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226A - 화상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226A
KR20020062226A KR1020020003162A KR20020003162A KR20020062226A KR 20020062226 A KR20020062226 A KR 20020062226A KR 1020020003162 A KR1020020003162 A KR 1020020003162A KR 20020003162 A KR20020003162 A KR 20020003162A KR 20020062226 A KR20020062226 A KR 20020062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riginal
reading
carriage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152B1 (ko
Inventor
요꼬따마사히꼬
이시즈까하루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2Arrangements for positioning heads, e.g. with respect to other element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화상 판독 장치는 원본을 이송하기 위한 원본 캐리지와, 서로의 상대 이동으로 원본 화상을 판독하고 이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구조를 갖는 판독 소자와, 판독 소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상대 이동을 부여하도록 지지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과, 지지 부재에 대해 판독 소자의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치 결정부와, 이동 방향으로 판독 소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지지 부재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그 이동을 허용하는 동안 판독 소자를 지지하는 제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판독 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들에 이용되는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몇몇의 일반 복사기, 복사기 기능과 팩시밀리 기능을 갖는 복사기, 자동 문서 공급기(ADF)가 장착된 화상 스캐너 들에는 화상 판독 장치가 구비됨은 공지되어 있다. 전술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로써 이용된 화상 판독 장치에 대해, 2개의 상이한 부분, 즉 원본이 원본 배치 유리 압반 상에 고정 배치되고 광학 판독 시스템을 이동시킴으로써 주사되는 방법과 원본이 자동 문서 공급기(ADF) 들에 의해 이동되고 이동하는 원본이 고정 배치된 광학 판독 시스템에 의해 주사되는 방법으로 원본을 주사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가 제안된다.
도10에서, 이러한 화상 판독 장치에는 밀착형 화상 센서(CIS)(1), 즉 화상 판독 수단이 마련되며, 이는 화상 판독부의 유리(2) 아래에 배치된다. 작동시에, 원본(D1)은 유리(2) 상에 고정 배치되며, 제2 주사 방향으로 CIS(1)를 이동시킴으로써 판독되거나, 또는 원본(D2)이 제2 유리(2a) 상에서 활주되어 이때에 고정 배치된 CIS(1)에 의해 판독된다.
이 때에, 종래의 밀착형 화상 센서는 그 구조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1a에서, 밀착형 화상 센서는 광원으로서 LED(3)와, LED(3)에서 원본으로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 안내 부재(4)를 포함한다. LED(3)는 광 안내 부재(4)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에 고정된다. (도11a의 예의 경우에, 하나의 LED는 전방 단부에 부착된다.) LED(3)에서 나온 광은, 광 안내 부재(11)와 주위의 경계면에 의해 반복적으로 반사되면서, 광 안내 부재(4)를 통해 전진하며, 광 안내 부재(11)의 길이 방향 전체 범위로부터 출사된다.
도11b에서, 광 안내 부재(4)에서 출사된 광은 유리(2) 상의 고정 원본을 비추어, 이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광은 CCD 들과 같은 제1 광 검출기 배열체(6) 상에 셀포크(Cellfoc) 렌즈 배열체(5)를 통해 초점이 맞춰진다. 이들 화상 센서의 구조 부재는 프레임(7) 내에 배치된다.
종래의 밀착형 화상 센서의 다른 예는 복수개의 정렬된 LED로 구성되는, 광원으로서 한 쌍의 밀착형 배열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한 쌍의 LED 배열체는 셀포크 렌즈 배열체를 개재시키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전술된 선행 기술은 이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도12a에서, 화상 센서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7)에는 둥근 위치 결정 구멍(7a)과 긴 위치 결정 구멍(7b)이 마련된다. CIS(1)는 이러한 둥근 위치 결정 구멍(7a)과 긴 위치 결정 구멍(7b) 내에 캐리지(8)의 한 쌍의 보스(8a)를 끼움으로써 캐리지(8)(지지 부재)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된다.
비용과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캐리지(8)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캐리지(8)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도12b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즉 제1 주사 방향에 직각인 수직 방향으로 휘어질 것이다.
캐리지(8)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진다면, 보스(8a)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보스(8a) 각각의 축선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캐리지(8)가 전술된 상태에 있을 때 프레임(7)을 캐리지(8)에 부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면, 둥근 구멍(7a)과 긴 구멍(7b)은 캐리지(8)의 한 쌍의 보스(8a)와 정렬하지 않는다. 보스(8a)를 구멍(7a 또는 7b) 내에 강제함으로써 보스(8a)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캐리지(8)의 보스(8a)가 강제되지 않고 둥근 구멍(7a)과 긴 구멍(7b) 내에 끼워진 후에도, [프레임(7)이 광원을 포함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온도 변동으로 인해 캐리지(8)가 구부러져서 수지 재료로 형성된 캐리지(8)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지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캐리지(8)가 구부러져서 캐리지(8)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진다면, 보스(8a)는 둥근 구멍(7a) 또는 긴 구멍(7b)의 벽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둥근 구멍(7a) 또는 긴 구멍(7b)의 벽에 의해 그에 가해진 반작용힘에 의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둥근 구멍(7a)과 긴 구멍(7b)의 구조와 위치 설정은 보스(8a)가 실질적으로 이동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캐리지(8)가 구부러져서 캐리지(8)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질 때, 둥근 위치 결정 구멍(7a)과 대응하는 보스(8a)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하며, 이는 CIS(1)의 이동 범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CIS(1)의 이동 범위의 변화는화상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정밀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즉, 화상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정밀도의 수준은 캐리지(8)가 구부러짐으로써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의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열팽창이 발생하는 판독 부재와 그 지지 부재가 변형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화상 판독 장치에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정밀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장치의 정면에서 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가상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판독부의 확대 가상도.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판독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센서 유닛의 사시도로서, 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센서 유닛의 단면도로서, 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7a와 도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센서 유닛의 구조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7a는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7b는 프레임과 캐리지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센서 유닛의 개략 사시도로서, 그 구조 부재와, 프레임과 캐리지의 결합 후의 화상 센서 유닛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화상 센서 유닛의 개략 사시도로서, 그 구조 부재와, 프레임과 캐리지의 결합 후의 화상 센서 유닛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전형적인 종래의 화상 판독 장치의 개략도로서,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1a와 도11b는 전형적인 종래의 일반적인 화상 센서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12a와 도12b는 다른 전형적인 종래의 화상 센서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밀착형 화상 센서
7a, 7b, 15, 16 : 구멍
8 : 캐리지
8a, 18, 19 : 보스
10 : LED
11 : 광 안내 부재
12 : 셀포크 렌즈 배열체
14 : 프레임
17 : 위치 결정부
102 : ADF의 보유/가압판
103 : 화상 판독부
107 : 원본 배치 유리 압반
108 : 화상 센서 유닛
109 : 원본 배치 유리 압반
110 : LED 헤드 유닛
본 발명의 이들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고려하여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후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1)
도1 내지 도8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에 적용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정면에서 본 가상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복사기의 화상 판독부의 확대된 가상도이다.
먼저, 복사기의 일반적인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01은 복사기의 주조립체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02는 ADF(자동 문서 공급기)의 보유/가압판을 나타낸다. ADF는 내부에층들로 저장된 시트 형태인 복수개의 원본(D)을 하나씩 분리시키고, 원본(D) 각 시트를 이송한다. 도면 부호 103은 화상 판독 장치로서의 화상 판독부를 나타내고, 이는 화상 판독부의 원본 배치 유리 압반(platen) 상에서 시트 형태인 원본의 표면 또는 책 형태인 원본의 소정의 페이지의 표면을 판독하며, 도면 부호 104는 LED 배열을 이용한 전자 사진 인쇄 방법을 채용하는 기록 장치의 주조립체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05는 디스플레이, 한 세트의 입력키 들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106은 원본 공급 트레이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07은 원본 배치 유리 압반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108은 밀착형 화상 센서 유닛, 즉 주사 유닛인 판독 부재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09는 원본을 이동시킴으로써, 즉 화상 판독부를 이동시키지 않고 원본을 판독하는 데 이용되는 원본 배치 유리 압반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0은 LED 헤드 유닛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111은 화상 형성부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2는 시트 공급 카세트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3은 시트 전송부를 나타내며, 이는 판독 장치 주조립체(104)의 상부에 있으며, 복수개의 시트(P)의 기록 매체가 층들로 위치될 방식으로 전송부 내에 배출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14는 카트리지 커버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5는 ADF의 시트 분리부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6은 원본 배출 경로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7은 원본 회수 트레이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8은 복수개의 묶인 원본을 하향 유지하여 그들 중 하나를 판독하는 판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119는 화상 판독부(103)과 기록 장치 주조립체(104) 사이의 조인트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20는 복사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21은 원본 이송 경로이다. 도면 부호 122는 기록 매체의양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기록 매체가 전송되는 경로를 노출하는 커버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23는 기록 매체 전송 방향 전환부이다. 도면 부호 124는 기록 매체 정합부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25는 기록 장치 주조립체(104) 내에 배치되고 치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기록 매체 시트를 취급할 수 있는 시트 공급부를 나타낸다.
먼저, 책 형태인 원본의 일정한 페이지를 판독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ADF의 보유/가압판(102)은 장치의 후단부의 좌측 및 우측에 하나씩 위치된 (좌측은 도시되지 않음) 한 쌍의 힌지부(102a)에 의해 화상 판독부(103)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 보유/가압판(102)의 정면을 잡음으로써 (도2에서 양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보유/가압판(102)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104)로부터 떨어지게 회전될 수 있거나,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104) 상에서 그 반대로 회전될 수 있다. 힌지부(102a)에는 댐퍼, 캠, 스프링 들의 조합이 마련되어, ADF의 보유/가압판(102)은 소정 각도에서 (예를 들어 70도) 유지될 수 있어서, 원본이 원본 배치 유리 압반(107) 상에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화상 센서 유닛(108)은 원본과 동일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도록 원본을 판독하는 유닛이다. 더욱 명확하게는, 광원인 LED로부터의 광은 수지 재료 들로 형성된 광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며, 화상 형성 데이터가 얻어진 원본의 표면 상에 출사된다. 그 다음, 원본에 의해 반사된 광은 광전 변환 수단으로서 주 센서 요소 배열체 상에 초점 조정 수단인 셀포크 렌즈(상업명)에 의해 초점이 맞춰진다. 즉, 화상 형성 데이터가 원본으로부터 획득된다.
도4a와 도4b에서, 화상 센서 유닛(108)은 안내 샤프트(103c)를 따라 장치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는 구동 풀리(103b)와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조합에 의한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화상 센서 유닛(108)은 상자형 카트리지(103a)가 개재되어 안내 샤프트(103c)에 의해 지지되며, 스프링(103e)에 의해 발생된 상향 압력 하에서 유지된다. 화상 센서 유닛(108)과 원본 배치 유리 압반(107) 사이에는 한 쌍의 스페이서(108a)이 배치된다. 화상 센서 유닛(108)이 원본 배치 유리 압반(107)의 소정의 범위, 즉 판독 개시 위치(107a)에서 판독 종료 위치(107b)까지의 범위에 배치된 원본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 화상 센서 유닛(108)은 일정한 속도로 상기 전술된 소정의 범위를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트 편향 계단부인) 점프 계단부(109b) 는 원본 배치 유리 압반(107) 위에 상향 돌출하며, 그의 바닥 표면은 화이트 시트(109c)로 덮여서 화상 센서 유닛(108)이 점프 계단부(109b) 아래에 있을 때 화상 센서 유닛(108)의 명암이 조정된다. 화상 센서 유닛(108)을 이동시킴으로써 원본을 판독하는 경우에, 원본이 화상 센서 유닛(108)에 의해 주사될 때마다 점프 계단부(109b) 아래에서 이를 지나서 이동될 때 화상 센서 유닛(108)의 명암이 조정된다. 이러한 설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화상 센서 유닛(108)의 광원의 출력 변동 효과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원본 가압판(118)은 화이트 시트, 스폰지판 들로 구성된 층상 재료로 형성된다. 이는 원본 배치 유리 압반(107) 상의 원본이 공중으로 상승하거나 부유하는것을 방지한다. 원본 가압판(118)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118a, 118b)는 화상 센서 유닛(108)을 이동시킴으로써 원본을 판독할 때 화상 센서 유닛(108)의 판독 범위의 판독 개시 위치(107a)와 판독 종료 위치(107b)와 일치한다.
다음으로, 원본을 이동시킴으로써 원본을 판독하는 방법이 기재될 것이다.
ADF의 시트 분리부(115)는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픽업 롤러(115a)와, 분리 롤러(115b)와, 분리 롤러(115b)와 접촉하여 위치되고 분리 롤러(115b)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저지 롤러(115c) 들을 포함한다.
먼저, 시트 형태인 원본(D)은 복사될 화상이 상향을 향하도록 원본 공급 트레이(106)에 위치된다. 그 후, 픽업 롤러(115a)는 하향 가압되어, 원본(d)이 원본 공급 트레이(106)에서 내보내지고 분리 롤러(115b)와 저지 롤러(115c) 사이에 공급된다. 2개 이상의 원본이 동시에 원본 공급 트레이(106)에서 내보내지면, 이들은 저지 롤러(115c) 상에 가압 유지되는 분리 롤러(115b)에 의해 하나씩 분리된다. 그 후, 분리/이송 롤러(121a, 121b)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위에서 가압 유지되는 판독/이송 롤러(121c)에 의해, U턴 경로를 통해 원본 각각이 이송되어 원본 안내부(121d)에 의해 안내된다.
그 다음, 원본을 이동시킴으로써 원본을 판독하기 위해 유리 압반(109) 위로 원본(D)은 이송되며,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압력 하에서 유지되는 원본 가압판(121e)에 의해 유리 압반(109) 상에 평평하게 가압 유지되도록 더 이송된다. 원본을 이동시킴으로써 원본을 판독할 때, 화상 센서 유닛(108)은 유리 압반(109)의 판독 지점(109a)에서 유지되며, 원본(D)이 판독 지점(109a)을 지나 이동될 때 원본(D)의 표면에 담긴 화상의 화상 형성 데이터는 화상 센서 유닛(108)에 의해 판독된다.
원본(D)이 판독 지점(109a)를 지나 이송될 때, 이는 점프 계단부(109b)에 의해 ADF의 원본 보유/가압판(102)를 향해 편향된 후, 판독/이송 롤러(121f)가 스프링에 의해 위에서 가압 유지되는 판독/이송 롤러(121c)에 의해 더 이송된다.
그 후, 원본(D)은 스프링에 의해 배출 롤러(117a)에 대항하여 가압 유지된 배출 롤러(117b)에 의해 원본 회수 트레이(117c) 내에 배출된다. 배출 롤러(117b)의 상류측에서, 판독 완료 스탬프(121g)는 원본(D) 상에 판독 완료 마크를 찍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원본 공급 트레이(106)은 ADF의 원본 보유/가압판(102)에 부착되어 원본 보유/가압판(102)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한다, 원본 공급 트레이(106)는 원본(D)이 이송되는 방향에 직각 방향[원본(D)의 폭 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슬라이더(106a)와 끼워진다. 원본 공급 트레이(106) 내에 층상으로 배치된 시트 형태의 복수개의 원본(D)은 그의 길이 방향 에지에서 이러한 슬라이더(106a)에 의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원본 공급 트레이(106)에는 원본 길이 센서(106b)가 마련되며, 이는 원본 공급 트레이(106)의 실제 트레이부의 상향 표면 상에 있어, 트레이부 내에 배치된 원본(D)의 길이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ADF의 시트 분리부(115)에는 원본 폭 센서(115d)가 마련되며, 이는 원본(D)의 폭 방향으로 분배되어 원본(D)의 존재 유무뿐만 아니라 원본(D)의 폭도 검출될 수 있다. 원본(D)의 치수 및 방향은 원본 폭 센서(115d) 및 원본 길이 센서(106b)의 조합된 출력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원본 이송 경로(121)에는 원본 이송 센서(121h)와 원본 에지 센서(121i)가 마련된다. 원본 이송 센서(121h)는 원본(D)이 ADF의 분리부(115)에서 방출되었는가 여부와, 원본(D)의 후단 에지가 지나갔는가 여부를 검출한다. 원본 에지 센서(121i)는 원본(D)의 선단 및 후단 에지의 통로를 검출하고, 그의 출력은 판독 시기를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센서 유닛(108)의 구조는, 원본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 원본에 의해 반사된 광이 초점 조정 광학 시스템을 통해 센서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광이 원본 상에 출사되는 것이다.
도5는 이러한 실시예의 화상 센서 유닛(108)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화상 센서 유닛(108)은 광원으로서 발광 소자인 한 쌍의 LED(10)와, LED(10)에 의한 발광을 원본에 안내하는 한 쌍의 광 안내 부재(11)와, 초점 조정 광학 시스템으로서 셀포크 렌즈 배열체(12)와, 수광 소자로서의 센서(13)를 포함한다. 한 쌍의 광 안내 부재(11)는 셀포크 렌즈 배열체(12)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센서(13)는 셀포크 렌즈 배열체(12)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화상 센서의 구조 부재는 (상자형 쉘인) 프레임(14) 내에서 광원 유닛 요소로서 배치된다.
LED(10)는 광 안내 부재(11)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에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화상 센서 유닛(108)의 경우에, 2개의 LED(10)는 한 쌍의 광 안내 부재(11)에 고정되며, 하나의 LED(10)는 광 안내 부재(11) 중 하나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에 고정되며, 다른 LED(10)는 다른 광 안내 부재(11)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단부에 고정된다. 즉, 2개의 광 안내 부재(11)와 2개의 LED(10)는 도면에서 축선(C)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각 LED(10)로부터 나온 광은 광 안내 부재(11)를 통해 전진하며, 광 안내 부재(11)와 주위 간의 경계면에 의해 반복적으로 반사되면서, 광 안내 부재(11)의 전체 길이로부터 출사된다. 도6에서, 광 안내 부재(11)로부터 출사된 광은 원본 배치 유리 압반(107) 상에 책 형태의 원본을 비추어, 그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광은 셀포크 배열체(12)을 통해 센서(13) 상에 초점이 맞춰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 구조의 특징이 설명될 것이다. 도7a는 위에서 본 프레임(14)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7b는 지지 부재(캐리지, 103d)와 판독 부재의 프레임(14)이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8은 프레임과 캐리지의 결합 후의 프레임(14)과 캐리지(103d)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화상 센서 유닛(108)의 구조 부재가 마련된 프레임(14)에는 프레임(14)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에 위치된 한 쌍의 긴 구멍(15, 16)이 마련된다. 구멍(15, 16)은 제2 주사 방향에서 캐리지(103d)에 대해 프레임을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부분이다. 프레임(14)에는 제1 주사 방향에서 캐리지(103d)에 대해 프레임(14)을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부(17)가 또한 제공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구멍(15, 16) 사이에 대략 위치된다.
캐리지(103d)에는 한 쌍의 보스(18, 19)가 제공되며, 이는 캐리지(103d)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 상에 위치된다. 캐리지(103d)에는 보스(20)가 또한 제공되며, 이는 캐리지(103d)의 대략 중심에 위치된다. 긴 구멍(15, 16)과 위치 결정부(17)의 구조는, 보스(18, 19, 20)가 대응하는 긴 구멍(15, 16)과 위치 결정부(17)에 결합한 후, 프레임(14)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이 제공되는 동안, 보스(18, 19)에 의해 제2 주사 방향(단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며, 제2 주사 방향(단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이 제공되는 동안, 보스(20)에 의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는 구조이다. 즉, 프레임(14)은 캐리지(103d)에 유지되며, 보스(18, 19, 20)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으로만 [프레임(14)이 스프링(103e)의 상향 압력 하에서 유지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전술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중량과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지 재료로 형성된 캐리지(103d)가 길이 방향 단부에서 휘어지고, 이러한 휨이 캐리지(103d)의 길이 방향 (제1 주사 방향) 단부 상에 위치된 보스(18, 19)를 캐리지(103d)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할지라도, 보스(18, 19)가 하나씩 끼워지는 긴 구멍(15, 16)은 보스(18, 19)에게 캐리지(103d)의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일정한 정도의 이동을 제공한다. 즉, 긴 구멍(15, 16)은 보스(18, 19)가 캐리지(103d)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보스(18, 19)는 캐리지(103d)가 구부러져서 캐리지(103d)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짐으로써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주사 방향에서 캐리지(103d)에 대한 프레임(14)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17)가 길이 방향에서 캐리지(103d)의 대략 중심에 위치된 보스(20)에 의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된다. 따라서, 캐리지(103d)가 구부러져 캐리지(103d)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짐으로써 프레임(14) 또는 화상 센서 유닛(108)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에서 변위되는 양은 화상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정밀도의 수준을 향상시키도록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캐리지(103d)가 수직으로 구부러져 화상이 형성되는 품질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레임(14)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긴 구멍(15, 16)과 보스(18, 19)에 의해 제2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며, 제2 주사 방향(단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보스(20)에 의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프레임(14)은 스프링(103e)에 의해 유리 표면 상에 상향 가압 유지된다. 따라서, 캐리지(103d)가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더라도, 프레임(14) 또는 화상 센서 유닛(108)은 제1 주사 방향 (길이 방향) 또는 제2 주사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이 형성되는 품질 수준은 저하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2)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 부재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지며, 이들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위치 결정부(17)와 협력하여 프레임(14)이, 제2 주사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스(20)는 길이 방향에서 캐리지(103d)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된다. 비교하면,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캐리지(30)가 안내축(103c)을 따르며 매끄럽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베어링 부재(40)에는 보스(41)가 마련되며, 이는 프레임(14)이, 제2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위치 결정부(17)와 협력하여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의 화상 센서 유닛 구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화상 센서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14)에는 제2 주사 방향에는 캐리지(30)에 대해 프레임(1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2개의 긴 구멍(15, 16)이 마련되고, 제1 주사 방향에는 캐리지(30)에 대해 프레임(1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17)가 마련된다. 긴 구멍(15, 16)은 프레임(14)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에 하나씩 위치되며, 위치 결정부(17)는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에서 긴 구멍(15, 16) 사이에 위치된다.
캐리지(30)에는 한 쌍의 보스(31, 32)가 제공되며, 이들은 캐리지(30)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에 위치된다. 베어링 부재(40)에는 보스(41)이 제공되며, 이는 길이 방향에서 캐리지(30)의 대략 중심에 위치된다. 긴 구멍(15, 16)과 위치 결정부(17)의 구조는, 보스(31, 32, 41)가 대응하는 긴 구멍(15, 16)과 위치 결정부(17)에 결합한 후, 프레임(14)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보스(31, 32)에 의해 제2 주사 방향(단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며, 제2 주사 방향(단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보스(20)에 의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는 구조이다. 즉, 프레임(14)은 캐리지(103d)에 유지되며, 보스(31, 32, 41)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으로만 [프레임(14)이 스프링(103e)의 상향 압력 하에서 유지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전술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중량과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지 재료로 형성된 캐리지(30)가 길이 방향 단부에서 휘어지고, 이러한 휨이 캐리지(30)의 길이 방향 (제1 주사 방향) 단부 상에 위치된 보스(31, 32)를 캐리지(30)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할지라도, 보스(31, 32)가 하나씩 끼워지는 긴 구멍(15, 16)은 보스(31, 32)에게 캐리지(30)의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운동에 일정한 정도의 이동을 제공한다. 즉, 긴 구멍(15, 16)은 보스(31, 32)가 캐리지(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캐리지(30)가 구부러져 캐리지(30)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짐으로써 보스(31, 32)는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1 주사 방향에는 캐리지(30)에 대한 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17)가 베어링 부재(40) 상에 마련된 보스(41)에 의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안내축(103c)과 프레임(14) 사이에 개재된 위치 결정 관련 부품의 수는 제1 실시예보다 적어, 프레임(14), 즉 제1 주사 방향에서 캐리지(30)에 대한 화상 센서 유닛(108)의 위치가 고정되는 정밀도 수준을 향상시킨다.
또한, 보스(41)는 길이 방향에서 캐리지(30)의 대략 중심에 위치된다. 따라서, 캐리지(30)가 수직으로 구부러져 캐리지(30)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이 휘어짐으로써 프레임(14), 즉 화상 센서 유닛(108)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에서 변위되는 양은 최소화되어, 이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정밀도의 저하를 최소화한다. 즉, 본 발명은 캐리지(30)가 수직으로 구부러져 화상이 형성되는 품질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4)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긴 구멍(15, 16)과 보스(31, 32)에 의해 제2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며, 제2 주사 방향(단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을 제공하는 동안, 위치 결정부(17)와 보스(41)에 의해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프레임(14)은 스프링(103e)에 의해 유리 표면 상에 상향 가압 유지된다. 따라서, 캐리지(30)가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더라도, 프레임(14), 즉 화상 센서 유닛(108)은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 또는 제2 주사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이 형성되는 품질 수준은 저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정밀도의 높은 수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캐리지(30)가 수직으로 구부러져 화상이 형성되는 품질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약하면, 캐리지(103d 또는 30)가 수직으로 구부러져서 발생된 문제들은 이하 구조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프레임(14)에는 제1 주사 방향(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이 제공되는 동안, 제2 주사 방향으로캐리지(103d 또는 30)에 대해 프레임(1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2개의 긴 구멍이 마련되며, 프레임(14)에는 제2 주사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이 제공되는 동안, 제1 주사 방향에서는 캐리지(103d 또는 30)에 대해 프레임(1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마련되며, 위치 결정부는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에서 2개의 긴 구멍 사이에 위치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화상 센서의 구조 부재는 프레임(14) 내에 포함된다. 그러나, 광원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온도 변동이 발생되어 캐리지가 수직으로 구부러져서 따르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본 발명은 임의의 화상 센서 유닛에도 적용할 수 있고, 그 프레임은 광원과, 원본을 선형으로 조명하도록 제1 주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형 조명 수단 들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프레임에는 구멍이 제공되며, 캐리지에는 보스가 제공된다. 그러나, 보스와 구멍은 프레임과 캐리지 측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잇다.
본 발명이 여기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출원은 후속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 있더라도 구조 부재의 치수, 재료, 구조, 위치 관계 들에 대하여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할 것을 의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정밀도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원본을 이송하기 위한 원본 캐리지와,
    서로의 상대 이동으로 원본 화상을 판독하고 이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구조를 갖는 판독 소자와,
    상기 판독 소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상대 이동을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판독 소자의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치 결정부와,
    이동 방향으로 상기 판독 소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그 이동을 허용하는 동안 상기 판독 소자를 지지하는 제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부는 상기 판독 소자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부는 이동 방향으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판독 소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부는 보스와 이를 물고 있는 갈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독 소자 및 지지 부재는 상기 보스 및 상기 갈고리부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이들은 상기 판독 부재의 대향 단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는 보스와 판독 소자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상기 보스와 결합 가능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판독 소자와 지지 부재는 상기 보스와 긴 구멍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소자는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소자는 광원으로부터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 안내 부재와, 상기 판독 수단 상에 원본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는 이에 의해 판독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KR10-2002-0003162A 2001-01-19 2002-01-19 화상 판독 장치 KR100393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2440A JP4636699B2 (ja) 2001-01-19 2001-01-19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1-00012440 200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26A true KR20020062226A (ko) 2002-07-25
KR100393152B1 KR100393152B1 (ko) 2003-07-31

Family

ID=1887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162A KR100393152B1 (ko) 2001-01-19 2002-01-19 화상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88476B2 (ko)
EP (1) EP1227653B1 (ko)
JP (1) JP4636699B2 (ko)
KR (1) KR100393152B1 (ko)
CN (1) CN1297131C (ko)
DE (1) DE60228352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05B1 (ko) * 2005-12-16 2008-04-1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판독 장치
KR100915359B1 (ko) * 2006-05-23 2009-09-03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2983B2 (en) * 2001-08-22 2007-04-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TE361630T1 (de) 2004-04-02 2007-05-15 Agfa Gevaert Healthcare Gmbh Vorrichtung zum auslesen von in einer phosphorschicht gespeicherten röntgeninformation
JP2005341306A (ja) * 2004-05-27 2005-12-08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TWI239426B (en) * 2004-08-05 2005-09-11 Asia Tech Image Inc Image sensor
KR100636226B1 (ko) * 2005-03-09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독취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690751B2 (ja) * 2005-03-14 2011-06-01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ラー光源
JP4670539B2 (ja) * 2005-08-08 2011-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100728028B1 (ko) * 2006-01-09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렬 수단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CN100471224C (zh) * 2006-02-20 2009-03-18 佳能株式会社 图像读取设备
JP4750627B2 (ja) * 2006-06-09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JP5546845B2 (ja) * 2008-12-24 2014-07-09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US9294641B2 (en) * 2011-11-30 2016-03-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CN202931448U (zh) * 2012-10-11 2013-05-08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承载件及影像扫描装置
JP7243336B2 (ja) * 2019-03-18 2023-03-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259A (ja) * 1983-07-29 1985-02-15 Toshiba Corp 画像情報読取り装置
DE69116850T2 (de) * 1991-03-12 1996-11-21 Agfa Gevaert Nv Optisches Abtastgerät
JP3311414B2 (ja) * 1993-03-01 2002-08-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み取り装置
JP3364316B2 (ja) 1994-04-18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読取装置
US5610731A (en) * 1994-04-18 1997-03-11 Ricoh Company, Ltd. Image scanner having contact-type image sensor movable under automatic document feeder
JPH07327109A (ja) 1994-05-31 1995-12-12 Ricoh Co Ltd 読取装置
JPH1051698A (ja) * 1996-08-01 1998-02-20 Asahi Optical Co Ltd 走査型画像読み取り装置
JPH1155454A (ja) * 1997-07-31 1999-02-26 Canon Inc 画像読取り装置
JPH1168592A (ja) 1997-08-19 1999-03-09 Omron Corp ノイズ成分除去装置
JP3659817B2 (ja) * 1997-10-06 2005-06-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り装置
JP4011700B2 (ja) * 1997-12-03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ーユニット及びこのユニットを取り付けた画像読取装置
TW364709U (en) * 1998-02-07 1999-07-11 Umax Data Systems Inc Touch-started scanner
JP3335131B2 (ja) * 1998-10-29 2002-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1053932A (ja) * 1999-08-06 2001-02-23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05B1 (ko) * 2005-12-16 2008-04-1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판독 장치
KR100915359B1 (ko) * 2006-05-23 2009-09-03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지지체
US7710616B2 (en) 2006-05-23 2010-05-04 Fuji Xerox Co., Ltd. Image formation device and support body
US7952773B2 (en) 2006-05-23 2011-05-3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ation device and support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7131C (zh) 2007-01-24
KR100393152B1 (ko) 2003-07-31
EP1227653A3 (en) 2004-08-18
US20020097450A1 (en) 2002-07-25
DE60228352D1 (de) 2008-10-02
EP1227653A2 (en) 2002-07-31
US7088476B2 (en) 2006-08-08
JP4636699B2 (ja) 2011-02-23
EP1227653B1 (en) 2008-08-20
CN1366420A (zh) 2002-08-28
JP2002218172A (ja) 200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152B1 (ko) 화상 판독 장치
US699588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136203B2 (en) Image senso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EP1227655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EP1309168A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extraneous light from entering image reading apparatus
US9686422B2 (en) Image scanner having a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8373910B2 (en) Image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95782B2 (en) Optical wri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72890B1 (ko) 원본 문서 스캐닝 장치
JP2003158614A (ja) 画像読取装置
JP4366019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57853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357127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35890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4480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201001649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221816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57843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2002218162A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57842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201310624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21083U (ko) 원고 독취 기기의 초점심도 가변장치
JP201309891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0624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91376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