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359B1 -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359B1
KR100915359B1 KR1020060113821A KR20060113821A KR100915359B1 KR 100915359 B1 KR100915359 B1 KR 100915359B1 KR 1020060113821 A KR1020060113821 A KR 1020060113821A KR 20060113821 A KR20060113821 A KR 20060113821A KR 100915359 B1 KR100915359 B1 KR 10091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cassette
support
unit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082A (ko
Inventor
마사히코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3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04N1/00533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using slidably mounted components, e.g. reader in dra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기준면에 지지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상측에 배치된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앞쪽으로 빼낼 수 있는 급지 카세트와, 상기 화상 판독부를 상기 기준면에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안쪽을 수용 가능한 카세트용 공간을 구성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IMAGE FORMATION DEVICE AND SUPPORT BODY}
본 발명은 화상 형성부와 화상 판독부를 지지하는 지지체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상 형성 유닛의 상방(上方)에 화상 판독 유닛을 배치하고, 화상 형성 유닛의 하측에 급지 카세트가 배치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3392429호, 일본국 공개특허 2002-154705호 공보).
이러한 배치로 한 경우, 용지 사이즈에 따라서는(예를 들어 리걸(legal) 사이즈)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판독 유닛보다도 길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어, 급지 카세트의 배치가 문제로 된다. 특허문헌 1, 2에서는, 급지 카세트는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판독 유닛보다도 앞쪽으로 돌출되는 배치이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보다도 앞쪽으로부터 작업을 행하는 사용자와 화상 판독 유닛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고, 예를 들어 책상 위에 놓인 화상 형성 장치를 의자에 앉은 채 조작하는 경우에, 작업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와 화상 판독부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기준면에 지지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상측에 배치된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앞쪽으로 빼낼 수 있는 급지 카세트와, 상기 화상 판독부를 상기 기준면에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안쪽을 수용 가능한 카세트용 공간을 구성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판독부는 지지체에 의해 기준면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기준면은 바닥면일 수도 있고, 이동 가능하도록 캐스터(caster)가 부착된 재치대(載置臺)와 같은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지지체에 의해 급지 카세트의 안쪽을 수용 가능한 카세트용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도 카세트용 공간에 급지 카세트의 안쪽이 수용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의 앞쪽으로 급지 카세트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와 화상 판독부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화상 형성부의 배면(背面)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를 화상 형성부의 배면 측에 배치함으로써,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 측에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지지체가 서로 이간(離間)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支柱)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지주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지주를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화상 판독부를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지주의 전후 폭에 의해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지주 연결 부재가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면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주 연결 부재에 의해 급지 카세트의 상면이 덮이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카세트용 공간이 상기 급지 카세트의 안쪽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로 완전히 흡수할 수 없었던 급지 카세트의 길이를 개구로부터 배면 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앞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부 및 상기 화상 판독부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상기 지지체의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흡수한 공간의 상부를 이용하여 제어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제어부, 상기 화상 판독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화상 판독 제어부, 및 상기 화상 형성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가 외측으로부터 상기 순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순서로 배치함으로써, 액세스 빈도가 높은 것을 외측으로 할 수 있으며,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상 화상 판독 제어부는 노이즈가 많기 때문에, 구동 제어부와 화상 형성 제어부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따른 지지체는 화상 형성부의 상측에 배치된 화상 판독부를 기준면에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형성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앞쪽으로 빼낼 수 있는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흡수하도록 상기 급지 카세트의 안쪽을 수용 가능한 카세트용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지지체에 의하면,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도 카세트용 공간에 안쪽이 수용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의 앞쪽으로 급지 카세트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와 화상 판독부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의 지지체는 상기 화상 형성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를 화상 형성부의 배면 측에 배치함으로써,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화상 형성부의 배면 측에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의 지지체는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끼리를 연결하는 지주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의 지지체는 상기 한 쌍의 지주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지주를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화상 판독부를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지주의 전후 폭에 의해 급지 카세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의 지지체는 상기 지주 연결 부재가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면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주 연결 부재에 의해 급지 카세트의 상면이 덮이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의 지지체는 상기 카세트용 공간이 상기 급지 카세트의 후단부(後端部)가 통과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로 완전히 흡수할 수 없었던 급지 카세트의 길이를 개구로부터 배면 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화상 형성부의 앞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와 화상 판독부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12), 화상 판독부(14), 및 지지체(6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14)는 화상 형성부(12)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판(42)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판(42)은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판(42) 아래에는 상면에 원고를 탑재 배치하는 편평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원고대(44)가 구비되어 있다. 원고대(44)의 하방(下方)에는 원고대(44)에 탑재 배치된 원고를 판독하는 C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독 바(45)가 구비되어 있다. 판독 바(45)는 정면 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고, 주사 구동 기구(47)에 의해 화살표 W방향으로 이동하여 원고대(44)에 탑재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한다. 판독 바(45)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화상 형성부(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유닛(20), 현상 유닛(22),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 저압 전원부(28), 반송 유닛(29), 및 정착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은 화상 형성부(12), 화상 판독부(14) 등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를 포함하는 기판 등에 의해 구성되고, 내부에는 고압 전원부(26)도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12)는 단독으로 프린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부(12)를 구성하는 각부(各部)는 앞쪽(도 3의 우측)으로부터 반송 유닛(29), 현상 유닛(22), 광학 유닛(20),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의 순서로 배치되고, 광학 유닛(20) 및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의 하측에 저압 전원부(28)가 배치되며, 현상 유닛(22)의 상부에 정착부(38)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프레임(30)에 수용되어 있다.
현상 유닛(22)에는 롤러 형상의 상담지체(像擔持體)(23A), 상담지체(23A)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帶電)시키는 대전 롤러(23B), 상담지체(23A)에 형성된 잠상(潛像)에 토너를 선택적으로 전이(轉移)시켜 가시화하는 현상 롤러(23C), 토너상이 전사된 후의 상담지체(23A)에 마찰되고, 그 상담지체(23A)에 잔류(殘留)하는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23D)가 구비되어 있다. 현상 유닛(22)은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현상 유닛(22K, 22C, 22M, 22Y)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광학 유닛(20)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담지체(23A)로 화상광(畵像光)을 조사하고, 상담지체(23A)의 표면에 정전(靜電) 전위의 차에 의한 잠상을 형성한다.
상담지체(23A)는 표면(둘레면)에 감광체층을 가지며, 대전 롤러(23B)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학 유닛(20)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화상광)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노광되고, 그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감쇠(減衰)함으로써 정전 잠상(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대전 롤러(23B)는 상담지체(23A)에 맞닿아 이들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맞닿음부 부근의 미소 간극(間隙) 내에서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상담지체(23A)의 표면(둘레면)을 대략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현상 롤러(23C)는 상담지체(23A)와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현상 롤러(23C)와 상담지체(23A) 사이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현상 롤러(23C)와 상담지체(23A) 사이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계(電界)가 형성되며, 전하를 갖는 토너가 상담지체(23A) 상의 노광된 부분에 전이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반송 유닛(29)은 구동 롤러(29A)와 종동(從動) 롤러(29B)에 신장되어 걸쳐진 반송 벨트(29C)를 구비하고 있고, 반송 벨트(29C)의 내면 측에서 구동 롤러(29A)와 종동 롤러(29B)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전사 롤러(29D)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각 색에 대응하여 4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9C)에 의해, 기록 용지(P)는 화살표 X방향으로 반송된다.
전사 롤러(29D)는 반송 벨트(29C)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23A)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담지체(23A)와의 사이에 전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반송 벨트(29C)에 흡착 반송되어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상담지체(23A) 표면의 토너상(미정착상)을 전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현상 유닛(22)보다도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는 정착부(38)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부(38)는 서로의 둘레면이 대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壓接)(닙(nip))되는 가열 롤러(38A)와 가압 롤러(38B)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열 롤러(38A) 및 가압 롤러(38B)에 의해 기록 용지(P) 위에 전사된 미정착 토너상을 가열·가압함으로써, 기록 용지(P)에 토너상이 정착된다.
또한, 정착부(38)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는 배지 트레이(40) 위에 배출된다. 그리고, 기록 용지(P)로 토너상을 전사 종료 후, 상담지체(23A)의 표면(둘레면)은 클리닝 부재(23D)에 의해 클리닝 처리되고, 차회(次回)의 작상(作像) 처리에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30)의 하부에는 착탈(着脫) 가능한 급지 카세트(46)가 구비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46)는 전방(前方) 방향으로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적절히 기록 용지(P)를 급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46)의 선단부 근방에는 급지 카세트(46) 내로부터 기록 용지(P)를 1매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쌍(48)이 설치되어 있고, 급지 롤러쌍(48)으로부터 송출된 기록 용지(P)는 레지스트 롤러쌍(49)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반송 벨트(29C)의 흡착 반송면으로 송출되며, 각 색의 토너상의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이 급지 카세트(46)에는 도 4의 (a) 및 (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화상 형성부(12)보다도 짧고, 후단부가 프레임(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사이즈 W1의 것이나,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화상 형성부(12)보다도 길며, 후단부가 후술하는 지지체(60)에 수용되는 사이즈 W2의 것 등이 있다.
프레임(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 측의 4코너에 부착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부(32)는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고, 선단면에서 후술하는 지지체(60)에 부착된다.
지지체(60)는 한 쌍의 지주(62A, 62B), 상부 연결판(64), 하부 연결판(66),및 바닥판(68)을 구비하고 있다. 지주(62A, 62B)는 프레임(30)의 배면 측에 프레임(30)의 폭분(幅分) 간격을 두고 연직(鉛直)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지주(62A, 62B) 위에는 화상 판독부(14)가 탑재 배치된다. 지주(62A, 62B)에 의해 화상 판독부(14)가 바닥면(G)에 지지되어 있다. 지주(62A)와 지주(62B)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연결판(64), 하부 연결판(66), 및 바닥판(6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연결판(64)은 지주(62A, 62B)의 연직 방향 중앙부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연결판(64)에는 팬(70) 및 음성 출력용 구멍(72A)이 구성된 음성 출력부 구성판(72)이 부착되어 있다. 팬(70)의 흡기 방향에 대응하여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에는 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고, 팬(70)에 의해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 내에 외기(外氣)가 송풍된다.
하부 연결판(66)은 지주(62A, 62B)의 연직 방향 중앙부보다도 하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며, 이 단차에 의해 제 1 스텝(66A) 및 제 2 스텝(66B)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텝(66A)은 화상 형성부(12)가 부착되는 측에 배치되고, 제 2 스텝(66B)보다도 높은 스텝으로 되어 있다. 제 1 스텝(66A)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펑션(multifunction) 컨트롤러 유닛(74)이 배치되고, 제 2 스텝(66B)에는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이 배치되어 있다. 멀티펑션 컨트롤러 유닛(74)은 제 1 스텝(66A)과 제 2 스텝(66B) 사이의 연직 방향의 단차를 이용하여 배면 측으로부터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각 컨트롤러 유닛은 박스 형상의 섀시(chassis) 내에 기판 등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외부와의 접속용 커넥터(C)를 구비하고 있다.
멀티펑션 컨트롤러 유닛(74)은 복사 기능, FAX 기능, 스캐너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유닛이며, 일반적으로 CPU의 구동 주파수가 크다. 한편,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 및 프린터 기능을 실현하는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이 비교적 주파수가 작다. 그래서, 주파수가 크고 노이즈가 많은 멀티펑션 컨트롤러 유닛(74)을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과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 사이에 끼우는 배치로 한다. 즉, 각종 컨트롤러 유닛은 최외측으로부터 차례로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 멀티펑션 컨트롤러 유닛(74),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의 순서로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 및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의 기판 또는 섀시(판금(板金))가 전자파 실드(shield)로서 기능하여, 멀티펑션 컨트롤러 유닛(74)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노이즈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장치 내부에 침입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펑션 컨트롤러 유닛(74)을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과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 사이에 끼우는 배치로 했지만, 저압 전원부(28)와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 사이에 끼우는 배치로 할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70)에 의해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 내에 흡기된 에어는 통기구(通氣口)(H)를 통과하여 화살표 E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흘러 외부로 배기된다.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장치 동작 제어 유닛(24) 내가 공냉(空冷)된다.
지지체(60)의 바닥부에는 바닥판(68)이 배치되어 있다. 바닥판(68)과 하부 연결판(66) 사이에는 급지 카세트(46)의 후단부를 수용 가능한 카세트 공간(69)이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 공간(69)은 지주(62A, 62B), 하부 연결판(66), 및 바닥판(6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46)의 후단부는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46)의 사이즈가 W1의 경우에는 프레임(30)의 내부에 머무르고, W2의 경우에는 프레임(30)으로부터 돌출하여 카세트 공간(69)에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 급지 카세트(46)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카세트 공간(69)에 의해 흡수된다. 즉, 급지 카세트(46)의 후단은 지지체(60)에 의해 구성되는 안쪽 공간을 이용한 위치에 수용된다. 이 위치에서, 급지 카세트(46)의 상부는 하부 연결판(66)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46)의 후단부를 카세트 공간(69)에 수용함으로써, 급지 카세트(46)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도 화상 형성 장치(10)의 앞쪽으로 급지 카세트(46)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와 화상 판독부(14)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 연결판(66)에 의해 급지 카세트(46)의 상부가 덮이기 때문에, 용지 수납부로의 쓰레기나 먼지의 침입이 억제되어 용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체(60)의 제 2 스텝(66B)과 지주(62A)에 의해 구성되는 하측 코너부에는 콘센트를 삽입하기 위한 인렛(inlet)(79)이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62A, 62B)에는 프레임(30)의 부착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받침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32)와 받침부(63)에 의해 화상 판독부(14)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32)가 받침부(63)에 부착된 부분에는 보강 부재(78)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78)는 판 형상으로 되고, 프레임(30)과 지지체(60)에 걸쳐지도록 하여 양쪽에 부착되어 있다. 보강 부재(78)에 의해, 지지체(60)와 프레임(30)의 연결이 보강되어 있다.
또한, 보강 부재(78)는 반드시 4개소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하측의 2개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하측은 화상 판독부(14)로의 하중 등에 의해 강력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보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60)의 하측에는 제 1 지지부(80)가 설치되고, 프레임(30)의 하측에는 제 2 지지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지지부(80)는 지주(62A)와 지주(62B) 아래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제 2 지지부(82)는 프레임(30) 앞쪽에 2개, 뒤쪽(지지체(60) 측)에 2개 설치되어 있다(이하, 앞쪽의 2개를 「이간 지지부(82A)」, 뒤쪽의 2개를 「근접 지지부(82B)」라고 함). 바닥면(G)에 설치할 때에, 제 1 지지부(80) 및 이간 지지부(82A)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으로부터 근접 지지부(82B)가 돌출되어 덜컹거림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근접 지지부(82B)를 연질 부재에 의해 구성하거나, 스프링을 통하여 부착하거나 함으로써, 근접 지지부(82B)를 바닥면(G)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측으로 퇴피(退避)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형성부(12)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화상 형성부(12)를 바닥면(G)에 지지하기 위해 근접 지지부(82B) 및 이간 지지부(82A)의 양쪽이 필요하지만, 화상 형성부(12)를 화상 판독부(14)와 조합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체(60) 측에 제 1 지지부(8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그래서, 근접 지지부(82B)를 프레임(30)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구성(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프레임(30)으로부터 제거하는 등)으로 할 수도 있다.
프레임(30) 및 지지체(6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casing)(16)에 의해 덮여 있다. 케이싱(16)의 양측면 하부의 지지체(6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핸들로서의 제 1 오목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6)의 양측면 하부의 프레임(30)에 대응하는 앞쪽에는 핸들로서의 제 2 오목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60) 측과 프레임(30) 측의 양쪽에 핸들을 설치함으로써, 화상 판독부(14)의 하중을 제 1 오목부(18A)에서 받고, 화상 형성부(12)의 하중을 제 2 오목부(18B)에서 받을 수 있어, 밸런스 좋게 화상 형성 장치(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지지체(60)의 상부로부터 수평 방향 앞쪽에는 수평 지지부(19)가 구성되어 있다. 수평 지지부(19)에 의해, 화상 판독부(14)가 안정적으로 지지체(60)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하면, 지지체(60)에 의해 구성된 카세트 공간(69)에 급지 카세트(46)의 후단부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46)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도 화상 형성 장치(10)의 앞쪽에 급지 카세트(46)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와 화상 판독부(14)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급지 카세트(46)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W1, W2의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급지 카세트(46)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W2보다도 긴 W3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60)의 배면 측으로부터 급지 카세트(46)의 후단부를 돌출시켜 수용한다. 이와 같이, 급지 카세트(46)를 수용함으로써, 전면(前面) 측에 급지 카세트(46)가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60)의 지주(62A, 62B)를 프레임(30)의 배면 측에 배치했지만, 프레임(30)의 측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76), 멀티펑션 컨트롤러 유닛(74)을 프레임(30) 내에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60)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연결판(64), 하부 연결판(66), 및 바닥판(68)을 포함하여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 부재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지주(62A, 62B)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부 연결판(64), 하부 연결판(66), 및 바닥판(68)에 의해 지주(62A, 62B)가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안정적으로 화상 판독부(14)를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와 화상 판독부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판독부와 화상 형성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4의 (a)는 본 실시예의 급지 카세트의 사이즈 W1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실시예의 급지 카세트의 사이즈 W2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의 지지체와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지지체와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지지체에 각종 제어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배면(背面)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팬(fan)에 의해 흡기된 에어의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는 본 실시예의 급지 카세트에서 사이즈 W1의 것과 카세트 공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본 실시예의 급지 카세트에서 사이즈 W2의 것과 카세트 공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급지 카세트와 카세트 공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부
14 : 화상 판독부 20 : 광학 유닛
22 : 현상 유닛 24 : 장치 동작 제어 유닛
26 : 고압 전원부 28 : 저압 전원부
29 : 반송 유닛 30 : 프레임
38 : 정착부 46 : 급지 카세트
60 : 지지체 62A, 62B : 지주(支柱)
74 : 멀티펑션(multifunction) 컨트롤러 유닛
76 : 프린터 컨트롤러 유닛 80 : 제 1 지지부
82 : 제 2 지지부

Claims (24)

  1.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프레임을 통하여 기준면에 설치되어 지지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상측에 배치된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앞쪽으로 빼낼 수 있는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기준면에 설치되어 상기 기준면에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의 배면(背面)측의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화상 판독부를 상기 기준면에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안쪽을 수용 가능한 카세트용 공간을 구성하는 지지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화상 형성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서로 이간(離間)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支柱) 및 상기 한 쌍의 지주끼리를 연결하는 지주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 끼리를 연결하는 지주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주는 상기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주는 상기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연결 부재는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면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연결 부재는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면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용 공간은 상기 급지 카세트의 안쪽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용 공간은 상기 급지 카세트의 안쪽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 및 상기 화상 판독부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상기 지지체의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 및 상기 화상 판독부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상기 지지체의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제어부, 상기 화상 판독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화상 판독 제어부, 및 상기 화상 형성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제어부, 상기 화상 판독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화상 판독 제어부, 및 상기 화상 형성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화상 형성부의 상측에 배치된 화상 판독부를 기준면에 지지하는 동시에, 화상 형성부를 상기 기준면에 지지하는 프레임의 배면측의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앞쪽으로 빼낼 수 있는 급지 카세트의 안쪽을 수용 가능한 카세트용 공간을 구성하는 지지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끼리를 연결하는 지주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끼리를 연결하는 지주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주는 상기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주는 상기 화상 형성부의 양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연결 부재는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면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연결 부재는 상기 카세트용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면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용 공간은 상기 급지 카세트의 후단부(後端部)가 통과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용 공간은 상기 급지 카세트의 후단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KR1020060113821A 2006-05-23 2006-11-17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 KR100915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42764A JP4973001B2 (ja) 2006-05-23 2006-05-23 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142764 2006-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082A KR20070113082A (ko) 2007-11-28
KR100915359B1 true KR100915359B1 (ko) 2009-09-03

Family

ID=3874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821A KR100915359B1 (ko) 2006-05-23 2006-11-17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710616B2 (ko)
JP (1) JP4973001B2 (ko)
KR (1) KR100915359B1 (ko)
CN (1) CN1005805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3001B2 (ja) * 2006-05-23 2012-07-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031347A (ja) * 2007-07-24 2009-02-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フレームの設計方法
JP2009086508A (ja) * 2007-10-02 2009-04-2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683039B2 (ja) * 2007-12-25 2011-05-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164612A (ja) * 2009-01-13 2010-07-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0840458B2 (en) 2016-05-25 2020-11-1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226A (ko) * 2001-01-19 2002-07-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판독 장치
KR20050019007A (ko) * 2003-08-08 2005-02-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429B2 (ja) 1991-06-18 2003-03-31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及びスキャナ・画像形成装置
JPH0873058A (ja) * 1994-09-05 1996-03-19 Canon Inc 給紙カセットのカバー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981230B2 (ja) * 2000-01-21 2007-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01512B2 (ja) * 2000-01-27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49811B2 (ja) * 2000-06-20 2004-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154705A (ja) 2000-11-20 2002-05-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138683A (ja) * 2002-10-15 2004-05-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332462B2 (ja) * 2004-04-19 2009-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22719A (ja) * 2005-07-14 2007-02-01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7424242B2 (en) * 2005-11-29 2008-09-09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printing device
JP4973001B2 (ja) * 2006-05-23 2012-07-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226A (ko) * 2001-01-19 2002-07-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판독 장치
KR20050019007A (ko) * 2003-08-08 2005-02-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73001B2 (ja) 2012-07-11
US7710616B2 (en) 2010-05-04
CN100580565C (zh) 2010-01-13
US7952773B2 (en) 2011-05-31
US20070273938A1 (en) 2007-11-29
CN101078895A (zh) 2007-11-28
KR20070113082A (ko) 2007-11-28
US20100172681A1 (en) 2010-07-08
JP2007316137A (ja)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590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915359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
US7303346B2 (en) Image-forming apparatus, frame structure used there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rame structure
JP5152652B2 (ja) 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388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onics container designed to permit an overall efficient structure
JP541361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96879A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25486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24952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6133614A (ja)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
JP2002166621A (ja) 画像処理装置
JP5663514B2 (ja) 画像形成装置
JP4325441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光学系調整方法及び光学系調整用治具
JP2005096347A (ja) 拡張ボックス及び画像形成装置
JP5088199B2 (ja) スキャナ支持台、スキャナ、スキャナ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83476B2 (ja) 筐体
JP2018054583A (ja) センサ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015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39673A (ja) 画像形成装置
JP5454093B2 (ja) 露光装置収容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1093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67464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637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986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637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