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023B1 - 굴착 작업기의 붐 - Google Patents

굴착 작업기의 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023B1
KR100976023B1 KR1020087024637A KR20087024637A KR100976023B1 KR 100976023 B1 KR100976023 B1 KR 100976023B1 KR 1020087024637 A KR1020087024637 A KR 1020087024637A KR 20087024637 A KR20087024637 A KR 20087024637A KR 100976023 B1 KR100976023 B1 KR 10097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upport point
arm
square tube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053A (ko
Inventor
야스유키 오야마다
케이이치 니시하라
타카히로 이케다
타카후미 노바야시
마사오 나가타
사이조우 콘도우
마사미 미야니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Abstract

굴착 작업기에서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40)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30)에 장착한 작업기(10)의 붐(15)에 있어서, 상기 붐(15)은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부분으로서 붐 받침점부(16)와,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와, 아암 받침점부(19)를 갖고, 상기 붐 받침점부(16)와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를 제1 범용 각형관(61)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와 상기 아암 받침점부(19)를 제2 범용 각형관(62)를 개재하여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굴착 작업기의 붐{BOOM FOR EXCAVATION MACHINE}
본 발명은 파워셔블(power shovel) 등으로 대표되는 굴착 작업기에 있어서, 작업기를 구성하는 붐의 구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파워셔블은 유압식 셔블 굴착 기계로서 널리 알려진 굴착 작업기이다. 파워셔블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하부 주행체와, 그 위에서 360도 회전할 수 있는 상부 선회체가 기본 구조이다. 상부 선회체에는 붐과 아암이 구비되고, 여기에 버킷 등의 부속 장치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파워셔블에서는 붐, 아암, 및 버킷을 함께 작업부라고 칭하고, 붐 및 아암을 프론트라고 칭한다.
붐은 아암 받침점부, 붐 받침점부, 및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의 3개의 받침점부를 갖는 통형 구조의 구조체이다. 굴착 작업시에 부속 장치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붐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붐은 아암을 작동시키는 아암 실린더가 위쪽에 배치된다.
작업중인 파워셔블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또한 굴착 작업시의 부하에 견디기 위해, 붐은 강도 및 경량화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상판 및 하판에 좌우의 측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인 붐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었다. 이와 같은 붐은 강도가 필요한 중앙 부분의 횡단면적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횡 단면이 삼각형이나 타원 형상(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인 붐도 공지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16548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중앙 부분의 폭을 넓게 하여 "〈"자형을 형성하는 측판 등의 제조, 그리고 이들 측판의 용접으로의 접합은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부품 코스트 및 제조 코스트의 낭비는 즉 제조 코스트의 낭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굴착 작업기의 작업기를 구성하는 붐의 부품 코스트 및 제조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에 장착한 작업기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은 각각이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부분으로서, 붐 받침점부와,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와, 아암 받침점부를 갖고, 상기 붐 받침점부와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를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와 상기 아암 받침점부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개재하여 연결하며, 상기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 및 상기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은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각각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굴삭 작업기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 받침점부,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 및 아암 받침점부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에 의해 구성한 표준 붐에 대해, 상기 스트레이트 각형관의 적어도 한쪽 길이를 변경하여 롱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구성하고, 상기 롱 스트레이트 각형관에 의해 롱 붐을 구성하며, 상기 롱 붐을 상기 상부 선회체에 장착 가능하게 하였다.
삭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에 장착한 작업기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은 각각이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부분으로서, 붐 받침점부와,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와, 아암 받침점부를 갖고, 상기 붐 받침점부와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를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와 상기 아암 받침점부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개재하여 연결하며, 상기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 및 상기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은 길이 방햐응로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각각 동일하게 하였으므로, 굴착 작업기의 붐의 구성에 있어서 일체 성형의 주조 부분 이외의 스트레이트부 즉,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부분은 범용의 각형관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것만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붐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각형관의 채용 및 부품수의 삭감에 의해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각형관을 이용함으로써 용접 부분이 적어지므로 제조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효과 외에 붐을 구성하는 모든 스트레이트 각형관에 대해 동일한 범용의 각형관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굴삭 작업기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 받침점부,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 및 아암 받침점부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에 의해 구성한 표준 붐에 대해, 상기 스트레이트 각형관의 적어도 한쪽 길이를 변경하여 롱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구성하고, 상기 롱 스트레이트 각형관에 의해 롱 붐을 구성하며, 상기 롱 붐을 상기 상부 선회체에 장착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 또는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은 적어도 한쪽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붐을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굴착 작업기에서의 붐의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셔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작업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아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준 붐 및 롱프론트의 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표준 아암 및 롱프론트의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5 붐
16 붐 받침점부
18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
19 아암 받침점부
61, 62 스트레이트 각형관
이하,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셔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마찬가지로 작업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마찬가지로 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아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표준 붐 및 롱프론트의 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표준 아암 및 롱프론트 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착 작업기로서 널리 알려진 파워셔블(50)을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다. 파워셔블(50)은 굴착 기계로서 토사나 바위를 굴착하기 위한 굴착 작업기이다. 이 파워셔블(50)은 가장 많이 이용되는 유압식 셔블의 굴착 기계로서, 토사의 굴착 작업을 주목적으로 하고 적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워셔블(50)은 크게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40), 크롤러식 주행 장치(40)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30), 상부 선회체(30)의 앞부분 좌우 중앙에 장착되는 작업기(10)로 구성된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40)의 전후 일측에는 블레이드(41)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크롤러식 주행 장치(40)는 가변 게이지의 크롤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작업시에 크롤러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30)의 차체 프레임(31)의 후방 상부에는 엔진(미도시)이 탑재되며, 엔진의 후부는 도시하지 않은 보닛 및 차체 프레임(31)에 의해 덮이고, 두 측부는 커버(32·32)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32·32)의 사이이면서 엔진의 상방에는 운전석(33)이 배치된다. 운전석(33)의 전 또는 측부의 근방에 조작 레버나 잠 금 레버 등이 배치됨과 함께 운전석(33) 전방의 발판(34) 상에 페달 등이 배치되어 운전 조작부(35)가 구성된다. 또한, 운전 조작부(35)의 상방에 차양(36)이 배치되거나 또는 주위에 캐빈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10)는 크게 붐(15), 아암(20), 및 버킷(25)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붐(15), 아암(20), 및 버킷(25)를 구동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차체 프레임(31)의 전단의 좌우 중앙부에는 붐 브라켓(37)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도 1 참조), 스윙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좌우 회동된다. 붐 브라켓(37)의 상부에는 붐(15)의 하부에 마련한 붐 받침점부(16)가 상하(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붐(15)을 회동시키기 위해, 붐 실린더(17)가 붐 브라켓(37) 앞부분과 붐(15) 중간부의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앞부분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아암(20)을 회동시키기 위해, 아암 실린더(23)가 붐(15) 중간부의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와 아암(20)의 후단부에 마련한 아암 받침점부(21)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버킷(25)을 회동시키기 위해, 버킷 실린더(26)가 아암(20) 후부의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와 버킷(25)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기(10)는, 붐(15)이 붐 실린더(17)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아암(20)이 아암 실린더(23)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버킷(25)이 버킷 실린더(26)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들 유압 액츄에이터인 실린더(17·23·26)나 상부 선회체를 회동시키는 선회 모터는, 운전 조작부(13)(도 1 참조)에 배치된 조작 레버나 페달 등의 회동 조 작에 의해 컨트롤 밸브(미도시)를 전환함으로써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유압 호스를 통해 압유를 공급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붐(15)은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굴곡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붐(15)의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3은 각각의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붐(15)은 붐 받침점부(16),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아암 받침점부(19),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 및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 등으로 구성되며, 붐 받침점부(16)와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사이에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이 배치되고,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와 아암 받침점부(19) 사이에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이 배치되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붐 받침점부(16),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및 아암 받침점부(19)는 일체 성형에 의한 주조 부품으로 한다. 한편, 스트레이트 각형관(61·62)은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소정 길이로 정해진(규격화된) 금속제의 범용 각형 파이프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스트레이트부(61) 및 제2 스트레이트부(62)는 동일한 범용 각형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 및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은 길이가 다를 뿐으로,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의 AA'선에 따른 단면 및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BB'선에 따른 단면의 단면 형상은 동일하다. 한편,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단면 형상을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의 단면 형상보다 작게 구성하여 다소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붐 받침점부(16)는 기초부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공(16a)을 개구하고, 지지축에 의해 붐 브라켓(37)의 상부에 지지된다. 붐 받침점부(16)의 타단측(상부)은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부(16b)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의 일단을 감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자형의 각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하부)의 개구부(18a)는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부(18a)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의 타단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타단(상부)의 개구부(18b)는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부(18b)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해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일단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전면측의 상하 중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공(18c)이 개구하고, 지지축에 의해 붐 실린더(17)의 피스톤 로드 선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후면측의 상하 중간에는 지지 볼록부(18d·18d)가 형성되고, 그 지지 볼록부(18d·18d)에 각각 축공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아암 실린더(23)의 보텀측을 지지축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받침점부(19)는 기초부측에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의 개구부(19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9a)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타단(상부)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받침점부(19)의 타단(선단)은 두 갈래로 나누어진 돌출부(19b·19b)를 형성하며, 그 돌출부(19b·19b)에 각각 축공을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고 지지축에 의해 아암(20)의 기초부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점부의 개구측의 외주와 스트레이트 각형관의 외주를 동일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차가 없는 접합이 가능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굴착 기계의 작업중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또한 굴착 작업시의 부하에 견디기 위해, 붐은 강도 및 경량화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상판 및 하판에 좌우의 측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인 붐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스트레이트 각형관(61·62)에 동일한 범용 각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붐(15)의 부품수(부품의 종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범용 각형 파이프는 가격이 저렴하다. 즉, 부품수 삭감 및 범용 각형 파이프의 채용에 의해 붐(15)의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범용 각형 파이프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가공만으로 종래와 같이 단면을 형성하는 용접 작업이 없어 제조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부품 코스트 및 제조 공정수를 삭감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 각형관(61·62)에 범용의 각형 파이프를 이용해도,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상단 및 하단 접합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종래와 같다. 또한, 종래는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필요 강도를 유지한 중앙 부분은 주조 부품인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필요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20)은 크게는 스트레이트부(28)의 전후에 받침점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아암(20)의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4는 각각의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아암(20)은 스트레이트부(28)와, 그 양측에 배치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아암 받침점부(21)와 버킷 받침점부(24)와, 스트레이트부(28)상에 마련하는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와, 아암 받침점부(21)와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를 연결하는 아암 보강재(27) 등으로부터 구성된다. 아암 받침점부(21),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 및 버킷 받침점부(24)는 일체 성형에 의한 주조 부품으로 한다. 한편, 스트레이트부(28)는 범용의 각형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도 4에는 스트레이트부(28)의 CC'선에 따른 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아암 보강재(27)는 판금의 휨가공 등으로 제작된다.
암 받침점부(21)는 기초부측에 좌우 방향으로 축공(21a)를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아암 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 선단을 지지할 수 있고, 중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공(21b)를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붐(15)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받침점부(21)의 타단측(선단부)은 스트레이트부(28)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부(21c)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레이트부(28)의 일단을 감합할 수 있도록 한다.
버킷 받침점부(24)는 기초부측에 스트레이트부(28)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의 개구부(24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4a)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레이트부(28)의 타단(선단)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버킷 받침점부(24)의 타단(선단)에는 축공(24b)을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버킷(25)의 기초부측을 지지할 수 있고, 중간부에는 축공(24c)을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여 버킷 실린더(26)의 피스톤 로드 선단과 연결한 연결 링크(39)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점부의 개구측의 외주와 스트레이트부의 외주를 동일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차가 없는 접합이 가능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역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스트레이트부(28)의 후부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개방측의 상부에 축공을 개구하고 지지축에 의해 버킷 실린더(26)의 기초부측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의 상부와 아암 받침점부(21)의 상부가 아암 보강재(27)에 의해 용접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굴착 기계의 작업중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또한 굴착 작업시의 부하에 견디기 위해, 아암은 강도 및 경량화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상판 및 하판에 좌우의 측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인 아암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스트레이트부(28)에 범용의 각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아암(20)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범용의 각형 파이프는 가격이 저렴하다. 즉, 부품수 삭감 및 범용의 각형 파이프의 채용에 의해 아암(20)의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각형 파이프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가공만으로, 종래와 같이 단면을 형성하는 용접 작업이 없어 제조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부품 코스트 및 제조 공정수를 삭감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종래는 붐측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필요 강도를 유지한 붐측 부분은, 주조 부품인 아암 받침점부(21) 및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 그리고 아암 보강재(27)로 필요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붐(15)의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 및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로 사용한 동일한 범용 각형 파이프를 아암(20)의 스트레이트부(28)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기(10)의 스트레이트부(28·61·62)에 동일한 범용의 각형 파이프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해 제작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붐(15)(표준 붐)보다 전체 길이가 긴 붐(51)(롱 붐)이 파워셔블(5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붐 및 아암을 프론트라고 칭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와 같은 표준보다 긴 붐이나 아암을 구비한 굴착 기계를 일반적으로 롱프론트 또는 하이리프트 프론트라고 부른다. 롱프론트는 작업 반경을 넓히기 위해 혹은 보다 깊은 위치를 굴착하기 위해 채용되고, 하이리프트 프론트는 평소보다 높은 위치까지 도달하기 위해서 채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 붐(15)의 스트레이트 각형관(61·62)의 길이를 각각 길게 한 스트레이트부(71·72)와, 표준 붐(15)과 마찬가지의 붐 받침점부(16),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및 아암 받침점부(19)로 롱 붐(51)을 구성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범용의 각형관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붐을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동일 기종의 굴착 작업기에서의 붐의 범용성을 향상하여 기종 전체에서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단,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을 연장한 경우에는, 동일한 붐 실린더를 사용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의 상방 앞면에 마련할 필요가 있고, 또한,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을 연장한 경우에는, 동일한 아암 실린더를 사용하기 위해 보텀측의 지지부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후방 상부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붐 받침점부(16),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및 아암 받침점부(19)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61)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6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변경한 전체 길이가 상이한 붐을 붐 브라켓(37)에 장착해 작업 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범용 각형관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붐을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동일 기종의 굴착 작업기에서의 붐의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아암(20)(표준 아암)보다 전체 길이가 긴 아암(52)(롱 아암)이 파워셔블(5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 아암(20)의 스트레이트부(28)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한 스트레이트부(29)와, 표준 아암(20)과 마찬가지의 아암 받침점부(21),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 및 버킷 받침점으로 롱 아암(52)을 구성 가능하게 한다. 한편, 아암 보강재(27)는 필요에 따라 길이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범용의 각형관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아암을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동일 기종의 굴착 작업기에서의 아암의 범용성을 향상시켜 기종 전체에서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셔블(50)에 있어서 붐(15) 및 아암(20)의 스트레이트부(28·61·62)에 범용의 각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삭감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파워셔블(5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붐 또는 아암을 갖는 다른 굴착 기계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굴착 작업기를 들 수 있다.

Claims (3)

  1.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에 장착한 작업기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은 각각이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부분으로서, 붐 받침점부와,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와, 아암 받침점부를 갖고, 상기 붐 받침점부와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를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상기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와 상기 아암 받침점부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개재하여 연결하며, 상기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 및 상기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은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각각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 받침점부,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 및 아암 받침점부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 스트레이트 각형관과 제2 스트레이트 각형관에 의해 구성된 표준 붐에 대해, 상기 스트레이트 각형관의 적어도 한쪽 길이를 변경하여 롱 스트레이트 각형관을 구성하고, 상기 롱 스트레이트 각형관에 의해 롱 붐을 구성하며, 상기 롱 붐을 상기 상부 선회체에 장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3. 삭제
KR1020087024637A 2006-03-13 2006-08-25 굴착 작업기의 붐 KR100976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7818A JP4566935B2 (ja) 2006-03-13 2006-03-13 掘削作業機のブーム
JPJP-P-2006-067818 2006-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053A KR20080111053A (ko) 2008-12-22
KR100976023B1 true KR100976023B1 (ko) 2010-08-17

Family

ID=3850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637A KR100976023B1 (ko) 2006-03-13 2006-08-25 굴착 작업기의 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58693B2 (ko)
EP (1) EP1997961A4 (ko)
JP (1) JP4566935B2 (ko)
KR (1) KR100976023B1 (ko)
CN (1) CN101426980A (ko)
WO (1) WO2007105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248A (en) 1995-02-07 1997-07-01 Yoon; Inbae Medical instrument with force limiting mechanism
JP5395513B2 (ja) * 2009-05-26 2014-0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結部品
CN103422520B (zh) * 2013-07-25 2016-02-10 三一重机有限公司 工程机械及其箱型工作装置
JP6721432B2 (ja) * 2016-06-27 2020-07-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および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の製造方法
FI128555B (fi) 2016-12-30 2020-08-14 Ponsse Oyj Nosturi ja työkone
DE102017121516A1 (de) * 2017-09-15 2019-03-21 Liebherr-France Sas Baggerausleger und Bagger
USD840439S1 (en) * 2017-11-21 2019-02-12 Deere & Company Jib arm passage feature
USD840440S1 (en) * 2017-12-12 2019-02-12 Cnh Industrial America Llc Arrangement of sprayer boom center section and lift arms
CN115108480A (zh) * 2022-07-25 2022-09-27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起重机臂头、起重臂和起重机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8908A (ja) * 1997-12-02 1999-06-15 Kubota Corp 作業機のブーム構造及びブーム部材の製造方法
JP2004108055A (ja) * 2002-09-19 2004-04-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作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0815A (en) * 1947-03-10 1950-03-14 Gerli Flying stage
US2711078A (en) * 1950-12-15 1955-06-21 Charles L Guild Pile driver construction
US3278046A (en) * 1964-06-05 1966-10-11 Case Co J I Backhoe support
GB1049180A (en) * 1964-11-27 1966-11-23 Brown Brothers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soil excavating apparatus
US3918742A (en) * 1974-05-17 1975-11-11 Cascade Corp Material loader frame construction
GB1599403A (en) * 1977-07-12 1981-09-30 Massey Ferguson Perkins Ltd Booms for lifting machines particularly backhoes
US4244447A (en) * 1979-01-08 1981-01-13 Northwest Engineering Company Mobile power crane-excavator with open gear greasing
US4337868A (en) * 1980-02-19 1982-07-06 Harnischfeger Corporation Telescopic crane boom having rotatable extend/retract screws
US4382743A (en) * 1981-02-23 1983-05-10 Newell Lawrence H Loading apparatus with a tiltable and extendable fork carriage mounted thereon
EP0226657B1 (en) * 1985-12-23 1990-01-31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Apparatus for operating working element of excavator
US4676340A (en) * 1986-05-28 1987-06-30 Pierce-Correll Corporation Telescopic boom assembly having high dielectric properties
US5375348A (en) 1992-04-23 1994-12-27 Japanic Corporation Deep excavator
SE501102C2 (sv) * 1993-04-26 1994-11-14 Hiab Ab Förlängningsbar kranarm
JP2619199B2 (ja) 1993-06-17 1997-06-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光切替えスイッチモジュールにおける光導波路基板の実装構造
US5515654A (en) * 1994-11-02 1996-05-14 Anderson; Edward E. Telescopic boom apparatus
US5806313A (en) 1995-11-30 1998-09-15 Caterpillar Inc. Conduit arrangement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H11200397A (ja) 1998-01-10 1999-07-27 Komatsu Ltd 建機作業機用箱形構造物の製造方法
US6158949A (en) 1998-04-29 2000-12-12 Caterpillar Inc. Boom assembly of a work machine
WO1999065726A2 (en) * 1998-06-19 1999-12-23 Dennis Schaenzer Implement mounting apparatus
JP2000248572A (ja) * 1999-02-25 2000-09-12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作業機
JP2000248576A (ja) 1999-03-03 2000-09-1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US6572323B2 (en) * 2000-12-29 2003-06-03 Case Corporation Lift arm structure for a work vehicle
US7165929B2 (en) * 2001-12-20 2007-01-23 Caterpillar Inc Load bearing member arrangement and method
JP4030833B2 (ja) 2002-01-04 2008-0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の長尺構造部材
JP2004211505A (ja) 2003-01-08 2004-07-29 Komatsu Ltd 建設機械用アーム
DE10307689A1 (de) * 2003-02-21 2004-09-23 Deere & Company, Moline Ausleger
GB2403172A (en) * 2003-06-17 2004-12-29 Bamford Excavators Ltd Method of forming a metal box section
JP2005163375A (ja)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アーム
JP4247222B2 (ja) * 2005-09-20 2009-04-02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ーローダーバックホーの掘削装置固定構造
JP4296182B2 (ja) 2006-03-13 2009-07-15 ヤンマー株式会社 掘削作業機のア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8908A (ja) * 1997-12-02 1999-06-15 Kubota Corp 作業機のブーム構造及びブーム部材の製造方法
JP2004108055A (ja) * 2002-09-19 2004-04-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7961A1 (en) 2008-12-03
JP2007247145A (ja) 2007-09-27
US20090078667A1 (en) 2009-03-26
WO2007105327A1 (ja) 2007-09-20
EP1997961A4 (en) 2013-03-27
CN101426980A (zh) 2009-05-06
US7958693B2 (en) 2011-06-14
KR20080111053A (ko) 2008-12-22
JP4566935B2 (ja)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023B1 (ko) 굴착 작업기의 붐
KR100965036B1 (ko) 굴착 작업기의 아암
KR20060043739A (ko) 건설 기계
US7008169B1 (en) Hydraulically driven working machine
US8292000B2 (en) Earth mov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KR100497451B1 (ko) 소형 선회 작업기
EP2290163A1 (en) Construction machine
US20220136207A1 (en) Rotary working vehicle
JP2004108055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JP2009133084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フロント装置
JP7217823B2 (ja) 旋回作業車
JP468987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3034945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JP430316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WO2021192625A1 (ja) 建設機械
JP2023038311A (ja) 旋回作業車
JP6510708B2 (ja) 作業機
JP6571052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4850089B2 (ja) ブーム
JP4292221B2 (ja) 旋回作業機
JP2002317462A (ja) 掘削機の作業機ブーム
JP2006144411A (ja) ブレードを備えた作業機械及びブレード支持構造
JP2002004319A (ja) バックホウ
JP2015196992A (ja) 建設機械
JP2004176505A (ja) オフセット式掘削機の作業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