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631B1 - 유압셔블 - Google Patents

유압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631B1
KR100888631B1 KR1020020022201A KR20020022201A KR100888631B1 KR 100888631 B1 KR100888631 B1 KR 100888631B1 KR 1020020022201 A KR1020020022201 A KR 1020020022201A KR 20020022201 A KR20020022201 A KR 20020022201A KR 100888631 B1 KR100888631 B1 KR 10088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operation
traveling
lever
signal
traveling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435A (ko
Inventor
타마루마사타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8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9/04785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 G05G9/04788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comprising additional control elements
    • G05G9/0479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comprising additional control elements for rotary control around the axis of the controlling memb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81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rotation of the controlling member

Abstract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유압셔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압셔블에 있어서,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좌우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페달 (3L, 3R)과, 이들과는 별체로 설치되어서 마찬가지로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을 발로 조작함으로써 유압셔블을 주행선회시킬 수 있고,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조작하는 것으로도 주행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1개로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한손으로 충분히 조작할 수 있어 종래의 번잡함이나 불편함이 해소되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셔블{EXCA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셔블의 캐브(운전대)를 나타태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의 이 캐브 내에 설치된 좌석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의 좌석시트에 설치된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일부단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셔블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조작제어수단에 의한 각종 신호의 판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좌석시트 3, 3L, 3R … 주행선회 조작페달
5, 5L, 5R … 콘솔 7 … 주행선회 조작레버
8 … 조작제어수단인 컨트롤러
20 … 신호출력수단인 파지검지센서로서의 압력감지센서
71 … 레버본체 72 … 회전손잡이
74 … 가이드홈
75 … 규제수단인 게이지폭 변경버튼
본 발명은, 유압셔블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선회조작에 이용되는 주행페달 및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유압셔블의 캐브(운전대) 내에는 차량의 주행선회조작을 행하기 위한 주행선회 조작레버가 좌석시트로부터 떨어진 전방의 바닥부분에 한쌍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착좌한 작동자로부터 바라봐서 좌측의 주행선회 조작레버에 의해 하부주행장치의 좌측의 유압모터를 구동하고, 우측의 주행선회 조작레버에 의해 우측의 유압모터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하부측, 즉 바닥부분에 가까운 위치에는 주행선회 조작페달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좌측의 주행선회 조작페달에 의해 좌측의 주행선회 조작레버와 같은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우측의 주행선호 조작페달에 의해 우측의 주행선회 조작레버와 같은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압셔블의 기종에 따라서는, 주행선회 조작레버가 작동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등의 이유때문에, 주행선회 조작레버와 주행선회 조작페달을 별체로 설치하고,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좌석시트의 일측방에 집약 배치한 것도 있다.
그러나, 주행선회 조작레버와 주행선회 조작페달을 별체로 설치하였을 때, 한쌍의 주행선호 조작레버가 한쪽측에 집약되어서 존재하면, 한손으로 양쪽의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조작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좌석시트의 좌우로 나누어서 배치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 경우에는 여유가 없어져 버려 여러가지로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유압셔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주행선회 조작페달과, 이 주행선회 조작페달과는 별체로 설치되어서 마찬가지로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와, 이들 주행선회 조작페달 및 주행선회 조작레버 중, 어느 한쪽에서의 조작을 허가하는 조작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주행선회 조작페달을 발로 조작함으로써 유압셔블을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시키거나, 그 자리에서에서 선회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도 그와 같은 주행선회조작이 가능하다. 이때, 주행선회 조작레버는 1개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한손으로 충분히 조작할 수 있어, 종래의 번잡함이나 불편함이 해소되어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좌우의 페달을 동시에 밟아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차량을 전후진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좌우의 페달을 단독으로 밟아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차량을 좌우로 조타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페달과, 1개의 레버를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경도시키면 차량을 전후진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를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경도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차량을 좌우로 조타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레버를 중립상태로 하여 회전시키면 차량을 그 자리에서 선회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는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와, 이들 좌우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페달 및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 중, 어느 한쪽에서의 조작을 허가하는 조작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도, 청구항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페달을 조작함으로써 유압셔블의 주행선회조작이 가능하지만, 한쪽의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도 가능하여, 역시 종래의 번잡함이나 불편함이 해소되어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는, 작동자 착좌용 좌석시트의 측방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작동자가 좌석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주행선회 조작레버가 용이하게 조작되어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좌석시트의 측방에는 콘솔이 설치되고, 이 콘솔에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콘솔을 적당한 높이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콘솔이 팔걸이로서도 이용되게 되어 주행선회조작이 편안한 자세로 행해지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어수단은,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에 상기 주행선회 조작페달보다 우선시켜서 주행선회조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행선회 조작페달과 주행선회 조작레버가 동시에 조작되어도 주행선회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이 우선되므로 오동작이 생기지 않는데다가, 유압셔블에 필연적으로 이용되는 좌우의 작업기 조작레버를 사용하고 있을 동안, 즉 작업기에서의 작업 중에는 주행선회 조작페달을 조작하여 주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에는, 주행선회조작시에 상기 조작제어수단에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제어수단은, 상기 신호출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없을 때에만 상기 주행선회 조작페달에서의 주행선회조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행선회 조작레버로부터의 신호를 조작제어수단이 입력함으로써,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조작상태가 확실히 또한 신속히 파악되고, 주행선회 조작페달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지 여부의 판정이 바로 그 자리에서 행해진 다.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은,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파지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신호를 출력하는 파지검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실제로 조작하지 않아도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파지하고만 있으면, 주행선회 조작페달이 주행선회조작되어도 그 주행선회조작이 받아들여지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주행을 수반해서는 안될 어떠한 작업이 있는 경우 등, 그 작업의 조작수단으로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이용하면, 작업 중에 잘못해서 주행선회 조작페달을 조작하여도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할 우려가 없다.
청구항 8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는 경도가능한 레버본체와, 이 레버본체에 설치된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지고, 레버본체를 전후로 경도시키면 차량을 전후진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레버본체를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경도시킨 상태로 회전손잡이를 회전조작하면 차량을 좌우로 조타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레버본체를 중립상태로 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조작하면 차량을 그 자리에서 선회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회전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차량의 조타 및 그 자리에서 선회를 행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조타를 포함하는 주행과 그 자리에서의 선회가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로 확실히 행해지게 된다.
청구항 9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8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레버본체는 좌우방향의 경도에 따라서 주행장치의 좌우 바퀴간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변경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에 의해 하부주행장치의 좌우의 바퀴간 거리가 조정되지만, 이와 같은 변경조작은 레버본체를 2방향으로 경도시키는 것만으로 가능하다. 그래서, 예컨대 레버본체를 전후방향으로 경도시킴으로써 진퇴조작 또는 조타 조작 가능하게 하면, 레버본체의 그 외의 방향으로의 경도를 이용하여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을 행할 수 있고,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로 조타 조작을 포함하는 주행선회조작 및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이 가능하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경도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행선회 조작레버에 의한 경도방향이 가이드홈으로 규제되기 때문에 주행선회조작과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이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없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관한 유압셔블은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레버에는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규제수단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지 않는 한,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단지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경도시킨 것만으로 바퀴간 거리가 변경되지 않고, 주행 중 등에 부주의로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이 행해질 염려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셔블의 캐브(운전대)(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캐브(1) 내에 설치된 좌석시트(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석시트(2)에 설치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일부단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유압셔블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유압셔블에 이용된 캐브(1) 내에는 좌석시트 (2)의 전방(착좌한 작동자로부터 바라봐서 전방, 이하 마찬가지로 방향을 나타낼 때에는 착좌한 작동자를 기준으로 한다)의 바닥부분에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페달(3)(3L, 3R)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선회 조작페달(3)은 전후방향으로 밟음으로써 회전이동가능하게 되고, 그 밟음양 및 밟음방향에 의해 하부주행장치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용 유압모터(9)(도 5)의 출력 및 회전방향을 가변하고, 차량을 자유롭게 주행시킨다. 이들 주행선회 조작페달(3)의 양측에는 풋 레스트(4)가 설치되고, 풋 레스트(4)끼리는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어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시트(2)의 양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각종 스위치류나 인디케이터가 배치되고, 또한 작동자의 팔걸이로서도 기능하는 콘솔(5) (5L, 5R)이 설치되어 있다. 각 콘솔(5)의 앞측부분에는 상기 콘솔(5)로부터 돌출한 건 그립 타입의 작업기 조작레버(6)(6L, 6R)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한 작동자로부터 바라봐서 좌측의 작업기 조작레버(6L)는 작업기의 플로어 어테치먼트를 구성하는 암의 조작, 및 캐브(1)나 작업기가 탑재된 상부선회체를 선회시키는 것에 이용되고, 우측의 작업기 조작레버(6R)는 마찬가지로 플로어 어테치먼트를 구성하는 붐 및 버킷을 조작하는 것에 이용된다.
좌측의 콘솔(5L) 상에 있어서, 작업기 조작레버(6L)의 더욱 좌측에는 작동자가 좌측손으로 용이하게 조작가능한 위치에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7)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레버본체(71)와 레버본체(7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손잡이 (72)로 구성되어 있고, 레버본체(71)를 경도시키는 조작도 상기 회전손잡이(72)를 파지하여 행해진다.
도 4에 있어서, 레버본체(71)는 가이드커버(73)에 형성된 평면 대략 십자형상의 가이드홈(74)을 따라서 경도 가능하고, 레버본체(71)를 가이드홈(74) 중앙의 중립위치로부터 전방(화살표F)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차량을 전진시키고, 바로 앞쪽(화살표B)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후퇴(후진)시킨다.
또한, 레버본체(71)를 중립위치로부터 좌측(화살표L)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하부주행장치의 좌우의 바퀴간 거리(이하, 바퀴간 거리를 「게이지폭」이라 칭함)를 확대시키고, 우측(화살표R)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게이지폭을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조작은 소위 게이지확대ㆍ축소조작이고, 회전손잡이(72)(도 3)의 왼쪽 앞측의 오목부(72A)에 설치된 규제수단으로서의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을 누르면서 행해진다. 단, 레버본체(71)의 전후의 경도와 좌우의 경도는 가이드홈(74)에 의해 서로 동시에 행해지는 것은 아니므로 차량의 주행 중에는 게이지폭의 변경을 행할 수 없고, 또한 게이지폭의 변경 중에는 차량을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한편, 그 회전손잡이(7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바닥으로 상방으로부터 파지가능한 크기이며, 또한 마우스형상으로 되어 있고, 레버본체(71)가 전후진의 경도위치에 있을 때, 회전손잡이(72)를 시계회전방향(화살표 CW)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을 우측으로 조타할 수 있고, 반시계회전방향(화살표 CCW)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을 좌측으로 조타할 수 있다. 또한, 레버본체(71)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회전손잡이(72)를 회전조작하면, 차량을 그 자리에서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회전손잡이(72) 내에는, 신호출력수단인 파지검지센서로서의 압력감지센서(20)가 내장되고, 회전손잡이(72)의 상면이 압력감지면(72B)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사용할때는 언제라도, 작동작의 손이 회전손잡이(72)의 압력감지면(72B) 상에 있는 것을 검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회전손잡이(72)에는 앞에서 설명한 게이지폭 변경버튼(75) 외, 엔진의 아이들링모드를 높음과 낮음으로 전환하는 전환버튼(76)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압셔블에서는, 차량의 주행선회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주행선회 조작페달(3)과 주행선회 조작레버(7)가 설치되고, 또한, 주행선회 조작레버(7)에 의하면,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이 가능하다. 이하에는, 주행선회 조작페달(3) 및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제어에 관해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은 작동자의 주행선회조작에 의해 IC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제어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8)에 대해서 주행신호 (PL. PR)를 출력한다. 또한, 주행선회 조작레버(7)도 전후로 경도시키는 주행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전위차계 등으로부터 주행신호(SD)를 컨트롤러(8)에 출력하고, 회전손잡이(72)를 이용한 조타 조작에 의해 조타선회신호(SS)를 출력한다.
이들 주행신호(PL, PR, SD, SS)를 수신한 컨트롤러(8)는 후술하는 처리에 기초하여 한쌍의 조작밸브(10)(10L, 10R)의 솔레노이드(11)에 구동신호(FL, FR, BL, BR)를 출력하고, 엔진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12)로부터 주행용 유압모터(9L, 9R)에 대해서 유압을 공급한다. 단,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는 주행선회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는 상태이고, 4포트 3위치식 조작밸브(10)는 유압모터(9L, 9R)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위치에 있다.
또한, 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작동자에 의한 조작 중에는 항상 압력감지센서(20)에 의해 파지상태를 검지하여 파지신호(SK)를 컨트롤러(8)에 출력한다. 또한, 회전손잡이(72)에 설치된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을 누름으로써 변경버튼 압압신호(SO)를 출력하고, 게이지조작을 위하여 주행선회 조작레버(7)(레버본체(71))를 좌우로 행동시킴으로써 게이지폭 변경신호(SG)를 출력한다.
또한, 회전손잡이(72)의 전환버튼(76)을 누름으로써, 전환신호를 출력하지만, 이것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제어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여기서의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컨트롤러(8)는 게이지폭 변경신호(SG)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조작밸브(13)의 솔레노이드(14)에 대해서 확대신호(GE) 또한 축소신호(GC)를 출력하고, 유압펌프(12)로부터 게이지실린더(15)에 유압을 공급하여 게이지폭의 변경을 허가한다. 단,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는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는 상태이고, 4포트 3위치식 조작밸브(13)는 게이지실린더(15)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위치에 있다.
도 6은 컨트롤러(8)에서의 논리를 나타내는 도이고, 컨트롤러(8)에 입력하는 각종 신호(SK, PL, PR, SD, SS, SO, SG)의 취급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약(IF), 파지신호(SK)가 「0(제로)」가 아니고, 즉 주행선회조작을 위해서나, 또는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을 위해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압력감지면(72B)에 작동자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조작 중에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이 밟혀져서 주행신호(PL, PR)가 컨트롤러(8)에 입력되어도, 상기 컨트롤러(8)는, 주행신호 (PL, PR)을 「0」으로 판정하고,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의 조작을 받지 않고, 조작밸브(10)에는 구동신호(FL, FR, BL, BR)를 출력하지 않는다.
반대로, 파지신호(SK)가 「0」이고(실제로는, 파지신호(SK)가 출력되어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주행선회 조작레버(7)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압력감지면(72B)에 작동자가 접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항상 주행신호(PL, PR)의 입력을 그대로 인식하고「PL=PL, PR=PR」, 주생선회 조작페달(3L, 3R)의 조작을 허가하고, 조작밸브(10)에 구동신호(FL, FR, BL, BR)를 출력하여 유압모터(9L, 9R)를 구동한다.
즉, 주행선회 조작레버(7)에 의한 주행선회조작이나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은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에 의한 주행선회조작보다 우선해서 허가되도록 되어 있고, 주행선회 조작레버(7)에 의해서 차량이 이미 주행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주행선회 조작페달(3)에 의한 같은 주행선회조작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여, 컨트롤러(8) 등이 오동작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게이지폭의 변경 중에도 주행선회 조작페달(3)에 의한 주행선회조작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여, 변경조작의 도중에 잘못해서 차량이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는 주행선회 조작페달 (3L, 3R)에 의한 조작이 허가되기 때문에, 작동자가 작업기 조작레버(6L, 6R)를 사용하거나 하여,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파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에 의한 조작이 허가되어 작업 중의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약(IF) 작동자가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파지하고 있을 때(파지신호(SK)가 「0」이 아닐 때), 다음의 단계로서, 레버본체(71)의 전후경도나, 또는 회전손잡이(72)의 회전이동에 의해 주행신호(SD), 또는 조타선회신호(SS)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는 그 신호를 그대로 주행신호(SD), 조타선회신호(SS)로서 판정하여, 주행선회 조작레버(7)(레버본체(71), 회전손잡이 (72))에 의한 조타 조작을 포함하는 주행선회조작을 허가하고, 조작밸브(10)에 구동신호(FL, FR, BL, BR)를 출력하여 유압모터(9L, 9R)를 구동한다.
그러나,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한 다음의 단계로서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이 눌려져도 컨트롤러(8)는 이것에 따라 입력한 변경버튼 압압신호 (SO)를 「0」으로 간주하고, 주행 중에 있어서의 게이지폭의 변경을 허가하지 않으며, 조작밸브(13)에는 확대신호(GE, GC) 모두 출력하지 않는다. 물론,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전후방향으로 경도시켜서 행하는 주행조작 중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74)에 의해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좌우로 경도시킬 수 없기 때문에 게이지폭 변경신호(SG)는 컨트롤러에 대해서 입력불가능하고, 이 점에서도 주행 중의 게이지폭의 변경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에 회전손잡이(7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좌우로 경도시킨 경우라도, 입력하는 게이지폭 변경신호(SG)를 「0」으로 판정한다.
또한, 도 6(B)에 있어서, 만약(IF) 작동자가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파지하고 있을 때(파지신호(SK)가 「0」이 아닐 때), 다음의 단계로서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이 눌려져서 변경버튼 압압신호(SO)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는 그 신호를 그대로 변경버튼 압압신호(SO)로 판정한다「SO=SO」.
그러나, 또한 다음의 단계로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로 주행선회조작을 행하고, 그 결과, 주행신호(SD)나 조타선회신호(SS)가 컨트롤러(8)에 입력하여도, 상기 컨트롤러(8)는 주행신호(SD) 및 조타선회신호(SS)를 「0」으로 판정하고,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을 누르면서의 주행이나 조타를 허가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SO=SO」일 때에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좌우의 경도에 의해서 게이지폭 변경신호(SG)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는 그 신호를 그대로 게이지폭 변경신호(SG)로 판정하고「SG=SG」, 조작밸브(13)에 대해서 확대신호(GE) 또는 축소신호(GC)를 출력하여 게이지실린더(15)에 의한 게이지폭을 변경한다.
또한, 도 6(B)에 있어서, 만약(IF) 작동자가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파지하고 있을 때(파지신호(SK)가 「0」이 아닐때), 다음의 단계로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좌우로 경도시켜, 게이지폭 변경신호(SG)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는 그 게이지폭 변경신호(SG)를 「0」으로 판정하고, 조작밸브(13)에는 확대신호(GE)나 축소신호(GC)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것은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을 누르면서가 아니면, 즉 앞에 변경버튼 압압신호(SO)가 입력되어서 「SO=SO」의 상태가 아니면, 게이지폭을 변경할 수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좌우로 경도시킨 후에 눌러진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은 무효로 되고, 입력된 변경버튼 압압신호(SO)를 「0」으로 판정한다.
또한,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좌우의 경도 중에는, 가이드홈(74)에 의해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전후로 경도할 수 없기 때문에, 주행신호(SD)는 입력불가능하고, 또한, 회전손잡이(72)를 조작하여도, 입력한 조타선회신호(SS)를 「0」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본 실시형태의 유압셔블에서는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과, 이들과는 별체로 설치되어서 마찬가지로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구비하고,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을 발로 조작함으로써 유압셔블을 주행시킬 수 있고,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조작하는 것으로도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1개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한손으로 충분히 조작할 수 있어 종래의 번잡함이나 불편함이 해소되어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작동자 착좌용 좌석시트(2)의 측방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자가 좌석시트(2)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주행선회 조작레버 (7)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3)이 때, 좌석시트(2)의 측방에는 팔걸이가 가능한 높이로 콘솔(5)이 설치되고, 이 콘솔(5)의 앞측에 주행선회 조작레버(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콘솔 (5)에 팔을 걸은 상태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조작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주행선회조작을 행한다.
(4)본 실시형태에서의 유압셔블에서는, 주행선회 조작레버(7)에 의한 주행선회조작은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에 의한 주행선회조작보다 우선하여 허가되므로,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과 주행선회 조작레버(7)가 동시에 조작되고, 컨트롤러(8)에 주행신호(PL, PR, SD) 및 조타선회신호(SS)가 동시에 입력되어도, 컨트롤러(8)에서 오동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또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주행선호 조작페달(3L, 3R)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자가 작업기 조작레버(6L, 6R)를 사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등,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파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의 조작에 의해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6) 또한, 발에 의한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의 조작을 장시간 계속하면, 양발이 구속되게 되어서 피곤해지기 쉽지만, 그와 같은 경우에는 곧바로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조작으로 전환하면 되고, 주행선회 조작레버(7)에 의한 조작이 우선되어서 발에 의한 조작으로부터 해방되어 피곤하지 않게 할 수 있다.
(7)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회전손잡이(72)의 상면이 압력감지면(72B)으로 되어 있고, 주행선회 조작레버(7)로부터는 작동자에 의한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파지에 의해서 파지신호(SK)가 출력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8)에서는 그 파지신호(SK)가 입력됨으로써 주행선회 조작레버(7)의 조작상태를 확실히 또한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고,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컨트롤러(8)로 그 자리에서 판정할 수 있다.
(8)파지신호(SK)는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실제로 조작하지 않아도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출력되므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파지하고만 있으면,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로 주행선회조작하여도 그 주행선회조작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을 이 주행선회 조작레버(7)로 행함으로써, 그 변경조작 중에는 주행선회 조작페달(3L, 3R)을 잘못해서 조작하여도 차량이 주행할 우려가 없어 변경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9)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레버본체(71)를 전후로 경도시킴으로써 차량을 진퇴주행시킬 수 있고, 회전손잡이(72)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조타를 행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과 조타를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7)로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10)레버본체(71)(주행선회 조작레버(7))에서는 차량을 전후진하기 위해서 전후방향의 경도를 이용하고 있을 뿐이고, 주행조작을 위해서는 좌우방향의 경도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좌우방향의 경도를 주행조작 이외의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에 이용할 수 있고,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7)에 의해서 주행선회조작 및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11)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가이드홈(74)에 의해서 경도방향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방향으로 경도시키고 있을 때에 잘못해서 좌우방향으로 경도될 우려가 없고, 또한 반대로 좌우방향으로의 경도 도중에 전후로 경도될 염려도 없다. 따라서, 주행 중에 게이지폭이 변경되거나, 게이지폭의 변경 도중에 주행하기 시작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다.
(12)또한, 컨트롤러(8)에 있어서도, 주행신호(SD)나 조타선회신호(SS)가 출력되어 있을 때에는, 변경버튼 압압신호(SO) 및 게이지폭 변경신호(SG)의 입력이 무효로 되므로, 제어적으로도, 게이폭의 변경과 차량의 주행이 동시에 행해지는 일은 없다.
(13) 또한, 게이지폭의 변경을 행할 때에는 게이지폭 변경버튼(75)을 누른 상태에서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좌우로 경도시킬 필요가 있고, 단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좌우로 경도한 것 만으로는 게이지폭 변경신호(SG)가 무효로 되기 때문에, 이 점으로부터도 게이지폭의 변경을 잘못해서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컨트롤러(8)는, 파지신호(SK)의 입력을 인식함과 아울러, 주행선회 조작페달(3) 로부터의 주행신호(PL, PR)를 「0」으로 판정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었지만,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한 주행신호(PL, PR)의 판정 외, 주행선회 조작페달(3)로부터의 출력라인 중에 스위치를 설치하고, 파지신호(SK)가 출력되었을 때에 작동하는 릴레이에 의해, 이 스위치를 오픈으로 하여 주행선회 조작페달(3)로부터의 출력라인을 차단하고, 따라서 주행신호(PL, PR) 그자체를 출력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7)는 전후의 경도에 의해 차량을 전후진시키고, 회전손잡이(72)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조타를 행하는 구성이었지만, 예컨대, 주행선회 조작레버(7)를 좌우로 경도시킴으로써 차량의 조타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단,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후로 경도시키면서 좌우에도 경도가능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가이드홈(7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데다가,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게이지폭의 변경조작을, 별도의 레버 등을 설치하여 행할 필요가 있다.
주행선회 조작레버(7)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신호(SK, PL, PR, SD, SS, SO, SG)를 컨트롤러(8)에 의해서 어떻게 취급하는가는(제어하는가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결정하여도 좋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신호출력수단인 파지검지센서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압력감지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광투과형이나 광반사형 등의 광센서 등의 임의의 센서이어도 좋고, 또한, 신호출력수단으로서는 각종 센서 외, 주행선회 조작레버 (7)에 의한 주행선회조작으로 주행신호(SD)를 출력하는 전위차계 자신이거나, 회전손잡이(72)에 의한 조타 조작으로 조타선회신호(SS)를 출력하는 회전비례형 신호출력장치 등이어도 좋다.
그 외, 주행선회 조작페달(3), 주행선회 조작레버(7), 작업기 조작레버(6) 등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조작방법 등은 그 실시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은 주행선회 조작페달을 발로 조작함으로써 유압셔블을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시키거나, 그 자리에서에서 선회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주행선회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도 그와 같은 주행선회조작이 가능하다. 이때, 주행선회 조작레버는 1개로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한손으로 충분히 조작할 수 있어, 종래의 번잡함이나 불편함이 해소되어서 조작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11)

  1.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주행선회 조작페달;
    이 주행선회 조작페달과는 별체로 설치되어서 마찬가지로 주행선회조작을 행하는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 및
    이들 주행선회 조작페달 및 주행선회 조작레버 중, 어느 한쪽에 의한 조작을 허가하는 조작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는, 작동자 착좌용 좌석시트의 측방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2. 좌우의 페달을 동시에 밟아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차량을 전후진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좌우의 페달을 단독으로 밟아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차량을 좌우로 조타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페달;
    1개의 레버를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경도시키면, 차량을 전후진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를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경도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차량을 좌우로 조타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레버를 중립상태로 하여 회전시키면, 차량을 그 자리에서 선회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는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 및
    이들 좌우 한쌍의 주행선회 조작페달 및 1개의 주행선회 조작레버 중, 어느 한쪽에 의한 조작을 허가하는 조작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는, 작동자 착좌용 좌석시트의 측방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시트의 측방에는 콘솔이 설치되고, 이 콘솔에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어수단은,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에 상기 주행선회 조작페달보다 우선시켜서 주행선회조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에는 주행선회조작시에 상기 조작제어수단에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제어수단은, 상기 신호출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없을 때에만 상기 주행선회 조작페달에 의한 주행선회조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은,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파지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신호를 출력하는 파지검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는 경도 가능한 레버본체와, 이 레버본체에 설치된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지고,
    레버본체를 전후로 경도시키면, 차량을 전후진시키도록 주행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레버본체를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경도시킨 상태로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차량을 좌우로 조타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레버본체를 중립상태로 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차량을 그 자리에서 선회시키도록 조타선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레버본체는, 좌우방향의 경도에 따라서 주행장치의 좌우 바퀴간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변경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10. 제 9항에 있어서, 중앙의 일부가 개구되어, 개구된 부분에,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의 경도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선회 조작레버에는 바퀴간 거리의 변경조작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KR1020020022201A 2001-04-26 2002-04-23 유압셔블 KR100888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9335 2001-04-26
JP2001129335A JP2002323931A (ja) 2001-04-26 2001-04-26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435A KR20020083435A (ko) 2002-11-02
KR100888631B1 true KR100888631B1 (ko) 2009-03-12

Family

ID=1897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201A KR100888631B1 (ko) 2001-04-26 2002-04-23 유압셔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75508B2 (ko)
JP (1) JP2002323931A (ko)
KR (1) KR100888631B1 (ko)
DE (1) DE10218735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792B1 (ko) 2010-10-27 2012-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1721B2 (en) * 2003-06-03 2005-03-29 The Raymond Corporation Ergonomic operator compartment for operators of differing heights
JP4373820B2 (ja) 2004-03-11 2009-11-2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前後進操作装置
US7188991B1 (en) * 2004-04-05 2007-03-13 Five Star Industries, Inc. Auxiliary control station for a rear dispensing concrete mixing vehicle
JP2006252210A (ja) * 2005-03-11 2006-09-21 Doshisha 操作部の変位検出機構
JP4690168B2 (ja) * 2005-10-07 2011-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り物およびペダル操作装置
JP4091955B2 (ja) 2005-12-02 2008-05-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
JP4206099B2 (ja) 2005-12-12 2009-01-07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作業機械
FR2897372B1 (fr) * 2006-02-14 2010-03-26 Groupe Mecalac Agencement electro-hydraulique de pilotage pour un engin de travaux publics
DE102007018246A1 (de) * 2007-04-12 2008-10-16 Kässbohrer Geländefahrzeug AG Fahrzeug
AU2008247334B2 (en) * 2007-05-08 2013-06-13 Eric & Karyn Owen Pty Ltd Boom steering systems
US8380402B2 (en) 2010-09-14 2013-02-19 Bucyrus Intl. In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heavy equipment
US8979208B2 (en) * 2013-01-08 2015-03-17 Caterpillar Inc. Transmission and hoist control arrangement
US20150370254A1 (en) * 2013-02-08 2015-12-24 Chun-Han Lee Construction Equipment Driving Control Method
EP2899102B1 (en) * 2014-01-24 2018-03-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Construction machine
KR101565047B1 (ko) * 2014-08-12 2015-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및 악셀 페달 통합 구조를 갖는 컨트롤 보드
JP6587279B2 (ja) * 2015-07-03 2019-10-09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走行制御システム
JP1556401S (ko) * 2016-01-08 2016-08-15
JP6871669B2 (ja) * 2017-02-06 2021-05-1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走行制御装置
JP1612266S (ko) * 2017-11-22 2021-08-23
JP1612268S (ko) * 2017-11-22 2021-08-23
JP1612267S (ko) * 2017-11-22 2021-08-23
JP1615679S (ko) * 2017-11-22 2019-10-07
JP7201350B2 (ja) * 2018-07-09 2023-01-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およびモータグレーダ
USD920388S1 (en) * 2019-04-30 2021-05-25 Spohn & Burkhardt GmbH & Co. KG Control unit
DE102021133496A1 (de) 2021-09-30 2023-03-30 Gramme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ür Fahrzeuge zur Durchführung einer Lenkbeweg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01A (ja) * 1993-07-14 1995-02-03 Komatsu Ltd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
JPH0971263A (ja) * 1995-09-05 1997-03-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クローラ式走行車の走行操作装置
JPH116173A (ja) * 1997-06-18 1999-0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
KR100264278B1 (ko) * 1998-05-11 2000-08-16 토니헬 건설 장비의 주행 조작장치 및 조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0956A (en) * 1965-07-06 1967-11-07 Gen Dynamics Corp Six-degree of freedom integrated controller
JPH0671891B2 (ja) * 1983-06-24 1994-09-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式トラクタの制御装置
US4819896A (en) * 1986-01-29 1989-04-11 Narad James L Hand-operated aircraft control system
US4738417A (en) * 1987-02-02 1988-04-19 Fmc Corporation Hand operated control
JP2831377B2 (ja) * 1988-07-04 1998-12-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原動機回転数制御装置
JP2852444B2 (ja) * 1990-01-16 1999-02-03 油谷重工株式会社 ペダル付レバー装置
EP0765970B1 (en) * 1991-01-28 2001-04-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
US5142931A (en) * 1991-02-14 1992-09-01 Honeywell Inc. 3 degree of freedom hand controller
JP2659291B2 (ja) * 1991-06-28 1997-09-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走行装置
JP3335677B2 (ja) 1992-09-22 2002-10-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
JP3212205B2 (ja) * 1993-10-27 2001-09-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車両の操縦レバー装置
JPH08216914A (ja) * 1995-02-16 1996-08-27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JPH08253957A (ja) * 1995-03-16 1996-10-01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全旋回式建設車両の進行方向報知装置
JPH09165788A (ja) * 1995-12-19 1997-06-24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コントロールレバー制御回路
US5704429A (en) * 1996-03-30 1998-01-06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Control system of an excavator
JP2000129724A (ja) * 1998-10-26 2000-05-09 Komatsu Ltd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
JP2001055759A (ja) * 1999-08-20 2001-02-27 Takahashi Works:Kk 建設機械の運転操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01A (ja) * 1993-07-14 1995-02-03 Komatsu Ltd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
JPH0971263A (ja) * 1995-09-05 1997-03-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クローラ式走行車の走行操作装置
JPH116173A (ja) * 1997-06-18 1999-0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
KR100264278B1 (ko) * 1998-05-11 2000-08-16 토니헬 건설 장비의 주행 조작장치 및 조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792B1 (ko) 2010-10-27 2012-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57284A1 (en) 2002-10-31
US6675508B2 (en) 2004-01-13
DE10218735A1 (de) 2002-10-31
DE10218735B4 (de) 2006-05-24
JP2002323931A (ja) 2002-11-08
KR20020083435A (ko) 200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631B1 (ko) 유압셔블
US6550562B2 (en) Hand grip with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a power machine
US8751095B2 (en) Multi-direction vehicle control sensing
US6152676A (en) Multi-function lever for an industrial truck
JP3335677B2 (ja)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
JPH10252100A (ja) 建設車両の操作用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CN213465685U (zh) 电动车辆的操作装置
US11414832B2 (en) Work vehicle
KR100449371B1 (ko) 포크리프트의 조작 레버 및 포크리프트
JP4017471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3791381B2 (ja) 車両操作装置
JPH115558A (ja) クローラ式走行機体の走行用操作装置
JP2536418Y2 (ja) 産業機械における作業機の操作装置
JP2003301805A (ja) 建設機械の操作装置
JP6961399B2 (ja) 作業車輌
JP7053174B2 (ja) 作業車輌
JPH04130357U (ja) 履帯式車両の走行操作装置
JP6961400B2 (ja) 作業車輌
JP2003146105A (ja) 車両操作装置
JP3409959B2 (ja) 油圧式建設機械の作業機操作装置
JP2005238923A (ja) 建設機械の走行操作装置及び走行駆動装置
JP2006240424A (ja) 作業車輌
JPH1124774A (ja) フインガコントロール式操作レバー
JPH03212521A (ja) ペダル付レバー装置
JPH0725052U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