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954Y1 -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954Y1
KR200160954Y1 KR2019940039030U KR19940039030U KR200160954Y1 KR 200160954 Y1 KR200160954 Y1 KR 200160954Y1 KR 2019940039030 U KR2019940039030 U KR 2019940039030U KR 19940039030 U KR19940039030 U KR 19940039030U KR 200160954 Y1 KR200160954 Y1 KR 200160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supply pipe
vending machin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655U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40039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954Y1/ko
Publication of KR960024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9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를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컵과, 상기 컵이 안착되는 컵안착부와,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컵안착부로 모터축이 돌출된 모터와; 음료가 상기 컵의 외측으로 묻음이 없도록, 그 직경이 상기 컵의 직경(r)보다는 크고 상기 컵의 높이(h)보다 높은 위치(H)의 상기컵안착부에 설치되며, 음료의 잔액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컵으로 음료가 공급되도록 관통된 개구부가 구비된 회전받침부재와; 상기 회전받침부재의 상면에 구비되어서 상기 공급관으로 음료가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공급관의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음료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관의 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공급관이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하단에 결합된 힌지봉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회동부재로 구성된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공급이 완료되면 공급관의 단부가 회전받침부재의 배출구에 위치되므로써 공급관으로부터 떨어지는 음료가 컵의 외측면에 묻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이 컵의 외면에 음료가 묻어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음료자동판매기의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본 고안은 컵으로 음료를 공급하여 음료를 자동판매하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이 컵안착부로 안착되어서 공급관을 통해 컵으로 음료가 공급될 경우 컵의 외측으로 음료가 묻지 않도록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시켜서 음료자동판매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자동판매기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전면에 컵이 안착되는 컵안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다수의 컵을 저장보관하며 상기 컵안착부로 컵을 공급하는 컵공급수단과, 상기 컵공급수단이 설치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물을 저장보관하는 물탱크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어서 분말원료를 저장보관하는 다수의 분말원료통과, 상기 분말원료통의 분말원료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말원료를 물에 혼합시키는 원료혼합기와, 상기 원료혼합기에서 혼합된 음료를 상기 컵안착부에 안착된 컵으로 공급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원료혼합기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컵안착부에 위치된 공급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자동판매기는, 사용자가 주화 혹은 지폐를 동전투입구 혹은 지폐투입구로 투입시킨 후 선택버튼을 누르면, 상기 컵공급수단에 저장된 컵이 상기 컵안착부로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물탱크의 물 및 상기 분말원료통의 분말원료가 상기 원료혼합기에서 혼합되고, 상기 원료혼합기에서 혼합된 음료는 공급관에 가이드되어서 컵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관에 안내되어서 컵으로 공급되는 음료는 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잔여음료가 컵으로 공급될 경우 음료가 방울형태로 수직으로 낙하되게 되어 음료의 일부가 컵의 외측면에 묻게 되어 사용자가 컵을 컵인출부로부터 인출할경우 음료가 손에 묻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자동판매기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1987년 12월29일자로 실용신안출원되어서 1989년 8월 10일자로 공개된 공개실용신안 89-14305호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89-14305호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본체(1)내에 컵하우징(2)과 컵투출장치(3)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원료통(4)과, 온수히터(6)를 가진 온수조(5) 및 믹싱기(7)를 설치하며 하부에는 수위조절장치(8)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믹싱기(7)의 선단에 유입공(10)을 가진 공급관(9)을 설치하고 이의 외부에 보조수조(11)를 설치하며 보조수조(11)의 외측에는 보조히터용열선(13)과 단열재(14)를 설치하고 공급관(9)의 선단에는 노즐(15)을 설치하며 보조수조(11)는 수위조절장치(8)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개실용신안 89-14305호는 온수조(5)내의 물이 온수히터(6)에 의해서 가열되고 있다가 자동판매기에 코인을 넣고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컵투출장치(3)가 컵(17)을 컵하우징(2)으로 투출하고 이와 동시에 원료통(4)의 원료와 온수조(5)의 온수가 믹싱기(7)로 공급되어서 원료와 온수가 혼합되어 공급관(9)을 거쳐 노즐(15)로 공급되어 음료가 컵(17)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급관(9)의 외부에 설치된 보조수조(11)에 물이 공급되고 단열재(14)로 보온단열되는 보조히터용열선(13)이 발열되어 보조수조(11)내의 물을 가열시켜주며 가열된 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공급관(9)의 유입공(10)으로 유입되어 공급관(9)을 일차 가열시키게 되는데, 이는 믹싱기(7)에서의 혼합원료가 되기전에 이루어지므로써, 혼합원료가 공급관(9)으로 공급될 때에는 공급관(9)이 이미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온수가 식을 염려가 없고 일정온도로 가열된 온수가 원료와 함께 컵(17)으로 공급되어 첫잔의 음료를 공급받을 경우 음료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공개실용신안 89-14305호는 공급관(9)이 온수와 수증기에 의해 가열되므로써 음료의 온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개실용신안 89-14305호는 노즐(15)이 컵(17)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음료의 압력으로 컵(17)에 음료를 공급되게 되므로써 음료가 공급완료되기 직전(압력이 저하될 경우)에 음료의 일부가 컵(17)의 외측에 묻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음료자동판매기는 컵안착부에 안착된 컵과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관의 단부가 이격된 상태에서 음료가 공급되므로써 음료의 일부가 컵의 외측에 묻게 되어 소비자가 컵을 인출할 경우 음료가 손에 묻게 되어 소비자에게 불쾌함을 주게 되어 음료자동판매기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컵이 컵안착부로 안착되어서 공급관을 통해 컵으로 음료가 공급될 경우 컵의 외측으로 음료가 묻지 않도록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시켜서 음료자동판매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는, 최대직경이 r로 이루어지고 높이가 h로 이루어져 음료를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컵과, 상기 컵이 안착되는 컵안착부와, 상기 컵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컵으로 음료를 공급하도록 일단은 혼합용기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컵안착부에 위치된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을 통해서 상기 컵으로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컵의 측면으로 떨어짐이 없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컵안착부로 모터축이 돌출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서 상기 모터축이 회전될 경우 연동하여서 회전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컵의 외측으로 묻음이 없도록, 그 직경이 상기 컵의 직경(r)보다는 크고 상기 컵의 높이(h)보다 높은 위치(H)의 상기컵안착부에 설치되며, 음료의 잔액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컵으로 음료가 공급되도록 관통된 개구부가 구비된 회전받침부재와, 상기 회전받침부재의 상면에 구비되어서 상기 공급관으로 음료가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공급관의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음료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관의 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공급관이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하단에 결합된 힌지봉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회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의하면, 음료공급이 완료되면 공급관의 단부가 회전받침부재의 배출구에 위치되므로써 공급관으로부터 떨어지는 음료가 컵의 외측면에 묻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이 컵의 외면에 음료가 묻어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음료자동판매기의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89-14305호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를 발췌하여서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컵 21 : 컵안착부
22 : 공급관 30 : 모터
31 : 모터축 40 : 회전받침부재
41 : 배출구 42 : 개구부
50 : 회동부재 51 : 홀더
52 : 힌지봉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20)은 최대긱경이 r로 이루어지고 높이가 h로 이루어져 음료를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컵이고, (21)은 자동판매기의 선택버튼을 누를 경우 도시되지 않은 컵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컵(20)이 안착되는 컵안착부이다.
또, (22)는 상기 컵안착부(21)에 안착된 상기 컵(20)으로 음료를 공급하도록 일단은 도시되지 않은 혼합용기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컵안착부(21)에 위치된 공급관이다.
또한, (30)은 상기 공급관(22)을 통해서 상기 컵(20)으로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컵(20)의 측면으로 떨어짐이 없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음료공급 완료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컵안착부(21)로 모터측(31)이 돌출된 모터이다.
또, (40)은 회전받침부재(40)로서, 상기 모터(30)의 모터축(31)에 결합되어서 상기 모터축(31)이 회전될 경우 연동하여서 회전되어 상기 공급관(22)을 통하여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컵(20)의 외측으로 묻음이 없도록 그 직경이 상기 컵(20)의 직경(r)보다는 크고 상기 컵(20)의 높이(h)보다 높은 위치(H)의 상기 컵안착부(21)에 설치되며 음료의 잔액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배출구(41) 및 상기 컵(20)으로 음료가 공급되도록 관통된 개구부(4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50)은 회동부재(50)로서, 상기 회전받침부재(40)의 상면에 구비되어서 상기 공급관(22)으로 음료가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공급관(22)의 단부가 상기개구부(42)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관(22)으로부터 음료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관(22)의 단부가 상기 배출구(41)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22)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공급관(22)이 고정되는 홀더(51)와, 상기 홀더(51)의 하단에 결합된 힌지봉(52)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소비가가 동전투입구 혹은 지폐투입구로 동전 혹은 지폐를 투입하고 선택버튼을 누르면, 컵공급수단에 저장된 상기 컵(20)이 상기 컵안착부(21)에 안착되고, 상기 컵안착부(21)에 상기 컵(20)이 안착된 후에는 상기 공급관(22)을 통해서 선택된 음료가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는, 상기 컵안착부(21)에 상기 컵(20)이 안착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30)로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모터축(31)이 회전되고, 상기 모터축(31)이 회전되면 상기 모터축(31)과 결합된 상기 회전받침부재(40)가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상기 공급관(22)의 단부가 상기 회전받침부재(40)의 개구부(42)에 위치된다.
또, 상기 공급관(22)의 단부가 제4도에 도시된 실선과 같이 상기 회전받침부재(40)의 개구부(42)에 위치되면 상기 공급관(22)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컵(20)의 외측으로 묻음이 없이 정확하게 상기 컵(20)으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22)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30)가 역회전되어 상기 모터측(31)이 제4도에 도시된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모터축(31)에 접속된 상기 회전받침부재(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동부재(50)의 힌지봉(51)을 역회전시켜 상기 공급관(22)의 단부를 상기 회전받침부재(40)의 배출구(41)에 위치시킨다.
또, 상기 공급관(22)의 단부를 상기 회전받침부재(40)의 배출구(41)에 위치시키므로써 상기 컵(20)의 외측으로는 음료가 떨어지지 않게 되고, 다음의 음료판매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급관(22)으로 공급되는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관(22)의 단부가 상기 회전받침부재(40)의 배출구(41)에 위치되므로써 상기 컵(20)의 외측면에는 음료가 묻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컵(20)의 외측에 음료가 묻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컵에 묻은 음료에 의해 불쾌함을 주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음료자동판매기의 신뢰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 의하면, 음료공급이 완료되면 공급관의 단부가 회전받침부재의 배출구에 위치되므로써 공급관으로부터 떨어지는 음료가 컵의 외측면에 묻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이 컵의 외면에 음료가 묻어 소비자에게 뷸쾌감을 주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음료자동판매기의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최대직경이 r로 이루어지고 높이가 h로 이루어져 음료를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컵(20)과, 상기 컵(20)이 안착되는 컵안착부(21)와, 상기 컵안착부(21)에 안착된 상기 컵(20)으로 음료를 공급하도록 일단은 혼합용기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컵안착부(21)에 위치된 공급관(22)으로 이루어진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에있어서, 상기 공급관(22)을 통해서 상기 컵(20)으로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컵(20)의 측면으로 떨어짐이 없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컵안착부(21)로 모터축(31)이 돌출된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모터축(31)에 결합되어서 상기 모터축(31)이 회전될 경우 연동하여서 회전되어 상기 공급관(22)을 통하여 공급되는 음료가 상기 컵(20)의 외측으로 묻음이 없도록, 그 직경이 상기 컵(20)의 직경(r)보다는 크고 상기 컵(20)의 높이(h)보다 높은 위치(H)의 상기 컵안착부(21)에 설치되며, 음료의 잔액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배출구(41)와, 상기 컵(20)으로 음료가 공급되도록 관통된 개구부(42)가 구비된 회전받침부재(40)와, 상기 회전받침부재(40)의 상면에 구비되어서 상기 공급관(22)으로 음료가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공급관(22)의 단부가 상기 개구부(42)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관(22)으로부터 음료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관(22)의 단부가 상기배출구(41)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22)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공급관(22)이 고정되는 홀더(51)와, 상기 홀더(51)의 하단에 결합된 힌지봉(52)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회동부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KR2019940039030U 1994-12-30 1994-12-30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KR200160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030U KR200160954Y1 (ko) 1994-12-30 1994-12-30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030U KR200160954Y1 (ko) 1994-12-30 1994-12-30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55U KR960024655U (ko) 1996-07-22
KR200160954Y1 true KR200160954Y1 (ko) 1999-11-15

Family

ID=1940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030U KR200160954Y1 (ko) 1994-12-30 1994-12-30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9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55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6816C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8087542B2 (en) System for whipping a fluid slurry and method therefor
US4211342A (en) Combination hot and cold drink machine
US6095031A (en) Computer controlled brewing apparatus
US4682537A (en) Coffee making apparatus incorporating metered dispensing
EP0323592B1 (en) Beverage dispenser
US5111969A (en) Hot water dispenser with electronic control
US7225728B2 (en) Brewing apparatus with pre-infusion and pulse brewing
US4903585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coffee having a foamed surface
US5588557A (en) Beverage dispenser
US3266670A (en) Liquid drink dispensing machine
US6073539A (en) Combination bottled water and coffee dispenser
US4603620A (en) VPS with hot water dispenser
US6401729B1 (en) Beverage reservo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S61253021A (ja) コ−ヒ−抽出器
US4226267A (en) Vending machine with self contained water supply
US3353474A (en) Beverage dispenser
KR200160954Y1 (ko)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공급장치
JP2011242020A (ja) 給湯装置
CN214017130U (zh) 萃茶机
US3261280A (en) Coffee brewing machine
US4314767A (en) Dispenser of hot beverages prepared from water soluble extracts
WO2005080199A1 (en) Automatic consumer-operated dispensing machine
US20030196554A1 (en) Dual mode hot beverage dispenser
KR200188071Y1 (ko) 커피 배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