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224B1 - 쿨러 박스 - Google Patents

쿨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224B1
KR100847224B1 KR1020070038972A KR20070038972A KR100847224B1 KR 100847224 B1 KR100847224 B1 KR 100847224B1 KR 1020070038972 A KR1020070038972 A KR 1020070038972A KR 20070038972 A KR20070038972 A KR 20070038972A KR 100847224 B1 KR100847224 B1 KR 10084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id member
opening
cooler box
circumferenti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253A (ko
Inventor
야스오 호소미
타쿠로 야마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10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4Stationary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덮개 부재의 조작성을 희생하는 것 없이, 본체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간극을 확실히 채워 높은 보냉 효과를 발휘하는 쿨러(cooler) 박스의 제공.
[해결 수단] 본 쿨러 박스(10)는 본체(11)와 덮개 부재(12)를 가진다. 덮개 부재(12)에 패킹(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패킹(18)은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본체(11)의 개구(16)의 주연부(17)에 압압(押壓)된다. 패킹(18)은 덮개 부재(12)에 설치된 홈(27)에 끼워 넣어져 있다. 홈(27)의 저면(29)과 패킹(18)의 사이에 간극 충전재(30)가 개재되어 있다. 간극 충전재(30)는 겔상(Gel 狀)의 코어(core)와 이것을 수용하는 우레탄 튜브로 이루어진다.
쿨러 박스, 패킹, 내압 균등체, 보냉실, 덮개

Description

쿨러 박스{COOLER BOX}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III - 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V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패킹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쿨러 박스
11 : 본체
12 : 덮개 부재
14 : 보냉실
15 : 본체의 상면
16 : 본체의 개구
17 : 주연부
18 : 패킹
19 : 벽
24 : 내 덮개
27 : 홈
28 : 내 덮개의 내면 
29 : 저면
30 : 간극 충전재
31 : 홈의 개구
32 : 코어
33 : 주머니
40 : 쿨러 박스
42 : 내 덮개의 내면
본 발명은 낚시 등의 여가 활동에 사용되는 쿨러(cooler) 박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낚시꾼은 낚시를 할 때에 쿨러 박스를 휴대한다. 쿨러 박스는 주로 잡은 물고기를 보냉(保冷) 보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용기이다. 따라서, 종래부터 쿨러 박스는 높은 보냉력을 구비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쿨러 박스의 보냉력을 높이기 위하여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개량이 시행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특허 문헌 8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쿨러 박스에서는, 보냉실이 형성된 본체에 덮개 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 부재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보냉실이 밀봉되고, 이 보냉실에 수용된 물고기 등이 보존된다. 보냉실이 확실히 밀봉되기 위하여 덮개 부재의 하면(下面)에 패킹(packing)이 설치되어 있다. 즉, 덮개 부재가 닫혔을 때에 패킹이 덮개 부재와 본체의 간극을 채우는 것에 의하여 보냉실이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5337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4535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20880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354277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99177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7056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4752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62535호 공보
본체나 덮개 부재는 일반적으로 수지(樹脂), 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에 의하여 성형된다.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이 채용되는 것에 의하 여, 쿨러 박스의 경량화가 용이하게 실현되고, 또한, 쿨러 박스의 재료 비용이 저감된다. 그런데 수지에 의한 성형품은 일반적으로 뒤틀림이 생긴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가 닫힌 경우에 본체와 덮개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이 있다.
이 간극이 작은 경우는 덮개 부재가 수지로 구성되므로, 덮개 부재가 닫힐 때에 당해 덮개 부재의 휨에 의하여 상기 뒤틀림이 상쇄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보냉실이 밀봉될 수 있다. 그런데 쿨러 박스는 물고기를 보존한다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그 외형 치수가 일정 이상의 크기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형품으로서의 본체나 덮개 부재의 뒤틀림은 상당히 크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덮개의 휨에 의하여 상기 뒤틀림을 상쇄하는 것에 무리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덮개 부재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장변(長邊) 부분이 본체에 고정구(固定具)를 통하여 고정되는 타입에서는, 덮개 부재가 전체적으로 크게 탄성 변형되면서 본체에 고정된 경우에 덮개 부재의 단변(短邊) 부분이 본체로부터 들려 올라가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 부재의 단변 부분에도 고정구가 설치되면 무방하지만, 이 경우에는 덮개 부재의 개폐 작용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하지만, 상기 간극이 작은 경우는 이 간극이 덮개 부재에 설치된 패킹(packing)의 변형에 의하여 채워진다. 즉, 패킹이 덮개 부재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덮개 부재가 닫혔을 때에, 패킹이 본체와 덮개 부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간극에 밀어 넣어지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성형품으로서의 본체 또는 덮개 부재의 뒤틀림이 크고, 본체와 덮개 부재의 사이에 국부적으로 큰 간극이 생긴 경우는, 패킹은 이 간극을 채우기 위하여 덮개 부재로부터 크게 돌출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패킹이 덮개 부재로부터 똑같이 크게 돌출하도록 설치되면, 상기 간극의 작은 부위에서는 극단에 패킹이 압압(押壓, 누르는 압력) 변형되게 되고, 그 결과, 낚시꾼에게 있어서는 덮개 부재를 닫는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나아가, 본체 또는 덮개 부재의 뒤틀림의 정도에 따라서는, 패킹이 설치되어도 본체와 덮개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잔존하여 버리는 일도 예상될 수 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예를 들면 패킹이 발포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고, 발포 배율이 크게 설정되면 무방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책으로는 패킹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덮개 부재의 개폐가 반복되는 것에 의하여 패킹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처음부터 뒤틀림이 작게 되도록 본체 및 덮개 부재가 성형되면 좋지만, 성형품의 뒤틀림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 부재의 조작성을 희생하는 것 없이, 본체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간극을 확실히 채워, 높은 보냉 효과를 유지하는 쿨러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이 달성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는, 개구(開口)가 설치된 상면(上面)을 가지고, 당해 개구에 연속하는 보냉실이 구획된 쿨러 박스 본체와, 쿨러 박스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와, 쿨러 박스 본체의 상기 상면의 개구의 주연부(周緣部)와 덮개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보냉실을 밀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패킹과,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았을 때에 생기는, 쿨러 박스 본체의 상면과 덮개 부재 사이의 거리의 편차를 상쇄하도록 패킹과 쿨러 박스 본체의 사이 또는 패킹과 덮개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변형 가능한 내압(內壓) 균등체를 구비하고 있다.
쿨러 박스 본체 및 덮개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기타 수지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쿨러 박스 본체 및 덮개 부재가 수지에 의하여 성형되면, 성형품으로서의 쿨러 박스 본체 및 덮개 부재에 뒤틀림이 발생한다. 이 뒤틀림이 원인으로 되어, 덮개 부재가 쿨러 박스 본체의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쿨러 박스 본체의 상면, 구체적으로는 당해 상면의 개구의 주연부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즉, 쿨러 박스 본체의 개구의 주연부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간극이 쿨러 박스 본체의 상면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똑같지 않고, 당해 간극이 크게 되는 부위와 작게 되는 부위가 존재한다.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으면, 패킹이 덮개 부재와 쿨러 박스 본체의 사이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쿨러 박스 본체의 보냉실이 밀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쿨러 박스 본체의 개구의 주연부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 거리가 작은 부위에서는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았을 때에 패킹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눌리고, 또한, 상기 거리가 큰 부위에서는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았을 때에 패킹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눌린다. 따라서,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은 순간에 있어서, 패킹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눌린 부위에 대응하는 내압 균등체의 부위에서는 당해 내압 균등체의 내압이 국부적으로 크게 되고, 또한, 패킹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눌린 부위에 대응하는 내압 균등체의 부위에서는 당해 내압 균등체의 내압이 국부적으로 작게 된다.
이와 같은 내압 균등체의 내부 압력의 분포는 당해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당해 내압 균등체를 즉시 변형시킨다. 즉, 내압 균등체는 내부 압력이 높은 부위로부터 낮은 부위로 유동(流動)한다. 바꾸어 말하면, 쿨러 박스 본체의 개구의 주연부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거리의 대소에 관계없이, 당해 거리의 편차를 상쇄하도록 내압 균등체가 유동한다. 이 경우, 내압 균등체가 패킹과 쿨러 박스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내압 균등체는 패킹과 쿨러 박스 본체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充塡)한다. 또한, 내압 균등체가 패킹과 덮개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내압 균등체는 패킹과 덮개 부재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쿨러 박스 본체의 개구의 주연부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내압 균등체의 변형에 의하여 패킹은 쿨러 박스 본체 및 덮개 부재의 쌍방(雙方)에 확실히 밀착하여, 상기 보냉실을 확실히 밀봉한다.
(2)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쿨러 박스 본체의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당해 개구의 주연부 측으로 개구하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둘레 홈을 구비하며, 상기 패킹은 상기 둘레 홈의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당해 둘레 홈 내에 배치됨과 함께, 당해 둘레 홈의 깊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당해 둘레 홈 내에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내압 균등체는 상기 둘레 홈의 저면(底面)과 상기 패킹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패킹은 덮개 부재에 설치된 둘레 홈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내압 균등체가 상기 패킹의 좌(座) 부재로서 상기 둘레 홈의 내오(內奧, 내부의 깊은 곳)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패킹은 상기 내압 균등체를 통하여 상기 둘레 홈에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았을 때에 상기 둘레 홈로부터 돌출한 패킹이 쿨러 박스 본체의 개구의 주연부에 접촉하여, 상기 보냉실이 밀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성형품으로서의 쿨러 박스 본체 및 덮개 부재에는 뒤틀림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 상기 둘레 홈의 저면의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다. 이 거리가 작은 부위에서는 덮개 부재가 닫힌 순간에 패킹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눌리고, 또한, 상기 거리가 큰 부위에서는 덮개 부재가 닫힌 순간에 패킹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눌린다. 따라서, 덮개 부재가 닫힌 순간에 있어서, 패킹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눌린 부위에 대응하는 내압 균등체의 부위에서는 당해 내압 균등체의 내압이 국부적으로 크게 되고, 또한, 패킹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눌린 부위에 대응하는 내압 균등체의 부위에서는 당해 내압 균등체의 내압이 국부적으로 작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내압 균등체의 내부 압력의 분포는 당해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당해 내압 균등체를 즉시 변형시킨다. 즉, 내압 균등체는 내부 압력이 높은 부위로부터 낮은 부위로 유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 상기 둘레 홈의 저면의 거리의 대소에 관계없이 내압 균등체는 패킹과 상 기 둘레 홈의 저면의 간극을 유동하여 충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 상기 둘레 홈의 저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내압 균등체의 변형에 의하여 패킹과 상기 개구의 주연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패킹은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 확실히, 그리고, 똑같이 눌린다.
(3) 상기 내압 균등체는 액체 내지 겔상(Gel 狀)의 코어(core)와, 당해 코어를 수용하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홈의 긴쪽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상(Tube 狀) 주머니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코어는 예를 들면, 겔상의 폴리우레탄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겔상의 물질은 일정한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단, 유동성이 한층 더 뛰어난 물질, 전형적으로는 그리스(grease) 등이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채용되어도 무방하고, 유동성이 매우 풍부한 오일이나 물이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코어가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상 주머니에 수용되는 것에 의하여 코어가 튜브상 주머니 내에서 매우 신속히 유동할 수 있다.
(4) 상기 패킹은 중실(中實, 내부가 비어있지 않고 차 있음)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이 중실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가 닫혔을 때에 패킹의 좌굴(挫屈) 기타 국부적인 변형이 방지되고, 패킹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 안정적으로 접촉한다.
(5) 상기 튜브상 주머니는 연성(延性)이 풍부한, 두께가 얇은 튜브로 구성되 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구성에서는, 코어는 모든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과 상기 개구의 주연부가 한층 안정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접촉한다.
(6) 또한, 상기 쿨러 박스 본체의 상면의 개구의 주연부에 당해 상면으로 개구하는 환상으로 형성된 둘레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패킹은 상기 둘레 홈의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당해 둘레 홈 내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당해 둘레 홈의 깊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당해 둘레 홈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내압 균등체는 상기 둘레 홈의 저면과 상기 패킹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패킹은 쿨러 박스 본체에 설치된 둘레 홈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내압 균등체가 상기 패킹의 좌 부재로서 상기 둘레 홈의 내오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패킹은 상기 내압 균등체를 통하여 상기 둘레 홈에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가 보냉실의 개구를 닫았을 때에 상기 둘레 홈으로부터 돌출한 패킹이 당해 개구의 주연부에 접촉하고 상기 보냉실이 밀봉된다. 전술과 같이, 보통 성형품으로서의 쿨러 박스 본체 및 덮개 부재에는 뒤틀림이 생기기 때문에, 덮개 부재와 상기 둘레 홈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다. 이 거리가 작은 부위에서는 덮개 부재가 닫힌 순간에 패킹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눌리고, 또한, 상기 거리가 큰 부위에서는 덮개 부재가 닫힌 순간에 패킹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눌린다. 따라서, 덮개 부재가 닫힌 순간에 있어서 패킹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눌리는 부위에 대응하는 내압 균등체의 부위에서는 당해 내압 균등체의 내압이 국부적으로 크게 되고, 또한, 패킹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눌리는 부위에 대응하는 내압 균등체의 부위에서는 당해 내압 균등체의 내압이 국부적으로 작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내압 균등체의 내부 압력의 분포는 당해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당해 내압 균등체를 즉시 변형시킨다. 즉, 내압 균등체는 내부 압력이 높은 부위로부터 낮은 부위로 유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덮개 부재와 상기 둘레 홈의 저면의 거리의 대소에 관계없이, 내압 균등체는 패킹과 상기 둘레 홈의 저면의 간극을 유동하여 충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와 상기 둘레 홈의 저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내압 균등체의 변형에 의하여 패킹과 덮개 부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패킹은 덮개 부재에 확실히, 그리고, 똑같이 눌린다.
(7) 상기 내압 균등체는 액체 내지 겔상의 코어와, 당해 코어를 수용하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홈의 긴쪽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상 주머니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코어는 예를 들면, 겔상의 폴리우레탄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겔상의 물질은 일정한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단, 유동성이 한층 더 뛰어난 물질, 전형적으로는 그리스 등이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채용되어도 무방하고, 유동성이 매우 풍부한 오일이나 물이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코어가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상 주머니에 수용되는 것에 의하여 코어가 튜브상 주머니 내에서 매우 신속히 유동할 수 있다.
(8) 상기 패킹은 중실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이 중실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가 닫혔을 때에 패킹의 좌굴 기타 국부적인 변형이 방지되고, 패킹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 안정적으로 접촉한다.
(9) 상기 튜브상 주머니는 연성이 풍부한, 두께가 얇은 튜브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구성에서는, 코어는 모든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과 상기 개구의 주연부가 한층 안정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접촉한다.
<실시예>
이하, 적당한 도면이 참조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쿨러 박스의 요부(要部) 확대 사시도이다.
쿨러 박스(10)는 낚시 등의 여가 활동에 사용되며, 잡은 물고기나 음료수 등을 냉장할 수 있다. 쿨러 박스(10)는 본체(11, 쿨러 박스 본체)와, 본체(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 부재(12)와, 본체(11)에 설치된 손잡이(13)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덮개 부재(12)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덮개 부재(12)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본체(11)에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上方)으로 기립(起立)한 자세와,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복(倒伏)한 자세의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 낚시꾼은 손잡이(13)를 기립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것을 파지(把持)하여 쿨러 박스(10)를 가지고 다닐 수 있고, 또한, 쿨러 박스를 물가 등에 재치(載置)할 때에는 손잡이(13)를 도복시킬 수 있다.
본체(11)는 수지(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고, 동(同)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11)의 내부에는 보냉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냉실(14)은,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1)의 상면(15)에 연속하여 당해 상면(15)에 개구(1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구(16)의 주연부(17)는 활면(滑面)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는 이 덮개 부재(12)에 설치된 패킹(18)이 상기 주연부(17)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12)는 기밀적으로 본체(11)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보냉실(14)을 구획하는 벽(19, 본체(11)의 측벽(側壁) 및 저벽(底壁))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봉입되어 있다. 이 단열재는 전형적으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스티롤 그외 발포 수지가 채용된다. 단, 발포 수지에 더하여 진공 단열 패널이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체(11)의 상단부의 전측 변부(邊部) 및 후측 변부에 각각 오목부(20, 21)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0)는 상기 전측 변부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11)의 두께 방향으로 패여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20)에 스테이(stay, 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12)가 계합되도록 되어 있고,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당해 덮개 부재(12)를 확실히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덧붙여, 오목부(21)는 오목부(20)와 동일한 형상이고, 이 오목부(21)에 상기 스테이(22)와 동일한 스테이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11)의 상단부 의 전측 변부 및 후측 변부에 각각 스테이(22)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12)는 전측 및 후측 중 어느 쪽에서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스테이(22)가 본체(11)의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되고, 덮개 부재(12)가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일방에서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III - III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12)는 본체(11)의 상면(15)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의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12)는 외(外)틀(23)과 외틀(23)에 끼워 넣어진 내(內) 덮개(24)를 구비하고 있다. 외틀(23) 및 내 덮개(24)는 본체(11)와 마찬가지로 수지(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틀(23)은 계합 고리(26) 및 노브(knob, 25)를 구비하고 있다. 계합 고리(26)는 외틀(23)의 전측의 가장자리부 및 후측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계합 고리(26)는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본체(11)의 스테이(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부재(12)가 닫히면, 계합 고리(26)가 스테이(22)에 계합하고, 덮개 부재(12)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노브(25)는 외틀(23)의 전측의 가장자리부 및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계합 고리(26)와 스테이(22)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덮개 부재(12)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노브(25)가 조작되면, 각 계합 고리(26)가 스테이(22)로부터 이탈하여 양자의 계합이 해제 되고,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12)는 용이하게 도 2가 도시하는 자세로 변화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계합 고리(26) 및 노브(25) 및 상기 스테이(22)의 구성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 덮개(24)는 외틀(23)의 내측(內側)에 끼워 넣어져 있다. 내 덮개(24)는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하여 외틀(23)에 체결될 수 있다. 내 덮개(24)의 내부에 단열재가 봉입되어 있다. 이 단열재는 예를 들면,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스티롤 기타 발포 수지가 채용된다. 단, 발포 수지에 더하여 진공 단열 패널이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내 덮개(24)의 내면(28)의 주위에 환상의 홈(27, 둘레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7)은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본체(11)의 개구(16)의 주연부(17)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홈(27)은 내 덮개(24)의 내면(28)에 즉, 상기 주연부(17) 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도 4는 쿨러 박스(10)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본체(11) 및 덮개 부재(12)의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홈(27)에 패킹(18)이 끼워 넣어져 있고, 이 패킹(18)과 홈(27)의 저면(29)의 사이에 간극 충전재(30, 내압 균등체)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12)가 닫히면, 이 내 덮개(24)가 본체(11)의 상면(15)과 대향하여, 패킹(18)이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에 압압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16)가 폐색되고, 보냉실(14)이 밀봉된다.
도 5는 도 4에서의 V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간극 충전재(30) 및 패킹(18)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패킹(18)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며, 전체적으로 띠상(帶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18)은 탄성체(전형적으로는, 발포 실리콘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등)로 구성되어 있다. 패킹(18)은 중실 구조를 가진다. 패킹(18)이 중실 구조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되지만, 패킹(18)은 중공(中空)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패킹(18)의 높이 치수(H)는 홈(27)의 깊이에 대응한 치수로 설정된다. 결국, 패킹(18)의 높이 치수(H)는 패킹(18)이 홈(27)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패킹(18)의 상단부가 홈(27)의 개구(31)로부터 수 밀리미터만큼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패킹(18)은 홈(27)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도 5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18)은 도 5에서의 상방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홈(27) 내로 퇴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패킹(18)은 가늘고 긴 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27)의 긴쪽 방향을 따라 끼워 넣어져 있어도 무방하고, 무단(無端) 환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27)에 끼워 넣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간극 충전재(30)는 코어(32)와 주머니(33, 튜브상 주머니)를 구비하고 있다. 간극 충전재(30)는 가늘고 긴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 충전재(30)는 도 5에서 패킹(18)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홈(27)의 저면(29)과 패킹(18)의 사이의 간극을 채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간극 충전재(30)의 길이 치수는 홈(27)의 긴쪽 방향 치수에 대응되어 있고, 간극 충전재(30)는 상기 홈(27)의 긴쪽 방향을 따라 당해 홈(27)에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간극 충전재(30)가 홈(27)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간극 충전재(30)의 양단부(兩端部)는 홈(27)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접촉한다. 하지만, 간극 충전재(30)가 무단 환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27)에 끼워 넣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코어(32)는 본 실시예에서는 겔상의 폴리우레탄이 채용되어 있다. 하지만, 코어(32)를 구성하는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 오일, 물 기타 유동성을 가지는 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코어(3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슬라임(slime) 기타 점상(粘狀) 물질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결국, 코어(32)는 일정한 유동성 및 점성을 가지는 비압축성의 겔, 액체 또는 슬라임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주머니(33)는 가요성을 구비한 재료로 구성되고, 튜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32)는 이 주머니(33)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머니(33)는 우레탄 시트로 이루어진다. 주머니(33)를 구성하는 우레탄 시트의 두께 치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35μm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두께 치수는 5μm ~ 50μ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32)가 가요성을 가지는 주머니(33)에 수용되는 것에 의하여 코어(32)는 모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간극 충전재(30)는 겔상의 코어(32) 전체가 균일한 압력으로 되도록 유동하여 변형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10)에서는,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12)가 본체(11)에 대하여 개폐한다. 낚시꾼은 덮개 부재(12)의 노브(2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12)를 열 수 있고, 덮개 부재(12)를 도복시키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12)의 계합 고리(26)가 스테이(22)에 계합하여 덮개 부재(12)가 확실히 닫힌다. 또한, 본체(11) 및 덮개 부재(12)가 폴리프로필렌 기타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이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된다는 이점이 있다. 단, 본체(11) 및 덮개 부재(12)가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부터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제품으로서의 본체(11) 및 덮개 부재(12)에 뒤틀림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덮개 부재(12)에 뒤틀림이 생기면,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27)의 저면(29)이 만곡(灣曲)한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12)가 본체(11)에 대하여 닫힌 상태에서 본체(11)의 개구(16)의 주연부(17)와 덮개 부재(12)의 홈(27)의 저면(29)의 사이의 거리(S1)가 변화한다. 즉, 당해 거리(S1)가 홈(27)의 긴쪽 방향에 관하여 똑같지 않고,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와 홈(27)의 저면(29)의 사이의 거리(S1)가 홈(27)의 부위에 따라 다르다. 이 경우, 만일 상기 간극 충전재(3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홈(27)에 패킹(18)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당해 패킹(18)이 홈(27)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가 변화한다. 즉, 패킹(18)의 홈(27)으로부터 돌출하는 치수가 홈(27)의 부위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패킹(18)이 홈(27)으로부터 크게 돌출하는 부위에서는 당해 패킹(18)이 상기 주연부(17)에 강하게 압압되고, 한편, 패킹(18)이 홈(27)으로부터 작게 돌출하는 부위에서는 당해 패킹(18)이 상기 주연부(17)에 약하게 압압된다. 패킹(18)이 상기 주연부(17)에 약하게 압압되는 부위에서는 덮개 부재(12)와 본체(11)의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패킹(18)이 상기 주연부(17)에 강하게 압압되는 부위가 생긴 경우에는, 덮개 부재(12)를 본체(11)에 닫는 작업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10)에서는, 상기 간극 충전재(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상기 거리(S1)가 작은 부위에서는 순간적으로 간극 충전재(30)가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되고, 또한, 상기 거리(S1)가 큰 부위에서는 순간적으로 간극 충전재(30)가 상대적으로 저압으로 된다. 즉, 간극 충전재(30)의 내부에 내압이 국부적으로 크게 되는 부위와 국부적으로 작게 되는 부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간극 충전재(30)의 내압이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간극 충전재(30)는 그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변형한다. 즉, 간극 충전재(30)는 내부 압력이 높은 부위로부터 낮은 부위로 유동하고, 상기 거리(S1)의 대소에 관계없이, 간극 충전재(30)는 패킹(18)과 상기 홈(27)의 저면(29)의 간극을 유동하여 충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거리(S1)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간극 충전재(30)의 변형에 의하여 패킹(18)과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의 사이의 거리(S2)가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패킹(18)은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에 확실히, 그리고, 똑같이 눌린다. 그 결과, 본체(11)는 덮개 부재(12)에 의하여 확실히 밀폐되고, 또한, 상기 거리(S2)가 일정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12)를 개폐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극 충전재(30)는 액체 내지 겔상의 코어(32)와 이를 수용하는 주머니(33)로 이루어지므로, 덮개 부재(12)가 닫힌 순간에 코어(32)가 주머니(33) 내를 매우 신속히 유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간극 충전재(30)는 상기 패킹(18)과 상기 홈(27)의 저면(29)의 간극을 순간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킹(18)이 중실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패킹(18)의 좌굴 기타 국부적인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패킹(18)이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와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본체(11)가 덮개 부재(12)에 의하여 확실히 밀폐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극 충전재(30)의 주머니(33)는 두께가 얇은 폴리우레탄 튜브로 이루어져 가요성이 풍부하다. 따라서, 상기 코어(32)는 모든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패킹(18)과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가 한층 안정적으로, 또한, 균일하게 접촉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극 충전재(30)는 가요성을 구비한 주머니(33)에 비압축성을 나타내는 코어(32)가 봉입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간극 충전재(30)의 제조에 있어서 주머니(33)에 봉입되는 코어(32)의 양(체적)이 중요한 관리 항목인 바, 코어(32)의 체적이 코어(32)의 중량에 의하여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유동성이 풍부한 코어(32)인데도 그 체적의 관리가 간단하고, 간극 충전재(30)의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덧붙여, 상기 주머니(33)를 구성하는 재료는 우레탄 시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합성 고무가 채용될 수 있다. 합성 고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성이 풍부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주머니(33)를 구성하는 합성 고무가 연성이 풍부한 경우는, 코어(32)가 이 주머니(33)에 수용되는 것에 의하여 코어(32)는 모든 방향으로 한층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주머니(33)가 긴쪽 방향으로도,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고, 그 결과, 겔상의 코어(32) 전체가 균일한 압력으로 되도록 유동하여 변형한다.
이와 같이, 주머니(33)가 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간극 충전재(30)의 길이 치수는 홈(27)의 긴쪽 방향 치수보다도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간극 충전재(30)의 내압이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간극 충전재(30)는 그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변형한다. 즉, 간극 충전재(30)는 내부 압력이 높은 부위로부터 낮은 부위로 유동하고, 상기 거리(S1, 도 4 참조)의 대소에 관계없이, 간극 충전재(30)는 패킹(18)과 상기 홈(27)의 저면(29)의 간극을 유동하여 충전한다. 이때, 주머니(33)가 연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간극 충전재(30)는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 사이가 밀착된 후에 당해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변형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거리(S1)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간극 충전재(30)의 변형에 의하여 패킹(18)과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의 사이의 거리(S2)가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패킹(18)은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에 확실히, 그리고, 똑같이 눌린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40)가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10)와 다른 점은, 상기 쿨러 박스(10)에서는 덮개 부재(12)에 홈(27)이 설치되 고, 이 홈(27)에 간극 충전재(30) 및 패킹(18)이 끼워 넣어져 있던 것에 대하여,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쿨러 박스(40)에서는 본체(11) 측에 홈(27)이 설치되고, 이 홈(27)에 간극 충전재(30) 및 패킹(18)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점이다. 덧붙여, 쿨러 박스(40)의 기타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쿨러 박스(10)와 동일하다.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쿨러 박스(40)에 있어서도, 본체(11)의 상면(15)에 개구(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16)에 연속하여 보냉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7)은 상기 개구(16)의 주연부(17)에 설치되어 있다. 이 홈(27)은 상기 상면(15)에 개구하도록 하방(下方)으로 깊이 파이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연부(17)를 따라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27)의 내오부에 간극 충전재(30)가 끼워 넣어지고, 나아가, 이 간극 충전재(30) 상에 패킹(18)이 배치되어 있다. 패킹(18)은,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면(15)으로부터 수 밀리미터만큼 돌출하고, 덮개 부재(12)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패킹(18)이 덮개 부재(12)의 내면(42)에 접촉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간극 충전재(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상기 홈(27)의 저면(29)과 덮개 부재(12)의 내면(42)의 사이의 거리(S1)가 작은 부위에서는 순간적으로 간극 충전재(30)가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되고, 또한, 상기 거리(S1)가 큰 부위에서는 순간적으로 간극 충전재(30)가 상대적으로 저압으로 된다. 즉, 간극 충전재(30)의 내부에 내압이 국부적으로 크게 되는 부위와 국부적으로 작게 되는 부위가 발생한다.
간극 충전재(30)의 내압이 변화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당해 간극 충전 재(30)는 그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변형한다. 즉, 간극 충전재(30)는 내부 압력이 높은 부위로부터 낮은 부위로 유동하고, 상기 거리(S1)의 대소에 관계없이, 간극 충전재(30)는 패킹(18)과 상기 홈(27)의 저면(29)의 간극을 유동하여 충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거리(S1)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간극 충전재(30)의 변형에 의하여 패킹(18)과 덮개 부재(12)의 내면(42)의 사이의 거리(S2)가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패킹(18)은 당해 덮개 부재(12)의 내면(42)에 확실히, 그리고, 똑같이 눌린다. 그 결과, 본체(11)는 덮개 부재(12)에 의하여 확실히 밀폐되고, 그리고, 상기 거리(S2)가 일정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12)를 개폐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패킹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패킹(45)이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패킹(18)과 다른 점은, 패킹(45)이 중공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에 상기 코어(32)가 밀봉되어 있는 점이다. 패킹(45)을 구성하는 재료는 발포 실리콘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등의 탄성체로 구성된다. 또한, 코어(32)를 구성하는 재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겔상의 폴리우레탄이 채용될 수 있다. 하지만, 코어(32)를 구성하는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 오일, 물 기타 유동성을 가지는 물질, 슬라임 기타 점상 물질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결국, 코어(32)는 일정한 유동성 및 점성을 가지는 비압축성의 겔, 액체 또는 슬라임이 채용될 수 있다.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킹(45)은 한 쌍의 측벽부(46, 47)와, 육후(肉 厚) 저부(48)와 천판부(天板部, 49)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50)에 코어(32)가 수용되어 있다. 측벽부(46, 47)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다. 코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주사기 등에 의하여 패킹(45) 내에 주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사기의 바늘을 육후 저부(48)에 찔러, 코어(32)를 상기 공간(50)에 주입한다. 이때, 예를 들면 다른 주사기에 의하여 공간(50) 내에 사전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패킹(45)은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와 같이 본체(11) 또는 덮개 부재(12)에 끼워 넣어지지만, 이때, 육후 저부(48) 측이 본체(11) 또는 덮개 부재(12)에 설치된 홈(27)에 삽입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코어(32)가 패킹(45) 내에 수용되므로, 쿨러 박스(10, 40)의 조립에 있어서 단일 부재(즉, 당해 패킹(45))만을 본체(11) 또는 덮개 부재(12)에 끼워 넣으면 무방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코어(32)를 수용하는 주머니(33)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 점수(點數)도 삭감된다. 또한, 패킹(45)의 측벽부(46, 47)가 육후 저부(48)나 천판부(49)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킹(45)이 휘기 쉬워, 코어(32)가 신속히 공간(50) 내를 유동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
본 발명은 낚시 등의 여가 활동에 사용되는 쿨러 박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압 균등체가 유동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와 쿨러 박스 본체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덮개 부재가 닫혔을 때에 덮개 부재와 쿨러 박스 본체 사이에 개재된 패킹이 양자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수지 성형품으로서의 쿨러 박스 본체 및 덮개 부재에 뒤틀림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인데도 이 뒤틀림을 상쇄하도록 내압 균등체가 유동 변형한다. 그 결과, 덮개 부재가 닫히는 것만으로 쿨러 박스 본체의 보냉실이 간단하게, 또한, 확실히 밀봉된다.

Claims (5)

  1. 개구(開口)가 설치된 상면(上面)을 가지고, 상기 개구에 연속하는 보냉실(保冷室)이 구획된 쿨러(cooler) 박스 본체와,
    상기 쿨러 박스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와,
    상기 쿨러 박스 본체의 상기 상면의 개구의 주연부(周緣部)와 상기 덮개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보냉실을 밀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패킹(packing)과,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았을 때에 생기는, 상기 쿨러 박스 본체의 상면과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거리의 편차를 상쇄하도록 상기 패킹과 상기 쿨러 박스 본체의 사이 또는 상기 패킹과 상기 덮개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 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변형 가능한 내압(內壓) 균등체
    를 구비하며,
    상기 내압 균등체는 액체 내지 겔상(gel 狀)의 코어(core)와, 상기 코어를 수용하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홈의 긴쪽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상(tube 狀) 주머니를 구비하고 있는,
    쿨러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쿨러 박스 본체의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개구의 주연부 측으로 개구하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둘레 홈을 구비하며,
    상기 패킹은 상기 둘레 홈의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홈 내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홈의 깊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둘레 홈 내에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내압 균등체는 상기 둘레 홈의 저면(底面)과 상기 패킹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쿨러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 박스 본체는 그 상면에 설치된 상기 개구의 주연부를 따라 환상으로 형성된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둘레 홈의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홈 내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홈의 깊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둘레 홈 내에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내압 균등체는 상기 둘레 홈의 저면(底面)과 상기 패킹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쿨러 박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중실(中實) 부재인 쿨러 박스.
  5. 삭제
KR1020070038972A 2006-04-25 2007-04-20 쿨러 박스 KR100847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0142A JP4553145B2 (ja) 2006-04-25 2006-04-25 クーラーボックス
JPJP-P-2006-00120142 2006-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53A KR20070105253A (ko) 2007-10-30
KR100847224B1 true KR100847224B1 (ko) 2008-07-17

Family

ID=3876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972A KR100847224B1 (ko) 2006-04-25 2007-04-20 쿨러 박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53145B2 (ko)
KR (1) KR100847224B1 (ko)
CN (1) CN101063574B (ko)
TW (1) TWI3956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3692B (zh) * 2012-07-13 2018-04-06 先端冷却器公司 模块化冷却器系统
JP6846325B2 (ja) * 2017-10-31 2021-03-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保冷箱
US20220386579A1 (en) * 2020-09-21 2022-12-08 Flop Industries, Llc Container for aquatic live bait
DE202020107477U1 (de) * 2020-12-22 2021-01-29 Va-Q-Tec Ag Isolationsbehälter zur Aufnahme von temperaturempfindlichen Produkt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2268A (ja) * 1987-09-21 1989-04-19 L'air Liquide 連続的に押出される製品の冷却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H06156519A (ja) * 1992-11-19 1994-06-03 Asuberu Kk シール容器
JPH08217126A (ja) * 1995-02-15 1996-08-27 K For:Kk 帯状パッキン
JPH09232772A (ja) * 1996-02-20 1997-09-05 Oki Electric Ind Co Ltd ケースの気密構造
JPH09309562A (ja) * 1996-05-21 1997-12-02 Sakurai Kazuya 圧力容器の密閉機構用パッキン
KR100227024B1 (ko) * 1995-07-04 1999-10-15 마쯔이 요시유끼 보냉상자
KR200328369Y1 (ko) 2003-06-19 2003-09-29 전병훈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654A (en) * 1971-09-30 1974-01-29 Gen Motors Corp Multiple hardness o-rings
US4350346A (en) * 1981-03-27 1982-09-21 Smith International, Inc. Heat resistant seal
JPH0674381B2 (ja) * 1985-04-23 1994-09-21 鈴木総業株式会社 複合型シリコーンゲル材
JPH0958755A (ja) * 1995-08-25 1997-03-04 Daiwa Seiko Inc 保冷箱
JPH09165087A (ja) * 1995-12-13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包装容器
JP3024677B2 (ja) * 1997-05-26 2000-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筐体の防水構造
CN2450884Y (zh) * 2000-10-24 2001-10-03 陈俊竹 软式钓鱼冰箱
JP4308048B2 (ja) * 2004-03-12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2268A (ja) * 1987-09-21 1989-04-19 L'air Liquide 連続的に押出される製品の冷却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H06156519A (ja) * 1992-11-19 1994-06-03 Asuberu Kk シール容器
JPH08217126A (ja) * 1995-02-15 1996-08-27 K For:Kk 帯状パッキン
KR100227024B1 (ko) * 1995-07-04 1999-10-15 마쯔이 요시유끼 보냉상자
JPH09232772A (ja) * 1996-02-20 1997-09-05 Oki Electric Ind Co Ltd ケースの気密構造
JPH09309562A (ja) * 1996-05-21 1997-12-02 Sakurai Kazuya 圧力容器の密閉機構用パッキン
KR200328369Y1 (ko) 2003-06-19 2003-09-29 전병훈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53A (ko) 2007-10-30
TW200800746A (en) 2008-01-01
CN101063574A (zh) 2007-10-31
TWI395696B (zh) 2013-05-11
JP4553145B2 (ja) 2010-09-29
JP2007289058A (ja) 2007-11-08
CN101063574B (zh)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224B1 (ko) 쿨러 박스
US8991953B2 (en) Refrigerator with drawer sealing apparatus
EP3491309B1 (en) Method for ensuring reliable core material fill around the pass throughs in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JP6371151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JP6444759B2 (ja) 箱体の扉
JP6006564B2 (ja) 冷蔵庫
US11306967B2 (en) Drawer gasket seal assembly
JP2014085072A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TW201708779A (zh) 冰箱
SE1150357A1 (sv) Plastbehållarstruktur
JP6360685B2 (ja) 冷蔵庫
JP2020529368A (ja) 発泡断熱材防漏容器蓋
JP2014003949A (ja) クーラーボックス用パッキング及びクーラーボックス
KR101332837B1 (ko) 누름구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저장용기
JP7142224B2 (ja) 冷蔵庫
JP2020133922A (ja) 冷蔵庫
JP2017187240A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JP2019120438A (ja) 冷蔵庫
JP7170353B2 (ja) 冷蔵庫
JP6976564B2 (ja) 冷蔵庫
JP2021105503A (ja) 冷蔵庫
JP2006069583A (ja) 合成樹脂からなる密閉容器
JP7386448B2 (ja) 封止部材
KR20050015783A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조립구조
CN112204327B (zh) 冷却装置的隔热结构及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