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03B1 - 실링 스크린, 도어 및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실링 스크린, 도어 및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03B1
KR100914803B1 KR1020070027150A KR20070027150A KR100914803B1 KR 100914803 B1 KR100914803 B1 KR 100914803B1 KR 1020070027150 A KR1020070027150 A KR 1020070027150A KR 20070027150 A KR20070027150 A KR 20070027150A KR 100914803 B1 KR100914803 B1 KR 100914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creen
inner panel
opening
door inner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531A (ko
Inventor
유우지 기타
다케야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실링 스크린의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한다. 도어 이너 패널(3)에 설치된 개구부를 덮는 실링 스크린(4)에 있어서, 개구부에 대향하는 대향부(4a)에 비드(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대향부(4a)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실링 스크린(4)에서의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링 스크린, 도어 및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SEALING SCREEN, DOOR AND SETTING METHOD OF SEALING SCREE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되는 실링 스크린, 도어 및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등의 차량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이너 패널에는, 작업구멍 등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도어 이너 패널에는, 개구부를 덮는 실링 스크린이 장착되고, 이 실링 스크린에 의해 개구부로부터 물이나 먼지 등이 차실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 공개공보 평7-8102호
그러나, 실링 스크린에서의 도어 이너 패널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대향부는, 도어 이너 패널에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개구부가 클 때에는, 실링 스크린의 그 대향부가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펄럭거리게 되고, 펄럭거리는 소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링 스크린의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 이너 패널에 설치된 개구부에 대향하는 실링 스크린의 대향부에 비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슬라이드 개폐식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적용된 예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내부 구조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어 이너 패널을 차량 실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링 스크린을 차량 실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링 스크린의 대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클립(11)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는, 도어 아우터 패널(2)과, 이 도어 아우터 패널(2)에 포개어진 도어 이너 패널(3)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어 이너 패널(3)의 차실측의 면(외면)에는, 실링 스크린(4)이 장착됨과 동시에, 이 실링 스크린(4)을 덮고 트림부재(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어 아우터 패널(2)과 도어 이너 패널(3) 사이에는, 도어 유리(6)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7)가 배치되어 있다.
도어 이너 패널(3)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기구(7)의 장착 작업용 작업 구멍으로서의 개구부(3a)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3a)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개구폭인 장폭(a)과 이 장폭(a)보다 폭이 짧은 단폭(b)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폭(a)이 차량 전후방향을 따른 폭이고, 단폭(b)이 상하방향을 따른 폭이다. 이 개구부(3a)의 위 가장자리부의 바로 아래에는, 개구부(3a)의 아래 가장자리부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어 이너 패널(3)에는, 다른 작업구멍으로서의 개구부(3d)나 물빼기 구멍(3e), 결합구멍(3f) 등이 설치되어 있다.
실링 스크린(4)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를 덮고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부(3a)로부터 물이나 먼지 등이 차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 스크린(4)에서의 개구부(3a)에 대향하는 대향부(4a)에는, 비드(8)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대향부(4a)에는, 개구부(3a)를 덮는 엠보스(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엠보스(9) 상에 비드(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비드(8) 및 엠보스(9)는, 함께 차실측을 향해 팽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링 스크린(4)은, 전체가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즉, 비드(8) 및 엠보스(9)는, 실링 스크린(4)의 다른 부분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
비드(8)는,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비드(8)는, 그 길이방향이 개구부(3a)의 단폭(b) 방향을 따르고 있다. 비드(8) 중에는, 다른 비드(8)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광폭 비드(8a)가 있다. 광폭 비드(8a)의 팽출 정부(頂部)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드(8)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양단부(8b)가 차실 내측에서 봐서 개구부(3a)의 가장자리부(3b)에 포개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스(9)의 가장자리부(9a)는, 도어 이너 패널(3)에 장착된 상태로 개구부(3a)의 가장자리부(3b)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엠보스(9)의 가장자리부(9a)가 맞닿음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링 스크린(4)의 장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의 가장자리부(3b)에는, 차량 실내측으로 올려진 결합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3c)에는, 엠보스(9)가 밖에서 끼워진다. 결합부(3c)는, 엠보스(9)의 가장자리부(9a)를 결합하고, 도어 이너 패널(3)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이 상태에서, 실링 스크린(4)은, 그 가장자리부를 포함시킨 부위가 접착제 등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고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이너 패널(3)의 차실측의 면에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띠형의 부틸 고무(12)가 실링 스크린(4)의 아래 가장자리부 및 차량 전후방향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틸 고무(12)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의 차실측의 면에 실링 스크린(4)이 고착된다(도 3). 또한, 실링 스크린(4)의 위 가장자리부는, 도어 이너 패널(3)과 트림부재(5)에 의해 끼워진다. 여기서, 부틸 고무(12)는, 도어 이너 패널(3)과 실링 스크린(4) 사이에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 3d)로부터 침입한 빗물을, 도어 이너 패널(3)의 물빼기 구멍(3e)으로 안내하도록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즉, 부틸 고무(12)는, 빗물을 물빼기 구멍(3e)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는, 광폭 비드(8a) 부분이, 누름부재로서 기능하는 케이블(10)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눌려 있다. 이에 의해, 실링 스크린(4)이 케이블(10)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가압되어 있다. 또, 케이블(10)은,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와 이 대향부(4a)의 주위 부분의 적어도 한쪽을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누르고 있으면 된다.
여기서, 케이블(10)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의 전개상태를 유지하는 래치기구와 조작편을 연결하는 와이어(모두 도시하지 않음)와, 이 와이어가 끼워져 통과된 튜브(10a)를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조작편을 조작하여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래치기구에 의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의 전개상태의 유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1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 스크린(4)에 설치된 관통공(4b)을 끼워 통과하여 도어 이너 패널(3)에 고정되는 클립(11)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고정된다. 이 클립(11)은, 도어 이너 패널(3)의 결합구멍(3f)에 결합된다. 클립(11)은, 케이블 유지부(11a)에 의해 케이블(10)을 유지한다. 또, 케이블(10)과 도어 이너 패널(3) 사이에 실링 스크린(4)이 개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도, 도어 이너 패널(3)의 결합구멍(3f)에 결합되어 도어 이너 패널(3)에 고정되는 클립(11)에 의해, 케이블(10)이 도어 이너 패널(3)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실링 스크린(4)의 관통공(4b)은, 실링 스크린(4)에 미리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클립(11)을 도어 이너 패널(3)에 장착할 때에, 클립(11)의 선단부를 실링 스크린(4)에 가압하여, 그 선단부를 실링 스크린(4)에 관통시킴으로써, 관통공(4b)을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실링 스크린(4)의 장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어 아우터 패널(2), 도어 이너 패널(3), 실링 스크린(4) 등을 준비한다. 그리고, 도어 이너 패널(3)을 도어 아우터 패널(2)에 장착한다. 그 후, 실링 스크린(4)의 비드(8)가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에 대향하고 또한 실링 스크린(4)이 개구부(3a)를 덮는 상태로 하고, 이 상태로 실링 스크린(4)을 도어 이너 패널(3)의 차실측의 면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링 스크린(4)을 부틸 고무(12)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접착하고, 케이블(10)에 의해 그 실링 스크린(4)을 도어 이너 패널에 가압한 상태에서 그 케이블(10)을 클립(11)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장착한다. 그 후, 트림부재(5)를 도어 이너 패널(3)에 장착하고, 실링 스크린(4)을 트림부재(5)와 도어 이너 패널(3)에서 끼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어 아우터 패널(2)과 도어 이너 패널(3) 사이에 침입한 빗물이,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 3d)로부터 도어 이너 패널(3)과 실링 스크린(4) 사이에 침입한 경우(도 2, 도 4에 빗물의 흐름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다)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그 빗물은, 아래쪽으로 흘러 부틸 고무(12)에 이르고, 부틸 고무(12)에 안내되어 도어 이너 패널(3)의 물빼기 구멍(3e)으로 이르고, 물빼기 구멍(3e)으로부터 도어 이너 패널(3)의 차실측과는 반대측의 면(내면) 측으로 배출되고, 도어 아우터 패널(2)과 도어 이너 패널(3) 사이로 되돌려진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링 스크린(4)의 비드(8)의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드(8) 상을 흐르는 빗물을 원할하게 아래쪽으로 흘릴 수 있다.
또한, 빗물이, 도어 이너 패널(3)의 차실측과는 반대측의 면(내면) 상을 하류하여 개구부(3a)의 위 가장자리부에 이른 경우, 그 빗물은,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의 위 가장자리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개구부(3a)의 아래 가장자리부로 낙하한다. 이때, 빗물이 개구부(3a)의 아래 가장자리부에 닿아 적하음이 발생한다.
여기서, 비드(8)와 빗물의 적하음의 관계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비드(8)가 차실측을 향해 팽출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비드(108)가 차실 외측을 향해 팽출한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0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 10은, 도 1의 A-A선 상당의 단면도이고,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이후의 변형예도 마찬가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01)에서의 실링 스크린(104)의 비드(108)는, 차실 외측을 향해 팽출하고 있고, 그 팽출 정부(頂部)에서의 하단부의 바로 아래에, 도어 이너 패널(3)의 저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01)의 다른 부분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와 동일하다.
그리고,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에서의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의 상하 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c)(도 10(a))보다,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01)에서의 비드(108)의 팽출 정부의 하단부와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 이너 패널(3)의 저부와의 거리(d)(도 10(b))가 긴 경우에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에서의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의 상단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단부로 낙하하는 빗물의 적하음이,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01)에서의 비드(108)의 팽출 정부의 하단부으로부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 이너 패널(3)의 저부로 낙하하는 빗물의 낙하음보다 작아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에 대향하는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에 비드(8)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대향부(4a)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향부(4a)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실링 스크린(4)에서의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드(8)는, 그 양단부(8b)가 차실 내측에서 봐서 개구부(3a)의 가장자리부(3b)에 포개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비드(8)가 개구부(3a)의 개구 영역부분만큼 차실 내측에서 봐서 포개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대향부(4a)의 강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엠보스(9)의 가장자리부(9a)가, 도어 이너 패널(3)에 장착된 상태로 개구부(3a)의 가장자리부(3b)에 맞닿는 맞닿음부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의 차폭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향부(4a)가 누름부재인 케이블(10)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눌러져, 실링 스크린(4)이 케이블(10)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가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에서의 펄럭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펄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링 스크린(4)의 비드(8)가 차실측을 향해 팽출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10)에 의해, 비드(8)의 팽출 정부를 전체적으로 누르는 수 있고,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에서의 펄럭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폭 비드(8a)가 케이블(10)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눌러진다. 따라서, 케이블(10)의 배선위치의 펄럭거림을 광폭 비드(8a)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광폭 비드(8a)로 확실히 케이블(10)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링 스크린(4)에 설치되어 개구부(3a)를 덮는 엠보스(9)와, 개구부(3a)의 가장자리부(3b)에 형성되어 엠보스(9)의 가장자리부(9a)를 결합하는 결합부(3c)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실링 스크린(4)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드(8) 및 엠보스(9)가 실링 스크린(4)의 다른 부분과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비드(8) 및 엠보스(9)가 실링 스크린(4)의 다른 부분과 다른 부품으로 되어 있는 구조에 비해, 실링 스크린(4)의 부품 가짓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링 스크린(4)의 비드(8) 및 엠보스(9)가 차실측을 향해 팽출하고 있기 때문에, 비드(8)나 엠보스(9)가 차실 외측을 향해 팽출해 있는 경우에 비해, 실링 스크린(4)과 도어 아우터 패널(2) 사이의 공간이 증대한다. 따라서, 실링 스크린(4)과 승강기구(7)의 구성부품(13)(도 7) 등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드(8) 중에는, 다른 비드(8)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광폭 비드(8a)가 있기 때문에, 실링 스크린(4)과 도어 아우터 패널(2) 사이의 공간이 더 증대한다. 따라서, 실링 스크린(4)과 승강기구(7)의 구성부품(13) 등과의 간섭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개구폭인 장폭(a)과 이 장폭(a)보다 폭이 짧은 단폭(b)이 설정되고, 실링 스크린(4)의 비드(8)는, 그 길이방향이 개구부(3a)의 단폭(b)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드(8)가 장폭(a)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비드(8)의 강성이 높아지고,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에서의 펄럭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의 A-A선 상당의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201)에서는, 도어 이너 패널(203)의 개구부(3a)로부터 아래쪽의 부분이 차외방향 경사 아래쪽으로 경사하고 있음과 동시에, 실링 스크린(204)의 대향부(4a)로부터 아래쪽의 부분도 차외방향 경사 아래쪽으로 경사하고 있다. 그리고, 도어 이너 패널(203)의 개구부(3a)의 위 가장자리부의 바로 아래에, 실링 스크린(204)의 대향부(4a)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어 아우터 패널(2)과 도어 이너 패널(203) 사이에 침입한 빗물이, 도어 이너 패널(203)의 개구부(3a)의 위 가장자리부에 흐른 경우(도 11에 물의 흐름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그 빗물은, 도어 이너 패널(203)의 개구부(3a)의 위 가장자리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실링 스크린(204)의 대향부(4a)에 낙하한다. 이와 같이 빗물이 낙하하는 것에 의해, 빗물이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의 위 가장자리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개구부(3a)의 아래 가장자리부로 낙하하는 경우에 비해, 빗물의 낙하거리가 짧기 때문에, 빗물의 적하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12 및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에서는, 일부 부재는 생략되어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이후의 실시형태도 마찬가지).
본 실시형태는, 차량용 도어(301)의 누름부재가, 케이블(10)이 아니라, 트림부재(305)인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의 트림부재(305)에서의 실링 스크린(4)과의 대향면에는, 누름부로서 복수의 리브(305a)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305a)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내어 배치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해 있고,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의 비드(8)에 맞닿는다. 그리고, 모든 비드(8)가, 어느 것인가의 리브(305a)와 맞닿아 있다. 트림부재(305)는, 리브(305a)에 의해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를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누르고 있다. 이에 의해, 실링 스크린(4)이 트림부재(305)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가 트림부재(305)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눌러져, 실링 스크린(4)이 트림부재(305)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가압되어 있음으로써, 누름부재가 케이블(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에서의 펄럭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4 내지 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트림부재를 차외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의 돌출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차량용 도어(401)의 누름부재인 트림부재의 누름부가, 4개의 돌출편(405a)인 점이 다르다.
돌출편(405a)은, 원주 보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편(405a)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돌출편(405a)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각 정점에 위치하도록 상호 간격을 내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405a)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나 이 대향부(4a)의 주위부분을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누르고 있다. 이에 의해, 실링 스크린(4)이 트림부재(405)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가 누름부재인 트림부재(405)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을 향해 눌러져, 실링 스크린(4)이 트림부재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3)에 가압되어 있음으로써, 제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링 스크린(4)의 대향부(4a)에서의 펄럭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내부 구조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실링 스크린(504)의 비드(508)가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다르다. 본 실시형태의 비드(508)는, 차실 내측에서 봐서 해당 비드(508) 전체가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의 내측의 영역에 포개지도록 한 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이너 패널(3)의 개구부(3a)에 대향하는 실링 스크린(504)의 대향부(504a)에 비드(508)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대향부(504a)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향부(504a)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실링 스크린(504)에서의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형태를 각종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로서는, 자동차의 백 도어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부재로서의 케이블(10)은, 승강기구(7)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이너 패널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실링 스크린의 대향부에 비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대향부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향부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실링 스크린에서의 펄럭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내부 구조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 이너 패널을 차량 실내측에서 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스크린을 차량 실내측에서 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스크린의 대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비드가 차실측을 향해 팽출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비드가 차실 외측을 향해 팽출한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트림부재를 차실 외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의 돌출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내부 구조를 차실 내측에서 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201, 301, 401 차량용 사이드 도어(도어)
3, 203 도어 이너 패널
3a 개구부
3b 개구부의 가장자리부
3c 결합부
4, 104, 204, 504 실링 스크린
4a 대향부
8, 108, 508 비드
8b 비드의 단부
9 엠보스
9a 엠보스의 가장자리부(맞닿음부)
10 케이블(누름부재)
305, 405 트림부재(누름부재)
a 장폭
b 단폭

Claims (17)

  1. 차량의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설치된 개구부를 덮는 실링 스크린으로서,
    상기 실링 스크린에서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대향부 상에 비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그 양단부가 차실 내측에서 봐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포개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엠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비드는, 상기 엠보스에 설치되고,
    상기 엠보스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해당 실링 스크린의 다른 부분과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는, 해당 실링 스크린의 다른 부분과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차실측을 향해 팽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는, 차실측을 향해 팽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9.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1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개구폭인 장폭과 이 장폭보다 폭이 짧은 단폭이 설정되고,
    상기 비드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개구부의 상기 단폭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11.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과 이 대향부의 주위부분의 적어도 한쪽이 누름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을 향해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복수 개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비드 중에는, 다른 비드보다 폭이 넓은 광폭 비드가 있고,
    상기 광폭 비드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을 향해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해당 실링 스크린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차실측의 면에 장착하고,
    상기 누름부재는, 해당 실링 스크린을 덮어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차실측의 면에 장착되는 트림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차실 내측에서 봐서 해당 비드 전체가 상기 개구부의 내측의 영역에 포개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
  16. 개구부가 설치된 도어 이너 패널과,
    비드가 설치된 실링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비드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실링 스크린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상태로 상기 실링 스크린을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차실측의 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7. 개구부가 설치된 도어 이너 패널과 비드가 설치된 실링 스크린을 준비하고,
    상기 비드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실링 스크린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상태로 하고, 이 상태로 상기 실링 스크린을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
KR1020070027150A 2006-03-31 2007-03-20 실링 스크린, 도어 및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 KR100914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7713 2006-03-31
JP2006097713 2006-03-31
JPJP-P-2006-00352569 2006-12-27
JP2006352569A JP4967649B2 (ja) 2006-03-31 2006-12-27 シーリングスクリーン、ドア及びシーリングスクリーンの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531A KR20070098531A (ko) 2007-10-05
KR100914803B1 true KR100914803B1 (ko) 2009-09-02

Family

ID=3819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150A KR100914803B1 (ko) 2006-03-31 2007-03-20 실링 스크린, 도어 및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75581B2 (ko)
EP (1) EP1839954B1 (ko)
JP (1) JP4967649B2 (ko)
KR (1) KR100914803B1 (ko)
CN (1) CN101045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1833B2 (ja) * 2009-07-03 2014-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ドアホールカバーおよび車両のドア構造
JP5382014B2 (ja) * 2011-02-09 2014-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ドアのシール構造
RU2014140796A (ru) * 2012-03-30 2016-05-27 Бомбардье Рекриэйшенел Продактс Инк. Колес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боковой дверью и гибким боковым покрытием
US9216630B2 (en) * 2013-03-14 2015-12-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Water shield
EP3118064B1 (en) * 2015-07-16 2018-06-13 Nishikawa Rubber Co., Ltd. Door hole seal for automobile
US10286760B2 (en) * 2016-12-19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water-shield with drip ledge to prevent water lea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237A (ja) * 1994-12-20 1996-07-02 Nissan Motor Co Ltd ドアインナパネル
KR970035172A (ko) * 1995-12-27 1997-07-22 한승준 비드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도어 패널
KR19980013373U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스피커의 진동방지 장치
KR20030016262A (ko) * 2000-05-18 2003-02-26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쉐뉴 접합 준비형 모듈형 부재 제조 방법 및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803A (en) * 1988-07-28 1990-09-18 The Excello Specialty Company Water deflector with wire harness seal
JPH0347225U (ko) * 1989-09-14 1991-05-01
US5090762A (en) * 1990-10-29 1992-02-25 The Excello Specialty Company Automotive door trim panel protec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048234A (en) * 1990-12-24 1991-09-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modular door
DE4209024B4 (de) * 1992-01-17 2005-10-27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Isolationsteil
US5298694A (en) * 1993-01-21 1994-03-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oustical insulating web
DE4321551C2 (de) * 1993-06-29 1996-11-21 Freudenberg Carl Fa Verkleidungselement zur Isolierung akustisch störender Schwingungen
JPH078102A (ja) 1993-06-30 1995-01-13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H082348A (ja) * 1994-06-27 1996-01-09 Kansei Corp 車両用ドアハーネス配索構造
US5482343A (en) * 1994-07-25 1996-01-09 The Excello Specialty Company Vehicle door and water deflector
JPH08276735A (ja) * 1995-03-31 1996-10-22 Nissan Shatai Co Ltd 自動車用ドアのシーリングスクリーン
US5609941A (en) * 1995-07-11 1997-03-11 Cawthon; Albert V. Automotive door panel construction
DE19801842A1 (de) * 1998-01-13 1999-07-22 Sommer Allibert Lignotock Gmbh Fahrzeugtür
US6197403B1 (en) * 1998-04-06 2001-03-06 Hp Pelzer (Automotive Systems), Inc. Integral sound absorber and water deflector door panel
US6862846B1 (en) * 1999-04-20 2005-03-08 Atoma International Corp. Door module for a motor vehicle with pivotally attached sections
US6102482A (en) * 1999-05-07 2000-08-15 Collins & Aikman Products Co. Lightweight suspension panel for vehicle seats and door panels
JP3873565B2 (ja) * 2000-02-29 2007-01-2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JP3674834B2 (ja) * 2000-03-31 2005-07-27 河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構造
DE10016758A1 (de) * 2000-04-04 2001-10-18 Illbruck Gmbh Kraftfahrzeugtür mit Isolationselement
US6412852B1 (en) * 2000-07-25 2002-07-02 Foamade Industries, Inc. Water, dust and sound attenuating barrier and trim panel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within a vehicle door
WO2002053415A2 (en) * 2000-12-28 2002-07-11 Banks Bro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passenger compartment shield
US6991278B2 (en) * 2001-05-03 2006-01-31 The Xlo Group Of Companies, Inc. Seal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automotive interior trim panels and the like
US6502821B2 (en) * 2001-05-16 2003-01-07 L&L Products, Inc. Automotive body panel damping system
CA2434441A1 (en) * 2003-01-07 2005-01-03 David Legault Trim door hardware carrier and method of assembling vehicle door
JP3890568B2 (ja) * 2003-09-10 2007-03-07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防水・防音用シート付ドア構造
US6890018B1 (en) * 2003-10-30 2005-05-10 Foamade Industries, Inc. 3-D molded watershield resonance frequency diffuser
US7044533B2 (en) * 2004-02-04 2006-05-16 Lear Corporation Wrapped bolster seal
US20050248181A1 (en) * 2004-05-06 2005-11-10 Michael Bigelow Trim pad assembly having a support channel
US20060261635A1 (en) * 2005-05-23 2006-11-23 Jay Winborn Automobile door assemblies
US20060261633A1 (en) * 2005-05-23 2006-11-23 Jay Winborn Automobile door assemblies
US20070046064A1 (en) * 2005-08-29 2007-03-01 Jay Winborn Multi-sheet barrier panel for automobile door assemblies
US7240956B2 (en) * 2005-08-08 2007-07-10 Cadillac Products Automotive Company Bend flaps for trim panel mounted watershiel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237A (ja) * 1994-12-20 1996-07-02 Nissan Motor Co Ltd ドアインナパネル
KR970035172A (ko) * 1995-12-27 1997-07-22 한승준 비드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도어 패널
KR19980013373U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스피커의 진동방지 장치
KR20030016262A (ko) * 2000-05-18 2003-02-26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쉐뉴 접합 준비형 모듈형 부재 제조 방법 및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9954A2 (en) 2007-10-03
US7775581B2 (en) 2010-08-17
US20070228770A1 (en) 2007-10-04
CN101045440A (zh) 2007-10-03
CN101045440B (zh) 2013-05-08
JP2007290684A (ja) 2007-11-08
KR20070098531A (ko) 2007-10-05
EP1839954B1 (en) 2013-10-09
JP4967649B2 (ja) 2012-07-04
EP1839954A3 (en)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803B1 (ko) 실링 스크린, 도어 및 실링 스크린의 장착 방법
EP3007919B1 (en) Window panel support structure
US973831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384096B2 (en) Weather strip
CN103635338A (zh) 车辆用车门结构
JP2007245876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20104569A (ja) カウルトップ構造
US10442383B2 (en) Impact absorber
JP4820476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6048786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4656287B2 (ja) 自動車用ドアの衝撃吸収部材取り付け構造
JP4040565B2 (ja) カウルボックス部構造
JP2006008000A (ja) 自動車用ドア
JP2001018653A (ja) 自動車用モジュールドアの防水構造
JP2006264643A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JPS61220918A (ja) 自動車用ドアにおけるコ−ナピ−ス
KR102597862B1 (ko) 자동차용 카울 탑 패드
JP2023049908A (ja) 車両用部品
JP3509559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JP6652819B2 (ja) グラスラン
JP5785068B2 (ja) ディビジョンバー
JP2017196957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422874B1 (ko) 자동차의 도어 상부 보강레일
JP2003072593A (ja) 車体前部遮音構造
EP1886859A2 (en) Sealing structure of back door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