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16B1 - 물품 수납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수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16B1
KR101184316B1 KR1020090009258A KR20090009258A KR101184316B1 KR 101184316 B1 KR101184316 B1 KR 101184316B1 KR 1020090009258 A KR1020090009258 A KR 1020090009258A KR 20090009258 A KR20090009258 A KR 20090009258A KR 101184316 B1 KR101184316 B1 KR 10118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article storage
vehicle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163A (ko
Inventor
미호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9008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1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control for stacker cran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수납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물품 수납부는 공기 유동 불가능한 상태로 구획되고,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15)은 공기 유동 가능한 상태로 연통되는 형태로, 물품 수납부의 아래쪽에 물품 수납 선반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전체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공기 유동 공간(31)을 형성하고, 공기 유동 공간(31) 내에서의 적어도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 개소에,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용 부재(36)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물품 수납 설비{ARTICLE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복수의 물품 수납부를 구비하는 물품 수납 선반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반송차 이동 공간에서의 마루부를 주행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물품 이송 탑재 장치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차와, 정화 공기를 상기 물품 수납부의 뒤쪽으로부터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을 향해 상기 물품 수납부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키고, 또한 정화 공기를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 내를 아래쪽으로 유동시킨 후 배기부로부터 배기하도록 유동시키는 정화 공기 통풍 수단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상기 물품 수납부에 대하여 공기 유 동이 불가능하게 구획하고, 또한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에 대해서는 공기 유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물품 수납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공기 유동 공간과,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을 외부와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물품 수납 설비는, 물품 반송차를 물품 수납 선반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주행시키고, 또한 물품 이송 탑재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켜서, 액 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 등을 적층 상태로 수납하는 용기를 물품으로서 물품 수납부와 유리 기판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 물품 처리 장치 사이에서 반송한다.
그리고,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을 설치하여, 정화 공기를 물품 수납부의 뒤쪽으로부터 반송차 이동 공간을 향해 물품 수납부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키고,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 내의 아래쪽으로 유동시킨 후 배기부로부터 배기하도록 유동시킴으로써 반송차 이동 공간에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함으로써 마루부 측으로부터 휩쓸려 상승한 먼지가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부터 물품 수납부 측으로 쉽게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물품 반송차가 주행할 때 주행 대차의 주행 방향 전방 측에서 압축 상태가 된 정화 공기가 주행 대차의 횡측의 공기 유동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동하도록 하여, 정화 공기가 주행 대차의 마루부 측을 유동하는 것에 기인하는 주행 대차의 전방 측에서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16518호 참조).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물품 수납 설비에서는, 물품 반송차의 주행에 의해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부터 공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한 정화 공기의 일부는 공기 유동 공간의 내측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서 유동하므로,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선반 가로 폭 방향)의 전방측 단부 개소에서는,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가까워짐에 수반하여 공기 유동 공간 내의 정화 공기가 서서히 압축되므로, 그 압축된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이 크며,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 팽창하여 이동한 정화 공기가 반송차 이동 공간의 단부에 설치된 구획벽에 의해 위쪽으로 안내되고, 마루부 측의 먼지가 용이하게 휩쓸려 상승한다. 따라서,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는, 복수의 물품 수납부를 구비하는 물품 수납 선반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반송차 이동 공간에서의 마루부를 주행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물품 이송 탑재 장치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차와, 정화 공기를 상기 물품 수납부의 뒤쪽으로부터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을 향해 상기 물품 수납부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키고, 또한 정화 공기를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 내의 아래쪽에 유동시킨 후 배기부로부터 배기하도록 유동시키는 정화 공기 통풍 수단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상기 물품 수납부에 대하여 공기 유동이 불가능하게 구획되고, 또한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에 대해서는 공기 유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물품 수납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공기 유동 공간과,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을 외부와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로서, 상기 공기 유동 공간 내에서의 적어도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영역에, 상하 방향과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공기 유동 공간 내에서의 적어도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 개소에, 상하 방향과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동 공간에서 정화 공기가 정류용 부재보다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고,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선반 가로 폭 방향)의 전방측 단부 개소에 유동하는 정화 공기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선반 가로 폭 방향)의 전방 측 단부 개소에서,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가까워짐에 따라 공기 유동 공간 내의 정화 공기가 서서히 압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이 작고, 마루부 측의 먼지가 쉽게 휩쓸려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되어,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류용 부재가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류용 부재가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동 공간에서 정화 공기가 정류용 부재보다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 측으로의 유동이 복수의 정류용 부재에 의해 분산되어 억제됨으로써, 각 정류용 부재의 차량 주행 방향의 후방 측에서 정화 공기가 압축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이 작아져서,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정류용 부재 중에서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상기 단부 영역에 위치하는 단부 측 정류용 부재가, 통풍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복수의 정류용 부재 중에서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 중앙 측에 위치하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보다 개구율이 작은 통풍 가능한 다공형 또는 통기 불가능하도 록 구멍이 없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단부 측 정류용 부재의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 측 단부 개소에서 압축된 정화 공기는, 단부 측 정류용 부재를 통해 차량 주행 방향의 후방 측으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측 단부 개소에서 정화 공기가 압축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공기 유동 공간에서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 측 단부 개소를 향해 유동하는 정화 공기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에 의해 그보다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으로의 유동이 억제되므로, 중앙 측 정류용 부재보다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에서 정화 공기가 압축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측 정류용 부재와 중앙 측 정류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 측 단부 개소에서 정화 공기가 압축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이 작아져서,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가,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보다 선반 전후 폭방 향으로 짧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공기 유동 공간 내에서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부 측 정류용 부재가, 공기 유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 범위에 걸쳐서,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선반 가로 폭 방향)의 전방 측 단부 개소에 유동하는 정화 공기를 적게 하며, 그리고 단부 측 정류용 부재의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 측 단부 개소에서 압축된 정화 공기를 단부 측 정류용 부재를 통해 차량 주행 방향의 후방 측에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 유동 공간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 측 단부 개소에서 정화 공기가 압축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단부 측 정류용 부재보다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고, 또한 공기 유동 공간 내에서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 측에서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정화 공기가 통풍되므로 정화 공기가 쉽게 압축 상태로 되지 않고,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 측과는 반대 측의 내측에서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에 의해 정화 공기가 압축 상태로 되기 용이하므로, 예를 들면 공기 유동 공간의 안쪽부에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의 배기부를 설치한 경 우에는, 압축 상태의 정화 공기가 배출부로부터 배출되기 용이하게 되어,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측 정류용 부재와 중앙 측 정류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공기 유동 공간에서 정화 공기가 압축 상태로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선반 전후 폭 방향의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의 부분이 통기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부분이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의 부분이 통기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부분이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 측에서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의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의 부분에 의해 정화 공기가 통풍되므로 정화 공기가 쉽게 압축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 으로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 측과는 반대 측의 내측에서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의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부분에 의해 정화 공기가 통풍되지 않고 압축 상태로 되기 용이하므로, 공기 유동 공간의 안쪽부에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의 배기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압축 상태의 정화 공기가 배출부로부터 배출되기 용이하고,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용 부재가,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 대차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품 반송차가 반송차 이동 공간을 주행했을 때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에서 압축 상태로 되어 있는 정화 공기는, 물품 반송차의 감속 또는 정지에 수반하여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으로 팽창하고, 팽창된 정화 공기의 일부가 반송차 이동 공간의 단부에 설치된 구획벽에 의해 선반 전후 방향으로 안내되어 공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하지만, 정류용 부재가,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주행 대차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에 설치되어 있 으므로, 정류용 부재와 반송차 이동 공간의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측 단부 개소 사이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한 정화 공기가 쉽게 압축 상태로 되지 않고, 정화 공기의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주행 대차에서의 차량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 부분의 마루부의 높이와 같은 높이 또는 그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선반 전후 방향에서 상기 반송차 이동 축 사이의 일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 내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선반 폭 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공기 안내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안내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마루부 측으로부터 공기 안내체 마루부 측에 정화 공기가 쉽게 유동하지 않고, 물품 반송차의 주행에 의해 공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한 정화 공기의 기류가 흐트러지는 것에 기인하는 주행 대차의 옆 방향 측이나 후방 측에서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안내체의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의 단부 영역이, 그 외의 부분보다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 내를 향하여 크게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품 반송차가 반송차 이동 공간을 주행하면, 물품 반송차가 반송차 이동 공간을 주행했을 때,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에서 압축 상태로 된 정화 공기는, 물품 반송차의 감속 또는 정지에 수반하여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으로 팽창하고, 팽창된 정화 공기의 일부가 구획벽에 의해 위쪽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한다. 그러나, 공기 안내체에서의 선반 가로폭 부분의 단부 측 부분이, 그 외의 부분보다 반송차 이동 공간 내를 향하여 크게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서, 구획벽에 의해 위쪽으로 안내되는 정화 공기가 공기 안내체보다 위쪽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마루부에서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 단부에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개구되고, 또한 그 양단의 개구부의 사이를 공기가 유동 가능하게 연통되는 공기 유통로가, 상기 주행 대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행 대차에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방향 전방 측에서 압축 상태로 되는 정화 공기의 양이 적고, 주행 대차의 위쪽을 유동하는 정화 공기의 양이나 공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하는 정화 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가 주행 대차의 위쪽을 유동하는 것에 기인하는 주행 대차의 전방 측에서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과, 공기 유동 공간에 유동한 정화 공기의 기류가 물품 반송차의 주행에 의해 흐트러지는 것에 기인하는 주행 대차의 횡측 혹은 후방 측에서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정화 공기 통풍 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정화 공기의 풍력이 작아도 물품 수납부를 먼지가 적은 환경으로 유지하기 용이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유통로가, 상기 주행 대차의 바닥부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오목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유통로가 주행 대차의 바닥부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오목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통로는 주행 대차의 바닥부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오목홈을 형성하기만 하면 되며, 또한 이 공기 유통로는, 이 공기 유통로 내를 통과하여 흐르는 정화 공기가 위쪽으로 확산되지 않으므로, 정화 공기가 쉽게 위쪽으로 확산되지 않는 공기 유통로가 형성된 주행 대차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화 공기가 쉽게 위쪽으로 확산되지 않는 공기 유통로가 형성된 주행 대차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유통로 내에, 상하 방향과 차량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유통로 내에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차량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통로 내를 유동하는 정화 공기를 차량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층류상(層流狀)으로 정류할 수 있으므로, 공기 유통로로부터 배출되는 정화 공기에 의해 마루부 측으로부터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통로로부터 배출되는 정화 공기에 의해 마루부 측으로부터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대차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 단부 각각이, 차량 주행 방향에서 차량 내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의 선단에 대하여 상기 차량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품 반송차가 반송차 이동 공간을 주행했을 때,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방향 전방 측에서 압축 상태로 된 정화 공기는, 물품 반송차의 감속 또는 정지에 수반하여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으로 팽창하고, 팽창된 정화 공기의 일부가 구획벽 등의 다른 물체에 의해 위쪽으로 안내되며, 이에 따라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한다. 그러나, 주행 대차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의 정화 공기는, 주행 대차의 아래쪽 부분의 공기는 주행 대차의 위쪽으로의 유동이 규제되고, 주행 대차의 위쪽 부분에서는 주행 대차의 위쪽으로 안내되므로,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 방향 전방 측에서 정화 공기가 쉽게 압축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주행 대차가 감속 또는 정지했을 때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물품 반송차의 감속 또는 정지에 수반하여 마루부 측의 먼지가 휩쓸려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 W는, 청정화된 정화 공기가 천정 측으로부터 바닥 측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통과하여 흐르는 다운 플로우 식 클린룸(1) 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반도체 제품이나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미완성 제품(intermediate article of manufacture) 등의 판형체를 용기 C에 적재 상태로 수납한 상태로 먼지가 적은 환경에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액정 표시 소자의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C를 물품으로서 반송 및 보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1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다운 플로우 식 클린룸(1)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린룸(1)의 측벽(18)의 마루부 가까이에 측벽 흡인부(2)를 형성하고, 클린룸(1)의 천정에 천정 분출부(3)를 형성하여, 측벽 흡인부(2)를 통해 흡인된 흡인 공기를 천정 분출부(3)로부터 분출하는 형태로, 정화 공기를 클린룸(1)에 순환시키는 클린룸용 순환 통풍 수단 F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린룸(1)의 마루부는 구멍이 없는 콘크리트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클린룸용 순환 통풍 수단 F는, 측벽 흡인부(2)에 측벽용 팬 필터 유닛(4)을 설치하고, 천정 분출부(3)에 HEPA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필터(5)를 함께 설치하고, 천정 분출부(3)의 위쪽으로 공기 챔버실(6)을 설치하여, 클린룸(1)의 하부와 공기 챔버실(6)을 접속 유로(7)에 의해 연통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접속 유로(7)에, 순환용 송풍기(8)를 클린룸(1)에 흡인 작용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접속 유로(7)에서의 순환용 송풍기(8)의 공기 토출 측 부분에 프리 필터(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용 팬 필터 유닛(4) 및 순환용 송풍기(8)의 통풍 작용에 의해, 클린룸(1) 내의 공기가 접속 유로(7)에 흡인되고, 이 흡인된 공기가 접속 유로(7)를 유동하고 프리 필터(9)를 통과하여 청정화된 후, 공기 챔버실(6)에 유입되고, 또한 에어 필터(5)를 통과하여 청정화된 후, 천정 분출부(3)로부터 클린룸(1) 내를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린룸(1) 내의 공기가, 측벽용 팬 필터 유닛(4), 프리 필터(9) 및 에어 필터(5)를 통과하면서 전술한 경로를 통해 순환됨으로써, 정화 공기가 항상 천정 분출부(3)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분출되는 상태로 클린룸(1)에 공급되어, 클린룸(1) 내의 청정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유로(7)에서의 순환용 송풍기(8)의 흡입 측의 부분에, 외기 도입 유로(10)를 접속하고, 또한 외기 도입 유로(10)에 외기 도입량 조절용 댐퍼(11)를 설치하고, 접속 유로(7)에서의 순환용 송풍기(8)의 토출 측 부분에, 배기 유로(12)를 접속하고, 또한 배기 유로(12)에 배기량 조절용 댐퍼(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 도입량 조절용 댐퍼(11) 및 배기량 조절용 댐퍼(13) 각각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클린룸용 순환 통풍 수단 F에 의해 순환되는 클린룸(1) 내의 정화 공기 중에서 소정량을 신선한 공기와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도 4에 기초하여, 물품 수납 설비 W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수납 설비 W는, 복수의 물품 수납부(14)를 포함하는 물품 수납 선반 S와, 물품 수납 선반 S 전방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에서의 마루부를 주행하는 주행 대차(44)와 주행 대차(44)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물품 반송차에 해당함) V와, 정화 공기를 물품 수납부(14)의 뒤쪽으로부터 반송차 이동 공간(15)을 향해 물품 수납부(14)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키고,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15) 내를 아래쪽으로 유동시킨 후 배기부(34)로부터 배기하도록 유동시키는 정화 공기 통풍 수단 B와, 물품 수납 선반 S에서의 물품 수납부(14)는 공기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구획되고,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15)과는 공기 유동 가능한 상태로 연통되는 형태로, 물품 수납부(14)의 아래쪽에 물품 수납 선반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전체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공기 유동 공간(31)과, 스태커 크레인 V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 대차(44)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 부분의 마루부의 높이와 같은 높이 또는 그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 유동 공간(31)의 상단 측에서의 반송차 이동 공간(15) 측의 단부로부터 반송차 이동 공간(15) 내에 돌출한 상태로, 물품 수납 선반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전체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친 상태로 형성된 공기 안내체(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물품 수납 설비 W가 클린룸(1) 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Y로 나타낸 방향은, 선반 가로 폭 방향과 스태커 크레인 V의 주행 방향을 따른 방향이며, X로 나타낸 방향은, 선반 전후 폭 방향과 스태커 크레인 V의 차량 가로 폭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 수납 선반 S를, 각각의 전방측을 서로 마주 보게 한 상태로, 또한 서로 사이에 반송차 이동 공간(15)을 형성하기 위해 간격을 둔 상태로,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차량 가로 폭 방향(선반 전후 폭 방향을 따른 방향)의 양쪽의 마루부 상에 설치하고 있고, 이들 물품 수납 선반 S 각각에는, 물품으로서의 용기 C를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14)를 선반 가로 폭 방향 및 선반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한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 S를, 그 옆 주위가 상하 방향의 양 단부가 개구된 직사각형 통형의 주위벽(25)에 의해 에워싸여 있고, 주위벽(25)의 하단부의 개구를 마루부에 의해 폐색하고, 주위벽(25)의 상단부의 개구를 복수의 수납 선반용 팬 필터 유닛(3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25)은, 각 물품 수납 선반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의 단부에 대하여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바깥 쪽 돌출부(15t) 및 저장 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25)은, 각 물품 수납 선반 S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후단부와는 유동용 공간(19)을 형성하기 위해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반송차 이동 공간(15)은 물품 수납 선반 S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물품 수납 선반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물품 수납 선반 S와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저장 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물품 수납 선반 S의 후부에, 클린룸(1)의 천정 분출부(3)로부터 분출된 정화 공기를 물품 수납부(14)에 안내하기 위한 유동용 공간(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벽(25)이,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반송차 이동 공간(15)을 외부와 구획하는 구획벽을 구성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차 이동 공간(15)에서의 물품 수납 선반 S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바깥쪽 돌출부(15t)와 저장 공간(16)을 공기 유동이 불가능하게 앞 격벽체(29)에 의해 귀획하고 있고, 이 앞 격벽체(29)는, 물품 수납 선반 S의 각 가로측부에서의 앞 둘레부와 주위벽(25) 사이의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 부분을 공기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 격벽체(29)는, 선반 가로 폭 방향과 평행한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물품 수납 선반 S의 물품 수납부(14)와 저장 공간(16)을 공기 유동이 불가능하게 옆 격벽체(17)에 의해 구획하고 있고, 이 옆 격벽체(17)는, 각 물품 수납 선반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 양 단부를 공기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막도 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옆 격벽체(17)는 선반 전후 폭 방향과 평행한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 격벽체(29) 및 옆 격벽체(17)는, 후술하는 공기 안내용 판형체(32)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벽(25)에서의 각 저장 공간(16)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저장 공간(16)으로 출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배기 공간용 도어(26)를 설치하고, 주위벽(25)에서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바깥쪽 돌출부(15t)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반송차 이동 공간(15)으로 출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이동 공간용 도어(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저장 공간(16)에는 물품 보관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나 분전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 유동 공간(31)은, 최하단의 물품 수납부(14)보다 아래쪽에 수평인 자세로 공기 안내용 판형체(32)를 설치함으로써, 이 공기 안내용 판형체(32)와 마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화 공기 통풍 수단 B의 배기부(34)가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내측, 및 공기 유동 공간(31) 및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기부(34)를 주위벽(25)에서의 공기 유동 공간(31) 및 반송차 이동 공간(15)과 대응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 배기부(34)는, 주위벽용 팬 필터 유닛(35)을 포함한다.
공기 안내용 판형체(32)는, 통기 불가능한 구멍이 없는 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 및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의 단부를 주위벽(25)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하고, 또한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 S 각각에 대응하여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한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공기 안내용 판형체(32) 각각은, 반송차 이동 공간(15) 측의 단부가 주행 대차(44)에서의 차량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 부분과 상하 방향으로(즉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반송차 이동 공간(15) 내에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에 의해 공기 안내체(37)를 형성하고 있다.
즉, 공기 안내체(37)는, 스태커 크레인 V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 대차(44)에서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단부 측 부분의 위쪽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혹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안내체(37)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 부분(37a)이, 그 외의 부분보다 반송차 이동 공간(15) 내를 향하여 크게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공기 안내체(37)에서의 단부 측 부분(37a)은,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주행 대차(44)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 및 그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고, 스태커 크레인 V와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중복되도록, 반송차 이동 공간(15) 내를 향하여 크게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 안내체(37)에서의 그 외의 부분은, 스태커 크레인 V와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반송차 이동 공간(15) 내를 향하여 작게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해도 된다.
도 5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공간(31)에,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용 부재(36)가,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이 정류용 부재(36)는, 공기 유동 공간(31)에서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주행 대차(44)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정류용 부재(36) 중에서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에 위치하는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를, 통풍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정류용 부재(36) 중에서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 중앙 측에 위치하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를,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는,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고,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가,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보다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고, 또한 공기 유동 공간(31) 내에서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치우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공기 유동 공간(31)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또한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가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한 다공형 판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반송차 이동 공간(15)으로 돌출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하여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 볼 때 공기 유동 공간(31)의 전체 범위를 덮고 있다.
그리고,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는,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주행 대차(44)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 유동 공간(31)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위치하도록, 공기 유동 공간(31) 각각에 한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공기 유동 공간(31)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또한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가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구멍이 없는 판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공기 유동 공간(31)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뒤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설치하여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 볼 때 공기 유동 공간(31)의 뒤쪽 절반의 범위를 덮고 있다.
그리고,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는, 한쌍의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 사이에 위치하도록, 공기 유동 공간(31) 각각에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공간(31)에서의 정류용 부재(36)를 설치한 개소로부터 단부 측 개소에,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와,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가 설치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는, 물품 수납 선반 S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와 저장 공간(16)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를 공기 유동 가능하게 구획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는, 공기 유동 공간(31)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와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바깥쪽 돌출부(15t)를 공기 유동 가능하게 구획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는, 공기 유동 공간(31)의 뒤쪽에 치우친 상태로 선반 전후 폭 방향과 평행한 자세로 설치되어 있고,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는,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일수록 후방 측[반송차 이동 공간(15)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위치하도록 선반 가로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와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는,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의 일단부 및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의 일단부를 주위벽(25)에 접촉시키고, 또한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의 타단과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의 타단을 접촉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 및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는, 공기 안내용 판형체(32)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납 선반 측 다공형 판형체(38) 및 이동 공간 측 다공형 판형체(39)의 개구율(판형체의 개구 부분의 면적을 판형체의 전체 면적으로 나눈 값)은 30%로 설정되어 있다.
정화 공기 통풍 수단 B를, 수납 선반용 팬 필터 유닛(33)의 통풍 작용에 의해, 클린룸(1) 내의 정화 공기를 물품 수납 설비 W 내에 아래쪽으로 분출하여, 분출된 정화 공기를, 유동용 공간(19)에 의해 안내하여 물품 수납부(14)에 공급하고, 물품 수납부(14)를 뒤쪽으로부터 통과시켜 반송차 이동 공간(15)으로 유동시키고,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15)을 아래쪽으로 유동시켜 한쌍의 공기 안내체(37) 사이를 통과시켜 공기 유동 공간(31)에 유동시키고, 공기 유동 공간(31)의 정화 공기를 배기부(34)를 통해 물품 수납 설비 W 밖으로 배기하는 형태로, 정화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정화 공기 통풍 수단 B를, 수납 선반용 팬 필터 유닛(33), 공기 유동 공간(31), 공기 안내용 판형체(32)[공기 안내체(37)] 및 배기부(34)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스태커 크레인 V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 V는, 마루부 상을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44)에, 물품 이송 탑재용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의 차량 주행 방향(선반 가로 폭 방향과 같은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각각 별도로 승강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전후 한쌍의 지지 기둥으로서의 중앙 지주체(45)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고, 이 주행 대차(44)에 세워져 설치된 중앙 지주체(45)에 의해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가 승강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후 한쌍의 중앙 지주체(45) 각각은, 차량 주행 방향의 양쪽 면은, 평면에서 볼 때 차량 주행 방향으로 팽출시킨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 한쌍의 중앙 지주체(45)의 상단부끼리를 상부 프레임(47)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이 곡면 형상의 예로서, 원호, 타원의 일부, 티어 드롭(tear drop) 형상의 일부, 유선 형상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후 한쌍의 중앙 지주체(45) 각각은, 차량 주행 방향의 양쪽 면을 차량 주행 방향으로 팽출시키지 않는 직선형으로 형성해도 되고, 이와 같이 차량 주행 방향의 양쪽 면을 직선형으로 형성한 각 기둥으로 구성해도 된다.
주행 대차(44)를, 차량 주행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여 차량 가로 폭 방향(선반 전후 폭 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른 자세의 전후 한쌍의 지지용 부분(44a)과, 차량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여 차량 주행 방향을 따른 자세의 좌우 한쌍의 기대용 부분(44b)을 구비하여 구성하여, 평면에서 볼 때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지지용 부분(44a)과 기대용 부분(44b)은, 지지용 부분(44a)의 차량 주행 방향의 단부가 기대용 단부(44b)의 차량 가로 폭 방향의 단부의 위쪽으로 겹쳐 쌓은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기대용 부분(44b) 각각에, 차량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마루부 상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42)에 대하여 차량 주행 방향으로 한쌍의 주행륜(41)을 포함하고 있고, 주행 대차(44)는, 도시하지 않은 주행용 모터에 의해 주행륜(41)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 레일(42)을 따라 주행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주행 대차(44)에, 주행 대차(44)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 단부에서 공기가 출 입 가능하게 개구되고, 또한 양단의 개구부(52b) 사이를 공기가 유동 가능하게 연통되는 공기 유통로(5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 유통로(52)는, 주행 대차(44)의 바닥부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오목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주행 대차(44)가 형성되므로, 주행 대차(44)에서의 좌우 한쌍의 기대용 부분(44b) 사이에서, 또한 전후 한쌍의 지지용 부분(44a)의 아래쪽 각각에 오목홈(52a)을 형성하고 있고, 이 전후 한쌍의 오목홈(52a)에 의해 공기 유통로(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유통로(52)를, 전후 한쌍의 오목홈(52a) 각각의 차량 주행 방향의 바깥쪽 단부를 개구부(52b)로서, 도중에 한쌍의 지지용 부분(44a)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형태로, 양단의 개구부(52b) 사이를 공기가 유동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다.
도 7 및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유통로(52) 내에,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차량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즉, 상하 방향과 차량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정류판(53)은, 차량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전후 한쌍의 오목홈(52a) 각각에 지지용 부분(44a)의 하면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대차(44)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단 측 부분[한쌍의 지지용 단부(44a) 각각의 바깥쪽 부분] 각각을, 그 아래쪽 부분을 위쪽 부분보다 차량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한 상태로, 또한 위쪽 부분의 상면을 차량 내측에 위치할수록 높아지는 경사지게 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전후 한쌍의 지지용 부분(44a) 각각은 좌우 한쌍의 기대용 부분(44b)에 대하여 차량 주행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로써 주행 대차(44)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단 측 부분 각각에서, 그 아래쪽 부분(44d)을 위쪽 부분[경사진 상면(44c)]의 선단(44e)보다 차량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후 한쌍의 지지용 부분(44a) 각각에서의 좌우 한쌍의 기대용 부분(44b)보다 차량 주행 방향의 바깥쪽 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상면(44c)을 차량 내측에 위치할수록 높아지는 경사진 상태로 형성하고 있고, 이로써 주행 대차(44)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단 측 부분 각각을, 그 위쪽 부분의 상면(44c)을 차량 내측에 위치할수록 높아지는 경사진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용 부분(44a)이, 그 차량 가로 폭 방향의 양쪽 단부 측 부분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보다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주행 대차(44) 전체적으로도, 그 차량 가로 폭 방향의 양쪽 측의 단부 측 부분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보다 아래쪽에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주행 대차(44)를 형성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안내체(37)가 주행 대차(44)의 단부 측 부분과 상하 방향으로 중복하면서도 차량 가로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 안내 체(37)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으로 크게 돌출하는 단부 측 부분(37a)이 주행 대차(44)의 중앙 부분과 차량 주행 방향으로 중복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기대용 부분(44b) 각각의 차량 주행 방향 양 단부는 평면에서 볼 때 끝이 가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주행 방향에 따른 형상으로, 또한 상하 방향의 길이가 중앙 지주체(45)와 같은 또는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의 정류판으로서의 보조 지주체(49)를, 중앙 지주체(45)로부터 차량 가로 폭 방향에서의 물품 수납 선반 S가 존재하는 측으로 이격된 개소에, 중앙 지주체(45)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으로 향하는 외면이 평면에서 볼 때 차량 가로 폭 방향으로 팽출시킨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보조 지주체(49)는, 주행 대차(44)에서의 지지용 부분(44a)의 차량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세워져 설치된 중앙 지주체(45)로부터 차량 가로 폭 방향에서의 물품 수납 선반 S가 존재하는 측으로 이격된 개소에 설치되도록, 주행 대차(44)에서의 지지용 부분(44a)의 차량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지주체(49)는, 내면을 차량 주행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외면을 평면에서 볼 때 차량 가로 폭 방향의 물품 수납 선반 S가 위치하는 측으로 원호형으로 팽출시킨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평면에서 볼 때 차량 주행 방향의 단부 측일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또한 차량 주행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편평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지주체(45)를,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의 차량 주행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별도로 승강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도록 전후 한쌍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지주체(49)를, 중앙 지주체(45)로부터 차량 가로 폭 방향으로 이격된 양쪽 개소의 각각 설치하고, 그 좌우 양쪽의 보조 지주체(49) 각각을, 전후 한쌍의 중앙 지주체(45) 각각에 대응시켜서 전후 한쌍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 지주체(45)와 좌우 양쪽의 보조 지주체(49)가 복수의 봉형의 연결체(50)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중앙 지주체(45)와 좌우 양쪽의 보조 지주체(49)와 복수의 연결체(50)로 안내 지주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보조 지주체(49)를 중앙 지주체(45)보다 차량 주행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고, 보조 지주체(49)의 차량 주행 방향의 내측 단부가 중앙 지주체(45)의 차량 주행 방향의 내측 단부보다 차량 주행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보조 지주체(49)의 차량 주행 방향의 바깥쪽 단부가 중앙 지주체(45)의 차량 주행 방향의 바깥쪽 단부보다 차량 주행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는, 물품 수납부(14)에 대하여 용기 C를 이송 탑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중앙 지주체(45)에 의해 안내 지지되는 승강대(55), 상하 축심 주위에 선회 가능한 선회대(56), 및 선회대(56) 상에 설치된 탑재체(57)를 출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58)에 의해 포크식으로 이송 탑재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는, 선회대(56)의 선회에 의해 탑재체(57)를 선회 이동 가능하고, 또한 링크 기구(58)의 신축에 의해 탑재체(57)를 승강 대(55) 상에 퇴피시킨 상태[도 9의 (a) 참조]나 탑재체(57)를 물품 수납부(14) 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도 9의 (b) 참조]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체(57)의 출퇴 이동 방향을 차량 주행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는, 탑재체(57)의 출퇴 이동 방향을 차량 가로 폭 방향으로 한 상태에 비해,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특히, 링크 기구(58)나 탑재체(57)]의 차량 가로 폭 방향으로 향하는 면이 작으므로, 물품 이송 탑재 장치(46)를 탑재체(57)의 출퇴 이동 방향이 차량 주행 방향을 따르도록 한 상태로 스태커 크레인 V가 주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를,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로 형성하였으나,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를, 공기 유동 공간(31)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 등, 공기 유동 공간(31)보다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짧게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를,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보다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짧게 형성하였으나,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를,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보다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도 되고,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와 선반 전후 폭방향으로 같은 길이로 형성해도 된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를,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하였으나,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와 마찬가지로, 통기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를,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반송차 이동 공간(15)이 위치하는 측의 부분을 통기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반송차 이동 공간(15)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 부분을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를 통기 가능한 다공형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할 경우에는, 그 부분의 개구율을,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의 개구율과 같도록 해도 되고, 또한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의 개구율보다 크게 해도 된다.
또한,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를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해도 된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정류용 부재(36)를,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주행 대차(44)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설치하였으나, 정류용 부재(36)를,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주행 대차(44)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 측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이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과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 측 사이에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주행 대차(44)의 옆쪽에 배열된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정류용 부재(36)를,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로 복수개 설치하였으나, 정류용 부재(36)를, 공기 유동 공간(15) 내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 측 개소에서의 어느 한쪽에만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정류용 부재(36)로서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와 중앙 측 정류용 부재(36b)를 설치하였으나, 정류용 부재(36)로서 단부 측 정류용 부재(36a)만을 설치해도 된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 안내체(37)를, 물품 반송차 V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 대차(44)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양단 측 부분의 상부에 중복되는 상태로 설치하였으나, 공기 안내체(37)를, 물품 반송차 V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 대차(44)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양단 측 부분의 상부에 중복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통로(52)를, 주행 대차(44)의 바닥부에, 아래 방향으로 개구된 오목홈 모양으로 형성하였으나, 공기 유통로(52)를, 주행 대차(44)의 가로측부에,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오목홈 모양으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주행 대차(44)에 차량 주행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형성해도 된다.
(7)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통로(52) 내에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차량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판(53)을 설치하였으나, 공기 유통로(52) 내에 차량 가로 폭 방향을 따른 자세로 차량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판(53)을 설치해도 되고 공기 유통로(52) 내에 정류판(53)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8)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반송차 이동 공간(15)을 외부와 구획하는 구획벽(25)을 반송차 이동 공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설치하였으나, 구획벽(25)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9)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행 대차(44)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단 측 부분 각각을, 그 아래쪽 부분을 위쪽 부분보다 차량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상태로 형성하였으나, 이 아래쪽 부분의 하면을 차량 내측으로 위치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는 등,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행 대차(44)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단 측 부분 각각을, 위쪽 부분의 상면이 차량 내측으로 위치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하였으나, 위쪽 부분을 아래쪽 부분보다 차량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상태로 형성하는 등,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10)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행 대차(44)에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42) 각각에 대하여 전후 한쌍의 주행륜(41)을 설치하여 주행 대차(44)에 설치하는 주행륜(41)을 4륜으로 하였으나,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42) 각각에 대하여 3륜 이상의 주행륜(41)을 설치해도 되고, 예를 들면 주행 대차(44)에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42) 각각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주행륜(41)을 설치하여 주행 대차(44)에 설치하는 주행륜(41)을 8륜으로 해도 된다.
(1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의 배기부를 주위벽에서의 공기 유동 공간 및 반송차 이동 공간에 대응시킨 개소에 설치하고, 배기부를 공기 유동 공간이나 반송차 이동 공간의 측방에 형성하였으나, 마루부로부터 위쪽으로 간격을 둔 개소에 설치한 다공형의 그레이팅 판 상에 물품 수납 선반과 물품 반송차를 설치하고,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의 배기부를 그레이팅 판에 의해 구성하고, 배기부를 공기 유동 공간이나 반송차 이동 공간의 아래쪽에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주위벽에서의 공기 유동 공간 및 반송차 이동 공간과 대응되는 개소에도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의 배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도 1은 클린룸용의 물품 보관 설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II-II 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 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물품 보관 설비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공기 유동 공간을 나타낸 횡단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스태커 크레인의 작용도이다.
도 10은 정화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정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정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공기 유동 공간을 나타낸 횡단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물품 수납부 15: 반송차 이동 공간
25: 구획벽 31: 공기 유동 공간
34: 배기부 36: 정류용 부재
36a: 단부 측 정류용 부재 36b: 중앙 측 정류용 부재
37: 공기 안내체 37a: 단부 측 부분
44: 주행 대차 46: 물품 이송 탑재 장치
52: 공기 유통로 52b: 개구부
53: 정류판 B: 정화 공기 통풍 수단
S: 물품 수납 선반 V: 물품 반송차

Claims (12)

  1. 복수의 물품 수납부를 포함하는 물품 수납 선반;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반송차 이동 공간에서의 마루부를 주행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물품 이송 탑재 장치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차;
    정화 공기를 상기 물품 수납부의 뒤쪽으로부터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을 향해 상기 물품 수납부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키고, 또한 정화 공기를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 내를 아래쪽으로 유동시킨 후 배기부로부터 배기하도록 유동시키는 정화 공기 통풍 수단;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상기 물품 수납부에 대하여 공기 유동이 불가능하도록 구획되고, 또한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에 대해서는 공기 유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물품 수납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공기 유동 공간; 및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을 외부와 구획하는 구획벽
    이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로서,
    상기 공기 유동 공간 내에, 상하 방향과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류용 부재로서, 상기 공기 유동 공간 내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측의 단부 영역에 위치한 한 쌍의 단부 측 정류용 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단부 측 정류용 부재 사이에 위치한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가, 통풍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보다 개구율이 작은 통풍 가능한 다공형 또는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된, 물품 수납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가,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상기 단부 측 정류용 부재보다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공기 유동 공간 내에서의 선반 전후 폭 방향의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친(shifted) 상태로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측 정류용 부재가, 선반 전후 폭 방향의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의 부분이 통기 가능한 다공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 부분이 통기 불가능하도록 구멍이 없이 형성된, 물품 수납 설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용 부재가,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의 선반 가로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 대차보다 선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측에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주행 대차에서의 차량 가로 폭 방향의 단부 측 부분의 상부의 높이와 같은 높이 또는 더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선반 전후 방향에서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의 일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 내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공기 안내체가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체의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의 단부 영역이, 그 외의 부분보 다 상기 반송차 이동 공간 내를 향하여 크게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된, 물품 수납 설비.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대차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 단부에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개구되고, 또한 양단의 개구부 사이를 공기가 유동 가능하게 연통되는 공기 유통로가 상기 주행 대차에 형성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로가, 상기 주행 대차의 바닥부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오목홈 모양으로 형성된, 물품 수납 설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로 내에 상하 방향과 차량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류판이 설치된, 물품 수납 설비.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대차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의 양 단부 각각이, 차량 주행 방향에서 차량 내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의 선단에 대하여 상기 차량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 수납 설비.
KR1020090009258A 2008-02-06 2009-02-05 물품 수납 설비 KR101184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6882 2008-02-06
JP2008026882A JP4688001B2 (ja) 2008-02-06 2008-02-06 物品収納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163A KR20090086163A (ko) 2009-08-11
KR101184316B1 true KR101184316B1 (ko) 2012-09-19

Family

ID=4097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258A KR101184316B1 (ko) 2008-02-06 2009-02-05 물품 수납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88001B2 (ko)
KR (1) KR101184316B1 (ko)
CN (1) CN101503140B (ko)
TW (1) TWI412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0822B2 (ja) * 2013-06-13 2017-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載装置及び生産システム
JP6631446B2 (ja) 2016-09-09 2020-01-1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6631447B2 (ja) * 2016-09-09 2020-01-1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518A (ja) * 1998-06-26 2000-01-18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JP2007230748A (ja) * 2006-03-02 2007-09-13 Daifuku Co Ltd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2007276987A (ja) *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搬送装置
KR100870610B1 (ko) 2006-06-27 2008-11-2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설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90676Y (zh) * 1999-09-07 2000-08-09 黄富星 油烟分流过滤装置
JP2004269214A (ja) * 2003-03-11 2004-09-30 Daifuku Co Ltd 浄化空気通風式の保管設備
JP2006327773A (ja) * 2005-05-27 2006-12-0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JP4666227B2 (ja) * 2006-06-27 2011-04-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518A (ja) * 1998-06-26 2000-01-18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JP2007230748A (ja) * 2006-03-02 2007-09-13 Daifuku Co Ltd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2007276987A (ja) *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搬送装置
KR100870610B1 (ko) 2006-06-27 2008-11-2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2477B (zh) 2013-10-21
JP2009184787A (ja) 2009-08-20
CN101503140B (zh) 2012-07-11
TW200948691A (en) 2009-12-01
CN101503140A (zh) 2009-08-12
JP4688001B2 (ja) 2011-05-25
KR20090086163A (ko) 200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8000B2 (ja) 物品収納設備
KR101097734B1 (ko) 기판 처리 방법
US8118530B2 (en) Substrate storage facility and substrate processing facility, and method for operating substrate storage
KR100870610B1 (ko) 물품 수납설비
TWI408090B (zh) 物品保管庫
JP4378659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KR101184316B1 (ko) 물품 수납 설비
JP4780396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KR100834243B1 (ko) 물품 보관설비
JP4780401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4378652B2 (ja) 浄化空気通風式の物品保管設備
KR101184317B1 (ko) 물품 수납 설비
JP4310712B2 (ja) 板状物品用搬送車
JP4811677B2 (ja) 物品収納設備
JP2009007125A (ja) 物品搬送車
JP4666227B2 (ja) 物品保管設備
JP4623381B2 (ja) 物品収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