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152B1 -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152B1
KR100833152B1 KR1020060002649A KR20060002649A KR100833152B1 KR 100833152 B1 KR100833152 B1 KR 100833152B1 KR 1020060002649 A KR1020060002649 A KR 1020060002649A KR 20060002649 A KR20060002649 A KR 20060002649A KR 100833152 B1 KR100833152 B1 KR 100833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vable body
shaped portion
coi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135A (ko
Inventor
노리후미 사타
타케후미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2K99/20Motors

Abstract

대략 세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형상의 중앙부가 전방 위치에서 다시 두 갈래로 분기 형성되고, 그 두 갈래 선단부의 각각이, 대응하는 각 측변부에 대하여 근접 상태로 배치된 본체부를 이용하여, 그 본체부의 각 측변부에 적어도 코일을 고정 상태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두 갈래 선단부의 전단을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시킨 구성으로 하여, 코일에 통전하여 발생하는 두 갈래 선단부의 미소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체가 이동되는 것으로 하였다.
액츄에이터

Description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 전자기기{Actuator structure and actuator blo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로서의 렌즈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로서의 렌즈 모듈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로서의 렌즈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로서의 렌즈 모듈의 요부인 렌즈 유닛을 상방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렌즈 모듈의 단면도.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기기의 가동 기구부를 구성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전화 등이 보급되어 렌즈 모듈을 포함하여 각종 구성 부분에 대한 소형화 및 고기능화의 요망이 높다.
이 종류의 종래의 렌즈 모듈로는 스프링과 보이스 코일 등을 조합시킨 구성의 것이 범용적으로 이용된다. 그 종래의 렌즈 모듈의 구성을 도 6에 나타낸다.
종래의 렌즈 모듈은 도 6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2)과 요크(3)로 이루어지는 갭부 내에, 렌즈(6)를 고정하고 있는 지지틀(5)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틀(5)의 하단 위치에는 보이스 코일(4)이 배치되어 있다. 그와 함께, 그 지지틀(5)과 요크(3) 사이에 스프링(7)이 배치되어 렌즈 모듈(1)로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동작으로는 보이스 코일(4)에 상방향의 전자력이 작용하도록 전류를 흘려, 그 전자력과 스프링(7)의 복원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지지틀(5), 즉 렌즈(6)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출원의 발명에 관련된 선행 기술 문헌 정보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207708호 공보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렌즈 모듈에 있어서는 그 액츄에이터 구조의 부분이 마그넷(2), 요크(3) 및 보이스 코일(4)로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그 배치 위치도 통형상의 외주 전주에서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형상이 크게 되어, 이것을 탑재하는 측의 기기측에서의 장착 면적도 넓은 면적이 필요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 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구조는 후방측이 고정 부재에 고정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봉 형상부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봉 형상부에 배치된 코일과, 봉 형상부의 어느 한 쪽의 전방측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체로 이루어지며,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하는 측의 봉 형상부에 미소 동작을 발생시키고, 그에 수반하여 가동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봉 형상의 하변부와, 봉 형상의 중앙부와, 봉 형상의 상변부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저변부에 이어져 구성되는 본체부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체를 구비하며, 중앙부의 선단이 하방부와 상방부로 분기하고, 하변부와 상변부에는 각각 하코일과 상코일이 배치되며, 하변부 및 상변부의 저변부측과 반대측의 단부, 또는 하방부 및 상방부의 단부 중 어느 한 쪽의 단부가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되며, 하코일 또는 상코일에 통전함으로써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하는 측의 봉 형상의 부분에 미소 동작을 발생시키고, 그에 수반하여 가동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피구동 부재의 측면부에 상기 피구동 부재의 이동 방향에 맞추어 가동체가 되는 부위를 소정폭으로만 배치함과 동시에, 가동체에 작용하여 가동체를 통하여 피구동 부재를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구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가동 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에 통전하여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시킨 측의 봉 형상부의 미소 동작을 발생시키고, 그에 수반하여 가동체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지 않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사용기기측의 장착 면적의 저감화 등에도 기여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액츄에이터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체부(21)는 후방측의 저변부(22)의 양단이 측변부(23)로 되어 있으며, 저변부(22)의 중앙 위치로부터 봉 형상의 중앙부(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변부(23)는 하변부(23A)와 상변부(23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들이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저변부(22)로부터 전방을 향해 직선 봉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동시에, 저변부(22)의 중앙 위치로부터 측변부(23)에 평행하게 봉 형상의 중앙부(24)가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소위 세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변부(22)는 이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봉 형상의 중앙부(24)는 전방 위치에서 다시 두 갈래로 분기 형성되어, 두 갈래 선단부(2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두 갈래 선단부(25)는 하방부(25A)와 상방부(25B)로 분기하고 있다. 하방부(25A)와 상방부(25B)는 각각 하변부(23A)와 상변부(23B)에 대하여 근접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하방부(25A)와 상방부(25B)의 전단 위치는 각 측변부(23)의 전단 위치보다도 약간 전방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하방부(25A)와 상방부(25B)의 전단 형상은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가공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21)는 철 등의 자기를 통하게 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각 부위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각 측변부(23)와 봉 형상의 중앙부(24)의 직선부 각각에는 코일(31)과 중앙 코일(32)이 고정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각 측변부(23)의 하변부(23A)에는 하코일(31A)이 장착되어 있고, 상변부(23B)에는 상코일(31B)이 각각 고정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한편, 가동체(41)는 본체부(21)의 전방측에 배치된 철 등의 자기를 통하게 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가동체이다. 이 가동체(41)는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본체부(21)측에 스프링이나 탄성체 등으로 밀어 붙여져 있으며, 하방부(25A)와 상방부(25B)의 각 전단은 가동체(41)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맞닿은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하변부(23A)와 상변부(23B)의 전단은 가동체(41) 표면에 대하여 약간의 틈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이 가동체(41)는 본체부(21)에 있어서의 하변부(23A), 하방부(25A), 상방부(25B)와, 상변부(23B)가 배열되는 길이 방향측(도 1에 기재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츄에이터 블록(51)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코일(31A)과 중앙 코일(32)에 소정 전류를 흘려 하변부(23A)와 봉 형상의 중앙부(24)를 자화(磁化)시킨다. 그로 인해 하변부(23A), 저변부(22), 봉 형상의 중앙부(24), 하방부(25A), 가동체(41), 하변부(23A)로 이루어지는 루프 형상으로 자기가 발생한다. 그러면, 가동체(41)가 하방부(25A)와 하변부(23A)로 끌어 당겨져 하방부(25A)에 하방측으로 미소하게 기울어지는 동작이 발생하고, 가동체(41)에 도 1에서의 하방측으로 향하는 힘의 성분이 가해진다. 그 결과, 가동체(41)는 도 1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하방측으로의 미소 이동을 수행한다. 하코일(31A)과 중앙 코일(32)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면, 하방부(25A)는 가동체(41)에 대하여 미끄러져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데, 가동체(41)는 당초 위치보다 하방으로 소정량 이동한 위치에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가동체(41)의 봉 형상의 중앙부(24)측의 표면이 연마된 것을 이용하면, 가동체(41)의 표면을 봉 형상의 중앙부(24)가 미끄러질 때의 마찰력이 적어지는 분만큼 가동체(41)의 이동이 부드럽게 된다. 통전 및 정지를 소정의 단시간으로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가동체(41)는 순차 하방으로 이동되어 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와 마찬가지로 상코일(31B)과 중앙 코일(32)에 소정 전류를 흘려 상변부(23B)와 봉 형상의 중앙부(24)를 자화(磁化)시킨다. 그로 인해, 상변부(23B), 저변부(22), 봉 형상의 중앙부(24), 상방부(25B), 가동체(41), 상변부(23B)로 이루어지는 루프 형상으로 자기가 발생한다. 그러면, 가동체(41)가 상방부(25B)와 상변부(23B)로 끌어 당겨져 상방부(25B)에 상방측으로 미소하게 기울어지는 동작이 발생하고, 가동체(41)에 도 1에서의 상방측으로 향하는 힘의 성분이 가해진다. 그 결과, 가동체(41)는 도 1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상방측으로의 미소 이동을 수행한다. 상코일(31B)과 중앙 코일(32)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면, 상방부(25B)는 가동체(41)에 대하여 미끄러져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데, 가동체(41)는 당초 위치보다 상방으로 소정량 이동한 위치에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 및 정지를 소정의 단시간으로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가동체(41)는 순차 상방으로 이동되어 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액츄에이터 블록(51)은 평판 형상의 가동체(41)를 상하 방향 등의, 하변부(23A), 하방부(25A), 상방부(25B), 상변부(23B)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이면, 보이스 코일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도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액츄에이터 블록(51)은 가동체(41)를 상하 방향 어느 쪽으로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츄에이터 블록(51)을 설명하였으나, 그 하방측 또는 상방측 부분만의 구성으로 하여 가동체(41)를 한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그 경우에 필요로 하는 코일은 최소 하나이면 족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코일(32)이 더 장착된 것에 있어서는 중앙 코일(32)을 포함하여 통전함으로써, 본체부(21)에서의 자기를 높여 가동체(41)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자기를 서로 상쇄시키도록 통전하거나 하는 것 등도 가능하여, 그들을 조합하여 가동체(41)의 이동 제어를 폭넓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블록(51)은 봉 형상의 중앙부(24)의 두 갈래 선단부(25)가 가동체(41)에 접하고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측변부(23)의 전단, 즉 하변부(23A)나 상변부(23B)를 두 갈래 선단부(25), 즉 하방부(25A)나 상방부(25B)의 전단 위치보다도 돌출시켜, 그들의 전단만을 가동체(41)에 접촉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부(21)나 가동체(41)의 재질로는 연자성체로 구성해 두면, 작동시 가동체(41)의 부드러운 이동 상태 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연자성체라 함은 투자(透磁)율이 높고 보자(保磁)력이 작은 재료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체(41)는 후방으로부터 밀어 붙여진 것으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가동체를 약한 자기를 띤 것으로 구성하거나, 그것과는 반대로 본체부(21)에 영구 자석을 포함시키거나 하여 본체부(21) 그 자체를 약한 자기를 띤 것으로 구성해 두면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동체(41)를 밀어 붙이는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가동체와 본체부는 흡착되어 지지되어, 이동 후를 포함하여 가동체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약한 자기를 띤 것'이라 함은 '코일(31이나 32)에 통전하여 얻어지는 자기보다도 약한 자기를 띤 것'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본체부(21)도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측변부(23)와 봉 형상의 중앙부(24)를 별개의 봉 형상으로 하여 고정 부재에 고정하고, 전자석의 자기가 그 고정 부재를 통하여 루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구성이나, 각 측변부(23), 즉 하변부(23A)나 상변부(23B)마다에 대응하는 두 개의 봉 형상의 중앙부를 독립하여 배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렌즈 모듈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구조의 전자 기기에 대한 사용 사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로서의 렌즈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2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렌즈 유닛(71)은 렌즈(72)를 구비한 내통부(73)가 외통부(74) 내에 고정되고, 그 외통부(74)가 케이스(70)의 통형상부(70B) 내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74)는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70B)는 가동체(41)의 배치 위치가 되는 부분이 축선 방향으로 잘라 내어져 있다. 이 렌즈 유닛(71)이 피구동 부재가 된다.
또한, 상기 배치 상태에서, 렌즈(72)의 하방 위치에 대응한 케이스(70) 내의 위치에는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데,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부(74)의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소정폭으로 형성된 가동체(41)가 고정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가동체(41)는 약한 자기를 띤 것으로 구성 되어 있다. 또한, 가동체(41)의 외면은 통형상부(70B)에 설치된 상기 절삭 부분에서 노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가동체(41)에 대응시켜 상기에 설명한 액츄에이터 블록(51)이 배치되고, 본체부(21)의 후방측의 저변부(22)는 고정 부재로서 이루어지는 케이스(70)의 고정용 돌기(70A)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블록(51)과 가동체(41)의 배치 관계 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액츄에이터 블록(51)은 보이스 코일 등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콤팩트한 구성이기 때문에, 외통부(74)의 외측면부의 일부에만 집약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블록(51)의 배치시에 필요한 사용 기기측의 장착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사용 기기측의 장착 면적의 저감화 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렌즈 모듈(75)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동작으로는, 액츄에이터 블록(51)의 코일(31) 등에 상술한 바와 같이 통전하여 가동체(41)를 축선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키고, 그로 인해 외통부(74)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통부(73) 내의 렌즈(72)와 촬상 소자간의 거리를 바꾸어 초점 등을 맞추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로서의 렌즈 모듈의 요부인 렌즈 유닛을 상방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2의 상태에서 외통부(74) 즉 렌즈 유닛(71)을 상방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5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외통부(74)는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 구성의 것은 중간 위치 등에서의 정지 상태로 부터 외통부(74)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위치로부터의 이동시보다도 효율적으로 렌즈(72)의 위치 조정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로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렌즈 모듈(75)은 전체적으로 공간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어, 기기의 소형, 경량화 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렌즈 모듈(75)의 변형 사례로는, 가동체(41)를 자화되지 않은 것으로 하는 동시에 액츄에이터 구조도 가동체(41)를 상방으로만 이동시키는 구조로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액츄에이터 구조를 작동시켜 렌즈 유닛(71)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고, 그 후 코일(31) 등으로의 통전을 정지하였을 때 가동체(41)가 지지되지 않고 이동 전의 기준 위치로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구성의 렌즈 모듈(75)을 동축 형상으로 복수 조합시키고, 개개의 렌즈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여 줌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이 액츄에이터 구조는 콤팩트한 구성이기 때문에 공간을 줄여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액츄에이터 구조는 렌즈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기기나 전자 부품에 있어서 각종 가동 기구부에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용도는 렌즈 모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 전자기기는 액츄에이터 구조로서,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시 킨 측의 봉 형상부의 미소 동작을 발생시킨다. 그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체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사용 기기측의 장착 면적의 저감화 등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며, 각종 전자기기의 가동 기구부를 구성할 때 등에 유용하다.

Claims (8)

  1.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서로 평행한 제 1 봉 형상부와 제 2 봉 형상부를 갖는 본체부와,
    적어도 상기 제 1 봉 형상부와 상기 제 2 봉 형상부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된 코일과,
    상기 제 1 봉 형상부와 상기 제 2 봉 형상부 중 어느 한 쪽의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된 상기 일단과 반대측의 타단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통전하면, 상기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하는 측의 상기 제 1 봉 형상부와 상기 제 2 봉 형상부 중 어느 한 쪽에 미소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미소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체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연자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체가 상기 제 1 봉 형상부와 상기 제 2 봉 형상부 중 어느 한쪽으로 밀어 붙여져 있는 액츄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와, 상기 제 1 봉 형상부 및 상기 제 2 봉 형상부를 갖는 본체부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코일에 통전하여 얻어지는 자기보다도 약한 자기를 띠고 있는 액츄에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 형상부와 상기 제 2 봉 형상부와 상기 가동체가 연자성체 재질로 구성된 액츄에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의 상기 제 1 봉 형상부와 상기 제 2 봉 형상부측의 표면이 연마되어 있는 액츄에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봉 형상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봉 형상부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봉 형상부, 상기 제 2 봉 형상부에 평행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하변부인 제 3 봉 형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봉 형상부는 상변부, 상기 제 2 봉 형상부는 중앙부, 상기 고정 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저변부이고,
    상기 중앙부의 선단이 하방부와 상방부로 분기하고, 상기 하변부와 상기 상변부에는 각각 하코일과 상코일이 배치되며, 상기 하변부와 상기 상변부의 상기 저변부측과 반대측의 단부, 및 상기 하방부와 상기 상방부의 단부 중 어느 한 쪽의 단부가 상기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코일과 상기 상코일 중 어느 한 쪽에 통전하면, 상기 가동체에 맞닿은 상태로 접촉하는 측의 상기 상변부와 상기 하변부 중 어느 한 쪽에 미소 동작이 발생하고, 상기 미소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체가 이동하는 액츄에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에 배치된 중앙 코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8. 피구동 부재의 측면부에 상기 피구동 부재의 이동 방향에 맞추어 가동체를 소정폭으로만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체에 작용하여 상기 가동체를 통해 상기 피구동 부재를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제 1항에 기재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060002649A 2005-01-14 2006-01-10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전자기기 KR100833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7387 2005-01-14
JP2005007387 2005-01-14
JP2005052811A JP2006223081A (ja) 2005-01-14 2005-02-28 アクチュエータ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ブロック、ならびに電子機器
JPJP-P-2005-00052811 200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135A KR20060083135A (ko) 2006-07-20
KR100833152B1 true KR100833152B1 (ko) 2008-05-28

Family

ID=3609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649A KR100833152B1 (ko) 2005-01-14 2006-01-10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11597B2 (ko)
EP (1) EP1681758A1 (ko)
JP (1) JP2006223081A (ko)
KR (1) KR100833152B1 (ko)
CN (1) CN1003801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4533B (en) * 2006-05-29 2008-03-11 Young Optics Inc Lens module
DE502007000822D1 (de) * 2006-10-23 2009-07-16 Pilz Auslandsbeteiligungen Gmb Zuhaltevorrichtung
TWI409568B (zh) * 2008-05-23 201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微致動器元件、微致動器及鏡頭模組
JP2011118259A (ja) * 2009-12-07 2011-06-16 Canon Inc 鏡筒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1141517A (ja) * 2009-12-11 2011-07-21 Panasonic Corp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US8451080B2 (en) * 2011-02-16 2013-05-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agnetic field focusing for actuator applications
KR101289094B1 (ko) * 2011-07-29 2013-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모터
US8736128B2 (en) 2011-08-10 2014-05-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hree dimensional magnetic field manipulation in electromagnetic devices
US8570128B1 (en) 2012-06-08 2013-10-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agnetic field manipulation devices and actuators incorporating the same
US9231309B2 (en) 2012-07-27 2016-01-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amaterial magnetic field gui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837A (ja) 1999-06-25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7009516A (ja) * 2005-06-30 2007-01-18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ドア駆動制御装置
JP2007009706A (ja) * 2005-06-28 2007-01-18 Kawasaki Heavy Ind Ltd 冷却水用リザーバタンクの配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4624A (en) * 1981-07-14 1985-08-13 Canon Kabushiki Kaisha Construction of lens barrel ope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US5013223A (en) * 1987-08-20 1991-05-07 Takatsuki Electric Mfg. Co., Ltd. Diaphragm-type air pump
JP2766286B2 (ja) 1989-01-27 1998-06-18 株式会社東芝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FR2648633B1 (fr) * 1989-06-16 1991-10-04 Moving Magnet Tech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monophase de faible encombrement
JP2881959B2 (ja) * 1990-05-21 1999-04-1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用レンズ鏡筒
US5182481A (en) * 1990-05-28 1993-01-26 Sony Corporation Voice coil type actuator
FR2682542B1 (fr) * 1991-10-11 1994-10-14 Moving Magnet Tech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comportant une structure statorique a trois poles de longueurs differentes et distributeurs pneumatiques mettant en óoeuvre de tels actionneurs.
US5175457A (en) * 1991-10-28 1992-12-29 Mechanical Technology Incorporated Linear motor or alternator plunger configuration using variable magnetic properties for center row and outer rows of magnets
JP2645212B2 (ja) * 1993-12-20 1997-08-25 株式会社東芝 インチワーム装置
JPH1123941A (ja) * 1997-07-07 1999-01-29 Tdk Corp 可動コイル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付きレンズ鏡筒
WO1999039843A1 (fr) * 1998-02-06 1999-08-12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et structure de support destinee a ce dernier
FR2774824B1 (fr) * 1998-02-09 2000-04-28 Moving Magnet Tech Actionneur lineaire ameliore
JP4073584B2 (ja) * 1998-11-04 2008-04-09 株式会社ミクニ 弁駆動装置
JP2001126921A (ja) * 1999-10-27 2001-05-11 Honda Motor Co Ltd 電磁アクチュエータのコア
JP2001126919A (ja) * 1999-10-28 2001-05-11 Honda Motor Co Ltd 電磁アクチュエータ
RU2271579C2 (ru) * 2000-02-24 2006-03-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Оптическое ска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птический проигрыватель, содержащий оптическое ска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2119075A (ja) * 2000-10-03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3822434B2 (ja) * 2000-12-13 2006-09-20 株式会社リコー 対物レンズ駆動装置
FR2826504B1 (fr) * 2001-06-25 2003-09-1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ctionneur magnetique a temps de reponse reduit
DE20114466U1 (de) * 2001-09-01 2002-01-03 Eto Magnetic Kg Elektromagnetische Stellvorrichtung
JP2003154315A (ja) * 2001-11-22 2003-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5515741A (ja) 2001-12-21 2005-05-26 ビーイーアイ・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平面コイルを有するリニア・ボイス・コイル・アクチュエータ
JP2003207708A (ja) 2002-01-11 2003-07-25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FR2836755B1 (fr) * 2002-03-01 2004-08-20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a force d'attraction controlee
US6700230B1 (en) * 2002-10-18 2004-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near actuator
US6873239B2 (en) * 2002-11-01 2005-03-29 Metglas Inc. Bulk laminated amorphous metal inductive device
JP3723174B2 (ja) * 2002-11-15 2005-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装置、操作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操作装置を備えた開閉装置
US6932584B2 (en) * 2002-12-26 2005-08-23 Medtronic Minimed, Inc. Infusion device and driving mechanism and process for same with actuator for multiple infusion uses
US7113351B2 (en) * 2003-01-02 2006-09-26 Cov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ing lens assemblies
FR2851291B1 (fr) * 2003-02-18 2006-12-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de commande de soupap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moteur a combustion interne muni d'un tel actionneur
US7154362B2 (en) * 2003-11-12 2006-12-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obotic member
JP3950861B2 (ja) * 2004-02-25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決め装置及び露光装置
JP2005341785A (ja) 2004-04-26 2005-12-08 Alps Electric Co Ltd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952207B2 (ja) * 2004-12-15 2007-08-01 株式会社タムロン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837A (ja) 1999-06-25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7009706A (ja) * 2005-06-28 2007-01-18 Kawasaki Heavy Ind Ltd 冷却水用リザーバタンクの配置構造
JP2007009516A (ja) * 2005-06-30 2007-01-18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ドア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23081A (ja) 2006-08-24
KR20060083135A (ko) 2006-07-20
CN1804675A (zh) 2006-07-19
EP1681758A1 (en) 2006-07-19
CN100380154C (zh) 2008-04-09
US7511597B2 (en) 2009-03-31
US20060158290A1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152B1 (ko) 액츄에이터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블록, 및전자기기
US7391579B2 (en) Minature zoom lens
JP4250409B2 (ja) レンズ駆動装置
US7298562B2 (en) Lens drive unit
US8004779B2 (en) Lens drive device
JP6155470B2 (ja) 発電装置
WO2007026830A1 (ja) レンズ駆動装置
JP5201587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2540394A (zh) 驱动装置、镜筒和包括镜筒的光学装置
JP2004144795A (ja) レンズ駆動装置
JP4719107B2 (ja) レンズ駆動装置
WO2004036281A1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9237192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13182165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装置
JP2009145082A (ja) 微小移動装置及び微小移動装置を用いた位置決め装置
JP4945787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WO2006106773A1 (ja)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KR101877039B1 (ko) 카메라의 액츄에이터 구조
CN213957720U (zh) 驱动装置、光学部件驱动装置以及电子设备
JP4331086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バイス
JP2007252166A (ja) アクチュエータ
CN114545582A (zh) 微型相机的压电式弹片式驱动装置
CN112698466A (zh) 驱动装置、光学部件驱动装置以及电子设备
JP2004070162A (ja) 磁気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機械式光スイッチ
JP4994342B2 (ja) 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