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698B1 -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이용한 식품 - Google Patents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이용한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698B1
KR100894698B1 KR1020077003828A KR20077003828A KR100894698B1 KR 100894698 B1 KR100894698 B1 KR 100894698B1 KR 1020077003828 A KR1020077003828 A KR 1020077003828A KR 20077003828 A KR20077003828 A KR 20077003828A KR 100894698 B1 KR100894698 B1 KR 100894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at flour
weight
parts
ethyl alcohol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792A (ko
Inventor
마사노리 이토
카즈히로 사노
타카히로 기타무라
코지 무라카미
토시유키 코야마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3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Noodl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가공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풍미, 식감을 개선하기 위한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공소맥분 및 이를 사용한 식품을 제공한다.
소맥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 10 ~ 55 중량부를, 전체 수분이 20중량% 이하가 되도록 한 조건하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50 ℃ 이하의 온도에서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맥분, 에틸알코올, 가공적성

Description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이용한 식품{METHOD OF PROCESSING WHEAT FLOUR, PROCESSED WHEAT FLOUR OBTAINED BY THE METHOD AND FOOD UTILIZING THE PROCESSED WHEAT FLOUR}
본 발명은, 소맥분의 가공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식감, 풍미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사용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소맥분은, 식품분야에서 빵류, 면류, 과자류(쿠키, 비스켓, 케익, 파이, 쁘레젤 등), 스낵류의 주원료로 널리 응용되고 있다.
상기 식품은, 모두 소맥분이 주원료이기 때문에, 소맥분의 성질이 식품의 식감에 크게 반영되며, 소맥분 고유의 가루감, 나쁜 입안 용해성과 같은 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소맥분 특유의 단백질인 글루텐은, 소맥분의 폭넓은 2차 가공적성을 해치는 성분으로, 상기 식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필요 불가결한 성분이나, 한편으로는 소수성 단백질이기 때문에, 가루감 등의 한 원인이기도 하다.
한편, 현재 식품에 있어서 알코올 처리 방법으로서는, 너트, 쌀, 소맥 밀기 울 등의 처리가 보고되어 있으나, 종래의 처리방법은, 알코올 처리시 또는 알코올 제거시 고온 가열을 동반하는 방법(예를 들어, 특허문서 1 참조), 또는 추가로 물을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문서 2 참조)이 필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을 소맥분에 응용하는 경우, 가열에 의해 소맥분의 글루텐이 실활하여 소맥분의 2차 가공적성이 손실되거나 또는 소맥분에 가수하므로써 소맥분이 생지를 형성하게 되어, 그 후 여러 가지 형태로의 가공이 곤란해져, 목적하는 식감의 개선도 달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알코올 처리방법은 소맥분과 같은 섬세한 분체의 처리를 전제로 하지 않고, 가수 및 가열에 의해서도 기본적인 물성, 성상이 영향을 받기 어려운 식품원료, 예를 들어 입상의 곡물류 등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또한 그 목적도 대상물의 냄새의 개선 및 영양성분의 농축이며, 소맥분과 같이 폭넓은 2차 가공적성을 갖는 분체의 처리에 응용가능한 것은 아니였다.
또한, 최근 건강지향의 고조로 영양가가 풍부한 소맥 전립분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으나, 소맥 전립분은 식감 및 풍미가 현저히 나쁘고, 특히 그 냄새는 소맥 전립분 중의 밀기울 부분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알데히드류에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풍미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밀기울의 풍미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서는, 밀기울을 증류하고, 그 후, 산과 당을 가하여 가열건조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문서 3참조), 밀기울에 물을 가하고, 여기에 국균(麴菌)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방법(예를 들어 특허문서 4참조), 소맥의 밀기울을 물에 침지한 후 탈수하고, 가열건조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문서 5참조), 밀기울에 물을 가하 고 밀기울 자체가 가지는 효소를 작용시켜, 가열, 가압처리하는 방법(예를 들어, 특허문서 6참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소맥에서 분리한 밀기울에 한정하여 이루어지는 처리방법으로, 소맥 전립분에 응용하는 경우, 역시 글루텐이 실활 또는 현저하게 변성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한 제품으로의 2차 가공적성이 손상을 입고, 식감의 개선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서 1: 특허공고 소56-43332호 공보
특허문서 2: 특허공고 소56-36898호 공보
특허문서 3: 특허공고 소56-50546호 공보
특허문서 4: 특허공개 소57-105153호 공보
특허문서 5: 특허공개 소62-32849호 공보
특허문서 6: 특허 제299708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가공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풍미, 식감을 개선하기 위한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사용한 식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불철주야로 연구를 수행, 소맥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 10 ~ 55 중량부를, 전체의 수분이 20 중량% 이하가 되도록 한 조건하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50 ℃ 이하의 온도에서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맥분의 가공방법을 통해, 2차 가공적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풍미, 식감이 개선된 가공소맥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또한, 상기 가공방법에 있어서, 감압하에서 에틸알코올의 휘발시키면, 최적으로 풍미,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사실, 또한 소맥분이 전립분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전립분의 풍미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가공소맥분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공소맥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공소맥분을 사용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맥분이란,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전립분 등의 소맥분류이며, 알코올로서는, 식품으로서의 안전성, 비점 등을 고려하여 에틸알코올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소맥분의 가공방법은, 첫 번째로 상기 소맥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 10 ~ 55 중량부 (함수 에틸알코올을 사용한 경우에는, 물을 제거한 에틸알코올)를 전체의 수분이 20 중량% 이하가 되도록 한 조건하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소맥분에 에틸알코올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믹서에서 소맥분을 교반시키면서 에틸알코올을 투입, 혼합하는 방법, 쉬프터(shifter, 밀가루 체치는 기계)를 통과시켜 낙하 중인 소맥분에 정량적으로 에틸알코올을 분무하는 방법, 연속식 믹서에 에틸알코올을 정량적으로 적하하는 방법 등, 소맥분과 에틸알코올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적당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맥분과 에틸알코올과의 혼합비율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맥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을 10 ~ 5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 4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한다.
에틸알코올의 혼합비율이 55 중량부를 넘는 경우에는, 에틸알코올 중에 소맥분이 분산한 상태에서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정도로 극단적으로 핸들링이 나빠지거나, 덩어리가 형성되어, 얻어진 가공소맥분은 가공적성이 낮은 소맥분이 되어 버린다. 또한, 에틸알코올의 혼합비율이 10 중량부 보다 낮은 경우에는, 얻어진 가공소맥분을 사용하여 식품을 제조하여도, 본 발명의 특징인 식감의 개선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맥분과 에틸알코올을 균일하게 분산할 때의 수분함량으로서는, 2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이하이다. 수분함량이 20 중량%를 넘는 경우, 소맥분에 에틸알코올을 분산시킬 때 덩어리가 형성되어 불균일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다음의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키는 공정에서, 강고(强固)한 생지와 같은 덩어리가 딱딱한 채로 존재하게 되어, 얻어진 가공 소맥분은 가공적성이 낮은 소맥분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소맥분의 가공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소맥분에는 12 ~ 14 중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분함량에는, 소맥분 중의 수분도 포함된다. 또한, 에틸알코올에 대해서도, 함수 에틸알코올을 사용한 경우에는, 함수 에틸알코올 중의 수분도 포함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한 소맥분과 에틸알코올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분산물로부터,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50 ℃의 온도에서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킨다. 50 ℃를 넘는 온도에서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키면, 소맥분 중의 글루텐이 실활하여, 소맥분의 2차 가공적성이 손실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배치(batch)식 고내(庫內)에 건조한 공기를 불어넣어, 에틸알코올을 분산처리한 시료를 대류시키면서 휘발시키는 통풍건조법, 온도가 조절된 철판 위에 시료를 깔아 채우면서 휘발시키는 방법 등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감압건조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바람직하게는 감압도 20 kPa이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kPa이하에서 휘발시켜 소맥분을 건조시키면, 보다 저온에서 단시간에 에틸알코올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킨 가공소맥분은, 에틸알코올을 충분히 제거하면, 분말상으로 되나, 분체가 케이킹(caking, 가루를 열, 압력, 수분 따위를 이용하여 단단하고 굳어진 형태로 바꾸는 일).하고 있는 경우에는, 30 메쉬 정도의 쉬프터를 사용하여 균일한 분말상으로 하여도 좋다. 에틸알코올이 휘발되면 소맥분은 다시 가공에 적합한 분말상태가 되어, 여러 2차 가공에 적합한 물성이 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본 발명의 가공소맥분은 소맥 글루텐의 2차 가공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입안 용해성이 나쁜 점 등의 소맥분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감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풍미도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방법으로 소맥 전립분을 처리한 경우에는, 이를 사용한 식품의 식감이 개선 가능할 뿐 아니라, 전립분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쓴맛, 냄새를 제거하고, 풍미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소맥분은, 종래의 소맥분의 일부, 또는 전체와 대체하여 빵류, 면류, 쿠키, 비스켓, 크래커, 케익, 파이, 쁘레젤, 스낵류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한 제품은, 혀감촉, 입안 용해성, 목넘김 등의 식감이 우수한 품질이 된다. 또한, 소맥분 특유의 가루냄새도 완전히 제거된 우수한 품질이 된다.
다음에는 실시예,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분체로서 소맥분(박력분), 소맥 전립분, 참고로 메밀분을 각각 종형 믹서에서 교반하면서 하기 [표1]의 [실시예1 ~ 8] 및 [비교예1 ~ 6]의 조건이 되도록 함수 에틸알코올을 분무, 분산하여, 감압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30 메쉬 크기의 체로 걸러서 14종류의 가공 분체를 얻었다. 얻어진 가공분체 100 중량부에 소금 2 중량부와 물 45 중량부를 첨가하여, 종형믹서에서 15분간 혼합하고 생지를 제조하므로써, 14종류의 가공 분체의 2차 가공적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112007014600899-pct00001
그 결과, 소맥분의 분말화에 대하여, 수분이 높은 [비교예 2]와 에틸알코올의 함량이 높은 [비교예 5]에서는, 생지 덩어리가 생겨, 분말화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에틸알코올의 휘발온도가 55 ℃인 [비교예 1]에서 처리한 가공소맥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생지는 생지의 결합성이 나빠 도우가 형성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표 1의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6]의 각 조건에서 처리한 가공분체 및 [비교예 7 ~ 8]의 미처리한 소맥분 및 미처리 소맥 전립분을 각각 100 중량부, 설탕 25 중량부, 마가린 15 중량부, 전지분유 5 중량부, 식염 1 중량부, 중조 0.5 중량부, 탄산암모늄 2 중량부, 바닐라 향료 0.1 중량부, 물 26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상법으로 혼합, 교반, 발효하고, 하드 비스켓 생지를 제조하였다. 다음에는 이 생지를 12층으로 적층(laminate)하고, 생지 두께 1.8 ㎜, 직경 50 ㎜, 핀구멍 10개로 성형하고, 상하 불 모두가 180 ℃인 오븐에서 9분간 가열 소성하여, 각각 하드 비스켓을 얻었다. 제조한 비스켓을 1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비교예 1, 2 및 5]에서 처리한 가공 소맥분은, 비스켓 생지를 제조할 수 없어서 비스켓을 제조할 수 없었다.
관능검사는 이하의 기준에 따라 5단계로 평가하였다.
패널의 평가기준
5 ···매우 좋음
4 ··· 좋음
3 ··· 보통(미처리 소맥분을 기준)
2 ··· 나쁨
1 ··· 매우 나쁨
Figure 112007014600899-pct00002
그 결과, [실시예 1 ~ 8]로 처리한 가공 소맥분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비스켓은, 가루감, 나쁜 입안 용해성이 경감되고, 식감이 좋고 맛있었다. 특히, 소맥 전립분을 [실시예 7]에서 처리하여 제조한 비스켓은, 미처리 소맥전립을 사용한 비스켓과 비교하여, 전립분 특유의 강렬한 곡물취가 현저하게 개선되어, 매우 맛있었다.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비교예 3]과 [비교예 4]에서 처리한 가공소맥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비스켓은, 미처리한 소맥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비스켓과 마찬가지로 가루감을 가지며, 입안 용해성이 나빴다. 또한 [비교예 6]에서 메밀분을 처리하여,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비스켓은, 메밀의 풍미가 부족하였다.
[실시예 9]
박력분 100 중량부를 믹서에서 저속 교반하는 중에, 95% 에틸알코올(v/v) 37.9 중량부를 분무, 교반하여, 에틸알코올이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 12.2 %의 분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감압건조기를 49 ℃로 설정하고, 6.0 kPa의 감압하에서 4 시간 감압건조하므로써, 에틸알코올분이 휘발한 가공소맥분을 얻었다.
계속하여, 가공소맥분 100 중량부, 설탕 30 중량부, 마가린 38 중량부, 전지분유 5 중량부, 전란 5 중량부, 식염 0.5 중량부, 중조 1 중량부, 탄산암모늄 1 중량부, 바닐라향료 0.2 중량부, 물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상법에 따라 혼합, 교반하여, 쿠키생지를 제조하였다.
이 생지를 로터리 몰더에서 직경 47 ㎜, 두께 5 ㎜의 원주형으로 성형하고, 상하 불 모두 180 ℃인 오븐에서 8 분간 가열소성하여, 구운 과자를 얻었다. 얻어진 구운 과자는, 가공 소맥분을 사용하지 않은 보통의 쿠키보다도, 가루감, 나쁜 입안 용해성이 저감되고, 식감이 좋고, 맛있었다. 추가로 실시예, 비교예를 예시한다.
[실시예 10] 우동
중력분 100 중량부를 믹서에서 저속 교반하는 중에, 87 % 에틸알코올(v/v) 61.1 중량부를 분무, 교반하여, 에틸알코올이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 15.6 %의 분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감압건조기를 40 ℃로 설정하고, 4.0 kPa에서, 교반하면서 2 시간 감압건조하므로써, 에틸알코올분이 휘발된 가공소맥분을 얻었다.
계속해서, 가공 소맥분 100 중량부, 소금 45 중량부, 물 44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상법에 따라 혼합, 교반하여 우동생지를 제조하였다.
이 생지를, 리버스 시터(Reverse Sheeter)를 사용하여, 두께 3.5 ㎜의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계속해서 제면기로 폭 3.5 ㎜의 면을 제조하였다. 이 면을 13 시간 삶고, 찬물에 헹군 뒤, 우동을 얻었다. 얻어진 우동은, 가공 소맥분을 사용하지 않은 보통의 우동보다도, 가루감, 입안용해성의 나쁜 점이 저감되어, 식감이 좋고 맛있었다.
[실시예11] 빵
소맥 전립분 100 중량부를 믹서에서 저속교반하는 중에, 95 % 에틸알코올(v/v) 37.9 중량부를 분무, 교반하여, 에틸알코올이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 10.8 %의 분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감압건조기를 49 ℃로 설정하고, 6.0 kPa에서 4 시간 감압건조하므로써, 에틸알코올분이 휘발된 가공 소맥 전립분을 얻었다.
계속하여, 가공 소맥 전립분 100 중량부, 이스트 1.5 중량부, 이스트푸드 0.1 중량부, 마가린 5 중량부, 설탕 2 중량부, 식염 1.7 중량부, 물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상법에 따라 혼합, 교반, 발효하여, 빵 생지를 제조하였다.
1개당 80 g으로 나누어, 손으로 둥글게 성형하고, 온도 38 ℃, 습도 85 %에서 1 시간 2차 발효를 한 후, 상하 불 모두 200 ℃인 오븐에서 19분간 가열소성하고, 조정 전립분 빵을 얻었다. 얻어진 빵은, 가공 전립분을 사용하지 않는 보통의 전립분 빵과 비교하여, 가루감, 입안용해성의 나쁜 점이 저감되어, 식감이 좋고, 더욱이 전립분 특유의 불쾌한 곡물취가 없고 맛있었다.
[비교예 9] 쁘레젤
강력분 100 중량부를 믹서에서 저속 교반하는 중에, 95 % 에틸알코올(v/v) 37.9 중량부를 분무, 교반하여, 에틸알코올이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 12.2 %의 분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감압건조기를 55 ℃로 설정하고, 6.0 kPa에서 3 시간 30 분 감압건조하므로써, 알코올분이 휘발된 가공소맥분을 얻었다.
계속하여, 가공소맥분 90 중량부, 박력분 10 중량부, 전분 25 중량부, 쇼트닝 15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중조 3 중량부, 드라이이스트 2 중량부, 물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상법에 따라 혼합, 교반, 발효하고, 쁘레젤 생지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나, 보통의 강력분을 사용한 경우와 달리, 결합성이 없이 흩어져, 적절한 생지를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10]
박력분 100 중량부를 믹서에서 저속 교반하는 중에, 70 % 에틸알코올(v/v) 56 중량부를 분무, 교반한 결과, 수분이 22.5 %로 높아, 글루텐이 결착하여, 생지와 같은 덩어리가 대량으로 생겨, 원하는 균질한 상태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감압건조기를 49 ℃로 설정하고, 6.0 kPa의 감압하에서 4 시간 감압건조하였으나, 생지와 같은 덩어리가, 건조하여도 딱딱한 채로 존재하여 분체로서 얻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11] 비스켓
박력분 100 중량부를 믹서에서 저속 교반하는 중에, 95 % 에틸알코올(v/v) 5.4 중량부를 분무, 교반하여, 에틸알코올이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 13.7 %의 분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감압건조기를 49 ℃로 설정하고, 6.0 kPa에서 3 시간 감압건조하므로써, 알코올분이 휘발된 가공소맥분을 얻었다.
계속하여, 가공소맥분 100 중량부, 설탕 25 중량부, 마가린 40 중량부, 전지분유 5 중량부, 전란 5 중량부, 식염 0.5 중량부, 중조 1 중량부, 탄산암모늄 1 중량부, 바닐라향료 0.2 중량부, 물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상법에 따라 혼합, 교반하여, 비스켓 생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이 생지를 로터리 몰더를 사용하여, 직경 47 ㎜, 두께 5 ㎜의 원주형으로 성형하고, 아래위 불 모두 180 ℃의 오븐에서 8 분간 가열소성하고, 구운 과자를 얻었다. 얻어진 구운 과자는, 가공소맥분을 사용하지 않은 보통의 소맥분을 사용한 비스켓과 큰 차이 없이 보통의 비스켓과 같은 비스켓이 되었다.
[비교예 12] 소바(메밀국수)
메밀분 100 중량부를 믹서에서 저속 교반하는 중에, 95 % 에틸알코올(v/v) 3.79 중량부를 분무, 교반하여, 에틸알코올이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 11.9 %의 분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감압건조기를 49 ℃로 설정하고, 6.0 kPa의 감압하에서 4 시간 감압건조하므로써, 에틸알코올분이 휘발된 가공 메밀분을 얻었다.
계속하여, 가공 메밀분 100 중량부, 중력분 25 중량부, 물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상법에 따라 혼련하고, 메밀생지를 제조하였다.
이 생지를 국수방망이를 사용하여 두께 2 ㎜로 압연하고, 적당한 폭으로 재단하여 메밀면을 얻었다. 메밀면을 끓는 물에 삶고, 흐르는 물로 씻어 소바를 얻었다. 얻어진 소바는 가공 메밀분을 사용하지 않은 보통의 메밀분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메밀의 풍미가 없고, 맛이 없어졌다.
본 발명의 가공방법에 따르면, 소맥 글루텐의 2차 가공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나쁜 입안 용해성 등의 소맥분 특유의 바람직하지 않는 식감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과 함께, 풍미도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방법을 소맥 전립분에 응용한 경우에는, 식감이 개선될 수 있는 것뿐 아니라, 전립분 특유의 바람직하지 않는 쓴맛, 냄새를 제거하고, 풍미도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공소맥분을 사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면, 혀감촉, 입안 용해감, 목 넘김 등의 식감이 우수한 품질이 된다. 또한, 소맥분 특유의 가루냄새도 완전히 제거되는 우수한 품질이 된다.

Claims (5)

  1. 소맥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 10 ~ 55 중량부를 전체 수분이 20 중량% 이하가 되도록 한 조건하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50 ℃ 이하의 온도에서 에틸알코올을 휘발시키고,
    상기 소맥분은 전립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맥분의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 에 기재된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공소맥분.
  5. 청구항 4 에 기재된 가공소맥분을 사용한 식품.
KR1020077003828A 2004-10-13 2005-05-06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이용한 식품 KR100894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9432A JP4636847B2 (ja) 2004-10-13 2004-10-13 全粒粉からなる小麦粉の加工方法及びその加工方法により得られた加工小麦粉並びにその加工小麦粉を使用した食品
JPJP-P-2004-00299432 2004-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792A KR20070036792A (ko) 2007-04-03
KR100894698B1 true KR100894698B1 (ko) 2009-04-24

Family

ID=3614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828A KR100894698B1 (ko) 2004-10-13 2005-05-06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이용한 식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85916B2 (ko)
EP (1) EP1808082A4 (ko)
JP (1) JP4636847B2 (ko)
KR (1) KR100894698B1 (ko)
CN (1) CN101039593B (ko)
HK (1) HK1110478A1 (ko)
WO (1) WO2006040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622B1 (ko) * 2008-02-04 2009-09-07 동아제분 주식회사 과립형 밀가루 제조방법
JP5514411B2 (ja) * 2008-07-30 2014-06-0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表面処理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9532946B2 (en) 2012-11-20 2017-01-03 Intervet Inc. Manufacturing of semi-plastic pharmaceutical dosage units
JP5379322B1 (ja) * 2013-03-29 2013-12-25 森永製菓株式会社 焼菓子の製造方法及び食品の成形装置
CN105265513A (zh) * 2014-05-30 2016-01-27 定西市绿康农产品加工有限责任公司 一种荞麦面包及制作方法
DK3285588T3 (da) * 2015-04-23 2019-07-08 Innovative Food Design Ab Fremgangsmå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642A (en) 1977-08-13 1979-03-10 Karupisu Shiyokuhin Kougiyou K Improving of confectionery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JPS62181747A (ja) 1986-02-06 1987-08-10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改質小麦粉の製造法
KR930007974A (ko) * 1991-10-17 1993-05-20 마쓰따니 히데지로 난소화성 덱스트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8200A (en) * 1939-08-30 1940-04-23 Musher Foundation Inc Stabilizing food compositions
US2422588A (en) * 1944-04-28 1947-06-17 Samisch Zdenka Manufacture of dried citrus fruit paste
FR2433536A1 (fr) 1978-08-16 1980-03-14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ndrost 4-e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
JPS57105153A (en) 1980-12-24 1982-06-30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Deodorization of wheat bran
DE3133471C2 (de) 1981-08-25 1985-08-22 Buckau-Walther AG, 4048 Grevenbroic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lzusatzes aus Mais oder verwandten Getreidearten
JPS6232849A (ja) 1985-08-02 1987-02-12 Nitto Seifun Kk 食用加工皴の製造方法
GB2182835B (en) 1985-10-22 1990-02-21 House Food Industrial Co A premix for cooking by a microwave ove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S6296034A (ja) 1985-10-22 1987-05-02 ハウス食品工業株式会社 高保存性プレミツクス
JP2997082B2 (ja) 1991-04-02 2000-01-11 日本製粉株式会社 フスマ加工品及びその製造法
EP0552006A1 (en) 1992-01-13 1993-07-21 CONAGRA, Inc. Method for increasing stability and bake absorption of a bread baking wheat flour and resulting dough and bread
DE4422433A1 (de) * 1994-06-28 1996-01-04 Cognis Bio Umwelt Mehrenzymgranulat
CN1052614C (zh) * 1995-10-04 2000-05-24 邹冰 全营养素面粉的制作方法
CA2193915C (en) 1995-12-28 2003-09-09 Michiko Watanabe Method for producing a hypoallergenic wheat flour
JP3302872B2 (ja) * 1995-12-28 2002-07-15 科学技術振興事業団 小麦粉低アレルゲン化方法と、低アレルゲン化小麦粉
JP3650485B2 (ja) 1996-08-22 2005-05-18 日東製粉株式会社 酵素処理小麦粉の製造法
JP4640746B2 (ja) 2001-06-22 2011-03-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ダクト用換気扇
CA2497918A1 (en) * 2002-10-23 2004-05-06 Marc Ljungstroem Flour treatment method
US8187855B2 (en) 2008-03-06 2012-05-29 Halozyme, Inc. Large-scale production of soluble hyaluronidase
WO2011071725A1 (en) 2009-12-07 2011-06-1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 pyrrolopyridine or benzimidazole core
JP5636898B2 (ja) 2010-11-17 2014-12-1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熱コイルおよび誘導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642A (en) 1977-08-13 1979-03-10 Karupisu Shiyokuhin Kougiyou K Improving of confectionery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JPS62181747A (ja) 1986-02-06 1987-08-10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改質小麦粉の製造法
KR930007974A (ko) * 1991-10-17 1993-05-20 마쓰따니 히데지로 난소화성 덱스트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8082A1 (en) 2007-07-18
CN101039593A (zh) 2007-09-19
US20080095916A1 (en) 2008-04-24
WO2006040853A1 (ja) 2006-04-20
CN101039593B (zh) 2011-01-19
KR20070036792A (ko) 2007-04-03
EP1808082A4 (en) 2008-05-28
JP4636847B2 (ja) 2011-02-23
US9185916B2 (en) 2015-11-17
JP2006109740A (ja) 2006-04-27
HK1110478A1 (en)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698B1 (ko) 소맥분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진가공소맥분 및 그 가공소맥분을 이용한 식품
JP5101823B2 (ja) 食品素材
JP3068339B2 (ja) 冷凍ベーカリー製品
JP2003000164A (ja) 小麦粉製品用素材
US4643900A (en) Method for making bakery products
WO2017141702A1 (ja) 改良グルテンの製造方法
JPS6345770B2 (ko)
EP0922389B1 (en) Process for producing flour-containing foods for microwave oven heating
JP2010000045A (ja) 食品用小麦粉粉末中麺の製造方法
JP6687380B2 (ja) 塩味増強剤
JP2015164413A (ja) ベーカリー食品用ミックス
JPH10191873A (ja) パン用ミックス粉及びこれを用いたパン類の製造方法
JP2000093071A (ja) 焼成スナック菓子の製造方法
JP3976896B2 (ja) ピザの製造法
JP2757486B2 (ja) ピザ台およびピザパイ
JP2001017070A (ja) ベーカリー製品の製造方法
Nasser et al. Effect of flour type on phytic acid degradation during biscuit making.
JP3991007B2 (ja) 焼き菓子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焼き菓子
JPH1066516A (ja) 大豆蛋白含有食品の製造方法
JP2023075868A (ja) 穀粉加熱食品用加熱処理大豆皮の製造方法、及び穀粉加熱食品の製造方法
EP0908101B1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a granulated bread product
JPH10210946A (ja) 大豆胚軸利用食品及びその製造法
JP3027455B2 (ja) 小麦加工食品
US321427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aked goods and alimentary pastes
JPH04218327A (ja) イースト発酵食品及びその冷凍品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