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480B1 -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480B1
KR100842480B1 KR1020077014480A KR20077014480A KR100842480B1 KR 100842480 B1 KR100842480 B1 KR 100842480B1 KR 1020077014480 A KR1020077014480 A KR 1020077014480A KR 20077014480 A KR20077014480 A KR 20077014480A KR 100842480 B1 KR100842480 B1 KR 100842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ll
sealing
cam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646A (ko
Inventor
신 무라까미
도오루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는 출입구 부재(10), 도어(6a, 6b), 이동 가능한 부재(32), 푸시 다운 기구(36, 37) 및 밀봉 기구(30)를 포함한다. 출입구 부재(10)는 문에 제공된다. 도어(6a, 6b)는 출입구 부재(10)를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동 가능한 부재(32)는 수평으로 설정되고 출입구 부재(10)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가압 유닛(35)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된다. 푸시 다운 기구(36, 37)는 도어(6a, 6b)가 폐쇄되기 직전에 가압 유닛(35)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한 부재(32)를 아래로 가압한다. 밀봉 기구(30)는 이동하면서 도어(6a, 6b)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 가능한 부재(32)가 푸시 다운 기구(36, 37)에 의해 아래로 가압될 때 도어(6a, 6b)의 상부 섹션과 접촉됨에 따라 도어(6a, 6b)와 출입구 부재(10) 사이의 간극을 밀봉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SEA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문 내에 제공된 출입구 부재와 출입구 부재에 인접하여 제공된 도어 장치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엘리베이터용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문은 빌딩 내의 엘리베이터 홀(hall)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사이에 제공된다. 출입구 부재는 문 내에 설정된다. 홀 도어는 출입구 부재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샤프트 내에서 위 아래로 이동하는 케이지가 엘리베이터 홀에 도착할 때 홀 도어가 개방되어, 승객이 케이지에 타거나 또는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케이지가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출발할 때, 도어가 폐쇄된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부재의 상부에 제공된 행거 레일을 따라 도어의 상부 섹션에 제공된 행거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홀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홀 도어를 부드럽게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홀 도어와 출입구 부재의 3면 프레임 또는 문턱 사이에 간극이 생성된다.
빌딩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 가스가 홀 도어 내의 간극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샤프트로 진입한다. 따라서, 연기가 이들 층의 홀 도어의 간극을 통해 몇몇 다른 층으로 퍼질 수 있어서, 거주자를 위험에 노출시킨다.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몇몇 엘리베이터는 홀 도어용으로 설치된 밀봉 기구 또는 홀 도어 부근에 설치된 셔터, 도어 및 스크린 등의 연기 차단 설비를 구비한다. 그러나, 셔터를 포함하는 이러한 연기 차단 설비가 제공될 때, 생산 비용은 자연히 증가된다. 또한, 그 후에 제공된 저장 공간 및 안내 기구가 엘리베이터의 외관을 손상시킨다.
외관의 손상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 홀 도어와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차단되도록 밀봉 기구가 홀 도어 내에 설정되는 널리 인기 있는 기술이 있다. 밀봉 기구로서 제안된 많은 기술이 있다. 이들 기술에 따르면, 도어가 폐쇄될 때 도어와 출입구 사이에서 가압됨에 따라 탄성 부재에 의해 간극을 밀봉하도록 고무 또는 몇몇 다른 탄성 부재가 도어의 주연부 상에 장착된다. 도어 둘레에 제공된 밀봉될 부재들 중에서,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도어를 밀봉 부재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도어 정지부와 도어의 후방측 단부가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부재와의 연결하여, 고무, 금속판 등을 사용하는 비교적 간단한 밀봉 기구로 간극이 밀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어의 상부 섹션과 문턱부에서, 고무 또는 얇은 금속 판이 간단하게 장착된다면 이러한 밀봉 부재는 이하의 문제를 수반한다. 즉, 밀봉 부재와 도어가 항상 서로 접촉하고,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때 이들이 서로에 대해 활주한다. 따라서, 밀봉 부재는 마모되거나 또는 강성을 상실하여 연기 차단 성능을 손상시킨다. 또한, 활주 저항이 증가됨에 따라, 도어는 더 이상 부드럽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없거나 또는 도어 활주가 증가될 수 있을 때 소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6-234488호 및 7-76477호 각각은 도어의 상부 섹션 내의 간극을 차단하기 위한 기구를 개시하며, 여기서 도어가 폐쇄될 때 밀봉 부재가 다른 측 상의 부재와 접촉된다. 이러한 기구에서, 밀봉 부재는 비스듬히 설정되고 도어의 상부 섹션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기구는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밀봉 부재 및 다른 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는 부드럽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고, 동시에 밀봉 부재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한 것 외에도,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2003-34481호에는 밀봉 부재가 항상 활주하지 않지만 화재가 발생할 때만 액츄에이터에 의해 다른 부재에 대해 접하게 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문헌에 따르면, 전자석의 인력이 연기 센서에 의한 출력에 응답하여 해제되고, 간극 차단 부재가 간극을 차단하도록 스프링으로 가압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7-247086호는 도어 둘레에 미로형의 방식으로 절곡된 연기 차단 기구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구는 간극을 미로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연기를 방해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기구로 인해, 활주부가 없으며, 이에 따라 밀봉 부재는 결코 마모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6-234488호 또는 7-76477호에 개시된 구성을 갖는 발명은 밀봉 부재를 비스듬하게 하기 위해 높이 방향으로 설치시 추가 공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도어 및 안내 기구의 치수를 유지하면서 연기 차단 기구를 이미 설치된 도어에 추가하는 개편을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밀봉 부재가 비스듬히 설정되기 때문에, 도어의 도어 정지부에 제공된 밀봉 부재와 비스듬한 밀봉 부재용 모두의 가압력과 접촉 영역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밀봉 부재를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 또한, 이들 발명에 의해, 비스듬한 밀봉 부재가 가압되고, 이에 따라 밀봉 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의 성분이 생성된다. 따라서, 도어를 폐쇄하고 폐쇄된 도어를 유지하도록 큰 힘을 요구한다. 따라서, 구동 기구와, 도어를 폐쇄하기 위한 기구의 크기가 증가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2003-34481호에 개시된 기구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기 위해 큰 공간을 요구한다. 또한, 이러한 기구는 예컨대 연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액츄에이터용 와이어와, 정전, 연기 센서에 의한 에러 등으로 인해 밀봉 기구가 작동된 후 기구를 회복시키는데 사용되는 회복 기구를 요구한다. 따라서, 장치가 복잡해진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7-247086호에 개시된 기구에서, 간극은 적절히 작동하는 연기 차단 기능을 위해 충분히 좁아야 한다. 좁은 간극을 유지하도록, 고정밀 부품이 요구된다. 정밀하게 설치되지 않으면 부재가 서로 활주할 때 이러한 기구는 소음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설치될 때 부재의 설정 위치를 조절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부재의 마모 가능성과 과도한 마찰력이 없는 엘리베이터 도어용의 매우 내구성이 있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고 용이하게 조절되며 와이어 작동 또는 제어 장치를 요구하지 않으며, 도어를 폐쇄할 때 과도한 반발력 또는 큰 활주 소음을 생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일 실시예는 출입구 부재, 도어, 이동 가능한 부재, 푸시 다운 기구 및 밀봉 기구를 포함한다. 출입구 부재는 엘리베이터의 문에 제공된다. 도어는 출입구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출입구 부재에 대해 개방 및 폐쇄된다. 이동 가능한 부재는 수평으로 설정되고 출입구를 위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동 가능한 부재는 가압 수단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푸시 다운(push down) 기구는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도어가 이동한 후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가압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를 아래로 가압한다. 밀봉 기구는 도어가 이동할 때 도어에 대해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고, 푸시 다운 기구에 의해 아래로 가압될 때 이동 가능한 부재의 작동에 의해 도어의 상부 섹션에 접촉됨에 따라 도어와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한다.
이러한 경우, 밀봉 기구는 출입구 부재 내에 수평으로 설정된, 탄성 부재로 제조된 벨트형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밀봉 부재는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신장된다. 이동 가능한 부재가 푸시 다운 기구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될 때, 밀봉 부재는 수직 중간부를 절곡하여 도어의 상부 섹션과 접촉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와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차단된다.
이와 달리, 밀봉 기구는 출입구 부재 내에 수평으로 설정된, 탄성 부재로 제조된 벨트형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부재가 푸시 다운 기구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될 때, 밀봉 부재가 절곡되어 도어의 상부 섹션과 접촉한다. 따라서, 도어와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차단된다.
이와 달리, 밀봉 기구는 이동 가능한 부재 상에 수평으로 설정된, 탄성 부재로 제조된 벨트형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부재가 푸시 다운 기구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될 때, 밀봉 부재가 도어의 상부 섹션과 출입구 부재에 접촉되어 이들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도어와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차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푸시 다운 기구는 캠 부재와 푸시 부재를 포함한다. 캠 부재가 출입구 부재 및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고, 푸시 부재가 다른 하나에 제공된다.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 부재와 푸시 부재는 이동 가능한 부재를 하향으로 가압하도록 서로 맞물린다.
밀봉 기구의 밀봉 부재는 고무 시트, 불연성 고무 시트, 필름형 수지 재료 및 얇은 금속판 중 하나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문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벽의 개구부(2)를 둘러싸는 출입구 부재로서 작용하는 프레임 몸체(1)를 포함한다. 행거 레일(3)은 수평 방향으로 프레임 몸체(1)의 상부 섹션 내에 설치된다.
한 쌍의 홀 도어(6a, 6b)는 행거 롤러(4a, 4b)와 행거(5a, 5b)에 의해 행거 레일(3)로부터 현수된다. 홀 도어(6a, 6b)는 행거 레일(3)을 따라 좌우로 대칭으로 이동한다.
행거 롤러(4a, 4b)가 레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측 지지 롤러(7a, 7b)가 행거 레일(3)의 하부측에 배열되고, 행거(5a, 5b)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홀 도어(6a, 6b)의 하부는 안내 슈(8a, 8b)에 의해 홀의 층과 사실상 동일 높이가 되도록 제공된 문턱(9)을 따라 안내된다. 홀 도어(6a, 6b)의 둘러싸는 부분 중에서, 도어 정지부(20a, 20b), 도어 후방 단부(21a, 21b) 및 문턱부(22a, 22b)에는 각각 밀봉 수단을 구성하는 내장식 밀봉 기구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홀 도어(6a, 6b)의 상부 섹션에 제공된 밀봉 기구가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이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홀 도어(6a, 6b)의 상부 섹션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3은 도2에 지시된 섹션(A)을 더욱 확대한 도면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4 내지 도6은 각각 도3의 선 L-L, 선 M-M 및 선 N-N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에서, 홀은 도면의 우측에 위치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측은 좌측에 위치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부재로서 작용하는 도어 헤더(10)가 홀 도어(6a, 6b)의 상부측에 대해 홀 측에 대면하도록 제공된다. 도어 헤더(10)는 프레임 몸체(1)에 연결된다.
절첩부(10c)는 도어 헤더(10)의 하부 에지에 형성되고, 홀 도어(6a, 6b)의 상부 섹션에 대면하도록 샤프트 측을 향해 L형상으로 절첩된다. 헤더 케이스(11)는 프레임 몸체(1)에 연결되고 도어 헤더(10)의 내측에 제공된다. 행거 레일(3)은 헤더 케이스(11) 상에 장착된다.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는 도어 헤더(10)의 하부 단부에서 절첩부(10c) 부근에 도달한다.
밀봉 부재로서 작용하는 벨트형의 플루오르계 고무 시트(30)는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와 도어 헤더(10)의 절첩부(10c) 사이를 가로질러 절첩부(10c)의 종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제공된다. 고무 시트(30)의 하부 단부는 하부 홀더 판(31)과 절첩부(10c) 사이에서 조여져서, 절첩부(10c)에 대해 고정한다. 고무 시트(30)의 상부 단부는 이동 가능한 부재로서 작용하는 2개의 상부 홀더 판(32)들 사이에서 조여진다.
각각이 합성 수지로 형성된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은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의 내측에 장착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은 이들이 헤더 케이스(11)의 종방향 중간 구역 내에서 종방향으로 서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고무 시트(30)의 상부 단부는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 사이에서 상부 홀더 판(32)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가압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35)은 양측 상에서 상부 홀더 판(32) 및 하부 홀더 판(31)의 단부들 사이에 부착된다. 상부 홀더 판(32)은 토션 스프링(35)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캠 부재로서 작용하는 캠 판(36)은 양측 상에서 상부 홀더 판(32)의 단부 부근의 섹션에 대칭으로 부착된다. 푸시 부재로서 작용하고 캠 판(36)에 각각 대응하는 캠 롤러(37)는 홀 도어(6a, 6b)의 행거(5a, 5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정된다.
캠 판(36) 각각의 상부 에지는 불균일한 높이를 갖는 캠부(36a) 내에 형성된다. 캠 롤러(37)는 홀 도어(6a, 6b)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부(36a)와 접촉되고, 하부 섹션으로부터 캠부(36a)의 상부 섹션으로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무 시트(30)는 토션 스프링(35)의 힘에 대항하여 상부 홀더 판(32)과 함께 하향으로 가압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홀 도어(6a, 6b)가 개방될 때, 캠 롤러(37)는 각각의 캠 판(36)으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상부 홀더 판(32)은 토션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된다. 상부 홀더 판(32)의 상부 단부는 전방 지지 판(34)의 내측의 상부 단부에 접하도록 제조되고, 이에 따라 고무 시트(30)는 홀 도어(6a, 6b)에 대해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신장된다(도7 참조).
이러한 상태로부터, 홀 도어(6a, 6b)는 도어를 폐쇄하도록 서로 근접하게 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어를 이동시키는 동안, 고무 시트(30)는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까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홀 도어(36a)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 롤러(37) 각각은 각각의 캠 판(36)의 캠부(36a)와 접촉되고, 하부 섹션으로부터 캠부(36a)의 상부 섹션으로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무 시트(30)의 상부 섹션은 토션 스프링(35)의 힘에 대항하여 상부 홀더 판(32)과 함께 아래로 가압된다(도2 내지 도6 참조). 고무 시트(30)가 아래로 가압됨에 따라, 고무 시트(30)의 수직 중간부는 샤프트 측으로 돌출하도록 탄성적으로 절곡된다. 절곡됨에 따라, 고무 시트(30)의 중간부는 홀 도어(6a, 6b)의 상부 섹션과 긴밀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도어 헤더(10)와 홀 도어(6a, 6b)의 상부 섹션 사이의 간극은 기밀 상태로 차단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어 헤더(10)와 홀 도어(6a, 6b)의 상부 섹션 사이의 간극은 기밀 상태로 고무 시트(30)에 의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재의 연기가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밀봉 장치는 샤프트가 굴뚝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의 퍼짐을 억제한다. 또한, 연기가 몇몇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에의 밀봉 장치에 따르면, 밀봉 기구는 높이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해 작은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기구는 새로운 구성으로 대규모의 개편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미 건설된 홀 도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밀봉 기구의 고무 시트(30)는 개방 및 폐쇄된 홀 도어(6a, 6b) 상에서 활주하지 않지만,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이들과 접촉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고무 시트(30)는 용이하게 마모되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에까지 견딘다. 또한, 활주 동안의 마찰력과, 도어가 폐쇄된 후의 반발력은 극히 낮은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밀봉 기구는 액츄에이터 또는 와이어를 요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조절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는 한 쌍의 홀 도어(6a, 6b)의 도어 정지부가 문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홀 도어(6a, 6b)가 중심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대칭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양분 형식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유사한 기구를 고속 도어 및 저속 도어를 포함하는 일측 활주 형식의 도어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일측 활주 형식의 도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와 연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8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8은 샤프트 측에서 본 일측 활주 형식의 홀 도어(6c, 6d)의 상부 섹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9 내지 도12는 각각의 부품을 갖는 도어 장치의 구조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 내지 도12로부터, 홀 측은 도면의 우측에 위치되고 샤프트 측은 도면의 좌측에 위치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 홀 도어(6c)와 고속 홀 도어(6d)는 전방 및 후방 위치에서 서로로부터 변위되도록 배열된다. 도8은 홀 도어(6c, 6d)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홀 도어(6c, 6d)를 개방하는 동안, 저속 홀 도어(6c)는 도면의 좌측에서 도어 케이스(50)를 향해 저속으로 이동하고, 고속 홀 도어(6d)는 도어 케이스(50)를 향해 고속으로 이동한다. 홀 도어(6c, 6d)는 도어 케이스(50) 내에서 전방 및 후방 위치에서 하나씩 중첩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문이 개방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레일(3)은 헤더 케이스(11)와 평행하게 쌍으로 제공된다. 저속 홀 도어(6c)의 행거(5c)는 행거 롤러(4c)를 거쳐 행거 레일(3) 중 하나로부터 현수되는 반면, 고속 홀 도어(6d)의 행거(5d)는 행거 롤러(4d)를 거쳐 행거 레일(3) 중 다른 하나로부터 현수된다. 각각의 홀 도어(6c, 6d)는 각각 하나의 행거 레일(3)을 따라 이동한다.
도어 헤더(12)는 수평 중간부에 계단식 섹션을 갖는다. 도어 헤더(12)는 도8의 계단식 섹션에 대해 좌측에 절첩부(12c)를 가지며 절첩부(12d)는 계단식 섹션에 대해 좌측에 있다. 절첩부(12c)는 대면하도록 저속 홀 도어(6c)의 상부 섹션 부근에 위치된다. 절첩부(12d)는 대면하도록 고속 홀 도어(6d)의 상부 섹션 부근에 위치된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형의 플루오르계 고무 시트(40c)는 도어 헤더(12)의 절첩부(12c)와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 사이에서 절첩부(12c)의 종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제공된다.
고무 시트(40c)의 하부 단부는 하부 홀더 판(31)과 절첩부(12c) 사이에서 조여져서 절첩부(12c)에 대해 고정된다. 고무 시트(40c)의 상부 단부는 이동 가능한 부재로서 작용하는 2개의 상부 홀더 판(32)들 사이에서 조여진다.
각각이 합성 수지로 형성된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은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고무 시트(40c)의 상부 단부는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 사이에서 전방 홀더 판(32)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45c)은 각각 양측 상에서 상부 홀더 판(32) 및 하부 홀더 판(31)의 단부들 사이에 설정된다. 상부 홀더 판(32)은 토션 스프링(45c)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상부 홀더 판(32)에는 각각 양단부 측에 캠 판(46c, 47c)이 제공된다. 캠 판(46c, 47c)에 대응하는 캠 롤러(48c, 49c)는 홀 도어(6c)의 행거(5c) 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캠 판(46c, 47c)의 상부 에지는 각각이 불균일한 높이를 갖는 캠부(46c', 47c') 내에 형성된다. 홀 도어(6c)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 롤러(48c, 49c)는 캠부(46c', 47c')와 접촉되고, 하부 섹션으로부터 캠부(46c', 47c')의 상부 섹션으로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무 시트(40c)는 토션 스프링(45c)의 힘에 대항하여 상부 홀더 판(32)과 함께 하향으로 가압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케이스(50) 측에 위치된 홀 도어(6c)에 대응하는 캠 판(46c, 47c) 중 하나인 캠 판(46c)의 캠부(46c')는 도어 정지부 측에 위치된 다른 캠 판(47c)의 캠부(47c')보다 낮은 수준으로 위치된다. 캠 판(46c)에 대응하는 캠 롤러(48c)는 캠 판(47c)에 대응하는 캠 롤러(49c)보다 낮은 수준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 도어(6c)가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도어 정지부 측에 위치된 캠 롤러(49c)는 접촉되지 않으며 도어 케이스(50) 상의 캠 판(46c)을 지나간다. 그 다음,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 롤러(48c, 49c)는 각각 캠 판(46c, 47c)의 캠부(46c', 47c')와 접촉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형의 플루오르계 고무 시트(40d)는, 고속 홀 도어(6d)의 상부 섹션에 대면하는 도어 헤더(12)의 절첩부(12d)와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 사이에서 절첩부(12d)의 종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제공된다.
고무 시트(40c)의 하부 단부는 하부 홀더 판(31)과 절첩부(12d) 사이에서 조여져서 절첩부(12d)에 대해 고정된다. 고무 시트(40d)의 상부 단부는 이동 가능한 부재로서 작용하는 2개의 상부 홀더 판(32)들 사이에서 조여진다.
스탠드 판(13)은 절첩부(12d)에 대면하며 세워지도록 도어 헤더(12)의 절첩부(12d)의 내측에 장착된다. 각각이 합성 수지로 형성된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은 스탠드 판(13)의 측부 표면에 부착된다. 고무 시트(40d)의 상부 단부는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 사이에서 상부 홀더 판(32)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홀더 판(32)과 하부 홀더 판(31) 사이에 토션 스프링(45d)이 설정된다. 상부 홀더 판(32)은 토션 스프링(45d)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캠 판(46d, 47d)은 상부 홀더 판(32)의 양 단부 측 부근에 각각 부착된다. 캠 판(46d, 47d)에 대응하는 캠 롤러(48d, 49d)는 홀 도어(6d)의 행거(5d) 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캠 판(46d, 47d)의 상부 에지는 각각이 불균일한 높이를 갖는 캠부(46d', 47d') 내에 형성된다. 홀 도어(6d)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 롤러(48d, 49d)는 캠부(46d', 47d')와 접촉되고, 하부 섹션으로부터 캠부(46d', 47d')의 상부 섹션으로 위로 이동한다. 홀 도어(6d)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 롤러(48d, 49d)는 캠부의 하부 섹션으로부터 캠부(46d', 47d')와 접촉된다. 따라서, 고무 시트(40d)는 토션 스프링(45d)의 힘에 대항하여 상부 홀더 판(32)과 함께 하향으로 가압된다.
도어 케이스(50) 측에 위치된 홀 도어(6d)에 대응하는 캠 판(46d, 47d) 중 하나인 캠 판(46d)의 캠부(46d')는 도어 정지부 측에 위치된 다른 캠 판(47d)의 캠부(47d')보다 낮은 수준으로 위치된다. 캠 판(46d)에 대응하는 캠 롤러(48d)는 캠 판(47d)에 대응하는 캠 롤러(49d)보다 낮은 수준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 도어(6d)가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도어 정지부 측에 위치된 캠 롤러(49d)는 접촉되지 않으며 도어 케이스(50) 측 상의 캠 판(46d)을 지나간다. 그 다음,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캠 롤러(48d, 49d)는 각각 캠 판(46d, 47d)의 캠부(46d', 47d')와 접촉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홀 도어(6c, 6d)가 문을 개방하도록 도어 케이스(50) 내에 위치될 때, 고무 시트(40c, 40d)의 상부 홀더 판(32)은 토션 스프링(45c, 45d)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된다. 상부 홀더 판(32)의 상부 단부는 전방 지지 판(34)의 내측의 상부 단부에 접하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무 시트(40c, 40d)는 홀 도어(6c, 6d)에 대해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신장된다.
홀 도어(6c, 6d)가 문을 폐쇄하도록 도어 정지부 측을 향해 이동을 시작할 때라도, 고무 시트(40c, 40d)는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홀 도어(6c, 6d)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에, 캠 롤러(48c, 49c, 48d, 49d)는 각각 캠 판(46c, 47c, 46d, 47d)의 캠부(46c', 47c', 46d', 47d')와 접촉되고, 하부 섹션으로부터 캠부(46c', 47c', 46d', 47d')의 상부 섹션으로 위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고무 시트(40c, 40d)의 상부는 토션 스프링(45c, 45d)의 힘에 대항하여 상부 홀더 판(32)과 함께 아래로 가압된다.
고무 시트(40c, 40d)가 아래로 가압됨에 따라, 고무 시트(40c, 40d) 각각의 수직 중간부는 샤프트 측으로 돌출하도록 탄성적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고무 시트(40c, 40d)의 중간부는 홀 도어(6c, 6d)의 상부 섹션과 긴밀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도어 헤더(12)와 홀 도어(6c, 6d)의 상부 섹션 사이의 간극은 기밀 상태로 차단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어 헤더(12)와 홀 도어(6c, 6d)의 상부 섹션 사이의 간극은 기밀 상태로 고무 시트(40c, 40d)에 의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재의 연기가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밀봉 장치는 샤프트가 굴뚝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퍼짐을 억제한다. 또한, 연기가 몇몇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밀봉 기구는 높이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해 작은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기구는 엘리베이터의 새로운 구성에서 대규모의 개편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미 건설된 빌딩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밀봉 기구의 고무 시트(40c, 40d)는 개방 또는 폐쇄된 홀 도어(6c, 6d) 상에서 항상 활주하지 않지만,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에 도어와 접촉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고무 시트(40c, 40d)는 용이하게 마모되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에까지 견딘다. 또한, 활주 동안의 마찰력과, 도어가 폐쇄된 후의 반발력은 극히 낮은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또는 와이어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조절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13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동안 홀 도어(6e)의 상부 섹션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14는 완전히 폐쇄될 때 홀 도어(6e)의 상부 섹션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벨트형의 플루오르계 고무 시트(60)는 절첩부(14c)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도어 헤더(14)의 절첩부(14c) 상에 수평으로 제공된다. 고무 시트(60)의 하부 단부는 하부 홀더 판(61)과 절첩부(14c) 사이에서 조여져서 절첩부(14c)에 대해 고정된다. 고무 시트(60)의 상부 단부는 홀 도어(6e)의 상부 섹션에 대면하도록 절첩부(14c) 위에서 연장된다.
각각이 합성 수지로 형성된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은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이동 가능한 부재로서 작용하는 홀더 판(62)은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홀더 판(62)의 하부 에지는 고무 시트(60)의 측부 표면에 접촉된다.
제1 실시예의 상부 홀더 판(32)의 경우에서와 같이, 홀더 판(62)은 가압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그 다음, 홀 도어(6e)가 폐쇄되기 직전에, 홀더 판(62)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 캠 기구에 의해 토션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가압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 도어(6e)가 개방될 때, 홀더 판(62)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고무 시트(60)가 홀 도어(6e)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홀 도어(6e)가 도어를 폐쇄하도록 이러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의 위치에 도달할 때, 홀더 판(62)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무 시트(60)는 하향으로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절곡되고 시트는 홀 도어(6e)의 상부 섹션에 긴밀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도어 헤더(14)와 홀 도어(6e)의 상부 섹션 사이의 간극은 기밀 상태로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화재의 연기가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밀봉 장치는 샤프트가 굴뚝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의 퍼짐을 억제한다. 또한, 연기가 몇몇 층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밀봉 기구는 높이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해 작은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기구는 새로운 구성에서 대규모의 개편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미 건설된 빌딩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밀봉 기구의 고무 시트(60)는 개방 및 폐쇄되는 홀 도어(6e) 상에서 활주하지 않지만,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에 도어와 접촉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고무 시트(60)는 용이하게 마모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에까지 견딘다. 또한, 활주 동안의 마찰력과, 도어가 폐쇄된 후의 반발력이 극히 낮은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또는 와이어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조절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15 및 도16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15는 폐쇄되기 직전의 홀 도어(6f)의 상부 섹션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16은 완전히 폐쇄될 때의 홀 도어(6f)의 상부 섹션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 부재(70)는 절첩부(15c)의 종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도어 헤더(15)의 절첩부(15c)와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 사이에 끼워진다. 충전 부재(70)의 상부는 절첩부(15c)의 상부 단부로부터 노출되고 홀 도어(6f)에 대면한다. 서로 대면하는 홀 도어(6f) 및 충전 부재(70)의 코너부들은 각각이 모따기되어 형성된다.
각각이 합성 수지로 형성된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은 헤더 케이스(11)의 하부 단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이동 가능한 부재로서 작용하는 홀더 판(71)은 후방 지지 판(33)과 전방 지지 판(34)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플루오르계 고무 시트(72)는 홀더 판(71)의 측부 표면 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무 시트(72)는 절첩부(15c)의 종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제공되고, 고무 시트의 하부는 절곡되어 루프부(72a)를 형성한다. 루프부(72a)는 충전 부재(70)와 홀 도어(6f) 사이의 간극에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제1 실시예의 상부 홀더 판(32)의 경우에서와 같이, 홀더 판(71)은 가압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그 다음, 홀 도어(6f)가 폐쇄되기 직전에, 홀더 판(71)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 캠 기구에 의해 토션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가압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 도어(6f)가 개방될 때, 홀더 판(71)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충전 부재(70)와 홀 도어(6f)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고무 시트(72)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홀 도어(6f)가 도어를 폐쇄하도록 이러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의 위치에 도달할 때, 홀더 판(71)과 고무 시트(72)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식 유닛으로서 하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무 시트(72)의 루프부(72a)는 홀 도어(6f)의 상부 섹션과, 도어 헤더(15) 내에 제공된 충전 부재(70)와 긴밀하게 접촉되어 이들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홀 도어(6f)의 상부 섹션과 도어 헤더(15) 사이의 간극은 기밀 상태로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화재의 연기가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샤프트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밀봉 장치는 샤프트가 굴뚝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퍼짐을 억제한다. 또한, 연기가 몇몇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밀봉 기구는 높이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해 작은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기구는 새로운 구성에서 대규모의 개편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미 건설된 빌딩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밀봉 기구의 고무 시트(72)는 개방 및 폐쇄된 홀 도어(6f) 상에서 활주하지 않지만,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에 도어(6f)에 접촉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고무 시트(72)는 용이하게 마모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에까지 견딘다. 또한, 활주 동안의 마찰력과, 도어(6f)가 폐쇄된 후의 반발력이 극히 낮은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또는 와이어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조절이 용이하다.
전술된 실시예 각각에서, 플루오르계 고무 시트는 밀봉 부재로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무 재료, 수지 재료, 필름형 재료, 얇은 금속 판 등이 밀봉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 각각에서, 캠 판은 각각의 이동 가능한 부재 내에 제공되고, 캠 판과 맞물리는 캠 롤러는 이동 가능한 부재를 아래로 가압하도록 설계된 푸시 다운 기구로서 각각의 도어의 행거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부로 제한되지 않고, 이와 달리 캠 롤러가 각각의 이동 가능한 부재에 제공되고 캠 롤러와 맞물리는 캠 판이 각각의 도어의 행거 내에 제공되는 이러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 가능한 부재 대신에 용이하게 활주 가능한 돌기가 간단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부재를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으로서 토션 스프링 대신에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또는 밀봉 부재 자체의 탄성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밀봉 부재의 마모 가능성과 과도한 마찰력이 없는 엘리베이터용 밀봉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고 용이하게 조절되며 와이어 또는 제어 장치를 요구하지 않으며, 도어를 폐쇄할 때 과도한 반발력 또는 큰 활주 소음을 생성하지 않는다.
탄성 부재로 형성된 밀봉 부재가 탄성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도어의 상부와 접촉하게 되므로 도어의 상부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된 상태로 간극없이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도어와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을 확실하게 밀봉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도1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측에서 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의 도어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일부의 확대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일부를 더욱 확대한 도면.
도4는 도3에 지시된 선 L-L을 따라 취한 단면 다이어그램.
도5는 도3에 지시된 선 M-M을 따라 취한 단면 다이어그램.
도6은 도3에 지시된 선 N-N을 따라 취한 단면 다이어그램.
도7은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도1에 도시된 도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 다이어그램.
도8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측에서 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의 도어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
도10은 도8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다른 부분의 단면도.
도11은 도8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또 다른 부분의 단면도.
도12는 도8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또 다른 부분의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
도14는 도13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다른 부분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다른 부분의 단면도.
도16은 도15에 도시된 도어 장치의 다른 부분의 단면도.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의 문에 제공된 출입구 부재와,
    상기 출입구 부재에 인접하여 제공되며, 상기 출입구 부재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도어와,
    상기 출입구 부재에 수평으로 제공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가압 유닛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이동 가능한 부재와,
    상기 도어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상기 가압 유닛에 대항하여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를 하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푸시 다운 기구와,
    상기 도어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도어에 대해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가 상기 푸시 다운 기구에 의해 아래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상부와 접촉할 때 상기 도어와 상기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기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이며,
    상기 밀봉 기구는 상기 출입구 부재에 수평으로 제공되고 탄성 부재로 만들어진 벨트 형상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하부 에지는 상기 출입구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밀봉 부재의 상부 에지는 상기 도어의 상부를 마주하고, 상기 푸시 다운 기구가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를 아래로 가압할 때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이 동 가능한 부재에 의하여 압박되어 절곡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밀봉 부재의 상부 에지는 상기 도어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와 상기 출입구 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KR1020077014480A 2003-07-28 2004-07-14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KR100842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2455 2003-07-28
JP2003202455A JP4322579B2 (ja) 2003-07-28 2003-07-28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737A Division KR100768602B1 (ko) 2003-07-28 2004-07-14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646A KR20070086646A (ko) 2007-08-27
KR100842480B1 true KR100842480B1 (ko) 2008-07-01

Family

ID=341005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480A KR100842480B1 (ko) 2003-07-28 2004-07-14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KR1020057015737A KR100768602B1 (ko) 2003-07-28 2004-07-14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737A KR100768602B1 (ko) 2003-07-28 2004-07-14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7584825B2 (ko)
EP (1) EP1581454B1 (ko)
JP (1) JP4322579B2 (ko)
KR (2) KR100842480B1 (ko)
CN (1) CN100551809C (ko)
DE (1) DE602004011470T2 (ko)
MY (1) MY138179A (ko)
SG (1) SG135195A1 (ko)
TW (1) TWI258455B (ko)
WO (1) WO20050098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3064A (zh) * 2017-01-11 2017-08-15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电梯开关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2579B2 (ja) * 2003-07-28 2009-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CN100351161C (zh) * 2005-09-16 2007-11-28 余惠江 电梯轿门厅门密封条及其成型工艺
JP2007176667A (ja) * 2005-12-28 2007-07-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AT503874B1 (de) 2006-07-10 2009-07-15 Wittur Gmbh Türkonstruktion für einen aufzug
JP5142102B2 (ja) * 2008-03-06 2013-02-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
JP2011084385A (ja) * 2009-10-19 2011-04-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US9234979B2 (en) 2009-12-08 2016-01-12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US8493081B2 (en) 2009-12-08 2013-07-23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and sensor hook-on attachment principle
JP5564575B2 (ja) * 2010-11-15 2014-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りかごドア気密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102485629A (zh) * 2010-12-02 2012-06-0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层门装置
CN102060225A (zh) * 2010-12-15 2011-05-18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轿厢上门机的安装结构
EP2687475A1 (de) * 2012-07-16 2014-01-22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tür mit angebauter Laufrollenanordnung
DE202012103068U1 (de) 2012-08-14 2012-08-31 Wittur Deutschland Holding Gmbh Schienensystem für Aufzugsschiebetüren
WO2017138060A1 (ja) * 2016-02-08 2017-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JP6781500B2 (ja) * 2017-03-23 202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109264556B (zh) * 2017-07-18 2021-10-26 富士达株式会社 电梯的门装置
JP6716042B2 (ja) * 2017-08-23 2020-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
USD1007710S1 (en) * 2020-05-14 2023-12-12 Inventio Ag Elevator landing door with integrated landing operating panel
USD1004136S1 (en) * 2020-05-14 2023-11-07 Inventio Ag Elevator landing door with integrated landing operating panel
US11623846B2 (en) * 2020-07-30 2023-04-11 G.A.L. Manufacturing Company, Llc Elevator door roller and track replac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191A (en) * 1976-10-06 1977-11-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elevator car having door operated sealing devices adjacent door opening
US4735293A (en) * 1986-12-01 1988-04-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Hatchway door for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6951A (en) * 1920-10-23 1922-02-14 Fehr Frank Elevator-hatchway seal
US3734238A (en) * 1971-08-16 1973-05-22 Otis Elevator Co Elevator installation with sealed passenger passageway
US4320793A (en) * 1980-03-10 1982-03-23 Charles Lindbergh Outward thrusting door weatherstrip
JP2674424B2 (ja) * 1992-06-10 1997-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乗場遮煙ドア装置
JPH06234488A (ja) 1993-02-08 1994-08-2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3089141B2 (ja) 1993-09-08 2000-09-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925901B2 (ja) * 1993-12-01 1999-07-2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3139907B2 (ja) 1994-03-09 2001-03-0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乗場の出入口装置
AU702836B2 (en) 1995-04-18 1999-03-04 Thomas H. Allen Hoistway door seal structure
US6330763B1 (en) * 1999-09-10 2001-12-18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Translating door with disengageable seals
US6615952B2 (en) * 2000-03-02 2003-09-09 Kabushiki Kaisha Toshiba Double deck elevator
JP2003034481A (ja) 2001-07-18 2003-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及び防火システム
JP2003033444A (ja) * 2001-07-23 2003-02-04 Nippon Spindle Mfg Co Ltd エレベータ乗降口における防煙装置
JP4299573B2 (ja) * 2003-04-25 2009-07-22 東洋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扉装置
JP4322579B2 (ja) * 2003-07-28 2009-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191A (en) * 1976-10-06 1977-11-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elevator car having door operated sealing devices adjacent door opening
US4735293A (en) * 1986-12-01 1988-04-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Hatchway door for elevato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3064A (zh) * 2017-01-11 2017-08-15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电梯开关门装置
CN107043064B (zh) * 2017-01-11 2019-05-03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电梯开关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1454A1 (en) 2005-10-05
US7584825B2 (en) 2009-09-08
TWI258455B (en) 2006-07-21
JP2005041638A (ja) 2005-02-17
MY138179A (en) 2009-05-29
US20090178342A1 (en) 2009-07-16
US7921970B2 (en) 2011-04-12
KR20070086646A (ko) 2007-08-27
SG135195A1 (en) 2007-09-28
CN100551809C (zh) 2009-10-21
CN1753827A (zh) 2006-03-29
EP1581454B1 (en) 2008-01-23
TW200513432A (en) 2005-04-16
JP4322579B2 (ja) 2009-09-02
US7958972B2 (en) 2011-06-14
US20050269038A1 (en) 2005-12-08
KR20050102141A (ko) 2005-10-25
DE602004011470D1 (de) 2008-03-13
US20090178341A1 (en) 2009-07-16
KR100768602B1 (ko) 2007-10-18
WO2005009884A1 (en) 2005-02-03
DE602004011470T2 (de)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48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EP1622823B1 (en) Sea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KR10154162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200717666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4885250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JP5154073B2 (ja) エレベータ乗降口の扉装置
JPWO200410621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885249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JP7002995B2 (ja) 自動ドア装置
JP2004263540A (ja) スライディング扉およびガイド手段を備えたドア
JP469430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遮煙装置
JP2018039632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ドア遮煙装置
JP2004083145A (ja) エレベータ扉装置
JP2004352397A (ja) エレベータドア遮蔽装置
JP2006273553A (ja) エレベータの遮煙扉装置
JP2023530384A (ja) 昇降扉用安全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安全装置を備えた昇降扉
JP200501513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230154503A (ko) 공압 도어클로저용 도어의 완전닫힘장치
JPH1144157A (ja) 連動引き戸装置
JP201016374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JP2005041637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JP2003300685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H04116087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引き戸装置
JP201123597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04113220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