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195B1 -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195B1
KR100971195B1 KR1020030018794A KR20030018794A KR100971195B1 KR 100971195 B1 KR100971195 B1 KR 100971195B1 KR 1020030018794 A KR1020030018794 A KR 1020030018794A KR 20030018794 A KR20030018794 A KR 20030018794A KR 100971195 B1 KR100971195 B1 KR 10097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bsorbent
surface layer
fibers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684A (ko
Inventor
쿠도준
스에카네마코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종래의 박형의 흡수성 물품에서,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에 걸쳐서 다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면, 습윤 상태에서 체압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오목부가 찌부러지기 쉬웠다.
표면층(5)은 2장의 에어스루 부직포(5a, 5b)로 형성되고, 흡수층(4)은 친수성 섬유와 열용착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 섬유의 열용착력에 의해, 합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가 접착되어, 습윤 강도가 높은 것으로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습윤 상태에서 체압이 작용했을 때에 오목부가 찌부러지기 어려워, 오목부에서부터 흡수층으로 액을 항상 흡수시키기 쉬운 것으로 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형태인 질 분비물의 흡수 시트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상기 흡수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 (B), (C)는 핫멜트형 접착제의 도포 패턴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 실시형태인 질 분비물 흡수 시트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수 시트
2 : 본체
3 : 이면 시트
4 : 흡수층
5 : 표면층
5a : 제1 부직포
5b : 제2 부직포
6 : 감압 접착제층
7 : 이형 시트
21 : 오목부
21a : 벽면
21b : 바닥부
22a, 22b : 용착 영역
33 : 오목부
33a : 벽면
33b : 개공부
50a, 50b, 50c : 가열 유닛
본 발명은 팬티라이너라 불리는 질 분비물 흡수 시트 등으로서 사용되는 박형으로 된 것에 알맞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점성의 체액이 흡수층에 인입되기 쉽게 하고, 또 피부에의 장착 감촉을 양호하게 한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티라이너와 불리는 질 분비물 흡수 시트가 있 다. 이 흡수 시트는 속옷의 크로치부의 내측에 감압 접착제층을 통해 고정하여 착용한다. 흡수성 물품의 일반적인 구조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의 아래쪽에 액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설치되어 있어, 표면층에 가해지는 체액이 흡수층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질 분비물 흡수 시트는 여성의 질로부터 분비되는 고점성의 체액이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표면층이 두꺼운 것이면, 표면층에 주어진 체액을 흡수층의 모세관 작용으로 잘 인입할 수 없어, 충분한 액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질 분비물 흡수 시트로서, 표면층 그 자체가 액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 또는 흡수층의 표면에 매우 얇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을 형성한 것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체액이 표면층에 남기 쉽게 되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쉽다.
한편, 질 분비물 흡수 시트보다도 두꺼운 생리대 분야에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평8-71105호 공보에, 표면층으로 되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 시트 아래에 펄프 또는 펄프와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층이 위치하고,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에 걸쳐 복수의 오목부가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생리대에서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에 주어진 체액이, 상기 오목부 내를 지나서 상기 흡수층에 흡수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은, 흡수층이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에 합성 섬유가 포함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흡수층의 습윤 강도를 높게 한다고 하는 기술 사상에 기초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습윤 상태에서 체압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오목부가 찌부러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단,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은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경혈은 질 분비물에 비해 점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경혈은 흡수층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기 표면층을 투과하여 흡수층에 인입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의 찌그러짐 불안에 대해서는 비교적 허용되기 쉽다.
한편, 얇은 흡수성 물품인 질 분비물 흡수 시트에 있어서,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흡수층을 얇은 것으로 하여 구성하고, 이것을 표면층으로 덮어,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에 걸쳐 오목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얇은 흡수층이며 오목부 그 자체가 얕은 것이기 때문에, 상기 생리대보다도 습윤시의 체압에 의해 상기 오목부가 찌부러지기 쉽다. 또 여성이 분비하는 질 분비물은 경혈에 비해서 점도가 높기 때문에, 오목부가 찌부러져 버리면, 점도가 높은 체액이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으로 인입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비교적 얇은 구조라도,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에 걸쳐 형성된 오목부가 압력으로 찌부러지기 어렵도록 하여, 표면층에 주어진 비교적 고점도의 체액을 흡수층에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 아래에 위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보다도 이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친수성 섬유를 지니며, 또한 상기 흡수층의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의 섬유끼리 접합되어 있고,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상기 흡수층에 걸쳐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형성하는 섬유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층에 있어서 섬유끼리 접합되어, 흡수층의 습윤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에 걸쳐서 형성된 상기 오목부가, 습윤 상태에 있어서, 착용시의 체압에 의해서 찌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흡수층이 얇은 것이라도, 상기 오목부가 찌부러지지 않는 채로 유지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체액이 항상 상기 오목부를 지나서 흡수층에 흡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를 찌부러지기 어려운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수층의 습윤 상태에서의 인장 강도가, 폭 25 ㎜당 2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 강도가 상기한 범위내이면, 습윤 상태에서 오목부가 체압에 의해 찌부러지기 어렵게 된다.
예컨대, 상기 흡수층은 친수성 섬유와 열용착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흡수층의 내부에서, 상기 친수성 섬유와 상기 합섬 섬유가 열용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고, 혹은, 상기 흡수층의 내부에서, 섬유 사이가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사이가 접합된 흡수층은 예컨대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열용착 가능한 것으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형성하는 섬유가 열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형성하는 섬유가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 표면층은 1장 또는 복수장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층의 평량이 15 g/㎡ 이상 100 g/㎡ 이하이며, 부피가 0.2 ㎜ 이상 1.5 ㎜ 이하이다. 또 상기 평량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20 g/㎡ 이상 40 g/㎡ 이하이다.
이와 같이 표면층의 부피를 크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의 접촉 감촉이 양호하게 된다. 단,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에 걸쳐서 형성된 오목부가 찌부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표면층의 부피가 큰 것이라도, 질 분비물과 같은 비교적 점도가 높은 체액이 상기 오목부 내에서 흡수층 내로 유도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표면층이 2장의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2장의 부직포끼리를 접착할 때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접착할 때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사이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과, 표면층과 흡수층 사이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을 다르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연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흡수층은 세로로 길며,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떨어진 양측에,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 시트를, 흡수층을 사이에 두지 않고서 겹친 측부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서는, 여성의 질이 맞닿은 부분에 상기 흡수층이 위치하고, 그 양 측 쪽에는 흡수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측방 영역의 변형이 자유롭고, 착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질 분비물 흡수용 시트로서 적합한 것이 된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 아래에 위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보다도 이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의 섬유끼리 접합되어 있는 흡수층을, 원반으로부터 풀어내어, 열을 가하여 상기 흡수층의 부피를 회복하는 공정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접착하는 공정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상기 흡수층에 걸쳐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흡수층의 이면에 상기 이면 시트를 겹치는 공정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 시트를 흡수성 물품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섬유 사이가 접합된 습윤 강도가 높은 흡수층에 열을 가하여 부피를 회복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층의 밀도를 바람직한 범위내로 할 수 있어, 흡수층에서의 액의 흡수 능력, 액의 유지 능력을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액이 반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더욱이, 상기 표면층에 열을 가하여 부피를 회복하는 공정을 지니고, 부피가 회복된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접착하는 공정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에 열을 가하여 부피를 회복시킴으로써, 부피가 큰 표면층으로 되어 신체에 주는 착용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박형의 흡수성 물품인 팬티라이너라 불리는 질 분비물 흡수 시트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상기 흡수 시트의 평면도이다.
상기 질 분비물 흡수 시트(1)란, 여성이 속옷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고착시켜 속옷과 일체화한 것으로서 사용하는 박형의 흡수성 물품이며, 여성이 배설하는 질 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시트(1)는 거의 모래시계 형상이며, 장착자의 복부 및 둔부로 향하게 되는 전연부(11) 및 후연부(12)가 볼록형의 곡선 형상이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연부(13, 14)가 오목형의 곡선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전연부(11)에서부터 후연부(12)를 향하는 Y 방향이 흡수 시트(1)의 세로 방향이며, 측연부(13)에서부터 측연부(14)를 향하는 X 방향이 가로 방향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수 시트(1)의 본체부(2)는 이면 시트(3), 상기 이면 시트(3) 위에 형성된 흡수층(4) 및 상기 흡수층(4) 위에 형성된 표면층(5)의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층(5)은 표면측에 위치하는 제1 부직포(5a)와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직포(5b)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의 이면 즉 상기 이면 시트(3)의 외표면에는 속옷에 고착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감압 접착제층(6)은 가로 방향(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압 접착제층(6)의 외면은 이형 시트(7)로 덮여 있다.
상기 이면 시트(3)와 표면층(5) 및 이형 시트(7)는 전부 동일한 평면 형상이다. 즉, 이면 시트(3)와 표면층(5) 및 이형 시트(7)는 전부 전연부(11)와 후연부(12) 및 측연부(13, 14)를 갖는 모래시계 형상이다.
상기 흡수층(4)은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흡수층(4)의 폭 치수(Wb)는 흡수 시트(1)의 최단의 폭 치수(Wa)보다도 짧고, 흡수층(4)의 세로 치수(L2)는 흡수 시트(1)의 세로 치수(L1)보다도 짧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4)으로부터 떨어진 좌우 양측부에는, 이면 시트(3)와 표면층(5)이 겹쳐진 측부 영역(15, 16)이 형성되어 있고, 흡수층(4)으로부터 떨어진 전후 단부에는 이면 시트(3)와 표면층(5)이 겹쳐진 전방부 영역(17)과 후방부 영역(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4)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이 주된 액흡수 영역(20)이다.
이 흡수 시트(1)에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중앙 부분에 상기 흡수층(4)을 갖는 액흡수 영역(20)이 형성되고, 주로 이 액흡수 영역(20)이 여성의 질에 접촉되게 되어, 측부 영역(15, 16) 및 전방부 영역(17)과 후방부 영역(18)에서는 흡수층(4)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변형이 용이한 연질 부분으로 되어 있다.
상기 표면층(5)에서는,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가 핫멜트형 접착제 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또, 상기 표면층(5)의 제2 부직포(5b)와 상기 흡수층(4)이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도포 패턴과, 상기 제2 부직포(5b)와 흡수층(4)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도포 패턴이 상이하다.
예컨대, 한쪽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선 패턴 또는 평행한 띠 형상 패턴(도 5(A) 참조)이며, 다른 쪽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은 폭방향으로 진폭이 향하게 되어 물결이 세로 방향으로 반복되는 파상 패턴이 평행하게 형성된 것(도 5(B) 참조),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패턴이 평행하게 형성된 것(도 5(C) 참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도포 패턴을 바꾸면, 평면에서 투시했을 때에,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와, 제2 부직포(5b)와 흡수층(4)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의 중복부의 면적 총화를 최소로 할 수 있어, 피부에의 접촉 감촉을 좌우하는 표면층(5)과 흡수층(4)의 중복부에 있어서 접착제의 존재에 의한 경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어,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층(4)과 상기 표면층(5)이 접착된 상태에서, 표면층(5)으로부터 흡수층(4)에 걸쳐서 액을 유도하기 위한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21)는 상기 액흡수 영역(20)에만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오목부(21)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1)는 흡수층(4)으로 향함에 따라서 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거 의 원추형(테이퍼형)의 벽면(21a)을 지니고,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벽면(21a)과 바닥부(21b)에, 상기 표면층(5)을 형성하는 부직포(5a, 5b)가 존재하고 있다. 뒤에 설명하는 것 같이, 상기 표면층(5)의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는 열용착 가능한 것으로, 상기 흡수층(4)에도 열용착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흡수층(4)과 상기 표면층(5)이 접착된 상태에서, 가열된 재두(裁頭) 원추형의 가열핀을 이용하여, 상기 표면층(5)으로부터 흡수층(4)에 걸쳐서 압박함으로써, 흡수층(4)과 표면층(5)이 압축된다. 이 때, 상기 표면층(5)을 구성하는 섬유 및 흡수층(4) 내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용융하여 열용착된다. 그 결과, 상기 벽면(21a)과 흡수층(4)의 접촉부에 섬유 밀도가 높은 용착 영역(22a)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21b)와 상기 표면층(4)의 접촉부에, 섬유 밀도가 높아진 용착 영역(22b)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1)가 형성된 후에, 흡수층(4)의 이면에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가 겹쳐진다. 이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의 표면에 핫멜트형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 이면 시트(3)는 흡수층(4)의 이면과 접착되는 동시에, 상기 측부 영역(15, 16) 및 전방부 영역(17)과 후방부 영역(18)에 있어서, 이면 시트(3)와 표면층(5)의 제2 부직포(5b)가 접착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연부(13, 14)의 내측에 소정 폭의 외주부를 지니고, 또 전연부(11)와 후연부(12)의 내측에 소정 폭의 외주부를 남기고, 소정 폭의 라운드 시일부(25)가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운드 시일부(25) 는 작은 도트형의 열용착부의 집합이며, 이 라운드 시일부(25)에 의해서, 상기 표면층(5)을 구성하는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가 가압되어 열용착되어 있다.
상기 흡수층(4)으로서는 친수성 섬유와, 열용착 가능한 합성 섬유인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혼합된 것으로,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열이 가해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적어도 표면이 용융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친수 섬유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표면에 열용착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흡수층(4)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친수성 섬유가 열용착되어 있음으로써, 내부 구조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내부 구조에서는, 섬유와 섬유 사이에 공극(셀)이 형성되어, 친수성 섬유의 젖는 성질과 섬유 사이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수층(4) 내에 인입된 액이 상기 공극 내에 유지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 섬도가 1.5∼3.3 dtex이고 섬유 길이가 5∼20 ㎜인 것을 이용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5∼30 질량% 포함하게 한 흡수층(4)은 습윤시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흡수층(4)에 압력이 주어졌을 때에 그 회복성이 좋고, 상기 공극이 찌부러지기 어렵다. 따라서, 흡수층(4)에 유지된 액이 표면층(5)으로 역으로 되돌아가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4)이 상기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기 때문에, 압력이 주어졌을 때에, 오목부(21)가 찌부러져 닫혀 버리는 일이 생기기 어려워, 액을 유도하기 위한 오목부(21)의 형상을 항상 유지하기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습윤시의 인장 강도가 높고, 또한 액을 유지하는 공극을 갖는 흡수층(4)은 에어레이드 부직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상기 친수성 섬유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합한 것을 공기중에 뜨게 하고, 스크린 상에 상기 섬유를 회수하여 적층한 후,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표면을 용융시켜,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친수성 섬유를 열용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예컨대,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친수성 섬유인 펄프 87 질량%와, 심부가 PP(폴리프로필렌)이고 초부가 PE(폴리에틸렌)인 심초 섬유(1.7 dtex, 섬유 길이 13 ㎜) 13 질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목재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레이온, 펄프 이외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머서가공(Mercerization) 펄프, 크로스링크 펄프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것이 사용된다. 또 열용착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는, 상기 심초 섬유 외에, 심부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초부가 PE인 심초 섬유, 또는 PE, PP, PET의 단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의 제조 과정에서 에멀젼 타입의 접착제를 분무하여 상기 접착제에 의해 섬유 사이를 접착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에어레이드 부직포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건조되어 원반에 감긴 상태로 흡수 시트(1)의 제조 공정에 공급된다. 상기 제조 공정에서는, 상기 원반으로부터 인출된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가열 롤로 가열하거나 혹은 열풍을 가하여 100℃ 이상의 온도로 가열 처리하여, 부피를 5∼20%의 범위에서 회복시키고, 그 직후에 에어를 가하여 급냉시킨 상태로 사용한다. 원반에 감긴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압력에 의해 부피가 저하되고 있지만, 상기 가열 처리를 함으로써, 부피를 회복시킬 수 있다.
흡수층(4)의 오목부(21)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또한 공극이 찌부러지기 어려운 것으로서 하려면, 상기 흡수층(4)의 습윤 상태에서의 인장 강도가, 폭 25 ㎜당 2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습윤 강도가 너무 지나치게 크면, 착용자에게 강직감을 주게 되기 때문에, 상기 인장 강도의 상한은 10 N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N 이하이다.
또, 흡수층(4) 내에 액을 유지하는 공극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기 흡수층의 밀도는 0.035 g/㎤ 이상 0.13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흡수층(4) 내에 액을 유지하기 위한 공극을 크게 할 수 있지만, 공극 내에서의 액의 자유도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흡수층(4)에 유지된 액이 표면층(5)으로 되돌아가기 쉽게 된다. 또한 밀도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을 인입할 수 있지만, 공극이 지나치게 작아서 액을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상기 흡수층(4)은 평량이 40∼300 g/㎡의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질 분비물의 흡수 시트(1)에서는 흡수층(4)의 두께는 0.35∼3.5 ㎜의 범위내의 얇은 것이다.
상기 표면층(5)을 구성하는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는 열용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부피가 큰 것으로,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 유를 열풍으로 용착시킨 에어스루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컨대, 심부가 PP이고 초부가 PE인 심초 섬유로, 상기 심부에 산화티탄을 섬유 질량에 대하여 3∼5 질량%의 비율로 포함하여 백색화된 것을 10∼60 질량%, 심부가 PET이고 초부가 PE인 심초 섬유로, 심부에 산화티탄 섬유 질량에 대하여 0.3∼2 질량%의 비율로 포함하여 백색화된 것을 90∼40 질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1.5∼4.4 dtex의 범위이며, 섬유 길이는 20∼60 ㎜의 범위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범위의 섬유를 이용한 에어스루 부직포는 탄력성이 풍부한 것으로, 체압이 주어졌을 때에 부피성을 유지하기 쉽다.
원반에 감긴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를, 상기 원반으로부터 풀어 내어 가열 롤로 가열하거나 혹은 열풍을 가하여 115℃ 정도의 온도로 가열 처리하고, 부피(두께)를 1.5∼8배의 범위에서 회복시키며, 또 급냉시킨 것을 상기 제1 부직포(5a) 및 제2 부직포(5b)로서 사용한다. 2장의 부직포로 형성된 상기 표면층(5)의 평량은 15∼100 g/㎡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40 g/㎡의 범위로 조정된다. 또한, 부피(두께)가 0.2∼1.5 ㎜인 것이 사용된다. 또, 표면층(5)이 1장의 에어스루 부직포로 형성되는 경우도, 상기 평량으로 상기 부피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표면층(5)의 섬유 밀도는 0.01∼0.02 g/㎤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이면 시트(3)는 액체 불투과성으로, 예컨대 평량이 10∼50 g/㎡ 범위의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이며,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이면 시트(3)가 소수성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흡수 시트(1)는 표면층(5)이 에어스루 부직포로 형성되어 부피가 크고, 더구나 오목부(21)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에 소프트한 느낌이 있으며, 신체에의 접촉 감촉이 양호하다. 상기 표면층(5)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체액의 배설부인 질과 흡수층(4) 사이에 상기 표면층(5)의 두께 분만큼 거리가 생기지만, 비교적 고점도의 분비물은 오목부(21) 내로 직접 유도되어, 오목부(21) 주위의 섬유 밀도가 높은 용착 영역(22a, 22b)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수층(4)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흡수층(4) 내의 섬유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오목부(21) 주위로 확산되어, 상기 공극 내에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층(4)은 열용착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착력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 것이기 때문에, 오목부(21) 주위의 구조가 튼튼하게 되어 있어, 체압에 의해 오목부(21)가 찌부러져 닫히는 일이 없다. 즉, 이 흡수 시트(1)에서는 표면층(5)과 흡수층(4)이 접착되어 있고, 또한 흡수층(4)이 형상을 유지하는 복원력을 지니며, 또 오목부(21) 주위에 용착 영역(22a, 22b)이 형성되어, 이 부분의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면층(5)의 표면에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으로의 틀어지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틀어지는 힘에 의해 오목부(21)가 가로 방향으로 쓰러졌다고 해도, 즉시 복원할 수 있어 오목부(21)가 찌부러져 닫히는 일이 적다. 또한 오목부(21)에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여, 오목부(21) 부분이 상측에서부터 찌부러졌다고 해도, 오목부(21)가 복원되기 쉽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21)의 상기 표면층(5)의 표면에서의 개구 면적(A)은 0.1∼7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상기 오목부(21)의 가로 방향에서의 배열 피치(Px)와 세로 방향의 배열 피치(Py)는 0.5∼1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액체 흡수 영역(20)의 면적에 대한 상기 오목부(21)가 점유하는 면적율은 3∼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오목부(21)의 점유 면적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오목부(21) 내에서 흡수층(4)으로 유도되는 체액의 양이 적어진다. 또한 상기 범위를 넘으면, 액흡수 영역(20) 표면의 연질감이 손상된다.
또, 상기 액흡수 영역(20)의 폭 치수(Wb)는 20∼5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이면, 상기 액흡수 영역(20)을 여성의 질에 확실하게 댈 수 있다. 또, 상기 양측부 영역(15, 16)의 최소 폭 치수, 즉 (Wa-Wb)/2는 5∼15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부 영역(15, 16)의 최소 폭 치수가 상기 범위내이면, 속옷의 내면에 장착하여 착용했을 때에, 흡수층(4)으로부터 떨어진 좌우 양측부 영역(15, 16)이 속옷에 따라 연질로 변형되기 쉽게 된다.
상기 액흡수 영역(20)의 세로 방향의 치수(L2)는 8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이상이면, 액흡수 영역(20)을 여성의 질에 확실하게 댈 수 있어, 질 분비물 등의 배설액을 액흡수 영역(20)에서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 상기 치수(L2)의 최대치는 흡수 시트(1)의 세로 방향의 치수(L1)와 일치하는 길이이다. 또, 상기 치수(L1)는 100 ㎜ 이상 350 ㎜ 이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흡수 시트(31)의 본체부(32)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 흡수 시트(31)의 구성 부분 중, 상기 제1 실시형태의 흡수 시트(1)와 같 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흡수 시트(31)의 본체부(32)에서는, 표면층(5)으로부터 흡수층(4)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3)가 원추형의 벽면(33a)을 갖고 있는데, 오목부(33)의 바닥부에 개공부(3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공부(33b)에 흡수층(4)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벽면(33a)의 외주에 있어서, 흡수층(4)이 압축되어 상기 표면층(5)과 상기 흡수층(4)이 열용착된 용착 영역(2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용착 영역(22a)에 있어서 흡수층(4)이 그 이외의 부분보다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또한 가열된 핀을 이용하여 엠보스 가공을 할 때에, 상기 표면층(5)이 가압되고, 이 때에 상기 개공부(33b)가 형성되기 때문에, 개공부(33b)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서 흡수층(4)이 압축 가열되어 압축부(22c)가 형성되고 있다. 이 압축부(22c)에 있어서 밀도가 흡수층(4) 내의 다른 영역보다도 높게 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흡수 시트(31)에서는, 오목부(33)에 주어진 액이 용착 영역(22a)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인입되어, 흡수층(4) 내에서 확산하는 동시에, 액이 상기 압축부(22c)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서도 인입되고, 그리고 흡수층(4)의 내부로 확산된다.
도 3에 도시하는 흡수 시트(1)와 도 6에 도시하는 흡수 시트(31)를 대비하면, 흡수 시트(31)에서는, 오목부(21)로 유도된 질 분비물과 같은 고점도의 체액이, 압축부(22c)에 직접 접촉하여 흡수층(4)에 흡수되기 때문에, 체액의 흡수가 빠르다는 점에 이점이 있다. 한편, 흡수 시트(1)에서는, 오목부(21)의 바닥부(21b)가 표면층(5)의 일부에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층(4)에 흡수된 체액의 색을 표 면층(5)에서 은폐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공부(33b)를 갖는 오목부(33)가 흡수층(4)을 관통하고, 상기 오목부(33)의 바닥부에 흡수층(4)을 구성하는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것, 또는 도 6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바닥부(33b)에 위치하는 흡수층(4)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오목부(33)로 유도된 액이, 벽면(33a)을 통해서 용착 영역(22a)에 인입되어, 흡수층(4) 내로 확산해 나가게 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흡수 시트(1)의 흡수층(4)과 표면층(5)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도 6에 도시하는 흡수 시트(31)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흡수층(4)으로서, 접착제만으로 섬유 사이가 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흡수층(4)은 펄프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만을 이용하여 형성된 에어레이드 부직포, 또는 상기 친수성 섬유에, 상기 심초 섬유 등의 합성 섬유가 포함된 것으로 형성된 에어레이드 부직포로서, 양면에서 에멀젼형의 접착제를 분무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로 형상을 유지한 흡수층(4)의 습윤 상태에서의 인장 강도가, 폭 25 ㎜당 2 N 이상이면, 오목부(21)를 형성했을 때에, 그 형상을 유지하여, 오목부(21)가 찌부러지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 표면층(5)은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 이외의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고, 스펀레이스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라도 좋다. 또는 이들 부직포에 상기 오목부(21)보다도 작은 면적의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표면층(5)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합성 섬유와, 레이온 등의 친수성 섬유와의 혼합체라도 좋지만, 표면층(5)에서의 액 잔류를 방지하고, 또 흡수층(4)에 유지된 체액이 역으로 되돌아가 표면층(5)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면층(5)이 합성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표면층(5)으로서 친수성 섬유만으로 형성된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21)를 형성하는 표면층(5)과, 흡수층(4)을 형성하는 섬유가 접합되어 있음에 의해, 오목부(21)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여기서, 표면층(5)과 흡수층(4)의 적어도 한쪽에 열용착 가능한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면, 가열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오목부(21)를 형성하는 표면층(5)과 흡수층(4)을 열용착할 수 있어, 도 3에 도시하는 용착 영역(22a, 22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21)를 형성하는 표면층(5)과 흡수층(4)을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시킴에 의해서도, 오목부(21)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이 경우에, 오목부(21)와 흡수층(4)을 상기 접착만으로 접합하더라도 좋고, 열용착과 접착의 쌍방의 수단으로 접합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상기 흡수 시트(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흡수 시트(31)도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원반(41)에는, 표면층(5)을 형성하는 제1 부직포(5a)가 감겨 있고, 원반(42)에는 표면층(5)을 형성하는 제2 부직포(5b)가 감겨 있다. 상기 원반(41, 42)에는 상기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가, 그 두께가 눌려진 상태로 감겨 있다.
상기 제1 부직포(5a)는 롤(43)을 통과하여 가열 유닛(50a)에 공급되고, 제2 부직포(5b)는 롤(44)을 통과하여 가열 유닛(50b)에 공급된다. 가열 유닛(50a)에는 표면이 가열된 가열 롤(51a) 및 가열 롤(52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직포(5a)가 상기 가열 롤(51a, 52a)에 휘감겨져 가열된다. 마찬가지로, 가열 유닛(50b)에는 가열 롤(51b, 52b)이 설치되고 있고, 상기 제2 부직포(5b)는 상기 가열 롤(51b)과 가열 롤(52b)에 휘감겨져 가열된다.
상기 가열 롤(51a)과 가열 롤(52a)은 서로 떨어져 있고, 또한 표면은 평활하며, 상기 제1 부직포(5a)는 양 가열 롤(51a, 52a) 사이에서 가압되는 일없이, 가열되면서 반송된다. 이 때, 상기 가열 롤(51a)의 표면에 상기 제1 부직포(5a)의 한쪽 면이 접촉하여 가열되고, 상기 가열 롤(52a)의 표면에 상기 제1 부직포(5a)의 다른 쪽의 면이 접촉하여 가열된다.
상기 제1 부직포(5a)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주체로 한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이기 때문에, 양 가열 롤(51a, 52a)의 표면에서 가열됨으로써, 상기 제1 부직포(5a)는 부피(두께)가 1.5∼8배의 범위내에서 회복되게 되고, 또한 밀도도 1/3 이하로 회복되게 된다. 예컨대, 원반(41)에 감겨 있는 제1 부직포(5a)의 두께가 0.5 ㎜이고, 가열 롤(51a, 52a)을 거친 후에는 두께가 0.75 ㎜∼4 ㎜까지 회복된다. 상기 가열 롤(51a, 52a)의 표면 온도는 115℃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제2 부직포(5b)와, 가열 유닛(50b)의 관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두께가 회복된 제1 부직포(5a)는 롤(45)를 지나서, 냉각 장치(53a, 54a)에 공급된다. 상기 냉각 장치(53a, 54a)는 상기 제1 부직포(5a)의 표리 양면에 대향하도록 한쌍 설치된다. 냉각 장치(53a, 54a)의 노즐로부터 에어가 분출되어, 제1 부직포(5a)는 급속히 냉각된다.
가열되어 부피가 회복된 상기 제1 부직포(5a)가 냉각되면, 상기 제1 부직포(5a)를 형성하는 섬유가 단시간에 고정화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부직포(5a)는 부피가 회복된 상태를 바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의 반송 공정에서 상기 제1 부직포(5a)에 장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기 제1 부직포(5a)는 부피가 회복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 상기 제2 부직포(5b)는 상기 가열 유닛(50b)에서 가열된 후에, 냉각 장치(53b, 54b)에서 같은 식으로 양면에 에어가 분무되어, 제2 부직포(5b)가 급냉된다.
그 후에, 제2 부직포(5b)에 대하여, 노즐(55)에 의해서 핫멜트형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 때,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도포된다.
그리고, 롤(47)을 거친 상기 제1 부직포(5a)와 상기 제2 부직포(5b)가 롤(48)과 롤(49) 사이에서 끼워져, 상기 제1 부직포(5a)와 상기 제2 부직포(5b)가 접착되어, 표면층(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표면층(5)이 가열 롤(57)과 가열 엠보스 롤(58)에 의해 끼워진다. 가열 엠보스 롤(58)에는 라운드 시일부(25)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이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층(5)에 라운드 시일부(25)가 형성된다.
원반(61)에는 흡수층(4)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레이드 부직포(62)가 그 두께를 찌부러트린 상태로 감겨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62)는 롤(63)을 통과하여, 가열 유닛(50c)에 공급되어, 표면이 가열된 가열 롤(51c) 및 가열 롤(52c)에 권취되어 가열된다.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62)가 양 가열 롤(51c, 52c)의 표면에서 가열됨으로써, 부피(두께)가 회복되게 된다. 예컨대, 펄프와, 열용융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혼합된 에어레이드 부직포의 경우는 두께가 대개 1.2∼1.6배 회복된다. 예컨대, 원반(61)에 감겨 있는 에어레이드 부직포(62)의 두께가 1.6 ㎜인 경우에, 가열 롤(51c, 52c)를 거친 후에 두께가 1.9 ㎜∼2.4 ㎜까지 회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의 부피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열 롤(51c, 52c)의 표면 온도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유닛(50c)에서 가열된 에어레이드 부직포(62)는 롤(64)을 거친 후에 냉각 장치(53c, 54c)에 의해 양면에서 에어가 분무되어 급냉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62)에 대하여, 노즐(65)에서 핫멜트형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 때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은 도 5(B)에 도시하는 파상 또는 도 5(C)에 도시하는 스파이럴형이다.
그 후에 에어레이드 부직포(62)가, 커터(66)에 의해서 도 1에 도시하는 길이(L2)로 절단되어 흡수층(4)으로 되고, 롤(67)과 롤(68) 사이에 끼워져, 흡수층(4)과 표면층(5)이 접착된다. 한편, 흡수층(4)의 길이(L2)가 흡수 시트(1)의 길이(L1)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에어레이드 부직포(62)는 커터(66)에 의해 절 단되는 일없이 표면층(5)에 접착된다.
상기 흡수층(4)(에어레이드 부직포(62))과 표면층(5)이 접착된 적층체는 오목부 형성부(70)에 공급된다. 오목부 형성부(70)는 표면이 평탄한 가열 롤(71)과, 표면에 다수의 재두 원추 형상의 핀이 규칙적으로 설치된 가열 엠보스 롤(72)이 대향하는 것으로, 상기 흡수층(4)(에어레이드 부직포(62))이 상기 롤(71)을 향하게 되고, 표면층(5)이 롤(72)을 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롤(71)과 롤(72) 사이에 공급된다. 상기 가열 엠보스 롤(72)의 핀을 60∼16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롤압을 98∼1470 kPa로 설정하여, 상기 핀에 의해 오목부(21)를 형성한다.
원반(75)에는 이면 시트(3)를 형성하는 비투습성 필름(76)이 감겨지고, 상기 필름(76)은 롤(77)에 의해 인출된다. 원반(81)에는 이형 시트(7)를 형성하기 위한 박리 수지층이 코팅된 이형지(82)가 감겨져 있고, 원반(81)으로부터 인출된 이형지(82)에, 노즐(83)에 의해서 핫멜트형 접착제가 도공되어 감압 접착제층(6)이 형성된다. 상기 이형지(82)와 필름(76)은 롤(84, 85) 사이에서 가압되어 접착된다. 또한, 상기 필름(76)의 표면에, 노즐(86)로부터 핫멜트형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롤(87과 88) 사이에 표면층(5) 및 흡수층(4)과 상기 필름(76)이 접착되어, 표면층(5), 흡수층(4), 필름(76) 및 이형지(82)가 겹쳐진 적층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층체가 커터 롤(91, 92) 사이에 공급되어, 도 1에 도시하는 형상의 흡수 시트(1)가 트리밍되어 잘라져 나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표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특성과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조의 흡수 시트이며, 각 실시예와 각 비교예의 차이는 흡수층뿐이다.
(1) 표면층
심부가 PET, 초부가 PE이며, 상기 PET에 대하여 산화티탄이 섬유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포함된 심초형의 복합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섬도가 2.2 dtex, 섬유 길이 44 ㎜인 것을 사용하여, 평량이 25 g/㎡인 에어스루 부직포를 형성했다. 이 에어스루 부직포를 제1 부직포(5a)와 제2 부직포(5b)로서 사용했다.
(2) 이면 시트
액체 불투과성의 PE 막으로 평량이 23 g/㎡인 것을 사용했다.
(3) 흡수층
(비교예 1)
분쇄 펄프의 적층체로, 평량이 220 g/㎡, 밀도가 0.053 g/㎤.
(비교예 2)
분쇄 펄프의 적층체로, 평량이 430 g/㎡, 밀도가 0.084 g/㎤.
(비교예 3)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화학 펄프(섬유 길이 5 ㎜)와, 초부가 PE이고 심부가 PET인 복합 열가소성 수지 섬유(3.3 dtex, 섬유 길이 5 ㎜)를, 80:20의 질량비로 포함하며, 아크릴산계 에멀젼 접착제를 상기 섬유 집합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양면에 분무한 것.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1장만 흡수층으로서 사용했다. 평량은 40 g/㎡, 밀도는 0.038 g/㎤였다.
(실시예 1)
비교예 3의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2장 겹친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2)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화학 펄프(섬유 길이 5 ㎜)와, 초부가 PE이고 심부가 PET인 복합 열가소성 수지 섬유(3.3 dtex, 섬유 길이 5 ㎜)를, 70:30의 질량비로 포함하고, 아크릴산계 에멀젼 접착제를 상기 섬유 집합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양면에 분무한 것.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1장만 흡수층으로서 사용했다. 평량은 40 g/㎡, 밀도는 0.035 g/㎤였다.
(실시예 3)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화학 펄프(섬유 길이 5 ㎜)와, 초부가 PE이고 심부가 PET인 복합 열가소성 수지 섬유(3.3 dtex, 섬유 길이 5 ㎜)를, 70:30의 질량비로 포함하고, 아크릴산계 에멀젼 접착제를 상기 섬유 집합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양면에 분무한 것.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1장만 흡수층으로서 사용했다. 평량은 60 g/㎡, 밀도는 0.053 g/㎤였다.
(비교예 4)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화학 펄프(섬유 길이 5 ㎜)와, 초부가 PE이고 심부가 PET인 복합 열가소성 수지 섬유(3.3 dtex, 섬유 길이 5 ㎜)를, 95:5의 질량비로 포함하고, 아크릴산계 에멀젼 접착제를 상기 섬유 집합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양면에 분무한 것.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1장만 흡수층으로서 사용했다. 평량은 100 g/㎡, 밀도는 0.077 g/㎤였다.
(실시예 4)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분쇄 펄프와, 초부가 PE이고 심부가 PP인 복합 열가소성 수지 섬유(1.7 dtex, 섬유 길이 13 ㎜)를, 87:13의 질량비로 포함하고, 또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1장만 흡수층으로서 사용했다. 평량은 50 g/㎡, 밀도는 0.073 g/㎤였다.
(실시예 5)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분쇄 펄프와, 초부가 PE이고 심부가 PP인 복합 열가소성 수지 섬유(1.7 dtex, 섬유 길이 13 ㎜)를, 87:13의 질량비로 포함하고, 또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1장만 흡수층으로서 사용했다. 평량은 160 g/㎡, 밀도는 0.071 g/㎤였다.
한편 상기 각 비교예와 각 실시예에서는, 흡수층의 폭 치수를 30 ㎜, 길이를 100 ㎜로 했다.
(4) 흡수 시트의 구조
표면층(5)은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를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했다. 상기 접착제는 1 ㎜의 간격을 두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도포했다. 접착제의 평량을 10 g/㎡로 했다.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했다. 상기 접착제는 도 5(C)에 도시하는 스파이럴 패턴으로 스파이럴의 폭을 5 ㎜로 하고, 상기 패턴을 복수개 형성했다. 접착제의 평량을 10 g/㎡로 했다.
오목부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표면 온도가 130℃인 표면이 평활한 롤러와, 핀의 온도가 125℃인 엠보스 롤러를 이용하여, 롤러압을 1470 kPa로 하고, 핀의 가압 시간을 2초로 했다.
핀의 형상은 재두 원추형이며, 상저면의 직경이 1 ㎜, 핀의 높이가 2 ㎜, 원추의 개방 각도가 60도인 것을 사용했다. 오목부의 세로 방향의 피치(Py)를 5 ㎜로 하고, 가로 방향의 피치(Px)를 2.5 ㎜로 했다.
또한, 이면 시트를 표면층 및 흡수층에 접착했다. 이 때의 핫멜트형 접착제의 패턴 및 도포량은 에어스루 부직포끼리의 접착과 같은 식으로 했다.
(5) 밀도의 측정
흡수층이 되는 소재를 50×50 ㎜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것을 2장의 아크릴판으로 사이에 끼우고, 상기 소재에 392 Pa의 압력을 부여하여, 소재의 두께를 측정했다. 이 두께와 평량으로부터 밀도를 환산했다.
(6) 습윤 강도
흡수층이 되는 소재를 25×50 ㎜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것을 20℃에서 상대 습도 65%의 분위기에 2시간 방치한다. 그 후에 샘플을 증류수 내에 완전히 침지하여, 바로 끌어올린다. 끌어올린 후의 30초후에 이하의 인장 시험을 한다.
시험기는 「인스트론 5564」를 이용하고, 척 간격을 25 ㎜로 하여 샘플을 길이 방향으로 유지하고, 척을 100 ㎜/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그 때의 최대 하중을 습윤 강도로 한다.
(7) 제품 평가
오목부가 형성된 액흡수 영역에, 0.5 cc의 증류수를 떨어뜨리고, 그 후 15분간 방치한다. 그리고, 마찰견뢰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기 액흡수 영역의 표면을 1.96 N의 하중으로 100회 문질러, 그 후에 표면을 관찰한다.
오목부의 찌그러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을 「◎」, 오목부의 찌그러짐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O」, 구멍의 찌그러짐이 확인되는 것을 「△」, 오목부가 흔적없이 찌부러지는 것을 「×」로 평가했다.
이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재료명 평량(g/m2) 밀도(g/cm3) 습윤강도(N) 제품평가
비교예 1 220 0.053 1.47 x 구멍 찌그러짐
비교예 2 430 0.084 1.73 x 구멍 찌그러짐
비교예 3 40 0.038 1.29 구멍 찌그러짐
실시예 1 80 0.038 2.45 O OK
실시예 2 40 0.035 2.06 O OK
실시예 3 60 0.053 2.81 O OK
비교예 4 100 0.077 1.62 구멍 찌그러짐
실시예 4 50 0.073 4.26 O OK
실시예 5 160 0.071 6.20 OK

표 1로부터, 흡수층의 습윤 강도가 2 N 이상이 되면, 오목부의 찌그러짐이 생기기 어렵게 되고, 더구나 상기 습윤 강도의 범위에서, 밀도가 0.035 ㎤/g 이상 0.13 ㎤/g 이하가 바람직한 것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박형의 흡수층을 사용한 경우라도, 표면층으로부터 흡수층에 걸쳐서 형성된 오목부가 습윤 상태에서 찌부러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에서 흡수층으로 체액을 항상 침투시키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 표면층으로서 비교적 부피가 큰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의 감촉이 부드럽게 된다.

Claims (11)

  1.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두께 0.35∼3.5 ㎜의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보다 이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갖는 박형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친수성 섬유와 열용착성 섬유를 포함하며, 또 상기 흡수층의 내부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섬유끼리 접합되어 있고,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상기 흡수층에 걸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형성하는 섬유가 열용착되어, 섬유 밀도가 높은 용착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층과 상기 이면 시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습윤 상태에서의 인장 강도가 폭 25 ㎜당 2 N 이상인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에어레이드 부직포인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의 내부에서 상기 친수성 섬유와 상기 열용착성 섬유가 열용착되어 있는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의 내부에서 섬유 사이가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열용착 가능한 1장 또는 복수장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층의 평량이 15 g/㎡ 이상 100 g/㎡ 이하이며, 부피가 0.2 ㎜ 이상 1.5 ㎜ 이하인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2장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장의 부직포끼리를 접착할 때 접착제의 도포 패턴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접착할 때 접착제의 도포 패턴이 다른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세로로 길고,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떨어진 양측에,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 시트가 흡수층을 사이에 두지 않고 겹쳐진 측부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
  9.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두께 0.35∼3.5 ㎜의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보다 이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갖는 박형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와 열용착성 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내부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섬유끼리 접합되어 있는 흡수층을 원반으로부터 풀어내어, 열을 가하여 상기 흡수층의 부피를 회복하는 공정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접착하는 공정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상기 흡수층에 걸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형성하는 섬유를 열용착하여, 섬유 밀도가 높은 용착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흡수층의 이면에 상기 이면 시트를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 시트를 흡수성 물품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에 열을 가하여 부피를 회복하는 공정을 지니고, 부피가 회복된 표면층과 상기 흡수층을 접착하는 것인 박형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1. 삭제
KR1020030018794A 2002-03-29 2003-03-26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1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4890A JP3993452B2 (ja) 2002-03-29 2002-03-29 薄型の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094890 2002-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684A KR20030078684A (ko) 2003-10-08
KR100971195B1 true KR100971195B1 (ko) 2010-07-20

Family

ID=2780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794A KR100971195B1 (ko) 2002-03-29 2003-03-26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87417A1 (ko)
EP (1) EP1348413A1 (ko)
JP (1) JP3993452B2 (ko)
KR (1) KR100971195B1 (ko)
CN (1) CN100374097C (ko)
SG (1) SG106136A1 (ko)
TW (1) TWI2476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853A (ja) * 2004-01-09 2005-07-21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4227031B2 (ja) * 2004-01-16 2009-02-18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シート
US8314285B2 (en) * 2004-03-01 2012-1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ntiliner
JP4229869B2 (ja) * 2004-04-27 2009-02-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017616B2 (ja) * 2004-07-09 2007-12-05 花王株式会社 エンボス溝の成形性評価方法
JP4173844B2 (ja) * 2004-08-19 2008-10-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33083B2 (ja) * 2004-10-14 2010-08-2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1767177B1 (en) * 2005-09-23 2016-06-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d liquid acquisition layer with caliper recovery
EP1776940B1 (en) * 2005-09-23 2012-06-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d liquid acquisition dual layer
ATE418949T1 (de) * 2005-09-23 2009-01-15 Procter & Gamble Perforierte deck- und flüssigkeitsaufnahmeschicht
JP4913381B2 (ja) * 2005-09-26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23497B2 (ja) 2006-06-23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不織布製造方法及び不織布製造装置
JP5123513B2 (ja) 2006-06-23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
JP5144917B2 (ja) * 2006-11-17 2013-0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69224B2 (ja) * 2006-11-30 2012-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89960B2 (ja) * 2006-12-27 2012-08-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90003B2 (ja) * 2007-03-30 2012-08-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1305950B (zh) * 2007-04-30 2012-07-25 保定市港兴纸业有限公司 妇女非经期专用透气卫生护垫
JP4988452B2 (ja) * 2007-06-27 2012-08-01 大王製紙株式会社 保湿剤保持シートの製造方法
JP4921278B2 (ja) * 2007-08-06 2012-04-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6833B2 (ja) * 2007-11-14 2013-03-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74913B2 (ja) * 2007-12-19 2012-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78602B2 (ja) * 2007-12-27 2012-11-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55363B2 (ja) 2008-12-25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薄型吸収性物品
JP5478297B2 (ja) * 2010-02-24 2014-04-23 明広商事株式会社 美容用のパックシート
DK2550946T3 (en) * 2010-03-25 2015-01-12 Sumitomo Seika Chemicals Water absorbing sheet structure
CN101843543A (zh) * 2010-04-09 2010-09-29 王卓群 一种卫生制品
US8398915B2 (en) * 2010-08-12 2013-03-1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l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94316B2 (en) * 2010-08-12 2013-03-12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JP5618740B2 (ja) 2010-09-30 2014-1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201223512A (en) * 2010-12-06 2012-06-16 Kang Na Hsiung Entpr Co Ltd Absorbent hygiene product
JP5651000B2 (ja) * 2010-12-13 2015-01-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603277B2 (en) * 2011-03-14 2013-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assembl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 embossed topsheet
US20120237758A1 (en) * 2011-03-14 2012-09-20 Lisa Hook Method and Article for Concealing Labia Ridges
US8658852B2 (en) 2011-03-14 2014-02-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 embossed topsheet
JP5384682B2 (ja) * 2012-02-28 2014-01-0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04847B2 (ja) 2012-04-06 2016-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50065978A1 (en) * 2012-04-10 2015-03-05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6033024B2 (ja) * 2012-09-26 2016-11-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84721B2 (ja) * 2012-09-28 2017-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4079566A (ja) * 2012-09-30 2014-05-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US20140259491A1 (en) * 2013-03-15 2014-09-18 Ez Products Of South Florida L.L.C. Multi-layered cleaning cloth
JP6265618B2 (ja) * 2013-03-31 2018-0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6118158B2 (ja) * 2013-03-31 2017-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5579337B1 (ja) * 2013-06-11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当該吸収体を含む吸収性物品
JP5707467B2 (ja) 2013-10-18 2015-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装置の改造方法
JP5753884B2 (ja) 2013-10-18 2015-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341719B2 (ja) * 2014-03-26 2018-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05250B2 (ja) * 2014-03-28 2015-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及び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製造方法
JP5805251B2 (ja) * 2014-03-28 2015-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及び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製造方法
JP6275032B2 (ja) * 2014-12-26 2018-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体
JP5978341B1 (ja) * 2015-03-31 2016-08-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86388B2 (ja) * 2015-05-01 2018-0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11691402B2 (en) * 2016-02-24 2023-07-04 Sal Jack Cardinale Polyester terephthalate rigid wadding disposed between surface laminations
JP6583153B2 (ja) * 2016-06-14 2019-10-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CN107669411A (zh) * 2016-08-02 2018-02-09 刘燕 复合吸收芯体
CN105997367A (zh) * 2016-08-04 2016-10-12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纸尿裤吸收芯体及其制作工艺及喷胶工艺
JP6737106B2 (ja) * 2016-09-23 2020-08-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00723A1 (ja) * 2016-12-01 2018-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3618789A1 (en) 2017-05-03 2020-03-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multiple zones
JP2019017863A (ja) * 2017-07-20 2019-02-0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CN107541862A (zh) * 2017-09-27 2018-01-05 江苏盛纺纳米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导流非织造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0535896A (ja) 2017-10-11 2020-12-1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有孔三次元材料を有す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66542B2 (en) 2017-11-06 2022-03-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onforming features
JP2021500173A (ja) * 2017-11-06 2021-01-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結節点及び支柱を有する構造体
CN109925533A (zh) * 2017-12-15 2019-06-25 码源科技(北京)有限公司 不透液材料及吸收物
BR112020023014A2 (pt) * 2018-06-20 2021-03-0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Compósito de material permeável, artigo absorvente, método para produzir um compósito de material permeável e método para remover material de acabamento
US11351069B2 (en) * 2018-08-30 2022-06-07 Medline Industries, Lp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strips
JP6557440B1 (ja) * 2019-01-25 2019-08-07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エンボスロール
US20220096282A1 (en) * 2019-02-15 2022-03-3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embossed surface layer
AU2019429634B2 (en) * 2019-02-15 2022-03-1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JP6827493B2 (ja) * 2019-05-10 2021-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77914B1 (ko) * 2020-05-19 2022-12-16 주식회사 창은레딕스 열융착식 흡수체 뭉침방지 기저귀와 그 제조방법 및 시스템
JP7466415B2 (ja) 2020-09-11 2024-04-1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ベントダク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922A (ja) * 1990-10-04 1992-05-15 Japan Vilene Co Ltd 嵩増大可能な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504607A (ja) * 1991-12-17 1996-05-2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融着層を持つ吸収体物品
JPH0999008A (ja) * 1995-10-09 1997-04-15 Kao Corp 吸収性物品
JPH11107155A (ja) * 1997-10-03 1999-04-20 Chisso Corp 積層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697A (en) * 1988-04-29 1989-12-12 Weyerhaeuser Company Thermoplastic material containing absorbent pad or other article
US5460622A (en) * 1991-01-03 1995-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blended multi-layer absorbent structure with improved integrity
EP0622064A3 (en) * 1993-04-28 1996-01-17 Kimberly Clark Co Hygienic absorbent article.
CA2136675C (en) * 1993-12-17 2005-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quid permeable, quilted film laminates
JP3124190B2 (ja) * 1994-09-01 2001-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衛生用品の吸収体
JP2003508156A (ja) * 1999-09-07 2003-03-04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収性物品のためのエンボス加工されたライナ
TW592676B (en) * 2002-04-12 2004-06-21 Rayonier Prod & Fncl Serv Co Absorbent cores with improved intake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922A (ja) * 1990-10-04 1992-05-15 Japan Vilene Co Ltd 嵩増大可能な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504607A (ja) * 1991-12-17 1996-05-2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融着層を持つ吸収体物品
JPH0999008A (ja) * 1995-10-09 1997-04-15 Kao Corp 吸収性物品
JPH11107155A (ja) * 1997-10-03 1999-04-20 Chisso Corp 積層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6136A1 (en) 2004-09-30
CN100374097C (zh) 2008-03-12
JP3993452B2 (ja) 2007-10-17
JP2003291234A (ja) 2003-10-14
CN1448118A (zh) 2003-10-15
EP1348413A1 (en) 2003-10-01
TW200305390A (en) 2003-11-01
US20030187417A1 (en) 2003-10-02
KR20030078684A (ko) 2003-10-08
TWI247600B (en) 200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195B1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4768758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158992B2 (ja) 吸収性物品
JP4495405B2 (ja) 吸収性物品
JP3967873B2 (ja) 連続フィラメントおよび吸収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3926587B2 (ja) 吸収性物品
JP4278962B2 (ja) 吸収体及び前記吸収体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1608560B1 (ko) 흡수성 물품
JP2017038925A5 (ko)
WO2017030136A1 (ja) 吸収性物品
JP2004073759A (ja) 吸収性物品
JP2003339761A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153076C (en) Method for making body fluids absorbent padding
CN111867537B (zh)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KR101078105B1 (ko) 액 획득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
JP4583106B2 (ja) 陰唇間パッド
KR20070034482A (ko) 음순간 패드
JP4797076B2 (ja) 吸収性物品
JP4953735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62415A (ja) 吸収性物品
JP4953734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