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558B1 - 모의총 - Google Patents

모의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558B1
KR100849558B1 KR1020067021364A KR20067021364A KR100849558B1 KR 100849558 B1 KR100849558 B1 KR 100849558B1 KR 1020067021364 A KR1020067021364 A KR 1020067021364A KR 20067021364 A KR20067021364 A KR 20067021364A KR 100849558 B1 KR100849558 B1 KR 10084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wer source
gun
power
mu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051A (ko
Inventor
요시노부 기따미
다까시 혼다
유지 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6012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6Recoil sim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0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view recording device cosighted with the gun
    • F41G3/2611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view recording device cosighted with the gun coacting with a TV-mon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a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Role playing or strategy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6Sh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모의총은 총 본체와, 동력원, 작용부 및 전달부를 구비하는 반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동력원은 총 본체의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전달부를 구성하는 코어재에 동력이 전달된다. 코어재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작용부의 회전 아암이 추와 함께 수평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고, 추가 총 본체의 내벽면을 타격함으로써 총구측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이 총 본체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총 본체의 본체 외부에 설치된 동력원에 의해 소요의 충격력의 발생이 가능해져 총 본체가 소형 경량화되고, 또한 총구측이 튀어오르는 듯한 리얼한 반동이 실현된다.
모의총, 총 본체, 총구측, 코어재, 아암

Description

모의총 {SIMULATED GUN}
본 발명은 사격 게임 등에 있어서의 사격시의 충격 반동을 발생시켜 플레이어에게 실사 감각을 체험시키는 모의총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의총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된 표적을 가상적으로 사격함으로써 득점을 겨루는 등의 사격 게임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격 게임을 행하는 게임기에서는 플레이어가 모의총의 트리거를 당기는 것에 수반하여 게임기로부터 사격음이 발생되는 동시에, 사격에 의해 가상적으로 발사된 탄이 표적에 적중하거나 빗나간 것이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서 사격 결과의 연출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최근, 모의총을 이용한 사격 게임에 있어서 더욱 리얼한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상기 충격음이나 사격 결과의 연출 화상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격하였을 때와 동일한 반동을 플레이어에게 체감시키는 모의총도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총 본체에 전자기 솔레노이드를 내장하고, 플런저의 선단부에 설치된 웨이트를 트리거의 당김 조작에 연동하여 전자기력으로 이동시키고, 내지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켜 총 본체 내의 접촉 벽면에 충돌시키도록 하여 반동을 발생시키는 반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 모의총이 있다.
종래의 모의총에서는, 큰 충격을 얻고자 하면 반동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전자기 코일의 권취수를 증대시키고, 또한 웨이트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등의 필요가 있으므로 모의총 전체가 대형화 또한 중량화되고, 나아가서는 모의총의 조작성의 저하도 초래하는 것이 된다. 한편,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경우, 전자기 솔레노이드 및 웨이트를 소형 경량으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웨이트에 의한 충격력을 소요의 레벨로 확보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모의총은 사격 게임에 있어서의 가상적인 사격에 수반하여 총신에 대해 방아쇠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반동을 발생시키는 모의총이며, 총의 본체와, 총의 본체 적소에 설치되고 총구를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작용부와, 총의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동력원과, 동력원과 작용부를 연결하여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작용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은 전달부를 경유하여 총 본체 내에 설치된 작용부에 전달된다. 작용부는 동력의 전달을 받으면 총신에 대해 방아쇠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방향(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을 총 본체에 부여하고, 이에 의해 가상적인 사격시에 있어서의 반동이 발생된다.
이로부터, 동력원이 총 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총 본체를 보다 소형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동력원의 파워 여하에 따라 소요의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총신에 대해 방아쇠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 즉 가상적인 사격시에 총 본체의 총구측이 튀어오르는 듯한 리얼한 반동을 얻을 수 있는 모의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모의총을 사격 게임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사격 게임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모의총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한 모의총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의 모의총에 의한 사격 동작에 관한 제어계를 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5는 총 본체가 플레이어에 의해 파지되고, 트리거가 당겨진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타격부가 총 본체의 내벽면에 접촉한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타격부가 원래의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트리거가 당겨진 상태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모의총을 사격 게임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사격 게임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한 모의총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도9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이다.
도12는 도9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의 모의총에 의한 사격 동작에 관한 제어계를 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3은 도10에 도시한 총 본체가 플레이어에 의해 파지되고, 트리거가 당겨진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는 도13에 도시한 총 본체에 반동이 부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모의총을 사격 게임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사격 게임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1에 있어서, 게임 장치(1)는 본체 하우징부(20)와, 이 본체 하우징부(20)에 조작 가능하게 접속된 소요 개수의 모의총(30)을 구비한다.
본체 하우징부(20)는 전방면 중앙에 조작부(21)가 설치되고, 조작부(21)의 상부에 게임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부(22)가 설치되고, 정상부에 음향 효과를 연출하는 스피커(23)가 설치되어 있다. 모의총(30)의 각각은, 조작부(21) 내지는 본체 하우징부(20)의 적소로부터 도출된 신호 케이블(34) 및 동력 전달 케이블(433)을 거쳐서 본체 하우징부(20)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21)의 상면에는, 도면 생략한 개시 버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20)는 조작부(21)의 전방면 하부 적소에 코인 투입구(24)가 설치되어 있고, 코인 투입구(24)에 있어서의 본체 하우징부(20)의 내부에는 투입된 코인이 게임 개시를 허가하기 위한 소요 매수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코인 검출부(도면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부(22)는, 예를 들어 공지의 프로젝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모니터부(22)는 게임 화상을 광학적으로 출력하는 투영부(221)와 투영부(221)로부터 투사된 게임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22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부(22)는 프로젝터 대신에, CR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혹은 유기 EL 소자 등을 채용 가능하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모의총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한 모의총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의총(30)은 총 본체(310) 및 반동 발생 장치(40)를 구비한다. 총 본체(310)는 긴 총신부(31), 총신부(31)의 후방측이며 플레이어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2)(그립) 및 파지부(32)의 전방부(총구측)의 트리거부(3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총신부(31)의 전방부인 총구부에는, 총신 방향 전방에 외광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적외선의 빔광을 출사하는 발광부(311) 및 총신 방향 전방의 소요의 시야를 촬상 범위로 하는, 적외광을 수광하는 촬상 수단으로서의 수광 소자(312)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총신부(31)의 후방부에는 소요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 내에 후술하는 반동 발생부(40)의 구성의 일부인 작용부(42)가 내장되어 있다,
수광 소자(312)는 촬상 소자의 전방면에 적외 필터가 부설된 구조를 갖고, 발광부(311)로부터 출사되어 스크린(222)에서 반사한 적외광을 수광하는 동시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크린(222)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스크린(222)에 있어서의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배치된 1개, 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적외 발광 소자로부터의 적외광을 스폿 형상으로 촬상하는 것이다. 본체 하우징부(20) 내의 후술하는 주제어부(100)에 의해 수광 소자(312)에서 수광된 위치 규정용도 포함한 광스폿의 위치(위치 정보)로부터 총구의 지향 위치를 기하적으로 계산함으로써 총구의 지향 방향이나 스크린 상에서의 가상적인 착탄 위치가 산출되어 게임 화상 내에서의 탄도 계산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적중이나 빗나감의 연출 표시 등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스크린(222) 상에서의 총구의 지향 위치나 방향의 검출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채용 가능하고, 특히 촬상부인 카메라를 본체 하우징부(20)측이며 반투명인 스크린(222)을 시야 프레임으로 하도록 스크린(222)의 표면측 혹은 이면측에 배치하여 총 본체(310)로부터의 광빔을 촬상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파지부(32)는 내부에 소요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작용부(42)가 내장되는 동시에 표면 적소, 예를 들어 바닥면부(321)에는 후술하는 신호 케이블(34) 및 동력 전달 케이블(433)을 도입하기 위한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다.
트리거부(33)는 수평축(331)에 저어널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축(331)의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트리거(방아쇠)(332)와, 트리거(332)의 근방에 배치된 트리거 스위치(333)를 구비한다. 트리거 스위치(333)는 트리거(332)의(후방으로의) 당김 조작시에 상기 트리거(332)의 일부와 접촉하여 변위하는 가동편(334)을 갖고, 이 가동편(334)의 위치 변위에 의해 온 오프의 절환을 행하는 것이다. 트리거 스 위치(333)는 접촉에 의한 기계적 스위치 외에, 포토 인터럽터 등의 광학 센서를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수평축(331)에는 트리거(332)를 상기 트리거(332) 전방의 초기 위치(도3의 참조)로 복귀시키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총 본체(310)의 외부 적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부(32)의 상부 위치[총신부(31)의 후방부 위치]에는 단발식 사격 형태와 연발식 사격 형태(소위 기관총 사격의 사격 형태)의 절환 선택을 행하기 위한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 스위치(335)가 메뉴얼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335)는 슬라이드식 외에, 푸시식으로 할 수도 있다.
반동 발생부(40)는 적어도 총 본체(310) 이외의 적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하우징부(20) 내에 배치된 동력원(41)과, 총 본체(310) 내에 배치된 동력이 작용하는 작용부(42)와, 동력원(41)으로부터의 동력을 작용부(42)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43)를 구비한다.
동력원(41)은 권취된 전자기 코일부(412)와, 코일 권취 중심을 축방향으로, 자기력의 공급, 정지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플런저(413)를 갖는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와, 플런저(413)에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의 하우징으로부터 출현 방향을 향한 가압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14)(예를 들어, 코일 형상 등의 스프링재)을 구비한다. 전자기 솔레노이드(411)는 도면 생략한 전원으로부터 전자기 코일(412)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 자기력이 발생하면 플런저(413)가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의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몰입하고, 구동 전류가 끊겨 소자되면 플런저(413)가 스프 링(414)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413)의 이동 스트로크는 소정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플런저(412)의 선단부에는, 예를 들어 중공의 플랜지체(41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력원(41)이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와 스프링(414)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총 본체(310)에 반동을 얻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동력원(41)을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413)에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의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는 스프링(414)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판형의 스프링체라도 좋다. 또한, 동력원(41)으로서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터를 이용한 기계적인 구동(운동)을 전달 가능하게 발생시키는 것이면 채용 가능하다.
작용부(42)는 총 본체(310)의 적소에, 바람직하게는 총신부(31) 또는 파지부(3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혹은 총신부(31) 및 파지부(32)의 쌍방의 내부에 걸쳐 형성된 공간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총신부(31) 및 파지부(32)의 쌍방의 내부에 걸쳐 형성된 공간(30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작용부(42)는 공간(300)의 대략 중앙 위치에 설치된 수평축(421), 수평축 (421) 중간 위치, 예를 들어 대략 중앙 위치에서 저어널식으로 연결된 소요 길이를 갖는 회전 아암(422) 및 회전 아암(422)의 선단부측(도3에서의 상단부측)에 고정된 타격용 추(423)를 구비한 타격부(424)로서 구성되어 있다. 타격부(424)는 총 본체(310)의 내벽에 대해 떨어진 위치와 상기 내벽과 접촉하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즉 수평축(421) 주위에 개방 위치(301)와, 개방 위 치(301)에 대해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에 위치하고 총신부(31)의 후방 단부의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302)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추(423)는 총신부(31)의 후방 단부 내벽을 타격하여 충격을 부여하기 위해 소정 형상 및 소정 중량을 갖는 웨이트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형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부가 총신부(31)의 후방 단부 내벽에 접촉하도록 하여 총신부(31)의 후방부에 소요의 충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총신부(31)의 후방 단부 내벽 및 추(423)의 접촉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단부 내벽에 방음 부재(303)가 부설되는 등 가급적 소음(消音)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수평축(421)에는 회전 아암(422)[추(423)]에 대해 화살표(B1)로 나타내는 전방측(총구부측)을 향한 회전 방향을 향해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30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아암(422)의 기단부측에는 후술하는 전달부(43)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용부(42)를 즉 상세하게는 추(423)와 내벽과의 충돌 위치 및 충격 부여 방향을 파지부(32)의 대략 중심 위치에 대해 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한쪽에서의 접선 방향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총신부(31)의 적소 위치에, 또한 후방을 향해 설정하였으므로 충격시에는 총 본체(310)는 총신부(31)에 대해 트리거(332)[트리거부(33)]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부(31)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힘(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반동)을 받는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경우 총 본체(310)는 파지부(32)의 대략 중심 위치가 총구부측을 들어올리는 방향[화살표(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반동)을 받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부(42)를 총신부(31)의 적소 위치이고 또한 후방을 향해 설정하였으므로 작용부(42)[타격부(424)]가 총 본체(310)의 외면부가 아닌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성이 양호하고, 또한 미관이 좋은 총 본체(310)를 얻을 수 있다.
전달부(43)는 동력원(41)과 작용부(42)를 연결하여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작용부(42)에 전달하는 것이다. 전달부(43)는 코어재(431) 및 외재(432)를 구비한 동력 전달 케이블(433)로서 구성된다. 코어재(431)는 탄성(가요성)을 갖는 긴 선 형상 부재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가 채용되고 있다. 코어재(431)의 선단부는, 예를 들어 연결 위치(434)에 있어서 회전 아암(422)의 하단부측과 연결되어 있고, 기단부(435)는 플랜지체(415)에 내부 끼움되어 플런저(413)와 연결되어 있다.
외재(432)는 튜브 형상(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탄성(가요성)을 갖고 코어재(431)를 이 튜브 내에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 임의 방향으로 가이드(굴곡)하는 동시에, 코어재(431)가 외부의 것[예를 들어 본체 하우징부(20)나, 총 본체(310)를 파지하는 플레이어의 손 등]과 접촉하여 후술하는 왕복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보호하는 소위 보호 케이블(와이어 보호 케이블)이다. 외재(432)의 선단부(436)는 파지부(32)의 바닥면부(321)에 고정되고, 총 본체(310)에 대해 화살표(D)로 나타내는 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달부(43)는 이와 같이 외재(432)가 총 본체(310)에 대해 이동 규제되어 고정되고, 또한 코어재(431)가 외재(432) 내에 여유를 둔 상태로 끼움 삽입된(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코어재(431)의 기단부(435)에 동력원(41)에 의한 동 력이 부여되고 코어재(431)가 외재(432)에 대해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즉 상기 플런저(413)가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또는 몰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이동(왕복 이동)됨으로써 작용부(42)에 동력(운동)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전달부(43)[동력 전달 케이블(433)]가 코어재(431)와 외재(432)로 이루어지고, 코어재(431)가 외재(432)에 대해 이동되어 동력 전달이 행해지는 구성이므로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부(43) 및 작용부(42)에 전달하는 구성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어재(431)를 헐겁게 끼운 외재(432)에 의해 코어재(431)의 이동 경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동력원(41)에 의해 코어재(431)의 기단부(435)가 인장된 경우에 코어재(431)의 도중의 휨(이완)이 신장될 뿐이며 상기 신장된 위치로부터 앞쪽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등의 경우가 방지되고, 휜 부분에 대해서는 이 휜 코어재(431)의 형상이 외재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로부터 앞쪽까지, 즉 총 본체(310)까지 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코어재(431)가 길게 되어 있으므로 동력원(4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고, 또한 임의인 방향을 향한 총 본체(310)에 대해 상기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긴 코어재(431)에 의해 동력원(41)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총 본체(310)까지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다양한 반동 동작, 즉 단발 사격이나 연속 사격이나 혹은 사격의 반동의 강약 정도 등을 정확하게 총 본체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력 전달 케이블(433)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부(20)의 전방 측면의 도입 위치(25)로부터 본체 하우징부(20) 내에 도입되어도 좋고, 후 술하는 신호 케이블(34)의 기단부측의 도입 위치(26)로부터 도입되어도 좋다.
총 본체(310)의 외부(외면) 적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부(32)의 바닥면부(321)(받침부)에는 상기 동력 전달 케이블(433)이 연결되는 동시에, 신호 케이블(34)이 연결되어 있다. 신호 케이블(34)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닥면부(321)의 위치로부터 발광부(311) 및 수광 소자(312) 및 트리거 스위치(333) 및 게임 모드 선택용 스위치(335)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신호 케이블(34)은 발광부(311)의 발광 전원용, 수광 소자(312)의 전원용, 촬상 신호의 전송 및 그 제어 처리용 소요의 신호선 및 트리거 스위치(333) 및 스위치(335)의 절환 신호의 전송용 신호선을 묶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신호 케이블(34)은, 구체적으로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굴곡 가능한 소위 하네스(벨로우즈)에 삽통되고, 이 하네스의 외표면에는 예를 들어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보호재(보호 튜브)가 장착되어 있다. 신호 케이블(34)은 본체 하우징부(20)의 예를 들어 전방면측의 도입 위치(26)에 있어서 내부로 도입되는 동시에, 도입 위치(26)에서의 하네스의 기단부의 본체 하우징부(20)에의 고정에 의해 총 본체(3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신호 케이블(34)은 총 본체(310)의 도난 방지용으로서도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총 본체(310)의 본체 외부에 배치된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이 코어재(431)의 기단부(435)에 작용하고, 코어재(431)가 외재(432)에 대해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어 이 기계적인 이동에 수반하는 동력이 타격부(424)의 회전 아암(422)에 전달된다. 타격부(424)는 이 회전 아암(422)에 전달 된 동력을 받아, 총 본체(310)의 본체 내부에서 개방 위치(301)로부터 본체 내벽의 접촉 위치(302)로 이동하여 충돌하고, 총 본체(310)에 대해 총구부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의 충격력을 부여하여, 이에 의해 가상적인 사격시에 있어서의 반동이 발생된다.
도4는 상기 도1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의 모의총에 의한 사격 동작에 관한 제어계를 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격 게임 장치(1)에 있어서 총 본체(310)는 작용부(42), 트리거 스위치(333), 스위치(335) 및 발광부(311) 및 수광 소자(312)로 이루어지는 수광부(35)를 구비하고, 본체 하우징부(20)는 조작부(21), 모니터부(22), 스피커(23) 및 동력원(41) 및 주제어부(100), I/O 제어부(101),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 및 좌표 검출부(103)를 구비한다.
I/O 제어부(101)는 CPU를 구비하고, 트리거 스위치(333), 스위치(335) 및 주제어부(100)로부터의 신호 데이터의 입력이나,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 및 주제어부(100)에의 신호 데이터의 출력의 제어(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I/O 제어부(101)는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 및 I/O 제어부(101) 사이의 광학적인 신호 전달을 행하기 위한 포토 커플러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는 예를 들어 5V 내지 12V계 제어이며, 한쪽 I/O 제어부(101)는 예를 들어 100V계 제어이므로 양자의 제어 전압의 차이로부터 상기 포토 커플러에 의한 광학적인 신호 전달이 행해진다.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는 트리거 스위치(333), 스위치(335) 및 주제어부(10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동력원(41)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다.
좌표 검출부(103)는 수광부(35)로부터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즉 발광부(311)로부터 사출되어 스크린(222)에서 반사된 적외광 및 스크린(222)의 기준 위치에 배치된 적외 발광 소자로부터의 적외광이 수광 소자(312)에서 수광된 광스폿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총 본체(310)의 총구의 지향 위치를 기하적으로 계산하고, 총구의 지향 방향이나 스크린 상에서의 가상적인 착탄 위치(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좌표 검출부(103)는 적어도 착탄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것이라도 좋다.
주제어부(100)는 조작부(21), 모니터부(22), 스피커(23), I/O 제어부(101), 좌표 검출부(103), 수광부(35) 등의 장치 각 부분이 접속되어 있고, 게임 화상, 게임 프로그램, 효과음 등의 음향 데이터, 기타 게임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 처리 도중의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 및 게임 프로그램 등을 상기 ROM으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하는 CPU, 타이머 등을 구비하여, 조작부(21)로부터 입력된 조작 지령이나 사격 게임 장치(1)의 각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각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임 화상이라 함은 2차원 화상이나 3차원 화상이며, 풍경 화상이나 적(敵) 캐릭터, 그 밖의(예를 들어 사격이 빗나갔을 때의 착탄을 연출하는 근접 작렬 표시를 위해) 각종 오브젝트를 나타내고 있다.
주제어부(100)는 총 본체(310)의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되면[이 경우, 스위치(335)는 단발식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함], I/O 제어부(101)를 거쳐서 상기 온 신호(이후, 트리거 신호라 함)가 입력되고, 이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총 본체(310)의 발광부(331)를 구동시켜 적외광을 출사시키는 동시에, I/O 제어부(101)를 거쳐서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에 동력원(41)을 구동시키는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에 상기 지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동력원(41)의 구동을 실행시킨다. 즉,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에 펄스 전류를 공급하여 플런저(413)를 1회 몰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달부(43)의 코어재(431)를 1회만 인장시킨다.
주제어부(100)는 스위치(335)가 절환되어 연발식이 선택되면, 이 신호가 I/O 제어부(101)를 거쳐서 입력되고 연발식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RAM에 기억한다. 연발식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주제어부(100)는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되어 있는 동안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에 의해 동력원(41)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킨다(이 소정 시간 간격은 타이머에 의해 계측됨). 즉, 전자기 코일부(412)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펄스 전류가 공급되어 플런저(413)를 연속하여 왕복 운동시켜 코어재(431)를 단속적으로 인장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기관총 사격의 형태가 실현된다.
또한, 주제어부(100)는 코인 투입구(24)로부터 게임 개시 허가를 위한 소요 매수의 코인이 투입된 것을 도시하는 코인 검출부로부터의 신호 및 조작부(21)의 개시 버튼의 누름 등에 의해 입력된 게임 개시를 도시하는 신호, 혹은 총 본체(310)로부터의 각종 신호 등을 받아 ROM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등에 따라서 모니터부(22)에 게임 화상을 표시하거나, 스피커(23)로부터 착탄(적중이나 빗나감), 근접 작렬시 등의 효과음 등의 다양한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또한, 주제어부(100)는 게임 도중에 다른 플레이어가 상기 사격 게임에 참가하기 위해 코인 투입구(24)로부터 새롭게 코인이 투입되고, 개시 버튼의 누름에 의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시 버튼에 대응하는 총 본체(310)를 조작 가능하게 하여 동일 게임에 참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도3, 도4 및 도5 내지 도8을 이용하여 총 본체(310)의 사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총 본체(310)가 플레이어에 의해 파지되고, 트리거(332)가 당겨진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타격부(424)가 총 본체(310)의 내벽면에 접촉한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타격부(424)가 원래의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트리거(332)가 당겨진 상태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스위치(335)가 단발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332)가 당겨져 상기 트리거(332)가 수평축(331)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면 트리거(332)의 선단부가 트리거 스위치(333)의 가동편(334)에 접촉하여 가동편(334)을 변위시키고(누르고), 이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된다.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되면, 트리거 신호가 신호 케이블(34)을 경유하여 주제어부(100)에 입력되고, 이 입력을 기초로 하여 주제어부(100)로부터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에 동력원(41)의 구동을 행하게 하는 지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 동력원(41)의 전자기 코일부(412)에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스프링(4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플런저(413)가 전자기 솔레노이드(411)의 하우징 내를 향해 몰입되고, 코어재(431)가 외재(432)에 대해 화살표(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코어재(431)와 연결되어 있는 타격부(424)가 상기 소정 길이만큼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인장되고, 타격부(424)가 코일 스프링(304)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수평축(421)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B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즉 추(423)가 동력원(41)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개방 위치(301)로부터 접촉 위치(302)를 향해 회전 이동되어 방음 부재(303)에 충돌한다. 이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총 본체(310)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은 파지부(32)의 대략 중심[플레이어에 의한 총 본체(310)의 파지 중심(도면 생략)에 대응]에 대해, 총구부를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충격 반동으로서 총 본체(310)에 부여된다.
다음에, 도6에 있어서 전자기 코일부(412)에의 펄스 전류의 공급이 종료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14)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413)가 돌출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어재(431)가 외재(432)에 대해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반대로 이동한다(원래로 복귀됨). 이 결과, 타격부(424)는 코일 스프링(304)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H)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복귀된다.
다음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에 의해 트리거(332)를 당기는 힘이 약해지는 동시에, 트리거(332)에 가해져 있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도3에 도시한 원래의 위치까지 트리거(332)가 회전 이동하여 복귀되고 가동편(334)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트리거 스위치(333)가 오프된다. 도5 내지 도8 및 도3에 도시하는 동작은 사격(트리거를 당김)마다 반복된다.
또한, 스위치(335)가 연발식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 트리거(332)가 당겨진 후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되어 있는 동안 전자기 코일부(412)에의 주기적인 펄스 전류의 공급이 반복되고, 그 결과 타격부(424)의 화살표(B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의 회전, 추(423)의 방음 부재(303)에의 충돌 및 화살표(B1)에 나타내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반복하여 행해져 총 본체(310)에의 충격이 연속적으로 가해진다. 이에 의해, 총 본체(310)에 연속적인 충격 반동(기관총 사격의 반동)이 부여된다.
(제2 실시 형태)
도9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모의총[모의총(30a)]을 사격 게임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은 동일한 구성인 것을 나타낸다. 우선, 도9는 사격 게임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9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1a)와, 도1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1)에서는 모의총(30a)에 있어서의 총 본체(320) 및 총 본체(320)와 본체 하우징부(20)를 잇는 부분의 구성, 즉 작용부(60) 및 전달부(70)의 구성이나 신호 케이블(34)에 의한 총 본체(320)의 지지 구성이 다르다. 이들 구성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단, 그 밖의 구성은 도1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1)와 동일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0은, 도9에 도시한 모의총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총 본체(320)는 부분 단면도를 도시함].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본체(320)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총 본체(310)와 마찬가지로 총신부(31), 파지부(32) 및 트리거부(33)를 구비한 휴대형 총의 일반적인 구조를 모방한 것이며, 이 총 본체(320)에 반동 발생 장치(50)가 적용되어 있다. 반동 발생 장치(50)는 본체 하우징부(20) 내에 배치된 동력원(41), 동력이 작용하는 작용부(60) 및 동력원(41)으로부터의 동력을 작용부(6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70)를 구비한다.
전달부(70)는 동력원(41)과 작용부(60)를 연결하여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작용부(60)에 전달하는 것이며, 도2 및 도3에 도시한 코어재(431) 및 외재(432)와 동일 구조인 코어재(71) 및 외재(72)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케이블(73)로서 구성된다. 단, 외재(432)와 달리 외재(72)의 선단부(721)는 파지부(32)의 바닥면부(32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또한 코어재(431)와 달리 코어재(71)의 선단부는 파지부(32) 외부의 후술하는 연결 부재(61)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용부(60)는 연결 부재(61)와 고정구(6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연결 부재(61)는 전달부(70)와 총 본체(3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단부[설치 부위(611)]는 파지부(32)의 바닥면부(321)에 고정 설치되고, 선단부는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형상을 갖고 있다. 연결 부재(61)의 선단부에는 코어재(71)의 선단부와 연결되는 연결 부위(612)를 구비한다. 요컨대, 연결 부위(612)는 총 본체(320)의 외부 적소이며 신호 케이블(34)의 연결 부위(341)보다도 총구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전달부(70)와 총 본체(320)를 연결하고, 바닥면부(321)의 위치에 대해 이 연결 부위(612)를 당기면, 도면 중 시계 방향(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인 화살표(P)로 나타내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배치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연결 부재(61)는 파지부(3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1)의 설치 부위(611) 및 신호 케이블(34)의 연결 부위(341)가 파지부(32)의 하단부[여기서는, 바닥면부(321)]가 되므로 총 본체(320)에 신호 케이블(34)과 연결하는 장소나 연결 부재(61)의 설치 장소를 전용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총 본체(32O)를 보다 실제에 가까운 외관으로 할 수 있다.
고정구(62)는 외재(72)를 신호 케이블(34)과 실질적으로 일체화(일속화)하는 것이다. 고정구(62)는 탄성(가요성)을 갖고, 고정구(62)의 상단부 위치(621)로부터 하단부 위치(622)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튜브 형상의 것이고, 이 튜브 내에 신호 케이블(34)과, 코어재(71)가 삽통된 상태의 외재(72)가 함께 내장되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일체(일속)화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을 행하는 경우, 신호 케이블(34) 및 외재(72)[코어재(71)]는 상단부 위치(621)를 분기점으로 하여 신호 케이블(34)의 선단부측을 파지부(32)의 바닥면부(321)를 향해 굴곡시키고, 또한 외재(72)[코어재(71)]의 선단부측을 연결 부재(61)와의 연결 부위(612)를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재(72)와 신호 케이블(34)은 전부 일체화되지 않아도 되며, 적어도 신호 케이블(34)의 선단부 근방[총 본체(310)측의 일단부 근방]에서 외재(72)와 신호 케이블(34)이 일체화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고정구(62)에 의해 신호 케이블(34)을 이용하여 외재(72)를 신호 케이블(34)과 일체화시키도록 하여 고정시키므로 총 본체(320)에 대해 화살표(R)로 나타내는 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 상태에서 코어재(71)의 기단부(712)에 동력원(41)으로부터의 동력이 부여되어 외재(72)에 대해 코어재(71)가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코어재(71)를 이완시키지 않고 연결 부재(61)에 연결시키는 상태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져,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코어재(71)를 거쳐서 총 본체(320)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재(72)가 신호 케이블(34)에 대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코어재(71)가 이동할 때의 외재(72)의 형상 유지를 견고하고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고정구(62)로 일체화된 신호 케이블(34)과 외재(72)는[이후, 신호 케이블(34)과 외재(72)가 고정구(62)에 의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체화 케이블이라 함], 총 본체(320) 및 동력원(41) 사이의 도중 위치(623)에 있어서 한 쌍의 롤러(81, 82) 사이를 뻗어 나온 상태가 되고, 상기 일체화 케이블이 롤러(81, 82)에 의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유지(끼움 지지)되어 있다. 롤러(81, 82)는 각각 상기 롤러의 회전축 방향의 양단부측이 중간(중앙)부의 직경에 비해 굵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일체화 케이블이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롤러(81, 82)는 게임 중의 총 본체(320)의 위치보다도 하방 이고, 또한 총 본체(320)의 파지부(32)보다도 총구측을 향하는 전방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러(81, 82)는 사격 게임 장치(1a)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도출구(27)에 있어서의 본체 하우징부(20) 내의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축(811, 821)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롤러(81, 82)는 도11에 있어서의 사격 게임 장치(1a)의 개략 측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부(20)의 전후 방향으로 직렬, 또한 신호 케이블(34)의 인출 방향측이 소정 높이만큼 높아지기 위해, 즉 신호 케이블(34)이 도중 위치(623)에서 롤러(82) 상에 권취되도록 전방을 향해 굴곡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롤러(81, 82)에 의해 게임 중인 총 본체(320)의 위치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총 본체(320)의 파지부(32)보다도 총구측을 향하는 전방의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 일체화 케이블이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끼워져 유지되므로 총 본체(320)에 대한 동력이 총 본체(320)의 하방 전방으로부터, 즉 사격 게임 장치(1a)의 화면 방향[모니터부(22)]의 하방으로부터 부가되는 것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부터 총 본체(320)에 대한 견인력이 가해짐으로써 플레이어에게 파지된 총 본체(320)에 대해 파지부(32)를 지지점으로 하여 플레이어측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 결과 총구가 상방으로 확실하게 들어올려진다.
또한, 일체화 케이블이 바닥면에 평행한 2개의 롤러(81, 82)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므로, 이 일체화 케이블에 있어서의 상기 끼움 지지된 위치보다 하부의 고정구(62)의 자중[신호 케이블(34), 외재(72) 및 코어재(71)의 자중을 포함함]에 의한 화살표(U)로 나타낸 연직 방향 하향의 인장(인장력)을 이용하여, 연결 부재(61)에 연결되어 있는 코어재(71)[전달부(70)]의 팽팽한 상태, 예를 들어 부호 V로 나타내는 구간(구간 V)에 있어서의 코어재(71)의 상단부[외재(72)로부터 노출된 부분]가 항상 실질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해 둘 수 있다.
이에 의해, 동력 전달 케이블(73)[코어재(71)]이 이완된 상태가 되어 동력원(41)으로부터의 동력이 연결 부재(61)에 전달되지 않는, 즉 동력원(41)에 의해 코어재(71)의 기단부(712)가 외재(72)에 대해 소정 길이만큼 이동해도 이 소정 길이의 이동분이 구간 V에 있어서의 이완에 의해 흡수되어 버려[이완된 코어재(71)를 신장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버려], 기계적인 이동 동작이 연결 부재(61)에 전달되지 않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코어재(71)의 외재(72)에 대한 이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어 총 본체(320)에 대해 확실하게 반동(충격)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체화 케이블이 상기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식으로 연결된 롤러(81, 82)에 의해 끼움 지지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일체화 케이블을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인출하거나 밀어 되돌리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롤러(81, 82)에 의한 일체화 케이블의 끼움 지지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즉 총 본체(320)와 도출구(27)의 위치(도9 참조)의 거리를 임의의 길이로 변경할 수 있어 플레이어가 총 본체(320)를 잡고 자세를 취하는 위치를 임의로 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총 본체(320)는 총 본체(310)와 마찬가지로, 수광부(35), 트리거 스위치(333), 스위치(335)를 구비하고, 트리거(332)가 당겨지면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되고, 수광부(35)에 있어서의 발광부(311)로부터 적외광이 출사되는 동시에 동력원(41)이 구동되어 총 본체(320)에 대한 반동이 발생된다.
도12는 상기 도9에 도시한 사격 게임 장치(1a)의 모의총(30a)에 의한 사격 동작에 관한 제어계를 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사격 게임 장치(1a)의 사격 동작에 관한 제어계는, 총 본체(320) 및 반동 발생 장치(50)의 기계적인 구성 이외(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사격 게임 장치(1)와 동일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10, 도12 및 도13, 도14를 이용하여 모의총(30a)의 사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총 본체(320)가 플레이어에 의해 파지되고, 트리거(332)가 당겨진 시점의 내부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는 동력원(41)이 구동하고, 총 본체(320)에 반동이 부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스위치(335)가 단발식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하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에 의해 트리거(331)가 당겨져 상기 트리거(331)가 수평축(331)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면, 트리거(332)의 선단부가 트리거 스위치(333)의 가동편(334)에 접촉하여 가동편(334)을 변위시키고(누름),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된다.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되면, 트리거 신호가 신호 케이블(34)을 경유하여 주제어부(100)에 입력되고, 이 입력을 기초로 하여 주제어부(100)로부터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에 동력원(41)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원 구동 제어부(102)에 의해 동력원(41)의 전자기 코일부(412)에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스프링(4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플런저(413)가 전자기 솔레노이드(41l)의 하우징 내를 향해 몰입되고, 코어재(71)가 외재(72)에 대해 화살표(W)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코어재(71)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61)가 상기 소정 길이만큼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인장된다. 고정구(62)에 의해 외재(72)가 적어도 상단부 위치(621)의 근방에서 신호 케이블(34)과 일체화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총 본체(320)에 대해 총신부(31)에 대해 트리거(332)[트리거부(33)]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부(31)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힘(본 발명에서 말하는 반동)이 가해진다. 예를 들어, 도14에 있어서는 총 본체(320)가 신호 케이블(34)과의 연결 부위(341)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총구부측을 화살표(Q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회전시키려고 하는 회전력(충격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플레이어는 총구부측이 튀어오르는 듯한 리얼한 반동을 체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동력원(41)의 스프링(414)은 수축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14에 있어서 전자기 코일부(412)에의 펄스 전류의 공급이 종료되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14)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413)가 돌출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어재(71)가 외재(72)에 대해 화살표(Y)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반대로 이동한다(원래로 복귀됨). 그리고, 연결 부재(61)가 상기 소정 길이만큼 화살표(Z)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복귀됨으로써 총 본체(320)에 연결 부위(341)를 회전 지지점으로 한 총구부측을 화살표(Q1)로 나타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회전력이 부여된다.
그 후,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332)가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되어, 트리거 스위치(333)가 오프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332)의 복귀 동작은 총 본체(310)와 마찬가지로 동력원(41)[코어재(71)]에 의해 연결 부재(61)가 당겨지는 동작과는 무관하게 행하면 된다. 다음 사격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13, 도14 및 도10에 도시한 상태가 반복된다.
또한, 스위치(335)가 연발식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 트리거(332)가 당겨진 후 트리거 스위치(333)가 온되어 있는 동안 전자기 코일부(412)에의 주기적인 펄스 전류의 공급이 반복되고, 그 결과 연결 부재(61)를 당기거나 누르는 동작이 반복되어 총 본체(320)에의 충격이 연속적으로 가해진다. 이에 의해, 총 본체(320)에 연속된 충격 반동(기관총 사격의 반동)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모의총[30(30a)]에 따르면 동력원(41)이 총 본체[310(320)]의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이 동력원(41)과 작용부[42(60)]를 연결하는 전달부[43(70)]에 의해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이 총 본체[310(320)]의 본체 적소에 설치된 작용부[42(60)]에 전달되고, 이 동력이 전달된 작용부[42(60)]에 의해 총신부(31)에 대해 트리거(332)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부(31)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총 본체[310(320)]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은 전달부[43(70)]를 경유하여 작용부[42(60)]에 전달되고, 동력을 받은 작용부[42(60)]에 의해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이 총 본체[310(320)]에 부여되고, 이에 의해 가상적인 사격시에 있어서의 반동이 발생되 는 구성이므로 동력원(41)이 총 본체[310(320)]의 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총 본체[310(320)]를 보다 소형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동력원(41)의 파워 여하에 따라 소요의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회전, 즉 가상적인 사격시에 총 본체[310(320)]의 총구가 튀어오르는 듯한 리얼한 반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43(70)]가, 긴 코어재[431(71)]와 이 코어재[431(71)]를 헐겁게 끼우고 그 선단부측이 총 본체[310(320)]에 대해 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이루어지는 외재[432(72)]로 이루어지고, 동력원(41)에 의해 코어재[431(71)]가 외재[432(72)]에 대해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고, 이 기계적인 이동 동작이 작용부[42(60)]에 전달되기 때문에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부[43(70)]를 거쳐서 작용부[42(60)]에 확실하게 전달하는 구성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어재[431(71)]가 길게 되어 있으므로 동력원(4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이고, 또한 임의인 방향을 향한 총 본체[310(320)]에 대해 상기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긴 코어재[431(71)]에 의해 동력원(41)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총 본체[310(320)]까지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다양한 반동 동작, 즉 단발 사격이나 연속 사격이나 혹은 사격의 반동의 강약 정도 등을 정확하게 총 본체[310(320)]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작용부(42)에는 총 본체(310)의 내벽에 대해 이격된 위치[공간(300)의 개방 위치(301)]로부터 상기 내벽과 접촉하는 위치[접촉 위치(30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타격부(424)가 구비되고, 코어재(431)의 선단부가 이 타격부(424)에 연결되고 외재(432)의 선단부가 총 본체(310)[파지부(32)]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타격부(424)가 동력을 받아 개방 위치(301)로부터 접촉 위치(302)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타격부(424)가 외재(432)에 대해 코어재(431)에 의한 기계적인 이동에 수반하는 동력을 받고, 총 본체(310)의 내부에서 개방 위치(301)로부터 본체 내벽의 접촉 위치(302)로 이동하여 충돌하기 때문에 총 본체(310)에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동을 부여하는 구성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타격부(424)에는 일단부에 전달부(43)가 연결된 회전 아암(422)과, 이 회전 아암(422)의 타단부에 설치된 추(423)와, 총 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 아암(422)을 중간에서 저어널식으로 연결하여 추(423)를 개방 위치(301)와 접촉 위치(302)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수평축(421)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격부(424)가 회전 아암(422)에 의해 전달부(43)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추(423)와 함께 수평축(421)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 위치(301)와 접촉 위치(302)의 사이에서 회전(이동)하기 때문에, 이 수평축(421)에 의한 회전 아암(422) 및 추(423)의 축 주위 회전을 이용하여 총 본체(310)에 대해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타격부(424)가 총 본체(310) 내부의 총신부(31)의 후방부측에 배치되므로, 타격부(424)는 총신부(31)의 후방부 위치의 총 본체(310) 내부로부터 상기 총 본체(310)를 타격하기 위해 총 본체(310)의 내부측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어 오 는 감각을 얻을 수 있어 보다 리얼한 반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형화된 타격부(424)를 총 본체(310)에 내장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고 미관이 좋은 총 본체(3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총 본체(320)의 외부 적소에는 전기 신호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34)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작용부(60)가 총 본체(320)의 외부 적소이며 신호 케이블(34)의 연결 부위(341)에 대해 총구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 설치된 코어재(71)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61)와, 외재(72)를 신호 케이블(34)과 실질적으로 일체화하는 고정구(62)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구(62)가 외재(72)와 신호 케이블(34)을 실질적으로 일체화시키고 연결 부재(61)가 총 본체(320)의 외부 적소에 있어서의 신호 케이블(34)의 총 본체(320)와의 연결 부위(341)에 대해 총구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서 총 본체(320)와 코어재(71)의 연결을 행하여, 외재(72)에 대한 코어재(71)의 기계적인 이동에 수반되는 동력을 총 본체(320)의 외부에 부여하기 때문에 반동 발생 장치(50)의 모든 구성을 총 본체(320)의 내부에 형성하는 일 없이 총 본체(320)에 대해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외재(72)가 신호 케이블(34)에 대해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코어재(71)가 이동할 때의 형상 유지를 견고하고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케이블(34)을 이용하여 외재를 외부 케이블과 일체화(일속화)시키도록 하여 고정시키므로 코어재(71)를 이완시키지 않고 연결 부재(61)에 연결시키는 상태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져, 동력원(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코어재(71)를 거쳐서 확실하게 총 본체(3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케이블(34)의 총 본체(320)와의 연결 부위(341) 및 연결 부재(61)의 설치 부위(611)가 파지부(32)의 하단부 위치가 되므로 총 본체(320)를 보다 실제에 가까운 외관을 유지하면서 총 본체(320)에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동을 부여하는 구성을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롤러(81, 82)(가이드 부재)에 의해 게임 중인 총 본체(320)의 위치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총 본체(320)의 파지부(32)보다도 총구측을 향하는 전방의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 고정구(62)에 의해 일체화된 신호 케이블(34)과 외재(72)(일체화 케이블)가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한 도중 위치(623)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끼워져 유지되기 때문에, 총 본체(320)에 대한 동력이 상기 총 본체(320)의 하방 전방, 예를 들어 사격 게임 장치(1a)에서는 화면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부가된다. 그리고, 이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부터 총 본체(320)에 대한 견인력이 가해짐으로써 플레이어에게 파지된 총 본체(320)는 파지부(32)를 지지점으로 하여 플레이어측(후방)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 결과 총구가 상방으로 확실하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또한, 일체화된 신호 케이블(34)과 외재(72)가 바닥면에 평행한 2개의 롤러(81, 82)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롤러(81, 82) 사이에 끼워진 위치보다 하부의 고정구(62)의 자중[신호 케이블(34), 외재(72) 및 코어재(71)의 자중을 포함함]에 의한 인장을 이용하여 연결 부재(61)에 연결되어 있는 코어재(71)[전달부(70)]의 팽팽한 상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이에 의해 코어재(71)의 외재(72)에 대한 이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력원(41)을 전달부[43(70)]의 코어재[431(71)]의 기단부에 연결된 플런저(413)를 몰입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411)로 구성하였으므로 동력원(41)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태양을 취할 수 있다.
(A) 사격 게임 장치(1, 1a)의 총 본체의 형상은, 총 본체[310(32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리볼버식 총의 형상이라도 좋고 기관총을 모방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총 본체[310(320)]가 스위치(335)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좋다.
(B) 총 본체[310(320)]에 있어서의 트리거의 형태는, 트리거(332)와 같이 소정의 축[수평축(3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당김 조작이 행해지는 형태가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당김 조작이 행해지는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 트리거 스위치도 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트리거(332)에 맞추어 온 오프의 절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C) 총 본체(310)의 개방 위치(301)에 있어서의 타격부(424)의 전방(총구부측) 위치에 타격부(424)의 전방부가[화살표(B1)로 나타내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상 위치로 복귀되어 왔을 때에] 총 본체(310)의 내벽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 부재(소위 스톱퍼)를 형성해도 좋다.
(D) 신호 케이블(34)은 신호선이 배선되고, 또한 총 본체[310(320)]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보호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하네스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E) 도1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케이블(34)에 의해서만 총 본체[310(320)]를 지지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적재하거나 계지하는 형태로 각 모의총을 배치해 두기 위한 받침대, 또는 지지체(예를 들어, 지지 기둥)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신호 케이블(34)은 플레이어에 의한 총 본체[310(320)]의 이동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유연성이 높은(보다 가요성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F) 고정구(62)는 튜브가 아니라도 좋고, 소정의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고정구(62)는 1개의 튜브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고,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상단부 위치(621) 근방과 롤러(81, 82)에 의해 끼움 지지되는 도중 위치(623) 근방과 하단부 위치(622) 근방의 3개의 부분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G) 도1에 도시하는 사격 게임 장치(1)에 있어서, 신호 케이블(34)과 전달부(43)를 개별적으로 뻗어나오게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이 변동되지 않도록 상기 튜브[고정구(62)]나 테이프에 의해 일체화해도 좋다. 또한, 사격 게임 장치(1)의 신호 케이블(34)에 대해 사격 게임 장치(1a)에 도시한 롤러(81, 82)를 이용한 지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H)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롤러(81, 82)로 신호 케이블(34)(일체화 케이블)을 끼움 지지하지 않아도 좋고, 3개 이상(또는 2쌍 이상)의 롤러로 끼움 지지해도 좋다. 또한, 각 롤러의 배치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옮기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직렬로) 배치되지 않아도 좋고 좌우 방향, 혹은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좋 다. 또한, 롤러에 의해 끼움 지지되는 형태가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어 일체화 케이블의 주위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볼체에 의해 끼움 지지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I) 동력원(41)은 펌프(펌프식 동력 장치)를 채용해도 좋고, 이 경우 전달부[43(70)]는 압전달용 회로계를 채용한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모의총은 사격 게임에 있어서의 가상적인 사격에 수반하여 총신에 대해 방아쇠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반동을 발생하는 모의총이며, 총의 본체와 상기 총의 본체 적소에 설치되고 상기 총구를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작용부와, 상기 총의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과 상기 작용부를 연결하고 상기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작용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은 전달부를 경유하여 총 본체 내에 설치된 작용부에 전달된다. 작용부는 동력의 전달을 받으면, 총신에 대해 방아쇠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방향(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을 총 본체에 부여하고, 이에 의해 가상적인 사격시에 있어서의 반동이 발생된다.
이로부터, 동력원이 총 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총 본체를 보다 소형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동력원의 파워 여하에 따라 소요의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총신에 대해 방아쇠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 즉 가상적인 사격시에 총 본체의 총구측이 튀어오르는 듯한 리얼한 반동이 얻어지는 모의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작용부에 접속되는 긴 코어재와, 이 코어재를 여유를 둔 상태에서 내측으로 끼워 넣고, 선단부측이 총의 본체에 대해 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외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원은 상기 코어재의 타단부에 상기 외재에 대해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전달부에 외재가 없고, 단순히 코어재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이 코어재의 기단부에 작용해도(인장되는 동작을 해도) 그 코어재 도중의 휨을 흡수하는 데 그쳐, 총 본체의 작용부까지 동력이 전달되는 일은 없다. 이는, 본 발명이 코어재를 길게 구성하는 것에 한정하고 있는 것으로부터도 나타낸 바와 같이, 총 본체가 받침대 등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어가 손에 들고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자유도를 확보하는 사격 게임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전달부에는 만곡부나 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점, 상기 구성에 따르면 코어재를 여유를 둔 상태에서 내측으로 끼워 넣은 외재에 의해 코어재의 이동 경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동력원에 의해 코어재의 타단부가 인장된 경우에 코어재의 도중의 휨이 신장되는 것만으로 그 앞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등의 경우가 없어 휜 부분에 대해서는 그 형상이 외재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그 앞까지, 즉 총 본체에까지 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은 코어재의 타단부에 작용하여 외재에 대해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고, 이 기계적인 이동 동작이 작용부에 전달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전달부가 코어재와 외재로 이루어지고, 동력원에 의해 코어재가 외재에 대해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고, 이 기계적인 이동 동작이 작용부에 전달되는 구성이므로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부를 거쳐서 작용부에 확실하게 전달하는 구성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어재가 길게 되어 있으므로 동력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고, 또한 임의인 방향을 향한 총 본체에 대해 상기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긴 코어재에 의해 동력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총 본체까지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다양한 반동 동작, 즉 단발 사격이나 연속 사격이나 혹은 사격의 반동의 강약 정도 등을 정확하게 총 본체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총의 본체 내부에 본체 내벽에 대해 떨어진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를 이동 가능한 타격부를 갖고, 상기 코어재의 일단부는 상기 타격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재의 일단부는 상기 총의 본체에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동력을 받아 상기 본체 내벽에 대해 떨어진 위치로부터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타격부는 외재에 대해 코어재에 의한 기계적인 이동에 수반하는 동력을 받고, 총의 본체 내부에서 본체 내벽에 대해 떨어진 위치로부터 본체 내벽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충돌한다.
이와 같이, 타격부가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총 본체 내벽에 대해 떨어진 위치로부터 본체 내벽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이 접촉 위치에서 충돌하기 때문에, 총 본체에 대해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동을 부여하 는 구성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타격부는 일단부측에 상기 전달부가 연결된 아암과, 이 아암의 타단부에 설치된 추와, 상기 추가 상기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와 상기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아암을 그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타격부는 아암이 전달부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추와 함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총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지지축에 의한 아암 및 추의 축 주위 회전을 이용하여, 총 본체에 대해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을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타격부는 총신의 후방부측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타격부는 총신의 후방부측의 총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총 본체를 타격한다. 타격부의 상기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은 총신의 후방부측에서 발생되는 것이 되지만, 파지부는 게임 중 플레이어에 의해 파지되어 있고 느슨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총신은 발생된 충격에 의해 플레이어에 의해 파지된 파지부와 총신의 연결부 근방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고, 이 결과 총구가 급격하게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레이어는 총 본체의 내부측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어 오는 감각을 얻을 수 있어 보다 리얼한 반동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형화된 타격부를 총 본체에 내장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고 미관이 좋은 총 본 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총 본체의 외부 적소에는 전기 신호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외부 케이블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총 본체의 외부 적소이며 상기 외부 케이블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기 총구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외재를 상기 외부 케이블로 실질적으로 일체화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고정구는 외재와 외부 케이블을 실질적으로 일체화하고, 연결부는 총 본체의 외부 적소에 있어서의 외부 케이블의 총 본체와의 연결 위치보다도 총구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서 총 본체와 코어재의 연결을 행하여, 외재에 대한 코어재의 기계적인 이동에 수반하는 동력을 총 본체의 외부에 부여한다. 또한, 이와 같이 총 본체의 외부, 즉 총 본체 전체에 대해 동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외재의 형상 고정을 클레임 1의 구성에 비해 보다 견고하게 할 필요가 있다. 외재의 형상 고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외재 자체를 두께가 일정 강도를 갖는 것으로 하면 좋지만, 이러한 종류의 사격 게임에 사용되는 총(총 본체)에 필수적인 구성인 전기 신호의 교환을 행하는 외부 케이블이 이미 존재하고 있고, 게다가 이 외부 케이블은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므로 본 클레임에서는 이 외부 케이블이 유효하게 활용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총 본체에 대해 반동을 발생시키는 모든 구성을 총 본체 내부에 형성하는 일 없이 총 본체에 대해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동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재가 외부 케이블에 대해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 이므로, 외재의 목적인 코어재가 이동할 때의 형상 유지를 견고하고 확실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총 본체 전체에 동력을 부여하는 경우라도 상기 외부 케이블을 이용하여, 즉 외재를 외부 케이블과 일체화(일속화)시키도록 하여 고정시키므로, 코어재를 이완시키지 않고 연결부에 연결시키는 상태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지고,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코어재를 거쳐서 확실하게 총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블의 총 본체의 연결 위치 및 상기 연결부의 설치 위치는 상기 총 본체의 파지부의 하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총 본체는 파지부에 있어서 연결부가 설치되고 또한 외부 케이블과 연결된다. 즉, 외부 케이블의 총 본체와의 연결 위치 및 연결부의 설치 위치가 총 본체의 파지부(파지부의 하단부 위치)가 되므로 총 본체를 보다 실제와 가까운 외관을 유지하면서, 총 본체에 대해 총구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동을 부여하는 구성을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고정구에 의해 일체화된 상기 외부 케이블과 상기 외재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유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게임 중인 총 본체의 위치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총 본체의 파지부보다도 총구측을 향하는 전방의 영역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는 게임 중인 총 본체의 위치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총 본체의 파지부보다도 총구측을 향한 전방의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 고정구에 의해 일체화된 외부 케이블과 외재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유지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에 의해 게임 중인 총 본체의 위치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총 본체의 파지부보다도 총구측을 향한 전방의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 고정구에 의해 일체화된 외부 케이블과 외재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유지되므로, 총 본체에 대한 동력이 총의 하방 전방으로부터 구체적인 예로서 사격 게임 장치 등에서는 화면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부가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부터 총 본체에 대한 견인력이 가해짐으로써 플레이어에게 파지된 총 본체는 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플레이어측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결과 총구가 상방으로 확실하게 들어올려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 부재는 바닥면에 대해 서로 평행한 축에 지지된 한 쌍의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바닥면에 평행한 2개의 롤러는 상기 롤러 사이에 고정구에 의해 일체화된 외부 케이블과 외재를 끼움 지지한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외부 케이블과 외재가 바닥면에 평행한 2개의 롤러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므로 롤러 사이에 끼워진 위치보다 하부의 고정구의 자중(외부 케이블, 외재 및 코어재의 자중을 포함함)에 의한 인장을 이용하여,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코어재(전달부)의 팽팽한 상태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코어재의 외재에 대한 이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동력원은 상기 전달부의 코어재의 타단부에 연결된 플런저를 몰입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와 상기 플런저에 출현 방향으로의 힘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기 솔레노이드가 여자되고 플런저가 몰입 방향으로 구동되면, 코어재는 플런저측으로의 기계적인 이동에 수반하는 동력을 발생하고, 한편 소자되면 가압 부재에 의해 플런저는 출현 방향으로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동력원을 전자기 솔레노이드와 가압 부재로 이루어지는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서 어떠한 기능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기재되어 있는 것은, 그들의 기능을 달성하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들의 기능을 달성하는 유닛, 부분 등의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사격 게임에 있어서의 가상적인 사격에 수반하여, 총신에 대해 방아쇠가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상기 총신의 총구를 이동시키는 반동을 발생시키는 모의총이며,
    총의 본체와,
    상기 총의 본체 적소에 설치되고 상기 총구를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작용부와,
    상기 총의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과 상기 작용부를 연결하여 상기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작용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작용부에 접속되는 긴 코어재와, 이 코어재를 여유를 둔 상태에서 내측으로 끼워 넣고, 선단부측이 총의 본체에 대해 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외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원은 상기 코어재의 타단부에 상기 외재에 대해 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총의 본체 내부에 본체 내벽에 대해 떨어진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를 이동 가능한 타격부를 갖고, 상기 코어재의 일단부는 상기 타격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재의 일단부는 상기 총의 본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동력을 받아 상기 본체 내벽에 대해 떨어진 위치로부터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일단부측에 상기 전달부가 연결된 아암과, 이 아암의 타단부측에 설치된 추와, 상기 추가 상기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와 상기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아암을 그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총신의 후방부측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 본체의 외부 적소에는 전기 신호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외부 케이블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총 본체의 외부 적소이며 상기 외부 케이블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기 총구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외재를 상기 외부 케이블과 실질적으로 일체화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블의 총 본체와의 연결 위치 및 상기 연결부의 설치 위치는 상기 총 본체의 파지부의 하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 의해 일체화된 상기 외부 케이블과 상기 외재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유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게임 중인 총 본체의 위치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총 본체의 파지부보다도 총구측을 향하는 전방의 영역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바닥면에 대해 서로 평행한 축에 지지된 한 쌍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전달부의 코어재의 타단부에 연결된 플런저를 몰입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와, 상기 플런저에 출현 방향으로의 힘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총.
  10. 삭제
KR1020067021364A 2004-03-16 2005-02-28 모의총 KR100849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3719 2004-03-16
JP2004073719A JP3971397B2 (ja) 2004-03-16 2004-03-16 模擬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051A KR20060128051A (ko) 2006-12-13
KR100849558B1 true KR100849558B1 (ko) 2008-07-31

Family

ID=3497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364A KR100849558B1 (ko) 2004-03-16 2005-02-28 모의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23623B2 (ko)
EP (1) EP1731869A4 (ko)
JP (1) JP3971397B2 (ko)
KR (1) KR100849558B1 (ko)
WO (1) WO2005088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5047B2 (ja) * 2006-10-13 2012-03-28 株式会社セガ 模擬銃
US8690575B1 (en) 2008-11-03 2014-04-08 ACME Worldwide Enterpris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 weapon simulator
WO2010080766A2 (en) * 2009-01-06 2010-07-15 Immersion Corporation Programmable game-based haptic enabled gun controller
TWM395149U (en) * 2010-05-21 2010-12-21 Yih Kai Entpr Co Ltd Recoil shock device in toy gun
US8449346B2 (en) * 2010-12-07 2013-05-28 Tsung-Ming Lee Backward momentum transferring mechanism for toy gun
US10852093B2 (en) 2012-05-22 2020-12-01 Haptech,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ptic systems
US9146069B2 (en) 2012-05-22 2015-09-29 Hap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arm recoil simulation
KR101402421B1 (ko) * 2013-12-26 2014-06-03 오슬기 총포음발생장치가 구비된 완구용총
TWM494902U (zh) * 2014-05-16 2015-02-01 Kriss Ind Asia Ltd 玩具槍槍機結構
JP6220083B2 (ja) * 2014-11-04 2017-10-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操作装置
JP2018131738A (ja) * 2017-02-13 2018-08-23 株式会社エムズ 打撃力発生装置
FR3086185B1 (fr) * 2018-09-20 2023-06-16 Protubevr Dispositif de retour de force mecanique concu pour simuler un impact physique lors d'un evenement de jeu video.
US11738259B2 (en) 2019-07-02 2023-08-29 Var Live International Limited Gun vibration structure for somatosensory games
CN217092039U (zh) 2022-02-24 2022-08-02 瑞声开泰声学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力反馈装置和包括该力反馈装置的手柄
CN217794462U (zh) 2022-03-02 2022-11-15 瑞声开泰声学科技(上海)有限公司 力反馈装置
CN217794461U (zh) 2022-03-02 2022-11-15 瑞声开泰声学科技(上海)有限公司 力反馈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8494A (ja) * 1998-09-18 2000-03-31 Howa Mach Ltd 射撃反動再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0248A (en) * 1976-08-27 1978-05-10 Arco Ind Ltd Toy guns
US4302190A (en) 1979-12-19 1981-11-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ifle recoil simulator
US4480999A (en) 1983-11-07 1984-11-06 Advanced .45 Technology Firearm recoil simulator
USH186H (en) * 1986-05-16 1987-01-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ecoil simulator for weapons
US5569085A (en) * 1994-07-29 1996-10-29 Namco Limited Gun game machine having a sliding gun barrel cover for simulating the impact of a fired gun
JP3140971B2 (ja) * 1996-10-17 2001-03-05 株式会社ナムコ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2998664B2 (ja) * 1996-11-20 2000-01-11 コナミ株式会社 模擬連発銃
JPH1186038A (ja) * 1997-03-03 1999-03-30 Sega Enterp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媒体並びにゲーム機
US6088021A (en) * 1998-06-03 2000-07-11 Gateway, Inc. Peripheral input device having a retractable co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8494A (ja) * 1998-09-18 2000-03-31 Howa Mach Ltd 射撃反動再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1869A1 (en) 2006-12-13
WO2005088229A1 (ja) 2005-09-22
JP3971397B2 (ja) 2007-09-05
KR20060128051A (ko) 2006-12-13
EP1731869A4 (en) 2008-11-12
JP2005265200A (ja) 2005-09-29
US20070184909A1 (en) 2007-08-09
US8123623B2 (en)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558B1 (ko) 모의총
US5569085A (en) Gun game machine having a sliding gun barrel cover for simulating the impact of a fired gun
AU2002301616B2 (en) Optical Device Controller in the Type of Imitative Gun
AU723765B2 (en) Model gun for shooting game machine
JP2004041525A (ja) ビデオゲーム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998664B2 (ja) 模擬連発銃
JP4867586B2 (ja) ゲーム装置
JP2533285B2 (ja) テレビゲ―ム機の光線銃
JPH0889661A (ja) ガンゲーム機
KR101715114B1 (ko) 빔 발사 잠금 기능을 갖는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KR20120012352A (ko) 홀센서를 이용한 사격게임용 총 및 사격게임시스템
KR102451556B1 (ko) 햅틱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100849A (ko) 체감형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KR101706170B1 (ko)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US6890178B2 (en) Digital pistol
JP2005131096A (ja) 遊技機
JP3193261U (ja) 赤外線発射装置
JP3767651B2 (ja) 空気弾発生装置
JPH10244073A (ja) 射撃ビデオゲーム装置
KR102170330B1 (ko)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JP4517721B2 (ja) 模擬銃操作入力装置および射撃ゲーム装置
JP3337070B2 (ja) ガンゲーム機
JP3786189B2 (ja) ガンゲーム機
CN212931161U (zh) 训练用激光手枪
JPH0838740A (ja) ガン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