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95B1 -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95B1
KR100846495B1 KR1020060096404A KR20060096404A KR100846495B1 KR 100846495 B1 KR100846495 B1 KR 100846495B1 KR 1020060096404 A KR1020060096404 A KR 1020060096404A KR 20060096404 A KR20060096404 A KR 20060096404A KR 100846495 B1 KR100846495 B1 KR 10084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rror
alternative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351A (ko
Inventor
박상욱
정승녕
김상룡
김창수
홍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95B1/ko
Priority to US11/889,624 priority patent/US8125556B2/en
Priority to PCT/KR2007/004210 priority patent/WO2008038909A1/en
Priority to JP2009530250A priority patent/JP5220021B2/ja
Publication of KR2008003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은, 단말기에 존재하는 오류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대안을 표시하여 이 대안들을 촬영자에게 알림으로써, 단말기의 동작 원리와 각 종 세부 기능을 능통하게 알지 못하는 촬영자라도 그 감지된 오류를 손쉽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the display butt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고려 가능한 오류들과 각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의 일 례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류정보 저장부(154) 및 원인정보 저장부(156)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대안정보 저장부(158)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10 각각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버튼을 구비하며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함에 있어, 카메라의 하드웨어(hardware)적 상황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적 상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카메라에 배터리(battery)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카메라는 촬영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촬영시 카메라의 렌즈는 셔터 스피드의 설정값, 및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빛에 과다 혹은 과소 노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카메라는 전반적으로 과하게 밝거나 과하게 어두운 사진을 촬영할 수 밖에 없다.
종래의 카메라는, 촬영을 수행할 수 없다거나, 촬영자가 만족하지 못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고 예상되는 경우, 카메라상에 오류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이를 촬영자에게 알린다. 이 경우, 촬영자는 카메라에 구비된 셔터 버튼을 조작하기에 앞서, 배터리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거나, 셔터 스피드의 설정값을 재조정하거나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재설정하는 등, 그 판정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해 카메라를 조작함으로써, 보다 나은 품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고품질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러한 카메라 조작은, 카메라의 동작 원리와 각 종 세부 기능을 능통하게 알지 못하는 촬영자에게 상당한 부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자의 이러한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의 동작 원리와 각 종 세부 기능을 능통하게 알지 못하는 촬영자라도, 카메라에 존재하는 오류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의 동작 원리와 각 종 세부 기능을 능통하게 알지 못하는 촬영자라도, 카메라에 존재하는 오류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는,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공된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는,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공된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촬영 기능을 가지며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은,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는 (a)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표시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은,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는 (a)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고려 가능한 오류들과 각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의 일 례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서, 표시부(110), 제어부(140), 저장부(150), 대안 수행부(160)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저장부(150)는 그러한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그러한 단말기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촬영 기능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표시부(11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예를 들어, 액정 판넬(LCD: Liquid Crystal Displayer))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그러한 디스플레이 패 널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표시부(11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표시부(110)는 메인 표시부(120), 및 서브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든 영역은 일부 영역과 다른 일부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이 경우, 그 일부 영역은 메인 표시부(120)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그 다른 일부 영역은 서브 표시부(130)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때, 그 일부 영역은 그 다른 일부 영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표시부(120)는 단말기가 촬영 가능한 단말기 외부의 영상(이하, 촬영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촬영영상은 단말기에 구비된 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단말기 외부의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메인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 상황 또는 하드웨어적 상황을 나타내는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 상황이란, 전자적으로(electrically) 변경시킬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컨대,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memory)의 남은 공간, 플래쉬의 온(on)/오프(off) 여부, 감도(ISO) 수치 등은 그 표시되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의 일 례들이다. 여기서, 메모리의 남은 공간이 소프트웨어적 상황인 이유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사진들을 삭제함으로써 메모리의 남은 공간이 변경되기 때문이고,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가 소프트웨어적 상황인 이유는, 촬영자가 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플래쉬의 켜짐 또는 꺼짐을 지시하면 단말기는 이러한 지시에 따라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전자적으로 토글(toggle)시키기 때문이고, 감도 수치가 소프트웨어적 상황인 이유는, 촬영자가 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감도 수치의 조정을 지시하면 단말기는 이러한 지시에 따라 감도 수치를 전자적으로 조정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상황이란, 전자적으로 변경시킬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컨대, 단말기에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 단말기에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은 하드웨어적 상황의 일 례들이다. 여기서, 단말기에 배터리(또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하드웨어적 상황인 이유는, 탑재된 배터리(또는, 메모리)를 단말기에서 분리시키거나, 배터리(또는, 메모리)를 단말기에 장착시키는 등 촬영자의 행위를 통해서만 변경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편, 단말기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버튼은 표시 기능을 갖는 버튼(이하, 디스플레이 버튼(Display(D)-Button))일 수도 있고, 표시 기능을 갖지 않는 버튼(이하, 표시불가 버튼)일 수도 있다.
서브 표시부(130)는 이러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130-n,..., 130-N)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n, 및 N은 1≤n≤N (단, N은 2이상의 정수)인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서브 표시부(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 즉, 제1 디스플레이 버튼(130-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버튼(130-N)과 일체화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저장부(150)는 '표시부(110)가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와 각 종 '오류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버튼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신호란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버튼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영상의 표시를 지시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여기서, 버튼이란 '디스플레이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을 의미할 수도 있고 '표시불가 버튼'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버튼의 조작된 결과란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과 복수의 표시불가 버튼들 중 어느 버튼이 어떻게 조작되었는가' 및 '현재의 조작이 있기 직전에 조작된 버튼은 어느 버튼인가'라는 물음들에 대한 답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제3 디스플레이 버튼(130-3)이 순간적으로 한 번 가압되었으며 직전에 가압된 버튼은 제2 디스플레이 버튼(130-2)임', '현재 제7 디스플레이 버튼(130-7)이 1초이상 계속적으로 무엇인가와 접촉되고 있으며 직전에 접촉된 버튼은 제1 디스플레이 버튼(130-1)임', '셔터 버튼이 반 정도 가압되었으며 직전에 가압된 버튼은 제4 디스플레이 버튼(130-4)임'은 그러한 '버튼의 조작된 결과'의 일 례들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독출된 영상 데이터와 생성된 제어신호를 표시부(110)에 제공한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120)는 촬영영상과 썸네일 이미지를 제어신호와 무관하게 표시하고, 서브 표시부(13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한다. 즉, 서브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영상 은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표시불가 버튼이 조작될 때마다, 버튼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갱신된다.
한편, 제어부(140)는 오류유무 검사부(142),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 대안정보 독출부(146), 및 정규영상 독출부(148)를 포함하고, 저장부(150)는 오류정보 저장부(152), 원인정보 저장부(154), 대안정보 저장부(156), 및 정규영상 저장부(158)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표시부(11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류정보 저장부(152)는 단말기의 상황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오류의 내용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황이란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상황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 상황일 수도 있다. 오류정보 저장부(152)에 저장된 내용은 앞서 언급한 오류관련 데이터의 일 례이다.
본 명세서에서 오류란,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오류란 '단말기가 촬영을 수행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의미하거나 '단말기가 촬영자가 만족하지 못할 사진을 촬영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그러한 오류는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 "촬영시 단말기에 구비된 렌즈가 빛에 제1 기준치(이 때, 제1 기준치는 미리 설정된 값)보다 적게 노출됨(이하, '노출 부족')", "초점을 잡지 못함", "촬영시 단말기에 구비된 렌즈가 빛에 제2 기준치(이 때, 제2 기준치는 미리 설정된 값)보다 많게 노출됨(이하, '노출 과다')", "노출 부족이나 노출 과다는 아니지만, 노출 상태로 인해 촬영자가 만족하지 못할 사진을 촬영할 것으로 예상됨(이하, '노 출 이상')" 중 하나라고 가정한다(도 2 참조). 이처럼, 본 발명에서 고려할 수 있는 오류는 모두,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전에 이미 정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단말기에 존재할 수 있는 오류는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 "노출 부족", "초점을 잡지 못함", "노출 과다", "노출 이상" 중 하나이다'라고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오류정보 저장부(152)에 저장된 내용을 독출하고, 독출된 내용의 오류가 단말기의 상황에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앞서 언급한 가정에 따르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단말기의 상황에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이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노출 부족"이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초점을 잡지 못함"이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노출 과다"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노출 이상"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이 경우, 오류가 존재한다고 검사된다는 것은,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오류를 감지한 것을 의미한다.
만일, 어느 하나의 오류라도 존재한다고 검사되면(즉, 어느 하나의 오류라도 감지되면),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는 그 감지된 오류의 원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촬영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이전에, '단말기의 상황에 존재할 수 있는 오류'(이하, '가능한 오류'라 함) 각각마다, 가능한 하나 이상의 오류발생원인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원인정보 저장부(154)는 가능한 오류를 어드레스(address)로 하여, 하나 이상의 원인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원인정보는 오류발생원인을 나타내 는 정보를 의미하며, 앞서 언급한 오류관련 데이터의 일 례이다.
오류발생원인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도 2 참조).
오류가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이라면, 오류발생원인은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여량이 부족한 것"일 수도 있고,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memory)의 잔여 공간이 부족한 것"일 수도 있고,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가 초기화되지 않아 사용 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단말기에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도 있고,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에 사진을 저장할 수 없도록 메모리가 잠겨있는 것"일 수도 있다.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이라는 오류의 가능한 오류발생원인들이 이러한 다섯 가지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다섯 가지로 한정하기로 한다.
만일, 오류가 "노출 부족"이라면, 오류발생원인은 "단말기의 손떨림 방지기능이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감도(ISO)가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플래쉬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노출 부족"이라는 오류의 가능한 오류발생원인들이 이러한 세 가지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세 가지로 한정하기로 한다.
한편, 오류가 "초점을 잡지 못함"이라면, 오류발생원인은 "초점 거리가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피사체가 너무 어두운 것"일 수도 있고, "초점을 잡을만한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고, "AF(Auto Focus) 보조광이 켜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기가 AF 보조광을 감지할 수 없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사체란 단말기가 주제라고 인식한 촬영 대상을 의미하므로, 배경에 반대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AF 보조광이란 밤과 같이 외부 광량이 부족할 때 단말기가 초점을 잡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발광체이다. "초점을 잡지 못함"이라는 오류의 가능한 오류발생원인들이 이러한 네 가지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네 가지로 한정하기로 한다.
만일, 오류가 "노출 이상"이라면, 오류발생원인은 "배경에 비해 피사체가 밝은 것(단, 측광 방식은 스폿(spot) 방식이 아님)"일 수도 있고, "배경에 비해 피사체가 어두운 것(단, 측광 방식은 스폿 방식이 아님)"일 수도 있고, "배경에 비해 피사체가 어두운 것(단, 플래쉬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음)"일 수도 있고, "노출 보정값(EV: Exposure Value)이 지나치게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노출 보정값이 지나치게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피사체가 플래쉬의 빛이 도달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스폿 방식은 촬영 대상(즉, 메인 표시부(120)에 표시된 촬영영상)의 전체를 측광하는 방식이 아니라, 촬영 대상 중 촬영자가 지정한 부분만을 측광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노출 보정값이란, 촬영시 요구되는 입사 광량의 미리 설정된 값을 보정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노출 보정값이 높은 수치의 양수일수록 단말기가 사진을 보다 밝게 찍도록 하며, 노출 보정값이 높은 수치의 음수일수록 단말기가 사진을 보다 어둡게 찍도록 한다. "노출 이상"이라는 오류의 가능한 오류발생원인들이 이러한 여섯 가지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여섯 가지로 제한하기로 한다.
한편, 오류가 "노출 과다"라면, 오류발생원인은 "피사체의 광량이 과다한 것(예컨대, 피사체가 태양인 경우)"을 의미할 수 있다. "노출 과다"라는 오류의 가 능한 오류발생원인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상 "피사체의 광량이 과다한 것"으로 제한하기로 한다.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는 오류유무 검사부(142)에 의해 감지된 오류를 어드레스로 갖는 하나 이상의 원인정보들을 독출하고, 독출된 원인정보들 중 단말기의 상황에 해당되는 원인정보를 찾는다.
예컨대, 감지된 오류가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이라면,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는 오류발생원인의 후보들로서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여량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의 잔여 공간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가 초기화되지 않아 사용 불가능한 것", "단말기에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에 사진을 저장할 수 없도록 메모리가 잠겨있는 것"을 나타내는 다섯 개의 원인정보들을 독출한다.
이 경우,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는 그 독출된 원인정보들 각각마다, 그 독출된 원인정보에 나타난 오류발생원인이 단말기에 해당되는지 검사한다.
이 때, 그 독출된 원인정보들이 복수의 원인정보들이라면, 그 복수의 원인정보들 중 먼저 검사되는 원인정보와 나중에 검사되는 원인정보는 무엇인가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그 복수의 원인정보들이 나타내는 복수의 오류발생원인들 중 경험적인 수치를 이용하여 판단컨대 가능성 높은 오류발생원인을 가능성 낮은 오류발생원인보다 먼저 검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숫자(No.)는 이러한 검사 순서를 의미한다.
만일, 배터리의 잔여량이 사진 한 장을 촬영하기에도 부족하고, 메모리의 잔 여 공간이 사진 한 장을 저장하기에도 부족하고, 메모리에 사진을 저장할 수 없도록 메모리가 잠겨있다면,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가 초기화되지 않아 사용 불가능한 것", "단말기에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은 현재의 단말기에는 해당되지 않는 오류발생원인들이므로,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는 그 감지된 오류의 오류발생원인은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여량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의 잔여 공간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에 사진을 저장할 수 없도록 메모리가 잠겨있는 것"들 중 적어도 하나라고 결정한다.
이러한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는 그 독출된 원인정보에 나타난 오류발생원인이 단말기에 해당되는지 검사하기 위해,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상황을 분석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 상황을 분석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여량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의 잔여 공간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가 초기화되지 않아 사용 불가능한 것"이 단말기에 해당되는지 검사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이와 비슷하게, "단말기에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에 사진을 저장할 수 없도록 메모리가 잠겨있는 것"이 단말기에 해당되는지 검사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이처럼,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가 단말기에 해당되는 오류발생원인을 찾아내면, 대안정보 독출부(146)는 그 찾아낸 오류발생원인에 대응되는 대안(對案)을 제공한다. 한편, 촬영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이전에, 가능한 오류발생원인 각각마다, 대안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대안정보 저장부(156)는 오류발생원인을 어드레스로 하여, 대안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대안정보는 '대안의 세부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대안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영상(이하, 대안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대안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일 례이다.
대안정보에 나타난 대안을 앞서 언급한 오류발생원인과 대응시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도 2 참조).
설명의 편의상,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여량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의 잔여 공간이 부족한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가 초기화되지 않아 사용 불가능한 것", "단말기에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에 사진을 저장할 수 없도록 메모리가 잠겨있는 것" 이라는 오류발생원인들 각각의 대안은, "단말기를 최대 절전 모드에 진입시킨다",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 중 불필요한 사진을 촬영자의 지시에 따라 삭제한다", "메모리를 초기화한다", "단말기에 메모리 카드를 넣는다", "메모리 카드의 잠김을 푼다" 각각이라 가정한다.
또한, "단말기의 손떨림 방지기능이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 "감도(ISO)가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 "플래쉬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 이라는 오류발생원인들 각각의 대안은, "단말기의 손떨림 방지기능을 온(on)으로 설정한다",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가 60 이상이 되도록 감도(ISO)를 높이되, 만일, 60 이상의 셔터 스피드 확보가 어렵다면, 감도를 최대로 높인다", "플래쉬를 온(on)으로 설정한다" 각각이라 가정한다.
마찬가지로, "초점 거리가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 "피사체가 너무 어두운 것", "초점을 잡을만한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 "AF 보조광이 켜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기가 AF 보조광을 감지할 수 없는 것" 이라는 오류발생원인들 각각의 대안은, "단말기의 접사 기능을 온(on)으로 설정한다", "AF 보조광을 켠다", "촬영할 피사체를 초점 영역안에 위치시킨다", "AF 보조광이 손가락에 의해 가려졌는지 확인하고, 가려졌다면 손가락을 AF 보조광에서 뗀다" 각각이라 가정한다.
이와 비슷하게, "배경에 비해 피사체가 밝은 것(단, 측광 방식은 스폿 방식이 아님)", "배경에 비해 피사체가 어두운 것(단, 측광 방식은 스폿 방식이 아님)", "배경에 비해 피사체가 어두운 것(단, 플래쉬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음)", "노출 보정값(EV: Exposure Value)이 지나치게 +로 설정되어 있는 것", "노출 보정값이 지나치게 -로 설정되어 있는 것", "피사체가 플래쉬의 빛이 도달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것" 이라는 오류발생원인들 각각의 대안은, "측광 방식을 스폿 방식으로 설정한다", "측광 방식을 스폿 방식으로 설정한다", "플래쉬를 강제 발광시킨다(즉, 플래쉬를 항상 켠다)", "노출 보정값(EV)을 일정 수치만큼씩 감소시킨다", "노출 보정값을 일정 수치만큼씩 증가시킨다", "피사체를 플래쉬 도달 범위내에 위치시킨다" 각각이라 가정한다.
또한, "피사체의 광량이 과다한 것(예컨대, 피사체가 태양인 경우)" 이라는 오류발생원인의 대안은, "피사체를 변경한다"라 가정한다.
대안정보 독출부(146)는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가 찾아낸 하나 이상의 오류발생원인들 각각마다, 그 오류발생원인을 어드레스로 갖는 대안정보를 독출한다. 이 경우, 대안정보 독출부(146)는 '독출된 대안정보에 나타난 대안영상(들)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그 '독출된 대안정보'와 함께 서브 표시부(130)에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 대안정보 독출부(146)는 그 '독출된 대안정보' 중 선택된 대안정보에 나타난 대안의 세부 내용을 표시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그 선택된 대안정보와 함께 메인 표시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브 표시부(130) 즉, 제1 디스플레이 버튼(130-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버튼(130-N)은 제공된 대안정보가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들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촬영자는 그 표시된 대안영상들 중 하나의 대안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을 조작한다. 이 때, 그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은 대안영상을 점멸시키며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촬영자는 자신이 선택한 대안영상이 무엇인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처럼, 어떤 한 디스플레이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이 조작되면(즉, 어떤 한 대안영상이 선택되면), 메인 표시부(120)는 그 선택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의 세부 내용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선택된 대안이 "메모리를 초기화한다"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메모리를 초기화한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대안이 "단말기의 손떨림 방지 기능을 온으로 설정한다"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손떨림 방지 기능을 온으로 설정한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와 비슷하게, 선택된 대안이 "단말기에 메모리 카드를 넣는다", "메모리 카드의 잠김을 푼다", "촬영할 피사체를 초점 영역안에 위치시킨다", "AF 보조광이 손가락에 의해 가려졌는지 확인하고, 가려졌다면 손가락을 AF 보조광에서 뗀다", "피사체를 플래쉬 도달 범위내에 위치시킨다", "피사체를 변경한다" 각각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메모리 카드가 없습니다. 메모리 카드를 넣어주세요", "메모리 카드가 잠겨 있습니다. 잠금을 풀어주세요", "촬영할 피사체를 초점 영역안에 위치시켜 주세요", "AF 보조광이 손가락 등에 의해 가려졌는지 확인해 주세요", "피사체를 플래쉬 도달 범위인 5m 이내에 오게 해 주세요", "피사체가 너무 밝습니다. 다른 피사체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메시지들 각각을 메인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한편, 오류유무 검사부(142)에 의해, 단말기의 상황에 어떤 오류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검사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정규영상 독출부(148)의 동작을 지시한다. 이 경우, 정규영상 독출부(144)는 하나 이상의 정규영상을 서브 표시부(130)에 제공한다. 결국, 정규영상이란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오류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 서브 표시부(130)가 표시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메인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 상황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되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은 정규영상의 일 례이다.
구체적으로, 정규영상 저장부(158)는 서브 표시부(130)에 표시 가능한 모든 정규영상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된 데이터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일 례이다.
정규영상 독출부(148)는 정규영상 저장부(158)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서브 표시부(13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브 표시부(130)는 그 제공된 데이터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정규영상을 표시한다.
대안 수행부(160)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들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튼들 중, 촬영자에 의해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을 수행한다. 다만, 대안 수행부(160)는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이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 상황을 변경시키고자 하는 대안'(도 2에 도시된 바에서 No.= 1, 2, 3, 6, 7, 8, 9, 10, 13, 14, 15, 16, 17 중 하나)인 경우에 한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이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상황을 변경시키고자 하는 대안'(도 2에 도시된 바에서 No.= 4, 5, 11, 12, 18, 19 중 하나)이라면, 그러한 대안은 단말기가 전자적으로 인식하여 자동 수행할 수 없고 촬영자의 행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대안이기 때문이다.
한편, 앞서 언급된 오류발생원인 분석부(144) 및 원인정보 저장부(1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대안정보 저장부(156)는 오류를 어드레스로 하여 대안정보를 저장하고, 대안정보 독출부(146)는 오류유무 검사부(142)에서 감지된 오류를 어드레스로 갖는 대안정보를 그 저장된 대안정보 중에서 독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류정보 저장부(154) 및 원인정보 저장부(156)에 저 장된 오류정보 및 원인정보의 일 례를 나타낸다. 도 3에 표기된 '오류 No.', '대안 No.'는 도 2에 표기된 'No.'와 동일하다. 도 3은 앞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오류발생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No.=8은, 오류발생원인이 "플래쉬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것"라고 정의하지만, 도 3의 No.=8은, 오류발생원인을 "조리개는 최대로 개방되어 있고, 셔터 스피드는 1/30 초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기의 손떨림 방지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되어 있고, 감도(ISO)가 400 내지 800으로 설정되어 있고, 플래쉬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고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대안정보 저장부(158)에 저장된 대안정보의 일 례를 나타낸다. 도 4에 표기된 '대안 No.'는 도 2에 표기된 'No.'와 동일하다. 도 4는 앞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대안', '그 대안을 선택할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브 표시부(130)는, 대안정보 독출부(146)가 서브 표시부(130)에 대안영상을 제공하기 이전까지는, 복수의 정규영상들을 표시한다. 이 때, 서브 표시부(130)는 총 14개의 정규영상들을 표시하고자 한다. 만일, N=14라면, 서브 표시부(130)는 그 14개의 정규영상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나, N이 1≤N≤13이라면, 서브 표시부(130)는 그 14개의 정규영상들 중 N개의 정규영상들을 동시에 표시한다. 여기서, 동시에 표시되는 N개의 정규영상들은 단말기에 구비된 스크롤(scroll) 버튼(예를 들어, 방향키)을 조작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 14개의 정규영상들은 "절전 모드", "메모리 확보", "메모리 초기화", "메 모리 삽입", "메모리 잠김", "손떨림 방지 ON", "ISO 올림", "플래쉬 ON", "접사 촬영 ON", "AF 보조광 확인", "피사체 확인", "spot 측광", "플래쉬 강제 발광", "EV 조정"이다.
여기서, "절전 모드"라는 정규영상은 단말기에게 절전 모드에서 동작할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메모리 확보"라는 정규영상은 단말기에게 메모리의 잔여 공간을 확장시킬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메모리 초기화"라는 정규영상은 단말기에게 메모리를 초기화시킬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메모리 삽입"이라는 정규영상은 촬영자에게 단말기에 메모리 카드를 넣을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메모리 잠김"이라는 정규영상은 촬영자에게 메모리 카드를 잠글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손떨림 방지 ON"이라는 정규영상은 단말기에게 손떨림 방지 기능을 온(on)시킬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AF 보조광 확인"이라는 정규영상은 촬영자에게 AF 보조광이 손가락에 가리워있는지 확인할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피사체 확인"이라는 정규영상은 촬영자에게 피사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줄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spot 측광"이라는 정규영상은 단말기에게 측광 모드를 스폿 모드로 변경해줄 것을 요구하는 의미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플래쉬 강제 발광"이라는 정규영상은 단말기에게 플래쉬를 항상 켜줄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하고, "EV 조정"이라는 정규영상은 단말기에게 노출 보정값을 조정해줄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을 의미한다.
이처럼 서브 표시부(130)가 정규영상들을 표시하는 경우, 촬영자는 디스플레 이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 표시된 정규영상들 중 하나의 정규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120)는 그 선택된 정규영상이 무엇인가를 알리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 표기된 OSD(On Screen Display) 출력이란 메인 표시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의미하며, 그 썸네일 이미지는 이러한 OSD 출력의 일 례이다. OSD 출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선택된 정규영상이 "절전 모드"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배터리를 표현하는 아이콘(icon)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정규영상이 "메모리 확보", "메모리 초기화", "메모리 삽입", 또는 "메모리 잠김"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메모리 카드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정규영상이 "손떨림 방지 ON"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손떨림 방지 기능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정규영상이 "ISO 올림"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현재의 ISO 값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정규영상이 "플래쉬 ON", 또는 "플래쉬 강제발광"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플래쉬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정규영상이 "접사 촬영 ON", "AF 보조광 확인", 또는 "피사체 확인(단, No.= 11)"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AF 포인트(point)(단, AF 포인트란, 단말기가 초점을 잡는 데 있어 기준이 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점을 의미함)를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선택된 정규영상이 "spot 측광"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측광 모드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정규영상이 "EV 조정"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현재의 노출 보정값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정규영상이 "피사체 확인(단, No.= 19)"이라면, 메인 표시부(120)는 현재의 조리개의 걔폐 수치와 셔터 스피드값을 점멸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대안정보 독출부(146)가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서브 표시부(130)에 제공하면, 서브 표시부(130)가 표시하는 영상은 앞서 언급한 정규영상에서 대안영상으로 변경된다. 즉, 대안정보 독출부(146)가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서브 표시부(130)에 제공하면, 서브 표시부(130)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표시한다.
이 후, 촬영자가 N0.=1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단말기는 최대 절전 모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표시부(120)는 "최대 절전 모드로 변경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배터리를 표현하는 아이콘의 색상을 적색 계열로 변경한다. 또한, 대안 수행부(160)는, 메인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전체적인 밝기를 가능한 최저로 설정하고, 플래쉬와 AF 보조광을 오프(off)시킨다.
만일, 촬영자가 No.=2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촬영을 계속하시려면 백업하셨거나 잘못 나온 사진들을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메인 표시부(120)가 메시지를 표시하면, 단말기는 Multi Delete 모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Multi Delete 모드란, 단말기가 "저장된 사진들을 메인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하 고, 촬영자에게 각 사진의 삭제 여부를 묻고, 촬영자로부터 삭제를 지시받으면 그 사진을 삭제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한편, 촬영자가 No.=3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메모리가 초기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메모리를 초기화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메인 표시부(120)가 메시지를 표시하면, 단말기는 포맷(format) 모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포맷 모드란, 단말기가 메모리를 초기화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촬영자가 No.=4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메모리가 들어 있지 않습니다. 메모리를 삽입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메인 표시부(120)가 메시지를 표시하면, 단말기는 대기(stand-by) 모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대기 모드란, 단말기가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 모드를 의미한다.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메인 표시부(120)는 촬영영상을 포함한 그 어느 영상도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 따라 동작할 때, 촬영자는 단말기에 메모리 카드를 넣을 수 있다.
한편, 촬영자가 No.=5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메모리가 잠겨 있습니다. 메모리 잠김을 풀어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메인 표시부(120)가 메시지를 표시하면, 단말기는 대기 모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처럼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 따라 동작할 때, 촬영자는 단말기의 메모리 잠금 단추를 조작하여 메모리 잠김을 해제할 수 있다.
만일, 촬영자가 No.=6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단말기의 손떨림 방지 기능을 온(on)시키고, 메인 표시부(120)는 손떨림 방지 기능을 표현하는 아이콘의 점멸을 중지한다.
한편, 촬영자가 No.=7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ISO 값을 증가시키고, 메인 표시부(120)는 그 증가된 ISO 값을 표시한다.
또한, 촬영자가 No.=8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플래쉬를 온(on)시키고, 메인 표시부(120)는 플래쉬를 표현하는 아이콘의 점멸을 중지한다.
만일, 촬영자가 No.=9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단말기의 접사 촬영 기능을 온(on)시키고, 메인 표시부(120)는 AF 포인트의 점멸을 중지한다.
한편, 촬영자가 No.=10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AF 포인트의 점멸을 중지한다.
또한, 촬영자가 No.=11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촬영할 피사체를 초점 영역안에 위치시켜 주세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AF 포인트의 점멸을 중지한다.
만일, 촬영자가 No.=12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AF 보조광이 손가락 등으로 가려졌는지, 아니면 피 사체가 AF 보조광을 벗어났는지 확인해 주세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AF 포인트의 점멸을 중지한다.
한편, 촬영자가 No.=13, 또는 14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측광 모드를 스폿 모드로 설정하고, 메인 표시부(120)는 스폿 모드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촬영자가 No.=15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플래쉬를 온(on)시키고, 메인 표시부(120)는 플래쉬가 켜져 있음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만일, 촬영자가 No.=16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노출 보정값(EV)을 감소시키고, 메인 표시부(120)는 그 감소된 노출 보정값을 표시한다.
한편, 촬영자가 No.=17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대안 수행부(160)는 노출 보정값을 증가시키고, 메인 표시부(120)는 그 증가된 노출 보정값을 표시한다.
또한, 촬영자가 No.=18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피사체를 플래쉬 도달 범위인 5m 이내에 오게 해주세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만일, 촬영자가 No.=19 에 해당하는 대안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20)는 "피사체가 너무 밝습니다. 다른 피사체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후, 촬영자가 피사체를 변경하여, 오류유무 검 사부(142)가 더 이상 "노출 과다"라는 오류를 감지할 수 없다면, 메인 표시부(120)는 조리개의 개폐 수치와 셔터 스피드값의 점멸을 중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말기(510)에 구비된 액정 판넬(530)은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다섯 개의 정규영상들(Menu 1 내지 Menu 5)을 표시한다. 여기서, 액정 판넬(530)은 메인 표시부(120)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이 표시하는 정규영상들의 개수는 다섯 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촬영자는 단말기(510)에 구비된 액정 판넬(53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을 관찰하던 중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영상을 발견할 수 있고, 이 경우, 셔터 버튼(520)을 조작(예컨대,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셔터 버튼(520)을 완전히 누르면, 단말기(510)는 그 가압 당시 표시 중이던 촬영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셔터 버튼(520)을 반 쯤 눌러, 단말기(510)가 소위 반셔터 기능을 수행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동작하게 된다.
그에 따라, 단말기(510)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어떠한 오류가 존재한다고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4)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대안영상(대안 1 내지 대안 3)을 표시한다. 여기서, 그 감지된 오류에 대응되는 대안영상의 개수는 세 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표시된 대안영상들 중 촬영자가 "대안 1"이라는 대안영상을 선택 하면, "대안 1"이라는 대안영상이 점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멸은, 그 선택된 대안영상("대안 1")이 나타내는 대안의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대안의 수행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그 선택된 대안영상("대안 1")이 나타내는 대안이 단말기(510)의 하드웨어적 상황을 변경할 것을 요구한다면, 그 대안은 촬영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반해, 그 선택된 대안영상("대안 1")이 나타내는 대안이 단말기(510)의 소프트웨어적 상황을 변경할 것을 요구한다면, 단말기(510)가 그 대안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선택된 대안영상("대안 1")이 나타내는 대안이 단말기(510)의 소프트웨어적 상황을 변경할 것을 요구한다면, 그 대안을 수행하면서, 액정 판넬(530)은 "대안 1이 활성화 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안 1이 활성화 되었습니다"란 "대안 1을 수행한다"를 의미한다.
한편, 대안이 수행되고 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다고 검사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영상들을 다시 표시하게 된다. 촬영자는 그 감지된 오류가 모두 해소되었다고 검사된 경우에 한해, 셔터 버튼(520)을 완전히 눌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반해, 그 감지된 오류가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고 검사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542)은 이전에 선택된 대안영상("대안 1")은 더 이상 표시하지 않고, 그 이전에 선택된 대안영상을 제외한 다른 대안영상들("대안 2", "대안 3")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자는 그 표시된 대안영상들 중 하나의 대안영상을 선택하고, 이 후, 그 선택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이 수행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의 해소 여부를 다시 검사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0 각각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이라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액정 판넬(530)은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정규영상들("Play Mode", "Flash Off", "Macro Off", "Size 5M", "Quality Fine")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Play Mode"는 단말기(51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이고, "Flash Off"는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이고, "Macro Off"는 단말기(510)의 접사 기능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이고, "Size 5M"는 촬영할 사진의 용량을 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이고, "Quality Fine"은 촬영할 사진의 해상도를 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정규영상이다.
이 경우, 촬영자가 셔터 버튼(520)을 반 쯤 누르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 일,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감지한 오류가 "촬영 자체가 불가능함"이라면,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메모리 삽입"이라는 대안영상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촬영자가 그 디스플레이 버튼(540)을 조작하면, 액정 판넬(530)은 "메모리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메모리를 삽입해 주세요."라는 메시지를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고, 그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메모리 삽입"이라는 대안영상을 점멸시키며 표시한다.
이 후, 단말기(510)는 대기 모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처럼 단말기(510)가 대기 모드에 따라 동작하면, 액정 판넬(530)과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 모두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런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촬영자는 메모리 카드(610)를 단말기(510)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메모리 카드(610)가 단말기(510)에 장착되면, 액정 판넬(530)은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다고 검사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영상들을 다시 표시한다. 촬영자는 이 상태에서 셔터 버튼(520)을 완전히 눌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노출 부족"이라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액정 판넬(530)은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정규영상들("Play Mode", "Flash Off", "Macro Off", "Size 5M", "Quality Fine")을 표시한다.
이 경우, 촬영자가 셔터 버튼(520)을 반 쯤 누르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감지한 오류가 "노출 부족"이라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4)은 "손떨림 방지 ON", "ISO 올림", "Flash ON"이라는 대안영상들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버튼들이 복수의 대안영상들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디스플레이 버튼들은, 그 감지된 오류의 가능한 오류발생원인들 중 경험적으로 판단컨대 가능성 높은 오류발생원인(예를 들어, "단말기(510)의 손떨림 방지 기능이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응된 대안영상을 촬영자의 시선이 먼저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버튼(540))에 표시하는 반면, 가능성 낮은 오류발생원인(예를 들어, "플래쉬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응된 대안영상을 촬영자의 시선이 나중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버튼(548))에 표시함으로써,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균적으로 상당 부분 단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버튼들이 복수의 대안영상들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디스플레이 버튼들은, 실험적으로 판단컨대 그 감지된 오류의 해소에 효과가 큰 대안(예를 들어, "단말기(510)의 손떨림 방지 기능을 온(on)으로 설정한다")을 나타내는 대안영상을 촬영자의 시선이 먼저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버튼(540))에 표시하는 반면, 효과가 적은 대안(예를 들어, "플래쉬를 온(on)시킨다")을 나타내는 대안영상을 촬영자의 시선이 나중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버튼(548))에 표시함으로써,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균적으로 상당 부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버튼(540)을 조작하여 "손떨림 방지 ON"이라는 대안영상을 선택하면, 그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손떨림 방지 ON"이라는 대안영상을 점멸시키며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기(510)는 손떨림 방지 기능을 자동으로 온(on)시키고, 액정 판넬(530)은 "손떨림 방지 기능이 활성화 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에 따라, 그 선택된 대안영상("손떨림 방지 ON")에 나타난 대안이 수행되고 나면, "손떨림 방지 ON"이라는 대안영상의 점멸을 중지된다.
이처럼, 그 선택된 대안영상("손떨림 방지 ON")에 나타난 대안의 수행이 완료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다고 검사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영상들을 다시 표시한다. 촬영자는 이 상태에서 셔터 버튼(520)을 완전히 눌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노출 부족"이라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참고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액정 판넬(530)은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정규영상들("Play Mode", "Flash Off", "Macro Off", "Size 5M", "Quality Fine")을 표시한다.
이 경우, 촬영자가 셔터 버튼(520)을 반 쯤 누르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감지한 오류가 "노출 부족"이라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4)은 "ISO 올림", "Flash ON"이라는 대안영상들을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에 감지된 오류와 도 8의 경우에 감지된 오류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도 7의 단말기(510)의 상황과 도 8의 단말기(510)의 상황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표시되는 대안영상들은 도 7의 경우와 도 8의 경우가 이처럼 상이할 수 있다.
이 후,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버튼(540)을 조작하여 "ISO 올림"이라는 대안영상을 선택하면, 그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ISO 올림"이라는 대안영상을 점멸시키며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기(510)는 감도(ISO) 값을 일정 수치만큼 자동으로 증가시키고, 액정 판넬(530)은 "ISO를 800으로 올렸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에 따라, 그 선택된 대안영상("ISO 올림")에 나타난 대안의 수행되고 나면, "ISO 올림"이라는 대안영상의 점멸은 중지된다. 여기서, 800은 설명의 편의상 도입된 수치에 불과하다.
이처럼, 그 선택된 대안영상("ISO 올림")에 나타난 대안의 수행이 완료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지 않았다고 검사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은 이전에 선택된 대안 영상("ISO 올림")은 더 이상 표시하지 않고, 그 이전에 선택된 대안영상을 제외한 다른 대안영상("Flash ON")을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대안영상의 표시되는 위치는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Flash ON"이라는 대안영상은 도 8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 버튼(542)에 표시되었으나 도 8의 (d)에서는 디스플레이 버튼(540)에 표시된다.
이 후,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버튼(540)을 조작하여 "Flash ON"이라는 대안영상을 선택하면, 그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Flash ON"이라는 대안영상을 점멸시키며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기(510)는 플래쉬를 자동으로 켠다. 이처럼, 그 선택된 대안영상("Flash ON")에 나타난 대안의 수행이 완료되면, 액정 판넬(530)은 "플래쉬가 켜졌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도 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고, "Flash ON"이라는 대안영상의 점멸을 중지한다.
이처럼, 그 선택된 대안영상("Flash ON")에 나타난 대안의 수행이 완료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재차 검사한다. 다만, "플래쉬를 켬으로써,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의 여부"는 사진을 실제 촬영하여야만 알 수 있으므로,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플래쉬가 켜졌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본 촬영자가 셔터 버튼(520)을 완전히 눌러 사진을 촬영한 뒤에야 비로소, 재차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그 촬영된 사진은 도 8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판넬(5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촬영자는 "플래쉬를 켬으로써,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9는 "초점을 잡지 못함"이라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액정 판넬(530)은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정규영상들("Play Mode", "Flash Off", "Macro Off", "Size 5M", "Quality Fine")을 표시한다.
이 경우, 촬영자가 셔터 버튼(520)을 반 쯤 누르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감지한 오류가 "초점을 잡지 못함"이라면,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접사 촬영 ON"이라는 대안영상을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초점을 잡지 못함"이라는 오류의 가능한 대안들로는, "단말기(510)의 접사 기능을 온(on)으로 설정한다", "AF 보조광을 켠다", "촬영할 피사체를 초점 영역안에 위치시킨다", "AF 보조광이 손가락에 의해 가려졌는지 확인하고, 가려졌다면 손가락을 AF 보조광에서 뗀다" 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에서 하나의 대안영상("접사 촬영 ON")만을 표시하고 있다. 이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에서, 단말기(510)의 AF 보조광은 이미 켜져 있고, 촬영할 피사체는 이미 초점 영역 안에 위치해 있고, AF 보조광이 무엇인가에 의해 가려지지도 않았고, 단말기의 접사 기능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버튼(540)을 조작하여 "접사 촬영 ON"이라는 대안영상을 선택하면, 그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접사 촬영 ON"이라는 대안 영상을 점멸시키며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기(510)는 접사 기능을 자동으로 온(on)시키고, 액정 판넬(530)은 "'접사 촬영' 기능이 활성화 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에 따라, 그 선택된 대안영상("접사 촬영 ON")에 나타난 대안("단말기(510)의 접사 기능을 온(on)으로 설정한다")이 수행되고 나면, "접사 촬영 ON"이라는 대안영상의 점멸은 중지된다.
이처럼, 그 선택된 대안영상("접사 촬영 ON")에 나타난 대안의 수행이 완료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다고 검사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영상들을 다시 표시한다. 촬영자는 이 상태에서 셔터 버튼(520)을 완전히 눌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노출 이상"이라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액정 판넬(530)은 촬영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정규영상들("Play Mode", "Flash Off", "Macro Off", "Size 5M", "Quality Fine")을 표시한다.
이 경우, 촬영자가 셔터 버튼(520)을 반 쯤 누르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오류유무 검사부(142)가 감지한 오류가 "노출 이상"이라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542)은 "Spot 측광", "Flash 강제 발광"이라는 대안영상들을 도 10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버튼(540)을 조작하여 "Spot 측광"이라는 대안영상을 선택하면, 그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40)은 "Spot 측광"이라는 대안영상을 점멸시키며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기(510)는 단말기(510)의 측광 모드를 스폿 모드로 자동 설정하고, 액정 판넬(530)은 "Spot 측광으로 바뀌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에 따라, 그 선택된 대안영상("Spot 측광")에 나타난 대안("단말기(510)의 측광 모드를 스폿 모드로 설정한다")이 수행되고 나면, "Spot 측광"이라는 대안영상의 점멸이 중지된다.
이처럼, 그 선택된 대안영상("Spot 측광")에 나타난 대안의 수행이 완료되면, 오류유무 검사부(142)는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그 감지된 오류가 해소되었다고 검사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540 내지 548)은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영상들을 다시 표시한다. 촬영자는 이 상태에서 셔터 버튼(520)을 완전히 눌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존재하는 오류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대안을 표시하여 이 대안들을 촬영자에게 알리는 단계들(제1110~ 제1132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촬영자가 셔터 버튼을 반 쯤 조작하여, 단말기가 반셔터 기능을 수행하면(제1110 단계), 제어부(140)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제1112 단계).
제1112 단계에서 오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1112 단계에서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저장부(150)에 저장된 대안영상들 중에서 독출한다(제1114 단계).
제1114 단계 후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튼은 제1114 단계에서 독출된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표시하고(제1116 단계), 촬영자는 제1116 단계에서 표시된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 중 하나의 대안영상을 선택한다(제1118 단계).
제1118 단계 후에, 제어부(140)는 제1112 단계에서 존재한다고 판단된 오류가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상황에 존재하는 오류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적 상황에 존재하는 오류인지 판단한다(제1120 단계).
제1120 단계에서 하드웨어적 오류라고 판단되면, 메인 표시부(120)는 제1118 단계에서 선택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을 메시지 형태로 표시하고(제1122 단계), 촬영자는 제1122 단계에서 표시된 대안에 따라 조치를 취한다(제1124 단계).
그에 반해, 제1120 단계에서 소프트웨어적 오류라고 판단되면, 메인 표시부(120)는 제1118 단계에서 선택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을 메시지 형태로 표시하고(제1126 단계), 단말기는 제1122 단계에서 표시된 대안을 자동으로 수행한다(제1128 단계). 제1128 단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26 단계 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제1126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제1126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제1124 단계 또는 제1128 단계 후에, 제어부(140)는 제1112 단계에서 존재한 다고 판단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 판단한다(제1130 단계).
제1130 단계에서 해소되었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버튼들은 정규영상들을 표시하고, 촬영자는 디스플레이 버튼에 표시되는 영상이 대안영상에서 정규영상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하고서야 비로소 사진을 촬영한다(제1132 단계).
그에 반해, 제1130 단계에서 해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1118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제1112 단계에서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1132 단계로 진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은, 단말기에 존재하는 오류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대안을 표시하여 이 대안들을 촬영자에게 알림으로써, 단말기의 동작 원리와 각 종 세부 기능을 능통하게 알지 못하는 촬영자라도 그 감지된 오류를 손쉽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효과는, 카메라에 존재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이를 촬영자에게 알리는 데 그치므로, 오류를 인식한 촬영자가 카메라의 동작 원리와 각 종 세부 기능에 대해 무지한 촬영자라면, 촬영자에게 오류를 알린 실익이 전혀 없게 되는 종래의 카메라로부터는 유추될 수 없는 효과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복수개의 대안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그 감지된 오류의 가능한 발생 원인들 중 경험적으로 판단컨대 가능성 높은 발생 원인에 대응된 대안을 촬영자의 시선이 먼저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표시하는 반면, 가능성 낮은 발생 원인에 대응된 대안을 촬영자의 시선이 나중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균적으로 상당 부분 단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복수개의 대안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그 감지된 오류의 해소에 효과가 큰 대안을 촬영 자의 시선이 먼저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표시하는 반면, 효과가 적은 대안을 촬영자의 시선이 나중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들 중 가장 효과적인 대안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균적으로 상당 부분 단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그 감지된 오류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상의 오류인 경우, 단말기가 그 표시된 대안들 중 촬영자가 선택한 대안을 자동 수행하므로, 촬영자가 그 감지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해 단말기를 번거로이 조작할 필요가 없어, 그 감지된 오류를 신속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23)

  1.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공된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가능한 상기 오류를 어드레스로 하여 대안정보를 저장하는 대안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오류를 어드레스로 갖는 하나 이상의 대안정보를 상기 저장된 대안정보 중에서 독출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은 상기 독출된 대안정보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오류의 미리 정의된 하나 이상의 오류발생원인 중 상기 단말기에 해당되는 오류발생원인과 매칭되어 미리 마련된 상기 대안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가능한 상기 오류를 어드레스로 하여 하나 이상의 원인정보를 저장하는 원인정보 저장부; 및
    가능한 상기 원인정보를 어드레스로 하여 대안정보를 저장하는 대안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오류를 어드레스로 갖는 하나 이상의 원인정보 각각이 상기 단말기의 상황에 해당되는지 검사하고, 해당된다고 검사된 상기 원인정보를 어드레스로 갖는 대안정보를 상기 복수의 버튼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가능한 상기 오류는 미리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조작된 상기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조작된 상기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이 의 미하는 대안을 자동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조작된 상기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은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은, 복수의 상기 대안영상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치한 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반셔터 기능이 수행된 경우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공된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촬영 기능을 가지며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미리 마련된 대안영상 중 상기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가능한 상기 오류마다 매칭되어 저장된 대안정보 중 상기 감지된 오류에 매칭된 대안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독출된 대안정보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감지된 오류의 미리 정의된 하나 이상의 오류발생원인 중 상기 단말기에 해당되는 오류발생원인과 매칭되어 미리 마련된 상기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가능한 상기 오류는 미리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은
    조작된 상기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조작된 상기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이 의미하는 대안을 자동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0. 제13 항에 있어서, 조작된 상기 버튼에 표시된 대안영상은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1.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복수의 상기 대안영상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치한 채 상기 복수의 버튼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2.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반셔터 기능이 수행된 경우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3.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촬영 기능의 비정상적 수행을 유도하는 오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감지된 오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안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KR1020060096404A 2006-09-29 2006-09-29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KR10084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04A KR100846495B1 (ko) 2006-09-29 2006-09-29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US11/889,624 US8125556B2 (en) 2006-09-29 2007-08-15 Device having camera function including error detection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therefor
PCT/KR2007/004210 WO2008038909A1 (en) 2006-09-29 2007-09-04 Device having camera function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therefor
JP2009530250A JP5220021B2 (ja) 2006-09-29 2007-09-04 カメラ機能を持つデバイス、その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04A KR100846495B1 (ko) 2006-09-29 2006-09-29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51A KR20080030351A (ko) 2008-04-04
KR100846495B1 true KR100846495B1 (ko) 2008-07-17

Family

ID=3923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404A KR100846495B1 (ko) 2006-09-29 2006-09-29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25556B2 (ko)
JP (1) JP5220021B2 (ko)
KR (1) KR100846495B1 (ko)
WO (1) WO2008038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2662B2 (ja) * 2008-10-31 2013-08-28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US8498486B2 (en) * 2009-03-1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Response to detection of blur in an image
JP5397059B2 (ja) * 2009-07-17 2014-01-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131286B2 (ja) * 2010-01-04 2013-01-30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2078243A2 (en) * 2010-10-11 2012-06-14 Woundmatrix, Inc. Wound management mobile image capture device
JP5825505B2 (ja) * 2011-02-02 2015-12-02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15670A (ja) * 2011-11-30 2013-06-10 Sony Corp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010A (ko) * 2004-08-26 2006-03-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517A (ja) * 1994-04-28 1995-11-07 Canon Inc 視線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H08137647A (ja) 1994-11-07 1996-05-31 Fujitsu Ltd 操作案内情報再生方法および操作案内情報再生装置並びに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方法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装置
US6154210A (en) * 1998-11-25 2000-11-28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button interface compatibility in touch-screen equipped digital imaging device
JP4345120B2 (ja) 1998-12-25 2009-10-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トラブル情報報知方法および表示機能付電子機器
JP2002142148A (ja) 2000-11-06 2002-05-1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及びその撮影条件設定方法
US6539177B2 (en) 2001-07-17 2003-03-25 Eastman Kodak Company Warning message camera and method
JP2003125239A (ja) 2001-10-17 2003-04-25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170070B2 (ja) 2002-11-14 2008-10-2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JP2005109607A (ja) 2003-09-29 2005-04-21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JP2005184391A (ja) * 2003-12-18 2005-07-07 Ricoh Co Ltd 撮像装置およびその異常検出方法
JP4525271B2 (ja) 2004-09-22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異常報知方法
US20060077266A1 (en) * 2004-10-08 2006-04-13 Nokia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in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amera
JP2006140695A (ja) * 2004-11-11 2006-06-01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010A (ko) * 2004-08-26 2006-03-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8909A1 (en) 2008-04-03
KR20080030351A (ko) 2008-04-04
US8125556B2 (en) 2012-02-28
US20080079811A1 (en) 2008-04-03
JP2010505326A (ja) 2010-02-18
JP5220021B2 (ja)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482B1 (ko) 촬상 장치
JP461372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7885532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pre-flash and image sensing method for calculating flash illumination amount using degree of convergence
US7843494B2 (en) Image ta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046290B2 (en) Multi-point auto-focus digital camera including electronic zoom
US8558936B2 (en) Imaging apparatus
KR100846495B1 (ko) 촬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JP200625422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WO2007057971A1 (ja) デジタル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を搭載した電子機器、デジタルカメラの撮像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9300875B2 (en) Imaging device display controller
USRE44997E1 (en) Photographing apparatus
JP516939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WO2017086065A1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31769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2006163496A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プログラム
JP2009058837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35559B2 (ja) 撮像装置
JP2004333924A (ja) カメラ
JP2006018057A (ja) カメラ
JP2018113532A (ja) 撮像装置
JP4345668B2 (ja) 撮像装置
JP2006252327A (ja) 画像評価装置、画像評価方法及び画像評価プログラム
JP200622290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5262799B2 (ja) カメラ
JP4354090B2 (ja) 電子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