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908B1 - 윈도우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 Google Patents

윈도우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908B1
KR100884908B1 KR1020027000645A KR20027000645A KR100884908B1 KR 100884908 B1 KR100884908 B1 KR 100884908B1 KR 1020027000645 A KR1020027000645 A KR 1020027000645A KR 20027000645 A KR20027000645 A KR 20027000645A KR 100884908 B1 KR100884908 B1 KR 10088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indow
fixing
fixing device
optically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999A (ko
Inventor
쉬미트패트릭크
호그노르베르트
호다프브루노
피엔트카라이네르
마이에르한스
브리트즈케헨리
하게르마르틴
부르카르트만프레드
벤즈조크헨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151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849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1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7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windshield
    • B60S1/088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windshield characterized by the attachment of the elements in a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33Optical rain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7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windshield
    • B60S1/0881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windshield characterized by the attachment means on the windshield

Abstract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 특히 빗방울의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는 윈도우의 내측에 커플링될 수 있는 센서 부재(21), 윈도우에 접착될 수 있는 적어도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클램프 응력 하에서 고정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가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Figure R1020027000645
하우징부, 고정부, 고정장치, 센서 부재, 센서

Description

윈도우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Sensor for optically detecting foreign bodies, particulary rain drops on a glass pan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센서에 관한 것이다.
DE 44 10 217 A1에서 이미 하나 이상의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센서가 공지된다. 상기 센서에서는 고정장치가 윈도우 상에 접착되어 있다. 고정수단으로서 외부 하우징 내로 안내되는 두 개의 슬라이드는 외부 하우징을 고정장치와 결합시킨다. 센서 부재는, 외부 하우징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윈도우로 가압되는 내부 하우징에 설치된다. 하지만 고정방법이 복잡하고 비싸며 고장나기 쉬워서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고정장치가 간단히 제작되는 T형 박판(薄板) 벤딩 부품으로 형성되어 중심 홈이 천공될 수 있으며 스프링 부재가 미리 규정된 대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조립 시 어떤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고 전체적으로 윈도우에 대해 가압되는 하나의 하우징부로 충분하다. 센서 부재가 하우징부에 설치된다면, 센서의 가동 부품들의 개수는 감소되며 이로 인해 윈도우의 진동으로 인한 오조절이 방지될 수 있다.
독립항에 따른 상기 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서 설명된 특징들에 의해 가능하다.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개의 고정부에 의해 윈도우 표면에 대한 센서의 압착력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고정장치가 고정부와의 결합을 위한 핀을 포함한다면, 항상 센서의 간단한 분해가 보장된다. 고정부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탄성 특성을 갖는다면, 압착력은 필요에 따라 정확히 세팅될 수 있다. 조립 시 고정부에서는 지속적인 힘의 상승이 나타나는데, 탄성 특성을 지닌 고정부가 회전하면서 고정장치의 핀이 고정부의 경사 영역을 따라 미끄러지면, 경사 영역을 따라 힘 상승이 더 커진다. 따라서, 조립이 어려워지지 않으면서 더 큰 압착력이 얻어질 수 있다.
조립 위치에서 핀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부의 홈은 진동에 대한 매우 높은 내성을 보장한다.
고정부는 외부면에 긴 성형부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고정부가 보강되며 조립 시 개선된 힘 전달을 야기한다.
고정부는 T형으로 된 박판이 벤딩 가공에 의해 가공된 T형 박판-벤딩 가공 부품으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사출 성형 부품으로 제작되므로 제작이 매우 간단하며 단가가 저렴하다.
또한 고정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윈도우에 고정장치를 부착할 때 일정한 간격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이것은 적지 않은 시간절약을 의미한다. 하우징부의 수용을 위한 고정장치의 칼라는 빠르고 간단한 조립을 보장한다.
삭제
또 다른 장점은 세 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센서의 모듈구성에서 나타난다.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가 제 1 모듈을 구성하며, 플러그 또는 소켓 및,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이 제 2 모듈을 구성하며, 광 전도체, 커플링 매체 및 예를 들면 외부 광차단기와 같은 부품이 제 3 모듈을 구성한다. 상기 구성은 서로 매칭된 부품의 정확하고 빠른 조립과 더불어 개별 부재 간의 복잡하지 않은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의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각각 경사진 도면이다.
도 1은 조립 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고정부의 확대도.
도 3은 조립 중인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조립 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조립 중 상태의 본 발명의 따른 센서의 단면도.
도 6과 도 7은 각각 고정부 및 하우징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 1 내지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10)는 윈도우(18)의 내측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윈도우(18)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부재(21), 상기 윈도우(18)의 내측 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장치(16), 및 상기 센서 부재(21)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장치(16)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2)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부재(21)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윈도우(18)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며, 클램프 응력 하에서 상기 고정장치(16)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가 상기 하우징부(12)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움직일 수 있게 상기 하우징부(12)에 장착되며 탄성 특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10)를 도시한 도면으로, 센서(10)는 하우징부(12), 두 개의 고정부(14), 고정장치(16)와,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부재(21)를 포함한다.
고정장치(16)는 중간 리세스를 포함하는 판형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장치(16)는 하우징부(12)를 칼라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고정장치(16)는 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핀(20)이 배치된 브래킷(19)을 포함한다. 브래킷(19)은 윈도우(1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이로 인해 핀(20)은 윈도우(18)에 대략 평행하게 놓인다. 고정장치(16)는 윈도우(18)의 내측 면에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하우징부(12)는 접시형 플라스틱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라스틱부 측면에, 고정부(14)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형의 성형부(23)가 윈도우(18)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부(12)는, 평가 회로(40)와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부재(21)(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소켓(22)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고정부(14)가 도시된다. 고정부(14)는 하부 브릿지(14a)와 상부 브릿지(14b)로 구성되는 T형 박판의 벤딩 가공 부품으로서, 하부 브릿지(14a)에는 중심 홈(36)이 천공될 수 있다. 하부 브릿지(14a)는 세 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제 1 섹션은 하나의 휘어진 탄성 영역(27)이며, 상기 영역(27)에 제 2 섹션인 평면 영역(27a)이 이어져 있다. 상기 평면 영역(27a)에 이어진 제 3 섹션은 반파이프형 벤딩부(25)로 구성된다. 제 1 섹션인 탄성 영역(27)은 제 3 섹션인 벤딩부(25)가 휘어진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하부 브릿지(14a)의 제 1 섹션, 즉 탄성 영역(27)에 연결되는 상부 브릿지(14b)는 마찬가지로 세 개의 섹션을 포함하는 지지스트랩(30)을 형성한다. 제 1 중심 섹션은, 긴 성형부(24)가 중심에 위치하는 평면부로 구성된다. 벤딩부(25) 방향으로 휘어진 제 2 섹션 영역에 의해 두 개의 측면은 상기 제 1 섹션에 연결된다. 상부 브릿지(14b)의 단부는 두 개의 사다리꼴 스트랩브래킷(26)으로 형성되며 지지스트랩(30)의 제 3 섹션을 형성한다. 상기 스트랩브래킷(26)은 제 2 영역을 향하는 측면에 홈(29)을 포함한다. 스트랩브래킷(26)의 사다리꼴 형상에 의해 조립 위치에서 윈도우(18) 반대편 측면에 경사 영역(28)이 형성된다.
도 5에는 고정부(14)와 센서 부재(21)를 포함하는 하우징부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포켓형 성형부(23)는 클램프 방식의 오버행(33)에 의해 윈도우(18) 반대편에 놓인 하우징부(12)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오버행(33)이 원통형 성형부(31)로 끝나며 고정부(14)의 벤딩부(25)가 상기 원통형 성형부(31)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장치(16), 하우징부(12) 및 고정부(14)의 상호작용이 도 3에 도시되며 다음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고정장치(16)는 윈도우(18)에 접착고정된다. 고정장치(16)의 두께(17)로 인해 칼라(collar)가 생기며 상기 칼라 내에 하우징부(12)가 삽입된다. 벤딩부(25)에 의해 하우징부(12)의 포켓형 성형부(2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지지스트랩(30)이 윈도우(18) 방향으로 가압된다면, 스트랩브래킷(26)은 핀(20)을 따라 미끄러진다. 그러므로 핀(20)은 스트랩브래킷(26)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경사 영역(28)에서 스트랩브래킷(26)에 대해 미끄러지며, 이로 인해 탄성의 고정부(14)의 탄성 영역(27)의 곡률이 커진다. 탄성의 고정부(14)는 탄성 영역(27)의 곡률을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며, 하우징부(12)가 고정장치(16)에 칼라방식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하우징부(12)는 센서 부재(21)와 함께 고정장치(16) 방향으로 그리고 이로써 윈도우(18) 방향으로 가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착면(32)이 형성되도록 원통형 성형부(31) 및 반파이프형 벤딩부(25)의 치수가 결정되어, 힘 작용이 오버행(33)과 고정장치(16) 사이에서가 아니라 압착면(32)과 고정장치(16)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되듯이, 최종위치에서 핀(20)은 고정부(14)의 홈(29)에 맞물린다.
조립 시, 핀을 경사 영역(28)을 통해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18) 방향으로 힘이 필요하다. 이때 긴 성형부(24)는 고정부(14)의 보강을 야기하며 조립공구가 윈도우(18)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고정장치(16)는 변형 실시예에서 여러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장치(16)와 윈도우(18) 사이에는 접착 결합 외의 다른 고정도 가능하다.
고정부(14)는 조립 시 개선된 결합을 위해, 예를 들면 코팅될 수도 있다. 고정부(14)의 하부 브릿지에 있는 중심 홈(36)에 의해 탄성 영역(27)의 탄성력이 정확하게 세팅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듯이 고정부(14)를 하우징부(12)의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부속 부품(35)이 고정부(14)의 하부 브릿지(14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듯이 하우징부(12)는 지지 브릿지(34)를 포함한다.
센서 부재(21)는 예를 들면 또한 하우징부(12) 내로 조여지거나 하우징부(12)에서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켓(22)은 센서 부재(21)에 고정되어 있거나 하우징부(12)의 홈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4)

  1. 윈도우(18)의 내측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윈도우(18)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부재(21), 상기 윈도우(18)의 내측 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장치(16), 및 상기 센서 부재(21)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장치(16)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2)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부재(21)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윈도우(18)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10)에 있어서,
    클램프 응력 하에서 상기 고정장치(16)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가 상기 하우징부(12)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움직일 수 있게 상기 하우징부(1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21)가 상기 하우징부(1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개의 고정부(14)가 상기 하우징부(1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장치(16)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와의 결합을 위해 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조립 위치에서 상기 핀(20)의 수용을 위한 홈(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탄성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경사 영역(28)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장치(16)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외부면에 긴 성형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박판으로 제조되고 벤딩 가공된 박판-벤딩 가공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플라스틱-사출 성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6)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2)는, 칼라 방식으로 상기 고정장치(16)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21)는 하우징부에 조여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14. 삭제
KR1020027000645A 1999-07-17 2000-07-05 윈도우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KR100884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3640.7 1999-07-17
DE19933640A DE19933640A1 (de) 1999-07-17 1999-07-17 Sensor zum optischen Erfassen von Fremdkörpern, insbesondere Regentropfen, auf einer 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999A KR20020015999A (ko) 2002-03-02
KR100884908B1 true KR100884908B1 (ko) 2009-02-20

Family

ID=791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645A KR100884908B1 (ko) 1999-07-17 2000-07-05 윈도우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94619B1 (ko)
EP (1) EP1202885B2 (ko)
JP (1) JP2003504630A (ko)
KR (1) KR100884908B1 (ko)
CN (1) CN1211228C (ko)
AU (1) AU6556400A (ko)
BR (1) BR0012533A (ko)
DE (4) DE29924838U1 (ko)
ES (1) ES2241636T5 (ko)
MY (1) MY128893A (ko)
WO (1) WO2001005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486B1 (ko) * 2021-02-22 2021-07-14 센시리온오토모티브솔루션즈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미세먼지 센서의 브라켓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4886A (en) 1997-08-25 2000-09-26 Donnelly Corporation Mod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US6326613B1 (en) 1998-01-07 2001-12-04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mirror assembly adapted for containing a rain sensor
US8288711B2 (en) 1998-01-07 2012-10-16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with forwardly-viewing camera and a control
US6278377B1 (en) 1999-08-25 2001-08-21 Donnelly Corporation Indicator for vehicle accessory
US6445287B1 (en) 2000-02-28 2002-09-03 Donnelly Corporation Tire inflation assistance monitoring system
US6420975B1 (en) 1999-08-25 2002-07-16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sound processing system
US7480149B2 (en) 2004-08-18 2009-01-20 Donnelly Corporation Accessory module for vehicle
WO2001064481A2 (en) 2000-03-02 2001-09-07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US6396408B2 (en) 2000-03-31 2002-05-28 Donnelly Corporation Digital electrochromic circuit with a vehicle network
DE10147447A1 (de) 2001-09-26 2003-04-17 Bosch Gmbh Robert Holographischer Sensor, insbesondere zur Erkennung von Feuchtigkeit auf einer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156241A1 (de) * 2001-11-15 2003-06-05 Hella Kg Hueck & Co Sensoreinrichtung
WO2003065084A1 (en) 2002-01-31 2003-08-07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accessory module
DE10256243A1 (de) * 2002-12-02 2004-06-09 Robert Bosch Gmbh Sensor zum Befestigen auf einer Oberfläche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Sensors auf einer Oberfläche
DE10326855A1 (de) * 2003-06-14 2004-12-30 Hella Kgaa Hueck & Co. Optoelektronische Sensoreinrichtung
DE10326853A1 (de) * 2003-06-14 2004-12-30 Hella Kgaa Hueck & Co.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der Benetzung einer Scheibe
WO2005095168A1 (de) * 2004-03-26 2005-10-13 Preh Gmbh Halterahmen für ein trägerelement eines sensors
WO2006063827A1 (en) 2004-12-15 2006-06-22 Magna Donnelly Electronics Naas Limited An accessory module system for a vehicle window
DE102005015973B4 (de) * 2005-04-07 2023-09-14 Kostal Automobil Elektrik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mindestens einen Sensor an einer Fahrzeugscheibe
DE102006040213C5 (de) 2006-01-19 2019-08-01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Halteklammer für einen Regensensor
DE202006000853U1 (de) * 2006-01-19 2007-05-2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Halteklammer für einen Regensensor
JP4645909B2 (ja) * 2006-03-23 2011-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雨滴検出装置
DE102006033642B4 (de) * 2006-07-20 2010-06-17 A. Raymond Et Ci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rechteckigen Sensors an einem Trägerteil
DE202006017362U1 (de) * 2006-11-13 2008-03-2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Regensensor
DE102006061308A1 (de) * 2006-12-22 2008-06-26 Leopold Kostal Gmbh & Co. Kg Halterung
DE102007050973B4 (de) * 2007-10-25 2020-08-06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eines Sensors
DE102007057139A1 (de) * 2007-11-28 2009-06-04 Robert Bosch Gmbh Sensor, insbesondere Regensensor und/oder Lichtsensor
DE102007061103A1 (de) * 2007-12-19 2009-06-25 Robert Bosch Gmbh Regensensor mit Bajonettverschluss
DE202008003168U1 (de) 2008-03-06 2008-06-26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Sensor mit Halterung
JP5186977B2 (ja) * 2008-03-31 2013-04-2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変速機ケース
DE102008044840A1 (de) 2008-08-28 2010-03-04 Leopold Kostal Gmbh & Co. Kg Sens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44839A1 (de) * 2008-08-28 2010-03-04 Leopold Kostal Gmbh & Co. Kg Sens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570374B2 (en) 2008-11-13 2013-10-29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for vehicle
DE102009026872A1 (de) 2009-06-10 2010-12-16 Robert Bosch Gmbh Sensoreinrichtung mit Optikeinheit
DE102010010571A1 (de) * 2010-03-05 2011-09-0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ensorgehäuse in einem Kraftfahrzeuginnenraum
DE102011107353B4 (de) * 2011-07-14 2022-03-24 HELLA GmbH & Co. KGaA Haltevorrichtung für einen Scheibensensor
DE102011108594A1 (de) * 2011-07-26 2013-01-31 Daimler Ag Befestigungsanordnung eines Sensorelements an einem Befestigungselement eines Kraftwagens
KR101766018B1 (ko) * 2015-07-03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사형 센서가 포함된 일체형 레인센서
EP3279043B1 (en) * 2016-08-05 2018-12-05 MEAS France Sensor mounting system
DE102017120242A1 (de) * 2017-09-04 2019-03-07 Peiker Acustic Gmbh & Co. Kg Telematikeinheit, Baugruppe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Demontage einer Telematikeinheit
CN110116707B (zh) * 2018-02-05 2021-05-14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雨刮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DE102018205723B4 (de) * 2018-04-16 2023-01-19 Mahle International Gmbh Anordnung mit einer Klemmfeder
EP4140822A1 (de) * 2021-08-25 2023-03-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umfeldsensor sowie sensorverbausystem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4287B2 (ja) * 1988-03-24 1997-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ラッチ機構
DE4202121C1 (en) * 1992-01-27 1992-12-24 Leopold Kostal Gmbh & Co Kg, 5880 Luedenscheid, De Sensor assembly detecting wetness of motor vehicle windscreen - includes receiver for radiation reflected from precipitation esp. drops of rain
DE4329609C1 (de) * 1993-09-02 1995-02-02 Kostal Leopold Gmbh & Co Kg Optoelektronische Sensoreinrichtung
DE4410217C2 (de) * 1994-03-24 2003-12-11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 und Ankopp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Sensors an einer Scheibe sowie Aufbau des Sensors
DE4428995A1 (de) * 1994-08-16 1996-02-22 Bosch Gmbh Robert Meßeinrichtung
EP0869043B1 (de) 1997-04-04 2004-12-29 Robert Bosch Gmbh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des Benetzungs- und/oder Verschmutzungsgrades von Scheiben
DE19746351A1 (de) * 1997-04-04 1998-10-08 Bosch Gmbh Robert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des Benetzungs- und/oder Verschmutzungsgrades von Scheiben
DE19716975B4 (de) * 1997-04-23 2006-08-24 Robert Bosch Gmbh Sensoreinrichtung
DE19804165A1 (de) 1997-08-19 1999-02-25 Itt Mfg Enterprises Inc Mit einem Silicon-Gel an eine Scheibe angekoppelter Sensor
EP1002963B1 (de) * 1998-11-13 2001-12-12 Agathon A.G. Maschinenfabrik Rollenkäfig für eine wälzgelagerte Längsführung
DE29906013U1 (de) 1999-04-01 1999-06-17 Reitter & Schefenacker Gmbh Inn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486B1 (ko) * 2021-02-22 2021-07-14 센시리온오토모티브솔루션즈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미세먼지 센서의 브라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41636T5 (es) 2010-08-10
EP1202885B2 (de) 2010-05-05
DE29924838U1 (de) 2006-01-12
CN1211228C (zh) 2005-07-20
DE50010407D1 (de) 2005-06-30
MY128893A (en) 2007-02-28
EP1202885A1 (de) 2002-05-08
BR0012533A (pt) 2002-04-16
ES2241636T3 (es) 2005-11-01
JP2003504630A (ja) 2003-02-04
EP1202885B1 (de) 2005-05-25
CN1361734A (zh) 2002-07-31
AU6556400A (en) 2001-02-05
DE29924837U1 (de) 2006-01-12
DE19933640A1 (de) 2001-02-08
WO2001005636A1 (de) 2001-01-25
KR20020015999A (ko) 2002-03-02
US6894619B1 (en)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908B1 (ko) 윈도우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JP3701309B2 (ja) ウインドガラスにおける光電子式のセンサの固定および結合ならびにセンサの構造
US6831288B1 (en) Light-sensitive sensor unit, especially for automatic switching of illumination equipment
US20080272260A1 (en) Retaining Socket
KR20100016363A (ko) 차량에 기능 유닛을 고정하는 장치
US6573995B1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 degree of wetting and/or soiling of a vehicle pan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ensor device
US6744371B1 (en)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wetness on a glass pane
US7658101B2 (en) Raindrop detection device
US6810729B2 (en) Rain sensor with a light-conducting body for a motor vehicle
CN111712405A (zh) 旋转安装式的挡风玻璃安装型车辆用内后视镜的传感器组装构造
US7187440B2 (en) Holographic sensor, especially for recognition of moisture on a glass pane of a motor vehicle
JP4184975B2 (ja) 駆動装置
JP2001141645A (ja) 雨滴検出装置
JPS5989250A (ja) ウインドシ−ルドワイパ自動制御装置のための液体検出器
CN110800382B (zh) 用于固定板的装置
CN100498338C (zh) 用于传感器头的固定部件
CN113811458B (zh) 车辆传感器单元
CN101878137A (zh) 传感器,尤其是下雨传感器和/或光线传感器
US7174778B2 (en)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060042033A (ko) 리어 미러 및 광학 센서의 고정 장치
EP3789740A1 (en) Sensing device for a windshield
KR20040082447A (ko) 센서 고정 방법 및 장치
US10906462B2 (en) Trim arrangement for a vehicle interior
US8780100B2 (en) Display device, particularly display device for motor vehicles, with a brightness sensor
KR102078143B1 (ko) 차량용 통합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218

Effective date: 200810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