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784Y1 -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784Y1
KR0131784Y1 KR2019950044346U KR19950044346U KR0131784Y1 KR 0131784 Y1 KR0131784 Y1 KR 0131784Y1 KR 2019950044346 U KR2019950044346 U KR 2019950044346U KR 19950044346 U KR19950044346 U KR 19950044346U KR 0131784 Y1 KR0131784 Y1 KR 0131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trim
shroud side
coupling rod
vehicl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524U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784Y1/ko
Publication of KR970037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5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부분에 장착되는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개선된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은 클립과 고정부의 두 부분으로 형성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품단가가 증가하며 또한 클립의 돌기에 강제 삽입된 삽입돌부를 이탈하고자 할 때 돌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조립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어 왔던 바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후면에 돌출된 고정부에 결합봉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차체 부분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을 삽입홀에 강제 삽입하므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탈착시 고정부의 손상이 없이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효과가 있는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구조
제1도는 종래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 3 : 클립부
5 : 굴곡부 7 : 안착부
9 : 삽입돌부 10 : 결합봉
11 : 걸림턱 12 : 원기둥
20 : 삽입홀 21 : 차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부분에 장착되는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SHROUD SIDE TRIM)의 개선된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은 차체 전방의 내측양면에 형성되어 각종 릴레이가 내재되는 프론트 휠하우스 릴레이박스를 밀폐하거나 차체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므로써 차량의 내부를 형성하는 트림의 한 종류이다. 즉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일측면에 홀이나 클립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차체 내부면에 홀이나 클립을 형성하여 이에 강제 삽입하므로써 탈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은 일측에 릴레이 박스(2)가 형성되는 한편 차체(21)에 고정되는 클립부(3)와 이에 강제 삽입되는 고정부(4)로 형성된다. 즉 클립부(3)는 차체 내부에 고정되는 굴곡부(5)를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5)의 일부가 중단에서 안쪽으로 꺾여 돌출부(6)를 형성하는 동시에 각 굴곡부(5)의 끝단이 절곡되는 안착부(7)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안착부(7)의 양측일면이 굴곡부(5)의 내측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절곡되어 돌기(8)를 다수개 형성한다. 한편 고정부(4)의 일측은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클립부(3)의 굴곡부(5) 사이에 강제 삽입되어 양측에 형성된 돌기(8)에 의하여 물리는 삽입돌부(9)가 중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을 차체(2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클립부(3)가 굴곡부(6)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6)에 의하여 차체(21)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후면일측에 이와 대향하여 형성된 고정부(4)의 삽입돌부(9)를 상기 클립부(3)의 굴곡부(6) 내측에 강제 삽입하여 굴곡부(6) 내측면에 돌출된 돌기(8)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은 클립과 고정부의 두 부분으로 형성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품단가가 증가한다. 또한 클립의 돌기에 강제 삽입된 삽입돌부를 이탈하고자 할 때 돌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조립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후면에 돌출된 고정부에 결합봉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차체 부분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을 삽입홀에 강제 삽입하므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탈착시 고정부의 손상이 없이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좌석 좌우하단부의 차체에 고정되는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후면일측에서 돌출되어 중앙에 원기둥이 천공되는 동시에 사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에 대향하는 차체의 일측에 천공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의 후단일측면에 돌출되어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봉(10)은 그 측면 사방에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는 걸림턱(11)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봉(10)의 중앙에는 일정깊이의 원기둥(2)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대응되는 앞좌석 좌, 우 하단부의 차체(21)에는 상기 결합봉(10)이 형성된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을 장착하기 위하여 결합봉(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삽입홀(20)이 이와 대향하는 위치에 천공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앞좌석 전방하측의 차체(21)에 형성되는 릴레이 박스(2)와 차체 내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의 후방에 이와 일체로 결합봉(1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결합봉(10)과 대향하는 차체(21) 부분에는 결합봉(10)의 선단과 동일한 크기의 삽입홀(20)을 형성한다. 따라서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을 장착하기 위하여 그 후면에 형성된 결합봉(10)을 이와 대향하는 삽입홀(20)에 강제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결합봉(10)의 측부에 사방으로 일정한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걸림턱(11)은 상기 삽입홀(20)이 형성된 차체(21)와 맞닿아 탈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봉(10)의 내부에 천공된 원기둥(12)은 결합봉(10)을 삽입홀(20)에 강제 압입하여 상호 맞물릴 때 일정한 여유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결합봉(10)과 삽입홀(2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후면에 돌출된 고정부에 결합봉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차체 부분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을 삽입홀에 강제 삽입하므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탈착시 고정부의 손상이 없이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앞좌석 좌우하단부의 차체(21)에 고정되는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1)의 후면일측에서 돌출되어 중앙에 원기둥(12)이 천공되는 동시에 사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11)이 형성되는 결합봉(10)과; 상기 결합봉(10)에 대향하는 차체(21)의 일측에 천공되는 삽입홀(20)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구조.
KR2019950044346U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KR0131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346U KR0131784Y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346U KR0131784Y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524U KR970037524U (ko) 1997-07-26
KR0131784Y1 true KR0131784Y1 (ko) 1998-12-15

Family

ID=1943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346U KR0131784Y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7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524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23715A (ja) 端子金具
KR0131784Y1 (ko)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JP2002021831A (ja) 装着部品のスナップ構造
KR0139935B1 (ko) 범퍼의 사이드 램프 체결구조
KR0136844Y1 (ko) 개선된 자동차의 헤드램프 스페이서와 휀더 패널의 장착구조
KR970037295A (ko) 자동차의 전조등 장착장치
KR200160446Y1 (ko) 자동차 오디오용 노브
JP2537337Y2 (ja) 車輌用灯具
KR200148785Y1 (ko) 승용차 뒷 좌석 패키지 트레이 체결장치
KR200150532Y1 (ko) 덕트 그릴 고정구조
KR0136944Y1 (ko) 축전지 케이블 접속구
JP3352878B2 (ja) 電気機器のレール取付装置
KR0112926Y1 (ko) 자동차 앞 범퍼에 설치되는 안개등의 취부구조
JPH0539010Y2 (ko)
KR970006232Y1 (ko) 판넬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클립너트
JPH1050110A (ja) 車両用灯具
KR200160591Y1 (ko) 차량용 오디오 장착 구조
KR0130002Y1 (ko) 차량용 전방 컴비네이션램프의 체결구조
KR200143374Y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브래킷 체결용 가대 리테이너
JPH08288014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0130001Y1 (ko) 차량용 전방 컴비네이션램프의 체결구조
KR19990037562U (ko) 쿼터 글라스 취부 구조
KR19980068353U (ko) 자동차 가니쉬 고정용 클립
KR0120797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타 그릴 장착 구조
KR19980017425U (ko) 자동차의 펜더라이너 마운트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