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979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79B1
KR100894979B1 KR1020020052691A KR20020052691A KR100894979B1 KR 100894979 B1 KR100894979 B1 KR 100894979B1 KR 1020020052691 A KR1020020052691 A KR 1020020052691A KR 20020052691 A KR20020052691 A KR 20020052691A KR 100894979 B1 KR100894979 B1 KR 100894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batt
grip
fishing rod
b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247A (ko
Inventor
신이치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3002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꾼의 체격에 맞추어 연장 배트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후방 그립(15)에 대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연장 배트(13)를 배치하는 위치 결정 기구(22)를 제공하였다. 위치 결정 기구는, 탄성 부재(34)를 통하여 연장 배트(13)를 단단히 조이는 구조이다. 연장 배트(13)는, 보스(32)와 너트(33)의 사이에 탄성 부재(34)를 배치하여 조이도록 하였다.
Figure R1020020052691
송어 낚싯대, 연장 배트, 길이 조정, 탄성 부재, 낚싯대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방 그립(rear grip) 및 연장 배트(extention bat)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 결정 기구의 고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의 고전(尻栓)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변형예에 의한 연장 배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변형예에 의한 연장 배트의 축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변형예에 의한 연장 배트의 패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변형예에 의한 제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변형예에 의한 제동 기구를 구성하는 회전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송어 낚싯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낚싯대
11 : 낚싯대 본체
12 : 그립부
13 : 연장 배트
15 : 후방 그립
22 : 위치 결정 기구
23 : 축부
24 : 패드부
29 : 고정부
30 : 수납부
32 : 보스
33 : 너트
34 : 탄성 부재
48 : 고전
49 : 유지기
60 : 연장 배트
61 : 축부
62 : 패드부
63 : 슬라이드 기구
64 : 암나사
68 : 숫나사
74 : 제동 기구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낚싯대의 그립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송어 낚싯대(trout rod)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이다. 이 장대(1)는, 그립(2)을 포함하고, 이것에 장대 본체(3)가 지지되어 있다. 그립(2)의 후단부에는, 연장 배트(4; extension bat)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연장 배트(4)는, 장대(1)의 소위 튜닝 부품이며, 장대(1)의 안정성 및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활성도가 낮고 경계심이 높은 관리 낚시터의 송어의 맥(artery)을 잡기 위해서는, 장대 팁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할 때, 이 연장 배트(4)를 장착해, 이것을 낚시꾼의 어깨에 맞대서 송어 낚싯대(1)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릴링(reeling)에 의한 장대 팁의 흔들림을 억제해 장대(1)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물고기가 히트(hit)한 후는, 이 연장 배트(4)를 팔꿈치에 따르 게 함으로써, 장대(1)의 조작이 편하게 된다.
그런데, 이 연장 배트(4)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장대의 안정성의 향상을 꾀하는 경우에는, 연장 배트(4)의 길이 L이 낚시꾼의 체격에 합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만, 종래의 장대(1)에서는, 장대(1)의 후단부에 연장 배트(4)를 단지 착탈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길이 L이 낚시꾼의 체격에 합치하지 않고, 연장 배트(4)를 장착했다고 하여도, 낚시꾼에 따라서는 장대(1)의 안정된 유지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낚시꾼의 체격에 맞추어 연장 배트(4)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낚싯대는, 낚싯대 본체와, 낚싯대 본체를 일단측에 지지하는 그립부와, 그립부의 타단측에 제공된 연장 배트와, 연장 배트를 그립부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그립부에 대하여 목적한 위치에 배치하는 위치 결정 기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연장 배트를 상기 그립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 배트를 그립부에 대해서 신축시킬 수 있고, 더욱이 목적한 위치에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낚시꾼의 체격에 맞추어 연장 배트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배트가 불필요한 경우는 이것을 떼어낼 수 있다.
삭제
삭제
(2)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배트가 진퇴할 수 있는 수납부와, 상기 그립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장 배트를 단단히 조이는 조임 자세와 조임을 해제하는 해제 자세 간의 자세 변화가 가능한 고정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 배트가 그립부의 내부에 대해서 진퇴하므로, 연장 배트의 길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그립부 등의 다른 부분의 외형 치수나 형상은 불변이다. 따라서, 연장 배트의 길이를 바꾸는 것에 의해 낚싯대의 조작성을 해치는 일이 없다. 또한, 연장 배트를 고정부에 의해 단단히 조여서 고정하므로, 연장 배트의 위치 결정 또는 위치 결정의 해제를 반복하여도, 연장 배트에 상처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3)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립부의 타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장 배트를 삽통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보스(boss)와, 상기 연장 배트를 삽통시킨 상 태로 상기 보스에게 나합하는 너트와, 상기 보스와 너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장 배트를 위요(圍繞)하도록 배치된 환상 탄성 부재를 가지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너트를 나사 고정해 가는 것에 의해 해당 너트와 보스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해, 환상 탄성 부재가 너트와 보스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이 상태가 고정부의 조임 자세이다. 환상 탄성 부재는 연장 배트를 위요하듯이, 즉 연장 배트의 외주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이 탄성 변형하면, 연장 배트의 외주면을 환상 탄성 부재가 압압하게 된다. 따라서, 연장 배트는 환상 탄성 부재에 의해 단단히 조여지고, 그립부에 대하여 배치된다.
한편, 너트를 역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환상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이 복귀하고, 상기 환상 탄성 부재에 의한 연장 배트의 조임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 상태가 고정부의 해제 자세이고, 이것에 의해, 연장 배트는 그립부에 대해서 자유 자재로 신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상 탄성 부재를 유지기에 의해 유지하고, 유지기는 환상 탄성 부재의 외주면을 접동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환상 탄성 부재가 변형하여 연장 배트에 압압된 경우에서도, 충분히 너트를 나가 고정하여 확실히 연장 배트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유지기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하면, 환상 탄성 부재가 연장 배트에 압압된 경우에, 양자 사이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 너트의 나사 고정이 불충분하게 되는 것도 고려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유지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찰력이 커졌다고 해도, 유지기와 환상 탄 성 부재가 접동하기 때문에, 너트를 충분히 나사 고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1) 실시예의 개괄적 설명과 특징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낚싯대(10)는, 낚싯대 본체(11)와, 그립부(12)와, 연장 배트(13)를 가지고 있다. 낚싯대 본체(11)는, 그립부(12)의 일단측에 지지되고, 연장 배트(13)는 그립부(12)의 타단측에 제공되어 있다.
낚싯대 본체(11)는 가늘고 긴 봉(棒)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탄소 섬유를 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낚싯대 본체(11)의 필요한 위치에는, 낚시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적당히 배설되어 있다.
그립부(12)는, 전방 그립(14; front grip)과, 후방 그립(15; rear grip)과, 이 사이에 개재된 릴 시트(16)를 포함하고 있다.
낚싯대 본체(11)는, 전방 그립(14)을 관통하고 있다. 전방 그립(14)은 공지의 구조이고, 릴 시트(16)에 나합되어 있다. 전방 그립(14)은, 본체(17)와 전방 후드(18; front hood)를 가지고 있고, 기지의 구조이다. 전방 후드(18)는 본체(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17)를 회전시키면, 전방 후드(18) 전체가 릴 시트(16)에 대해서 축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후방 그립(15)은, 본체(19)와 후방 후드(20)를 가지고 있고, 후방 후드(20)는 본체(1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릴 시트(16)는, 평탄한 릴 재치면(21)을 가지고 있다. 이 릴 재치면(21)에 릴의 다리부를 당접시킨 상태로 전방 그립(14)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방 후드(18)와 후방 후드(20)의 사이에 릴의 다리부가 협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2는, 후방 그립(15) 및 연장 배트(13)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연장 배트(13)가 후방 그립(15)에 대해서 위치 결정 기구(22)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점으로서, 이러한 지지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연장 배트(13)가 후방 그립(15)에 대해서 축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해지고, 목적하는 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연장 배트
연장 배트(13)는, 낚싯대(1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부재로서, 그립부(12)의 후단부(타단측)에 제공되어 있다. 연장 배트(13)는, 축부(23)와 패드부(24)를 가지고 있다.
축부(23)는, 예를 들어 티탄 합금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할 수 있지만,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수지 등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23)는, 대경부(25; 大徑部) 및 이것에 연속하여 직경이 축소된 소경부(26; 小徑部)가 형성되어 있지만, 축부(23)는 일정한 외경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축부(23)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도면중의 좌단부)에 피스톤 부재(27)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피스톤 부재(27)에 의해, 축부(23)의 단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축부(23)는 후방 그립(15)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것이지만, 그 때에 축부(23)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패드부(24)는, 낚싯대(10)를 조작할 때에 낚시꾼의 신체의 일부(어깨 등)에 당접시키는 것이다. 패드부(24)는, 축부(23)의 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부(24)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24)의 단면(28; 端面)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철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패드부(24)를 낚시꾼의 신체에 양호하게 당접시킬 수 있다.
(3) 위치 결정 기구
위치 결정 기구(22)는, 후방 그립(15)에 제공된 고정부(29)와, 후방 그립(15)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부(30)를 가지고 있다.
이 수납부(30)는, 연장 배트(13)의 축부(23)가 삽통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수납부(30)에 축부(23)가 진퇴하는 것에 의해, 연장 배트(13)의 길이 L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그립(15)을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납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부(30)(즉, 후방 그립(15)의 내벽면)에 슬리브(31; sleeve)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슬리브(31)에 의해 상기 축부(23)의 슬라이딩을 보다 매끄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슬리브(31)는, 얇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그립(15)의 후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슬리브(31)의 돌출된 부분은, 고정부(29)를 제공하기 위한 베이스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돌출한 부분을 없애고, 슬리브(31)의 단면을 후방 그립(15)의 후단면과 동일한 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29)는, 후방 그립(15)에 장착된 보스(32)와, 이것에 나합하는 너트(33)와, 보스(32)와 너트(33)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34)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스(32)에 장식용의 캡(3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너트(33)와 후방 그립(15)의 사이에 장식 링(36) 및 O링(37)이 개재되어 있다.
도 3은, 고정부(29)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스(3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이외에 수지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보스(32)의 형상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스(32)는, 플랜지부(38)가 형성된 대경부(39)와, 대경부(39)에 연속된 소경부(40)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39)에는, 숫나사(44)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32)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슬리브(31)에 보스(32)를 끼워 넣도록 한다. 그리고, 플랜지부(38)는, 접착제 등의 기존의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후방 그립(15)의 후단면에 고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장식 링(36)이 플랜지부(38)를 감싸도록 배치한다. 이 장식 링(36)은 없앨 수도 있다.
다음으로, 너트(33)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이외에 수지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33)는, 대경부(41)와, 이것에 연속해 직경이 축소된 소경부(42)(고전 장착부)를 가지고, 이 직경이 축소된 부분에 의해 단부(43; 段部)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41)에는 암나사(4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45)는, 상기 숫나사(45)와 나합하도록 되어 있다.
소경부(42)의 선단측에는, 소경부(42)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환 상 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돌기(46)는, 상기 캡(35)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을 없앨 수도 있다. 또한, 소경부(4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47)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연장 배트(13)를 떼어냈을 때에, 고전(48)(도 4 참조)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탄성 부재(34)는,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탄성 부재(34)는, 유지기(49)에 유지되어 있고, 유지기(49)와 함께 너트(33)에 장착되어 있다.
유지기(49)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나 실리콘 수지 그 외의 수지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탄성 부재(34)를 위요하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34)와 유지기(49)는 고착되어 있지 않고, 탄성 부재(34)가 유지기(49)에 수용되어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34)는, 유지기(49) 내에서 자유롭게 둘레 방향을 따라 접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34)와 유지기(49)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은 양자 사이의 면압에 의하지만, 유지기(49)를 상기 재료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이 면압이 커질 경우에도, 양자는 고착하는 일 없이 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유지기(49)는, 내부에 탄성 부재(34)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너트(33)에 형성된 단부(43)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34)가 장착된 너트(33)를, 대경부(41)측으로부터 보스(32)에 씌워, 너트(33)의 암나사(45)와 보스(32)의 숫나사(44)를 나합시킨다. 더욱이, 너트(33)을 나사 고정해 가면, 보스(32)의 선단부(소경부(40)의 선단부)와 너트(33)의 단부(43)의 거리가 짧아진다. 또한, 상기 O링(37)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너트(33)의 선단이 직접 장식 링(36)에 당접하여 손상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35)은,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너트(33)의 소경부(42)에 장착되어 있다. 이 소경부(42)에는 상기 환상 돌기(4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35)은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환상 돌기(46)에 계합할 수 있다. 무엇보다, 환상 돌기(46)가 없는 경우에도, 캡(35)의 탄성 변형에 의한 긴박력에 의해 소경부(42)에 계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4) 낚싯대의 사용 요령
다음으로, 이 낚싯대(10)의 사용 요령에 관해서, 각 부분의 작용 효과와 함께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낚싯대(10)는, 송어 낚시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방 그립(14)을 회전시키면, 릴 시트(16)에 대해서 전방 그립(14)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전방 후드(18)와 후방 후드(20)의 간격이 넓어진다. 릴 시트(16)의 릴 재치면(21)에 릴의 다리부를 재치하고, 다시 전방 그립(14)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방 후드(18)와 후방 후드(20)의 간격이 좁아져, 릴은, 확실히 릴 시트(16)에 고정된다.
낚싯대(10)의 조작시에 있어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연장 배트(13)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낚시꾼은, 그립부(12)를 파지하면서, 연장 배트(13)의 패드부(24)를 어깨 등에 당접시킴으로써, 낚싯대(10)를 안정시켜서 지지하고 조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낚싯대(10)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22)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 배트(13)를 후방 그립(15)에 대해서 축 방향(도면에서 화살표(50)의 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다. 더욱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22)를 조작함으로써, 연장 배트(13)를 목적하는 위치에서 배치하고 고정할 수있다.
따라서, 낚시꾼의 체격에 맞추어 연장 배트(13)의 길이 L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낚싯대(10)의 조작성 및 안정성이 현격히 향상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관리 낚시터의 낚시 압력이 높은 송어의 맥을 잡는 경우에도, 낚싯대(10)의 팁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릴링에 의한 팁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섬세한 맥을 적확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물고기가 히트 한 후는, 이 연장 배트(13)를 팔꿈치에 따르게 함으로써, 낚싯대(10)의 조작이 편하게 된다.
한편,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서는 연장 배트(13)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 경우는, 연장 배트(13)를 후방 그립(15)으로부터 뽑아 낼 수 있다. 그 경우, 상기한 캡(35)을 떼어내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전(48)을 장착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고전(48)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고전(48)은, 원통 형상의 본체(52)와, 본체(52)의 단부(端部)에 형성된 플랜지(51)를 가지고 있다. 본체(52)와 플랜지(51)의 경계 부분에는 O링(53)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52)의 외경은, 상기 너트(33)의 소경부(42)의 내경에 대응되어 있고, 본체(52)의 외주면에는 숫나사(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35)을 떼어낸 후에, 고전(48)의 본체(52)를 너트(33)의 소경부(42) 에 나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고전(48)의 숫나사(54)가 소경부(42)의 암나사(47)에 나합하고, 고전(48)이 그립부(12)의 후단에 장착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 배트(13)가 신축할 때에, 후방 그립(15) 내의 수납부(30)에 대해서 진퇴하는 구조이므로, 연장 배트(13)의 길이 L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경우에도, 그립부(12) 등의 다른 부분의 외형 치수나 형상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길이 L을 바꿈으로써 낚싯대(10)의 조작성을 해치는 일이 없다.
또한, 연장 배트(13)를 고정부(29)에 의해 단단히 조여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 배트(13)를 위치 결정할 때에, 연장 배트(13), 특히 그 축부(23)에 상처 등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고정부(29)는, 탄성 부재(34)를 이용하여 연장 배트(13)를 단단히 조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장 배트(13)에 상처 등이 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34)를 통하여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해, 연장 배트(13)의 고정력을 크게 할 수 있고, 연장 배트(13)의 확실한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고정부(29)의 구체적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낚시꾼이 연장 배트(13)의 길이 L을 최적으로 한 후, 너트(33)를 나사 고정해 간다. 이것에 의해, 너트(33)와 보스(32)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여, 탄성 부재(34)가 보스(32)의 소경부(40)의 선단면과, 너트(33)의 소경부(42)의 후단면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게다가 너트(33)를 조여 넣으면, 환상의 탄성 부재(34)가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때의 고정부(29)의 자세를 조임 자세라고 정의한다. 고정부(29)가 조임 자세가 되었을 때는, 탄성 부재(34)가 연장 배트(13)의 축 부(23)를 압압한다. 즉, 연장 배트(13)는 탄성 부재(34)에 의해 단단히 조여지고, 그립부(12)에 대해서 배치된다.
한편, 너트(33)를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너트(33)와 보스(32)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여, 양자가 이반한다. 이 때의 고정부(29)의 자세를 해제 자세라고 정의한다. 고정부(29)가 해제 자세로 되었을 때는, 탄성 부재(34)의 탄성 변형이 복귀하여, 연장 배트(13)의 조임이 해제되고, 그립부(12)에 대해서 자유자재로 신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10)에서는, 고정부(29)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 확실하게 연장 배트(13)의 위치 결정 또는 위치 결정의 해제가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34)를 유지기(49)에 의해 유지하고 있고, 게다가 유지기(49)와 탄성 부재(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34)가 변형하여 연장 배트(13)로 압압될 경우에도, 충분히 너트(33)를 나사 고정하여 확실히 연장 배트(13)를 고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만일, 유지기(49)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하면, 탄성 부재(34)가 연장 배트(13)로 압압될 경우에 양자 사이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 탄성 부재(34)를 통하여 너트(33)와 연장 배트(13)의 축부(23)가, 이른바 "비틀어진 상태"로 되어, 너트(33)의 나사 고정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도 있다. 그러나, 이 유지기(49)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기(49)와 탄성 부재(34)가 접동하므로, 너트(33)를 충분히 나사 고정할 수 있다.
(5) 실시예의 변형예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관한 변형예에 의한 연장 배트(60)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 의한 연장 배트(60)는, 축부(61)와, 이것에 제공된 패드부(62)와, 패드부(62)를 축부(61)의 축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변형예의 특징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패드부(24)가 축부(23)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도 1 참조), 본 변형예에서는, 패드부(62)가 축부(61)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연장 배트(60)의 길이 L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점이다.
도 6은, 축부(61)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축부(6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61)의 일단측의 내주면에는, 암나사(64; 나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61)의 타단측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피스톤 부재(27; 도 2 참조)가 제공되어 있고, 위치 결정 기구(22)를 통하여 후방 그립(15)에 장착되어 있다.
축부(61)의 일단측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65)는, 패드부(62)와 계합하여, 패드부(62)의 축부(61)에 대한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 홈부(65)는, 도 5에서는 축부(61)의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홈부(65)는, 축부(61)의 반대측에도 제공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7은, 패드부(62)의 단면도이고, 패드부(62)의 구조 및 슬라이드 기구(63)와의 계합 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패드부(62)는, 나사축(66)과 이것에 연결된 슬라이드 패드(67)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축(6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斷面)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숫나사(68; 피나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축(66)의 일단부(도 5에서 좌단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부(61)에 삽입되어 있고, 축부(61)의 암나사(64)와 나사축(66)의 숫나사(68)가 나합하고 있다. 따라서, 나사축(66)을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축(66)과 축부(61)가 상대적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슬라이딩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66)은, 슬라이드 패드(67)의 내부에 삽통되고, 슬라이드 패드(67)의 말단 부재(69)에 고정되어 있다. 말단 부재(69)와 나사축(66)의 고정은, 접착제 등의 공지의 고착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패드(67)는, 내통(70) 및 외통(71)과, 외통(71)에 끼워 넣어진 회동 핀(72)과, 상기 말단 부재(69)를 구비하고 있다.
내통(7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면에서 좌단측에 계합 돌기(73)가 돌설되어 있다. 이 계합 돌기(73)는, 내통(70)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한 쌍이 제공되어 있고, 축 방향에 따라 소정 길이만큼만 연장하여 제공되어 있다. 내통(70)은, 상기 축부(61)에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고, 그 상태로 계합 돌기(73)가 축부(61)의 홈부(65)에 계합한다. 홈부(65)와 계합 돌기(73)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내통(70)의 도면에서 우단부에 제동 기구(74)가 장비되어 있다. 이 제동 기구(74)는, 축부(61)에 대한 패드부(62)의 슬라이딩에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는 것이다. 제동 기구(74)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외통(7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대경 공동부(75; 大徑 空洞部)와, 소경 공동부(76)와, 회동 핀 장착 요부(77)를 가지고 있다. 대경 공동부(75)의 내경은, 상기 내통(70)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고, 내통(70)은, 이 대경 공동부(75)에 감합 고정되어 있다. 소경 공동부(76)는, 대경 공동부(75)에 연속되고, 대경 공동부(75)를 축경하는 것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핀 장착 요부(77)는, 소경 공동부(76)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머리부(78)가 제공된 열쇠 형상의 공동부에 형성되어 있다.
회동 핀(72)은, 계단식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경부(79)와, 이것에 연속하여 확경된 대경부(80)를 가지고 있다. 소경부(79)의 외경은 상기 머리부(78)의 내경에 대응하고 있고, 이 소경부(79)가 머리부(78)에 끼워 넣어져 있다. 소경부(79)의 선단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은 장출부(81)를 가지고 있고, 이 장출부(81)가 상기 회동 핀 장착 요부(77)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회동 핀(72)은 외통(71)에 끼워 넣어져 있을 뿐이므로, 외통(7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회동 핀(72)의 중심에는, 축 방향에 따라 관통공(82)이 제공되어 있다. 이 관통공에 상기 나사축(66)이 관통하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단부(83)가 말단 부재(69)에 고착되어 있다. 회동 핀(72)과 나사축(66)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 하게 되어 있다.
말단 부재(69)는, 회동 핀(72)에 씌웠던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동 핀(72)의 대경부(80)의 주위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말단 부재(69)의 단면(84)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말단 부재(69)의 내부에는, 그 중앙부에 고정공(85)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66)은, 이 고정공(85)에 끼워 넣어져 있다.
다음으로, 제동 기구(74)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 기구(74)는 내통(7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나사축(66)의 회전에 제동을 거는 것이다. 도 8은, 제동 기구(7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제동 기구(74)의 구성 부품인 회전판(86)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나타나듯이 제동 기구(74)는, 단일의 유니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동 기구(74)는, 베이스 블록(87)과, 이것에 제공된 제동 핀(88)과, 상기 회전판(86)과, 고정 스프링(89)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블록(87)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회전판 수용부(90)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 수용부(90)의 내경은, 회전판(86)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어, 회전판(86)이 베이스 블록(87)에 딱맞게 수용되게 되어 있다. 회전판 수용부(90)의 저면부(91)에는, 제동 핀 수용부(92)가 제공되어 있다. 도 8에서는, 이 제동 핀 수용부(92)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을 복수 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블록(87)의 단면(96)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97)가 일 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97)는, 고정 스프링(89)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제동 핀 수용부(92)에는, 용수철(93)을 통하여 제동 핀(88)이 수용되어 있다. 제동 핀(88)은, 제동 핀 수용부(92)에 수용되는 기부(94)와, 이것에 연속해 형성된 압압부(95)를 가지고 있다. 압압부(95)의 선단은, 거의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전판(86)은, 중앙부에 타원형의 구멍(9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98)의 내면 형상은, 상기 나사축(66)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고 있어, 나사축(66)이 회전판(86)을 관통하고 있다(도 7 참조). 회전판(86)의 이면에는, 방사상으로 작은 구멍(99)이 제공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99)은, 회전판(86)이 베이스 블록(87)에 장착된 상태로, 제동 핀(88)의 압압부(95)가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작은 구멍(99)의 내면은 요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동 핀(88)은, 용수철(93)에 의해 회전판(86)측에 탄성 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동 핀(88)의 압압부(95)는, 작은 구멍(99) 내로 딱맞게 끼워 넣어진다. 즉, 회전판(86)은, 제동핀(88)과 작은 구멍(99)의 계합력에 의해, 그 자유로운 회전이 규제되어 있게 된다. 단, 작은 구멍(99)의 내면이 요곡면으로 형성되어, 제동 핀(88)의 압압부(95)가 거의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의 계합력에 대항하여 회전판(86)이 회전하면, 제동 핀(88)의 압압부(95)는,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작은 구멍(99)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즉, 회전판(86)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항상 일 정한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동 핀(88)의 개수를 늘리는 것에 의해, 제동 핀(88)과 작은 구멍(99)의 계합력, 즉, 회전판(86)의 제동력이 커진다.
고정 용수철(89)은, 예를 들어 용수철 강철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본 변형예에서는, 거의 정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블록(87)에 회전판(86)을 장착한 후, 회전판(86)과 베이스 블록(87)의 상기 돌출부(97) 사이에 고정 용수철(89)을 사이에 두고 끼워 넣음으로써, 회전판(86)이 뽑혀져 나가는 것을 막고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부(62)의 나사축(66)은, 슬라이드 패드(67)를 관통하여 말단 부재(69)에 고정되어 있다. 이 말단 부재는, 회전 핀(72) 및 나사축(66)과 함께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이 나사축(66)은, 축부(61)에 나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낚싯대(10)를 사용할 때에, 말단 부재(69)를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말단 부재(69), 회전핀(72) 및 나사축(66)이 축부(61)에 대해서 슬라이딩한다. 이 때, 슬라이드 패드(67)의 내통(70) 및 외통(71)은, 회전핀(72)에 압압되어 나사축(66)의 슬라이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 내통(70)의 계합 돌기(73)와 축부(61)의 홈부(65)가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내통(70) 및 외통(71)은, 나사축(66)과 함께 회전하는 일 없이, 축부(61)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말단 부재(69)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슬라이드 기구(63)를 통하여 패드부(62)가 축부(61)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 문에, 연장 배트(60)의 길이 L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낚시꾼의 체격에 맞추어 상기 길이 L을 조정할 수 있고, 낚싯대(10)의 조작성 및 안정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특히, 본 변형예와 같이, 나사축(66)과 축부(61)의 나사 구조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63)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패드부(62)를 축부(61)에 대해서 정밀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동 기구(74)를 제공하고 있고, 나사축(66)이 제동 기구(74)의 회전판(86)으로 관통하고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이 회전판(86)은, 나사축(66)의 회전과 함께 베이스 블록(87)내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86)의 회전에는, 항상 제동력이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제동 기구(74)를 제공함으로써, 패드부(62)의 슬라이딩에 항상 브레이크를 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패드부(62)를 축부(61)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키려고 하는 의도를 가지고 제동 기구(74)에 의한 제동력에 대항하여 말단 부재(69)를 조작하지 않는 한, 부주의로 인하여 패드부(62)가 슬라이딩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조정한 연장 배트(60)의 길이 L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동 기구(74)는, 제동 핀(88)과 회전판(86)의 계합력에 의해 제동력을 얻는 것이고, 제동핀(88)의 압압부(95)가 회전판(86)의 작은 구멍(99)에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88)이 회전하면, 상기 압압부(95)가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작은 구멍(99)에 끼워져 가기 때문에, 「카치카 치」같은 소리가 발생한다. 상기 압압부(95) 및 회전판(88)의 재질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이 발생하는 소리가 상질(上質)로서 고급감이 있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어, 낚싯대(10)라고 해도 고급감을 자아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연장 배트의 길이를 낚시꾼의 체격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대의 조작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 연장 배트는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때는 떼어낼 수가 있어 상황에 따라 사용하기 편한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배트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연장 배트의 길이를 낚시꾼의 체격에 의해 합치시킬 수 있으므로, 낚싯대의 조작성 및 안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낚싯대 본체와,
    낚싯대 본체를 일단측에 지지하는 그립부와,
    그립부의 타단측에 제공된 연장 배트(extention bat)와,
    연장 배트를 그립부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그립부에 대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위치 결정 기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연장 배트를 상기 그립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한 것이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 배트가 진퇴할 수 있는 수납부와,
    상기 그립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장 배트를 단단히 조이는 조임 자세와, 조임을 해제하는 해제 자세 간에 자세 변화가 가능한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립부의 타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장 배트를 삽통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보스(boss)와,
    상기 연장 배트를 삽통시킨 상태로 상기 보스에 나합하는 너트와,
    상기 보스와 너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장 배트를 위요하도록 배치된 환상 탄성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6. 낚싯대 본체와,
    낚싯대 본체를 일단측에 지지하는 그립부와,
    그립부의 타단측에 제공된 연장 배트(extention bat)와,
    연장 배트를 그립부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그립부에 대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위치 결정 기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연장 배트를 상기 그립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한 것이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 배트가 진퇴할 수 있는 수납부와,
    상기 그립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장 배트를 단단히 조이는 조임 자세와, 조임을 해제하는 해제 자세 간에 자세 변화가 가능한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립부의 타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장 배트를 삽통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보스와,
    상기 연장 배트를 삽통시킨 상태로 상기 보스에 나합하는 너트와,
    상기 보스와 너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장 배트를 위요하도록 배치된 환상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환상 탄성 부재는, 그 외주면을 유지기에 의해 접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20052691A 2001-09-03 2002-09-03 낚싯대 KR100894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66287A JP2003070388A (ja) 2001-09-03 2001-09-03 釣 竿
JPJP-P-2001-00266287 2001-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247A KR20030020247A (ko) 2003-03-08
KR100894979B1 true KR100894979B1 (ko) 2009-04-24

Family

ID=1909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691A KR100894979B1 (ko) 2001-09-03 2002-09-03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070388A (ko)
KR (1) KR100894979B1 (ko)
CN (1) CN1221169C (ko)
TW (1) TW5461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941A (ko) * 2017-12-05 2020-08-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3685B2 (ja) * 2004-01-27 2009-08-1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5135489B1 (ja) * 2012-07-12 2013-02-06 秀嗣 高 釣竿
JP7080468B2 (ja) * 2018-01-24 2022-06-06 メガバス株式会社 釣竿の可変長グリップ
JP2023013160A (ja) * 2021-07-15 2023-01-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074A (ja) * 1998-03-11 1999-09-21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0050771A (ja) * 1998-08-05 2000-02-22 Shimano Inc 釣 竿
JP2001128594A (ja) * 1999-11-09 2001-05-15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905Y2 (ko) * 1974-03-13 1979-10-18
JPH02131869U (ko) * 1989-03-31 1990-11-01
JP2590862Y2 (ja) * 1993-01-18 1999-02-24 リョービ株式会社 伸縮釣竿
JPH07327554A (ja) * 1994-06-13 1995-12-19 Gamakatsu:Kk 釣竿の伸縮構造
JP4093653B2 (ja) * 1998-10-08 2008-06-0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の竿尻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074A (ja) * 1998-03-11 1999-09-21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0050771A (ja) * 1998-08-05 2000-02-22 Shimano Inc 釣 竿
JP2001128594A (ja) * 1999-11-09 2001-05-15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941A (ko) * 2017-12-05 2020-08-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KR102620330B1 (ko) 2017-12-05 2024-01-0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247A (ko) 2003-03-08
CN1406473A (zh) 2003-04-02
TW546116B (en) 2003-08-11
CN1221169C (zh) 2005-10-05
JP2003070388A (ja)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61433A1 (en) Dual-bearing reel drag regulation mechanism
KR100894979B1 (ko) 낚싯대
KR20130033952A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004390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07881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JP201209560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リールシート
JP3892695B2 (ja) 釣竿
JP3921066B2 (ja) リールシート
JP2004222559A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US6585182B1 (en) Ratcheted hand held fishing reel
JP2016220689A (ja) レバードラグ式リール
JP2008104431A (ja) リールシート
JP3940222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JPH10323146A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それを装着した釣り竿
JPH04120467U (ja) 魚釣用覆面型リール
JPH0711582Y2 (ja) 釣 竿
JP4252906B2 (ja) 釣竿
JP2019146536A (ja) リールシート及びサポートグリップ
JP2007202454A (ja) 釣竿
JP4803915B2 (ja) イカ釣用ヤエン
JP5986876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EP2939535A1 (en) Fishing spinning reel
JP2018113900A (ja) 魚釣り用リール
JP3878045B2 (ja)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ロッド
JP2008301861A (ja) 内視鏡用前方突出型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