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036B1 - 굴착 작업기의 아암 - Google Patents

굴착 작업기의 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036B1
KR100965036B1 KR1020087024635A KR20087024635A KR100965036B1 KR 100965036 B1 KR100965036 B1 KR 100965036B1 KR 1020087024635 A KR1020087024635 A KR 1020087024635A KR 20087024635 A KR20087024635 A KR 20087024635A KR 100965036 B1 KR100965036 B1 KR 10096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pport point
boom
bucket
poi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051A (ko
Inventor
야스유키 오야마다
케이이치 니시하라
타카히로 이케다
타카후미 노바야시
마사오 나가타
사이조우 콘도우
마사미 미야니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굴착 작업기의 작업기를 구성하는 아암의 제조 코스트 및 제조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40)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30)에 장착된 작업기(10)의 아암(20)에 있어서, 상기 아암(20)은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부분으로서 아암 받침점부(21)와, 버킷 받침점부(24)와,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를 갖고, 상기 아암 받침점부(21)와 상기 버킷 받침점부(24)를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28)으로 연결하며, 상기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28)의 상면에 상기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Description

굴착 작업기의 아암{ARM FOR EXCAVATION MACHINE}
본 발명은 파워셔블(power shovel) 등으로 대표되는 굴착 작업기에 있어서, 작업기를 구성하는 아암의 구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파워셔블은 유압식 셔블 굴착 기계로서 널리 알려져 있는 굴착 작업기이다. 파워셔블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하부 주행체와, 그 위에서 360도 회전할 수 있는 상부 선회체가 기본 구조이다. 상부 선회체에는 붐과 아암이 구비되고, 여기에 버킷 등의 부속 장치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파워셔블에서는 붐, 아암, 및 버킷을 함께 작업부라고 칭하고, 붐 및 아암을 프론트라고 칭한다.
아암은 아암 받침점부, 버킷 받침점부, 및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의 3개의 받침점부를 갖는 통형 구조의 구조체이다. 아암은 작업기에서 붐과 버킷을 연결하는 "팔"의 역할을 한다. 또한, 아암은 버킷을 작동시키는 버킷 실린더가 상측에 배치된다.
파워셔블의 작업 중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또한 굴착 작업시의 부하에 견디기 위해, 아암은 강도 및 경량화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상판 및 하판에 좌우의 측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인 아암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었다. 이와 같은 아암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붐측 부분의 횡단면적을 크게 한다. 또 한, 횡단면이 삼각형이나 대략 사다리꼴 형상(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인 아암도 공지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1150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붐측 부분의 폭을 크게 하는 측판 등의 제조, 및 이들 측판을 용접으로 접합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부품 코스트 및 제조 코스트의 낭비는 즉 제조 코스트의 낭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굴착 작업기의 작업기를 구성하는 아암의 제조 코스트 및 제조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에 장착한 작업기의 아암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부분으로서 아암 받침점부와, 버킷 받침점부와,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를 갖고, 상기 아암 받침점부와 상기 버킷 받침점부를 전체 길이에 걸쳐 가로세로 일정 치수의 사각 단면을 갖는 스트레이트부를 개재하여 연결하며,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상면에 상기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암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부는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를 임의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굴착 작업기의 아암의 구성에 있어서, 일체 성형한 주조 부분 이외의 스트레이트 부분, 즉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부분은, 예를 들면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것만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아암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효과 외에 일체 성형한 주조 부분인 상기 아암 받침점부, 버킷 받침점부, 및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는 각각 공통의 부품으로 하고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아암을 간단하면서도 저비용으로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굴착 작업기에서의 아암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의 채용 및 부품수의 삭감에 의해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용접 부분이 적어지므로 제조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셔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작업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이 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아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준 붐 및 롱프론트의 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표준 아암 및 롱프론트의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작업기
20 아암
21 아암 받침점부
22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
24 버킷 받침점부
28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
30 상부 선회체
40 크롤러식 주행 장치
이하,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셔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마찬가지로 작업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마찬가지로 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아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스트레이트부의 단면도 이고, 도 5는 표준 붐 및 롱프론트의 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표준 아암 및 롱프론트의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착 작업기로서 널리 알려진 파워셔블(50)을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다. 파워셔블(50)은 굴착 기계로서 토사나 바위를 굴착하기 위한 굴착 작업기이다. 파워셔블(50)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유압식 셔블의 굴착 기계로서, 토사의 굴착 작업을 주목적으로 하고 적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워셔블(50)은 크게 크롤러식 주행 장치(40), 크롤러식 주행 장치(40)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30), 상부 선회체(30)의 앞부분 좌우 중앙에 장착되는 작업기(10)로 구성된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40)의 전후 일측에는 블레이드(41)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크롤러식 주행 장치(40)는 가변 게이지의 크롤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작업시에 크롤러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30)의 차체 프레임(31)의 후방 상부에는 엔진(미도시)이 탑재되고, 엔진의 후부는 도시하지 않은 보닛 및 차체 프레임(31)에 의해 덮이고 양측부는 커버(32·32)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32·32)의 사이이면서 엔진의 상방에는 운전석(33)이 배치된다. 운전석(33)의 전 또는 측부의 근방에 조작 레버나 잠금 레버 등이 배치됨과 동시에 운전석(33) 전방의 발판(34) 상에 페달 등이 배치되어 운전 조작부(35)가 구성된다. 또한, 운전 조작부(35)의 상방에 차양(36) 또는 주위에 캐빈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10)는 크게 붐(15), 아암(20), 및 버 킷(25)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붐(15), 아암(20), 및 버킷(25)을 구동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차체 프레임(31) 전단의 좌우 중앙부에는 붐 브라켓(37)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1 참조), 스윙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좌우 회동된다. 붐 브라켓(37)의 상부에는 붐(15)의 하부에 마련한 붐 받침점부(16)가 상하(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붐(15)을 회동시키기 위해 붐 실린더(17)가 붐 브라켓(37)의 앞부분과 붐(15) 중간부의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앞부분의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아암(20)을 회동시키기 위해 아암 실린더(23)가 붐(15) 중간부의 붐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와 아암(20)의 후단부에 마련한 아암 받침점부(21)의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버킷(25)을 회동시키기 위해 버킷 실린더(26)가 아암(20) 후부의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와 버킷(25) 사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기(10)는, 붐(15)이 붐 실린더(17)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아암(20)이 아암 실린더(23)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고, 버킷(25)이 버킷 실린더(26)의 신축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들 유압 액츄에이터인 실린더(17·23·26)나 상부 선회체를 회동시키는 선회 모터는, 운전 조작부(13)(도 1 참조)에 배치된 조작 레버나 페달 등의 회동 조작에 의해 컨트롤 밸브(미도시)를 전환함으로써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유압 호스를 통해 압유가 공급되어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붐(15)은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굴곡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붐(15)의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3은 각각의 부분를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붐(15)은 붐 받침점부(16),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아암 받침점부(19), 제1 스트레이트부(제1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61), 및 제2 스트레이트부(제2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62) 등으로 구성되며, 붐 받침점부(16)와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사이에 제1 스트레이트부(61)가 배치되고,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와 아암 받침점부(19) 사이에 제2 스트레이트부(62)가 배치되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붐 받침점부(16), 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및 아암 받침점부(19)는 일체 성형에 의한 주조 부품으로 한다. 한편, 스트레이트부(61·62)는 세로와 가로 의 길이가 소정 길이로 정해진(규격화된) 금속제의 범용 각형 파이프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트레이트부(61) 및 제2 스트레이트부(62)는 동일한 범용 각형 파이프를 사용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트레이트부(61) 및 제2 스트레이트부(62)는 길이가 다를 뿐으로 제1 스트레이트부(61)의 AA'선에 따른 단면 및 제2 스트레이트부(61)의 BB'선에 따른 단면의 단면 형상은 동일하다. 한편, 제2 스트레이트부(62)의 단면 형상을 제1 스트레이트부(61)의 단면 형상보다 작게 구성하여 다소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붐 받침점부(16)는 기초부측에 좌우 방향으로 축공(16a)을 개구하고, 지지축에 의해 붐 브라켓(37)의 상부에 지지된다. 붐 받침점부(16)의 타단측(상부)은 제1 스트레이트부(61)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되고, 이 개구부(16b)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제1 스트레이트부(61)의 일단을 감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는 중간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한 각파이프 형상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일단(하부)의 개구부(18a)는 제1 스트레이트부(61)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되고, 이 개구부(18a)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제1 스트레이트부(61)의 타단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타단(상부)의 개구부(18b)는 제2 스트레이트부(62)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부(18b)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제2 스트레이트부(62)의 일단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전면측의 상하 중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공(18c)이 개구되고, 지지축에 의해 붐 실린더(17)의 피스톤 로드 선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후면측의 상하 중간에는 지지 볼록부(18d·18d)가 형성되고, 지지 볼록부(18d·18d)에 각각 축공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아암 실린더(23)의 보텀측을 지지축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받침점부(19)는 기초부측에 제2 스트레이트부(62)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의 개구부(19a)를 형성하고, 개구부(19a)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제2 스트레이트부(62)의 타단(상부)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받침점부(19)의 타단(선단)은 두 갈래로 나누어진 돌출부(19b·19b)를 형성하고, 돌출부(19b·19b)에 각각 축공을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아암(20)의 기초부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점부의 개구측의 외주와 스트레이트부의 외주를 동일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차가 없는 접합이 가능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굴착 기계의 작업중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또한 굴착 작업시의 부하에 견디기 위해 붐은 강도 및 경량화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상판 및 하판에 좌우의 측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인 붐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스트레이트부(61·62)에 동일한 범용 각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붐(15)의 부품수(부품의 종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범용 각형 파이프는 가격이 저렴하다. 즉, 부품수 삭감 및 범용 각형 파이프의 채용에 의해 붐(15)의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범용 각형 파이프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가공만으로 종래와 같이 단면을 형성하는 용접 작업이 없어 제조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부품 코스트 및 제조 공정수를 삭감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부(61·62)에 범용 각형 파이프를 이용하여도,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상단 및 하단 접합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종래는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필요 강도를 유지하던 중앙 부분은, 주조 부품인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필요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20)은 크게는 스트레이트부(28)의 전후에 받침점부를 마련한 구성이다. 한편, 아암(20)의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4는 각각의 부분을 분리해 도시하고 있다.
아암(20)은 스트레이트부(28)와, 그 양측에 배치해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 치하는 아암 받침점부(21)와 버킷 받침점부(24)와, 스트레이트부(28) 상에 마련하는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와, 아암 받침점부(21)와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를 연결하는 아암 보강재(27) 등으로 구성된다. 아암 받침점부(21),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 및 버킷 받침점부(24)는 일체 성형에 의한 주조 부품으로 한다. 한편, 스트레이트부(28)는 범용 각형 파이프를 사용한다. 도 4에는 스트레이트부(28)의 CC'선에 따른 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아암 보강재(27)는 판금의 휨가공 등으로 제작된다.
암 받침점부(21)는 기초부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공(21a)을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아암 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 선단을 지지할 수 있고, 중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공(21b)을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붐(15)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아암 받침점부(21)의 타단측(선단부)은 스트레이트부(28)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부(21c)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레이트부(28)의 일단을 감합할 수 있도록 한다.
버킷 받침점부(24)는 기초부측에 스트레이트부(28)의 단면 형상에 맞춘 사각형상의 개구부(24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4a)의 외주에 에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레이트부(28)의 타단(선단)을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버킷 받침점부(24)의 타단(선단)에는 축공(24b)을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버킷(25)의 기초부측을 지지할 수 있고, 중간부에는 축공(24c)을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여 버킷 실린더(26)의 피스톤 로드 선단과 연결한 연결 링크(39)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점부의 개구측의 외주와 스트레이트부의 외주를 동 일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차가 없는 접합이 가능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역U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스트레이트부(28)의 후부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개방측의 상부에 축공을 개구하여 지지축에 의해 버킷 실린더(26)의 기초부측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의 상부와 아암 받침점부(21)의 상부가 아암 보강재(27)에 의해 용접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굴착 기계의 작업중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또한 굴착 작업시의 부하에 견디기 위해, 아암은 강도 및 경량화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상판 및 하판에 좌우의 측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인 아암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스트레이트부(28)에 범용 각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아암(20)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범용 각형 파이프는 가격이 저렴하다. 즉, 부품수 삭감 및 범용 각형 파이프의 채용에 의해 아암(20)의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범용 각형 파이프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가공만으로, 종래와 같이 단면을 형성하는 용접 작업이 없어 제조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부품 코스트 및 제조 공정수를 삭감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종래는 붐측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필요 강도를 유지하였던 붐측 부분은, 주조 부품인 아암 받침점부(21) 및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 그리고 아 암 보강재(27)로 필요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붐(15)의 제1 스트레이트부(61) 및 제2 스트레이트부(62)에서 사용한 동일한 범용 각형 파이프를 아암(20)의 스트레이트부(28)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기(10)의 스트레이트부(28·61·62)에 동일한 범용 각형 파이프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해 제작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붐(15)(표준 붐)보다 전체 길이가 긴 붐(51)(롱 붐)이 파워셔블(5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붐 및 아암을 프론트라고 칭하는 것으로부터, 이와 같은 표준보다 긴 붐이나 아암을 갖춘 굴착 기계를 일반적으로 롱프론트 또는 하이리프트 프론트라고 부른다. 롱프론트는 작업 반경을 넓히기 위해 혹은 보다 깊은 위치를 굴착하기 위해 채용되며, 하이리프트 프론트는 평소보다 높은 위치까지 도달하게 하기 위해 채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 붐(15)의 스트레이트부(61·62)의 길이를 각각 길게 한 스트레이트부(71·72)와, 표준 붐(15)과 마찬가지의 붐 받침점부(16),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및 아암 받침점부(19)로 롱 붐(51)을 구성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붐을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동일 기종의 굴착 작업기에서의 붐의 범용성을 향상하여 기종 전체에서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단, 제1 스트레이트부(61)를 연장한 경우에는, 동일 붐 실린더 사용하기 위해 그 피스톤 로드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제1 스트레이트부(61)의 위쪽 전면에 마련할 필요가 있고, 또한, 제2 스트레이트부(62)를 연장한 경우에는, 동일한 아암 실린더를 사용 위해 그 보텀측의 지지부를 제2 스트레이트부(62)의 후방 상부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붐 받침점부(16), 아암 실린더 로드 받침점부(18) 및 아암 받침점부(19)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 스트레이트부(61)와 제2 스트레이트부(6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변경한 전체 길이가 상이한 붐을 붐 브라켓(37)에 장착해 작업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붐을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동일 기종의 굴착 작업기에서의 붐의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아암(20)(표준 아암)보다 전체 길이가 긴 아암(52)(롱 아암)이 파워셔블(5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 아암(20)의 스트레이트부(28)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한 스트레이트부(29)와, 표준 아암(20)과 마찬가지의 아암 받침점부(21),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 및 버킷 받침점부로 롱 아암(52)을 구성 가능하게 한다. 한편, 아암 보강재(27)는 필요에 따라 길이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탑재하는 굴착 작업기에 부합한 길이의 아암을 복수 개 제작할 수 있다. 즉, 동일 기종의 굴착 작업기에서의 아암의 범용성을 향상시켜 기종 전체에서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셔블(50)에 있어서 붐(15) 및 아암(20)의 스트레이트부(28·61·62)에 범용 각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삭감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파워셔블(5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붐 또는 아암을 갖는 다른 굴착 기계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굴착 작업기를 들 수 있다.

Claims (2)

  1. 크롤러식 주행 장치(40)의 상부 중앙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선회체(30)에 장착된 굴착 작업기의 아암(20)에 있어서,
    상기 아암(20)을,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아암 받침점부(21)와, 다른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버킷 받침점부(24)와, 또 다른 일체 성형으로 주조되는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와, 스트레이트부(28)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아암 받침점부(21)와 상기 버킷 받침점부(24)를 스트레이트부(28)의 양단에 고정 연결하고,
    상기 스트레이트부(28)의 상면에 상기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아암(20)으로 하고,
    상기 스트레이트부(28)는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전체 길이가 상이한 아암(20)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부(28)의 길이를 변경하여도, 상기 아암 받침점부(21), 버킷 받침점부(24) 및 버킷 실린더 보텀 받침점부(22)는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2. 삭제
KR1020087024635A 2006-03-13 2006-08-25 굴착 작업기의 아암 KR100965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7816A JP4296182B2 (ja) 2006-03-13 2006-03-13 掘削作業機のアーム
JPJP-P-2006-067816 2006-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051A KR20080111051A (ko) 2008-12-22
KR100965036B1 true KR100965036B1 (ko) 2010-06-21

Family

ID=3850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635A KR100965036B1 (ko) 2006-03-13 2006-08-25 굴착 작업기의 아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29908A1 (ko)
EP (1) EP2136003A4 (ko)
JP (1) JP4296182B2 (ko)
KR (1) KR100965036B1 (ko)
CN (1) CN101426981A (ko)
WO (1) WO20071053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89A (ko) * 2021-08-27 2023-03-07 신의페트라 주식회사 파일드라이버 스테이암용 분할구조 조인트 및 그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6935B2 (ja) 2006-03-13 2010-10-20 ヤンマー株式会社 掘削作業機のブーム
JP5395513B2 (ja) * 2009-05-26 2014-0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結部品
ITMI20120206A1 (it) * 2012-02-14 2013-08-15 Cifa Spa Segmento di un braccio articolato e braccio articolato comprendente detto segmento
CN105598639B (zh) * 2015-02-11 2017-12-26 江苏万星煌重工科技有限公司 挖掘机斗齿的制造方法
JP6914829B2 (ja) * 2017-12-27 2021-08-0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アー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35U (ja) * 1993-09-14 1995-04-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式パワーショベルの作業機
JP2000248576A (ja) * 1999-03-03 2000-09-1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JP2003261956A (ja) * 2002-01-04 2003-09-19 Komatsu Ltd 作業機の長尺構造部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2584A (en) * 1953-08-24 1957-08-13 Daniel F Przybylski Dipper stick extension
US5375348A (en) * 1992-04-23 1994-12-27 Japanic Corporation Deep excavator
JPH06294144A (ja) * 1993-04-08 1994-10-21 Komatsu Ltd 建設機械用作業機の製造方法
US5806313A (en) * 1995-11-30 1998-09-15 Caterpillar Inc. Conduit arrangement for a construction machine
DE19882547B4 (de) * 1997-07-15 2007-11-29 Komatsu Ltd. Ausleger eines Löffelbaggers und Herstellverfahren für diesen
JPH11200397A (ja) * 1998-01-10 1999-07-27 Komatsu Ltd 建機作業機用箱形構造物の製造方法
US6158949A (en) * 1998-04-29 2000-12-12 Caterpillar Inc. Boom assembly of a work machine
JP2005029984A (ja) * 2003-07-08 2005-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作業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63375A (ja) *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アー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35U (ja) * 1993-09-14 1995-04-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式パワーショベルの作業機
JP2000248576A (ja) * 1999-03-03 2000-09-1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JP2003261956A (ja) * 2002-01-04 2003-09-19 Komatsu Ltd 作業機の長尺構造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89A (ko) * 2021-08-27 2023-03-07 신의페트라 주식회사 파일드라이버 스테이암용 분할구조 조인트 및 그 제작 방법
KR102557805B1 (ko) 2021-08-27 2023-07-20 신의페트라 주식회사 파일드라이버 스테이암용 분할구조 조인트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051A (ko) 2008-12-22
JP4296182B2 (ja) 2009-07-15
JP2007247143A (ja) 2007-09-27
EP2136003A4 (en) 2013-04-24
US20090129908A1 (en) 2009-05-21
EP2136003A1 (en) 2009-12-23
WO2007105325A1 (ja) 2007-09-20
CN101426981A (zh)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023B1 (ko) 굴착 작업기의 붐
KR100693978B1 (ko) 선회 작업기
KR100965036B1 (ko) 굴착 작업기의 아암
KR20060043739A (ko) 건설 기계
US8292000B2 (en) Earth mov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EP1124017A1 (en) Hydraulically driven working machine
KR100497451B1 (ko) 소형 선회 작업기
EP2290163A1 (en) Construction machine
WO2019244617A1 (ja) 旋回作業車
JP468987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7217823B2 (ja) 旋回作業車
JP430316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7369311B2 (ja) 旋回作業車
JP2003034945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JP2015166513A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2009133084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フロント装置
JP3895614B2 (ja) 旋回作業機
JP4292221B2 (ja) 旋回作業機
JP2002339404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002700B2 (ja) バックホー作業機
JP4850089B2 (ja) ブーム
JP2004036234A (ja) 旋回式建設機械
JP5202581B2 (ja) 旋回作業機
JP2003239325A (ja) 旋回作業機
JP2003239323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