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387B1 -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 - Google Patents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387B1
KR100833387B1 KR1020037004913A KR20037004913A KR100833387B1 KR 100833387 B1 KR100833387 B1 KR 100833387B1 KR 1020037004913 A KR1020037004913 A KR 1020037004913A KR 20037004913 A KR20037004913 A KR 20037004913A KR 100833387 B1 KR100833387 B1 KR 10083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guide
kitchen
main bod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419A (ko
Inventor
죄르겐 뵈르너
Original Assignee
뵈르너 쿤스트스토프-운트 메탈바렌파브리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르너 쿤스트스토프-운트 메탈바렌파브리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뵈르너 쿤스트스토프-운트 메탈바렌파브리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1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5Household devices therefor cutting one single slice at each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6Household devices therefor having a detachable blade that is removable attached to th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8Household devices therefor making several incisions and cutting cubes or the like, e.g. so-called "julienne-c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93Stationary c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93Stationary cutter
    • Y10T83/9498Parallel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Kniv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방기구(10; 40; 60; 80; 150)는 야채, 과일 등의 피절단 재료를 잘라내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2; 42; 81; 152; 152'; 210)와, 피절단 재료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면(20; 194)과, 절단용 블레이드(14; 86; 160)를 구비하며, 이 블레이드(14; 86; 160)가 가이드면(20; 194)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피절단 재료가 가이드면(20; 194)에서 가이드 방향(36)으로 블레이드(14; 86; 160)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절단 재료가 절단되고, 블레이드(14; 86; 160)와 가이드면(20; 194)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절단두께(98)가 결정되며,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교체가능한 인서트(24; 48; 62; 88; 190)를 구비한다. 본원의 제 1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24; 48; 62; 88; 190)는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체(12; 42; 81; 152)에서 완전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본체(12; 42; 81; 152)의 다른 위치에도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절단두께(98)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본원의 제 2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88; 190)는 본체(12; 42; 81; 152)의 수용부(162)에 대하여 가이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부(162) 및/또는 인서트(88; 190)상에 경사면(92, 102; 132, 134, 166, 168)이 형성된 경사가이드가 제공되어 인서트(88; 190)의 가이드 방향에서의 이동이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횡단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절단두께(98)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KITCHEN APPLIANCE FOR SLICING VARIOUS PRODUCTS}
본 발명은 본체(main body)와, 피절단 재료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면(guide surface)과, 이 가이드면과 일정 간격(offset)을 두어 설치되며 가이드 방향에서 블레이드를 향해 가이드면에서 이동하는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용 블레이드(blade)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와 가이드면 사이의 일정 간격에 의하여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가 결정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절단두께를 조절하는 교체 가능한 인서트(insert)를 갖도록 구성되는, 야채, 과일 등과 같은 피절단 재료(cuttable material)를 잘라낼 수 있는 주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주방기구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제298 21 132 U1, 유럽특허 제306 017 A2호 및 독일특허 제89 09 068 U1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주방기구는 주방용 슬라이서(slicer)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오이를 잘라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슬라이서를 그릇 위에 걸쳐놓고 오이를 앞뒤로 움직여서 조각으로 잘라낸다. 그 잘라낸 조각들은 블레이드와 가이드면 사이의 틈을 통해 떨어져 그릇에 담겨진다.
가이드면은 또한 진입면으로도 불린다. 블레이드에 인접하여 가이드 방향으 로 더 넓은 가이드면이 있으며 이를 돌출면이라고도 한다.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거나 약간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비스듬하게 배치된 2개의 블레이드가 중앙 가까이에서 함께 작용하는 V자형의 블레이드를 갖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방기구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체를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도 있다.
상기 언급한 독일특허 제298 21 132 U1에는 2개의 측면 프레임부가 상부 가이드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방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프레임부에는 홈이 있어 가이드 판을 높이를 달리하여 하부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독일 특허출원 제198 27 077 A1에는, 식품을 측면에서 구멍으로 밀어넣게 되어 있는 교체 가능한 격자형 인서트와 베이스판이 있어 식품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격자형 인서트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 상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블레이드가 있다. 이 블레이드의 앞에, 절단 방향의 가이드 경로가 있는데, 이 경로는 탄성 힌지(hinge)에 의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위치되고 조절 레버를 움직여 여러 개의 피벗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절단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공지되어 있는 상기 특허출원의 V자형 슬라이서에서는 낮게 위치한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가이드 방향으로 슬라이서의 안으로 밀어넣을 수 있게 된 인서트를, 교체하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절단두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국제공개 WO95/24995호에는, 정면 에지상에 V자형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그 에지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한 진입면 또는 돌출면이 있으며, 입방체로 절단하기 위한 야채용 슬라이서가 개시되어 있다. 블레이드의 앞뒤에, 각각 절단 방향으로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수직 블레이드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해서 놓인 절단용 부재들 사이에서 피절단 재료를 90°로 회전시키면, 야채용 슬라이서에 의하여 입방체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잘라지는 입방체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는 없게 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독일특허 제89 09 068 U1에는 본체 및 슬라이드판의 형태로 된 인서트를 갖는 와플 절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체의 슬라이드판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는 정지면의 기능을 하는 지지판이 있다. 이 지지판에는 많은 홈들이 있다. 슬라이드판의 밑면에는 상기 홈들에 대응하는 많은 하향 돌출부가 있다. 슬라이드판은 수용부(receiving seat)상에서 가이드 방향으로 2개의 상이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하나의 위치에서, 돌출부가 홈에 결합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돌출부가 지지판에 맞닿게 된다. 슬라이드판을 눌러 돌출부를 홈에서 빠져나오게 하여 슬라이드판을 가이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를 얇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상기 유럽특허 EP0 306 017 A2는 본체와 인서트를 갖춘 주방용 슬라이서에 관한 것이다. 인서트는 본체의 안쪽으로 가이드 방향으로 밀어넣어질 수 있다. 이 인서트에는 2개의 플레이트가 있는데, 이들간의 간격의 조절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한가지 구성으로서, 플레이트를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한가지 구성으로서, 플레이트 사이에 쐐기(wedge)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어느 구성에서나, 플레이트는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연동하여 조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주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된 주방기구와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주방기구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인서트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내에서의 완전한 이동이 가능하고 본체의 상이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기구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인서트를 교체하거나, 삽입된 인서트를 빼내어 다른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인서트를 본체에 삽입할 때,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도록 설치하고, 본체의 서로 평행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삽입 위치들에 고정시켜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인서트의 서로 평행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삽입 위치들에 의하면, 절단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양호한 절단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가이드면과 블레이드 사이의 작용 각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특히 0°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인서트를 삽입한 상태에서도 인서트를 충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본체의 상이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그 설계가 비교적 간단하다.
인서트의 변위(displacement), 즉 서로 평행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삽입 위치들은 매우 다양하게, 예컨대 평행사변형 링크(parallelogram links)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와 인서트 사이의 평행가이드가 적어도 2개의 경사가이드(ramp guides)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가이드를 설치할 때는, 인서트의 제1 방향에서의 변위가 반드시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방향은 본체의 주평면, 예컨대 V자형 슬라이서의 경우에는 가이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가 일직선으로 되어 있는 주방기구의 경우에, 제1 방향은 블레이드의 절단용 에지에 평행하게 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주방기구와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주방기구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이 본체의 수용부에 대하여 가이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수용부 및/또는 인서트에 경사가이드를 제공하여 인서트의 이동을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이 되도록 하여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인서트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주방기구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튼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인서트를 수용부에 대하여 가이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경사가이드를 제공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면과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여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를 조절한다.
블레이드로부터 가이드 방향으로 가이드면의 종방향 간격이 변경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방향에서의 간격의 변경은 실제로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였다.
그러나, 경사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가이드면을 블레이드의 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여 절단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절단할 때 피절단 재료가 끼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부드럽게 자를 수 있으며, 이미 설정된 절단두께에 무관하게 피절단 재료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평행 변위에 의하여 절단두께를 조절하여 가이드면의 단부 에지와 이에 대향하는 절단 에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을 가능한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시도가 일반적으로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상기 유럽특허 EP0 306 017 A2에서, 인서트를, 2개의 대향하는 플레이트가 이들 사이에 설치된 쐐기에 의하여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정확히 수직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3개의 부품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독일특허 DE89 098 068 U1에는,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본체에 2개의 상이한 축상에 위치한 지점에서 슬라이드판이 고정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방기구에서의 절단두께의 조절은 다소 실용적이지 못한 이동패턴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절단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먼저 슬라이드판을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들어올려서 슬라이드판을 홈에서 빠져나오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체에는 그에 대응하는 개구가 필요하게 된다. 다음으로, 축상의 변위만큼 가이드 방향으로 제2 고정 위치에 고정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단지 2개의 절단두께만 선택할 수 있으며 많은 절단두께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원의 제1 발명 및 제2 발명에 의하면, 2개 이상의 단차, 예컨대 3개 또는 4개 또는 그 이상의 단차로 절단두께의 조절이 가능하다. 일부의 경우에는 조절을 하는데 절단두께의 단차가 없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라 완전하게 달성된다.
상기 수용부(receiving seat)는 본체와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주방기구를 기본적으로 2개의 부품, 즉 본체와 인서트(또는 다수의 인서트)로 만들 수 있다.
이와 다른 구성으로서, 수용부는 본체상의 동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수용기(adapter)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은 기존의 후퇴가능한 결합식 주방기구, 특히 상기 특허출원의 공지된 V자형 슬라이서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V자형 슬라이서는 인서트를 교체하거나 회전시켜 절단두께를 조정할 수 있었다. 수용기를 제공하여, 종래의 V자형 슬라이서의 본체에 인서트를 삽입하는 대신에 수용기를 삽입한다. 본체와 수용기를 결합하게 되면, 수용부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동일한 또는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에서는 수용기를 가이드 방향으로 본체의 내부로 밀어넣어 동작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용기는 결국 본체상의 단일의 위치, 즉 동작 위치에 고정된다. 수용기를 가이드 방향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종래의 V자형 슬라이서와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는 수용기가 동작 위치에 고정될 때 가이드 방향으로 수용부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원의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구현된다. 인서트는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여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인서트는 수용기가 그 동작 위치에서 벗어나면 수용부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수용기가 동작 위치에 고정될 때는 수용부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제2의 다른 실시예로서,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용기가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인서트와 수용기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한 상대적인 변위가 가능하게 한다. 수용기가 동작 위치에 고정되고 인서트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면, 가이드 방향으로의 조절 기능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두께를 신속하면서도 큰 수고 없이 조절할 수 있고, 제2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면에 대하여 경사진 가이드의 각도는 5°내지 5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5°내지 3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1 방향(또는 가이드 방향)으로의 적당한 약간의 변위만으로도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이동 범위가 커지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가이드에는 인서트의 짝을 이룬 부품이 놓이는 본체상의 위치에 경사로(ramp)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인서트상에 경사로가 제공되고, 본체상에 슬라이드 부품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체상에 경사로를 설치하게 되면, 인서트의 구성을 구조적으로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나의 본체에는 다수개의 인서트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방기구 전체로서는 구조적으로 더 단순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본체의 대향 측면에 적어도 2개의 경사가이드를 형성하고, 슬라이드 부품을 인서트의 양면으로부터 돌출한 핀(pin)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컴팩트한 구성의 평행가이드가 된다.
적어도 하나의 중앙 경사면을 인서트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여 인서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인서트에 위로부터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인서 트가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중앙 경사면이 블레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가이드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지에 무관하게 블레이드와 가이드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서트는 삽입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본체상의 상이한 피벗 위치에 고정되어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서트를 본체상에 장착하는 것이 그 구성적인 면에서 특히 간단하게 실현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절단두께는 단차를 갖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인서트를 본체상의 바람직한 위치에 고정하도록 클램핑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를 갖지 않도록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방기구는 매우 다양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절단두께는 여러 개의 단차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인서트를 본체상의 여러 개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체 및/또는 인서트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고정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인서트는, 블레이드에 대향하여 놓인 가이드면의 에지가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와 동일 높이로 또는 그 위에 놓이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체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어린이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 것인데,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를 부주의하게 움켜쥐어도 안전하다. 이는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가 가이드면의 에지로 덮혀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놓인 수직 블레이드들이 인서트의 가이드면상에 제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피절단 재료를 잘게 자르는 것이 아니라 길게 자르는 것이 쉽게 될 수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인서트를, 블레이드들의 상단이 블레이드의 최상단에 대하여 적어도 절단두께의 크기만큼 돌출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블레이드들에 의하여 피절단 재료를 그 하부면에 완전한 절단까지는 하지 않고 종방향으로 길게 홈을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기에 앞서, 90°또는 이와 유사한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종방향으로 길게 낸 홈에 대하여 블레이드들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홈이 생겨 열십자 모양이 생기게 되고, 이어서 블레이드로 절단하면 네모 모양의 덩어리 를 얻을 수 있다.
결국, 주방기구에 슬라이스를 위한 정상적인 인서트와, 두께가 두꺼운 긴 조각이나 유사한 두께를 가진 입방체로 절단하기 위한 블레이드들을 갖는 인서트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언급되어 있고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특징들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기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상이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상세한 설명들은 다양한 특징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이 명백하고 이 모든 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 1 발명에 따라 주방기구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원의 제 1 발명에 따라 주방기구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원의 제 1 발명에 따라 주방기구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원의 제 1 및 제2 발명에 따라 주방기구의 제 4 실시예를 평면도로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라인 V-V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6은 어린이 안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입방체로 절단하기 위한 주방기구의 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경사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원의 제 1 및 제 2 발명에 따라 주방기구의 제 5 실시예에서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라인 X-X를 따라 절취한 개략적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본체의 잠금장치를 평면도로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본체의 인서트를 나타낸 저면도.
도 13은 도 12의 라인 XIII-XI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라인 XIV-XIV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5는 본원의 제 1 및 제 2 발명에 따라 주방기구의 제6 실시예에서의 수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라인 XVI-XV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라인 XVII-XVII를 따라 절취한 단면을 확대한 도면.
도 18은 제 6 실시예에서의 주방기구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40, 60, 80, 150, 150' ... 주방기구
12, 42, 81, 152, 152' ... 본체
14, 86, 120, 160 ... 블레이드 16 ... 절단 에지
18 ... 종축
20, 194 ... 가이드면 22 ... 돌출면
24, 48, 62, 88, 88A, 150, 190 ... 인서트
23,46,84,102 ... 횡단 지지부 29 ... 내면부
28, 44, 82, 154, 156, 176. 176', 184, 220 ... 가장자리부
32, 50, 90, 130 ... 평행가이드
34 ... 클램핑 수단 29 ... 자유 돌출단부
36 ... 평행한 가이드 방향 47 ... 그립
64 ... 피벗 축 66 ... 피벗 가이드
68 ... 부품 82 ... 종방향 가장자리부
91 ... 화살표
93 ... 홈입구부 94 ... 각도
96, ... 가이드핀 98, 98' ... 절단두께
100 ... 가이드 홈 104 ... 베어링 쐐기
110 ... 홈 108 ... 고정수단
92, 102, 132, 134, 166, 166', 168 ... 경사면
112 ... 수용체 122 ... 에지
124 ... 돌출되는 정도 138, 204 ... 리세스
158 ... 돌출면 162, 212 ... 수용부
164, 164' ... 지지판 169 ... 각도
170, 202 ... 에지 172, 172' ... 측벽
173, 173' ... 잠금기구 174, 174' ... 돌출부
178, 180 ... 타원형 홀 182, 182' ... 유지 돌출부
186, 186' ... 돌출립
192 ... 베이스판 195 ... 저면
196, 198 ... 쐐기면 200 ... 쐐기부
210 ... 수용기 214 ... 가이드 레일
216 ... 잠금 리세스 218 ... 측면
도 1에, 본 발명에 따라 일반적으로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주방기구(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주방기구(10)에는 일반적으로 거의 사각형인 본체(12)가 있으며, 이 본체상에 절단 에지(16)를 갖는 블레이드(14)가 고정된다.
이 블레이드(14)는 거의 사각형의 금속 블레이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의 종축(18)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블레이드(14)는 종축(18)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블레이드(14)는 2개의 개별 칼날로 이루어지는 V자형 블레이드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14)는 가이드면(20)상에 배치되며, 이 가이드면(20)은 블레이드(14)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블레이드(14)의 종축(18)의 방향으로 다른쪽 면에는 돌출면(22)이 있으며, 이 돌출면(22)은 블레이드(14)의 상단과 동일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면(22)은 본체(12)의 횡단 지지부(23)의 상단부분이 된다.
가이드면(20)은 교체 가능한 인서트(24)의 상단부분이 된다. 인서트(24)는 삽입되면, 본체(12)의 2개의 종방향 가장자리부(28)들 사이에 수용되며, 이러한 가장자리부(28)들은 횡단 지지부(23)로부터 종축(18)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인서트(24)는 종방향 가장자리부(28)의 2개의 대향하는 내면부(29)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24)는 평행가이드에 의하여 종축(18)에 대하여 도면부호 32가 지시하는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평행가이드(32)는 종축에 대하여 수직인 본체(12)의 인서트(24)를 도면부호 32가 지시하는 수직인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조로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인서트(24)는 측면에 핀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핀은 도면부호 32의 방향으로 연장한 개구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인서트(24)가 본체(12)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됨으로써, 블레이드(14)에 대하여도 이격되어, 주방기구(10)의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서트(24)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클램핑 수단(34)에 의하여 임의의 소망하는 평행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절단두께의 단차 없는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주방기구(10)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체(12)는 횡단지지부(23)의 단부에 교차되는 두개의 종축 가장자리부(28)가 구성되고 횡단지지부(23)에는 평탄하면서도 구조적인 돌출면(22)이 형성된다. 상기 종축 가장자리부(28)의 마주하는 단부는 횡단지지부(23)로부터 연장되며 종축 가장자리부(28)는 하방 말단부에 자유 돌출단부(29)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가장자리부(28)는 마주하는 각각의 자유 돌출단부를 연결하여 보다 강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가장자리부(28)를 돌출면(22)에 대하여 들어올려 과일 홀더 등이 블레이드(14)에 손상을 주지 않고 미끄러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방기구(10)를 이용할 때, 과일, 오이 등의 야채와 같은 피절단 재료를 종축(18)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가이드 방향(36)에서 앞뒤로 이동시킨다. 피절단 재료가 가이드면(20)으로부터 돌출면(22)쪽의 방향으로 블레이드(14)를 지나가도록 이동하면, 피절단 재료가 슬라이스로 절단된다. 절단된 슬라이스는 블레이드(14)와 인서트(24) 사이의 틈을 통해, 일반적으로 밑바닥에 있는 용기에 떨어지게 된다.
후퇴 이동할 때는, 피절단 재료의 남은 부분이 블레이드(14)를 지나 이동하게 되며 이 때에는 절단되지 않는다. 가이드 방향으로의 다음 이동시에 다시 한번 슬라이스로 절단된다.
블레이드(14)는 반드시 일직선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14)는 세로로 홈을 파놓은 것이나 물결모양의 주름이 잡힌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클램핑 수단(34)을 풀고, 인서트(24)는 본체(12)로부터 빼내지 않은 상태에서, 평행가이드(32)와 블레이드(14)의 평면에 평행하게 위치시킨다. 절단두께가 정확하게 설정되었으면, 클램핑 수단(34)을 다시 가동시켜 인서트(24)가 본체(12)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방기구(40)가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주방기구(40)는 도 1의 주방기구(10)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이하 주방기구(10)와의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주방기구(40)에는 본체(42)가 있으며, 이 본체(42)에는 횡단 지지부(46)가 있고, 이 횡단 지지부의 상단에 가이드면(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횡단 지지부(46)로부터 후방으로 2개의 종방향 가장자리부(44)가 연장되어 있다.
횡단 지지부(46)상에는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그립(47)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단 지지부(46)들 사이에는, 돌출면(22)이 그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48)가 설치된다. 이 인서트(48)의 전방 에지상에는 블레이드(14)가 위치하게 된다.
블레이드(14)가 그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인서트(48)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행가이드(50)에 의하여 본체(12)에 대하여, 그리고 가이드면(20)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서트(48)를 본체(42)에 고정시킬 때 클램핑 수단(34)이 사용된다.
주방기구(40)의 조작 및 기능은 주방기구(10)의 조작 및 기능과 동일하다.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인서트(48)의 위치만 바꾸면 되고 인서트(24)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주방기구(6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주방기구(60)의 구성은 주방기구(10)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 주방기구(10)와의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주방기구(60)에는 인서트(24) 대신에 인서트(62)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인서트(62)는 개략적으로 표시된 피벗 가이드(66)에 의하여 피벗 축(64)에 대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벗 축(64)은 블레이드(14)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종방향 가장자리부(28)의 단부들의 부위에 제공된다.
종방향 가장자리부(28)의 단부들을 그립(grip)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품(68)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면 더 안정적으로 된다.
피절단 재료의 절단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표시된 클램핑 수단(34)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본체(12)상에 설치된 인서트(62)를 피벗 축(64)에 대하여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은 블레이드(14)와 인서트(62)의 관련 부분 사이의 간격이 적절하게 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다시 클램핑 수단(34)에 의하여 인서트(62)를 설정된 피벗 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는 것은 주방기구(60)가 주방기구(10)와 동일하다. 차이점은 피절단 재료의 대부분이 블레이드(14)에 평행하게 접하지 않고 블레이드와 작은 각도, 통상 1°내지 10°의 범위의 각도를 이룬다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방기구(8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방기구(80)는 도 1의 주방기구(10)와 그 기본적인 구성이 서로 대응한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 주방기구(10)와의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주방기구(80)에는 본체(81)가 있으며, 이 본체(81)는 2개의 종방향 가장자리부(82)와, 이 가장자리부(82)에 연결되는 횡단 지지부(84)를 포함한다.
횡단 지지부(84)의 상단에는 돌출면(2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면(20)쪽의 에지에는 V자형 블레이드(86)가 횡단 지지부(8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V자형 블레이드는 횡단 지지부(84)의 각각으로부터 종축(18)에 대하여 대략 10°내지 70°, 특히 대략 15°내지 30°의 각도로 연장되는 2개의 중간크기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 2개의 중간크기 블레이드는 30°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범위의 각도를 갖는다.
종방향 가장자리부(82)는 돌출면(22)의 위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과일 홀더(공지된 것)를 V자형 블레이드(86)에 손상을 주지 않고 종방향 가장자리부(82)의 상단을 가로질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종방향 가장자리부(82)는 횡단 지지부(84)로부터 전방(즉,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다른 횡단 지지부(87)에 의하여 그 단부들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단이 가이드면(20)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인서트(88)가 미리 형성되어 있는 개구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인서트(88)는 대체로 판형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그 정면, 즉 V자형 블레이드(86)쪽이 대략 V자형으로 되어 있다. 인서트(88)의 끝은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인서트(88)가 삽입되면, 대향하는 종방향 가장자리부(82)상에 제공되는 2개의 평행가이드(90)에 의하여 돌출면(22)[또는 V자형 블레이드(86)]에 거의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생기는 평행 간격은 도 5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화살표(91)의 간격과 같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가이드(90)는 각각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가이드 홈(1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100)은 거의 수직인 홈입구부(93)와 홈경사면(92)을 갖는다. 홈경사면(92)은 홈입구부(93)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가이드면(20)과 1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0°범위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홈경사면은 기울어진 구조이므로 종축방향으로의 인서트(88)의 움직임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평행이동되며 절단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인서트(88)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는 2개의 가이드핀(96)이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핀(96)은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 외경이 가이드 홈(100)의 폭에 부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88)를 본체(8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가이드핀(96)을 위쪽이 개방된 가이드 홈(100)으로 위로부터 도입하여, 홈입구부(93)의 바닥에 닿도록 한다. 상기 홈입구부(93)의 바닥이 닿으면 인서트는 앞으로 이동되고 가이드핀은 홈경사면(92)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인서트(88)는 블레이드(86)와 가장 멀리 이격된다.
상기 인서트(88)는 가이드홈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된 가이드핀(96)을 측벽에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핀은 본체에 인서트(88)를 삽입할 때 상부로부터 홈입구부(93)를 통해 가이드홈(100)으로 삽입시킨다.
홈경사면(92)에 의하여, 종축(18)의 방향 또는 가이드 방향(36)에서 인서트의 변위가 종축이나 가이드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도 5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평행가이드(130)는 가이드홈(100)이 아니라 본체의 측면구조로 제공되어 돌출영역과 리세스(138)를 포함한다.
또한 두 개의 가이드핀이 베어링 경사면(132)의 상부표면에 구비되도록 인서트는 네 개가 구비되고, 다른 가이드핀은 다른 베어링 경사면(134)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인서트는 종축으로 움직이고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인서트(88)와 블레이드(86)간의 간격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절단두께가 감소하게 된다.
주방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인서트(88)에는 위로부터 상당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인서트(88)가 횡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81)에 다른 횡단 지지부(102)가 제공되며, 이 횡단 지지부(102)는 V자형 블레이드(86)의 V자형 면의 아래에 배치되며, 종방향 가장자리부(82)에 연결된다. 횡단 지지부(102)에는 적어도 그 중앙부에 경사면이 제공되어 중앙 경사면(102)으로 작용하게 된다.
인서트(88)의 하면상에는 이에 대응하는 베어링 쐐기(104)가 제공되어 중앙 경사면(102)상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인서트(88)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 횡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 경사면(102)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정적인 평행 변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앙 경사면(102)과 단지 2개(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4개를 제공하는 대신에)의 대향 가이드 홈(10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경우(도시 안됨)로서,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3포인트 베어링이 제공되어도 충분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4 에서, 도면부호 106은 인서트(88)상에 제공되며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일련의 수직 블레이드를 나타낸다. 이러한 일련의 블레이드(106)는 선택적 구성이며, 인서트(88)상에 제공되고 다른 부재상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4 에서 도면부호 108은 체결 수단을 나타낸다.
인서트(88)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수단에 의하여 블레이드(86)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108)이 제공되어 있다.
고정수단(108)은 인서트(88)의 후방 측부상에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홈(110)과, 종방향 가장자리부(82)들 중 하나에 제공되는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수용체(112)를 구비한다.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체(112)는 상기 홈(110)들 중 하나에 결합되어 인서트(88)를 본체(81)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고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면부호 98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절단두께가 고정적으로 된다.
절단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용체(112)는 도 4의 도면부호 114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측면 바깥쪽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인서트(88)가 수용체(112)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인서트는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절단두께가 적절하게 설정되면, 수용체(112)는 다시 해제되어 상기 홈(110)들 중 하나와 결합하게 되고 인서트(88)는 본체(8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가이드핀(96)이 홈경사면(92)에 위치할 때에만 고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다.
홈경사면(92)이 그 상단 및 하단에서 가이드핀(96)의 경계를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아무리 간단한 고정수단(108)이라 하더라도, 인서트(88)는 항상 본체(81)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있게 된다.
홈경사면(92)의 각도(94)와 중앙 경사면(102)의 각도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인서트(88)가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86)와 돌출면(22)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서트(88)를 블레이드(86)와 돌출면(22)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배치하여 이러한 경사진 위치로부터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것도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의 주방기구(80)를 나타낸 도면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인간환경공학적으로 적절하게 형성된 그립(grip)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도 4와 도 5에서 각도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 에지들은 실제로는 둥글게 만들어서 주방기구(80)를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으로 만들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81) 및/또는 인서트(88)는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V자형 블레이드(86)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108) 대신에 클램핑 수단이 제공되면, 절단두께(98)를 단차 없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사면(92, 102) 대신에 평행사변형 링크 가이드와 같은 다른 평행가이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가이드 홈(100)을 평면에서 보아 U자형으로 함으로써, 평행 변위가 종축(18)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 않고 수직으로 되어 대체로 유효하게 된다. 이 경우에, 물론 다른 체결 수단,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88)는 그 상단, 즉 가이드면(20)까지 상향으로 변위가 가능하고, 블레이드(86)의 절단 에지의 위에 놓이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도 6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주방기구(80)의 한쪽으로 놓아두거나 보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블레이드(86)의 날카로운 절단 에지가 보호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기능이 달성된다.
소정의 절단두께(98')로 피절단 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동작 위치가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평탄하고 평면인 가이드면(22)이 있는 인서트(88)를 대신하여, 도 7에 따른 교체 가능한 인서트(88A)가 가능하며, 이 인서트 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수직 블레이드(120)를 포함한다. 이 블레이드(120)는, 예컨대 도 4에 106으로 표시된 방식으로 배치된다.
블레이드(120)는 가이드면(20)으로부터 2개의 다른 동작 모드를 허용하는 정도까지 돌출되어 있다.
도 7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인서트(88A)의 위치에서, 블레이드(120)의 상단은 블레이드(86)에 대하여 도 7에 124로 표시된 정도까지 돌출되어 있다.
돌출되는 정도(124)는 이 위치에서 얻어지는 절단두께(98)보다 더 길다. 이 위치에서 인서트(88A)가 있는 주방기구(80)를 이용할 때, 제1 절단 동작으로 블레이드(120)의 절단 에지(122)에 의하여 일련의 긴 조각들이 만들어져서 절단두께(98)만큼 절단된다. 돌출되는 정도(124)에 의하여, 피절단 재료의 해당 부분은 절단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절단된다. 피절단 재료가 다음 절단 동작에 앞서 90°로 회전하게 되면, 피절단 재료의 절단된 긴 조작은 절단 블레이드(120)에 의하여 절단되어 블레이드(86)에 의하여 입방체로 절단된다. 피절단 재료는 다음 절단 동작에 앞서 다시 90°회전하게 된다.
결국, 입방체 또는 블록모양이 도시된 위치에 만들어질 수 있다(블레이드(120)들간의 간격만이 절단두께(98)에 대응함).
인서트(88A)의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제2 위치에서, 블레이드(120)의 상단은 블레이드(86)의 절단 에지와 거의 동일한 높이이다. 결국, 각각의 절단 동작에서, 피절단 재료의 긴 조각이 절단된다. 피절단 재료의 밑면은 절단되지 않는다.
본체(81)에 다른 인서트(88B)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인서트(88B)에 유 사한 높이 및/또는 상이한 간격을 가진 각각의 블레이드(120)를 가질 수 있어 긴 조각 및/또는 상이한 치수의 입방체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교체 가능한 인서트(88A)를 인서트(88A)상에 배치된 수직 블레이드가 입방체 또는 블록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주요 블레이드"(86)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는 구성은 신규한 것이며, 인서트의 삽입 상태에서의 전체적인 이동성과는 무관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평행가이드(130)가 제공되며, 상기 평행가이드는 종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인서트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거의 일정한 폭을 가진 가이드 홈(100)이 제공된다. 상기 홈은 이하에서 기술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평행가이드(130)의 표면은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베어링 경사면(132)과, 상기 베어링 경사면(132)과 엇갈리게 되어 있는 2개의 축방향 간격 유지 경사면(134)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88)(도시 안됨)상에 4개의 축방향 오프셋 가이드핀(136)이 다른 실시예의 축방향 오프셋 가이드핀(96)을 대신하여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핀(136) 중 2개의 가이드핀은 베어링 경사면(132)상에 위치하고, 다른 2개의 가이드핀은 유지 경사면(134)의 하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도,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가이드핀(136)을 갖는 인서트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향 또는 하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본체와 인서트간의 미리 정해진 위치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비교적 좁은 가이드 홈(100)을 갖는 평행가이드(90)에 비하여, 평행가이드(130)는 면적이 넓은 리세스(138)을 갖도록 되어 있으며, 리세스의 면적이 넓어 세정(clean)이 훨씬 용이하게 되고, 먼지도 모이지 않게 된다.
도 9 내지 14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주방기구(15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방기구(150)의 일반적인 기능은 상기 언급한 주방기구들의 기능에 상당한다.
주방기구(15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체(152)를 갖는다.
본체(152)는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종방향 가장자리부(154, 156)를 구비하며, 이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돌출면(1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면(158)에는 그 정면 에지에 V자형 블레이드(160)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V자형 슬라이서의 구성에 대응한다.
본체(152)는 교체 가능한 인서트를 위한 수용부(162)를 갖는다.
이 수용부(162)는 2개의 종방향 가장자리부(154, 156)의 사이로 연장하는 지지판(164)을 갖는다.
이 지지판(164)은 돌출면(158)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지지판(164)은 V자형 블레이드(160)에 따라 서로 V자 형태로 배치되는 2개의 경사면(166, 168)을 갖는다. 이 경사면(164, 168)은 지지판(164)으로부터 대략 8°의 각도(도 13의 169)만큼 상승되어 있다.
지지판(164)은 그 정면 단부에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그립부에 접촉하는 횡단 에지(170)를 갖는다.
수용부(162)는 측면이 종방향 가장자리부(154, 156)로 형성되어 있다. 이 종방향 가장자리부(154)의 측벽(172)은 수용부(162)쪽으로 향해 있다.
이러한 측벽(172)에는 인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기구(173)가 제공된다. 이 잠금기구(173)는 가이드 방향(36)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잠금 돌출부(174)를 갖는다. 이 잠금 돌출부(174)는 측벽(172)의 탄성 가장자리부(176)상에 형성된다. 잠금 돌출부가 탄성 가장자리부상에 형성됨으로써, 잠금 돌출부(174)는 인서트가 안으로 밀어넣어질 때 측면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측면 잠금기구(173)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잠금기구를 지지판(164)에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 가장자리부(176)는 종방향 가장자리부(154)의 상면에 있는 타원형 홀(178)과, 측면(172)에 상기 홀(178)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타원형 홀(180)로 형성된다. 이 탄성 가장자리부(176)는 이들 2개의 타원형 홀(178, 180) 사이에 형성된다.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판(164)의 하부와 종방향 가장자리부(154, 156)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횡단 가장자리부(184)가 제공된다. 지지판(164)은 V자형 블레이드(160)에 따라 V자 모향으로 테이퍼링(tapering)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형성되고 V자형 블레이드(160)쪽으로 향해 있는 지브모양부분(jib-like section)이 적어도 하나의 횡단 가장자리부(184)에 의하여 그 저면으로부터 지지된다.
이에 의하면, V자 모양으로 테이퍼링되는 지지판(164)의 부분이 피절단 재료 에 의하여 위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아래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립(lip)(186)이 경사면(166, 168)과 접하고 있다. 이 돌출립(186)은 지지판(164)과 V자형 블레이드(16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인서트의 최하위 위치(이하 설명됨)에서, 돌출립(186)은 피절단 재료를 위한 가이드 면의 일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본체(152)의 수용부(162)에 삽입되어 있는 인서트(19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인서트(190)의 저면도이다.
인서트(190)는 거의 사각형인 부분과 V자 모양으로 테이퍼링된 부분이 있는 베이스판(192)을 갖는다.
인서트(190)의 상단은 가이드면(194)과 같은 거의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 인서트(190)는 가이드면(194)이 V자형 블레이드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모든 절단두께(98)가 가능하도록 수용부(162)에 배치된다.
베이스판(192)의 저면(195)은 수용부(192)의 모양에 부합하도록 되어 있다.
V자 모양으로 테이퍼링되어 있는 후방부에서는, 베이스판(192)이 그 저면(195)상에 2개의 쐐기면(196, 198)을 갖는다. 이 쐐기면(196, 198)은 수용부(162)의 경사면(166, 168)에 대하여 설치, 크기 및 각도가 맞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판(192)은 그 정면 단부(도 12의 왼쪽끝)에 정면을 향해 점점 두꺼워지는 쐐기부(200)를 갖는다. 이 쐐기부의 경사는 각도(169)에 대응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92)의 저면(195)은 가이드면(194)에 대하여 길이 L을 따라 평행하게 되어 있다. 길이 L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 상당한다.
수용부(162)와 베이스판(192)의 저면(195)은 인서트(190)가 지지판(164)상에 평평하게 위치하는 제1 위치(절단두께가 가장 큼)에서 서로 맞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의 가이드면(194)은 돌출립(186)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쐐기부(200)는 지지판(164)의 횡단 에지(170)에 대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인서트(190)의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202)는 수용부(162)의 측벽(172)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하나의 종방향 에지(202)상에는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위치되는 다수의 잠금 리세스(204)가 제공된다.
이 잠금 리세스(204)는 잠금기구(173)의 잠금 돌출부(174)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측벽(172)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한 2개의 유지 돌출부(182)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유지 돌출부(182)는 수용부(162)로 삽입될 인서트를 위한 종방향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들 유지 돌출부는, 인서트(190)가 상방으로 밀어져서 수용부(162)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인서트(19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도 9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수용부(162)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의하여, 측면 에지(202)는 잠금 돌출부(174)의 한쪽면을 탄성적으로 밀게 되는데, 잠금 돌출부(174)가 잠금 리세스(204)의 첫번째 리세스에 결합될 때까지 민다. 이 상태에서, 상기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면(194)은 돌출립(186)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게 되고, 절단두께가 제일 크게 된다. 인서트(190)를 후방으로 더 밀어넣게 되면, 지지판(164)에 대한 인서트(190)의 평행 변위(따라서 블레이드의 평면에 평행하게 됨)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것은, 인서트(190)가 수용부(162)의 안쪽에서 후방으로 더 밀어넣어질 때 쐐기면(196, 198)이 경사면(166, 168)상에서 위쪽으로 미끄러지게 되고, 인서트의 정면 부분이 쐐기부(200)가 횡단 에지(170)를 따라 가이드되는 정도까지 들어올려지기 때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190)는, 예컨대 5개의 잠금 리세스(204)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리세스들 중 4개의 리세스는 가이드면(194)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절단두께를 다르게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잠금 돌출부(174)가 잠금 리세스(204)들 중 마지막 리세스에 결합되면, 가이드면(194)이 V자형 블레이드(160)와 거의 동일한 높이 또는 약간 높게 설치되어, V자형 블레이드에서의 예기치못한 절단을 방지한다. 리세스의 마지막 위치는 도 6의 보관 또는 안전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면 또는 쐐기면은 몸체[본체(152) 또는 인서트(190)]의 다른 면들과 직접 접하는 평평한 경사면으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주방기구(150)는 그 높이를 다수(2 이상)의 단차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능숙하지 못한 사용자라도 조작이 쉬어진다.
또한, 본체(152)와 인서트(190)의 면들을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함으로써, 주방기구를 세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용이해진다. 피절단 재료의 남은 부분은 소형의 홈이나 다른 리세스에 쌓이지 않게 된다.
주방기구(150)에서, 수용부(162)는 본체(152)와 단일체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가장 단순한 경우로서, 주방기구(150)는 2개의 부분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인서트(190)를 대신하여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횡단 블레이드를 갖는 인서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주방기구(150')를 도시한다.
거의 모든 점에서, 주방기구(150')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주방기구(150)에 대응한다.
주방기구(150')에는 주방기구(150)의 인서트와 동일한 인서트(190)가 사용된다. 주방기구(150')가 주방기구(150)와 다른 점은 본체(152')가 인서트(190)를 직접 수용하도록 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본체(152')가 도 15 내지 도 17에 참조부호 210으로 표시된 수용기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본체(152')는 종래의 V자형 슬라이서의 통상적인 본체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본체에서는, 인서트를 소정의 동작 위치로 앞뒤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인서트를 밀어넣을 수 있으며, 또한 인서트를 회전시킨 후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방기구(150')에서 상기 공지된 인서트를 대신하여 수용기(210)가 소정의 동작 위치에 삽입된다. 본체(152)와 수용기(210)를 결합시키면 상기 기술된 본체(152)와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것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수용기(210)와 본체(15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어퍼스트로피 부호(')로 부가되어 있다.
도 18에는 수용기의 수용부(212)가 도시되어 있다. 이 수용부(212)는 측벽(172)의 각 측면상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214)을 갖는다. 수용부(212)의 측면(218)상에는 수용기(210)가 하나의 동작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 리세스(216)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218)에는 도 9의 타원형 홀(178, 180)과 유사한 2개의 평행한 타원형 홀에 의하여 형성된 탄성 가장자리부(220)가 있다. 그러나, 탄성 가장자리부(220)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용기(210)는 지지판(164')을 구비하며, 이 지지판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이며 V자 형태로 테이퍼링되어 있다. V자 형태에서 테이퍼링된 단부에는 2개의 경사면(166', 168)이 있으며, 이 경사면이 합쳐저 돌출립(186')이 된다.
상기 사각형의 부위에는 2개의 측벽(172')이 제공된다. 그 중 하나의 측벽(172')에는 잠금 돌출부(174')가 그 내부에서 안쪽으로 돌출해 있는 탄성 가장자리부(176')가 있다. 이 탄성 가장자리부(176')는 지지판(164)과 측벽(172') 사이의 변위 영역에 타원형 홀로 형성된다
2개의 측벽(172')의 각각의 상단에는 유지 돌출부(182')가 형성된다.
잠금기구(173')를 탄성 가장자리부(220)에 맞도록 배치한다. 결국, 높이의 조절을 위하여, 수용기(210)가 동작 위치에 맞추어지면 인서트(150)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 가장자리부(176')의 잠금 돌출부(174)는 옆으로 구부러지게 되는데, 이는 가장자리부(220)를 탄성적으로 제조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체(152')가 타원형 홀이 없이, 즉 탄성 가장자리부(220)가 없이 종래의 V자형 슬라이서에서와 같이 구성되면, 수용기(210)와 인서트(190)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는 수용기(210)가 동작 위치에서 벗어날 때만 가능하게 된다.
동작 위치에서는 잠금 돌출부(174')가 옆으로 구부러지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기(210)와 인서트(190)의 수용부(212)에서의 배치가 안정적인 방법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절단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수용기(210)와 인서트(190)가 전체적으로 수용부(212)로부터 간단하게 제거된다. 인서트(190)와 수용기(210)는 서로에 대하여 축을 중심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러한 인서트와 수용기가 전체적으로 수용부(212)의 동작 위치로 다시 삽입된다.
주방기구(150)에서도 마찬가지로, 절단두께의 조절은 평탄면을 가진 구조체로 구현되므로, 주방기구(150)는 전체적으로 세정이 용이하고 조작이 안정적으로 된다.
수용기(210)와 인서트(190)의 구조체는 통상적인 유형의 기존의 V자형 슬라이서에 대하여 "추가"하는 것으로 구입이 가능한 별도 제품인 것을 알 수 있을 것 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은 주방기구(10, 40, 150, 150')에 변경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들도 주방기구(60)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3)

  1. 본체(12; 42; 81; 152; 152'; 210)와,
    피절단 재료를 가이드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20; 194)을 상측에 포함하여 상기 본체내에서 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인서트(24; 48; 62; 88; 190)와,
    상기 가이드면(20; 194)을 따라서 가이드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피절단재료를 일정두께로서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가이드면에 대향하여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블레이드(14; 86; 160)를 구비하는 주방기구(10; 40; 60; 80; 150)에 있어서,
    상기 피절단재료의 절단 두께는 상기 블레이드와 가이드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조절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가이드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인서트를 가이드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본체(12; 42; 81; 152; 152'; 210)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고정시키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4; 48; 88; 190)는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방향(36)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고 상기 본체(12; 42; 81; 152; 152', 210)의 상이한 평행 변위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81; 152; 152', 210)와 상기 인서트(88; 190) 사이에 경사면(92, 102; 132, 134; 166, 168)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경사가이드가 있는 평행가이드(90; 130)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경사가이드는 가이드방향(36)에서의 상기 인서트(88; 190)의 변위가 상기 가이드방향(36)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4. 본체(81; 152; 210)와,
    피절단 재료를 가이드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20; 194)을 상측에 포함하여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내에서 이동 및 고정가능한 인서트(24; 48; 62; 88; 190)와,
    상기 가이드면(20; 194)을 따라서 가이드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피절단재료를 일정두께로서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가이드면에 대향하여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블레이드(86; 160)를 구비하는 주방기구(80; 150)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86; 160)는 상기 가이드면(20; 194)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면(20; 194)에서 가이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피절단재료를 절단하고,
    상기 피절단 재료의 절단두께는 상기 블레이드(86; 160)와 가이드면(20; 194)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인서트(88; 190)는 본체(81; 152; 152', 210)의 수용부(162)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방향(36)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162)와 상기 인서트(88; 190)에 경사면(92, 102; 132, 134; 166, 168)이 형성된 경사가이드가 제공되어 상기 인서트(88; 190)의 상기 가이드 방향(36)으로의 이동이 상기 가이드 방향(36)에 대하여 횡단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절단두께(98)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주방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62)는 상기 본체(15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62')는 상기 본체(152')의 동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수용기(210)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210)는 상기 본체(152')의 안으로 상기 가이드 방향으로 밀어넣어져 상기 동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90)는, 상기 수용기(210)가 상기 동작 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수용부(162')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방향(36)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90)는, 상기 수용기(210)가 상기 동작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수용부(162')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수용기(210)가 상기 동작 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수용부(16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0.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면(92, 102; 132, 134; 166, 168)이 형성된 경사가이드의 상기 가이드면(20)에 대한 각도(94; 169)는 5°내지 30°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1.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면(92, 102; 132, 134; 166, 168)이 형성된 경사가이드는 상기 본체(81; 152; 152, 210)상의 상기 인서트(88; 190)의 짝을 이루는 슬라이드 부재(96; 136; 196, 198)가 위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81)의 대향 면상에는 경사면(92, 132, 134)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경사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96; 136)는 상기 인서트(8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핀(96; 13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3.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88; 190)의 바로 아래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경사면(102; 166, 168, 184)이 배치되어 상기 인서트(88; 19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경사면(102; 166, 168, 184)은 상기 블레이드(86; 160)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62)는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14; 86)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피벗 축(64)에 대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60)의 상이한 피벗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두께는 단차 없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인서트(24; 48; 62)의 간격조절을 위해 상기 본체(12; 42)의 내측에서 상기 인서트(24; 48; 62)를 고정시키는 클램핑 기구(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두께(98)는 여러 개의 단차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88)를 상기 본체(81; 152; 152', 210)상의 여러 개의 위치 중 하나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기구(108; 17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4; 48; 62; 88; 190)는, 상기 블레이드(14; 86; 160)에 대향 하여 위치한 상기 가이드면(20)의 에지가 상기 블레이드(14; 86; 160)의 절단 에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높게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2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방향(36)에 대하여 횡단하는 방향을 갖는 일련의 수직 블레이드(106; 210)는 인서트(88A)의 상기 가이드면(20)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88A)는 상기 일련의 블레이드(106; 120)의 상단이 적어도 상기 절단두께(98) 정도의 간격(124) 만큼 상기 블레이드(14; 86)의 상단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
  23.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방기구에 사용하기 위한 수용기(210) 및 인서트(1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KR1020037004913A 2000-11-02 2001-10-31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 KR100833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4174A DE10054174B4 (de) 2000-11-02 2000-11-02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Schneidgut
DE10054174.7 2000-11-02
PCT/EP2001/012651 WO2002036312A1 (de) 2000-11-02 2001-10-31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schneidg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419A KR20040011419A (ko) 2004-02-05
KR100833387B1 true KR100833387B1 (ko) 2008-05-28

Family

ID=766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913A KR100833387B1 (ko) 2000-11-02 2001-10-31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146737B2 (ko)
EP (1) EP1330341B1 (ko)
KR (1) KR100833387B1 (ko)
CN (1) CN100404216C (ko)
AT (1) ATE314178T1 (ko)
DE (2) DE10054174B4 (ko)
DK (1) DK1330341T3 (ko)
ES (1) ES2254517T3 (ko)
WO (1) WO2002036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4174B4 (de) * 2000-11-02 2004-01-22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Schneidgut
GB2390971B (en) * 2001-05-28 2004-06-23 Buyer De Safety manual vegetable cutter
DE10305969A1 (de) 2003-02-14 2004-08-26 Home-Innovation Sicherheitsreibe
DE10328506B4 (de) 2003-06-18 2005-05-04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Küchenhobel
DE102004038815B3 (de) 2004-08-02 2006-04-20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Einsatz für einen Küchenhobel
US20060283299A1 (en) * 2005-06-16 2006-12-21 Design For Living, L.L.C. Food slicer with suction device and adjustable cutting surface
US7694615B2 (en) * 2006-10-31 2010-04-13 Helen Of Troy Limited Slicer
US20080190304A1 (en) * 2007-02-08 2008-08-14 Ravi Kumar Sawhney Food slicer and grater
DE102007027538A1 (de) 2007-06-15 2008-12-18 Werner Schleinzer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und dergleichen
DE102007032070B4 (de) * 2007-07-10 2011-04-14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Küchenhobel
DE202008002233U1 (de) 2008-02-18 2008-06-12 Repac, Cedomir Küchenhobel
DE102008013863A1 (de) * 2008-03-12 2009-09-1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tromotorisch betriebene Küchenmaschine
DE202008011688U1 (de) 2008-09-02 2008-11-20 Schleinzer, Werner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o.dgl.
US8430010B2 (en) * 2008-11-19 2013-04-30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Hand held slicer
DE202009011685U1 (de) 2009-08-28 2009-12-03 Schleinzer, Werner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Lebensmitteln
US10160133B2 (en) 2011-02-08 2018-12-25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ndoline slicer
US9682490B2 (en) 2011-02-08 2017-06-20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ndoline slicer
DE102011122380B3 (de) * 2011-12-22 2013-06-06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Küchenhobel
DE102012107862A1 (de) * 2012-08-27 2014-05-15 Fissler Gmbh Küchengerät zum Aufsetzen auf ein Gefäß; Küchengeräte-Set, umfassend Küchengerät und verschiedene Funktionseinheiten
DE102013019078A1 (de) * 2013-11-16 2015-05-21 Börner Distribut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oder dergleichen, Schneidwerkzeug, Applikator zur Verwendung in einem Schneidwerkzeug
US9925679B2 (en) * 2014-05-19 2018-03-27 I+D+M Creativ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assisting with slicing items
US10611042B2 (en) * 2015-04-06 2020-04-07 Urschel Laboratories, Inc. Cutting wheels and knife assemblies thereof for cutting products
USD992980S1 (en) 2021-09-14 2023-07-25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 Mandoline
DE102022211868A1 (de) 2022-11-09 2024-05-16 Adolf Würth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Öffnen von Spitzenansätzen und Düsenspitzen von Kartuschen und Kartuschenpres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8046A (en) * 1958-11-19 1960-09-14 Popeil Samuel J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d cutters
US4624166A (en) * 1985-10-18 1986-11-25 Mike & Kremmel Limited Kitchen slicer having an adjustable knif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02A (en) * 1867-07-02 John m
CH95349A (de) * 1921-09-10 1922-12-01 Cesar Desilvestri Conod Gemüsehobel.
CH134317A (de) * 1928-08-14 1929-07-31 Hiffelsheimer Heinrich Gemüsehobel.
DE1145759B (de) * 1958-11-19 1963-03-21 Popeil Samuel J Vorrichtung zum Zerschneiden von Nahrungsmitteln
DE6608205U (de) * 1967-05-13 1971-07-22 Hans Arne Vallentin Johansson Lebensmittelschneidegeraet.
GR63818B (en) * 1976-03-20 1979-12-19 A Boerner For home use apparatus for cutting patatoes,regetables and similar in fine slices
DE2727358C3 (de) 1977-06-16 1981-10-01 Rolf 3200 Hildesheim Ihlow Schneidvorrichtung für Gemüse oder andere Lebensmittel
EP0104267B2 (de) * 1982-09-27 1991-02-20 LEIFHEIT Aktiengesellschaft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Lebensmitteln
DE3500959A1 (de) * 1983-10-13 1986-07-17 Eberhard Hottenroth Gemuesehobel
DE3347874A1 (de) 1983-10-13 1985-07-18 Eberhard Hottenroth Restehalter
JPS60248209A (ja) 1984-05-22 1985-12-07 Jgc Corp ストレ−ナ−
US4570519A (en) * 1984-08-30 1986-02-18 Motosko Ii Stephen J Vegetable slicer with thickness adjustment
JPS6330495A (ja) 1986-07-24 1988-02-09 Toho Yakuhin Kogyo Kk リピドa単糖類縁体の立体異性体
US4733589A (en) * 1986-07-17 1988-03-29 Dart Industries Inc. Food slicer
US4733588A (en) * 1986-09-30 1988-03-29 Keiji Yamamoto Guide regulator plate for vegetable preparing devices
DE3729159C1 (de) * 1987-09-01 1989-03-23 Guenther Baalcke Geraet zum Schneiden von Obst,Gemuese oder dergleichen in Scheiben
JPH01163093A (ja) 1987-09-28 1989-06-27 Tomoegawa Paper Co Ltd 印刷用シート
JPH0322202A (ja) 1989-06-19 1991-01-30 Nec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2794307B2 (ja) 1989-07-10 1998-09-03 英夫 松本 野菜類スライサー
DE8909068U1 (ko) * 1989-07-26 1989-11-30 A. Boerner Gmbh, 5565 Niederkail, De
DE3926013C2 (de) * 1989-08-05 1993-11-11 Boerner Gmbh A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oder dergleichen in Scheiben
DE9110587U1 (ko) * 1991-08-27 1991-11-14 Friesen, Walter, 4600 Dortmund, De
CN2113864U (zh) * 1991-11-05 1992-08-26 刘健 V形刀架切菜器
DE4304228C1 (de) * 1993-02-12 1994-09-15 Manfred Schlund Gemüsehobel
JP3105703B2 (ja) 1993-07-05 2000-11-06 日本碍子株式会社 金属廃棄物の除染方法
RU2041793C1 (ru) 1993-08-12 1995-08-20 Владимир Валентинович Маловичко Способ резания овощей кусочк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978970B2 (ja) * 1995-12-27 1999-11-15 輝幸 金城 調理用スライサー
US5765472A (en) * 1997-02-10 1998-06-16 Kim; Sun Y. Fruit and vegetable hand slicer
JPH11318724A (ja) 1998-05-20 1999-11-24 Teruyuki Kaneshiro 調理用スライサー
JP3111987B2 (ja) * 1998-06-05 2000-11-27 輝幸 金城 調理用スライサー
DE19827077A1 (de) * 1998-06-18 1999-12-23 Leifheit Ag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Lebensmitteln
DE29821132U1 (de) * 1998-11-25 1999-12-02 Elm Plastic Gmbh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o.dgl.
JP3241676B2 (ja) * 1999-01-14 2001-12-25 株式会社貴 食品カッターと食品カッター用食品保持具
DE10054174B4 (de) * 2000-11-02 2004-01-22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Schneidgut
FR2825043B1 (fr) * 2001-05-28 2003-09-19 Buyer De Coupe-legumes manuel de securite
DE10328506B4 (de) * 2003-06-18 2005-05-04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Küchenhobel
US6805044B1 (en) * 2003-08-04 2004-10-19 Benriner Co., Ltd. Vegetable cutting utensil
DE102004038815B3 (de) * 2004-08-02 2006-04-20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Einsatz für einen Küchenhobel
US7712402B2 (en) * 2005-09-16 2010-05-11 Kyocera Tycom Corporation Adjustable slic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8046A (en) * 1958-11-19 1960-09-14 Popeil Samuel J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d cutters
US4624166A (en) * 1985-10-18 1986-11-25 Mike & Kremmel Limited Kitchen slicer having an adjustable kni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4216C (zh) 2008-07-23
EP1330341B1 (de) 2005-12-28
US7966737B2 (en) 2011-06-28
CN1531474A (zh) 2004-09-22
DE10054174A1 (de) 2002-06-06
US20070028460A1 (en) 2007-02-08
US20040031158A1 (en) 2004-02-19
DK1330341T3 (da) 2006-05-08
ES2254517T3 (es) 2006-06-16
KR20040011419A (ko) 2004-02-05
DE50108580D1 (de) 2006-02-02
WO2002036312A1 (de) 2002-05-10
ATE314178T1 (de) 2006-01-15
EP1330341A1 (de) 2003-07-30
US7146737B2 (en) 2006-12-12
DE10054174B4 (de) 200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387B1 (ko)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
US6082645A (en) Device for comminuting food products, especially vegetable slicer
US10131069B2 (en) Hand-held slicer
EP1955628B1 (en) Food Slicer and Grater
RU2344926C2 (ru) Кухонная ломтерезка
CA2355225C (en) Hand-held food processor
US7455005B2 (en) Adjustable slicing device
US4790488A (en) Utensil for cutting food materials
US6974098B2 (en) Culinary press with scraper
US8430387B2 (en) Leverage based cutting board systems
EP3213892A1 (en) A food holder for a food slicer, and a food slicer
KR20180034365A (ko) 슬라이서
KR20160059701A (ko)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RU2250161C2 (ru) Кухо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нарезания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US5383384A (en) Food product slicer
US5881621A (en) Food product slicer
KR100762309B1 (ko) 다용도 슬라이서
US20130312581A1 (en) Adjustable slicer and cutter
AU784965B2 (en) Kitchen appliance for cutting cuttable material
US20200338777A1 (en) Fry cutter and cuber
CN217728859U (zh) 一种切菜器
KR102094080B1 (ko) 마늘 세절기 및 마늘 세절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칼날 설치구조
US6186038B1 (en) Bagel slicer
JP3239223U (ja) 野菜調理器及び野菜調理器用補助具
KR101024682B1 (ko) 다기능 주방용 슬라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