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330B1 -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 Google Patents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330B1
KR102170330B1 KR1020180143136A KR20180143136A KR102170330B1 KR 102170330 B1 KR102170330 B1 KR 102170330B1 KR 1020180143136 A KR1020180143136 A KR 1020180143136A KR 20180143136 A KR20180143136 A KR 20180143136A KR 102170330 B1 KR102170330 B1 KR 10217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cylinder
game gun
gun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703A (ko
Inventor
신재중
윤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14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9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aiming at specific areas on the display, e.g. light-gu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4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coustic signals, e.g. for simulating revolutions per minute [RPM] dependent engine sounds in a driving game or reverberation against a virtu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4Acoustical simulation of gun fire, e.g. by pyrotech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6Recoil si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게임용 총의 본체에 장착되는 실린더; 이 실린더의 양쪽 단부 외주에 각각 권취되고, 전원이 소정시간 간격으로 교번적으로 인가 및 단락되는 전방 및 후방코일; 배기홀을 구비하여 실린더의 양쪽 단부내에 각각 결합되는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 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전방 및 후방코일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자성체 피스톤; 및 게임용 총의 방아쇠에 연동하여 전방 및 후방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사격 시 게임용 총을 파지한 유저의 손에 실제 총으로 사격하는 것처럼 사격에 따른 진동을 유발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음향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사격음이 충분히 발생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Vibration and sound device for game gun}
본 발명은 각종 슈팅 게임기 등에 사용되는 게임용 모형총(이하 "게임용 총"이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기구적 구성으로 사격 시 게임용 총을 파지한 유저의 손에 실제 총으로 사격하는 것처럼 사격에 따른 진동을 유발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음향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총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유저가 실제로 사격을 하는 듯한 현실감을 느끼면서 흥미를 만끽하도록 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자오락 게임은 오래전부터 어린이와 청소년을 주축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발달된 PC와 더불어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온라인 게임의 급격한 활성화를 가져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한 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 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게임의 종류도 단순 두뇌 게임을 비롯하여 각종 슈팅 게임이나 스포츠 게임 및 모터사이클이나 자동차 경주 게임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있어 유저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적합한 게임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게임들 중에서 슈팅게임의 경우에는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적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하고, 플레이하는 유저가 게임용 총을 직접 파지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표적을 향해서 사격함으로써 명중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단순히 조이스틱이나 버튼, 또는 마우스 등으로 조작하는 여타의 게임들에 비해서 유저가 보다 향상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에 따라 많은 이용자들로부터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슈팅게임의 일례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9719호를 들 수 있는데, 이 기술은 게임용 총에 단순히 메인회로기판과 표적을 식별하기 위한 광센서 등을 내장하여 사격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격 시 게임용 총을 직접 파지하고 방아쇠를 당기는 동작 외에 사격 시 유발되는 진동을 전혀 느낄 수 없을 뿐 아니라, 사격 시 발생하는 사격음도 별도의 전자음향수단에 의해서 구현되기 때문에 유저가 실제 사격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지 못하여 유저의 흥미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한편, 이와 같은 게임용 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7377호에는 기구적으로 이루어진 격발장치를 함께 구비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된 표적을 향해 사격 시 격발장치가 방아쇠에 연동하여 동시에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자음향수단 없이 사격음을 발생시킴과 함께 유저의 손에 진동이 유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사격 시 격발장치가 작동하면서 사격음을 발생하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의 현실감을 부여할 수는 있으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사격 시 유저의 손에 전달되는 진동도 미미하여 실제 사격과 같은 느낌을 충분히 제공하기 곤란하였다.
즉, 방아쇠에 연동하는 요동링크에 의해 공이치기가 일정각도범위를 탄성적으로 왕복 회동하면서 격발음 발생판을 타격하는 구조인 바, 사격 시 진동발생이 미미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른 사격음도 그다지 현실적이지 못해 실사격의 느낌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권총과 같은 단발 내지 연사의 느낌은 제공할 수 있지만, 기관총과 같이 다수의 표적을 향한 긴박하고 속도감 있는 난사의 효과는 제공할 수 없어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게임 화면 속 표적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9719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73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기구적 구성으로 사격 시 게임용 총을 파지한 유저의 손에 실제 총으로 사격하는 것처럼 사격에 따른 진동을 확실하게 유발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음향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사격음이 충분히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유저가 실제로 사격을 하는 듯한 현실감을 느끼면서 흥미를 만끽할 수 있는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면 속에 디스플레이 되는 표적의 상황에 따라 단발과 연사는 물론 다수의 표적들을 향한 즉각적 난사가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표적의 디스플레이 상황에 맞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플레이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는, 게임용 총의 본체에 장착되는 실린더; 이 실린더의 양쪽 단부 외주에 각각 권취되고, 전원이 소정시간 간격으로 교번적으로 인가 및 단락되는 전방 및 후방코일; 배기홀을 구비하여 실린더의 양쪽 단부내에 각각 결합되는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 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전방 및 후방코일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자성체 피스톤; 및 게임용 총의 방아쇠에 연동하여 전방 및 후방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실린더에 자성체 피스톤의 전진 및 후퇴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전방 및 후방센서를 더 포함하여 콘트롤러가 전방 및 후방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방 및 후방코일에 대한 전원인가를 단속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후방 충돌부재에 자성체 피스톤의 이동을 가속시키는 가속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보다 강한 진동과 사격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체 피스톤은 강한 자성을 구유한 네오디뮴 마그네트(neodymium magnet)로 구성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린더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한 구리재 또는 알루미늄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실린더에 열방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열수단은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린더의 외주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핀(放熱f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가 내열성이 우수한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복적으로 충돌되는 자성체 피스톤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충돌부재의 자성체 피스톤 충돌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피스톤 스토퍼가 인서트(insert) 되어서 게임용 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성체 피스톤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에 의하면, 게임용 총의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전원이 교번적으로 인가되는 전방 및 후방코일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서 자성체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전후로 빠르게 왕복이동하면서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를 타격하게 되는 바, 사격 시 게임용 총을 파지한 유저의 손에 실제 총으로 사격하는 것처럼 사격에 따른 진동을 확실하게 유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자성체 피스톤의 충돌에 의해 사격음도 충분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후방 충돌부재에 가속스프링이 구비되어서 자서체 피스톤에 탄성반발력을 부여함으로써 자성체 피스톤을 더욱 빠르게 가속시키게 되므로 유저의 손에 절달되는 진동과 사격음 발생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기구적 구성으로 실사격과 같은 진동과 사격음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마치 유저가 실제로 사격을 하는 듯한 현실감을 확실하게 느끼면서 흥미를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성체 피스톤이 전후로 빠르게 왕복 이동하면서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에 충돌하므로 화면 속에 디스플레이 되는 표적의 상황에 따라 단발과 연사는 물론 다수의 표적들을 향한 즉각적인 난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표적의 디스플레이 상황에 맞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슈팅게임의 플레이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슈팅게임의 현실성과 플레이 만족도 및 신뢰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가 게임용 총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1)는, 게임용 총(G)의 본체(B)에 장착되는 실린더(10)와, 이 실린더(10)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코일(20)(30)과, 실린더(1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와,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에 충돌하는 자성체 피스톤(80) 및 게임용 총(G)의 방아쇠(T)에 연동하여 전방 및 후방코일(20)(30)에 대한 전원인가를 단속하는 콘트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10)는 양쪽 선단에 후술한 엔드플레이트(80)를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11)(12)를 가지며, 각 플랜지(11)(12)에는 복수의 나사구멍(11a)(12a)이 소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10)는 자성체 피스톤(60)의 왕복이동 시에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구리재나 알루미늄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열방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열수단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의 외주에 그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환형 방열핀(放熱fin: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실린더(10)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일정길이 구간에는 전방 및 후방코일(20)(30)을 권취할 수 있도록 방열핀(13)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각 방열핀(13)에는 전방 및 후방코일(20)(30)에 대해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21)(31)이 지나가는 전선구멍(13a)들이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코일(20)(30)은 실린더(10)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방열핀(13)이 형성되지 않은 일정길이의 구간에 각각 권취된다. 이러한 전방 및 후방코일(20)(30)은 전선(21)(31)을 통해 콘트롤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트롤러(12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상호간에 교번적으로 인가 및 단락된다.
즉, 전방코일(20)에 전원이 인가되면 후방코일(30)은 단락되고, 반대로 후방코일(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방코일(20)은 단락되는 것이다. 이는 전방 및 후방코일(20)(30)이 일종의 솔레노이드(solenoid)를 각각 구성하여 전원이 인가될 경우 그 내부, 즉 실린더(10)의 양쪽 단부에 교번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해 줌으로써 실린더(10)의 내부에 수용된 자성체 피스톤(60)이 전방 및 후방코일(20)(30)이 번갈아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전방 및 후방코일(20)(30)들에 대한 전원인가의 단속은 콘트롤러(120)에 타이머 등을 구비하여 소정시간 간격으로 전원을 단속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실린더(10)에 자성체 피스톤(80)의 전방 및 후방위치를 감지하여 콘트롤러(120)로 송출하는 전방 및 후방센서(40)(50)를 더 구비하여서 이들 전방 및 후방센서(40)(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콘트롤러(120)가 전방 및 후방코일(20)(30)에 대한 전원인가를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방 및 후방센서(40)(5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근접 감지효율이 우수한 홀센서(hall effedt sens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는 자성체 피스톤(80)과의 충돌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예컨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어서 실린더(10)의 전단과 후단 내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는 자성체 피스톤(80)이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중심에 배기홀(60a)(70a)을 각각 갖는다.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는 금속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무수히 반복 충돌하는 자성체 피스톤(8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충돌부재(60)의 자성체 피스톤(80) 충돌면에는 바람직하기로 자성체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피스톤 스토퍼(61)가 인서트(insert) 되는데, 이는 게임용 총(G)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성체 피스톤(80)이 실린더(10)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피스톤 스토퍼(61)의 중심에도 전방 충돌부재(60)의 배기홀(60a)과 연통하는 배기홀(61a) 형성된다.
한편, 후방 충돌부재(70)의 자성체 피스톤 충돌면에는 자성체 피스톤(80)에 탄성반발력을 부여해 줌으로써 자성체 피스톤(80)을 가속시켜 주는 가속스프링(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속스프링(90)은 후방코일(30)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실린더(10)의 후단쪽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서 뒤쪽으로 당겨지는 자성체 피스톤(80)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에너지를 저장한 후, 전방코일(20)에 형성된 자기장에 자성체 피스톤(80)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자성체 피스톤(80)을 가속시킨다.
이에 따라 자성체 피스톤(80)은 전방 및 후방코일(20)(3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보다 더욱 빠르게 실린더(10) 내부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에 강하게 충돌함으로써 유저의 손에 실사격과 같은 진동을 확실하게 제공함은 물론 사격음도 충분히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속스프링(90)은 후방 충돌부재(70)에 그 일부가 삽입되도록 스프링 수용홈(70b)을 형성하여 후방 충돌부재(70)에 장착될 수 있다.
자성체 피스톤(80)은 전방 및 후방코일(20)(30)의 자기장에 반응할 수 있는 적절한 자성을 구비한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전방 및 후방코일(20)(30)에 형성된 자기장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강한 자성을 갖는 네오디뮴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10)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11)(12)에는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를 지지하기 위한 엔드플레이트(100)(110)가 각각 체결된다. 각 엔드플레이트(100)(110)의 중심에도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의 배기홀(60a)(70)과 연통하는 배기홀(100a)(110a)이 각각 형성된다.
콘트롤러(120)는 전원(도지하지 않음)에 연결되고,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전방 및 후방코일(20)(30)에 대한 전원인가를 단속한다. 이러한 콘트롤러(120)는 게임용 총(G)의 방아쇠(T)에 의해 동작하는 격발감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고, 전방 및 후방코일(20)(30)과 전선(21)(31)을 통해 접속되어서 방아쇠(T)의 격발동작에 따라 전원을 전방 또는 후방코일(20)(30)에 교번적으로 인가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센서(40)(50)와 연결되어 자성체 피스톤(80)의 전방 및 후방위치에 따라 전방 및 후방코일(20)(30)에 대한 전원인가를 역전시켜 전방 및 후방코일(20)(30) 내부에 자기장을 번갈아 형성킴으로써 자성체 피스톤(80)의 왕복이동을 유도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1)는, 유저가 게임용 총(G)의 방아쇠(T)를 당기게 되면, 격발감지 스위치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콘트롤러(120)가 먼저 후방코일(3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러면, 후방코일(30)의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되어서 자성체 피스톤(8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충돌부재(70)에 부딪힌다. 이때, 자성체 피스톤(80)에 의해 가속스프링(90)이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후방센서(50)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콘트롤러(120)에 송출한다.
그러면, 콘트롤러(120)가 후방코일(30)의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전방코일(2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에 따라 전방코일(20)의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됨으로써 자성체 피스톤(80)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방으로 이동하는 자성체 피스톤(80)에는 가속스프링(90)에 저장된 탄발력이 부여되어서 더욱 빠르고 강하게 이동되면서 전방 충돌부재(60)에 부딪치게 된다.
자성체 피스톤(8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충돌부재(60)에 부딪치면, 전방센서(40)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콘트롤러(120)에 송출하게 되고, 그러면 콘트롤러(120)는 전방코일(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다시 후방코일(3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에 의해 게임용 총(G)을 파지한 유저의 손에 강한 진동을 유발시킴과 함께 자성체 피스톤(80)의 충돌에 의한 사격음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음향장치(1)는 사격 시 게임용 총(G)을 파지한 유저의 손에 실제 총으로 사격하는 것처럼 사격에 따른 진동을 확실하게 유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사격음을 발하는 음향수단 없이도 사격음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실사격과 같은 진동과 사격음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마치 유저가 실제로 사격을 하는 듯한 현실감을 확실하게 느끼면서 흥미를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성체 피스톤(80)이 전후로 빠르게 왕복 이동하면서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60)(70)에 충돌하므로 화면 속에 디스플레이 되는 표적의 상황에 따라 단발과 연사는 물론 다수의 표적들을 향한 즉각적인 난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표적의 디스플레이 상황에 맞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슈팅게임의 플레이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1 : 진동음향장치 10 : 실린더
13: 방열핀 20, 30 : 전방 및 후방코일
40, 50: 전방 및 후방센서 60, 70 :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
61 : 피스톤 스토퍼 80 : 자성체 피스톤
90 : 가속스프링 100, 110 : 엔드플레이트
120 : 콘트롤러드 G : 게임용 총
B : 본체 T : 방아쇠

Claims (7)

  1. 게임용 총의 본체에 장착되고, 외주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핀이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양쪽 단부 외주에 각각 권취되고, 전원이 소정시간 간격으로 교번적으로 인가 및 단락되는 전방 및 후방코일;
    배기홀을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의 양쪽 단부내에 각각 결합되는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코일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 충돌부재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자성체 피스톤;
    자성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전방 충돌부재의 상기 자성체 피스톤 충돌면에 인서트 설치되는 피스톤 스토퍼; 및
    상기 게임용 총의 방아쇠에 연동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3136A 2018-11-20 2018-11-20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KR10217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36A KR102170330B1 (ko) 2018-11-20 2018-11-20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36A KR102170330B1 (ko) 2018-11-20 2018-11-20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703A KR20200058703A (ko) 2020-05-28
KR102170330B1 true KR102170330B1 (ko) 2020-10-26

Family

ID=7092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36A KR102170330B1 (ko) 2018-11-20 2018-11-20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09A1 (ko) * 2022-10-28 2024-05-02 (주)벤포트 전기반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711Y2 (ja) * 1993-08-24 2000-03-21 株式会社三洋物産 パチンコ機の入賞装置
JPH11297528A (ja) * 1998-04-08 1999-10-29 Namco Ltd ソレノイドの駆動方法、ソレノイド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KR200197377Y1 (ko) 1998-06-29 2000-12-01 윤대주 슈팅 전자 게임기용 건의 격발장치
KR100319574B1 (ko) * 1998-11-06 2002-07-27 주식회사 안다미로 공압용총을이용한게임시스템
KR200299719Y1 (ko) 2002-03-08 2003-01-08 데이비드 우 건타입 메인 게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09A1 (ko) * 2022-10-28 2024-05-02 (주)벤포트 전기반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703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2322B2 (en) Interactive gaming systems with haptic feedback
US70409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toring medium and program thereof, and operating device for game machine
JP2856036B2 (ja) スライド式振動機構を備えたゲーム機用ガンユニット及びゲーム装置
JP4179162B2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装置、画像生成方法、ゲーム画像生成方法
KR100849558B1 (ko) 모의총
US9968842B2 (en) Laser tag bow
KR102170330B1 (ko) 게임용 총의 진동음향장치
AU2021307380B2 (en) Action figure gaming assembly with various attack maneuvers and death configurations
US9579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 and catch device
JPH07112074A (ja) テレビゲーム機の光線銃
JPH0889661A (ja) ガンゲーム機
US5330183A (en) Impact conveying flipper button
TWM584214U (zh) 用於體感遊戲的槍枝震動結構
JP4517721B2 (ja) 模擬銃操作入力装置および射撃ゲーム装置
US20170043245A1 (en) Simulation air pump and game system
JP3865010B2 (ja) ゲーム機の衝撃付与装置
CN218652952U (zh) 用于游艺机的仿真射击装置及游艺机
US5324034A (en) Impact conveying flipper button
JP3786189B2 (ja) ガンゲーム機
JP4004570B2 (ja) 球発射装置
JP6978673B2 (ja) 遊技機用演出装置
JPH08103562A (ja) 射撃ゲーム用入力装置
JPH0838740A (ja) ガンゲーム機
KR200218727Y1 (ko) 게임기용 스위치
JP6488941B2 (ja) 玉発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