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532Y1 - 덕트 그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덕트 그릴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532Y1
KR200150532Y1 KR2019960048459U KR19960048459U KR200150532Y1 KR 200150532 Y1 KR200150532 Y1 KR 200150532Y1 KR 2019960048459 U KR2019960048459 U KR 2019960048459U KR 19960048459 U KR19960048459 U KR 19960048459U KR 200150532 Y1 KR200150532 Y1 KR 200150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lip
hinge pin
hing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486U (ko
Inventor
우태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8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53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4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덕트 그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덕트 그릴 양측의 힌지핀이 부러지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크러시 패드에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기 위하여,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이 끼워지는 전면에서 부터 일정 깊이 파여지고, 그 내부의 상하면에 걸림홈(3a,3b)이 형성되는 클립삽입공간(S)을 갖는 크러시 패드(4)와; 상하면에 걸림홈(3a,3b)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5a,5b)과,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이 끼워질 수 있는 힌지자리(6)가 형성되며, 이 힌지자리(6)에 끼워지는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을 볼트(7)로 조임에 따라 클립삽입공간(S) 내에 고정되는 클립(8)을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덕트 그릴 고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덕트 그릴 고정구조(Duct Grille Mount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서 에어컨의 이베퍼레이터 코어와 히터 코어가 설치된 히터 유니트로 부터 나오는 냉기 또는 온기는 덕트를 통하여 크러시 패드의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는데, 통상 패널 모드에 속하는 경우에서의 토출구 위치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러시 패드의 전면에 해당한다.
이 크러시 패드의 전면에는 패널 모드에서 냉,온기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덕트가 연결되어 있고, 이 덕트의 끝부분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에 힌지핀(21a,21b)이 돌출하는 덕트 그릴(22)을 크러시 패드(23)에 끼워 힌지핀(21a,21b)을 중심으로 덕트 그릴(22)이 상하로 회전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덕트 그릴은 힌지핀을 크러시 패드의 홈에 강제로 끼웠기 때문에 필요시에 쉽게 빼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오랜시간 차량을 운행하고 나면 덕트 그릴 내부가 오염되어 청소를 하고 싶어도 덕트 그릴이 쉽게 탈거되지 않아 어려움이 발생하였고, 강제로 탈거하려고 하면 도중에 덕트 그릴의 힌지핀이 부러지는 일이 잦았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덕트 그릴 양측의 힌지핀이 부러지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크러시 패드에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클립이 힌지와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덕트 그릴의 일반적인 설치 위치를 예시한 실내 요부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덕트 그릴, 2: (한쪽의) 힌지핀,
3a,3b: 걸림홈, 4: 크러시 패드,
5a,5b: 걸림턱, 6: 힌지자리,
7: 볼트, 8: 클립,
9: 볼트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이 끼워지는 전면에서 부터 일정 깊이 파여지고, 그 내부의 상하면에 걸림홈(3a,3b)이 형성되는 클립삽입공간(S)을 갖는 크러시 패드(4)와; 상하면에 상기 걸림홈(3a,3b)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5a,5b)과,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이 끼워질 수 있는 힌지자리(6)가 형성되며, 이 힌지자리(6)에 끼워지는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을 볼트(7)로 조임에 따라 상기 클립삽입공간(S) 내에 고정되는 클립(8)을 구비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덕트 그릴(1)은 양쪽에 공히 힌지핀이 돌출되어 있다. 크러시 패드(4)는 덕트 그릴(1)이 상하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것으로서,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은 클립(8)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클립(8)이 크러시 패드(4)의 일측에 고정되고, 덕트 그릴(1)의 나머지 다른쪽 힌지핀(미도시)은 크러시 패드(4)에 그대로 끼워지도록 한 것으로, 이 다른쪽 힌지핀은 크러시 패드(4)의 힌지구멍(미도시)에 먼저 끼워진다.
상기 크러시 패드(4)에서 한쪽 힌지핀(2)이 클립(8)과 함께 끼워지는 부위는, 클립(8)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의 클립삽입공간(S)을 형성하고 있다. 이 클립삽입공간(S)은 크러시 패드(4)의 전면에서 부터 일정 깊이 파여지는 것으로서, 그 내부의 상하면에는 작은 걸림홈(3a,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삽입공간(S)에 끼워지는 클립(8)은, 상하면에 상기 걸림홈(3a,3b)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5a,5b)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이 반으로 절개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덕트 그릴(1)의 한쪽 힌지핀(2)이 끼워질 수 있는 힌지자리(6)가 반원형의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으로 절개되어 있는 전면의 중앙에는 볼트(7)를 조일 수 있는 볼트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덕트 그릴(1)의 다른쪽 힌지핀을 먼저 크러시 패드(4)의 힌지구멍에 끼우고 나서, 한쪽의 힌지핀(2)은 클립(8)의 힌지자리(6)에 끼운 상태에서 클립(8)을 크러시 패드(4)의 클립삽입공간(S)에 밀어 끼운다. 그리고 나서 볼트(7)를 클립(8)의 볼트구멍(9)에 끼워 체결시키면 볼트(9)의 단부가 한쪽의 힌지핀(2)을 눌러 한쪽의 힌지핀(2)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클립(8)이 상하로 약간 벌어져 걸림턱(5a,5b)이 클립삽입공간(S)의 걸림홈(3a,3b)에 압착되므로 클립(8)과 한쪽의 힌지핀(2)은 크러시 패드(4)의 클립삽입공간(S)에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덕트 그릴(1)이 정상적으로 상하회전할 수 있다.
반면에, 덕트 그릴(1)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볼트(7)를 푼다. 그러면 클립(8)의 전면 절개부가 클립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오므라들면서 걸림턱(5a,5b)이 걸림홈(3a,3b)에서 빠진다. 이에 따라 클립(8)을 클립삽입공간(S)에서 빼내고 한쪽의 힌지핀(2)에서 클립(8)을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덕트 그릴의 한쪽 힌지핀을 클립을 이용하여 크러시 패드에 넣어 간단히 고정시키거나 빼낼 수 있어 그 정비성이 향상되고, 덕트 그릴의 탈착이 용이하여 그 내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덕트 그릴의 한쪽 힌지핀이 끼워지는 전면에서 부터 일정 깊이 파여지고, 그 내부의 상하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클립삽입공간을 갖는 크러시 패드와; 상하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과, 덕트 그릴의 한쪽 힌지핀이 끼워질 수 있는 힌지자리가 형성되며, 이 힌지자리에 끼워지는 덕트 그릴의 한쪽 힌지핀을 볼트로 조임에 따라 상기 클립삽입공간 내에 고정되는 클립을 구비하는 덕트 그릴 고정구조.
KR2019960048459U 1996-12-12 1996-12-12 덕트 그릴 고정구조 KR200150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459U KR200150532Y1 (ko) 1996-12-12 1996-12-12 덕트 그릴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459U KR200150532Y1 (ko) 1996-12-12 1996-12-12 덕트 그릴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86U KR19980035486U (ko) 1998-09-15
KR200150532Y1 true KR200150532Y1 (ko) 1999-07-01

Family

ID=1947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459U KR200150532Y1 (ko) 1996-12-12 1996-12-12 덕트 그릴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5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86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467A (en) High torque screw and grommet fastener assembly
EP1178894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radiateur sur un support d'un vehicule
US4691457A (en) Emblem mounting assembly
KR200150532Y1 (ko) 덕트 그릴 고정구조
JP4316418B2 (ja) 車載用モニター取付装置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0131784Y1 (ko)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KR200147499Y1 (ko) 자동차의 착탈식 벤트 노즐
JPH0930381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における配管クランプ具
JP3553205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の取付構造
JP4383239B2 (ja) 車載用モニター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3705463B2 (ja) パネル材の連結構造
JPS6345634Y2 (ko)
KR950005579Y1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핸들 고정구조
KR970006006Y1 (ko) 소방용 경고등이 부설된 싸이렌
JP2918812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の取付構造
KR0120797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타 그릴 장착 구조
KR0175602B1 (ko) 차량용 파워 원도우 스위치 커버의 장착구조
KR100405604B1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조립체
KR200169775Y1 (ko) 자동차용 커버
KR200235531Y1 (ko) 가전제품의 도어 배선 브래킷
JP3136126B2 (ja) ハンドル台座の取付構造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19980044539U (ko) 도어 힌지핀 이탈방지용 스프링 와셔 장착공구
KR0135197Y1 (ko) 자동차의 스위치패널 결합구조
KR940006813Y1 (ko) 냉장고의 데코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