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886A -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886A
KR20220062886A KR1020200148606A KR20200148606A KR20220062886A KR 20220062886 A KR20220062886 A KR 20220062886A KR 1020200148606 A KR1020200148606 A KR 1020200148606A KR 20200148606 A KR20200148606 A KR 20200148606A KR 20220062886 A KR20220062886 A KR 2022006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sliding
sensor housing
fasten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범희
임채근
Original Assignee
센시리온오토모티브솔루션즈코리아 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시리온오토모티브솔루션즈코리아 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센시리온오토모티브솔루션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2886A/ko
Publication of KR2022006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1/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air-conditioning systems
    • G01K2201/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air-conditioning systems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차량 윈드쉴드 표면에 부착되어 표면을 센싱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조립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제안된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의 양측 외면에 전방을 향해 개방된 길이방향의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이 형성되고,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센서 하우징에 체결될 때에, 보호 커버의 양측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체결편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에 삽입 체결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auto defog sensor for vehicles}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에 부착되는 오토 디포그 센서의 조립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오토 디포그 센서(auto defog sensor)는 윈드쉴드(windshield) 내면의 김서림을 검출한다.
오토 디포그 센서는 센서 하우징의 바닥면이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로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에 부착된다. 센서 하우징이 윈드쉴드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호 커버가 그 외면에 체결된다.
한국 특허제1,298,231호는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센서 하우징 양측의 걸림 돌기들이 보호 커버 내측면의 돌기수부에 떠받쳐지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호 커버는 센서 하우징에 들어올리는 방향의 힘을 인가하게 되어 윈드쉴드에 부착된 센서 하우징이 부착력과 반대 방향의 힘을 받게 되어 부착력이 감소된다.
제안된 발명은 윈드쉴드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오토 디포그 센서의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의 양측 외면에 전방을 향해 개방된 길이방향의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이 형성된다. 보호 커버는 양측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체결편이 형성된다.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센서 하우징에 체결될 때, 슬라이딩 체결편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에 삽입 체결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은 그 내면에 걸림홈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체결편은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에 체결될 때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체결편은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은 그 내측 하면에 걸림홈을 포함하고 그 입구에 전방으로 열린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는 슬라이딩 체결편은 가이드편과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편은 보호 커버의 양측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며 후방을 향해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편은 그 전방부는 가이드편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후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가이드편과 분리되며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될 때 걸림홈에 체결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보호 커버는 전방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커버는 그 전면의 체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체결홈은 전방에서 볼 때 ‘∩’ 형태를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체결돌기는 보호 커버의 전방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될 때 체결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는 하부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체결돌기는 하부 돌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될 때 체결홈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과,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상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은 그 바닥부 하면에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가 형성되고 그 바닥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그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은 격격부 상에 안착되며, 개구를 통해 그 중간부가 인출되도록 굴곡진 형태로 연장되며 인출된 그 중간부의 상면에 표면 온도 센서가 실장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에 체결되며, 전면 내측에 굴곡부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에 따른 센서 하우징 및 보호 커버 간의 체결 구조에 의하면, 센서하우징의 부착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발생되지 않아 센서 하우징의 부착력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가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나아가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의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로 인해, 센서 하우징의 외면에 보호 커버의 체결 작업이 수월해 지고 제조 공차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지게 되고 보호 커버 설계가 용이해 진다.
도 1a은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에 슬라이딩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에 슬라이딩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 및 센서 하우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체결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6b는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 1a은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에 슬라이딩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고,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에 슬라이딩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고,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 및 센서 하우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이다. 이하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안된 발명의 양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는 센서 하우징(2000)과 보호 커버(3000)를 포함한다.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는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에 형성되기 시작하는 김서림을 예측 및/또는 검출하며, 차량 공조 시스템과 연계되어 김서림을 자동으로 방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2000)은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에 부착된다. 실시예에서, 센서 하우징(2000)의 바닥부(2310)에 형성되는 접착부재(2311)에 의해, 센서 하우징(2000)은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2000) 내부에 마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은 표면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실내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슬점 온도를 산출하기 위해 습도센서와 실내온도센서가 인접하여 실장 될 수 있다. 또한, 표면온도센서는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에 포함되는 굴곡부(2210)에 마련되어 차량 윈드쉴드 표면(4000)의 온도를 센싱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2000)의 양측 외면에는 센서 하우징(2000)의 길이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란, 차량으로부터 노출되는 배선이 센서 하우징(2000)에 마련되는 후방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쪽(후방)의 반대쪽을 의미한다.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2000) 전방을 향해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이 길이방향으로 센서 하우징(2000)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그 입구를 통해 삽입되면, 보호 커버(3000)와 센서 하우징(2000) 간의 체결 위치까지 슬라이딩 체결편(32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보호 커버(3000)는 센서 하우징(2000)의 외면에 체결되어 센서 하우징(2000)을 보호한다. 또한, 보호 커버(3000)의 일측에는 개방부(3300)가 형성된다. 일 양상에 따라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에 대응하는 보호 커버(3000)의 양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체결편(3210)은 얇고 긴 조각 형상이고 보호 커버(3000) 내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00)는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 하우징(20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센서 하우징(2000)의 전면부터 후면까지는 전술한 보호 커버(3000) 일측의 개방부(3300)를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보호 커버(3000)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센서 하우징(2000)의 양측 외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에 삽입되고 체결 위치까지 슬라이딩 되어 보호 커버(3000)가 센서 하우징(2000)에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3000)가 슬라이딩 체결될 때, 센서 하우징(2000)의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으로 보호 커버(3000)의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삽입되고 체결 위치까지 슬라이딩 되어 보호 커버(3000)가 센서 하우징(20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양상에 따른 체결 구조는 센서 하우징(2000)이 차량 윈드쉴드 표면(4000)에 부착되는 부착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센서 하우징(2000)의 부착력이 감소되지 않게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2000) 외면에 체결된 보호 커버(3000)는 표면(4000)으로 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 될 수 있어 보호 커버(3000)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체결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안된 발명의 또 다른 양상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은 그 내면에 걸림홈(2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체결편(3100)은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00)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고, 보호 커버(3000)가 센서 하우징(2000)에 체결될 때 걸림홈(211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31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은 포켓 입구와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삽입되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삽입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내면에는 걸림홈(2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슬라이딩 체결편(3100)은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내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 체결편(3110)이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짐에 따라서,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 내에서의 체결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유격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체결편(3100)은 얇고 긴 조각의 형상을 가질 수가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체결편(3100)은 보호 커버(3000)가 센서 하우징(2000)에 체결될 때,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11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312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멈춤벽까지 슬라이딩 되면, 슬라이딩 체결편(310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21)가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걸림홈(2111)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내면에 걸림돌기(3121)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체결편(3100)의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2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 하우징(2000)의 양측 외면에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형성되고 보호 커버(3000)의 양측 내면에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은 경사면(2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보호 커버(3000)는 가이드편(3110)과, 고정편(3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입구에는 전방으로 열린 경사면(2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체결편(3100)은, 보호 커버(3000)의 양측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며 후방을 향해 경사면(3111)을 가지는 가이드 편(3110)과, 그 전방부는 가이드편(3110)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후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가이드편(3110)과 분리되며 보호 커버(3000)와 센서 하우징(2000)이 체결될 때 걸림홈(211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3121)가 형성되는 고정편(3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은 포켓 입구와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삽입되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삽입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삽입 공간은 슬라이딩 체결편(3110)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이 슬라이딩 체결편(3110)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가짐에 따라서, 슬라이딩 체결편(3100)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 내에서의 체결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은 포켓 내측에서 슬라이딩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의 실시예에서 그 하면에 걸림홈(2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입구에는 전방으로 열린 경사면(2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으로 열린 경사면(2113)의 형상에 의해서 슬라이딩 체결편(3110)이 포켓 입구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체결편(3100)은 가이드편(3110)과 고정편(3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편(3110)은 보호 커버(3000)의 양측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도 2 참조),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편(3110)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짐에 따라서, 가이드편(3110)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 내에서 체결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편(3110)은 후방을 향해 경사면(311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3110)의 형상에 의해서 가이드편(3110)이 포켓 입구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고정편(3120)은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는 가이드편(3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후방부는 가이드편(3110)과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slit)(3123)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가 있다.
실시예에서, 보호 커버(3000)가 슬라이딩 되면, 고정편(3120)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입구를 통해 슬라이딩 삽입 공간에 삽입 및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가이드편(3110)의 경사면(3111)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멈춤벽까지 슬라이딩 되면, 고정편(31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21)가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내측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11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편(312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체결편(3100)과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2110)의 체결을 더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6a는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6b는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제안된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을 설명한다. 보호 커버(3000)는 그 전방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3200)를 더 포함하고, 센서 하우징(2000)은 보호 커버(3000)가 체결돌기(3200)와 체결되도록 그 전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홈(2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체결돌기(3200)는 보호 커버(3000) 전방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0)는 보호 커버(3000)의 전방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체결홈(2120)은 체결돌기(3200)에 대응하여 센서 하우징(2000) 전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커버(300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센서 하우징(2000)에 체결되면, 체결돌기(3200)가 체결홈(2120)에 체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보호 커버(3000)가 센서 하우징(20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추가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체결홈(2120)은 전방에서 볼 때 ‘∩’ 형태를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체결돌기(3200)는 보호 커버(3000)의 전방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호 커버(3000)와 센서 하우징(2000)이 체결될 때 체결홈(2120)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는 하부 돌기부(32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체결홈(2120)은 체결돌기(3200)에 대응하여 센서 하우징(2000) 전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서 볼 때 ‘∩’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체결홈(2120)은 예를 들어 걸림벽부와 걸림벽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벽부 및 우측벽부 이루어 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체결돌기(3200)는 보호 커버(3000)의 전방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0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센서 하우징(2000)에 체결되면, 체결돌기(3200)는 ‘∩’ 형태의 체결홈(2120)의 하부 공간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체결돌기(3200)는 걸림벽부의 하단, 좌/우측벽부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보호 커버(3000)가 센서 하우징(2000)으로부터 좌우측 방향 이탈 및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는 문제가 추가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운전자를 기준으로 보면, 보호 커버(3000)가 체결이 풀려서 센서 하우징(2000)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체결돌기(3200)는 하부 돌기부(3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호 커버(3000)와 센서 하우징(2000)이 체결될 때 체결홈(212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 돌기부(3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돌기부(3220)는 보호 커버(3000)의 전방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돌기부(3220)는 하부 돌기부(3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호 커버(300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센서 하우징(2000)에 체결되면, 상부 돌기부(3220)는 체결홈(2120)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형태의 체결홈(2120)의 중앙 걸림벽부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보호 커버(3000)와 센서 하우징(2000)의 체결을 더 강화 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제안된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2000)은 하부 하우징(2300)과, 연성인쇄회로기판(2200)과 상부 하우징(2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300)은 그 바닥부(2310) 하면에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에 부착되는 접착부재(2311)가 형성되고 그 바닥부(2310)에 관통홈(2313)이 형성되며 그 바닥부(2310)의 상면으로부터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 격벽부(2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2300)의 바닥부(2310)의 하면에 접착부재(2311)가 형성되어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2300)의 바닥부(2310)에는 후술하는 관통홈(231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2313)을 통해서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의 굴곡부(2210)가 인출되며, 인출된 굴곡부(2210)의 그 중간부(2211)는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에 접촉될 수 있다. 인출된 굴곡부(2210)의 중간부(2211) 상단에 실장되는 표면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접촉된 굴곡부(2211)의 중간부(2211)로부터 표면(4000)의 열을 전달받아 차량 윈드쉴드 표면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2300)의 바닥부(2310)의 상면에는,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격되어 형성되는 격벽부(2320)가 포함될 수 있다. 격벽부(23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이 안착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에는 차량 실내의 온도를 센싱하는 실내 온도 센서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는 바닥부(2310)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격벽부(2320) 상의 연성인쇄회로기판(2200) 상에 배치되므로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의 온도 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게 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은 격벽부(23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에 포함되는 굴곡부(2210)는 개구(2313)를 통해 그 중간부(2211)가 인출되도록 굴곡진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인출된 굴곡부(2210)의 그 중간부(2211)는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4000)에 접촉될 수 있다. 표면(4000)에 접촉되는 인출된 굴곡부(2210)의 중간부(2211)는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의 만곡(curvature) 및 탄성(elasticity)에 의해서만 표면(4000)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적인 부품들이 절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열용량이 감소되어 온도 변화에 대한 응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00)은 하부 하우징(2300)에 체결되며, 전면 내측에 굴곡부(2210)의 단부(2213)가 고정되는 고정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300)의 전면 내측에는 굴곡부(2210)의 단부(2213)가 고정되는 고정부(2130)을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연성인쇄회로기판(2200)의 굴곡부(2210)의 단부(2213)는 그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고정편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6a에서 상부 하우징(210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부(2130)는 굴곡부(2210)의 단부(2213)를 끼우는 한 쌍의 끼움편과, 굴곡부(2210)의 단부(2213)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편을 각각 걸어서 고정하는 한 쌍의 후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2000 : 센서 하우징 2100 : 상부 하우징
2110 :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 2111 : 걸림홈
2113 : 경사면 2120 : 체결홈
2130 : 고정부 2200 : 연성인쇄회로기판
2210 : 굴곡부 2211 : 중간부
2213 : 단부 2300 : 하부하우징
2310 : 바닥부 2311 : 접착부재
2313 : 관통홀 2320 : 격벽부
3000 : 보호커버 3100 : 슬라이딩 체결편
3110 : 가이드편 3111 : 경사면
3120 : 고정편 3121 : 걸림돌기
3123 : 슬릿 3200 : 체결돌기
3210 : 하부 돌기부 3220 : 상부 돌기부
3300 : 개방부 4000 : 차량윈드쉴드표면

Claims (7)

  1.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에 부착되고, 그 양측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그 전방을 향해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을 포함하는 센서 하우징과;
    그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센서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센서 하우징에 체결되되, 그 양측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에 삽입 체결되는 슬라이딩 체결편을 포함하는 보호 커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은 :
    그 내면에 걸림홈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체결편은 :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고, 보호 커버가 센서 하우징에 체결될 때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은 :
    그 내측 하면에 걸림홈을 포함하고 그 입구에 전방으로 열린 경사면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체결편은 :
    보호 커버의 양측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포켓의 슬라이딩 삽입 공간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며 후방을 향해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편과;
    그 전방부는 가이드편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후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가이드편과 분리되며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될 때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편;
    을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호 커버는 :
    전방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센서 하우징은 :
    보호 커버가 체결 돌기와 체결되도록 그 전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체결홈은 :
    전방에서 볼 때 ‘∩’ 형태를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체결돌기는 :
    보호 커버의 전방 내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될 때 체결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는 하부 돌기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체결돌기는 :
    하부 돌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호 커버와 센서 하우징이 체결될 때 체결홈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은 :
    그 바닥부 하면에 차량의 윈드쉴드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가 형성되고 그 바닥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그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과;
    격벽부 상에 안착되며, 개구를 통해 그 중간부가 인출되도록 굴곡진 형태로 연장되며 인출된 그 중간부의 상면에 표면 온도 센서가 실장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하부 하우징에 체결되며, 전면 내측에 굴곡부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을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KR1020200148606A 2020-11-09 2020-11-09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KR20220062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606A KR20220062886A (ko) 2020-11-09 2020-11-09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606A KR20220062886A (ko) 2020-11-09 2020-11-09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86A true KR20220062886A (ko) 2022-05-17

Family

ID=8179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606A KR20220062886A (ko) 2020-11-09 2020-11-09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28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906B2 (en) Mounting structure for console
JP4066061B2 (ja) バンパ取付構造
KR20220062886A (ko) 차량용 오토 디포그 센서
US7118412B2 (en)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for airbag module
CN111587325A (zh) 卡合构造
US6281444B1 (en) Protective cover for connector
KR200408235Y1 (ko) 온/습도 센서유닛
KR101500151B1 (ko) 디포그 센서의 커버 체결구조
US11890994B2 (en) On-board bracket for on-board device at vehicle
JP6182089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20210053316A (ko)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EP2008839B1 (en) Air-conditioning control unit
JP3617277B2 (ja) ランプの取付構造
JPH11208514A (ja) フェンダ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US20240053174A1 (en) Bracket assembly
JPH0323858Y2 (ko)
KR102538564B1 (ko) 오토 디포그 센서 유닛
JPH0825955A (ja) 車輌用空調装置のフイニッシャー取付構造
JP2003243106A (ja) コネクタ用取付アダプタ
JPH072258Y2 (ja) 内気センサー
JP4081961B2 (ja) 加速度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KR20020036429A (ko) 공기조화기의 표시창 장착 구조
JPH0314662B2 (ko)
KR0131784Y1 (ko)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JPH0786773A (ja) 回路基板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