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118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118B1
KR100896118B1 KR1020077012343A KR20077012343A KR100896118B1 KR 100896118 B1 KR100896118 B1 KR 100896118B1 KR 1020077012343 A KR1020077012343 A KR 1020077012343A KR 20077012343 A KR20077012343 A KR 20077012343A KR 100896118 B1 KR100896118 B1 KR 10089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unit
information
nonvolatile memory
eepr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633A (ko
Inventor
아키노리 나카이
세이지 오카
히데카즈 구도우
다카시 도쿠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실내기(1)의 적외선 송수신부(13)가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받으면, 실내기(1)의 제1 EEPROM(11)과, 실외기(2)의 제2 EEPROM(23)에, 환기 운전 온의 정보를 기억한다. 가습 유닛(22) 내의 송풍기를 기동하는 동시에, 급배기관(6)에 접속된 교환 댐퍼를 바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또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한다. 정전에 의해 환기 운전이 일단 정지한 경우, 정전 복귀 후에, 제1 EEPROM(11)에 기억된 환기 운전 온의 정보에 의거해, 환기 운전을 재개한다. 조작자에 의한 환기 운전 오프의 지령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기 운전이 정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부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를 급배기관으로 접속하고, 이 급배기관의 일단을, 실외기에 설치한 송풍기의 흡입측과 분출측에, 댐퍼로 교환 가능하게 접속한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3-176944호 공보).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댐퍼의 제1 교환 위치에서는, 상기 급배기관이 송풍기의 흡입측에 접속되고, 상기 송풍기가, 상기 급배기관 및 실내기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해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댐퍼의 제2 교환 위치에서는, 상기 급배기관이 송풍기의 분출측에 접속되고, 상기 송풍기가, 상기 급배기관 및 실내기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공기 조화기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또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환기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는, 조작자로부터 운전 상태의 지령을 받아, 이 지령에 따른 신호를 실내기로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조작자 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환기 운전을 지령한 경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상기 댐퍼 및 송풍기를 제어하여, 환기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환기 운전을 행할 때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정전이 해소되어도 정지 상태로 되어, 정전 전의 환기 운전으로 복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환기 운전을 하고 있을 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전지를 교환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초기 상태의 신호가 실내기로 송신되어, 공기 조화기가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 건축 기준법의 개정에 의해, 소위 환자가 있는 집의 대책을 위해, 원칙적으로 모든 건축물에, 기계 환기 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상술과 같이, 조작자에 의한 환기 운전의 정지 지령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기 운전이 정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건축 기준법에 정해진 기계 환기 설비로서 기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자에 의한 환기 운전의 정지 지령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기 운전이 정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를 환기하는 환기부와,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불휘발성 메모리와,
금회 운전시에,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상기 환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회 운전시에 환기부가 작동 상태인 경우, 금회 운전시에,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로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에 의거해, 상기 환기부의 운전이 작동 상태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전회 운전시의 운전 상태와 동일한 운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환기부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면 정전에 의하여 환기 운전이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도, 정전 복귀후의 금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와 같이 환기 운전의 정지 지령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기 운전이 정지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환기부의 운전 상태를 지령하는 지령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운전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실내기와,
상기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운전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의 조작자의 입력에 따라 이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부로부터 지령 신호가 송신된다. 실내기의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지령 신호가 수신되고, 이 지령 신호에 따른 운전 상태에서 환기부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의 제1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 신호가, 상기 실내기의 송신부에 의하여 송신된다. 이 운전 정보 신호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수신부에서 수신된다. 따라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예를 들면 전지의 교환 등에 의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경우에 있어서도, 실내기의 제1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리모트 컨트롤러와 실내기와의 사이에서 운전 정보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에 환기 운전의 정지 지령이 입력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초기 상태의 지령 신호가 실내기로 송신되어, 환기부의 운전이 정지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의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실외기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외기의 제2 불휘발성 메모리에,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의 운전 정보를 기억시키므로, 예를 들면 실내기의 고장이나 교환 등에 의한 제1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운전 정보의 소실 등에 대비하여, 환기부의 운전 정보의 백업을 행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의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3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3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 신호를 실내기로 송신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3 불휘발성 메모리에, 전회 운전시의 환기부의 운전 정보가 기억된다. 이 제3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 신호가, 상기 송신부에 의하여 실내기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전장품의 교환이나 다른 원인에 의한 제1 또는 제2 불휘발성 메모리의 운전 정보의 소실에 대비하여, 전회 운전시의 환기부의 운전 정보의 백업을 행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회 운전시에, 상기 실내기의 수신부가 환기부의 환기의 실행을 지령하는 지령 신호를 받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 제2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제3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로 표시되는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의 운전 상태가, 환기의 실행인 경우, 이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상기 전회의 운전 상태와 동일한 운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환기부의 운전을 제어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금회 운전시에, 상기 수신부가 환기부의 환기의 실행을 지령하는 지령 신호를 받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 제2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제3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가 참조된다. 이 제1 불휘발성 메모리, 제2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제3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로 표시되는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의 운전 상태가, 환기의 실행인 경우, 이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상기 전회의 운전 상태와 동일한 운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환기부의 운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회 운전이 정전 등으로 정지한 경우, 금회 운전을 재개할 때에 조작자에 의하여 환기 실행의 지령을 받지 않아도, 전회 운전과 동일하게 환기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금회 운전시에, 전회 운전시의 운전 상태 중, 적어도 일부 운전 상태와 동일한 운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환기부의 운전을 제어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를 환기하는 환기부와,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불휘발성 메모리와, 금회 운전시에,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상기 환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므로, 전회 운전시에, 예를 들면 정전에 의하여 환기 운전이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도, 정전 복귀후의 금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을 재개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있어서와 같은 정전 복귀후에 환기 운전이 정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의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뿐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a는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4b는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의 형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벽면 등에 배치되는 실내기(1)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2)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1)와 실외기(2)는, 냉매 배관(5)과 급배기관(6)과 연결 배선(8)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상기 냉매 배관(5)을 통해 실외기(2)로부터 냉매가 공급되는 도시하지 않은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바람을 인도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을 가진다. 또한,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에 의하여 생성되는 바람 통로상에, 상기 급배기관(6)에 연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이 개구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또한, 실내 공기를 실외에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는, 후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서의 무선 리모콘(3)과의 사이에서 적외선 신호를 주고 받는 적외선 송수신부(13)를 가진다. 상세히는, 이 적외선 송수신부(13)는, 상기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 운전 모드, 설정 온도, 설정 풍량 및 풍향 등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지령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상기 무선 리모콘(3)에,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13)는, 수신부 및 송신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무선 리모콘(3)은, 실내의 조작자에 의하여, 설정 온도, 설정 풍량 및 풍향 등의 운전 상태가 지령되어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무선 리모콘(3)은, 상기 실내기(1)와의 사이에서 적외선 신호를 주고 받는 적외선 송수신부(31)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에의 입력에 따른 지령 신호를 실내기(1)에 송신하는 동시에, 이 실내기(1)로부터 운전 정보에 관한 운전 정보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31)는, 수신부 및 송신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1)는, 금회 운전시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제1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1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1)는, 상기 실외기(2)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을 행하는 정보 통신부를 가지고, 상기 무선 리모콘(3)로부터 받은 지령 신호를 실외기(2)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통신부는, 금회 운전시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상기 제1 EEPEOM(11)에 기억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 신호를 실외기(2)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실외기(2)로부터, 전회 운전시의 공기 조화기에 관한 운전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실외 유닛(21)과 가습 유닛(22)을 구비한다. 상기 실외 유닛(21) 내에,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매를 단열 팽창하여 감압하는 팽창기와,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냉매의 흐르는 방향을 바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바꾸는 4로 전환 밸브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외 유닛(21) 내에는 전장 부품이 수용되어 있고, 이 전장 부품은, 공기 조화기의 전원 회로와, CPU로 구성된 제어부(7)를 포함한다. 이 CPU는,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내, 공기 조화기의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냉매 배관(5)은, 실외 유닛(21)에 접속되고, 4로 변환 밸브의 교환 제어 및 압축기의 용량 제어에 의해 소정 온도·압력의 냉매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2)의 가습 유닛(22) 내에는, 제오라이트 등의 수분 흡착재로 형성된 가습 로터와, 흡입축에 상기 가습 로터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송풍기와, 상기 급배기관(6)을 상기 송풍기의 흡입측 및 분출측에 바꿔 접속하는 접속 댐퍼가 수용되어 있다. 이 접속 댐퍼의 제1 교환 위치에서는, 상기 급배기관(6)이 송풍기의 흡입측에 접속되고, 상기 송풍기가, 상기 급배기관(6) 및 실내기(1)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해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접속 댐퍼의 제2 교환 위치에서는, 상기 급배기관(6)이 송풍기의 분출측에 접속되고, 상기 송풍기가, 상기 가습 로터를 경유하여 가습된 실외공기, 또는, 상기 가습 로터를 경유하지 않은 실외 공기를, 상기 급배기관(6) 및 실내기(1)를 통해 실내로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실내기(1), 급배기관(6) 및 실외기(2)를 통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환기 운전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실내기의 통풍로에 형성된 개구와, 이 개구에 연통하는 급배기관(6)과, 이 급배기관(6)에 접속되는 송풍기와, 이 송풍기에 대한 급배기관(6)의 접속을 바꾸는 접속 댐퍼로, 환기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실내기(1)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을 행하는 정보 통신부를 가지고, 상기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 송신되어 실내기(1)의 송수신부(13)가 수신한 지령 신호를, 이 실내기(1)의 정보 통신부에서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통신부가 실내기(1)로부터 받은 금회 운전 시의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EEPROM(23)을 구비한다.
상기 실외 유닛(21) 내의 전장 부품에 설치된 제어부(7)는, 실내기(1)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의거해, 상기 압축기의 용량 제어 및 발전 정지(發停)와, 상기 4로 변환 밸브의 교환과, 상기 송풍기의 용량 및 발전 정지와, 상기 접속 댐퍼의 교환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는, 이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에 대하여, 제1 EEPROM(11)에의 저장 및 독출이나 무선 리모콘(3)에의 송수신이나, 제2 EEPROM(23)에의 저장 및 독출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의한 환기 동작을, 도 2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플로우 챠트는, 제어부(7)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공기 조화기의 전원이 투입되어, 공기 조화기가 기동한다(단계 S1). 전원 투입에 의해 제어부(7)가 기동되고,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 환기 운전을 온 하는 내용의 지령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무선 리모콘(3)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 실내기(1)의 제1 EEPROM(11)에, 환기 운전 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3). 계속해서, 실외기(2)의 제2 EEPROM(2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4).
계속해서, 무선 리모콘(3)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환기 운전 온을 나타내는 내용인지, 또는 환기 운전 오프를 나타내는 내용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
상기 단계 S2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3)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실내기(1)의 제1 EEPROM(1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이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의 정보이고,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계 S5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7에 있어서, 상기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오프의 정보인 경우, 제2 EEPROM(2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고,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이 제2 EEPROM(23)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의 정보이고,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EEPROM(11)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11). 계속해서, 무선 리모콘(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운전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12). 이 후, 상기 단계 S5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10에 있어서, 상기 제2 EEPROM(23)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오프의 정보인 경우, 상기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환기운전 온을 나타내는 내용인 경우, 환기 운전을 실행한다(단계 S6). 즉, 실외기(2)의 접속 댐퍼를 바꾸고, 급배기관(6)을 송풍기의 흡입측 또는 분출측에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기를 기동한다.
단계 S5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3)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환기 운전 오프를 나타내는 내용인 경우,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이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인 경우, 상기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환기 운전을 실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8에 있어서,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오프인 경우, 환기 운전을 정지 상태로 한다(단계 S9).
상기 단계 S6 및 단계 S9 후, 단계 S2로 되돌아가, 무선 리모콘(3)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조작자에 의하여 환기 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입력이 리모콘에 이루어진 경우, 이 리모콘으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환기 운전을 행한다. 한편, 조작자에 의하여 환기 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입력이 리모콘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행해진 경우는, 제1 EEPROM(11) 또는 제2 EEPROM(23)에 기억된 운전 온의 기억 정보에 의거해, 환기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전에 의하여 환기 운 전이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자가 환기 운전의 온을 입력하지 않아도, 정전 복귀후의 금회 운전시에, 정전 전의 전회 운전시와 동일한 환기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 운전의 정지 지령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전 복귀후에 환기 운전을 재개할 수 없어 정지 상태로 된다고 하는 종래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상태 이외의 풍량이나 풍향 등의 운전 상태는, 금회 운전시에 초기 상태로 되돌려도 되고, 혹은, 작동 상태와 동일하게 전회 운전시에 제1 EEPROM(11)에 기억하여, 금회 운전시에 전회 운전시와 동일한 운전 상태를 재현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환기부의 운전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1 EEPROM(11)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무선 리모콘(3)에 송신되므로, 이 무선 리모콘(3)이, 예를 들면 전지 교환 등에 의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경우라도, 상기 실내기(1)와 무선 리모콘(3)과의 사이에서 운전 정보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로부터 무선 리모콘(3)에 환기 운전의 정지 지령이 입력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상태의 지령 신호가 실내기(1)로 송신되어, 환기부의 운전이 정지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의 제1 EEPROM(11)에 기억시키는 운전 정보를, 실외기(2)의 제2 EEPROM(23)에 기억시켜 백 업을 행하므로, 예를 들면 실내기(1)의 고장이나 교환 등에 의하여 제1 EEPROM(11)의 운전 정보가 소실되어도, 제2 EEPROM(23)에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환기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정전이나, 실내기(1)의 고장이 나, 무선 리모콘(3)의 초기화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 조작자에 의한 환기 운전의 오프 지령을 받을 때까지, 전원의 투입 상태하, 환기 운전을 실행하여 계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공기 조화기는, 환풍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기(1)와 실외기(2)가, 냉매 배관(5)과 급배기관(6)과 연결 배선(8)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금회 운전시의 운전 정보를, 제1 EEPROM(11) 및 제2 EEPROM(23)에 덧붙여, 제3 EEPROM(33)에 기억한다. 이에 따라, 실내기나 실외기의 고장이나 전장품의 교환 등에 의해, 제1 및 제2 EEPROM(11, 23)에 기억된 운전 정보가 소실되어도, 제3 EEPROM(33)에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전회 운전시와 동일한 환기 운전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무선 리모콘(3)이 제3 EEPROM(33)을 가지고, 이 제3 EEPROM(33)에 실내기(1)로부터 수신한 운전 정보를 기입, 또한, 이 제3 EEPROM(33)로부터 실내기(1)에 송신하는 운전 정보를 읽어내도록 되어 있다. 이 무선 리모콘(3)은, 상기 실내기(1)와의 사이에서 적외선 신호를 주고 받는 적외 선 송수신부(31)에 의하여, 입력부에의 조작자의 입력에 따른 지령 신호에 덧붙여, 상기 제3 EEPROM(33)로부터 읽어낸 운전 정보를 실내기(1)에 송신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31)에 의하여, 상기 제3 EEPROM(33)에 기입하는 운전 정보를 상기 실내기(1)로부터 수신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무선 리모콘(3)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리모콘(3)과 마찬가지로, 실내의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1)의 적외선 송수신부(13)는, 상기 무선 리모콘(3)로부터, 운전 모드, 설정 온도, 설정 풍량 및 풍향 등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지령하는 지령 신호에 덧붙여, 상기 제3 EEPROM(33)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1)의 적외선 송수신부(13)는, 상기 제3 EEPROM(33)에 기억해야할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 정보 신호를 무선 리모콘(3)에 송신한다.
도 4a 및 4b는,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7)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 의한 환기 동작을, 도 4a 및 4b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공기 조화기의 전원이 투입되어, 공기 조화기가 기동하고(단계 S1), 제어부(7)가 기동되어,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 환기 운전을 온하는 내용의 지령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 실내기(1)의 제1 EEPROM(11)에, 환기 운전 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3). 계속해서, 실외기(2)의 제2 EEPROM(2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4). 또한, 무선 리모콘(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이 무선 리모콘의 제3 EEPROM(3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5).
계속해서,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내용인지, 또는 환기 운전 오프를 표시하는 내용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6).
상기 단계 S2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3)으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실내기(1)의 제1 EEPROM(1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이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의 정보이고,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8에 있어서, 상기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오프의 정보인 경우, 제2 EEPROM(2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이 제2 EEPROM(23)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의 정보이고,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EEPROM(11)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12). 계속해서, 무선 리모콘(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운전 정보를 송신하고, 이 무선 리모콘의 제3 EEPROM(3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13). 그 후, 상기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1에 있어서, 상기 제2 EEPROM(23)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오프의 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 리모콘(3)에 지령하고, 제3 EEPROM(33)에 기 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게 하여 실내 유닛에 송신시키고, 이 실내 유닛이 수신한 정보에 의거해,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상기 제3 EEPROM(33)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의 정보이고,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온이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EEPROM(11)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15). 계속해서, 실외기(2)의 제2 EEPROM(2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킨다(단계 S16). 이 후, 상기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4에 있어서, 제3 EEPROM(33)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오프이고, 전회 운전시에 환기 운전이 오프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6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3)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내용인 경우, 환기 운전을 실행한다(단계 S7).
한편, 단계 S6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3)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환기 운전 오프를 나타내는 내용인 경우,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이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온인 경우, 상기 단계 S7로 되돌아가, 환기 운전을 실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9에 있어서,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가 환기 운전 오프인 경우, 환기 운전을 정지 상태로 한다(단계 S10).
상기 단계 S7 및 단계 S10 후, 단계 S2로 되돌아가, 무선 리모콘(3)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조작자에 의하여 환기 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입력이 리모콘에 이루어진 경우, 이 리모콘으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환기 운전을 행한다. 한편, 조작자에 의하여 환기 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전회 운전 시에 환기 운전이 행해진 경우는, 제1 EEPROM(11), 제2 EEPROM(23), 또는, 제3 EEPROM(33)에 기억된 운전 온의 기억 정보에 의거해, 환기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제1 EEPROM(11) 및 제2 EEPROM(23)의 기억 정보가, 예를 들면 전장 부품의 교환이나 이상 동작 등에 의하여 소실되어도, 조작자의 입력에 상관없이, 전회 운전시와 동일한 환기 운전을, 금회 운전시에 있어서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3)로부터 환기 운전 온의 지령 신호를 수신한 후, 이 무선 리모콘(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제3 EEPROM(3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켰는데(단계 S5), 무선 리모콘(3)에 조작자가 환기 운전 온의 입력을 행했을 시에 제3 EEPROM(33)에 환기 운전 온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시켜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단계 S5를 삭제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EEPROM(23) 또는 제3 EEPROM(33)에 환기 운전 온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이 정보를 일단 제1 EEPROM(11)에 기억하고, 그 후, 이 제1 EEPROM(11)의 기억 정보의 독출을 하여 환기 운전을 실행했는데, 제2 EEPROM(23) 또는 제3 EEPROM(33)에 기억된 환기 운전 온의 정보를 읽어내 즉시 환기 운전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실내기(1)에 제1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제1 EEPROM(11)을 설치했는데, 제1 불휘발성 메모리는 실내기(1)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실외기(2) 또는 무선 리모콘(3)에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실내기(1)의 제1 EEPROM(11)를 삭제하고, 실외기(2)의 제2 EEPROM(23) 또는 무선 리모콘(3)의 제3 EEPROM(33)를, 제1 EEPROM(11)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기는, 실내로의 실외 공기의 공급과, 실외로의 실내 공기의 배출의 적어도 한쪽을 말한다. 또한, 조작자의 입력 조건이나, 다른 조건에 의거해, 실외 공기의 공급과 실내 공기의 배출을 교대로 행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 및 제3 EEPROM(11, 23, 33)에는, 전회 운전시의 환기 운전의 온 또는 오프의 정보를 기억시켰는데, 환기 운전의 온 또는 오프 정보 외에, 환기 운전에 있어서의 흡기 또는 배기의 구별, 풍량, 풍향, 가습 운전의 유무 및 설정 온도 등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2)는 가습 로터를 가지는 가습 유닛(22)에 급배기관(6)을 접속했는데, 가습 로터를 가지지 않는 송풍기 유닛에 급배기관(6)을 접속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환기부는 일단이 실내기로 연통하는 동시에 타단이 실외로 개방된 급배기관과, 상기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급배기관을 통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또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인도하는 팬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이외에, RAM이나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장치 등을 이용해도 되고, 요는, 전원이 절단되어도 기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메모리이면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1)와 실외기(2)를 급배기관(6), 냉매 배관(5) 및 연결 배선(8)으로 접속하여 구성했는데, 실내기(1)와 실외기(2)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이는 다양하게 변경해도 되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의 일탈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변경은 전부, 다음에 계속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5)

  1. 실내를 환기하는 환기부(6)와,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6)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불휘발성 메모리(11)와,
    금회 운전시에,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11)에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상기 환기부(6)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7)와,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11)와, 상기 환기부(6)의 운전 상태를 지령하는 지령 신호를 받는 수신부(13)와,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11)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운전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3)를 갖는 실내기(1)와,
    상기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1)와, 상기 운전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11)에 기억된 상기 운전 정보 신호를 주고 받아 상기 실내기(1)의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11)에 기억된 운전 상태와 동일한 정보를 얻어, 적어도 정전 복귀 시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와 상기 실내기(1) 사이에서 운전 정보의 어긋남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6)의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불휘발성 메모리(23)를 갖는 실외기(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는, 전회 운전시의 상기 환기부(6)의 운전 정보를 기억하는 제3 불휘발성 메모리(33)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31)가, 상기 제3 불휘발성 메모리(33)에 기억된 운전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정보신호를 실내기(1)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금회 운전시에, 상기 실내기의 수신부(13)가 환기부(6)의 환기의 실행을 지령하는 지령 신호를 받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제1 불휘발성 메모리(11), 제2 불휘발성 메모리(23) 또는 제3 불휘발성 메모리(33)에 기억된 운전 정보로 표시되는 전회 운전 시의 상기 환기부(6)의 운전 상태가, 환기의 실행인 경우, 이 기억된 운전 정보에 의거해, 상기 전회의 운전 상태와 동일한 운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환기부(6)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77012343A 2004-11-30 2005-11-30 공기 조화기 KR100896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5923 2004-11-30
JP2004345923 2004-11-30
JP2005326483A JP3861918B2 (ja) 2004-11-30 2005-11-10 空気調和機
JPJP-P-2005-00326483 2005-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633A KR20070084633A (ko) 2007-08-24
KR100896118B1 true KR100896118B1 (ko) 2009-05-07

Family

ID=3656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343A KR100896118B1 (ko) 2004-11-30 2005-11-30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77541A1 (ko)
EP (1) EP1826499B1 (ko)
JP (1) JP3861918B2 (ko)
KR (1) KR100896118B1 (ko)
AU (1) AU2005310611B2 (ko)
ES (1) ES2441355T3 (ko)
WO (1) WO2006059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7873A (zh) * 2011-06-23 2011-12-21 周良文 一种外置风机的空调
JP5787842B2 (ja) * 2012-08-09 2015-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室内機、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6207958B2 (ja) * 2013-10-07 2017-10-04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11121156B (zh) * 2020-01-20 2021-06-04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多联空调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011A (ja) * 1995-10-17 1997-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内外分離型空気調和装置
KR20000008585A (ko) * 1998-07-14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정전복귀 운전장치 및 그 방법
JP2001241740A (ja) 2000-03-01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7928A (en) * 1988-12-15 1990-08-14 Carrier Corporation VAV system coordinator
JP2926282B2 (ja) * 1991-06-06 1999-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5344070A (en) * 1993-01-07 1994-09-06 Calsonic Corporation Computer-controlled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fuzzy inference
US5988860A (en) * 1996-07-18 1999-11-23 Innovex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air flow having a sash
JPH10122635A (ja) * 1996-10-17 1998-05-15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WO1999047864A1 (en) * 1998-03-16 1999-09-23 Asys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minienvironment
JP4135253B2 (ja) * 1998-05-13 2008-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569654B2 (ja) * 1999-09-30 2004-09-22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換気扇
US6453687B2 (en) * 2000-01-07 2002-09-24 Robertshaw Controls Company Refrigeration monitor unit
DE60101388T2 (de) * 2000-04-10 2004-09-16 Zensys A/S Hf-hausautomatisierungssystem mit vervielfältigbaren steuerungen
JP2002061917A (ja) * 2000-08-22 2002-02-28 Sanyo Electric Co Ltd 停電自動復帰制御装置及びこの停電自動復帰制御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
US6870477B2 (en) * 2001-07-31 2005-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mobile seating platform
US6622925B2 (en) * 2001-10-05 2003-09-23 Enerne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ntrol
JP3608548B2 (ja) * 2001-12-07 2005-0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US7832465B2 (en) * 2002-11-07 2010-11-16 Shazhou Zou Affordable and easy to install multi-zone HVAC system
JP3782790B2 (ja) * 2003-04-28 2006-06-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用冷凍ユニット
US20050023363A1 (en) * 2003-05-29 2005-02-03 Sharma Ratnesh K. CRAC unit control based on re-circulation index
US7083109B2 (en) * 2003-08-18 2006-08-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ostat having modulated and non-modulated provisions
US6851621B1 (en) * 2003-08-18 2005-0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DA diagnosis of thermostats
US7345998B2 (en) * 2004-12-15 2008-03-18 Smart Labs, Inc. Mesh network of intelligent devices communicating via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JP4396779B2 (ja) * 2008-01-24 2010-01-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011A (ja) * 1995-10-17 1997-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内外分離型空気調和装置
KR20000008585A (ko) * 1998-07-14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정전복귀 운전장치 및 그 방법
JP2001241740A (ja) 2000-03-01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77541A1 (en) 2007-12-06
AU2005310611B2 (en) 2009-06-04
JP2006183991A (ja) 2006-07-13
ES2441355T3 (es) 2014-02-04
EP1826499A1 (en) 2007-08-29
JP3861918B2 (ja) 2006-12-27
EP1826499B1 (en) 2013-12-25
EP1826499A4 (en) 2010-11-24
WO2006059645A1 (ja) 2006-06-08
KR20070084633A (ko) 2007-08-24
AU2005310611A1 (en)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173B1 (ko) 냉동 공기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7519A (ko) 공조 시스템
US20070137225A1 (en) Air conditioner having unpeopled maintenance function
KR100896118B1 (ko) 공기 조화기
KR10171183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5563B1 (ko)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8163882A1 (ja) 空調システム
CN111587348B (zh) 空调装置
JP2010117084A (ja) 空気調和装置・換気装置連動システム
CN112856728B (zh) 空调装置
CN100504217C (zh) 空调机
JP4580786B2 (ja) 空気調和機及びシェルタ
JP4297793B2 (ja) 空気調和装置
US5513796A (en) Dual control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JP2016205687A (ja) 空気調和機
JP6209745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5299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90136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3569654B2 (ja) 換気扇
JP7229450B1 (ja) 空気調和機
JP428249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560125B1 (ko) 설비통합용 플러그인 제어 시스템
JP2000310423A (ja) 換気制御システム
JP2005069588A (ja) 空気調和機の集中制御システム
CN102622019B (zh) 通信机房温控系统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