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330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0330B1 KR102620330B1 KR1020207011336A KR20207011336A KR102620330B1 KR 102620330 B1 KR102620330 B1 KR 102620330B1 KR 1020207011336 A KR1020207011336 A KR 1020207011336A KR 20207011336 A KR20207011336 A KR 20207011336A KR 102620330 B1 KR102620330 B1 KR 102620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reel seat
- small diameter
- main body
- tub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통형상의 릴시트(1)의 후측에 경질의 그립관(2)을 구비하고, 그 그립관(2)은, 그 그립관(2)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대경의 제1 그립부(20)와, 그립관(2)의 뒷부분을 구성하는 대경의 제2 그립부(22)와,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 사이의 부분을 구성하는 소경부(21)를 구비하고 있고, 제1 그립부(20)와 소경부(21)의 경계부분에 환형상 모서리부(23)가 형성되어 있고, 환형상 모서리부(23)에 인접하고 있는 소경부(21)의 앞부분은, 후측을 향하여 외측오목하게 만곡하면서 소경이 되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형상(筒狀)의 릴시트의 후측에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釣竿)에 관한 것이다.
통형상의 릴시트의 후측에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에서는, 간체(竿體)의 외주면에 코르크나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그립체가 전후 한 쌍 장착되고, 전측의 그립체로부터 제1 그립부가 구성되고, 후측의 그립체로부터 제2 그립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립부를 코르크나 발포 수지로 구성하면, 소재가 부드럽기 때문에 그립부를 쥐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그 한편, 간체에 전해지는 진동이 코르크 등의 소재에 의해 감쇠되기 쉽고 손에 전해지기 어렵다. 또한, 예를 들면 무거운 루어를 캐스트하는 일 같은 경우에는, 그립부를 강하게 파지하게 되는데, 그와 같이 그립부를 강하게 파지하면 그립부가 약간 변형한다. 파지하고 있는 그립부가 약간 변형하면, 낚싯대와 손(手) 사이의 일체감이 약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통형상의 릴시트의 후측에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리니어한 조작성이나 다이렉트감(感)이 있는 조작성(操作性)을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는, 통형상의 릴시트의 후측에 경질의 그립관을 구비하고, 그 그립관은, 그 그립관의 앞부분(前部)을 구성하는 대경의 제1 그립부와, 그립관의 뒷부분(後部)을 구성하는 대경의 제2 그립부와,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 사이의 부분을 구성하는 소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간선측(竿先側)을 전측으로 하고, 간고측(竿尻側)을 후측으로 한다.
그 구성의 낚싯대에서는, 그립관에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전달 특성에 우수하고, 제1 그립부나 제2 그립부로부터 진동이 손에 다이렉트로 전해지게 된다. 또한, 제1 그립부나 제2 그립부를 강하게 파지하거나, 제1 그립부나 제2 그립부에 손을 강하게 꽉 쥐거나 하여도, 제1 그립부나 제2 그립부가 변형하기 어렵다. 또한, 예를 들면 캐스트를 행할 때, 싱글 핸드 캐스트인 경우에는, 한손(片手)으로 릴시트나 제1 그립부를 파지하고 캐스트하게 되는데, 그때, 제1 그립부가 변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리니어하고 다이렉트감이 있는 캐스트 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방의 손으로 릴시트나 제1 그립부를 파지하고, 타방의 손으로 제2 그립부를 파지하여 캐스트하는 더블 핸드 캐스트를 행하는 일도 있다. 특히, 무거운 루어를 캐스트할 때에는 더블 핸드 캐스트는 유효하다. 이와 같은 더블 핸드 캐스트인 경우에도,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변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리니어하고 다이렉트감이 있는 캐스트 필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분리 독립한 별부재의 구성이 아니라 어느 것이나 하나의 부재인 그립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과 제2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의 일체감이 강하고, 양손이 각각 제각기 흔들린다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탄탄한 양손의 잡는 기분으로 캐스트 동작을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무거운 루어라도, 빗나가지 않고 캐스트할 수 있고, 미묘한 컨트롤도 행하기 쉽다.
특히, 제1 그립부와 소경부와의 경계부분에 환형상(環狀) 모서리부(角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그립부의 후단부에 환형상 모서리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그립부와 소경부가 환형상 모서리부에 의해 명확하게 구획되게 된다. 그 때문에, 낚시꾼은, 환형상 모서리부의 존재에 의해 제1 그립부의 존재나 그 범위를 손의 감촉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제1 그립부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립부와 소경부와의 경계부분에 환형상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제1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이 소경부측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환형상 모서리부의 후측에 새끼손가락 등의 손가락을 걸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제1 그립부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고, 손의 피로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환형상 모서리부에 인접하고 있는 소경부의 앞부분은, 후측을 향하여 외측오목(外側凹)으로 만곡하면서 소경이 되는 오목모양(凹狀) 만곡형상(灣曲形狀)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경부의 앞부분이 환형상 모서리부를 향하여 솟아오른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환형상 모서리부의 볼록형상이 두드러지게 되어, 제1 그립부가 보다 한층 명확하게 구획되게 된다. 또한, 환형상 모서리부의 후측에 손가락을 거는 경우에 있어서, 손가락의 거는 상태가 보다 한층 양호하게 되어 제1 그립부를 보다 한층 단단히 파지할 수 있다.
더욱 또한, 제2 그립부와 소경부와의 경계부분에도 환형상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형상 모서리부에 인접하고 있는 소경부의 뒷부분도, 후측을 향하여 외측오목하게 만곡하면서 대경으로 되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그립부의 전단부에 환형상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제2 그립부와 소경부가 환형상 모서리부에 의해 명확하게 구획되게 된다. 따라서, 낚시꾼은, 환형상 모서리부에 의해 제2 그립부의 존재나 그 범위를 손의 감촉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제2 그립부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그립부와 소경부와의 경계부분에 환형상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제2 그립부를 파지하는 손이 소경부측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환형상 모서리부의 전측에 집게손가락 등의 손가락을 걸 수도 있고, 제2 그립부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다. 특히, 더블 핸드 캐스트를 행하는 경우에 효과가 크다.
또한, 그립관은 섬유 강화 수지제이고, 그립관의 소경부는 지름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관을 섬유 강화 수지제로 함으로써 경량화와 고강성화를 양립할 수 있고, 진동 전달 특성도 우수하다. 또한, 맨드릴에 프리프레그를 부착하여 가열 소성함으로써 그립관을 형성하는데, 그때, 맨드릴을 전후 2분할의 구성으로 하여, 전측의 맨드릴과 후측의 맨드릴을 전후로 접합하여 하나의 맨드릴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맨드릴의 외주면에 프리프레그를 부착하여 가열 소성한 후에 맨드릴을 인발할 때에는, 전측의 맨드릴과 후측의 맨드릴을 각각 전후에 인발한다. 이와 같이 맨드릴을 전후 2분할의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 그립관의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의 위치에서 전후의 맨드릴을 접합시킬 수 있다. 스트레이트부의 길이가 다른 복수의 전측의 맨드릴이나 후측의 맨드릴을 준비하여 둠으로써,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의 길이가 다른 그립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그립관의 소경부는 지름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를 구비하고 있고, 간본체(竿本體)가 릴시트로부터 후측으로 늘어나서 그립관의 내측을 통과하여 그립관의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관의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를 간본체에 의해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릴시트와 그립관을 간본체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특히, 간본체는, 릴시트로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메인 간체와, 그 메인 간체의 뒷부분 외측에 접합되고, 릴시트로부터 후측으로 늘어나서 그립관의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에 연결된 관형상의 조인트 간체를 구비하고, 그 조인트 간체의 외측에 릴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간체와는 별체 구성의 조인트 간체를 마련함으로써, 메인 간체의 설계상의 제약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간체의 직경도 릴시트나 그립관의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에 용이하게 적합(適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간체의 외측에 릴시트를 장착하고 조인트 간체의 내측에 메인 간체를 접합함으로써, 메인 간체의 배트부를 과도하게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서, 미감(美感)에 우수하다.
또한, 조인트 간체는, 지름이 일정하며 대경의 전측 접합부와, 지름이 일정하며 소경의 후측 접합부와, 전측 접합부와 후측 접합부 사이의 부분을 구성하고,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소경이 되는 역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조인트 간체의 전측 접합부에 릴시트와 메인 간체가 부착되고, 후측 접합부에 그립관의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성에 의하면, 그립관의 소경부의 스트레이트부를 용이하게 소경화할 수 있고,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와의 사이에 큰 잘록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잘록한 형상에 의해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를 상대적으로 대경화할 수 있고, 명확한 그립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립관에 뒷마개(尻栓)가 장착되어 있고, 간본체가 릴시트로부터 후측으로 늘어나서 그립관의 내측을 통과하여 뒷마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성에 의하면, 간본체와 그립관을 뒷마개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그립관을 릴시트와 뒷마개로 전후로 끼여지지 할 수도 있다.
또한, 릴시트의 후단면부터 후측을 향하여 통부가 연설(延設)되어 있고, 그 통부가 그립관의 제1 그립부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시트로부터 후방으로 늘어나는 통부에 의해 그립관의 제1 그립부를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통부에 의해 릴시트와 그립관을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릴시트와 그립관과의 사이에 지지통체를 구비하고, 그 지지통체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플랜지부와, 그 환형상 플랜지부로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전통부와, 환형상 플랜지부로부터 후측으로 늘어나는 후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릴시트의 후단면에는 환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통체의 전통부는, 릴시트의 후단면의 환형상 오목부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후통부는, 그립관의 제1 그립부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환형상 플랜지부는, 릴시트의 후단면과 그립관의 전단면과의 사이에 끼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시트와는 별체로 지지통체를 구비함으로써, 그 지지통체를 예를 들면 금속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릴시트의 후단면과 그립관의 전단면과의 사이에 끼여진 지지통체의 환형상 랜지부를 의장(意匠) 링으로 할 수 있고, 릴시트와 그립관 사이의 경계부분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환형상 플랜지부에 릴시트의 후단면과 그립관의 전단면을 당접시킴으로써, 릴시트와 지지통체와 그립관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릴시트의 후단부와 그립관의 전단부를 지지통체를 통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릴시트의 후측에 그립관을 구비하고 그 그립관에 제1 그립부와 소경부와 제2 그립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니어한 조작성이나 다이렉트감이 있는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의 낚싯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3은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동 낚싯대의 그립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동 낚싯대의 그립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맨드릴을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낚싯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3은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동 낚싯대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동 낚싯대의 그립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동 낚싯대의 그립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맨드릴을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낚싯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관해 도 1∼도 9를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낚싯대는, 도시하지 않은 릴을 부착하기 위한 릴시트(1)를 구비한 것이고, 그 릴시트(1)의 후측에는 그립관(2)을 구비하고 있다. 그 릴시트(1)는, 파이프 시트라고도 칭하여지는 통형상의 것이고, 낚싯대의 간본체(竿本體)(7, 8)(블랭크)의 소정 위치의 외측에 장착되고, 간본체(7, 8)에 대해 이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릴시트(1)는, 도시하지 않은 양(兩) 축(軸)릴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양 축릴은 낚싯대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도 1 등에서는, 사용 상태에 입각해서, 양 축릴의 릴다리(脚)의 이면을 지지하기 위한 릴다리 부착부(11)가 상측을 향하도록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간선측(竿先側)을 전측으로, 간고측(竿尻側)을 후측으로 하고, 릴 장착측(裝着側)을 상측, 그것과는 반대측을 하측으로 한다.
릴시트(1)는, 간본체(7, 8)에 대해 이동 불능으로 부착되어 있다. 릴시트(1)는, 통형상의 릴시트 본체(4)와, 그 릴시트 본체(4)에 외장되어, 릴다리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통형상의 가동 후드(5)와, 그 가동 후드(5)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너트(6)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후드(5)와 고정 너트(6)는 릴시트 본체(4)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릴시트 본체(4)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다. 릴시트 본체(4)의 재질은, 합성 수지나 금속 등이면 좋지만, 특히 경질의 합성 수지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수지 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합성 수지는 여러 가지의 것이라도 좋지만, 섬유 강화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길이가 1mm 이하의 단섬유를 강화 섬유로 한 섬유 강화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그 섬유로서는 카본 섬유가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7과 같이 릴시트 본체(4)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간(竿)삽통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릴시트 본체(4)의 전단면과 후단면에는 각각 간삽통구멍(10)이 개구하고 있다. 그 간삽통구멍(10)을 간본체(7, 8)가 삽통하고, 간본체(7, 8)의 외주면에 릴시트 본체(4)가 직접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접착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를 통하지 않고서 간본체(7, 8)에 직접 릴시트 본체(4)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릴시트 본체(4)의 릴 장착 측인 상측에는 릴다리가 재치되는 릴다리 부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 릴다리 부착부(11)의 후측에 고정 후드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후드부(12)는 릴시트 본체(4)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축선 방향의 전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그 고정 후드부(12)에 릴다리의 후단부가 전측부터 삽입되고, 릴다리의 후단부는 고정 후드부(12)에 의해 지지된다. 릴시트 본체(4)의 앞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릴시트 본체(4)의 하면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트리거(15)가 하방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그 트리거(15)는, 고정 후드부(12)의 개략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릴시트 본체(4)의 하면으로서 트리거(15)의 전측의 위치에는, 창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그 창구멍(14)은 간삽통구멍(10)까지 달하고 있고, 그 창구멍(14)부터 후술하는 조인트 간체(竿體)(8)가 부분적으로 노출하고 있다. 릴시트 본체(4)의 후단면에는 환형상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환형상 오목부(16)는, 간삽통구멍(10)의 후단 개구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간삽통구멍(10)의 후단 개구부와 릴시트 본체(4)의 후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환형상 오목부(16)의 크기나 깊이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형상 오목부(16)는, 상부에서는, 고정 후드부(12)의 내측까지 달하고 있고 나아가서는 고정 후드부(12)를 전측으로 넘어서 릴다리 부착부(11)의 뒷부분의 내측까지 늘어나 있고, 또한, 하부에서는, 트리거(15)의 내측까지 늘어나 있다. 따라서, 환형상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간삽통구멍(10)과 환형상 오목부(16)의 사이에는, 박육형상(薄肉狀)의 후부본체통부(後部本體筒部)(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부본체통부(17)의 후단부는 릴시트 본체(4)의 후단면보다도 약간 후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릴시트 본체(4)의 수나사부(13)에 고정 너트(6)가 나사장착(螺着)되고, 그 고정 너트(6)의 후측에 가동 후드(5)가 위치한다. 릴시트 본체(4)에는, 수나사부(13)를 부분적으로 노치하도록 하여 축선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 후드(5)는, 릴시트 본체(4)의 가이드 홈에 안내되면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가동 후드(5)는 고정 너트(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너트(6)를 회전시키면, 가동 후드(5)는 회전하는 일 없이 고정 너트(6)와 함께 전후로 이동한다.
가동 후드(5)에는 릴다리의 전단부가 후측부터 삽입되고, 릴다리의 전단부는 가동 후드(5)에 의해 지지된다. 가동 후드(5)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동 후드(5)는 고정 후드부(12)에 접근하고, 가동 후드(5)와 고정 후드부(12)에 의하여 릴다리를 전후로 끼여지지하고, 이에 의해 릴을 낚싯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후드(5)를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즉, 고정 후드부(12)로부터 이반(離反)시킴으로써 릴다리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릴을 낚싯대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다.
<간본체(竿本體)(7, 8)>
간본체(7, 8)는, 메인 간체(7)와, 그 메인 간체(7)의 후측에 소정 길이의 중합부(重合部)를 형성하도록 하여 접합 일체화된 조인트 간체(8)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간체(7)의 뒷부분과 조인트 간체(8)의 앞부분이 접합 일체화되어 있다. 메인 간체(7)와 조인트 간체(8)는 릴시트(1)의 내측에서 접합되어 있다. 메인 간체(7)는 릴시트(1)로부터 전측으로 늘어나 있고, 조인트 간체(8)는 릴시트(1)로부터 후측으로 늘어나 있다. 조인트 간체(8)의 내측에 메인 간체(7)가 접합되고, 조인트 간체(8)의 외측에 릴시트(1)가 장착되어 있다. 낚싯대의 종류는 임의이고, 병계간(竝繼竿)이나 진출간(振出竿) 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원피스 로드인 경우에는 메인 간체(7)는 수선(穗先)까지 연속한 1개 구조이고, 투피스 로드인 경우에는 메인 간체(7)는 수선측(穗先側)의 간체와 원측(元側)의 간체의 2개 구조가 된다. 간본체(7, 8)는 섬유 강화 수지제이다. 간본체(7, 8)는, 관형상인 경우에는 맨드릴에 프리프레그를 권회하고 가열 소성함에 의해 형성된다. 강화 섬유로서는 카본 섬유 등의 각종의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 간체(8)도 맨드릴에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간체(7)는 중실상(中實狀)이라도 좋다.
<조인트 간체(8)>
조인트 간체(8)는, 두께 개략 일정한 관체(管體)이다. 조인트 간체(8)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지름이 일정하든지,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대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이거나 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조인트 간체(8)는, 앞부분을 구성하고, 지름이 일정하며 대경의 전측 접합부(40)와, 뒷부분을 구성하고, 지름이 일정하며 소경의 후측 접합부(42)와, 중간부를 구성하고,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소경이 되는 역테이퍼 형상의 역테이퍼부(41)로 구성되어 있다. 전측 접합부(40)에 릴시트(1)가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전측 접합부(40)의 외주면에 릴시트 본체(4)의 내주면이 직접 접착 고정되어 있다. 전측 접합부(40)의 전단부는 릴시트 본체(4)의 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전측 접합부(40)의 후단부는 릴시트 본체(4)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측 접합부(40)는 릴시트 본체(4)에 대응한 길이로서 릴시트 본체(4)와 개략 같은 길이이고, 전측 접합부(40)의 개략 전 길이에 릴시트 본체(4)의 개략 전 길이가 고정되어 있다. 릴시트 본체(4)의 창구멍(14)부터 보이는 부분은 전측 접합부(40)이다. 또한, 전측 접합부(40)의 내측에 메인 간체(7)의 뒷부분이 접합되어 있다. 메인 간체(7)는 전측 접합부(40)의 전체 길이에 걸처서 접합되어 있어도 좋고, 그 접합 길이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측 접합부(40)의 전체 길이 중 전측의 반분 이상의 길이 영역에 접합되어 있다. 조인트 간체(8)의 역테이퍼부(41)와 후측 접합부(42)가 릴시트 본체(4)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조인트 간체(8)의 후측 접합부(42)의 외경은 메인 간체(7)의 후단부의 외경과 개략 동등하다. 따라서, 전측 접합부(40)의 외경과 후측 접합부(42)의 외경과의 차는, 조인트 간체(8)의 두께, 상세하게는, 전측 접합부(40)의 두께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립관(管)(2)>
릴시트 본체(4)의 후측에 그립관(2)이 연결되고, 그립관(2)의 후단부에는 뒷마개(尻栓)(3)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그립관(2)은 릴시트 본체(4)와 뒷마개(3) 사이의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그립관(2)은 하나의 박육형상의 경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립관(2)의 단체(單體)의 상태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그립관(2)은, 전후 방향으로 3개의 부분으로 구분되고, 앞부분을 구성하는 대경의 제1 그립부(20)와, 뒷부분을 구성하는 대경의 제2 그립부(22)와,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 사이의 중간부를 구성하는 소경의 소경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그립부(22)는 제1 그립부(20)로부터 후방으로 이간하고 있다. 그립관(2)은 제1 그립부(20)로 릴시트 본체(4)와 접합되고, 제2 그립부(22)에 뒷마개(3)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그립부(20)는 릴시트(1)의 직후에 위치하고, 제2 그립부(22)는 릴시트(1)로부터 소정 거리 후측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고 뒷마개(3)의 직전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그립부(20)는 전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1 그립부(20)는, 앞부분을 구성하는 스트레이트부(20a)와, 뒷부분을 구성하는 역테이퍼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는 그립관(2)의 전단부(前端部)를 구성하고 있다.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는, 제1 그립부(20)의 역테이퍼부(20b)보다도 짧고, 제1 그립부(20)의 역테이퍼부(20b)는 제1 그립부(20)의 대부분의 길이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는 지름이 일정하고, 그 외경은 릴시트 본체(4)의 후단부의 외경과 개략 동등하다. 제1 그립부(20)의 역테이퍼부(20b)는 제1 그립부(20)의 주요부로서,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소경이 되는 역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그립부(20)의 역테이퍼부(20b)의 후단부에서의 외경은 역테이퍼부(20b)의 전단부에서의 외경의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그립부(20)의 역테이퍼부(20b)는, 후측을 향하여 변화율 일정하게 직선형상으로 축경(縮徑)하여 가는 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오목하게 만곡하면서 축경하여 가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볼록하게 만곡하면서 축경하여 가는 볼록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다.
소경부(21)는 전후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소경부(21)는, 앞부분을 구성하는 역테이퍼부(21a)와, 중간부를 구성하는 스트레이트부(21b)와, 뒷부분을 구성하는 테이퍼부(21c)로 이루어진다. 소경부(21)의 역테이퍼부(21a)는, 제1 그립부(20)의 후측에 인접하는 부분으로서,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소경이 되는 역테이퍼 형상이다. 소경부(21)의 역테이퍼부(21a)는, 후측을 향하여 변화율 일정하게 직선형상으로 축경하여 가는 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오목하게 만곡하면서 축경하여 가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볼록하게 만곡하면서 축경하여 가는 볼록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는 지름이 일정하고, 그 길이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테이퍼부(21a)나 테이퍼부(21c)보다도 길다. 소경부(21)의 테이퍼부(21c)는,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대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이다. 소경부(21)의 테이퍼부(21c)는, 후측을 향하여 변화율 일정하게 직선형상으로 확경하여 가는 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오목하게 만곡하면서 확경하여 가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볼록하게 만곡하면서 확경하여 가는 볼록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경부(21)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서로 동일 지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그립부(22)의 길이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그립보다도 길다. 제2 그립부(22)는 전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2 그립부(22)는, 앞부분을 구성하는 테이퍼부(22a)와, 뒷부분을 구성하는 스트레이트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그립부(22)의 스트레이트부(22b)는 테이퍼부(22a)보다도 짧고, 제2 그립부(22)의 테이퍼부(22a)는 제2 그립부(22)의 대부분의 길이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제2 그립부(22)의 테이퍼부(22a)는 소경부(21)의 후측에 인접하는 부분으로 제2 그립부(22)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그립부(22)의 테이퍼부(22a)는,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대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 그립부(22)의 테이퍼부(22a)의 전단부에서의 외경은 테이퍼부(22a)의 후단부에서의 외경의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그립부(22)의 테이퍼부(22a)는, 후측을 향하여 변화율 일정하게 직선형상으로 확경하여 가는 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오목하게 만곡하면서 확경하여 가는 오목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고, 후측을 향하여 외측볼록하게 만곡하면서 확경하여 가는 볼록모양 만곡형상이라도 좋다. 제2 그립부(22)의 스트레이트부(22b)는 그립관(2)의 후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그립부(22)의 스트레이트부(22b)는 지름이 일정하고, 그 내측에 뒷마개(3)가 장착되어 있다. 제2 그립부(22)의 스트레이트부(22b)는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와 같은 지름이라도 좋고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보다도 소경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보다도 대경으로 되어 있다.
제1 그립부(20)와 소경부(21)의 경계부분, 및, 제2 그립부(22)와 소경부(21)의 경계부분에는, 각각 환형상 모서리부(23, 24)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3)에 의해 제1 그립부(20)와 소경부(21)가 명확하게 구획되고, 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4)에 의해 제2 그립부(22)와 소경부(21)가 명확하게 구획되어 있다. 환형상 모서리부(23, 24)는, 그립관(2)을 그 중심선을 포함한 평면으로 절단한 종단면에서 볼 때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산형(山形)의 형상이고, 전(全)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환형상 모서리부(23, 24)에서 전후로 이웃하는 2개의 면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환형상 모서리부(23, 24)에서 그립관(2)의 외주면은 지름 방향 외측으로 날카로워진 에지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립관(2)의 제조>
그립관(2)은 섬유 강화 수지제이고, 간본체(7, 8)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맨드릴에 프리프레그를 부착하여 가열 소성함으로써 관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드릴(90, 91)은 전후 2분할의 구성이 된다. 도 9에서 부호 92로 나타내고 있는 영역이 그립관(2)의 형성 영역이다. 부도시의 프리프레그를 부착한 때에는, 도 9(a)와 같이 전측의 맨드릴(90)과 후측의 맨드릴(91)을 전후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상태로 한다. 맨드릴(90, 91)을 관체로부터 빼낼 때에는, 전측의 맨드릴(90)에 관해서는 전측으로 인발하고, 후측의 맨드릴(91)에 관해서는 후측으로 인발한다. 전측의 맨드릴(90)과 후측의 맨드릴(91)은,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에 대응한 맨드릴(90, 91)의 스트레이트부(90a, 91a)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고, 그 스트레이트부(90a, 91a)에서 접합되어 일체화된다. 따라서, 전측의 맨드릴(90)은 그 뒷부분에 스트레이트부(90a)를 가지며, 후측의 맨드릴(91)은 그 앞부분에 스트레이트부(91a)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트부(90a, 91a)에서 전후의 맨드릴(90, 91)을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이트부(90a, 91a)의 길이가 다른 여러 가지의 전후의 맨드릴(90, 91)을 작성하여 둠으로써, 그들을 적절히 조합시킴에 의해,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의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의 길이가 다른 여러가지의 그립관(2)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뒷마개(尻栓)(3)>
도 6과 같이, 그립관(2)의 후단부에 뒷마개(3)가 장착되어 있다. 뒷마개(3)는, 지지부재(30)와 완충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30)는 경질의 합성 수지제나 금속제이고, 특히 금속제가 바람직하다. 완충부재(31)는 고무제가 바람직하다. 지지부재(30)는, 그립관(2)의 후단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통부(30a)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통부(30a)는, 그립관(2)의 제2 그립부(22)의 스트레이트부(22b)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고, 그 스트레이트부(22b)를 내측에서 지지하여 보강하고 있다. 삽입통부(30a)의 외주면이 그립관(2)의 제2 그립부(22)의 스트레이트부(22b)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삽입통부(30a)의 길이는, 그립관(2)의 제2 그립부(22)의 스트레이트부(22b)의 길이보다도 짧다. 지지부재(30)의 뒷부분은 그립관(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지지부재(30)의 후방 돌출부에 완충부재(31)가 외측부터 장착되어 있다.
<지지통체(支持筒體)(9)>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시트 본체(4)와 그립관(2)의 사이에 지지통체(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관(2)의 전단부가 지지통체(9)에 의해 릴시트 본체(4)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통체(9)는 그 길이가 릴시트 본체(4)나 그립관(2)에 비하여 짧다. 지지통체(9)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플랜지부(51)와, 그 환형상 플랜지부(51)로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전통부(50)와, 환형상 플랜지부(51)로부터 후측으로 늘어나는 후통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통체(9)의 전통부(50)는, 릴시트 본체(4)의 환형상 오목부(16)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지지통체(9)의 전통부(50)의 외주면이 릴시트 본체(4)의 환형상 오목부(16)의 외측의 벽면에 접착되어 있다. 지지통체(9)의 후통부(52)는,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지지통체(9)의 후통부(52)의 외주면이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지지통체(9)의 후통부(52)는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를 내측부터 지지하고 보강하고 있다. 지지통체(9)의 후통부(52)의 길이는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의 길이와 개략 동등하다. 따라서, 지지통체(9)의 후통부(52)는,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를 전둘레 또한 전체 길이에 걸처서 내측부터 지지하고 있다.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의 내경은, 릴시트 본체(4)의 환형상 오목부(16)의 외측의 벽면의 직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후통부(52)의 외경은 전통부(50)의 외경보다도 크다.
환형상 플랜지부(51)는, 릴시트 본체(4)의 후단면과 그립관(2)의 전단면의 사이에 끼여져 있다. 환형상 플랜지부(51)의 앞면(前面)이 릴시트 본체(4)의 후단면에 당접하고, 환형상 플랜지부(51)의 후면이 그립관(2)의 전단면에 당접하고 있다. 지지통체(9)의 외주면 중 환형상 플랜지부(51)의 외주면만이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다. 환형상 플랜지부(51)의 외경은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고, 따라서 환형상 플랜지부(51)의 외주면은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의 스트레이트부(20a)의 외주면보다도 한 단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통체(9)는 금속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릴시트 본체(4)와 그립관(2)의 사이에 환형상 플랜지부(51)가 링형상으로 위치함으로써 미감과 질감이 향상한다. 또한, 릴시트 본체(4)의 후부본체통부(17)는, 지지통체(9)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릴시트 본체(4)의 후부본체통부(17)의 후단부는 지지통체(9)의 후통부(52)의 내측까지 늘어나 있다.
조인트 간체(8)는 지지통체(9)의 내측을 통과하여 그립관(2)의 내측에 진입하여 있다. 조인트 간체(8)는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를 통과하여 소경부(21)의 내측까지 늘어나 있다. 조인트 간체(8)의 후측 접합부(42)가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까지 도달하고 있고, 조인트 간체(8)의 후측 접합부(42)의 외주면이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의 내주면과 접착 고정되어 있다. 조인트 간체(8)의 후측 접합부(42)가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를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고, 조인트 간체(8)를 통하여 릴시트 본체(4)와 그립관(2)이 연결되고, 조인트 간체(8)를 통하여 메인 간체(7)와 그립관(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 및 소경부(21)의 역테이퍼부(21a)와 조인트 간체(8)와의 사이에는 환형상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환상의 공동부는 전측을 향하여 서서히 확대하고 있다.
조인트 간체(8)의 후측 접합부(42)와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와의 중합부의 길이는 여러가지이고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의 반분 이상의 길이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조인트 간체(8)의 후단부는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의 내측에 머무르고 있지만,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를 후측으로 넘어서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테이퍼부(21c)의 내측까지 늘어나 있어도 좋고, 제2 그립부(22)의 내측까지 늘어나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낚싯대에서는, 그립관(2)에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르크 등으로 형성된 별체 구성의 그립부에 비하고 진동 전달 특성에 우수하고,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부(22)로부터 진동이 손에 다이렉트로 전해지게 된다. 또한,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부(22)를 강하게 파지하여도 변형하기 어렵고,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부(22)에 손을 강하게 꽉 쥐어도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리니어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캐스트를 행할 때에도,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부(22)가 변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파지하는 손이 흔들리기 어렵고, 리니어하고 다이렉트감이 있는 캐스트 필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더블 핸드 캐스트인 경우,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가 하나의 부재인 그립관(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그립부(20)를 파지하는 손과 제2 그립부(22)를 파지하는 손과의 일체감이 강하고, 그립관(2)을 양손으로 단단히 파지하여 캐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무거운 루어라도, 빗나가지 않고 캐스트할 수 있고, 또한, 미묘한 컨트롤도 행하기 쉽다.
또한, 제1 그립부(20)와 소경부(21)의 경계부분과 제2 그립부(22)와 소경부(21)의 경계부분에 각각 환형상 모서리부(23, 24)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의 환형상 모서리부(23, 24)에 의해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가 각각 소경부(21)와는 명확하게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의 범위를 촉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부(22)를 확실하면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3)에 의해 제1 그립부(20)를 파지하는 손이 후측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렵게 되고, 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3)의 후측에 새끼손가락 등의 손가락을 걸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제1 그립부(20)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손의 피로도 경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4)에 의해 제2 그립부(22)를 파지하는 손이 전측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렵게 되고, 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4)의 전측에 집게손가락 등의 손가락을 걸 수도 있다. 그 때문에, 특히, 더블 핸드 캐스트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양손이 미끄러지기 어려워지고, 무거운 루어라도 용이하게 캐스트할 수 있고, 피로도 경감할 수 있다.
더욱 또한, 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3)에 인접하고 있는 소경부(21)의 역테이퍼부(21a)와 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4)에 인접하고 있는 소경부(21)의 테이퍼부(21c)가, 어느 것이나 오목모양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후의 환형상 모서리부(23, 24)로 향하여 솟아오른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의 환형상 모서리부(23, 24)의 볼록형상이 두드러지게 되고,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가 보다 한층 명확하게 구획되게 된다. 또한, 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3)의 후측에 손가락을 걸거나 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24)의 전측에 손가락을 걸거나 할 때에, 손가락의 거는 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또한, 그립관(2)의 소경부(21)에 간본체(7, 8)를 연결시키고 있기 때문에, 간본체(7, 8)로부터 그립관(2)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고, 그 진동이 그립관(2)으로부터 손에 다이렉트로 전하여진다. 즉, 간본체(7, 8)에 전하여지는 진동은, 간본체(7, 8)로부터 릴시트 본체(4)에 전달되고 그 릴시트 본체(4)로부터 손에 전달됨과 함께, 간본체(7, 8)로부터 그립관(2)에도 전달되고 그 그립관(2)으로부터 손에 전달되게 된다. 그 때문에, 물고기의 작은 입질 등의 미소 진동이라도, 손바닥으로 고감도로 캐치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는 간본체(7, 8)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간하여 있고,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와 간본체(7, 8)와의 사이에는 환상의 공동부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2 그립부(22)의 내측도 전체가 공동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립관(2)의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부(22)를 특정한 주파수로 공진시킬 수 있다. 특히, 소경부(21)의 역테이퍼부(21a)와 제1 그립부(20)의 역테이퍼부(20b)에 의해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로부터 전측으로 떨어짐에 따라 그립관(2)이 확경하여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게다가, 내측의 공동부도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로부터 전측으로 떨어짐에 따라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에 간본체(7, 8)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혼(horn) 효과에 의해 증폭되어 제1 그립부(20)에 전해진다. 또한, 소경부(21)의 테이퍼부(21c)와 제2 그립부(22)의 테이퍼부(22a)에 의해,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로부터 후측으로 떨어짐에 따라 그립관(2)이 확경하여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에 간본체(7, 8)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혼 효과에 의해 후측으로 증폭되어 제2 그립부(22)에 전해진다.
또한, 그립관(2)의 소경부(21)를 간본체(7, 8)로 내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관(2)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그립관(2)의 소경부(21)에 스트레이트부(21b)를 마련하여 그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가 간본체(7, 8)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관(2)을 흔들림 없이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그와 같이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를 간본체(7, 8)로 내측에서 단단히 지지 고정하고 나서 또한 대경인 그립관(2)의 전단부를 지지통체(9)의 후통부(52)에 의해 내측부터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립관(2)을 확실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통체(9)를 통하여 릴시트 본체(4)에 그립관(2)의 전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릴시트 본체(4)의 후측에 그립관(2)을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립부(20)나 제2 그립부(22)를 강하게 파지하여도 그립관(2)이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간체(7)의 후측에 메인 간체(7)와는 별체의 조인트 간체(8)를 접합하고, 그 조인트 간체(8)로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간체(7)의 설계상의 제약이 적어지고, 메인 간체(7)의 휨새(調子)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조인트 간체(8)가 메인 간체(7)와 별체이기 때문에, 조인트 간체(8)의 두께를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에 용이하게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간체(8)의 외측에 릴시트 본체(4)를 장착하고 조인트 간체(8)의 내측에 메인 간체(7)를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간체(7)의 배트부를 가늘게 설계할 수 있어서, 릴시트(1)로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메인 간체(7)의 미감에 우수하다. 또한, 조인트 간체(8)의 외경을 릴시트 본체(4)의 간삽통구멍(10)의 직경에 용이하게 적합하게 할 수 있고, 조인트 간체(8)의 외주면에 직접 릴시트 본체(4)를 접착 고정할 수 있다.
더욱 또한, 조인트 간체(8)가 역테이퍼부(4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를 용이하게 소경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와의 사이에 큰 잘록한 형상인 소경부(21)를 형성할 수 있고, 그 소경부(21)에 의해 제1 그립부(20)와 제2 그립부(22)를 명확한 그립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통체(9)에 환형상 플랜지부(51)를 마련하고 그 환형상 플랜지부(51)를 릴시트 본체(4)와 그립관(2)과의 사이에서 표출시킴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지지통체(9)를 금속제로 하면, 지지통체(9)를 박육화할 수 있는 데다가, 환형상 플랜지부(51)의 외주면의 미감과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형상 플랜지부(51)의 전후 양면에 각각 릴시트 본체(4)와 그립관(2)을 접합시킴으로써, 릴시트 본체(4)에 대한 그립관(2)의 위치를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인트 간체(8)가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에 접합된 구성이었지만,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조인트 간체(8)를 뒷마개(3)까지 연장하고 뒷마개(3)와 연결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조인트 간체(8)를 뒷마개(3)와 연결하는 경우, 예를 들면 뒷마개(3)의 지지부재(30)에 조인트 간체(8)의 후단부를 맞겹쳐서 접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조인트 간체(8)는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보다도 소경이고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에는 접합되어 있지 않지만, 뒷마개(3)에 조인트 간체(8)를 연결함과 함께 그립관(2)의 소경부(21)의 스트레이트부(21b)에 조인트 간체(8)를 접합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조인트 간체(8)를 뒷마개(3)에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립관(2)의 소경부(21)에 스트레이트부(21b)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간체(7)와는 별체의 조인트 간체(8)를 구비하고 있지만, 조인트 간체(8)를 구비하지 않고 메인 간체(7)를 그대로 후측으로 연장하여 그립관(2)의 소경부(21)나 뒷마개(3)와 연결시켜도 좋다. 또한, 메인 간체(7)에 릴시트 본체(4)를 직접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장착하여도 좋다.
또한, 릴시트 본체(4)와 그립관(2)과의 사이에 지지통체(9)를 구비하여 그 지지통체(9)의 후통부(52)에 의해 그립관(2)의 전단부를 내측에서 지지하였지만, 릴시트 본체(4)의 후단면에 후측으로 늘어나는 통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그 통부를 그립관(2)의 내측에 삽입하여 그 통부로 그립관(2)의 전단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그립관(2)은 합성 수지제의 성형품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금속제라도 좋다.
또한, 양 축릴용의 릴시트(1)가 장착된 낚싯대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스피닝 릴용의 릴시트가 장착된 낚싯대이라도 좋다.
1 : 릴시트
2 : 그립관
3 : 뒷마개
4 : 릴시트 본체
5 : 가동 후드
6 : 고정 너트
7 : 메인 간체(간본체)
8 : 조인트 간체(간본체)
9 : 지지통체
10 : 간삽통구멍
11 : 릴다리 부착부
12 : 고정 후드부
13 : 수나사부
14 : 창구멍
15 : 트리거
16 : 환형상 오목부
17 : 후부본체통부
20 : 제1 그립부
20a : 스트레이트부
20b : 역테이퍼부
21 : 소경부
21a : 역테이퍼부
21b : 스트레이트부
21c : 테이퍼부
22 : 제2 그립부
22a : 테이퍼부
22b : 스트레이트부
23 : 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
24 : 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
30 : 지지부재
30a : 삽입통부
31 : 완충부재
40 : 전측 접합부
41 : 역테이퍼부
42 : 후측 접합부
50 : 전통부
51 : 환형상 플랜지부
52 : 후통부
90 : 전측의 맨드릴
90a : 스트레이트부
91 : 후측의 맨드릴
91a : 스트레이트부
92 : 그립관의 형성영역
2 : 그립관
3 : 뒷마개
4 : 릴시트 본체
5 : 가동 후드
6 : 고정 너트
7 : 메인 간체(간본체)
8 : 조인트 간체(간본체)
9 : 지지통체
10 : 간삽통구멍
11 : 릴다리 부착부
12 : 고정 후드부
13 : 수나사부
14 : 창구멍
15 : 트리거
16 : 환형상 오목부
17 : 후부본체통부
20 : 제1 그립부
20a : 스트레이트부
20b : 역테이퍼부
21 : 소경부
21a : 역테이퍼부
21b : 스트레이트부
21c : 테이퍼부
22 : 제2 그립부
22a : 테이퍼부
22b : 스트레이트부
23 : 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
24 : 후측의 환형상 모서리부
30 : 지지부재
30a : 삽입통부
31 : 완충부재
40 : 전측 접합부
41 : 역테이퍼부
42 : 후측 접합부
50 : 전통부
51 : 환형상 플랜지부
52 : 후통부
90 : 전측의 맨드릴
90a : 스트레이트부
91 : 후측의 맨드릴
91a : 스트레이트부
92 : 그립관의 형성영역
Claims (11)
- 간본체와, 상기 간본체에 장착된 릴시트와, 상기 릴시트보다도 간고측에 마련되고, 상기 간본체와는 별체의 그립관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관은, 간고측을 향하여 서서히 소경이 되는 역테이퍼부를 갖는 제1 그립부와, 상기 제1 그립부로부터 간고측으로 떨어져서 마련되고, 간고측을 향하여 서서히 대경이 되는 테이퍼부를 갖는 제2 그립부와,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보다도 소경의 소경부가 하나의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마련된, 하나의 경질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본체는, 상기 릴시트보다도 간고측으로 늘어나 상기 제1 그립부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떨어져서 위치함과 함께, 상기 소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역테이퍼부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간선측을 향하여 서서히 확대하는 제1의 공동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부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간고측을 향하여 서서히 확대하는 제2의 공동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는, 지름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본체는, 상기 스트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본체는, 상기 릴시트보다도 간선측으로 늘어난 메인 간체와, 상기 메인 간체에 접합되어, 상기 릴시트보다도 간고측으로 늘어난 조인트 간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간체가 상기 소경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본체의 간고측의 단부는, 상기 제2 그립부의 지름방향 내측까지 늘어나는 일 없이 상기 소경부의 지름방향 내측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관에 장착된 고전을 구비하고, 상기 간본체는, 상기 고전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관은, 섬유 강화 수지제의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33472A JP7048285B2 (ja) | 2017-12-05 | 2017-12-05 | 釣竿 |
JPJP-P-2017-233472 | 2017-12-05 | ||
PCT/JP2018/037230 WO2019111516A1 (ja) | 2017-12-05 | 2018-10-04 | 釣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2941A KR20200092941A (ko) | 2020-08-04 |
KR102620330B1 true KR102620330B1 (ko) | 2024-01-03 |
Family
ID=6675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1336A KR102620330B1 (ko) | 2017-12-05 | 2018-10-04 | 낚싯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576359B2 (ko) |
JP (1) | JP7048285B2 (ko) |
KR (1) | KR102620330B1 (ko) |
CN (1) | CN111225559B (ko) |
WO (1) | WO20191115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53478S1 (en) * | 2020-09-29 | 2022-05-31 | Shenzhen Plus Innovations Electronics Co., Ltd. | Fishing rod |
USD953479S1 (en) * | 2020-09-29 | 2022-05-31 | Shenzhen Plus Innovations Electronics Co., Ltd. | Fishing rod |
JP7547172B2 (ja) * | 2020-10-30 | 2024-09-09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釣竿用リールシート、釣竿用ハンドル部材及び釣竿 |
JP7386149B2 (ja) * | 2020-11-27 | 2023-11-24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釣竿 |
USD959596S1 (en) * | 2021-07-12 | 2022-08-02 | Ruichang Ronggui Trading Co., Ltd. | Fishing rod |
US20230145014A1 (en) * | 2021-11-05 | 2023-05-11 | Aob Products Company | Fishing pole grip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9298B2 (ja) | 1994-07-22 | 2001-02-26 | 富士電機株式会社 | 圧延機の速度制御装置 |
JP2001352867A (ja) * | 2000-06-14 | 2001-12-25 | Shimano Inc | 釣 竿 |
JP2003339281A (ja) * | 2002-05-28 | 2003-12-02 | Daiwa Seiko Inc | イカダ竿 |
JP2006191874A (ja) * | 2005-01-14 | 2006-07-27 | Gamakatsu Co Ltd | 釣竿 |
JP2008017711A (ja) | 2006-07-10 | 2008-01-31 | Shimano Inc | 釣り竿 |
KR100894979B1 (ko) | 2001-09-03 | 2009-04-24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 낚싯대 |
JP2017012065A (ja) * | 2015-06-30 | 2017-01-19 | 株式会社シマノ | リールシート支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
JP2017131154A (ja) | 2016-01-27 | 2017-08-03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握り部等に使用するグリップ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39864A (en) * | 1954-07-30 | 1958-06-24 | Martin Paul | Handles for implements |
US3196572A (en) * | 1961-11-24 | 1965-07-27 | James R Steinle | Fishing rod |
GB1048123A (en) * | 1962-05-16 | 1966-11-09 | Dunlop Rubber Co | Handles and grips therefor |
FR81791E (fr) * | 1962-06-19 | 1963-11-08 | Raquette de tennis ou jeux analogues | |
US3197908A (en) * | 1962-11-08 | 1965-08-03 | Walter F Hirsch | Reel seat for fishing rods |
FR1407872A (fr) * | 1964-06-27 | 1965-08-06 | Poignée pour canne à pêche ou instrument similaire | |
US3466783A (en) * | 1967-09-11 | 1969-09-16 | Columbia Products Co | Fishing rod |
US4578890A (en) * | 1984-03-19 | 1986-04-01 | Lew Childre & Sons, Inc. | Fishing rod foregrip and reel securement device |
DE3414293A1 (de) * | 1984-04-14 | 1985-10-24 | Horst 8502 Zirndorf Kleylein | Griff fuer sportgeraete |
JPH04234929A (ja) * | 1991-01-09 | 1992-08-24 | Daiwa Seiko Inc | 釣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5160139A (en) * | 1991-10-15 | 1992-11-03 | Soong Tsai C | Handle device for sports equipment shafts |
IT229056Y1 (it) * | 1992-11-23 | 1998-06-24 | Faps Fabbrica Articoli Pesca E | Canna da pesca perfezionata |
JP3169195B2 (ja) * | 1993-02-26 | 2001-05-21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釣竿用キャスティングハンドル |
JP2542612Y2 (ja) * | 1993-03-22 | 1997-07-30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キャスティングハンドル |
US5425534A (en) * | 1993-09-17 | 1995-06-20 | Chen; Hon-Chy | Badminton racket handle structure |
US5671926A (en) * | 1994-12-23 | 1997-09-30 | Hagey; Edward H. | Tennis racket with enhanced hand grip |
US5881489A (en) * | 1996-08-14 | 1999-03-16 | Charles C. Worth Corporation | Integrated handle fishing reel housing |
SE0202953L (sv) * | 2002-10-08 | 2003-12-16 | Attila Szelenyi | Racketskaft samt med sådant skaftförsedd racket |
JP2004173682A (ja) * | 2002-11-12 | 2004-06-24 | Shimano Inc | 釣竿及び釣竿を構成する竿体の連結構造 |
US20070191155A1 (en) * | 2006-02-06 | 2007-08-16 | Babolat Vs | Racket handle of ergonomic character, a racket, and corresponding ranges of handles and of rackets |
JP2008011703A (ja) * | 2006-06-30 | 2008-01-24 | Daiwa Seiko Inc | 釣竿 |
FR2909005B1 (fr) * | 2006-11-23 | 2009-02-27 | Babolat Vs Sa | Insert pour manche de raquette, manche et raquette correspondants. |
JP3139298U (ja) * | 2007-11-27 | 2008-02-07 | 浩一 伊東 | 釣竿 |
DE112011101069B4 (de) | 2010-03-26 | 2018-05-03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Halbleit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Halbleitervorrichtung |
JP5669454B2 (ja) | 2010-06-22 | 2015-02-12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竿 |
US8453374B2 (en) * | 2011-01-19 | 2013-06-04 | Mick B. Saunders | Cushion for butt-end of fishing rod |
CN103355266A (zh) * | 2012-03-30 | 2013-10-23 | 刘金红 | 新型鱼竿手柄 |
JP6164835B2 (ja) * | 2012-12-25 | 2017-07-19 | 株式会社シマノ |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並びに釣竿用竿体の製造方法 |
US20140366327A1 (en) * | 2013-06-12 | 2014-12-18 | Ben Huang | Replaceable grip and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JP2015112108A (ja) * | 2013-12-09 | 2015-06-22 | ガルハルド ダニエル | 栓収納部及び基部固定部材を有する釣竿 |
EP2926653A4 (en) * | 2013-12-18 | 2016-11-23 | Jscompany Ltd | FISHING ROD FOR INCREASING THE DAMAGE |
JP6147662B2 (ja) | 2013-12-27 | 2017-06-14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釣竿 |
US20170013816A1 (en) * | 2015-07-14 | 2017-01-19 | Ben Huang | Reel seat with gripping surface |
KR101851359B1 (ko) * | 2016-02-12 | 2018-04-23 | 정재철 | 어저귀로 제조된 낚시대 손잡이 |
-
2017
- 2017-12-05 JP JP2017233472A patent/JP7048285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10-04 CN CN201880067331.3A patent/CN111225559B/zh active Active
- 2018-10-04 WO PCT/JP2018/037230 patent/WO201911151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0-04 US US16/765,955 patent/US11576359B2/en active Active
- 2018-10-04 KR KR1020207011336A patent/KR1026203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9298B2 (ja) | 1994-07-22 | 2001-02-26 | 富士電機株式会社 | 圧延機の速度制御装置 |
JP2001352867A (ja) * | 2000-06-14 | 2001-12-25 | Shimano Inc | 釣 竿 |
KR100894979B1 (ko) | 2001-09-03 | 2009-04-24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 낚싯대 |
JP2003339281A (ja) * | 2002-05-28 | 2003-12-02 | Daiwa Seiko Inc | イカダ竿 |
JP2006191874A (ja) * | 2005-01-14 | 2006-07-27 | Gamakatsu Co Ltd | 釣竿 |
JP2008017711A (ja) | 2006-07-10 | 2008-01-31 | Shimano Inc | 釣り竿 |
JP2017012065A (ja) * | 2015-06-30 | 2017-01-19 | 株式会社シマノ | リールシート支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
JP2017131154A (ja) | 2016-01-27 | 2017-08-03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握り部等に使用するグリップ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11516A1 (ja) | 2019-06-13 |
JP7048285B2 (ja) | 2022-04-05 |
KR20200092941A (ko) | 2020-08-04 |
CN111225559B (zh) | 2022-03-25 |
US11576359B2 (en) | 2023-02-14 |
CN111225559A (zh) | 2020-06-02 |
JP2019097508A (ja) | 2019-06-24 |
US20200352149A1 (en) | 2020-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20330B1 (ko) | 낚싯대 | |
KR102352479B1 (ko) | 릴시트 및 낚싯대 | |
KR20230054378A (ko) | 릴 시트 | |
JP6691842B2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 |
JP7376449B2 (ja) | リールシート | |
US4916848A (en) | Handle body assembly for a fishing rod | |
JP2007202402A (ja) | 釣竿 | |
JP6734217B2 (ja) | リールシート | |
JP4671877B2 (ja) | 釣竿 | |
JP2019126296A (ja) | 釣竿の可変長グリップ | |
JP2007202407A (ja) | 釣竿 | |
JP6876015B2 (ja) |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 |
JP2019146536A (ja) | リールシート及びサポートグリップ | |
CN110959589B (zh) | 钓竿 | |
JP2001136872A (ja) | 釣 竿 | |
JP2022184414A (ja) | 釣竿 | |
JP7088823B2 (ja) | インロー継式の釣竿 | |
JP4354095B2 (ja) | 釣竿 | |
JP5838288B1 (ja) | 釣竿 | |
JPS608688Y2 (ja) | 釣竿 | |
JP2008220176A (ja) | 釣竿 | |
KR20240149307A (ko) | 낚싯대 | |
JP2024148292A (ja) | 釣竿 | |
JP2020103324A (ja) |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 |
JP3911170B2 (ja) | 釣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