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028B1 -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028B1
KR101323028B1 KR1020110111636A KR20110111636A KR101323028B1 KR 101323028 B1 KR101323028 B1 KR 101323028B1 KR 1020110111636 A KR1020110111636 A KR 1020110111636A KR 20110111636 A KR20110111636 A KR 20110111636A KR 101323028 B1 KR101323028 B1 KR 10132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sunroof
current
amou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949A (ko
Inventor
이경진
박성호
구용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1011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0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은 선루프의 동작 중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과 선루프의 핀치 인식 경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큰 경우,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루프에 핀치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METHODS OF CONTROLLING ANTI PINCH SYSTEM AND APPRATUS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티- 핀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승용차를 중심으로 운전자 편의 증대를 위한 파워 윈도우 시스템 장치가 보편화되면서 사용자의 부주의, 기기의 오작동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 제작시 파워 윈도우 작동시 장애물 끼임 방지를 위한 안티 핀치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안전 규정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안티 핀치 시스템(Anti Pinch System)은 파워 윈도우나 선루프와 같이 개폐동 작을 수행하는 차량의 부분에서 자동 모드시 차체와 개폐구 사이에 인체 부위나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장애물의 창문 끼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창문의 상승 동작을 정지시켜 역전 구동시키는 엑츄에이터부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안티 핀치 시스템은 이물질 검출 센서 방식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된다. 접촉식은 홀 센서(Hall Sensor), 비접촉식은 마그네틱 컨덕터(Magnetic Conductor)나 자외선을 이용한 방법이 일반적이다. 접촉식은 모터의 회전축에 링 마그네트(Ring Magnet)를 설치하고, 홀 센서로 모터의 속도를 감시하여 물체 끼임으로 인한 모터의 속도 느려짐을 판단, 일정 속도 이하인 경우에 모터를 역전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비접촉식은 창문 프레임에 전자장을 발생시키는 센서를 설치하고, 물체 끼임으로 인한 전자장의 왜곡을 감지하여 모터를 역전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이들 가운데 가격 경쟁력과 장착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홀센서를 이용한 방법이 국내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선루프에 발생한 핀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선루프에 발생한 핀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은 선루프의 동작 중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과 선루프의 핀치 인식 경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은 상기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은 선루프의 위치 및 운행 환경에 따라 적응적인 값을 가지는 값일 수 있다.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은 상기 선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 환경에 따라 핀치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파라메터를 산출하는 운행 환경 탐지부와 상기 운행 환경 탐지부로부터 제공된 변수에 기초하여 선루프에 발생한 핀치여부를 판단하는 핀치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치 판단부와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으로 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제어부의 출력신호들에 기초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치 판단부는 선루프의 동작 중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과 선루프의 핀치 인식 경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핀치 판단부는 상기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고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할 수 있다.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은 선루프의 위치 및 운행 환경에 따라 적응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에 따르면, 선루프의 핀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전류 변화량값을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정확하게 선루프의 핀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운행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핀치 여부 판단을 다르게 함으로써 현재 선루프의 핀치 여부 판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환에 따른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에서 안티-핀티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변화량의 누적값을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에서는 검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전류량의 절대값보다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핀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환에 따른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의 좌측은 상온 환경에서 측정한 선루프 구동시 전동기의 구동 전류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우측은 저온 환경에서 측정한 선루프 구동시 전동기의 구동 전류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좌측을 참조하면, 상온 환경에서 선루프 구동시 전동기의 구동 전류는 슬라이드 구간 평균을 계산하면 대략 평균적으로 약 3A 정도의 값을 가진다. 하지만, 도 1의 우측을 보면 저온 환경일 경우, 선루프 구동시 전동기의 구동 전류는 슬라이드 구간 평균을 계산하면 6A 정도의 값을 가진다.
즉, 온도에 따라 선루프 구동시 전동기의 구동 전류값은 상이하게 변할 수 있고 전류량의 절대값을 기초로 핀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핀치 여부에 대한 판단이 부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에서는 전류의 절대값이 아닌 전류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핀치 여부를 판단한다.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전동기가 1회전을 할때마다의 전류 평균값을 계산하여 각 회전마다 발생하는 평균 값의 차이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치 여부 판단 방법에서는 전류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한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에서 안티-핀치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 변화량을 측정한다(단계 S200).
선루프의 위치에 따라 부하는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루프의 위치에 따라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량도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선루프의 위치에 따라 핀치를 검출시 핀치의 오검출을 막기 위해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 변화량을 산출하여 기본 부하 전류 변화량값을 기초로 핀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 변화량은 초기 선루프 시스템을 구동시 학습을 통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미리 산출된 시험적인 값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선루프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선루프의 기본 부하 전류가 변할 경우, 변화량 정보를 주기적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핀치 인식 경계값을 설정한다(단계 S210).
핀치 인식 경계값은 기본 부하 전류 변화량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선루프에 흐르는 전류 변화량의 누적값에 따라 핀치가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누적값이 특정값 이상이 된 경우, 핀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핀치 발생을 인식하기 위한 경계값을 핀치 인식 경계값이라고 하며 핀치 인식 경계값은 실험적인 값으로 미리 소정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핀치 인식 경계값은 선루프의 위치에 따라 핀치가 발생시 변화하는 전류 변화량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선루프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양의 전류 변화량을 누적한다(단계 S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에서는 양의 전류 변화량을 누적하여 핀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류 변화량은 선루프를 작동시키는 모터가 1회 회전을 할 때마다 측정될 수 있고 전류 변화량은 누적되어 지속적을 더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변화량의 누적값을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류 인식 센서를 이용해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 변화량을 기초로 한 전류값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전류값의 변화량은 전동기의 매 회전마다 발생한 값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전류값의 변화량은 다른 전류 변화량 측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전류 변화량 측정 방법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전류 변화량이 양의 값이 나올 경우, 해당 전류 변화량값을 지속적으로 더할 수 있다.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커지는 경우, 선루프에 물체가 낀 상태라고 판단하고 선루프를 개방한다(단계 S230).
누적된 핀치 인식 경계값 초과값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커지는 경우, 현재 선루프에 물체가 끼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선루프를 개방할 수 있다.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한다(단계 S240).
양의 전류 변화량이 계속적으로 누적되는 경우, 이전에 발생한 양의 전류 변화량값이 지속적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현재 핀치가 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류 변화량이 음의 값이 나오는 횟수를 측정하여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현재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0으로 리셋할 수 있다. 또 다른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하는 예로 일정 주기 동안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커지지 않는 경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에서는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에서는 기계적인 파라메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적인 파라미터인 전류의 변화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반응 시간 및 핀치 검출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걸리고 더욱 정확하게 핀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핀치 여부를 판단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핀치가 발생시 변하는 전류 변화 추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러한 전류 변화량이 발생한 경우, 현재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변화량 추세는 운행 환경 및 선루프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전류 변화량 추세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값을 기초로 현재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메모리 구조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이 비포장 도로와 같은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도로에서 운행되는 경우, 선루프에 핀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일반 도로와 동일하게 판단하는 경우 핀치 여부 판단에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운행 환경에 따라 핀치 인식 경계값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진동 상태의 차량에서 정확하게 핀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치 인식 경계값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에 진동이 발생함에 따라 음의 값을 가지는 전류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음의 값을 가지는 전류 변화량을 누적하여 미리 설정된 진동 인식 경계값과 비교하여 현재 차량이 진동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순서도에서는 진동 상태만을 기초로 핀치 인식 경계값을 변경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또 다른 차량 운행에 따른 상태 변화를 기초로 핀치 인식 경계값이 변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진동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400).
차량이 진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진동 인식 경계값을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이 진동하는 경우, 전류 변화량이 진동하지 않을 때 보다 크게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발생되는 음의 전류 변화량을 누적하여 누적된 음의 전류 변화량이 소정의 임계값인 진동 인식 경계값 이하가 되면 현재 차량이 진동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음의 전류 변화량을 기초로 진동을 인식하는 것은 전류 변화량을 기초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하나의 실시예로 다른 방법을 통해 차량의 진동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차량이 진동 상태인 경우, 핀치 인식 경계값을 증가시킨다(단계 S410).
차량이 진동 상태인 경우, 핀치 인식 경계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차량의 진동이 큰 경우, 진동이 작을 때 보다 상대적으로 양의 전류 변화량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전류 누적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핀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도 핀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선루프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선루프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차량이 진동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핀치 인식 경계값을 증가시켜 핀치 여부 판단을 정확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적응적으로 핀치 인식 경계값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루프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핀치 인식 경계값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단순히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핀치 인식 경계값의 변화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차량의 또 다른 운행 상태 변화에 따라 핀치 인식 경계값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차량의 진동값이 변할 수 있다. 이경우, 소정의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핀치 인식 경계값 변화에 소정의 오프셋값을 더하거나 빼 현재 차량 운행 환경에 따른 적응적인 핀치 인식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에서 사용되는 핀치 인식 경계값 및 진동 인식 경계값은 실험적으로 측정된 최적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핀치 인식 경계값이 너무 낮은 경우, 작은 전류 변화 또는 외부의 진동에도 핀치로 잘못 인식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핀치 인식 경계값이 높은 경우, 실제 핀치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핀치로 인식하지 못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핀치 인식 경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반전력을 기초로 실험적으로 측정된 최적의 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초기 설정된 핀치 인식 경계값은 개별적으로 차량에 구현된 선루프의 특성에 따라 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핀치 인식 경계값은 개별적 선루프의 특성을 변수로 한 수식을 기초로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 인식 경계값은 차량이 현재 방지턱 또는 비포장 도로와 같은 운행 상태에 변화가 많은 도로를 주행시 진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경계값이다. 진동 인식 경계값이 너무 낮은 경우 현재 차량이 진동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일반 도로 주행시와 동일한 핀치 인식 경계값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핀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진동 인식 경계값이 높으면 작은 전류 변화 또는 소량의 진동에도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 핀치 인식 경계값이 증가되어 핀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진동 인식 경계값을 설정시 최적의 값을 미리 선택하여 진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치 인식 경계값과 진동 인식 경계값은 차량의 상태 또는 운행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티 핀치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티 핀치 시스템(600)은 운행 환경 판단부(660),핀치 판단부(680), 위치 제어부(620), 모터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환경 탐지부(6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을 탐지할 수 있다.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이 발생한다는 신호를 핀치 판단부(680)에 전송하여 핀치 판단부(680)에서 선루프의 핀치 여부를 판단하는 핀치 인식 경계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행 환경 탐지부는 진동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행 환경과 관련된 변수값을 핀치 판단부(680)에 제공할 수 있고 핀치 판단부(680)는 그에 따라 현재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핀치 판단부(680)는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핀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핀치 인식 경계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핀치 판단부(680)에서는 핀치 인식 경계값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전류 변화량 패턴을 이용하여 현재 선루프에서 핀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에 이러한 핀치 발생에 따른 전류 변화량값이 기록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전류 변화량 패턴에 따라 현재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터 제어부(640)는 핀치 판단부(680)로부터 전송된 핀치 여부 판단 및 및 위치 제어부(620)로부터 전송된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치 판단부(680)에서 핀치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위치 제어부(620)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선루프에 대한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제어부(620)는 선루프의 기구부의 위치를 입력받아 선루프의 open/close/stop를 결정할 수 있다. 스위치 인풋 신호로는 선루프 스위치를 누르면 발생되는 신호인 open/close/tilt/express가 존재할 수 있다. 위치 제어부()에서는 현재 선루프의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 선루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선루프의 동작 중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과 선루프의 핀치 인식 경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가 회전하는 경우, 각 회전마다 측정되는 전류 평균값을 측정하여, 상기 전류 평균값들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은, 선루프의 위치 및 운행 환경에 따라 적응적인 값을 가지는 값인 안티 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4. 삭제
  5. 차량의 운행 환경에 따라 핀치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파라메터를 산출하는운행 환경 탐지부; 및
    상기 운행 환경 탐지부로부터 제공된 변수에 기초하여 선루프에 발생한 핀치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선루프의 동작 중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과 상기 선루프의 핀치 인식 경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이 핀치 인식 경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루프에 핀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선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가 회전하는 경우, 각 회전마다 측정되는 전류 평균값을 측정하여, 상기 전류 평균값들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구하며, 상기 선루프의 위치에 따른 기본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고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을 설정하며 상기 누적된 양의 전류 변화량을 리셋하는 핀치 판단부;
    를 포함하는 안티 핀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과 현재 기구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에 제어신호를 산출하는 위치 제어부; 및
    상기 위치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와 상기 핀치 판단부로부터 제공된 핀치 여부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안티 핀치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인식 경계값은, 선루프의 위치 및 운행 환경에 따라 적응적인 값을 가지는 값인 안티 핀치 시스템.
KR1020110111636A 2011-10-28 2011-10-28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132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636A KR101323028B1 (ko) 2011-10-28 2011-10-28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636A KR101323028B1 (ko) 2011-10-28 2011-10-28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949A KR20130046949A (ko) 2013-05-08
KR101323028B1 true KR101323028B1 (ko) 2013-10-29

Family

ID=4865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636A KR101323028B1 (ko) 2011-10-28 2011-10-28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20B1 (ko) 2019-08-30 2020-09-04 주식회사 세바 속도 변화량을 이용한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893B1 (ko) * 2015-08-25 2016-08-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토크 변화율 추정 방법 및 장치
USD915010S1 (en) 2018-08-16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CN109343420B (zh) * 2018-11-14 2020-10-27 刘盛荣 基于电性曲线的电动沙发的防夹装置
CN109240182B (zh) * 2018-11-14 2020-08-21 刘盛荣 基于电性曲线的电动沙发的防夹方法
KR102354709B1 (ko) * 2020-10-21 2022-01-2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안티 핀치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54A (ja) * 1993-09-18 1995-03-28 Mitsubishi Motors Corp パワ−ウインド等の異物挟み込み検出装置
JPH1025963A (ja) * 1996-07-11 1998-01-27 Omron Corp パワーウィンドスイッチ装置
KR20070003618A (ko) * 2005-06-30 2007-01-05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전기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KR20100050450A (ko) * 2007-06-13 2010-05-13 가오, 쿤타오 차량 전동윈도우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54A (ja) * 1993-09-18 1995-03-28 Mitsubishi Motors Corp パワ−ウインド等の異物挟み込み検出装置
JPH1025963A (ja) * 1996-07-11 1998-01-27 Omron Corp パワーウィンドスイッチ装置
KR20070003618A (ko) * 2005-06-30 2007-01-05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전기 핀치 방지부를 구비한 롤러 블라인드
KR20100050450A (ko) * 2007-06-13 2010-05-13 가오, 쿤타오 차량 전동윈도우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20B1 (ko) 2019-08-30 2020-09-04 주식회사 세바 속도 변화량을 이용한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949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028B1 (ko) 안티-핀치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JP5799599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4370609B2 (ja) 車両部品を調節するための駆動装置と方法
US20020036475A1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for cover
US10337230B2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ies
JP6066342B2 (ja) 窓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窓開閉制御装置
US20120191305A1 (en) Clos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464399B2 (en) Vehicle window opening device
CN108541289B (zh) 开闭驱动装置
US92673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movement, particularly for recognition of blocking in a locking system
JP6988769B2 (ja) 開閉体制御装置及びモータ
US6943515B2 (en) Controller of automotive power door
KR20120009437A (ko) 이동 가능한 부재의 위치 점을 결정하는 방법
EP3998390A1 (en) Anti-pinch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87427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a component driven by an electric motor
JP6223382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制御装置
WO1999042691A1 (fr) Detecteur de coincement pour composant de commutateur
KR20180136510A (ko) 구동 장치의 움직임 장애를 인식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5167B1 (ko) 차량용 선루프의 안티-핀치 시스템의 핀치 검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299494B1 (ko) 차량의 윈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51720B1 (ko) 속도 변화량을 이용한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e et al. Practical pinch detection algorithm for low-cost anti-pinch window control system
JP2015031108A (ja) 車両用自動ドアの挟み込み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CN107327243A (zh) 一种电动尾门控制方法
US2019015376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losing device, and 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