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071Y1 - 커피 배출기 - Google Patents

커피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071Y1
KR200188071Y1 KR2020000002391U KR20000002391U KR200188071Y1 KR 200188071 Y1 KR200188071 Y1 KR 200188071Y1 KR 2020000002391 U KR2020000002391 U KR 2020000002391U KR 20000002391 U KR20000002391 U KR 20000002391U KR 200188071 Y1 KR200188071 Y1 KR 200188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ischarge
hot water
prim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2020000002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전투입과 종이컵을 사용하지 않고도 커피를 뽑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커피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커피, 프림, 설탕이 채워지는 배출통과, 상기 배출통의 하부에서 회전되며 커피, 프림, 설탕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온수통에서 가열된 온수배출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컵이 안착되었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커피, 프림, 설탕의 배출량을 선택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입력과 감지센서 입력에 따라 커피, 프림, 설탕, 온수의 배출을 콘트롤하는 콘트롤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커피 배출기{Coffee mixer}
본 고안은 동전투입 없이도 커피를 뽑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커피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기호식품인 커피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많이 마시고 있다.
소규모 사무실이나 접대장소에서는 직원이나 손님이 찾아올 경우 일일이 타서 먹게하거나 자판기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커피를 타서 먹을 경우 준비과정이 번거럽고 시간을 뺏기게 되는 문제가 있고, 자판기를 이용할 경우 자판기 가격도 비싸고, 판매량이 너무 적어 문제가 된다.
본 고안은 소형의 커피배출기로써, 동전투입 없이도 커피를 뽑아먹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동전투입이 없어 동전 및 지폐인식부가 필요없고, 거스름돈 배출구가 불필요하며, 외부에서 컵을 대고 커피를 채우는 형태를 취하여 1회용 컵 수납 및 배출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커피, 프림, 설탕이 채워지는 배출통과, 상기 배출통의 하부에서 회전되며 커피, 프림, 설탕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온수통에서 가열된 온수배출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컵이 안착되었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커피, 프림, 설탕의 배출량을 선택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입력과 감지센서 입력에 따라 커피, 프림, 설탕, 온수의 배출을 콘트롤하는 콘트롤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광센서를 취부시켜 모두 다 퇴근한 후에는 작동을 정지시켜 전기료를 절감시키도록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배출통 일부절결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온수통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투입구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배출스크류 설치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전자밸브 결합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보충수조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실시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피배출기 2 : 반자동버튼 3 : 자동버튼
4 : 컵안치대 5 : 컵감지센서 6 : 광센서
7 : 보충수조 8 : 보충수통 10 : 배출통
12 : 모터 13 : 배출스크류 20 : 온수통
21 : 히터 30 : 단열재 31 : 통기공
본 고안의 커피배출기(1)는 기존 커피자판기에서 동전 투입과 컵 배출이 필요없는 구조로써, 전면에는 다수의 반자동버튼(2)과 자동버튼(3)이 설치되는 한편 컵안치대(4)가 형성되고, 상기 컵안치대(4)의 안쪽에는 컵이 안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컵감지센서(5)를 설치하며, 커피배출기(1)외측 적정장소에 광센서(6)를 취부시킨다.
커피배출기(1)의 상부에는 보충수조(7)가 형성되고 상기 보충수조(7)에는 통상의 PET 보충수통(8)이 끼워지게 된다.
본 고안은 통상의 PET 보충수통(8)을 사용하게 되어 생수통 사용에 비하여 편리하고 원수보충이 쉽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반자동버튼(2)은 각각의 버튼(2)을 누른시간 또는 횟수에 따라 배출되는 커피, 프림, 설탕, 온수의 량이 조절되게 하여 취향에 맞게 타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자동버튼(3)은 각각의 버튼(2)을 누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량의 커피+프림+설탕+온수, 커피+프림+온수, 커피+설탕+온수, 커피+온수가 배출되게 한다.
광센서(6)는 빛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커피배출기(1)가 작동되게 하고 퇴근 후 빛이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중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컵감지센서(5)는 외부에서 컵이 투입되어져야 하므로 컵이 컵안치대(4)에 안치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컵이 안치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외부에서 컵을 넣어 사용하므로 본인이 사용하는 컵을 사용할 수 있고, 손님만 1회용 컵을 사용하면 1회용 종이컵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피배출기(1)의 전면에는 개폐되는 투입구(11)를 설치하여 투입구(11)를 개방시킨 후 배출통(10)에 커피, 프림, 설탕을 보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커피, 프림, 설탕이 담겨지는 배출통(10)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며 하측으로 3개의 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3개의 배출스크류(13)를 설치하여 각각의 배출스크류(13)회전에 따라 커피, 프림, 설탕이 배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되게 한다.
배출구(14)선단에는 커피, 설탕, 프림 배출시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닫히는 덮개(15)를 구비한다.
배출통(10)의 상측 전면으로는 전방으로 회동되는 투입구(11)를 설치한다.
상기 배출통(10)은 하측과 분리되게 하고 고정클립(16)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출통(10)내부 청소시 분리시켜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통(10)의 후방에는 온수통(20)을 설치하되 온수통(20)과 배출통(10)사이에는 통기공(31)이 형성된 단열재(30)를 설치하여 온수통(20)의 열기가 통기공(31)을 통해 배출통(10)에 전달되므로써 배출통(10)의 습기를 제거하여 커피, 프림, 설탕이 굳게되는 것을 방지한다.
온수통(20)에는 히터(21)와 온도감지센서(22)를 설치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하고 온수통(20)의 온수는 전자밸브(23)구동시 온수배출구(24)를 통하여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전자밸브(23)는 보빈코일(23a)구동시 내부에서 온수공급을 개방하게 구성되고 보빈코일(23a)구동이 종료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온수공급이 차단되게 구성된다.
상기 배출통(10)의 배출구(14)와 온수배출구(24)에서 배출된 커피, 프림, 설탕, 온수는 컵안치대(4)에 놓여진 컵안에 떨어지도록 그 위치를 잡아준다.
온수통(10)상측에는 보충수조(7)가 설치되고 보충수통(8)에 의해 보충수를 공급받아 온수통(20)에 공급되며 여기서 보충수통(8)은 1.5ℓ 또는 1.8ℓ의 PET병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보충수조(7)에는 저수위센서(7a)가 설치되고 상기 저수위센서(7a)의 감지는 저수위감지 및 알람회로(7b)에서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게 한다.
도 9 는 본 고안 실시회로도로써
광센서스위치부(6a)는 광센서(6)입력을 감지하여 빛이 존재하는 경우만 통전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차단하도록 하며, 콘트롤 PCB 회로부(40)는 반자동버튼(2)과 자동버튼(3)으로 이루어진 반자동버튼입력부(41)와 자동버튼입력부(42)의 입력을 감지하여 3개의 모터(12)와 전자밸브(23)의 구동을 제어한다.
저수위감지 및 알람회로(7b)는 저수위센서(7a)입력을 감지하고 저수위감지시 버저(7c)를 구동시키며, 히터(21)에 공급되는 전원은 바이메탈식 온도감지기(21a)를 통하여 공급되게 하므로써 일정온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SW1은 메인스위치이고 SW2는 광센서(6)를 이용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수동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투입구(11)를 개방시켜 배출통(10)에 커피, 프림, 설탕을 채우고 보충수통(8)에 물을 채워 놓은 후 전원을 투입하면 준비가 완료된다.
여기서 보충수통(8)은 PET 병을 사용하여 보충수를 채워 넣기가 용이하고 정수기 물을 담아 사용할 수도 있다.
커피배출기(1)는 광센서(6)에 의해 빛이 감지되는 경우(재실자가 있는 경우)에만 정상작동되게 하고 빛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퇴근상태)에서는 작동이 중단되게 한다.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는 히터(21)가 가열되어 온수통(20)의 온도를 적정온도까지 상승시키며, 이때 온수통(20)의 열기가 단열재(30)의 통기공(31)을 통하여 배출통(10)에 전달되어 습기를 제거시킴으로써 커피, 프림, 설탕이 굳게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인의 컵이나 비치된 일회용 컵등을 컵안치대(4)에 놓으면 컵감지센서(5)가 이를 감지하여 컵이 안착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정상작동하게 하고 컵이 안착되지 않으면 버튼(2)(3)입력을 무시하도록 하여 컵이 놓여졌을 경우에만 커피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사용자는 컵을 안치시킨 후 반자동버튼(2)이나 자동버튼(3)을 누르게 되며, 반자동버튼(2)을 누르면 커피, 프림, 설탕, 온수의 배출량을 원하는 량만큼 배출시키게 되고, 자동버튼(3)을 누르면 미리 정해진 종류 및 량이 배출된다.
반자동버튼(2) 또는 자동버튼(3)이 눌리면 모터(12)와 전자밸브(23)가 작동하게 되고, 모터(12)가 회전하면 배출스크류(13)가 회전하여 커피, 프림, 설탕을 배출구(14)로 배출시키며, 이때 덮개(15)는 원료배출시 열렸다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고, 전자밸브(23)가 작동하면 온수통(20)의 온수를 온수배출구(24)로 배출시키게 된다.
배출구(14)와 온수배출구(24)로 배출된 커피, 프림, 설탕, 온수는 컵안치대(4)의 컵안에 담겨지게 되고 사용자는 컵을 인출하여 마시면 된다.
본 고안은 저수위센서(7a)를 설치하여 온수가 부족할 경우 버저(7c)로 경보음을 울리게 하고, 배출통(10)을 고정클립(16)으로 착탈케 하여 청소를 할 경우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동전투입이 불필요한 커피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소형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커피를 탈 때의 번거러움을 덜어줄 수 있으며, 누구든 컵만 안치시킨 후 버튼을 누르면 커피를 먹을 수 있다.
또한 동전투입이 불필요하므로 거스름돈 배출구조가 불필요하고 컵의 투출구조가 불필요하며, 소형, 저가화가 가능하므로 소량사용이 필요한 사무실이나 접대장소에 설치하면 접대음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2)

  1. 커피, 설탕, 프림이 채워지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배출통(10)과,
    배출통(10)하부에서 커피, 설탕, 프림을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배출통(10)후방에 통기공(31)이 형성된 단열재(3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가열용 히터(21)와 보충수조(7)가 형성된 온수통(20)과,
    상기 온수통(20)의 온수배출을 콘트롤하는 전자밸브(23)와,
    컵안치대(4)에 놓여지는 컵의 유무를 검출하는 컵감지센서(5)와,
    빛을 검출하여 사람이 활동하는 시간대만 작동시키는 광센서(6)와,
    커피, 설탕, 프림, 온수의 배출량을 선택하는 반자동버튼(2) 및 자동버튼(3)과,
    상기 센서(5)(6) 및 버튼(2)(3)입력에 따라 커피, 설탕, 프림, 온수 배출을 콘트롤하는 콘트롤수단으로 구성된 커피 배출기.
  2. 제 1 항에서, 배출수단은 배출통(10)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시 커피, 설탕, 프림을 배출구(14)로 밀어내는 배출스크류(13)와,
    상기 배출스크류(13)를 회전시키는 모터(12)와,
    상기 배출구(14)의 선단에 설치되고 자중으로 닫혀지는 덮개(15)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배출기.
KR2020000002391U 2000-01-28 2000-01-28 커피 배출기 KR200188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91U KR200188071Y1 (ko) 2000-01-28 2000-01-28 커피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91U KR200188071Y1 (ko) 2000-01-28 2000-01-28 커피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071Y1 true KR200188071Y1 (ko) 2000-07-15

Family

ID=1963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391U KR200188071Y1 (ko) 2000-01-28 2000-01-28 커피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0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65B1 (ko) * 2006-05-08 2008-02-01 나종식 커피 공급기
KR101232219B1 (ko) 2011-01-05 2013-02-13 김서헌 커피 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65B1 (ko) * 2006-05-08 2008-02-01 나종식 커피 공급기
KR101232219B1 (ko) 2011-01-05 2013-02-13 김서헌 커피 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4191A (en) Single serving beverage maker
US6073539A (en) Combination bottled water and coffee dispenser
AU2011334912A1 (en) Simple user-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GB2083443A (en) Dispensing device
KR200188071Y1 (ko) 커피 배출기
JP5067059B2 (ja) 自動給茶機
US20040118294A1 (en) Semiautomated coffee maker
RU2580482C2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одажи напитков
KR101407738B1 (ko)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JP2006300453A (ja) 貯湯タンクの給水装置
KR200188072Y1 (ko) 냉온수기 겸용 커피 배출기
JPH0570451B2 (ko)
JPH02274209A (ja) 給茶装置
KR200257877Y1 (ko) 커피 자동판매기
JP2005288010A (ja) 飲用材料供給機能付電気ポット
KR910006960Y1 (ko) 자동밥짓기
KR200322784Y1 (ko) 살균수단을 갖는 냉장고 디스펜서
JPS6339806Y2 (ko)
JP3784145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10078386A (ko) 냉온수기 겸용 커피 배출기
JP2002186554A (ja) 瞬間給湯装置
KR200160954Y1 (ko)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KR200234080Y1 (ko) 음료용 차의 자동판매기
KR200333578Y1 (ko) 자동판매기
JPH0618538B2 (ja) 給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