, 추출용 컵(100)에는 공기가 강력하게 이송된다. 따라서, 추출용 컵(100) 내에 남은 추출액을 보다 많이 컵(400)등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핫용 및 아이스용에 있어서 추출량은 동일한 시간 내에 탕을 공급할 때의 기어 펌프(6)를 구동하는 전압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하게 된다. 또한, 기어 펌프(6)의 구동 전압은 도2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화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핫용 혹은 아이스용이라도, 또한 추출량이 변화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시간 내에 추출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도26에 도시한 아이스용 추출 동작에서는 추출 동작의 도중에서 2초간 기어 펌프(6)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탕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커피의 추출액을 얻는 경우라면 이 2초 동안에 추출용 컵(100) 내의 커피 원두를 증류할 수 있어 얻게 되는 추출액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용전원과 DC전원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를 들어 실시예를 설명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용전원을 위한 전원플러그, DC전환부, 및 전원공급검출부 없이 DC전원부만을 채용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DC전원부만 채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저탕탱크를 제거하고 저수탱크로부터 직접 밸브를 거쳐 추출용 컵에 탕을 공급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음료추출장치에 의하면 DC전원만으로도 장치의 이용이 가능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 환경에서도 여과된 뜨거운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장치의 이용 기회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분말 원료와 필터가 담긴 용기를 구비된 서랍에 넣고 상기 용기에 고온의 물을 저수탱크로부터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에 채워진 물의 보온을 위한 보온용 덮개;
    DC 전원을 발생하는 DC전원부; 및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상기 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 및 상기 저수 탱크 내의 공기 조절을 위한 밸브의 조작,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 및 구비된 센서의 검지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 및 내부 기구의 이동을 위한 각종 모터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DC전원부에서 발생한 DC 전원을 각 해당 부분에 적절히 배분하여 공급하는 DC전원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전환하는 DC 전환부; 및
    상기 DC전원분배부 및 상기 DC 전환부 중 어느 일측에서 상기 각 부하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절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환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검출하는 전원공급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전원공급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절환스위치를 상기 DC 전환부측으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KR2020060003819U 2006-02-10 2006-02-10 음료추출장치 KR200415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19U KR200415434Y1 (ko) 2006-02-10 2006-02-10 음료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19U KR200415434Y1 (ko) 2006-02-10 2006-02-10 음료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434Y1 true KR200415434Y1 (ko) 2006-05-03

Family

ID=4176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819U KR200415434Y1 (ko) 2006-02-10 2006-02-10 음료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4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588B1 (ko) 추출 장치
KR101307725B1 (ko) 음료 생성 기계를 위한 배수
US4309939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KR101976851B1 (ko) 가열 탱크로의 자동화된 물 전달을 통한 음료 제조용 장치 및 방법
CA1237909A (en) Apparatus for making tea or coffee
JP4922655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DK2651269T3 (en) AC magnetic AND / OR DC VOLTAGE DRIVEN MACHINE FOR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AND OTHER infused DRINK AND DRINKS
US4782744A (en) Beverage brewer and hot water dispenser
US6401729B1 (en) Beverage reservo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2405982B (zh) 一种基于饮用水供水系统的豆浆机
EP2447644A2 (en) Beverage-making insert with built-in water bypass
JP3766344B2 (ja) 抽出装置
KR200415434Y1 (ko) 음료추출장치
CN112789236B (zh) 用于分配水和风味饮料的液体分配器
JP2004298418A (ja) 抽出装置
JP2008178507A (ja) 飲料提供装置
JP2005230218A (ja) 家庭用ティー&コーヒーメーカー
JP3708850B2 (ja) 飲料抽出機用の保温容器
US20220160164A1 (en) Beverage Brewer with Hot- and Cold-Brew Options
JPH067248A (ja) 定量注出貯湯容器
JP2006263216A (ja) 飲料抽出方法および飲料抽出器
JPH0341614Y2 (ko)
CA1173658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JPH0669422B2 (ja) コ−ヒ−沸し器
JPH02274209A (ja) 給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