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563B1 -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563B1
KR101845563B1 KR1020110108242A KR20110108242A KR101845563B1 KR 101845563 B1 KR101845563 B1 KR 101845563B1 KR 1020110108242 A KR1020110108242 A KR 1020110108242A KR 20110108242 A KR20110108242 A KR 20110108242A KR 101845563 B1 KR101845563 B1 KR 101845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data
control device
outdoor unit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007A (ko
Inventor
한승진
최우주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563B1/ko
Priority to EP12170285.6A priority patent/EP2584277B1/en
Priority to US13/655,724 priority patent/US9151508B2/en
Publication of KR2013004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9Remote control for pres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설정 공간의 공기 조화를 위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상기 공기 조화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장치; 및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트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 network system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설정공간(일례로,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에는 압축기 및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되며, 실내기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냉동사이클이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한다. 반면에, 냉동사이클이 난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실내기와 실외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조화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실내기(1)와, 상기 다수의 실내기(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실외기(2) 및 상기 실내기(1)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실외기(2) 중 일 실외기에 전달하는 제어장치(5)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장치(5)는 상기 다수의 실내기 중 제 1 실내기(1)에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 1 실내기(1)와 매칭되는 특정 실외기(2)로 상기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어장치(5)는 단순히 실내기(1)와 실외기(2)를 매칭하여, 실내기(1)의 제어 정보를 상기 실외기(2)에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반면, 공기 조화기는 외기 조건이나 실내 부하에 따라, 작동 기준이 되는 상태정보 또는 기능정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태정보 또는 기능정보는 주기적으로 또는 소정 기준에 따라 업데이트 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정보의 업데이트가 원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한되어, 공기 조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서비스 기사가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상기 상태정보 또는 기능정보를 업데이트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 구조를 개선하여, 특정 정보의 업데이트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설정 공간의 공기 조화를 위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상기 공기 조화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장치; 및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트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실외기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업데이트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가 상기 실외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데이터가 상기 실외기의 제 1 메모리에 우선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메모리로부터 상기 실외기의 제 2 메모리로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관련한 데이터가 원격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기에 외부 메모리가 제공되어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실외기 제어부에 온보딩 될 수 있으므로, 업데이터 처리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데이터가 실외기 제어부에 온보딩 되는 과정에서, 실외기 또는 공기조화기가 작동 정지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데이터가 다수의 실외기에 한번에 업데이트 될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업데이트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외부 메모리에 우선 저장되고 특정 신호가 수신되면 실외기 제어부에 온보딩 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온보딩 과정이 실패되더라도 데이터가 손실될 우려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온보딩 과정이 실패되는 경우,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보딩 작업이 복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에서의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처리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실외기(200)에 업데이트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실외기(200)에 업데이트 수행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장치(1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이 되는 데이터는, "업데이트용 데이터" 또는 "온보딩(on-boarding) 데이터"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200)에는 다수의 실외기가 포함된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에 따라 운전되는 과정에서, 외기 조건 또는 실내 부하(일례로, 운전 실내기의 수)등에 따라 운전의 기초가 되는 상태정보 또는 기능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은 소정 조건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는 상기 정보들에 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에는, 일례로, 다양한 온도조건(사이클을 구성하는 온도값 또는 외기온도 조건) 또는 압축기의 운전조건(운전주파수 또는 운전율)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실내기에서 인식된 제어신호를 상기 실외기(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실내기를 통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에서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와 상기 다수의 실외기(200)간에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50)가 규정된다.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50)에는, 직렬통신 방식(serial communication)으로서 RS485 통신방식이 포함된다. 상기 RS485 통신방식은 다자 대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200)에는, 상기 실외기 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실외기 제어부(210) 및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에서 처리될 데이터가 별도로 또는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외부 메모리(250)가 포함된다.
상기 외부 메모리(250)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정보 저장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메모리(2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메모리(250)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온보딩 되는 과정이 실패되더라도, 데이터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데이터 처리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에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211)와, 상기 중앙 처리부(211)에서 처리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215) 및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또는 이미지)를 읽어 상기 내부 메모리(215)에 저장(온보딩 또는 writing) 될 수 있도록 하는 부트 로더(boot loader, 21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부트 로더(213)는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내부 메모리(215) 또는 내부 메모리(215)의 데이터가 초기화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메모리(215)에는, "ROM" 또는 "RAM"이 포함된다. 그리고, 설명의 구분을 위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250)를 "제 1 메모리", 상기 내부 메모리(215)를 "제 2 메모리"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부트 로더(213)가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에는, 상기 제어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제어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제 1 영역 및 업데이트용 데이터(온보딩 이미지)가 처리되기 위한 제 2 영역이 규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가 실외기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는 공기 조화기 전체를 제어하는 구성, 즉 넓은 의미의 "제어부"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장착위치는 실외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내기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제어부는 단순히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에서의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처리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장치(100)와 실외기(200)간 통신연결이 이루어진다(S11).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2).
상기 공기 조화기에 실외기(200)의 작동과 관련한 소정의 제어신호가 인식되면, 일례로 실내기에 소정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실외기(2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200)는 냉매 사이클 구동과 관련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OFF 되거나, 실내공간의 희망온도가 변경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압축기 또는 송풍팬의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S13).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실외기(200)에 업데이트 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어장치(100)로부터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로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에 기초한다(S14,S15).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로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중앙 처리부(211)는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writing) 한다 (도 5의 ① 참조).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는,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인식되지 않는 한,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저장 과정은 다수 회 이루어질 수 있다(S16).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에서,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의 발생여부는, 상기 제어장치(100)를 통한 소정의 명령입력 또는 실외기(200)의 운전 정지시 자동 신호발생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장치(100)의 조작자가 업데이트 수행을 위한 소정의 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은 정지된다. 즉,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은 정지된다(S17,S18).
반면에, 상기 제어장치(100)를 통한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이 정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에는, 실내기에서 "POWER OFF" 명령이 입력된 경우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제어장치(100)가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 정지상태를 모니터링 하면, 상기 제어장치(100)는 자동으로 상기 실외기(200)에 업데이트 수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는 상기 외부 메모리(250)로부터 상기 내부 메모리(215)로 writing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트 로더(213)는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reading(도 5, ② 참조)하여,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상기 내부 메모리(215)에 writing(도 5, ③ 참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실외기의 제어신호가 같이 수신된 경우, 제어 데이터와 온보딩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에서 처리(또는 내부 메모리(215)에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의 양 또는 형식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 및 제어신호는 1회씩 번갈아 가며 처리(또는 저장)될 수 있다(S19).
이와 같이, 제어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실외기(200)로 전송되더라도,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바로 내부 메모리(215)에 저장하지 않고,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에서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수신되면 일괄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처리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공기조화 시스템 또는 실외기가 작동 정지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를 한번에 모아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 또는 실외기의 작동 정지상태를 최소화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0)로부터 다수의 실외기(200)로 동시에 데이터가 업데이트가 될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 구성 및 제어방법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다수의 실외기(200)에 업데이트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실외기(200)에 업데이트 수행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어장치(310,32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장치(310,320)에는, 상기 다수의 실외기(20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업데이트용 데이터 및 업데이트 수행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제어장치(310) 및 상기 제 1 제어장치(3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제어장치(3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수의 실외기(200)로 전송하는 제 2 제어장치(3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장치(310) 또는 제 2 제어장치(320)는 상기 실내기에서 인식된 제어신호를 상기 실외기(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실내기를 통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제어장치(310) 또는 제 2 제어장치(320)는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에서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장치(320)는 상기 다수의 실외기(200)가 설치되는 공간 또는 건물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어장치(310)는 상기 다수의 실외기(200) 또는 제 2 제어장치(320)로부터 원거리에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어장치(320)는 상기 실외기(200) 또는 공기 조화기를 관리하는 관리센터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장치(310)는 다수의 제 2 제어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장치(310)와 제 2 제어장치(320)의 사이에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60)가 규정된다.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60)에는, 인터넷(350)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에 관한 TCP/IP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장치(320)와 다수의 실외기(200)의 사이에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370)가 규정된다.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RS485 통신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제어장치(320)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60)를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 형식을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370)에 따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00)에는, 상기 실외기 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실외기 제어부(210) 및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에서 처리될 데이터가 별도로 또는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외부 메모리(250)가 포함된다.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 및 외부 메모리(250)에 관한 상세구조 및 작용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내용을 원용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2 제어장치(310,320)와 다수의 실외기(200)간 통신연결이 이루어진다(S21). 그리고, 상기 제 1,2 제어장치(310,320)는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상기 실외기(200)에 실외기(20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에 실외기(200)의 작동과 관련한 소정의 제어신호가 인식되면, 일례로 실내기에 소정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제어장치(310) 또는 제 2 제어장치(320)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실외기(2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200)는 냉매 사이클 구동과 관련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S22).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실외기(200)에 업데이트 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 1,2 제어장치(310,320)로부터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로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에 기초한다(S23,S24).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로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중앙 처리부(211)는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writing) 한다 (도 5의 ① 참조).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는,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인식되지 않는 한,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저장 과정은 다수 회 이루어질 수 있다(S25).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실외기(200)가 작동 정지하였는지 여부가 인식된다(S26).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면, 상기 제 1 제어장치(310)로부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는 상기 제 2 제어장치(320)를 거쳐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로 전달된다. 즉,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 정지여부에 따라,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상기 제 1 제어장치(310)로부터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S27).
다만,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는 상기 제 1 제어장치(310) 또는 제 2 제어장치(320)를 통한 소정의 명령입력에 의하여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제 1 제어장치(310) 또는 제 2 제어장치(320)를 통하여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실외기(200)의 작동은 정지된다.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는 상기 외부 메모리(250)로부터 상기 내부 메모리(215)로 writing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트 로더(213)는 상기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reading(도 5, ② 참조)하여,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상기 내부 메모리(215)에 writing(도 5, ③ 참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실외기의 제어신호가 같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 데이터와 온보딩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상기 실외기 제어부(210)에서 처리(또는 저장)될 수 있다(S28).
이와 같이, 상기 제 1,2 제어장치(310,320)로부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실외기(200)로 전송되더라도,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바로 내부 메모리(215)에 저장하지 않고, 외부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에서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수신되면 일괄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처리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10 : 네트워크 시스템 100 : 제어장치
150 : 통신 인터페이스 200 : 실외기
210 : 실외기제어부 211 : 중앙 처리부
213 : 부트 로더 215 : 내부 메모리
250 : 외부 메모리 310 : 제 1 제어장치
320 : 제 2 제어장치 350 : 인터넷
360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370 :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15)

  1. 설정 공간의 공기 조화를 위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상기 공기 조화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장치;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며,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외부메모리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업데이트 수행신호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내부메모리와,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읽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온보딩시키는 부트로더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업데이트 수행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수행 신호가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에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우선 저장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수행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온보딩시키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업데이트 수행 신호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양 또는 형식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공기 조화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 로더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초기화 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와 제어장치는 RS485 통신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기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제어장치; 및
    상기 제 1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와 제 1 제어장치의 사이에 규정되며, 인터넷을 통한 TCP/IP 통신방식이 포함되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1 제어장치와 공기 조화기의 사이에 규정되며, RS485 통신방식이 포함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기 및 실외기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실외기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실내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실외기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전달할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상기 실외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가 상기 실외기의 제 1 메모리에 우선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메모리로부터 상기 실외기의 제 2 메모리로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신호 및 상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함께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의 양 또는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업데이트용 데이터는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수행을 위한 설정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에는,
    상기 실외기의 작동이 정지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수행신호가 자동 발생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실외기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에는,
    제 1 제어장치와 제 2 제어장치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제어장치와 실외기가 직렬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 2 메모리로 저장되는 단계에는,
    부트 로더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상기 제 2 메모리에 온보딩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다수의 실외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수의 실외기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메모리에 동시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10108242A 2011-10-21 2011-10-21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5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42A KR101845563B1 (ko) 2011-10-21 2011-10-21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12170285.6A EP2584277B1 (en) 2011-10-21 2012-05-31 Network system equipped with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655,724 US9151508B2 (en) 2011-10-21 2012-10-19 Network system equipped with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42A KR101845563B1 (ko) 2011-10-21 2011-10-21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07A KR20130044007A (ko) 2013-05-02
KR101845563B1 true KR101845563B1 (ko) 2018-05-18

Family

ID=4663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242A KR101845563B1 (ko) 2011-10-21 2011-10-21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51508B2 (ko)
EP (1) EP2584277B1 (ko)
KR (1) KR101845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15141D0 (en) * 2013-08-23 2013-10-09 Logicor R & D Ltd Improvements to electric heating system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5276725B (zh) * 2014-07-23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空调热水机组
CN104949288B (zh) * 2015-07-13 2019-0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联空调机组及其程序升级系统和方法、程序升级装置
WO2017077647A1 (ja) * 2015-11-06 2017-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KR101978171B1 (ko) * 2016-05-04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 제어장치, 공조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73034B1 (ko) 2019-06-27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6282B2 (ja) * 1991-06-06 1999-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1000056B1 (ko) 2005-05-19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0730T2 (de) * 2001-10-15 2008-02-07 Lg Electronics Inc. Klimaanlage und zugehoeriges Steuerungsverfahren
JP4129594B2 (ja) * 2003-04-15 2008-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調システム
US7243004B2 (en) * 2004-01-07 2007-07-10 Carrier Corporation Self-configuring controls for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JP4151713B2 (ja) * 2006-07-03 2008-09-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
KR20080072400A (ko) * 2007-02-02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 갱신방법
JP5084816B2 (ja) * 2009-12-02 2012-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内外通信線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6282B2 (ja) * 1991-06-06 1999-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1000056B1 (ko) 2005-05-19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07A (ko) 2013-05-02
US9151508B2 (en) 2015-10-06
EP2584277A1 (en) 2013-04-24
US20130103205A1 (en) 2013-04-25
EP2584277B1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563B1 (ko) 공기 조화기가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699722B2 (ja) マルチエアコンの中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US9810445B2 (en) Air-conditioning system
CN101424424A (zh) 空调及其操作方法
JP602195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5299779A (zh) 空气调节系统
WO2014115318A1 (ja)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JP2018527545A5 (ko)
US9958179B2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089359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058988A (ko) 스탠드 얼론형 에어컨 제어기를 이용한 멀티에어컨 제어방법 및 장치
WO2019030896A1 (ja) プログラム更新方法、室外機及び管理装置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49276B1 (ko)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2055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78565A (ko) 시스템 에어컨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374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279242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209745B2 (ja) 空気調和機
KR2010002634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데이터 갱신방법
KR102346642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98182B1 (ko) 공기조화기의 스케줄 백업장치
JPH01181031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