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318B1 - 건강 기능 향상제 - Google Patents

건강 기능 향상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318B1
KR100966318B1 KR1020077007605A KR20077007605A KR100966318B1 KR 100966318 B1 KR100966318 B1 KR 100966318B1 KR 1020077007605 A KR1020077007605 A KR 1020077007605A KR 20077007605 A KR20077007605 A KR 20077007605A KR 100966318 B1 KR100966318 B1 KR 100966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mproving agent
function improving
health function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583A (ko
Inventor
마사오 콘도
나오미 아이바
세츠코 미야나리
토오루 다나카
타카야 스즈키
마사히로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코스모세키유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비아이 아라프로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55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45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84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45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84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4567B2/ja
Application filed by 코스모세키유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비아이 아라프로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스모세키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면역 기능 향상제, 항산화 기능 향상제, 운동 기능 향상제, 간 기능 향상제 등의 건강 기능 향상제.

Description

건강 기능 향상제{CONSTITUTIONAL FUNCTION-IMPROVING AGENTS}
본 발명은 건강 기능 향상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감염증이나 나이가 드는 것 등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면역 기능 향상제, 동맥경화증, 암, 당뇨병 등의 생활 습관병, 검버섯, 주근깨 등의 이상한 색소 침착, 피부 염증, 피부 노화 등의 예방 치료에 유용한 항산화 기능 향상제, 운동 기능 향상제, 간 기능 향상제 등에 관한 것이다.
면역 기능은 체 내에 자기 생존에 있어서 불이익한 병원체와 같은 것이 침입하거나 암과 같은 것이 발생한 경우에, 이것을 선택적으로 배제하고자 하는 생명 유지를 위해 동물이 구비하는 기본적 기능이다. 면역 기능은 흉선을 중심으로 하여, 비장, 림프절, 골수 등에 있는 다종 다양한 림프구, 대식 세포, 백혈구 등이 상호 협동, 서로 조절하면서 성립되어 있다.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약제는 암의 예방 치료약, 각종 자기 면역 질환 치료약 등 외에, 각종 감염증 등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한 의약이나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수 많은 아미노산 중 글루타민이나 아르기닌에는 면역 기능 향상 작용이 있다고 말해지고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이나 과산화수소로 대표되는 활성 산소가 세포 장 해성을 갖고, 암, 류머티즘, 검버섯, 주름 등의 원인으로 되어 있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LDL은 활성 산소에 의해 산화 LDL로 변화되고, 변화된 산화 LDL은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항산화 작용을 갖는 약제는 동맥경화증, 암, 당뇨병 등의 생활 습관병, 검버섯, 주근깨 등의 이상한 색소 침착, 피부 염증, 피부 노화 등의 예방 치료약으로서 유용하다고 말해지며, 여러 가지의 항산화 작용 성분이 발견되고 있다. 예컨대, 비타민 E나 비타민 C 등의 천연물이나 BHT(3,5-ter부틸-4-히드록시톨루엔)나 BHA(2,3-ter-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의 합성품, 생약 등에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한편,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 기능은 피로, 병, 임신, 나이가 드는 것에 따른 것, 영양 장해, 영양 결핍에 의해 저하된다. 이 피로에는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피로가 있으며, 현대인의 피로는 육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로가 크게 관여하고 있다.
이 중, 육체적 피로에 유효한 영양으로서는 당분,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탄수화물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약품으로서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코틴산 등의 비타민 B군, 멜라토닌, 비타민 C, 비타민 E, 마그네슘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필수 아미노산이나 비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특정 조성의 아미노산류에 피로시의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특허 문헌 3). 필수 아미노산은 발린, 류신, 이소류신, 리신, 트레오닌, 메티오닌 등, 또한 비필수 아미노산으로서는 아르기닌, 글루타민, 프롤린 등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2-337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성 제10-13967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개 평성 제9-249556호 공보
그러나, 면역 기능 향상 작용이 있다고 언급되고 있는 아미노산 중에서 글루타민은 용해도가 낮고 불안정하며, 체내에서 글루타민산과 암모니아로 분해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아르기닌은 피부가 황폐해지고, 피부가 두꺼워지는 관절의 비대, 뼈의 기형이라는 부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 섭취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로 되고 있다.
또한, 비타민 E나 비타민 C는 천연물로서 안전하지만, 항산화제로서의 효과는 불충분하며, BHT나 BHA에는 발암성이 의심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생약에서 유래된 것에 대해서도 항산화제로서의 효과는 불충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섭취할 수 있는 면역 기능 향상제, 항산화 기능 향상제, 운동 기능 향상제, 간 기능 향상제 등의 건강 기능 향상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아미노산의 약리 작용을 검토한 바 5-아미노레불린산으로 대표되는 δ-아미노산류가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조직으로서 중요한 흉선 중량을 증가, 흉선 세포, 또한 세포 장해성 T 세포를 증식시켜 우수한 면역 기능 향상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5-아미노레불린산으로 대표되는 δ-아미노산류가 항산화 효소로서 알려져 있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SOD) 또는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Px) 활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항산화 기능 향상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5-아미노레불린산으로 대표되는 δ-아미노산류가 특히 노령화된 동물의 건강 기능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작용이나 간 기능 향상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19)에 관한 것이다.
(1)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의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사용.
(3) 건강 기능 향상제를 제조하기 위한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사용.
(4)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의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기능성 음식품의 사용.
(5) 건강 기능 향상제가 면역 기능 향상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6) 면역 기능 향상제가 흉선 세포 증식제인, (5)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7) 건강 기능 향상제가 항산화 기능 향상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8) 건강 기능 향상제가 운동 기능 향상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9) 건강 기능 향상제가 간 기능 향상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0)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이 다음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인,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1
화학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아실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11) 치환기를 갖는 탄화수소기가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 아릴기, 옥소기, 플루오로기, 클로로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의해 치환된 탄화수소기인, (10)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2) 건강 기능 향상제가 미네랄을 함유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3) 면역 기능 향상제가 철, 구리, 셀레늄, 아연 및 망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5), (6) 및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4) 항산화 기능 향상제가 구리, 아연, 망간 및 셀레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7) 및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5) 운동 기능 향상제가 철, 마그네슘, 망간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8) 및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6) 간 기능 향상제가 철, 마그네슘, 망간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9)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7) 건강 기능 향상제가 경구, 주사, 점안, 좌약, 습포, 발포, 에어로졸, 경관(經管) 또는 경장(經腸) 섭취 용제인, (1) 내지 (3) 및 (5)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8) 건강 기능 향상제가 음식품인, (1) 내지 (3) 및 (5)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19) 건강 기능 향상제가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을, 하루에 체중 1kg 당 0.001∼1000mg 섭취되도록 함유하고 있는,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사용.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5-아미노레불린산 비투여군·투여군의 흉선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마우스의 발육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양돈(養豚)의 발육 곡선을 도시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의 유효 성분은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이하, 「δ-아미노산류」라고 칭함)이다. 상기 δ-아미노산류로서는 다음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아미노레불린산,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이하, 「5-아미노레불린산류」라고도 칭함)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2
화학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아실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5-아미노레불린산류 등의 δ-아미노산류는 광동력학적 치료에 있어서의 광증감제(일본특허공표 제2004-505105호), 식물 성장 조절제(일본특허공개 평성 제07-53487호), 제초제(일본특허공개 평성 제05-117110호), 어류 병원성 미생물, 기생충 감염 치료(일본특허공개 제2001-316255호), 돼지 성육 촉진제(일본특허공개 제2003-40770호) 등으로서 유용하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화학식 I 중 R1로 표시되는 아실기로서는, 예컨대 탄소수 1∼24의 알카노일기, 방향족 아실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아실기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아세틸기, n-프로파노일기, n-부타노일기, n-펜타노일기, n-헥사노일기, n-노나노일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탄소수 1∼6의 알카노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R2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 알콕시, 아실옥시,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아미노, 아릴, 옥소, 플루오로, 클로로 및 니트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탄화수소기로서는 알킬기, 알케닐기, 아랄킬기 또는 아릴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킬기로서는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탄소수 1∼40, 더욱 1∼18, 특히 1∼7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알케닐기로서는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알케닐기를 들 수 있고, 탄소수 2∼40, 특히 2∼18의 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아랄킬기로서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와 탄소수 1∼6의 알킬기로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릴기로서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18의 알콕시기, 특히 탄소수 1∼7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아실옥시기로서는 탄소수 1∼18의 알카노일옥시기, 특히 탄소수 2∼8의 알카노일옥시기가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로서는 C1-18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특히 C1-7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18의 바람직한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tert-펜틸기, 2-메틸부틸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3-메틸펜틸기, 에틸부틸기, n-헵틸기, 2-메틸헥실기, n-옥틸기, 이소옥틸기, tert-옥틸기, 2-에틸헥실기, 3-메틸헵틸기, n-노닐기, 이소노닐기, 1-메틸옥틸기, 에틸헵틸기, n-데실기, 1-메틸노닐기, n-운데실기, 1,1-디메틸노닐기, n-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7의 보다 바람직한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tert-펜틸기, 2-메틸부틸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3-메틸펜틸기, 에틸부틸기, n-헵틸기, 2-메틸헥실기를 들 수 있다.
히드록시가 치환된 탄소수 1∼18의 알킬기로서는 2-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4-히드록시부틸, 5-히드록시펜틸, 6-히드록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가 치환된 탄소수 1∼18의 알킬기로서는 C1-7 알콕시-C1-18 알킬기, 예컨대 2-메톡시에틸, 2-에톡시에틸, 3-메톡시프로필, 3-에톡시프로필, 4-메톡시부틸, 4-에톡시부틸, 2-(2-메톡시에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옥시기가 치환된 알킬기로서는 C2-7 알카노일옥시-C1-18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가 치환된 알킬기로서는 C1-18 알콕시-카르보닐옥시-C1-18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아미노기가 치환된 알킬기로서는 아미노-C1-18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2∼18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페닐기, 2-부테닐기, 2-메틸알릴기, 1,1-디메틸알릴기, 3-메틸-2-부테닐기, 3-메틸-3-부테닐기, 4-펜테닐기, 헥세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데세닐기, 시클로프로페닐기, 시클로부테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헵테닐기, 시클로옥테닐기, 4-메틸시클로헥세닐기, 4-에틸시클로헥세닐기, 2-시클로펜테닐에틸기, 시클로헥세닐메틸기, 시클로헵테닐메틸기, 2-시클로부테닐에틸기, 2-시클로옥테닐에틸기, 3-(4-메틸시클로헥세닐)프로필기, 4-시클로프로페닐부틸기, 5-(4-에틸시클로헥세닐)펜틸기, 올레일기, 백세닐기, 리놀레일기, 리놀레닐기, trans-9-옥타데세닐기, 9E, 12E-옥타데카디에닐기, 9E, 12E, 15E-옥타데카트리에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7∼26의 아랄킬기로서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와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7∼26의 아랄킬기 중 벤질기, 페네틸기, 9-플루오레닐메틸기가 바람직하고, 벤질기, 플루오레닐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랄킬기의 아릴기는 상기 기재한 탄소수 1∼6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의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등의 치환기 1∼3개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고,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의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등의 치환기 1∼3개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R1은 아미노기의 치환기, R2는 카르복실산기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시한 이들의 치환기는 5-아미노레불린산류 뿐만 아니라, δ-아미노산류의 치환기이기도 하다.
δ-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의 염으로서는, 예컨대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인산염, 메틸인산염, 에틸인산염,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질산염, 황산염, 초산염, 프로피온산염, 톨루엔술폰산염, 호박산염, 옥살산염, 유산염, 타르타르산염, 글리콜산염, 메탄술폰산염, 부티르산염, 발레르산염, 시트르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사과산염 등의 산부가염 및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염은 사용시에 있어서 수용액 또는 분체(粉體)로서 이용된다.
이상의 δ-아미노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δ-아미노산류는 화학 합성, 미생물에 의한 생산, 효소에 의한 생산 중 어느 쪽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δ-아미노산류 중 5-아미노레불린산류는 일본특허공개 소화 제48-9232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소화 제62-11195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성 제2-7684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성 제6-17228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성 제7-18813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성 제11-42083호 공보 등에 기재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하여 제조된 δ-아미노산류, 이들의 정제 전의 화학 반응 용액이나 발효액은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한, 분리 정제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면역 기능 향상제, 항산화 기능 향상제, 운동 기능 향상제, 간 기능 향상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δ-아미노산류는 후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노령화되어 면역 기능이 저하된 마우스의 흉선 중량을 증가시켜, 저하된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δ-아미노산류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면역 향상제로서 유용하며, 특히 나이가 드는 것에 의해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면역 기능 향상제로서 유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면역 기능 향상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면역 기능 향상제는 협의로는 흉선 세포 증식제이며, 하기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우스에 경구 투여함으로써, 마우스의 흉선 세포의 증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협의로는 세포성 T 세포 증식제이며, 하기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우스에 경구 투여함으로써, 마우스의 세포성 T 세포의 증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생체 내에서의 δ-아미노산류의 작용은 전혀 예상되고 있지 않으며, 노령 사회를 맞이하는 중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 δ-아미노산류는 하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노령화하여 항산화 기능이 저하된 마우스의 SOD 활성 또는 GPx 활성을 증강시켜, 저하된 항산화 기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δ-아미노산류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항산화 기능 향상제로서 유용하며, 특히 나이가 드는 것에 의해 항산화 기능이 저하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항산화 기능 향상제, 나아가서는 항가령(抗加齡) 향상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δ-아미노산류는 하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노령화되어 건강 기능이 저하된 마우스의 자연 운동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체중 증가를 촉진시켜 저하된 건강 기능, 협의로는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간 기능 향상제이며, 후기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우스에 경구 투여함으로써, 마우스의 γ-GTP 값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δ-아미노산류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면역 기능 향상제, 항산화 기능 향상제, 운동 기능 향상제, 간 기능 향상제 등의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 유용하며, 특히 나이가 드는 것에 의해 건강 기능이 저하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는 미네랄을 함유시키거나 동시에 섭취함으로써, 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철, 아연, 구리, 인, 칼슘, 마그네슘, 칼륨, 셀레늄, 크롬, 망간, 요오드, 붕소, 규소, 바나듐, 몰리브덴,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면역 기능 향상제로서 이용될 때는 미네랄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철, 구리, 셀레늄, 아연, 망간이다. 항산화 기능 향상제로서 이용될 때는 미네랄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아연, 망간, 셀레늄이다. 운동 기능 향상제나 간 기능 향상제로서 이용될 때는 미네랄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철, 마그네슘, 망간, 아연이다. 이들의 미네랄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미네랄의 화학적 성상(性狀)으로서는 생물에 해를 입히는 것이 아니면 어떤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영양제나 항산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영양제로서는, 예컨대 필수 아미노산류, 비필수 아미노산류, 비타민류, 타우린, 코엔자임 Q10, α리포산 등의 체내 인자, 허브류, 프로테인, 여러 가지의 효소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서는 유비퀴논, 페룰릭산 등의 폴리페놀류, N-아세틸시스테인, 시스테인, 카테콜, 토코페롤, 카테킨, 켈세틴 등의 후라보노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는 δ-아미노산류의 분말, δ-아미노산류를 물에 녹인 수용액,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δ-아미노산류를 함유하는 발효액을, 부형제 등의 담체에 흡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담체의 종류로서는 일반적인 것으로 좋으며, 결정성 셀룰로오스, 젤라틴, 전분, 덱스트린, 오일 찌꺼기, 빵 효모, 맥주 효모, 술 효모, 와인 효모, 탈지 분유, 젖당,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무수인산칼슘, 탄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의 제형으로서는 주사제, 정제, 캡슐제, 세립제, 시럽제, 좌약, 점안제, 습포제, 발포제, 에어로졸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용제, 분산매, 증량제, 부형제 등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등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음식품의 형태로서 섭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를 수용액으로서 조제하는 경우에는 δ-아미노산류가 5-아미노레불린산류인 경우, 유효 성분인 5-아미노레불린산의 분해를 막기 위해, 수용액이 알칼리성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알칼리성이 되어 버리는 경우는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유효 성분의 분해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는 본제(本劑)를 섭취하여 그 건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좋고, 본제의 사용 방법에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본제를 이용한 건강 기능 향상제의 대상이 되는 동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포유류, 파충류, 조류, 양서류, 어류 등의 척추 동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예로서는 사람, 소, 돼지, 양, 염소, 마우스, 래트, 토끼, 개, 고양이, 닭, 메추라기, 옥새송어, 잉어, 뱀장어, 곤들매기 등의 담수어, 은연어, 방어, 참돔, 고등어, 다랑어 등의 해수어 및 열대어나 파충류 등의 관상 생물 등을 들 수 있다.
본제의 면역 기능 향상제의 사용은 동물 성육의 어느 시점에서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흉선 조직의 중량 증가가 정지된 이후가 바람직하다. 면역 기능 향상제의 사용은 사람이면 15세 이후가 바람직하고, 30세 이후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제의 항산화 기능 향상제의 사용은 동물 성육의 어느 시점에서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항산화 기능, 예컨대 SOD 활성이나 GPx 활성이 저하된 이후가 바람직하다. 항산화 기능 향상제의 사용은 사람이면 15세 이후가 바람직하고, 30세 이후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제의 운동 기능 향상제나 간 기능 향상제 등으로서의 건강 기능 향상제의 사용은 동물 성육의 어느 시점에서도 가능하지만, 사람이면 15세 이후가 바람직하고, 30세 이후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향상제의 섭취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구, 주사, 점안, 좌약, 습포, 발포, 에어로졸, 경관 또는 경장에 의한 섭취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경구 섭취가 바람직하다.
본제는 1회의 섭취로도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효과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복수 회 섭취할 수도 있다. 섭취하는 제제에 있어서의 효과는 복수 회 섭취하는 쪽이 효과적이며, 매일 소량씩 섭취하는 것이 효율적인 사용 방법이다.
본제의 대상 동물 1kg 당 1회의 섭취량은 δ-아미노산류로서 0.001mg∼1000mg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01mg∼100mg, 특히 0.001mg∼50mg이 바람직하다. 본제의 섭취량은 성육이 왕성한 시기일수록, 또한 섭취 횟수가 적을수록 많은 양이 필요하다. 적절한 범위를 초과한 섭취는 비경제적일뿐만 아니라 일광 상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미네랄류를 병용하는 경우는 동시에 사용하여도 좋고, 따로따로 사용하여도 좋다. 사용하는 미네랄의 종류, 그 사용 방법 및 그 사용량은 통상 시판되고 있는 미네랄류와 동일하여도 지장이 없다. 그 사용량은, 예컨대 철의 경우에는 성인 남성이 하루에 1∼45mg이면 좋고, 5∼20mg이 바람직하다. 구리의 경우에는 0.5∼10mg이면 좋고, 1∼5mg이 바람직하다. 아연의 경우에는 1∼40mg이면 좋고, 5∼20mg이 바람직하다. 망간의 경우에는 0.1∼11mg이면 좋고, 2∼8mg이 바람직하다. 셀레늄의 경우에는 10∼250㎍이면 좋고, 20∼100㎍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의 경우에는 50mg∼700mg이면 좋고, 100∼500mg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의 어떤 것으로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히 언급이 없는 한 %는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일주일간 예비 사육한 마우스(생후 35∼45주, BALB/cAJc1)에 마우스 체중 1kg 당 5-아미노레불린산(이하, ALA로 칭함) 염산염 10 mg을 1일 1회, 7일간 연속하여 섭취시켰다. ALA 염산염은 증류수로 0.5 g/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 후, 마우스를 해부하고, 그 흉선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시험은 1구 당 마우스 5마리로 실시하고,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LA 염산염을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수컷, 암컷 중 어느 쪽의 경우도 면역 기능에 크게 관여하는 흉선 중량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수컷 마우스에 있어서 현저히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1]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3
(실시예 2)
일주일간 예비 사육한 마우스(생후 35∼45주, BALB/cAJc1)에 마우스 체중 1kg 당 ALA 염산염 10mg을 1일 1회, 7일간 연속하여 섭취시켰다. ALA 염산염은 증류수로 0.5g/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 후, 마우스를 해부하고, 그 흉선의 중량 및 그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얻어진 세포를 이용하여 서브셋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은 1구 당 마우스 5마리로 실시하고,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ALA 염산염을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수컷, 암컷 중 어느 쪽의 경우도 면역 기능에 크게 관여하는 흉선 중량이 증량하고, 또한 세포수도 무처리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었다(표 2). 또한, 서브셋 검사로부터 CD4-CD8+의 세포가 ALA 처리구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장래 분화 후, 세포 장해성 T 세포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고, 면역 기능 향상성이 보였다(표 3). 또한, 도 1에 무처리구(비투여군)의 흉선과 ALA 처리구(ALA 투여군) 흉선의 사진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4
[표 3]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5
(실시예 3)
일주일간 예비 사육한 마우스(생후 35∼45주, BALB/cAJc1)에 마우스 체중 1kg 당 ALA 염산염 10mg을 1일 1회, 7일간 연속하여 섭취시켰다. ALA 염산염은 증류수로 0.5mg/mL 농도로 조정하여,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 후 마우스를 해부하고, 마우스의 흉선을 채취하여 조직의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채취한 흉선에 0.25M 자당 수용액 1.0mL을 첨가하여, 동질화한 후, 10,000G로 10분간 원심 후의 탈리액을 효소액으로서 이용하였다. 측정은 항산화능 측정용 발광 시약 MPEC(2-메틸-6-p-메톡시페닐에티닐이미다졸피라지논; mw=279.1)법((주)아토 제)에 의하였다. 즉, 0.1M 인산칼륨 완충액 pH 7.5, 125μL, 효소액 10μL, 0.1units/mL 크산틴옥시다아제 60μL, 증류수 45μL, 0.3mM MPEC 10μL, 반 응 종량 250μL로 하고, Luminescencer-PSN(아토(주)제)에 분주하며, 0.72mM 하이포산틴 pH 7.5를 50μL 첨가하여 발광시켰다. 발광 저해율의 산출은 효소액 대신에 완충액을 이용하였다. 계산은 표준 SOD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그 후 농도 계산을 행하였다.
또한, 더불어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Px) 활성을 측정하였다. 분광 광도계의 셀 내에 37℃로 유지한 0.6mL 반응 혼합액(0.05M-K-phosphate buffer, pH 7.0, 1mM NaN3, 1mM EDTA, 4mM GSH를 함유)과 2mM H2O2 0.1mL, 효소액 50μL을 첨가하고, 총량 1mL, 직접 분광 광도계로써 파장 340nm(ODat 340nm)로 2분간 스캔시켰다(20mm/min). 공시료는 효소액 대신에 증류수를 이용하였다.
계산은 차트상에서 직선 기울기 ΔOD(ΔOD=Δcm(y축의 변화량)×ODMax/full cm)를 구하고 NADPH의 분자 흡광 계수 a=6.3㎠/μmole를 이용하여(수식 1)에 의해 구하였다.
(수식 1)
GPx 활성=V/adv×ΔOD/Δt
(V는 반응 용액량, d=light path=1 cm, v=효소량, Δt=시간 변화량 min)
시험은 1구 당 수컷과 암컷 마우스 각 5마리, 합계 10마리로 실시하고,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ALA를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수컷, 암컷 중 어느 쪽의 경우도 SOD 활성 또는 GPx 활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6
(실시예 4)
일주일간 예비 사육한 마우스(생후 35∼45주, BALB/cAJc1)에 마우스 체중 1kg 당 ALA 염산염 10mg을 1일 1회, 7일간 연속하여 섭취시켰다. ALA 염산염은 증류수로 0.5g/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 후, 바닥 면적이 20cm×20cm인 게이지에 넣어, 5분간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1구 당 수컷과 암컷 마우스 각 5마리, 합계 10마리로 실시하고,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ALA를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수컷, 암컷 중 어느 쪽의 경우도 이동거리가 많고, 운동 능력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 중 ALA 처리한 마우스에는 육안적으로 이상한 흥분·행동 등의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5]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7
(실시예 5)
일주일간 예비 사육한 마우스(생후 35∼45주, BALB/cAJc1)에 마우스 체중 1kg 당 ALA 염산염 10mg을 1일 1회, 7일간 연속하여 섭취시켰다. ALA 염산염은 증류수로 0.5g/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 후, 마우스를 해부하여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 1mL 당의 ALA 탈수 효소(ALAD) 활성(ALA가 이량화되고, 1분자의 피롤 물질인 포르포빌리노겐(이하, PBG로 칭함)을 형성하는 활성) 및 포르포빌리노겐디아미나아제(PBGD) 활성(PBG로부터 히드록시메틸빌란으로 변환하는 활성)을 측정하였다. ALA가 PBG를 형성하는 패스 및 PBG로부터 히드록시메틸빌란으로 변환하는 패스는 헴(heme) 합성의 중요한 패스의 일부이다. 헤파린 처리한 마우스의 전혈(全血) 0.02mL에 증류수를 0.33mL 첨가한 후, 0.5M Na-phosphate buffer pH 6.4, 0.05mL, 0.1M DTT(1mM ZnSO4를 함유)를 0.05mL, 50mM ALA 염산염을 0.05mL 첨가하고, 총량 0.5mL로 하여, 이것을 37℃, 30분간 유지한 후, 1M 트리클로로초산을 0.5mL 첨가하고, 반응을 정지한 후 3000rpm의 상청에 에를리히 시약을 등량 첨가하고, 정확히 10분 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에를리히 시약과 PBG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의 특성 흡수인 553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OD).
계산은 ALAD 활성에 의해 얻어지는 반응 산물 PBG의 분자흡광계수 61000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공시료는 반응 시간 0분을 이용하였다(OD0).
ALAD 활성
=1M×(OD-OD0)/61000×2/1000×1/0.02×1 mol PBG/Ht/h
=1.639×(OD-OD0)/Ht μ mol PBG/mL RBC/h
(Ht는 헤마토크릿값, RBC는 적혈구, h는 시간을 나타냄)
또한, PBGD 활성은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헤파린 처리한 마우스의 전혈0.02mL에 증류수를 0.38mL 첨가한 후, 0.6mM PBG(0.38M Na-phosphate buffer pH 7.8을 함유)를 0.05mL 첨가한 후, 37℃, 30분간 유지하였다. 5M 트리클로로초산(0.8% 요오드를 함유)을 0.05mL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한 후, 3000rpm 5분간의 원심 상청을 그대로 형광 분광 광도계에서 여기 파장 405nm, 형광 파장 597nm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계산은 유로포르피리노겐 I의 산화형 표준 물질인 유로포르피린 I(URO)형 이성체를 이용하여 비례 계산하였다.
즉,
표준 물질 0.536nmol URO/mL일 때에 FU(Em=597nm의 형광 강도)=139
따라서,
PBGD 활성
=0.536/139×0.5/0.02×2×FU/Ht/h
=0.192×FU/Ht nmol URO/mL RBC/h
(Ht는 헤마토크릿값, RBC는 적혈구, h는 시간을 나타냄)
시험은 1구 당 수컷 마우스 5마리로 실시하고,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ALA를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ALAD 활성 및 PBGD 활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6]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8
상기한 바와 같이, ALA를 섭취함으로써, 호흡 전자 전달계의 중요한 인자인 헴 단백질을 구성하는 헴 합성 경로의 활성(ALAD 활성, PBGD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경로가 활성화됨으로써, 동물 체내에서 에너지 대사를 행하는 시트르산 회로(TCA 사이클)가 활성화되고, 운동 기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6)
일주일간 예비 사육한 마우스(생후 35∼45주, BALB/cAJc1)에 마우스 체중 1kg 당 ALA 염산염 10mg을 1일 1회, 7일간 연속하여 섭취시켰다. ALA 염산염은 증류수로 0.5g/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 전후로 회전식 운동량 측정기(회전 바구니: 직경 200mm×폭 50mm, 사육 바구니: W90mm×D220mm×H90mm, 시나노세이사쿠쇼샤(주)제)에 넣고, 16시간의 회전수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회전식 운동량 1개에 마우스 1마리로 실시하며, 무처리 5마리, ALA 처리 5마리를 1구로 하여 암컷 마우스에 대하여 실시하고,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ALA를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회전량이 많고, 운동 능력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7]
Figure 112007025657219-pct00009
(실시예 7)
일본 의과학 동물 자재 연구소(주) 생산의 ddY-N계 마우스를 120마리(수컷, 암컷 각 60마리)를 약 생후 4주된 것을 도입하고, 일주일의 검역을 행하여 건강 상태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구는 주사 용수를 시험에 제공된 마우스의 체중 1kg당 10mL의 비율로 28일간 연속하여 위 존데(sonde)를 이용하여 강제 위내 투여하는 대조구, ALA 염산염을 시험에 제공된 마우스의 체중 1kg 당 5mg, 10mg 및 25mg의 비율로 동일하게 투여하는 3 시험구의 합계 4구를 설정하였다. 시험에 제공된 마우스를 각 군의 평균 체중이 대략 균등해지도록 수컷, 암컷마다 1군을 5마리로 한 12군으로 구분하고, 각 구에 수컷, 암컷 각 3군씩을 할당하여, 28일간 사육하였다. 시험에 제공된 마우스는 실온 23.0±2.0℃, 조사 시간 12시간/일(日)로 설정한 사육실에 설치한 스테인레스제 5연(連)케이지를 이용하여 군마다 사육하였다. 시험 개시시로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여 증가 체량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시험 기간 중의 발육 곡선(수컷, 암컷의 평균, 도 2)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mg/kg 투여구가 다른 3구보다 우수한 발육을 나타내고, 실시예 6의 결과와 합치면, 운동 기능이 향상하며, 체중 증가 효과도 확인되는 것으로부터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ALA 첨가군에 있어서도 건강 상태에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8)
양돈장에서 같은날에 생산된 LW·D 종자 돼지를 14마리(거세, 암컷 각 7마리)씩 3회로 나누어 도입하고, 9∼12일간의 예비 사육을 행하여 건강 상태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각 회 모두 12마리(거세, 암컷 각 6마리)씩 선발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구는 ALA 염산염 무첨가의 대조 사료(표 8)를 공급하는 대조구와, ALA 염산염을 10ppm 및 50ppm 첨가한 사료를 공급하는 시험구 2구의 합계 3구를 설정하였다. 시험에 제공된 돼지를 체중 분포가 대략 균등해지도록 4마리(거세, 암컷 각 2마리)씩 3군으로 구분하고, 각 구에 1군씩을 할당하여 6주간 사육하였다. 시험에 제공된 돈사(豚舍)는 1.8×2.7m의 콘크리트 바닥의 돈방(豚房)이 14방씩 병렬된 개방형 돈사로 블록마다 인접한 3돈방을 이용하여 군집하여 사육하였다. 부과는 볏짚을 이용하였다. 각 돈방 내에는 시험 개시 후 3주까지 보온 상자를 설치하였다. 사료 및 음료수는 계속하여 공급하였다. 시험 개시시부터 1주일 간격으로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여 체중 증가량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그 결과, 시험 기간 중의 발육 곡선(거세, 암컷의 평균, 도 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ppm, 50ppm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우수한 발육을 나타내고, 실시예 6의 결과와 합하면, 운동 기능이 향상되며, 체중 증가 효과도 확인되는 것으로부터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ALA 첨가군에 있어서도 건강 상태에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표 8]
Figure 112007025657219-pct00010
(실시예 9)
브로일러 초생 병아리(chunky) 자웅 각 150마리, 합계 300마리를 도입하였다. 도입 후 이상이 확인되는 병아리(쇠약 및 왜소)를 제외하고, 개체 식별을 위해 날개띠를 장착하여, 개체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웅별로 체중에 의해 3그룹(1그룹 당 45마리 이상)으로 나누고, 각 그룹 내에서 무 작위로 15마리씩 3군으로 할당하였다. 폐쇄형 축사 내에 설치한 칙가드(chick guard)에 자웅 각 15마리(합계 30마리)를 1군으로서 수용하고, 동물용 적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보온하였다. 칙가드는 병아리의 발육에 따라 확대하였다. 사료 및 음료수는 계속해서 공급하였다. 시험군은 ALA 염산염 무첨가의 대조 사료[갓 태어나 3주될 때까지는 시험용 표준 사료 SDB No.1, 생후 3주부터 생후 7주까지는 시험용 표준 사료 SDB No.2(모두 일본 배합 사료(주)제, 표 9)를 이용함]를 공급하는 대조군과 ALA 염산염을 10ppm 및 50ppm 첨가한 사료를 공급하는 ALA-10ppm 첨가군과 ALA-50ppm 첨가군 2군의 합계 3군을 설정하여, 각 군 3반복구를 배치하였다. 각 시험군의 시험에 제공된 마리 수는 표 10과 같이 하였다. 시험 기간은 갓 태어나(첨가 사료 급여 개시) 7주간(생후 7주)으로 하고, 갓 태어났을 때 및 그 이후 1주일마다 반복구마다 자웅별 총 체중을 측정하였다. 또한, 생후 3주 및 생후 7주에 각 군 18마리(자웅 각 3마리/반복)의 상암 정맥(척측 피정맥)으로부터 약 2mL의 혈액을 채취하고, 그 중 약 1.5mL를 헤파린-리튬염을 이용하여 응고 방지 처리한 후, 혈장을 분리하여, LDH, GOT(AST), γ-GTP, ALP, 총단백, 알부민, 글로불린, 총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혈당, 요산, 총 빌리루빈, 요산, 크레아티닌, 칼슘, 무기인의 항목을 검사하였다. 결과를 표 11 및 12에 나타낸다. 그 결과, 시험 기간 중의 체중(자웅의 평균)은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갓 태어나서 생후 3주까지의 체중에 시험군 중에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생후 3주 이후의 체중은 ALA-10ppm 첨가군과 ALA-50ppm 첨가군 2군에서 대조군보다 커졌다. 또한, 혈액 검사의 결과로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γ-GTP(감마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아제)가 ALA- 10ppm 첨가군과 ALA-50ppm 첨가군 2군에서 대조군보다 감소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ALA가 간 기능 향상 효과를 갖고,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ALA 첨가군에 있어서도 시험 기간 중의 일반 상태에 이상은 확인되지 않고, 성육률 및 부검 소견에서도 첨가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표 9]
Figure 112007025657219-pct00011
[표 10]
Figure 112007025657219-pct00012
[표 11]
Figure 112007025657219-pct00013
[표 12]
Figure 112007025657219-pct00014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4년 9월 2일 출원인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04-255575), 2004년 9월 2일 출원인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04-255576), 2004년 9월 2일 출 원인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04-255577), 2005년 7월 28일 출원인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05-218435) 및 2005년 7월 28일 출원인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05-218436)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취하여 포함된다. 모든 인용되는 참조는 내용으로서 취하여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강 기능이 저하된 동물, 예컨대 고령화에 따라 건강 기능이 저하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건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향상제로서, 상기 건강 기능 향상제는 면역 기능 향상제, 흉선 세포 증식제, 운동 기능 향상제 또는 간 기능 향상제인 건강 기능 향상제:
    Figure 112010015738863-pct00019
    화학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카노일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40의 알킬기, 탄소수 2∼40의 알케닐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와 탄소수 1~6의 알킬기로 구성되는 아랄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건강 기능 향상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음식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건강 기능 향상제가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인 건강 기능 향상제.
  13. 제1항에 있어서, 면역 기능 향상제가 철, 구리, 셀레늄, 아연 및 망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인 건강 기능 향상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운동 기능 향상제가 철, 마그네슘, 망간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인 건강 기능 향상제.
  16. 제1항에 있어서, 간 기능 향상제가 철, 마그네슘, 망간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인 건강 기능 향상제.
  17. 제1항에 있어서, 건강 기능 향상제가 경구, 주사, 점안, 좌약, 습포, 발포, 에어로졸, 경관 또는 경장 섭취 용제인 건강 기능 향상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동물이 그 체중 1kg 당 0.001∼1000mg의 상기 화합물 또는 그 염이 섭취되도록 상기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인 건강 기능 향상제.
KR1020077007605A 2004-09-02 2005-08-26 건강 기능 향상제 KR100966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5577 2004-09-02
JPJP-P-2004-00255576 2004-09-02
JPJP-P-2004-00255575 2004-09-02
JP2004255576A JP4814501B2 (ja) 2004-09-02 2004-09-02 抗酸化機能向上剤
JP2004255577 2004-09-02
JP2004255575 2004-09-02
JP2005218436A JP4814568B2 (ja) 2004-09-02 2005-07-28 免疫機能向上剤
JPJP-P-2005-00218435 2005-07-28
JP2005218435A JP4814567B2 (ja) 2004-09-02 2005-07-28 健康機能向上剤
JPJP-P-2005-00218436 2005-07-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324A Division KR20100016341A (ko) 2004-09-02 2005-08-26 건강 기능 향상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583A KR20070058583A (ko) 2007-06-08
KR100966318B1 true KR100966318B1 (ko) 2010-06-28

Family

ID=359999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605A KR100966318B1 (ko) 2004-09-02 2005-08-26 건강 기능 향상제
KR1020097023324A KR20100016341A (ko) 2004-09-02 2005-08-26 건강 기능 향상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324A KR20100016341A (ko) 2004-09-02 2005-08-26 건강 기능 향상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90712B2 (ko)
EP (2) EP1785132B1 (ko)
KR (2) KR100966318B1 (ko)
CN (2) CN101822661A (ko)
AU (1) AU2005278649B8 (ko)
CA (2) CA2579032C (ko)
ES (1) ES2459366T3 (ko)
NO (1) NO336392B1 (ko)
WO (1) WO2006025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5356B1 (en) * 2007-09-18 2019-10-08 Thermolife International, Llc Amino acid compositions
US10426750B1 (en) 2007-09-18 2019-10-01 Thermolife International, Llc Amino acid supplement formulations
US10426792B1 (en) * 2007-09-18 2019-10-01 Thermolife International, Llc Amino acid compositions
US8466187B2 (en) 2007-09-18 2013-06-18 Thermolife International, Llc Amino acid compositions
US10646508B1 (en) * 2007-09-18 2020-05-12 Thermolife International, Llc Method of safely administering nitrate dietary supplements and compositions
CA2722578C (en) * 2008-05-14 2014-02-11 Sbi Alapromo Co., Ltd. Use of .delta.-amino levulinic acid to treat male infertility
EP3192506A3 (en) * 2008-10-27 2017-10-25 SBI Pharmaceuticals Co., Ltd. Prophylactic/ameliorating agent for adult diseases comprising 5-aminolevulinic acid, derivative of 5-aminolevulinic acid, or salt of 5-aminolevulinic acid or the derivative or 5-aminolevulinic acid as active ingredient
JP5611548B2 (ja) * 2009-07-08 2014-10-22 Sbiファーマ株式会社 5−アミノレブリン酸若しくはその誘導体、又はそれらの塩を有効成分とするがんの予防・改善剤
WO2012142474A2 (en) 2011-04-13 2012-10-18 Thermolife International, Llc N-acetyl beta alanine methods of use
EP2722041B1 (en) * 2011-06-16 2018-10-24 SBI Pharmaceuticals Co., Ltd. Therapeutic agent for allergic rhinitis
JP6052736B2 (ja) * 2011-08-12 2016-12-27 Sbiファーマ株式会社 敗血症の予防剤及び/又は治療剤
CN103930103B (zh) * 2011-10-12 2016-08-24 思佰益药业股份有限公司 移植器官的成活促进剂
JP5818906B2 (ja) 2011-10-12 2015-11-18 Sbiファーマ株式会社 抗ガン剤の副作用の予防剤及び/又は治療剤
CN108403678A (zh) * 2011-10-12 2018-08-17 思佰益药业股份有限公司 慢性肾脏病的改善、预防剂
CN104105482B (zh) 2011-10-12 2017-10-24 思佰益药业股份有限公司 红细胞生成素产生促进剂
TWI571455B (zh) * 2011-12-07 2017-02-21 Sbi Pharmaceuticals Co Ltd To prevent alcohol from causing discomfort to the human body of the hangover preventive agent and / or therapeutic agent
CN106474098B (zh) 2012-07-13 2020-06-05 思佰益药业股份有限公司 免疫耐受诱导剂
US9351949B2 (en) 2012-07-19 2016-05-31 Sbi Pharmaceuticals Co., Ltd. Prophylactic/therapeutic agent for influenza virus infection
WO2016006260A1 (ja) * 2014-07-11 2016-01-14 Sbiファーマ株式会社 受精卵の正常発生率向上剤
CN104146142A (zh) * 2014-07-28 2014-11-19 四川安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JP2020130001A (ja) * 2019-02-15 2020-08-31 ネオファーマジャパン株式会社 泌乳牛の乳におけるタンパク質含量増加剤
US11865139B2 (en) 2020-11-12 2024-01-09 Thermolife International, Llc Method of treating migraines and headach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770A (ja) * 2001-07-31 2003-02-13 Cosmo Oil Co Ltd 豚成育促進剤及び豚成育促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8478A (en) * 1963-07-30 1967-05-10 Kyowa Hakko Kogyo Kk Increasing amino-acid content of food
JPS4892328A (ko) 1972-03-17 1973-11-30
JPS62111954A (ja) 1985-11-09 1987-05-22 Japan Spectroscopic Co アミノレブリン酸の合成法
JPH0276841A (ja) 1988-09-09 1990-03-16 Osaka Organic Chem Ind Ltd アミノレブリン酸類の製造法
US5234940A (en) * 1989-07-28 1993-08-10 Queen's University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precursors thereof
US5955490A (en) * 1989-07-28 1999-09-21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other precursors of endogenous porphyrins
US5010073A (en) * 1989-10-05 1991-04-23 The Rockefeller University Use of liposomes as carriers for metalloporphyrins
JPH05117110A (ja) 1991-10-23 1993-05-14 Cosmo Sogo Kenkyusho:Kk 除草剤及び除草方法
DE4228084C1 (de) 1992-08-24 1993-12-23 Suedzuck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cylderivaten der 5-Aminolävulinsäure sowie des Hydrochlorids der freien Säure
US5368841A (en) 1993-02-11 1994-11-29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Photodynamic therapy for the destruction of the synovium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nd the inflammatory arthritides
JP2747644B2 (ja) 1993-08-19 1998-05-06 株式会社コスモ総合研究所 植物成長調節剤
DE4341001A1 (de) 1993-12-02 1995-06-08 Beiersdorf Ag Top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L-Arginin
DE4341000A1 (de) 1993-12-02 1995-06-08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L-Arginin, L-Ornithin oder L-Citrullin und topischen Zubereitungen mit diesen Stoffen
JPH07188133A (ja) 1993-12-27 1995-07-25 Asahi Chem Ind Co Ltd δ−アミノレブリン酸またはその同族体の製造法
TW413633B (en) 1996-01-09 2000-12-01 Rikagaku Kenkyusho Amino acid composition
JPH10139678A (ja) 1996-11-14 1998-05-26 Taisho Pharmaceut Co Ltd 生体内抗酸化剤
JPH10215811A (ja) * 1997-02-07 1998-08-18 Meiji Seika Kaisha Ltd 脂肪の燃焼を促進させる飲食品
WO1998036730A2 (de) 1997-02-21 1998-08-27 Beiersdorf Ag Zubereitungen für die behandlung von rosacea
JP3026190B2 (ja) 1997-05-27 2000-03-27 株式会社コスモ総合研究所 5−アミノレブリン酸生産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た5−アミノレブリン酸の製造法
JP4038280B2 (ja) 1998-09-14 2008-01-2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無侵襲生体成分計測装置
WO2000043199A1 (en) * 1999-01-20 2000-07-27 Reference Diagnostics, Inc. Magnetically responsive gel particle
NZ527924A (en) 1999-01-29 2005-01-28 Mars Uk Ltd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mpanion animals
KR100365151B1 (ko) 2000-05-08 2003-02-11 김형락 어류 병원성 세균과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δ-아미노레불린산의 신규한 용도
JP3827923B2 (ja) 2000-06-20 2006-09-27 味の素株式会社 造血および栄養状態改善用アミノ酸組成物
GB0018528D0 (en) 2000-07-27 2000-09-13 Photocure Asa Compounds
DE10063076A1 (de) * 2000-12-18 2002-06-27 Medac Klinische Spezialpraep Verwendung von 5-Aminolävulinsäure zur Restenose-Prophylaxe
JP2003277284A (ja) * 2002-03-25 2003-10-02 Eisai Co Ltd 抗酸化力増強剤
JP4345311B2 (ja) * 2003-01-22 2009-10-14 東亞合成株式会社 抗酸化剤
KR100459918B1 (ko) * 2002-06-19 2004-12-03 (주)엔바이로젠 델타아미노레불린산을 함유하는 생육촉진용 가축사료 첨가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770A (ja) * 2001-07-31 2003-02-13 Cosmo Oil Co Ltd 豚成育促進剤及び豚成育促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5132A1 (en) 2007-05-16
CA2579032C (en) 2011-11-29
EP1785132A4 (en) 2013-02-13
KR20070058583A (ko) 2007-06-08
US8790712B2 (en) 2014-07-29
AU2005278649B8 (en) 2010-07-22
ES2459366T3 (es) 2014-05-09
NO20071165L (no) 2007-06-04
EP1785132B1 (en) 2014-04-09
WO2006025286A1 (ja) 2006-03-09
CA2579032A1 (en) 2006-03-09
EP2727589A1 (en) 2014-05-07
EP2727589B1 (en) 2018-11-28
CN101822661A (zh) 2010-09-08
CN101010076A (zh) 2007-08-01
AU2005278649A1 (en) 2006-03-09
CA2752569C (en) 2014-09-16
CN101010076B (zh) 2010-06-09
AU2005278649B2 (en) 2010-07-01
US20080026075A1 (en) 2008-01-31
NO336392B1 (no) 2015-08-10
KR20100016341A (ko) 2010-02-12
CA2752569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318B1 (ko) 건강 기능 향상제
Eo et al. Effect of dietary ascorbic acid on growth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f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RU2436410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для усиления иммунного ответа кошачьих
US20010043983A1 (en) Nutritional supplements for aged pets
US20030060503A1 (en) Nutritional supplements for mature pets
DK2387325T3 (en) Methods for improving liver and immune function in an animal
JPH082268B2 (ja) メチルスルホニルメタンを含む食餌製品およびその使用
RU2421017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стимулирующие потерю жировой массы
US2009001214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Lean Muscle Mass and/or Reducing Fat Gain
WO2008128704A1 (en) Use of hydroxytyrosol as anti-aging agent
JP4814567B2 (ja) 健康機能向上剤
JP4814501B2 (ja) 抗酸化機能向上剤
JP4814568B2 (ja) 免疫機能向上剤
US9474292B1 (en) Nutritional powder including brewer's yeast, aronia extract, and cranberry extract for animals
WO2020218148A1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JP2021078397A (ja) 脂質減少促進剤
JP7101363B2 (ja) セレノネイン含有組成物
KR20230175264A (ko) 지질 감소촉진제
Beynen Citrate in cat food
MX2010001863A (es) Empleo de composiciones fitoceuticas con propiedades nutricionales, antimicrobianas y antioxidantes durante el periodo de crecimiento y engorda de pollos.
JP2002212082A (ja) 活性酸素消去能を有する卵とその生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