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62B1 -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62B1
KR100836262B1 KR1020070046588A KR20070046588A KR100836262B1 KR 100836262 B1 KR100836262 B1 KR 100836262B1 KR 1020070046588 A KR1020070046588 A KR 1020070046588A KR 20070046588 A KR20070046588 A KR 20070046588A KR 100836262 B1 KR100836262 B1 KR 100836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powder
matsutake
extrac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란
최수근
이종숙
김춘호
Original Assignee
일송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송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일송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7004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23F3/26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by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송이버섯을 물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송이버섯 추출액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하는 분말제조단계; 송이버섯 분말에 포도당, 비타민 C 및 물을 첨가하여 반죽하는 재료배합단계; 반죽물을 체에 내려 과립화하는 과립단계; 및 과립을 송풍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송이버섯 과립차는 종래에 제한적인 방법으로 섭취되어 오던 송이버섯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송이버섯을 섭취할 수 있다.
송이버섯, 과립차

Description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Tricholoma matsutake granule te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이버섯 과립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송이버섯 이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암, 동맥경화, 비만, 당뇨 등과 같은 성인병의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생활수준의 질적 향상, 소비구조의 고급화, 다양화는 식생활의 질적 향상 추구의 요인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전통식품과 자연식품에 대한 가치와 선호도가 높아졌다.
또한, 과거에는 식품에 대한 인식이 식품 고유의 영양학적 특성과 맛, 색, 향기, 질감 등의 기호적 특성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생체방어, 생체항상성 유지, 생체리듬조절, 질병회복, 노화방지 등의 생리적 특성까지도 포괄하는 넓은 범위로 전개되고 있다.
현대인들의 삶의 질 추구, 생명 연장 등의 목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성 식품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노화를 방지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는 등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버섯에 대한 가치가 높아가고 있다.
버섯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어 자연식품, 건강식품, 저칼로리식품, 무공해식품으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버섯은 항암, 항바이러스, 면역력 증가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뇌졸중, 심장병 등 소위 성인병에 대한 예방과 개선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건강식품 혹은 치료식이 소재로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른 국내 버섯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식습관상 버섯의 소비는 나물이나 볶음, 국거리 등의 용도가 대부분으로 섭취 형태가 매우 단순하다.
한편, 버섯 중에서도 으뜸으로 여겨지는 송이버섯은 인공 재배되지 않는 자연식품으로서 그 수요가 크며 칼슘과 철분 등의 많은 무기질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영양식품이다. 뿐만 아니라, 맛, 향기, 식감 등이 다른 버섯보다 뛰어나 앞으로 더 많은 송이버섯에 대한 수요가 예상된다.
송이버섯은 일반 식용버섯과 달리 나무나 톱밥, 기타 유기물을 썩힌 곳에서 생활하지 못하고 주로 살아있는 소나무의 가는 뿌리에 공생하는 활물 기생균으로서 외생균근을 만들어 공생하고 있는 버섯이다.
또한 송이버섯이 기관지 계통 질환 예를들어, 기침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만성 또는 급성 설사, 천연두 등으로 고생하는 사람과 산후 하혈에도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항암물질 또한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송이버섯은 다른 버섯과는 달리 가공되지 않은 생 송이버섯이나, 냉동 송이버섯의 형태로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송이의 섭취 방법은 매우 단순하여 구워 먹거나 부재료로서 첨가하여 섭취하는 형태이다.
국내산 송이버섯은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채취량이 많아 시간 내에 소비되지 못한 경우에는 급속 냉동하여 저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냉동 송이버섯은 생 송이버섯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등급별 생 송이버섯과 급속 냉동시킨 송이버섯의 버섯품질과 향기성분을 비교하였을 때 등외품을 제외한 송이버섯 간에는 품질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 송이버섯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냉동 송이버섯을 이용한 가공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송이버섯 이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이버섯을 물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송이버섯 추출액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하는 분말제조단계; 송이버섯 분말에 포도당, 비타민 C 및 물을 첨가하여 반죽하는 재료배합단계; 반죽물을 체에 내려 과립화하는 과립단계; 및 과립을 송풍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과립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이버섯 과립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이버섯 과립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 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이버섯 정과 제조방법은 추출단계(S110), 분말제조단계(S120), 재료배합단계(S130), 과립단계(S140) 및 건조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단계(S110)는 송이버섯을 50-9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7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물로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단계(S110)를 수행함으로써, 송이버섯에서 유래하는 필수 아미노산 및 맛난 맛의 유리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는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온도를 벗어나면 수율이 감소하여 비경제적인 뿐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 및 맛난 맛의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낮아 영양 및 맛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분말제조단계(S120)는 송이버섯 추출액을 동결 건조시켜 송이버섯 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동결 건조는 -45 내지 -50℃의 온도에서 120-168 시간 동안 수행한다.
상기 재료배합단계(S130)는 송이버섯 분말 1-6 중량%, 포도당 90-97 중량%, 비타민C 0.5-0.8 중량% 및 잔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한다.
이때, 재료배합시 각 구성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얻어진 송이버섯 과립차의 물성이나 관능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과립단계(S140)는 재료배합된 반죽물을 35-40 메쉬의 체에 내려 과립화한다. 이때, 체의 크기가 상기 메쉬 범위를 벗어나 큰 과립이 형성되면 과립형성 시 성형에 문제가 있고 물에 녹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고, 작은 과립이 형성되면 과립이 부서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150)는 과립이 서로 겹쳐지지 않게 펼쳐 담은 후, 35-45℃의 송풍건조기에서 2-4 시간 동안 송풍건조한다.
이때, 상기 송풍건조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중, 상기 온도 및 시간 이하일 경우에는 과립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온도 및 시간 이상일 경우에는 송이의 향이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이버섯 분말 1-6 중량%, 포도당 90-97 중량%, 비타민 C 0.5-0.8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되며, 상기 송이버섯 분말은 송이버섯의 물 추출액을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과립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과립차는 물에 쉽게 녹고 음용이 편리하여 종래에 제한적인 방법으로 섭취되어 오던 송이버섯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송이버섯을 섭취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송이버섯 추출액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송이버섯은 중국 운남성 산(産) 냉동 송이버섯으로 강원도 양양군 소재 일송영농조합법인에서 수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송이의 평균 크기는 높이 12.5±1.3cm, 직경 2.8±0.9cm, 무게 6.2±1.3g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송이버섯 300g을 상온에서 30분간 해동시킨 후, 1×1 cm로 세절하여 물 500mL와 함께 2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50℃, 60℃, 70℃, 80℃ 및 90℃의 각 온도별로 5시간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 온도를 달리한 송이버섯 추출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하기 식에 따라 추출 수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이 50℃에서 추출한 것이 2.3%로 가장 높았으며,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송이버섯 추출 분말의 함량이 점점 작아져 80℃ 추출 분말은 1.53%의 수율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수율(%) = 동결건조 추출액의 중량(g)/시료의 중량(g) X 100
추출온도 (℃) 수율 (%)
50 2.30
60 2.16
70 2.08
80 1.53
90 1.66
실험예 1. 송이버섯 추출액 성분 분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액을 원심분리(10,000 rpm, 10min, 4℃)하여 얻은 상등액을 취하였다. 이를 0.45㎛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고속 아미노산 분석기(L-8800, HITACHI, Japan)로 분석하였다.
이때, 제1펌프의 유동상(Mobile Phase)은 3+ Hydroxide, 제2펌프의 유동상은 닌히드린(Ninhidrin)을 이용하였고, 제1펌프의 유량은 0.35 mL/min, 제2펌프의 유량은 0.3 mL/min가 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주입량은 20㎕으로 하였으며, 제1채널은 570㎚, 제2채널은 440㎚ 파장의 UV를 이용하여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 온도별 필수아미노산의 총 함량(㎍/g)은 50 ℃에서 가장 많았고, 특히 트레오닌과 페닐알라닌이 50 ℃ 추출액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추출 온도 (℃)
50 60 70 80 90
트레오닌 39.29 35.99 32.98 27.74 27.45
발린 39.80 35.21 32.28 28.02 29.03
메티오닌 0.28 0.34 1.82 6.93 7.88
이소류신 33.52 28.02 26.25 22.27 23.46
류신 81.39 68.87 65.59 56.62 57.06
페닐알라닌 51.36 47.99 43.12 36.48 36.30
라이신 47.13 42.45 36.99 32.13 32.27
히스티딘 10.40 10.28 10.30 8.29 8.52
아르기닌 79.96 61.53 58.59 59.96 52.53
총합 383.13 330.68 307.92 278.44 274.5
또한, 맛난 맛 성분으로 분류한 10종의 유리아미노산의 추출 온도별 유리아미노산 함량(㎍/g) 역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에서 가장 많았고,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추출 온도 (℃)
50 60 70 80 90
타우린 6.98 6.45 6.40 6.13 4.88
아스파르트산 29.27 26.88 21.36 20.11 17.91
세린 43.33 40.91 37.21 33.27 34.50
글루탐산 151.61 146.23 141.75 122.29 105.02
α-아미노아디프산 8.31 7.28 6.51 5.17 4.98
글리신 29.66 27.95 23.73 22.21 22.53
알라닌 104.64 93.46 92.48 ND ND
β-알라닌 4.82 3.45 2.64 1.10 0.46
앤서린 9.45 3.84 3.68 4.31 2.03
카르노신 1.33 ND 0.92 1.02 0.98
총합 389.4 356.45 336.68 216.61 193.29
또한, 그 외의 아미노산의 추출 온도별 유리아미노산 함량(㎍/g)을 표 4에 나타내었고, 역시 50℃에서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많았다.
추출 온도 (℃)
50 60 70 80 90
포스포세린 9.72 8.11 7.90 6.62 6.16
포스포에탄올라민 3.43 3.20 3.06 3.68 4.28
히드록시프롤린 33.43 28.14 25.22 19.38 21.10
사르코신 5.30 3.28 4.23 2.56 4.10
프롤린 33.83 27.46 26.66 22.14 24.44
시트룰린 4.48 3.60 3.51 2.69 3.33
시스테인 18.04 13.53 15.76 12.78 12.42
시스타치오닌 5.84 3.92 5.01 4.92 4.79
티로신 25.75 13.57 19.71 15.91 ND
ν-아미노이소부티르산 6.63 5.16 6.33 6.41 5.90
DL-5-히드록시라이신 2.77 2.33 2.39 2.20 2.39
오르니틴 68.75 45.60 50.75 53.74 52.85
총합 217.97 157.9 170.53 153.03 142.76
실시예 2. 송이버섯 과립차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액 중 수율이 높고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은 50℃에서의 추출액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었다. 송이 분말의 첨가 비율(1, 2, 3, 4, 5중량%)을 달리하여 송이버섯 과립차를 제조하였다.
수회의 예비 실험을 통하여 포도당과 비타민 C의 첨가량을 설정하였다. 하기 표 5에 나타난 함량으로, 동결 건조한 송이 분말과 포도당, 비타민 C, 정수된 물을 첨가하여 반죽한 후, 40 mesh의 체에 내려 과립화하였다. 과립차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펼쳐 담은 후, 40℃의 송풍건조기에서 3시간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도 1과 같다.
성분 함량
송이분말 1 중량% 1 g
송이분말 2 중량% 2 g
송이분말 3 중량% 3 g
송이분말 4 중량% 4 g
송이분말 5 중량% 5 g
20 mL
포도당 100 g
비타민 C 0.6 g
실험예 2. pH , 당도 및 색도 측정
1) pH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송이 추출액은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송이 과립차는 100 mL, 80℃의 물에 3 g을 녹인 것을 사용하여(Lee GD 2004), pH meter (Model 420A, Orion Research Inc., US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이 추출액의 경우 추출 온도가 높아질수록 pH가 높게 나타났고,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이 과립차의 경우 송이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당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송이 추출액은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송이 과립차는 100 mL의 80℃의 물에 3 g을 녹인 것을 사용하여(Lee GD 2004), 굴절 당도계 (PAL-1, ATAGO, Japan)로 이용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이 추출액의 경우에는 당도가 시료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1), 50℃에서 추출한 송이 추출액이 1.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80℃, 90℃에서 추출한 송이 추출액이 0.67로 가장 낮은 당도를 나타내어 추출 온도가 높아질수록 당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이 과립차의 경우 첨가비율에 따라 모든 항목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p<.01, p<.001)를 나타냈는데, 당도가 송이 분말의 첨가비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p<.01, p<.001)를 나타냈는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졌다.
3) 색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송이 추출액은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송이 과립차는 100 mL의 80℃의 물에 3 g을 녹인 것을 사용하여(Lee GD 2004), Chroma meter CR-300(Minolta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Hunter 값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이 추출액의 경우 각 시료간 색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명도는 50℃의 추출 온도에서 추출한 시료가 50.2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으며, 추출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각 추출 온도 별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적색도는 각 시료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황색도 또한 명도와 적색도와 마찬가지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추출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이 과립차의 경우 명도(L)는 2 중량% 첨가구가 56.4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5 중량% > 3 중량% > 4 중량% > 1 중량% 순으로 나타났다. 적색도(a)는 송이 추출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의 정도가 높아져 녹색도가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황색도(b)는 송이 추출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당도(Brix) pH 색도(color value)
L a b
50 ℃ 1.10±0.17a 4.42±0.01e 50.22±0.73e -1.77±0.08e 11.58±0.18e
60 ℃ 0.93±0.06a 4.50±0.02d 46.58±0.32d -1.44±0.06d 13.48±0.11d
70 ℃ 0.73±0.06b 4.63±0.02c 39.60±0.24c -1.09±0.76c 14.43±0.17c
80 ℃ 0.67±0.06b 4.67±0.01b 40.42±0.18b 2.46±0.19b 18.55±0.23b
90 ℃ 0.67±0.06b 4.71±0.02a 34.32±0.41a 3.56±0.09a 19.40±0.11a
F-value 12.62** 202.86*** 658.19*** 1617.27*** 1190.22***
당도(Brix) pH 색도(color value)
L a b
1 1.70±0.10b 3.44±0.06d 45.89±0.69c -0.52±0.01a 0.17±0.04c
2 1.87±0.06a 3.77±0.15c 56.47±0.47a -0.61±0.03b 0.26±0.12c
3 1.87±0.06a 3.92±0.02b 49.70±1.89b -0.78±0.01c 0.99±0.08b
4 1.90±0.00a 4.12±0.02a 49.00±0.28b -0.85±0.01d 1.28±0.02a
5 1.97±0.06a 4.12±0.03a 55.83±0.88a -0.86±0.02d 1.31±0.10a
F-value 7.25** 237.35*** 62.80*** 208.67*** 136.75***
실험예 3. 관능검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송이 과립차의 관능검사는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색, 냄새, 전반적인 맛의 기호도, 전반적인 기호도는 7점(1=매우 싫음, 4=보통, 7=매우 좋음) 기호도 척도법으로, 맛의 항목에서 송이맛, 단맛, 뒷맛의 항목에는 묘사 척도법(1=매우 약하다, 4=보통이다, 7=매우 강하다)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 검사시의 조건은 100 mL, 80℃의 물에 송이 과립차 3 g을 녹인 후, 80℃를 유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송이 추출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송이 과립차의 관능검사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색의 항목에서는 제품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p<.001)를 나타냈는데 4 중량% 첨가 제품이 5.08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1 중량%에서 4 중량%까지는 높아지다가 5 중량% 첨가 제품에서는 오히려 떨어졌다.
냄새의 항목에서는 5 중량% 첨가 제품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으며, 제품 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p<.001)를 나타냈다. 송이 추출 분말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기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송이의 향이 더 많이 날수록 제품의 냄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송이 맛에 대한 항목에서는 송이 맛이 나는 정도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각 제품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송이 추출 분말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송이 맛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맛을 느끼는 정도에 대한 항목에서도 제품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p<.001)를 나타냈다. 4 중량% 첨가 제품이 가장 단맛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 중량% 첨가 제품은 오히려 단맛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너무 많은 양의 송이 추출 분말의 첨가는 단맛을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뒷맛을 느끼는 정도에 대한 항목에서는 5 중량% 첨가 제품이 뒷맛을 가장 강하게 느꼈으며, 송이 추출 분말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뒷맛을 강하게 느꼈다.
전반적인 맛의 기호도의 항목에서는 4 중량% 첨가 제품이 5.67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으며, 제품 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p<.001)를 나타냈다. 1-4 중량%까지는 맛에 대한 기호도가 높다지다가 5% 첨가 제품에서는 오히려 1 중량% 첨가 제품보다 더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이는 단맛을 느끼는 정도와 같은 결과였다.
전반적인 기호도의 항목에서는 4 중량% 첨가 제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제품 간 유의미한 차이(p<.001)가 있었다. 1-4 중량%까지는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다가 5 중량% 첨가 제품은 1 중량% 첨가 제품과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너무 강한 송이 맛과 뒷맛은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뜨리며, 이상의 결과로 보아 4 중량%의 송이 추출 분말을 첨가한 송이 과립차가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판단된다.
검사항목 송이 과립차 함량 (중량%) F-value
1 2 3 4 5
2.33±0.78c 3.00±1.04bc 3.58±0.79b 5.08±0.67a 3.67±0.78b 18.41***
냄새 1.92±1.00d 3.58±0.51c 4.25±0.75b 4.58±0.90b 6.17±0.58a 3.61***
송이 맛 2.58±0.90d 3.67±0.65c 4.50±0.67b 5.17±1.19b 6.17±0.94a 28.39***
단맛 4.33±0.89ab 5.00±1.04ab 5.00±1.04ab 5.17±0.94a 4.17±0.94b 2.57***
뒷맛 2.83±1.03d 4.25±0.75c 4.92±0.90bc 5.00±0.85b 5.92±0.67a 21.74***
전반적인 맛 3.00±1.28c 4.00±0.74b 5.08±0.79a 5.67±0.78a 2.92±1.00C 23.24***
전반적인 기호도 3.08±1.16c 4.25±0.62b 4.58±0.79b 5.42±0.90a 3.08±1.08C 18.00***
참조예 3. 자료 분석
송이정과의 물성 및 연령별 기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ANOVA-test한 후, 최소유의차 검정(DUNCAN's multiple test)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과립차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제한적인 방법으로 섭취되어 오던 송이버섯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함으로써, 그 이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송이버섯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이버섯 과립차를 제품화함으로써, 내수판매 증가 뿐만 아니라, 해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추출온도를 50-90℃로 하여 송이버섯을 물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송이버섯 추출액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하는 분말제조단계;
    송이버섯 분말 1-6 중량%에 포도당 90-97 중량%, 비타민 C 0.5-0.8 중량% 및 잔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하는 재료배합단계;
    반죽물을 체에 내려 과립화하는 과립단계; 및
    과립을 송풍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과립차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송이버섯의 물 추출액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송이버섯 분말 1-6 중량%, 포도당 90-97 중량%, 비타민C 0.5-0.8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되고,
    제 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과립차.
KR1020070046588A 2007-05-14 2007-05-14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88A KR100836262B1 (ko) 2007-05-14 2007-05-14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88A KR100836262B1 (ko) 2007-05-14 2007-05-14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262B1 true KR100836262B1 (ko) 2008-06-10

Family

ID=3977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588A KR100836262B1 (ko) 2007-05-14 2007-05-14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376B1 (ko) 2008-12-05 2009-02-26 서기숙 송이버섯차 제조방법
CN101983576A (zh) * 2010-11-22 2011-03-09 黑龙江省横道河子酿酒总厂 松茸保健茶的制备方法
CN101748153B (zh) * 2010-01-26 2012-06-06 四川大学 利用高产富硒功能杂交红米米糠自发酵液生产松茸多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298A (ko) * 2001-05-15 2002-11-22 김원규 야생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양강장용 조성물
KR100385739B1 (ko) 2000-08-07 2003-05-28 김천환 버섯류의 가공방법 및 버섯류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40058761A (ko) * 2002-12-27 2004-07-05 충주시 사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69652B1 (ko) 2006-05-08 2007-10-23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송이버섯 가공 부산물인 송이버섯즙을 이용한 기능성송이버섯 과립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39B1 (ko) 2000-08-07 2003-05-28 김천환 버섯류의 가공방법 및 버섯류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20087298A (ko) * 2001-05-15 2002-11-22 김원규 야생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양강장용 조성물
KR20040058761A (ko) * 2002-12-27 2004-07-05 충주시 사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69652B1 (ko) 2006-05-08 2007-10-23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송이버섯 가공 부산물인 송이버섯즙을 이용한 기능성송이버섯 과립차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376B1 (ko) 2008-12-05 2009-02-26 서기숙 송이버섯차 제조방법
CN101748153B (zh) * 2010-01-26 2012-06-06 四川大学 利用高产富硒功能杂交红米米糠自发酵液生产松茸多糖
CN101983576A (zh) * 2010-11-22 2011-03-09 黑龙江省横道河子酿酒总厂 松茸保健茶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10656B (zh) 一种黄秋葵面条及其制备方法
KR100836262B1 (ko) 송이버섯 과립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9279B1 (ko) 표고버섯 정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표고버섯 정과
KR101347912B1 (ko) 전복과 김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소스의 제조 방법
CN104886550A (zh) 一种复合食用菌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762569B1 (ko)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모링가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CN104323221A (zh) 灰树花干品及其制备方法
KR20170019396A (ko) 즉석 연근 떡국 및 그 제조방법
KR101906246B1 (ko) 산야초 및 아로니아를 이용한 발효 쌀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쌀눈
KR100868979B1 (ko) 송이버섯 정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3953B1 (ko) 대추 크리스피 초코볼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크리스피 초코볼
KR100863601B1 (ko) 송이버섯 피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8652B1 (ko) 완두콩 분말, 발효미강, 쌀의눈, 당귀 추출분말, 인삼 추출분말, 꿀분말 및 코코아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CN1759748A (zh) 白灵菇营养糊冲剂及其生产方法
RU2546274C1 (ru) Сухая питательная смесь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KR20030087105A (ko) 가루녹차를 이용한 과립차 제조방법
KR100868790B1 (ko) 송이버섯 조림 및 송이버섯 조림방법
KR101300548B1 (ko) 송이 분말이 함유된 설기 떡의 제조방법
KR101766398B1 (ko) 건조김치분말과 흰다리새우분말을 함유하는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조미료 제조방법
KR101751753B1 (ko) 저염 건조 민들레 비빔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14392B1 (ko) 고춧잎 분말을 첨가한 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춧잎 분말 첨가 면
KR20040058761A (ko) 사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08720B1 (ko) 천마 및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간장 제조방법
KR20190098429A (ko) 밀크씨슬과 흰꽃무지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2615858B1 (ko) 칼라 청 소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