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701A -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 Google Patents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701A
KR20160059701A KR1020140161519A KR20140161519A KR20160059701A KR 20160059701 A KR20160059701 A KR 20160059701A KR 1020140161519 A KR1020140161519 A KR 1020140161519A KR 20140161519 A KR20140161519 A KR 20140161519A KR 20160059701 A KR20160059701 A KR 2016005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ing
knife
rot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옥
Original Assignee
이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옥 filed Critical 이순옥
Priority to KR102014016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701A/ko
Publication of KR2016005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4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for performing several incisions simultaneously; Multiple-blad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8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for performing several incisions simultaneously; for cutting cubes

Abstract

본 발명은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 요리시 사용하는 주방용 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 등을 썰어주는 칼부재와 상기 칼부재를 장착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에 연결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칼부재가 3중블레이드로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3중블레이드(칼날)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개되어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나의 칼날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수직으로 전개시켜 하단의 칼날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여러 개의 칼날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각각 수평으로 전개시켜 3중블레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에 소요되는 식재료를 한 번에 다수 개(조각)로 간편하게 썰어줄 수 있도록 하여 요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a kitchen knife}
본 발명은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 요리시 사용하는 주방용 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 등을 썰어주는 칼부재와 상기 칼부재를 장착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에 연결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칼부재가 3중블레이드로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3중블레이드(칼날)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개되어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나의 칼날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수직으로 전개시켜 하단의 칼날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여러 개의 칼날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각각 수평으로 전개시켜 3중블레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에 소요되는 식재료를 한 번에 다수 개(조각)로 간편하게 썰어줄 수 있도록 하여 요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의 주방 등에서 요리시에 사용하는 소위 주방용 칼은 하나의 칼날(블레이드)을 손잡이에 연결 고정하여 식재료를 썰어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칼은 칼날이 하나로 되어 있어 식재료를 동일한 크기로 다수 개 잘라야 하는 경우 칼날을 잘라야 하는 갯 수만큼 조작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요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칼날이 구비되는 종래의 주방용 칼은 요리시 시간낭비와 인력낭비로 인한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칼자루)에 다수개의 칼날을 연결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칼이 다수 출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칼날이 구비되는 종래의 칼은 실용신안등록 제20-0190998호의 '여러개의 날을 지닌 조립형 식칼'과 등록실용신안 제20-0281014호의 '다중 칼날을 구비한 생선회 세절용 칼' 등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상기 '여러개의 날을 지닌 조립형 식칼'은 칼날부분과 손잡이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칼날부분은 날(2) 사이로 음식물이 끼지 않도록 칼날의 종단면(4)을 구성하였고 칼날(2)을 손잡이부분(1)의 홈(7)에 조립시 칼날이 앞, 뒤로 이동하는 것을 고정대(13)로 고정하기 구멍(3)을 만들었다.
손잡이부분(1)은 크게 윗커버(5)와 몸체(6)로 이루어 졌으며, 윗커버(5)는 조립시 몸체(6)와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나사홈을 만들었고, 몸체(6)는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에 칼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홈(7)을 만들었으며 칼날을 연결시킨 후에 날이 앞, 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대(13)가 칼날에 구성된 구멍(3)과 연결되도록 구멍(8)을 만들었다.
따라서 상기 '여러개의 날을 지닌 조립형 식칼'은 여러 개의 칼날을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하나의 칼자루에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다중 칼날을 구비한 생선회 세절용 칼'은 전방에 칼날 인출홀(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일측면에 안내홀(3)이 요철홈(3a)을 가지면서 형성된 몸체(4)와, 이 몸체(4)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칼날(5)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후방 덮개(6)와, 상기 몸체(4)에 결합되는 하판(7a)이 구비됨과 더불어 하판(7a)의 후방에 설치된 손잡이(7)와, 이 손잡이(7)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4)의 상부를 덮어줄 수 있도록 된상부덮개(8)와, 상기 몸체(4)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홀(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인출홀(2)의 전방에 인출됨과 더불어 각 칼날(5)의 길이가 차이를 갖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칼날(5)의 선단이 사선을 이루도록 된 다중 칼날(9)과, 상기안내홀(3)의 내측에서 칼날(5)의 후방에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부면에 체결돌기(10a)가 형성된 고정브라켓트(10) 및, 이 고정브라켓트(10)의 상부에서 탄성스프링(11)을 매개로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칼날(5)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칼날 인출용 버튼(12)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생선회를 적은 노력으로 보다 빠르게 잘라줄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KR 20-0190998 (등록번호) 2000.05.22. KR 20-0281014 (등록번호) 2002.06.25. KR 20-0316418 (등록번호) 2003.06.0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개의 날을 지닌 조립형 식칼'은 여러 개의 칼날을 손잡이에 설치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손잡이의 몸체가 커지게 되어 보관 및 관리의 불편함이 있고, 또 고정된 다수의 칼날 사이 사이를 닦아 줄 때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다.
또한 '여러개의 날을 지닌 조립형 식칼'은 다수의 칼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어 썰어야 할 식재료의 크기를 달리할 경우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하나의 칼날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칼을 바꾸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중 칼날을 구비한 생선회 세절용 칼'은 몸체 내부에 다수의 칼날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필요시에 각각 슬라이딩으로 전방에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 또한 몸체가 커서 관리가 불편하고 칼날을 세척할 때 이들을 일일이 개별적으로 닦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재료 등을 썰어주는 칼부재와 상기 칼부재를 장착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에 연결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칼부재가 3중블레이드로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3중블레이드(칼날)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개되어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나의 칼날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수직으로 전개시켜 하단의 칼날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여러 개의 칼날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각각 수평으로 전개시켜 3중블레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에 소요되는 식재료를 한 번에 다수 개(조각)로 간편하게 썰어줄 수 있도록 하여 요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재료를 잘게 썰을 수 있도록 하는 칼부재와, 상기 칼부재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의 후단을 형성하면서 이를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는 주방용 칼에 있어,
상기 칼부재는 3개의 칼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3중블레이드 구조로 되되, 상기 몸통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되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3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칼등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의 칼날이 끼워지면서 상하로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1요홈이 형성되고, 또 상기 제2블레이드의 칼등에도 상기 제3블레이드의 칼날이 끼워지면서 상하로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블레이드는 도마작업면과 수직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하게 전개되며; 상기 제3블레이드은 도마작업면과 수직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하게 전개되며; 상기 몸통부재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동시에 작동시켜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하 및 좌우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1블레이드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일직선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일측면과 수평하게 이격되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하 및 좌우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2블레이드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일직선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타측면과 수평하게 이격되어 평행이 되도록 하는 작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은 칼날을 몸체 내부에 상중하의 위치에 각각 설치하되 하단의 칼날만 고정되고 그 상부측에 설치되는 칼날이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하단의 칼날위로 나란히 수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칼날이 필요시에 하단의 칼날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다수의 칼날이 요구될 때 이들을 수평으로 전개하여 하단의 칼날과 각각 수평으로 하여 한번에 3중의 칼날이 식재료를 썰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를 간편하게 하는 동시에 요리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을 수직하게 정렬한 다음 이들 사이에 각각 틈이 향성되도록 하여 하나의 칼날을 세척하듯이 3중 칼날을 닦아줄 수 있어 칼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중 칼날의 간격을 간단하게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식재료의 두께를 필요한 크기로 조절하여 썰을 수 있어 요리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이 3중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로 전개 변형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이 수직으로 전개되어 하나의 칼날이 사용되는 사시상태도와 수평으로 전개되어 3중 칼날이 사용되는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에 대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에 구비되는 작동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의 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및 단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에 구비되는 작동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에 구비되는 작동부재의 작동 전과 작동 후 3개의 칼이 평행으로 전개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재료를 잘게 썰을 수 있도록 하는 칼부재(110)와, 상기 칼부재(110)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몸통부재(120), 및 상기 몸통부재(120)의 후단을 형성하면서 이를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재(130)로 구성되는 주방용 칼에 있어,
상기 칼부재(110)는 3개의 칼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3중블레이드 구조로 되되, 상기 몸통부재(120)에 연결 고정되는 제1블레이드(111)와,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하 및 좌우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도마 등과 같은 작업면과 수직(일직선)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와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하게 전개되도록 하는 제2블레이드(112), 및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하 및 좌우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도마 등과 같은 작업면과 수직(일직선)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와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하게 전개되도록 하는 제3블레이드(113)로 구성되고,
상기 몸통부재(120)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112)와 상기 제3블레이드(113)를 동시에 작동시켜 상기 제2블레이드(112)가 상하 및 좌우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일직선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일측면과 수평하게 이격되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제3블레이드(113)가 상하 및 좌우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일직선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타측면과 수평하게 이격되어 평행이 되도록 하는 작동부재(140)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140)에 작동에 의해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여 3개의 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가 서로 중첩되어 일직선으로 되면서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 하나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100)은 요리하고자 하는 식재료에 따라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를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전개하여 3개의 칼을 동시에 사용하게 할 수도 있고, 또 상기 제1블레이드(111) 위에 상기 제2블레이드(112)를 장착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112) 위에 상기 제3블레이드(113)를 장착하여 일직선상의 중첩 전개를 통해 제일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만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요리시에 식재료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를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한번에 식재료를 3등분으로 썰을 수 있어 요리가 간편하고 시간이 절약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칼등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칼날이 끼워지면서 상하로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1요홈(111a)이 형성되고, 또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칼등에도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칼날이 끼워지면서 상하로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요홈(11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140)를 작동시켜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상기 제1요홈(111a)에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칼날을 삽설 장착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상기 제2요홈(112a)에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칼날을 삽설 장착하게 되면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가 3중으로 중첩되어 도마 등과 같은 작업면에 수직하게 일직선으로 전개 변형되면서 맨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 하나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재(120)는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면서 그 중간부측의 가로 세로에 각각 봉형상의 가로고정축(121)과 세로고정축(122)이 고정 설치되고, 내부 상부측에는 양측벽면에 형성되는 원기둥형상의 고정돌기(123)에 양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각목형상의 사각회동축(124)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각회동축(124)에는 그 양단부측에 각각 삽설되되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형상의 제1캠플레이트(125)와 제2캠플레이트(12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각회동축(124)에는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를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링(Ring)부재(127)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를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링(Ring)부재(128)가 삽설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제2캠플레이트(126)가 각각 내측방향을 따라 탄성력으로 슬라이딩 복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축스프링부재(129)가 삽설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고정핀돌기(124b)가 단부에 형성되는 회동아암(124a)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124a)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사각회동축(124)이 회동되고 동시에 상기 사각회동축(124)에 삽설된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도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는 상기 사각회동축(124)에 사각으로 삽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길이방향으로는 왕복 슬라이딩이 가능하나 회전은 상기 사각회동축(124)과 함께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재(120)의 상부측에는 상기 칼부재(11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개 변형되도록 하는 상기 작동부재(140)가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설 구비되되,
상기 작동부재(140)는 상부면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작동시 이를 가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상면플레이트부(141a)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부(141b),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부(141c),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부(141d) 및 하면은 개방되도록 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메인작동부재(141)와,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링부재(127)가 일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링부재(128)가 타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상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어 상기 제1링부재(127)가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캠프레이트(125)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2링부재(128)가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캠프레이트(126)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작동부재(14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작동부재(142)가 하부로 눌려지게 되면 상기 제1,2링부재(127,128)가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좌우로 벌어지게 되며, 이로써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는 상기 제1,2링부재(127,128)에 의해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양단부측에 구비된 상기 회동축스프링부재(129)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제2캠플레이트(126)가 각각 내측방향을 따라 탄성력으로 슬라이딩 복원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사각회동축(124)이 회동되면서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2,3블레이드(112,113)가 상하로 회전되고 동시에 보조작동부재(142)가 작동되면서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를 좌우로 밀어 상기 제2,3블레이드(112,113)가 좌우로 벌어질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형성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41b)의 한 쪽면에는 제2고정핀돌기(143a)가 단부에 형성되는 작동아암(143)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아암(143)의 단부에는 상기 제2고정핀돌기(143a)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핀돌기(124a)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는 제1링크(Link)부재(144)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가 상하로 작동되면서 이와 연결 고정되는 상기 작동아암(143)이 상하로 작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링크부재(144)에 의해 상기 회동아암(124a)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사각회동축(124)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부(141c)에는 그 하단부측으로 고정바아(141ca)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아(141ca)의 단부에는 상기 세로고정축(122)에 삽설되면서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링(141c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형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요홈(141da)이 형성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2링부재(127,128)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되 하강시에 상기 제1,2링부재(127,128)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 그 벌어지는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삼각형플레이트(141db)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에는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단계별로 작동시켜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 사이의 이격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조절수단(15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수단(150)은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상기 상면플레이트부(141a)에 형성되는 설치구멍(141ab)에 끼워 회동시키는 회전레버(151)와,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151)에 그 상부측이 삽설 고정되어 상기 회전레버(151)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보조작동부재(142)의 상부면을 단차별로 가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재(15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재(152)에는 상기 회전레버(151)의 1차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의 상부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단턱부(152a)과 상기 제1단턱부(152a)보다 두껍게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레버(151)의 2차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의 상부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단턱부(152b)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152)는 상기 회전레버(151)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의 상부면을 지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152)는 상기 회전레버(151)를 회전시키지 않고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가압시키지 않고 그 측면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회전레버(151)를 1단으로 회전시킨 후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상기 제1단턱부(152a)의 두께만큼 더 하강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레버(151)를 2단으로 회전시킨 후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상기 제2단턱부(152b)의 두께만큼 더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리조절수단(150)은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회전레버(151)의 회전여부 및 그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상기와 같이 다단계로 가압하여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레버(151)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가 가장 적게 하강하게 되고 상기 회전레버(151)를 1단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가 상기 제1단턱부(152a)의 두께만큼 더 하강되게 되고, 또 상기 회전레버(151)를 2단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가 상기 제2단턱부(152b)의 두께만큼 더 하강되게 되어 1단으로 작동하는 것보다 더욱 깊게 하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는 상기 제1링부재(127)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1구멍(142a1)과 상기 제1구멍(142a1)에 대향되면서 형성되어 상기 제2링부재(128)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2구멍(142a2)으로 형성되는 몸통부(142a)와, 상기 몸통부(142a)의 상부면 후방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레버(1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단턱부(152a) 또는 상기 제2단턱부(152b)가 지지되도록 하는 후방지지턱(142b), 및 상기 몸통부(142a)의 상부면 전방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세로고정축(122)이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보조끼움링(142ca)이 형성되는 전방지지턱(14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부(141c)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링(141cb)은 상기 보조끼움링(142ca)의 하부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고정축(122)에 끼워져 삽설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부재(127)는 상기 사각회동축(124)에 삽설되고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원형링부(127a)와 상기 제1원형링부(127a)을 상단과 하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삽설 고정되는 제1링지지부(127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링지지부(127b)의 일단부에는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형성하는 상기 몸통부(142a)의 상기 제1구멍(142a1)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1지지돌기(127b1)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링지지부(127b)의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을 형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의 상기 역삼각형플레이트(141db)의 뾰족 측면경사면을 지지하는 제1슬라이딩돌기(127b2)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링부재(128)는 상기 사각회동축(124)에 삽설되고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원형링부(128a)와 상기 제2원형링부(128a)을 상단과 하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삽설 고정되는 제2링지지부(128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링지지부(128b)의 일단부에는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형성하는 상기 몸통부(142a)의 상기 제2구멍(142a2)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2지지돌기(128b1)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링지지부(128b)의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을 형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의 상기 역삼각형플레이트(141db)의 뾰족 측면경사면을 지지하는 제2슬라이딩돌기(128b2)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2링부재(127,128)은 마치 원형의 지구본이 지지대의 상하에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구성되는 원리와 유사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127b2)와 상기 제2슬라이딩돌기(128b2)는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에 형성된 상기 역삼각형플레이트(141db)가 상하 승강(昇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재(120)의 상부면 후방측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상승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제어부재(160)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작동제어부재(160)는 상기 몸통부재(120)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에 형성된 상기 요홈(141da)에 그 선단부가 끼워져 상기 메인작동부재(141)가 상승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작동몸체부(161)와, 상기 작동몸체부(161)의 후단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작동몸체부(161)를 탄성적으로 밀어주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된 제어부탄성부재(162), 및 상기 작동몸체부(161)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되되 상기 몸통부재(12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작동몸체부(161)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메인작동부재(141)가 상승되도록 하는 조작부(16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몸체부(161)의 선단부는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에 형성된 상기 요홈(141da)에 삽설이 용이하게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날부(16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누르면 상기 경사날부(161a)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작동몸체부(161)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탄성부재(162)가 탄성적으로 압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단계적으로 누를 수가 있는데 누를 때마다 상기 경사날부(161a)가 상기 요홈(141da)에 끼워지면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하강이 단계적으로 정지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한번에 하부까지 누르게 되면 상기와 같이 하부까지 눌려진 상태로 정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형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141)가 탄성적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재(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탄성부재(17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플레이트(145)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재(120)의 내측 바닥부에는 상기 승강탄성부재(170)가 삽설되는 스프링설치돌기(17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플레이트(145)에는 상기 스프링설치돌기(171)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구멍(14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눌러주면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탄성부재(170)가 상기 탄성지지플레이트(145)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플레이트(145)에 형성된 상기 끼움구멍(145a)에 상기 스프링설치돌기(171)가 끼워져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18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와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190)가 각각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링크부재(180)에는 상기 가로고정축(121)이 삽설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장공(18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링크부재(190)에도 상기 가로고정축(121)이 삽설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3장공(191)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사각회동축(124)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가 동시에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2링크부재(180)와 상기 제3링크부재(190)가 상기 가로고정축(121)을 중심으로 상기 제2장공(181)과 상기 제3장공(191)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정역회전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장공(181)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장공(19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장공(191)은 상기 제3링크부재(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부재(180)는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의 회동에 의해 상승 회전한 후 상기 가로고정축(121)이 상기 제2장공(181)의 끝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그 경사각에 의해 약간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보다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가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제2블레이드(113)가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의 크기 차이 및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에 형성되는 상기 제2장공(181)과 상기 제3장공(191) 형상을 달리하여 상기 제2블레이드(113)가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면서,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칼등에 형성된 상기 제1요홈(111a)에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칼날이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칼등에 형성된 상기 제2요홈(112a)에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칼날이 위치하게 되며, 이 순간 상기 승강탄성부재(170)가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상승시키려는 탄성력이 작용해 상기 제2블레이드(112)가 상기 제1요홈(111a)에 상기 제3블레이드(113)가 상기 제2요홈(112a)에 각각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블레이드(113)가 3중으로 중첩되어 작업면(도마)과 수직으로 구비(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부재(180)에는 그 일단부측에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링크제어돌기(18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블레이드(112)에는 상기 제2링크제어돌기(182)가 걸려져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회전이 정지되는 제2블레이드걸림돌기(11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제어돌기(182)에 상기 제2블레이드걸림돌기(112b)가 걸려지면서 상기 제2블레이드(112)가 상기 제1블레이드(111)와 평행하게 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링크부재(190)에도 그 일단부측에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링크제어돌기(19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3블레이드(113)에는 상기 제3링크제어돌기(192)가 걸려져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회전이 정지되는 제3블레이드걸림돌기(11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제어돌기(192)에 상기 제3블레이드걸림돌기(113a)가 걸려지면서 상기 제3블레이드(113)가 상기 제2블레이드(112)와 평행하게 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에는 제2링크부재(180)의 일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1캠돌기(125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블레이드(112)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180)의 타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2블레이드돌기(112c)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에는 제3링크부재(190)의 일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2캠돌기(126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블레이드(113)에는 상기 제3링크부재(190)의 타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3블레이드돌기(113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 중에 상기 제3블레이드(113)의 칼등 선단부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라운드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는 캠형상으로 되어 볼록부에 상기 제1,2캠돌기(125a,126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캠플레이트(125)의 하부측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18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제1캠걸림턱(125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캠플레이트(126)의 하부측에는 상기 제3링크부재(19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제2캠걸림턱(126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재(120)에는 그 내부를 개폐하여 구성품을 수리 교환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양측 측면부(120a)를 개폐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100)을 사용하는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을 살짝 눌러주게 되면 상기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가 약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3블레이드(112,113)가 약간 들려져 상기 제1요홈(111a)과 제2요홈(112a)에서 상기 제2,3블레이드(112,113)의 칼날이 각각 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작동제어부재(160)의 상기 작동몸체부(161)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날부(161a)가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에 형성된 상기 요홈(141da)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누름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작동킴으로써 상기 제2,3블레이드(112,113)가 각각 칼등에서 들려져 일직선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를 세척시켜 준다.
이어 상기 회전레버(151)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완전히 눌러준다.
그러면 상기 작동제어부재(160)의 상기 작동몸체부(161)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날부(161a)가 상기 제어부탄성부재(162)의 탄성력으로 후퇴하면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가 완전히 하단부까지 눌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날부(161a)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부(141d)에 형성된 맨 마지막 상기 요홈(141da)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상승을 막아 준다.)
이때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내면 천정부에 상기 작동제어부재(160)의 상기 작동몸체부(161) 상면이 함께 눌려지게 된다.
즉, 상기 메인작동부재(141)가 눌려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아암(143)이 하강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1링크부재(144)가 회전되고 이어 상기 회동아암(124a)이 회전되면서 상기 사각회동축(124)이 회동된다.
그러면 상기 사각회동축(124)이 회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가 회전되면서 이와 연결된 상기 제2,3링크부재(180,190)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작동부재(142)가 눌려지면서 상기 제1,2링부재(127,128)의 상부측을 눌러줌에 따라 상기 제1,2링부재(127,128)가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밀려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가 각각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밀려지면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가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벌어지면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에 연결된 상기 제2,3링크부재(180,190)가 각각 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블레이드(112)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좌측으로 상기 제3블레이드(113)는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우측으로 벌어지면서 하강하게 되어 상기 2,3블레이드(112,113)가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좌우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전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를 상하 및 좌우로 작동시켜 이들이 서로 평행하게 전개 변형되도록 하여 3개의 칼날을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 한번에 3개의 칼날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제어부재(160)의 상기 작동몸체부(161)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163)을 뒤로 당겨 주면 상기 메인작동부재(141)가 상기 승강탄성부재(170)의 탄성력으로 상승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기능과는 반대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상부측으로 상기 제2블레이드(112)가 장착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112)의 상부측으로 상기 제3블레이드(113)가 장착되면서 수직으로 전개 변형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111) 하나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칼날 간격을 더 벌려주기 위해서,
상기 회전레버(151)를 1단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를 완전히 눌러준다.
그러면 상기 거리조절수단(150)에 구비된 상기 회전레버(1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152)에 형성된 상기 제1단턱부(153a)가 상기 보조작동부재(142)에 형성된 상기 후방지지턱(142b)에 걸려 지지된 상태로 눌려지게 된다.
이로써, 상기 후방지지턱(142b)에 걸려진 상기 제1단턱부(153a)의 두께만큼 상기 보조작동부재(142)가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에 의해 더 깊게 하강한다.
그러면 상기 보조작동부재(142)가 눌려지면서 상기 제1,2링부재(127,128)의 상부측을 눌러줌에 따라 상기 제1,2링부재(127,128)가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더 많이 밀려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가 각각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더 많이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2캠플레이트(125,126)가 각각 상기 사각회동축(124)을 따라 더 많이 벌어지는 만큼 상기 제1블레이드(111)의 좌우측으로 상기 제2,3블레이드(112,113)가 더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거리조절수단(150)에 의해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 사이의 간격을 1단계로 더 벌려줄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거리조절수단(150)의 상기 회전레버(151)를 2단으로 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단턱부(153a) 보다 더 두꺼운(높은) 상기 제2단턱부(152b)가 상기 보조작동부재(142)를 눌러줌으로써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 사이의 간격을 2단계로 더욱 많이 벌려줄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거리조절수단(150)에 의해 상기 제1,2,3블레이드(111,112,1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3개의 칼날을 한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 작동이 가능함으로써 식재료의 절단을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요리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은 식재료 등을 썰어주는 칼부재와 상기 칼부재를 장착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에 연결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칼부재가 3중블레이드로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3중블레이드(칼날)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개되어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나의 칼날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수직으로 전개시켜 하단의 칼날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여러 개의 칼날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3중블레이드를 각각 수평으로 전개시켜 3중블레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에 소요되는 식재료를 한 번에 다수 개(조각)로 간편하게 썰어줄 수 있도록 하여 요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 수 있다
100: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110:칼부재 111:제1블레이드 112:제2블레이드 113:제3블레이드
111a:제1요홈 112a:제2요홈 112b:제2블레이드걸림돌기
112c:제2블레이드돌기
113a:제3블레이드걸림돌기 113b:제3블레이드돌기
120:몸통부재 120a:측면부
121:가로고정축 122:세로고정축 123:고정돌기 124:사각회동축
124a:회동아암 124b:제1고정핀돌기 125:제1캠플레이트
125a:제1캠돌기 125b:제1캠걸림턱 126:제2캠플레이트 126a:제2캠돌기
126b:제2캠걸림턱 127:제1링부재 127a:제1원형링부
127b:제1링지지부 127b1:제1지지돌기 127b2:제1슬라이딩돌기
128:제2링부재 128a:제2원형링부 128b:제2링지지부
128b1:제2지지돌기 128b2:제2슬라이딩돌기 129:회동축스프링부재
130:손잡이부재
140:작동부재
141:메인작동부재 141a:상면플레이트부 141ab:설치구멍
141b:측면플레이트부 141c:전면플레이트부 141ca:고정바아
141cb:끼움링 141d:후면플레이트부 141da:요홈
141db:역삼각형플레이트 142:보조작동부재 142a:몸통부
142a1:제1구멍 142a2:제2구멍 142b:후방지지턱
142c:전방지지턱 142ca:보조끼움링 143:작동아암
143a:제2고정핀돌기 144:제1링크부재 145:탄성지지플레이트
145a:끼움구멍
150:거리조절수단 151:회전레버 152:조절부재
152a:제1단턱부 152b:제2단턱부
160:작동제어부재 161:작동몸체부 161a:경사날부
162:제어부탄성부재 163:조작부
170:승강탄성부재 171:스프링설치돌기
180:제2링크부재 181:제2장공 182:제2링크제어돌기
190:제3링크부재 191:제3장공 192:제3링크제어돌기

Claims (14)

  1. 식재료를 잘게 썰을 수 있도록 하는 칼부재와, 상기 칼부재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의 후단을 형성하면서 이를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는 주방용 칼에 있어,
    상기 칼부재는 3개의 칼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3중블레이드 구조로 되되, 상기 몸통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되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3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칼등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의 칼날이 끼워지면서 상하로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1요홈이 형성되고, 또 상기 제2블레이드의 칼등에도 상기 제3블레이드의 칼날이 끼워지면서 상하로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요홈이 형성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도마작업면과 수직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하게 전개되며;
    상기 제3블레이드은 도마작업면과 수직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호 평행하게 전개되며;
    상기 몸통부재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동시에 작동시켜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하 및 좌우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1블레이드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일직선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일측면과 수평하게 이격되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하 및 좌우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2블레이드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일직선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타측면과 수평하게 이격되어 평행이 되도록 하는 작동부재가 구비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는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면서 그 중간부측의 가로 세로에 각각 봉형상의 가로고정축과 세로고정축이 고정 설치되고, 내부 상부측에는 양측벽면에 형성되는 원기둥형상의 고정돌기에 양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각목형상의 사각회동축이 설치 구비되고,
    또한 상기 사각회동축에는 그 양단부측에 각각 삽설되되 상기 사각회동축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사각회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형상의 제1캠플레이트와 제2캠플레이트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사각회동축에는 상기 제1캠플레이트를 상기 사각회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링부재와, 상기 제2캠플레이트를 상기 사각회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링부재가 삽설 구비되고,
    또한 상기 사각회동축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제1캠플레이트와 제2캠플레이트가 각각 내측방향을 따라 탄성력으로 슬라이딩 복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축스프링부재가 삽설 구비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측에는 상기 칼부재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개 변형되도록 하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설 구비되되,
    상기 작동부재는 상부면으로 형성되면서 가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상면플레이트부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부,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부 및 하면은 개방되도록 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메인작동부재와, 상기 메인작동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링부재가 일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링부재가 타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작동부재의 상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어 상기 제1링부재가 상기 사각회동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캠프레이트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2링부재가 상기 사각회동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캠프레이트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작동부재로 구성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회동축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사각회동축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고정핀돌기가 단부에 형성되는 회동아암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메인작동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의 한 쪽면에는 제2고정핀돌기가 단부에 형성되는 작동아암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작동아암의 단부에는 상기 제2고정핀돌기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핀돌기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는 제1링크부재가 설치 구비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작동부재는 상기 제1링부재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1구멍과 상기 제1구멍에 대향되면서 형성되어 상기 제2링부재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2구멍으로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면 후방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단턱부 또는 상기 제2단턱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후방지지턱, 및 상기 몸통부의 상부면 전방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세로고정축이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보조끼움링이 형성되는 전방지지턱으로 구성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사각회동축에 삽설되고 상기 사각회동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원형링부와 상기 제1원형링부을 상단과 하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삽설 고정되는 제1링지지부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링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구멍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1지지돌기가 형성 구비되며,
    상기 제2링부재는 상기 사각회동축에 삽설되고 상기 사각회동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원형링부와 상기 제2원형링부을 상단과 하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삽설 고정되는 제2링지지부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링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구멍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제2지지돌기가 형성 구비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작동부재의 상기 후면플레이트부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 구비되고, 또 상기 후면플레이트부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2링부재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되 하강시에 상기 제1,2링부재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삼각형플레이트가 형성 구비되며,
    상기 제1링지지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역삼각형플레이트의 뾰족 측면경사면을 지지하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제2링지지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역삼각형플레이트의 뾰족 측면경사면을 지지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형성 구비되되,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와 상기 제2슬라이딩돌기는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서 상기 역삼각형플레이트가 상하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작동부재(141)에는 상기 보조작동부재를 단계별로 작동시켜 상기 제1,2,3블레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조절수단이 설치 구비되되,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상면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설치구멍에 끼워 회동시키는 회전레버와, 상기 메인작동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에 그 상부측이 삽설 고정되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보조작동부재의 상부면을 단차별로 가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재로 구성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회전레버의 1차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작동부재의 상부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단턱부와 상기 제1단턱부에서 이보다 두껍게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레버의 2차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작동부재의 상부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단턱부가 형성 구비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면 후방측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의 상승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제어부재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작동제어부재는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요홈에 그 선단부가 끼워져 상기 메인작동부재가 상승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작동몸체부와, 상기 작동몸체부의 후단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작동몸체부를 탄성적으로 밀어주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된 제어부탄성부재, 및 상기 작동몸체부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되되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작동몸체부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메인작동부재가 상승되도록 하는 조작부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몸체부의 선단부는 끝단부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날부가 형성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캠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가 각각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링크부재에는 상기 가로고정축이 삽설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링크부재에도 상기 가로고정축이 삽설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3장공이 형성 구비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재에는 그 일단부측에 상기 제2블레이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링크제어돌기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블레이드에는 상기 제2링크제어돌기가 걸려져 상기 제2블레이드의 회전이 정지되는 제2블레이드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부재에도 그 일단부측에 상기 제3블레이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링크제어돌기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블레이드에도 상기 제3링크제어돌기가 걸려져 상기 제3블레이드의 회전이 정지되는 제3블레이드걸림돌기가 형성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의 내측 바닥부에는 상기 메인작동부재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탄성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메인작동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플레이트가 더 설치 구비되는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KR1020140161519A 2014-11-19 2014-11-19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KR20160059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519A KR20160059701A (ko) 2014-11-19 2014-11-19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519A KR20160059701A (ko) 2014-11-19 2014-11-19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701A true KR20160059701A (ko) 2016-05-27

Family

ID=5610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519A KR20160059701A (ko) 2014-11-19 2014-11-19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7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2500A1 (en) * 2022-04-26 2023-11-02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blade adjustable knife
USD1025724S1 (en) 2022-04-26 2024-05-07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ple blade adjustable knife
USD1025723S1 (en) 2022-04-26 2024-05-07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ple blade adjustable knife
USD1026583S1 (en) 2022-04-26 2024-05-14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ple blade adjustable knif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2500A1 (en) * 2022-04-26 2023-11-02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blade adjustable knife
USD1025724S1 (en) 2022-04-26 2024-05-07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ple blade adjustable knife
USD1025723S1 (en) 2022-04-26 2024-05-07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ple blade adjustable knife
USD1026583S1 (en) 2022-04-26 2024-05-14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ple blade adjustable knife
USD1026582S1 (en) 2022-04-26 2024-05-14 Tyson Kyle Kidwell Rohde Multiple blade adjustable knif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766B2 (en) Food dicer
US976345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foods
DK2581184T3 (en) Food cutting devices
US6209439B1 (en) Garlic cutter
EP1955628B1 (en) Food Slicer and Grater
KR100833387B1 (ko)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
JP6170177B2 (ja) 食品の粉砕のための器具
KR20160059701A (ko)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US20070245566A1 (en) Cake cutter and server
EP3213892B1 (en) A food holder for a food slicer, and a food slicer
US2991814A (en) Food cutter
JP2016528003A (ja) 食材細断装置
CA2731631A1 (en) Kitchenware appliance and/or food preparation apparatus
CN201419412Y (zh) 手动切片切丝机
DK2370235T3 (en) MANDOLIN IRON
CN104802200A (zh) 手动切菜器
KR200477265Y1 (ko) 다용도 스파이럴 슬라이서
US20100162869A1 (en) Mandoline having adjustable infeed and outfeed decks
KR102115549B1 (ko) 다용도 채칼
CN105818170A (zh) 通用三刃波浪纹中空切片刀
US20170348868A1 (en) Spiralizing mandolin
US940830A (en) Vegetable-cutter.
CN208645498U (zh) 一种土豆切条机
KR101537754B1 (ko) 자동 슬라이서
JP2003135294A (ja) 切断可能な材料を切断するための台所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