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326B1 -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326B1
KR100836326B1 KR1020070006175A KR20070006175A KR100836326B1 KR 100836326 B1 KR100836326 B1 KR 100836326B1 KR 1020070006175 A KR1020070006175 A KR 1020070006175A KR 20070006175 A KR20070006175 A KR 20070006175A KR 100836326 B1 KR100836326 B1 KR 100836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distance measuring
unit
zoom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128A (ko
Inventor
히데아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줌배율을 설정하는 줌기구부를 갖고, 줌기구부가 설정한 줌배율로 거리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을 실행해서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 중심선과 상기 줌기구부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이 대응하도록, 상기 줌기구부가 설정하는 줌배율에 의거해서 상기 거리측정부의 앙각을 제어하는 앙각 제어부를 구비한 투영장치를 제공한다.
거리측정부, 줌기구부, 프로젝터, 투영범위, 앙각제어부

Description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PROJECTION APPARATUS, ELEVATION ANGL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거리측정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스크린상의 각 거리측정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메모리내의 테이블에 기억되는 줌배율과 앙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도 1에 프로젝터의 줌배율이 텔레측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거리측정유닛을 앞면에서 본 도면,
도 5b는 도 1에 프로젝터의 줌배율이 텔레측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투영범위와 중앙의 거리측정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도 1에 프로젝터의 줌배율이 미들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거리측정유닛을 앞면에서 본 도면,
도 6b는 도 1에 프로젝터의 줌배율이 미들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투영범위와 중앙의 거리측정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도 1에 프로젝터의 줌배율이 와이드측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거리측정유닛을 앞면에서 본 도면,
도 7b는 도 1에 프로젝터의 줌배율이 와이드측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투영범위와 중앙의 거리측정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프로젝터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종래의 과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투영장치의 거리측정장치로서 AF센서 모듈을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6228).
또, 투영장치에서는 줌기구부를 구비한 것이 증가하고 있다. 줌은 투영장치의 초점거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실행되며, 줌배율은 망원측의 초점거리가 와이드측의 초점거리의 몇배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투영장치에서는 표시소자의 중심이 투영렌즈의 광축으로부터 시프트되어 있는 구조인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장치로서의 프로젝터(51)에 있어서, 줌배율을 텔레(telescopic)에서 미들, 와이드로 변화시키면, 스크린 S1상의 투영범위는 Area_t(텔레), Area_m(미들), Area_w(와이드)로 되고, 그것에 따라서, 각 투영범위의 중심이 위쪽방향으로 조금 어긋난다(광축중심의 앙각이 커진다).
한편, 거리측정장치는 일정한 앙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거리측정 중심 방향은 변하지 않다. 줌이 텔레일 때, 투영범위의 중심위치와 거리측정중심방향이 가리키는 위치는 대략 일치한다. 그러나, 줌이 미들이거나 와이드로 되면, 거리측정중심 방향이 가리키는 위치는 상대적으로 각각의 투영범위 Area_m, Area_w의 중심보다 하측으로 어긋나 버린다.
자동초점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투영범위의 중심까지의 거리 정보를 필요로 한다. 줌배율이 텔레측일 때에 거리측정장치가 측정하는 중심방향까지의 거리는 투영범위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와 대략 일치해도, 줌배율이 미들이나 와이드로 변경했을 때, 측정한 거리가 투영범위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까지의 거리로 되어 버린다. 그 결과, 투영범위의 중심위치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없어 자동초점 제어의 성능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는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투영화상의 줌배율을 변경할 수 있는 줌 기구부를 갖고, 상기 거리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을 실행하고,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 중심선과, 상기 줌기구부의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이 대응하도록, 상기 줌기구부가 설정하는 줌배율에 의거해서 상기 거리측정부의 앙각을 제어하는 앙각제어부를 구비하는 투영자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다른 하나는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투영화상의 줌배율을 변경할 수 있는 줌기구부를 갖고, 상기 거리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을 실행하며,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영부의 상기 줌기구부는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투영화상의 투영범위가 대응하도록,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다른 하나는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할 때의 줌배율을 설정하는 스텝과,상기 스크린까지의 거리측정 중심선과 상기 설정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이 대응하도록, 거리측정 중심선의 앙각을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다른 하나는 컴퓨터에,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할 때의 줌배율을 설정하는 수순과, 상기 스크린까지의 거리측정 중심선과 상기 설정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이 대응하도록, 거리측정 중심선의 앙각을 제어하는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다른 하나는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투영화상의 줌배율을 변경할 수 있는 줌기구부를 갖고, 상기 거리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을 실행하고,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영부의 상기 줌기구부는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투영화상의 투영범위가 접근하도록,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투영장치로서의 프로젝터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젝터(1)의 구성을 도 1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젝터(1)는 거리측정유닛(11)과,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와, 메모리(13)와, 투영부(14)와, 화상처리부(15)와, 조작부(16)와, 제어부(17)로 이루어진다.
거리측정유닛(11)은 프로젝터(1)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거리측정유닛(11)은 예를 들면, 프로젝터(1)의 앞면에 부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측정유닛(11)의 앞면에는 AF센서 모듈(11h, 11v)이 배치된다.
AF센서 모듈(11h)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S의 투영범위 Area내의 수평방향의 거리측정점 Pos_L, Pos_R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AF센서 모듈(11v)은 스크린 S의 투영범위 Area내의 수직방향의 거리측정점 Pos_U, Pos_D,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거리측정유닛(11)이 거리측정하는 중심선을 C로 한다.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는 거리측정유닛(11)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는 제어부(17)로부터 앙각제어신호가 공급되고, 공급된 앙각제어신호에 의거해서 거리측정유닛(11)을 회전시키고, 그 앙각을 제어한다.
메모리(13)는 프로젝터(1)에 공급된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그와 함께, 메모리(13)는 제어부(17)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이블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테이블 데이터는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와, 줌기구부(14c)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 Pos_C가 대응하는 바와 같은 앙각 P를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앙각 P는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가 중심점Pos_C를 통과하도록 설정된다.
Zoom_t, Zoom_m, Zoom_w는 각각, 텔레측의 줌배율, 미들의 줌배율, 와이드측의 줌배율을 나타낸다. 또, Pt, Pm, Pw는 각각, 줌배율 Zoom_t, Zoom_m, Zoom_w일 때의 앙각을 나타낸다. 또, 이 테이블 데이터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서 구해진 것이다.
투영부(14)는 메모리(13)가 기억하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해서 스크린 S에 화상을 투영하는 것이다. 투영부(14)는 투영렌즈부(14a)와, 포커스모터(14b)와, 줌기구부(14c)와, 줌액츄에이터(14d)를 구비한다.
투영렌즈부(14a)는 스크린 S에 투영 화상을 결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투영렌즈부(14a)는 복수의 렌즈에 의해서 구성되며, 초점맞춤과 줌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 투영렌즈부(14a)의 선단과 스크린 S에 투영되는 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과, 투영렌즈부(14a)의 광축은 소정의 각도를 갖고 있다.
포커스모터(14b)는 제어부(17)에 의해서 제어되며, 이 투영렌즈부(14a)의 복수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초점 맞춤을 실행한다.
줌기구부(14c)는 투영렌즈부(14a)의 줌을 조정하는 것이다. 줌기구부(14c)는 투영렌즈부(14a)의 복수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줌을 조정한다.
줌액츄에이터(14d)는 제어부(17)로부터 줌 제어신호가 공급되어 줌기구부(14c)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처리부(15)는 메모리(13)가 기억하는 화상데이터에 대해, 사다리꼴보정 등의 화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처리부(15)는 제어부(17)로부터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가 공급되고, 공급된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에 의거해서 사다리꼴 보정을 실행한다.
조작부(16)는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줌배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조작부(16)는 취득한 줌배율 정보를 제어부(17)에 공급한다.
제어부(17)는 프로젝터(1)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CPU, ROM, RAM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7)는 조작부(16)로부터 공급된 줌배율 정보에 의거해서, 지정된 줌배율로 되도록 줌액츄에이터(14d)로 줌제어신호를 공급한다.
또, 제어부(17)는 메모리(13)의 테이블을 참조하고, 거리측정유닛(11)의 중 심선C와, 줌기구부(14c)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 Pos_C가 대응하는 바와 같은 앙각 P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이 거리측정유닛(11)의 앙각 P로 되도록, 앙각제어신호를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로 공급한다.
또, 제어부(17)는 자동초점제어, 사다리꼴 보정을 실행한다. 자동초점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7)는 거리측정유닛(11)의 AF센서 모듈(11v)이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거리측정유닛(11)을 제어한다.
제어부(17)는 AF센서 모듈(11v)로부터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까지의 거리데이터에 의거해서 포커스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결정한 포커스위치로 되도록 투영부(14)의 포커스모터(14b)를 구동 제어한다.
사다리꼴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7)는 우선, 거리측정유닛(11)의 AF센서 모듈(11h)이 좌우 2개의 거리측정점 Pos_L, Pos_R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도록 거리측정유닛(11)을 제어한다.
제어부(17)는 AF센서 모듈(11h)이 측정한 거리측정점 Pos_L, Pos_R까지의 거리 데이터에 의거해서 스크린 S의 수평방향 경사각도를 산출한다.
제어부(17)는 AF센서 모듈(11v)이 상하 2개의 거리측정점 Pos_U, Pos_D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도록 거리측정유닛(11)을 제어한다.
제어부(17)는 AF모듈(11v)로부터 각각 측정한 거리측정점 Pos_U, Pos_D까지의 거리데이터를 취득한다. 제어부(17)는 상하 2개의 거리측정점 Pos_U, Pos_D까지 의 거리에 의거해서 스크린 S의 수직방향 경사각도를 산출한다.
제어부(17)는 직교하는 2개의 스크린 경사 각도와 앙각 P에 의거해서 프로젝터(1)의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를 산출한다. 제어부(17)는 산출한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를 화상처리부(15)에 공급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젝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부(16)에 줌배율 Zoom_t(텔레)의 줌배율정보가 공급되면, 조작부(16)는 이 줌배율정보를 제어부(17)에 공급한다.
제어부(17)는 이 줌배율정보가 공급되어, 줌기구부(14c)의 줌배율이 Zoom_t로 되도록, 줌액츄에이터(14d)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1)의 투영범위의 높이 H는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범위 하단에 대해 Ht로 된다.
또, 제어부(17)는 도 4에 나타내는 메모리(13)의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줌배율 Zoom_t에 대응하는 앙각 Pt를 취득한다. 제어부(17)는 이 앙각 Pt를 나타내는 앙각제어신호를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에 공급한다.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는 이 앙각제어신호에 따라서, 거리측정유닛(11)의 방향을 도 5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는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범위의 하단에 대해 앙각 Pt만큼 위를 향한다.
또,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는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를 통과한다. 따라서, 거리측정유닛(11)은 투영범위까지의 거 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게 된다. 제어부(17)는 측정된 거리에 의거해서 투영부(14)의 포커스모터(14b)를 구동 제어하고, 정확한 자동초점 제어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17)는 직교하는 2개의 스크린 경사 각도와 앙각 Pt에 의거해서 프로젝터(1)의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를 화상처리부(15)에 공급한다.
화상처리부(15)는 제어부(17)로부터 공급된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에 의거해서 사다리꼴 보정을 실행하고, 보정한 화상의 데이터를 메모리(13)에 기억한다. 그리고, 투영부(14)는 이 데이터를 메모리(13)로부터 읽어내고, 이 데이터에 의거해서 스크린 S에 화상을 투영한다.
다음에,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부(16)에 줌배율 Zoom_m의 줌배율정보가 공급되면, 조작부(16)는 이 줌배율정보를 제어부(17)에 공급한다.
제어부(17)는 이 줌배율정보가 공급되어, 줌기구부(14c)의 줌배율이 Zoom_m으로 되도록, 줌액츄에이터(14d)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1)의 투영범위의 높이 H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범위 하단에 대해 Hm으로 된다.
또, 제어부(17)는 도 4에 나타내는 메모리(13)의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줌배율 Zoom_m에 대응하는 앙각 Pm을 취득한다. 제어부(17)는 이 앙각 Pm을 나타내는 앙각제어신호를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에 공급한다.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는 이 앙각제어신호에 따라서, 거리측정유닛(11)의 방향을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범위의 하단에 대해 앙각 Pm만큼 위를 향한다.
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는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를 통과하기 때문에, 거리측정유닛(11)은 투영범위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게 된다. 제어부(17)는 측정된 거리에 의거해서 투영부(14)의 포커스모터(14b)를 구동 제어하고, 정확한 자동초점제어를 실행한다. 또, 화상처리부(15)는 제어부(17)로부터 공급된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에 의거해서 사다리꼴 보정을 실행한다.
다음에,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부(16)에 줌배율 Zoom_w의 줌배율정보가 공급되면, 조작부(16)는 이 줌배율정보를 제어부(17)에 공급한다.
제어부(17)는 이 줌배율정보가 공급되어, 줌기구부(14c)의 줌배율이 Zoom_w로 되도록, 줌액츄에이터(14d)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1)의 투영범위의 높이 H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범위 하단에 대해 Hw로 된다.
또, 제어부(17)는 도 4에 나타내는 메모리(13)의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줌배율 Zoom_w에 대응하는 앙각 Pw를 취득한다. 제어부(17)는 이 앙각 Pw를 나타내는 앙각제어신호를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에 공급한다.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는 이 앙각제어신호에 따라서, 거리측정유닛(11)의 방향을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범 위의 하단에 대해서 앙각 Pw만큼 위를 향한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는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를 통과하기 때문에, 거리측정유닛(11)은 투영범위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게 된다. 제어부(17)는 측정된 거리에 의거해서 투영부(14)의 포커스모터(14b)를 구동 제어하고, 정확한 자동초점제어를 실행한다. 또, 화상처리부(15)는 제어부(17)로부터 공급된 수평설치각도, 수직설치각도에 의거해서 사다리꼴 보정을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17)는 조작부(16)로부터 공급된 줌배율정보에 의거해서 줌액츄에이터(14d)와 거리측정유닛 액츄에이터(12)를 구동하고, 거리측정유닛(11)의 거리측정중심방향의 앙각을 줌에 연동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줌배율을 변경해도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와 줌기구부(14c)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가 대응하고,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가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프로젝터(1)는 스크린 S의 투영범위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프로젝터(1)의 자동초점 제어의 정밀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각종 형태가 고려되며,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줌기구부(14c)와 거리측정유닛(11)을 기계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줌기구부(14c)는 거리측정유닛(11)의 중심선 C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범위 Area의 중심점 Pos_C가 대응하도록, 거리측정유닛(11)의 앙각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거리측정유닛(11) 전용의 액츄에이터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줌 조작을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 줌조작 기구부(21)와 거리측정유닛(11)이 기계적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거리측정장치를 프로젝터(1)에 구비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피사체로부터의 광축과 거리측정방향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카메라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 거리측정 에리어가 투영범위보다 충분히 넓고, 그리고 거리측정방향이 줌에 연동해서 전기적으로 변경가능, 및 선택가능한 거리측정유닛을 이용해도 좋다. 이 거리측정유닛을 이용해서, 투영범위와 거리측정범위가 대응하도록 거리측정범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기계적구조에 의한 거리측정유닛의 앙각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아, 투영범위의 중심까지의 거리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로 화상이 투영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Claims (10)

  1.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투영화상의 줌배율을 변경할 수 있는 줌 기구부를 갖고, 상기 거리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을 실행하고,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 중심선과, 상기 줌기구부의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이 대응하도록, 상기 줌기구부가 설정하는 줌배율에 의거해서 상기 거리측정부의 앙각을 제어하는 앙각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정된 줌배율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앙각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취득한 줌배율정보를 상기 줌기구부에 공급하는 동시에, 취득한 상기 줌배율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거리측정부의 앙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줌배율과 상기 거리측정부의 앙각의 관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앙각제어부는 상기 줌기구부가 설정하는 줌배율에 의거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관계정보를 참조해서 취득한 앙각에 의거해서 상기 거리측정부의 앙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투영부의 투영 렌즈의 선단과 상기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투영부의 투영렌즈의 광축이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5.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투영화상의 줌배율을 변경할 수 있는 줌기구부를 갖고, 상기 거리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을 실행하며,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영부의 상기 줌기구부는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투영화상의 투영범위가 대응하도록,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지정된 줌배율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줌기구부는 상기 조작부가 취득한 줌배율정보에 따라서 줌배율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투영부의 투영렌즈의 선단과 상기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투영부의 투영렌즈의 광축은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8.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할 때의 줌배율을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스크린까지의 거리측정 중심선과 상기 설정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이 대응하도록, 거리측정 중심선의 앙각을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9. 컴퓨터에,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할 때의 줌배율을 설정하는 수순과,
    상기 스크린까지의 거리측정 중심선과 상기 설정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투영화상의 투영범위의 중심점이 대응하도록, 거리측정 중심선의 앙각을 제어하 는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0.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투영화상의 줌배율을 변경할 수 있는 줌기구부를 갖고, 상기 거리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을 실행하고,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영부의 상기 줌기구부는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와 설정한 줌배율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투영화상의 투영범위가 접근하도록, 상기 거리측정부의 거리측정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KR1020070006175A 2006-01-20 2007-01-19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0836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2646 2006-01-20
JP2006012646A JP4702072B2 (ja) 2006-01-20 2006-01-20 投影装置、投影装置の測距仰角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128A KR20070077128A (ko) 2007-07-25
KR100836326B1 true KR100836326B1 (ko) 2008-06-09

Family

ID=3828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175A KR100836326B1 (ko) 2006-01-20 2007-01-19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09458B2 (ko)
JP (1) JP4702072B2 (ko)
KR (1) KR100836326B1 (ko)
CN (1) CN100582920C (ko)
TW (1) TWI3347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8849A (ja) * 2008-08-19 2010-03-04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754124B2 (ja) * 2010-12-14 2015-07-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制御方法
US9817305B2 (en) * 2012-07-12 2017-11-14 Cj Cgv Co., Ltd.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rojection
CN103235473A (zh) * 2013-04-19 2013-08-07 无锡市崇安区科技创业服务中心 一种投影仪
EP3187824B1 (en) * 2014-08-28 2019-06-26 Kabushiki Kaisha Topcon Measurement and installation data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JP6429545B2 (ja) * 2014-09-10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
CN106791739A (zh) * 2016-11-28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投影仪及其对焦方法和装置
CN109141240B (zh) * 2018-09-05 2019-10-18 天目爱视(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3d测量及信息获取装置
CN111064939A (zh) 2018-10-16 2020-04-2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系统及梯形校正方法
CN110930518A (zh) * 2019-08-29 2020-03-27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技术的投影方法及投影设备
CN111610688B (zh) * 2020-05-26 2022-01-11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投影装置
JP2022014060A (ja) 2020-07-06 2022-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装置
CN112822469B (zh) * 2020-12-31 2022-04-12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自动对焦投影方法及系统
US11856339B2 (en) 2020-12-31 2023-12-26 Iview Displays (Shenzhen) Company Ltd. Automatic focusing projection method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646A (en) 1987-06-15 1990-03-13 Nikon Corporation Range measuring device for camera
JP2002296673A (ja) * 2001-03-29 2002-10-09 Ricoh Co Ltd 画像投影装置
KR20050027905A (ko) * 2003-09-16 2005-03-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입체화상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9235A (ja) * 1990-06-11 1992-04-10 Akai Electric Co Ltd 投影機
JP3646658B2 (ja) * 2001-03-01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歪みの補正
JP2004004284A (ja) * 2002-05-31 2004-01-08 Canon Inc 投射型表示装置
JP4078159B2 (ja) * 2002-09-11 2008-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5006228A (ja) 2003-06-13 2005-01-06 Casio Comput Co Ltd プロジェクタ
JP2005121689A (ja) * 2003-10-14 2005-05-12 Canon Inc プロジェクタ装置
JP4398702B2 (ja) * 2003-11-06 2010-01-13 フジノ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5257766A (ja) * 2004-03-09 2005-09-22 Casio Comput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03972B2 (ja) * 2004-06-08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646A (en) 1987-06-15 1990-03-13 Nikon Corporation Range measuring device for camera
JP2002296673A (ja) * 2001-03-29 2002-10-09 Ricoh Co Ltd 画像投影装置
KR20050027905A (ko) * 2003-09-16 2005-03-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입체화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71377A1 (en) 2007-07-26
CN101025551A (zh) 2007-08-29
US7609458B2 (en) 2009-10-27
JP2007193203A (ja) 2007-08-02
JP4702072B2 (ja) 2011-06-15
TWI334728B (en) 2010-12-11
TW200735661A (en) 2007-09-16
KR20070077128A (ko) 2007-07-25
CN100582920C (zh)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326B1 (ko) 투영장치, 투영장치의 거리측정 앙각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8373792B2 (en) Autofocus apparatus with correction of focusing data
EP2081391B1 (en)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image sensor,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JPH09149207A (ja) 画像読取装置
JP6800698B2 (ja) 拡大観察装置および拡大観察装置の制御方法
JP2006039315A (ja) 自動焦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顕微鏡装置
US20200186690A1 (en) Imaging control app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7003614A (ja) 焦点調節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200733398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8003394A (ja) 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及び姿勢調整方法
US11320725B2 (en)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projection typ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of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2042728A (ja) 撮影システム
JP4489130B2 (ja) 撮像装置のあおり補正方法及びあおり補正装置
JP2007259166A (ja) 撮像素子のアオリ調整方法及び該方法で調整された撮像素子を有するカメラ機器
JP4803972B2 (ja) 画像投射装置
JP2005142837A (ja) カメラの調整装置
KR101510384B1 (ko) 오토포커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5351959A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そのフォーカス調整方法
CN112799275A (zh) 一种超短焦投影镜头调焦方法、调焦系统及投影仪
JP2008278124A (ja) 撮像素子のアオリ調整方法及び該方法で調整された撮像素子を有するカメラ機器
US20230305294A1 (en) Control apparatus, lens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camera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4347908A (ja) プロジェクタ及び自動焦点調節方法
JP3655875B2 (ja) カメラの測距装置
JP6508267B2 (ja) 交換レンズ
JP2005295328A (ja) 歪補正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