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177B1 - 개폐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177B1
KR100889177B1 KR1020070104502A KR20070104502A KR100889177B1 KR 100889177 B1 KR100889177 B1 KR 100889177B1 KR 1020070104502 A KR1020070104502 A KR 1020070104502A KR 20070104502 A KR20070104502 A KR 20070104502A KR 100889177 B1 KR100889177 B1 KR 10088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peration switch
window
closing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791A (ko
Inventor
토모히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for motors actuating a movable member between two end positions, e.g. detecting an end position or obstruction by overload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06Calibration or setting of para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34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 E05Y2400/338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of the line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05Y2400/56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by using speed sensors
    • E05Y2400/56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by using speed sensors sensing motor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05Y2400/58Sensitivity setting or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성으로 유아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어부(2)는, 조작 스위치(5a)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조작된 때에, 유아가 조작 스위치(5a)를 함부로 조작하고 있는, 장난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는,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C)를, 통상치로부터 장난 값으로 변경한다. 이로써,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감도가 끌어 올려진다.
Figure R1020070104502
개폐체 제어 장치

Description

개폐체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OPENING/CLOSING MEMBER}
본 발명은, 차량의 창이나, 선루프 등을 개폐하는 개폐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창을 개폐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가 있다. 파워 윈도우 장치에는, 창의 개폐시, 특히 폐쇄시에 있어서의, 창유리에 의한 손(手) 등의 이물의 끼여 들어감에 대한, 안전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유리를 이동하는 모터의 부하를 감시하고, 이 부하의 변동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한 때에, 창유리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기능, 및,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 때에, 창유리의 이동, 정지, 또는 창유리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파워 윈도우 장치는, 동결(凍結) 등에 의해, 창의 개폐시에, 특정한 위치에서 큰 부하가 작용하는 일이 있다. 상기한 안전 기능을 마련한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는, 이 특정한 위치에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되기 때문에, 창을 전개(全開)하거나, 전폐(全閉)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사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1, 2 등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은,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고, 창유리(개폐체)의 정지 또는 반전 제어를 행한 후에, 재차 창유리를 폐쇄하는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이 때에도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고, 창유리의 정지 또는 반전 제어를 반복하는 경우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소정 횟수 반복되면,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다. 이 임계치의 변경에서는, 당초의 제 1 임계치를, 이 제 1 임계치보다도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기 어려운 제 2 임계치로 변경한다. 이로써, 창의 개폐시에, 동결 등에 의해 특정한 위치에서 큰 부하가 작용한 상황이 되어도, 창을 전개하거나, 전폐할 수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제 2 임계치로 변경한 후, 소정 시간 경과하면, 제 2 임계치를 제 1 임계치로 되돌리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함에 의한 창유리의 정지 또는 반전 제어를 개략 같은 장소에서 연속하여 소정 횟수 행하면, 이 장소에서 이물의 끼여 들어감 판정을 행하지 않는 구성이다. 이로써, 창의 개폐시에, 동결 등에 의해 특정한 위치에서 큰 부하가 작용하는 상황이 되어도, 창을 전개하거나, 전폐할 수 있다.
또한, 유아에 대한 안전성을 높인 파워 윈도우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이 특허 문헌 3은, 시트에 장비된 압력 센서에 의해, 착좌하고 있는 것이 유아인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유아인 경우에, 통상시에 비하여,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를 작게 하거나,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 때의 역방향으로의 창유리의 이동량을 크게 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임계치를 작게 함으로써,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되기 쉬워진다. 즉, 임계치를 작게 하는 것이,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올리게 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4-14373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허 제357856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평11-26853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2는, 창의 개폐시에, 동결 등에 의해 특정한 위치에서 큰 부하가 작용하는 상황이 되어도, 창의 전개나 전폐를 행할 수 있도록, 창유리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라고 판정하기 어려운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제어에서는, 유아의 팔(腕) 등이 끼여 들어간 때에, 신속하게,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여 있는 구성에서는, 유아에 대한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은, 유아가 착좌하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를 통상시보다도 작게 하여,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되기 쉽게 함으로써, 유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였다. 그러나, 착좌하고 있는 자가 유아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비용 상승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유아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개폐체 제어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1)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응한 개폐체의 이동 지시를 출력하는 이동 지시 출력 수단과,
상기 이동 지시 출력 수단이 출력한 상기 개폐체의 이동 지시에 의거하여, 전동기를 구동하고, 상기 개폐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전동기에 의해 상기 개폐체가 이동되고 있을 때에, 해당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감도를 기준으로 하여 판정하는 끼여 들어감 판정 수단과,
상기 끼여 들어감 판정 수단이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 때에, 상기 전동기의 구동 정지, 또는 반전 구동을, 상기 구동 수단에 지시하는 구동 제한 수단과,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상기 판정 수단에서의,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끌어올리는 감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감도 변경 수단이, 소정 시간 내(예를 들면, 5초간)에,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예를 들면 5회)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유아가 호기심으로 조작 스위치를 함부로 조작하고 있는, 즉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단하고,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끌어올린다. 이 때문에, 유아가 장난치고 있을 때에, 이 유아의 팔 등이 끼여 들어간 때에는, 신속하게,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비용 상승도 억제된다.
(2) 상기 감도 변경 수단은,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 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상기 전동기의 부하 변동량의 감도를 변경하는 수단이고,
상기 끼여 들어감 판정 수단은, 상기 전동기의 부하 변동량이,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전동기의 부하 변동량의 감도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이다.
이 구성에서는, 부하 변동량의 감도를 변경함으로써,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변경한다.
(3)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응한 개폐체의 이동 지시를 출력하는 이동 지시 출력 수단과,
상기 이동 지시 출력 수단이 출력한 상기 개폐체의 이동 지시에 의거하여, 전동기를 구동하고, 상기 개폐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상기 이동 지시 출력 수단이 출력한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응한 개폐체의 이동 지시를 제한하는 구동 제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구동 제한 수단이, 소정 시간 내(예를 들면, 5초간)에,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예를 들면 5회)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유아가 호기심으로 조작 스위치를 함부로 조작하고 있는, 즉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단하고,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응한 개폐체의 이동 지시를 제한한다. 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에서, 개폐체의 폐쇄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해당 폐쇄조작을 무효로 하고, 구동 수단에 의한 개폐체의 이동을 금지한다. 또한, 구동 수단에 의한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이로써, 상기 (1)과 마찬가지로,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본체의 비용 상승이 억제된다.
(4)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그 취지를 알리는 통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유아가 장난치고 있는 것을, 보호자 등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가 있다. 즉, 유아의 장난에 대해, 보호자 등에게 신속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본체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개폐체 제어 장치를 적용한 파워 윈도우 장치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창 개폐 기구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창 개폐 기구는, 창유리(101)를 승강시킴에 의해, 창(100)을 개폐한다. 창유리(101)는, 전동기인 모터(108)에 의해 승강시켜진다. 창유리(101)의 하단에는, 이 창유리(101)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03)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103)에는, 제 1 암(104) 및 제 2 암(105)이 계합되어 있다. 제 1 암(104)은, 일단이 지지 부재(103)에 계합되고, 타단이 브래킷(10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암(105)은, 일단이 지지 부재(103)에 계합되고, 타단이 가이드 부재(107)에 계합되어 있다. 제 1 암(104)과 제 2 암(105)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점(中點)에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109)은, 모터(108)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기어(110)는, 피니언(109)과 맞물려서 회전한다. 또한, 기어(1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채꼴이다. 기어(110)는, 제 1 암(104)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108)는,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109) 및 기어(110)를 회전시켜서, 제 1 암(104)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추종하여, 제 2 암(105)의 타단이 가이드 부재(107)의 홈에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그 결과, 지지 부재(10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창유리(101)를 승강시키고, 창(100)을 개폐한다. 또한, 모터(108)에는, 인코더(108a)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1)는, 창(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는, 구동 회로(3)에 대해, 창(100)의 개폐 지시를 출력한다. 구동 회로(3)는, 제어부(2)로부터 입력된 창(100)의 개폐 지시에 의거하여 모터(108)를 구동하고, 창유리(101)를 승강시킨다. 펄스 검출부(4)는, 모터(108)에 마련된 인코더(108a)의 출력 신호에 관해, 파형 성형 처리를 행함과 함께, 파형 성형 처리를 행한 펄스 신호를 제어부(2)에 입력한다. 제어부(2)는, 펄스 검출부(4)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모터(108)의 회전 속도를 검출함과 함께, 이 펄스 신호의 주파수 변동으로부터 모터(108)의 부하 변동을 검출한다. 조작부(5)는, 창(100)을 개폐할 때에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5a)를 가진다. 조 작부(5)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에 응한 신호를 제어부(2)에 입력한다.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는, 중립, 수동개방, 자동개방, 수동폐쇄, 및 자동폐쇄의 5개이다. 중립은, 조작 스위치(5a)가 중립인 상태이다. 수동개방은, 조작 스위치(5a)의 압하량이 일정한 범위인 상태이고, 자동개방은, 조작 스위치(5a)가 압하량이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이다. 수동폐쇄는, 조작 스위치(5a)의 인상량이 일정한 범위인 상태이고, 자동폐쇄는, 조작 스위치(5a)의 인상량이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이다. 조작부(5)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개방신호, 폐쇄신호, 및 자동신호의 3개의 논리 신호를 제어부(2)에 입력한다. 제어부(2)는, 개방신호, 폐쇄신호, 및 자동신호의 3개의 논리 신호로부터,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를 판단한다.
제어부(2)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에 의거하여, 수동개방 처리, 자동개방 처리, 수동폐쇄 처리, 자동폐쇄 처리에 의한 창(100)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수동개방 처리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이고, 또한 창(100)이 전개할때 까지의 동안, 창유리(101)를 하강시키는 처리이고, 수동폐쇄 처리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이고, 또한 창(100)이 전폐할때 까지의 동안, 창유리(101)를 상승시키는 처리이다. 또한, 자동개방 처리는, 창(100)이 전개하거나,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 또는 자동폐가 될 때 까지, 창유리(101)를 하강시키는 처리이다. 또한, 자동폐쇄 처리는, 창(100)이 전폐하거나,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이 될 때 까지, 창유리(101)를 상승시키는 처리이다. 단, 제어부(2)는, 창(100)을 개폐하고 있을 때에, 승강시 키고 있는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 때에는, 창유리(101)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러 처리를 행하여 실행중의 처리를 중지한다.
여기서, 제어부(2)에서의,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2)는, 인코더(108a)의 출력 신호를 펄스 검출부(4)에서 파형 성형한 펄스 신호의 주파수 변동에 의거하여,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코더(108a)의 출력 신호를 펄스 검출부(4)에서 파형 성형한 펄스 신호의 주파수는, 모터(108)의 회전 속도에 비례한다. 구동 회로(3)는, 제어부(2)로부터 창유리(101)의 승강에 관한 지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 모터(108)에 대해 단위시간당에 공급하는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터(108)는, 부하 변동이 없다면, 일정 속도로 회전한다. 제어부(2)는, 이 펄스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량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임계치(C))를 초과한 때에,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다. 이 펄스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량은, 그 시점에서의 주파수(A)와, 미리 정한 일정 시간(X1) 전의 주파수(B)와의 차분(B-A)이다.
또한, 인코더(108a)의 출력 신호를 펄스 검출부(4)에서 파형 성형한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미리 정한 주파수보다도 낮아진 때에,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모터(108)에 걸리는 부하는, 도 1에 도시한 기구부의 경년 변화나, 환경 온도 등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상술한 차분을 이용하여 판정하는 구성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1)는, 유아가 조작 스위치(5a)를 함부로 조작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유아의 장난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하면, 창유리(101)에 의한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끌어올린다. 여기서, 감도를 끌어올린다는 것은, 보다 작은 부하 변동으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임계치(C)를,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때에, 통상치로부터, 이 통상치보다도 작은 값의 장난 값으로 치환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1)는, 미리 정한 소정 시간, 이 실시 형태에서는 5초, 내에, 조작 스위치(5a)가 소정 횟수, 이 실시 형태에서는 5회, 이상 조작된 때에,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 소정 시간, 및 소정 횟수는, 통상의 조작에서 거의 행하여지는 일이 없고,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는 것을 신속하며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면, 어떻게 설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때에, 감도를 끌어올림으로써, 창유리(101)가, 장난치고 있는 유아의 손이나, 양복의 소매 등의 이물이 끼여 들어간 때, 신속하게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된다. 따라서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1)는, 탑재되어 있는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면 기동하고, 오프되면 정지한다. 도 3은,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파워 윈도우 장치(1)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면, 도 3에 도시 하는 처리를 시작한다. 제어부(2)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면,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C)를, 통상치로 설정한다(s1). 다음에, 제어부(2)는, 조작 스위치(7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리셋한다(s2). s1, 및 s2에 관한 처리는, 제어부(2)에 마련되어 있는 메모리(도시 생략)의 초기 설정에 관한 처리이다. 제어부(2)는, s1, 및 s2에 관한 처리가 완료되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될 때까지, 조작 스위치(5a)의 조작에 응하여, 창(100)을 개폐하는 개폐 처리를 행한다(s3, s4).
도 4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의 s3에 관한 개폐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2)는, 조작부(5)로부터 입력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 제어부(2)는, s11에서 중립이라고 판정하면, 본 처리를 종료하고, 상술한 s4에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지 않으면, 재차, 이 도 4에 도시하는 개폐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될 때까지, 이 도 4에 도시하는 개폐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제어부(2)는, s11에서 중립이 아니라고 판정하면, 즉 조작 스위치(5a)에 대해 어떠한 조작이 행하여지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도시 생략)의 카운트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 파워 윈도우 장치(1)는, s12에서 카운트 값이 0이라고 판정하면,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셋하여, 해당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스타트하고(s13), s1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카운터, 및 타이머는, 제어부(2)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는, s12에서 카운트 값이 0 이 아니라고 판정하면, s13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s1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 자동개방, 수동폐쇄, 자동폐쇄의 어느것인지를 판정하고(s14 내지 s16), 여기서 판정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에 응한 창(100)의 개폐 처리로 이행한다(s17 내지 s20). 구체적으로는,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이라면 수동개방 처리로 이행하고, 자동개방이라면 자동개방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수동폐쇄라면 수동폐쇄 처리로 이행하고, 자동폐쇄라면(수동개방, 자동개방, 수동폐쇄가 아니면)자동폐쇄 처리로 이행한다.
이하, 수동개방 처리, 자동개방 처리, 수동폐쇄 처리, 자동폐쇄 처리에 관해, 이 순번대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수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2)는, 유아가 조작 스위치(5a)를 함부로 조작하지 않는지의 여부(유아가 장난치지 않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유아가 장난치고 있는 경우에, 창유리(101)에 의한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끌어올리는,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31). 도 7은, 이 감도 변경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2)는, 타이머로 계시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여기서는 5초,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1). 제어부(2)는, 5초 이상이면, 해당 타이머를 리셋하고(s52),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1로 설정한다(s53). s52, s53에서는, 이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시간인 5초간의 사이에, 조작 스위치(5a)가 조작된 횟수를 카운트하 기 위한 설정을 행하고 있다. 한편, 제어부(2)는, s51에서 5초 미만이라고 판정하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1카운트업한다(s54). s54에서는, 앞서 기준으로 한 타이밍부터 5초 경과할때 까지의 기간에서의,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의 카운트를 행하고 있다. 제어부(2)는, s54에서 1카운트업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가 5회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5). s55에서는, 조작 스위치(5a)가 5초간에 5회 이상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제어부(2)는, s55에서 5회 미만이라고 판정하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2)는, 5회 이상이면,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하고,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C)를, 장난 값으로 설정하고(s56), 본 처리를 종료한다. s56에 관한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감도가 끌어 올려진다.
제어부(2)는, 상기 s31에 관한 감도 변경 처리를 완료하면, 창(100)이 전개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2). 제어부(2)는, 창(100)이 전개하여 있으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2)는, 창(100)이 전개하여 있지 않으면, 구동 회로(3)에 대해 창(100)을 개방하는 방향, 즉 창유리(101)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모터(108)를 구동할 것을 지시하는, 창개방 지시를 행한다(s33). 이로써, 구동 회로(3)가 모터(108)를 구동하고, 창유리(101)를 하강시킨다. 구동 회로(3)는, 모터(108)에 대해 단위시간당에 공급하는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제어부(2)는, s33에서 창개방 지시를 행하면, 창(100)이 전개하던지(s34),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기던지(s35),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던지(s36),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s37), 것을 기다린다. 제어부(2)는, s34에서 창(100)이 전개하였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개방 지시를 정지하고(s38), 본 처리를 종료한다. 구동 회로(3)는, 제어부(2)로부터의 창개방 지시의 정지에 의해, 모터(108)의 구동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2)는, s35에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모터(108)의 역전 구동을 지시하는, 역전 지시를 행한다(s39). 창(100)의 개방시에는, 예를 들면 양복의 소매 등의 이물이 하강하고 있는 창유리(101)의 수납부에 끌려들어간 경우에,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된다. 또한, s39에서는, 창(100)을 폐쇄하는 방향, 즉 창유리(10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모터(108)를 구동하는 것을, 구동 회로(3)에 대해 지시한다. 구동 회로(3)가 모터(108)를 창유리(101)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로써, 창유리(101)의 수납부에 끌려들어간 양복의 소매 등의 이물이, 이 수납부로부터 송출된다. 따라서 창유리(101)에 끼여 들어간 때이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창유리(101)가 미리 정해져 있는 일정량 상승하는 것을 기다리고(s40), 구동 회로(3)에 대한 역전 지시를 정지하고(s41), 본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부(2)는, 모터(108)의 부하 변동을 검출하고, 변동량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C)를 초과하고 있으면,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는, 인코더(108)의 출력 신호를 펄스 검출 부(4)에서 파형 성형한 펄스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량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C)를 초과한 때에,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다. 이 때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C)는, 이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통상치, 또는 장난 값의 어느 하나이다. 임계치(C)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시에, 통상치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후에, 상술한 감도 변경 처리에서, 유아가 조작 스위치(5a)를 함부로 조작하는, 장난을 행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있으면, 임계치(C)는, 통상치로부터, 장난 값으로 치환하는 설정 변경이 되고 있다.
또한, 제어부(2)는, s36에서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를 리셋하고(s42), s34로 되돌아온다. s42에서 카운터가 리셋되면, 그 후, s36에 관한 판정이 행하여질 때마다, 이 s42에 관한 처리가 행하여지게 되지만, 이것으로, 특히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s42에서 카운터를 리셋하면, s36에 관한 판정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즉, s42에서 카운터를 리셋한 후는, s34, s35, s37에 관한 판정만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s36에 관한 처리를 필요없이 반복하는 일이 없고, 제어부(2)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제어부(2)는, s37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으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6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중립, 자동개방, 수동개방, 또는 자동폐쇄의 어느것인가를 판정한다(s43 내지 s45).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이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개방 지시를 정지하고(s46), 본 처리를 종 료한다. s46은, 상술한 s38과 같은 처리이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개방, 수동폐쇄, 자동폐쇄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자동개방 처리, 수동폐쇄 처리, 자동폐쇄 처리의 어느 하나로 이행한다(s47 내지 s49).
다음에,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개방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자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2)는,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61). 제어부(2)는, 창(100)이 전개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62), 창(100)이 전개하여 있으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창(100)이 전개하여 있지 않으면, 구동 회로(3)에 대해 창(100)을 개방하는 방향, 즉 창유리(101)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모터(108)를 구동할 것을 지시하는, 창개방 지시를 행한다(s63). 이로써, 구동 회로(3)가 모터(108)를 구동하고, 창유리(101)를 하강시킨다. 그 후, 제어부(2)는, s64 내지 s72에서, 상술한 수동개방 처리에서 설명한, s34 내지 s42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단, s67에서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개방 이외의 상태로 변화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제어부(2)는, s67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개방으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9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중립, 수동개방, 수동폐쇄, 또는 자동폐쇄의 어느것인가를 판정한다(s73 내지 s75).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 또는 자동폐쇄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수동폐쇄 처 리, 또는 자동폐쇄 처리로 이행한다(s76, s77).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이라면, 창(100)이 전개하던지(s78),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기던지(s79),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던지(s80),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으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s81), 것을 기다린다.
제어부(2)는, s78에서 창(100)이 전개하였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개방 지시를 정지하고(s82),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는, s79에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을 검출하면, s83 내지 s85에서, 상술한 수동개방 처리에서 설명한, s39 내지 s41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s80에서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를 리셋하고(s86), s78로 되돌아온다.
또한, s74에서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는, s81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으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 자동개방, 수동폐쇄, 또는 자동폐쇄의 어느것인가를 판정한다(s87 내지 s89). 여기서는,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 자동개방, 수동폐쇄가 아닌 경우에, 자동폐쇄라고 판정하고 있다.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 또는 자동폐쇄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수동폐쇄 처리, 자동폐쇄 처리로 이행한다(s90, s91).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개방이라면,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하고(s93), 상술한 s64로 되돌아온다. s93에서 감도 변경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적정하게 카운트할 수 있고, 그 결과, 유아가 장난치지 않는지의 여부의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이라면,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92). 그리고, 제어부(2)는, 창(100)이 전개하던지(s94),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기던지(s95), 판정 시간을 계측하고 있는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던지(s96),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s97), 것을 기다린다. 이 경우도, s92에서 감도 변경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조작 스위치(5a)를 유아가 장난치지 않는지의 여부의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s74에서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s9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개방으로부터 중립로 변화한 때에, 일시적으로 수동개방이 된 것을 검출하는 일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개방으로부터 수동개방으로 변화한 때에는, 이것을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
제어부(2)는, s94에서 창(100)이 전개하였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개방 지시를 정지하고(s98),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는, s95에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을 검출하면, s99 내지 s101에서, 상술 한 수동개방 처리에서 설명한, s39 내지 s41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s96에서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를 리셋하고(s102), s94로 되돌아온다.
제어부(2)는, s97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으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중립, 자동개방, 수동폐쇄, 또는 자동폐쇄의 어느것인가를 판정한다(s103 내지 s105). 여기서는,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중립, 자동개방, 수동폐쇄가 아닌 경우에, 자동폐쇄라고 판정하고 있다.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이라면, 상술한 s78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개방이라면,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하고(s106), 상술한 s64로 되돌아온다. s106에서 감도 변경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조작 스위치(5a)를 유아가 장난치지 않는지의 여부의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 또는 자동폐쇄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수동폐쇄 처리, 자동폐쇄 처리로 이행한다(s107, s108).
다음에,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수동폐쇄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수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2)는,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111). 제어부(2)는, 창(100)이 전폐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2). 제어부(2)는, 창(100)이 전폐하여 있으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2)는, 창(100)이 전폐하여 있지 않으면, 구 동 회로(3)에 대해 창(100)을 폐쇄하는 방향, 즉 창유리(10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모터(108)를 구동할 것을 지시하는, 창폐쇄 지시를 행한다(s113). 이로써, 구동 회로(3)가 모터(108)를 구동하고, 창유리(101)를 상승시킨다.
제어부(2)는, s113에서 창폐쇄 지시를 행하면, 창(100)이 전폐하던지(s114),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기던지(s115),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던지(s116),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s117), 것을 기다린다. 제어부(2)는, s114에서 창(100)이 전폐하였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폐쇄 지시를 정지하고(s118), 본 처리를 종료한다. 구동 회로(3)는, 제어부(2)로부터의 창폐쇄 지시의 정지에 의해, 모터(108)의 구동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2)는, s115에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모터(108)의 역전 구동을 지시하는, 역전 지시를 행한다(s119). 창(100)의 폐쇄시에는, 손가락이나 팔 등의 이물이 상승하고 있는 창유리(101)와 창틀에 끼여진 경우에,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된다. 또한, s119에서는, 창(100)을 개방하는 방향, 즉 창유리(101)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모터(108)를 구동할 것을, 구동 회로(3)에 대해 지시한다. 구동 회로(3)가 모터(108)를 창유리(101)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제어부(2)는, 창(100)이 전개하는 것을 기다리고(s120), 구동 회로(3)에 대한 역전 지시를 정지하고(s121),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는, 창(100)의 폐쇄시에,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 때에는, 창(100)을 전개한다. 따라서 창유리(101)와 창틀에 끼여진 손 가락이나 팔 등이 끼여 들어간 때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s116에서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를 리셋하고(s122), s114로 되돌아온다. s122에서 카운터가 리셋되면, 그 후, s116에 관한 판정이 행하여질 때마다, 이 s122에 관한 처리가 행하여지게 되지만, 이것으로, 특히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s122에서 카운터를 리셋한 후에 관해서는, s116에 관한 판정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즉, s122에서 카운터를 리셋한 후는, s114, s115, s117에 관한 판정만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어부(2)는, s117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중립, 자동폐쇄,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의 어느것인가를 판정한다(s123 내지 s125).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이라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폐쇄 지시를 정지하고(s126),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폐쇄, 수동개방, 자동개방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자동폐쇄 처리, 수동개방 처리, 자동개방 처리로 이행한다(s127 내지 s129).
다음에,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폐쇄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자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2)는,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131). 제어부(2)는, 창(100)이 전폐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132), 창(100)이 전폐하여 있으면 본 처리를 종 료한다. 한편, 창(100)이 전폐하여 있지 않으면, 구동 회로(3)에 대해 창(10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모터(108)를 구동할 것을 지시하는, 창폐쇄 지시를 행한다(s133). 이로써, 구동 회로(3)가 모터(108)를 구동하고, 창유리(101)를 하강시킨다. 그 후, 제어부(2)는, s134 내지 s142에서, 상술한 수동폐쇄 처리에서 설명한, s114 내지 s122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단, s137에서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폐쇄 이외의 상태로 변화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제어부(2)는, s137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폐쇄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15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중립, 수동폐쇄,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의 어느것인가를 판정한다(s143 내지 s145).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수동개방 처리, 또는 자동개방 처리로 이행한다(s146, s147).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이라면, 창(100)이 전폐하던지(s148),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기던지(s149), 판정 시간을 계측하고 있는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던지(s150),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으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s151), 것을 기다린다. 제어부(2)는, s148에서 창(100)이 전폐하였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폐쇄 지시를 정지하고(s152),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는, s149에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면, s153 내지 s155에서, 상술한 수동개방 처리에서 설명한, s119 내지 s121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s150에서 타이 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를 리셋하고(s156), s148로 되돌아온다.
또한, s144에서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는, s151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으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16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 자동폐쇄,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의 어느것인가를 판정한다(s157 내지 s159).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수동개방 처리, 자동개방 처리로 이행한다(s160, s161).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폐쇄라면,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하고(s163), 상술한 s134로 되돌아온다. s163에서 감도 변경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적정하게 카운트할 수 있고, 그 결과, 유아가 장난치지 않는지의 여부의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라면,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162). 그리고, 제어부(2)는, 창(100)이 전폐하던지(s164),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기던지(s165), 판정 시간을 계측하고 있는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던지(s166),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s167), 것을 기다린다. s162에서도, 감도 변경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유아가 장난치지 않는지의 여 부의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s134에서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s16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는,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폐쇄로부터 중립로 변화한 때에, 일시적으로 수동폐쇄가 된 것을 검출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자동폐쇄로부터 수동폐쇄로 변화한 때에는, 이것을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
제어부(2)는, s164에서 창(100)이 전폐하였다고 판정하면, 구동 회로(3)에 대한 창폐쇄 지시를 정지하고(s168),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는, s165에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을 검출하면, s169 내지 s171에서, 상술한 수동폐쇄 처리에서 설명한, s119 내지 s121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s166에서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5초 이상에 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는 카운터를 리셋하고(s172), s164로 되돌아온다.
제어부(2)는, s167에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폐쇄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면,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스위치(5a)의 변화한 조작 상태가 중립, 자동폐쇄,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의 어느것인지를 판정한다(s173 내지 s175).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중립이라면, 상술한 s148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자동폐쇄라면,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실행하고(s176), 상술한 s134로 되돌아온다. s176에서 감도 변경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유아가 장난치지 않는지의 여부의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변화한 조작 스위치(5a)의 조작 상태가 수동개방, 또는 자동개방의 어느 하나라면, 그 조작 상태에 응한 수동개방 처리, 또는 자동개방 처리로 이행한다(s177, s178).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1)는, 상술한 수동개방 처리, 자동개방 처리, 수동폐쇄 처리, 및 자동개방 처리에서, 모터(108)의 부하 변동을 검출함에 의해,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또한,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조작 스위치(5a)가 조작된 경우에,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하고,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C)를, 통상치로부터, 장난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창유리(101)에 의한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유아가 장난치고 있는 때에는,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끌어올린 감도로 판정하기 때문에,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소프트웨어로 행하기 때문에, 본체의 비용 상승도 억제된다.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지 않는다면, 통상의 감도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기고 있지 않는 때에,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오판정의 발생 빈도를 억제할 수 있어서, 편리성을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1)에서는, 임계치(C)가 장난 값로 설정되면, 임계치(C)를 통상치로 되돌리는데는, 일단, 이그니션 스위치를 오프하는 구성이였지만,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1) 조작 스위치(5a)가 소정 시간 이상 조작되지 않은 때에, 임계치(C)를 장난 값으로부터, 통상치로 되돌린다.
(2) 임계치(C)를 장난 값로 설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임계치(C)를 장난 값으로부터, 통상치로 되돌린다.
(3) 창(100)이 전개, 또는 전폐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임계치(C)를 장난 값으로부터, 통상치로 되돌린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임계치(C)를, 통상치로부터, 장난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감도를 끌어올린다고 하였지만, 임계치(C)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08)의 부하 변동량를 산출할 때에, 통상시에는, 그 시점의 부하와, 통상시간(X1) 전의 부하와의 차분(差分)으로서,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장난 때에는, 그 시점의 부하와, 통상시간(X1)보다도 길다란, 장난 시간(X2) 전의 부하와의 차분으로 한다. 도 18(A)는, 시간축에 대한, 인코더(108a)의 출력 신호를 펄스 검출부(4)에서 파형 성형한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도시하고, 도 18(B)는, 도 18(A)에 도시하는 주파수 변동에 대해 검출된 부하의 변동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감도를 끌어 올려서,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본체의 비용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편리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s1을, 통상시간(X1) 으로 설정하는 처리로 변경하고, 도 7에 도시하는 s56을 장난 시간(X2)으로 설정하는 처리로 변경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감도를 끌어 올려서, 창유리(101)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고 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창(100)의 개폐 동작시에 있어서의 창유리(101)의 이동 속도를, 통상시 보다도 저속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부(2)는, 구동 회로(3)에 대해 창(100)의 개폐 지시를 행할 때에, 단위시간당에 모터(108)에 공급하는 전력량으로서, 제 1의 전력량, 또는 제 2의 전력량을 지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 1의 전력량은, 제 2의 전력량보다도 큰 것으로 한다. 또한, 구동 회로(3)는, 제어부(2)로부터 지시된 제 1의 전력량, 또는 제 2의 전력량의 전력을 모터(108)에 공급하고, 이 모터(108)를 구동한다. 따라서 모터(108)의 회전 속도는, 제 1의 전력량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때의 쪽이, 고속이다.
이 파워 윈도우 장치(1)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된 때에, 도 19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도 19에 도시하는 처리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의 s1을, 단위시간당에 모터(108)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제 1의 전력량으로 설정하는 처리(s201)로 변경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감도 변경 처리에 바꾸어, 도 20에 도시하는 이동 속도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 이 도 20에 도시하는 처리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도 7의 s56을, 단위시간당에 모터(108)에 공급한 전력 량을 제 2의 전력량으로 설정하는 처리(s202)로 변경한 것이다.
이로써,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때에는, 창(100)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창유리(101)의 이동 속도를, 통상시보다도 저속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본체의 비용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편리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수동개방 처리, 자동개방 처리, 수동폐쇄 처리, 및 자동폐쇄 처리에서의 감도 변경 처리는, 전부 도 20에 도시하는 이동 속도 변경 처리로 치환된다.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때에, 수동폐쇄 처리, 및 자동폐쇄 처리에 관해서는 창유리(101)의 이동 속도를, 통상시보다도 저속으로 하고, 수동개방 처리, 및 자동개방 처리에 관해서는 창유리(101)의 이동 속도를 저속으로 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때에, 제어부(2)가, 수동개방 처리, 자동개방 처리, 수동폐쇄 처리, 및 자동폐쇄 처리를 전부를 금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수동폐쇄 처리, 및 자동폐쇄 처리에 관해서는 금지하고, 수동개방 처리, 및 자동개방 처리에 관해서는 금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본체의 비용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편리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장난치고 있다고 판정한 때에, 경고등을 점멸시키거나, 경고음에 의한 통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실내등을 경고등으로서 점멸시 켜도 좋고, 해저드 램프를 경고등으로서 점멸시켜서도 좋다. 또한, 경고음으로서 크랙션을 울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감도 변경 처리를, 도 21에 도시하는 처리로 하면 좋다. 도 21에 도시하는 감도 변경 처리는, s56에 계속해서, 상술한 유아의 장난을 알리는 스텝(s203)를 추가한 것이다. 이로써, 유아가 장난치고 있는 것을, 보호자 등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가 있다. 즉, 유아의 장난에 대해, 보호자 등에게 신속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아의 장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본체의 비용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편리성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는, s56에 계속해서, s203을 실행한다고 하였지만, s56에 바꾸어, s203을 실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s202에 계속해서, s203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s202에 바꾸어, s203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원 발명을 파워 윈도우 장치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선루프를 개폐하는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 때에 창유리(101)를 반전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나, 끼여 들어감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 때의 창유리(101)의 반전 구동이나 정지에 관해서는, 수동개방 처리, 및 자동개방 처리에 관해서는 금지하고, 수동폐쇄 처리, 및 자동폐쇄 처리만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창 개폐 기구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파워 윈도우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개폐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수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수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감도 변경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개방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수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3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수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4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5는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6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7은 이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자동폐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감도를 끌어올리는 수법을 설명 한 도면.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0은 다른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이동 속도 변경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1은 다른 실시 형태의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의 감도 변경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부호의 설명)
1 : 파워 윈도우 장치
2 : 제어부
3 : 구동 회로
4 : 펄스 검출부
5 : 조작부
5a : 조작 스위치
108 : 모터
108a : 인코더

Claims (4)

  1.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응한 개폐체의 이동 지시를 출력하는 이동 지시 출력 수단과,
    상기 이동 지시 출력 수단이 출력한 상기 개폐체의 이동 지시에 의거하여, 전동기를 구동하고, 상기 개폐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전동기에 의해 상기 개폐체가 이동되고 있을 때에, 해당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감도를 기준으로 하여 판정하는 끼여 들어감 판정 수단과,
    상기 끼여 들어감 판정 수단이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한 때에, 상기 전동기의 구동 정지, 또는 반전 구동을, 상기 구동 수단에 지시하는 구동 제한 수단과,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상기 판정 수단에서의,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다고 판정하는 감도를 끌어올리는 감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변경 수단은,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상기 전동기의 부하 변동량의 감도를 변경하는 수단이
    고, 상기 끼여 들어감 판정 수단은, 상기 전동기의 부하 변동량이,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전동기의 부하 변동량의 감도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상기 개폐체에 의한 이물의 끼여 들어감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제어 장치.
  3.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응한 개폐체의 이동 지시를 출력하는 이동 지시 출력 수단과,
    상기 이동 지시 출력 수단이 출력한 상기 개폐체의 이동 지시에 의거하여, 전동기를 구동하고, 상기 개폐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상기 이동 지시 출력 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응한 개폐체의 이동 지시를 제한하는 구동 제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제어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스위치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 조작된 때에, 그 취지를 알리는 통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제어 장치.
KR1020070104502A 2006-11-01 2007-10-17 개폐체 제어 장치 KR100889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7238 2006-11-01
JP2006297238A JP4855216B2 (ja) 2006-11-01 2006-11-01 開閉体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791A KR20080039791A (ko) 2008-05-07
KR100889177B1 true KR100889177B1 (ko) 2009-03-17

Family

ID=3909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502A KR100889177B1 (ko) 2006-11-01 2007-10-17 개폐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00241A1 (ko)
EP (1) EP1919052A3 (ko)
JP (1) JP4855216B2 (ko)
KR (1) KR100889177B1 (ko)
CN (1) CN1011735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2157B2 (ja) * 2009-12-11 2014-11-26 アスモ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07733B2 (ja) * 2010-05-20 2015-04-30 株式会社Lixil 便器洗浄装置
JP5592285B2 (ja) * 2011-02-10 2014-09-17 アスモ株式会社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車両
US9045929B2 (en) * 2012-06-22 2015-06-02 Asmo Co., Ltd. Open-close memb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close member
JP6049374B2 (ja) * 2012-09-21 2016-12-21 アスモ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748310B (zh) * 2012-12-21 2017-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开关门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JP6099129B2 (ja) * 2013-01-21 2017-03-22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
JP6390466B2 (ja) * 2015-02-26 2018-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方法
JP6520484B2 (ja) * 2015-07-01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開閉部材制御装置
JP2017020174A (ja) * 2015-07-07 2017-01-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挟み込み検出用センサ
CN106246036A (zh) * 2016-10-08 2016-12-21 西华大学 汽车车窗童锁智能控制系统
WO2018207684A1 (ja) * 2017-05-10 2018-11-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及び開閉体制御方法
FR3072334B1 (fr) * 2017-10-16 2019-11-01 Innovaction Technologies Systeme et procede de commande d'un vehicule automobile muni d'au moins une couverture amovible.
JP6897599B2 (ja) * 2018-02-21 2021-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US11261649B2 (en) * 2018-07-30 2022-03-01 Honda Motor Co., Ltd. Vehicle window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788337B2 (en) * 2019-01-25 2023-10-17 Denso Corporation Opening/closing member contro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739A (ja) * 1994-02-28 1995-09-12 Oi Seisakusho Co Ltd 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2005314878A (ja) * 2004-04-27 2005-11-10 Shiroki Corp パワーウィンドの安全装置
JP2006188878A (ja) 2005-01-06 2006-07-20 Shiroki Corp 安全装置
KR100699562B1 (ko) 2004-09-16 2007-03-23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끼임 검지기능부착 파워윈도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237A (en) * 1984-06-29 1986-07-01 Koito Manufacturing Co., Ltd. Power window control apparatus
JP3578568B2 (ja) * 1996-10-07 2004-10-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パワーウィンドゥ制御装置
JP3849291B2 (ja) * 1998-03-25 2006-11-22 マツダ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JP4567194B2 (ja) * 1998-09-22 2010-10-20 ブローゼ・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コーブルク 自動車の電気的に作動される集合体の動きを電気的に制御及び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DE10007690A1 (de) * 2000-02-19 2001-08-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elektrischen Antriebsmotors eines Kraftfahrzeug-Verstellantriebes
JP2004143732A (ja) * 2002-10-22 2004-05-20 Aisin Seiki Co Ltd 開閉体の制御装置
US7489095B2 (en) * 2006-04-05 2009-02-10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Adjustment of anti-pinch parameters according to volt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739A (ja) * 1994-02-28 1995-09-12 Oi Seisakusho Co Ltd 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2005314878A (ja) * 2004-04-27 2005-11-10 Shiroki Corp パワーウィンドの安全装置
KR100699562B1 (ko) 2004-09-16 2007-03-23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끼임 검지기능부착 파워윈도우장치
JP2006188878A (ja) 2005-01-06 2006-07-20 Shiroki Corp 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3584A (zh) 2008-05-07
US20080100241A1 (en) 2008-05-01
EP1919052A3 (en) 2014-01-22
KR20080039791A (ko) 2008-05-07
JP2008115542A (ja) 2008-05-22
EP1919052A2 (en) 2008-05-07
JP4855216B2 (ja)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177B1 (ko) 개폐체 제어 장치
KR100996248B1 (ko)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CN105649463B (zh) 可开闭构件控制设备
CN101920898B (zh) 电梯门装置
KR101323028B1 (ko)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20180228323A1 (en) Toilet seat device
JP2018123653A (ja) 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自動ドア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7022882A (zh) 一种洗衣机上盖自动开关控制装置及方法
JP201102601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6434380B2 (ja) 開閉制御装置
JP53808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5314949A (ja) パワーウィンド用安全装置
CN108969908B (zh) 一种放疗设备及其防碰装置和防碰方法
KR102299494B1 (ko) 차량의 윈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36724A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12158922A (ja)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及び扉の開閉力測定方法
JPH11256962A (ja) 開閉体の制御装置
WO2020107683A1 (zh) 设备运行控制方法、装置和衣物处理装置
JP201008984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03247384A (ja) 開閉体の警報制御装置
JP2020094363A (ja) 安全装置、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安全化方法
JP3842274B2 (ja) 自動ドア装置
US20080278281A1 (en) Safety edge system with override of fault condition
JP3691455B2 (ja) シャッター開閉制御装置
JPH08319760A (ja) パワーウィン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