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839B1 - 어댑터, 화상공급장치 및 인쇄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어댑터, 화상공급장치 및 인쇄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839B1
KR100927839B1 KR1020077019525A KR20077019525A KR100927839B1 KR 100927839 B1 KR100927839 B1 KR 100927839B1 KR 1020077019525 A KR1020077019525 A KR 1020077019525A KR 20077019525 A KR20077019525 A KR 20077019525A KR 100927839 B1 KR100927839 B1 KR 100927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rinting
printer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663A (ko
Inventor
아키토시 야마다
유스케 하시이
타카오 아이치
켄타로 야노
테츠야 스와
마사오 카토
미쓰히로 오노
아라타 미야기
후미히로 고토
후미타카 고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3Optical, e.g. using an infrared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62Stand-alone interfac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화상공급장치와 프린터 사이에서 중개하는 어댑터는, 무선통신에 의해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하기 전에 유선통신에 의해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1동작 모드와, 무선통신으로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한 후, 유선통신으로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프린터가 인쇄하게 한다.
어댑터, 화상공급장치, 프린터, 인쇄 잡, 무선통신.

Description

어댑터, 화상공급장치 및 인쇄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Adaptor, Image supply device, Prin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화상공급장치가 보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를 거쳐서 프린터에 송신해서 인쇄를 행하는 인쇄 시스템, 및 그 어댑터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단한 조작으로 화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한 화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메모리에 보존하고, 그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각종기기에 공급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촬상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이렉트 인쇄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 다이렉트 인쇄 시스템은, 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사진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직접,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프린터 장치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해서 인쇄할 수 있다.
통상, 다이렉트 인쇄 기능은, 카메라와 프린터 장치에 미리 설정된 사양에 준해서 실행된다. 따라서, 제조 판매된 다이렉트 인쇄 호환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 장치를, 새로운 다이렉트 인쇄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기능을 업데이트 해야만 하지만, 그러한 업데이트는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서로 사양이 다른 다이렉트 인쇄 시스템간은 호환성이 없다. 예를 들면, 무선접속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와 USB접속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는, 개별적으로 규정되고, 상이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그 결과, USB접속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에만 대응한 많은 기기가 이미 시장에서 팔리고 있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른 다이렉트 인쇄 기능을 변환 및 전달하고, 인쇄 사양이 서로 다른 기기들을 접속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구현할 수 있는 다이렉트 인쇄용 어댑터에 대한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종래의 PC환경에 있어서의 인쇄 변환 어댑터는 프린트 서버라고 불린다. 이러한 프린트 서버는, 프린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프린터의 기능을 보완, 확충하고, 복수의 유저간에 프린터를 공유하도록 설계된다.
도31은 종래의 PC환경에 있어서의 프린트 서버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 프린트 서버 시스템은, 클라이언트(2111, 2112, 2113)에 의해 공용가능한 프린터(2117, 2119)를 제어하기 위한 프린트 서버(2115, 211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2111-2113)가 프린터(2117)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경우, 이하의 순서에 의해 인쇄 처리가 진척된다.
주어진 클라이언트(예를 들면, 2111)는, 프린트 서버(2115)에 인쇄를 의뢰하기 위해서, 네트워크(2110)를 거쳐서 문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문서 데이터는,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해서, 문자, 도형, 이미지의 인쇄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인쇄 코맨드 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인쇄 코맨드 열은, PDF(Page Description Language)이라고도 불린다. 클라이언트(2111)로부터 문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 프린트 서버(2115)는, 문서 데이터를 프린트 서버(2115)의 스풀이라고 부르는 화일에 일단 저장한다. 그 후, 프린터 서버(2115)는, 그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판독하여, 프린터(2117)에 송신해서 프린터(2117)에 인쇄를 지시한다. 그리고 프린터(2117)는, 그 문서 데이터를 처리해서 용지에 인쇄를 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프린트 서버(2115, 2116)는 프린트 서버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2111∼2113)에 대하여, 프린트 서버(2115, 2116)를 거쳐 정확히 프린터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프린터 정보는, 프린터(2117, 2119)와, 대응한 프린트 서버(2115, 2116)와의 사이의 로컬 접속으로 교환된다.
일본 특허번호 03486553에는, 인쇄 상태를 프린터로부터 취득해서 클라이언트에 통달하는 어댑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번호 03573466에는, 에러의 통지, 재인쇄, 중지 명령 등을 서포트하고 있는 네트워크계의 프린트 서버가 개시되어 있다.
프린트 서버가, 대응하는 프린터의 사양이 규정된 후에 설계되므로, 보다 개선된 기능이 서포트가능하다. 일본 특허공개번호 11-184649에는, 고기능의 프린트 서버가 복수의 저기능 프린터의 어댑터로서 기능하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번호 03495845에는, 복수의 프린터의 기능을 등록하여, 인쇄 잡에 적합한 프린터를 선택하는 프린트 서버가 기재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용의 어댑터에서는, 종래의 PC환경에 있어서의 프린트 서버와는 그 요구되는 역할이 크게 다르다. 다시 말해, 다이렉트 인쇄용의 어댑터를 작성하도록 신규의 다이렉트 인쇄 프로토콜을 설계하면, 이미 시장이 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많은 기존의 제품과의 호환성이 보증되지 않는다. 그래서, 기존의 다이렉트 인쇄 프로토콜을 그대로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복수의 다이렉트 인쇄 프로토콜들이 프린터 정보 등의 전달 등의 기능면에서 큰 차이가 있어서, 프린터 정보 등이 디지털 카메라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무선접속의 다이렉트 인쇄에 있어서는, 순수한 파일전송 프로토콜들은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들 파일전송 프로토콜들은, 다이렉트 인쇄에 고유한 기기정보와 인쇄 잡 정보의 전달을 전혀 규정하지 않는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고 하여도, 새로운 과제가 발생한다. 이 새로운 과제에 대해서, 상기 과제의 해결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방법을 취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에 의해 규정된 적외선 송수신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약칭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파일을 전송해서 화상 파일을 인쇄한다. 어댑터는, 자신의 적외선 송수신장치에 의해, 그 화상 파일을 수신하고, 프린터에 대하여 그 화상 파일의 인쇄를 행하기 위한 인쇄 잡을 발행한다.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이 통상 완료했을 경우, 어댑터는,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에 대하여 전송 완료 응답을 보낸다.
이 때, 예를 들면 이 데이터 전송 완료 응답 후에 인쇄 잡을 프린터에 발행하면, 프린터가, 예를 들면 PC로부터의 데이터 인쇄중일 때 비지(busy)이기 때문에 즉시 인쇄를 할 수 없거나, 또는 용지없음 등의 트러블로 인해 인쇄를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휴대전화의 유저는, 그 휴대전화의 동작 결과(전송 완료)로부터, 이것들의 문제를 인식할 수 없다.
또 프린터가 PC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휴대전화가 화상을 전송하는 동안에 PC로부터 프린터에 인쇄 요구가 발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그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의 우선도가 PC쪽이 높다면, PC로부터의 인쇄 요구에 대응한 인쇄가 우선적으로 실행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휴대전화로 촬영한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 프린터에 L판 사진용지를 세트한 상태에서 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을 때에, PC로부터의 인쇄 요구에 따라 인쇄가 개시되면, 그 L판의 사진용지에 그 PC로부터의 문서가 인쇄되게 된다.
대부분 저가격의 프린터에서는, 프린터 본체에 액정화면을 갖지 않고, 다이렉트 인쇄의 인쇄 상황의 표시 기능을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에 맡기고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어댑터를 거쳐서 휴대전화와 저가격의 프린터를 접속하고 있을 경우, 프린터의 인쇄 상황을 어댑터를 거쳐 휴대전화에 전송하고, 그 휴대전화의 표시부에 인쇄 상황을 표시시키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또 저가격의 프린터에서는, 프린터의 UI 기능이 부족하고, 인쇄시의 종이 사이즈 등의 각종 인쇄 설정을 프린터만으로는 행할 수 없다. 또 어댑터를 거쳐서 프린터와 휴대전화를 접속하고 있을 경우, 프린터는, 휴대전화가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전술한 인쇄 설정을 어댑터에 대하여 지시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또 화상 데이터원인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프린터에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 수단이, 예를 들면 IrDA와 같이 저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그 인터페이스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전송중, 그 프린터가 그 데이터 공급원에 의해 점유되어 버려, 프린터의 가동율이 크게 감소된다.
또 화상 데이터원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가 개시된 후, 인쇄 도중에 프린터의 잉크나 인쇄 용지가 없어지거나, 어떠한 에러가 생기거나 해서 인쇄를 완료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화상 데이터원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할 때, 그 화상 데이터원과 프린터와의 사이의 접속은 정상 종료한다. 프린터는, 인쇄가 완료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원을 통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서버인 프린터와 클라이언트인 화상 데이터원이 공통의 프로토콜로 접속되어서 다이렉트 인쇄를 행하는 것이 아니고, 그들의 프로토콜간의 차이를 개재하고 있는 어댑터가 흡수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드러나는 문제다.
또한, 클라이언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에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데다가, 프린터에 따라서 인쇄에 긴 시간을 요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가 배터리 구동으로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일 경우, 인쇄가 완료하기 전에 클라이언트의 배터리 잔량이 없어지거나, 최악일 경우에는 인쇄를 완료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또 배터리 잔량이 없어질 때까지 배터리가 소모되지 않지만, 다이렉트 인쇄 때문에 긴 시간을 요한다면, 그 후의 모바일 기기로서의 동작을 보장하는 관점에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어댑터에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지만, 예를 들면 프린터가 PC와 접속되어 있어서 PC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인쇄하기 때문에 어댑터가 프 린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그 어댑터로부터 프린터에의 데이터 전송이 장시간 기다리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에, 그 클라이언트도 어떠한 데이터 전송 완료 통지도 수신하지 않고 기다리게 되어버린다. 클라이언트가 배터리 구동의 모바일 기기일 경우에 배터리는 쓸데없이 낭비된다.
종래는, 프린터의 인쇄의 완료와, 휴대전화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완료에 따르는 휴대전화의 해방의 어느 하나를 우선시킬지를 유저는 지정할 수 없다. 유저의 우선순위에 입각한 적절한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본원발명의 특징은, 화상공급장치와 프린터 사이에 어댑터를 개재시켜서 인쇄하고, 화상공급장치와 프린터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 시스템, 그 어댑터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상공급장치가 보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를 경유시켜서 프린터에 출력해서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어댑터는,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프린터와 통신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2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인쇄 시스템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인터페이스에 의해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한 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2동작 모드와,
상기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동작 모드를 바꾸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를 경유시켜서 프린터에 출력하는 화상공급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어댑터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어댑터에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어댑터로부터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시키는 제1동작 모드와,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어댑터에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시키는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한 화상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공급장치가 보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중계해서 프린터에 출력해서 인쇄시키는 어댑터를 제공하되,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프린터와 통신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2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인터페이스를 거쳐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인터페이스를 거쳐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한 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동작 모드를 바꾸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되는 경우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문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킨다.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포토다이렉트 프린터의 개관 사시도다.
도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PD프린터의 조작패널의 개관도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의 제어에 관련되는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를 거쳐서 PD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해서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의 외관도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의 제어에 관련되는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의 외관도이다.
도7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를 PD프린터에 접속하고, 그 어댑터의 적외선 송수신부에 대하여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의 적외선 송수신부를 향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어댑터와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어댑터 및 블루투쓰 장치와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어댑터와 USB호스트 단자첨부 PC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어댑터와 IEEE1394-1995단자 첨부 PC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PD프린터, 어댑터와 802.11장치첨부 PDA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PD프린터와 어댑터를 USB접속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행할 경우, PD프린터와 어댑터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5는 도14의 1401에 나타낸, USB를 사용한 다이렉트 인쇄시의 초기화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6a 및 16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PD프린터와 어댑터와의 사이에서의 USB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시의 스크립트의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17a 및 17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USB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시의 능력(Capability) 취득 스크립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8a-18c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USB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시의 잡 발행 스크립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9a 및 19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USB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시의 상태(Status) 통지 스크립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0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와 휴대전화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서로 통신할 경우의 초기화 및 파일전송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PD프린터와 어댑터를 접속했을 때의 PD프린터, 어댑터 및 휴대전화의 동작 시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 시작으로부터 PD프린터에 의한 인쇄가 완료할 때까지의 동작 시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3은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가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을 접수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PD프린터가 인쇄를 중단해서 인쇄를 재개할 때까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시퀸스(변형 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시퀸스(변형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7은 제2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28은 제2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와 PD프린터와의 접속, 그 절단 처리를 주로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29는 제3실시예에 관련되는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동작의 전환 및 UI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30은 제3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에 의한 데이터 전송동작의 전환 및 인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31은 종래의 PC환경에 있어서의 프린트 서버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포토다이렉트 프린터(이하, PD프린터)(1000)의 개관 사시도다. 이 PD프린터(1000)는, 호스트 컴퓨터(P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서 인쇄하는 일반적인 PC프린터로서의 기능과,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판독해서 인쇄하거나, 또는 디지털 카메라, PDA등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해서 인쇄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도1에 있어서, PD프린터(1000)의 겉 껍데기를 이루는 본체는, 하부 케이스(1001), 상부 케이스(1002), 액세스 커버(1003) 및 배출 트레이(1004)의 외부 포장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001)는, PD프린터(1000)의 약하반부를, 상부 케이스(1002)는 본체의 약상반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양쪽 케이스의 조합에 의해 (후술하는) 각 기구에 대한 수납 공간을 가지는 중공체 구조를 이룬다. 그 구조는, 그 윗면부 및 전방면부에 각각 개구부를 갖는다. 또한, 배출 트레이(1004)는, 그 일단부가 하부 케이스(1001)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된다. 그 배출 트레이(1004)의 회전은, 하부 케이스(1001)의 전방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인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때는, 배출 트레이(1004)를 전방면측에 회전시켜서 개 구부를 열어서, 인쇄된 시트(보통지, 전용지, 수지 시트 등을 포함한다. 이하 간단히 인쇄 시트)가 배출 가능해지고, 그 배출된 인쇄 시트를 순차로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배출 트레이(1004)에는, 2장의 보조 트레이(1004a, 1004b)가 수납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각 트레이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배출 트레이(1004)의 인쇄 시트의 지지 면적을 3단계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액세스 커버(1003)는, 그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10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어, 윗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인쇄헤드 카트리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또는 잉크 탱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등을 교환하는 경우, 액세스 커버(1003)는 열린다. 이때,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세스 커버(1003)를 개폐시키면, 액세스 커버(1003)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킨다. 그 레버의 회전 위치를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검출함에 의해, 액세스 커버(1003)의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2)의 윗면에는, 전원 키(1005)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2)의 오른쪽에는, 액정표시부(1006), 각종 키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조작패널(1010)이 설치된다. 이 조작패널(1010)의 구조는, 도2를 참조해서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면부호 1007은 자동급송부로, 인쇄 시트를 장치 본체내에 자동적으로 급송한다. 도면부호 1008은 종이 간격 선택 레버로, 인쇄 헤드와 인쇄 시트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레버다. 도면부호 1009는 카드 슬롯으로, 여기에 메모리 카드를 장착 가능한 어댑터가 삽입되는 카드 슬롯이다. 이 어댑터를 거쳐서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판독되어 인쇄된다. 이 메모리 카드(PC)로서는, 콤팩트 플래시
Figure 112007061916846-pct00001
메모리,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등이 사용 가능하다. 도면부호 1011은 뷰어(액정표시부)로, 이 PD프린터(1000)의 본체에 착탈가능한 뷰어이다. PC 카드가 프린트하고 싶은 화상이 검색되는 경우에, 1 프레임마다의 화상이나 인덱스 화상을 뷰어에 표시한다. 도면부호 1012는 (후술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USB단자이며,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1200)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PD장치(1000)의 후면에는, 퍼스널 컴퓨터(PC)를 접속하기 위한 USB커넥터가 설치된다.
도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PD프린터(1000)의 조작패널(1010)의 개관도다.
도2에 있어서, 액정표시부(1006)에는, 그 좌우로 인쇄되어 있는 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각종 설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그 표시된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화상 파일 중, 인쇄하고 싶은 사진화상의 선두번호, 지정 프레임 번호(시작 프레임 지정/인쇄 프레임 지정), 인쇄를 종료하고 싶은 최후의 사진번호(종료), 인쇄부수(부수),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의 종류(용지종류), 1장의 시트에 인쇄하는 사진의 매수(배치), 인쇄의 품위의 지정(품위), 촬영한 날짜를 인쇄할 것인가 아닌가의 지정(날짜인쇄), 사진을 보정해서 인쇄할 것인가 아닌가의 지정(화상보정), 인쇄에 필요한 용지의 매수표시(용지매수)등이 있다. 이들 각 항목은, 커서 키(2001)를 사용해서 선택, 또는 지정된다. 도면부호 2002는 모드 키를 나타낸다. 이 모드 키(2002)를 누를 때마다, 인쇄의 종류(인덱스 인쇄, 전프레임 인쇄, 1프레임 인쇄, 지정 프레임 인쇄 등)를 바꿀 수 있고, LED(2003)의 대응한 LED가 점등된다. 도면부호 2004는, 인쇄 헤드의 크리닝 등, 프린터의 메인티넌스를 행하게 하기 위한 메인티넌스 키다. 도면부호 2005는 인쇄 시작 키로, 인쇄의 시작을 지시할 때, 또는 메인티넌스의 설정을 확립할 때에 눌러진다. 도면부호 2006은 인쇄 중지 키로, 인쇄를 중지시킬 때나, 메인티넌스의 중지를 지시할 때에 눌러진다.
다음에,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PD프린터(1000)의 제어에 관련되는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 도3에 있어서, 전술한 도면에서의 것들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같은 부분을 나타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3에 있어서, 도면부호 3000은 제어부(제어 기판)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3001은 ASIC(전용 커스텀 LSI)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3002는 DSP(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로, 내부에 CPU를 가지고, (후술하는) 각종 제어 처리 및, 휘도신호(RGB)로부터 농도신호(CMYK)에의 변환, 스케일링, 감마 변환, 오차확산 등의 화상처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도면부호 3003은 메모리로, DSP(3002)의 CPU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3003a) 및 실행시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AM에어리어,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를 가지고 있다. 도면부호 3004는 프린터 엔진으로, 여기에서는, 복수색의 컬러 잉크를 사용해서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트 방식의 프린터 엔진이 탑재되어 있다. 도면부호3005는 디지털 카메라(DSC)(3012)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로서의 USB커넥터다. 이 USB커넥터(3005)에는, (후술하는) 어댑터(1200)도 접속할 수 있다. PC 프린터(1000)는, 상기 어댑터(1200)를 거쳐서, 카메라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1100)와 접속하고, 그 휴대전화(11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 처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면부호 3006은 뷰어(1011)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다. 도면부호1013은 PC(3010)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로서의 USB커넥터다. 도면부호 3008 은 USB허브로, 이 PD프린터(1000)가 PC(30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를 행할 때, PC(3010)로부터의 데이터를 USB(3021)를 거쳐서 프린터 엔진(3004)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PC(3010)는, 프린터 엔진(3004)과 직접, 데이터와 신호의 교환을 행해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일반적인 PC프린터로서 기능한다). 도면부호 3009는 전원 커넥터로, 전원(3019)에 의해, 상용 AC전압으로부터 변환된 DC전압을 수신한다. PC(3010)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이다. 도면부호 3011은 전술한 메모리 카드(PC카드), 3012는 디지털 카메라(DSC:Digital Still Camera)이다.
이때, 이 제어부(3000)와 프린터 엔진(3004)과의 사이의 신호의 교환은, 전술한 USB(3021)를 거쳐서 행해진다.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의 설명>
도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를 거쳐서 PD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해서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1100)의 외관도이다. 도4a는, 조작면이 보이도록 휴대전화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4b는 그 배면을 보이고 있다.
적외선 송수신부(IrDA)(1101)는, 적외선 통신을 위해 적외선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 적외선 송수신부(1101)는, 다른 휴대전화(1100)와의 적외선에서의 송수신, (예를 들면, TV등의) 리모트 컨트롤 수광부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대한 적외선 송신 등이 가능하다. 액정 표시부(1102)는, 휴대전화(1100)로서 사용할 때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그 휴대전화(1100)가 카메라로서 사용될 때, 액정 표시부(1102)는, 뷰파인더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촬영한 화상 등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버튼(1103)은, 상기 휴대전화(1100)를 휴대전화로서 사용할 때의 다이얼 조작 이외에도, 메일 문서의 작성에 사용된다. 또 휴대전화(1100)를 카메라로서 사용할 때, 그 버튼(1103)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셔터 등으로서 기능하여 카메라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이때, 상기 버튼(1103)의 기능은, 휴대전화(1100)의 사양에 따라 변화된다. 렌즈(1104)는, 일반적인 카메라의 렌즈 기능을 갖는다. 그 렌즈(1104)를 통해 피사체를 포획하여서 그 버튼(1103)을 조작함에 의해, 광학 줌 조작, 핀트 조정 및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카드 슬롯(1105)은, 메모리 카드를 접속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슬롯이다. 이 메모리 카드를 사용함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보존 및 참조하는 이외에도, 휴대전화(1100)내부의 각종 정보를 보존 및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휴대전화(1100)의 제어에 관련되는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5에 있어서, 전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기호를 부여하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CPU(3103)는, 휴대전화(1100) 전체를 제어한다. ROM(3101)은, CPU(310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순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프로그램이 적당하게 갱신된다고 가정하면, 이 ROM(3101)에 기록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어도 된다. RAM(3102)은, CPU(3103)에 의한 처리의 실행시에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어, 각종 데이터를 일 시적으로 보존한다. 이 RAM(3102)은, 일반적인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해도 되고, 또 전원을 절단해도, 그 내용을 유지하는 불휘발성메모리로 구성해도 된다. CCD 소자(3106)는, 그 소자면에 광학 유닛(3105)으로 결상된 화상에 대응한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드라이버(3107)는, CPU(3103)의 제어하에서, 광학 유닛(3105)의 포커싱, F수 등을 제어한다. 메모리 카드(3109)는, 통상, 컴팩트 플래시
Figure 112007061916846-pct00002
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등이고,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어댑터의 설명>
도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의 외관도다.
도6a에 있어서, 인쇄 속행 버튼(1201)은, 인쇄 중단시의 인쇄 재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이 인쇄 속행 버튼(1201)은, 인쇄 잡의 실행중 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갖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인쇄 속행 버튼(1201)은, 인쇄시의 인쇄 시트(인쇄 용지)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게 해도 된다. 이와는 달리, 용지 사이즈 선택 및 인쇄 재개에 대해서 별개로, 버튼을 형성해도 된다. 또 용지 사이즈 이외에, 배치, 인쇄 매수, 날짜설정 및 기타 인쇄 결과에 관한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을 별개로 준비해도 좋다. 적외선 송수신부(1202)는, 적외선 무선통신으로 사용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1100)의 적외선 인터페이스(110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데도 사용된다. USB 단자(1203)는, PD프린터(1000)의 다이렉트 인쇄용의 USB커넥터(3005)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다. 상태표시 LED(인디케이터)(1204)는, 이 어댑터(12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인쇄 대기(queue) 상태, 인쇄 접수상태, 화상전송 상태, 인쇄 실행중 상태, 인쇄 에러 상태, 전송 에러 상 태 등에 따라, 그 발광 색이나, 점등, 점멸의 패턴을 바꿈으로써 이 어댑터(1200)의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LED(1204)는, 이 어댑터(12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외에, 각종 UI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LED를 각각의 용지 사이즈에 대응시켜서 용지 사이즈를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에, 각 LED의 상부에는, 용지 사이즈를 나타내는 캐릭터 스트링(A4, 엽서, 카드 등)이 인쇄되어도 된다. 버튼(1201)을 누를 때마다, 그 LED의 표시가 바뀌어, 그것에 따라 인쇄에 사용하는 용지 사이즈를 선택해도 좋다. 또 용지 사이즈 이외에, 예를 들면 배치, 인쇄 매수, 날짜설정 및 그 밖의 인쇄 설정과 관련된 각종 설정 결과를 표시하도록 별도로 LED를 준비하여도 된다. 수치를 적합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7세그먼트의 LED나 LCD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때, 전술한 용지 사이즈를 나타내는 캐릭터 스트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1200)의 하우징에 직접 인쇄하거나, 스티커를 첨부해서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세계각국의 인쇄 문화권에 적합한 용지 사이즈(예로서, 일본에서는 A4, L판, 엽서, 미국에서는 레터, 4×6, 카드 등)를 인쇄한 스티커를 준비한다. 이것들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어댑터(1200)의 ROM(3101)을 대체한다. 어댑터(1200)의 하우징은 공통으로 하우징을 사용하는 동안 스티커를 교체하여서, 세계각국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로고타입 스티커(1205)는, 어댑터(1200)가 다이렉트 인쇄 규격을 따르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로고타입 스티커(1205)에 따라 USB단자(1203)를, 그 다이렉트 인쇄 적용가능한 PD프린터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이 로고타입 스티커(1205)를 첨부하는 대신에, 어댑터(1200)의 하우징에 직접 로고타입을 인쇄하거나, 각인하거나 해도 좋다. 도 6a는, LED와 버튼 등의 UI를 구비한 어댑터를 나타냈지만, 이것들 UI를 배제한 어댑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로고타입 스티커는 효과적으로 첨부될 수 있다.
도6b는 전술한 적외선 통신 대신에 (후술하는) USB통신을 사용해서 어댑터를 실현했을 경우의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의 또 다른 외관도이다.
도6a의 부품 1211, 1213-1215의 설명은, 전술한 도6a에서의 부품1201, 1203-1215와 같다. 도면부호 1212는 DSC(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화상공급장치와의 USB통신을 위한 USB단자다. PD프린터(1000) 및 화상공급장치에의 접속은 케이블로 행해지고, 배치 편리성을 고려하여 어댑터(1210)는, 외견상은 케이블과 같은 형상이 된다. 이 때, 어댑터의 USB단자(1212, 1213)는, USB-A커넥터의 형상이 되고, 유저가 어댑터의 접속 방향을 잘못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어댑터상의 PD프린터에 접속하는 쪽의 USB단자(1203)의 근방에 로고타입 스티커(1215)를 첨부 또는 인쇄, 각인한다. 이러한 설정은, 전술한 효과에 더해서, 어댑터의 접속을 잘못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의 제어에 관련되는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7에 있어서, 전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기호를 부여하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CPU(3201)는, ROM(32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후술하는)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ROM(3202)은, CPU(32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 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ROM(320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이 적당하게 갱신된다고 가정하면, ROM(3202)을, 기록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해도 좋다. RAM(3203)은, CPU(32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고, CPU(3201)에 의한 제어 처리시에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한편, 이 RAM(3203)은, 전원차단시에 내용이 소거되는 휘발성 메모리로 형성되어도 되거나, 혹은 ROM(3202)과 같이, 기록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들 형태의 메모리는, 응용 목적에 따라 상이한 RAM을 이용하도록 채용해도 된다. 일례로서는, 인쇄화상 파일을 유지하는 영역만을 불휘발성메모리에 분담시킨다. 어댑터(1200)의 전원 차단 후이어도, 그 어댑터(1200)안에 화상 파일을 불휘발로 유지할 수 있다. 어댑터(1200)의 전원 재투입시에 화상을 재인쇄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를 PD프린터(1000)에 접속하고, 그 어댑터(1200)의 적외선 송수신부(1202)에 대하여 휴대전화(1100)의 적외선 송수신부(1101)를 향한 모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8과 같은 접속에 의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를 거쳐서, 휴대전화(11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이렉트 인쇄 어댑터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설명>
도9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를,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D프린터(1000)에 접속하고, 휴대전화(11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공급할 경우에 있어서의, PD프린터(1000), 어댑터(1200),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1100) 각각이 구축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프린터(1000)는, 물리 인터페이스로서 USB호스트가 되고, USB 표준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SICD(Still Image Capture Device)클래스의 USB호스트로서 작용한다. 트랜스포트 제어는, 이 SICD를 이용한 PTP(Picture Transfer Protocol(PIMA15740))에 의해 실현된다. PD 프린터(1000)내부의 다이렉트 인쇄 어플리케이션은, 이 PTP을 이용해서 인쇄를 위한 정보를, 화상공급장치와 교환하고, PD 프린터(1000)는 다이렉트 인쇄 호환 가능한 프린터로서 기능한다.
또 휴대전화(1100)는, 물리 인터페이스로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의 SIR장치, 또는 FIR장치를 사용하여, 적외선 통신단말장치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상위의 프로토콜로서, 휴대전화(1100)는, 링크 액세스에 IrLAP(Link Access Protocol)을, 링크 관리에 IrLMP(Link Management Protocol)을 사용한다. 트랜스포트 제어는, 이 IrLMP을 이용한 IrTinyTP(Tiny Transport Protocol)에 의해 실현된다. 이 휴대전화(1100)내부의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이 IrTinyTP상의 IrOBEX(Object Exchange Protocol)을 이용해서 데이터전송을 함으로써, 적외선 데이터통신단말로서 기능한다. 이때, 다른 프로토콜 구성에 의해서도 적외선 데이터통신단말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전송 어플리케이션은, IrTran-P(Transfer Picture)을 사용한 화상전송이나, IrCOMM에 의한 직렬/병렬 포트 에뮬레이션을 사용한 데이터전송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 및 휴대전화(1100)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양쪽 모두 구비하고, 프로토콜 변환부 (Protocol Translator)(900)에 의해 PD프린터(1000)와 휴대전화(1100)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한다. 예로서는, 이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적외선으로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받고, 그 받은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토콜 변환부(900)에 의해 다이렉트 인쇄용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어댑터(1200)는, 그 생성한 인쇄용 정보를 PD프린터(1000)에 송신해서 다이렉트 인쇄 잡을 발행한다.
도9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원으로서 IrDA단자를 구비한 휴대전화(1100)를 나타낸다. 그 휴대전화(1100) 이외에도, 본 실시예는 IrDA단자를 구비해 화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이면 카메라 첨부가 아닌 휴대전화, PHS, PDA,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기타의 단말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원이 구비하는 통신 수단이 IrDA이외의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블루투쓰 또는 802.11x등의 무선통신 수단이나, USB, IEEE1394, 이더넷 등의 유선통신 수단이어도 된다.
도10은,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의 사이에서 블루투쓰에 의해 통신할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OBEX(Object Exchange Protocol)은, OPP, BIP 또는 BPP이어도 된다.
도11은, 어댑터(1200)와 PC나 게임기와의 사이를 USB접속했을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은 MSC이어도 된다.
도12는, 어댑터(1200)와 PC나 디지털 텔레비전과의 사이를 IEEE1394를 사용했을 때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DPP는 SBP-2이어도 된 다.
도13은, 어댑터(1200)와 PC, PDA 또는 모바일 게임기와의 사이에서 802.11x을 사용해서 통신할 때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PrintBasis는 IPP 또는 PTP/IP이어도 된다.
이들 프로토콜 스택의 각층의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기본적으로는, 상기의 IrDA에 의한 예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공급원에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토콜 변환부(900)에 의해 다이렉트 인쇄용 정보를 생성하고, PD 프린터(1000)에 다이렉트 인쇄 잡을 발행한다. 이것들 각종의 통신 수단을 사용한 화상 데이터의 공급원의 예로는, 전술한 휴대전화 등 이외에도,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PC, 게임기, 디지털TV 및 기타의 기기가 있다.
도1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를 USB접속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행할 경우,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4는, 도9에 나타내는 PTP아키텍쳐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실현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가 물리적으로 접속된 후,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의 사이에서 초기화가 행해진다(1401). 이때,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는, 그들의 상대가 다이렉트 인쇄를 따르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의 능력 요구를 발행하고, PD 프린터(1000)의 능력을 취득한다(1402).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잡을 발행해서 인쇄를 요구한다(1403).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에 대하여 상태(Status)를 통지하 고, 인쇄 처리의 시작을 통지한다(1404).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에 대하여 파일 취득을 요구하고, 인쇄 처리에 필요한 화상 파일을 취득한다(1405). 그리고, PD프린터(1000)는 인쇄 처리를 실행해서 인쇄를 완료한다(1406). 최후에,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에 대하여 상태를 통지하고, 인쇄 처리의 완료를 통지한다(1407).
여기에서 1401∼1404, 1407에서는,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는 스크립트를 교환해서 그들의 정보를 교환한다. 1405에서는, PTP프로토콜을 직접 이용한 순수한 파일전송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GetObject", "GetPartialObject"등의 파일전송 오퍼레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인쇄 처리(1406)는 PD프린터(1000)에 있어서의 내부처리다.
이하, 도15 내지 도19를 참조해서 각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15는, 도14의 1401에서의 USB를 사용한 다이렉트 인쇄시의 초기화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가 물리적으로 접속된 후,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GetDeviceInfo"가 송신된다(1501). 이러한 "GetDeviceInfo"에 따라, 어댑터(1200)에 대하여, 그 어댑터(1200)가 유지하고 있는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요구된다. 어댑터(1200)는, "DeviceInfoDataset"에 의해, 그 어댑터(1200)가 유지하고 있는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PD프린터(1000)에 송신한다(1502). "OpenSession"에 의해(1503), 어댑터(1200)를 화상 데이터의 리소스로서 할당하고,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 오브젝트에 핸들을 할당하거나, 특별한 초 기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순서의 시작 요구가 발행된다. 어댑터(1200)로부터 긍정응답(OK)이 수신되면, PTP에 의한 통신이 개시된다.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스크립트 형식의 모든 핸들을 보내도록 요구한다(Storage ID:FFFFFF, ObjectType:Script)(1504). 이 요구에 대하여, 어댑터(1200)에 유지되어 있는 모든 핸들 리스트가 반송된다(1505). PD프린터(1000)로부터 i번째의 오브젝트 핸들의 정보를 취득한다(1506,1507). 이러한 오브젝트가 어댑터(1200)의 식별을 나타내는 키워드 (예를 들면, "Marco")를 포함하면, PD프린터(10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의 송신을 지시한다(SendObjectInfo)(1508). 이러한 지시에 따라 긍정응답(OK)을 수신하면, "SendObject"에 의해, 오브젝트 정보를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때, 이 오브젝트에는, 1507에서 수신한 키워드에 대응한 응답 키워드로 예를 들면, "Polo"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의 쌍방이 서로 접속 상대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이후는 다이렉트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도16a 및 16b는, PD프린터(1000)(호스트)와 어댑터(1200)(슬레이브)과의 사이에서의 USB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시의 스크립트의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6a 및 16b는, 도14의 1402∼1404, 1407에 있어서의 PTP레벨에서의 공통의 통신 순서를 보이고 있다.
도16a는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스크립트를 전달하는 순서를 보이고 있다.
우선, PD프린터(1000)는 "SendObjectInfo"에 의해, 어댑터(1200)에 대하여 오브젝트 정보의 송신 요구를 전한다. 다음에,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ObjectInfoDataset"를 송신하여, 그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이 "ObjectInfoDataset"를 수신한 어댑터(1200)는, 그 오브젝트 정보를 해석하고, 오브젝트 본체가 수신가능하면 수신 예정의 오브젝트에 할당되는 오브젝트 핸들 번호와 함께 "OK"를 응답한다. 이 "OK"의 응답에 이어서, PD프린터(1000)는 "SendObject"에 의해, 어댑터(1200)에 대하여 오브젝트 본체의 송신 요구를 전한다. 그리고, PD프린터(1000)는 "Object Dataset"를 송신하고, 그 오브젝트 본체를 스크립트 형식으로 어댑터(1200)에 송신한다. 어댑터(1200)는 그 오브젝트 본체를 수신하고, 오브젝트 본체를 수신한 후 "OK"로 응답한다.
도16b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스크립트를 전달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RequestObjectTransfer"를 송신하여, PD프린터(1000)가 소정의 오브젝트 핸들의 오브젝트 취득을 하도록 재촉한다. 이 "RequestObjectTransfer"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에 대하여 소정의 오브젝트 핸들의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전한다. 이 "GetObjectInfo"를 수신하면, 어댑터(1200)는, 송신하고 싶은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ObjectInfo Dataset"를 PD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송신이 완료하면 "OK"을 응답한다. 이 응답 "OK"에 이어서, PD프린터(1000)는, "GetObject"에 의해 오브젝트 본체의 전송 요구를 전해준다. 이"GetObject"를 수신하면, 어댑터(1200)는, 송신하고 싶은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본체를 PD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송신이 완료하면 "OK"을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USB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시에는,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는, 스크립트를 교환하여 그들의 정보를 교환한다.
도17a 및 17b는∼도19a 및 19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USB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시에 교환되는 스크립트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7a 및 17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USB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시의 능력 취득 스크립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스크립트는, 전술한 도14의 처리 1402에서 사용된다.
도17a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송신되는 능력 요구 스크립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Format/>에 의해, PD프린터(1000)가 서포트하고 있는 화상 포맷의 종류를 요구하고 있다.
도17b는, 도17a에 나타내는 능력 요구에 대하여,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송신되는 응답 스크립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Format>과 <Format/> 사이에 끼워진 "JPEG" 및 "PNG"에 의해, PD프린터(1000)가, JPEG 및 PNG의 2종류의 화상 포맷을 서포트하고 있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17a에 나타낸 능력 요구 스크립트는, 도16b의 "Object Dataset"에 의해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도17b에 나타내는 응답 스크립트는, 도16a의 "Object Dataset"에서,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송신된다.
상기 능력 취득 스크립트는, 상기 능력 정보 이외에도, 인쇄용지의 서포트 사이즈, 인쇄용지의 종류, 각 인쇄용지의 사이즈에 대응한 배치 인쇄 기능, 고정 사이즈 인쇄 기능, 인쇄 품위, 화상보정, 화상 절단, 날짜인쇄 또는 파일명 인쇄 등의 능력정보의 교환에 이용된다.
도18a∼c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USB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시의 잡 발행 스크립트 예를 나타낸다. 이 스크립트는, 예를 들면 도14의 상기 처리(1403)에서 사용된다.
도18a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송신되는 잡 발행 스크립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오브젝트 핸들 번호를 갖는 "00000001"의 JPEG화상의 인쇄를 요구하고 있다. 이 잡 발행 스크립트는, 도16b의 "Object Dataset"를 사용하여,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도18b는, 도16a의 "Object Dataset"를 사용하여, 도18a의 잡 발행 스크립트에 따라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송신되는 응답 스크립트의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PD프린터(1000)가 인쇄 잡을 접수할 때, "OK"로 응답하고 있다.
도18c는, 도16a의 "Object Dataset"를 사용하여, 도18a의 잡 발행 스크립트에 따라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송신하는 응답 스크립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PD프린터(1000)가 어떠한 인쇄 잡도 실행할 수 없고, 거부를 나타내는 "NG"로 응답하고 있다.
이 잡 발행 스크립트는, 능력 취득 스크립트에 따라 설명한 것처럼, 화상 포 맷이외에도, 예를 들면 용지 사이즈 등을 지정하는데 이용된다.
또 복수의 화상을 1회의 잡 발행 스크립트로 지정하는 것이나, 각 화상의 부수지정, 클리핑 영역 지정, 날짜지정 또는 파일명의 지정에도 이용된다.
또 도18c에 있어서의 거부 내용은, "NG"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또한 그 거부의 이유가, 다른 화상 데이터원으로부터의 인쇄를 행하고 있는 어댑터(1200)에게 인쇄 잡의 설정 에러 등을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도19a 및 19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USB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시의 상태 통지 스크립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스크립트는, 도14의 1404 및 1407에서 사용된다.
도19a는, 도16a의 "Object Dataset"를 사용하여,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송신되는 상태 통지 스크립트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PD프린터(1000)가 현재 유휴상태이고, 인쇄 시작가능한 대기 상태 "IDLE"를 어댑터(1200)에 통지하고 있다.
도19b는, 도16b의 "Object Dataset"를 사용하여,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송신된, 도18a의 상태 통지의 스크립트에 대한 응답 스크립트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어댑터(1200)가 "OK"로 응답하고 있다.
이 상태 통지 스크립트는, 그 밖에도, PD프린터(1000)에 있어서의 에러의 발생, 그 발생한 에러의 종별 또는 인쇄중의 잡의 상태(예를 들면, 인쇄중의 페이지 수나 인쇄 매수)를 어댑터(1200)에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태 통지 스크립트는, PD프린터(1000)가 케이블이 절단된 경우에도 인쇄 잡을 완료할 수 있는지의 여부, PD프린터(1000)가 다음 인쇄 잡을 접수 가능한지의 여부, 또는 PD프린터(1000)의 능력이 갱신되었는지의 여부 등의 정보, 또는 인쇄 잡의 종료 이유 등의 교환에 이용된다.
또 이 상태는, PD프린터(1000)가 어댑터(1200)에 상태를 통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에 상태를 요구하는 경우도 사용된다.
또한 스크립트 교환은, 상기 예에서 설명한 능력의 취득, 잡 발행, 상태 통지이외에도, 인쇄 잡의 중단, 에러로부터의 복귀, (예를 들면, 버전 정보, 기기 이름, 시리얼 번호 또는 벤더명)의 인증 정보의 확인 /교환 등의 코맨드에도 이용되어도 된다.
도20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가 적외선 인터페이스(1101)를 거쳐서 통신할 경우의 초기화 및 파일전송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0에서는, 파일전송을 도9에 나타내는 IrOBEX 아키텍쳐로 실행한다.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접속확인 "CONNECT"를 발행한다(2011).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와의 접속을 허가할 경우에는 "SUCCESS"응답을 되돌려 놓는다(2012). 휴대전화(1100)는 (전송하고 싶은 파일의 파일명이나 사이즈 등의) 정보와 파일 본체를 포함하는 전체 데이터 중에서 선두 패킷을 송신한다(PUT)(2013). 어댑터(1200)는, 그 선두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다음 데이터가 송부가능한 취지를 나타내는 응답 "CONTINUE"를 되돌린다(2014). 이에 따라, 휴대전화(1100)는, 다음 패킷을 송신한다(PUT)(2015). 어댑터(1200)는, 그 패 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후, 다음 데이터가 송부가능한 취지를 나타내는 응답 "CONTINUE"를 되돌린다(2016). 이하 같은 방법으로, 2017 및 2018은, 송신하는 패킷의 수만큼 반복해 실행된다. 휴대전화(1100)는 최종 패킷을 송신한다(PUT)(2019). 어댑터(1200)가 최후의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후,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응답 "SUCCESS"를 휴대전화(1100)에 되돌린다. 그 후, 이 순서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1100)로부터 "PUT"에서 송신된 화상에 대하여, 어댑터(1200)는 PTP의 오브젝트 핸들을 배정하고, 그 오브젝트 핸들을 이용한 다이렉트 인쇄를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의뢰한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가 블루투쓰로 접속된 경우의 처리의 흐름은, 전술한 도20의 설명과 거의 동등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USB에 의해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가 접속되었을 경우의 처리는, PTP의 "SendObjectInfo"와 "SendObject"의 순서를 이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전술한 도면 및 도21 내지 도2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PD프린터(1000), 어댑터(1200) 및 휴대전화(1100)의 상호작용을 시계열순으로 도시한 도면을 나타냈다. PD프린터(1000) 및 휴대전화(1100)의 동작은, 입수가능한 제 품으로 예를 든다.
<어댑터 접속시의 동작 시퀸스>
도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를 접속했을 때의 PD프린터(1000), 어댑터(1200) 및 휴대전화(1100)의 동작 시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때, 어댑터(1200)의 동작 시퀸스에서 어댑터(1200)의 상태 표시 LED(이하, 인디케이터)(1204)의 상태변화에 관해서도 기재하고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1204)(도 6a, 도 7)의 표시 상태를 아래와 같이 할당한다.
어댑터(1200)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을 때에는, 인디케이터(1204)를 소등한다.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와의 접속을 확립 도중에는,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1로 표시 구동한다(예:인디케이터(1204)를 녹색으로 매초 1회 점멸한다).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휴대전화(1100)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접수가 가능할 때에는, 인디케이터(1204)를 점등(예:인디케이터(1204)를 녹색으로 점등한다)한다.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는,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2로 표시 구동한다(예:인디케이터(1204)를 녹색으로 매초 5회 점멸한다).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한 후, PD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해서 인쇄 잡을 실행하고 있을 경우,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3로 구동한다(예:인디케이터(1204)를 녹색으로 매초 2회 점멸한다). 또한, 어댑터(1200)가 PD프린 터(1000)로부터의 인쇄 에러의 통지를 받아서 인쇄를 중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4로 구동한다(예:인디케이터(1204)를 노란색으로 매초 2회 점멸한다). 이때, 인디케이터(1204)의 칼라의 수 및/또는 점멸 패턴의 수를 늘려서 어댑터(1200)의 다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21의 각 도면부호에 의해 각 시퀸스를 설명한다.
도면부호 2100은,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가 접속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전원은 오프이며, 인디케이터(1204)는 소등하고 있다. 도면부호 2101은,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의 USB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 USB의 전원공급회로를 통해서 전원공급을 받아, 어댑터(1200)가 전원 온 상태가 된다. 이때, 어댑터(1200)가 전지를 내장하고, 전원 스위치 등에 의해 그 전지로부터의 전력공급으로 동작해도 좋다. 이 경우에, PD프린터(1000)가 휴대형일 경우에, 그 프린터의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전지를 충전식으로 하는 경우, USB의 전원공급량을 초과하는 소비 전력을 갖는 휴대전화(1100)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어댑터(1200)는, 전지가 충분히 충전된 후에만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 대기 상태로 변경한다.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의 접속을 확립 도중이어서,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1로 표시 구동한다(2102). 이때, 이 점멸1을 시작하는 타이밍은 PD프린터(1000)와의 접속(2101)의 직후나, 또는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프로토콜이 확립한 직후에 설정되어도 된다(2103). 또한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접속 확립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의 능력을 취득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PD프린터(1000)에서 인쇄가능한 용지 사이즈, 종이 종류, 각종 화상보정처리 등을 확인하고, 인쇄 지시를 행하기 위한 어댑터(1200)의 UI에 반영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PD프린터(1000)가 A4과 L판 용지에만 인쇄가능할 경우에는, 어댑터(1200)의 UI의 용지선택 버튼으로 A4과 L판만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통신 확립을 행한다(2103).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접속 확립 완료의 통지를 받는다(2104). 그리고,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접속 확립 완료의 통지를 받고, 어댑터와 PD프린터와의 사이에서의 접속을 확립한다(2105). 이에 따라, 도9의 프로토콜 스택내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접속에 관한 부분이 구축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1204)의 표시를, 점멸1로부터 점등 상태로 변하게 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충전식의 전지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그 전지의 충전이 불충분하면 어댑터(1200)의 인디케이터(1204)를 온으로 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 시작으로부터 인쇄 완료까지의 동작 설명>
도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 시작으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의한 인쇄가 완료할 때까지의 동작 시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동작의 시작 시점에서는, 도21의 2105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의 접속이 확립해서, 인디케이터(1204)가 점등하고, 휴대전화(1100)로부터 화상 파일을 어댑터(1200)에 의해 접수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어댑터(1200) 용지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인쇄하는 용지 사이즈를 선택하거나, 마찬가지로 종이 종류나 인쇄 매수, 날짜인쇄의 유무 등의 설정을 행해도 된다.
유저는 휴대전화(1100)의 액정표시부(1102)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조작 버튼(1103)을 조작하고, PD 프린터(1000)에 전송하는 화상 파일을 지정한다(2201). 이때, 휴대전화(1100)에 있어서, 전송하는 화상 파일을 지정하고 있는 동안은 휴대전화(1100)와 어댑터(1200)와의 사이에서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유저가 휴대전화(1100)를 가지고 외출하는 동안 유저는 이 조작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 전송하는 화상 파일의 지정 처리의 단계와, 어댑터(1200)에게 화상 파일의 전송을 요구하기 위한 전송 요구를 행하는 처리 단계를 별개로 준비하고, 휴대전화(1100)는 어댑터(1200)에 전송 요구를 통지하는 단계에서 어댑터(1200)와 통신하여도 된다.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와의 사이 및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와의 사이에서의 접속이 확립하고 있으므로,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화상 파일의 전송 요구를 통지한다(2202). 필요하면,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와의 사이에서 접속 확립을 행해도 된다. 본 제1실시예에서, 도9의 프로토콜 스택 내에서, IrDA접속에 관한 부분을 구축한다.
이렇게 해서,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 요구를 수신하면, 어댑터(1200)가 이 전송 요구를 접수하는 취지를 대답하기 전에,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의 능력을 요구하고, 그 능력을 확인하여, 인쇄 잡의 시작을 PD프린터(1000)에 요구한다. 이 순서에 대해서, 이하 시퀸스 2203∼2207로 설명한다.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의 능력을 요구한다(2203).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에 능력을 전송한다(2204).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 받은 능력과, 휴대전화(1100)로부터 받은 화상 파일의 전송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초로, 휴대전화(110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파일이 PD프린터(1000)에서 인쇄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2205). 이 판단의 일례로서,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파일의 포맷이, PD프린터(1000)가 인쇄가능한 화상 파일의 포맷과 일치하고 있으면 인쇄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인쇄 불가능이라고 판단한다. 도22의 시퀸스에서는, 화상 파일을 인쇄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화상 파일을 인쇄 불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의 동작은, (후술하는) 도23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인쇄 요구를 통지한다(2206). 이 때, 인쇄 요구를 통지하는데 인쇄 잡의 정보가 필요하면, 휴대전화(1100)로부터 받은 전송 요구를 기초로 인쇄 잡 정보를 작성해도 좋다.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인쇄 요구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인쇄 접수)을 되돌려 놓는다(2207).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의 인쇄 요구 접수의 대답 내용을 기초로, PD프린터(1000)에서 인쇄 요구를 접수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2208). 이 때, 사전에 PD프린터(1000)의 상태를 취득해도 좋다. 예를 들면, PD프린터(1000)로부터의 대답에 기재된 프린터의 상태가, "인쇄 레디(ready)"이면, 어댑터(1200)는 인쇄 가능이라고 판단한다. PD 프린터(1000)가 PC로부터의 인쇄 잡을 실행중이고 인쇄 비지(busy) 상태이면, 어댑터(1200)는 인쇄 불가능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액세스 커버(1003)가 열리고, PD프린터(1000)에 용지가 세트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잉크가 세트되어 있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인쇄가 불가능하면, 어댑터(1200)는 인쇄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도22에서는, 인쇄 요구를 접수하였다고 판단한다(2208). 또 인쇄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후술하는) 도23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어댑터(1200)가 인쇄 가능이라고 판단하면,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을 수신하고 있는 동안,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2로 표시 구동한다(2209). 이 점멸2을 시작하는 타이밍은, 인쇄 요구의 접수(2207)의 직후이여도, 또는 어댑터(1200)로부터 휴대전화(1100)에의 전송 요구의 접수(2210)의 직후이어도 된다. 어댑터(1200)로부터 휴대전화(1100)에 대하여 전송 요구의 접수를 회답한다(2210).
휴대전화(1100)는, 화상 파일의 전송을 시작하는 취지를 액정표시부(1102)에 표시한다(2211). 그리고,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화상 파일을 전송한다(2212). 이렇게 해서 전송된 화상 파일은, 어댑터(1200)의 RAM(3203)에 기록된다. 이 화상 파일을 기록할 때, RAM(3203)의 기록 어드레스를 고정해 두고, 이전에 전송된 화상 파일에 덮어쓰도록 해도 된다. 이와는 달리, RAM(3203)을 링 버퍼로서 취급하여, 이전의 화상 파일의 격납 어드레스를 기초로, 다음 화상 파일의 기록 어 드레스를 결정해도 좋다. 대용량의 RAM(3203)을 준비할 수 있으면, 후자의 링 버퍼 형식을 취함으로써 전송된 화상 파일의 이력을 RAM(3203)에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1200)에 적절한 UI를 갖게 함으로써, 어댑터(1200)의 UI조작에 의해 전송된 화상 파일을, 다시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전송하지 않고 재인쇄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이 가능하다.
휴대전화(1100)가, 그 화상 파일의 전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후, 어댑터(1200)에 화상 파일의 전송 종료를 통지한다(2213). 이때, 전송 프로토콜이 가지는 규약을 이용하고, 최종 화상 데이터의 전송시에, 그 데이터가 최종 데이터인 취지의 통지를 행함으로써 화상 전송 종료 통지로서 이용해도 좋다.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에 화상전송 종료 통지를 접수한 메시지를 대답한다(2214). 휴대전화(1100)는 액정표시부(1102)에 데이터전송이 종료한 메시지를 표시한다(2215).
PD프린터(1000)는 액정표시부(1006)에 인쇄를 시작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2216). PD프린터(1000)로부터는 어댑터(1200)에 대하여 인쇄용의 화상 파일의 전송을 요구한다(2217).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수신이 종료한 후, PD프린터(1000)가 인쇄 잡을 실행하고 있으므로,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3로 표시 구동한다(2218). 이 점멸3을 시작하는 타이밍은,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 종료 통지(2213)의 직후, 어댑터(1200)로부터 휴대전화(1100)에의 화상전송 종료 접수(2214)의 직후, 또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의 화상 파일의 전송(2219)의 직전이어도 된다(2219).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인쇄를 의뢰한 화상 파일을 PD프린터(1000)에 전송한다(2219).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에, 그 화상 파일을 모두 전송한 후, PD프린터(1000)에 화상전송 종료를 통지한다(2220). 이때, 전송 프로토콜의 규약을 이용하고, PD프린터(1000)는 최후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시에, 그 화상 데이터가 화상전송 종료 통지로서 최종 데이터인 것을 통지받아도 된다.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로부터 받은 화상 파일을 기초로 인쇄를 행한다(2221). PD프린터(1000)는, 인쇄를 종료한 후 어댑터(1200)에 인쇄 종료를 통지한다(2222).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어댑터(1200)가 인쇄 종료 통지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대답을 행한다(2223). PD프린터(1000)는 액정표시부(1006)에 인쇄가 종료한 취지를 표시한다(2225). 또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에 있어서의 인쇄 종료를 확인한 후,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새로운 화상 파일을 수신 가능해져서, 인디케이터(1204)를 점등한다(2224). 이때, 인디케이터(1204)가 점등을 시작하는 타이밍은, 어댑터가(1200)가 PD프린터(1000)로부터의 인쇄 종료가 통지된(2222)직후이어도, 또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의 종료 접수 응답(2223)의 직후이어도 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인쇄 종료시(2223)에, 어댑터(1200)의 RAM(3203)에 기록된 화상 파일을 자동적으로 소거해도 좋다. 인쇄된 화상 파일을 RAM(3203)으로부터 소거함으로써, 기밀성이 높은 화상 파일이여도 안전하게 인쇄할 수 있다.
<어댑터에 의한 처리의 설명>
도23은,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을 접수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 램은, ROM(3202)에 기억되어 있고, CPU(3201)의 제어 하에서 실행된다. 이때, 이 처리는,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간의 접속이 완료하고, 인디케이터(1204)가 점등 상태로 되어 있을 때 개시된다.
우선 단계SlO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접속을 확립하고,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 요구(2202)가 송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전송 요구를 받을 때, 어댑터(1200)는 이 전송 요구 통지를 RAM(3203)에 유지한다. 그 흐름은 단계Sll로 진행하여, 어댑터(1200)는 PD 프린터(1000)에 능력을 요구해서(2203), 그 프린터(1000)의 능력을 취득해(2204) RAM(3203)에 유지한다. 다음에, 단계S12에서, 단계Sll에서 얻은 능력과, 휴대전화(1100)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전송 요구에 포함된 화상 파일의 포맷을 조사한다. PD 프린터(10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 파일의 포맷을 서포트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2205). PD 프린터(1000)가 그 포맷을 서포트하고 있으면, 단계S13으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S17로 진행된다. 단계S17에서,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전송을 거부하는 정보를 통지한다. 이때, 휴대전화(1100)의 전송 요구에 대하여 아무것도 응답하지 않고 휴대전화(1100)에서 타임아웃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송 거부인 것을 통지해도 좋다. 이와는 달리,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전송 요구에 대하여 전송 거부를 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1204)의 점멸 패턴을 이용하고, 소정 시간 표시해도 좋다.
단계S13에서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인쇄 요구를 통지한다(2206). 이때, 어댑터(1200)는, 이 인쇄 요구의 통지전에 PD프린터(1000)의 상태를 취득하고, PD프린터(1000)가 레디 상태가 아니면,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요구를 통지하지 않고 단계S17로 진행되어도 좋다. 단계S14에서는,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가 인쇄 요구를 접수하고, 거기에 응답하는 되돌릴 때까지 기다린다. 응답이 있으면(2207),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의 인쇄 요구 접수의 대답 내용을 확인하고, PD 프린터(1000)가 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2208). PD프린터(1000)가 인쇄를 실행할 수 없으면, 단계S17로 진행된다. PD프린터(1000)가 인쇄를 실행할 수 있으면, 단계S16로 진행되어, 어댑터(1200)는 단계SlO에서 휴대전화(1100)로부터 수신한 화상전송 요구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전송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전송 요구 접수에서 응답한다(2213). 그 후,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을 접수해서 RAM(3203)에 저장한다. 또 PD프린터(1000)가 인쇄를 실행할 수 없으면, 화상 파일의 전송을 거부하는 전송 요구 거부로 화상 전송요구에 응답한다. 이 경우에,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의 화상 파일의 전송은 행해지지 않는다.
<프린터가 인쇄를 중단했을 때의 동작 설명>
도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PD프린터(1000)가 인쇄를 중단한 후 인쇄를 재개할 때까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때, PD프린터(1000)가 인쇄를 중단하는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인쇄용지가 프린터 내부에서 인쇄종이 걸림을 일으켰을 경우, 프린터에 인쇄용지가 세트되지 않고 있 을 경우, 또는 잉크나 배터리 잔량이 불충분할 경우 등, 유저가 어떠한 대처를 행하지 않으면 인쇄를 계속할 수 없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를 행하고 있다(2401).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파일을 수신하였고, PD 프린터(1000)가 인쇄 잡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3으로 표시 구동하고 있다(2402). PD프린터(1000)에 있어서, 인쇄를 멈추도록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인쇄 처리가 중단된다(2403). 본 제1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PD프린터(1000)의 인쇄용지가 없어져, 급지를 하지 못한다.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용지 없음인 것을 나타내는 에러를 통지한다. 이 에러 통지의 방법은 인쇄 프로토콜에 준한다.
어댑터(1200)는, 이 용지 없음 에러의 통지를 받으면,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4의 표시로 바꾼다(2405). 이러한 표시에 따라, 유저는, PD프린터(1000)에서 어떠한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저는, 용지가 없다고 판단하여, 용지를 세트한다. 그 에러가 복귀불가능한 에러이면, 인쇄 처리를 캔슬하고, 인디케이터(1204)를 점등시켜서 어댑터(1200)를 도21 및 도22의 상태 2105로 되돌린다. 이 때, 인쇄가 에러 종료한 것을 유저에게 명확하게 알리기 위해서,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4, 또는 다른 점멸로 변경하여도 된다. 어댑터(1200)의 인쇄 속행 버튼(1201)이 눌리면, 인디케이터(1204)를 점등하고, 도21의 2105에서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아가도 된다.
유저가 용지를 세트해서 PD프린터(1000)가 인쇄가능하면, 어댑터(1200)의 인 쇄 속행 버튼(1201)을 누른다(2406). 이에 따라 어댑터(1200)는, 이 인쇄 속행 버튼(1201)의 눌림을 검지하고, PD프린터(1000)에 인쇄 처리의 재개 의뢰를 송신한다(2407). 다이렉트 인쇄의 방식에 따라, 이 인쇄 처리의 재개는, PD프린터(1000)의 인쇄 시작 키(2005)를 눌러서 인쇄의 재개를 지시해도 된다. 그 경우, PD프린터(1000)는 인쇄 재개 통지를 어댑터(1200)에 송신한다(2408). 이 인쇄 처리의 재개의 통지를 받으면, 어댑터(1200)의 인디케이터(1204)를 점멸3로 표시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다(2409). 이 경우, 시퀸스 2408, 2410은 생략된다.
PD프린터(1000)가 어댑터(1200)에 인쇄 재개를 접수한 취지를 통지하면(2408), PD프린터(1000)는, 인쇄 중단된 에러가 회복한 것을 확인해서 인쇄 처리를 재개한다(2410).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가 인쇄 잡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 인디케이터(1204)를, 다시 점멸3로 표시 구동한다(2409).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프린터와의 사이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실현할 수 없는 휴대전화와 프린터와의 사이를 어댑터로 중개한다. 이 어댑터는, 휴대전화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프린터의 다이렉트 인쇄 시스템으로 이용 가능한 인쇄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프린터가 해석가능한 다이렉트 인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와 프린터의 사이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실현할 수 있다.
(2) 어댑터는, 프린터가 인쇄가능한 경우에만 휴대전화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접수하고, 프린터가 인쇄불가능한 경우에는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수신을 거부한다. 이에 따라서, 휴대전화를 조작하는 유저가 용이하게 인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3) 어댑터가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때, 어댑터는 휴대전화로부터 어댑터에 화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가 완료하기 전에, 프린터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인쇄 예정의 프린터가 다른 기기로부터의 인쇄 요구를 접수해버려,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의 인쇄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다이렉트 인쇄시의 인쇄 상황을 표시하는 기능을 어댑터에 갖게 하므로,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 상황을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다이렉트 인쇄시의 인쇄 설정용의 UI를 어댑터에 갖게 하므로, 유저는 어댑터의 UI를 조작하여 인쇄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용지의 종류를 설정하는 수단을 가지지 않고 있는 저가의 프린터를 유저가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그러한 용지설정 수단을 가져서 IrDA단자 첨부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를 사용한 경우에도, 유저가 소망하는 용지를 설정하고,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을 PD프린터로 인쇄시킬 수 있다. 임의의 사이즈와 종류의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제1실시예1의 변형 (A) 및 (B)>
(A) 도22에서는,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수신이 완료하고나서 PD프린터(1000)에 인쇄용의 화상 파일의 전송을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휴대전화(1100)로부터 화상 파일의 모든 데이터가 어댑터(1200)에 전송되고 RAM(3203)에 기억되고나서 PD프린터(1000)에 화상 파일의 전송을 시작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어댑터(1200)의 RAM(3203)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면서 수시 PD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인쇄용 화상 데이터의 단편(fragments)"을 얻을 수 있다. 인쇄용 화상 데이터 모두를 취득하기 전이여도, 그것까지 수신해서 기억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단편을 이용하여, 빨리 인쇄 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인쇄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B) 또 도22에서는, PD프린터(1000)로부터의 인쇄용 화상 파일의 전송 의뢰는, 도 22의 2217에서의 한번만 발행되지만,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화상 파일의 전송 의뢰를 나누어서 준비된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 의뢰"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이 경우,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편들을 어댑터(1200)의 RAM(3203)에 기억하면서 PD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해도 좋다. PD프린터(1000)는 차차 "인쇄용 화상 데이터편"을 얻을 수 있으므로, 그 화상 파일의 전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이여도, 그 화상 데이터의 단편을 이용해서 빠른 시기에 인쇄 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인쇄 완료까지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인쇄용 화상 데이터편"은, 보다 잘잘한 "인쇄화상 데이터편의 단편"으로 대체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변형 A, B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방식이 어떠한 방식이여도,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가 받은 화상 데이터를 차차 PD프린터(1000)에 전송하는 경우에 동일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 A)의 동작 시퀸스>
도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시퀸스(변형 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화상 파일의 일부인 화상 데이터편을 전송한다(2501).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인쇄용의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 의뢰를 송신한다(2502). 이에 따라,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편을 PD프린터(1000)에 전송한다(2503). PD프린터(1000)는, 그 어댑터(1200)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의 단편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를 행한다(2504). 예로서, 1/4페이지에 해당하는 인쇄용 화상 데이터의 단편이 어댑터(1200)로부터 전송되어 있으면, 그 1/4페이지의 인쇄가 가능해진다.
PD프린터(1000)가 인쇄 잡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2504), 어댑터(1200)의 인디케이터(1204)는 점멸3으로 표시 구동된다(2505). 이 때,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우선으로 하여도 되고, 휴대전화(11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중인 것을 나타내는 점멸2을 인디케이터(1204)는 반복해도 된다. 이와는 달리, 어댑터(1200)에의 데이터편의 전송과, PD프린터(1000)에 의한 인쇄 처리의 양쪽을 나타내기 위해서, 점멸2와 점멸3을 교대로 반복해서 인디케이터(1204)를 구동해도 좋다. 이와는 달리, 그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점멸 패턴을 준비해도 좋다.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한 후, 그 휴대전화(1100)는 어댑터(1200)에 화상 데이터의 전송종료를 통지한다(2506). 이때, 어댑터(1200)는, 최종의 화상 데이터인 취지를 통지함에 의해 전송 종료를 통지하여도 된다. 2507에서, 어댑터(1200)는, 전송 종료의 통지에 대한 응답을 휴대전화(1100)에 보낸다.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 의뢰된 화상 데이터를 PD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PD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의 전송 종료를 통지한다(2508). 이때, 전송 프로토콜의 규약을 이용하고, PD 프린터(1000)는 최종 화상 데이터의 전송시에, 화상 전송 종료 통지로서, 화상 데이터편이 최종 데이터인 것을 통지받아도 된다.
<(변형 B)의 동작 시퀸스>
도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시퀸스(변형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화상 파일을 전송한다(2601).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제1의 화상 데이터편(화상 파일의 일부)의 전송을 의뢰한다(2602).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그 의뢰된 제1의 화상 데이터편을 전송한다(2603). 이 화상 데이터편은, 휴대전화(1100)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의 단편을 기초로 생성한다. 상기의(변형 A)와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편의 단편을 차차 전송해도 된다. 그리고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그 의뢰된 제1의 화상 데이터편을 모두 전송하면, PD프린터(1000)에 제1의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이 종료한 취지를 통지한다(2604). 이때, 전송 프로토콜의 규약을 이용하고, 제1의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시에, 그 데이터가 최종 데이터인 취지를 통지함으로써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이 종료한 것을 통지해도 된다.
PD프린터(1000)는, 그 어댑터(1200)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편에 의거하여 차차 인쇄를 행한다(2605). 예를 들면, 1/4페이지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편이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송신되면, 그 1/4페이지의 인쇄가 가능해진다. (변형 A)와 마찬가지로, 그 화상 데이터편의 단편을 기초로 차차 인쇄를 행해도 된다.
이렇게 해서 PD프린터(1000)가 화상 데이터편의 인쇄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어댑터(1200)의 인디케이터(1204)는 점멸3을 반복한다. 이때,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우선으로 하여도 되고, 인디케이터(1204)는 점멸2(데이터 전송중을 나타낸다)을 반복해도 된다. 또한, 인디케이터(1204)는 데이터전송과 인쇄의 양쪽을 나타내기 위해서 점멸2와 점멸3을 교대로 반복해도 되거나, 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새로운 점멸 패턴을 준비해도 된다.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제2 및 제3의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 의뢰를 송신한다(2607, 2610). 어댑터(1200)는, 그 의뢰된 제2 및 제3의 화상 데이터편을 PD프린터(1000)에 전송한다(2608, 2611). 각 화상 데이터편은, 휴대전화(1100)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의 단편을 기초로 생성된다.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그 제2 및 제3의 화상 데이터편이 모두 전송된 후, PD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 종료를 통지한다(2609, 2612).
PD프린터(1000)로부터 어댑터(1200)에 대하여, 최후의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 의뢰를 송신한다(2613).
휴대전화(1100)가 모든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1200)에 전송한 후, 어댑 터(1200)에 화상 파일의 전송 종료를 통지한다(2615). 이때, 전송 프로토콜의 규약을 이용하고, 휴대전화는 최종 화상 데이터의 전송시에, 전송 종료 통지로서 그 데이터가 최종 데이터인 취지를 통지받아도 된다. 어댑터(1200)로부터 휴대전화(1100)에 전송 종료 접수를 나타내는 응답을 되돌린다(2618).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그 의뢰된 최후의 화상 데이터편을 전송한다(2614). 그 화상 데이터편은, 휴대전화(1100)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의 단편을 기초로 생성된다.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그 화상 데이터편 모두를 전송 완료한 후(2616), 어댑터는 PD 프린터(1000)에 그 화상 데이터편의 전송 종료를 통지한다(2617). 이러한 통지는, 시퀸스2616의 통지로, 최종 데이터인 취지를 PD프린터(1000)에 통지하는 것으로 대체되어도 된다.
<기타의 변형>
아래에 기타의 가능한 변형을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1100)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도9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한 IrOBEX를 설명한다. 어댑터(1200)는, 도10 내지 도13과 같은 다른 구성의 화상 데이터원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프로토콜은, 화상 데이터원 및 PD프린터(10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갖는다. 도10의 프로토콜 변환부(900)에 있어서,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PD프린터(1000)에의 인쇄 요구를 생성하고, 인쇄를 실행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화상 데이터와 인쇄 데이터의 전송 방법은 어디 까지나 일례이며, 전송 수속의 상세한 순서나, 전송 시작 수속을 전송원이 행할지 전송처가 행할지에 의하지 않고, 본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은,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전송 요구 통지에 근거해서 시작한다. 이와는 달리,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에 대하여 화상전송 요구를 보내고, 휴대전화(1100)가 화상전송 접수를 되돌리는 경우,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되어도 된다.
또 본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인디케이터(1204)의 표시 패턴이외에도, 여러가지 표시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어댑터(1200)의 여러가지의 상태를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인디케이터(1204)의 점멸 패턴으로서, 일회의 점멸에 있어서의 점등 시간과 소등 시간의 비율을 변화시켜서 점멸 패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중"을 의미하는 점멸 패턴은, "점등=0.1초, 소등=1초"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1204)의 점등 시간을 짧게 해, 어댑터(1200)의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1200)의 UI로서,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수치나 캐릭터 스트링을 표시할 수 있는 LED나 LCD, 또는 기타의 표시장치를 사용해도 개의치 않는다. 이 경우, UI를 갖지 않는 프린터와 어댑터(1200)를 접속한 경우, 어댑터(1200)는 각종 에러를 표시하여, 유저에게 프린터와 어댑터(1200)의 동작 상황의 상세내용을 알릴 수 있다.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중에,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 소정 시간 동안, 그 통신이 복귀하지 않으면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인쇄 중단을 의뢰해도 좋다.
이때, 휴대전화(1100)와 어댑터(1200)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사이의 다이렉트 인쇄에 있어서의 통신은, 기존의 프로토콜을 그대로 이용한다. 그래서, 그 데이터 전송의 상세와 통신의 상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
도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3202)에 기억되어 있고, CPU(3201)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이 처리는,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가 접속된 것이 검출될 때, 혹은 어댑터(1200)가 접속되어 있는 PD프린터(1000)의 전원이 온 될 때, 개시된다.
우선 단계SlOl에서,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의 초기화가 행해진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는 USB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실시예에서는, 트랜스포트층으로서 PTP층이 채용되어 있지만, 이 통신 사양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 PTP에 의한 USB접속의 초기화방법은 주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USB접속의 초기화가 완료하면,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의 준비가 완료한다.
단계SlO2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 다이렉트 인쇄 기능(Capability)을 취득한다. 다시 말해, 어댑터(1200)로부터, 접속된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어떠한 다이렉트 인쇄 사양을 가지고 있는지의 정보(Capability)를 요구한다. 어댑터(1200)는, 이 요구에 응답해서 PD프린터(1000)로부터 보내져 오는 다이렉트 인쇄 기능(Capability)을 취득한다(도14의 1402).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능력의 취득은, 도14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댑터(1200)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실행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PD프린터(1000)에 의해 어댑터(1200)를 예를 들면 푸싱하여서 그 능력을 취득해도 된다.
단계SlO3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의 능력의 취득을 완료하면, 그 PD프린터(1000)와의 접속을 소프트웨어로 절단한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절단의 이유는 아래와 같다.
어댑터(1200)는, 복수종의 프린터에 접속된다고 가정한다. 프린터에는,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통신이 확립하고 있는 동안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거절하는 기종이 있다. 다시 말해, 어댑터(1200)가 접속되어 있는 동안, 일부의 프린터는 다른 PC등으로부터의 인쇄 요구를 수신할 수 없다. 그 경우, 그 프린터에 접속되는 기기들이 같은 다이렉트 인쇄 사양을 가지고 있으면, 하나의 기기와의 다이렉트 인쇄가 완료한 후에 그 하나의 기기와 프린터와의 사이의 물리적인 접속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제2실시예와 같이, 프린터의 커넥터에 어댑터(1200)가 접속될 경우에는, 다이렉트 인쇄의 필요와 불필요에 관계없이, 어댑터(1200)와 프린터가 유기 적으로 계속 접속된다고 가정한다. 프린터의 사용 효율을 고려하면, 프린터와 어댑터(1200)가 통신이 필요하지 않으면 유기적으로 계속된 채로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어댑터(1200)를 프린터로부터 물리적으로 절단하는 것은 곤란하여, 소프트웨어(비물리적)로, 프린터와 어댑터 사이의 통신을 절단해서 프린터를 해방하고 있다(S103). 제2실시예에서, 어댑터(1200)는, 프린터로부터 어댑터(1200)를 제거하는 것과 동등한 상태를 만들도록 프린터와의 접속을 개방 상태로 설정하여서 소프트웨어로(비물리적으로) 절단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는 PTP접속되고, 어댑터(1200)는 슬레이브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프로그램적으로 통신을 절단하는 것이 곤란했지만, 인터페이스의 사양에 따라서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를 프로그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채용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술한 전기적인 절단 대신에, 프로그램적으로 그 접속을 해방하여도 된다.
단계SlO4에서, 어댑터(1200)는, 단계SlO2에서 취득한 PD프린터(1000)의 능력에 따라, 도6a 및 6b를 참조해서 설명된 것처럼, 어댑터(1200)에 있어서의 UI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PD프린터(1000)의 능력 항목의 하나인 "용지 사이즈"에 있어서, 그 PD프린터(1000)가 A4사이즈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댑터(1200)는, 어댑터(1200)의 UI에서 유저가 "A4"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도록 UI를 구축한다. 만약 A4사이즈를 프린터(1000)가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댑터(1200)는 유저가 "A4"사이즈를 선택할 수 없도록 UI를 구축한다. 마찬가지로, ("종이 종류"와 "날짜인쇄의 가부"와 같은), 다이렉트 인쇄에 관한 각종 능력에 따라 어댑터(1200)의 UI가 재구축된다.
이후,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로부터 취득한 능력에 따라 구축한 UI에 의거하여 유저에게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lO5에서, 이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가, 적외선 인터페이스(1101, 1202)를 통한 통신이 개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와 통신이 개시된 후 단계SlO6으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의 초기화가 이루어진다(도20의 2011, 2012). 단계SlO7에서, 어댑터(1200)는, 통신의 초기화 후,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다이렉트 인쇄의 인쇄 요구를 기다린다. 인쇄 요구를 수신하면, 어댑터(1200)는, 단계S108에서, 다이렉트 인쇄용의 인쇄 데이터(화상 파일)를 수신한다(도20의 2013∼2018). 이 인쇄 데이터는, 예를 들면, 다이렉트 인쇄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와, 다이렉트 인쇄의 인쇄 조건을 기록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어댑터(1200)는, 이 인쇄 명령의 수신시, PD프린터(1000)와의 다이렉트 인쇄를 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통신의 확립을 행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그 PD프린터(1000)와의 통신의 확립은 행하지 않고,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는 것을 우선한다. 단계SlO9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휴대전화(110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llO으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에, 인쇄 데이터가 정상으로 수신된 것을 통지한다.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간의 일련의 잡을 종료한다. 단계S109에서, 그 수신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단계S108로 복귀된다.
휴대전화(1100)에는, 그 사양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를 행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없는 기종이 있다. 다시 말해, 그 기종은, USB호스트(어댑터(1200))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인 것을 인식하지 않고, 단지 화상 파일을 전송할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1100)는, 반드시 특별한 다이렉트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단지 선택된 데이터(화상 파일)를 통신이 확립하고 있는 접속처에 전송하는데 충분할 뿐이다. 이것은, 어댑터(1200)가, 그 화상 파일을 PD프린터(1000)가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해서 그 변환된 데이터를 PD프린터(1000)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다이렉트 인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러한 화상 파일을 전송하기만 하는 휴대전화는, 파일 전송이 완료할 때 그 잡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서,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 사이에서 그 잡을 조속히 종료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파일 전송이 종료한 시점에서,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 사이의 데이터 전송 잡을 종료한다.
단계SlO9에서 다이렉트 인쇄에 필요한 모든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후, 단계S110에서는, 단계SlO4에서 구축한 UI를 기초로, 유저에 의해 인쇄 사양이 설정된다. 이때, 이 UI에 의한 인쇄 사양의 설정은, 디폴트의 인쇄 사양으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생략되어도 된다.
단계Slll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와 (소프트웨어로) 인터페이스 접속을 재개한다. 다시 말해,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해서 접속을 확립한다. 단계Sl12에서,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화상 파일)를,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의 다이렉트 인쇄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단계Sl13에서, 어댑터(1200)는, 그 변환한 인쇄 데이터를, 순차로 PD프린터(1000)에 다이렉트 인쇄용 데이터로서 전송한다. 이렇게 해서 단계Sl14에서, 다이렉트 인쇄용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한 후, 단계S115에서는,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와의 접속을, 소프트웨어로(전기적으로) 절단한다. 다시 단계SlO7에 되돌아가서 휴대전화(1100)로부터 인쇄 요구를 기다린다.
상술한 것처럼, 제2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는, USB와 적외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어댑터(1200)는, 이것들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프린터 및 화상공급장치(촬상장치(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 또는 화상 기억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한다. 어댑터(1200)는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로 인쇄시킬 수 있다.
어댑터(1200)와 화상공급장치간의 접속 및 어댑터(1200)와 프린터간의 접속은, 실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간에 한정된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PD프린터(1000) 및/혹은 휴대전화(1100)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27의 단계SlO3에서, 어댑터(1200)는 소프트웨어로 PD프린터(1000)와의 접속을 개방 상태로 설정한다(절단한다). 그렇지만, 그 이후도 어댑터(1200)는 전기적으로는 접속을 유지하고, 물리적으로 PD프린터(1000)와의 접속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어댑터(1200)는, 단계SlO2에서 취득한 PD프린터(1000)의 능력을, 그 이후 이용할 수 있다. 일단 어댑터(1200)가 물리적으로 PD프린터(1000)로부터 절단, 즉 커넥터로부터 배출되면, 어댑터(1200)는 상기 이미 취득된 능력에 호환가능하지 않은 별도의 프린터에 접속되어도 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유저가 설정한 사양에서의 인쇄를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도28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28은, 제2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접속 및 절단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3202)에 기억되어 있고, CPU(3201)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이 처리는 PD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가 접속된 것이 검출되면, 혹은 어댑터(1200)가 접속되어 있는 PD프린터(1000)의 전원이 온 되면, 개시된다.
단계S201∼S204의 처리는 전술의 도27의 단계SlOl∼SlO4과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205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인쇄 데이터(화상 파일)를 수신해서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를 행할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처리는, 도27의 단계SlO5∼114의 처리에 해당하고 있다. 그리고 단계S206에서,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로부터 물리적으로 절단된 경우, 다시 말해,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의 USB커넥터로부터 배출되면, 단계S207로 진행되어, 그 PD프린터(1000)의 능력을 캔슬한다. 단계S208에서, 그 어댑터(1200)의 UI를, 예를 들면 디폴트의 UI로 변경한다. 다시 말해, 다이렉트 인쇄를 항상 행하는 필수적인 기능에 UI선택 기능이 제한된다.
어댑터(1200)는 자신의 전원을 갖는 것을 주목한다. 그러나, 제2실시예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의 USB접속을 거쳐서 USB로부터 전원을 받는다. 이때,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 인쇄 데이터(화상 파일)를 수신하고 있을 때,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와의 I/F를 확립하지 않는다. 또 화상 파일 데이터를 수신한 후,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의 I/F를 확립할 때, PD 프린터(1000)는 항상 즉시 인쇄할 수 없다. 이 단계에서,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가 다이렉트 인쇄용의 데이터를 수신해서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리지 않는다. 그래서, PD프린터(1000)에 있어서의 인쇄 잡이 종료하면, PD프린터(1000)의 전원이 꺼져버릴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PC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중에 어떠한 이유로 복원 불가능한 에러가 생기면, PD프린터(1000)는 일시적으로 전원이 오프되어서 초기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프린터(1000)의 USB로부터 전원공급을 받고 있는 어댑터(1200)에서는, 그 PD프린터(1000)의 전원 오프에 의해 전원공급이 중단해버려, 어댑터(1200)의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었던 화상 데이터가 소거되어버린다. 이 때, 어댑터(1200)는 이미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처리를 완료했고, 휴대전화(1100)에 대하여 인쇄를 완료할 수 없었던 것을 통지할 수 없다. 이 경우에, 휴대전화의 유저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로의 화상 데이 터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통지하였지만, 실제로는 화상 데이터의 인쇄를 완료하지 못한다.
따라서, 휴대전화(1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어댑터(1200)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하는 데 특히 유효하다.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모두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에 어떠한 에러가 일어난 경우에, 어댑터(1200)는, 아직 접속이 계속되어 있는 휴대전화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 실패를 통지하고, 휴대전화(1100)에 다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요구한다.
또 어댑터(120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도 되지만, 다이렉트 인쇄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를 유지하여도 된다. 전술의 동작은, PD프린터(1000)가 어댑터(1200)와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개시된다. 어댑터(1200)와 접속하는 PD 프린터(1000)가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제2실시예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프린터와 휴대전화가 공통의 다이렉트 인쇄 사양의 프로토콜을 가지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어댑터를 통해 프린터와 휴대전화간의 다이렉트 인쇄를 행할 수 있다.
(2)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중 등, PD프린터(1000)가 다이렉트 인쇄 동작에 들어갈 수 없는 상태에서 PD프린터(1000)를 점유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의 가동율을 향상할 수 있다.
(3)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수신중은, 휴대전화로부터의 화상 데이 터 수신을 최우선으로 하므로, 휴대전화를 조속히 해방할 수 있다. 이것은,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데이터 공급장치가 배터리 구동의 모바일 기기일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4) PD프린터(1000)가 어떠한 다이렉트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준비되지 않은) 경우이어도, 화상 데이터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어댑터에서 수신할 수 있다. 프린터가 어댑터에 접속되지 않고 있는 경우이여도, 화상 데이터원(휴대전화)으로부터의 다이렉트 인쇄용의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가 수신할 수 있어서 그 화상 데이터원을 조속히 해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변형]
상기의 제2실시예에서는, 어댑터(1200)가 다이렉트 인쇄용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PD프린터(1000)가 레디 상태가 안 되었을 경우도, PD프린터(1000)의 전원이 오프되었거나, 또는 PD프린터(10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다이렉트 인쇄를 행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변형에서는, 다이렉트 인쇄의 도중에 PD프린터(1000)에서 복원불가능한 에러 상태가 된 경우에도 다이렉트 인쇄를 완료할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겠다.
"다이렉트 인쇄 시작"(단계Sl13)과 "다이렉트 인쇄 완료"(Sl14) 사이의 간격에서, PD프린터(1000)에서 복원불가능한 에러가 일어나는 경우, 이 인쇄 처리는 "프린터와 어댑터간 인터페이스의 초기화"(Slll)로 되돌아가서 PD프린터(1000)의 복귀를 기다린다. 보통, PD프린터(1000)에서 복원 불가능(이 때 인쇄의 계속도 불가능하게 된다)한 에러가 일어난 경우에는, 그 프린터를 복귀시키기 위해서, 프린터의 전원의 온/오프 처리, 혹은 대응한 프린터의 초기화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인터페이스도 초기화되고, 어댑터(1200)와 프린터(1000)와의 접속은 일단 개방상태로 설정된다(절단된다). PD프린터(1000)가 복귀한 후에, 다시 인터페이스가 확립된다. 다이렉트 인쇄의 동작으로서, 어댑터(1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린터와 어댑터간 인터페이스의 초기화"(Slll)를 대기 함에 의해, 다이렉트 인쇄 재개가 가능해진다.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로부터 전원을 받은 경우에, PD프린터(1000)의 초기화와 동시에 전원공급이 끊어져 어댑터(1200)도 초기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어댑터(1200)가 "프린터와 어댑터간 인터페이스의 초기화"(Slll)로 되돌아가기 전에, 재개 기능을 사용해서 전원이 재투입되었을 경우에, 어댑터(1200)는 그 "프린터와 어댑터간 인터페이스의 초기화"(Slll)로부터 복귀할 수 있게 제어되어도 된다. 이때, 전원 재투입시에, 전원 오프시에 행해진 작업으로 복귀시키는 재개 기능은 주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는 달리, 자동복귀의 사양이 아니고, 어댑터(1200)의 UI를 사용해서 유저가 자동복귀를 지시했을 때만, 어댑터(1200)내에 유지되어 있는 최신의 다이렉트 인쇄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인쇄를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휴대전화를 기동해서 다이렉트 인쇄용의 화상을 선택하고, 다이렉트 인쇄 동작을 행하는 귀찮은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운용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D 프린터(1000)가 어댑터(1200)에 접속되지 않고,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로부터 다이렉트 인쇄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이 경 우에, 어댑터(120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독자적인 전원을 가지고 있다), 어댑터(1200)는 "프린터(1000)와 어댑터(1200)간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접속"의 상태에서 대기한다.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와 접속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다이렉트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와 같이, 자동복귀의 사양이 아니고, 어댑터(1200)의 UI를 사용해서 유저가 자동복귀를 지시한 경우에만, 어댑터(1200)에 유지되어 있는 최신의 다이렉트 인쇄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인쇄를 행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1) 휴대전화로부터 인쇄 잡에 의거한 다이렉트 인쇄중에 프린터에서 복귀불가능한 에러가 일어난 경우이여도, 재차, 휴대전화로부터 다이렉트 인쇄용의 잡을 전송하지 않고 다이렉트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2) 다이렉트 인쇄의 데이터를 휴대전화로부터 수신시에, 어댑터와 프린터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어댑터와 프린터가 접속된 시점에서 다이렉트 인쇄용 데이터에 의거한 다이렉트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 사이의 통신에 순수한 파일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어댑터(1200)와 프린터(1000)의 사이의 통신에, 다이렉트 인쇄용의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 경우에, 휴대전화(1100)는, 전송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 잡의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 없고, 어댑터(1200)는 잡 관리를 보조해야 한다. 또한, 휴대전화(1100)는, 용지없음 에러 등으로 인해 인쇄 잡이 중단했을 때의 인쇄 재개 지령이나, 인쇄 잡의 중지 지령 등의 잡 관리를 행할 수 없다. 그 지령을 보조하기 위해서, 어댑터(1200)의 UI와 버튼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술한 잡 관리 방법을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어느 한쪽을 유일하게 이용했을 경우에는, 이하의 경우에서 문제가 생긴다.
(1) 제1실시예에 근거하여, PD 프린터(1000)가 인쇄 잡을 접수하면,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하는 방식에 의하면, 유저는, 휴대전화(1100)의 메모리 카드(3109)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을 인쇄하고, 그 화상을 어댑터(1200)에 전달한 후 메모리 카드(3109)로부터 소거해서 조속히 다음 화상을 촬상하려고 한다.
이 경우에, 인쇄의 완료 시기는, 유저에 있어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화상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통지하고,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에 인쇄 요구를 보낸 경우에, 만약 PD프린터(1000)가 PC(3010)로부터의 인쇄 데이터를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 요구를 접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중단해버린다. 휴대전화(1100)의 액정표시부(1102)에는 데이터전송이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통신 에러가 표시된다. PC(3010)로부터의 데이터의 인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어댑터(1200)와 휴대전화(1100)간의 데이터통신은 대기하여야 한다. 그 결과, 휴대전화(1100)의 유저는, 새로운 화상의 촬영을 할 수 없어 사진 촬영기회를 놓칠 수 있거나, 인쇄를 포기해서 메모리 카드(3109)로부터 화상을 소거해서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여도 된다.
(2) 제2실시예에 있어서, PD프린터(1000)의 인쇄 잡의 접수를 대기하지 않고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하는 방식에 의하면, 휴대전화(1100)의 유저가 화상을 재빠르게 인쇄하여, 그 인쇄 결과를 휴대해서 외출하려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 유저는 인쇄가 완료할 때까지 외출할 수 없다. 휴대전화(1100)로부터 어댑터(1200)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에 화상 인쇄를 지시한 경우에, 만약 PD프린터(1000)가 PC로부터의 데이터 인쇄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이여도,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수신을 정상적으로 종료한다. 이 경우, 휴대전화(1100)의 액정표시부(1102)에는, 통신 완료가 표시되지만, 실제의 화상의 인쇄 시작은, PC(3010)로부터의 데이터 인쇄가 완료한 후가 된다. 따라서, 그 유저는, 그 인쇄된 화상(사진)을 휴대하여 외출하기 위해서, 유저가 외출하기 전에 대기해야 하거나 또 다른 점유되지 않은 프린터를 사용하여 화상을 인쇄해야 한다. 유저가 다른 프린터를 사용해서 화상을 인쇄하고 그 인쇄된 결과(사진)를 휴대하여 외출하는 경우에, 다른 프린터를 사용해서 화상을 인쇄해서 그 인쇄 결과를 휴대해서 외출했을 경우에는, 그 휴대전화(1100)의 유저가 부재인 동안에, 최초의 PD프린터(1000)에 의한 화상의 인쇄가 실행되어버려, 쓸데없는 인쇄가 이루어지거나, 유저가 부재인 동안 개인의 사진이 인쇄되어서 방치된 채로 된다.
따라서, 유저의 환경에 의존하는 어댑터(1200)가 제1실시예에 근거하여 "인쇄 잡을 현재 실행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즉시에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지만, 인쇄 잡의 접수는 즉시 실행 가능한 경우에만 접수될 수 있는 모드"에서의 동작과, "인쇄 잡의 실행 시기를 보증할 수 없지만, 인쇄 잡은 항상 접수할 수 있는 모드"에서의 동작 사이에서 바꾸는 것이 유효하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되는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1100)에 있어서의 데이터전송동작의 전환 및 UI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서는, 휴대전화의 유저의 환경을 휴대전화(1100)에서 판단하여, 그 판단된 환경을 어댑터(1200)에 통지한다. 그 흐름도의 시작 시점에서는, 휴대전화(1100)는 어댑터(1200)가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10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처리를 전환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한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3101)에 기억되고, CPU(3103)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단계S301에서, 어댑터(1200)에의 데이터전송이 즉시 인쇄를 기대해서의 데이터 전송처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 방법은, 액정표시부(1102)에, 유저가 즉시 인쇄를 희망할 것인가 아닌가의 질문을 표시하고, 유저에 의한 회답을 사용한다. 판정 결과가 "YES"일 경우에는 단계S302로 진행되고, "NO"일 경우에는 단계S307로 진행된다. 단계S302에서의 즉시 인쇄용의 데이터 전송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IrDA의 PUT처리의 최초에 전달하는 네임(Name) 영역이 특정한 파일명(예: IMMEDIATE.JPG)인 것을 사용한다. 단계S303에서, 휴대전화(1100)는 데이터전송이 실패했는지를 판정한다. 데이터 전송이 성공한 경우에는 단계S304로 진행되고, 실패했을 경우에는 단계S305로 진행된다. 단계S305에서, 휴대전화(1100)는, 즉시 인쇄용의 화상전송의 실패는, 인쇄하는데 사용된 PD프린터(1000)가 어떠한 이유로 현재 인쇄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휴대전화(1100)는,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인쇄 에러 메시지를 액정표시부(1102)에 표시한다. 그 후, 휴대전화(1100)는 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304에서는, 휴대전화(1100)가 데이터전송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데이터 전송이 완료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302로 진행되고, 휴대전화(1100)는 전술한 데이터 전송처리를 실행한다(S302-S303). 데이터 전송이 완료하면, 단계S306으로 진행되고, 휴대전화(1100)는 인쇄 대상의 PD프린터(1000)가 인쇄가능하고, 또한 프린터(1000)가 어댑터(1200)로부터의 인쇄 잡을 접수하였다고 판단한다. 휴대전화(1100)는, 데이터전송이 성공한 통신 완료 메시지를 액정표시부(1102)에 표시한다. 그 후, 휴대전화(1100)는 데이터 전송처리를 종료한다.
또 단계S301에서, 즉시 인쇄 요구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S307로 진행되고, 휴대전화(1100)는 단계S302와는 다른, 일반적인 전송 처리에 의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행한다.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IrDA의 PUT처리의 최초에 전달하는 네임 영역이 특정한 파일명(예: IMMEDIATE.JPG)이외의 네임을 사용한다. 그리고 단계S308에서, 휴대전화(1100)는 데이터 전송이 실패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데이터 전송이 성공한 경우에, 휴대전화(1100)는 데이터 전송 완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전송 완료가 아닌 경우, 단계S307로 되돌아가서, 휴대전화(1100)는 전술한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308에서,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는 단계S310로 진행되고, 휴대전화(1100)는, 휴대전화(1100)와 어댑터(1200) 사이의 통신에서 발생한 순수한 통신 에러라고 판단한다. 휴대전화(1100)는, 통신 에러 메시지를 액정표시부(1102)에 표시해서 처리를 종료한다. 또 단계S309에서 전송 처리를 완료하면, 휴대전화(1100)는, 일반적인 화상전송의 성공은, 휴대전화(1100)와 어댑터(1200)와의 사이의 통신이 성공적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휴대전화(1100)는, 통신 완료 메시지를 액정표시부(1102)에 표시해서 처리를 종료한다.
도30은, 제3실시예에 관련되는 어댑터(1200)에 의한 데이터 전송 동작의 전환 및 인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있어서도, 휴대전화(1100)는, 휴대전화(1100)의 유저의 환경을 판단하여, 그 판단된 환경을 어댑터(1200)에 통지한다. 이 흐름도 개시 시점에서 어댑터(1200)가 휴대전화(1100)가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처리를 어댑터(1200)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한다고 가정한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3202)에 기억되어, CPU(3201)의 제어 하에서 실행된다.
단계S401에서,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전송요구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어댑터(1200)가 어떠한 데이터전송 요구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401로 되돌아가고, 어댑터(1200)는, 데이터전송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이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데이터전송요구를 수신하면, 단계S402에서, 어댑터(1200)는, 그 요구된 데이터전송이, 즉시 인쇄가 필요한 데이터 전송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IrDA의 PUT처리의 최초에 전달되는 네임 영역이 특정한 파일명(예: IMMEDIATE.JPG)일 경우에, 어댑터(1200)는 즉시 인쇄가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즉시 인쇄가 필요한 경우에는(단계S402에서 YES) 단계S403으로 진행되지만, NO인 경우에는 단계S412로 진행된다.
단계S403에서는,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에 어댑터(1200)가 물리적으로 접속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어댑터(120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에 접속될 때까지 단계S403을 반복해 실행한다.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와 접속된 후, 단계S404에서,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초기화를 행한다. 단계S405에서는, 어댑터(120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잡의 시작을 통지한다. 단계S406에서는,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로부터 인쇄 시작OK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406에서 NO인 경우는 단계S411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전송요구에 대하여 거부, 즉 데이터전송요구가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을 휴대전화(1100)에 통지한다. 그 후, 단계S410으로 진행된다.
단계S406에서, PD프린터(1000)로부터의 응답이 인쇄 시작OK 응답이면, 단계S407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전송요구를 접수하고, 휴대전화(1100)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408에서, 어댑터(1200)는, 그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PD프린터(1000)에 인쇄용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409에서, 어댑터(1200)는, 그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PD프린터(1000)에 의한 인쇄가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쇄가 완료하지 않고 있으면, 단계S408로 되돌아가서, 어댑터(1200)는, 전술한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가 완료하면, PD프린터(1000)와의 소프트웨어 I/F를 절단하고, 다이렉트 인쇄를 종료한다. 그 후, 단계S401로 되돌아가서, 이후 처리를 계속한다.
단계S402에서 즉시 인쇄가 아닐 경우는, 단계S412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데이터전송요구를 받아들이고,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413에서, 어댑터(1200)는,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가 물리적으로 접속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가 접속되지 않고 있으면, 어댑터(1200)는, 단계S413의 처리를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에 접속될 때까지 반복한다.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와 접속된 후, 단계S414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사이에서의 다이렉트 인쇄의 초기화를 행한다. 단계S415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잡의 시작을 통지한다. 단계S416에서, 어댑터(1200)는, 어댑터(1200)가 PD프린터(1000)로부터의 인쇄 시작 OK 응답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416에서 NO이면, 단계S417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와의 소프트웨어 I/F를 절단하고, 다이렉트 인쇄를 종료한다. 그 후, 단계S413에 되돌아간다. 단계S413에서, 어댑터(1200)는, PD 프린터(1000)의 상황이 변화되어서 인쇄 가능한지, 그렇지 않으면 어댑터(1200)가 다른 인쇄가능한 프린터와 접속되는 것을 기대하고 이후 처리를 계속한다.
단계S416에서 인쇄가 가능하면, 단계S418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는, 휴대전화(1100)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PD프린터(1000)에 인쇄용 데이터를 송신해서 인쇄를 실행시킨다. 단계S419에서, 어댑터(1200)는, PD프린터(1000)에서의 인쇄가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인쇄가 완료하지 않으면, 단계S418에 되돌아가고, 어댑터(1200)는, 전술한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가 완료하면 단계S420으로 진행되고,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소프트웨어 I/F를 절단하고, 다이렉트 인쇄를 종료한다. 단계S401에 되돌아가서, 이후 처리를 계속한다.
이때, 이 도30에서 설명한 처리는 기본적인 것이다. 단계S403∼S410의 처리 단계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를 적용해도 되거나, 단계S412∼S420의 처리 단계에,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를 적용해도 된다.
즉시 전송이 필요한가 아닌가의 판정기준(도29의 단계S301)은, 휴대전화(1100)의 유저에 의한 선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쇄 데이터로서 전송하는 화상 파일이 JPEG화상인 경우에는, 사진 데이터인 것을 가정해서 즉시 인쇄용의 데이터전송이라고 판단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아카이브(archive)인 것을 가정해서 일반적인 데이터전송이라고 판단한다. 이렇게 하여, 전송된 화상 파일의 포맷에 의거하여 휴대전화(1100)는 자동적으로 데이터 전송의 종류를 판별해도 된다. 또 인쇄를 실행하는 시간이 심야인 경우에는, 유저가 외출하고 있을 가능성이 낮으므로, 휴대전화(1100)는 일반적인 데이터전송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시간대의 경우에는(심야시간 이외의 시간의 경우에는) 외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휴대전화(1100)는 즉시 인쇄용의 데이터전송이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 데이터 전송의 종류는 인쇄가 지시되었을 때의 시간에 의거하여 판단되어도 된다.
또 도29의 단계S302에서, 즉시 인쇄용의 데이터 전송방법으로서, IrDA의 PUT처리의 최초에 전달되는 네임 영역이 특정한 파일명(예: IMMEDIATE.JPG)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PTP의 "ObjectInfoDataset"의 키워드를 사용하거나, 벤더(vendor) 고유의 코맨드(예:PTP OperationCode=Ox9001)를 사용하거나 하는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 도30의 단계S402에서, 즉시 인쇄가 필요한가 아닌가의 판정에 관해서도, IrDA의 PUT처리의 최초에 전달되는 네임영역이 특정한 파일명(예:IMMEDIATE.JPG)일지에 의거해 판정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술한 PTP의 "ObjectInfoDataset"의 키워드에 의해 판정하거나, 벤더 고유의 코맨드(예: PTP OperationCode=Ox9001)에 의해 판정하는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단계S402에서, 휴대전화(1100)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즉시 인쇄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댑터(1200)가 스스로 즉시 인쇄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전술한 화상 포맷이나 인쇄가 지정된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판정해도 된다. 이와는 달리, 어댑터(1200)에 즉시 인쇄가 필요한가 아닌가의 설정 수단을 설치하고, 유저에 의한 선택을 기준으로서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판정기준의 조합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의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전화(1100)와 어댑터(1200)의 접속을 순수한 데이터전송 접속, 실시예2에서는, 간단한 다이렉트 인쇄 접속으로 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는, 어댑터(1200)와 PD프린터(1000)와의 접속에 사용된 다이렉트 인쇄 접속과 다른 방식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따라서, 제1,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전화(1100)와 어댑터(1200)와의 접속을 간단한 다이렉트 인쇄 접속으로 하고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속을 순수한 데이터 전송 접속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직접 또는 원격으로부터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가, 그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그 형태는 반드시 프로그램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컴퓨터에 인스톨되는 프로그램 코드 자체도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자체도 포함된다. 이 경우에, 프로그램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오브젝트 코드,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OS에 공급하는 스크립트 데이터 등의 프로그램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
Figure 112007061916846-pct00003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MO, CD-ROM, CD-R, CD-RW, 자기테이프, 비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DVD(DVD-ROM 또는 DVD-R)등이 있다. 그 밖의 프로그램의 공급 방법으로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인터넷의 홈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홈 페이지로부터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그 자체, 혹은 압축되어 자동 인스톨 기능을 포함한 파일을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매체에 다운로드하여서도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하고, 각각의 파일을 다른 홈 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하여도 된다. 즉,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일을 복수의 유저에 대하 여 다운로드시키는 WWW서버도, 본 발명의 클레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암호화해서 CD-ROM등의 기억매체에 격납해서 유저에 배포한다.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유저에 대하여 인터넷을 거쳐서 홈 페이지로부터 암호화를 푸는 열쇠정보를 다운로드시켜, 그 열쇠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컴퓨터에 인스톨시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외,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근거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근거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서, 다음의 청구항을 작성한다.
본 출원은 2005년 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출원번호 2005-017193의 이점을 청구하고, 이것은 전체로서 여기서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32)

  1. 각각 서로 다른 각 통신 인터페이스와 서로 다른 각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고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공급장치와 인쇄장치를 중재하는 어댑터로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쇄장치와 통신하는 제2통신 인터페이스와,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한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취득수단과,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한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화상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쇄장치에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화상취득수단이 인쇄하고 싶은 모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에 인쇄 개시를 통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앞서 화상 전송 개시의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인쇄장치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에,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인쇄 처리로 이동하기 위한 인쇄 잡용 개시요구를 상기 인쇄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화상전송의 개시가 가능한 통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화상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 가능한지의 여부를,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획득된 상기 인쇄장치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단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인쇄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화상 전송 개시의 통지에 따라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화상 전송을 허락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인쇄장치로부터 획득된 기능정보에 의거하여, 화상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 포맷이, 상기 인쇄장치로 인쇄할 수 있는, 상기 기능정보에 설명된 파일 포맷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인쇄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쇄장치에 순차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인쇄장치 사이에서 중계하면서 그 진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상기 인쇄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인쇄장치가 인쇄동작을 재개하게 하는 인쇄 속행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쇄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식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쇄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충전식 배터리는 USB 인터페이스를 거쳐 전원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인쇄 완료 후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2.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와, 인쇄장치와 통신하는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어댑터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한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취득단계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한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화상취득단계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쇄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단계와,
    상기 화상취득단계에서 인쇄하고 싶은 모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에 인쇄 개시를 통지하는 제어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13.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와 다른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쇄장치와, 상기 화상공급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와 각각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어댑터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으로서,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어댑터간에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통신하는 제1 통신수단과,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어댑터와 상기 인쇄장치간에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통신하는 제2 통신수단과,
    상기 제1통신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어댑터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게 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어댑터가 상기 인쇄장치에 출력하게 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이 인쇄하고 싶은 화상 데이터 모두를 취득하기 전에 인쇄 개시를 상기 인쇄장치에 통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14. 화상공급장치에 의해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를 거쳐서 인쇄장치에 출력 및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어댑터간에 통신하는 제1 통신수단과,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 다른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어댑터간에 통신하는 제2 통신수단과,
    상기 제1통신수단을 거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어댑터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게 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쇄장치에서 인쇄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제2통신수단을 거쳐 상기 어댑터가 상기 인쇄장치에 송신하게 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데이터를 인쇄장치에 송신하기 전에, 인쇄하고 싶은 화상 데이터 모두를 상기 화상공급장치가 상기 어댑터에게 전송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인쇄처리의 실행 중에 인쇄가 불가능한 조건에 상기 인쇄장치가 들어간 후 상기 인쇄장치를 복원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로부터의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동작을 재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인쇄장치의 인쇄 기능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인쇄 기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의 인쇄 사양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17. 화상공급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장치에 출력하는 어댑터로서,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1 통신수단과,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 다른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인쇄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수단과,
    상기 제1통신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쇄장치에서 인쇄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제2통신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인쇄장치가 상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인쇄 처리의 실행 중에 인쇄가 불가능한 조건에 들어간 후 상기 인쇄장치를 복원하는 경우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 동작을 재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의 인쇄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수단과,
    상기 인쇄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의 인쇄 사양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확립하는 수단과,
    상기 UI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0. 화상공급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장치에 출력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 다른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장치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단계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쇄장치에서 인쇄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장치가 상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인쇄 처리의 실행 중에 인쇄가 불가능한 조건에 들어간 후 상기 인쇄장치를 복원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의 인쇄 기능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기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의 인쇄 사양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23. 화상공급장치가 보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를 경유시켜서 프린터에 출력해서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상기 어댑터는,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프린터와 통신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2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인쇄 시스템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인터페이스에 의해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한 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2동작 모드와,
    상기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동작 모드를 바꾸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 화상 포맷 종별, 전송 시간 및 부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1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제2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은, 유저의 선택 조작에 근거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신호 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무선통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26. 화상 데이터를 어댑터를 경유시켜서 프린터에 출력하는 화상공급장치로서,
    상기 어댑터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어댑터에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어댑터로부터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시키는 제1동작 모드와,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어댑터에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시키는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 화상 포맷 종별, 전송 시간 및 부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1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제2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은, 유저의 선택 조작에 근거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
  28. 화상공급장치가 보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중계해서 프린터에 출력해서 인쇄시키는 어댑터로서,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프린터와 통신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2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인터페이스를 거쳐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인터페이스를 거쳐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한 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동작 모드를 바꾸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 화상 포맷 종별, 전송 시간 및 부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1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제2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은, 유저의 선택 조작에 근거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신호 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무선통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1. 화상공급장치가 보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중계해서 프린터에 출력해서 인쇄시키는 어댑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1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프린터와 통신하는 제1통신 단계와,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2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통신하는 제2통신 단계와,
    상기 제2통신 단계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하기 전에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통신 단계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한 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프린터에 인쇄 잡을 발행하는 제2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상기 선택 단계에서의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동작 모드와 상기 제2동작 모드를 바꾸는 전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에서는,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 화상 포맷 종별, 전송 시간 및 부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1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제2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제어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에서는, 유저의 선택 조작에 근거해서 상기 제1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제2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제어 방법.
KR1020077019525A 2005-01-25 2006-01-23 어댑터, 화상공급장치 및 인쇄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KR100927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7193 2005-01-25
JP2005017193A JP4367941B2 (ja) 2005-01-25 2005-01-25 中継装置、画像供給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PCT/JP2006/301371 WO2006080468A1 (en) 2005-01-25 2006-01-23 Adaptor, image supply device, prin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663A KR20070099663A (ko) 2007-10-09
KR100927839B1 true KR100927839B1 (ko) 2009-11-23

Family

ID=3674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525A KR100927839B1 (ko) 2005-01-25 2006-01-23 어댑터, 화상공급장치 및 인쇄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85413B2 (ko)
EP (1) EP1844389A4 (ko)
JP (1) JP4367941B2 (ko)
KR (1) KR100927839B1 (ko)
CN (1) CN101107588B (ko)
WO (1) WO2006080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1288B2 (en) * 2002-07-05 2009-07-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0754207B1 (ko) * 2006-02-15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의 접근에 따라 자동으로 응용을 실행하는방법 및 장치
JP2008238563A (ja) * 2007-03-27 2008-10-09 Oki Data Corp 印刷装置
JP4367664B2 (ja) * 2007-05-30 2009-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変換装置、および変換装置の制御方法
WO2009026747A1 (en) * 2007-08-31 2009-03-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over multiple networks
JP2009181154A (ja) * 2008-01-29 2009-08-13 Brother Ind Ltd 印刷システム
JP5023005B2 (ja) 2008-06-30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16019A1 (en) * 2008-07-17 2010-01-21 Harris Scott C Communication and Operation Using Wireless Peripherals
JP5039681B2 (ja) * 2008-10-29 2012-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その通信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26294A (ja) * 2009-03-23 2010-10-07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端末
EP2259199A1 (en) * 2009-05-22 2010-12-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data convers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data conversion programm
JP5506245B2 (ja) * 2009-05-28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259176B1 (en) 2009-06-03 2016-09-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abel printer
JP5391910B2 (ja) * 2009-06-03 2014-0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Usbホスト機能付き印刷装置
US20110026939A1 (en) * 2009-07-29 2011-02-03 Chung-Ping Chi Infrared-receiving device with expanded module and receiving method for the same
JP2011079162A (ja) * 2009-10-05 2011-04-21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66756B2 (ja) * 2009-10-19 2013-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614065B2 (ja) * 2010-03-17 2014-10-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警告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76697B2 (ja) * 2010-04-14 2014-08-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サービス利用端末、サービス提供端末、サービス利用端末の制御方法、サービス提供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CN101913296B (zh) * 2010-07-21 2014-10-08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系统及其控制方法、信息记录器
JP2012038076A (ja) * 2010-08-06 2012-02-2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ジョブ処理システム、ジョブ送信経路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106375627A (zh) * 2010-10-28 2017-02-01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输入设备数据下载方法
JP5909895B2 (ja) * 2011-07-01 2016-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5825887B2 (ja) * 2011-07-05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54544B2 (ja) * 2011-10-12 2014-03-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354837B2 (en) 2012-07-06 2016-05-31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host device to a peripheral device in order to increase consumption of consumable products by the peripheral device
JP6132588B2 (ja) 2013-02-22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271843B2 (ja) * 2013-02-22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407469B2 (en) * 2013-03-14 2016-08-02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Driving data of multiple protocols through a single set of pins
JP6324188B2 (ja) 2014-04-23 2018-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2015215664A (ja) * 2014-05-08 2015-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6303893B2 (ja) * 2014-07-25 2018-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R3025329A1 (fr) * 2014-08-28 2016-03-04 Prynt Coque pour systeme de telecommunication portable
US10073664B2 (en) 2016-06-20 2018-09-11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print device status information using a light indicator feedback mechanism
US20170366689A1 (en) * 2016-06-20 2017-12-21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multifunction device status information using light projection on a multifunction device
JP6874285B2 (ja) * 2016-06-22 2021-05-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10572196B2 (en) * 2016-08-01 2020-0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connection printing
JP7114864B2 (ja) * 2017-08-31 2022-08-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7010118B2 (ja) * 2018-04-05 2022-02-1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中継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9209320A1 (en) * 2018-04-27 2019-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s
WO2020072027A1 (en) * 2018-10-01 2020-04-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ght guides
CN109816967A (zh) * 2019-03-29 2019-05-28 段石龙 一种集无线数据传输与控制一体的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691A (ko) * 1997-06-06 1999-01-25 가시오 가즈오 화상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KR20010030100A (ko) * 1999-08-19 2001-04-16 이데이 노부유끼 인쇄 제어 장치, 프린터 장치 및 화상 인쇄 시스템
KR20010113738A (ko) * 2000-01-12 2001-12-28 구사마 사부로 휴대단말 및 데이터 출력제어 시스템
JP2005011246A (ja) * 2003-06-20 2005-01-13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952A (ja) 1995-04-19 1996-11-05 Canon Inc 画像通信装置
JPH09305342A (ja) 1996-05-17 1997-11-28 Canon Inc 通信アダプ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3735968B2 (ja) 1996-10-18 2006-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ダイレクトプリントアダプタ
US6041165A (en) * 1997-03-12 2000-03-21 Minolt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n image at a plurality of resolutions
JPH10309827A (ja) 1997-03-12 1998-11-24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184649A (ja) 1997-07-25 1999-07-09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方法及びプリンタ
JP3265573B2 (ja) * 1998-04-10 2002-03-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
US6357663B1 (en) * 1998-07-30 2002-03-19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imited Fingerprint identifying PC card
JP2000048177A (ja) 1998-07-30 2000-02-18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指紋スキャナ付きカード
JP3685110B2 (ja) 2000-08-31 2005-08-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ファイル転送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28655B2 (ja) * 2000-09-11 2005-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リンタ/スキャナシステム
WO2002042896A1 (en) * 2000-11-20 2002-05-30 Flexiworld Technologies, Inc. tOBILE AND PERVASIVE OUTPUT COMPONENTS
US20030003436A1 (en) * 2001-02-05 2003-01-02 Willson C. Grant Use of mesoscale self-assembly and recognition to effect delivery of sensing reagent for arrayed sensors
US6922725B2 (en) * 2001-09-07 2005-07-2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service requests originating from a mobile computing device
CN1241106C (zh) * 2001-10-09 2006-02-08 佳能株式会社 打印装置及其控制方法
JP4323748B2 (ja) * 2002-02-21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3333579A (ja) 2002-03-06 2003-11-21 Toshiba Corp データ受信再生装置及び方法
US7561288B2 (en) * 2002-07-05 2009-07-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4136817B2 (ja) * 2002-08-05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プリンタ
JP4307167B2 (ja) * 2002-08-05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プリンタ
JP4250408B2 (ja) * 2002-11-2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4343714B2 (ja) * 2003-01-31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4497941B2 (ja) * 2003-01-31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7289141B2 (en) * 2003-01-31 2007-10-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upply device,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272407B2 (en) * 2003-02-18 2007-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on wireless mobile device
JP4455073B2 (ja) 2003-02-1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227449B2 (ja) * 2003-04-15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通信機器の通信方法
JP4227464B2 (ja) * 2003-06-04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と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US20050052686A1 (en) * 2003-08-20 2005-03-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outputting system
KR100534571B1 (ko) * 2003-12-16 200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슬라이드 부시
JP4532917B2 (ja) 2004-01-30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20050275875A1 (en) * 2004-05-27 2005-1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inter-side print queue priority self-monitoring
JP4726239B2 (ja) * 2004-08-25 2011-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262186B2 (ja) * 2004-10-21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4677270B2 (ja) * 2005-04-08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JP4683642B2 (ja) * 2006-02-20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画像印刷装置及びそれらからなる画像印刷システム
JP4908967B2 (ja) * 2006-08-10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及び転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691A (ko) * 1997-06-06 1999-01-25 가시오 가즈오 화상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KR20010030100A (ko) * 1999-08-19 2001-04-16 이데이 노부유끼 인쇄 제어 장치, 프린터 장치 및 화상 인쇄 시스템
KR20010113738A (ko) * 2000-01-12 2001-12-28 구사마 사부로 휴대단말 및 데이터 출력제어 시스템
JP2005011246A (ja) * 2003-06-20 2005-01-13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663A (ko) 2007-10-09
CN101107588A (zh) 2008-01-16
EP1844389A4 (en) 2008-11-12
JP2006209235A (ja) 2006-08-10
CN101107588B (zh) 2012-09-26
EP1844389A1 (en) 2007-10-17
JP4367941B2 (ja) 2009-11-18
US8085413B2 (en) 2011-12-27
US20090002730A1 (en) 2009-01-01
WO2006080468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39B1 (ko) 어댑터, 화상공급장치 및 인쇄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JP4402014B2 (ja) 中継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663209B1 (ko)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US7852503B2 (en) Digital camera and printer
JP4343714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2004013349A (ja) 撮像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EP16126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images
JP4764204B2 (ja) 画像供給装置と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100555282B1 (ko) 기록 장치,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667135B2 (ja) 中継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6209169A (ja) 中継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US20060098938A1 (en) Image supply device,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753065B1 (ko) 화상공급 디바이스, 기록장치,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09170A (ja) 中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印刷システム
JP3619235B2 (ja) 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デバイス
JP4522305B2 (ja) 中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67902B2 (ja) 記録システム及び画像供給デバイスと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