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792B1 -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 Google Patents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792B1
KR101171792B1 KR1020100105581A KR20100105581A KR101171792B1 KR 101171792 B1 KR101171792 B1 KR 101171792B1 KR 1020100105581 A KR1020100105581 A KR 1020100105581A KR 20100105581 A KR20100105581 A KR 20100105581A KR 101171792 B1 KR101171792 B1 KR 101171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wheel
vehicle
type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159A (ko
Inventor
오상규
박순택
신준영
육민숙
구자근
이지연
전성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7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7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유선형의 지붕형 몸체부(100) 하단에 시트(400)가 설치되고, 전륜부(200) 및 후륜부(300)가 각각 몸체부(1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시트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전단부에 일단이 모아지도록 설치되되 타단이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며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 상기 몸체부(100)에 내장된 조향모터(140); 및 상기 조향모터(140)의 모터축(1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는 좌,우측 베벨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FRONT-WHEEL SYSTEM FOR A HANG-GLIDER TYPE VEHICLE}
본 발명은 탑승자가 차량의 몸체 아래의 개방된 공간에 탐승함으로써 실제 차량보다 좀 더 박진감 있고 스피드감을 느낄 수 있는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은 단순한 운송수단에서 벗어나 운전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영역으로까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인승 자동차라든가, 경주용 차량과 같이 지면에 매우 가까운 상태에서 운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이 많이 개발되고 언론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자동차라는 개념은 편리하고 안락한 운송수단이라는 개념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는바, 상기 운전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차량이 많이 개발된 실정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레저 문화 스포츠가 생성되고 발전되는 상황에서, 자동차 역시 스포츠 문화로 새로운 영역이 발전되고 탄생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F1 모터스포츠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레저단지에서 유행하고 있는 일명 ATV(4륜 레저 차량)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양한 개념의 레저용 차량이 유행할 확률이 높으며, 해당 분야에서 안전하면서도 독특한 레저용 차량이 개발되어 보급될 경우 제2, 제3의 ATV와 같이 빠르고 폭넓게 대중에 유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시장에 대한 기대가 그리 높지 않은 상황이고, 그에 따라 다양한 레저 차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놀이공원 등에서 행글라이더처럼 활공하는 듯한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개발된 레저용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그러한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에 적절한 가변식 전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은, 유선형의 지붕형 몸체부 하단에 시트가 설치되고, 전륜부 및 후륜부가 각각 몸체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시트로서,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일단이 모아지도록 설치되되 타단이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며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 상기 몸체부에 내장된 조향모터; 및 상기 조향모터의 모터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는 좌,우측 베벨기어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 베벨기어 조립체는 상기 모터축의 양측에 연결된 좌,우측 베벨기어 및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의 일단에 마련되며 좌,우측 베벨기어와 체인으로 각각 연결되어 연동되는 좌,우측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측에 설치되는 조작핸들을 더 포함하고, 조작핸들에는 상기 모터축의 회전방향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가 마련되며, 조작핸들의 회전시 모터축이 선택된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조향모터를 통해 전륜부의 좌,우 전륜 휠프레임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탑승자는 누워있는 상태에서도 핸들의 조작을 통해 전륜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스릴 있고 박진감 있는 주행을 경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구조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조작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의 구조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전륜 조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시트가 적용된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은, 조향모터(140), 구동모터(160), 배터리(120)가 내장된 유선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조향모터(140)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고,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며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전륜 휠프레임(210,230) 및 그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전륜 휠(212,232)로 구성된 전륜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륜 휠프레임(310) 및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60)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 휠(320)로 구성된 후륜부(300); 상기 몸체부(100)의 중앙 하단부에 설치된 탑승자 시트(400); 및 상기 탑승자 시트(400)의 전방에 마련된 조작핸들(420,440);을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기본적으로 유선형으로 구성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한다. 그러한 몸체부(100)의 하단에는 차량의 모든 구성이 설치되고, 시트(400) 역시 몸체부(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스릴과 속도감을 느끼도록 한다.
휠은 전륜부(200)와 후륜부(300)로 구성되며 각각 몸체부(10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륜부(200)는 몸체부(100)의 전단부에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륜 휠프레임(210,230)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륜 휠프레임(210,230)의 하단부에는 전륜 휠(212,232)이 각각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륜 휠프레임(210,230)은 조향모터(140)에 의해 상호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서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수평면상에서 회전된다. 만약 차량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라면 전륜 휠프레임(210,230)을 상호 벌어지도록 모터를 구동하고, 차량이 좁은 공간을 지나가도록 하려면 전륜 휠프레임(210,230)을 서로 모아 차량의 폭이 좁아지도록 한다. 이러한 가변식 전륜구조의 경우에는 레저장소의 곳곳에 벽이나 장애물을 설치할 경우 그 활용도와 재미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후륜부(300)의 경우에는 후륜 휠프레임(310)이 몸체부(100)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후륜 휠프레임(310)의 하단부에는 후륜 휠(320)이 설치되도록 한다. 후륜 휠(320)은 구동모터(160)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좌,우로의 조향이 가능토록 하여 전체적인 차량의 구동과 조향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륜 휠(320)에는 유압식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후륜부(300)의 정지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시트(400)의 경우에는 몸체부(100)의 중앙 하단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100)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시트프레임이 형성되고, 시트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작촤부가 설치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탑승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주행을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착좌부는 두 개의 쿠션으로 형성되고 탑승자는 그 두 개의 쿠션에 누워 운전을 함으로써 마치 행글라이더를 타고 날아가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레저 차량의 경우 행글라이더보다 주행이 안정적이고 사고의 가능성이 적다.
한편, 몸체부(100)에는 조향모터(140), 배터리(120), 구동모터(16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무게 배분에 유리하고 최적의 레이아웃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는 조향모터(140)를 몸체부(100)의 전단부에 내장하여 전륜 휠프레임(210,230)과 직접 연결되도록 하고, 배터리(120)는 몸체부(100)의 중앙에 내장하여 차량의 무게배분을 고르게 하며, 구동모터(160)는 후륜 휠프레임(310)에 직접 내장함으로써 후륜 휠(320)에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조작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의 구조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전륜 조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은, 유선형의 지붕형 몸체부(100) 하단에 시트(400)가 설치되고, 전륜부(200) 및 후륜부(300)가 각각 몸체부(1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시트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전단부에 일단이 모아지도록 설치되되 타단이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며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 상기 몸체부(100)에 내장된 조향모터(140); 및 상기 조향모터(140)의 모터축(1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는 좌,우측 베벨기어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베벨기어 조립체는 상기 모터축(142)의 양측에 연결된 좌,우측 베벨기어(143,147) 및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의 일단에 마련되며 좌,우측 베벨기어(143,147)와 체인(144,148)으로 각각 연결되어 연동되는 좌,우측 평기어(145,14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400)측에는 조작핸들(440)이 설치되고, 조작핸들(440)에는 상기 모터축(142)의 회전방향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446)가 마련되며, 조작핸들(440)의 회전시 모터축(142)이 선택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몸체부(100)의 아래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조작핸들(440)의 선택스위치(446)를 선택(벌어짐, 중립, 오므림)하고 핸들을 회전함으로써 차량의 전륜을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안정적인 주행을 원할 경우 전륜을 벌려 주행을 하게 되고, 폭이 좁은 길을 지나가야 하거나 민첩한 코너링 등을 원할 경우에는 전륜의 벌어진 폭을 좁혀 원하는 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륜 휠프레임(210,230)을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고, 전방에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전륜의 폭을 좁힐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선택스위치(446) 등을 이용하여 전륜 휠프레임(210,230)을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하지는 상태(210', 230')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전륜의 각도조절은 하나의 조향모터(140)와 베벨기어(143,147), 체인(144,148) 및 평기어(145,146)를 이용한 기어조립체를 장착함으로써 좌, 우 전륜 휠프레임(210,230)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휠의 안정성이 증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륜을 벌리고 싶은 경우에는 모터축(14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좌측 베벨기어(143), 체인(144), 좌측 평기어(145)의 움직임에 따라 좌측 전륜 휠프레임(210)이 좀 더 좌측으로 벌어지고, 우측 베벨기어(147), 체인(148), 우측 평기어(146)의 움직임에 따라 우측 휠프레임(230)이 좀 더 우측으로 벌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20 : 배터리
140 : 조향모터 142 : 모터축
143,147 : 좌,우측 베벨기어 144,148 : 체인
145,146 : 좌,우측 평기어 160 : 구동모터
200 : 전륜부 300 : 후륜부
400 : 시트 P : 탑승자

Claims (3)

  1. 유선형의 지붕형 몸체부(100) 하단에 시트(400)가 설치되고, 전륜부(200) 및 후륜부(300)가 각각 몸체부(1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시트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전단부에 일단이 모아지도록 설치되되 타단이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며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
    상기 몸체부(100)에 내장된 조향모터(140); 및
    상기 조향모터(140)의 모터축(1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는 좌,우측 베벨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베벨기어 조립체는 상기 모터축(142)의 양측에 연결된 좌,우측 베벨기어(143,147) 및 좌,우측 전륜 휠프레임(210,230)의 일단에 마련되며 좌,우측 베벨기어(143,147)와 체인(144,148)으로 각각 연결되어 연동되는 좌,우측 평기어(145,1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400)측에 설치되는 조작핸들(440)을 더 포함하고, 조작핸들(440)에는 상기 모터축(142)의 회전방향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446)가 마련되며, 조작핸들(440)의 회전시 모터축(142)이 선택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 시스템.
KR1020100105581A 2010-10-27 2010-10-27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KR101171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81A KR101171792B1 (ko) 2010-10-27 2010-10-27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81A KR101171792B1 (ko) 2010-10-27 2010-10-27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59A KR20120044159A (ko) 2012-05-07
KR101171792B1 true KR101171792B1 (ko) 2012-08-20

Family

ID=4626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581A KR101171792B1 (ko) 2010-10-27 2010-10-27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7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158B1 (ko) 1992-05-13 2000-03-02 김창수 경비행기
KR200224888Y1 (ko) 2000-10-05 2001-05-15 한국원자력연구소 핫셀용 원격이송장치
KR100888631B1 (ko) 2001-04-26 2009-03-1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셔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158B1 (ko) 1992-05-13 2000-03-02 김창수 경비행기
KR200224888Y1 (ko) 2000-10-05 2001-05-15 한국원자력연구소 핫셀용 원격이송장치
KR100888631B1 (ko) 2001-04-26 2009-03-1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셔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59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2366C (zh) 四轮车辆
EP2755886B1 (de) Transportfahrzeug mit dreirad-fahrwerk
CN105813922B (zh) 具有倾斜框架的车辆
CA2975524C (en) Motorized vehicle with pivoting cabin combining features of automobiles and motorcycles
TW200831316A (en) Amphibian
JP6963028B2 (ja) 対面シート式自動運転車両
US1989995A (en) Autoette
CA2866485A1 (en) Drive track for a tracked vehicle
CN204452708U (zh) 一种脚控休闲健身电动车
KR101171792B1 (ko)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전륜시스템
DE4306094A1 (de) Umweltfreundliches, mehrsitziges Leichtfahrzeug mit Muskelkraftantrieb
CN205256484U (zh) 一种dtv履带平衡车
DE102008033995A1 (de) Dreiradfahrzeug mit Neigetechnik zur Verbesserung der Kurvenstabilität bei schmaler aerodynamischer Bauart
JP3177427U (ja) ツイストコースター
KR101163451B1 (ko)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
WO2020075404A1 (ja) 不整地走行車両
CN208698398U (zh) 一种带有车轮调节联动机构的四驱越野车
KR101359530B1 (ko)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KR101189468B1 (ko) 행글라이더 타입 차량의 가변식 시트
DE102010014938B4 (de) Motorisch betriebenes Einrad-Fahrzeug
JP3142736U (ja) 電動3人乗り3輪自転車
CN206218125U (zh) 一种压踏式驱动游乐车
DE2108492A1 (de) Rollkörperfahrzeug als Sport- und Spielgerät
CN211055264U (zh) 一种野外行驶的履带式旅游观光车
CN202107056U (zh) 可侧斜四轮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