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30B1 -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530B1
KR101120530B1 KR1020070089982A KR20070089982A KR101120530B1 KR 101120530 B1 KR101120530 B1 KR 101120530B1 KR 1020070089982 A KR1020070089982 A KR 1020070089982A KR 20070089982 A KR20070089982 A KR 20070089982A KR 101120530 B1 KR101120530 B1 KR 101120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bstrate
storage container
contain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445A (ko
Inventor
요시테루 이케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2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63Clos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aining substrates other than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 H01L21/6739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atmosphere modifying elements inside or attached to the closed carrier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5D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2Controlled or contamination-free environments or clean space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팬 필터 유닛의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억제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66)의 일단 측의 개구를, 기판을 한 장씩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로서 구성하고, 용기 본체(66)의 타단 측의 개구로부터 출입구를 향해 통풍시키는 팬 필터 유닛(64)을, 용기 본체(66)에서의 타단 측의 개구부에 장비하고, 용기 본체(66)에서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커버(65)를, 닫힌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통기구로서 개구한 상태로, 용기 본체(66)의 출입구부에 장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 수납 용기, 러닝 코스트, 청정도 유지, 정화 공기, 통풍, 팬 필터, 커버

Description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CONTAINER FOR SUBSTRATES}
본 발명은, 기판을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한 상태에서 복수매 유지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 등의 기판을 수납할 때 사용된다.
상기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에서, 종래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사각통형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의 일단 측의 개구를, 기판을 한 장씩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로서 구성하고, 용기 본체의 타단 측의 개구로부터 출입구를 향해 통풍시키는 팬 필터 유닛을, 용기 본체에서의 타단 측의 개구부에 장비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308169호 참조).
상기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에서는, 팬 필터 유닛에 의해, 정화 공기를 수납 용기의 타단 측의 개구로부터 출입구를 향해 통풍시켜서 출입구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수납 용기 내에 존재하는 먼지가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납 용기 반송 장치의 작동 등에 의해 수납 용기의 주위에 난기류가 발생하더라도 수납 용기 내에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 용기 내의 기판의 청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판의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수납 용기 내의 풍속은, 수납 용기 내에 존재하는 먼지가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느리게 설정하여도 되지만, 출입구로부터의 외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될 때의 풍속을 비교적 빠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될 때의 풍속을 비교적 빠르게 하기 위하여, 팬 필터 유닛의 통풍량을 많이 설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팬 필터 유닛의 러닝 코스트(running cost)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팬 필터 유닛의 러닝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1 특징적 구성은, 기판을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한 상태에서 복수매 유지하 도록 구성된 수납 용기로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수납 용기의 일단 측의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와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둔 타단 측에 설치된 제2 개구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기판을 한 장씩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제1 개구를 향해 통풍시키는 팬 필터 유닛이, 상기 수납 용기 에있어서의 상기 제2 개구의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일부가 통기구로서 개구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의 출입구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수납 용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일부가 개구된 상태로, 수납 용기의 출입구부에 장비되어 있고, 수납 용기의 커버를 닫힌 상태로 하더라도, 출입구의 일부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를 닫힌 상태로 하더라도, 팬 필터 유닛으로, 정화 공기를 수납 용기의 타단 측의 개구로부터 출입구를 향해 통풍시켜서 출입구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수납 용기 내에 존재하는 먼지가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납 용기 내에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 용기 내의 기판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를 닫힌 상태로 하면, 팬 필터 유닛으로, 정화 공기를 수납 용기의 타단 측의 개구로부터 출입구를 향해 통풍시켜서 출입구에서의 일부의 개구로부터 배출시키므로, 출입구에서는 커버에 의해 통풍로를 좁힐 수 있으므로, 배출되 는 정화 공기의 풍속이 빨라지며, 팬 필터 유닛의 통풍량을 비교적 적게 설정하더라도,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풍속이 빨라지고, 수납 용기의 출입구로부터 수납 용기 내로의 외기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를 닫힌 상태로 하면, 팬 필터 유닛의 통풍량을 비교적 적게 설정하더라도 기판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팬 필터 유닛의 통풍량을 적게 설정하여 팬 필터 유닛의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팬 필터 유닛의 러닝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통기 구는, 상기 출입구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슬릿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출입구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슬릿형으로 형성된 통기구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를 통풍시킨 정화 공기는, 복수개의 통기구로부터 상하 방향 및 가로폭 방향으로 비교적 넓은 범위로 분산하는 형태로 배출되므로, 청정 공기가 잘 흐르지 않는 부분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공기의 풍속이 느려짐으로 인하여 먼지가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기판이 쉽게 오염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기판이 쉽게 오염되지 않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통기구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는 복수매의 상기 기판 각각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상 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통기구가 용기 본체에 유지되는 복수매의 기판의 각각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수납 용기 내를 통풍시키는 청정 공기는 수납된 기판을 따라서 통풍하여 통기구로부터 배출되기 쉽고, 기판의 주위에서 정정 공기가 잘 흐르지 않는 부분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공기의 풍속이 느려짐으로 인하여 먼지가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기판이 쉽게 오염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기판이 쉽게 오염되지 않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제1 내지 제3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기판의 출입을 허용하는 열린 상태에서, 인접하는 기판 출입구의 사이를 닫는 형태로, 상기 출입구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기판의 출입을 허용하는 열린 상태에서는, 기판 출입구로부터 기판을 출입시킬 수 있으면서, 인접하는 기판 출입구 사이가 커버로 닫혀져 있으므로, 열린 상태에서도, 출입구에서는 커버에 의해 통풍로가 좁혀져 있으므로,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풍속이 빨라지므로,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의 어느 상태에서도, 팬 필터 유닛의 통풍량을 비교적 적게 설정하더라도,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풍속이 빨라지고, 수납 용기의 출입구로부터 수납 용기 내로의 외기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 필터 유닛의 러닝 코스트를 보다 억제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형성 부재 각각은, 상기 출입구의 가로폭과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 형성 부재 사이에 상기 통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형성 부재 각각은, 상기 출입구의 가로폭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고, 상기 열린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 형성 부재 사이에 상기 기판 출입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커버는, 출입구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열린 상태에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 각각을 회전 조작하기만 하면, 복수매의 기판에 대응하여 출입구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이 되는 기판 출입구를 형성한 닫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커버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상기 커버는 상기 닫힌 상태 측에 복귀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조작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를 열린 상태로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가 용기 본체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설정 부분에 수납 용기를 탑재시킴으로써, 조작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커버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고, 설정 부분으로부터 수납 용기를 들어올림으로써, 복 귀 가압에 의해 커버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게 되고, 별도로 커버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조작 기구는 불필요하며, 커버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 조작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7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횡측면부의 면을 따르는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조작부를 용기 본체의 횡측면부의 면을 따르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를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가 용기 본체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 등에 의한 기계 조작이나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조작하기 용이하므로, 이에 따라, 기계 조작이나 인위적 조작에 의해 커버를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 조작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8 특징적 구성은,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의 선단의 피 조작 부분이 상기 용기 본체의 횡측벽의 전면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를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그 선단의 피 조작부가 용기 본체의 옆 측벽의 전면부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액츄에이터 등에 의한 기계 조작이나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조작하기 용이하다. 거기에 더하여, 조작부를 용기 본체의 가로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시키지 않거나 또는 돌출량을 억제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납 용기 전체를 가로폭 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로폭 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의 제9 특징적 구성은,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커버를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나 커버를 개별적으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세정하기 용이하며, 이에 따라, 세정하기 용이한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0 특징적 구성에서는, 상기 팬 필터 유닛은, 프레임에 지지된 팬과 필터와 수전부(受電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 필터 유닛은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팬 필터 유닛의 러닝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복수개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특징과 다른 실시예에서의 특징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고려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처리 설비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기판(1)을 처리하는 복수개의 기판 처리 장치(3)와, 상기 기판(1)을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한 상태에서 복수매 유지하는 수납 용기(2)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수납부(4)를 구비한 수납 선반(5)과, 복수개의 상기 기판 처리 장치(3) 각각에 대한 기판 입출부(6)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용기(2)로부터 기판(1)을 한 장씩 인출하여 상기 기판 처리 장치(3)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기판 처리 장치(3)로부터 반출되는 기판(1)을 상기 기판 입출부(6)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용기(2)에 수납하는 기판 반송 장치(7)와, 상기 수납 용기(2)를 상기 복수개의 기판 처리 장치(3) 각각 에서의 상기 기판 입출부(6) 및 상기 수납 선반(5)에서의 상기 수납부(4)에 반송하는 수납 용기 반송 장치(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처리 설비에는 복수개의 기판 수납 설비 A와 처리 공정 설비 B가 장비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수납 설비 A의 각각에 수납 선반(5) 및 상기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서의 스태커 크레인(10, stacker crane)이 구비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공정 설비 B의 각각에 기판 처리 장치(3) 및 기판 반송 장치(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 처리 설비에서는, 상기 수납 용기(2)를 상기 수납 선반(5)에 보관하면서, 보관한 상기 수납 용기(2)를 상기 복수개의 기판 처리 장치(3) 각각에서의 상기 기판 입출부(6)에 차례로 반송함으로써, 상기 기판(1)을 복수개의 상기 기판 처리 장치(3)에 의해 차례로 처리하고, 처리된 기판을 제조하는 기판 처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기판 반송 장치(7) 및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는, 도면 밖의 제어 장치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있고,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에 의해, 수납 용기(2)를 복수개의 기판 처리 장치(3) 각각에서의 기판 입출부(6)에 차례로 반송하고, 기판 입출부(6)에 반송될 때마다, 기판 반송 장치(7)에 의해, 수납 용기(2)로부터 기판(1)을 한 장씩 인출하여 기판 처리 장치(3)에 공급하고, 기판 처리 장치(3)로부터 반송되는 기판(1)을 수납하도록, 제어 장치에 의해 기판 반송 장치(7) 및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의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통신부, 메모리, 메모리에 기억된 알고리즘 등,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기능을 모두 행하기 위한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설비의 바닥에 배치해도 되고, 수납 용기 반송부, 또는, 수납 선반(5)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복수개의 기판 처리 장치(3)로는 도포, 노광 및 현상 등의 소정의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므로, 기판(1)을 처리하는 처리량에 차이가 생기며, 기판 입출부(6)에 차례로 반송할 때, 기판(1)이 처리되기를 기다려야 할 경우에는, 그 처리를 기다리는 기판(1)을 수납한 수납 용기(2)는 일시적으로 수납 선반(5)에 보관시킬 수 있도록, 제어 장치에 의해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의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서, 상기 수납 선반(5)에 대응하여 장비되는 수납 선반용의 수납 용기 반송부인 스태커 크레인(10)과, 복수개의 상기 수납 선반(5) 각각에서의 복수개의 입출고부(9) 사이에서 상기 수납 용기(2)를 반송하는 선반간용의 수납 용기 반송부인 왕복 주행 반송차(11) 및 주회(周回) 주행 반송 차(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왕복 주행 반송차(11) 및 주회 주행 반송차(12)는, 기판 수납 설비 A의 밖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하며, 왕복 주행 반송차(11)는, 인접하는 2개의 기판 수납 설비 A 사이에서 왕복 주행하여 2개의 기판 수납 설비 A 사이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주회 주행 반송차(12)는, 다수개의 기판 수납 설비 A 사이에서 주회 주행하여, 다수개의 기판 수납 설비 A 사이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10)은, 기판 수납 설비 A 내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하며,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수납 선반(5) 사이에 형성된 이동 공간을 따라 왕복 주행하여, 대향하는 한쌍의 수납 선반(5)에서의 복수개의 수납부(4) 사이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에 의해, 반송원(搬送元)이 되는 수납부(4) 또는 기판 입출부(6)로부터 반송처가 되는 수납부(4) 또는 기판 입출부(6)에 수납 용기(2)를 반송하는 경우에, 반송원과 반송처가 상이한 기판 수납 설비 A인 경우는, 반송원의 기판 수납 설비 A의 스태커 크레인(10), 왕복 주행 반송차(11)나 주회 주행 반송차(12), 반송처의 기판 수납 설비의 스태커 크레인(10)의 순서로 차례로 주고 받도록하여 수납 용기(2)는 반송되고, 반송원과 반송처가 동일한 기판 수납 설비 A인 경우는, 상기 기판 수납 설비 A의 스태커 크레인(10)에 의해 수납 용기(2)는 반송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처리 설비에는, 클린 공간(13)에서 정화 공 기를 천정부로부터 바닥부에 통풍시키는 다운 플로우 방식을 적용한 정화 공기 통풍 수단(23)이 설치되어 있고, 다운 플로우되는 클린 공간(13) 내에, 상기 복수개의 기판 처리 장치(3), 상기 수납 선반(5), 상기 기판 반송 장치(7) 및 상기 수납 용기 반송 장치(8)가 장비되어 있고, 상기 기판 수납 설비 A가 주위를 개방한 상태에서 장비되어, 기판 수납 설비 A의 내외에 정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화 공기 통풍 수단(23)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화 공기 통풍 수단(23)은, 클린 공간(13)의 바닥부가 다공형의 그레이팅(grating) 바닥(14)에 의해 형성되고, 클린 공간(13)의 천정부가 HEPA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필터(15)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그레이팅 바닥(14)의 하방 측에 형성된 흡기실(16)과 에어 필터(15)의 상방 측에 형성된 챔버실(17)이 통풍팬(18) 및 프리필터(21, pre-filter)를 구비한 순환로(19)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통풍팬(18)에 의해, 클린 공간(13)의 공기를 그레이팅 바닥(14) 및 흡기실(16)을 통해 순환로(19)에 흡기시키는 동시에, 그 흡기된 공기를 프리필터(21), 챔버실(17) 및 에어 필터(15)를 통해 정화 공기로서 클린 공간(13) 내에 하향으로 분출하도록 하여, 클린 공간(13) 내의 공기를, 프리필터(21)와 에어 필터(15)로 청정화시키면서 순환시켜서, 정화 공기를 천정부로부터 바닥부에 통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순환로(19)에는 통풍팬(18)보다 상류측에 외기 도입 유로(20)가 접속되고, 통풍팬(18)보다 하류측에 배기 유로(22)가 접속되어 있고, 정화 공기 통풍 수단(23)에 의해 순환되는 클린 공간(13) 내의 공기의 일부를 외기와 교환하 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처리 설비에는, 상기 기판 반송 장치(7)에 의해 상기 기판 입출부(6)와 상기 기판 처리 장치(3) 사이에서 상기 기판(1)을 반송하는 기판 반송 영역(24)의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정화 공기를 통풍시키는 반송 영역용의 정화 공기 통풍 수단(25)이 구비되어 있다.
즉, 처리 공정 설비 B에서의 기판 반송 영역(24)에는, 기판 반송 장치(7)에 의한 기판 반송 작용 공간을, 수납 선반(5) 측의 단부가 개방되고, 또한 기판 처리 장치(3) 측의 단부가 기판 처리 장치(3)와 연통하도록 덮는 구획벽(26)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벽(26)의 천정부에 반송 영역용의 정화 공기 통풍 수단(25)으로서의 복수개의 영역용 팬 필터 유닛(27)이 설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영역용 팬 필터 유닛(27)에 의해, 클린 공간(13)의 정화 공기를 더 청정화시킨 정화 공기를, 기판 반송 영역(24)의 천정부로부터 바닥부에 통풍시켜서, 구획벽(26)에 의해 덮이는 공간을 다운 플로우되는 공간으로 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선반(5)은, 그레이팅 바닥(14) 상에 설치되어 있고,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져 설치된 전후 한쌍의 지지기둥(31)과, 전후 한쌍의 지지기둥(31)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선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탑재 지지부(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선반(5)에는, 전후 한쌍의 지지기둥(31)과 좌우 한쌍의 탑재 지지부(32)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납부(4)가 가로 세로로 배열되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수납부(4)는,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것끼리 사이 및 선 반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것끼리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있다.
또한, 최하단의 수납부(4)는, 그레이팅 바닥(14)으로부터 상방 측으로 간격을 두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최하단의 수납부(4)의 하방에는, 정화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유동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선반(5)이 구비하는 복수개의 수납부(4) 중 일부가 상기 기판 입출부(6)로 되고, 또한 수납 선반(5)가 구비하는 수납부(4) 중 일부가 상기 입출고부(9)로 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선반(5)이 구비하는 최하단의 복수개의 수납부(4) 중 기판 처리 장치(3)에 대응하는 수납부(4)가 기판 입출부(6)로 되어 있고, 기판 반송 장치(7)에 의해 기판 입출부(6)에 위치하는 수납 용기(2)에 대해서 수납 선반(5)의 배면측을 통해 기판(1)을 한 장씩 인출하거나 한 장씩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하단의 수납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레이팅 바닥(14)으로부터 상방 측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판 입출부(6)는 바닥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선반(5)이 구비하는 중단(中段)의 복수개의 수납부(4) 중 왕복 주행 반송차(11) 및 주회 주행 반송차(12)에 대응하는 수납부(4)가 입출고부(9)로 되어 있고, 왕복 주행 반송차(11)에 대응하는 입출고부(9)는, 왕복 주행 반송차(11)에 의해 수납 선반(5)의 배면측을 통하여 수납 용기(2)를 반출 및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주회 주행 반송차(12)에 대응하 는 입출고부(9)는, 주회 주행 반송차(12)에 의해 수납 선반(5)의 측면 측을 통해 수납 용기(2)를 반출 및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10)은, 수납 선반(5)의 전방의 주행 경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2개의 주행 레일(34)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35)와, 주행 대차(35)에 세워져 설치된 한쌍의 승강 마스트(36)에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 지지되는 승강대(37)와, 승강대(37)에 지지되고 수납부(4)와 자기 사이에서 수납 용기(2)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포크식의 물품 이재(移載) 장치(3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대차(35)의 수평 이동, 승강대(37)의 승강 이동, 및 물품 이재 장치(38)의 작동에 의해, 수납 선반(5)의 전방의 이동 공간을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납 용기(2)를 상기 기판 입출부(6), 상기 입출고부(9), 및 이들 이외의 상기 수납 선반(5)에서의 상기 수납부(4)에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대차(35)에는, 2개의 주행 레일(34) 각각에 대해서 전후에 2륜씩, 합계 4개의 주행 차륜(39)이 설치되어 있고, 주행 차륜(39) 각각을 주행용 모터(40)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 대차(35)가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승강 마스트(36)는, 그 상단부 끼리 상부 프레임(4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37)에서의 전후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는, 한쌍의 승강용 체인(45)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승강용 체 인(45)의 한쪽은, 승강 마스트(36)의 상단부에 설치된 안내 스프로킷(46)에 권취되어 타단부가 밸런스 웨이트(47)에 연결되고, 한쌍의 승강용 체인(45)의 다른 쪽은, 승강 마스트(36)의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48)에 권취되어 타단부가 밸런스 웨이트(47)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용 모터(49)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48)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승강대(37)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이재 장치(38)는, 상하 축심 P1 주위에 선회할 수 있는 선회대(50), 및 상기 선회대(50) 상에 설치된 탑재부(51)를 돌출시키거나 물러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링크 기구(5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이재 장치(38)는, 선회대(50)의 선회에 의해 탑재부(51)를 선회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링크 기구(52)의 신축에 의해, 물품 이재 장치(38)를 승강대(37) 상에 물러나게 한 상태(도 5 참조)나 물품 이재 장치(38)를 수납부(4) 측에 돌출시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이재 장치(38)는, 지지한 수납 용기(2)를 선회시키는 선회 수단에 해당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수납 설비 A에는, 스태커 크레인(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H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 수단 H는,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의 운전을 관리하는 상위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주행용 모터(40), 승강용 모터(49) 및 물품 이재 장치(38)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복수개의 수납부(4) 사이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하도록, 스태커 크레인(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 H는, 한쌍의 상기 수납 선반(5) 중 어느 쪽이라 하 더라도, 상기 수납 용기(2)의 상기 팬 필터 유닛(64)을 장비한 측을 상기 이동 공간 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수납 용기(2)의 상기 출입구(72) 측을 상기 이동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 용기(2)를 상기 수납부(4)에 수납하도록 상기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팬 필터 유닛(64)(FFU라고도 한다)은, 하나의 FFU용 프레임(90)에 지지된 팬, 상기 팬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 필터, 배터리(71), 또는, 전기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수전부(70a)를 구비한다. 상기 팬은 수평 방향의 축 주위로 회전한다.
즉, 제어 수단 H는, 대향하는 한쌍의 수납 선반(5) 사이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할 때, 반송원의 수납부(4)와 반송처의 수납부(4)가 동일한 수납 선반(5)인 경우에는, 반송원의 수납부(4)로부터 수납 용기(2)를 인출하고, 상기 수납 용기(2)를 물품 이재 장치(38)에 의해 선회시키지 않고 반송처의 수납부(4)에 수납함으로써, 반송원의 수납부(4)와 마찬가지로 반송처의 수납부(4)에서도, 수납 용기(2)의 팬 필터 유닛(64)을 장비한 측을 이동 공간 측에 위치시킨다. 또한, 수납 용기(2)의 상기 출입구 측인 커버(65)를 장비한 측을 이동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납 용기(2)를 수납부(4)에 수납시키고, 또한, 반송원의 수납부(4)와 반송처의 수납부(4)가 상이한 수납 선반(5)인 경우에는, 반송원의 수납부(4)로부터 수납 용기(2)를 인출하고, 상기 수납 용기(2)를 물품 이재 장치(38)에 의해 180° 선회시킨 후에 반송처의 수납부(4)에 수납함으로써, 반송원의 수납부(4)와 마찬가지로 반송처의 수납부(4)에서도, 수납 용기(2)의 팬 필터 유닛(64)를 장비한 측을 이동 공간 측에 위치시킨다. 또한, 수납 용기(2)의 커버(65)를 장비한 측을 이동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납 용기(2)를 수납부(4)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스태커 크레인(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반송 장치(7)는, 기판 처리 장치(3)와 수납 선반(5) 근처 사이에서 기판(1)을 탑재 반송하는 기판 반송 컨베이어(54)와, 기판 입출부(6)에 위치하는 수납 용기(2)와 기판 반송 컨베이어(54)의 수납 선반측 단부 사이에서 기판(1)을 탑재 반송하는 기판 반송 로봇(5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판 반송 로봇(55)은, 수납 선반(5)의 배면측을 선반 가로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대차(56)와, 상기 이동 대차(56)에 승강 및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승강부(57)와, 상기 승강부(57)에 링크 기구(58)를 통하여 연결된 포크형의 지지부(59)를 구비하고, 승강부(57)의 승강 및 회전과 링크 기구(58)의 신축에 의해, 기판 입출부(6)에 위치하는 수납 용기(2)로부터 기판 반송 컨베이어(54)의 수납 선반측 단부에 기판(1)을 한 장씩 반송하고, 또한 기판 반송 컨베이어(54)의 수납 선반측 단부의 기판(1)을 기판 입출부(6)에 위치하는 수납 용기(2)에 한 장씩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반송 컨베이어(54)는, 기판(1)의 가로폭 방향의 양 단부를 회전 롤러(61)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회전 롤러(61)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기판(1)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반송 컨베이어(54)로서, 기판 반송 로봇(55)으로부터 받은 기판(1)을 기판 처리 장치(3)를 향해 반송하는 미처리용의 기판 반송 컨베이어(54)와, 기판 처리 장치(3) 로부터 반출된 기판(1)을 수납 선반(5) 측을 향해 반송하는 처리종료용의 기판 반송 컨베이어(54)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용기(2)는, 옆으로 넘어진 자세의 사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 용기(2)의 일단 측의 개구(제1 개구)가 상기 기판(1)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72)로 된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2)의 타단 측의 개구(제2 개구)로부터 상기 출입로(72)를 향해 통풍시키는 팬 필터 유닛(64)이, 상기 수납 용기(2)에서의 타단 측의 개구부(즉, 제2 개구의 영역)에 장비되어 상기 수납 용기(2)의 상기 출입구(72)를 개폐하는 커버(65)가 닫힌 상태에서 일부를 개구하고, 또한,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기판 반송 장치(7)에 의한 상기 기판(1)의 반송을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수납 용기(2)의 출입구부에 장비되어 있다.
환언하면, 옆으로 넘어진 자세의 사각통형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66)의 일단 측의 개구가, 상기 기판(1)을 한 장씩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72)로서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66)의 타단 측의 개구로부터 상기 출입구(72)를 향해 통풍시키는 팬 필터 유닛(64)이, 상기 용기 본체(66)에서의 타단 측의 개구부에 장비되고, 상기 용기 본체(66)에서의 상기 출입구(72)를 개폐하는 커버(65)가, 닫힌 상태에서 일부를 통기구(75)로서 개구하고, 또한, 열린 상태에서 상기 기판 반송 장치(7)에 의한 상기 기판(1)의 반송을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66)의 출입구부에 장비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66)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66)의 일단 측의 개구를 형성하는 일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3)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66)의 타단 측의 개구를 형성하는 타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4)과, 일단 측 프레임과 타단 측 프레임과 코너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코너프레임재(95)와 용기 본체(66)의 일단 측부를 제외한 타단 측부, 좌우 횡측부,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적절하게 가설된 연결프레임재(96)로 격자형으로 프레임 조립되어 형성된다. 또한, 용기 본체의 양쪽 횡측부에서는, 상기 양쪽 횡측부에 형성된 개구를 막는 형태로, 직사각형 프레임이나 프레임재와 외면 측에서 면일치가 되는 상태에서 구비된 외면 부재(97)와 직사각형 프레임이나 프레임재와 내면 측에서 면일치가 되는 상태에 구비된 내면 부재(98)를 구비하고,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는, 상기 상측부 및 하측부에 형성된 개구를 막는 형태로, 상기 내면 부재(98)를 구비하여, 옆으로 넘어진 자세의 사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66)는, 상벽(66a), 저벽(66b) 및 좌우의 양측 횡측벽(66c)을 구비한다.
그리고, 일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3), 타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4) 및 하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프레임재(95)에는, 수납 선반(5)의 수납부(4)에 수납할 때, 탑재 지지되는 수납용 지지부(82)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3) 및 타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4)에는, 스태커 크레인(10) 등의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에 의해 반송할 때, 탑재 지지되는 반송용 지지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66)에는, 좌우의 양측 횡측벽(66c)에 걸쳐서 지지체(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67)는, 한장의 기 판(1)을 지지하기 위해 전후 방향에 복수개 설치되고, 또한, 수납 용기(2)에 수납하는 기판(1)의 매 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67) 각각은, 용기 본체(66)의 좌우의 양측 횡측벽(66c)에서의 연결프레임재(96)에 걸쳐서 가설되는 본체 프레임(69)과, 상기 본체 프레임(69)에 세워져 설치된 복수개의 핀 부재(68)로 구성되어 있다. 핀 부재(68)는, 기판 반송 로봇(55)에 의해 기판(1)을 수납 용기(2)로부터 출입시킬 때, 기판 반송 로봇(55)의 지지부(59)와 간섭하지 않도록 본체 프레임(69)에서의 설정 위치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복수개의 핀 부재(68)에 의해 기판(1)을 지지함으로써, 본체 프레임(69)과 복수개의 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1) 사이에 기판 반송 로봇(55)의 지지부(59)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66)에는, 팬 필터 유닛(64)이 3개 장비되어 있고, 3개의 상기 팬 필터 유닛(64)은, 용기 본체(66)에서의 타단 측의 개구부에 연결 지지되는 FFU용 프레임(90)에 가로폭 방향으로 3개 배열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FFU용 프레임(90)에는, 비접촉 급전 장치(70)의 수전부(70a)가 구비되어 있고, 수납부(4) 각각에서 탑재 지지부(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구비된 비접촉 급전 장치(70)의 급전부(70b)(도 2 참조)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3개의 팬 필터 유닛(64)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FFU용 프레임(90)에는 수전부(70a)에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71)도 구비되어 있고, 수납 용기(2)를 스태커 크레인(10)에 의해 반송할 때 등, 수전부(70a)가 급전부(70b)로부터 멀어져서 수납 용기(2)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는 상태에는, 배터리(71)에 저장된 전력에 의해 3개의 팬 필터 유닛(64)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커버(6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65)에서의 상기 통기구(75)는, 상기 출입구(72)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이 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66)에 유지되는 복수매의 상기 기판(1) 각각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65)가, 상기 기판(1)의 출입을 허용하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72)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이 되는 슬릿형의 기판 출입구(76)를 상기 용기 본체(66)에 유지되는 복수매의 상기 기판(1)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한 상태로, 또한 인접하는 기판 출입용구(76) 사이를 닫는 상태로, 상기 출입구(72)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65)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72)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이용하여, 상기 닫힌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 형성 부재(77) 사이에 상기 통기구(75)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출입구(72)의 가로폭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시킨 열린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 형성 부재(77) 사이에 상기 기판 출입 구(76)를 개구한 형태로, 상기 출입구(72)를 열도록 상기 커버 형성 부재(77)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은, 옆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공 박판형으로 형성된 판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서 가로 축심 주위에 회전될 수 있도록 커버용 프레임(78)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65)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가로 축심 주위에 회전시켜서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함으로써, 커버 형성 부재(77)끼리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작은 개구를 통기구(75)로 하는 닫힌 상태가 되고,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가로 축심 주위에 회전시켜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함으로써, 커버 형성 부재(77)끼리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큰 개구를 기판 출입구(76)로 하는 열림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6의 (A) 및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65)를 닫힌 상태로 한 상태에서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끼리 사이에 통기구(75)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팬 필터 유닛(64)에 의해, 정화 공기를 수납 용기(2)의 타단 측의 개구로부터 출입구(72)를 향해 통풍시켜서 출입구(72)에서의 통기구(75)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75)는 상하 방향(통풍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에 의해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기구(75)로부터 배출되는 정화 공기는 풍속이 빨라지고, 이에 따라 수납 용기(2)의 출입구(72)로부터 수납 용기(2) 내로 외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의 (B) 및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끼리의 사이에 통기구(75)보다 큰 기판 출입구(76)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정화 공기를 기판 출입 용구(76)로부터 기판(1)을 출입시킬 수 있고, 상기 기판 출입구(76)로부터 배출되는 정화 공기는, 완전히 닫힌 상태는 아니지만 전후 방향(통풍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의 존재에 의해 통풍로를 좁힐 수 있어서 풍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수납 용기(2)의 출입구(72)로부터 수납 용기(2) 내로 외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에서, 인접하는 커버 형성 부재(77)끼리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통기구(75)가 형성되고, 열린 상태에서는 기반 출입용구(76)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65)가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 및 커버(65)를 열리거나 닫힌 상태로 전환할 때에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가 서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 형성 부재(77)가 서로 접촉함으로 인한 먼지가 발생하지 않고, 커버(65)로부터의 먼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커버(65)는 상기 닫힌 상태 측으로 복귀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로서의 연결봉(80)이 상기 용기 본체(66)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부재(79)의 기단부가,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에 후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형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링크 부재(79) 각각의 유격(遊隔) 단부가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상기 연결봉(80)에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 다. 또한,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닫힌 상태에서, 연결봉(80)을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열린 상태가 되고, 또한,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열린 상태에서, 연결봉(80)을 하강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가 되는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연결봉(80)은 자기 무게에 의해 하강 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연결봉(80)이 용기 본체(66)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65)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 용기(2)를 기판 입출부(6)에 탑재시킴에 따라, 기판 입출부(6)의 탑재 지지부(32)에 구비된 커버용 돌기부(81)에 의해 연결봉(80)이 밀어 올려짐으로써, 링크 부재(79)를 통하여 커버 형성 부재(77)가 회전 조작되고,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커버(65)가 열린 상태로 된다. 또한, 기판 입출부(6)로부터 수납 용기(2)를 들어 올리면, 연결봉(80)이 자기 무게에 의해 밀어 내려짐으로써, 링크 부재(79)를 통하여 커버 형성 부재(77)가 회전 조작되고, 커버 형성 부재(77)가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가 되어 커버(65)가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연결봉(80)의 하강 이동은, 도면 밖의 규제 부재에 의해 연결봉(80)의 하단부가 용기 본체(66)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규제되어 있다.
기판 입출부(6)의 커버용 돌기부(81)와 같은 연결봉(80)을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는 부분은, 기판 입출부(6) 이외의 수납부(4), 및 스태커 크레인(10) 등의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고, 기판 입출부(6)에 위치시켰을 경우 이외에서는, 연결봉(80)은 밀어 올림 조작되지 않도록 하여, 기판 입출부(6) 이외의 수납부(4)에 의해 수납시키고 있을 때나 스태커 크레인(10) 등에 의해 반송할 때는 수납 용기(2)의 커버(65)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기판 처리 설비에서는, 상기 수납 선반(5)에 보관할 때 및 상기 수납 용기 반송 장치(8)에 의해 반송할 때에는, 상기 수납 용기(2)의 상기 커버(65)를 닫힌 상태로 하여 상기 팬 필터 유닛(64)에 의해 통풍함으로써, 상기 기판(1)의 청정도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기판 입출부(6)에서 상기 기판 반송 장치(7)에 의해 상기 기판(1)을 반송할 때에는, 상기 수납 용기(2)의 상기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하여 상기 팬 필터 유닛(64)에 의해 통풍하는 것 및 상기 반송 영역용의 정화 공기 통풍 수단(25)에 의해 상기 기판 반송 영역(24)의 청정도가 유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1)의 청정도를 유지하는 기판 처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수납 용기(2)는,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할 때, 3개의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3개의 팬 필터 유닛(6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1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FFU용 프레임(90)에는, 수납 용기(2)를 기판 입출부(6)에 탑재시킴에 따라 기판 입출부(6)의 탑재 지지부(32)에 구비된 FFU용 돌기부(106)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상승 이동하고, 또한 수납 용기(2)가 기판 입출부(6)로부터 들어 올려짐으로써 자기 무게에 의해 하강 이동하는 승강 이동 가능한 검출편(107)과, 검출편(107)의 승강 이동을 검출하여 그 검출 정보를 상기 제어부(109)를 향해 송신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구성된 검출 스위 치(108)와, 검출 스위치(108)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팬 필터 유닛(64)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09)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109)는, 검출편(107)이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는,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키고, 검출편(107)이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는,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검출 스위치(108)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팬 필터 유닛(6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FFU용 돌기부(106)는, 커버용 돌기부(81)와 마찬가지로, 기판 입출부(6) 이외의 수납부(4), 및 스태커 크레인(10) 등의 수납용 기반 장치(8)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수납 용기(2)를 기판 입출부(6)에 위치시켜서 커버(65)가 열린 상태에서는,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은 증가하고, 수납 용기(2)를 기판 입출부(6) 이외에 위치시키고, 커버(65)가 닫힌 상태에서는,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이 감소한다.
또한, 커버(65)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기 전의 시점에서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이 증가하고, 커버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 후의 시점에서 팬 필터 유닛의 통풍량이 감소하도록 하여,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전환할 때나 닫힌 상태로 전환할 때의 커버(65)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에 의해 수납 용기(2) 내의 기판(1)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커버(65)의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의 전환과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은, 커버용 돌기부(81) 및 FFU용 돌기부(106)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팬 필터 유닛(64) 및 상기 커버(65)는, 상기 용기 본체(66)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수납 용기(2)로부터 팬 필터 유닛(64)과 커버(65)를 떼어내어 수납 용기(2)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용 프레임(78)의 상단부에는, 용기 본체(66)에서의 일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3)의 상방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지는 커버용 결합 부재(99)가 설치되고, 또한 일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3)의 하단부에는, 커버용 프레임(78)을 탑재 지지한 상태에서 커버용 프레임(78)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홈(78a)에 걸어맞추어지는 커버용 걸어맞춤 지지판(100)이 설치되어 있고, 커버용 결합 부재(99)를 일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3)의 상부에 대해서 걸거나 분리하고, 또한 커버용 걸어맞춤 지지판(100)을 커버용 프레임(78)의 걸어맞춤홈(78a)에 대해서 걸거나 분리함으로써, 커버(65)를 용기 본체(66)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FFU용 프레임(90)의 상단부에는, 용기 본체(66)에서의 타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4)의 상부에 상방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지는 FFU용 결합 부재(88)가 설치되고, 또한, 타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4)의 하단부에는, FFU용 프레임(90)을 탑재 지지한 상태에서 FFU용 프레임(9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홈(90a)에 걸어맞추어지는 FFU용 걸어맞춤 지지판(8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FFU용 결합 부재(88)를 타단 측 직사각형 프레임(94)의 상부에 대해서 걸거나 분리하고, 또한, FFU용 걸어맞춤 지지판(89)을 FFU용 프레임(90)의 걸어맞 춤홈(90a)에 대해서 걸거나 분리함으로써, 팬 필터 유닛(10)을 급전부(70b)나 배터리(71)와 함께 용기 본체(66)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선반(5)이 구비하는 최하단의 복수개의 수납부(4) 중 일부가, 수납 선반(5)의 배면측을 통하여 수동 대차(85)에 의해 수납 용기(2)를 출입시킬 수 있는 수동 대차용의 입출고부(9)로 되어 있고, 수동 대차(85)에 의해 수동 대차용의 입출고부(9)로부터 수납 용기(2)를 인출한 후, 수납 용기(2)로부터 팬 필터 유닛(64)과 커버(65)를 떼어내고, 용기 세정 장치(86)에 의해 용기 본체(2)를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동 대차용의 입출고부(9)의 배면측에는, 상기 입출고부(9)의 배면측을 닫는 셔터(8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 H는, 셔터(84)가 열림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동 대차용의 입출고부(9)에 대한 스태커 크레인(10)에 의한 수납 용기(2)의 반송이 행해지지 않도록, 스태커 크레인(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기판 입출부(6)에어서의 수납 용기(2)를 지지하는 구조 및 수납 용기(2)의 커버(65)의 개폐하는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하, 기판 입출부(6)에서의 수납 용기(2)를 지지하는 구조 및 수납 용기(2)의 커버(65)를 개폐하는 구조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기판 입출부(6)에서의 수납 용기(2)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 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입출부(6)에서의 물품 지지부(32)에는, 기판 입출부(6)에 탑재되는 수납 용기(2)가 적정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 상기 수납 용기(2)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센터링 장치(1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링 장치(111)는, 수납 용기(2)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납 용기(2)에서의 횡측면을 가압 조작하는 지지 조작 기구(112)를 복수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지지하는 수납 용기(2)가 적정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 위치가 어긋나는 측에 존재하는 지지 조작 기구(112)로 수납 용기(2)의 횡측면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수납 용기(2)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 조작 기구(112) 각각은, 물품 지지부(32) 상에 설치된 기단(113)에 요동체(114)가 요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요동체(114)에, 수납 용기(2)를 탑재 지지하는 용기 지지용 롤러(115), 수납 용기(2)의 측면을 가압 조작하는 가압 조작용 롤러(116), 및 요동체(114)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용 롤러(1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 조작 기구(112)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요동체(114)는, 가로변 부분과 가로변 부분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으로 팽출 형성시킨 세로변 부분을 구비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요동체(114)에서의 가로변 부분의 기단부가 기단(113)에 요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요동체(114)의 가로변 부분의 선단부에 용기 지지용 롤러(115)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요동체(114)의 가로변 부분의 선단부에 가압 조작용 롤러(116)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요동체(114)의 세로변 부분으로부터 팽출 형성된 부분의 정상부에 요동 규제용 롤러(117)가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 조작 기구(112)는, 요동 규제용 롤러(117)가 기단(113)에 맞닿음으로써 요동체(114)의 대기 자세로부터 지지 자세와는 반대측으로의 요동이 규제되고(도 24의 (A) 참조), 또한 용기 지지용 롤러(115)가 기단(113)에 맞닿음으로써 요동체(114)의 지지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와는 반대측으로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고(도 24의 (B) 참조), 요동체(114)가 대기 자세와 지지 자세 사이에서 요동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지지 조작 기구(112)는, 요동체(114)가 가압 조작용 롤러(116) 및 요동 규제용 롤러(117) 등에 의하여 대기 자세 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수납 용기(2)를 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요동체(114)가 대기 자세로 되며, 수납 용기(2)가 용기 지지용 롤러(115) 상에 탑재되면 수납 용기(2)의 중량에 의해 요동체(114)가 대기 자세로부터 지지 자세로 자세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요동체(114)가 대기 자세로부터 지지 자세로 자세 변경됨에 따라 가압 조작용 롤러(116)가 수납 용기(2) 측으로 이동하여, 조작용 롤러(116)로 수납 용기(2)의 횡측면을 가압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 조작 기구(11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수납 용기(2)에서의 하면부의 4개의 변에 대응하여 각 변에 2개씩, 합계 8개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수납 용기(2)의 커버(65)를 개폐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의 면 방향(즉, 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121)가, 상기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부언 설명하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중 하나의 커버 형성 부재(77)는, 양 단부가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조작용 회전축(77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조작용 회전축(77a)에서의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양단부 각각에는, 조작 레버(123)가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커버 형성 부재(77)에 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형태로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들 조작용 회전축(77a)과 조작 레버(123)에 의해 조작부(12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 부재(79)의 기단 측이,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에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형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링크 부재(79) 각각의 유격(遊隔) 단부가,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봉형체(122)에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가 되는 닫힌 상태에서, 조작 레버(123)를 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커버(65)가 열린 상태로 되고, 또한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123)를 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가 되어 커버(65)가 닫힌 상태로 된다.
조작 레버(123)는, 커버(65)가 닫힌 상태로 되는 닫힌 자세와 커버(65)가 열린 상태로 되는 열린 자세의 범위 내에서 요동 조작될 수 있으며, 봉형체(122)가 하방의 규제 부재(124)에 맞닿음으로써 닫힌 자세로부터 열린 자세와는 반대 측으로의 요동이 규제되고, 또한 봉형체(122)가 상방의 규제 부재(124)에 맞닿음으로써 열린 자세로부터 닫힌 자세와는 반대 측으로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123)는, 봉형체(122)의 자기 중량에 의하여 닫힌 자세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입출부(6)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기둥(31)의 한쪽에는, 조작 레버(123)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하는 커버 조작 수단(1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 조작 수단(125)은, 좌우 한쌍의 조작 레버(123)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의 조작 레버(12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조작 레버(123) 중 한쪽을 조작하여 커버(65)를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전환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 입출부(6)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기둥(31)의 다른 쪽에는 커버 조작 수단(125)은 구비되어 있지 않고, 한쌍의 조작 레버(123) 중 다른 쪽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커버(65)를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전환 조작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커버 조작 수단(125)은,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체(126a)를 구비한 전동 실린더(126)와, 이동체(126a)에 세워져 설치된 조작용 부재(127)로 구성되어 있고, 전동 실린더(126)로 조작용 부재(127)를 후방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레버(123)의 피조작 부분(123a)을 조작용 부재(127)로 가압 조작하여 조작 레버(123)를 후방 측으로 요동 조작시킨 열린 자세로 하고, 전동 실린 더(126)로 조작용 부재(127)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레버(123)는 가압에 의해 전방 측으로 요동 조작되어 닫힌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조작 수단(125)은, 전동 실린더(126)로 조작용 부재(127)를 후방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물품 이재 장치(38)로 수납 용기(2)를 기판 입출부(6)에 반입할 때의 수납 용기(2)의 전방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전환하고, 물품 이재 장치(38)로 수납 용기(2)를 기판 입출부(6)로부터 반출할 때의 수납 용기(2)의 후방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커버(65)를 닫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언 설명하면, 커버 조작 수단(125)에서의 조작용 부재(127)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용 부재(127)의 상하 방향을 따른 세로변 부분은, 도 27의 (B) 및 도 2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이재 장치(38)로 수납 용기(2)가 전후 방향으로 이재될 때에 닫힌 자세의 조작 레버(123)의 피조작 부분(123a)이 위치하는 높이로부터, 수납 용기(2)가 물품 지지부(32)에 탑재 지지되어 있을 때 닫힌 자세의 조작 레버(123)의 피조작 부분(123a)이 위치하는 높이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조작 수단(1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용 부재(127)의 세로변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물품 이재 장치(38)로 전후 방향으로 이재되는 수납 용기(2)에 대해서 조작용 부재(127)를 전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수납 용기(2)의 커버(65)를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 용기(2)를 기판 입출부(6)에 반출입할 때에 커버 조작 수단(125)의 오동작에 의해 조작용 부재(127)가 후방 측으로 이동되고 있다하더라도, 물품 이재 장치(38)에 의한 수납 용기(2)의 이동을 이용하여 조작용 부재(127)로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7 내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처리 설비에는, 기판 입출부(6)의 수납 용기(2)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와, 기판 입출부(6)의 하방의 물품 이재 장치(38)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와, 커버(65)를 개폐 조작하는 상기 커버 조작 수단(125)과,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와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수납 용기(2)가 물품 이재 장치(38)로 물품 지지부(32)에 탑재된 후에, 커버(65)를 열림 조작하도록 커버 조작 수단(125)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물품 이재 장치(38)로 수납 용기(2)가 물품 지지부(32)로부터 올려지기 전에, 커버(65)를 닫힘 조작하도록 커버 조작 수단(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132)이 구비되어 있다.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와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 각각은 광전(光電)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로서 기판 입출부(6)의 전부(前部)에 구비된 전방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a)와, 기판 입출부(6)의 후부에 구비된 후방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b)가 구비되어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a)는, 상 방향으로 투광하는 투광부를 기판 입출부(6)의 전부 하방에 구비하고, 투광부로부터 투광되어서 수납 용기(2)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기판 입출 부(6)의 전부 하방에 구비하여, 거리 측정식 센서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부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a)는, 수납 용기(2)가 물품 지지부(32)에 탑재 지지되거나 또는 수납 용기(2)가 물품 지지부(32) 근처까지 하강 이동되어, 수납 용기(2)와의 거리가 설정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검출하는 상태(수납 용기가 물품 지지부에 탑재 지지되어 있는 상태,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하는 상태이며, 이하, 검출 상태라고 함)로 되면, 개폐 제어 수단(132)은 기판 입출부(6) 내에 수납 용기(2)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부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b)는, 반사판을 기판 입출부(6)의 횡 일측방에 구비하고, 수평 방향으로 투광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광되어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기판 입출부(6)의 횡 타측방에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후부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b)가, 투광하는 광이 수납 용기(2)에서 차단되어 검출 상태로 되면, 개폐 제어 수단(132)은 물품 지지부(32) 상에 수납 용기(2)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는, 반사판을 기판 입출부(6)의 횡 일측방에 구비하고, 수평 방향으로 투광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광되어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기판 입출부(6)의 횡 타측방에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는, 투광하는 광이 물품 이재 장치(38)에서 차단되어 검출 상태로 되면, 물품 지지부(32)의 하방에 물품 이재 장치(38)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기판 입출부(6)에 수납 용기(2)를 반입하는 경우는, 물품 지지부(32)보 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수납 용기(2)를 탑재한 물품 이재 장치(38)를 기판 입출부(6) 측으로 돌출시키고, 수납 용기(2)를 지지하는 물품 지지부(32)보다 하방으로 물품 이재 장치(38)를 하강 이동시켜서 물품 지지부(32)에 수납 용기(2)를 탑재시킨 후, 수납 용기(2)를 탑재하지 않은 빈 물품 이재 장치(38)를 스태커 크레인(10) 측으로 물러나게 한다. 그러나, 수납 용기(2)를 탑재한 물품 이재 장치(38)가 기판 입출부(6) 측으로 돌출되면, 후부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b)가 수납 용기(2)를 검출하는 검출 상태로 되어, 수납 용기(2)를 지지하는 물품 지지부(32)보다 하방으로 물품 이재 장치(38)를 하강 이동시키면, 전부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a)가 수납 용기(2)를 검출하는 검출 상태로 된 후에,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는 물품 이재 장치(38)를 검출하는 검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전부 측과 후부 측 양쪽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가 검출 상태로 된 후,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가 검출 상태로 되면, 개폐 제어 수단(132)은, 수납 용기(2)가 기판 입출부(6)에 반입된 것으로 판별하여, 커버(65)를 열림 조작하기 위해 커버 조작 수단(125)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수납 용기(2)를 탑재하지 않는 물품 이재 장치(38)가 스태커 크레인(10) 측으로 물러나면,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가 물품 이재 장치(38)를 검출하지 않는 비검출 상태로 된다.
또한, 기판 입출부(6)로부터 수납 용기(2)를 반출하는 경우는, 물품 지지부(32)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수납 용기(2)를 탑재하지 않는 빈 물품 이재 장치(38)를 기판 입출부(6) 측으로 돌출시키고, 물품 지지부(32)보다 상방으로 물품 이재 장치(38)를 상승 이동시켜서 수납 용기(2)를 올려서 잡은 후, 수납 용기(2)를 탑재하는 물품 이재 장치(38)를 스태커 크레인(10) 측으로 물러나게 되지만, 물품 지지부(3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물품 이재 장치(38)를 기판 입출부(6) 측으로 돌출시키면,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가 물품 이재 장치(38)를 검출하는 검출 상태로 되고, 개폐 제어 수단(132)은, 수납 용기(2)가 기판 입출부(6)로부터 반출된 것으로 판별하여, 커버(65)를 닫힘 조작하기 위하여 커버 개폐 수단(125)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물품 지지부(32)보다 상방으로 물품 이재 장치(38)를 상승 이동시키면, 장치 존재 검출 센서(130)가 물품 이재 장치(38)를 검출하지 않는 비검출 상태로 된 후, 전방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a)가 수납 용기(2)를 검출하지 않는 비검출 상태로 되어, 수납 용기(2)를 탑재한 물품 이재 장치(38)를 스태커 크레인(10) 측으로 물러나게 하면, 후부 측의 용기 존재 검출 센서(129b)가 수납 용기(2)를 검출하지 않는 비검출 상태로 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판형으로 형성한 판형체로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판형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 본체와, 상기 커버 부재 본체에 세워져 설치된 보조 커버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즉,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 을,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판형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 본체(101)가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에서 그 상면에 보조 커버 부분(102)을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하는 형태로, 커버 부재 본체(101)와 보조 커버 부재(102)를 일체로 형성하여,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T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형성 부재(77)에서의 보조 커버 부분(102)을,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버 형성 부재(77)의 커버 부분 본체(101)와 상방 측에 인접하는 커버 형성 부재(77)의 커버 부분 본체(101)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가, 기판(1)을 출입시키기 위한 공간과 기판 반송 로봇(55)에서의 지지부(59)를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공간을 제외하고 보조 커버 부분(102)으로 개구를 닫을 수 있도록, 지지부(59)의 삽입 및 인출에 대응하는 부분은 기판(1)을 출입시킬 수 있고, 또한 지지부(59)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작고, 지지부(59)의 삽입 및 인출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은 기판(1)의 삽입 및 인출만 가능하도록 높이가 커지도록,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판형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 본체(101)가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에서 그 상면과 하면에 보조 커버 부분(102)을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하는 형태로, 커버 부재 본체(101)와 보조 커버 부재(102)를 일체로 형성하여,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십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판형으로 형성한 판형체로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 각각을, 횡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판형으로 형성된 커버 본체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본체와는 별도의 커버 보조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즉,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커버용 프레임(78)에 상단부에 위치하는 가로 축심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커버 본체 부재(103)와, 커버용 프레임(78)에 고정 상태로 지지된 커버 보조 부재(104)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형성 부재(77)에서의 커버 보조 부재(104)를, 인접하는 기판 출입구(72) 사이를 닫도록 인접하는 기판 출입구(72) 사이에 위치시키고, 또한,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버 보조 부재(104)와 상방측에 인접하는 커버 보조 부재(104)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가, 기판(1)을 출입시키기 위한 공간과 기판 반송 로봇(55)에서의 지지부(59)를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공간을 제외하고 개구하도록, 지지부(59)의 삽입 및 인출에 대응하는 부분은 기판(1)을 출입시킬 수 있고, 또한 지지부(59)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작고, 지지부(59)의 삽입 및 인출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은 기판(1)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크게,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커버 형성 부재(77)에서의 커버 본체 부분(103)을, 그 상단부가 상방 측에 인접하는 커버 형성 부재(77)에서의 커버 보조 부재(104)의 하단부와 중첩되어, 닫힌 상태에서, 하단부가 커버 보조 부재(104)의 높이가 큰 부분과 중첩하고, 또한 높이가 작은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위치하는 가로 축심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커버용 프레임(78)에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커버 본체 부재와, 고정 상태로 지지된 커버 보조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커버 본체 부재와 커버 보조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중첩시킨 열린 상태에서는, 커버 본체 부재와 커버 보조 부재로 상기 커버 보조 부재(104)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 형상을 형성하고, 커버 본체 부재와 커버 보조 부재가 중첩되는 범위가 좁아지도록 커버 본체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닫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납 용기(2)에 유지되는 기판(1)의 매수와 동일한 개수의 기판 출입구(76)를 형성하였지만, 수납 용기(2)에 유지되는 기판(1)의 매수 보다 적은 기판 출입구(76)를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면, 2개의 기판(2)에 대해서 하나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구비시켜서, 하나의 기판 출입구(76)에서 2개의 기판(2)을 출입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커버(65)를 열린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66)의 상방 측 등에 셔터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열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셔터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하나의 도어를 구비하는 등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하나의 기판 출입구(72)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하나의 기판 출입구(72)에서 모든 기판(1)을 출입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커버(65)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도어를 구비하여 구성한 경우는, 도어를 단부를 중심으로 요동 조작하거나 또는 착탈함으로써,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고 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기구(75)를, 출입구(72)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슬릿형으로 형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기구(75)를, 상하 방향으로 긴 슬릿형으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슬릿형 이외에 원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4)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조작부(80)를 용기 본체(66)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80)를 용기 본체(66)의 저면부로부터 하방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돌기부(81)의 높이를 높이는 등에 의해, 조작부(80)를 밀어 올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입출부(6)에 조작부(80)를 밀어 올림 조작하기 위한 돌기부(81)를 구비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판 입출부(6)에 조작부(80)를 밀어 올림 조작하기 위한 돌기부(8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즉, 조작부(80)를 용기 본체(66)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많이 돌출하는 상태에서는,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가 되고, 조작부(80)를 용기 본체(66)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거의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전혀 돌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도록, 조작부(80)와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연동시키고, 수납 용기(66)를 기판 입출부(6)에서의 평탄한 탑재 면에 탑재시킴으로써, 상기 탑재 면으로 조작부(80)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조작부(8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65)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80)를 가로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65)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5)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기판 입출부(6)에서 수납 용기(2)를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부(80)가 조작되어서 커버(65)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판 입출부(6) 또는 수납 용기(2)에 조작부(80)를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수납 용기(2)를 탑재 부분에 탑재시킨 후, 조작 수단에 의해 조작부(80)를 조작함으로써, 커버(65)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커버(65)가 닫힌 상태 측으로의 복귀 가압은 자기 중량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65)가 닫힌 상태 측으로의 복귀 가압을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한, 커버(65)를 닫힌 상태 측으로 복귀 가압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커버(65)를 닫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6)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조작부(80)와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링크 부재(79)로 연동시켰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80)와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0)를 랙(rack)과 피니언(pinion)으로 연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즉, 조작부(80)에 랙을 형성하고,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에 랙과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하여, 조작부(80)의 상승 및 하강 이동에 따라 랙과 서로 맞 물리는 피니언이 회전 조작되어,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이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나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전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팬 필터 유닛(64) 및 커버(65)가, 용기 본체(66)에 대해서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팬 필터 유닛(64) 및 커버(65)의 한쪽 또는 양쪽을, 용기 본체(66)에 대해서 착탈될 수 없도록 장착해도 된다.
(8)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 입출부(6)에서 기판 반송 장치(7)로 기판(1)을 반송할 때는, 수납 용기(2)의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키도록 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판 입출부(6)에서 기판 반송 장치(7)로 기판(1)을 반송할 때에도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즉, 수납 선반(5)에 보관할 때,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반송할 때, 및 기판 입출부(6)에서 기판 반송 장치(7)로 기판(1)을 반송할 때, 모두 수납 용기(2)의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반송할 때는, 수납 선반(5)에 보관할 때보다 수납 용기(2)의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키고, 기판 입출부(6)에서 기판 반송 장치(7)로 기판을 반송할 때는,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반송할 때보다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키도록, 수납 선반(5)에 보관할 때와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반송할 때와, 기판 입출부(6)에서 기판 반송 장치(7)로 기판을 반송할 때에 따라서, 수납 용기(2)의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즉,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반송할 때에도, 수납 용기(2)의 팬 필 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반송할 때의 통풍량은, 기판 입출부(6)에서 기판 반송 장치(7)로 기판 반송할 때와 같아도 되고, 또한 많아도 된다.
(9)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납 선반(5)을 클린 공간(13)의 바닥부(그레이팅 바닥(14)) 상에 설치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보다 낮은 흡기실(16)의 저부 상에 설치해도 된다.
(10)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린 공간(13)의 천정부를 에어 필터로 형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린 공간(13)의 천정부를 천정부용의 팬 필터 유닛으로 형성해도 된다.
(11)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66)의 양 횡측부를, 외면 부재(98)와 내면 부재(99)를 구비하여 2겹 구조로 하였지만, 내면 부재만 구비하여, 상측부나 하측부와 마찬가지로 1겹 구조로 해도 된다.
(12)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링크 부재(79)의 기단부를,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에 후측 하방에 연장 설치되는 형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하여, 링크 부재(79) 각각의 유격 단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봉(80)이, 커버 형성 부재(77)의 회전 축심보다 후방 측(용기 본체 측)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링크 부재(79)의 기단부를,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커버 형성 부재(77) 각각에 전측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형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하여, 링크 부재(79) 각각의 유격 단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봉(80)이, 커버 형성 부재(77)의 회전 축심보다 전방측(용기 본체가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13)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기판 입출부(6)에서 수납 용기(2)를 수납 용기 반송 장치(8)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조작부(80)가 조작되어 커버(65)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65)에 조작부(80)을 조작하는 전동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 수단에 의해 조작부(80)를 조작함으로써, 커버(65)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14)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 모두를 일체로 회전 조작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65)를 열린 상태로 한 상태에서, 일부 커버 형성 부재(77)를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하고, 나머지 커버 형성 부재(77)를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하여, 열린 상태에서도,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존재시켜 두고,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풍속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개별적으로 또는 복수매의 그룹 단위로 회전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복수매의 그룹 단위로 회전 조작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에서의 상측 절반의 커버 형성 부재(77)에는 가로폭 방향 일측 단부에 링크 부재(79)를 통하여 일측의 연결봉(80)을 연결하고, 또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77)에서의 하측 절반의 커버 형성 부재(77)에는 가로폭 방향 타측 단부에 링크 부재(79)를 통하여 타측의 연결봉(80)을 연결하여, 일측의 연결봉(80)의 조작에 의해 상측 절반의 커버 형성 부 재(77)를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하여 수납 용기(2)의 상측 절반에서 기판(1)의 출입을 행하고, 타측의 연결봉(80)의 조작에 의해 하측 절반의 커버 형성 부재(77)를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하여 수납 용기(2)의 하측 절반에서 기판(1)의 출입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5) 상기 실시예에서는, FFU용 돌기부(106)에 의한 검출편(107)의 상승 및 하강 이동에 기초하여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변경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용 돌기부(81)에 의한 연결봉(80)의 상승 및 하강 이동에 기초하여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변경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커버용 프레임(78)에, 연결봉(80)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109)를 향해 송신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부(109)는, 커버(65)가 열린 상태가 되는 연결봉(80)이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는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증가시키고, 커버(65)가 닫힌 상태가 되는 연결봉(80)이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는 팬 필터 유닛(64)의 통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팬 필터 유닛(6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검출 수단으로부터 제어부(109)에 송신하는 검출 정보의 송신은, 커버 용 프레임(78) 측 및 FFU용 프레임(90) 측과 분리될 수 있도록 접속한 케이블을 용기 본체(66)에 설치하여 유선으로 행해도 되고, 또한, 커버용 프레임(78)에 송신기를 설치하고, FFU용 프레임(90)에 수신기를 설치하여 무선으로 행해도 된다.
(16)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1)를,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의 면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커버(65)를 열림 조작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조작부(121)를,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커버(65)를 열림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1)를,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1)를, 용기 본체(66)의 횡 측벽(66)의 전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1)를, 그 선단의 피조작 부분(123a)이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1)를, 그 선단의 피조작 부분(123a)을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조작부(121)를,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커버(65)를 열림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조작부(121)를,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또한 조작부(121)의 선단의 피조작 부분(123a)을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해도 되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용 회전축(77a)에서의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단부에, 커버 형성 부재(77)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전방 측에 연장 설치되는 형태로 조작 레버(123)를 연결하여, 조작 레버(123)를, 피조작 부분(123a)이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설치한다. 그리고,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조작 수단(125)을,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체(126a)를 구비한 전동 실린 더(126)와, 이동체(126a)의 상단부에 구비된 조작용 부재(127)로 구성하고, 도 3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126)로 조작용 부재(127)를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레버(123)의 피조작 부분(123a)을 조작용 부재(127)로 상방으로 밀어 올려서, 조작 레버(123)를 상방 측으로 요동시킨 열린 자세로 한다. 또한, 도 3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126)로 조작용 부재(127)를 하방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조작 부분(123a)이 자기 중량에 의해 하방 측으로 이동하여, 조작 레버(123)를 하방 측으로 요동시킨 닫힌 자세로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121)를,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또한 조작부(121)의 선단의 피조작 부분(123a)을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해도 되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용 회전축(77a)을 용기 본체(66)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상기 조작용 회전축(77a)에 커버 형성 부재(77)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에서 전방 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형태로 조작 레버(123)를 연결하여, 조작 레버(123)의 선단의 피조작 부분(123a)이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측면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한다. 그리고, 도 3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126)로 조작용 부재(127)를 상방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레버(123)를 상방 측으로 요동시킨 열린 자세로 하고, 도 3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126)로 조작용 부재(127)를 하방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레버(123)를 하방 측으로 요동시킨 닫힌 자세로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23)는 닫힌 자세에서 전측 하방으로 굴곡되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21)는 피조작 부분(123a)이 커버(65)의 통기구(75)의 횡측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1)를 조작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 조작 수단(125)을 구비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센터링 장치(111)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조작부(121)를 조작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커버 조작 수단(125)을 구비하지 않고 조작부(121)를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66)의 전측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커버(65)를 열림 조작하는 조작부(121)를,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기존에 설치된 센터링 장치(111)에서의 수납 용기(2)의 측면을 가압 조작하는 부재(가압 조작용 롤러(116))로, 커버(65)를 열림 조작하기 위하여 조작부(121)를 가압 조작하여, 전측면부의 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커버(65)를 열림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작업자의 수동 조작만으로 조작부(121)를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커버(65)를 용기 본체(66)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65)의 커버용 프레임(78)도 용기 본체(66)의 일부이며, 용기 본체(66)의 횡측벽(66c)의 전면부와는 커버(65)의 커버용 프레임(78)의 세로 프레임 부분의 전면부 이다.
(17) 상기 제1 실시예에서, 물품 지지부(32)에 센터링 장치(111)를 구비하여도 되고,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 물품 지지부(32)에 센터링(111)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처리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 수납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 수납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1단째의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반송 영역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3단째의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이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를 세로로 절단하여 정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서 커버의 착탈을 측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서 팬 필터 유닛의 착탈을 측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측면으로 나 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실시예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측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팬 필터 유닛의 제어부를 측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 (1)에서의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 (1)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 (2)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 (2)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3은 제2 실시예에서 센터링 장치 및 커버 조작 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작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가로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조작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반출입 시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반출입 시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 (16)에 따른 지지 조작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 (16)에 따른 커버를 가로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예 (16)에 따른 커버 조작 수단을 세로로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실시예 (16)에 따른 커버 조작 수단을 세로로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판 2: 수납 용기
64: 팬 필터 유닛 65: 커버
66: 용기 본체 72: 출입구
75: 통기구 77: 커버 형성 부재
80: 조작부

Claims (11)

  1. 기판을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한 상태에서 복수매 유지하도록 구성된 수납 용기로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수납 용기의 일단 측의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와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둔 타단 측에 설치된 제2 개구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기판을 한 장씩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제1 개구를 향해 통풍시키는 팬 필터 유닛은, 상기 수납 용기에서의 상기 제2 개구의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통기구로서 개구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의 출입구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커버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 형성 부재 사이에 상기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형성 부재 각각은 상기 출입구의 가로폭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고, 열린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 형성 부재 사이에 기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출입구의 가로폭과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슬릿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는 복수매의 상기 기판 각각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기판의 출입을 허용하는 열린 상태에서, 인접하는 기판 출입구 사이를 닫는 형태로, 상기 출입구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형성 부재 각각은, 상기 출입구의 가로폭과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닫힌 상태 측으로 복귀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횡측면부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횡측면부로부터 횡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열린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의 선단의 피조작 부분이 상기 용기 본체의 횡측벽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필터 유닛은, 프레임에 지지된 팬과 필터와 수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필터 유닛은,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KR1020070089982A 2006-09-13 2007-09-05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KR101120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8173 2006-09-13
JPJP-P-2006-00248173 2006-09-13
JPJP-P-2007-00202090 2007-08-02
JP2007202090A JP4953010B2 (ja) 2006-09-13 2007-08-02 基板収納用の収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445A KR20080024445A (ko) 2008-03-18
KR101120530B1 true KR101120530B1 (ko) 2012-03-07

Family

ID=3918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982A KR101120530B1 (ko) 2006-09-13 2007-09-05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94817B2 (ko)
JP (1) JP4953010B2 (ko)
KR (1) KR101120530B1 (ko)
CN (1) CN101143637B (ko)
TW (1) TWI3993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7589B2 (ja) * 2008-04-22 2010-11-1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KR101110621B1 (ko) * 2008-09-12 2012-02-2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기판용 수납 용기와 기판용 수납 용기를 위한 기판 반송 설비
JP5429523B2 (ja) * 2008-09-12 2014-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基板用収納容器
DE102009040555B4 (de) * 2009-09-08 2013-11-21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rchivieren und /oder Zwischenlagern von Glasscheiben in Reinräumen
JP5273479B2 (ja) * 2009-10-23 2013-08-28 株式会社ダイフク 基板用収納容器、及び、それを搬送する搬送設備
JP5168594B2 (ja) * 2009-11-25 2013-03-21 株式会社ダイフク 基板搬送設備
JP5656003B2 (ja) * 2010-05-17 2015-01-21 株式会社ダイフク カセットストッカ
WO2012088172A2 (en) * 2010-12-20 2012-06-28 Entegris, Inc. Front opening large substrate container
KR20130005880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수납용 카세트
JP5741946B2 (ja) * 2011-09-22 2015-07-01 株式会社ダイフク 清浄気送風ユニット
US20130123966A1 (en) * 2011-11-14 2013-05-1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patial three-dimensional inline handling system
CN103158140A (zh) * 2011-12-08 2013-06-19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料架
CN104221136B (zh) * 2012-04-16 2017-05-31 日商乐华股份有限公司 收纳容器、收纳容器的开闭器开闭单元、及使用它们的晶圆储料器
US9347681B2 (en) * 2012-09-26 2016-05-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leanroom
CN103693343B (zh) * 2014-01-02 2016-01-06 北京七星华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存储台装置
CN104973349A (zh) * 2014-04-03 2015-10-14 四川虹视显示技术有限公司 玻璃基板储藏装置
CN104289621B (zh) * 2014-08-01 2018-05-01 徐州德坤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总线的空调器翅片总成自动胀管系统
JP6414535B2 (ja) * 2015-10-28 2018-10-31 株式会社ダイフク 収納容器
JP6572854B2 (ja) * 2016-09-09 2019-09-11 株式会社ダイフク 容器収納設備
JP6610518B2 (ja) * 2016-11-30 2019-11-27 株式会社ダイフク 検査装置
CN110539956A (zh) * 2019-08-07 2019-12-06 世源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卡匣围护装置
KR102492160B1 (ko) * 2021-06-30 2023-01-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169A (ja) 2000-04-18 2001-11-02 Kaapu:Kk カセット用ボックス及び同ボックスの自動搬送装置並びに同装置の制御方法。
JP2003205991A (ja) 2001-11-09 2003-07-22 Yodogawa Hu-Tech Kk 板状物搬送容器
US6875282B2 (en) 2001-05-17 2005-04-05 Ebara Corporation Substrate transport container
KR200410417Y1 (ko) * 2005-10-07 2006-03-09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반송용 카세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758B2 (ja) * 1990-09-21 1994-08-10 近藤工業株式会社 クリーンストッカー装置
US6309437B1 (en) * 1999-06-09 2001-10-30 William H. Jones Computer box filter cover
JP3916380B2 (ja) * 1999-07-06 2007-05-1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搬送容器待機ステーション
JP3939101B2 (ja) * 2000-12-04 2007-07-0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搬送方法および基板搬送容器
TW511650U (en) * 2001-09-12 2002-11-21 Ind Tech Res Inst Ventilator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
JP2003093825A (ja) * 2001-09-27 2003-04-02 Ebara Corp ガス除去方法及びガス除去フィルタ
US6767379B2 (en) * 2001-10-29 2004-07-27 William H. Jones Computer box filter system
TW200540922A (en) * 2004-06-04 2005-12-16 Kondoh Ind Ltd Air-purifying equipment in a semiconductor wafer container
JP2006032869A (ja) * 2004-07-22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ウエハ保管装置、ウエハ保管方法、ウエハ搬送装置、およびウエハ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169A (ja) 2000-04-18 2001-11-02 Kaapu:Kk カセット用ボックス及び同ボックスの自動搬送装置並びに同装置の制御方法。
US6875282B2 (en) 2001-05-17 2005-04-05 Ebara Corporation Substrate transport container
JP2003205991A (ja) 2001-11-09 2003-07-22 Yodogawa Hu-Tech Kk 板状物搬送容器
KR200410417Y1 (ko) * 2005-10-07 2006-03-09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반송용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9329B (zh) 2013-06-21
JP4953010B2 (ja) 2012-06-13
JP2008094494A (ja) 2008-04-24
KR20080024445A (ko) 2008-03-18
TW200817256A (en) 2008-04-16
US20080067107A1 (en) 2008-03-20
US7694817B2 (en) 2010-04-13
CN101143637A (zh) 2008-03-19
CN101143637B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530B1 (ko) 기판 수납용의 수납 용기
KR101097734B1 (ko) 기판 처리 방법
KR101178787B1 (ko) 기판 수납 설비, 기판 처리 설비 및 기판 수납 설비의 작동방법
US9687889B2 (en) Cleaning apparatus
KR100870610B1 (ko) 물품 수납설비
TWI511912B (zh) 物品搬送裝置
KR101110621B1 (ko) 기판용 수납 용기와 기판용 수납 용기를 위한 기판 반송 설비
JP5429523B2 (ja) 基板用収納容器
KR100834243B1 (ko) 물품 보관설비
JP3882139B2 (ja) クリーン搬送車
JP4780401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4666227B2 (ja) 物品保管設備
JP4623381B2 (ja) 物品収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