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626B1 - 묶음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묶음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626B1
KR100861626B1 KR1020067015309A KR20067015309A KR100861626B1 KR 100861626 B1 KR100861626 B1 KR 100861626B1 KR 1020067015309 A KR1020067015309 A KR 1020067015309A KR 20067015309 A KR20067015309 A KR 20067015309A KR 100861626 B1 KR100861626 B1 KR 10086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ositioning
bind
bookle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751A (ko
Inventor
아쯔시 구라바야시
도오루 요시에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 B42B5/103Devices for assembling the elements with the stack of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바인드 처리 장치의 용지 테이블 상에 송입되는 용지의 반송 직교 방향의 기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22)의 위치와, 바인드 기구부에 유지되어 있는 분할 링 바인더의 링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용지(P)의 측변과 펀치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용지의 선단부는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으로 압박되고, 가동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3)가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에 접근하여 반송 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여 용지의 위치를 정렬하고, 적층한 상태에서 바인드 기구부에 이송하여 바인더를 장착한다. 바인더 장착할 때에 펀치 구멍과 분할형 링 바인더의 링부와의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장착 불량 등의 우려가 해소된다.
위치 결정 플레이트, 위치 규제판, 용지, 제본 처리 장치, 펀치 장치, 스택 트레이

Description

묶음 처리 장치{BINDING DEVICE}
본 발명은 펀치 구멍을 형성한 용지에 링형 바인더를 장착하여 제본하는 묶음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의 분야에 있어서는 전동 스테이플러를 내장하고, 복사 기구부로부터 차례로 송출된 종이를 1세트마다 스테이플에 의해 철하여 제본하는 후처리 기능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스테이플 이외의 스테이플 수단에 의한 제본으로서는, 미관상 보다 좋고 취급 및 페이지 넘김이 용이한 수단으로서, 코일 바인더나 다연 링을 구비한 갈래형의 고무 바인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본 수단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테이플 수단에 의해 제본하기 위해서는 용지에 펀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1092호 및 일본 특허 제3437511호는 복사기에 접속 혹은 내장되고, 복사 혹은 화상 인쇄된 종이를 차례로 인입하여 구멍 뚫기 수단에 의해 펀치 구멍을 형성하여 정렬하는 펀치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7474호는 이미 펀치 구멍이 형성되어 정렬된 종이에 대해 코일 바인더를 회전시키면서 펀치 구멍으로 장착하는 코일 제본 장치를 개시한다.
만약에, 상기와 같은 펀치 장치와 제본 장치를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복사기나 프린터 등과 연휴(連携)시켜 용지의 인쇄로부터 펀치 처리 및 바인드 처 리(제본 처리)까지를 자동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바인드 처리 장치에 의해 용지 바인더를 장착하는 경우, 적층된 용지의 각각의 펀치 구멍을 일치하지 않으면 바인더를 장착할 수 없다. 또한, 직선형의 척추부의 양측에 분할 링부를 배열한 링 바인더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바인더 장착 처리를 행할 경우에는 펀치 구멍과 바인더의 분할 링부의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으면, 바인더의 분할 링부를 용지의 펀치 구멍에 삽입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장착 불량 혹은 바인더의 파손 등의 사고가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적층된 용지의 각각의 펀치 구멍을 일치시키고, 또한 펀치 구멍과 바인더의 분할 링부의 위치 관계를 일치시킬 수 없는 한, 펀치 처리 장치와 링 바인더를 이용한 바인드 처리 장치를 조합시켜 펀치 처리와 바인드 처리를 연속적으로 자동 실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거기서, 본 발명은 펀치 장치로부터 바인드 처리 장치로 이송되어 오는 펀치 완료 용지지의 펀치 구멍의 위치를 바인드 처리 장치로 정확하게 적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인드 처리를 자동화하였을 경우, 바인드 처리되어 스택 트레이 등에 배출된 책자의 링 바인더가 겹쳐지면 부풀어서 취급하기 어려워진다. 거기서, 본 발명은 바인드 처리되어 배출된 책자의 점유 스페이스를 삭감하고, 취급을 용이화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펀치 장치와, 바인더를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장착하는 바인드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펀치 장치에 의해 펀치 처리된 용지를 차례로 바인드 처리 장치의 용지 테이블로 이송하고, 용지 테이블 상에 적재된 1세트의 용지의 펀치 구멍에 분할 링형 바인더를 장착하는 묶음 처리 장치에 있어서, 용지 테이블에 용지의 반송 방향 배열로 반송 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 수단을 마련하는 동시에, 바인드 장착 처리시에 있어서의 용지와 바인더의 위치 관계가 펀치 처리시에 있어서의 용지와 펀치와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는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한 묶음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지 테이블의 선단부에 후퇴 가능한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을 설치하여 용지 선단부의 종이 정렬 기준으로 하고, 1세트의 용지의 위치 결정 종료 후에 상기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을 후퇴시켜 바인드 기구부로 이송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 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 수단을 용지 테이블로부터 부상시켜 후퇴할 수 있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용지 테이블의 상방으로부터 테이블로 하강하는 상측 슬라이드 핀, 또는 용지 테이플의 하방으로부터 위로 상승하는 하측 슬라이드 핀과 상기 상측 슬라이드 핀을 설치하고, 상측 슬라이드 핀 또는 상하의 슬라이드 핀을 용지 테이블 상의 용지의 펀치 구멍에 삽입하여 용지를 펀치 구멍 기준에서 위치 결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상측 또는 상하 양측의 슬라이드 핀에 의해 용지를 위치 결정한 후에, 가동 클램프에 의해 용지를 용지 테이블에 클램프하고, 상기 슬라이드 핀을 후퇴시켜 바인드 기구부로 이송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상측 슬라이드 핀에 의해 용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가동 클램프에 의해 용지를 클램프한 후에 슬라이드 핀을 후퇴시키고, 상기 가동 클램프를 해방하여 다음 용지의 공급을 대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용지 테이플을 바인드 기구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시키는 용지 테이블 이동 기구와, 용지 테이블을 상기 바인드 기구부로의 대향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 테이블 회전 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치 장치와, 바인더를 용지의 펀치 구멍에 장착하는 바인드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펀치 장치에 의해 펀치 처리된 용지를 차례로 바인드 처리 장치의 용지 테이블로 이송하고, 용지 테이블 상에 적재된 1세트의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분할 링형 바인더를 장착하는 묶음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바인드 처리후의 책자를 차례로 좌우로 교대로 옮겨 배출하는 용지 이송 기구를 설치하고, 전열의 책자에 장착된 바인더의 링 사이의 간극에 차열의 책자에 장착된 바인더의 링이 진입되도록 구성한 묶음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치 장치와, 바인더를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장착하는 바인드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펀치 장치에 의해 펀치 처리된 용지를 차례로 바인드 처리 장치의 용지 테이블로 이송하고, 용지 테이블 상에 적재된 1세트의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분할 링형 바인더를 장착하는 묶음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바인드 처리 후 책자의 배출 기구에 책자의 낙하 위치를 차례로 전 또는 후에 옮기는 제어 수단을 마련하고, 각 세트의 책자의 링 바인더가 겹치지 않도록 구성한 묶음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치 장치와, 바인더를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장착하는 바인드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펀치 장치에 의해 펀치 처리된 용지를 차례로 바인드 처리 장치의 용지 테이블로 이송하고, 용지 테이블 상에 적재된 1세트의 용지의 펀치 구멍에 분할 링형 바인더를 장착하는 묶음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 후에 배출되는 책자를 받는 컨테이너에 책자를 한 권마다로 구분하는 구획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으로 나누어진 공간에 책자를 한 권씩 배출하는 배출 제어 수단을 마련한 묶음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치 장치와, 바인더를 용지의 펀치 구멍에 장착하는 바인드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펀치 장치에 의해 펀치 처리된 용지를 차례로 바인드 처리 장치의 용지 테이블로 이송하고, 용지 테이블 상에 적재된 1세트의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분할 링형 바인더를 장착하는 묶음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 후에 배출되는 책자를 받는 컨테이너 내의 좌우로 각각 복수의 종형 슬래트 및 그 전후 이동 기구를 설치하고, 좌우의 종형 슬래트를 동기 구동하고, 스테이플 처리 후에 배출되는 책자가 종형 슬래트로 나누어진 공간에 한 권씩 수용되도록 구성한 묶음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펀치 장치와 링 바인더를 이용하는 바인드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펀치 처리와 바인더 장착 처리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묶음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바인드 처리 장치의 용지 테이블에 용지의 반송 방향 배열로 반송 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 수단을 마련하는 동시에, 바인드 장착 처리시에 있어서의 용지와 바인더의 위치 관계가 펀치 처리시에 있어서의 용지와 펀치와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바인더 장착시에 펀치 구멍과 분할형 링 바인더의 링부와의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장착 성능의 안정화라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또한, 바인드 처리 후의 책자가 차례로 좌우 혹은 전후로 어긋나게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각 책자의 링 바인더가 간섭하거나 겹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 높이나 부피를 저감하고, 책자의 취급의 용이화라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묶음 처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3은 용지 배출 공정을 도시하는 묶음 처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4a는 후퇴 시 용지 스톱퍼의 측면도이다.
도4b는 작동 시 용지 스톱퍼의 측면도이다.
도5a는 개방 시 용지 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5b는 작동 시 용지 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6은 용지 위치 결정 공정의 평면 해설도이다.
도7은 용지 위치 결정 공정의 평면 해설도이다.
도8은 용지 위치 결정 공정의 평면 해설도이다.
도9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묶음 처치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0a는 작동 시 하측 위치 결정핀의 측면도이다.
도10b는 후퇴 시 하측 위치 결정핀의 측면도이다.
도11a는 후퇴 시 상측 위치 결정핀의 측면도이다.
도11b는 작동 시 상측 위치 결정핀의 측면도이다.
도12는 용지 위치 결정 공정의 평면 해설도이다.
도13은 용지 위치 결정 공정의 평면 해설도이다.
도14는 용지 위치 결정 공정의 평면 해설도이다.
도15는 용지의 전후 오프셋 배출의 해설도이다.
도16은 용지의 직립 정렬 배출의 해설도이다.
도17a는 묶음 처치 장치의 용지 직립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17b는 묶음 처치 장치의 용지 직립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18은 용지의 교대 오프셋 배출의 해설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묶음 처리 장치
3 : 펀치 장치
4 : 스택 트레이
11 : 바인드 처리 장치
15 : 용지 가이드 유닛
16 : 용지 가이드
17 : 용지 테이블
18 : 바인드 기구부
19 :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
22 :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
23 : 가동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
24 : 바인더 카트리지
25 : 푸셔
29 : 용지 클램프
41 : 바인드 처리 장치
42 : 하측 위치 결정핀
43 : 상측 위치 결정핀
51, 54 : 롤러
52, 55 : 벨트
53 : 컨테이너
56 : 슬래트
57 : 배지 롤러
58 : 구동축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펀치 장치와 바인드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묶음 처리 장치 중 바인드 처리 장치(11)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바인드 처리 장치(11)는 직선형의 척추부의 양측에 분할 링부를 배열한 링 바인더(B)를 이용하고, 이 링 바인더를 카트리지(24)에 장전하고, 척추부를 끼워 대향하는 분할 링부를 본체에 구비한 푸셔(18)에 의해 끼움으로써, 링형에 끼워 맞추어 용지에 장착하는 것이다. 또한, 묶음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배치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 처리 장치(1)의 하우징(2) 내의 좌측 하부에 바인드 처리 장치(11)를 배치하고, 우측 상부에 펀치 장치(3)를 배치하고 있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 묶음 처리 장치(1)의 우측으로 복사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복사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는 묶음 처리 장치(1)의 펀치 장치(3)로 송입되고, 펀치 장치(3)에 의해 펀치 처리된 용지는 하방의 바인드 처리장치(11)으로 송출되어 바인더를 장착하고, 이 스테이플 처리 후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테이블(17)이 상승하여 책자(F)가 스택 트레이(4)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1에 있어서, 최상부에 도시되어 있는 롤러(5)는 펀치 장치의 배지 롤러이며, 펀치 장치로부터 배출된 용지는 바인드 처리 장치(11)의 용지 가이드(12)에 따라 비스듬히 하방으로 하강하여 급지 롤러(13)에 도달한다. 급지 롤러(13)의 직전에는 용지 검지 센서(14)가 배치되어 있고, 용지 검지 센서(14)가 용지를 검지하였을 때에 1사이클의 바인드 처리가 실행된다. 급지 롤러(13)에 의해 인입된 용지는 용지 가이드 유닛(15) 내의 용지 가이드(16)에 의해 용지 테이블(17) 상에 안내되고,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바인드 기구부(18)의 전방면(도면에 있어서 위)에 배치된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에 접촉한다.
도2는 도1의 부분 확대도이며, 용지 테이블(17) 상에 개폐식의 용지 가이드 유닛(15)이 배치되어 있다. 용지 가이드 유닛(15) 내의 하류와 상류에는 회전식 플랩(20, 21)이 설치되어 있고, 하류의 회전식 플랩(20)은 용지가 송입될 때마다 1회전하여 용지의 상면을 전방을 향해 마찰시키고, 용지를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에 접촉시킨다. 상류의 회전식 플랩(21)은 용지가 송입될 때마다 상승과 하강의 왕복 동작을 행해 용지의 후방부를 용지 테이블(17)에 압박하여 용지의 부상을 방지한다. 또한, 용지 가이드 유닛(15)에는 용지를 좌우로부터 끼워 용지의 반송 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22, 23)(도6 내지 도8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바인드 기구부(18)는 용지 테이블(17)의 전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바인드 기구부(18)의 배면에 바인더 카트리지(24)가 접하고 있다. 바인더 카트리지(24) 내에는 링을 3분할한 형상의 링 바인더(B)가 전후로 적층한 상태에서 장전되어 있고, 바인더 카트리지(24) 내의 스프링 및 푸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링 바인더(B)는 상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바인드 기구부(18)에는 상하로 쌍을 이루는 푸셔(25) 배열로 슬라이드식 세퍼레이터(26)가 마련되어 있고, 상하의 세퍼레이터(26)가 폐쇄됨으로써 최전열의 링 바인더가 차열의 링 바인더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용지 테이블(17)은 용지 테이블 이동 기구에 의해, 바인드 기구부(18)를 향해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용지 테이블 회전 기구에 의해 바인드 기구부(18)로의 대향 위치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지 테이블(17) 상으로 소정 매수의 펀치 처리된 용지가 송입된 후에, 용지 테이블(17)은 프레임(27)의 안내 홈(28)에 따라 전진 구동되고, 용지 테이블(17) 상 용지의 하류 단부면이 바인더 카트리지(24)의 전방면에 접촉한다. 이때 용지의 펀치 구멍은 상하의 푸셔(25)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의 푸셔(25)가 폐쇄 구동되어 링 바인더(B)의 분할 링부를 폐쇄하고, 대향하는 분할 링부의 선단부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끼워 맞추어 링형으로 고정하여 용지를 제본할 수 있다.
다음에, 용지 위치 결정 기구를 설명한다. 용지는, 전술한 바인드 기구부(18)의 전방면의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과, 용지 테이블(17)의 전방부에 설치한 용지 클램프(29)와, 용지 가이드 유닛(15)의 좌우로 설치한 위치 결정 플레이트(22, 23)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즉,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이 용지의 반송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1 위치 결정 기구를 구성하고, 좌우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 23)가 용지의 반송 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2 위치 결정 기구를 구성한다.
도4a는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이 하강한 후퇴 상태의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을, 도4b는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이 상승한 작동 상태의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을 도시한다. 모터(30)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31)의 선단부가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에 결합하고 있고, 레버(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은 슬라이드 가이드(32)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5a는 용지 클램프(29)가 상승한 개방 상태의 용지 클램프(29)를, 도5b는 용지 클램프(29)가 하강한 클램프 상태의 용지 클램프(29)를 도시한다. 용지 클램프(29)는 레버(33), 링크(34) 및 크랭크축(35)을 통해 모터(36)에 연결되어 있고, 모터(36) 및 크랭크축(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6 내지 도8은 용지 위치 결정의 해설도이며, 부호 22는 용지의 반송 직교 방향의 기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 23은 용지를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에 할당하는 가동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이다. 위치 결정 플레이트(22)는 용지 테이블(17) 상 용지의 펀치 구멍과 바인드 기구부(18)의 푸셔(25)의 용지 반송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가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가동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3)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가 용지 테이블(17)에 송입될 때마다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에 대해 이격한 후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근하는 왕복 동작을 행하고, 용지(P)의 측변을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에 압박하여 위치 결정한다.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테이블(17) 상에 용지 반송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이송 롤러(37)를 설치하고, 이송 롤러(37)를 회전 구동하여 용지를 확실하게 기준 위치에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바인드 처리해야 할 소정 매수의 용지가 전부 용지 테이블(17)로 적재된 후에, 용지 클램프(29)가 하강하여 1세트의 용지를 클램프하고,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이 하강하여 용지의 전단부로부터 후퇴하고, 용지 테이블(17)이 전진하여 용지의 전단부를 바인드 처리 기구부(18)의 전방면에 접촉시킨 후에, 바인드 처리 기구부(18)의 푸셔(25)에 의해 링 바인더가 용지의 펀치 구멍에 장착된다. 바인드 처리 완료 후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 유닛(15) 및 용지 테이블(17)이 상방으로 회전하고, 용지 클램프(29)가 용지 테이블(17)로부터 상승하 여 용지를 해방함으로써, 용지는 스택 트레이(도시하지 않음)에 낙하한다. 또한, 바인드 처리 완료 전에 용지 가이드 유닛(15)이 상승하고, 바인드 처리 완료 후에 용지 테이블(17)이 상승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2 실시예>
도9에 도시한 바인드 처리 장치(41)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다가 각 용지의 펀치 구멍의 미소한 어긋남도 해소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한 것이며, 바인드 기구부(18)의 전방면에 배치된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의 약간 상류에, 용지 테이블(17) 밑에 위치하는 하측 위치 결정핀(42)과 용지 테이블(17) 위에 위치하는 상측 위치 결정핀(43)을 설치하고 있다. 하측 위치 결정핀(42)과 상측 위치 결정핀(43)은, 각각 좌우로 한 개씩 혹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하측 위치 결정핀(42)이 용지의 양단부의 펀치 구멍에 삽입되고, 상측 위치 결정핀(43)이 용지의 양단부의 펀치 구멍 이외의 펀치 구멍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하의 가이드핀이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0a는 하측 위치 결정핀(42)이 상승한 작동 상태의 하측 위치 결정핀(42)을 도시하고, 도10b는 하측 위치 결정핀(42)이 하강한 후퇴 상태의 하측 위치 결정핀(42)을 도시한다. 모터(44)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45)의 선단부가 하측 위치 결정핀(42)에 결합하고 있고, 레버(44)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측 위치 결정핀(42)은 슬라이드 가이드(46)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11a는 상측 위치 결정핀(43)이 상승한 후퇴 상태, 도11b는 상측 위치 결정 핀(43)이 하강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다. 상측 위치 결정핀(43)은 모터(47)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48)에 링크(49)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모터(47) 및 레버(4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가이드(50)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하측 위치 결정핀(42)의 직경은 용지의 펀치 구멍의 직경보다도 작고, 펀치 구멍으로 하측 위치 결정핀(42)이 꽂힌 상태에서 용지는 약간 전후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측 위치 결정핀(43)의 직경은 펀치 구멍의 직경보다 조금 작고,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상측 위치 결정핀(43)을 삽입함으로써 용지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하의 위치 결정핀(43, 42)의 선단부를 모따기(chamfer)하거나 R형으로 형성하여 펀치 구멍으로의 삽입을 쉽게 하고 있다.
도12 내지 도14는 용지 위치 결정의 해설도이며, 부호 22는 용지의 반송 직교 방향의 기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 23은 용지를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에 할당하는 가동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이다.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와 상하의 위치 결정핀(43, 42)과의 용지 폭 방향의 거리는, 상하의 위치 결정핀(43, 42)에 대응하는 용지의 펀치 구멍과 용지의 측변과의 거리보다 조금 크고, 또한 전방부의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19)과 상하의 위치 결정핀(43, 42)과의 전후 간격을 용지 전단부와 펀치 구멍 중심과의 거리보다 조금 길게 설정하여,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하측 위치 결정핀(42)이 꽂힌 상태에서 용지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써 전후 좌우로 미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가 용지 테이블(17)로 송입되면 가동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3)가 용지(P)를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22)로 압박한다. 이때, 하측 위치 결정핀(42)은 용지 테이블(17) 상에 조금 돌출하도록 상승 구동되고, 상측 위치 결정핀(43)이 하강하여 용지(P)의 펀치 구멍에 꽂히면서 용지를 압하하고, 이때 용지는 펀치 구멍 중심이 상측 위치 결정핀(43)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위치를 수정한다. 상측 위치 결정핀(43)이 하강한 후에 용지 클램프(29)가 용지를 압박하고, 상측 위치 결정핀(43)이 상승하여 후퇴하는 동시에, 다음 용지에 구비하여 용지 클램프(29)도 후퇴한다.
계속해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용지(P)가 송입되어 오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를 기준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와 전방의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에 압박한 후에, 전술한 상측 위치 결정핀(43)의 구동, 용지 압박, 상측 위치 결정핀(43)의 후퇴로 이루어지는 위치 수정 공정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용지에 대한 펀치 구멍 위치의 오차나 용지의 재단 치수의 오차가 있을 경우라도, 적재된 각 용지의 펀치 구멍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한 상태가 되고, 바인더 장착 공정에 있어서 장착 불량이 될 우려가 해소된다.
<제3 실시예>
도15는 바인드 처리된 책자의 배출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책자 배출 기구는 스택 트레이(4), 롤러(51) 및 벨트(52)를 구비한다. 스택 트레이(4)는 전후로 배치한 롤러(51)에 폭이 넓은 벨트(52)를 권취하고, 모터에 의해 롤러(51)를 구동하여 벨트(52)를 회전시키는 구조가 되어 있다. 묶음 처리 장치(1)의 제어부는 한 권의 책자(F)를 배출할 때마다 벨트(52)의 상면이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도록 벨트 구동 기구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책자(F) 는 전후에 약간 어긋난 상태로 스택 트레이(4)에 적층되고, 책자 전체의 적층 높이가 저감된다.
<제4 실시예>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묶음 처리 장치(1)의 책자 배출 기구는 컨테이너(53), 롤러(54), 벨트(55) 및 슬래트(56)를 구비한다. 배출된 책자는 컨테이너(53)에 직립 자세로 수용된다. 도17a 및 도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53)는 좌우 양단부의 전후에 배치한 롤러(54)에 각각 벨트(55)를 권취하고 있고, 좌우의 벨트(55)를 대칭적으로 동기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벨트(55)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슬래트(56)가 부착되어 있고, 연속하는 슬래트(56) 사이에 책자(F)의 좌우 양단부가 삽입되어 책자(F)가 직립 자세로 수용된다. 이러한 벨트(55)도 묶음 처리 장치(1)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한 권의 책자를 배출할 때마다 좌우의 벨트(55)의 내측의 면이 전방으로 일정 거리(슬래트의 간격)만큼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각 책자는 슬래트(56)에 의해 구분되어 전후로 정렬한 상태에서 컨테이너(53)에 수용된다.
<제5 실시예>
도18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책자 배출 기구는 축(58)에 배지 롤러(57)를 구비한다. 배지 롤러(57)는 구동축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 권의 책자를 배출할 때마다 배지 롤러(57)를 책자에 탄성 접촉한 상태에서 좌우 교대로 슬라이드시켜 배출한다. 이에 의해, 각 책자(F)의 링 바인더(B)의 링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좌우 교대로 어긋난 상태에서 스택 트레이에 적재되 고, 부피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될 만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개변이 가능하고, 본 발명이 그들의 개변된 것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출원은, 2004년 1월 2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4-022156호)을 기초로 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의 묶음 처리 장치는 바인드 장착 처리 시에 있어서의 용지와 바인더의 위치 관계가, 펀치 처리 시에 있어서의 용지와 펀치와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였으므로, 바인더 장착 시에 펀치 구멍과 분할형 링 바인더의 링부와의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장착 불량 등의 우려가 해소된다.
또한, 바인드 처리 후의 책자가 차례로 좌우 혹은 전후로 어긋나게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책자의 링 바인더가 간섭 혹은 겹치는 일이 없고, 적재 높이나 부피를 저감할 수 있어 책자의 취급이 용이화된다.

Claims (15)

  1. 펀치 장치와,
    펀치 장치에 의해 펀치 처리된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 테이블과,
    용지 테이블 상에 적재된 1세트의 용지의 펀치 구멍에 분할 링형 바인더를 장착하는 바인드 기구부와,
    용지의 반송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1 위치 결정 기구와,
    용지의 반송 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2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기구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기구는 바인더 장착 처리시에 있어서, 용지의 펀치 구멍이 바인드 부재와 일치하도록 용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기구는 용지 선단부의 종이 정렬 기준으로서 상기 용지 테이블의 선단부에 마련된 후퇴 가능한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을 구비하고,
    1세트의 용지의 위치 결정 종료 후에 상기 용지 선단부 위치 규제판이 후퇴하고, 1세트의 용지가 바인드 기구부로 이송되는 묶음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 기구는 용지 테이블로부터 부상하여 후 퇴 가능한 묶음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테이블의 상방으로부터 테이블로 하강하는 상측 슬라이드 핀을 더 구비하고,
    상측 슬라이드 핀을 용지 테이블 상의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삽입하여 용지를 펀치 구멍 기준에서 위치 결정하는 묶음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드 핀에 의해 용지를 위치 결정한 후에, 용지를 클램프 하는 가동 클램프를 더 구비하고,
    용지를 클램프한 후에 상기 슬라이드 핀이 후퇴하여 용지가 바인드 기구부로 이송되는 묶음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드 핀이 용지를 위치 결정해 상기 가동 클램프가 용지를 클램프한 후에 슬라이드 핀이 후퇴하고, 상기 가동 클램프가 해방되어 다음 용지의 공급을 대기하는 묶음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용지 테이블의 하방으로부터 위로 상승하는 하측 슬라이드 핀과, 상측 슬라이드 핀을 더 구비하고,
    상하의 슬라이드 핀을 용지 테이블 상의 용지의 펀치 구멍으로 삽입하여 용지를 펀치 구멍 기준에서 위치 결정하는 묶음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양측의 슬라이드 핀에 의해 용지를 위치 결정한 후에 용지를 클램프하는 가동 클램프를 더 구비하고,
    용지를 클램프한 후에 상기 상하 양측의 슬라이드 핀이 후퇴하고, 용지가 바인드 기구부로 이송되는 묶음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라이드 핀이 용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가동 클램프가 용지를 클램프한 후에 슬라이드 핀이 후퇴하고, 상기 가동 클램프가 해방되어, 다음 용지의 공급을 대기하는 묶음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테이블을 바인드 기구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시키는 용지 테이블 이동 기구와,
    용지 테이블을 상기 바인드 기구부로의 대향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 테이블 회전 기구를 더구비하는 묶음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바인드 처리 후의 책자를 배출하는 책자 배출 기구를 더 구비하는 묶음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자 배출 기구는 전열의 책자에 장착된 바인더의 링 사이의 간극에 차열의 책자에 장착된 바인더의 링이 진입하도록, 바인드 처리 후의 책자를 차례대로 좌우 교대로 어긋나게 배출하는 묶음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자 배출 기구는 각 세트의 책자의 링 바인더가 겹치지 않도록, 책자의 낙하 위치를 차례 전 또는 후에 어긋나는 묶음 처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 후에 배출되는 책자를 받는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책자를 한 권마다 구분하는 구획을 구비하고,
    상기 책자 배출 기구는 상기 구획으로 나누어진 공간으로 책자를 한 권씩 배출하는 묶음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 후에 배출되는 책자를 받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내의 좌우로 각각 마련된 복수의 종형 슬래트와,
    상기 종형 슬래트의 전후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좌우의 종형 슬래트가 동기 구동되고, 스테이플 처리 후에 배출되는 책자가 종형 슬래트로 나누어진 공간에 한 권씩 수용되는 묶음 처리 장치.
KR1020067015309A 2004-01-29 2005-01-25 묶음 처리 장치 KR100861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2156 2004-01-29
JP2004022156 200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751A KR20060126751A (ko) 2006-12-08
KR100861626B1 true KR100861626B1 (ko) 2008-10-07

Family

ID=3482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309A KR100861626B1 (ko) 2004-01-29 2005-01-25 묶음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96330B2 (ko)
EP (1) EP1710096A4 (ko)
KR (1) KR100861626B1 (ko)
CN (1) CN100486819C (ko)
WO (1) WO2005072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5160B2 (ja) * 2004-08-12 2009-12-02 マックス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4760226B2 (ja) * 2005-08-26 2011-08-31 マックス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JP4760239B2 (ja) * 2005-09-05 2011-08-31 マックス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US8147643B1 (en) 2008-06-06 2012-04-03 Chicago Tag & Label, Inc. Bar code label book single pass manufacturing process
JP2011026121A (ja) * 2009-06-30 2011-02-10 Ricoh Co Ltd 冊子積載装置、リングバインド製本装置、リングバインド製本システム、冊子積載制御方法、及び冊子積載制御プログラム
JP5533326B2 (ja) * 2010-06-22 2014-06-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DE102012207295B4 (de) * 2012-05-02 2014-09-11 Bielomatik Leuz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üchern mit Drahtkamm- oder Spiralbindung oder anderen vergleichbaren Bindungen
US9764581B2 (en) 2014-03-27 2017-09-19 ACCO Brands Corporation Sheet stacking device
JP6961936B2 (ja) 2016-12-22 2021-11-05 マックス株式会社 製本装置
CN107336404B (zh) * 2017-06-08 2019-11-05 广东天机工业智能系统有限公司 送料检测装置
US10280029B2 (en) * 2017-06-23 2019-05-07 Christoph Gahr Accumulator for collating punch system
CN113665265B (zh) * 2021-08-30 2022-09-2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来安县供电公司 一种档案整理装订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780A (ja) * 2002-04-30 2003-11-11 Max Co Ltd 綴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7853A (en) * 1963-11-20 1967-10-18 Winkler Fallert & Co Maschf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erting supplements in newspapers and for delivering the papers after the supplements have been inserted
JPS547871B2 (ko) 1974-06-27 1979-04-10
DE3220814C2 (de) * 1982-06-03 1985-09-26 Bielomatik Leuze Gmbh + Co, 7442 Neuffen Vorrichtung zum Ausrichten eines mit Randlochungen für Bindelemente versehenen Blattstapels
DE3544825A1 (de) 1985-12-18 1987-06-19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Lampe mit einem kolben aus hochkieselsaeurehaltigem glas
US4949952A (en) * 1989-03-20 1990-08-21 Velobind, Inc. Sheet justifier for automatic bookbinding machine
DE69022273T2 (de) * 1989-04-13 1996-02-15 Canon Kk Bogenbinder.
JPH06156854A (ja) 1992-11-18 1994-06-0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ート片の積層・揃え装置
JP3466376B2 (ja) * 1995-06-07 2003-11-10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JP3325193B2 (ja) * 1997-01-17 2002-09-1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ソータ
US6330999B2 (en) * 1998-05-14 2001-12-18 Graoco (Japan) Ltd Set binding, stapling and stacking apparatus
JP2001031317A (ja) 1999-07-22 2001-02-06 Minolta Co Ltd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当該シート処理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437511B2 (ja) 1999-11-02 2003-08-1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2003067A (ja) 2000-06-19 2002-01-09 Nec Corp プリンタ装置
JP4693283B2 (ja) 2001-05-21 2011-06-01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コイル製本用コイル送り装置
JP2003160273A (ja) 2001-11-27 2003-06-03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用紙処理方法
JP2003212425A (ja) 2002-01-21 2003-07-30 Ricoh Co Ltd 用紙後処理装置
JP2003231092A (ja) 2002-02-12 2003-08-19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WO2003093025A1 (fr) * 2002-04-30 2003-11-13 Max Co., Ltd. Reliure et dispositif de reliure
JP4300748B2 (ja) 2002-04-30 2009-07-22 マックス株式会社 バインダー
JP4103725B2 (ja) * 2003-08-12 2008-06-18 マックス株式会社 バインド処理方法ならびにバインド処理装置ならびにバインダ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780A (ja) * 2002-04-30 2003-11-11 Max Co Ltd 綴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96330B2 (en) 2011-03-01
KR20060126751A (ko) 2006-12-08
EP1710096A1 (en) 2006-10-11
US20070166130A1 (en) 2007-07-19
CN100486819C (zh) 2009-05-13
EP1710096A4 (en) 2015-08-05
WO2005072979A1 (ja) 2005-08-11
CN1914050A (zh)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626B1 (ko) 묶음 처리 장치
JP4389798B2 (ja) 綴じ処理装置
KR101127360B1 (ko) 묶음 처리 장치
EP11175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ooklets
US6908078B2 (en) Sheet processing with sheet inserting device
US10023422B2 (en) Sheet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heet processing device
EP0315413B1 (en) Bookbind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5073117A1 (ja) 用紙処理装置
EP1652627B1 (en) Electrically driven stapler
JP6106887B2 (ja) 製本装置
JP2012184114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製本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US9028190B2 (en) Bookbinding apparatus
US20040261596A1 (en) Sheet perfor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251828B2 (ja) 用紙処理方法及び用紙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6023085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61258A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019870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15237A (ja) 後処理装置
JP6222596B2 (ja) 製本装置
JP2000086067A (ja) シート綴じ込み装置
JP2012096919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0159428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61260A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