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300B1 - 적층 콘덴서 어레이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300B1
KR100899300B1 KR1020070070104A KR20070070104A KR100899300B1 KR 100899300 B1 KR100899300 B1 KR 100899300B1 KR 1020070070104 A KR1020070070104 A KR 1020070070104A KR 20070070104 A KR20070070104 A KR 20070070104A KR 100899300 B1 KR100899300 B1 KR 10089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electrodes
conductor
conductors
internal
exter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497A (ko
Inventor
타카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8Multiple capacitors, i.e. 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적층체와, 적층체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구비한다. 적층체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갖는 제 2 전극군을 포함한다. 각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각 제 2 내부 전극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제 3 내부 전극은 제 3 단자 도체에, 제 4 내부 전극은 제 4 단자 도체에 각각 접속된다.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1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단자 도체에 접속된다.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2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2 내부 전극은 제 2 단자 도체에 접속된다.
내부 전극, 단자 도체, 적층 콘덴서, 부하 전류, 디지털 전자기기

Description

적층 콘덴서 어레이{Multilayer capacitor array}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등의 소형화, 박형화와 함께, 이들에 탑재되는 콘덴서의 집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1개의 칩 내에 복수의 콘덴서를 포함시킨 콘덴서 어레이가 최근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내부 전극이 병설된 내부 전극층과 유전체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도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6291호 참조).
한편, 디지털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PU)에 공급용 전원에 있어서는 저전압화가 진행되는 한편 부하 전류는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부하 전류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전원전압의 변동을 허용치 내로 억제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해졌기 때문에, 디커플링 콘덴서라고 불리는 적층 콘덴서가 전원에 접속되게 되었다. 그리고, 부하 전류의 과도적인 변동시에 이 적층 콘덴서로부터 CPU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원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CPU의 동작 주파수가 더욱 고주파수화됨에 따라, 부하 전류는 고속으로 더욱 큰 것이 되고 있고, 디커플링 콘덴서에 사용되는 적층 콘덴서에는 대용량화와 함께 등가 직렬 저항(ESR)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렇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6291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에 관한 검토는 행하여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있어서 모든 내부 전극이 인출 도체를 통해서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자 도체에 접속되는 인출 도체가 내부 전극의 수만큼 존재하게 되어,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린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대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유전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많게 하면, 인출 도체의 수도 많아진다. 단자 도체에 접속되는 인출 도체의 저항 성분은 단자 도체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게 되기 때문에, 단자 도체에 접속되는 인출 도체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직렬 저항이 더욱 작아져 버린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6291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있어서도, 모든 내부 전극이 단자 도체와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적층수를 늘려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린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한다는 것과는 상반되는 요구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 등은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해서 예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 등은 유전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같게 하여도, 내부 전극을 적층체의 표면에 형성된 외부 접속 도체로 접속하고 또한 인출 도체의 수를 바꿀 수 있으면,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은 내부 전극을 적층체의 표면에 형성된 외부 접속 도체로 접속하고 또한 적층체의 적층방향에서의 인출 도체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면,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인출 도체의 수를 내부 전극의 수보다도 적게 하면,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방향에서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외부 도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포함하고, 적층체는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제 3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을 갖는 제 2 전극군을 포함하고,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 내에 있어서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고,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내부 전극은,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은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각 제 1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제 2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1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1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2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2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의 일부만이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을 전부가 아니라 일부만으로 하는 것으로,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과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은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과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도체는 제 3 외부 접속 도체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를 더욱 포함하고, 제 2 전극군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복수 갖고, 각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3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3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3 내부 전극이,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4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4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4 내부 전극이,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의 일부만이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는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전부가 아니라 일부만으로 하는 것으로,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과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은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과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과,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제 1 콘덴서가 형성되고,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과,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제 2 콘덴서가 형성되고, 제 1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과 제 2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이 달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로서만 주어지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고려되지 않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들을 통해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가능 범위는 이하의 상세할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들 및 변경들이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들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적절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 중, 「좌」 및 「우」의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각 도면의 좌우 방향에 대응한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1)와, 적층체(L1)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1 내지 8)를 구비한다. 외부 도체(1 내지 8)는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분말 및 유리 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적층체의 외표면에 부여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외부 도체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복수의 외부 도체(1 내지 8)는 적층체(L1)의 표면상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외부 도체는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내지 4),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내지 8)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어느 것이나, 후술하는 적층체(L1)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1a), 즉 적층체(L1)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측면인 제 1 측면(L1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도 1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3 외부 접속 도체(7), 제 3 단자 도체(3)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어느 것이나, 후술하는 적층체(L1)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2 측면(L1b), 즉 적층체(L1)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측면이고 또한 제 1 측면(L1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1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도 1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2 단자 도체(2),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4 외부 접속 도체(8), 제 4 단자 도체(4)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L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각 유전체층(11 내지 19)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적층체(L1)에 있어서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을, 이하 단순히 「적층방향」이라고 불린다. 또, 실제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적층체(L1)에는 제 1 및 제 2 전극군(E1, E2)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E1)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다. 제 2 전극군(E2)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다. 제 1 전극군(E1)과 제 2 전극군(E2)은, 적층체(L1)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각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 61 내지 64, 81 내지 84)은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적층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어느 것과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적층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어느 것과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한편, 적층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어느 것과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적층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어느 것과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은 유전체층(11)과 유전체층(12)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은 유전체층(13)과 유전체층(14)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은 유전체층(15)과 유전체층(16)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유전체층(17)과 유전체층(18)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내지 44, 81 내지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및 제 4 내 부 전극(41, 81)은 유전체층(12)과 유전체층(13)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은 유전체층(14)과 유전체층(15)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은 유전체층(16)과 유전체층(17)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은 유전체층(18)과 유전체층(19)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각각 직사각형상을 나타낸다.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도 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위치하고 있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내지 44, 81 내지 84)은 각각 직사각형상을 나타낸다. 직사각형상의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내지 44, 81 내지 84)은 도 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위치하고 있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내지 44, 81 내지 84)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에는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1a, 31b)는 제 1 내부 전극(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2)는 제 1 내부 전극(2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 체(33)는 제 1 내부 전극(2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4)는 제 1 내부 전극(2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4개의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 중, 1개 이상 당해 제 1 내부 전극의 총 수인 4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1 내부 전극(21), 즉 1개의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병렬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51)는 제 2 내부 전극(4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 체(52)는 제 2 내부 전극(4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3)는 제 2 내부 전극(4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4a, 54b)는 제 2 내부 전극(4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4개의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 중, 1개 이상 당해 제 2 내부 전극의 총 수인 4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2 내부 전극(44), 즉 1개의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병렬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에는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71a, 71b)는 제 3 내부 전극(6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2)는 제 3 내부 전극(6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3)는 제 3 내부 전극(6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4)는 제 3 내부 전극(6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1 측면(L1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4개의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 중, 1개 이상 당해 제 3 내부 전극의 총 수인 4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3 내부 전극(61), 즉 1개의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병렬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 체(L1)의 제 2 측면(L1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91)는 제 4 내부 전극(8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4 내부 전극(8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2)는 제 4 내부 전극(8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4 내부 전극(4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3)는 제 4 내부 전극(8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4 내부 전극(8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4a, 94b)는 제 4 내부 전극(8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체(L1)의 제 2 측면(L1b)에 이르도록, 제 4 내부 전극(8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4개의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 중, 1개 이상 당해 제 4 내부 전극의 총 수인 4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4 내부 전극(84), 즉 1개의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병렬 접속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복수의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에 각각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제 1 콘덴서(C1)가 형성된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복수의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제 2 콘덴서(C2)가 형성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직접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21)의 수를 1개로 하고,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총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직접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44)의 수를 1개로 하고,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의 총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단자 도체(1)에 착안하면, 제 1 외부 접속 도체(5)의 저항 성분은 제 1 단자 도체(1)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제 2 단자 도체(2)에 착안하면, 제 2 외부 접속 도체(6)의 저항 성분은 제 2 단자 도체(2)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또한,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짐으로써, 공진 주파수에서의 급격한 임피던스의 저하가 방지되어, 광대역화가 가능해진다.
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직접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61)의 수를 1개로 하고,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의 총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직접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84)의 수를 1개로 하고,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의 총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제 3 단자 도체(3)에 착안하면, 제 3 외부 접속 도체(7)의 저항 성분은 제 3 단자 도체(3)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제 4 단자 도체(4)에 착안하면, 제 4 외부 접속 도체(8)의 저항 성분은 제 4 단자 도체(4)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또한,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짐으로써, 공진 주파수에서의 급격한 임피던스의 저하가 방지되어, 광대역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21)의 수 및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44)의 수의 적어도 한쪽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61)의 수 및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84)의 수의 적어도 한쪽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21)의 적층체(L1)의 적층방향에서의 위치 및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층체(L1)의 적층방향에서의 위치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61)의 적층체(L1)의 적층방향에서의 위치 및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층체(L1)의 적층방향에서의 위치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의 정전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의 정전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적층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의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위한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2)와, 적층체(L2)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내지 4), 및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내지 8)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4 단자 도체(1, 4), 및 제 1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5, 8)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2)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2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4 단자 도체(1, 4), 및 제 1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5, 8)는 도 3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4 외부 접속 도체(8), 제 4 단자 도체(4)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3 단자 도체(2, 3), 및 제 2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6, 7)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2)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2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2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3 단자 도체(2, 3), 및 제 2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6, 7)는 도 3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2 단자 도체(2),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3 외부 접속 도체(7), 제 3 단자 도체(3)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L2)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2)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2)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2)의 제 1 측면(L2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에는 적층체(L2)의 제 1 측면(L2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2)의 제 2 측면(L2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2)의 제 2 측면(L2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2)의 제 2 측면(L2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에는 적층체(L2)의 제 2 측면(L2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3 내부 전극(61)뿐만 아니라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2)의 제 1 측면(L2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체(L2)의 제 1 측면(L2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4 내부 전극(84)뿐만 아니라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단자 도체(3)와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을, 제 3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3 내부 전극(6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4 단자 도체(4)와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을, 제 4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4 내부 전극(8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내부 전극(61) 및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는 적층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의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위한다.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3)와, 적층체(L3)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내지 4), 및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내지 8)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3)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3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도 5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1 단자 도체(1), 제 3 단자 도체(3), 제 3 외부 접속 도체(7)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어 느 것이나, 적층체(L3)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3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3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도 5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2 단자 도체(2), 제 4 단자 도체(4), 제 4 외부 접속 도체(8)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L3)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3)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3)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3)의 제 1 측면(L3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에는 적층체(L3)의 제 1 측면(L3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3)의 제 2 측면(L3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3)의 제 2 측면(L3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3)의 제 1 측면(L3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에는 적층체(L3)의 제 1 측면(L3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3 내부 전극(61)뿐만 아니라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3)의 제 2 측면(L3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체(L3)의 제 2 측면(L3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4 내부 전극(84)뿐만 아니라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단자 도체(3)와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을, 제 3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3 내부 전극(6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4 단자 도체(4)와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을, 제 4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4 내부 전극(8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내부 전극(61) 및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3)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형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는 적층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의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위한다. 도 7은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 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4)와, 적층체(L4)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내지 4), 및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내지 8)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4)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4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도 7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1 단자 도체(1), 제 3 단자 도체(3), 제 4 외부 접속 도체(8)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4)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4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4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도 7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2 단자 도체(2), 제 4 단자 도체(4), 제 3 외부 접속 도체(7)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L4)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4)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4)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4)의 제 1 측면(L4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에는 적층체(L4)의 제 2 측면(L4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 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4)의 제 2 측면(L4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4)의 제 1 측면(L4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4)의 제 1 측면(L4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에는 적층체(L4)의 제 2 측면(L4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3 내부 전극(61)뿐만 아니라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4)의 제 2 측면(L4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체(L4)의 제 1 측면(L4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4 내부 전극(84)뿐만 아니라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단자 도체(3)와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을, 제 3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3 내부 전극(6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4 단자 도체(4)와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을, 제 4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4 내부 전극(8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내부 전극(61) 및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4)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실시형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는 적층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의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위한다. 도 9는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5)와, 적층체(L5)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내지 4), 및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내지 8)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5)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5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 8)는 도 9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3 단자 도체(3), 제 4 외부 접속 도체(8)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5)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5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5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도 9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2 단자 도체(2), 제 3 외부 접속 도체(7), 제 4 단자 도체(4)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L5)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5)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5)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5)의 제 1 측면(L5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에는 적층체(L5)의 제 2 측면(L5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5)의 제 2 측면(L5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5)의 제 1 측면(L5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 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5)의 제 1 측면(L5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에는 적층체(L5)의 제 2 측면(L5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3 내부 전극(61)뿐만 아니라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5)의 제 2 측면(L5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체(L5)의 제 1 측면(L5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4 내부 전극(84)뿐만 아니라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단자 도체(3)와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을, 제 3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3 내부 전극(6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4 단자 도체(4)와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을, 제 4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4 내부 전극(8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내부 전극(61) 및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5)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실시형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는 적층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의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 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위한다. 도 11은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6)와, 적층체(L6)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2, 3A, 3B, 4A, 4B),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5, 6)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4 단자 도체(1, 4A, 4B), 및 제 1 외부 접속 도체(5)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6)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6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4 단자 도체(1, 4A, 4B), 및 제 1 외부 접속 도체(5)는 도 11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4 단자 도체(4A), 제 4 단자 도체(4B)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3 단자 도체(2, 3A, 3B),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6)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6)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6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6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3 단자 도체(2, 3A, 3B),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6)는 도 11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2 단자 도체(2),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3 단자 도체(3A), 제 3 단자 도체(3B)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L6)는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6)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6)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6)의 제 1 측면(L6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에는 적층체(L6)의 제 1 측면(L6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6)의 제 2 측면(L6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6)의 제 2 측면(L6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각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에는 적층체(L6)의 제 2 측면(L6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 내지 74a, 71b 내지 7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대응하는 인출 도체(71a 내지 74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대응하는 인출 도체(71b 내지 74b)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체(L6)의 제 1 측면(L6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a 내지 94a, 91b 내지 9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대응하는 인출 도체(91a 내지 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대응하는 인출 도체(91b 내지 94b)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에 포함되는 제 1 콘덴서(C1)에 있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한편, 제 2 콘덴서(C2)에 있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는 등가 직렬 저항이 큰 제 1 콘덴서(C1)와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6)에 형성된 콘덴서(C1)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실시형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는 제 1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의 크기의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와 상위한다. 도 13은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는 도 13에 도시되는 바 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7)와, 적층체(L7)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내지 4), 및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내지 8)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4 단자 도체(1, 4), 및 제 1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5, 8)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7)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7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4 단자 도체(1, 4), 및 제 1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5, 8)는 도 13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4 외부 접속 도체(8), 제 4 단자 도체(4)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3 단자 도체(2, 3), 및 제 2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6, 7)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7)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7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7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3 단자 도체(2, 3), 및 제 2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6, 7)는 도 13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2 단자 도체(2),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3 외부 접속 도체(7), 제 3 단자 도체(3)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L7)는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7)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7)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즉,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각각, 유전체층(12 내지 18)을 사이에 두고 적층방향에서 대향하는 영역을 갖는다.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각각, 유전체층(12 내지 18)을 사이에 두고 적층방향에서 대향하는 영역을 갖는다. 단, 제 1 내부 전극(21)의 면적은 같은 층에 적층된 제 3 내부 전극(61)의 면적과 비교하여 작다. 제 2 내부 전극(44)의 면적은 같은 층에 적층된 제 4 내부 전극(84)의 면적과 비교하여 작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41)이 적층방향에서 대향하는 영역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81)이 적층방향에서 대향하는 영역과 비교하여 작다.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4, 44)이 적층방향에서 대향하는 영역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4, 84)이 적층방향에서 대향하는 영역과 비교하여 작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및 제 4 내 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7)의 제 1 측면(L7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에는 적층체(L7)의 제 1 측면(L7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7)의 제 2 측면(L7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7)의 제 2 측면(L7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 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7)의 제 2 측면(L7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에는 적층체(L7)의 제 2 측면(L7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3 내부 전극(61)뿐만 아니라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7)의 제 1 측면(L7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체(L7)의 제 1 측면(L7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4 내부 전극(84)뿐만 아니라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단자 도체(3)와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을, 제 3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3 내부 전극(6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4 단자 도체(4)와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을, 제 4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4 내부 전극(8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의 면적은 같은 층에 적층된 제 3 내부 전극(61)의 면적과 비교하여 작다. 제 2 내부 전극(44)의 면적은 같은 층에 적층된 제 4 내부 전극(84)의 면적과 비교하여 작다. 그 때문에, 제 1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은 제 2 콘덴서(C2)의 등가 직렬 저항과 비교하여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이 다른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내부 전극(61) 및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7)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실시형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는 적층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의 수 및 그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위한다. 도 15는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8)와, 적층체(L8)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A, 1B, 2A, 2B, 3, 4), 및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내지 8)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A, 3A), 및 제 2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6, 7)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8)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8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A, 3A), 및 제 2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6, 7)는 도 15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A), 제 2 외부 접속 도체(6), 제 3 외부 접속 도체(7), 제 3 단자 도체(3A)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B, 3B), 및 제 1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5, 8)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8)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8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8b)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B, 3B), 및 제 1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5, 8)는 도 15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B),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4 외부 접속 도체(8), 제 3 단자 도체(3B)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도체(2)는 적층체(L8)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3 측면(L8c), 즉 적층체(L8)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의 길이가 짧은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측면인 제 3 측면(L8c)상에 위치한다. 제 4 단자 도체(4)는 적층체(L8)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4 측면(L8d), 즉 적층체(L8)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의 길이가 짧은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측면이고 또한 제 3 측면(L8c)과 대향하는 제 4 측면(L8d)상에 위치한다.
적층체(L8)는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8)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8)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또,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b, 3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에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1a)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31b, 31c)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각각 제 1 내부 전극(2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2)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3)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4)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b)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 체(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c,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A, 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8)의 제 3 측면(L8c)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에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51)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2)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3)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4a)는 적층체(L8)의 제 3 측면(L8c)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54b)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각각 제 2 내부 전극(4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 내지 53,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 71c)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또,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에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71a, 71c)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71b)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각각 제 3 내부 전극(6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2)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3)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4)는 적층체(L8)의 제 1 측면(L8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b)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c,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3 내부 전극(61)뿐만 아니라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A, 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8)의 제 4 측면(L8d)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에는 적층 체(L8)의 제 2 측면(L8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91)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제 4 내부 전극(8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2)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제 4 내부 전극(8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3)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제 4 내부 전극(8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4a)는 적층체(L8)의 제 4 측면(L8d)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94b)는 적층체(L8)의 제 2 측면(L8b)에 이르도록, 각각 제 4 내부 전극(8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 내지 93,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4 내부 전극(84)뿐만 아니라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A, 1B)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단자 도체(3A, 3B)와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을, 제 3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3 내부 전극(6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4 단자 도체(4)와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을, 제 4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4 내부 전극(8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내부 전극(61) 및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9 실시형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제 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는 적층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의 구성 및 그 배치의 점에서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8)와 상위한다. 도 17은 제 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인 적층체(L9)와, 적층체(L9)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인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내지 4), 및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6A, 6B, 7, 8A, 8B)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어 느 것이나, 적층체(L9)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9a)상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3 단자 도체(1, 3), 및 제 1 및 제 3 외부 접속 도체(5, 7)는 도 17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1 단자 도체(1), 제 1 외부 접속 도체(5), 제 3 외부 접속 도체(7), 제 3 단자 도체(3)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B, 8B)는 어느 것이나, 적층체(L9)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1 측면(L9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9b)상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4 단자 도체(2, 4), 및 제 2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6B, 8B)는 도 17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제 2 단자 도체(2), 제 2 외부 접속 도체(6B), 제 4 외부 접속 도체(8B), 제 4 단자 도체(4)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외부 접속 도체(6A)는 적층체(L9)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3 측면(L9c)상에 위치한다. 제 4 외부 접속 도체(8A)는 적층체(L9)의 적층방향과 평행한 측면 중 제 3 측면(L9c)과 대향하는 제 4 측면(L9d)상에 위치한다.
적층체(L9)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1 내지 19)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적층체(L9)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을 갖는 제 2 전극군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은, 적층체(L9) 내에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의 사이 각각에 1층씩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콘덴서(C1)와, 또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과, 상기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의 사이 각각에 두어진 유전체층(12 내지 18)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에서는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61),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62),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3, 63), 및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4, 64)은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또,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81),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2, 82),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3, 83), 및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4, 84)도, 각각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1)에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1a, 3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에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32 내지 34)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1a, 31b)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각각 제 1 내부 전극(2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2)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3)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34)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제 1 내부 전극(2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인출 도체(31b, 32 내지 34)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내부 전극(21)뿐만 아니라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5)를 통해서 제 1 단자 도체(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a, 54c)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에는 또, 적층체(L9)의 제 3 측면(L9c)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4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에는 적층체(L9)의 제 3 측면(L9c)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a 내지 53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에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51b 내지 53b)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51a)는 적층체(L9)의 제 3 측면(L9c)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51b)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2a)는 적층체(L9)의 제 3 측면(L9c)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52b)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3a)는 적층체(L9)의 제 3 측면(L9c)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53b)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제 2 내부 전극(4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54a)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54b)는 적층체(L9)의 제 3 측면(L9c)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54c)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각각 제 2 내부 전극(4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44)은 인출 도체(54a)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a 내지 53a, 54b)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은 각각, 인출 도체(51b 내지 53b, 54c)를 통해서 제 2 외부 접속 도체(6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2 내부 전극(44)뿐만 아니라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6A, 6B)를 통해서 제 2 단자 도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61)에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1a, 7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에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72 내지 74)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71a, 71b)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각각 제 3 내부 전극(6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2)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3)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74)는 적층체(L9)의 제 1 측면(L9a)에 이르도록, 제 3 내부 전극(6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61)은 인출 도체(71a)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인출 도체(71b, 72 내지 74)를 통해서 제 3 외부 접속 도체(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3 내부 전극(61)뿐만 아니라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도, 제 3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해서 제 3 단자 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a, 94c)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에는 또, 적층체(L9)의 제 4 측면(L9d)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4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에는 적층체(L9)의 제 4 측면(L9d)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a 내지 93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에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인출 도체(91b 내지 93b)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91a)는 적층체(L9)의 제 4 측면(L9d)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91b)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각각 제 4 내부 전극(81)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2a)는 적층체(L9)의 제 4 측면(L9d)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92b)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각각 제 4 내부 전극(82)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3a)는 적층체(L9)의 제 4 측면(L9d)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93b)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각각 제 4 내부 전극(83)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인출 도체(94a, 94c)는 적층체(L9)의 제 2 측면(L9b)에 이르도록, 인출 도체(94b)는 적층체(L9)의 제 4 측면(L9d)에 이르도록, 각각 제 4 내부 전극(84)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84)은 인출 도체(94a)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a 내지 93a, 94b)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은 각각, 인출 도체(91b 내지 93b, 94c)를 통해서 제 4 외부 접속 도체(8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4 내부 전극(84)뿐만 아니라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도 제 4 외부 접속 도체(8A, 8B)를 통해서 제 4 단자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의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단자 도체(1)와 제 1 내부 전극(22 내지 24)을, 제 1 외부 접속 도체(5) 및 제 1 내부 전극(2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2 단자 도체(2)와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제 2 외부 접속 도체(6A, 6B) 및 제 2 내부 전극(4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콘덴서(C1)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의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단자 도체(3)와 제 3 내부 전극(62 내지 64)을, 제 3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3 내부 전극(61)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4 단자 도체(4)와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3)을, 제 4 외부 접속 도체(8A, 8B) 및 제 4 내부 전극(84)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콘덴서(C2)는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에서는 상기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쌍방에 관해서, 모든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단자 도체에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에서는 등가직렬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21) 및 제 2 내부 전극(4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콘덴서(C2)에서는 제 3 내부 전극(61) 및 제 4 내부 전극(84)의 적어도 한쪽의 수 또는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1 내지 64, 81 내지 8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CA9)에 형성된 콘덴서(C1, C2)에서는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유전체층(11 내지 19)의 적층수 및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1 내지 24, 41 내지 44, 61 내지 64, 81 내지 84) 각각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을 각각 2층 이상,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각각 1층 이상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21 내지 24)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41 내지 44)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내부 전극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면 좋다. 한편, 복수의 제 3 내부 전극(61 내지 64) 중 적어도 하나의 제 3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제 4 내부 전극(81 내지 84) 중 적어도 하나의 제 4 내부 전극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9, 20,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내부 전극(61)과 제 3 내부 전극(62)이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제 4 내부 전극(83)과 제 4 내부 전극(84)이 유전체층(18)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여도 좋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 20은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 21은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다. 이들의 경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내 지 24, 41 내지 44)은 1층의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복수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62 내지 64, 81 내지 83)은 1층의 유전체층(13 내지 17)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내지 44, 81 내지 84)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2 내지 24, 41 내지 43, 62 내지 64, 81 내지 83)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형상에 한하지 않고, 대응하는 외부 접속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1, 44, 61, 84)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형상에 한하지 않고, 대응하는 단자 도체 및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단자 도체(1, 1A, 1B, 2, 3, 3A, 3B, 4)의 수도,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접속 도체(5, 6, 6A, 6B, 7, 8, 8A, 8B)의 수도,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1, 1A, 1B, 2, 3, 3A, 3B, 4)는 각각 다른 수이어도 좋다. 제 1 내지 제 4 외부 접속 도체(5, 6, 6A, 6B, 7, 8, 8A, 8B)는 각각 다른 수이어도 좋다.
또한, 인출 도체를 통해서 단자 도체(1, 1A, 1B, 2, 3, 3A, 3B, 4)에 직접 접속되는 내부 전극의 수 및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마다 내부 전극의 적층수가 달라도 좋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적층방향에서 같 은 층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41 내지 44, 81 내지 84)은 적층방향에서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법들로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경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말아야 하고, 본 기술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모든 그러한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12는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14는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16은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제 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18은 제 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Claims (4)

  1.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도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 1 내지 제 4 단자 도체,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는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을 갖는 제 1 전극군과, 제 3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을 갖는 제 2 전극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군과 상기 제 2 전극군은, 상기 적층체 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내부 전극은, 적어도 1층의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은 적어도 1층의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각 제 1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각 제 2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3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4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1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1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1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2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2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2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은 적어도 1층의 상기 유전체층을 각각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도체는 제 3 외부 접속 도체 및 제 4 외부 접속 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군은 상기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복수 갖고,
    상기 각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3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각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4 외부 접속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3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3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3 내부 전극이,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3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4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당해 제 4 내부 전극의 총 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제 4 내부 전극이,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4 단자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제 1 콘덴서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서 제 2 콘덴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과 상기 제 2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20070070104A 2006-07-12 2007-07-12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0899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1833A JP4293560B2 (ja) 2006-07-12 2006-07-12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JP-P-2006-00191833 200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97A KR20080006497A (ko) 2008-01-16
KR100899300B1 true KR100899300B1 (ko) 2009-05-27

Family

ID=3894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104A KR100899300B1 (ko) 2006-07-12 2007-07-12 적층 콘덴서 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11776B2 (ko)
JP (1) JP4293560B2 (ko)
KR (1) KR100899300B1 (ko)
CN (1) CN1011060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8276B2 (ja) * 2006-05-22 2013-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KR100970838B1 (ko) * 2007-05-22 2010-07-1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0905879B1 (ko) * 2007-09-28 2009-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EP2192364B1 (en) 2007-11-05 2018-10-3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4428446B2 (ja) * 2007-12-28 2010-03-10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4502006B2 (ja) * 2007-12-28 2010-07-14 Tdk株式会社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4548492B2 (ja) * 2008-02-13 2010-09-22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KR100925628B1 (ko) * 2008-03-07 2009-1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JP4450084B2 (ja) * 2008-03-14 2010-04-14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5077180B2 (ja) * 2008-10-10 2012-11-21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5093044B2 (ja) * 2008-10-20 2012-12-0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8198547B2 (en) 2009-07-23 2012-06-12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ass-through component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8735734B2 (en) 2009-07-23 2014-05-27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delay line components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5409443B2 (ja) * 2010-03-03 2014-0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5201223B2 (ja) * 2011-01-28 2013-06-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基板モジュール
JP5353911B2 (ja) * 2011-01-28 2013-11-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基板モジュール
WO2012108122A1 (ja) * 2011-02-08 2012-08-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デンサアレイ、及び、コンデンサアレイの実装方法
US8752280B2 (en) 2011-09-30 2014-06-17 Lexmark International, Inc. Extrus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8943684B2 (en) * 2011-08-31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extrus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8790520B2 (en) 2011-08-31 2014-07-29 Lexmark International, Inc. Die press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9078374B2 (en) 2011-08-31 2015-07-07 Lexmark International, Inc. Screen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8658245B2 (en) 2011-08-31 2014-02-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pin coat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9009954B2 (en) 2011-08-31 2015-04-21 Lexmark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a sacrificial constraining material
USD689053S1 (en) * 2011-11-15 2013-09-03 Connectblue Ab Module
USD692896S1 (en) * 2011-11-15 2013-11-05 Connectblue Ab Module
USD668658S1 (en) * 2011-11-15 2012-10-09 Connectblue Ab Module
USD668659S1 (en) * 2011-11-15 2012-10-09 Connectblue Ab Module
USD680545S1 (en) * 2011-11-15 2013-04-23 Connectblue Ab Module
USD680119S1 (en) * 2011-11-15 2013-04-16 Connectblue Ab Module
US8822838B2 (en) 2012-03-29 2014-09-02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having conductive channels for reducing radiated emissions
US8912452B2 (en) 2012-03-29 2014-1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having different dielectric regions
US8822840B2 (en) 2012-03-29 2014-09-02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having conductive channel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line impedance
US8830692B2 (en) * 2012-03-29 2014-09-09 Lexmark International, Inc. Ball grid array systems for surface mounting an integrated circuit using a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
DE102012104033A1 (de) 2012-05-08 2013-11-14 Epcos Ag Keramischer Vielschichtkondensator
US9837209B2 (en) 2012-11-21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Capacitor structure for wideband resonance suppression in power delivery networks
KR101994713B1 (ko) 2013-04-22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514514B1 (ko) * 2013-04-22 2015-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04780B1 (ko) * 2014-01-27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879A (ja) * 1999-05-19 2000-11-30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2004273701A (ja) * 2003-03-07 2004-09-30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JP2005347314A (ja) 2004-05-31 2005-12-15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844B2 (ja) 1991-01-16 1998-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ィルタ
JP3330836B2 (ja) * 1997-01-22 2002-09-30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H1126291A (ja) 1997-07-01 1999-01-29 Taiyo Yuden Co Ltd チップ型コンデンサアレイ
JPH1167507A (ja) 1997-08-26 1999-03-09 Taiyo Yuden Co Ltd チップ型cr複合アレイ
US6266229B1 (en) * 1997-11-10 2001-07-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JP3489728B2 (ja) * 1999-10-18 2004-0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および高周波回路
AU2001271139A1 (en) * 2000-07-06 2002-01-14 Phycomp Holding B.V. Ceramic multilayer capacitor array
JP3788329B2 (ja) * 2001-11-29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デンサアレイ
TWI260657B (en) * 2002-04-15 2006-08-21 Avx Corp Plated terminations
US6819543B2 (en) * 2002-12-31 2004-11-16 Intel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with multiple plates per layer
KR100649579B1 (ko) 2004-12-07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및 적층형 캐패시터 어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879A (ja) * 1999-05-19 2000-11-30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2004273701A (ja) * 2003-03-07 2004-09-30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JP2005347314A (ja) 2004-05-31 2005-12-15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93560B2 (ja) 2009-07-08
US7411776B2 (en) 2008-08-12
CN101106019B (zh) 2010-06-09
CN101106019A (zh) 2008-01-16
JP2008021797A (ja) 2008-01-31
KR20080006497A (ko) 2008-01-16
US20080013250A1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30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US8488296B2 (en) Multilayer capacitor
JP4400622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354475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20050219791A1 (en) Multilayer capacitor
JP4475298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2053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4335237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2007317786A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06261584A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339693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JP4475338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428446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040769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2730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26646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4952779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