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243B1 - 물품 보관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243B1
KR100834243B1 KR1020070018359A KR20070018359A KR100834243B1 KR 100834243 B1 KR100834243 B1 KR 100834243B1 KR 1020070018359 A KR1020070018359 A KR 1020070018359A KR 20070018359 A KR20070018359 A KR 20070018359A KR 100834243 B1 KR100834243 B1 KR 100834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ransfer
height
goods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503A (ko
Inventor
시로 구와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0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1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control for stacker cran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2Controlled or contamination-free environments or clean space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는 물품보관설비를 제공한다.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의 사이에서 물품의 반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수단을,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에는, 이동공간의 마루측에 존재하는 진애의 부상을 억제하기 위한 높이로서 설정한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수납부, 물품 수납선반, 물품 이재수단, 운전 제어수단, 정화용 공기, 진애

Description

물품 보관설비{ARTICLE STORAGE SYSTEM}
도 1은 물품 수납설비의 단면도,
도 2는 물품 수납설비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는 물품 수납설비의 단면도,
도 5는 돌출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장치의 평면도,
도 6은 제어 블록도,
도 7은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물품 반송장치의 승강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납부 3 : 물품 수납선반
4 : 이동공간 5 : 물품 반송장치
6 : 정화공기 통풍수단 31 : 물품 반출입부
40 : 물품 이재(移載)수단 46 : 운전 제어수단
A : 물품 이재개소
본 발명은, 복수의 수납부를 종횡으로 나란하게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과, 그 물품 수납선반의 전방의 이동공간을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주행하며 또한 물품 이재수단을 승강 자유롭게 구비한 물품 반송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부 및 물품 반출입부를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로 하고, 이들 사이에서 물품의 반송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수단과, 정화용 공기를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상기 수납부를 통과시켜 상기 이동공간에 유동시키고 또한 상기 이동공간에 있어서 아래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정화공기 통풍수단이 설치된 물품 보관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 보관설비는, 클린룸에 설치되는 것으로, 정화용 공기를 물품 수납선반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수납부를 통과시켜 이동공간에 유동시키고,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에 의해 이동공간에서 발생한 진애(塵埃)에 의해서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이 오염되는 것을 막고, 또한, 정화용 공기를 이동공간에 있어서 아래를 향하여 유동시키고,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에 의해 기류의 교란이 생겨 이동공간의 마루측으로부터 부상한 진애를 이동공간의 마루측에 침정화(沈靜化)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물품 수납선반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수납부는,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에 의해 마루측으로부터 진애가 부상했다고 해도 수납한 물품이 오염되기 어렵도록 이동공간의 마루면으로부터 간격을 둔 높이에 설치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이러한 물품 보관설비에서는, 일반적으로,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높이에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설명을 더하면,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에는, 그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한 직후에,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높이에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키고, 그 물품 이재수단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로 물품 반송장치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시키고 있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켰을 때에, 물품 이재수단에 의한 물품의 이재작업을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81405호
근년, 물품의 반송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물품 반송장치의 고속 주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의 물품 보관설비 등에 있어서는 한층 더 고속 주행화가 요망된다. 그러나, 물품 반송장치를 고속 주행시키면 그 주행에 의해서 큰 기류의 교란이 생기며, 특히, 주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표면적이 큰 물품 이재수단의 존재에 의해서 큰 기류의 교란이 생기는 경향이 된다. 이 때문에,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가 마루 가까이의 낮은 위치에 있으면, 물품 이재수단을 마 루 가까이의 낮은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하기 때문에, 그 마루 가까이에 위치하는 물품 이재수단에 의해 마루 가까이에서 큰 기류의 교란이 생겨 마루측의 진애를 높게 부상(浮上)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마루측의 진애가 높이 부상하더라도, 수납부에 수납한 물품의 오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물품 수납선반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수납부를,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에 의해 높이 부상한 진애로 오염되기 어렵도록 이동공간의 마루면으로부터 크게 간격을 둔 높이에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물품 수납선반의 수납 효율이 나빠져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하여 물품 수납선반의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품 보관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설비의 제 1 특징 구성은, 복수의 수납부를 종횡으로 나란하게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과, 그 물품 수납선반의 전방의 이동공간을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주행하며 또한 물품 이재수단을 승강 자유롭게 구비한 물품 반송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부 및 물품 반출입부를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로 하여 이들 사이에 물품의 반송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수단과, 정화용 공기를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상기 수납부를 통과시켜 상기 이동공간에 유동시키고 또한 상기 이동공간에 있어서 아래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정화공기 통풍수단 이 설치된 물품 보관설비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에는, 상기 이동공간의 마루측에 존재하는 진애의 부상을 억제하기 위한 높이로서 설정한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에는, 이동공간의 마루측에 존재하는 진애의 부상을 억제하기 위한 높이로서 설정한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의 높이에 관계없이, 이동공간의 마루측에 존재하는 진애의 부상을 억제하기 위한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킨 상태로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키기 때문에, 물품 이재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큰 기류의 교란이 이동공간의 마루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멀어진 높이에서 생기게 되어,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마루면 가까이의 기류의 교란이 억제되어 마루측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 수납선반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수납부를 이동공간의 마루면으로부터 작은 간격을 둔 높이에 설치했다고 해도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에 의해 부상한 진애로 오염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킨 상태로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키는 것에 의해,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마루면 가까이의 기류의 교란이 억제되어 마루측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고, 물품 수납선반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수납부를 이동공간의 마루면으로부터 작은 간격을 둔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이로써,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어 물품 수납선반의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품 보관설비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설비의 제 2 특징 구성은, 제 1 특징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한 후,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상기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에는,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한 후에 물품 이재수단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키면서 물품 이재수단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물품 이재수단을 주행용 높이로 상승시킬 때까지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개시를 늦추지 않아도 좋고,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원활히 반송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어 물품을 원활히 반송할 수 있는 물품 보관설비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덧붙여서, 물품 반송장치의 가속중에 물품 이재수단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가속중에는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속도는 비교적 느리기 때문에 물품 이재수단에 의한 기류의 교란이 작고,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속도가 빨라짐에 수반하여 물품 이재수단이 마루면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물품 이재수단에 의한 마루면 가까이의 기류의 교란이 억제되어 마루측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설비의 제 3 특징 구성은, 제 1 특징 구성에 있어 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상기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는, 물품 이재수단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에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시키는 것으로서,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시킨 시점에서 물품 이재수단은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시켰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따라서,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켰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물품 보관설비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설비의 제 4 특징 구성은, 제 1∼제 3 특징 구성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시킬 때에 있어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하여 위치시키는 상기 물품 이재수단의 높이가 상기 주행용 높이보다 낮을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상기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킬 때보다 이전부터,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장치를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시킬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킬 때보다 이전부터 물품 이재수단의 하강 을 개시시키고 있으므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킨 후에, 물품 이재수단에 의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와의 사이에서의 물품의 이재를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원활히 반송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 이재수단에 의한 물품의 이재를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어 물품을 원활히 반송할 수 있는 물품 보관설비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덧붙여서, 물품 반송장치의 감속중에 물품 이재수단을 주행용 높이보다 아래쪽에 하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물품 이재수단이 마루면에 가까워짐에 수반하여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물품 이재수단에 의한 마루면 가까이의 기류의 교란이 억제되어 마루측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설비의 제 5 특징 구성은, 제 1∼제 3 특징 구성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시킬 때에 있어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상기 물품 이재수단의 높이가 상기 주행용 높이보다 낮을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상기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킨 후에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장치를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시킬 때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킨 후에 물품 이재수단을 하강시키고 있고,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킬 때까지는 물품 이재수단은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켰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이로써,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켰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물품 보관설비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보관설비는, 클린룸(1)내에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수납부(2)를 종횡으로 나란하게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3)과, 그 물품 수납선반(3)의 전방의 이동공간(4)을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주행하며 또한 물품 이재수단(40)을 승강 자유롭게 구비한 물품 반송장치(5)와, 상기 복수의 수납부(2) 및 물품 반출입부(31)를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A)로 하며, 이들 사이에서 물품으로서의 용기(13)의 반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수단(46)(도 6 참조)과, 정화용 공기를 상기 물품 수납선반(3)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상기 수납부(2)를 통과시키고 또한 상기 이동공간(4)에 있어서 아래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다운 플로우식의 정화공기 통풍수단(6)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용기(13)는, 청정용 공기를 통풍 가능하게 격자형상의 틀로 구성 됨과 동시에, 유리판 등의 판형상체(12)(도 3 참조)를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둔 적층상태로 복수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린룸(1)은, 그 마루부를 통기구멍이 다수 형성된 다공형상의 그레이팅 마루(7)로 구성하고 있고, 그 천정에 형성된 천정 취출부(吹出部)(8)로부터 정화용 공기를 마루측을 향하여 통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린룸(1)에는, 부스(booth:11)에 의해 상부 및 옆 주위가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고, 그 부스(11)로 둘러싸인 공간내에 물품 수납선반(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물품 수납선반(3)은, 전방측을 서로 마주 보게 하는 상태로 그레이팅 마루(7)상에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물품 수납선반(3)의 사이에 이동공간(4)을 형성하고 있다. 각 물품 수납선반(3)은,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된 전후 한 쌍의 지지기둥(9)과, 전후 한 쌍의 지지기둥(9)의 각각에 지지를 받아 선반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얹어놓음 지지부(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 한 쌍의 지지기둥(9)과 좌우 한 쌍의 얹어놓음 지지부(10)에 의해 1개의 수납부(2)가 형성되고, 복수의 수납부(2)가 종횡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부(2)는,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것끼리 및 선반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것끼리가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다.
또한, 물품 수납선반(3)은, 최하단의 수납부(2)의 아래쪽에 정화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용 공간(16)을 형성할 수 있도록, 최하단의 수납부(2)가 그레이팅 마루(7)로부터 위쪽에 설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화공기 통풍수단(6)은, 클린룸(1)내에 정화용 공기를 순환시키는 형태로 공급하는 클린룸 통풍수단(14)과, 부스(11)내에 설치된 물품 수납선반(3)의 각 수납부(2)에 정화공기를 통풍하는 수납부 통풍수단(15)과, 부스(11)내의 공기를 부스(11) 밖의 클린룸(1) 내에 배기하는 배기용 개구부(2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린룸 통풍수단(14)은, 그레이팅 마루(7)를 통과한 공기를 청정화하여 정화공기로서 천정취출부(8)로부터 뿜어 내어지는 형태로 정화공기를 클린룸(1)에 순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린룸 통풍수단(14)은, 그레이팅 마루(7)의 아래쪽에 설치된 흡기실(17), 천정취출부(8)의 위쪽에 설치된 공기챔버실(18), 천정취출부(8)에 병설된 HEPA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필터(19), 흡기실(17)과 공기챔버실(18)을 연통 접속하는 접속유로(20), 그 접속유로(20)에 설치되어 흡기실(17)에 흡인 작용하는 순환용 송풍기(21), 접속유로(20)에 있어서 순환용 송풍기(21)의 공기토출측에 설치된 프레필터(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린룸(1)내의 공기는, 순환용 송풍기(21)의 통풍작용에 의해서 그레이팅 마루(7)를 통해 흡기실(17)에 흡입되어 접속유로(20)를 유동하여, 프레필터(22)에서 청정화되어 공기챔버실(18)에 이른다. 그리고, 공기챔버실(18)에 도달한 공기는, 에어필터(19)에서 청정화되어 정화공기로서 천정취출부(8)로부터 클린룸(1)내를 향하여 아래를 향하여 뿜어 내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클린룸(1)내의 공기가, 프레필터(22) 및 에어필터(19)에서 청정화되면서 순환되고, 정화공기를 천정취출부(8)로부터 아래쪽으로 뿜어 내어지는 형태로 클린룸(1)에 상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유로(20)의 순환용 송풍기(21)의 흡입측에는, 외기 취입유로(23)가 접속되어 있고, 그 외기 취입유로(23)에 외기 취입량 조절용 댐퍼(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유로(20)의 순환용 송풍기(21)의 토출측에는, 배기유로(25)가 접속되어 있고, 그 배기유로(25)에 배기량 조절용 댐퍼(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 취입량 조절용 댐퍼(24) 및 배기량 조절용 댐퍼(26)의 각각의 개도(開度)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클린룸 통풍수단(14)에서 순환되는 클린룸(1)내의 공기 중 소정량이 신선한 공기와 교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통풍수단(15)은, 복수의 수납부(2)의 각각에 대응하여 부스(11)의 측벽부(11a)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 통풍수단(15)은, 클린룸(1)내의 정화공기를 청정화하여 부스(11)내에 취입하는 상태로 정화공기를 수납부(2)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수납부(2)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통풍수단(15)은,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필터(27)와, 부스(11) 밖의 정화공기를 흡인하여 제진필터(27)를 통과시키는 상태로 부스(11)내에 취입하여 수납부(2)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수납부(2)를 통과시키도록 정화공기를 통풍시키는 송풍 팬(28)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스(11) 내로 통풍되는 정화공기는, 송풍 팬(28)에 의해서, 수납부(2)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앞부분측을 향하여 선반 전후방향을 따라서 통풍되므로, 그 정화공기가, 수납부(2)에 수납된 용기(13)내, 상세하게는, 용기(13)내에 적층상태로 유지된 복수의 판형상체(12)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도 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용 개구부(29)는, 한 쌍의 물품 수납선반(3) 중, 한 쪽의 후단부에 대향하는 부스(11)의 측벽부(11a)에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용 개구부(29)는, 유동용 공간(16)에 대향하는 상태로 부스(11)의 측벽부(11a)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28)에 의해 정화용 공기가 각 수납부(2)에 급기되므로, 그 각 수납부(2)에서는 정화공기의 압력이 높아진다. 그것에 비해서, 순환용 송풍기(21)에 의해 정화용 공기가 배기용 개구부(29)로부터 부스(11) 밖으로 배기되므로, 그 부스(11)내의 아래쪽에서는 정화공기의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부스(11)내의 공기는, 수납부(2)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앞부분측을 향하여 유동하고 또한 이동공간(4)에 있어서 아래를 향하여 유동하는 다운플로우가 된다.
그리고, 이동공간(4)을 아래를 향하여 유동하는 정화용 공기의 일부는, 유동용 공간(16)으로부터 배기용 개구부(29)를 향하여 유동하여 클린룸(1) 내에 있어서의 부스(11) 밖으로 배기된 후, 아래를 향하여 유동하여 그레이팅 마루(7)를 통하여 흡기실(17)에 이른다. 정화용 공기의 나머지의 일부는, 그대로 부스(11)내를 아래를 향하여 유동하여 그레이팅 마루(7)를 통하여 흡기실(17)에 이른다.
이와 같이, 정화공기 통풍수단(6)은, 정화용 공기를 물품 수납선반(3)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수납부(2)를 통과시켜 이동공간(4)에 유동시키고 또한 이동공간(4)에 있어서 아래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다운 플로우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수납선반(3)의 일부에는, 최하단의 수납부(2)에 대신하여, 용기(13)로부터의 판형상체(12)의 반출이나 용기(13)로의 판형상체(12)의 반입을 실시하는 물품 반출입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반출입부(31)에는, 용기(13)를 얹어놓아 지지하는 승강 자유로운 좌우 한 쌍의 승강지지체(32)와, 그 좌우 한 쌍의 승강지지체(32)의 사이에 배치되어 판형상체(12)를 얹어놓아 자유롭게 반송하는 반송체(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물품 반출입부(31)에서는, 승강지지체(32)와 반송체(33)에 의해, 용기(13)로부터 판형상체(12)를 한 장씩 반출하여 물품 처리장치(30)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물품 처리장치(30)로부터 배출되는 판형상체(12)를 용기(13)에 반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반출입부(31)와 물품 처리장치(30)를 연결하는 통로부분도 부스(11)로 둘러싸여져 있고, 그 통로부분에 정화공기를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통풍시키는 통로부분용 정화공기 통풍수단(34)이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서, 반송체(33)는, 그 반송면의 높이가 최하단의 수납부(2)의 얹어놓음면의 높이보다 조금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품 반출입부(31)에 대해서 설명을 더하면, 승강지지체(32)에서 얹혀져 지지되는 용기(13)로부터 판형상체(12)를 한 장씩 반출할 때는, 승강지지체(32)를 하강시켜 용기(13)에 수납되어 있는 최하층의 판형상체(12)를 반송체(33)로 지지하고, 그 판형상체(12)를 반송체(33)로 물품 처리장치(30)를 향하여 얹어서 반송하여 반출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용기(13)로부터 판형상체(12)를 한 장씩 배출하여 물품 처리장치(30)에 한 장씩 판형상체(12)가 공급된다.
또한, 승강지지체(32)에서 얹혀져 지지를 받은 용기(13)에 판형상체(12)를 한 장씩 반입할 때는, 판형상체(12)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높이에 승강지지체(32)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물품 처리장치(30)로부터의 판형상체(12)를 반송체(33)에서 용기(13)내까지 얹어놓음 반송하여, 그 판형상체(12)가 용기(13)내에서 도면 밖의 지지부에서 지지되도록 승강지지체(32)를 하강시킨다.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물품 처리장치(30)로부터의 판형상체(12)를 용기(13)에 적층상태로 유지시킨다.
다음에, 물품 반송장치(5)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품 반송장치(5)는, 이동공간(4)의 그레이팅 마루(7)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 및 부스(11)의 상부에 설치된 천정측 가이드레일(36)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주행대차(37)와, 그 주행대차(37)에 세워 설치된 승강마스트(38)를 따라서 승강 자유로운 승강대(39)와, 그 승강대(39)에 장비되어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A)와 자기와의 사이에서 용기(13)를 옮겨 싣는 물품 이재수단(40)을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은, 상하 축심(P1) 주위로 선회 자유로운 선회대(41), 및, 그 선회대(41)상에 설치된 얹어놓음부(42)를 출퇴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링크기구(4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이재수단(40)은, 선회대(41)의 선회에 의해 얹어놓음부(42)를 선회이동 가능하며, 또한, 링크기구(43)의 신축에 의해, 물품 이재수단(40)을 승강대(39) 상에 후퇴시킨 상태(도 2 참조)나 물품 이재수단(40)을 물품 이재개소(A)측에 돌출시킨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보관설비에는,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수단(4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운전 제어수단(46)은, 주행용 전동모터(47)의 작동을 제어하여 주행대차(37)를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주행 정지위치까지 주행시키고, 또한, 승강용 전동모터(48)의 작동을 제어하여 승강대(39)를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까지 승강시키고, 물품 이재수단(40)을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위치시킨 후, 물품 이재개소(A)와의 사이에서 용기(13)를 이재시킬 수 있도록,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 제어수단(46)에는,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주행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운전 제어수단(46)에는,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낮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높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의 2가지가 기억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35)의 일끝단측에는, 주행방향으로 거리측정용의 빔 광을 투광하고 또한 주행대차(37)에 설치된 반사판에서 반사된 거리측정용의 빔 광을 수광하여, 주행대차(37)의 주행위치를 검출하는 주행위치 검출수단(49)이 구비되어 있고, 이 주행위치 검출수단(49)의 검출정보가 운전 제어수단(46)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행대차(37)에는, 수평방향으로 거리측정용의 빔 광을 투사하고 또한 승강대(39)에 설치된 반사판에서 반사된 거리측정용의 빔 광을 수광하여, 승강 대(39)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승강위치 검출수단(5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승강위치 검출수단(50)의 검출정보도 운전 제어수단(46)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전 제어수단(46)은, 2개의 물품 이재개소(A)의 사이에서 용기(13)를 반송하는 반송요구가 있으면, 그 2개의 물품 이재개소(A)인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로부터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용기(13)를 반송시킬 수 있도록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는 반송제어를 실행한다.
이 운전 제어수단(46)에 의한 반송제어는, 물품 이재수단(40)을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전(前)주행처리,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로부터 물품 반송장치(5)에 용기(13)를 옮겨 싣는 들어올림처리, 물품 이재수단(40)을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후(後)주행처리, 및, 물품 이재수단(40)으로부터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용기(13)를 옮겨 싣는 내려놓음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주행처리는, 주행위치 검출수단(49)의 검출정보와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주행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를 정지시키고, 또한, 승강위치 검출수단(50)의 검출정보와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낮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낮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에 승강대(39)를 정지시켜, 물품 이재수단(40)이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덧붙여서, 전주행처리는, 물품 이재수단(40)에 용기(13)가 얹혀 놓여 지지되 지 않은 상태로 실행된다.
들어올림처리는, 물품 이재수단(40)을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측에 돌출시키고, 이 돌출시킨 상태에서, 승강위치 검출수단(50)의 검출정보와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높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높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까지 승강대(39)를 상승시키고, 물품 이재수단(40)에서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에 수납되어 있는 용기(13)를 들어올려 취한 후, 물품 이재수단(40)을 승강대(39) 상으로 후퇴시킨다.
후주행처리는, 주행위치 검출수단(49)의 검출정보와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주행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를 정지시키고, 또한, 승강위치 검출수단(50)의 검출정보와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높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높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에 승강대(39)를 정지시켜, 물품 이재수단(40)이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덧붙여서, 후주행처리는, 물품 이재수단(40)에 용기(13)가 얹혀 놓여 지지된 상태로 실행된다.
내려놓음처리는, 물품 이재수단(40)을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를 향하여 돌출시키고, 이 돌출시킨 상태에서, 승강위치 검출수단(50)의 검출정보와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낮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 여,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낮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까지 승강대(39)를 하강시켜,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에 용기(13)를 내려놓은 후, 물품 이재수단(40)을 후퇴시킨다.
다음에, 전주행처리 및 후주행처리의 주행처리에 대해서 설명을 더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제어수단(46)은, 물품 반송장치(5)를 주행시킬 때는, 미리 설정한 정상주행용의 목표주행속도로 물품 반송장치(5)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주행처리 및 후주행처리의 주행처리에 있어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에는, 정상 주행용의 목표 주행속도까지 가속시킨 후, 목표 주행속도로 주행시키는 상태를 유지하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가까워지면, 목표 주행속도로부터 정지용 저속도로 감속시킨 후, 정지용 저속도로 주행시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를 정지시킨다.
덧붙여서, 목표 주행속도, 정지용 저속도 및 가감속도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주행거리에 의해서 목표 주행속도에 도달하는 타이밍이나 정지용 저속도로 감속시켜야 할 타이밍이 구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란, 상술한 반송원의 물품 이재개소(A)나 반송처의 물품 이재개소(A)이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제어수단(46)은, 상기 물품 반송장치(5)를 주행시킬 때에는, 상기 이동공간(4)의 마루측에 존재하는 진애의 부 상을 억제하기 위한 높이로서 설정한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운전 제어수단(46)은,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주행을 개시한 후,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을 상기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운전 제어수단(46)은, 상기 물품 반송장치(5)를 상기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A)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시킬 때에 있어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상기 주행용 높이보다 낮을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상기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5)를 정지시킬 때보다 이전부터,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주행용 높이는, 위로부터 2단째의 수납부(2)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승강대(39)를 승강시킨 상태로 물품 이재수단(40)이 위치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에, 예를 들면, 위로부터 3단째의 수납부(2)로부터 물품 반출입부(31)로 용기(13)를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 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 및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낮은 경우는, 도 8(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 시킨 직후에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상승시키고, 그 다음은,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로 유지시킨 상태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가까워지면, 주행대차(37)의 정지와 동시 또는 정지의 직전에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하강시킨다.
또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예를 들면, 물품 반출입부(31)로부터 최상단의 수납부(2)로 용기(13)를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 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낮고,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경우는, 도 8(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킨 직후에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고, 그 후에는, 주행대차(37)가 주행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까지 승강대(39)를 승강 정지위치로 유지시킨다.
또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예를 들면, 최상단의 수납부(2)로부터 물품 반출입부(31)로 용기(13)을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 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높고,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낮은 경우는, 도 8(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승강대(39)를 승강시키지 않고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지시킨 상태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가까워지면, 주 행대차(37)의 정지와 동시 또는 정지의 직전에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하강시킨다.
또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예를 들면, 최상단의 수납부(2)로부터 최상단의 수납부(2)로 용기(13)를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 및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경우는, 도 8(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승강대(39)를 승강시키지 않고 주행대차(37)가 주행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까지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유지시킨다.
한편, 이 경우에서도, 낮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와 높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대(39)를 승강이동시키는 등,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승강대(39)의 승강은 행하여진다.
덧붙여서, 주행대차(37)의 가속중에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있지만, 가속중은 주행대차(37)의 주행속도는 비교적 느리기 때문에 기류의 교란이 작으며, 주행대차(37)의 주행속도가 빨라짐에 수반하여 물품 이재수단(40)이 마루면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물품 반송장치(5)가 주행했을 때의 마루면 가까이의 기류의 교란이 억제되어 마루측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행대차(37)의 감속중에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보다 아래쪽에 하강시키고 있지만, 물품 이재수단(40)이 마루면에 가까워짐에 수반하여 주행 대차(37)의 주행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물품 반송장치(5)가 주행했을 때의 마루면 가까이의 기류의 교란이 억제되어 마루측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주행처리 및 후주행처리의 주행처리의 제 2 실시형태이다. 이하, 상기 전주행처리 및 후주행처리의 주행처리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을 더하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제어수단(46)은,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을 상기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주행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운전 제어수단(46)은,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을 상기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A)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시킬 때에 있어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상기 주행용 높이보다 낮을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상기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5)를 정지시킨 후에 상기 물품 이재수단(40)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예를 들면, 위로부터 3단째의 수납부(2)로부터 물품 반출입부(31)로 용기(13)를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 및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낮은 경우는, 도 9(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상승시킨 후에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로 유지시킨 상태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정지한 후에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하강시킨다.
또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예를 들면, 물품 반출입부(31)로부터 최상단의 수납부(2)로 용기(13)를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낮고,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경우는, 도 9(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를 향하여 상승시키고, 물품 이재수단(40)이 주행용 높이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는, 주행대차(37)가 주행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까지 승강대(39)를 승강 정지위치에서 유지시킨다.
또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예를 들면, 최상단의 수납부(2)로부터 물품 반출입부(31)로 용기(13)를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높고,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낮은 경우는, 도 9(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승강대(39)를 승강시키지 않고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높이에 유지시킨 상태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가까워지면, 주행대차(37)의 정지와 동시 또는 정지의 직전에 승강대(39)를 주행용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하강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정지한 후에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주행용 높이로부터 하강시킨다.
또한,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예를 들면, 최상단의 수납부(2)로부터 최상단의 수납부(2)로 용기(13)를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주행처리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 및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경우는, 도 9(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승강대(39)를 승강시키지 않고 주행대차(37)가 주행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까지 물품 이재장치를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유지시킨다.
한편, 이 경우에서도, 낮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와 높은 위치용의 승강 정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대(39)를 승강 이동시키는 등,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승강대(39)의 승강은 행하여진다.
한편, 도 9(가)∼(라)는, 주행대차(37)의 주행개시를 기준으로 한 승강대(39)의 승강이동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고, 승강대(39)의 주행용 높이로의 승강이 동의 개시는 어느 경우에 대해도 같은 타이밍으로 행하여진다.
[별도의 실시형태]
(1)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장치(5)의 주행을 개시한 후,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장치(5)를 정지시키기 이전부터, 물품 이재수단(4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 물품 반송장치(5)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장치(5)를 정지시킨 후, 물품 이재수단(4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했지만, 물품 반송장치(5)의 주행을 개시한 후,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장치(5)를 정지시킨 후, 물품 이재수단(4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 물품 반송장치(5)의 주행을 개시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장치(5)를 정지시키기 이전부터, 물품 이재수단(4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행대차(37)를 주행시킬 때, 주행처리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높고, 주행처리 후의 물품 이재수단(40)의 높이가 주행용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 있어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가까워졌을 때 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정지한 후에 승강대(39) 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연속적으로 하강시키도록 구성했지만, 주행대차(37)의 주행을 개시시킨 직후에 물품 이재수단(40)을 주행용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승강대(39)를 하강시키고,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가까워졌을 때 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의 주행 정지위치에 주행대차(37)가 정지한 후에 승강대(39)를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A)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주행용 높이로부터 승강대(39)를 하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행용 높이를, 위로부터 2단째의 수납부(2)에 대응하는 승강 정지위치에 승강대(39)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물품 이재수단(40)이 위치하는 높이로 설정했지만, 주행용 높이는, 승강대(39)나 물품 이재수단(40)의 형상 및 물품의 크기 등, 물품 반송장치(5)를 주행시켰을 때의 기류의 교란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본 발명의 물품 보관설비에 의하면, 물품 반송장치가 주행했을 때의 진애의 부상을 억제하여 물품 수납선반의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복수의 수납부를 종횡으로 나란하게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과,
    그 물품 수납선반의 전방의 이동공간을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자유로이 주행하며 또한 물품 이재(移載)수단을 승강 자유롭게 구비한 물품 반송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부 및 물품 반출입부를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로 하고, 이들 사이에서 물품의 반송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수단과,
    정화용 공기를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상기 수납부를 통과시켜 상기 이동공간에 유동시키고 또한 상기 이동공간에 있어서 아래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정화공기 통풍수단이 설치된 물품 보관설비로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주행시킬 때에는, 상기 이동공간의 마루측에 존재하는 진애(塵埃)의 부상(浮上)을 억제하기 위한 높이로서 설정한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한 후,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상기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상기 주행용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주행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로 주행시킬 때에 있어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상기 물품 이재수단의 높이가 상기 주행용 높이보다 낮을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상기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킬 때보다 이전부터,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수단이,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물품 이재개소 중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는 위치로 주행시킬 때에 있어서,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물품 이재개소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상기 물품 이재수단의 높이가 상기 주행용 높이보다 낮을 때에는, 물품 이재대상으로 하는 상기 물품 이재개소에 대응하여 상기 물품 반송장치를 정지시킨 후에 상기 물품 이재수단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설비.
KR1020070018359A 2006-06-27 2007-02-23 물품 보관설비 KR100834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76717 2006-06-27
JP2006176717A JP4126619B2 (ja) 2006-06-27 2006-06-27 物品保管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03A KR20080000503A (ko) 2008-01-02
KR100834243B1 true KR100834243B1 (ko) 2008-05-30

Family

ID=3901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359A KR100834243B1 (ko) 2006-06-27 2007-02-23 물품 보관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26619B2 (ko)
KR (1) KR100834243B1 (ko)
CN (1) CN101096242B (ko)
TW (1) TW200800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7589B2 (ja) * 2008-04-22 2010-11-1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JP5403358B2 (ja) * 2009-12-10 2014-01-2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5888288B2 (ja) * 2013-06-26 2016-03-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の検査装置
CN112147935B (zh) * 2020-09-25 2022-04-08 劢微机器人科技(深圳)有限公司 无人叉车叉臂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072A (ja) 1997-11-06 1999-05-25 Daifuku Co Ltd 農水産物処理システム
JP2003081405A (ja) * 2001-09-10 2003-03-19 Daifuku Co Ltd 浄化空気通風式の保管設備
JP2004269214A (ja) * 2003-03-11 2004-09-30 Daifuku Co Ltd 浄化空気通風式の保管設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521A (ja) * 1998-07-02 2000-01-18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JP3788296B2 (ja) * 2001-09-10 2006-06-21 株式会社ダイフク 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072A (ja) 1997-11-06 1999-05-25 Daifuku Co Ltd 農水産物処理システム
JP2003081405A (ja) * 2001-09-10 2003-03-19 Daifuku Co Ltd 浄化空気通風式の保管設備
JP2004269214A (ja) * 2003-03-11 2004-09-30 Daifuku Co Ltd 浄化空気通風式の保管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22126B (ko) 2010-03-21
CN101096242A (zh) 2008-01-02
TW200800761A (en) 2008-01-01
KR20080000503A (ko) 2008-01-02
CN101096242B (zh) 2010-07-14
JP2008007224A (ja) 2008-01-17
JP4126619B2 (ja)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734B1 (ko) 기판 처리 방법
KR101178787B1 (ko) 기판 수납 설비, 기판 처리 설비 및 기판 수납 설비의 작동방법
KR101120530B1 (ko)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KR100870610B1 (ko) 물품 수납설비
JP4688000B2 (ja) 物品収納設備
JP4123383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4378659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KR100834243B1 (ko) 물품 보관설비
TWI408090B (zh) 物品保管庫
KR101110621B1 (ko) 기판용 수납 용기와 기판용 수납 용기를 위한 기판 반송 설비
JP5126615B2 (ja) 基板搬送設備
JP4378652B2 (ja) 浄化空気通風式の物品保管設備
JP4780396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KR101184316B1 (ko) 물품 수납 설비
JP4780401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2008168982A (ja) 板状物品用搬送車
JP4666227B2 (ja) 物品保管設備
KR101184317B1 (ko) 물품 수납 설비
JP2009007125A (ja) 物品搬送車
JPH03192005A (ja) クリーンルーム内の荷保管設備
JP4623381B2 (ja) 物品収納設備
JP2005298201A (ja) 物品保管設備
JPH0614144U (ja) オーバーヘッド型物品搬送装置
JP2010064887A (ja) 基板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