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236B1 - 주행차량 - Google Patents

주행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236B1
KR100923236B1 KR1020070121015A KR20070121015A KR100923236B1 KR 100923236 B1 KR100923236 B1 KR 100923236B1 KR 1020070121015 A KR1020070121015 A KR 1020070121015A KR 20070121015 A KR20070121015 A KR 20070121015A KR 100923236 B1 KR100923236 B1 KR 10092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ift lever
hydrostatic
shif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144A (ko
Inventor
히토시 노무라
타케시 오오우치
마사노리 세이케
히카루 오사노
나오키 홋타
히로시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브레이크 페달과 변속레버와의 기계적 연동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브레이크 제동조작과 변속장치의 동작을 정밀도 좋게 연동시킬 수 있는 주행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차량의 주행속도를 변속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설치하고, 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회동축(4a)에, 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변경하여 주행속도를 바꾸는 변속 조작 암(43)의 중간부를 설치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영으로 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변속 조작하는 변속레버(40)를 설치하고, 변속 조작 암(43)에 연결하는 변속 로드(44)와, 상기 변속 로드(44)의 타단부에 제 1 부착편(47a)을 통하여 연결하는 회동자재인 원통체(45)와, 상기 원통체(45)의 타단부에 고착한 제 2 부착편(47b)과, 상기 제 2 부착편(47b)에 연결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48)를 설치하고,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48)를 변속 레버(40)에 연결함으로써, 변속 레버(40)의 조작을 변속 조작 암(43)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영으로 하여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페달(41)을 설치하고, 브레이크페달 암(41a)의 단부에 제 1 로드(61)를 통하여 연결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과,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의 일단부에 연결하여 포지션 롤러(65)가 감입하는 복수의 원호구(62c)를 갖추는 변속 레버 고정 캠(62)과, 상기 변속 레버 고정 캠(62)에 연결하는 제 2 로드(64)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로드(64)를 변속 조작 암(43)에 연결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41)을 밟으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을 통하여 변속 레버 고정 캠(62)을 회동하여 변속 레버(40)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회동축(4a)을 기점으로 하여 변속 조작 암(43)의 한 측에 변속 로드(44)를 연결하는 동시에, 다른 측에 제 2 로드(64)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이다.

Description

주행차량{Running vehicle}
본 발명은, 각종 묘식장치를 장착한 승용형 이앙기·승용형 야채 이식기·승용형 골풀 이식기 등에 이용되는 트랙터 등의 주행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변속레버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는 기계적 연동기구를 갖춘 승용형 묘식기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특개 2003-333907호 공보
특허 문헌 1 기재의 승용형 이앙기의 브레이크 페달과 변속레버와의 상기 기계적 연동기구는, 좁은 공간에 복잡한 부품이 담겨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브레이크 페달과 변속레버와의 기계적 연동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브레이크 제동조작과 변속장치의 동작을 정밀도 좋게 연동시킬 수 있는 주행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의 해결수단에 의하여 해결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주행차량의 주행속도를 변속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설치하고, 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회동축(4a)에, 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변경하여 주행속도를 바꾸는 변속 조작 암(43)의 중간부를 설치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영으로 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변속 조작하는 변속레버(40)를 설치하고, 변속 조작 암(43)에 연결하는 변속 로드(44)와, 상기 변속 로드(44)의 타단부에 제 1 부착편(47a)을 통하여 연결하는 회동자재인 원통체(45)와, 상기 원통체(45)의 타단부에 고착한 제 2 부착편(47b)과, 상기 제 2 부착편(47b)에 연결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48)를 설치하고,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48)를 변속 레버(40)에 연결함으로써, 변속 레버(40)의 조작을 변속 조작 암(43)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영으로 하여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페달(41)을 설치하고, 브레이크페달 암(41a)의 단부에 제 1 로드(61)를 통하여 연결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과,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의 일단부에 연결하여 포지션 롤러(65)가 감입하는 복수의 원호구(62c)를 갖추는 변속 레버 고정 캠(62)과, 상기 변속 레버 고정 캠(62)에 연결하는 제 2 로드(64)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로드(64)를 변속 조작 암(43)에 연결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41)을 밟으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을 통하여 변속 레버 고정 캠(62)을 회동하여 변속 레버(40)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회동축(4a)을 기점으로 하여 변속 조작 암(43)의 한 측에 변속 로드(44)를 연결하는 동시에, 다른 측에 제 2 로드(64)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회동축(4a)을 기점으로 하여 변속 조작 암(43)의 한 측에 변속 로드(44)를 연결하는 동시에, 다른 측에 제 2 로드(64)를 연결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변속레버(40)와 브레이크페달(41)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변속 조작 암(43)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변속레버(40)를 중립 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을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종래 기술과 같은 변속레버를 중립 위치로 복귀하는 기계적 연결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소한 연결 구성으로 변속 조작 암(43)으로의 전달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변속 레버 고정 캠(62)과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은 서로 근방에 배치되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에 가깝게 브레이크페달(41)로 확실하게 중립 복귀가 가능해지며, 브레이크페달(41)에 의해 정밀도 좋게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영으로 하여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주행차량이 적용되는 8조 이식 승용형 이앙기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 도 2에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 도 3에는 승용형 이앙기의 동력 전달기구도를 각각 나타낸다. 주행차량(1)은, 그 뒷부분에 승강용 링크 장치(2)에서 묘식장치의 일종인 모내기 장치(3)를 장착하고, 구동륜인 좌우 각 한 쌍의 전륜(6, 6) 및 후륜(7, 7)을 가지는 4륜 구동차량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행차량(1)의 전진 방향으로 향하여 좌, 우방향을 각각 좌, 우라고 하고, 주행차량(1)의 전진 방향을 전,후진방향을 후라고 한다.
좌우 메인프레임(10, 10)의 앞부분에 미션 케이스(11)가 볼트로 고정되며, 좌우 메인프레임(10, 10)상에는 수냉식의 엔진(12)이 탑재되어 있고, 이 미션 케이스(11)의 후부 표면에 유압 펌프(13)가 일체로 맞붙여지며, 또 미션 케이스(11)의 앞부분에서 스티어링 포스트(14)가 위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포스트(14)의 상단부에 스티어링 핸들(16)과 조작 패널(17)이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상부에는 조종용의 플로어로 되는 합성수지에 의해 스텝이 일체로 형성된 기체 커버(19)가 장착되며, 엔진(12)의 위쪽부에 조종 석(20)이 설치되어 있다(조종석(20)은, 기체 커버(19) 후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륜(6, 6)은, 미션 케이스(11)의 좌우 측 쪽으로 변향 가능하게 설치한 전륜 지지 케이스(22, 22)에 축지(軸支) 되어 있다. 또, 후륜(7, 7)은, 롤링 지레(23)의 좌우 양단부에 일체로 부착한 후륜 지지 케이스(24, 24)에 축지(軸支)되어 있다. 롤링 지레(23)는 좌우 메인프레임(10, 10)의 후단부를 연결한 횡프레임(10a)에 돌출하여 설치된 롤링축(25)에서 진행방향과 수직인 면내에서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좌우 메인프레임(10, 10)의 앞부분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평면으로 보아 ⊃형의 앞부분 연결 프레임(10b)의 하부가 용접 고정되며, 그 앞부분 연결 프레임(10b)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늘어나는 전횡(前橫)파이프 프레임(10c)이 용접 고정되며, 또한, 그 전횡파이프 프레임(10c)에 위쪽으로 향하여 L자형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10d…)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10d…)의 상부 좌우에 2개씩 설치된 커버 지지 파이프(10e…)의 앞부분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지지 파이프(10e…)의 각 후부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후횡(後橫)파이프 프레임(10f)에서 일체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후횡파이프 프레임(10f)은, 좌우 메인프레임(10, 10)의 후단부에 용접된 승강용 링크 장치(2)의 앞부분을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하는 좌우 세로 프레임(10g, 10g)의 상부에서(보다) 전방으로 향하여 늘어나는 지지 프레임(10h)의 전단(前端)에 용접한 횡각 파이프(10i)에 연결재(10j, 10j)를 통하여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 커버(19)의 후반부는, 상기의 커버 지지 파이프(10e…) 및 후횡파이프 프레임(10f)상에 재치되어 지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커버 지지 파이프(10e…) 중 오른쪽 내측에 설치한 커버 지지 파이프(10e)에는, 라디에이터(radiator) 고정 암(10k, 10k)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이 라디에이터 고정 암(10k, 10k)에 엔진(12)의 라디에이터(12a)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즉, 엔진(12)은 좌우 메인프레임(10, 10)상에 탑재되며, 라디에이터(12a)는 커버 지지 파이프(10e)에 고정되고, 양자는 별도의 부재에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12a)는 엔진(12)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엔진(12)의 진동을 직접 받지 않기 때문에 파손하는 것이 적고, 게다가, 엔진(12) 측 쪽으로 기체 커버(19)를 지지하는 부재인 커버 지지 파이프(10e)에서 지지할 수 있고, 기체 구성이 간결한 것으로 되며, 경량으로 컴팩트한 이앙기를 얻을 수 있다.
엔진(12)의 회전 이동력은, 제 1의 벨트(31)(도 3)를 통하여 유압 펌프(13)의 구동축인 카운터축(32)에 전달되며, 또한 이 카운터축(32)으로부터 제 2의 벨트(33)를 통하여 변속장치가 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입력축(35)에 전달되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축(36)으로부터 벨트를 통하여 미션 입력축(34)에 전달된다.
또한, 미션 입력축(34)상에는, 메인 클러치(38)가 설치되어 있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구동력은 메인 클러치(38)를 통하여 미션 입력축(34)에 전동 된다.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12a)와 좌우 반대측의 엔진(12) 측 쪽에 전동계가 배 치되어 있고, 즉, 엔진(12)의 좌우 한 측에는 라디에이터(12a)를 배치하고, 엔진(12)의 좌우 다른 측에는 전동계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체의 좌우 밸런스가 좋고, 게다가 기체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어 주행 성능이 뛰어난 이앙기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는 변속레버(40)와 좌우 차바퀴의 제동조작도구가 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페달(41)과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후술하는 변속 조작 암(43)의 회동 지점으로 되는 트러니언(trunnion)축(4a)과의 연계 기구를 주행차량(1)의 위쪽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속레버(40)는 조종석(20)의 좌측에 배치하고, 조종석(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사륜용의 브레이크 페달(41)을 배치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조종석(20)의 전방(前方)에 배치하고 있다.
또, 회전축(41b)을 회동 지점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 암(41a)의 단부에 제 1 로드(61)의 일단부가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하고, 이 제 1 로드(61)의 타단부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의 중간부에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의 일단부가 변속레버 고정 캠(62)에 연결하고 있고, 또한 변속레버 고정 캠(62)이 제 2 로드(64)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있다(자세한 것은 도 5c 참조).
상기 제 2 로드(64)의 타단부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트러니언축(4a)을 회동 축으로 하는 변속 조작 암(43)의 일단부가 연결하고 있다. 트러니언축(4a)을 회동 축으로 하는 변속 조작 암(43)은 트러니언축(4a)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지만, 상기 제 2 로드(64)와의 연결부의 반대측의 변속 조작 암(43)의 단부에도 회동 자유자재로 변속 로드(44)의 일단부가 연결하고 있고, 이 변속 로드(44)의 타단부는 차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기체에 장착되며, 축방향으로 회동 자재인 원통체(45)의 일단부에 제 1 부착편(47a)을 통하여 연결하고 있다. 상기 원통체(45)의 타단부에 고착한 제 2 부착편(47b)을 설치하고, 이 제 2부착편(47b)에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48)는 변속레버(40)의 기초부에서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변속레버(40)와 브레이크 페달(41)과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트러니언축(4a)과의 연계 기구로부터 브레이크 페달(41)을 밟으면 트러니언축(4a)을 회동 축으로 하는 변속 조작 암(43)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하여 트러니언축(4a)을 회동시키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트러니언축(4a)을 회동 축으로 하는 변속 조작 암(43)을 통하여 변속레버(40)도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마찬가지로, 변속레버(40)를 중립 측으로 조작하면 변속 조작 암(43)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하고 트러니언축(4a)을 회동시켜,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변속레버(40)와 브레이크 페달(41)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되어 있고, 변속 조작 암(43)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한 변속레버(40)와 브레이크 페달(41)로 변속 조작 암(43)이 조작되므로 변속레버(40)의 중립 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구성이 합리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종래 기술과 같 이 브레이크 페달(41)을 밟는 동작으로 직접적으로 변속레버(40)를 작동시켜 변속레버(40)를 중립 위치로 되돌리고, 이 변속레버(40)의 작동으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중립으로 되돌리는 기계적 연결 기구에 비교하여 구성이 간소하고, 또 변속레버(40)와 브레이크 페달(41)의 조작이 용이하며, 또한 심플한 연결 구성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동에 의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정지 연동의 정밀도가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좋아진다.
스티어링 핸들(16)을 소정 각도 이상 조작하면 선회내측후륜(7)의 사이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자동적으로 끊어지는 주행차량(1)의 선회 제어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선회시에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에 의해 인위적으로 선회 내측의 후륜(7)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또, 스티어링 핸들(16)의 조작이 소정 각도 이내라도,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에 의해 인위적으로 선회내측후륜(7)의 사이드 클러치를 떼거나 이 후륜(7)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상기 선회 제어의 구성으로서 좌우 후륜용의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을 조종석(20)의 우측으로 배치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페달(41)을 조종석(20)의 좌측에 배치하는 구성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우측면도, 도 5c는 좌측면도이다.
조종석(20)의 우측으로 병렬 배치되는 좌우 후륜용의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은 주차 로크 플레이트(51)로 연결 가능하고,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이 주차 로크 플레이트(51)로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주차시 등에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을 밟으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미션 케이스(11)내의 양쪽 모두의 후륜 브레이크를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의 페달면의 경사 각도와 주차 로크 플레이트(51)의 평면의 경사 각도의 차이를 소정의 각도(θ)로 하고 있으므로,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을 밟는 조작시에 주차 로크 플레이트(51)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주차 로크 플레이트(51)를 제외하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의 다른 한쪽의 페달면 만을 밟을 수 있고, 예를 들면, 브레이크 선회 조작시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의 각각의 보스부(50a)에는, 브레이크 작동 암(53)의 기초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고 이 브레이크 작동 암(53)의 선단에는 하부로 향하여 작동 로드(5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 로드(54)의 하단은, 그 하단부에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된 암(56)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암(56)은 미션 케이스(11)에 설치된 카운터축(55)에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암(56)의 타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연결 로드(57)가 설치되며, 연결 로드(57)의 후단은 도시하지 않은 미션 케이스(11) 내의 후륜 브레이크 장치를 조작하는 좌우 시프터를 조작하는 후륜의 브레이크 조작 암(58)에 연결되어 있다.
또,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석(20) 좌측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페달(41)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이 제 1의 로드(61)를 통하여 연동하고 있고, 또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은 변속레버 고정 캠(62)과도 연동하는 구성이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중립 캠(60)은 측면에서 보면 「へ」자 모양의 부재이며, 한 단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페달(41)에 연결하고 있는 제 1의 로드(61)의 다른 단이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의 「へ」자 모양의 정상부(頂部)에 연결하고 있다. 또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의 한 단이 기체에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하고, 다른 단에는 돌기부(60a)를 설치하고, 이 돌기부(60a)를 변속레버 고정 캠(62)에 설치된 원호형의 긴 구멍(62a) 내에 삽입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페달(41)을 화살표 A방향으로 밟으면, 제 1의 로드(61)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제 1의 로드(61)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이, 그 중립 캠용 회동축(60b)을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고, 조금 시간이 경과한 후에 변속레버 고정 캠(62)이 고정 캠용 회동축(62b)을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변속레버 고정 캠(62)의 화살표 D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변속레버 고정 캠(62)의 일단에 연결한 제 2의 로드(64)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변속레버(40)가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변속레버 고정 캠(62)과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은 서로 근방에 배치되며, 고정 캠용 회동축(62b)과 중립 캠용 회동축(60b)이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변속레버(40) 보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에 가까운 페달(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페달(41))로 확실히 중립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2의 로드(64)를 통하여 변속레버(40)에 연동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고정 캠(62)은 변속레버(40)의 조작을 단계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로 가세되어 있는 포지션 롤러(65)를 감아 넣는 복수의 원호구(62c)를 갖추고 있으므로, 변속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유단변속 할 수 있다.
상기 2 종류의 페달(41, 50)을 조종석(20)의 각각 양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밭의 조건에 따라 조종석(20) 우측의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50, 50)의 조작으로 브레이크 선회가 가능한 동시에, 조종석(20) 좌측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페달(41)의 조작으로 주행차량(1)의 긴급정지 및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다.
또, 변속레버(40)와 밭두둑 클러치 레버(67)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그러한 회동 지점을 동축(同軸)으로 하든지 또는 근처에 배치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속레버 가이드(40a)를 밭두둑 클러치 레버 가이드(67a)와 병렬형으로 동일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했으므로, 부품의 통합으로 코스트 다운이 도모되며, 설계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변속레버(40)와 조종석(20) 사이에 농작물의 포기와 포기 사이 레버(68)를 설치했다. 농작물의 포기와 포기 사이 레버(68)는 기체 진행 방향의 전후의 모종이 심는 간격을 조정하는 레버이며, 주행속도에 따라 묘식 도구의 회동 연동 속도를 바꾸는 것으로 농작물의 포기와 포기 사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농작물의 포기와 포기 사이 레버(68)도, 변속레버(40) 및 밭두둑 클러치 레버(67)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그 회동 지점을 양레버(40, 67)의 회동 지점과 같은 축으로 하든지 또는 근처로 하고, 변속레버(40)와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농작물의 포기와 포기 사이 레버 가이드(68a)를 변속레버 가이드(40a) 및 밭두둑 클러치 레버 가이드(67a)와 병렬형으로 동일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했으므로, 부품의 통합으로 코스트 다운이 도모되며, 설계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석(20)의 후방에 설치한 파라솔 설치대(70)은 정상부(頂部) 측이 앞쪽으로 굴곡 한 막대 모양체로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보급시에 방해가 되기 어렵고, 또 파라솔 설치대(70)의 뒤쪽에서 용이하게 작업자가 좌우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기체 커버(19)의 양쪽 겨드랑이에 설치한 확장 스텝(19a)의 전단부를 기체 전방 양사이드에 설치한 묘틀 프레임(71)의 경사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확장 스텝(19a)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 6에는 연료 탱크를 전측과 좌우에 설치하고, 전측 탱크(72a)를 고위(高位)에 배치하고, 좌우 탱크(72b)를 저위(低位)에 배치한 구성 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전측 탱크(72a)와 좌우 탱크(72b)를 되돌리고 파이프(72c)를 연결한다. 상기 연료 탱크의 구성으로, 기체의 빈 공간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내기 장치(3)의 묘재대(73)로의 주유구(74)를 모내기 장치(3)의 양단의 접이식 묘재대(73b)가 아니고, 모내기 장치(3)의 중앙부에 있는 고정 묘재대(73a)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묘재대의 주유구(74)가 마모등으로 파손하는 비율이 감소한다. 또한, 접이식 묘재대(73b)의 좌우 측 쪽에는 마커(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앙기는, 차속(車速) 센서의 차속에 근거하여 계산한 작업 면적의 표시부(17a)에서 표시할 수 있는 조작 패널(17)을 스티어링 포스트(14)의 내부에 갖추고 있지만, 차속 센서의 이상시에는, 작업자가 입력 버튼(17b)에서 미리 입력한 차속에 근거하여 작업시간부터 계산한 작업 면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차속 센서가 비정상이어도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행차량은, 각종 묘식장치를 장착한 승용형 이앙기·승용형 야채 이식기·승용형 골풀 이식기 등의 승용형 묘식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행차량이 적용되는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승용형 이앙기의 동력 전달 기구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승용형 이앙기의 변속레버와 브레이크 페달과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의 트러니언 축과의 연계 기구를 차량의 위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승용형 이앙기의 좌우 후륜용의 한 쌍의 브레이크 페달을 조종석의 우측에 배치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겸 사륜 브레이크용 페달을 조종석의 좌측에 배치하는 구성도이며,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우측면도, 도 5c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승용형 이앙기의 연료 탱크의 구성 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승용형 이앙기의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행차량 4.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4a. 트러니언축 40. 변속레버
41. 브레이크 페달 41a. 브레이크 페달 암
41b. 회전축 43. 변속 조작 암
44. 변속 로드 45. 원통체
47a. 제 1 부착편 47b. 제 2 부착편
48.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 60.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
61. 제 1의 로드 62. 변속레버 고정 캠
64. 제 2의 로드

Claims (1)

  1. 주행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량의 주행속도를 변속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를 설치하고,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회동축(4a)에,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4)의 출력을 변경하여 주행속도를 바꾸는 변속 조작 암(43)의 중간부를 설치하고,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영으로 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변속 조작하는 변속레버(40)를 설치하고,
    상기 변속 조작 암(43)에 연결하는 변속 로드(44)와, 상기 변속 로드(44)의 타단부에 제 1 부착편(47a)을 통하여 연결하는 회동자재인 원통체(45)와, 상기 원통체(45)의 타단부에 고착한 제 2 부착편(47b)과, 상기 제 2 부착편(47b)에 연결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48)를 설치하고,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로드(48)를 변속 레버(40)에 연결함으로써, 변속 레버(40)의 조작을 변속 조작 암(43)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4)의 출력을 영으로 하여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페달(41)을 설치하고,
    브레이크 페달 암(41a)의 단부에 제 1 로드(61)를 통하여 연결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과,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 중립 캠(60)의 일단부에 연결하여 포지션 롤러(65)가 감입하는 복수의 원호구(円弧溝)(62c)를 갖추는 변속 레버 고정 캠(62)과, 상기 변속 레버 고정 캠(62)에 연결하는 제 2 로드(64)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로드(64)를 변속조작 암(43)에 연결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41)을 밟으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중립 캠(60)을 통하여 변속 레버 고정 캠(62)을 회동하여 변속 레버(40)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회동축(4a)을 기점으로 하여 변속조작 암(43)의 한 측에 변속 로드(44)를 연결하는 동시에, 다른 측에 제 2 로드(64)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
KR1020070121015A 2006-12-26 2007-11-26 주행차량 KR100923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49554A JP4803383B2 (ja) 2006-12-26 2006-12-26 走行車両
JPJP-P-2006-00349554 2006-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144A KR20080060144A (ko) 2008-07-01
KR100923236B1 true KR100923236B1 (ko) 2009-10-27

Family

ID=3961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015A KR100923236B1 (ko) 2006-12-26 2007-11-26 주행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03383B2 (ko)
KR (1) KR100923236B1 (ko)
CN (1) CN101209710B (ko)
TW (1) TW2009018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907A (ja) * 2002-05-20 2003-11-25 Iseki & Co Ltd 走行車両の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551Y2 (ja) * 1990-11-30 1996-12-25 エスシーエムロードマシナリー株式会社 転圧機械の制動装置
JPH1038076A (ja) * 1996-07-26 1998-02-1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静油圧式変速装置における操作レバーとブレーキペダルの連動機構
KR100944613B1 (ko) * 1999-09-28 2010-02-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승용형 수전작업기
KR100375582B1 (ko) * 2000-04-17 2003-03-15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작업기
JP4442333B2 (ja) * 2004-06-22 2010-03-31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907A (ja) * 2002-05-20 2003-11-25 Iseki & Co Ltd 走行車両の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144A (ko) 2008-07-01
TW200901872A (en) 2009-01-16
CN101209710B (zh) 2011-06-01
JP4803383B2 (ja) 2011-10-26
TWI340626B (ko) 2011-04-21
CN101209710A (zh) 2008-07-02
JP2008155861A (ja)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1283B1 (en) Work vehicle
CN103318179A (zh) 行进式农业机械
JP2008245609A (ja) トラクタ
KR100923236B1 (ko) 주행차량
JP4423269B2 (ja) 作業車の連係構造
JP2004211776A (ja)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JP5693833B2 (ja) 乗用型農作業機
JP2003002228A (ja) トラクタ
JP3904303B2 (ja) 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JP7471099B2 (ja) 位置制御機構及び車両
JP5063569B2 (ja) 作業車両
JP2011006031A (ja) トラクタ
JP4826285B2 (ja) 作業車両における変速操作装置
JP5373520B2 (ja) 乗用型農作業機
JP4797382B2 (ja) 作業車両の変速調節装置
JP2004114964A (ja) 農用車両の変速操作装置
JP2008037317A (ja) 走行車両
JP2000326834A (ja) 乗用型田植機の車体構造
JP3666957B2 (ja) 移動農機における変速レバーの支持構造
JP2024049811A (ja) Hstレバーとブレーキペダルの連動機構
JP2001347961A (ja) ステアリング機構の伝動装置
JP4455957B2 (ja) トラクタ
JP4838192B2 (ja) 移動農機
JP2006240316A (ja) 作業車両の操向操作部
JP2007131090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