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335B1 - 절첩 가능한 방열판 - Google Patents

절첩 가능한 방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335B1
KR100913335B1 KR1020037009093A KR20037009093A KR100913335B1 KR 100913335 B1 KR100913335 B1 KR 100913335B1 KR 1020037009093 A KR1020037009093 A KR 1020037009093A KR 20037009093 A KR20037009093 A KR 20037009093A KR 100913335 B1 KR100913335 B1 KR 10091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uid tube
shaped
heat sin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098A (ko
Inventor
구가다케시
이노우에미치아키
이이지마시게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한 방열판이며, 유체용 튜브의 매설 홈이 형성된 장척 협폭의 복수개의 판 형상체를 조합하여 평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고, 매설 홈에 유체용 튜브를 매설하며, 표면 측의 전면에 방열 시트를, 이면 측의 전면 또는 일부에 이면재를 점착하여,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절곡부로 한다. 그리고, 한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출구 개구부와 다른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입구 개구부를 대향시키지 않고 시프트시켜 설치하며, 이 부분을 유체용 튜브 걸침 부분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부재(부품)가 적어, 제작 작업이 간단하고, 절첩이 가능하여, 포장, 저장, 운반, 부설할 때에, 유체용 튜브 및 판 형상체가 좌굴되거나, 판 형상체에 형성한 홈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며, 부설 현장에 간단하게 부설할 수 있고, 부설한 후의 표면이 평탄하게 마무리되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을 얻을 수 있다.
유체용 튜브, 판 형상체, 방열판, 방열 시트, 이면재

Description

절첩 가능한 방열판{FOLDABLE HEAT RADIATING SHEET}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한 방열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주택, 집합 주택, 상업 빌딩 또는 호텔 등의 건축물의 하지(下地) 재면(材面) 위, 거주 공간의 벽면, 천장판, 칸막이 등에 사용되고, 절첩이 가능하여, 포장, 보관, 수송, 부설(敷設) 작업 등이 용이하며, 부설한 후의 상면이 평탄하게 마무리되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랭지 주택의 거주성, 온난지 주택의 한랭기에서의 거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택의 마루 면으로부터 난방하는 마루 난방 기술이 제안되어, 실용화되었다. 예를 들면, 단독 주택에서는 가로대와 마루청 사이, 가로대 위에 부설한 초배(初褙) 합판의 상면(또는 상측) 등에 마루 난방용 방열판(패널이라고도 함)을 짜 넣어, 방열판에 의해 난방하는 수법이 채용되고, 맨션 등과 같은 집합 주택에서는 슬래브 마루의 상면에 직접 또는 슬래브 마루의 상면에 부설한 초배 합판의 위 등에 마루 난방용 방열판을 부설하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마루 난방용 방열판은,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 소60-22392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3-17521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4-8059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8-26148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질(軟質) 발포체 또는 경질(硬質) 발포체로 이루어진 판 형상체의 한쪽 면에 홈이나 공간을 형성하여, 이 홈의 공간 부분에 유체용(流體用) 튜브(열매용(熱媒用) 가요성 튜브)를 매설(埋設)하고, 그 표면을 알루미늄 포일 등의 균열재(均熱材)로 피복한 구조의 것이 제안되었다.
이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열판(패널)은, 협폭(狹幅)이며 장척(長尺)인 판 형상체에 판 형상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홈이나 공간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용 튜브를 매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구조의 방열판을 부설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부설 장소와는 다른 장소에서 미리 광폭(廣幅)의 것으로 조립하고, 부설 현장에 반입하여 부설하는 수법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이 종래법에 의하면, 광폭으로 조립한 방열판은 절첩하면 유체용 튜브가 좌굴(挫屈)되거나, 판 형상체에 형성한 홈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열매용 튜브가 좌굴되거나, 판 형상체에 형성한 홈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은, 유체용 튜브를 협폭이며 장척인 한쪽 판 형상체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판 형상체에 연통(連通)시키는 판 형상체의 단부(端部)에서 다발(多發)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들 결점을 해소하는 방법을 검토한 결과, 판 형상체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한 구조의 방열판을 제안하였다(일본국 공개특허 평11-141899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11-294783호 공보 등). 그러나, 그 후에 더 검토한 결과, 앞서 제안한 구조의 방열판은, 상기 결점은 해소할 수 있었으나, 판 형상체의 수가 많아 제작 작업이 번잡하고, 유체용 튜브를 판 형상체의 홈에 끼워 맞추면서 부설 작업을 행하는 것이 번잡하며, 부설한 후의 방열판 표면이 평탄해지지 않아 요철(凹凸)로 되는 등의 결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부재(부품)가 적어, 제작 작업이 번잡하지 않고, 절첩이 가능하여, 포장, 저장, 운반, 부설할 때에, 유체용 튜브가 좌굴되거나, 판 형상체에 형성한 홈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기 어려우며, 부설 현장에 간단하게 부설할 수 있고, 부설한 후의 표면이 평탄하게 마무리되는 방열판을 제공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시키게 되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쪽 면에 유체용 튜브의 매설 홈이 형성된 장척 협폭의 복수개의 판 형상체를 서로 단부끼리를 접촉시켜 배치하여 평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으로 되고, 상기 매설 홈에는 유체용 튜브가 매설되며, 표면 측의 전면(全面)에 방열 시트가, 이면(裏面) 측의 전면 또는 일부에 이면재가 각각 점착되어,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절곡부(折曲部)로 한 절첩 가능한 방열판에 있어서,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한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출구 개구부의 위치와, 다른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입구 개구부의 위치를 대향시키지 않고 시프트시키며, 또한,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 벽면의 상기 양쪽의 개구부 사이에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notch portion)를 설치하고, 이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를 설치한 부분에서 출구 개구부로부터의 유체용 튜브를 입구 개구부에 걸치게 하여, 상기 복수의 절곡부의 방열 시트 또는 이면재 중 어느 한쪽을 절곡부를 따라 불연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의 일례의 부분 평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I 부분의 확대 평면 개략도.
도 3은 도 2의 II 부분(튜브 걸침 부분)의 확대 평면 개략도.
도 4는 이면재를 힌지로 한 방열판의 도 3의 III-III 부분에서의 종단 측면 개략도.
도 5는 방열 시트를 힌지로 한 방열판의 도 4에 대응하는 종단 측면 개략도.
도 6은 도 2의 II 부분(튜브 걸침 부분)에 깊은 노치부를 설치한 상태의 확대 평면 개략도.
도 7은 이면재를 힌지로 한 방열판의 도 6의 IV-IV 부분에서의 종단 측면 개략도.
도 8은 이면재를 힌지로서 절곡시키는 도중의 상태의 종단 측면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절곡을 완료한 상태의 종단 측면 개략도.
도 10은 4개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진 절첩 가능한 방열판의 일례의 평면 개략도.
도 11은 6개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진 절첩 가능한 방열판의 일례의 평면 개략도.
도 12는 8개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진 절첩 가능한 방열판의 일례의 평면 개략도.
도 13은 10개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진 절첩 가능한 방열판의 일례의 평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패널)은, 장척 협폭의 복수개의 판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고, 부설 후는 광폭이며 장척인 대략 사각형을 나타내는 난방용 마루, 벽면, 천장판, 칸막이 등의 형성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방열판의 유체용 튜브에 열매 대신에 냉매를 통과시킬 때는, 냉방용 방열판으로서도 사용된다.
판 형상체의 소재는 목질(木質) 플로어링(flooring)재, 목판, 합판, 파티클 보드, 섬유판, 합성수지판 등 중에서 선택된다. 합성수지판의 경우는, 독립 기포를 갖고, 또한, 우수한 강성(剛性)을 갖는 경질 발포 수지제 평판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경질 발포 수지의 소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스티렌과 발포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발포 폴리프로필렌,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 경질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경질 발포 수지의 소재는 이들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수지판의 발포 배율은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통상 1.2∼50배, 바람직하게는 2∼30배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판 형상체의 두께는 유체용 튜브의 직경과 동일한 치수를 최소 두께로 하고, 최대 두께는 유체용 튜브의 직경 + 25㎜까지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판 형상체의 두께가 유체용 튜브의 직경 + 25㎜ 이상이면, 판 형상체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방열판의 부피가 전체적으로 커지고, 취급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판 형상체의 길이는 방열판을 부설하는 장소에 따라, 통상 60∼400㎝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부설하는 장소의 면적이 넓을 경우는, 복수의 방열판을 조합하여 부설할 수도 있다. 판 형상체의 폭은 통상 1O∼1OO㎝의 범위에서 각각 선택할 수 있다. 폭이 100㎝를 초과하면, 절첩, 포장, 저장, 운반 등의 작업성이 뒤떨어지고, 1O㎝ 미만이면, 유체용 튜브를 방향 전환시키는 U자 형상 홈을 형성할 수 없고, 일정한 폭으로 하는데 다수의 판 형상체가 필요하게 되며, 방열판의 제조 작업, 방열판 제조 후의 절첩 작업, 절첩 상태로부터 개방하고 나서의 부설 작업 등이 번잡해지는 등의 결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복수개의 판 형상체를 배열하여 평면 형상을 대략 사각형의 방열판으로 할 때에는, 복수개의 판 형상체의 두께, 길이, 폭 등을 동일한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판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는 방열판의 한쪽 면에 유체용 튜브 매설용의 매설 홈을 형성한다. 매설 홈을 형성하는 면은 표면 측과 이면 측의 어느쪽이어도 좋지만, 방열 효율의 관점에서 표면 측이 적합하다. 매설 홈은 홈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U자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이 U자 형상인 매설 홈의 개구 폭 및 깊이는, 유체용 튜브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매설 홈은 평면으로부터 본 배치 상태가 U자 형상 곡선, 직선, S(또는 역(逆)S)자 형상 곡선을 적절히 조합, 연속시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매설 홈을 판 형상체의 표면 측에 형성한 구조의 방열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면이 U자 형상 곡선을 나타내는 매설 홈은, 각 판 형상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유체용 튜브를 매설한 상태에서 방향 전환시키는 홈이고, 직선은 판 형상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부의 U자 형상 곡선을 연결하는 홈이며, 평면이 S(역S)자 형상 곡선을 나타내는 매설 홈은 복수의 절곡부 중의 일부 유체용 튜브를 한쪽 판 형상체로부터 다른쪽 판 형상체에 걸치게 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홈이다. U자 형상 곡선 및 S(역S)자 형상 곡선의 곡률 반경은, 유체용 튜브가 좌굴되지 않는 최저의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설 홈은 전체적으로 방열판으로부터 균일하게 방열되도록, 또는 난방하고자 하는 소정 부분으로부터 균일하게 방열되도록 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은,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한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출구(유체의 유출 부분) 개구부의 위치와, 다른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입구(유체의 유입 부분) 개구부의 위치를 대향시키지 않고 시프트시켜 설치한다(후술하는 도 3 및 도 6 참조). 한쪽 출구와 다른쪽 입구의 사이(이하, 이 부분을 튜브 걸침 부분이라고도 함)에 걸치게 하여 유체용 튜브를 배치하고, 방열판을 튜브 걸침 부분을 포함하는 절곡부에서 절곡시켰을 때에, 유체용 튜브는 이 튜브 걸침 부분에서 직선상으로 되어 노출되어, 비틀림이 적으며 직각으로 절곡되지 않으므로 좌굴되기 어려워진다. 개구부의 위치를 시프트시키는 길이(튜브 걸침 부분의 길이)가 지나치게 작으면, 유체용 튜브의 비틀림이 커지고,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절곡되므로 좌굴되기 쉬워지며,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절곡된 상태를 개방하여 평면으로 할 때에, 이 부분에서 노출된 유체용 튜브를 유체용 튜브 노치부에 끼워 맞추기 어려워져, 양쪽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위치를 시프트시키는 길이는 유체용 튜브 직경의 5∼20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 벽면의 상기 양쪽의 개구부 사이(튜브 걸침 부분)에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를 설치한다.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는 2개 의 판 형상체 단부에 경면(鏡面) 대칭으로 설치하고, 2개의 판 형상체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는, 단면이 U자 형상을 나타내는 매설 홈을 형성하는 구조로 한다(후술하는 도 4 및 도 5 등을 참조). 이러한 튜브 걸침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판 형상체를 단부끼리의 접촉부에서 절곡시켰을 때에는, 튜브 걸침 부분에서 걸치게 한 유체용 튜브를 노출시키고, 절곡 상태를 개방하여 평면 상태로 하여 부설할 때에는, 유체용 튜브를 튜브 걸침 부분에 설치한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에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길이는 튜브 걸침 부분의 길이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튜브 걸침 부분을 포함하는 절곡부 전체의 길이로 할 수도 있다.
방열판에 유체용 튜브 걸침 부분을 포함하는 절곡부를 설치하는 위치는, (1)판 형상체의 폭 방향 단부, (2)판 형상체의 길이 방향 단부, (3)폭 방향 단부와 길이 방향 단부의 양쪽, 중 어느쪽이어도 좋다. 상기 (1)은 장척 협폭의 판 형상체를 복수개 조합하여 광폭의 방열판으로 할 때에 채용되고, 상기 (2)는 장척 협폭의 판 형상체를 복수개 조합하여 장척으로 할 때에 채용되며, 상기 (3)은 장척 협폭의 판 형상체를 복수개 조합하여 장척 광폭으로 할 때에 채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은, 유체용 튜브의 표면 적소(適所)에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부착시키면, 방열판을 절곡 상태를 개방하여 평면 상태로 하여 부설할 때에, 유체용 튜브 걸침 부분의 유체용 튜브를 압입(壓入)하여,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에 끼워 맞추게 할 수 있고, 유체용 튜브 걸침 부분으로부터 유체용 튜브가 방열판의 표면 상측에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부착시키는 위치는, 유체용 튜브의 표면 위로서, 깊은 노치부를 설치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로 한다.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는 유체용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C자 형상이며, 단관(短管) 형상을 나타내는 구조로 한다.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는 가교(架橋)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폴리프로필렌, 반(半)경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교적 단단한 소재이며, 두께는 1.0∼5㎜, 길이(폭)는 3∼20㎜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부착시키기 위해,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의 각각에 인접시켜,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깊이보다 깊은 노치부를 설치한다. 깊은 노치부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은 U자 형상을 나타내며, 깊이는 유체용 튜브 표면에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끼워 맞출 수 있는 깊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치수로 하고, 깊은 노치부의 길이(폭)는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치수로 한다.
홈{직선상, U자 형상 곡선 및 S(역S)자 형상 곡선}에 배치되어 매설되는 유체용 튜브는, 그 내측 공간에 열매 및 냉매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가요성이 우수하고, 기계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등도 우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발휘하는 튜브로서는, 가교 폴리에틸렌관, 폴리부텐관, 폴리프로필렌관, 연질(軟質) 폴리염화비닐관, 나일론관, 관의 벽면에 금속선을 매설한 상기의 수지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가교 폴리에틸렌관 및 폴리부텐관이다. 열매용 튜브의 외경(外徑)은 건축물이 구축되는 지역, 건축물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3∼20㎜, 두께는 0.5∼5㎜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유체용 튜브에 통과시킬 수 있는 매체로서는, 열매 및 냉매 모두 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기체 등을 들 수 있다. 유체용 튜브는 유체 헤더를 경유하여, 유체 온도 조절 장치를 장비(裝備)한 유체 순환 장치에 연접된다. 유체 온도 조절 장치는 방열판을 부설한 근방, 예를 들어, 건조물의 마루 아래, 옥외, 옥상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은, 매설 홈에 유체용 튜브를 매설한 후는, 표면 측의 전면에 방열 시트를, 이면 측의 전면 또는 일부에 이면재를 점착한다. 방열 시트는 방열판의 표면 측의 전면에 점착하나, 이면재는 방열판의 이면 측 전면 또는 일부에 점착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절곡부의 방열 시트 또는 이면재 중 어느 한쪽을 절곡부를 따라 불연속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연속은 절곡부에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불연속은 절곡부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방열판 표면 측의 방열 시트를 절곡부에서 연속시키고, 이면 측의 이면재를 절곡부에서 불연속시켰을 때에는, 방열판을 연결하고 있는 방열 시트가 힌지로서 기능하여, 계곡 접기(valley fold)(이하 「계곡 접기」라고 함) 가능 구조로 된다. 방열판 이면 측의 이면재를 절곡부에서 연속시키고, 표면 측의 방열 시트를 절곡부에서 불연속시켰을 때에는, 방열판을 연결하고 있는 이면재가 힌지로서 기능하여, 산 접기(mountain fold)(이하 「산 접기」라고 함) 가능 구조로 된다. 또한, 이면재의 점착은 힌지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정도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절곡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점착할 필요는 없으며, 일정한 틈을 두고 절곡부의 일부에 점착할 수도 있다. 방열 시트 또는 이면재를 불연속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전면에 점착한 후, 절곡부를 따라 나이프 등에 의해 절삭 홈을 넣어 불연속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은, 튜브 걸침 부분을 포함하는 절곡부를 상기 (3)과 같이 폭 방향 단부와 길이 방향 단부의 양쪽에 설치할 경우에는, 복수 절곡부의 일부에서 방열 시트와 이면재의 양쪽을 불연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3 참조). 방열 시트와 이면재의 양쪽을 불연속으로 하는 것은 복수 절곡부의 일부로 충분하다. 양쪽을 불연속으로 하는 절곡부는, 방열판을 구성하는 판 형상체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3 참조). 복수의 판 형상체를 2열(또는 2단)로서 배치한 경우에도, 복수 절곡부의 일부에서 방열 시트와 이면재의 양쪽을 불연속으로 함으로써, 원활하게 절첩할 수 있다.
방열판의 표면 전면에 점착한 방열 시트는 가요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하면, 매설 홈에 매설한 유체용 튜브가 매설 홈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절곡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로서 기능한다. 방열 시트를 상기한 바와 같이 단단한 판 형상 소재로 구성하면, 유체용 튜브가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에 압입되도록 기능한다. 방열 시트로서는, 알루미늄 포일 및 판 등의 금속 포일, 금속판, 알루미늄 포일과 부직포의 적층체, 플라스틱 필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증착시킨 것, 또는 적층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면재는 알루미늄 포일,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알루미늄 포일과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방열 시트의 두께는, 단단한 판 형상 소재에서는 통상 0.5㎜∼3㎜의 범위, 가요성이 우수한 소재 에서는 통상 10㎛∼0.3㎜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유체용 튜브에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부착시킨 것일 때는, 방열 시트의 전면 또는 방열 시트 절곡부 근방을 단단한 판 형상 소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단한 판 형상 소재에 의해 구성하고, 산 접기 가능 구조로 하면, 방열판을 부설할 때에 절곡된 상태로부터 평면 상태로 개방하는 도중에, 단단한 판 형상체가 유체용 튜브 표면보다도 먼저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 표면에 접촉하여,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깊은 노치부에 압입한다. 이 때, 동시에 유체용 튜브가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에 압입되기 때문에, 유체용 튜브 걸침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매설 홈을 판 형상체의 이면 측에 형성할 경우에는, 판 형상체의 두께를 가급적 얇게 하고, 이면 측에 점착하는 방열 시트를 이면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재는 유체용 튜브가 매설 홈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기능하는 것 이외에, 열을 판 형상체의 표면 측에 반사시키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이면 측 전면에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판 형상체를 조합하는 수법, 유체용 튜브의 매설 수법, 절곡부의 형성 수법 등은 상술한 매설 홈을 판 형상체의 표면 측에 형성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은, 부설 장소와 다른 공장 또는 제조소 등에서 미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판은 복수개의 판 형상체를 서로 단부끼리를 접촉시켜 배열하여 원하는 넓은 면적으로 되고, 평면 형상은 대략 사각형으로 된다. 한쪽 면에 형성된 유체용 튜브의 매설 홈에, 연속되는 유체용 튜브를 매설하고, 표면 측의 전면에 방열 시트를, 이면 측의 전면 또는 일부에 이면재를 점착하며, 절곡부의 방열 시트 및/또는 이면재에 절삭 홈을 넣어 불연속으로 한다.
절곡부의 방열 시트 및/또는 이면재가 불연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되어 있는 면 측을 힌지로 하고 불연속으로 되어 있는 면 측을 개방하여 절곡시킨다(후술하는 도 8 참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의 부설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리 부설 장소와 다른 장소에서 제작된 절첩 가능한 방열판을 절첩한 상태에서 건조물의 부설 현장에 운반 및 반입하고, 절첩 상태를 개방하여 건조물 마루의 하지면의 소정 위치에 부설한다. 건조물은 신축(新築)의 것뿐만 아니라, 기존의 것이어도 된다. 하지면은 맨션, 상업 빌딩, 호텔 등의 콘크리트제 건조물에서는 슬래브면이나 이들 위에 배치된 하지 마루 합판 등을 의미하고, 단독 주택에서는 하지 마루 합판을 의미한다. 소정 위치는 방의 마루면 전체일 수도 있고, 방의 마루면 일부분의 특정 위치일 수도 있다. 부설 면적이 넓을 경우는, 복수의 방열판을 조합하면 된다. 하지면이나 하지 마루 합판의 기존 마루에는 나사나 못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방열판을 부설할 경우에는, 방열 시트 위에 표장재(表裝材)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장재로서는 합판, 목판, 섬유판, 수지판, 파티클 보드, 융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 형상체의 재료의 종류에 따라, 표장재를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표장재는 넓은 면적의 것을 1개로 구성할 수 도 있고, 얇은 소편(小片)을 복수개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표장재의 표면에는 도료를 도포한 것, 나무결 모양이나 다른 모양 등을 인쇄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표장재의 두께는 통상 1∼15㎜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상기 기능을 발휘시킬 수 없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유체용 튜브로부터의 전열 효율이 저하되므로, 양쪽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을 벽면재 및 천장재 등으로서 이용할 때에도, 상술한 난방 마루의 시공 방법에 의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칸막이로서 이용할 때에는, 배면(背面)에 보강판을 점착하여 일정한 폭으로서 자립(自立) 가능하게 다리부를 부착시키거나, 경첩을 부착시켜 병풍과 같이 응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이하에 기재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열판(1)은 장척 협폭의 판 형상체(2)를 복수개 조합하여 대략 사각형으로 된다. 도 1은 4개의 판 형상체(2)를 조합한 예를 나타냈으나, 6개 세트, 8개 세트, 10개 세트 등으로 할 수 있다. 판 형상체(2)의 표면 측에는 유체용 튜브 매설 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매설 홈(3)은 판 형상체(2)의 단부에서 평면이 U자 형상 곡선으로 되어 방향 전환되고, 단부의 U자 형상 곡선을 연결하는 직선상 홈은 판 형상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유체용 튜브(4)를 한쪽 판 형상체로부터 다른쪽 판 형상체에 걸치게 하는 부분(튜브 걸침 부분)에는, 평면이 S(역S)자 형상 곡선을 나타내는 매설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방열판(1)을 구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판 형상체(2A)와 판 형상체(2B)에는 그 표면 측에 방열 시트(5)가, 이면 측에 이면재(6)가 각각 점착되어 있다. 방열 시트(5)는 절곡부(8)에서 불연속으로 되어 있고, 이면재(6)는 절곡부(8)에서 연속으로 되어 힌지로서 기능한다. 판 형상체(2A) 단부의 유체용 튜브 출구 개구부(2a)의 위치와, 다른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입구 개구부(2b)의 위치는 대향시키지 않고 시프트시켜 설치되어 있다. 판 형상체(2A)와 판 형상체(2B)의 단부에는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7A, 7B)가 설치되고, 방열판(1)이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양쪽의 노치부에서 유체용 튜브 매설 홈과 동일하게 종단면은 U자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도 4 참조). 방열판(1)을 절곡부(8)에서 절곡시켰을 때에는, 방열 시트(5) 측이 불연속부에서 분리되고, 유체용 튜브(4)는 개구부(2a)와 개구부(2b) 사이의 튜브 걸침 부분에서 한쪽 판 형상체(2A)로부터 다른쪽 판 형상체(2B)에 걸쳐, 노출된다. 이 예의 절곡 방법이 상기한 산 접기이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방열판(1)을 구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판 형상체(2A)와 판 형상체(2B)는, 방열 시트(5)는 절곡부(8)에서 연속으로 되어 힌지로서도 기능하고, 이면재(6)는 절곡부(8)에서 불연속으로 된다. 방열판(1)을 절곡부(8)에서 절곡시켰을 때에는, 불연속으로 된 이면재(6)가 불연속부에서 분리되고, 유체용 튜브(4)는 개구부(2a)와 개구부(2b) 사이의 튜브 걸침 부분에서 한쪽 판 형상체로부터 다른쪽 판 형상체에 걸쳐, 노출된다. 이 예의 절곡 방법이 상기한 계곡 접기이다.
도 6은 도 2의 II 부분(튜브 걸침 부분)에 깊은 노치부(7C, 7D)를 설치한 상태의 확대 평면 개략도이고, 도 7은 이면재를 힌지로 한 방열판의 도 6의 IV-IV 부분에서의 종단 측면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체용 튜브 매설 홈 튜브 걸침 부분에 깊은 노치부(7C, 7D)가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7A, 7B)보다도 깊게 설치되고, 노치부(7A, 7B)의 만곡부(灣曲部)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깊은 노치부(7C) 부분에는, 유체용 튜브 표면에 부착시킨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7E)가 유체용 튜브의 만곡부 근방의 위치에서 끼워 맞춰진다. 또한, 이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7E)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부터 둘러씌우듯이 끼워 맞추게 하는 것이 유체용 튜브의 돌출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나, 둘러씌우는 각도는 약간 어긋나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 도 8은 이면재를 힌지로서 절곡시키는 도중의 상태의 종단 측면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절곡을 완료한 상태의 종단 측면 개략도이다.
방열판의 절곡부를 판 형상체의 폭 방향 단부, 또는 길이 방향 단부에만 형성할 때에는, 절곡부는 산 접기와 계곡 접기를 번갈아 배치하는 것이 좋다. 절곡부를 판 형상체의 폭 방향 단부와 길이 방향 단부의 양쪽에 배치할 때에는, 도 10 내지 도 13에 평면 개략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열판을 구성하는 판 형상체의 개수에 따라, 복수 절곡부의 일부에서 방열 시트와 이면재의 양쪽을 불연속으로 하는 것이 좋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유체용 튜브가 생략되어 있으며, 부호 11은 산 접기하는 절곡부이고, 부호 12는 계곡 접기하는 절곡부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굵은 선 부분(10)은 방열 시트와 이면재의 양쪽을 불연속으로 한 절곡부이 고, 이 굵은 선 부분(10)에서는 산 접기와 계곡 접기의 어느쪽 절곡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의 불연속부는 일 형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불연속부는 임의의 절곡부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별히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고, 그 산업상의 이용 가치는 상당히 크다.
1.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은, 복수개의 판 형상체에 연속된 유체용 튜브를 매설하고, 표면 측에 방열 시트를 점착하며, 이면 측에 이면재를 점착하여 일체화된 1종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 부재의 종류가 적고, 제작, 포장, 보관, 운반, 부설 시의 취급이 용이하다.
2.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은,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한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출구 개구부의 위치와, 다른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입구 개구부의 위치를 대향시키지 않고 시프트시켜 설치하며, 또한,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 벽면의 상기 양쪽의 개구부 사이에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를 설치하고, 이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를 설치한 부분에서 출구 개구부로부터의 유체용 튜브를 입구 개구부에 걸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방열판을 절곡부에서 절곡시켰을 때에 유체용 튜브가 좌굴되지 않는다.
3.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은, 복수개의 판 형상체가 방열 시트와 이면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으나, 상기 복수 절곡부의 방열 시트 또는 이면재 중 어느 한쪽이 절곡부를 따라 불연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판을 절곡부에서 절곡시켰을 때에, 이 불연속으로 된 부분이 힌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방열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판 형상체로 분해되지 않는다.
4.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방열판은, 복수의 판 형상체를 2열(또는 2단)로서 배치한 경우에도, 복수 절곡부의 일부에서 방열 시트와 이면재의 양쪽을 불연속으로 함으로써, 원활하게 절첩할 수 있다.
5.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의 각각에 인접시켜,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깊이보다 깊은 노치부를 설치하고,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사이에 걸친 유체용 튜브 위로서 상기 깊은 노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C자 형상이며 단관 형상을 나타내는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부착시켰을 때는, 방열판을 절첩 상태를 개방하여 부설할 때에,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가 유체용 튜브를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에 압입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하게 마무리되어, 이 위에 표장재를 배치한 마루면도 평탄성이 우수하다.
6. 방열 시트의 전면 또는 방열 시트 절곡부 근방이 단단한 판 형상 소재로 구성되어 있을 때는,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강하게 가압하여 유체용 튜브를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에 정확하게 압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첩 가능한 방열판은, 일반 주택, 집합 주택, 상업 빌딩 또는 호텔 등의 건축물의 하지 재면 위, 거주 공간의 벽면, 천장판, 칸막이 등에 사용되고, 난방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한쪽 면에 유체용 튜브의 매설 홈이 형성된 장척(長尺) 협폭(狹幅)의 복수개의 판 형상체를 서로 단부끼리를 접촉시켜 배치하여 평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으로 되고, 상기 매설 홈에는 유체용 튜브가 매설되며, 표면 측의 전면(全面)에 방열 시트가, 이면(裏面) 측의 전면 또는 일부에 이면재가 각각 점착되어,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절곡부(折曲部)로 한 절첩 가능한 방열판에 있어서,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한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출구 개구부의 위치와, 다른쪽 판 형상체 단부의 유체용 튜브 입구 개구부의 위치를 대향시키지 않고 시프트시키며, 또한,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 벽면의 상기 양쪽의 개구부 사이에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notch portion)를 설치하고, 이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를 설치한 부분에서 출구 개구부로부터의 유체용 튜브를 입구 개구부에 걸치게 하여, 상기 복수의 절곡부의 방열 시트 또는 이면재 중 어느 한쪽을 절곡부를 따라 불연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부가 판 형상체의 장척 협폭의 폭 방향 단부 및/또는 판 형상체의 장척 협폭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의 각각에 인접시켜,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깊이보다 깊은 노치부를 설치하고,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의 사이에 걸친 유체용 튜브 위이고 상기 깊은 노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C자 형상이며 단관(短管) 형상을 나타내는 유체용 튜브 누름 도구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방열 시트의 전면 또는 방열 시트 절곡부 근방이 단단한 판 형상 소재로 구성되며, 방열판 이면 측의 이면재를 절곡부에서 연속시키고, 표면 측의 방열 시트를 절곡부에서 불연속시켜 산 접기(mountain fold) 가능 구조로 되어 이루어지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 절곡부의 일부에서 방열 시트와 이면재의 양쪽이 불연속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판 형상체의 단부 벽면의 상기 양쪽의 개구부 사이에 설치된 유체용 튜브 배치용 노치부는, 2개의 판 형상체 단부에 경면(鏡面) 대칭으로 설치하고, 2개의 판 형상체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는 단면이 U자 형상을 나타내는 매설 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방열판.
KR1020037009093A 2001-11-27 2002-11-27 절첩 가능한 방열판 KR100913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60672 2001-11-27
JP2001360672 2001-11-27
PCT/JP2002/012375 WO2003046439A1 (fr) 2001-11-27 2002-11-27 Feuille pliable rayonnant de la chal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098A KR20040058098A (ko) 2004-07-03
KR100913335B1 true KR100913335B1 (ko) 2009-08-21

Family

ID=1917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093A KR100913335B1 (ko) 2001-11-27 2002-11-27 절첩 가능한 방열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26077B2 (ko)
EP (1) EP1450107A4 (ko)
KR (1) KR100913335B1 (ko)
CN (1) CN1294385C (ko)
AU (1) AU2002349548A1 (ko)
WO (1) WO2003046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3609B2 (en) * 2002-03-01 2006-03-21 Hydock Gary J Modular radiant heat panel system
US7182126B2 (en) * 2003-10-01 2007-02-27 Lorne Heise Fluid heater
ATE553632T1 (de) * 2004-09-30 2012-04-15 Watlow Electric Mfg Modulares geschichtetes heizsystem
US7832159B1 (en) * 2006-06-06 2010-11-16 Kayhart Paul H Radiant in-floor heating system
US20100198414A1 (en) * 2007-06-28 2010-08-05 Kroll Steven 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terior climates
US20090001185A1 (en) * 2007-06-28 2009-01-01 Corvid Homes Structural wall panel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nterior climates
CN201088536Y (zh) * 2007-10-26 2008-07-23 杨荣耀 电热式毛巾架
US8288689B1 (en) 2008-09-02 2012-10-16 Adelman Dean W Radiant heating and cooling panel
US20100237157A1 (en) * 2009-03-21 2010-09-23 Zhaojun Guo Ground heating flooring with internal heating conduction structure
US20120151855A1 (en) * 2010-12-20 2012-06-21 William Malpas Insulated metal panel with integrated collecto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8978316B2 (en) * 2010-12-20 2015-03-17 William Malpas Insulated structural metal panel with integrated energy collectors
EP2706164A1 (en) * 2012-09-10 2014-03-12 Mir Arastirma ve Gelistirme A.S. Modular hybrid wall assembly
US9248492B2 (en) * 2012-09-12 2016-02-02 Michael G. Sullivan Thermal transfer panels with channel structures and method of using thermal transfer panels
JP6479300B2 (ja) * 2012-10-31 2019-03-06 住商メタレックス株式会社 床暖房用温水マット
US10358778B2 (en) * 2015-02-06 2019-07-23 Michael Gregory Theodore, Jr. Temperature controlled structur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299A (ja) * 1988-07-13 1990-01-25 Nikkiso Co Ltd ポンプのシール構造
JPH10339458A (ja) 1997-06-10 1998-12-22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巻回可能な放熱体
JPH11281070A (ja) 1998-03-30 1999-10-15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折畳み可能な放熱用部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1289447A (ja) * 2000-04-03 2001-10-19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折畳み可能な床暖房用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377A (en) * 1898-12-06 Machine for finishing forged horseshoe-nails
US2598279A (en) * 1949-08-24 1952-05-27 George N Mckibbin Panel-type heater
US3037746A (en) * 1958-11-10 1962-06-05 Wesley L Williams Floor covering for radiant heating installations
US4212348A (en) * 1977-04-04 1980-07-15 Toshiyuki Kobayashi Heat-radiating floor board
BE860569A (fr) * 1977-05-06 1978-03-01 Feist Artus Plaque de montage servant a fixer des tuyaux flexibles de chauffage ou de refroidissement
IT1170251B (it) * 1982-11-18 1987-06-03 Manfred Fennesz Impianto per il condizionamento di un ambiente
JPS60223922A (ja) 1984-04-23 1985-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床暖房パネルの製造方法
US4766951A (en) * 1984-12-13 1988-08-30 Airtex Corp Radiant, linear panels
US4627203A (en) * 1985-06-24 1986-12-09 Inryco, Inc. Post-tensioned floor with in-floor distribution system
JPH03175216A (ja) 1989-12-01 1991-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軟質床暖房パネル
JPH03115323U (ko) * 1990-03-08 1991-11-28
JP2713647B2 (ja) 1990-07-23 1998-0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US6092587A (en) * 1992-10-05 2000-07-25 Ingram; Rex Anthony Heating/cooling systems
US6311440B1 (en) * 1993-05-18 2001-11-06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Floor mounted utility post
US5454428A (en) * 1993-11-22 1995-10-03 Radiant Engineering, Inc. Hydronic radiant heat distribution panel and system
DK0662547T3 (da) * 1994-01-05 1999-07-19 Barcol Air Dækelement til et varme- og køledække
US5957378A (en) * 1994-03-08 1999-09-28 Fiedrich; Joachim Radiant floor and wall hydronic heating systems
JP3611136B2 (ja) 1995-03-23 2005-01-19 東京瓦斯株式会社 床暖房用ハードパネル
US5871151A (en) * 1995-12-12 1999-02-16 Fiedrich; Joachim Radiant hydronic bed warmer
JP3127835B2 (ja) * 1996-08-30 2001-01-29 住友電装株式会社 床配線構造における蓄線用床部材
NL1006090C2 (nl) * 1997-05-20 1998-12-07 Henk Slebos Universeel en multifunctioneel bouwelement.
US5931381A (en) * 1997-05-23 1999-08-03 Fiedrich; Joachim For radiant floor, wall and ceiling hydronic heating and/or cooling systems using metal plates that are heated or cooled by attached tubing that is fed hot or cold water, techniques of improving performance and avoiding condensation when cooling
US6330980B1 (en) * 1997-11-03 2001-12-18 Joachim Fiedrich Dry installation of a radiant floor or wall hydronic heating system, metal radiating plates that attach to the edges of side-by-side boards and provide metal slots for holding hot water tubing
JP3762072B2 (ja) 1997-11-12 2006-03-29 三菱化学産資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床暖房用パネル
JP3756315B2 (ja) 1998-04-15 2006-03-15 三菱化学産資株式会社 折畳み可能な暖房床構築用部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5901515A (en) * 1998-04-24 1999-05-11 Chen; Yao-Chung Raised floor having multiple layers
US6533185B1 (en) * 1998-12-03 2003-03-18 Morgan Muir Thermal heating board
US6270016B1 (en) * 1999-05-07 2001-08-07 Joachim Fiedrich Radiant floor, wall and ceiling hydronic cooling systems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s, using metal plates that are heated or cooled by attached tubing that is fed hot or cold water, modular panels hinged together in a set of panels
US6182903B1 (en) * 1999-05-07 2001-02-06 Joachim Fiedrich Radiant floor wall and ceiling hydronic heating and/or cooling systems, using modular panels hinged together in sets of panels, staggering the positions of panels in the sets so that sets are interlock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299A (ja) * 1988-07-13 1990-01-25 Nikkiso Co Ltd ポンプのシール構造
JPH10339458A (ja) 1997-06-10 1998-12-22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巻回可能な放熱体
JPH11281070A (ja) 1998-03-30 1999-10-15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折畳み可能な放熱用部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1289447A (ja) * 2000-04-03 2001-10-19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折畳み可能な床暖房用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098A (ko) 2004-07-03
EP1450107A1 (en) 2004-08-25
CN1488058A (zh) 2004-04-07
CN1294385C (zh) 2007-01-10
US6926077B2 (en) 2005-08-09
AU2002349548A1 (en) 2003-06-10
US20040055224A1 (en) 2004-03-25
EP1450107A4 (en) 2009-05-20
WO2003046439A1 (fr) 200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335B1 (ko) 절첩 가능한 방열판
US20090014152A1 (en) Hydronic floor heating system with adaptive fluid circuit
JP4607145B2 (ja) 折畳み可能な放熱板
JP4026709B2 (ja) 折畳み可能な放熱板
JP3771039B2 (ja) 折畳み可能な放熱用部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2168464A (ja) 床暖房放熱器および暖房可能な床の構造
JP4261386B2 (ja) 折畳み可能な放熱板
JP2006226604A (ja) 床暖房用温水マット
JP4295132B2 (ja) 折畳み可能な放熱板
JPH10170007A (ja) 巻回可能な放熱体
JP2002106862A (ja) 放熱器
JP3756315B2 (ja) 折畳み可能な暖房床構築用部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771037B2 (ja) 暖房可能な床の施工方法
JP2005030003A (ja) 折畳み可能な放熱板
JP3720186B2 (ja) 暖房可能な床構築用部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11148656A (ja) 暖房可能な床の構造
JP2005282944A (ja) 床下配置用放熱器、および暖房可能な床の施工方法
JP2005221192A (ja) ターンパネルおよび床暖房パネルの敷設方法
JPH10339458A (ja) 巻回可能な放熱体
JP4034622B2 (ja) 放熱板および放熱板の敷設方法
JP2004353976A (ja) 薄型床暖房用放熱器
JP4074541B2 (ja) 折畳み可能な放熱板
JP2003166719A (ja) 折畳み可能な放熱板
JP2000018614A (ja) 暖房可能な床の構造
JP2000018615A (ja) 放熱板およびその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