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934B1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934B1
KR100892934B1 KR1020070037006A KR20070037006A KR100892934B1 KR 100892934 B1 KR100892934 B1 KR 100892934B1 KR 1020070037006 A KR1020070037006 A KR 1020070037006A KR 20070037006 A KR20070037006 A KR 20070037006A KR 100892934 B1 KR100892934 B1 KR 10089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container
cooling air
col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040A (ko
Inventor
시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재 수용 용기가 가열되는 것에 의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전기 회로 기판류(類)가 집합된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하측에, 토너 수용부(30)가 설치되어 있다. 토너 수용부(30)의 각 토너 카트리지(31(31Y, 31M, 31C, 31K))와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사이에는, 냉각 공기 통로(50)가 형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70037006
화상 형성 장치, 제어 기판 어셈블리, 토너 수용부, 냉각 공기 통로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토너 수용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5와 대응하는 상이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10 : 화상 형성 장치 본체(화상 형성부)
12 : 제어 기판 어셈블리(발열 구성부)
31(31Y, 31M, 31C, 31K) : 토너 카트리지(색재 수용 용기, 토너 수용 용기)
41 : 지지 가이드(지지 부재) 41M : 중간 가이드(지지 부재)
41S : 측부 가이드(지지 부재) 50 : 냉각 공기 통로
51 : 카트리지 통로(냉각 공기 통로)
본 발명은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나 복사기 등에 이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색재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전원 장치나 각종 전기 기판 등, 작용에 따라 발열하는 작용부(발열 작용부)를 구비하는 한편, 광학계 등의 온도 상승이 바람직하지 않은 기구부가 있다. 이 때문에, 발열 작용부로부터의 열에 의한, 다른 기구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구성이 필요로 된다.
그런데, 이러한 열에 의한 결함은,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장치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며, 장치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냉각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은,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항상 통전(通電)되어 발열하는 제 1 발열 부재와, 화상 판독 동작 시에 통전되어 발열하는 제 2 발열 부재를 갖고,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항상 제 1 발열 부재를 향한 공기를 압송(壓送)하도록 회전하는 제 1 팬(fan)과, 화상 판독 동작 시에 회전하여 적어도 제 1 팬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의 일부를 제 2 발열 부재를 향하여 압송하는 제 2 팬을 설치하고, 각 발열 부재에 적합한 냉각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1-144889호 공보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색재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이 수용 용기로부터 색재를 화상 형성 부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색재 수용 용기가 발열 작용부 등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면, 수용된 색재의 온도가 상승하여 변질하는 등의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열 정착에 의해 기록 매체에 고정(정착)하는 열 정착 토너를 색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열 정착 토너는 온도 상승에 의해 유동성이 악화되는 등의 결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색재 수용 용기가 가열되는 것에 의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색재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색재를 수용하는 색재 수용 용기와, 색재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가 유통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구비하고, 색재 수용 용기가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색재 수용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지지 부재가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발열하는 발열 구성부를 더 구비하고, 색재 수용 용기와 발열 구성부는 냉각 공기 통로를 사이에 삽입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발열 구성부는, 전기 부품을 구비하는 구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상(像)을 유지하는 상유지체(像維持體)와, 상유지체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 용기와, 토너 수용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토너 수용 용기가,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열하는 발열 구성부를 더 포함하고, 냉각 공기 통로는, 토너 수용 용기와, 지지 부재와, 발열 구성부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공기를 순환시키는 배기 팬을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뒷면 측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 공기를 순환시키는 배기 팬을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뒷면 측에 2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색재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과, 색재 수용 용기에 상기 색재를 수용하는 공정과, 냉각 공기 통로를 유통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상기 색재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색재 수용 용기가, 상기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유지체에 토너상을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토너상을 상기 상유지체에 현상하는 공정과,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를 토너 수용 용기에 수용하는 공정과, 상기 토너 수용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현상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그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개념적인 구성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부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를 구비하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복수의 화상 형성부(15A(15AY, 15AM, 15AC, 15AK))에 의해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다. 중앙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를 사이에 삽입하여, 도면 중 좌측에 급지(給紙) 장치(10A), 우측에 배지(排紙) 장치(10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조작면(도면 중 앞측 면: 앞면) 측의 앞면 패널(10FP)이 좌우로 개방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화상 형성 유닛(15)과 전사(轉寫) 벨트 유닛(16)이 조작면 측에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조작면 측을 앞면, 이 앞면과 대향하는 뒤측 면을 뒷면이라고 칭한다. 또한, 앞면에서 뒷면에 이르는 안길이 방향을 전후, 이것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좌우, 이들 전후 및 좌우와 직교하 는 방향을 상하라고 칭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11) 내부에, 하기와 같은 화상 형성부를 구성하는 각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 중 좌측에, 상부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회로 기판류가 집합된 발열 구성부로서의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토너 수용부(30), 주사(走査) 노광(露光) 장치(14), 화상 형성 유닛(15), 전사 벨트 유닛(16), 용지 반송 기구(17)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우측 하부에 정착 장치(18), 상부에 전원 분배 기판 어셈블리(1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착 장치(18)와 전원 분배 기판 어셈블리(19) 사이에, 전원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주사 노광 장치(14)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출사한 복수의 레이저 빔을 일괄하여 주사 동작시키는 소위 멀티 빔 주사 광학계이다. 화상 형성 유닛(15)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레이저 빔에 의해 각 화상 형성부(15A)의 감광체 드럼을 각각 상측으로부터 주사 노광하여 정전(靜電) 잠상(潛像)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유닛(15)은,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4세트의 화상 형성부(15A(15AY, 15AM, 15AC, 15AK))를 구비하고 있다.
각 화상 형성부(15A)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유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 주위에, 그 회전 방향을 따라, 감광체 드럼을 대전(帶電)시키는 대전 장치 와, 주사 노광 장치(14)의 노광에 의해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상화시키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전사 벨트 유닛(16)의 중간 전사 벨트(16A)로의 토너상의 전사 후에 감광체 드럼 상에 잔존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 표면의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한다.
토너 수용부(30)는,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과 대응하는 색재 수용 용기인 동시에, 토너 수용 용기인 토너 카트리지(31(31Y, 31M, 31C, 31K))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이 수용하는 토너를, 필요에 따라 각 화상 형성 유닛(15)의 화상 형성부(15A)의 현상 장치에 보급한다. 또한, 그 뒷면 측에, 각 토너 카트리지(31Y, 31M, 31C, 31K)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를 유통시키는 배기 팬(3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토너 수용부(30)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사 벨트 유닛(16)은, 주회(周回) 가능하게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16A)와, 화상 형성 유닛(15)의 각 화상 형성부(15A)와 대응하는 1차 전사 롤러(16B)와, 중간 전사 벨트(16A)가 유지한 토너상을 기록 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부(16C)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6A)는, 구동 롤러(16Aa)와 백업 롤러(16Ab) 등에 걸쳐져 있으며, 구동 롤러(16Aa)의 구동에 의해 도 2 중 반시계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되어 있다. 그 상측의 주회 경로는 좌우 방향으로 거의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직선 형상의 주회 경로에 접하여, 상술한 화상 형성 유닛(15)의 4세트의 화상 형성 부(15A)가 병설(竝設)되어 있다. 이들 각 화상 형성부(15A)의 감광체 드럼과, 중간 전사 벨트(16A)를 사이에 삽입하여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각 1차 전사 롤러(16B)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각 1차 전사 롤러(16B)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각 화상 형성부(15A)의 감광체 드럼 상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6A)에 정전 흡인하여 전사시킨다.
2차 전사부(16C)는, 중간 전사 벨트(16A) 하측의 주회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는 2차 전사 롤러(16Ca)와, 주회 경로의 내측에 설치된 백업 롤러(16C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2차 전사 롤러(16Ca)와 백업 롤러(16Cb) 사이에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중간 전사 벨트(16A)가 담지(擔持)한 토너상을, 용지 반송 기구(17)에 의해 반송·공급되는 기록 용지 상에 전사(2차 전사)시킨다.
상술의 화상 형성 유닛(15)과 전사 벨트 유닛(16)은, 각각 독립된 유닛으로서 구성되는 동시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5G, 16G)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앞면 측에 인출함으로써 메인터넌스(maintenance)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지 반송 기구(17)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도 2 중 좌측에 배열 설치된 급지 장치(10A)(도 1 참조)와 2차 전사부(16C) 사이와, 2차 전사부(16C)와 정착 장치(18) 사이에, 복수의 반송 롤러 및 반송 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 장치(10A)가 저장한 기록 용지를, 2차 전사부(16C)에 화상 형성 유닛(15)의 각 화상 형성부(15A)에 의한 토너상의 형성과 동기시켜 반송하는 동시 에, 2차 전사부(16C)에 있어서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를 정착 장치(18)에 반송한다.
정착 장치(18)는 가열되는 정착 롤러(18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정착 롤러(18A)에 기록 용지를 압접(壓接)시켜 가열·가압하고, 토너상을 기록 용지 상에 고정한다.
전원 장치(20)는, 입력 전류를 변압하여, 상기 각 기구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 전류를 출력한다.
전원 분배 기판 어셈블리(19)는, 전원 장치(20)가 형성한 전류를 각 기구에 분배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는, 제어 기판 어셈블리(12)가 구성하는 제어 장치에 의한 각 기구의 제어에 의해, 하기와 같이 화상 형성을 행한다.
즉, 주사 노광 장치(14)에 의한 노광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15)의 각 화상 형성부(15A)가 형성한 각 색의 화상을, 전사 벨트 유닛(16)의 주회 구동되는 중간 전사 벨트(16A) 상에 그 움직임에 따라 순서대로 중첩시키고, 이것에 의해 컬러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급지 장치(10A)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용지를 중간 전사 벨트(16A)의 이동과 타이밍을 맞춰 반송하고, 이 기록 용지에 전사 벨트 유닛(16) 상의 컬러 토너 화상을 2차 전사부(16C)에 의해 전사한다. 그 후, 컬러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를 정착 장치(18)에 반송하고, 정착 장치(18)에 의해 컬러 토너 화상을 정착하고, 배지 장치(10B)에 의해 컬러 교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외부에 설치된 배지 트레이(21)에 배출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인 토너 수용부(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토너 수용부(30)의 정면 확대도, 도 4는 그 A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30)는,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하측에서 주사 노광 장치(14)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토너를 중력으로 반송하기 위해서는 토너 수용부(30)를 화상 형성 유닛(15)보다 상측에 배치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 유닛(15)과 주사 노광 장치(14) 사이에는 주사 노광의 광로(光路)가 존재하여 배열 설치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제어 기판 어셈블리(12)는, 각 주사 노광 장치(14)에 대하여 되도록 신호 전달 수단이 짧고, 또한 등(等) 길이에 가까워지도록 토너 수용부(30)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화상 신호의 전달이라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토너 수용부(30) 상측에 제어 기판 어셈블리(12)라는 발열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토너가 열에 의해 고화(固化)하는 토너 블로킹이나, 열에 의한 유동성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화상 형성 속도의 고속화에 의해 발열부로부터의 발열량이 증대하거나, 또한,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저융점의 토너를 이용하거나 한 경우, 그 우려는 보다 커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수용부(30)의 각 토너 카트리지(31(31Y, 31M, 31C, 31K))와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사이에, 냉각 공기 통로(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토너 수용부(30)와 주사 노광 장치(14) 사이에는, 구획판(35, 36)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토너 수용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과 대응하는 토너 카트리지(31(31Y, 31M, 31C, 31K))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형상의 토너 카트리지(31)가 5개 병렬 설치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 중 좌측단의 2개가 흑색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31K (31K1, 31K2))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비량이 많은 흑색 토너의 용량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각 토너 카트리지(31)는, 토너 수용부(31) 상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하면에 구성된 장착 지지부(40)에 지지되어 있다. 각 토너 카트리지(31)와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하면 사이에는, 냉각 공기가 유통하는 냉각 공기 통로(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냉각 공기 통로(5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토너 카트리지(31) 상면과 대응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각 카트리지 통로(51)와, 각 카트리지 통로(51) 뒷면 측 단부가 접속되는 좌우로 연속하는 연통로(52)에 의해 구성된다.
토너 카트리지(31)는, 프레임(11)의 전후 방향 거의 전체 영역에 걸치는 길이의 거의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 앞면 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장착 지지부(40)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리고,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뒷면 측의 단부에서 토너 공급로(도시 생략)에 접속되고, 그 토너 공급로를 통하여 대응하는 색의 현상 장치에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 카트리지(31) 상면에는, 끼워맞춤부(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워맞춤부(31A)에 의해 장착 지지부(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끼워맞춤부(31A)는, 토너 카트리지(31) 상면 좌우 양측에, 각각 측방으로 개방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토너 카트리지(31)의 길이 방향)에 연속하는 슬릿(31s)을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31)를 지지하는 장착 지지부(40)는,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하면에 설치된, 지지 부재로서의 복수의 지지 가이드(41(41M, 41S))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 기판 어셈블리(12)는, 전자(電磁) 차폐성을 갖는 강판(鋼板) 등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housing)(12A) 내부에,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회로 기판류가 수납되어 있다. 전기 회로 기판을 구성하는 전기 부품은 그 작용에 의해 발열하고, 따라서, 제어 기판 어셈블리(12)는 하우징(12A) 외부로 열 발산한다.
제어 기판 어셈블리(12)의 하우징(12A)은, 전후 방향은 프레임(11)의 전후 전체 영역, 좌우 방향에는 화상 형성 유닛(15)이나 전사 벨트 유닛(16) 상면을 덮는 크기로, 프레임(1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 기판 어셈블리(12)는, 토너 수용부(30) 상측 전면(全面)을 덮어 설치되어 있다.
장착 지지부(40)를 구성하는 각 지지 가이드(41)는 제어 기판 어셈블리(12) 의 하우징(12A)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가이드(41)에는, 각 토너 카트리지(31)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가이드(41M)와, 좌우 단부의 토너 카트리지(31Y, 31K2)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가이드(41S)가 있다.
중간 가이드(41M)는, 소정 높이의 거의 장방형의 단면 형상으로, 그 하단의 좌우 측방에 토너 카트리지(31)의 끼워맞춤부(31A)의 슬릿(31s)에 끼워맞추는 지지판부(41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측부 가이드(41S)는, 중간 가이드(41M)와 동일한 높이의 판 형상으로, 그 하단의 한쪽 측(토너 카트리지(31) 측)에만 지지판부(41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중간 가이드(41M) 전후 방향의 길이는, 앞면 측은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31)의 전단(前端)과 대응하고, 뒷면 측은 토너 카트리지(31)의 후단(後端)보다 소정량 짧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측부 가이드(41S) 전후 방향의 길이는, 앞면 측은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31)의 전단과 대응하고, 뒷면 측은 제어 기판 어셈블리(12)의 뒷면 측 단면까지 이르고 있다.
또한, 각 지지 가이드(41)는, 외면을 구성하는 측판을 리브(rib)로 보강하는 등 하여 형성되고, 전후로 연통하지 않도록(공기가 유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지지부(40)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 가이드(41)로 토너 카트리지(31)의 탈착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토너 카트리지(31)를 소정 위치에 지지한다. 즉, 토너 카트리지(31)의 끼워맞춤부(31A)의 슬릿(31s)에,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 가이드(41)의 지지판부(41a)를 끼워맞춰, 토너 카트리지(31)를 지지 가이드(41)의 연장 설치 방향(전후 방향)에 삽입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1)를 소정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지부(40)(지지 가이드(41))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31)의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 가이드(41)에 의해 소정 위치에 지지된 각 토너 카트리지(31) 상면과, 제어 기판 어셈블리(12)(하우징(12A)) 사이에, 지지 가이드(41) 높이의 각 카트리지 통로(51)가 형성된다. 즉, 토너 카트리지(31)를 소정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제어 기판 어셈블리(12)의 하우징(12A) 하면과, 지지 가이드(41)와, 토너 카트리지(31) 상면에서 주위가 둘러싸여지고, 각 토너 카트리지(3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카트리지 통로(5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각 카트리지 통로(51) 뒷면 측의 중간 가이드(41M)가 위치하지 않는 부위에서는, 좌우로 연속하는 연통로(52)가 형성되고, 각 카트리지 통로(51)는 그 뒷면 측에서 이 연통로(52)와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연통로(52)와 대응하는 뒷면 측 부위에는, 배기 팬(33)이 프레임(11)에 장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배기 팬(33)은, 구동에 의해 연통로(52)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뒷면 측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 공기가 앞면 측으로부터 흡입되고, 카트리지 통로(51)를 통하여 연통로(52)에 이르고, 뒷면 측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토너 수용부(30)에서는, 제어 기판 어셈블리(12)와 각 토너 카트리지(31) 사이에, 냉각 공기 통로(50)(카트리지 통로(51))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어 기판 어셈블리(12)가 발하는 열이 토너 수용부(30)의 토너 카트리 지(31)에 전도(傳導)하여 가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배기 팬(33)의 구동에 의해 카트리지 통로(51) 내에 냉각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써, 복사열 등에 의해 가열된 토너 카트리지(31)를 냉각하고, 내부에 수용된 토너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각 공기 통로(5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팬(33)은, 상기 구성예에서는 연통로 중앙에 1개 구비되어 있지만, 복수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배기 팬(33)을 2개 구비한 구성으로 한 상술의 도 5와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팬(33)을 2개로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게 된다. 배기 팬(33)을 더 다수로 하여 각 카트리지 통로(51)에 대응시켜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냉각 공기 통로(50)(카트리지 통로(51))로부터 배기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냉각 공기 통로(50)(카트리지 통로(51))에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팬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냉각 공기 통로(50)(카트리지 통로(51))를 비스듬하게 형성함으로써, 팬을 설치하지 않고 자연 송풍에 의해 냉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터리식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나, 중간 전사 벨트를 이용하지 않고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직접 기록 용지에 화상을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고, 또한 전자 사진 방식 이외의 방식에 의해 화상 형성하는 것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공기 통로가 색재 수용 용기의 가열을 억제하여, 색재 수용 용기의 온도 상승에 의한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색재 수용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합리적으로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공기 통로가 발열 구성부의 발열에 의한 색재 수용 용기의 가열을 억제하여, 색재 수용 용기의 온도 상승에 의한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공기 통로가 전기 부품을 구비하는 구성 부재의 발열에 의한 색재 수용 용기의 가열을 억제하여, 색재 수용 용기의 온도 상승에 의한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 수용 용기와 지지 부재로 형성된 냉각 공기 통로가 토너 수용 용기의 가열을 억제하여, 토너 수용 용기의 온도 상승에 의한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공기 통로가 발열 구성부의 발열에 의한 토너 수용 용기의 가열을 억제하여, 토너 수용 용기의 온도 상승에 의한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0)

  1.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像) 유지체를 주사 노광하여 상기 상 유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색재(色材)로 이루어지는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색재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 수단에 상기 색재를 공급하는 색재 수용 용기와,
    상기 색재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가 유통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색재 수용 용기가, 상기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재 수용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발열하는 발열 구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색재 수용 용기와 상기 발열 구성부는 상기 냉각 공기 통로를 사이에 삽입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구성부는 전기 부품을 구비하는 구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 유지체를 주사 노광하여 상기 상 유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발열하는 발열 구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 공기 통로는,
    상기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발열 구성부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냉각 공기를 순환시키는 배기 팬을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뒷면 측에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냉각 공기를 순환시키는 배기 팬을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뒷면 측에 2개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 유지체를 주사 노광하여 상기 상 유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함으로써 색재 수용 용기로부터 보급되는 색재로 이루어지는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공정과,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색재 수용 용기에 상기 색재를 수용하는 공정과,
    냉각 공기 통로를 유통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상기 색재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색재 수용 용기가 상기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0.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 유지체를 주사 노광하여 상기 상 유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함으로써 토너 수용 용기로부터 보급되는 토너로 이루어지는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공정과,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상 유지체 위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상기 토너를 토너 수용 용기에 수용하는 공정과,
    상기 토너 수용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현상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70037006A 2006-07-28 2007-04-16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0892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6865A JP2008033052A (ja) 2006-07-28 2006-07-28 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206865 2006-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040A KR20080011040A (ko) 2008-01-31
KR100892934B1 true KR100892934B1 (ko) 2009-04-09

Family

ID=3902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006A KR100892934B1 (ko) 2006-07-28 2007-04-16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35660B2 (ko)
JP (1) JP2008033052A (ko)
KR (1) KR100892934B1 (ko)
CN (1) CN1011141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7113B2 (ja) * 2007-10-24 2012-11-0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122221A (ja) * 2007-11-13 2009-06-04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5239498B2 (ja) * 2008-05-13 2013-07-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端状部材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52273B2 (ja) * 2008-05-30 2013-07-3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83150B2 (ja) * 2009-08-03 2012-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59805B2 (ja) * 2009-11-17 2013-1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冷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68514B2 (ja) * 2011-06-10 2014-08-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5622761B2 (ja) * 2012-02-22 2014-11-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の吸気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198495B2 (ja) * 2013-07-12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10764B2 (en) * 2013-11-29 2016-04-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180913A (ja) * 2014-03-05 2015-10-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808462B2 (ja) * 2014-06-20 2015-11-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6222478B2 (ja) * 2014-12-25 2017-11-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65453B2 (ja) * 2015-07-31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コンテナ、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485992B (zh) * 2019-09-12 2022-12-30 柯尼卡美能达办公系统研发(无锡)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
JP2022191699A (ja) * 2021-06-16 2022-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4889A (ja) * 1999-11-12 2001-05-25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5163U (ko) * 1986-02-19 1987-08-25
JPH0271858U (ko) * 1988-11-18 1990-05-31
US5166727A (en) * 1991-04-04 1992-11-24 Konica Corporation Structure for cooling process cartridge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5838456A (en) * 1993-03-23 1998-11-17 Ricoh Company, Ltd. Desktop color copier which includes a revolving type developing device
JPH06303359A (ja) * 1993-04-12 1994-10-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冷却装置
JPH0720753A (ja) 1993-07-05 1995-01-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133692A (ja) * 1997-10-28 1999-05-2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336273B2 (ja) * 1998-06-30 2002-10-21 コピア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28260A (ja) * 2002-02-04 2003-08-15 Ricoh Co Ltd 冷却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136613B2 (en) * 2003-03-10 2006-11-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making device
JP4320777B2 (ja) * 2003-05-19 2009-08-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110694B2 (en) * 2003-05-23 2006-09-19 Kyocera Mita Corporation Structure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72200A (ja) * 2004-09-06 2006-03-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387927B2 (ja) * 2004-11-12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305201B2 (en) * 2005-09-19 2007-12-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4889A (ja) * 1999-11-12 2001-05-25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4151A (zh) 2008-01-30
US20090175647A1 (en) 2009-07-09
KR20080011040A (ko) 2008-01-31
JP2008033052A (ja) 2008-02-14
CN101114151B (zh) 2010-12-22
US7835660B2 (en)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934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JP4572856B2 (ja) 画像形成装置
EP2444859B1 (en) Cooling device, cool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5028158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1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oling unit
WO2001025856A1 (en) Image transfer material with image receiving layer and heat transfer process using the same
JP6287912B2 (ja) 画像形成装置
JP6582376B2 (ja) 画像形成装置
JP6237613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40212164A1 (en) Cool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75936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djusting portions to adjust positions of conveying and discharge portions
JP4882429B2 (ja) 画像形成装置
JP6156721B2 (ja) 画像形成装置
JP514418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26675A (ja) 画像形成装置
JP7277107B2 (ja) 画像形成装置
JP456594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39066A (ja) 画像形成装置
JP6872109B2 (ja) 画像形成装置
JP694295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01737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07478A (ja) 画像形成装置
JP47065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159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4499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