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30B1 -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 Google Patents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30B1
KR101359530B1 KR1020120004220A KR20120004220A KR101359530B1 KR 101359530 B1 KR101359530 B1 KR 101359530B1 KR 1020120004220 A KR1020120004220 A KR 1020120004220A KR 20120004220 A KR20120004220 A KR 20120004220A KR 101359530 B1 KR101359530 B1 KR 10135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eat
wheel
un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566A (ko
Inventor
허홍
Original Assignee
허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홍 filed Critical 허홍
Priority to KR102012000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22Alternative steering-control elements, e.g. for teach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28Racing vehicles, e.g. Formula one cars
    • B60W2300/285Go-k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용 고카트에 앞뒤로 두 개 이상의 좌석을 구비하여 조향휠, 조향전달축, 조향전달바, 조향바퀴축, 앞바퀴축으로 구성된 앞좌석 조향부와 뒷좌석 조향바, 뒷조향전달축으로 구성된 뒷좌석 조향부가 앞뒤조향연결바에 의해 연결되어 앞좌석 탑승자가 앞좌석 조향부의 조향휠을 조작하여 조향하고, 뒷좌석 탑승자는 뒷좌석 조향부의 조향바를 조작하여 조향함으로써 앞뒤 좌석에서 동시에 방향을 조작하여 조향이 가능한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Go-kart structure capable of two people's riding and steering}
본 발명은 고카트(go-kart)에 앞뒤로 두 개 이상의 탑승석이 구비되어 각 탑승석에 각각의 조향장치를 구비하고, 각 조향장치가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앞 뒤자리 모두에서 조향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레저용 카트에 관한 기술이다.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놀이공원이나 위락시설 등에서 가족단위로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레저용 놀이기구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고카트(go-kart)도 이러한 레저용 대여물품 중 하나로, 어린아이나 성인이 직접 운전하는 즐거움을 경험하기 위한 탑승기구이다. 평소 운전을 하지 못하는 어린이뿐 만 아니라, 성인의 경우에도 레이싱 경주와 같은 속도감과 고카트 고유의 다이나믹한 주행감 때문에 관광지나 놀이공원 등에서 고카트의 이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카트의 구조에 관한 기술로는 미국특허 번호 4,629,023(Dec. 16, 1986)이나 미국특허 번호 US6,749,039 B1(Jun. 15, 2004) 등이 있다. 이러한 고카트를 어린아이들이 타고 싶어 하는 욕구가 강한데 반해 일정 연령이상이 아닌 어린이들은 직접 운전하기에 사고위험이 높아 보호자가 동반하여 탑승하는 경우가 많다. 관광지 등에서 볼 수 있는 2인승 고카트가 그러한 예인데, 운전자의 측면에 아이를 위한 보조좌석이 병렬 구성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카트의 스피드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병렬되는 2인승 자전거에 관한 기술로 미국특허 번호 US2002/0014755 A1(Feb. 7, 2002)가 있다. 병렬된 좌석 형태의 2인승 자전거나 카트는 탑승자가 익숙하지 않은 넓은 차폭 때문에 방향회전 시 충돌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어느 수준의 조작 능력이 있는 어린이라 하더라도 사고의 위험 때문에 1인승 고카트를 혼자 운전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더욱 위험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놀이공원에서 고카트를 이용하는 것은 어린아이가 자동차 운전을 체험하고 이를 통해 즐거움을 얻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데, 운전은 보호자가 하고 아이는 속도감만 체험하게 되어 아이 입장에서는 운전하고 싶은 욕구를 억누르기 어려운 상황이 많다. 이런 점을 볼 때 아이가 운전대를 잡고 운전을 하도록 하되, 보호자가 동승하여 조향 조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면 주행을 통한 즐거움을 얻음과 동시에 혹시 모르는 위험을 동승자의 조작을 통해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저용 고카트(go-kart)에 두 개 이상의 탑승 좌석을 앞뒤로 구비하고 각각의 좌석에 조향장치를 갖도록 하며 앞뒤의 조향장치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앞과 뒤 어느 좌석에서나 카트를 조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앞좌석에 아이가 타고 뒷좌석에 보호자가 타서 아이가 조종하도록 하되 보호자가 조종을 보조하는 카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인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는 고카트(go-kart)에 앞뒤로 두 개 이상의 탑승용 좌석을 구비하고 각각의 좌석 전면에 조향휠(steering-wheel)이나 조향바(steering-bar)가 구비되어, 앞좌석의 조향휠(120)은 조향전달축(140)에 연결되고, 조향전달축에 전달된 조향 동작은 조향전달바(160)를 통해 바퀴조향축(150)을 움직임으로써 앞바퀴축(101)을 조향 방향대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앞좌석 조향부(001)와, 뒷좌석의 조향바(220)는 뒷조향전달축(250)에 연결되고, 뒷조향전달축이 앞뒤조향연결바(260)를 통해 상기 앞좌석 조향부의 조향전달축(14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뒷좌석 조향부(002)와, 앞바퀴축(101)에 장착되는 앞바퀴(100)와, 뒷바퀴축(201)에 장착되는 뒷바퀴(200)와, 배터리(400)와 전동모터(300), 또는 연료탱크와 엔진으로 구성되며 뒷바퀴축과 구동벨트 또는 체인(301)으로 연결되는 구동부(003), 및 상기 앞뒤 좌석을 고정하기 위한 좌석고정바(011), 앞좌석 조향부, 뒷좌석 조향부, 앞뒤바퀴, 구동부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차체(0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카트(go-kart)에 앞뒤로 두 개 이상의 탑승용 좌석을 구비하고 각각의 좌석 전면에 조향장치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되게 함으로써, 앞뒤로 앉은 동승자가 함께 고카트를 조작할 수 있어서, 둘 중 한사람의 조작 실수가 있더라도 다른 한사람이 조작하여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함께 조종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어서 아이를 둔 부모나 연인끼리 함께 즐겁고 안전한 탑승기구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입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에 있어 핸드브레이크를 적용한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조향방식 설명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접이식 구조를 적용한 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인승 자전거 적용 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관광지나 놀이공원 등의 레저시설에서 대여용으로 사용되는 고카트(go-kart)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앞뒤로 두 개 이상의 탑승용 좌석을 구비하고 각각의 좌석 전면에 조향장치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되게 하여 앞뒤 좌석 모두에서 조향할 수 있는 카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고카트(go-kart)는 엔진이나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하나의 운전석 전면에 구비된 조향휠(steering-wheel)로 조향을 조향하고, 필요한 경우 운전자 좌석의 우측이나 좌측에 보조 탑승자의 좌석이 병렬되어 사이드카(side car) 형태로 아이를 탑승시킬 수 있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고카트 레이싱장은 아이와 부모가 함께 찾고, 아이가 원해서 부모와 함께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고카트를 조향하고 가속, 감속하는 등의 조작을 아이가 하고 보호자가 이를 보조하는 형태가 본 발명의 구조이다. 카트의 차체(010)에 앞뒤로 좌석이 구비되고 앞좌석(110)과 뒷좌석(210)은 각각 조향장치를 갖는다. 앞좌석의 조향장치는 아이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조향휠(120)로 구비되고, 뒷좌석의 조향장치는 손잡이 형태의 조향바(220) 형태로 구비된다. 뒷좌석의 조향장치가 조향바 형태로 구비되는 이유는 조향휠은 좌석의 전면 중앙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에 일정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차체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나, 조향바를 좌우연결된 일체형이 아닌 좌측과 우측을 분리하여 수직포스트로 연결되는 손잡이 형태로 운전석의 좌우에 위치시키면,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 공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앞조향휠(120)은 핸들포스트(121)에 의해 조향전달축(140)에 연결된다. 조향전달축(140)은 수평상태에서 조향전달바(160)와 연결되어 바퀴조향축(150)과 연결되고 바퀴조향축이 앞바퀴축(101)과 연결되어 앞바퀴를 조향하게 된다. 이처럼 앞조향휠(120)과 연결된 앞바퀴조향 연결부분이 앞좌석조향부(001)이다. 핸들포스트가 수직으로 구성된다면 조향전달축(140)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지만, 운전자 조작이 편리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쪽으로 기울어진 사선으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핸들포스트(121)와 조향전달축(140)을 연결하기 위해서 유니버설조인트(universal joint, 130)가 필요하다. 앞좌석에 앉은 아이가 앞조향휠(120)을 우측으로 조작하면, 핸들포스트(121)와 유니버설조인트(130)를 통해 조향전달축(140)이 우측으로 조작되고, 이와 연결된 조향전달바(160)에 의해 바퀴조향축(150)이 우측방향으로 조향된다. 앞조향휠(120)에 의해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향전달축(140)은 뒷좌석의 조향바(220)와도 연결된다. 뒷좌석의 좌우에 구비된 조향바(220)는 수직 포스트 연결로 뒷조향전달축(250)에 각각 연결된다. 뒷조향전달축(250)은 앞뒤조향연결바(260)에 의해 앞좌석조향부(001)의 조향전달축(140)과 연결된다. 뒷조향전달축(250)과 조향전달축(140)을 연결하는 앞뒤조향연결바(260)는 엇갈려서 연결된다. 즉, 좌측 뒷조향바와 연결된 뒷조향전달축(250)은 조향전달축(140)의 우측 후면에 연결되고, 우측 뒷조향바는 이와 반대로 조향전달축(140)의 좌측 후면에 연결된다. 이처럼 X자형태로 연결되는 이유는 ‘11’자 형태로 평행하게 연결되는 형태에 비해 지지력이 강해 파손의 위험이 덜하고, 뒷조향바(220)의 조향방향대로 앞바퀴가 조향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뒷좌석 조향바(220)에 의해 뒷좌석에서 조향하는데 연결된 부분을 뒷좌석조향부(002)라 한다. 뒷좌석 조향바는 뒷좌석의 좌우측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뒷좌석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양손을 얹어서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가 위치한다. 아래의 도면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뒷좌석에는 성인이 탑승하므로, 뒷좌석 탑승자는 두 다리를 약간 벌려 양발을 앞좌석의 좌우에 놓이게 하고 뒷조향바(220)를 잡게 된다. 앞좌석과 뒷좌석에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양발이 놓이는 위치에 발판을 구비하고 앞좌석 액셀레이터(170)과 브레이크(180), 뒷좌석 액셀레이터(270)과 브레이크(280)가 구비된다. 액셀레이터는 차체의 후면에 구비된 전동모터(300) 및 배터리(400)에 연결되어 가속과 감속을 제어한다. 브레이크는 후면의 브레이크 디스크(501)를 조작하는 브레이크장치(500)와 연결되어 제동을 조작할 수 있다. 아래의 도면에서 처럼 앞좌석에 앉은 아이가 조향휠(120)로 카트를 조작하고 액셀레이터(170)과 브레이크(180)을 조작하여 가속과 제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뒷좌석의 동승자는 조향바(220)를 조작하여 조향방향을 수정하는 등 조작을 보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액셀레이터(270)와 브레이크(280)을 조작하여 가속과 제동 또한 제어할 수 있어서 아이가 원하는대로 조작하되 필요한 경우 뒷좌석 동승자가 운전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입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뒷조향바(220)에 연결된 뒷조향전달축(250)과 앞조향휠(120)과 연결된 조향전달축(140)이 'X'자 형태로 엇갈리게 연결되어 있다. 앞좌석(110)의 좌우에 뒷좌석 탑승자가 조작하기 위한 액셀레이터(270)와 브레이크(280)가 위치하여 뒷좌석 탑승자가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 편안히 다리를 내려놓았을 때 발이 놓이는 위치에서 가속과 제동의 조작이 가능하고, 뒷좌석 탑승자가 양팔을 편안히 올려 잡을 수 있는 위치의 좌우측에 각각 뒷조향바(220)가 위치한다. 뒷좌석(220) 측 후면에 전동모터(300)가 위치하며, 전동모터는 후면의 배터리(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액셀레이터(170, 270)를 조작함으로써 회전수를 증감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구동밸트나 체인(301)으로 뒷바퀴축에 전달되어 뒷바퀴를 구동한다. 차량의 특성에 따라 전동모터(300)와 배터리(400)대신 엔진과 연료탱크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동력을 얻어 전달하는 부분을 구동부(003)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앞뒤좌석을 분리하면, 앞좌석 조향부(001)의 조향전달축(140)과 뒷좌석 조향부(002)의 뒷조향전달축(250)이 ‘X'자 형태로 엇갈려서 상호 연결된 구조를 상세히 알 수 있다. 또한 앞좌석 조향부의 조향전달축(140), 바퀴조향축(150), 조향전달바(160) 및 앞바퀴축(101)의 상호 연결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조향전달바(160)가 조향전달축(140)의 앞쪽에 위치하여 있으나,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뒷좌석조향부(002)의 뒷조향바(220)와 연결되는 앞뒤조향연결바(260)가 조향전달축(140)의 후면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전면에 배치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하였을 뿐이다. 앞좌석조향부(001)와 뒷좌석조향부(002) 및 이 둘을 상호 연결하는 앞뒤조향연결바(260)가 구비된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어서, 조향전달축, 바퀴조향축, 조향전달바 및 뒷조향전달축의 형태와 방향에 따라 앞좌석조향부와 뒷좌석조향부를 연결하는 앞뒤조향연결바(260)가 ’X'자가 아닌 ‘11’자 형태로 평행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앞과 뒤의 연결성과 공간활용, 구조의 단순화 등을 고려하면 ‘X'자로 연결되는 형태가 수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에 있어 핸드브레이크를 적용한 예의 사시도이다. 뒷좌석에 탑승한 동승자가 브레이크나 액셀레이터를 조작함에 있어서 발을 사용하는 형태 외에 조향바(220)에 전기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에서 사용되는 핸드브레이크(221)나 가속 및 감속을 조절할 수 있는 스로틀 레버(throttle lever, 22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로틀 레버는 회전식이나 버튼식이 적용되어 가속을 원할 경우, 더 많이 돌려 감거나 더 많이 눌러서 조작함으로써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핸드브레이크나 스로틀 레버를 사용하면 뒷좌석 탑승자는 발이 놓이는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발 상황에 보다 즉시적으로 제동이나 가속 및 감속을 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조향방식 설명 도면이다.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앞좌석의 조향휠을 우측으로 돌리면 앞바퀴가 조작되어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뒷좌석에 탑승한 동승자도 좌측조향바는 운전자의 바깥쪽으로, 우측조향바는 안쪽으로 조작하여 우측으로 조향하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앞뒤조향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앞바퀴가 조작되어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앞좌석에 앉은 아이가 운전이 서투를 경우뿐만 아니라 운전이 불가능한 아이여도 뒷좌석에 탑승한 동승자가 전적으로 카트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즐겁게 카트타기를 함께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접이식 구조를 적용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예시한 발명은 관광지나 놀이공원 등과 같은 레저시설에서 사용되는 대여용 카트에 적합한 구조이다. 일반 소비자가 구입하여 아이와 함께 탑승하여 즐기기 위한 카트의 구조로는 접이식 요소가 추가되면 운송이나 보관 측면에서 편리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차체(010)에 접이 힌지(0101)을 구비하여 차체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접힐 때는 좌석이나 조향휠, 조향바 등의 돌출구조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석고정바 연결부(0111)가 구비된다. 좌석고정바 연결부(0111)는 좌석이 연결되어 차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좌석고정바(011)를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 세면대에 연결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나사산과 너트형태의 잠그고 풀 수 있는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렇게 분리된 좌석은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도록 낚시의자처럼 엉덩이가 위치하는 판과 등이 기대는 판을 상호 분리하여 서로 결합하고 이를 고정하거나 접기 위한 좌석 접이 힌지(1101)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각각이 분리되고 접혀진 구조가 아래 도면 <B>이다. 이처럼 분리되고 접혀진 형태는 제품 판매 시 포장 용량을 줄여 배송이 용이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반 승용차의 트렁크에 분리하여 넣은 후 공원 등에서 다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창고 등에 보관하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인승 자전거 적용 예의 사시도이다. 도심형 공원 등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3~4인승 가족용 자전거에 본 발명을 적용한 형태이다. 통상의 4륜의 3~4인승 자전거 앞좌석과 뒷좌석에 조향장치를 구비하고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앞좌석과 뒷좌석 모두에서 조향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족용 자전거는 뒷좌석에 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구조가 보편적이어서, 뒷좌석의 두 사람이 모두 조향이 가능한 구조로 뒷좌석의 우측 탑승자가 조작하는 핸들은 조향전달축의 후면좌측에만 연결되고, 좌측 탑승자가 조작하는 핸들은 조향전달축의 후면우측에만 연결되는 ‘X'자 연결 구조를 통해 차체 하부의 앞좌석조향부와 뒷좌석조향부를 연결하는 앞뒤조향연결바(260) 구조를 동일한 원리에서 단순화할 수 있다. 앞좌석의 조향휠(120)을 조작하면 핸들포스트(121)을 통해 조향전달축(140)에 전달되고 연결된 조향전달바(160)에 의해 바퀴조향축(150)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여 앞바퀴가 조향된다. 뒷자리의 조향바(220)을 조작하면 조향바 포스트로 연결된 뒷조향전달축(250)이 앞뒤조향연결바(260)를 통해 조향전달축(150)에 조작 동작을 전달하여 앞바퀴가 조향된다. 페달크랭크(602)에 장착된 페달(601)을 발로 굴러 구동력을 얻어 뒷바퀴를 구동하게 된다. 페달크랭크, 페달, 체인, 뒷바퀴축에 연결된 뒷바퀴 허브기어가 구동부(003)에 해당된다. 본 발명과 같이 앞뒤 좌석 모두에서 조향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의 가족형 자전거에서는 앞좌석에 앉은 아이는 조작되지 않는 핸들 모양의 손잡이가 아닌, 실재로 조향되는 손잡이를 잡을 수 있어서 헛도는 경우의 추락사고도 줄어들고 핸들 조작의 즐거움까지 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001 : 앞좌석조향부
002 : 뒷좌석조향부
003 : 구동부
010 : 차체
0101 : 접이 힌지
011 : 좌석고정바
0111 : 좌석고정바 연결부
020 : 앞범퍼
030 : 뒷범퍼
100 : 앞바퀴
101 : 앞바퀴축
110 : 앞좌석
1101 : 좌석 접이 힌지
120 : 앞조향휠
121 : 핸들포스트
130 : 유니버설조인트
140 : 조향전달축
150 : 바퀴조향축
160 : 조향전달바
170 : 앞좌석 액셀레이터
180 : 앞좌석 브레이크
200 : 뒷바퀴
201 : 뒷바퀴축
210 : 뒷좌석
220 : 뒷조향바
221 : 핸드브레이크
222 : 스로틀 레버
250 : 뒷조향전달축
260 : 앞뒤조향연결바
270 : 뒷좌석 액셀레이터
280 : 뒷좌석 브레이크
300 : 전동모터
301 : 구동밸트(체인)
400 : 배터리
500 : 브레이크장치
501 : 브레이크 디스크
601 : 페달
602 : 페달크랭크

Claims (7)

  1.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에 있어서
    앞뒤로 두 개 이상의 탑승용 좌석이 구비되고 각각의 좌석 전면에 조향휠(steering-wheel)이나 조향바(steering-bar)가 구비되어,
    앞좌석의 조향휠(120)은 조향전달축(140)에 연결되고, 조향전달축에 전달된 조향 동작은 조향전달바(160)를 통해 바퀴조향축(150)을 움직임으로써 앞바퀴축(101)을 조향 방향대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앞좌석 조향부(001)와;
    뒷좌석의 조향바(220)는 뒷조향전달축(250)에 연결되고, 뒷조향전달축이 앞뒤조향연결바(260)를 통해 상기 앞좌석 조향부의 조향전달축(14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뒷좌석 조향부(002)와;
    앞바퀴축(101)에 장착되는 앞바퀴(100)와;
    뒷바퀴축(201)에 장착되는 뒷바퀴(200)와;
    배터리(400)와 전동모터(300), 또는 연료탱크와 엔진으로 구성되며 뒷바퀴축과 구동벨트 또는 체인(301)으로 연결되는 구동부(003) 및;
    상기 앞뒤 좌석을 고정하기 위한 좌석고정바(011), 앞좌석 조향부, 뒷좌석 조향부, 앞뒤바퀴, 구동부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차체(0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앞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앞좌석 조향부(001)를 이용해 방향을 조작하고,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앞좌석 조향부와 연결된 뒷좌석 조향부(002)를 이용해 동시에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앞뒤좌석 모두에서 조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조향부(001)의 조향전달축(140)과 뒷바퀴 조향부(002)의 뒷조향전달축(250)을 연결하는 앞뒤조향연결바(260)가 X자 형태로 엇갈려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조향부(001)에 앞좌석 액셀레이터(170)와 브레이크(180)를 구비하고, 뒷바퀴 조향부(002)에는 뒷좌석 액셀레이터(270)와 브레이크(280) 또는 스로틀레버(throttle lever, 222)와 핸드브레이크(221)를 구비하여, 앞뒤좌석 모두에서 가속과 제동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010)에 접이 힌지(01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차체를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차체를 접을 때, 앞뒤 좌석을 차체에 고정하는 좌석고정바(011)를 차체와 쉽게 분리하기 위해한 돌려서 잠그거나 풀 수 있는 좌석고정바 연결부(0111)를 더 구비하고, 앞뒤 좌석이 접힐 수 있도록 좌석 접이 힌지(1101)를 더 구비하여, 차체를 접은 후 앞뒤 좌석을 손쉽게 분리하고, 분리된 좌석은 별도 보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6.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다인승 자전거 구조에 있어서
    앞뒤로 두 개 이상의 탑승용 좌석이 구비되고 각각의 좌석 전면에 조향휠(steering-wheel)이나 조향바(steering-bar)가 구비되어,
    앞좌석의 조향휠(120)은 조향전달축(140)에 연결되고, 조향전달축에 전달된 조향 동작은 조향전달바(160)를 통해 바퀴조향축(150)을 움직임으로써 앞바퀴축(101)을 조향 방향대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앞좌석 조향부(001)와;
    뒷좌석의 조향바(220)는 뒷조향전달축(250)에 연결되고, 뒷조향전달축이 앞뒤조향연결바(260)를 통해 상기 앞좌석 조향부의 조향전달축(14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뒷좌석 조향부(002)와;
    앞바퀴축(101)에 장착되는 앞바퀴(100)와;
    뒷바퀴축(201)에 장착되는 뒷바퀴(200)와;
    페달(601), 페달크랭크(602), 체인, 뒷바퀴 허브기어로 구성되는 구동부(003) 및;
    앞뒤 좌석(110, 210), 앞좌석 조향부, 뒷좌석 조향부, 앞뒤바퀴, 구동부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차체(0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앞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앞좌석 조향부(001)를 이용해 방향을 조작하고,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앞좌석 조향부에 연결된 뒷좌석 조향부(002)를 이용해 동시에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앞뒤좌석 모두에서 조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다인승 자전거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조향부(001)의 조향전달축(140)과 뒷바퀴 조향부(002)의 뒷조향전달축(250)을 연결하는 앞뒤조향연결바(260)가 X자 형태로 엇갈려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다인승 자전거 구조
KR1020120004220A 2012-01-13 2012-01-13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KR10135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20A KR101359530B1 (ko) 2012-01-13 2012-01-13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20A KR101359530B1 (ko) 2012-01-13 2012-01-13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566A KR20130083566A (ko) 2013-07-23
KR101359530B1 true KR101359530B1 (ko) 2014-02-12

Family

ID=4899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220A KR101359530B1 (ko) 2012-01-13 2012-01-13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347B1 (ko) * 2019-01-15 2021-04-05 (주)에어박스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전동 승용물
KR102338168B1 (ko) * 2021-06-30 2021-12-10 주식회사 아이들 레이싱 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3152A1 (fr) * 2003-06-19 2004-12-29 Franck Lagorce Vehicule automobile de type kart, adapte a un utilisateur no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3152A1 (fr) * 2003-06-19 2004-12-29 Franck Lagorce Vehicule automobile de type kart, adapte a un utilisateur no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566A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268B1 (ko) 사이클
US7530582B2 (en) Wheeled vehicle for amusement purposes
US3664684A (en) Two-passenger cycle
US5193831A (en) Bicycle powered go-cart
CN102275622A (zh) 双车架脚踏车
US9394027B2 (en) Frame for a human-powered vehicle
KR101359530B1 (ko) 2인 이상 탑승과 조향 조작이 가능한 카트 구조
US20150197311A1 (en) Foot-sliding quad vehicle with tilt-grip steering
JP2009280182A (ja) ステッキハンドル自転車
US11465707B2 (en) Modular scooter with suspension and collapsible components
US20060278455A1 (en) Modular ride-on vehicle
US8096569B2 (en) Convertible cycling-stroller apparatus
US10759486B2 (en) Three or four wheeled human powered vehicle with dual wheel front steering and single or dual wheel rear drive
JPH11180369A (ja) 多機能自転車
JP2004237761A (ja) 前二輪走行車
JP3197810U (ja) 前二輪自転車、およびその前輪用懸架・操舵装置
JPS6260315B2 (ko)
JP3884671B2 (ja) 軌道走行自転車
US6315314B1 (en) Frame structure for a double-axle polycycle for several occupants
KR20110026080A (ko) 샴 자전거
CN207683253U (zh) 一种带有拖拉结构的双人观览车
CN203186516U (zh) 多功能益智双人脚踏车
JP2010036877A (ja) 児童・幼児などを併乗させる自動三輪車
CN205998020U (zh) 连体轮或双轮乘坐式自平衡游艺车
Henshaw Passenger carr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