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586B1 - 탄성 표면파 소자 - Google Patents

탄성 표면파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586B1
KR100891586B1 KR1020070115205A KR20070115205A KR100891586B1 KR 100891586 B1 KR100891586 B1 KR 100891586B1 KR 1020070115205 A KR1020070115205 A KR 1020070115205A KR 20070115205 A KR20070115205 A KR 20070115205A KR 100891586 B1 KR100891586 B1 KR 100891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wave
cap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052A (ko
Inventor
히로시 마츠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64Mounting in enclosures for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 H03H9/1071Mounting in enclosures for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SAW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성 표면파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 표면파 소자(30)를 둘러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11)와, 탄성 표면파 소자(30)를 기밀 봉지하기 위한 캐비티(26)를 가지도록 베이스부(11) 위에 접착되고 수지로 이루어지는 캡부(20)를 구비하고, 베이스부(11)와 캡부(20)의 적어도 일방의 베이스부(11)와 캡부(20)가 접착하는 접착면은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1) 및 캡부(20)의 어느 일방은 베이스부(11) 및 캡부(20)의 타방과 접착하는 접착면의 내측에 볼록부를 가지는 탄성 표면파 소자이다.
베이스부, 캡부, 접착 강도, 탄성 표면파 소자, 캐비티, 볼록부

Description

탄성 표면파 소자{SURFACE ACOUSTIC WAVE DEVICE}
본 발명은 탄성 표면파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캡부(cap portion)를 가지는 탄성 표면파 소자에 관한 것이다.
탄성 표면파 소자는 전자파를 이용하는 전기전자 기기의 신호 필터(filter)로서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단말 등의 무선통신 기기의 송수신 필터나 텔레비젼,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등의 영상용 주파수 필터로서 이용된다. 탄성 표면파 소자는, 탄성 표면파 소자가 패키지(package) 등에 실장되어 있다. 탄성 표면파 소자는 LiNbO3나 LiTaO3 등의 압전 기판 위에 빗살형태(comb shape) 전극 등의 탄성 표면파를 여진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표면파는 압전 기판의 표면을 전반하기 때문에 압전 기판 표면 및 전극 위는 공동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압전 기판 표면 및 전극 위에는 보호막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탄성 표면파 소자를 기밀 봉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탄성 표면파 소자의 저비용화를 위해 탄성 표면파 소자를 캐비티(cavity)를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패키지에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탄성 표면파 소자를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에 탑재하고, 캡부는 탄성 표면파 소자를 기밀 봉지하도록 베이스부와 접착한다. 이에 의해 탄성 표면파 소자는 베이스부와 캡부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기밀 봉지된다.
특허 문헌 1에는 베이스부 및 캡부의 적어도 일방의 접착면을 배껍질 모양의 면상태로 함으로써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킨 탄성 표면파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2-171154호 공보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은 벗겨지지 않는 것, 땜납(solder) 리플로우(reflow)나 납땜의 열충격에 이겨내는 것, 내습성이 있는 것 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베이스부와 캡부가 접착면에서 밀착하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캡부 및 베이스부를 열강화성 에폭시(epoxy) 수지로 형성하고, 접착제로서 에폭시계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친화성이 좋은 것끼리의 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접착 강도는 충분하지 않다.
특허 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렇지만, 탄성 표면파 소자의 소형화가 진행되면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면의 면적이 작아져 특허 문헌 1과 관련되는 기술을 이용하여도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 강도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 강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성 표면파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성 표면파 소자를 둘러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탄성 표면파 소자를 기밀 봉지하기 위한 캐비티를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부 위에 접착되고 수지로 이루어지는 캡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캡부의 적어도 일방의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캡부가 접착하는 접착면은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실시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캡부의 어느 일방은, 상기 베이스부 및 캡부의 타방과 접착하는 접착면의 내측에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표면파 소자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의 벗겨짐을 억제하고, 내열 충격성,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탄성 표면파 소자를 탑재하는 리드 프레임과,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표면파 소자의 주위에 설치된 외주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캡부의 상기 타방의 캐비티측의 측면과 접착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에 의해 베이스부와 캡부의 밀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캐비티측의 상기 측면을 따라 직 선상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캡부의 밀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캐비티측의 1조의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측의 다른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스트레스 등에 의한 벗겨짐을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캡부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캡부는, 열강화성 에폭시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캡부의 밀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 강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와 캡부의 접착의 벗겨짐을 억제하고, 내열 충격성,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은 실시예 1과 관련되는 탄성파 소자의 상면도(캡부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이고, 도 1(b)은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실시예 1과 관련되는 탄성파 소자는 탄성 표면파 소자(30), 열강화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위부(10) 및 캡부(20), 및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리드 프레임(16)을 가지고 있다. 외위부(10)와 리드 프레임(16)은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부(11)를 구성하고 있다. 리드 프레임(16)의 다이 패드(14)에 탄성 표면파 소자(30)가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탑재되어 있다. 탄성 표면파 소자(30)에는 입력부(32) 및 출력부(34)가 형성되고, 입력부(32)와 출력부(34)의 사이에 접지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 패드(14)의 주위 및 아래에 탄성 표면파 소자(30)를 둘러싸는 외위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외위부(10)는 다이 패드(14)를 둘러싸도록 제방 모양(bank shape)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위부(10)의 제방의 내측으로 외측에 걸쳐 리드 프레임(16)의 리드(12)가 5개 설치되어 있다. 도 1(a)의 우측 2개의 리드(12)에는 출력부(34)의 2개의 평형 출력 단자가 본딩 와이어(bonding wire)(22)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좌측 2개의 리드(12)에는 입력부(32)의 2개의 평형 입력 단자가 본딩 와이어(22)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중앙의 리드(12)는 다이 패드(14) 및 탄성 표면파 소자(30)의 접지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외위부(10) 위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캡부(20)가 접착되어 있다. 외주부(10) 및 캡부(20)에 의해 탄성 표면파 소자(30)를 기밀 봉지하는 캐비티(26)가 형성된다.
도 2(a)는 캡부(20)를 아래로부터 본 하면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2(a)와 같이 외위부(10)와 접착하는, 캡부(20)의 접착면(42)에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의 요철은 예를 들면 5μm~10μm이다. 한편, 접착면(42) 이외의 면(44)에는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은 실시되어 있지 않다. 캡부(20)는 그 하면의 외위부(10)와 접착하는 접착면(42)의 내측에 환상 볼록부(46)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b)과 같이 환상 볼록부(46)의 측면의 일부가 외위부(10)의 캐비티(26)측의 측면과 접착할 수가 있다. 실시예 1에 의하면 접착면(42)에 실시된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의 면에 의해 외위부(10)와 캡부(20)가 강고하게 접착함과 아울러, 환상 볼록부(46)의 측면이 외위부(10)의 측면과 접착한다. 따라서, 외위부(10)와 캡부(20)의 접착을 한층 강화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11)와 캡부(20)의 접착의 벗겨짐을 억제하고, 내열 충격성,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환상 볼록부(46)는 1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접착력 강화를 위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이 접착면의 4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캡부(20)를 외위부(10)에 접착할 때의 위치 맞춤을 위한 가이드로서 환상 볼록부(46)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a)은 실시예 1의 변형예의 캡부 하면도이다.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접착면(42)을 포함하도록 전체에 실시되어 있다. 즉, 접착면(42) 이외의 면(43)에도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은 적어도 접착면(42)에 실시되어 있으면 좋다.
또, 도 1(a)의 캡부(20)에 접착하는, 외위부(10)의 접착면(42)에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외위부(10)와 캡부(20)의 적어도 일방의 외위부(10)와 캡부(20)가 접착하는 접착면(42)에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면 좋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캡부가 직선상(linear shaped) 볼록부를 가지는 예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캡부(20)는 외위부(10)의 캐비티(26)측의 측면을 따라 설치된 직선상 볼록부(48)를 가지고 있다. 도 4(a)는 실시예 2의 측면도이다. 직선상 볼록부(48)의 측면의 일부가 외위부(10)의 캐비티(26)측의 측면과 접착하고 있다. 직선상으로 직선상 볼록부(48)와 외위부(10)의 캐비티(26)측의 측면이 접하기 때문에 외위부(10)와 캡부(20)의 접착을 실시예 1보다 더 강화할 수가 있다. 직선상 볼록부(48)는 접착면에 둘러싸인 변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설치되면 좋다.
그렇지만, 직선상 볼록부(48)가 모든 변에 설치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열에 의해 캡부(20)가 비뚤어지기 쉬워진다. 한편, 직선상 볼록부(48)가 하나의 변이나 L자 형상으로 두개의 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접착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 2와 같이 직선상 볼록부(48)는 외위부(10)의 캐비티(26)측의 1조의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설치되고, 외위부(10)의 캐비티(26)측의 다른 측면을 따라서는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직선상 볼록부(48)는 캐비티(26)의 긴 변에 대응하는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 베이스부(11)와 캡부(20)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부(11) 및 캡부(20)는 열강화성 에폭시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위부(10)와 캡부(20)의 접착 강도를 보다 강하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베이스부(11)의 외위부(10)가 캐비티(26)의 측면을 구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베이스부(11)는 평면 모양 형성으로 캡부(20)가 캐비티(26)의 측면을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실시예 1의 환상 볼록부(46), 실시예 2의 직선상 볼록부(48)는 베이스부(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부(11) 및 캡부(20)의 어느 일방은 베이스부(11) 및 캡부(20)의 타방과 접착하는 접착면의 내측에 볼록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a)은 실시예 1과 관련되는 탄성 표면파 소자의 상면도(캡부는 도시하지 않음)이고, 도 1(b)은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도 2(a)는 실시예 1의 캡부 하면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3(a)은 실시예 1의 다른 캡부 하면도이고, 도 3(b)은 측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2의 캡부 측면도이고, 도 4(b)는 하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와 관련되는 탄성 표면파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위부(surrounding portion)
 11      베이스부(base portion)
 12      리드(lead)
 14      다이 패드(die pad)
 16      리드 프레임(lead frame)
 20      캡부(cap portion)
 22      와이어(wire)
 26      캐비티(cavity)
 30      탄성 표면파 소자
42    접착면
46      환상(round shape) 볼록부(convex portion)
48      직선상(linear shaped) 볼록부(convex portion)

Claims (7)

  1. 탄성 표면파 소자를 둘러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탄성 표면파 소자를 기밀 봉지하기 위한 캐비티를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부 위에 접착되고 수지로 이루어지는 캡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캡부의 적어도 일방의,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캡부가 접착하는 접착면은 우툴두툴한 무늬 가공 또는 배껍질 모양 가공이 실시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캡부의 어느 일방은, 상기 베이스부 및 캡부의 타방과 접착하는 접착면의 내측에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캡부의 타방이 형성하는 캐비티의 측면과 접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표면파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탄성 표면파 소자를 탑재하는 리드 프레임과,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표면파 소자의 주위에 설치된 외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표면파 소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기 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표면파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캐비티의 1조의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측의 다른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표면파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캡부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표면파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캡부는, 열강화성 에폭시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표면파 소자.
KR1020070115205A 2006-11-17 2007-11-13 탄성 표면파 소자 KR100891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1491A JP2008131152A (ja) 2006-11-17 2006-11-17 弾性表面波デバイス
JPJP-P-2006-00311491 2006-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52A KR20080045052A (ko) 2008-05-22
KR100891586B1 true KR100891586B1 (ko) 2009-04-03

Family

ID=3910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205A KR100891586B1 (ko) 2006-11-17 2007-11-13 탄성 표면파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0220B2 (ko)
EP (1) EP1923996A3 (ko)
JP (1) JP2008131152A (ko)
KR (1) KR100891586B1 (ko)
CN (1) CN1011838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3647A (ja) * 2008-10-21 2010-05-06 Fujitsu Media Device Kk 弾性表面波デバイス
JP5174086B2 (ja) * 2010-05-27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481827Y1 (ko) 2012-05-17 2016-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파이프 적치대용 지지대
WO2016158050A1 (ja) * 2015-03-27 2016-10-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装置、通信モジュール機器及び弾性波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983A (ja) * 1996-01-12 1997-07-31 Canon Inc 弾性表面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受信装置と通信システム
KR20040052144A (ko) * 2002-12-13 2004-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세라믹 패키지
JP2005184712A (ja) 2003-12-24 2005-07-07 Alps Electric Co Ltd Sawディ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08592A (ko) *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케이이씨 표면 탄성파 필터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672A (ja) * 1992-12-21 1994-07-08 Toshiba Corp 電子部品装置
JPH0722533A (ja) * 1993-06-29 1995-01-2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H1155057A (ja) * 1997-07-30 1999-02-26 Mitsumi Electric Co Ltd 固体素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1094391A (ja) * 1999-09-20 2001-04-06 Toshiba Corp 弾性表面波装置
JP2001094389A (ja) * 1999-09-20 2001-04-06 Toshiba Corp 弾性表面波デバイス
JP2002009581A (ja) * 2000-06-26 2002-01-11 Toshiba Corp 弾性表面波装置
JP4384348B2 (ja) * 2000-11-24 2009-12-16 京セラ株式会社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JP2002171154A (ja) * 2000-12-01 2002-06-14 Toshiba Corp 弾性表面波装置
JP2005348281A (ja) 2004-06-07 2005-12-15 Alps Electric Co Ltd 表面弾性波装置
JP4587732B2 (ja) 2004-07-28 2010-11-24 京セラ株式会社 弾性表面波装置
JP4373309B2 (ja) * 2004-08-31 2009-11-25 京セラキンセキ株式会社 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983A (ja) * 1996-01-12 1997-07-31 Canon Inc 弾性表面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受信装置と通信システム
KR20040052144A (ko) * 2002-12-13 2004-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세라믹 패키지
JP2005184712A (ja) 2003-12-24 2005-07-07 Alps Electric Co Ltd Sawディ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08592A (ko) *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케이이씨 표면 탄성파 필터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3996A2 (en) 2008-05-21
CN101183860B (zh) 2011-06-08
EP1923996A3 (en) 2012-05-02
JP2008131152A (ja) 2008-06-05
KR20080045052A (ko) 2008-05-22
CN101183860A (zh) 2008-05-21
US7710220B2 (en) 2010-05-04
US20080130205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597B2 (ja) 弾性波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9272A (ko)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0891586B1 (ko) 탄성 표면파 소자
JPS62109420A (ja) 弾性表面波素子
JP4811232B2 (ja) 電子部品パッケージ
KR20010081032A (ko) 탄성 표면파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2013251323A (ja) 電子部品
JP4984809B2 (ja) 電子部品パッケージ
JPH0818390A (ja) 弾性表面波装置
CN217214708U (zh) 芯片封装结构
JP4084188B2 (ja) 弾性表面波装置
JP3710560B2 (ja) 表面弾性波デバイス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US8217551B2 (en) Surface acoustic wave package with air hole that prevents thermal expansion
US20050167137A1 (en) Electronic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102905A (ja) 弾性表面波装置
US200801112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H06188672A (ja) 電子部品装置
US6864424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package
JPH10163797A (ja) 弾性表面波装置
JP4234088B2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15142A (ja) 弾性表面波装置
JP3683032B2 (ja) 弾性表面波デバイス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JP2002324864A (ja) 電子部品装置
WO2020049732A1 (ja) 気密パッケージ
JP2001244781A (ja) 弾性表面波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