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143B1 - 차량용 통합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합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143B1
KR102078143B1 KR1020180129671A KR20180129671A KR102078143B1 KR 102078143 B1 KR102078143 B1 KR 102078143B1 KR 1020180129671 A KR1020180129671 A KR 1020180129671A KR 20180129671 A KR20180129671 A KR 20180129671A KR 102078143 B1 KR102078143 B1 KR 102078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ree end
substrate
vehicle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이기종
Original Assignee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오토라이트 센서, 상방 오토라이트 센서, 레인센서, 포토센서, 디포그센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설치한 통합센서에 있어서, 온도감지용 서미스터를 차량의 전방유리에 밀착시켜 유리의 온도를 최대한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성기판을 활용하는 개선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에 온도센서유닛을 밀착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온도 센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을 위해 연성기판이 어느 정도 유동을 하면서도, 일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도록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연성기판의 힘이나 변형,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기판의 자유단부 측을 끼울 수 있게 됨에 따라, 끼운 상태에서 제작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작 효율이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통합센서 {Integrated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오토라이트 센서, 상방 오토라이트 센서, 레인센서, 포토센서, 디포그센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설치한 통합센서에 있어서, 온도감지용 서미스터를 차량의 전방유리에 밀착시켜 유리의 온도를 최대한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성기판을 활용하는 개선구조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유리에는 차량의 헤드램프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오토라이트 센서, 비의 양을 감지하여 윈도우와이퍼를 제어하기 위한 레인센서, 실내 온도 및 공조 제어를 위한 포토센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디포그센서가 구비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센서들을 하나의 패키지 안에 모두 포함시킨 통합센서가 출시되고 있는데, 여기에 포함된 디포그센서는 차량의 앞유리에 생기는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의 앞유리의 안쪽 부분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차량의 앞유리에 가장 가까운 실내의 온도 및 차량의 앞유리에 가장 가까운 실내의 습도와 비교하여, 김서림 발생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말한다.
디포그센서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차량 공조기는 이들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슬점 온도를 구한 후, 기준 비교값과의 비교를 통해 차량의 앞유리에 김서림이 생기지 않도록 에어컨디셔닝을 통한 송풍, 히팅, 냉풍 등의 환경을 조성하여 차량 내부가 디포그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량 운전 동안 쾌적한 실내 환경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디포그센서의 작용 및 성능 향상을 위해, 차량의 앞유리 온도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온도센서유닛를 최대한 앞유리 쪽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유닛이 앞유리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온도를 감지하게 되면, 기본적인 응답속도가 느려지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차량 실내의 김서림 발생에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해 진다. 이를 위해 온도센서유닛을 연성기판(플렉시블기판: fPCB, FFC, FPC 등)에 결합시킨 후 앞유리 방향에 연성기판을 배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연성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연성기판의 양측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연성기판이 용이하게 휘거나 유동되기 보다도, 자칫 양단을 지지점으로 스프링처럼 밀어내는 현상에 의해 M자의 형태가 되어 오히려 밀착에 방해요소가 되기도 한다.
등록특허 제10-14997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앞유리에 온도센서유닛을 밀착시키기 위해, 온도센서유닛이 배치된 연성기판의 배면을 가압 지지하되, 연성기판의 일측은 고정하고, 타측은 고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성기판이 자유롭게 유동되며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목적에 따라 연성기판의 미고정 자유단 측이 유동되면서도, 과도한 움직임이 없도록 그 유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제조 및 조립 편의성을 갖춘 통합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기판의 상면에 센서를 배치하여 이 센서가 차량 앞유리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여 진동전달을 감소시키고, 연성기판의 유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온도센서유닛 및 연성기판의 정위치를 유지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와 밀착상태에서의 온도 데이터를 감지하고 전달할 수 있게 하여, 김서림 방지 등의 실내 공조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통합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하우징(3)과 커버(2)의 사이에 수용되는 기판(4)을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센서(1)에 있어서, 상기 기판(4)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41)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에는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밀착지지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에는 상기 밀착지지부(31)의 단부와 대면하는 노출공(21)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4)의 상기 관통홀(41)의 측방 결합부(43)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41)로 내입되는 연성기판(5)을 구비하고, 상기 연성기판(5)은 상기 밀착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커버(2)의 상기 노출공(21)으로 일부 노출되고, 상기 결합부(43)에 결합된 반대 방향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55)로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5)은 상기 기판(4)과 전기적으로 일측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해 연장되는 중간 부분은 상기 밀착지지부(31)에 의해 돌출 지지되어 차량의 앞유리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자유단부(55)는 다시 상기 관통홀(41)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의 상기 밀착지지부(31)의 단부에는 수용부(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32)에는 지지부재(33)가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재(33)는 탄력이 있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성기판(5)은: 상기 기판(4)의 결합부(43)에 결합되는 연결부(51); 상기 연결부(51)에서 절곡되며 상기 기판(4)의 관통홀(41)을 관통하여 상기 밀착지지부(31)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절곡연장부(52); 상기 제1절곡연장부(52)의 연장 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밀착지지부(31)의 단부를 감싸며 센서유닛이 위치되는 접촉면부(53); 상기 접촉면부(53)에서 절곡되며 상기 밀착지지부(31)의 타측을 따라 상기 기판(4)의 관통홀(41)을 향해 연장되는 제2절곡연장부(54); 및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하는 동시에, 고정되지 않는 상기 자유단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유단부(55)가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하는 위치에는 관통걸림홀(5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1)의 상기 자유단부(55)를 마주보는 측방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홀(41)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걸림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56)에는 상기 돌출걸림부(42)가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걸림홀(56)은 상기 돌출걸림부(42)의 내입부분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걸림홀(56)에 상기 돌출걸림부(42)가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자유단부(55)가 일정 간격 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걸림홀(56)은 상기 제2절곡연장부(54)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55)는 상기 관통걸림홀(56)의 상기 제2절곡연장부(54)의 연장방향 폭만큼 상기 관통홀(41)의 내외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성기판(5)은 탄성을 갖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탄성에 의해 상기 제2절곡연장부(54) 및 상기 자유단부(55)는 상기 돌출걸림부(42)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에 온도센서유닛을 밀착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온도 센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을 위해 연성기판이 어느 정도 유동을 하면서도, 일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도록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연성기판의 힘이나 변형,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기판의 자유단부 측을 끼울 수 있게 됨에 따라, 끼운 상태에서 제작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작 효율이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센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센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배치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기판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배치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성기판을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센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센서(1)는 커버(2)가 차량의 앞유리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앞유리를 향해 연성기판(5), 레인센서(6), 정면 오토라이트센서(7), 상면 오토라이트센서(8), 포토센서(9)가 배치된다. 연성기판(5)이 노출되는 부분에는 서미스터와 같은 온도센서유닛이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연성기판(5) 기준으로 유리창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합센서(1)는 하나의 패키지 내에 오토라이트센서, 포토센서, 레인센서, 디포그센서를 모두 갖추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센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센서(1)는 하우징(3)과 커버(2)의 사이에 기판(4)을 수용하고, 하우징(3)의 하부에는 커버(2)를 향해 돌출되는 밀착지지부(31)가 돌출 형성된다.
기판(4)의 하부에는 밀착지지부(31)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41)에는 연성기판(5)도 U형태로 삽입되어 밀착지지부(31)가 내입되면 그 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밀착지지부(31)의 단부는 커버(2)의 하부에 형성된 노출공(21)을 향하므로, 밀착지지부(31)를 감싸는 연성기판(5)의 일 부분은 노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부분이 차량의 앞유리에 밀착된다.
레인센서(6), 정면 오토라이트센서(7), 상면 오토라이트센서(8), 포토센서(9)는 기판(4)과 커버(2)에 복합적으로 연계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배치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3)의 하부에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의 밀착지지부(31)가 길게 돌출되는데, 마찬가지로 기판(4)의 하부에도 대응되는 크기로 직사각 형태의 관통홀(41)이 형성되어, 관통홀(41)에 밀착지지부(31)가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된다.
여기에 동일하게 U형으로 관통되며 조립된 연성기판(5)이 밀착지지부(31)의 양측면과 돌출단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데, 연성기판(5)의 일측은 기판(4)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돌출된 돌출걸림부(42)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돌출걸림부(42)는 관통홀(41)의 일 측방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을 향해 약간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기판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밀착지지부(31)의 단부에는 지지부재(33)가 배치되는데, 지지부재(3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용부(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33)는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이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수용부(32)에 지지된 상태로 상방의 연성기판(5)을 지지하고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성기판(5)을 강성의 재질로 지지하는 경우, 틈이 발생되면서 밀착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지지부재(33)를 일정 변형이 되도록 가압하며 지지함으로써 연성기판(5)을 상방 외측의 앞유리로 치밀하게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배치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판(4)의 관통홀(41) 주위 저면 중 일측에는 결합부(43)를 마련하고, 결합부(43)에서 연성기판(5)의 연결부(51)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고정된다. 연성기판(5)은 연결부(51) 부분만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다.
하우징(3)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밀착지지부(31)는 상단에 수용부(32)를 구비하고, 수용부(32) 내에는 고무(RUBBER)와 같은 탄성재질의 지지부재(33)가 내입되는데, 그 상단에는 센서유닛(34)이 위치되도록 대응 공간을 비워 놓도록 한다. 센서유닛(34)은 서미스터와 같은 온도센서를 주요 사용하며, 연성기판(5)에 전기적,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센서유닛(34)을 상방의 차량 앞유리를 직접 대면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겠으나, 연성기판(5)의 배면에 결합시키고 연성기판(5)이 앞유리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유닛(34)이 기판(3) 쪽에 배치되지 않고, 밀착지지부(31)의 상단 끝에 설치됨에 따라 보다 더 앞유리에 가까워지고, 밀착까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부재(33)가 그 자체 탄성력으로 센서유닛(34)과 연성기판(5)의 접촉면부(53)를 앞유리에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앞유리의 온도 감지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박이 가능하기 위해서, 연성기판(5)의 강성 및 탄성 특성을 활용하게 되는데, 복합센서(1)를 앞유리에 부착하는 때에 밀착 과정에서 연성기판(5)이 유동적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며 앞유리와의 면접촉 위치를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유동 및 밀려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연성기판(5)의 일측은 고정시키지 않도록 한다.
연성기판(5)은 연결부(51)에서 상방으로 절곡 돌출되는 제1절곡연장부(52)가 밀착지지부(31)의 일 측방을 감싸며 나란히 연장되고, 지지부재(33)를 대면하여 감싸도록 수평의 접촉면부(53)가 구비되며, 다시 밀착지지부(31)의 타 측방을 감싸며 유턴되는 제2절곡연장부(54)가 구비된다. 제2절곡연장부(54)의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55)가 형성되는데 자유단부(55) 부분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접촉면부(53)가 양측으로 일부 슬라이딩되며 지지부재(33)의 상면에 밀착하도록 한다.
자유단부(55)가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게끔 하더라도, 그 움직임을 일부 제한하지 않으면 다른 부품과의 충돌에 따른 변형이나, 조립시 자유단부(55)를 신경써서 정해진 영역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유단부(55)는 관통홀(41)에 내입되어 기대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유단부(55)는 관통홀(41) 내에서 기판(4) 면에 방해받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관통홀(41)의 테두리에 기대어지면서 어느 정도 위치를 유지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관통홀(41)과 별도로 자유단부(55)의 수용을 위한 또 다른 홀(미도시)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그런데 그러한 홀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자유단부(55)가 다시 홀에서 빠지기도 쉽고, 자유단부(55)가 그 정해진 영역을 유지하지 못하고 홀을 따라 과도히 더 들어가거나, 아니면 미흡하게 덜 들어가서 살짝 걸치고 있을 수도 있게 되어, 이를 체크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립시의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유단부(55)의 자유로운 상하 유동은 보장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상하방 이동 및 상방 이탈을 방지하고 적절한 영역은 유지할 수 있도록, 관통걸림홀(56) 및 돌출걸림부(42)를 활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성기판을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돌출걸림부(42)는 관통홀(41)의 결합부(43) 반대 측방 테두리에서 내측의 개방 공간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연성기판(5)의 자유단부(55)에는 관통걸림홀(56)이 형성되고, 돌출걸림부(42)에 관통걸림홀(56)을 끼워 넣는다.
이 때 관통걸림홀(56)의 크기는 돌출걸림부(42)의 단면보다는 커야 하며, 특히 기 설정된 자유단부(55)의 이동 가능 영역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어느 정도 긴 크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자유단부(55)가 4mm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면, 돌출걸림부(42)의 상하 단면 높이가 2mm일때, 관통걸림홀(56)의 상하 높이는 6mm가 되도록 즉, 4mm의 여유 공간이 있도록 한다. 연성기판(5)의 탄성에 따라 자유단부(55)는 돌출걸림부(42) 방향 즉,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힘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자유단부(55)의 일정 위치가 돌출걸림부(42)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자유단부(55)의 움직임을 하방으로는 허용하고 상방으로는 금지한다면, 위 일정 위치 기준으로 관통걸림홀(56)이 상방으로 여유 공간이 있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만약 반대로 자유단부(55)의 움직임을 하방으로는 금지하고 상방으로는 허용한다면 돌출걸림부(42)가 관통걸림홀(56)에 삽입되어 탄성이 외측으로 작용된 상태에서, 관통걸림홀(56)이 하방으로 여유 공간이 있도록 형성 한다.
이를 통해 연성기판(5)의 연결부(51)는 견고히 고정되고, 그 반대측의 자유단부(55)는 유동적이면서도 돌출걸림부(42)에 의해 그 이동 영역을 제한받고 있게 된다. 연성기판(5)의 자유단부(55)가 상측 및 하측으로의 이동 영역을 제한받음은 물론, 관통홀(4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연성기판(5)을 돌출걸림부(42) 방향으로 U형의 절곡에 의한 탄성력에 의한 가압 상태로 한 후에, 이를 돌출걸림부(42)에 끼우기만 하면 그 이후의 조립 과정에서 연성기판(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수작업을 요하거나 조심성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연성기판(5)이 너무 깊이 내입되는 것은 물론, 외측으로 빠지는 것까지도 방지하게 되므로, 관통홀(41)에 단순히 자유단부(55)를 기대는 것이나, 별도의 홀에 끼워 넣는 것에서 달성할 수 없는 효과를 거둘수 있게 된다.
연성기판(5)의 제2절곡연장부(54)와 자유단부(55)는 바깥쪽, 즉 돌출걸림부(42)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결합부(42)의 수평길이를 크게 하거나 또는 결합부(42)와 제2절곡연장부(54) 사이의 절곡 각도를 둔각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통합센서
2: 커버 21: 노출공
3: 하우징
31: 밀착지지부 32: 수용부
33: 지지부재 34: 센서유닛
4: 기판
41: 관통홀 42: 돌출걸림부
43: 결합부
5: 연성기판
51: 연결부 52: 제1절곡연장부
53: 접촉면부 54: 제2절곡연장부
55: 자유단부 56: 관통걸림홀
6: 레인센서 7: 정면 오토라이트센서
8: 상면 오토라이트센서 9: 포토센서

Claims (6)

  1. 하우징(3)과 커버(2)의 사이에 수용되는 기판(4)을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센서(1)에 있어서,
    상기 기판(4)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41)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에는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밀착지지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에는 상기 밀착지지부(31)의 단부와 대면하는 노출공(21)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4)의 상기 관통홀(41)의 측방 결합부(43)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41)로 내입되는 연성기판(5)을 구비하고,
    상기 연성기판(5)은 상기 밀착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커버(2)의 상기 노출공(21)으로 일부 노출되고, 상기 결합부(43)에 결합된 반대 방향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55)로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5)은 상기 기판(4)과 전기적으로 일측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해 연장되는 중간 부분은 상기 밀착지지부(31)에 의해 돌출 지지되어 차량의 앞유리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자유단부(55)는 다시 상기 관통홀(41) 내에 위치되고,
    상기 연성기판(5)은:
    상기 기판(4)의 결합부(43)에 결합되는 연결부(51);
    상기 연결부(51)에서 절곡되며 상기 기판(4)의 관통홀(41)을 관통하여 상기 밀착지지부(31)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절곡연장부(52);
    상기 제1절곡연장부(52)의 연장 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밀착지지부(31)의 단부를 감싸며 센서유닛이 위치되는 접촉면부(53);
    상기 접촉면부(53)에서 절곡되며 상기 밀착지지부(31)의 타측을 따라 상기 기판(4)의 관통홀(41)을 향해 연장되는 제2절곡연장부(54); 및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하는 동시에, 고정되지 않는 상기 자유단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유단부(55)가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하는 위치에는 관통걸림홀(5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1)의 상기 자유단부(55)를 마주보는 측방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홀(41)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걸림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56)에는 상기 돌출걸림부(42)가 내입되고,
    상기 관통걸림홀(56)은 상기 돌출걸림부(42)의 내입부분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걸림홀(56)에 상기 돌출걸림부(42)가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자유단부(55)가 일정 간격 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의 상기 밀착지지부(31)의 단부에는 수용부(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32)에는 지지부재(33)가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재(33)는 탄력이 있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센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걸림홀(56)은 상기 제2절곡연장부(54)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55)는 상기 관통걸림홀(56)의 상기 제2절곡연장부(54)의 연장방향 폭만큼 상기 관통홀(41)의 내외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센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5)은 탄성을 갖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탄성에 의해 상기 제2절곡연장부(54) 및 상기 자유단부(55)는 상기 돌출걸림부(42)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센서.
KR1020180129671A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통합센서 KR102078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71A KR102078143B1 (ko)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통합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71A KR102078143B1 (ko)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통합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143B1 true KR102078143B1 (ko) 2020-02-17

Family

ID=6967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671A KR102078143B1 (ko)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통합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1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849A (ko) * 2009-07-27 2011-02-08 지이센싱코리아(주) 차량용 멀티센서
KR20130102193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KR101499746B1 (ko)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디포그 센서 유닛
KR20170018546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849A (ko) * 2009-07-27 2011-02-08 지이센싱코리아(주) 차량용 멀티센서
KR20130102193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KR101499746B1 (ko)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디포그 센서 유닛
KR20170018546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904B2 (en) Camera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JP6496546B2 (ja) 自動車の統合型インサイドミラー組立体
EP1799475B1 (en)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KR100884908B1 (ko) 윈도우상의 이물질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US7468523B2 (en)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having lens unit larger than radius of reflected light
JP4191895B2 (ja) 優れた傾斜光学を用いた効率的な小型水分センサ
KR100469605B1 (ko) 콜리메이터렌즈및분광커플러를갖는소형습기감지기
KR102186933B1 (ko) 센서 모듈 및 오토 디포그 센서
US7658101B2 (en) Raindrop detection device
KR102078143B1 (ko) 차량용 통합센서
KR100254306B1 (ko) 윈도우, 특히 자동차 전면 유리의 물기 및 오염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 디바이스
JP2015152489A (ja) ガラス面装着センサ装置
JP4826620B2 (ja) 光検出装置
KR101375534B1 (ko)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JP6188481B2 (ja) 雨滴センサ
CN113811458B (zh) 车辆传感器单元
JP5829631B2 (ja) 移動体検出装置、および、ヒータの取付構造
JP4770917B2 (ja) 雨滴検出装置
KR102156975B1 (ko) 전방용 오토라이트센서
KR102538564B1 (ko) 오토 디포그 센서 유닛
KR102121398B1 (ko) 비구면렌즈로 구성된 차량용 레인센서
WO2023074146A1 (ja) センサ
JP7141024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感知デバイス
KR20200048045A (ko)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
KR20220062886A (ko)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